KR20140051664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1664A
KR20140051664A KR1020120117971A KR20120117971A KR20140051664A KR 20140051664 A KR20140051664 A KR 20140051664A KR 1020120117971 A KR1020120117971 A KR 1020120117971A KR 20120117971 A KR20120117971 A KR 20120117971A KR 20140051664 A KR20140051664 A KR 20140051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ator
gear
sun gear
fixed hub
t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7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4197B1 (ko
Inventor
이규범
김영종
이상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7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4197B1/ko
Priority to PCT/KR2013/009338 priority patent/WO2014065542A1/en
Priority to US14/057,524 priority patent/US10077520B2/en
Priority to CN201380066342.7A priority patent/CN104870705B/zh
Publication of KR20140051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1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4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4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6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by rotary impellers
    • D06F17/08Driving arrangements for the impell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6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by rotary impellers
    • D06F17/10Impell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4Rib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세탁기는 포가 수용되는 이너 터브와; 이너 터브에 설치된 고정 허브와; 이너 터브 및 고정 허브를 관통하는 회전축과; 회전축에 설치되고 하부에 기어부가 형성되며 상부에 펄세이터 결합부가 형성된 선 기어와; 펄세이터 결합부에 결합된 이너 펄세이터와; 기어부에 치합되고 고정 허브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유성 기어와; 복수개의 유성 기어가 내주면에 치합된 링 기어와; 링 기어에 결합된 기어 박스와; 기어 박스와 결합되고 이너 펠세이터 보다 크기가 큰 아우터 펄세이터를 포함하여, 이너 펄세이터와 아우터 펄세이터가 서로 상이한 회전 속도로 회전되는 것에 의해 이너 터브 내에 보다 입체적인 복합 회전수류가 형성될 수 있고, 세탁능력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포가 담겨지는 이너 터브 내부에 회전 수류를 형성하는 펄세이터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전기를 이용하여 기계적인 작용을 제공하여 의류나 침구 등(이하, 포라 칭함)에 묻은 때 등을 제거하는 기계로서, 포에 묻은 때는 세탁수에 함유된 세제의 화학작용에 의해 포에서 떨어지게 된다. 세탁기는 세제만의 작용으로 포에 묻은 때를 제거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게 되고, 수류를 강제 발생시켜 마찰이나 진동 등의 기계적인 작용을 가하면 때를 손쉽게 빨리 뺄 수 있게 된다.
세탁기는 크게 2조식 세탁기와 펄세이터식 세탁기와 드럼 세탁기로 대별될 수 있다.
2 조식 세탁기는 케이싱 내에 세탁 및 헹굼을 행하는 세탁조와, 탈수를 행하는 탈수조가 좌,우 설치되고, 세탁조 및 탈수조의 각각을 별도의 구동모터로 구동시켜 세탁조에서 세탁 및 헹굼을 행한 후 탈수조로 옮겨서 탈수조가 포를 탈수시킨다.
한편, 펄세이터식 세탁기는 물이 담수되는 아우터 터브 내측에 세탁물이 수용되는 이너 터브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너 터브의 내측 하부에 회전수류를 형성하는 펄세이터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아우터 터브의 상면 및 이너 터브의 상면이 개방되어 세탁기의 상측에서 포가 출입되며, 이너 터브 내부에서 회전되는 펄세이터에 의한 회전수류에 의해 포가 세탁된다.
그리고, 드럼 세탁기는 물이 담수되는 터브 내측에 피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드럼 및 터브가 전면 중앙이 개방되어 세탁기의 전방에서 포가 출입되며, 드럼이 터브에 고정된 모터의 수평 회전축에 연결되어 포가 세탁된다.
본 발명은 이너 펄세이터와 아우터 펄세이터가 상이한 속도로 회전되는 세탁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포가 수용되는 이너 터브와; 상기 이너 터브에 설치된 고정 허브와; 상기 이너 터브 및 고정 허브를 관통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고 하부에 기어부가 형성되며 상부에 펄세이터 결합부가 형성된 선 기어와; 상기 펄세이터 결합부에 결합되는 이너 펄세이터와; 상기 기어부에 치합되고 상기 고정 허브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유성 기어와; 상기 복수개의 유성 기어가 내주면에 치합된 링 기어와; 상기 링 기어에 결합된 기어 박스와; 상기 기어 박스와 결합되고 상기 이너 펠세이터 보다 크기가 큰 아우터 펄세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아우터 펄세이터는 상기 이너 펄세이터 보다 저속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허브에는 상기 유성 기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축의 상부와 결합되는 유성 기어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성 기어 내주면 또는 상기 지지축의 외주면은 윤할 합침될 수 있다.
