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0744A - 휴지 기간들과 함께 리슨-비포어-토크를 이용하여 스펙트럼을 공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들 - Google Patents

휴지 기간들과 함께 리슨-비포어-토크를 이용하여 스펙트럼을 공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0744A
KR20140050744A KR1020147007577A KR20147007577A KR20140050744A KR 20140050744 A KR20140050744 A KR 20140050744A KR 1020147007577 A KR1020147007577 A KR 1020147007577A KR 20147007577 A KR20147007577 A KR 20147007577A KR 20140050744 A KR20140050744 A KR 20140050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transmission
channel
period
shared spect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7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6933B1 (ko
Inventor
아메드 케이. 사덱
스티븐 제이. 쉴함머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50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0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6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6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00Frequency-division multiplex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04W16/10Dynamic resource part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the level of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리슨 비포어 토크(LBT) 및 휴지 기간들을 이용하여 스펙트럼을 공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이것은, 공유 스펙트럼 채널이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LBT를 이용하는 것을 평가하는 것, 및 채널이 사용되지 않고 있는 경우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중 적어도 하나로 공유 스펙트럼 채널을 통해 송신 프레임들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스펙트럼 채널 이용 송신 누적 시간은 누적 시간이 최대 할당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 이루어진 미리결정된 조건들 및 결정에 기초하여 카운팅된다. 최대 시간이 초과되지 않았고 스펙트럼이 이용하는 하게 남아있는 경우 네트워크에 의한 프레임들의 송신이 계속 허용된다. 이후, 일단 최대 시간 기간이 초과되면 휴지 기간이 실시된다.

Description

휴지 기간들과 함께 리슨-비포어-토크를 이용하여 스펙트럼을 공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들{APPARATUS AND METHODS FOR SPECTRUM SHARING USING LISTEN-BEFORE-TALK WITH QUIET PERIODS}
본 특허 출원은 2009년 12월 2일에 출원되고, 명칭이 "APPARATUS AND METHOD FOR SPECTRUM SHARING USING LISTEN-BEFORE-TALK(LBT) WITH QUIET PERIODS"이며, 본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되고 본원에 참조로서 명시적으로 통합되는 가출원 제 61/266,146 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한다.
본 개시물은 일반적으로 리슨-비포어-토크(LBT) 및 휴지 기간들을 이용하여 스펙트럼 공유를 위한 장치 및 방법들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송신 시간의 계산과 함께 LBT 및 휴지 기간들을 이용한 이종 시스템들 간의 스펙트럼 공유에 관한 것이다.
무선 디바이스들 및 애플리케이션들의 확산은 미래 지향적으로 잘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대역폭에 대한 거대한 요구를 발생시켰다. 불행하게도, 대역폭은 매우 부족하고 따라서 이 리소스의 효율적인 사용이 중요하다. 연방 통신 위원회의 (FCC의) 확립된 주파수 할당은, 대부분의 주파수 대역들이 이미 특정 서비스들을 위한 상이한 허가받은 (1차) 사용자들에게 할당되어 매우 복잡하고 작게 세분된 스펙트럼을 보여준다. 그러나, FCC에 의해 그리고 산업에서 수행된 연구들은 임의의 주어진 시간 및 장소에서 평균하여, 스펙트럼의 단지 약 15%만이 사용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용어 "인지 무선"에 의해 포함될 수 있는 것들과 같이 상이한 사용자들 사이에서 스펙트럼을 공유하기 위한 여러 가지 기술들이 개발되어, 2차 (허가받지 않은) 무선 디바이스들로 하여금, 주파수 대역들의 1차 (허가받은) 사용자들과 인터페이싱하지 않고 통신할 수 있게 함으로써 스펙트럼 부족 문제를 극복하려고 시도한다. 인지 무선 통신은 스펙트럼 액세스, 공존 및 공유에 있어서 다수의 과제들에 직면한다. 하나의 2차 사용자 환경들에서, 스펙트럼 액세스 문제는 1차 사용자 감지의 스펙트럼 액세스 문제로 축소된다. 1차 사용자들에서의 용인가능한 간섭 및 감지 메트릭에 기초하여, 2차 사용자는 (1차 사용자가 검출되지 않을 경우) 전송할 것 또는 (1차 사용자가 검출되는 경우) 아이들 상태로 진행할 것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한다.
그러나, 동일한 시스템 내 다수의 2차 사용자들에 의해, 스펙트럼의 효율적인 공유를 보장하기 위해서 보다 복잡한 공존 프로토콜들이 요구된다. 동일한 무선 네트워크 내에서, 2차 사용자들 간의 공유는 기지국(BS)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종래의 다수의 액세스 문제로 축소된다. 따라서, 이종의 2차 사용자들 사이의 스펙트럼 공유를 위해 제안되었던 많은 액세스 프로토콜들은 반송파 감지 다중 액세스(CSMA) 및 ALOHA와 같은 종래의 매체 접속 제어(MAC) 프로토콜들로부터 유도된다.
스펙트럼을 공유하는 다중의, 비-상호운용적 네트워크들이 존재할 경우, 이것은 이종 무선 네트워크들 간의 스펙트럼 공유로서 지칭된다. 주요 시스템 파라미터들(예를 들어, 무선 커버리지, 전송 전력, 데이터 속도들, 채널화 또는 매체 접근 프로토콜)을 달리하는 이종 네트워크들의 경우, 스펙트럼 공유는 특히 복잡해진다. 이러한 다양한 환경들에서의 기회주의적인 통신에 대한 주요한 과제는, 2차 사용자들 사이의 간섭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각각의 시스템이 LBT와 같은 몇몇 공정성 조건들 하에서 달성될 수 있는 성능을 최대화하여 상충하는 목적들 사이에서 균형을 이루게 하는 것에 있다.
그러나, OFDMA 시스템들과 같은 2개의 이종 프레임-기반 시스템들을 공존시키기 위해서는, LBT가 충분하지 않다. 이것은, 2차 시스템이 이미 풀(full) 버퍼로 전송하고 있는 경우, 예를 들어, 매체가 항상 비지 상태(busy)인 것으로 감지되기 때문에, 임의의 다른 2차 사용자는 차단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프레임-기반 시스템들에 있어서, 다른 시스템들에 대해 기회를 주기 위해 휴지 기간(QP)이 스케줄링되어 매체를 획득한다. 일 공지된 예로서, 확장 휴지 기간(EQP) 프로토콜들과 함께 LBT의 사용은, IEEE 802.16h을 다른 2차 사용자들과 함께 공존시키기 위한 IEEE 802.16h 초안(즉, "라이센스-면제 동작을 위한 개선된 공존 메커니즘들," IEEE P802.16h/D2c, 2007년 7월)에서 제안되었다. 확장 휴지 기간 (EQP) 프로토콜에서, 시스템은 활성 기간과 사일런스 기간 사이에서 결정론적으로 번갈아 오가면서 그 시스템에 대해 정의된 특정 듀티-사이클을 만족시킨다. 예를 들어, 그 시스템이 50%의 듀티-사이클을 갖는다면, 시스템은 일 프레임 온 그리고 일 프레임 오프로 하나 걸러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LBT 또한, 예를 들어, 확장 휴지 기간의 독립 프로토콜로서 제안되었고, 기지국(BS) 및 이동국(MS) 둘 모두가 이것을 적용하도록 제안된다. IEEE 802.16h 초안의 이후 버전(즉, 라이센스-면제 동작을 위한 개선된 공존 메커니즘들, IEEE P802.16h/D3c, 2007년 10월)에서, IEEE 802.11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들과 특별히 공존하기 위해서 LBT 프로토콜이 변경되었다. 특히, LBT는 BS에서만 수행되는 것으로 제안되었고 BS에는 IEEE 802.11 CTS/RTS 신호들을 전송하고 수신하는 능력들을 갖는 IEEE 802.11 송수신기가 장착된다. 이것 때문에, 이후의 초안은 LBT 및 확장 휴지 기간의 사용이 선택적이라는 것을 언급한다. 상술된 802.16h의 초안들 둘 모두에서, LBT 및 확장 휴지 기간 둘 모두가 동시에 사용되는 경우 그리고 활성 지속기간 동안의 프레임이 LBT 프로토콜 때문에 전송되지 않는 경우, 이 아이들 프레임이 확장 휴지 기간 듀티-사이클을 만족시키는데 이바지할 것이며, 이는 스펙트럼의 비효율적인 사용으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LBT 및 휴지 기간 알고리즘들이 어떻게 결합되어야 하는지 또는 듀티 사이클 타겟이 어떻게 만족되어야 하는지를 명시하지 않는다. 따라서, LBT 및 확장 휴지 기간을 이용하여 프레임 기반 네트워크들 간에 개선된 스펙트럼 공유의 효율화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일 양상에 따르면, 공유 스펙트럼 채널을 공유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이 방법은 네트워크 내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에서 공유 스펙트럼 채널이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단계 및 채널이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는 경우 공유 스펙트럼 채널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내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송신 프레임들을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이 방법은 스펙트럼 채널의 사용 송신 누적 시간을 미리결정된 조건들에 기초하여 카운팅하는 단계, 및 누적 시간이 미리결정된 최대 시간 기간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최대 시간 기간이 초과되지 않은 경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송신 프레임들의 송신이 계속된다. 최종적으로, 이 방법은 최대 시간 기간이 초과되는 경우 휴지 기간(quiet period)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 따르면, 스펙트럼 채널을 공유하기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이 장치는 네트워크 내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에서 공유 스펙트럼 채널이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이 장치는 채널이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는 경우 공유 스펙트럼 채널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내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송신 프레임들을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이 장치는 스펙트럼 채널의 사용 송신 누적 시간을 미리결정된 조건들에 기초하여 카운팅하기 위한 수단, 및 누적 시간이 미리결정된 최대 시간 기간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최대 시간 기간이 초과되지 않은 경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송신 프레임들의 송신이 계속된다. 이외에도, 이 장치는 최대 시간 기간이 초과되는 경우 휴지 기간을 실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공유 스펙트럼 채널을 공유하기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이 장치는 네트워크 내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에서 공유 스펙트럼 채널이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도록 동작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또한, 채널이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는 경우 공유 스펙트럼 채널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내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송신 프레임들을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도록 동작가능하다. 계속해서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스펙트럼 채널의 사용 송신 누적 시간을 미리결정된 조건들에 기초하여 카운팅하고, 그리고 누적 시간이 미리결정된 최대 시간 기간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최대 시간 기간이 초과되지 않은 경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송신 프레임들의 송신이 계속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최대 시간 기간이 초과되는 경우 휴지 기간을 실시하도록 동작가능하다.
