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0824A - 아스팔트 포장 보수용 바인더 조성물과 이를 포함한 아스팔트 포장 보수재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스팔트 포장 보수용 바인더 조성물과 이를 포함한 아스팔트 포장 보수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0824A
KR20140050824A KR1020120117110A KR20120117110A KR20140050824A KR 20140050824 A KR20140050824 A KR 20140050824A KR 1020120117110 A KR1020120117110 A KR 1020120117110A KR 20120117110 A KR20120117110 A KR 20120117110A KR 20140050824 A KR20140050824 A KR 20140050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asphalt
weight
repairing
b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7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0937B1 (ko
Inventor
박정호
최상구
윤준노
성기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한수나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한수나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한수나텍
Priority to KR1020120117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0937B1/ko
Publication of KR20140050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0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0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09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26Bituminous materials, e.g.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1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6/14Polyepox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085Aggregate or filler materials therefor; Coloured reflecting or luminescent additiv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72Repairing or restoring existing buildings or building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08Fats; Fatty oils; Ester type waxes; Higher fatty acids, i.e. having at least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bound to a carboxyl group; Oxidised oils or fa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Epoxy Resin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스팔트 포장 보수용 바인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수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자세하게는 간편한 시공으로 도로 파손 부위, 교량 이음부, 맨홀 주변 함몰부 등을 긴급 보수할 수 있는 유동성 및 강도를 개선한 공기 산화형 아스팔트 보수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아스팔트 포장 보수용 바인더 조성물과 이를 포함한 아스팔트 포장 보수재 조성물 {Binder composition for repairing asphalt pavement and repairing composition containing therof}
본 발명은 아스팔트포장 보수용 바인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수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자세하게는 간편한 시공으로 도로 파손 부위, 교량 이음부, 맨홀 주변 함몰부 등을 긴급보수할 수 있는 유동성 및 강도를 개선한 공기 산화형 아스팔트 보수재에 관한 것이다.
아스팔트 포장도로는 시공 후 지속적인 차량통행, 시간의 경과에 따른 아스팔트의 노후화, 기후 및 환경변화에 의한 강수량의 증가 등으로 인하여 점차 파손된다. 최근에는 도심지 재건축 등으로 인해 도심지 내로 대형차량 및 과적차량 통행량이 증가되고 있고 포장도로 파손 부위도 다발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포장도로 파손부위는 적기에 보수되어야 포장층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렇지 못할 경우 파손부위가 점차 확대되면 이것이 교통사고를 유발시키고 급기야는 대규모 보수를 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아스팔트 포장도로는 어떻게 유지 관리를 하느냐에 따라 그 수명이 달라지므로, 포장도로에 대하여 적절한 보수시기와 보수공법을 선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보통 아스팔트 도로에 파손부위가 생겼을 때는 긴급 보수용 아스팔트 보수재를 사용하여 보수한다. 