상기 기어 박스는 상기 선 기어가 관통되는 선 기어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선 기어 관통공에는 상기 선 기어를 상기 기어 박스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 베어링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허브는 상기 선 기어가 관통되는 선 기어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선 기어 관통공에는 상기 선 기어를 상기 고정 허브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 베어링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어 박스 하부에 결합되는 로어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어 커버와 고정 허브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로어 커버를 상기 고정 허브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아우터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 펄세이터는 상방향으로 내측 돌기가 적어도 하나 돌출되고
상기 아우터 펄세이터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펄세이터는 상기 이너 펄세이터의 하면과 마주보고 상기 선 기어가 관통되는 선 기어 관통부와, 상방향으로 외측 돌기가 적어도 하나 돌출된 수류 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 기어 관통부는 중앙에 저면이 개방된 허브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기어 박스는 상기 허브부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아우터 펄세이터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외측 돌기는 상기 내측 돌기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펄세이터는 상기 이너 펄세이터의 테두리를 둘러싸는 링 형상의 리브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허브는 상기 이너 터브의 하판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포가 수용되는 이너 터브와; 상기 이너 터브의 내측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아우터 펄세이터와; 상기 아우터 펄세이터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된 이너 펄세이터와; 상기 이너 터브에 설치되고 상기 이너 펄세이터 및 아우터 펄세이터에 연결되어 상기 이너 펄세이터 및 아우터 펄세이터를 상이한 회전 속도로 회전시키는 유성기어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아우터 펄세이터는 상기 유성기어장치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허브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성기어장치는 상기 아우터 펄세이터를 관통하는 선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 펄세이터는 상방향으로 내측 돌기가 적어도 하나 돌출될 수 있고, 상기 아우터 펄세이터는 상기 이너 펄세이터의 하면과 마주보고 상기 선 기어가 관통되는 선 기어 관통부와, 상방향으로 외측 돌기가 적어도 하나 돌출된 수류 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돌기는 상기 이너 펄세이터의 반경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외측 돌기는 상기 아우터 펄세이터의 원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너 펄세이터와 아우터 펄세이터가 서로 상이한 회전 속도로 회전되어, 이너 터브 내에 보다 입체적인 복합 회전 수류가 형성될 수 있고, 세탁 능력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너 펄세이터와 아우터 펄세이터가 서로 반대 방향의 회전수류를 형성하여, 이너 터브에 수용된 포가 비벼 빠는 것과 같이 세탁될 수 있고, 세탁기의 세탁 성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너 터브 내의 회전수류 속도 차에 의해 포가 이너 터브의 내측 중앙 영역과 이너 터브의 내벽에 근접한 영역을 순환할 수 있고, 포의 꼬임이 최소화되면서 세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 일실시예의 내부가 도시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 일실시예의 내부가 도시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 일실시예의 일부 절결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 일실시예의 이너 펄세이터와 아우터 펄세이터가 유성기어 장치와 분리되었을 때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 일실시예의 유성기어장치의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 일실시예의 유성기어장치의 내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 일실시예의 내부가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 일실시예의 내부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세탁기는 케이싱(1)과, 이너 터브(3)와, 이너 펄세이터(4)와, 아우터 펄세이터(5)와, 유성기어 장치(6)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1)은 세탁기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싱(1)은 베이스(11)와, 베이스(11) 상측에 배치되어 세탁기의 둘레면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12)와, 바디(12) 상측에 설치된 탑 플레이트(13)를 포함할 수 있다. 탑 플레이트(13)에는 포가 출입될 수 있는 포 출입구(14)가 형성될 수 있고, 포 출입구를 여닫을 수 있는 리드(15)가 설치될 수 있다. 케이싱(1)에는 세탁기를 조작하는 컨트롤 패널(16)이 설치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16)은 탑 플레이트(13)의 전방부에 설치되거나 탑 플레이트(13)의 후방부에 설치될 수 있다. 케이싱(1)의 내부에는 아우터 터브(2)가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 터브(2)는 포의 세탁을 위한 세탁수가 담겨질 수 있다. 아우터 터브(2)는 상면에 포가 출입될 수 있는 개구부(21)가 형성될 수 있다. 개방될 수 있다. 아우터 터브(2)는 케이싱(1)에 댐퍼나 행거로 완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아우터 터브(2)에는 이너 펄세이터(4)와, 아우터 펄세이터(5)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모터(22)가 설치될 수 있다. 모터(22)는 이너 펄세이터(4)와 아우터 펄세이터(5)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이너 펄세이터(4)와 아우터 펄세이터(5)와 이너 터브(3)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세탁기는 모터(22)에는 발생된 회전력을 유성기어장치(6)로 전달하는 회전축(23)이 구비될 수 있다.