계속해서 하나 더 양상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이 개시된다. 이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네트워크 내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에서 공유 스펙트럼 채널이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게 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채널이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는 경우 공유 스펙트럼 채널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내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송신 프레임들을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게 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스펙트럼 채널의 사용 송신 누적 시간을 미리결정된 조건들에 기초하여 카운팅하게 하는 코드를 포함한다. 이 매체는 또한, 컴퓨터로 하여금 누적 시간이 미리결정된 최대 시간 기간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하게 하는 코드―최대 시간 기간이 초과되지 않은 경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송신 프레임들의 송신이 계속됨―, 및 컴퓨터로 하여금 최대 시간 기간이 초과되는 경우 휴지 기간을 실시하게 하는 코드를 포함한다.
도 1은 특정 스펙트럼을 공유하는 2 또는 그 초과의 시스템들을 갖는 환경을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예시된 것 같은 공유 스펙트럼 환경에서 스펙트럼을 공유하기 위해 동작가능한 예시적인 시스템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 예시된 환경과 같은 공유 스펙트럼 환경에서 발생하는 프레임-기반 송신들을 보여주는 예시적인 시간 라인들을 도시한다.
도 4는 고정형 또는 적응형 듀티 사이클 중 어느 하나로 실시될 수 있는 LBT 및 확장 휴지 기간들을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에서 스펙트럼 공유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는 고정형 휴지 기간 듀티 사이클을 이용한 스펙트럼 공유를 위한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고정형 휴지 기간 듀티 사이클을 이용한 스펙트럼 공유를 위한 다른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적응형 듀티 사이클을 이용한 스펙트럼 공유를 위한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공유 스펙트럼 환경에서 스펙트럼 공유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다른 장치를 도시한다.
본 출원은 스펙트럼 또는 채널 상의 송신 시간 계산과 함께 LBT 및 휴지 기간들(예를 들어, 확장 휴지 기간 (EQP))을 이용하여 이종 시스템들 간에 스펙트럼 공유를 제공하는 방법들 및 장치를 개시한다. 특히, 이용가능한 경우 스펙트럼의 사용을 시스템에 대하여 최대로 할당된 송신 시간까지 허용하는 스펙트럼 채널의 사용 송신 누적 시간을 카운팅하기 위해 예를 들어 카운터를 이용함으로써 송신 시간이 계산된다. 다양한 개시된 양상들에 따르면, EQP의 사용을 위한 고정형 듀티 사이클 또는 적응형 듀티 사이클 중 어느 하나가 LBT와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단어 "예시적인"은 "예, 예시 또는 예증으로서 역할을 하는"으로 여기서 사용된다. 여기에 "예시적인"으로 설명된 임의의 실시형태는 반드시 다른 실시형태들보다 바람직하거나 유익한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여기서 설명되는 기술들은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네트워크들, 시간 분할 다중 접속(TDMA) 네트워크들,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DMA) 네트워크들, 직교 FDMA(OFDMA) 네트워크들, 단일-캐리어 FDMA(SC-FDMA) 네트워크들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 사용될 수 있다. 용어 "네크워크들" 및 "시스템들"은 종종 서로 교환하여 사용된다. CDMA 네트워크는 유니버셜 지상 무선 접속(UTRA), CDMA2000 등과 같은 무선 기술들을 구현할 수 있다. UTRA는 광대역-CDMA(W-CDMA) 및 저속 칩 레이트(LCR)를 포함한다. cdma2000은 IS-2000, IS-95, 및 IS-856 표준들을 포함한다. TDMA 네트워크는 이동 통신용 범용 시스템(GSM)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OFDMA 네트워크는 이벌브드 UTRA(E-UTRA), IEEE 802.11, IEEE 802.16(WiMax), IEEE 802.20, 플래쉬 OFDM®,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 E-UTRA, 및 GSM은 유니버셜 이동 통신 시스템(UMTS)의 일부이다. 롱 텀 이벌루션(LTE)은 E-UTRA를 사용하는 UMTS의 향후 출시물이다. UTRA, E-UTRA, GSM, UMTS 및 LTE는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라는 명칭의 기구로부터의 문헌들에서 설명된다. cdma2000은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2(3GPP2)"라는 명칭의 기구로부터의 문헌들에서 설명된다. 이러한 여러 가지 무선 기술들 및 표준들은 본 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단일의 캐리어 변조 및 주파수 영역 등화를 이용하는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SC-FDMA)은 송신 기술이다. SC-FDMA는 OFDMA 시스템의 성능과 유사한 성능 및 본질적으로 동일한 전체적인 복잡성을 갖는다. SC-FDMA 신호는 자신의 고유의 단일 캐리어 구조 때문에 낮은 최대 전력 대 평균 전력의 비(peak-to-average power ratio; PAPR)를 갖는다. SC-FDMA는, 낮은 PAPR이 전송 전력 효율 측면에서 모바일 단말기에 크게 유리하다는 점에서, 특히 업링크 통신에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것은, 3GPP 롱 텀 이벌루션(LTE), 또는 이벌브드 UTRA에서 업링크 다중 접속 방식에 대한 현재 운용 가정이다.
개시된 양상들을 설명하기 위한 여기에 사용된 전문 용어는 IEEE 802.16(WiMax)과 일치하지만, 이 전문 용어는 단지 예시이고 본 방법들 및 장치는 상술된 것들과 같은 다수의 다양한 무선 기술들 중 임의의 기술에 적용가능하다는 것을 주목한다. 예를 들어, 용어 기지국(BS)은 NodeB, 액세스 포인트(AP), 송수신 기지국(BTS) 등과 같은 유사한 디바이스들에 대한 다른 전문 용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용어 고객 구내 장비(CPE) 또는 가입자국(SS)은 사용자 장비(UE), 이동국(MS), 액세스 단말기(AT), 이동 디바이스, 핸드셋 등과 같은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특정 스펙트럼을 공유하는 2 또는 그 초과의 시스템들을 갖는 환경(100)의 예를 도시한다. 기지국(BS)(102)은 패킷 기반 시스템과 같은 제 1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를 위한 커버리지(104)를 초래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유사하게, 제 2 시스템(예를 들어, 다른 패킷 기반 시스템)이 초래되고 여기서 기지국(BS)(106)은 커버리지 영역(108)을 갖는다. 예시의 목적으로, 도 1은 BS(102)와 BS(106)에 의해 구현된 적어도 2개의 시스템들 간에 스펙트럼이 공유되는 공통 환경(110)을 도시한다. 도시된 기하학적 구조들 및 영역들은 단지 예시이고 환경(110)은, 적어도 1차 시스템과 하나의 2차 시스템 간에 스펙트럼이 공유될 수 있는 임의의 환경을 함축한다는 것을 주목한다.