작업 방법은 보수재를 파손 부위에 붓고 발로 밟거나 무거운 하중을 가진 로울러로 누르거나 넓적한 수동 다짐기로 두드려 평탄화시키는 방법이 있다. 긴급 보수용 아스팔트 보수재는 바인더, 보조바인더, 용제, 골재, 기타 첨가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요구되는 물성은 편리한 시공성과 빠른 강도 발현이다. 구체적으로는 유동성, 다짐성, 재료간 응집성, 반응성, 가교성, 저장안정성 등에서 우수한 물성이 구비되어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물성들은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단순한 처방으로 모든 물성을 좋게 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지금까지는 아스팔트 포장도로 보수재 조성물의 유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대체로 용제나 광물성 윤활유 또는 식물성 기름을 혼합하는 방법을 사용해왔다 (대한민국 특허공보 10-0880030호 등 참조). 용제는 주로 등유, 경유, 중유 등을 주로 이용했다. 그러나 유기 용제를 과량 사용하는 경우 보수재 조성물의 유동성은 좋아지지만 응집력 부족에 의하여 결합강도가 떨어지고, 용매의 과다 사용으로 환경오염 문제를 야기시킨다. 또한, 엔진오일 등의 광물성 윤활유를 사용하는 방법은 윤활성은 부여되지만 용제의 사용에서와 마찬가지로 결합강도를 떨어뜨린다. 식물성 기름을 사용하는 경우 혼합 초기에는 윤활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식물성 기름이 아스팔트와의 상용성이 좋지 않아 점차 상분리를 일으켜 저장안정성을 나쁘게 만들고 윤활효과도 떨어지게 된다.
대한민국특허 제629902호는 아스팔트 포장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자세히는 분자량 300~1,500이고, 분자구조 내 에폭사이드기가 2개 이상인 디글리시딜 에테르 (Diglycidyl Ether) 비스페놀-A형 에폭시 수지, 분자량 500~2,000이고, 분자구조 내 에폭사이드기가 2.2개 이상인 페놀 노볼락 폴리글리시딜 에테르(Phenol Novolac Polyglycidyl Ether) 에폭시 수지 등을 주제로 하고 폴리아민을 경화제로 하는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개시하며, 내유동성, 균열저항성 등이 우수하다. 이 발명은 특히 교량 강상판 포장에 유용하다. 그러나, 아스팔트 포장 긴급 보수용도로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 문제를 해결하고 시공성과 강도가 우수한 아스팔트 포장 보수재 조성물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아스팔트 포장 보수재 조성물의 유동성 및 말기 강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아스팔트 혼합물에 에폭시에스테르 수지를 가하는 기술을 도출하였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불포화 지방산을 에폭시 수지의 양말단에 반응시켜 얻은 올리고머(oligomer) 형태의 반응물을 아스팔트 보수재에 첨가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초기에는 아스팔트 혼합물에 유동성을 부여해 주어 다짐성이 우수해지며, 나중에는 분자 사슬에 붙어있는 이중결합이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분자간에 가교를 만들어 재료의 강도를 증진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아스팔트 포장 보수재 조성물에 화학식 1과 같은 에폭시에스테르 수지를 혼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것은 에폭시 수지에 불포화 지방산 및 유기산을 부가반응시켜 얻어지는 반응물이다. 물성 향상을 위하여 에폭시에스테르 수지를 전체 바인더 성분 중 5~10% 범위에서 혼합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보수재 조성물을 사용하면 초기에는 불포화 지방산의 혼합 효과 때문에 유동성이 좋아지고, 나중에는 불포화지방산의 이중결합이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되어 가교 밀도가 상승되면서 강도가 증가하게 된다. 불포화 지방산의 이중결합은 공기 중에 노출될 경우 적어도 10일 이내에 공기 중의 산소와 결합하게 된다.
Figure pat00001
(단, 상기 화학식에서 R: 불포화 지방산의 알켄일기, n=1 또는 2임.)
본 발명은 바인더 3-10중량%, 골재 90-97중량%로 이루어지는 아스팔트 포장 보수재에 있어서, 바인더는 바인더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에폭시에스테르 수지를 5-10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포장 보수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바인더가 아스팔트 70~80중량%, 에폭시에스테르 수지 5~10중량%, 용제 15~2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포장 보수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에폭시에스테르 수지가 당량 500 이하의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 20~60중량%와 불포화 지방산 40~80중량%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포장 