이너 터브(3)는 포가 수용될 수 있다. 이너 터브(3)는 케이싱(1) 내부에 위치될 수 있고, 아우터 터브(2) 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되어 아우터 터브(2)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 터브(2)는 세탁수가 담겨지는 외조로 기능할 수 있고, 이너 터브(3)는 포가 세탁수에 의해 세탁되는 내조로 기능할 수 있다. 이너 터버(3)는 상면이 개방된 이너 터브 베이스(31)와, 이너 터브 베이스(31) 상부에 결합된 이너 터브 바디(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 터브 바디(32)는 중공 원통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너 터브 바디(32)에는 세탁수가 출입되는 수공(3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너 터브 바디(32)의 상부에는 밸런서(34)가 설치될 수 있다.
이너 펄세이터(4)는 이너 터브(3)의 내측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고, 그 회전시 세탁수에 회전 수류를 형성할 수 있다. 이너 펄세이터(4)는 아우터 펄세이터(5)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너 펄세이터(4)는 아우터 펄세이터(5)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너 펄세이터(4)는 아우터 펄세이터(5) 상측에서 위치되는 어퍼 펄세이터가 될 수 있고, 아우터 펄세이터(5)는 이너 펄세이터(4)의 하측에 위치되는 로어 펄세이터가 될 수 있다. 이너 펄세이터(4)는 내측 돌기(41)가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내측 돌기(41)는 이너 펄세이터(4)에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너 펠세이터(4)는 중앙에 유성기어 장치(6)가 연결되는 유성기어장치 연결부(42)가 형성될 수 있다. 내측 돌기(41)는 이너 펠세이터(4) 주변에 회전 수류를 유도하는 것으로서, 이너 펄세이터(4)의 반걍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내측 돌기(41)는 유성기어장치 연결부(42)에서 이너 펄세이터(4)의 테두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내측 돌기(41)는 복수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내측 돌기(41)는 내측단이 유성기어장치 연결부(42)와 연결될 수 있다. 내측 돌기(42)는 외측면(43)이 아우터 펄세이터(5)의 후술하는 외측 돌기(51)와 마주볼 수 있다. 내측 돌기(42)는 외측면(43)이 외측돌기(51)의 후술하는 내측면(52) 보다 크기가 작거나 내측면(52)과 크기가 같을 수 있다.
아우터 펄세이터(5)는 이너 터브(3)의 내측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고, 그 회전시 세탁수에 회전 수류를 형성할 수 있다. 아우터 펄세이터(5)는 이너 펄세이터(4)와 함께 회전될 수 있고, 이너 펄세이터(4)와 상이한 회전 속도로 회전될 수 있다. 아우터 펄세이터(5)는 이너 펠세이터(4) 보다 크기가 클 수 있다. 아우터 펄세이터(5)는 외측 돌기(51)가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외측 돌기(51)는 아우터 펄세이터(5)에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외측 돌기(51)는 아우터 펄세이터(5) 주변에 회전 수유를 유도하는 것으로서, 이너 펄세이터(5)와 이너 터브(3) 내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외측 돌기(51)는 내측 돌기(41)와 이격될 수 있다. 외측 돌기(51)는 복수개가 아우터 펄세이터(5)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외측 돌기(51)는 아우터 펄세이터(5)의 원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외측 돌기(51)는 아우터 펄세이터(5)의 중심축을 향하는 내측면(52)과 이너 터브(3)의 내면을 향하는 외측면(53)을 포함할 수 있고, 외측면(53)의 크기가 내측면(52)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외측 돌기(51)는 상단이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외측 돌기(51)는 내측 돌기(41)와 같은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냉장고는 이너 펄세이터(4)의 내측 돌기(41)가 아우터 펄세이터(5)의 외측 돌기(51)와 이너 터브(3)의 반경 방향으로 마주보게 형성될 수 있다. 냉장고는 이너 펄세이터(4) 및 아우터 펄세이터(5)의 회전시, 이너 펄세이터(4)가 아우터 펄세이터(5)를 향하는 위치와, 복수개의 아우터 펄세이터(5) 사이를 향하는 위치를 반복할 수 있다. 아우터 펄세이터(5)는 이너 펄세이터(4)의 테두리를 둘러싸는 링 형상의 리브(54)가 돌출될 수 있다. 링 형상의 리브(54)는 이너 펄세이터(4)의 테두리를 보호할 수 있고, 포가 이너 펄세이터(4)와 아우터 펄세이터(5) 사이의 틈으로 끼이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즉, 링 형상의 리브(54)는 포 끼임 방지부로 기능할 수 있다.