또한, 도 1은 이종 네트워크들의 경우의 예시이고 여기서 BS(102)는 BS(106)에 의해 초래된 제 2 네트워크의 시스템 파라미터들과는 다른 제 1 네트워크를 초래한다. 추가적으로, 예시된 제 1 네트워크와 제 2 네트워크는 각각 1차 및 2차 네트워크인 것, 또는 둘 모두 2차 네트워크들인 것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각각의 시스템은 BS(102)와 통신하는 제 1 가입자국(SS)(112) 및 BS(106)와 통신하는 제 2 SS(114)에 의해 예시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SS로 통신하기 위해 동작가능하다. 각각의 SS(112, 114)는 다운링크(DL) 채널(들)(116 및 118)과 업링크(UL)(120 및 122) 둘 모두에서 각각 BS(102, 106)와 통신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공유 스펙트럼 환경에서 동작가능한 예시적인 시스템(200)을 도시한다. 일 양상에서, 시스템(200)은 데이터 소스(미도시)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전송(TX) 데이터 프로세서(204)를 갖는 기지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202)를 포함한다. 일례로, TX 데이터 프로세서(204)는 코딩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그 데이터 스트림에 대하여 선택된 특정 코딩 방식에 기초하여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포맷, 코딩, 및 인터리빙한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코딩된 데이터는 OFDM 기술들을 이용하여 파일럿 데이터와 멀티플렉싱될 수 있다. 파일럿 데이터는 통상적으로, 공지된 방식으로 프로세싱되고 채널 응답을 추정하기 위해 수신기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는 공지된 데이터 패턴이다. 이후,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멀티플렉싱된 파일럿 및 코딩된 데이터는, 변조 심볼들을 제공하기 위해 그 데이터 스트림에 대하여 선택된 특정 변조 방식(예를 들어, BPSK, QSPK, M-PSK 또는 M-QAM)에 기초하여 변조기(206)에서 변조(즉, 심볼 맵핑)된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데이터 레이트, 코딩 및 변조는, 2가지 예시들로서, 프로세서(216), 또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또는 범용 프로세서와 같은 유사한 디바이스에 의해 실시된 명령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후, 모든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변조 심볼들이 (예를 들어, OFDM에 대한) 변조 심볼들을 추가로 프로세싱할 수 있는 송신기/수신기(208)로 제공될 수 있다. 송신기/수신기(208)는 이후, 안테나(210)를 통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CPE들 또는 액세스 단말기들(222)로 안테나들(210 및 224)을 경유하여 무선으로 변조 심볼 스트림들을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송신기/수신기(208)는 다양한 CPE들(예를 들어, 222)로부터 안테나(210)를 통해 신호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들을 프로세싱한다. 송신기/수신기(208)는 다양한 CPE들로부터 UL을 통해 신호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심볼 스트림을 프로세싱하여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제공한다. 송신기/수신기(208)는 각각의 수신된 신호를 컨디셔닝(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및 하향변환)하고 컨디셔닝된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샘플들을 제공하고, 추가적으로 프로세싱(예를 들어, 채널 추정, 복조, 디인터리빙 등)하고 샘플들을 디코딩하여 예를 들어, 복조기(212)를 통해 대응하는 "수신된" 심볼 스트림을 제공한다. 이후, RX 데이터 프로세서(214)는 특정 수신기 프로세싱 기술에 기초하여 수신된 심볼 스트림을 수신하고 프로세싱하여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복원한다.
프로세서(216)는 또한, 메모리(218),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 또는 프로세서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유사한 매체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카운터(220) 또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카운트 값들을 증분시키고 저장하기 위해 본 기술에 공지된 임의의 비슷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카운트는, 여러 가지 중에서도, 단말기들이 동작하는 특정 시스템에서 기지국(202)으로부터의 DL 송신이든지 또는 CPE들로부터의 UL 송신이든지 단말기들의 송신 시간의 누적식 카운트를 계속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별개의 유닛(220)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렇게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카운트 기능들은 메모리(218), 프로세서(216)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디바이스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한다.
CPE(222)의 송신기/수신기(226)는 기지국(예를 들어, 202)으로부터 DL 송신 신호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심볼 스트림들 또는 프레임들을 프로세싱하여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제공하고, 아날로그 신호들을 추가로 컨디셔닝(예를 들어, 증폭, 필터링, 상향변환 등)하여 UL을 통해 송신하기에 적합한 변조된 신호를 기지국(202)으로 제공한다. 각각의 CPE 수신기(226)는 각각의 수신된 신호를 컨디셔닝(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및 하향변환)하고, 컨디셔닝된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샘플들을 제공하고, 추가로 프로세싱(예를 들어, 채널 추정, 복조, 디인터리빙 등)하고 샘플들을 디코딩하여 예를 들어, 복조기(228)를 통해 대응하는 "수신된" 심볼 스트림을 제공한다. 이후, RX 데이터 프로세서(230)는 특정 수신기 프로세싱 기술에 기초하여 수신된 심볼 스트림들을 수신하고 프로세싱하여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복원한다. 이후,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디코딩된 데이터는 2가지 예시들로서, 프로세서(232), 또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또는 범용 프로세서와 같은 유사한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232)는 또한, 메모리(240),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 또는 프로세서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유사한 매체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카운터(242) 또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카운트 값들을 증분시키고 저장하기 위해 본 기술에 공지된 임의의 비슷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카운트는 기지국(예를 들어, 202)의 카운터(220)의 카운트와 동일하고, 단말기들이 동작하는 특정 시스템에서 기지국(202)으로부터의 DL 송신이든지 또는 CPE들로부터의 UL 송신이든지, 단말기들의 송신 시간의 누적식 카운트를 계속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별개의 유닛(242)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렇게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카운트 기능들은 메모리(218), 프로세서(216)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디바이스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한다.
CPE(222)는 또한 UL을 통해 전송될 인코딩되고 변조된 심볼들 또는 프레임들을 준비하기 위한 TX 데이터 프로세서(236) 및 변조기(238)를 포함한다. 인코딩되고 변조된 심볼들은 안테나(224)를 통해 기지국(202)과 같은 기지국으로의 송신을 위해 송신기/수신기(226)로 입력된다. 기지국(202)에서, 송신기/수신기 시스템(226)으로부터의 변조된 신호들이 안테나(210)에 의해 수신되고, 송신기/수신기들(208)에 의해 컨디셔닝되고, 복조기(212)에 의해 복조되고, RX 데이터 프로세서(214)에 의해 프로세싱되어 CPE(222)에 의해 송신된 DL 메시지를 추출한다. 이후, 프로세서(216)는 기지국에서의 추가적인 사용을 위해, 추출된 메시지를 프로세싱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 예시된 환경과 같은 공유 스펙트럼 환경에서 발생하는 프레임-기반 송신들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시간 라인들을 예시한다. 업링크(UL) 및 다운링크(DL)의 명명법은 각각, CPE 또는 SS(예를 들어, 222)로부터 기지국(예를 들어, 202)으로의 그리고 기지국으로부터 CPE 또는 SS로의 송신들을 의미한다. 추가적으로, 시간 라인들은 시분할 듀플렉스(TDD) 시스템들에 대한 예를 예시하며, UL 및 DL 송신들이 시간에 있어서 분리되어 반 이중 무선 환경에서 전 이중 송신을 에뮬레이트한다. 그러나, 본 기술의 당업자는, 일례로서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시스템들과 같은 TDD 이외의 시스템들에 대하여 현재 개시된 방법들 및 장치의 더 폭넓은 적용가능성을 인식할 것이라는 것을 주목한다.