보수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불포화 지방산이 미리스톨레산(Myristoleic acid), 팔미톨레산(Palmitoleic acid), 사피엔산(Sapienic acid), 엘라이드산(Elaidic acid), 백센산(Vaccenic acid), 올레산(Oleic acid), 리놀레산(Linoleic acid), 리놀렌산(α-Linolenic acid),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 아이코사펜테노산(Eicosapentaenoic acid), 에루스산(Erucic acid), 도코사헥사노산(Docosahexanoic acid) 및 리놀레이드산(Linoelaidic acid) 중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포장 보수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아스팔트 70~80중량%, 에폭시에스테르 수지 5~10중량%, 용제 15~20중량%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포장 보수용 바인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에폭시에스테르 수지가 당량 500 이하의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 20~60중량%와 불포화 지방산 40~80중량%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불포화 지방산이 탄소수 6개 이상의 지방족 꼬리를 가진 지방산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불포화 지방산이 미리스톨레산, 팔미톨레산, 사피엔산, 엘라이드산, 백센산,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아라키돈산, 아이코사펜테노산, 에루스산, 도코사헥사노산 및 리놀레이드산 중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스팔트 포장 보수재 조성물에 불포화 지방산과 에폭시 수지를 반응시킨 에폭시에스테르 수지를 첨가하여 사용함으로써 유동성, 골재 다짐성, 말기 강도 등이 우수한 보수재 혼합물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에서 아스팔트 포장 보수재 조성물은 바인더 3-10중량%, 골재 90-97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바인더 성분은 아스팔트 70-80중량%, 보조 바인더 0-10중량%, 용제 15-20중량%를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 상기 바인더에는 기타 첨가제 1-3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아스팔트 포장 보수재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스팔트로는 천연아스팔트, 스트레이트(straight) 아스팔트, 블로운(blown) 아스팔트 등 다양한 아스팔트 중 1종 이상을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사용량은 전체 바인더 성분 중 70~80중량%이다. 그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은 스트레이트(straight) 아스팔트이다.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는 원유를 상압증류탑에서 증류시킨 후 상압잔사유를 다시 감압 증류하여 얻은 최종 잔류분에서 얻는다. 산화성, 중합성, 점착성, 방수성이 우수하여 유기 결합재로 주로 사용된다.
종래 기술에서 보조 바인더로는 통상 석유수지, 우레탄 수지, 알키드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의 여러 가지 수지를 사용해왔다. 사용 가능한 수지를 예시하면 석유수지로는 코오롱 유화의 R-1100, P-90S, 니온제온(Nion-Zeno)의 퀸톤1500, CX-495, 우레탄 수지로는 (주) 대륭의 DR-400, DR-600과 금호미쓰이(주)의 M-200, LL, 알키드수지로는 디에프씨(주)의 DS-7301-F, DS-9280-H, DS-7334-G을, 에폭시 수지로는 국도화학(주)의 YD-128, YD-134, YD-011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보조 바이더를 단독으로 또는 적절히 혼합하여 사용하면 강도, 점착성, 응집력 등을 개선할 수 있다. 보조 바인더의 사용량은 전체 바인더 성분 중 5~10중량%이다. 이 범위를 벗어나면, 점도가 높아지고 유동성이 나빠지며 상분리가 일어나 저장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보조 바인더 성분으로 특별히 에폭시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하였다. 이것은 위 화학식 1의 구조와 같은 것인데 에폭시 수지에 불포화 지방산을 부가반응시켜 얻은 것이다. 에폭시 수지는 아스팔트와의 상용성이 좋아 아스팔트 혼합물의 강도, 내열성, 내약품성, 경도 등을 개선하는데 많이 사용하고 있다. 불포화 지방산은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등이 주성분이며 이것들은 아마인유, 해바라기 기름, 오동나무 기름, 들깨기름 등 건성유에 많이 포함되어 있다. 불포화 지방산을 아스팔트 혼합물에 혼합하면 사슬이 길고 미끄러짐이 좋아 윤활제로 작용한다. 이러한 불포화 지방산의 혼합 효과로 아스팔트 혼합물은 좋은 유동성을 갖게 되고, 그로 인하여 우수한 골재 다짐 효과와 높은 안정도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아스팔트와의 상용성이 좋은 에폭시 수지에 불포화 지방산을 반응시켜 사용하였다. 이렇게 하면 유동성도 좋아지고 나중에는 불포화 지방산에 존재하는 이중결합이 공기 중의 산소와 결합하여 분자간에 가교를 일으켜 강도도 높아진다.