유성기어장치(6)는 이너 펠세이터(4)와 아우터 펄세이터(5)를 함께 회전시킬 수 있고, 이너 펠세이터(4)와 아우터 펄세이터(5)를 상이한 회전 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유성기어장치(6)에는 회전축(23)이 연결될 수 있고, 회전축(23)의 회전시 이너 펠세이터(4)와 아우터 펄세이터(5)가 상이한 회전 속도로 회전될 수 있다. 유성기어장치(6)는 이너 펠세이터(4)와 아우터 펄세이터(5)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유성기어장치(6)는 아우터 펄세이터(5)가 이너 펄세이터(4) 보다 천천히 회전되게 하면서 아우터 펄세이터(5)가 이너 펄세이터(4)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게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 일실시예의 일부 절결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 일실시예의 이너 펄세이터와 아우터 펄세이터가 유성기어 장치와 분리되었을 때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 일실시예의 유성기어장치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 일실시예의 유성기어장치의 내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유성기어장치(6)는 이너 터브(3)에 설치된 고정 허브(60)와; 회전축(23)에 설치되고 하부에 기어부(68)가 형성되며 상부에 펄세이터 결합부(69)가 형성된 선 기어(70)와; 기어부(68)에 치합되고 고정 허브(50)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유성 기어(80)와; 복수개의 유성 기어(80)가 내주면에 치합된 링 기어(90)와; 링 기어(90)에 결합된 기어 박스(10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허브(60)는 이너 터브(3)의 하판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고정 허브(60)는 이너 터브(3)의 하판을 구성하는 이너 터브 베이스(31)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너 터브 베이스(31)에는 중앙에 하측으로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될 수 있고, 고정 허브(60)는 함몰부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고정 허브(60)는 이너 터브 베이스(31)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될 수 있다. 고정 허브(60)는 선 기어(70)가 관통되는 선 기어 관통공(61: 하측 선 기어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선 기어 관통공(61)에는 선 기어(70)를 고정 허브(6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 베어링(62)이 배치될 수 있다. 고정 허브(60)는 중앙에 회전축(23)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디스크(63)와, 디스크(63)의 상면에 배치되고 선 기어 관통공(61)이 형성된 허브(64)를 포함할 수 있다. 허브(64)는 중공 원통부의 상부에 원판부가 형성될 수 있고, 원판부에 선 기어 관통공(61)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허브(60)에는 유성 기어(8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65)이 설치될 수 있다. 지지축(65)은 유성 기어(80)가 선 기어(70) 둘레를 따라 공전되지 않고 자전되게 유성 기어(8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축(65)은 고정 허브(60)에 핀이나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될 수 있다. 유성기어장치(6)는 지지축(65)의 상부와 결합되는 유성 기어 홀더(66)를 포함할 수 있다.
선 기어(70)는 하부에 유성 기어(80)가 치합되는 기어부(68)가 형성되고, 상부에 펄세이터 결합부(69)가 형성될 수 있다.
유성 기어(80)는 선 기어(70)와 링 기어(90)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선 기어(70)의 회전시, 선 기어(70)와 링 기어(90) 사이에서 고정 축(65)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링 기어(9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유성 기어(80)는 지지축(65)이 관통되는 지지축 관통공(81)이 형성될 수 있다. 유성 기어(80)는 고정 허브(60)와 유성기어 홀더(86) 사이에서 지지축(65)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유성기어장치(6)는 유성 기어(80) 내주면 또는 지지축(65)의 외주면이 윤할 합침될 수 있다.