도 3a에서, 시간 라인(302)은 일례로서 적어도 2개의 이종 프레임-기반 시스템들을 갖는 환경의 특정 무선 기술에 대한 활동을 도시한다. 감지 간격(304)은, DL로부터 UL 송신들(예를 들어, 각각 306 및 308)과 같이 일 송신으로부터 다른 송신으로의 각각의 천이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감지 간격은, 디바이스들로 하여금, LBT와 같은 송신을 개시하기 이전에 다른 디바이스들이 그 스펙트럼 내에서 전송하고 있는지를 결정하게 한다.
일 예시된 감지 간격(310)에서, CPE가 스펙트럼 전송의 다른 사용자들을 감지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이 경우에, 그 디바이스로부터의 UL 송신은 예시된 것과 같이, UL 프레임 시간과 동일할 수 있는 시간 간격(312) 만큼 정지된다. 기지국이 다른 감지 간격(314)에서 다른 스펙트럼 사용자를 감지한 경우, 기지국은 휴지 기간(316)으로 예시된 DL 및 UL 프레임의 시간과 동일한 시간 기간 동안 송신을 중단할 것이다. 기간(316)과 같은 휴지 기간 및 감지 간격 이후, 감지 기간에 활동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기지국은 DL 프레임(318) 등등을 전송할 것이다.
도 3b는, 특정 기술에 속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기지국들 및 CPE들에 의한 송신들이 송신을 위한 미리결정된 최대 시간 기간뿐만 아니라 확장 휴지 기간(EQP)까지 공유 스펙트럼을 사용하는 개시된 방법들 및 장치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시간 라인(320)을 예시한다. 예를 들어, 시간 라인(320)은, 감지 간격들(304) 동안 다른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는 한 계속되는 UL 및 DL 송신들(322, 324 및 326)의 연속을 도시한다. 스펙트럼 사용 시간(Ton)이 미리결정된 최대치(Tmax)와 동일한 후, 특정 무선 기술에 따라 동작하는 무선 디바이스들은, 공유 스펙트럼을 다시 한번 사용하기 위해 시도하기 전에 적어도 확장 휴지 기간(EQP)에 대한 송신을 중단할 것이다.
도 3b에 도시된 EQP(328)와 같은 EQP는 특정한, 고정형 듀티 사이클에 따라서 개시될 수 있다. 특히, 특정 무선 시스템은 활성 기간과 사일런스 기간 사이에서 결정론적으로 번갈아 오가면서 그 시스템에 대해 정의된 특정 듀티-사이클을 만족시킨다. 예를 들어, 그 시스템이 50%의 듀티-사이클을 갖는다면, 시스템은 일 프레임 온 그리고 일 프레임 오프로 하나 걸러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카운터(예를 들어, 220)는 각각의 CPE(예를 들어, 242)뿐만 아니라 각각의 기지국과 연관된다. 여러 가지 중에서도, 시스템에서 기지국이든지 또는 CPE이든지 단말기들의 송신 시간의 누적식 카운트를 계속하기 위해 카운터가 사용된다. 따라서, UL이든지 또는 DL이든지 단말기가 전송하는 경우, 카운터는 송신 시간과 동일한 양만큼 증분시키도록 구성된다. 다음의 논의는, IEEE 802.16h 초안과 같은 표준을 따를 수 있는 LBT 및 EQP들을 이용하여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여려가지 방법들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 설명은 802.16h와의 일치로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으며, 당업자는 공유 스펙트럼 환경에서 동작하는 다른 프레임 기반 시스템들에 대해 더욱 광범위한 적용가능성이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이종 네트워크들이 상호 정보교환이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스펙트럼의 공유는 네트워크들 사이에 메시지들을 교환하는 것에 의존하지 않는 접근법들을 요구한다는 것을 주목한다. 이런 이유로, 개시된 방법론들은 휴지 기간(예를 들어, 확장 휴지 기간(EQP))과 함께 리슨-비포어-토크(LBT)를 사용하는 룰-기반 기술들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스펙트럼을 공유하는 다수의, 상호 정보교환이 가능하지 않은 네트워크들에 의한 환경에서 EQP에 대해 고정형 듀티 사이클 또는 적응형 듀티 사이클 중 어느 하나로 실시될 수 있는 LBT 및 EQP를 이용하여 무선 네트워크에서 스펙트럼 공유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4의 방법(400)을 비롯하여, 예시된 방법들은 카운터들(220 또는 242)과 같이 송신 시간 카운트를 계속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기지국(202) 및 CPE(222)와 같은 디바이스들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방법(400)은 블록 402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공유 스펙트럼 채널 또는 매체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를 먼저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평가는 네트워크 내의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내에 LBT를 포함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고, 도 3a 또는 도 3b에서 간격(304)과 같은 감지 간격 동안 발생할 수 있다. 블록 402 이후, 블록 40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 또는 매체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는 경우, 이후, 이 시스템은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중 적어도 하나로 공유 스펙트럼 채널을 이용하여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송신 프레임들을 전송할 것이다.
방법(400)은 또한, 시스템에 의해 스펙트럼 채널의 사용 송신 누적 시간의 카운트가 계속되는 블록 406에 예시된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여기서, 다음의 논의된 방법들에서 알게 될 바와 같이, EQP에 대해 고정형 듀티 사이클이 바람직하든지, 또는 대안으로, 적응형 EQP 듀티 사이클이 바람직하든지, Ton으로도 또한 지정되는 경과된 또는 누적된 송신 시간의 카운트가 유지된다는 것을 주목한다.
마지막으로, 방법(400)은 누적된 시간이 미리결정된 최대 시간 기간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블록 408의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송신 프레임들의 송신은, 최대 시간 기간이 초과되지 않은 경우 계속되고 최대 시간 기간이 초과되는 경우 송신이 중단되게 허용될 수 있다.
방법(400)은 TDD뿐만 아니라 FDD를 이용한 것들과 같이 다양한 상이한 시스템들에 적용가능하다는 것을 주목한다. FDD 시스템들에 적용되는 경우, 방법(400)의 블록들의 특징을 이루는 다양한 프로세스들은 DL 또는 UL 중 하나에 대하여 따로따로 구현된다. 또한, 현재 개시된 방법들 및 장치는 기지국이 DL에서 다수의 채널들을 이용하는 시스템에 적용가능하다는 것을 주목한다. 이러한 경우에서, 예를 들어, 방법론(400)이 DL에서 다수의 채널들 각각에 적용될 수 있다.
방법(400)은 다수의 실시형태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한다. 현재 개시된 방법론의 양상에 따르면, 2가지의 광범위한 실시형태들은 EQP에 대해 고정형 듀티 사이클을 사용하는 것 그리고 적응형 EQP 듀티 사이클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방법들의 적어도 일부는 IEEE 802.16h 초안을 따를 수 있지만, 본 개시물은 802.16h와의 일치로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자는 공유 스펙트럼 환경에서 동작하는 다른 프레임 기반 시스템들에 대한 더욱 광범위한 적용가능성이 있음을 인식할 것이라는 것을 다시 주목한다. IEEE 802.16h 초안에서 일반적인 언급들에 일치시키는 2가지 가능한 기술들은 EQP들에 대해 고정형 듀티 사이클을 유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도 5 및 도 6의 방법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들 둘 모두에서, 송신의 경과된 활성 시간(예를 들어, Ton), EQP, 및 듀티-사이클을 기록하기 위해 기지국에서 카운터가 사용된다.
도 5는 고정형 휴지 기간 듀티 사이클을 이용하는 스펙트럼 공유를 위한 일 예시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의 방법(500)에서, 매체가 비지 상태인 것으로 감지되기 때문에 시스템이 전송하지 않을 때마다, 카운터는 영향을 받지 않지만, 다음 EQP가 감소되고 듀티 사이클의 값을 유지하기 위해 다음 송신 시간이 증가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500)은 카운터 Ton을 0으로 초기화하고 임시 값(Temp)을 미리결정된 Tmax와 같게 설정함으로써 시작하며, Tmax는 시스템에 대한 최대 송신 시간을 나타낸다. 또한, 값 Tmaxnew가 Temp 값으로 된다. 이후, 흐름은, 기지국이, 예를 들어, 공유된 매체 또는 채널 상의 트래픽을 감지하기 위해서 DL 프레임을 전송하기 전에 미리결정된 감지 기간을 대기하는 블록 504로 진행한다. 채널이 클리어가 아닌 경우, 결정 블록 506에서 결정된 바와 같이, 흐름이 블록 508로 진행한다. 508에서, 시간 Ton은 현재 Ton 값 더하기 DL 및 UL 송신들의 시간(TDL 및 TUL)과 같게 설정된다. 추가적으로, (EQP로 표기된) 휴지 기간 시간을 추적하기 위한 다른 카운터 또는 스토리지가 DL 및 UL 전송들의 시간(TDL 및 TUL)보다 작게 사전에 결정된 EQP 값으로 설정된다. 추가적으로, Temp 값은 이전의 Temp 값 더하기 DL 및 UL 전송들의 시간(TDL 및 TUL)으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블록 508의 프로세스는, EQP에 대해 미리결정된 듀티 사이클이 고정 값에서 유지되게 보장한다. 블록 508의 프로세스들 이후에, 흐름은, 이후에 설명되는 블록 522로 진행한다.