본 발명에서 에폭시 수지로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구체적인 상품명을 예시하자면, 쉘(Shell)사의 Epikote™ 828, 827, 834, 1001, 다우케미칼(Dow Chem. Co.)의 DER™ 331, 334, 336, 국도화학(주)의 YD™-128, 127, 134, 011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쉘(Shell)사의 Epikote™ 815, 국도화학(주)의 YD™ 115 등 지방족 에폭시 수지도 사용할 수 있지만 지방족 에폭시 수지는 방향족 에폭시 수지보다 아스팔트와의 상용성이 떨어진다. 분자량 1000 이상의 것을 사용하면 지방산이 반응하였을 때 너무 큰 분자가 형성되어 오히려 유동성이 나빠진다. 사용 가능한 에폭시 수지의 양은 전체 바인더 조성물 중 20-60중량%이다.
불포화 지방산으로는 탄소수 6개 이상의 지방족 꼬리를 가진 불포화 지방산을 이용할 수 있고, 좀더 구체적으로 예시하자면, 미리스톨레산(Myristoleic acid), 팔미톨레산(Palmitoleic acid), 사피엔산(Sapienic acid), 엘라이드산(Elaidic acid), 백센산(Vaccenic acid), 올레산(Oleic acid), 리놀레산(Linoleic acid), 리놀렌산(α-Linolenic acid),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 아이코사펜테노산(Eicosapentaenoic acid), 에루스산(Erucic acid), 도코사헥사노산(Docosahexanoic acid) 및 리놀레이드산(Linoelaidic acid)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불포화 지방산의 불포화성 이중결합은 공기 중의 산소와 쉽게 산화 가교한다. 반응시 에폭시 수지와 불포화 지방산 간의 몰비는 1/2-1/3인 것이 바람직하다. 에폭시에스테르 수지는 당량 500 이하의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 20~60중량%와 불포화 지방산 40-80중량%를 반응시켜 얻는다.
아스팔트 포장 강도 보강을 위해서 에폭시에스테르 수지에는 다가의 유기산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사용 가능한 다가 유기산으로는 아디프산(adipic acid), 푸마르산(fumaric scid), 말레인산(maleic acid), 말론산(malonic acid) 등이 있다. 그러나, 다가 유기산을 너무 많이 사용하면 점도가 높아져 유동성이 나빠지고, 공기산화성이 떨어지고, 아스팔트에 대한 용해력도 나빠진다. 다가 유기산 사용량은 전체 에폭시에스테르 수지 중 1-5중량%이다.
에폭시에스테르 수지 합성을 위한 촉매로는 N,N-디메칠벤질아민(BDMA), 트리에틸아민(TEA), 트리페닐포스핀(TPP), 세틸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CTMAB), 디노르말부틸아민(di-mormal butylamin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량은 전체 반응물에 대하여 0.1-0.5phr이다.
에폭시에스테르 수지 합성은 반응기에 에폭시 수지, 불포화 지방산, 유기산, 촉매를 차례대로 넣고 150-170℃로 온도를 올린 다음 이 온도에서 정온 반응시키면서 매 시간 점도와 산가를 측정하여 점도가 5-7poise에 들고 산가가 20-30에 들면 50℃ 이하까지 냉각하여 포장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본 발명의 바인더 조성물에 이용되는 공기 산화형 에폭시에스테르 수지는 유동성을 좋게 하여 양호한 초기 다짐효과를 가져오고, 다짐 이후에는 공기 중의 산소와 결합하여 분자간에 가교를 일으켜 바인더를 고분자화하여 강도 증진을 이루게 한다. 에폭시에스테르 수지의 적절한 사용량은 전체 바인더 성분 중 5-10중량%이다. 5중량% 미만에서는 사용량이 작아 첨가 효과가 미미하며, 10중량%를 초과하면 유동성이 좋아져 작업성은 우수해지지만 안정도가 감소한다.
아스팔트 보수재 혼합물의 용제로는 휘발유, 등유, 경유, 중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방향족 용제로는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케톤계 용제로는 아세톤(acetone), 메틸에틸케톤(methyl ethyl ketone), 메틸이소부틸케톤(methyl isobutyl keton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용제를 많이 쓰면 유동성은 좋아지지만 초기 안정도가 떨어진다. 용제는 주 재료인 아스팔트의 점도를 낮추어 상온에서의 작업을 원활하게 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용제 사용량 15중량% 이하에서는 너무 적은 사용으로 인하여 상온에서의 혼합물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30중량% 이상에서는 휘발성분의 잔류로 인하여 오히려 경화시간이 지연되게 된다. 용제의 적절한 사용량은 전체 바인더 성분 중 15~20중량%이다.