링 기어(90)는 내주면에 유성 기어(80)와 치합되는 기어부가 형성된 내접기어이다. 링 기어(90)는 선 기어(7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 기어(7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링 기어(9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선 기어(7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링 기어(9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링 기어(90)는 선 기어(70) 보다 회전 속도가 느릴 수 있다. 유성기어장치(6)는 선 기어(70)와 링 기어(90)의 기어비(1:N)에 따라 이너 펄세이터(4)와 아우터 펄세이터(5)의 회전 속도차가 결정될 수 있다. 선 기어(70)와 링 기어(90)의 기어비는 N이 2∼3 범위 내의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성기어장치(6)는 선 기어(70)와 링 기어(90)의 기어비(1:N)가 작을수록 아우터 펄세이터(5)가 빠른 속도로 회전될 수 있고, 선 기어(70)와 링 기어(90)의 기어비(1:N)가 클수록 아우터 펄세이터(5)가 느린 속도로 회전될 수 있다. 유성기어장치(6)는 아우터 펄세이터(5)와 이너 펄세이터(4)의 회전 속도차가 너무 크면, 아우터 펄세이터(5)의 회전에 따른 세탁 성능 향상이 저하될 수 있고, 선 기어(70)와 링 기어(90)의 기어비는 1:3 보다는 1:2 가 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기어 박스(100)는 유성기어장치(6)의 상면 외관 및 둘레면 외관을 형성하면서 유성기어(80)와 링 기어(90)를 보호할 수 있다. 기어 박스(100)는 하면이 개방될 수 있다. 링 기어(90)의 회전력을 아우터 펄세이터(5)로 전달할 수 있다. 기어 박스(100)는 유성기어장치(6)의 회전력을 아우터 펄세이터(5)로 전달하는 캐리어로 기능할 수 있다. 기어 박스(100)는 상부가 아우터 펄세이터(5)와 체결될 수 있고, 둘레부가 링 기어(90)의 외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기어 박스(100)는 링 기어(9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링 기어(90)는 기어 박스(100)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링 기어(90)는 기어 박스(100) 내부로 삽입되어 기어 박스(100)와 끼움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링 기어(90)는 기어 박스(100)의 내면에 접착재 등의 접착수단으로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기어 박스(100)는 선 기어(70)가 관통되는 선 기어 관통공(102: 상측 선 기어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선 기어 관통공(102)에는 선 기어(70)를 기어 박스(10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 베어링(104)이 배치될 수 있다.
유성기어장치(6)는 기어 박스(100) 하부에 결합되는 로어 커버(110)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커버(110)는 유성기어장치(6)의 하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로어 커버(110)는 링 기어(90)가 기어 박스(100) 하측으로 임의 탈거되는 막는 링 기어 스토퍼로 기능할 수 있다. 로어 커버(110)는 상면 외둘레에 기어 박스(100)의 하단이 끼움되는 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단 일부가 기어 박스(10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유성기어장치(6)는 로어 커버(110)와 고정 허브(60) 사이에 배치되어 로어 커버(110)를 고정 허브(6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아우터 베어링(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 펄세이터(4)는 펄세이터 결합부(69)에 결합될 수 있다. 이너 펄세이터(4)는 유성기어장치 연결부(42)에 펄세이터 결합부(69)가 끼움되는 보스(44)가 설치될 수 있다. 이너 펄세이터(4)는 유성기어장치 연결부(42)에 스크류가 관통되는 관통공(45)이 형성될 수 있고, 스크류는 관통공(45)과 보스(44)를 관통하여 선 기어(70)와 회전축(23) 중 적어도 하나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아우터 펄세이터(5)는 기어 박스(100)와 결합될 수 있다. 아우터 펄세이터(5)는 이너 펄세이터(4) 보다 저속으로 회전될 수 있다. 아우터 펄세이터(5)는 이너 펄세이터(4)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아우터 펄세이터(5)는 이너 펄세이터(4)의 하면과 마주보고 선 기어(70)가 관통되는 선 기어 관통부(55)와, 상방향으로 외측 돌기(51)가 적어도 하나 돌출된 수류 형성부(56)를 포함할 수 있다. 선 기어 관통부(55)는 중앙에 저면이 개방된 허브부(58)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펄세이터(5)는 선 기어 관통부(55)에 기어 박스(100)를 아우터 펄세이터(5)에 고정시키는 스크류가 관통하는 스크류 관통공(57)이 형성될 수 있다.
유성기어장치(6)는 적어도 일부가 허브부(58)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허브부(58)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기어 박스(100)는 허브부(58)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선 기어 관통부(55)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될 수 있다.