대안으로 블록 506에서, 채널이 클리어인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흐름은 기지국에 의한 DL 프레임의 송신을 위해 블록 510으로 진행한다. 블록 506의 프로세스들이, 부분적으로, LBT 프로세스를 구성함으로써, 네트워크 내 디바이스(들)가 송신 전에 채널의 사용을 결정한다는 것을 주목한다. 일 양상에서, 블록 506의 LBT 결정은 네트워크 내 기지국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블록 506의 프로세스들은 CCA(Clear Channel Assessment) 기능성을 포함하여 채널의 사용 및 다른 네트워크들과의 잠재적인 충돌을 결정할 수 있다 (주석: 다음에 설명되는 방법들의 유사한 프로세스들은 또한 CCA 기능성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 510에서, DL 프레임이 전송되고 DL 송신 기간을 이전 값에 가산함으로써 카운터 Ton이 업데이트된다. 일 양상에서, 방법(500)은 또한, DL 송신이, 일례로서 CPE와 같은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지금까지 수신되었는지 여부에 관하여 결정 또는 확인 응답이 이루어지는 결정 블록 512를 포함할 수 있다. DL이 완료되는 경우, 이후, 흐름은 블록 514로 진행한다.
블록 514에서, 이후, 시스템은 UL 프레임 송신에 대한 다른 감지 시간을 대기하고, 그것에 따라 클리어 채널이 검출되었는지 여부가 결정 블록 516에서 결정되므로, UL 프레임 송신 이전에 다른 LBT 프로세스를 초래한다. 일 양상에서, 블록 516의 LBT 동작은 네트워크 내 CPE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채널이 클리어가 아닌 경우, 흐름은, Ton의 값이 이전 값 더하기 UL 송신 시간(TUL)으로 설정되는 블록 518로 진행한다. 추가적으로, EQP의 시간이 UL 전송 시간(TUL)의 시간 보다 작은 이전 값으로 변경되고, Temp 값이 UL 송신 시간(TUL)의 가산에 의해 증분된다.
대안으로, 블록 516에서 채널이 클리어인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블록 520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UL 프레임이 네트워크 디바이스(예를 들어, CPE)로부터 전송되고, UL 전송 시간(TUL) 만큼 카운트 Ton이 증분된다. 이후, 흐름은, Ton의 현재 값이 Tmax의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블록 522로 진행한다. 아니라면, 즉, 시스템에 의한 전송을 위해 총 할당된 시간이 소요되지 않았다고 표시되면, 흐름은 블록 504로 다시 진행한다. 대안으로, Ton의 값이 Tmax보다 더 크다면, 흐름은 현재 EQP 시간이 구현되는 블록 524로 진행한다. 추가적으로, Ton의 값이 0으로 재설정되고, EQP를 미리결정된 디폴트 값으로 재설정하고, Tmaxnew 값을 Temp 값으로 설정하고 이후 Temp 값을 Tmax 값과 같게 재설정한다. 그 뒤에, 흐름은 블록 504로 다시 진행하여 EQP의 실시 이후 방법(500)의 프로세스들을 반복한다.
방법(500)에서 인식될 수 있는 바와 같이, UL 및 DL 송신이, 506에서 클리어 채널이 결정되지 않는 경우와 같이 특정 사이클에서 발생하지 않는 경우, 그렇더라도, Ton 카운터가 증분되고 EQP 기간이 감소되어 Ton 및 EQP 기간들의 듀티 사이클이 고정된 값으로 유지되게 보장한다. 비슷하게, 부분 송신이 발생할 경우 (예를 들어, 블록 516에서 클리어 채널이 아니고 따라서 UL 송신을 하지 않음), 그렇더라도, Ton 및 EQP 기간들은 각각 다시 UL 송신만큼 증분 및 감소되어 듀티 사이클이 계속 고정량이도록 보장한다. 즉, 매체가 비지 상태인 것으로 감지되기 때문에 시스템이 전송하지 않을 때마다, 카운터는 영향을 받지 않지만 다음 휴지 기간이 감소되고 다음 송신 시간이 증가되어 듀티 사이클의 값을 유지시킨다.
도 6은 고정형 휴지 기간 듀티 사이클을 이용하여 스펙트럼을 공유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방법(600)의 흐름도이다. 이 방법에서, 초기화는 블록 60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Ton 카운터를 0과 같게 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후, 흐름은 프로세스 블록 604로 진행하여 DL 프레임 송신 이전에 감지 시간을 대기한다. LBT를 이용하여 블록 606에서 채널 또는 매체가 클리어가 아닌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흐름은 블록 608로 진행한다. 여기서, 기지국에서의 카운터 값 Ton은 그의 현재 값 Ton으로 설정, 환언하면 정지 또는 중단되는 한편, EQP의 시간은 시스템이 아이들 상태인 시간만큼 감소된다 (즉, DL 및 UL 송신들의 송신 시간(TDL, TUL))만큼 감소된다). 이것은, 시스템이 아이들 상태인지 여부와 관계없이 듀티 사이클이 일정하게 유지되게 보장한다. 블록 608 이후, 흐름이 블록 604로 다시 진행하여 프로세스를 반복한다.
채널이 클리어인 경우, 결정 블록 606에서 LBT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이, 흐름은 대안적으로, DL 프레임의 송신 및 DL 송신의 시간(TDL)만큼 Ton 카운터를 증분하는 블록 610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방법(600)은 또한, DL 송신이, 일례로서 CPE와 같은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지금까지 수신되었는지 여부에 관하여 결정 또는 확인 응답이 이루어지는 결정 블록 612를 포함할 수 있다. DL이 완료되는 경우, 이후, 흐름은 블록 614로 진행한다.
블록 614에서, 적어도 하나의 CPE로부터 기지국으로의 UL 프레임 송신 이전에 다른 감지 시간이 울린다(toll). 결정 블록 616에서 LBT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이, 채널이 클리어가 아닌 경우, 흐름은, 카운트 Ton이 Ton의 현재 값으로 설정되는, 환언하면 동결되게하는 블록 618로 진행한다. 추가적으로, EQP의 값은 아이들 시간; 즉, UL 프레임 송신의 시간만큼 감소된다. 이후, 흐름은 공유 매체를 사용하기 위한 계속되는 노력들을 위해 블록 618로부터 604로 다시 진행한다. 블록 616에서의 LBT는 일례로서 CPE에서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한다.
블록 616에서 결정된 바와 같이 채널이 클리어인 경우, UL 프레임이 CPE와 같은 일 디바이스로부터 기지국과 같은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블록 620으로 진행한다. 추가적으로, 카운트 Ton이 UL 프레임 송신의 시간(TUL)만큼 증분된다. 이후, 흐름은, Ton의 현재 값이 사이클 동안의 송신을 위한 최대 할당된 시간을 나타내는 미리결정된 Tmax 기간보다 더 큰지 여부에 관한 결정이 이루어지는 결정 블록 622로 진행한다. 아닌 경우, 흐름은, 공유 매체를 사용하기 위한 계속되는 노력들을 위해 블록 604로 다시 되돌아간다.
Tmax가 초과되었다면, 흐름은, 현재 EQP가 구현되는 블록 624로 진행하여 EQP 듀티 사이클을 완료한다. 추가적으로, Ton이 0으로 재설정되고, 저장된 EQP 값이 미리결정된 디폴트 값으로 재설정된다. 흐름은, 다음 사이클을 위한 LBT를 비롯한 전송 프로세스들의 재개를 위해 블록 624로부터 블록 604로 다시 진행한다.