기타 첨가제로는 유동성 향상제, 증점제, 부착증진제, 가소제 등이 있다. 유동성 향상제로는 왁스, 식물성 기름, 프로세스유 등을 쓸 수 있다. 왁스로는 파라핀왁스, 카르나우바왁스, 폴리에틸렌왁스, 폴리아마이드왁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왁스는 보수재 조성물 제조시 골재의 피복두께를 향상시키고 골재와 바인더의 윤활작용을 도와 시공시 작업성을 향상시킨다. 식물성 기름으로는 아마인유, 해바라기유, 오동나무유, 들깨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프로세스유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구체적인 제품을 예시하면 SK의 Pro-300™, (주)출광의 AC-12™, 일동제휴(주)의 Lequios 150™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윤활제의 적절한 사용량은 총 바인더 성분 중 0.5~1중량%이다. 1중량%를 초과하여 혼합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아스팔트의 결합력을 약화시켜 강도를 떨어뜨린다. 증점제로는 에어로질(airosil) 등의 미립자 실리카나 벤토나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적절한 사용량은 전체 바인더 성분 중 0.5~1중량%이다. 가소제로는 디부틸프탈레이트(DBP), 디옥틸프탈레이트(DOP), 디크레질프탈레이트(DCP)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것들은 바인더에 유연성과 점착성을 부여해준다. 하지만 너무 많이 사용하면 강도의 저하를 일으킨다. 적절한 사용량은 전체 바인더 조성물 중 0.5~1중량%이다.
골재로는 화강암, 편마암, 모래 그리고 재생골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골재는 아스팔트 포장 재료의 강도 보강제 역할을 한다. 골재는 전체 아스팔트 보수재의 93~95중량%를 차지하도록 넣는다. 골재의 크기는 6-8mm의 것을 주로 사용하며 크게는 10mm 크기의 것까지도 사용할 수 있다. 골재의 입도 분포는 유동성과 강도에 영향을 미친다. 다짐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6-8mm의 굵은 골재에 크기 0.3-1mm의 잔 골재를 섞어 쓸 수도 있다. 굵은 골재와 잔골재의 혼합비는 5/5 - 7/3의 비율로 섞어 쓰는 것이 좋다. 유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골재를 구상의 형태로 연마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사용하는 골재는 KS F 2357 역청 혼합물용 굵은 골재 품질기준 및 KS F 2358 역청 혼합물용 잔골재 품질기준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위에서 지정한 원료들을 배합하여 아래 표와 같이 아스팔트 보수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와 비교예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실시예 1>
에폭시 수지 190g, 리놀렌산 361g, 트리에틸아민(TEA) 0.7g을 넣고 150℃에서 6시간 동안 반응시켜 산가 30, 점도 5.2poise의 에폭시에스테르 수지를 얻었다.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56g에 등유 12g, 상기 반응으로 얻은 에폭시에스테르 수지 6g을 넣고 혼합하였다. 여기에 6-8㎜ 골재 651g, 0.3-0.5㎜ 골재 279g을 넣고 혼합하였다. 혼합물에 대하여 표 2와 같이 물성시험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2>
에폭시 수지 250g, 리놀렌산 333g, N,N-디메칠벤질아민(BDMA) 0.6g을 넣고 155℃에서 5시간 동안 반응시켜 산가 19, 점도 6.2poise의 에폭시에스테르 수지를 얻었다.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56g에 등유 12g, 상기 반응에서 얻은 에폭시에스테르 수지 6g을 넣고 혼합하였다. 여기에 6-8㎜ 골재 651g, 0.3-0.5㎜ 골재 279g을 넣고 혼합하였다. 혼합물에 대하여 표 2와 같이 물성시험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3>
에폭시 수지 190g, 리놀산 308g, 아디프산 12.3g, 트리페닐포스핀(TPP) 0.7g을 넣고 160℃에서 7시간 동안 반응시켜 산가 22, 점도 6.8poise의 에폭시에스테르 수지를 얻었다.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56g에 등유 12g, 상기 반응에서 수득한 에폭시에스테르 수지 6g을 넣고 혼합하였다. 여기에 6-8mm 골재 651g, 0.3-0.5mm 골재 279g을 넣고 혼합하였다. 혼합물에 대하여 표 2와 같이 물성시험을 수행하였다.
<비교예 1>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56g에 등유 12g을 넣고 혼합하였다. 여기에 6-8mm 골재 651g, 0.3-0.5mm 골재 279g을 넣고 혼합하였다. 혼합물에 대하여 표 2와 같이 물성시험을 수행하였다.
<비교예 2>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56g에 아마인유 6g, 등유 12g을 넣고 혼합하였다. 여기에 6-8mm 골재 651g, 0.3-0.5mm 골재 279g을 넣고 혼합하였다. 혼합물에 대하여 표 2와 같이 물성시험을 수행하였다.
<비교예 3>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56g에 파라핀왁스 6g, 등유 12g을 넣고 혼합하였다. 여기에 6-8mm 골재 651g, 0.3-0.5mm 골재 279g을 넣고 혼합하였다. 혼합물에 대하여 표 2와 같이 물성시험을 수행하였다.
원료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아스팔트 52 52 52 52 52 52
등유 12 12 12 12 12 12
아마인유 6
파라핀 왁스 6
반응물 I 6
반응물 Ⅱ 6
반응물 Ⅲ 6
6-8㎜ 골재 651 651 651 651 651 651
0.3-0.5㎜ 골재 279 279 279 279 279 279
계 1000 계 1000 계 1000 계 1000 계 1000 계 1000