회전축(23)은 상부가 유성기어장치(6)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축(23)은 이너 터브(3) 및 유성기어장치(6)의 고정 허브(60)를 관통할 수 있다. 회전축(23)은 이너 터브(3)에 형성된 회전축 관통공(36)을 관통할 수 있다. 회전축(23)은 고정 허브(60)에 형성된 선 기어 관통공(61)을 선 기어(70)와 함께 관통할 수 있다. 회전축(23)은 상부가 선 기어(70)로 삽입되어 선 기어(70)와 끼움될 수 있다. 회전축(23)은 상부에 이너 펄세이터(4)를 관통하는 스크류의 수나사가 나사체결되는 암나사(24)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세탁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세탁기는 세탁 행정시, 모터(22)가 구동될 수 있다. 모터(22)의 구동시 회전축(23)은 회전되고, 선 기어(70)는 회전축(23)과 함께 회전된다. 선 기어(70)의 회전시 이너 펄세이터(4)는 선 기어(70)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선 기어(70)와 함께 회전되고, 유성 기어(80)는 선 기어(70)와 링 기어(90)의 사이에서 선 기어(7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유성 기어(80)는 고정 허브(60)와 유성기어 홀더(86) 사이에서 고정 허브(60)에 고정 설치된 지지축(65)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유성 기어(80)는 선 기어(70)를 따라 공전하지 않고 지지축(65)을 중심으로 자전하고, 이때 링 기어(90)는 선 기어(70) 보다 회전 속도가 느리면서 선 기어(70)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링 기어(90)의 회전시 기어 박스(100)는 링 기어(90)와 함께 회전되고, 아우터 펄세이터(5)는 기어 박스(100)와 함께 회전된다.
세탁기는 이너 펄세이터(4)와 아우터 펄세이터(5)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이한 회전 속도로 회전되고, 이너 터브(3) 내에는 단수개의 펄세이터가 회전하는 경우보다 더욱 더 입체적인 회전 수류가 형성된다. 즉, 이너 터브(3)의 내측 중앙의 세탁수는 이너 펄세이터(4)에 의해 주로 유동되면서 회전 수류가 형성될 수 있고, 이너 터브(3)의 내면에 근접한 세탁수는 아우터 펄세이터(5)에 의해 유동되면서 이너 터브(3) 내측 중앙의 세탁수와 반대 방향의 회전 수류가 형성될 수 있다. 이너 터브(3) 내부에는 2개의 회전수류가 방향 및 회전 속도가 상이할 수 있고, 이너 터브(3) 내에 단수개의 펄세이터가 설치되는 경우보다 복합적인 입체 수류가 형성될 수 있다.
3: 이너 터브 4: 이너 펄세이터
5: 아우터 펄세이터 23: 회전축
41: 내측 돌기 51: 외측 돌기
60: 고정 허브 62: 하부 베어링
70: 선 기어 80: 유성 기어
90: 링 기어 100: 기어 박스
104: 상부 베어링 110: 로어 커버
120: 아우터 베어링

Claims (20)

  1. 포가 수용되는 이너 터브와;
    상기 이너 터브에 설치된 고정 허브와;
    상기 이너 터브 및 고정 허브를 관통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고 하부에 기어부가 형성되며 상부에 펄세이터 결합부가 형성된 선 기어와;
    상기 펄세이터 결합부에 결합되는 이너 펄세이터와;
    상기 기어부에 치합되고 상기 고정 허브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유성 기어와;
    상기 복수개의 유성 기어가 내주면에 치합된 링 기어와;
    상기 링 기어에 결합된 기어 박스와;
    상기 기어 박스와 결합되고 상기 이너 펠세이터 보다 크기가 큰 아우터 펄세이터를 포함하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펄세이터는 상기 이너 펄세이터 보다 저속으로 회전되는 세탁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허브에는 상기 유성 기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이 설치된 세탁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의 상부와 결합되는 유성 기어 홀더를 포함하는 세탁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 기어 내주면 또는 상기 지지축의 외주면은 윤할 합침된 세탁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박스는 상기 선 기어가 관통되는 선 기어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선 기어 관통공에는 상기 선 기어를 상기 기어 박스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 베어링이 배치된 세탁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허브는 상기 선 기어가 관통되는 선 기어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선 기어 관통공에는 상기 선 기어를 상기 고정 허브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 베어링이 배치된 세탁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박스 하부에 결합되는 로어 커버를 포함하는 세탁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 커버와 고정 허브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로어 커버를 상기 고정 허브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아우터 베어링을 포함하는 세탁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펄세이터는 상방향으로 내측 돌기가 적어도 하나 돌출되고 상기 아우터 펄세이터 상측에 위치되는 세탁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펄세이터는 상기 이너 펄세이터의 하면과 마주보고 상기 선 기어가 관통되는 선 기어 관통부와, 상방향으로 외측 돌기가 적어도 하나 돌출된 수류 형성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 기어 관통부는 중앙에 저면이 개방된 허브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어 박스는 상기 허브부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아우터 펄세이터와 결합되는 세탁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돌기는 상기 내측 돌기와 이격되는 세탁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펄세이터는 상기 이너 펄세이터의 테두리를 둘러싸는 링 형상의 리브가 돌출된 세탁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허브는 상기 이너 터브의 하판 상면에 설치된 세탁기.