*다른 양상에 따르면, 2개의 이종 시스템들 사이에 스펙트럼을 공유하기 위한 방법(700)이 도 7에 도시된다. 이 방법에서, EQP에 대해 고정형 듀티 사이클을 유지하기 보다는, 듀티 사이클은 가변형이거나 적응형이다. 이 제안된 접근법은 도 5 및 도 6에서 앞에서 논의된 방법들과 유사하게 LBT 및 휴지 기간들을 사용하지만, 적응형 휴지 기간 듀티 사이클이 사용된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개시된 방법(700)의 프로세스들은 특정 이종 시스템(예를 들어, 기지국 및 CPE)에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단말기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700)은 블록 70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카운터 Ton을 0과 같게 초기에 설정할 수 있다. 이후, 흐름은 시스템의 단말기가 DL 프레임 송신의 시작 이전에 감지 기간을 대기하는 블록 704로 진행한다. 감지 기간 이후, 결정 블록 706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일례로서, 채널이 클리어인지 여부에 관하여 LBT 기술을 이용하여 결정이 이루어진다. 특정 단말기는 그의 할당된 서브-채널만을 청취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 채널을 청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매체가 비지 상태인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흐름은 카운터 Ton이 0으로 설정되는 블록 708로 진행하고 흐름은 다른 감지 기간 및 LBT 결정을 위해 블록 704로 복귀한다.
대안으로, 매체가 아이들 상태인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블록 710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는 DL 프레임을 전송한다. 추가적으로, 카운터 Ton은 전송 시간(예를 들어, DL 프레임 전송 시간(TDL))과 동일한 양만큼 증분된다. 또한, 일 양상에 따르면, 방법(700)은 또한, DL 송신이, 일례로서 CPE와 같은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지금까지 수신되었는지 여부에 관하여 결정 또는 확인 응답이 이루어지는 결정 블록 712를 포함할 수 있다. DL 프레임 전송이 완료되는 경우, 이후, 흐름은 블록 714로 진행한다.
블록 714에서, CPE와 같은 시스템 내 단말기에서 감지를 위한 다른 대기 기간이 실시된다. 도 7의 예에서, UL 프레임 전송 시간 이전에 감지 시간이 실시된다. 다음으로, 흐름은, 채널 또는 매체가 예시로서 LBT 프로세스를 통하여 클리어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 블록 716으로 진행한다. 채널이 클리어가 아닌 경우, 흐름은 카운터 Ton을 0으로 재설정하는 블록 708로 진행하고 이후 블록 704로 돌아간다. 반면, 블록 716에서 채널이 클리어인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흐름은, CPE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송신과 같은 UL 프레임이 전송되는 블록 718로 진행한다. 카운터 Ton은 또한 UL 프레임의 송신 시간(TUL)만큼 증분된다. 다중사용자의 업링크 시나리오(예를 들어,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에 대한 일 양상에서, 시스템 내 모든 단말기들이 매체가 비지 상태인 것으로 감지하여 전송을 정지시킨 경우, 카운터 Ton은, 블록 716으로부터 708로의 흐름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0으로 재설정된다. 그러나, 업링크 시 사용자들의 일 서브셋 만이 LBT때문에 전송하지 않는다면(예를 들어, 블록 716), 카운터는 0으로 재설정되지 않는다(즉, 흐름이 블록 718로 진행하여 사용자들의 서브셋이 UL 프레임들을 전송한다).
UL 프레임의 송신 이후, 방법(700)은 결정 블록 720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Ton이 Tmax의 미리결정된 총 송신 시간보다 더 큰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체크를 실시한다. 시간 Tmax가 아직 초과되지 않았다면, 흐름은 블록 704로 다시 바로 되돌아간다. 그렇지 않으면, 흐름은, 미리결정된 EQP 시간 기간이 특정 시스템에 대하여 실시되고, 카운터 Ton이 0으로 재설정되는 블록 722로 진행한다. 휴지 기간이 종료한 후에, 네트워크는 블록 722로부터 다시 704로의 흐름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다시 매체를 청취하기 시작한다. 매체가 클리어인 경우, 시스템이 전송한다. 그렇지 않으면, 시스템은, 예를 들어, DL 더하기 UP 프레임 시간들과 동일한 기간 동안 송신을 금지한다. 다운링크가 전송되고 업링크 프레임 전에 단말기들의 서브셋이 매체가 비지 상태인 것으로 감지하는 경우, 단말기들의 이 서브셋 만이 후속하는 업링크 프레임에서 전송하지 않는다.
당업자가 인식하는 바와 같이, 방법(700)의 접근법은, 활성 및 휴지-기간의 특정 듀티 사이클을 만족시키기 위해 시스템에 어떠한 제약들도 주지 않는다. 블록 706 또는 블록 716에서 매체 사용의 검출 시 카운터 Ton을 0으로 재설정함으로써, 적응형 듀티 사이클을 초래하고, 휴지 기간(EQP)은 결과적으로 영향받지 않는다. 이 접근법은 공유 스펙트럼 환경에서 2 또는 그 초과의 이종 시스템들이 동시에 매체를 사용하지 않는 아이들 시간이 더 작아지게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전송 네트워크는 특정 사이클에 대하여 미리결정된 최대 시간 기간 Tmax보다 더 많은 기간 동안 연속적으로 전송할 수 없다. 어떤 점들에서, 이 접근법은, 도 5 및 도 6의 방법들과 같이 고정형 듀티-사이클을 요구하는 접근법보다 유익할 수 있다. 즉, 특정 또는 고정형 듀티-사이클을 타겟으로 하는 네트워크는 상당히 더 오랜 시간 동안 채널을 캡쳐할 수 있는데, 이는 일 환경에 존재하는 다른 이종 네트워크들이 이것을 간섭할 수 있는 확률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제약이 없는 도 7의 방법은, 채널의 캡쳐가 더욱 적응적이기 때문에 간섭의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양상에 따르면, 방법(700)은 또한 스펙트럼 공유를 더욱 개선하기 위해 휴지 기간들을 이용하는 적응형 최대 송신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시스템들이 잘 분리되는 경우, 시스템들 둘 모두는 대부분의 시간에 높은 성공 확률로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방법(700)은 추가로, 사일런스 시간들 동안 채널을 청취하는 것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시스템은 다른 시스템의 트래픽 활성을 추론하고 그에 따라 이것의 전송 시간(예를 들어, Tmax)을 적응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다른 양상에서 시스템은 그 자신의 패킷 실패율을 추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추적은 간섭의 레벨의 표시를 제공하고, 따라서 최선의 채널 이용을 제공한다. 또한, CCA 테스트(예를 들어, 프로세스들 706 및 716)를 위한 임계치는 간섭의 레벨에 따라서 조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서, 일 기지국에서 안테나 어레이를 사용하여 다른 기지국들로부터의 신호를 널 아웃(null out)시킬 수 있다. 공간 분할 다중 액세스(SDMA)가 사용되는 경우, 이것은 간섭 효과들을 잠재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UL은 숨겨진 노드 문제에 의해 보다 강렬하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UL 동안 기지국은 비지 톤(busy tone)을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송된 톤이 기지국에서 공지되었기 때문에, 이것은 그 자신의 수신기 경로에 대해 보상을 받고 그 자신의 수신기 경로로부터 취소될 수 있다. 적어도 단말기들 중 간섭하는 쌍이 함께 쌍을 이루도록 서브-캐리어 할당이 실시될 수 있다. 이것은, 상이한 대역들에서 확인된 간섭을 측정하고 이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각각의 CPE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기지국은 채널 리소스들 중 각각의 것에서 확인된 간섭에 기초하여 사용자들에게 채널 리소스들을 할당할 수 있으며, 이 채널 리소스들 중 각각의 것에서 확인된 간섭은 다중사용자 다이버시티의 형태이다.
도 8은 공유 스펙트럼 환경에서 스페트럼 공유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장치를 도시한다. 장치(800)는 공유 스펙트럼 채널이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한 수단(802)을 포함한다. 수단(802)은, 도 2에 도시된 장치에서와 같이, 예를 들어, 송신기/수신기, 복조기, 데이터 프로세서, 및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장치(800)는 또한, 버스(804) 또는 모듈들과 수단들 사이의 통신을 위한 유사한 수단들과 같은 통신 커플링과 함께 예시된다.