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성형초기
안정도
(25℃, N)

2750

2810

2890

2500

2430

2350

흐름값(1/10㎜)

32

33

38

25

30

31

공극률(%)

8

7

6

15

13

12
성형 10일후
안정도
(25℃, N)

3369

4570

3840

2710

2560

2390
(시험 방법)
안정도: KS F 2337에 의거하여 실험하였다.
흐름값: KS F 2337에 의거하여 실험하였다.
공극률: KS F 2364에 의거하여 실험하였다.
위 표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의 것이 비교예의 것보다 유동성과 강도면에서 좀더 우수하게 나타났다. 결과를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공기 산화형 상온바인더를 함유한 아스팔트 포장 보수재 조성물은 비교예보다 유동성과 강도면에서 좀더 우수한 재료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5)

  1. 아스팔트 70~80중량%, 에폭시에스테르 수지 5~10중량%, 용제 15~20중량%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포장 보수용 바인더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에스테르 수지는 당량 500 이하의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 20~60중량%와 불포화 지방산 40~80중량%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포장 보수용 바인더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 지방산은 탄소수 6개 이상의 지방족 꼬리를 가진 지방산임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포장 보수용 바인더 조성물.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 지방산은 미리스톨레산, 팔미톨레산, 사피엔산, 엘라이드산, 백센산,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아라키돈산, 아이코사펜테노산, 에루스산, 도코사헥사노산 및 리놀레이드산 중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포장 보수용 바인더 조성물.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의 아스팔트 포장 보수용 바인더 조성물과 골재를 함유하는 아스팔트 포장 보수재 조성물.
KR1020120117110A 2012-10-22 2012-10-22 아스팔트 포장 보수용 바인더 조성물과 이를 포함한 아스팔트 포장 보수재 조성물 KR101440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110A KR101440937B1 (ko) 2012-10-22 2012-10-22 아스팔트 포장 보수용 바인더 조성물과 이를 포함한 아스팔트 포장 보수재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110A KR101440937B1 (ko) 2012-10-22 2012-10-22 아스팔트 포장 보수용 바인더 조성물과 이를 포함한 아스팔트 포장 보수재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0824A true KR20140050824A (ko) 2014-04-30
KR101440937B1 KR101440937B1 (ko) 2014-09-17