  16. 포가 수용되는 이너 터브와;
    상기 이너 터브의 내측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아우터 펄세이터와;
    상기 아우터 펄세이터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된 이너 펄세이터와;
    상기 이너 터브에 설치되고 상기 이너 펄세이터 및 아우터 펄세이터에 연결되어 상기 이너 펄세이터 및 아우터 펄세이터를 상이한 회전 속도로 회전시키는 유성기어장치를 포함하는 세탁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펄세이터는 상기 유성기어장치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허브부가 형성된 세탁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기어장치는 상기 아우터 펄세이터를 관통하는 선 기어를 포함하는 세탁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펄세이터는 상방향으로 내측 돌기가 적어도 하나 돌출되고,
    상기 아우터 펄세이터는 상기 이너 펄세이터의 하면과 마주보고 상기 선 기어가 관통되는 선 기어 관통부와, 상방향으로 외측 돌기가 적어도 하나 돌출된 수류 형성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돌기는 상기 이너 펄세이터의 반경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외측 돌기는 상기 아우터 펄세이터의 원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세탁기.
KR1020120117971A 2012-10-23 2012-10-23 세탁기 KR101954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971A KR101954197B1 (ko) 2012-10-23 2012-10-23 세탁기
PCT/KR2013/009338 WO2014065542A1 (en) 2012-10-23 2013-10-18 Washing machine
US14/057,524 US10077520B2 (en) 2012-10-23 2013-10-18 Washing machine with pulsator and planetary gear device
CN201380066342.7A CN104870705B (zh) 2012-10-23 2013-10-18 洗衣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971A KR101954197B1 (ko) 2012-10-23 2012-10-23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1664A true KR20140051664A (ko) 2014-05-02
KR101954197B1 KR101954197B1 (ko) 2019-05-31

Family

ID=50484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7971A KR101954197B1 (ko) 2012-10-23 2012-10-23 세탁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77520B2 (ko)
KR (1) KR101954197B1 (ko)
CN (1) CN104870705B (ko)
WO (1) WO2014065542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7981A1 (en) * 2015-10-02 2017-04-06 Lg Electronics Inc. Top-loading-type washing machine
WO2017057982A1 (en) * 2015-10-02 2017-04-06 Lg Electronics Inc. Top-loading-type washing machine
KR20170042220A (ko) * 2015-10-08 2017-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20200055927A (ko) * 2018-11-14 2020-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93894B2 (en) 2009-06-15 2016-07-19 Polaris Industries Inc. Side-by-side vehicle
US9650078B2 (en) 2011-02-11 2017-05-16 Polaris Industries Inc. Side-by-side all terrain vehicle
AU2014227985B2 (en) 2013-03-15 2017-05-25 Polaris Industries Inc. Utility vehicle
RU2015145816A (ru) 2013-05-31 2017-07-05 Поларис Индастриз Инк.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универсального назначения с рядным расположением сидений
JP6397217B2 (ja) * 2014-04-25 2018-09-26 アクア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JP6397216B2 (ja) * 2014-04-25 2018-09-26 アクア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JP6345974B2 (ja) * 2014-04-25 2018-06-20 アクア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JP6397218B2 (ja) * 2014-04-28 2018-09-26 アクア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CN113183701A (zh) 2015-05-15 2021-07-30 北极星工业有限公司 多用途车辆
WO2017061836A1 (en) * 2015-10-08 2017-04-13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WO2017061834A1 (en) * 2015-10-08 2017-04-13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WO2017061835A1 (en) * 2015-10-08 2017-04-13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WO2017061833A1 (en) * 2015-10-08 2017-04-13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KR102583491B1 (ko) * 2016-11-11 2023-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BR102017008941B1 (pt) * 2017-04-27 2022-12-27 Electrolux Do Brasil S.A Máquina de lavar roupas compreendendo um impulsor
WO2019227657A1 (zh) * 2018-05-29 2019-12-05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滚筒洗衣机
US10946736B2 (en) 2018-06-05 2021-03-16 Polaris Industries Inc. All-terrain vehicle
CN110791920B (zh) * 2018-08-02 2021-04-20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内筒组件和滚筒洗衣机
CN111270476A (zh) * 2020-04-01 2020-06-12 长春工程学院 一种多功能超强洗净力洗衣机