장치(800)는, 채널이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는 경우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중 적어도 하나에서 공유 스펙트럼 채널을 이용하여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송신 프레임들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806)을 더 포함한다. 일 양상에서, 수단(806)은 LBT 및 CCA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네트워크 내 기지국들 및 CPE들과 같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단말기들에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수단(806)은, 도 2에 예시된 장치에서와 같이, 송신기/수신기, 복조기, 데이터 프로세서, 및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장치는 스펙트럼 채널의 사용 송신 누적 시간을 카운팅하기 위한 수단(808)을 포함한다. 일례에서, 수단(808)은 카운터(예를 들어, 카운터(220 또는 242)) 또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카운트들을 유지하기 위한 유사한 수단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수단(808)은 시간(Ton)뿐만 아니라 DL 및 UL 송신 시간들(예를 들어, TDL 및 TUL)을 카운팅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수단(808)은 또한, EQP 값들 및 전송 시간들을 계산하는 것뿐만 아니라 카운팅을 위해 수단을 재설정하는 것과 같은 프로세스들 또는 동작들을 실시하기 위한 프로세서에 의해 또는 프로세서와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장치(800)는, 누적된 시간이 미리결정된 최대 시간 기간(예를 들어, Tmax)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810)을 더 포함하며, 최대 시간 기간이 초과되지 않은 경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송신 프레임들의 송신이 계속될 수 있다. 수단(810)은 프로세서, DSP, 및 카운터(예를 들어, 220 또는 242)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장치(800)는 최대 시간 기간이 초과되는 경우 휴지 기간을 실시하기 위한 수단(812)을 포함한다. 이것은, 도 2의 시스템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 DSP, 송신기/수신기, 전송 프로세서, 및 카운터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장치(800)는 도 8에서 단수형의 장치로 도시되었지만, 이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다수의 장치를 포함하거나 다수의 장치에 걸쳐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한다. 예를 들어, 카운팅하기 위한 수단은 도 2의 시스템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들 및 CPE들 둘 모두에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양상에 따르면, 매체가 비지 상태인지 아이들 상태인지 여부를 평가하는 단말기는 그 단말기가 조우하는 간섭의 타입을 구분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섭을 유발하는 다른 네트워크는 LBT 및 확장 휴지 기간(EQP)의 동일한 규칙들을 적용하지 않는 경우, 단말기는 이것이 다른 네트워크로 양보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간섭이 동일한 네트워크에 속하는 다른 단말기로부터 인입하고 있다면, 제 1 단말기는, 단순히 송신을 포기하기 보다는 이종 네트워크에 속하는 다른 단말기들과 스펙트럼을 공유하기 위한 보다 효율적인 접근법이 있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감지 기능은, 예를 들어, 간섭의 타입을 분류하고 간섭의 타입에 따라서 반응함으로써, 하드 임계치(매체가 비지 상태 또는 아이들 상태)를 단순히 결정하는 것보다 더욱 정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개시된 프로세스들에서의 단계들의 특정 순서 또는 계층은 단지 예시적인 접근법들의 예일 뿐이라는 것을 이해한다. 설계 선호들에 기초하여, 프로세스들의 단계들의 특정 순서 또는 계층이 재배열될 수 있지만 본 개시물의 범위 내에 있다는 것을 이해한다. 부수되는 방법은 샘플 순서로 여러 가지 단계들의 제시된 엘리먼트들을 청구하며, 제시된 특정 순서 또는 계층으로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현재 개시된 예들이, 특히, 시스템이 시간에 있어서 UL 및 DL 송신들을 순차적으로 교대로 전송하는 시분할 듀플렉스 (TDD) 시스템을 이용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방법들 및 장치들은 상이한 방식들에 적용가능하다. 단지 일례로서, UL 및 DL 송신들을 순차적으로 교번시키는 방식보다, 이 시스템은 2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순차 DL 전송들 이후에 하나의 UL 송신 또는 다수의 시간 순차 UL 송신을 전송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여기의 방법들은 DL에서 다수의 채널들과 같은 다중 채널들을 사용하는 시스템들 또는 FDD 시스템들과 같은, 다른 시스템들에 더욱 광범위하게 적용가능하다.
정보 및 신호들이 임의의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 및 기법들을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설명 전반에 걸쳐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명령들, 커맨드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벌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장들 또는 자기 입자들, 광학장들 또는 광학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원에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은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 둘의 조합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인식할 것이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호환성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은 일반적으로 이들의 기능 측면에서 상술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 구현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지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대해 부과되는 설계 제약들에 좌우된다. 당업자는 설명된 기능을 각각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 결정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원에 설명된 기능들을 실시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구현되거나 실시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다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연결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시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2개의 결합으로 직접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컴퓨터-판독가능 명령들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착탈식 디스크, CD-ROM, 또는 본 기술에 알려진 저장 매체의 임의의 다른 형태와 같은, 스토리지 또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스토리지 또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프로세서에 연결되어, 프로세서가 스토리지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스토리지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대안으로, 스토리지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스토리지 매체는 ASIC에 상주할 수 있다. ASIC은 사용자 단말기에 상주할 수 있다. 대안으로, 프로세서 및 스토리지 매체는 시스템 단말기의 별개의 컴포넌트들로서 상주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형태들의 상기의 설명은 어떤 당업자라도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형태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당업자들에게는 자명할 것이며, 본원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물의 정신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실시형태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본원에 도시된 실시형태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부합하는 최광의의 범위에 따른다.

Claims (12)

  1. 공유 스펙트럼 채널을 공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내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에서 상기 공유 스펙트럼 채널이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단계(402);
    상기 채널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는 경우,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공유 스펙트럼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송신 프레임들을 송신하는 단계(404);
    상기 공유 스펙트럼 채널 상에서의 송신 누적 시간이 미리결정된 최대 시간 기간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최대 시간 기간이 초과되지 않은 경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송신 프레임들의 송신이 계속됨 ―(408); 및
    상기 최대 시간 기간이 초과되는 경우 일정 시간 기간 동안 휴지 기간(quiet period)을 실시하는 단계(410)를 포함하고,
    상기 공유 스펙트럼 채널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되고 있다는 평가에 응답하여 상기 송신 누적 시간을 증가시키고 상기 일정 시간 기간을 감소시키는 단계(506, 50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스펙트럼 채널을 공유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는 이종의, 프레임-기반 무선 네트워크들인, 공유 스펙트럼 채널을 공유하기 위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TDD 또는 FDD 중 하나에 따라서 동작하는, 공유 스펙트럼 채널을 공유하기 위한 방법.
  4. 스펙트럼 채널을 공유스펙트럼 채널을 공유하기 위한 장치로서,
    네트워크 내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에서 상기 공유 스펙트럼 채널이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한 수단(802);
    상기 채널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는 경우,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공유 스펙트럼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송신 프레임들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806);
    상기 공유 스펙트럼 채널 상에서의 송신 누적 시간이 미리결정된 최대 시간 기간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최대 시간 기간이 초과되지 않은 경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송신 프레임들의 송신이 계속됨 ―(810); 및
    상기 최대 시간 기간이 초과되는 경우 일정 시간 기간 동안 휴지 기간을 실시하기 위한 수단(812)을 포함하고,
    상기 공유 스펙트럼 채널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되고 있다는 평가에 응답하여, 상기 송신 누적 시간을 증가시키고 상기 일정 시간 기간을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506, 50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펙트럼 채널을 공유하기 위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는 이종의, 프레임-기반 무선 네트워크들인, 스펙트럼 채널을 공유하기 위한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TDD 또는 FDD 중 하나에 따라서 동작하는, 스펙트럼 채널을 공유하기 위한 장치.
  7. 공유 스펙트럼 채널을 공유하기 위한 장치로서,
    네트워크 내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에서 상기 공유 스펙트럼 채널이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고(402);
    상기 채널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는 경우,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공유 스펙트럼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송신 프레임들을 송신하고(404);
    상기 공유 스펙트럼 채널 상에서의 송신 누적 시간이 미리결정된 최대 시간 기간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하고 ― 상기 최대 시간 기간이 초과되지 않은 경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송신 프레임들의 송신이 계속됨 ―(408); 그리고
    상기 최대 시간 기간이 초과되는 경우 일정 시간 기간 동안 휴지 기간을 실시하도록(410)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6, 232)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공유 스펙트럼 채널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되고 있다는 평가에 응답하여 상기 송신 누적 시간을 증가시키고 상기 일정 시간 기간을 감소시키도록(506, 508)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스펙트럼 채널을 공유하기 위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는 이종의, 프레임-기반 무선 네트워크들인, 공유 스펙트럼 채널을 공유하기 위한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TDD 또는 FDD 중 하나에 따라서 동작하는, 공유 스펙트럼 채널을 공유하기 위한 장치.