Family

ID=50655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7110A KR101440937B1 (ko) 2012-10-22 2012-10-22 아스팔트 포장 보수용 바인더 조성물과 이를 포함한 아스팔트 포장 보수재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093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4409B1 (ko) * 2016-08-25 2017-03-09 주식회사 오일스톤 도로 포장 및 보수용 순환아스콘 첨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6751969A (zh) * 2016-12-17 2017-05-31 牟燕蓉 一种改性热固性环氧沥青材料的制备方法
CN108316142A (zh) * 2018-02-06 2018-07-24 李纪芳 一种钢桥桥面的铺装结构及方法
CN110590233A (zh) * 2018-06-12 2019-12-20 天津市亨益晟泰筑路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水性环氧改性乳化沥青混凝土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961B1 (ko) 2015-03-31 2016-12-02 주식회사 오에이티엠엔씨 속경반응성 개질유제 바인더를 이용한 순환골재 혼합물과 이를 이용한 포장도로 긴급 유지보수공법
KR101869204B1 (ko) * 2017-09-29 2018-06-19 주식회사 씨엠에스 도로포장 긴급보수용 아스콘 조성물
CN110372305B (zh) * 2019-08-21 2021-06-25 钟美苑 一种三组分环氧酯水泥砂浆复合自流平材料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2400B2 (ja) * 1995-01-31 2000-01-24 株式会社ガイアートクマガイ アスファルトコンクリート舗装の補修方法及び補修材
JP3679563B2 (ja) * 1996-08-26 2005-08-03 謙一 安田 エポキシ樹脂系の組成物
JP2003171557A (ja) * 2001-12-05 2003-06-20 Fiber Resin Kk 非加熱型改質アスファルトとこれを用いた透水性舗装構造体及びその施工方法
KR20110140016A (ko) * 2010-06-24 2011-12-30 (주)버드켐 수분산 에폭시 에스테르 수지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4409B1 (ko) * 2016-08-25 2017-03-09 주식회사 오일스톤 도로 포장 및 보수용 순환아스콘 첨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6751969A (zh) * 2016-12-17 2017-05-31 牟燕蓉 一种改性热固性环氧沥青材料的制备方法
CN106751969B (zh) * 2016-12-17 2019-02-12 浙江晶达建材有限公司 一种改性热固性环氧沥青材料的制备方法
CN108316142A (zh) * 2018-02-06 2018-07-24 李纪芳 一种钢桥桥面的铺装结构及方法
CN108316142B (zh) * 2018-02-06 2019-05-31 李纪芳 一种钢桥桥面的铺装结构及方法
CN110590233A (zh) * 2018-06-12 2019-12-20 天津市亨益晟泰筑路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水性环氧改性乳化沥青混凝土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0937B1 (ko) 2014-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0937B1 (ko) 아스팔트 포장 보수용 바인더 조성물과 이를 포함한 아스팔트 포장 보수재 조성물
US10392509B2 (en) High-grade asphalt composition having waterproof fun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US9238752B2 (en) Bituminous composition with thermoreversible properties
JP5325791B2 (ja) 脂環式ジアミン硬化剤を含むエポキシ樹脂
US10150870B2 (en) High-grade mastic asphalt composition and pav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JP5628891B2 (ja) 環状ジアミン及びその硬化生成物を含む硬化性組成物
EP2581418A1 (en) Asphalt modifiers for &#34;warm mix&#34; applications including adhesion promoter
KR101515069B1 (ko) 에폭시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도로 포장 방법
JP6683855B2 (ja) アスファルト組成物
Chen et al. Application of Epoxy‐Asphalt Composite in Asphalt Paving Industry: A Review with Emphasi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avement Performances
US4360608A (en) Epoxy resin-bitumen material composition
CN112105702B (zh) 可固化组合物和已固化组合物
JP5348501B2 (ja) ポリアミドアミン硬化剤、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WO2017049578A1 (en) Epoxy resin composition
US3156660A (en) Epoxy resinous compositions and their preparation
CN104603205A (zh) 具有改善的热致可逆性的包含添加剂的含沥青组合物
JP2002527555A (ja) 高枝分れオリゴマー、その調製方法およびその応用
KR20160047006A (ko) 고강도 가열형 에폭시 아스팔트 혼합물 및 시공방법
JP2011068814A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US3202621A (en) Asphalt-epoxy composition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1461046B1 (ko) 융착식 차선 도료 조성물
KR101186971B1 (ko) 노후도로 보수용 초속건성 아스팔트 우레탄 바인더 및 그 제조방법
CN115627051A (zh) 一种高性能宽温域环氧树脂结合料的制备方法
SA518400475B1 (ar) قار صلب في درجة الحرارة المحيطة
KR101651526B1 (ko) 철도 노반용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를 함유한 아스팔트 개질제 및 상기 아스팔트 개질제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