TWD217679S (zh) * 2021-02-05 2022-03-11 南韓商Lg電子股份有限公司 洗衣機之攪拌器
USD991603S1 (en) * 2021-02-05 2023-07-04 Lg Electronics Inc. Pulsator for washing machine
CN114934369A (zh) * 2022-06-30 2022-08-23 海信冰箱有限公司 一种洗衣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1990A (en) * 1995-05-26 1997-09-02 Daewoo Electronics Co., Ltd Power transfer apparatus for a washing machine
KR20030042621A (ko) * 2001-11-23 2003-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2개의 펄세이터를 갖는 세탁기
JP2010000135A (ja) * 2008-06-18 2010-01-07 Mitsubishi Electric Corp 洗濯乾燥機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0796Y1 (ko) 1994-06-09 1999-07-15 윤종용 세탁기
KR100203071B1 (ko) 1997-02-21 1999-06-15 윤종용 세탁기의 중앙분출 수류장치
KR100315625B1 (ko) * 1998-07-08 2002-02-28 윤종용 상향분출수류를형성하는세탁기용펄세이터조립체
JP2000157775A (ja) 1998-11-30 2000-06-13 Toshiba Corp 洗濯機
JP4642514B2 (ja) * 2005-03-22 2011-03-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プラネタリギヤの潤滑装置
CN201027257Y (zh) 2007-02-12 2008-02-27 肇庆市自动化仪表二厂有限公司 一种双波轮式洗衣机减速离合器
KR101555899B1 (ko) * 2009-01-15 2015-09-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용 펄세이터유닛 및 이를 갖는 세탁기
CN101962903B (zh) 2009-07-22 2015-04-22 合肥国荣科技洗涤设备有限公司 一种双内齿圈三输出的洗衣机减速离合器
CN202279943U (zh) 2011-10-18 2012-06-20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一种驼峰形洗衣机波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1990A (en) * 1995-05-26 1997-09-02 Daewoo Electronics Co., Ltd Power transfer apparatus for a washing machine
KR20030042621A (ko) * 2001-11-23 2003-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2개의 펄세이터를 갖는 세탁기
JP2010000135A (ja) * 2008-06-18 2010-01-07 Mitsubishi Electric Corp 洗濯乾燥機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39485B (zh) * 2015-10-02 2019-08-09 Lg电子株式会社 顶部装载型洗衣机
WO2017057982A1 (en) * 2015-10-02 2017-04-06 Lg Electronics Inc. Top-loading-type washing machine
CN106939485A (zh) * 2015-10-02 2017-07-11 Lg电子株式会社 顶部装载型洗衣机
US10260192B2 (en) 2015-10-02 2019-04-16 Lg Electronics Inc. Top-loading-type washing machine
US10316453B2 (en) 2015-10-02 2019-06-11 Lg Electronics Inc. Top-loading type washing machine
WO2017057981A1 (en) * 2015-10-02 2017-04-06 Lg Electronics Inc. Top-loading-type washing machine
KR20170042220A (ko) * 2015-10-08 2017-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20170042221A (ko) * 2015-10-08 2017-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20170042223A (ko) * 2015-10-08 2017-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20170042222A (ko) * 2015-10-08 2017-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20200055927A (ko) * 2018-11-14 2020-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WO2020101394A1 (ko) * 2018-11-14 2020-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US11332866B2 (en) 2018-11-14 2022-05-17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77520B2 (en) 2018-09-18
WO2014065542A1 (en) 2014-05-01
US20140109627A1 (en) 2014-04-24
CN104870705A (zh) 2015-08-26
KR101954197B1 (ko) 2019-05-31
CN104870705B (zh) 2018-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4197B1 (ko) 세탁기
CA2898942C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ith drum connected to motor shaft
KR20150089344A (ko) 세탁기
US20190382934A1 (en) Clothes treating device
AU2014305336A1 (en) Washing machine
JP6564173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6620061B2 (ja) 洗濯機
KR100339388B1 (ko) 분리가능한 세탁조를 구비한 세탁기
JP6781870B2 (ja) 洗濯機
US20190203397A1 (en) Washing machine
EP3392391A1 (en) Tumbling-box washing machine
US3958433A (en) Wash basket for a washing machine
AU2016330089A1 (en) Top-loading-type washing machine
AU2019379474A1 (en) Laundry processing machine
JP2018042866A (ja) 洗濯機
JP7220351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H0919590A (ja) 洗濯機
WO2016188436A1 (zh) 洗衣机
JP2015229088A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2241041B1 (ko) 세탁기
JPH0141415Y2 (ko)
JPS6346713B2 (ko)
KR101729525B1 (ko) 탑로딩 세탁기
JPH0141412Y2 (ko)
JPH014141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