  10.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218, 240)로서,
    컴퓨터(216, 232)로 하여금 네트워크 내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에서 공유 스펙트럼 채널이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게 하는 코드(402);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채널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는 경우,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공유 스펙트럼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송신 프레임들을 송신하게 하는 코드(404);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공유 스펙트럼 채널 상에서의 송신 누적 시간이 미리결정된 최대 시간 기간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하게 하는 코드 ― 상기 최대 시간 기간이 초과되지 않은 경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송신 프레임들의 송신이 계속됨 ―(408); 및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최대 시간 기간이 초과되는 경우 일정 시간 기간 동안 휴지 기간을 실시하게 하는 코드(410)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공유 스펙트럼 채널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되고 있다는 평가에 응답하여 상기 송신 누적 시간을 증가시키고 상기 일정 시간 기간을 감소시키게 하는 코드(506, 50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는 이종의, 프레임-기반 무선 네트워크들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TDD 또는 FDD 중 하나에 따라서 동작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0147007577A 2009-12-02 2010-11-30 휴지 기간들과 함께 리슨-비포어-토크를 이용하여 스펙트럼을 공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들 KR1014969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6614609P 2009-12-02 2009-12-02
US61/266,146 2009-12-02
US12/852,128 2010-08-06
US12/852,128 US8774209B2 (en) 2009-12-02 2010-08-06 Apparatus and method for spectrum sharing using listen-before-talk with quiet periods
PCT/US2010/058250 WO2011068765A1 (en) 2009-12-02 2010-11-30 Apparatus and methods for spectrum sharing using listen-before-talk with quiet period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7258A Division KR101502876B1 (ko) 2009-12-02 2010-11-30 휴지 기간들과 함께 리슨-비포어-토크를 이용하여 스펙트럼을 공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0593A Division KR101625107B1 (ko) 2009-12-02 2010-11-30 휴지 기간들과 함께 리슨-비포어-토크를 이용하여 스펙트럼을 공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0744A true KR20140050744A (ko) 2014-04-29
KR101496933B1 KR101496933B1 (ko) 2015-03-02

Family

ID=4406885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0593A KR101625107B1 (ko) 2009-12-02 2010-11-30 휴지 기간들과 함께 리슨-비포어-토크를 이용하여 스펙트럼을 공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들
KR1020147007577A KR101496933B1 (ko) 2009-12-02 2010-11-30 휴지 기간들과 함께 리슨-비포어-토크를 이용하여 스펙트럼을 공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들
KR1020127017258A KR101502876B1 (ko) 2009-12-02 2010-11-30 휴지 기간들과 함께 리슨-비포어-토크를 이용하여 스펙트럼을 공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들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0593A KR101625107B1 (ko) 2009-12-02 2010-11-30 휴지 기간들과 함께 리슨-비포어-토크를 이용하여 스펙트럼을 공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들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7258A KR101502876B1 (ko) 2009-12-02 2010-11-30 휴지 기간들과 함께 리슨-비포어-토크를 이용하여 스펙트럼을 공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774209B2 (ko)
EP (1) EP2508019B1 (ko)
JP (2) JP2013513303A (ko)
KR (3) KR101625107B1 (ko)
CN (1) CN102648646B (ko)
TW (1) TW201132144A (ko)
WO (1) WO201106876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8290A (ko) * 2014-12-22 2017-08-29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채널 감지 향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37524B2 (en) * 2011-08-29 2014-09-16 Marvell World Trade Ltd. Coexistence of a normal-rate physical layer and a low-rate physical layer in a wireless network
JP5338749B2 (ja) * 2010-06-03 2013-11-13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帯域割り当て方法
WO2012101481A1 (en) * 2011-01-26 2012-08-02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radio systems co-existence on secondary carriers
US8666319B2 (en) * 2011-07-15 2014-03-04 Cisco Technology, Inc. Mitigating effects of identified interference with adaptive CCA threshold
CN103124199B (zh) * 2011-11-21 2015-01-28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感知频谱的方法、设备和数据帧
EP2792179B1 (en) * 2011-12-15 2017-08-16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Radio operations in a carrier aggregation system
US20130176998A1 (en) * 2012-01-06 2013-07-11 Nokia Corporation Mechanism For Coexistence Between Wireless Networks
WO2013112983A2 (en) * 2012-01-26 2013-08-0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Dynamic parameter adjustment for lte coexistence
CN102547749B (zh) * 2012-02-20 2015-03-11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认知无线电系统静默区间设置方法及其装置
DE112012005933B4 (de) * 2012-02-24 2019-05-0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Funkkommunikationssystem, Übertragungsquellenfunkkommunikationsgerät, Zielfunkkommunikationsgerät, und Funkkommunikationsverfahren
US8818293B2 (en) * 2012-03-05 2014-08-26 Broad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irtime fairness
GB2500634A (en) * 2012-03-27 2013-10-02 Renesas Mobile Corp Control channel communication on shared bands
EP2832132B1 (en) * 2012-03-29 2017-05-10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wireless transmitter
US10043264B2 (en) 2012-04-19 2018-08-07 Applied Materials Israel Ltd. Integration of automatic and manual defect classification
WO2014087835A1 (ja) * 2012-12-05 2014-06-12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無線通信システム
US9426662B2 (en) 2013-06-26 2016-08-23 Cable Television Laboratories, Inc. Capacity sharing between wireless systems
EP3013088B1 (en) * 2013-07-18 2019-10-23 Huawei Technologies Co., Ltd. Network-side device, user equipment and frequency spectrum sharing method therefor
US10114368B2 (en) 2013-07-22 2018-10-30 Applied Materials Israel Ltd. Closed-loop automatic defect inspection and classification
US10313079B2 (en) * 2013-08-23 2019-06-04 Qualcomm Incorporated Common HARQ processes
US9949292B2 (en) 2013-09-11 2018-04-17 Qualcomm Incorporated Coupling uplink and downlink CCA in LTE-U
US9775048B2 (en) 2013-09-24 2017-09-26 Qualcomm Incorporated Performance of a user equipment (UE) in unlicensed spectrum
US10542435B2 (en) 2013-09-24 2020-01-21 Qualcomm Incorporated Carrier sense adaptive transmission (CSAT) in unlicensed spectrum
US10356623B2 (en) 2013-09-24 2019-07-16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performing carrier sense adaptive transmission in unlicensed spectrum
US9220115B2 (en) * 2013-10-23 2015-12-22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channel access in asynchronous unlicensed radio frequency spectrum band deployments
US9674845B2 (en) * 2013-11-04 2017-06-06 Qualcomm Incorporated Soft buffer management
US9801147B2 (en) * 2013-11-25 2017-10-2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of synchronization within an LTE/LTE-A system in unlicensed spectrum
US10104565B2 (en) * 2013-12-13 2018-10-16 Qualcomm Incorporated CSI feedback in LTE/LTE-advanced systems with unlicensed spectrum
CN106063178B (zh) * 2013-12-18 2019-10-18 Idac控股公司 用于全双工无线电系统中的干扰管理的方法、装置和系统
US9949315B2 (en) * 2014-02-24 2018-04-17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enabling asynchronous transmissions in an unlicensed radio frequency spectrum band
US9491752B2 (en) * 2014-02-24 2016-11-08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enabling asynchronous time division duplexing transmissions in an unlicensed radio frequency spectrum band
US9854448B2 (en) 2014-03-14 2017-12-26 Sony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via a plurality of component carriers
US10499421B2 (en) * 2014-03-21 2019-12-03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configuring preamble and overhead signals for transmissions in an unlicensed radio frequency spectrum band
US9717087B2 (en) * 2014-04-17 2017-07-25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transmitting data over an unlicensed radio frequency spectrum band in accordance with an agreement between operators
US9479940B2 (en) 2014-05-01 2016-10-25 Cable Television Laboratories, Inc. Capacity sharing between wireless systems
US10194424B2 (en) * 2014-05-20 2019-01-29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managing resources for uplink transmissions in a shared radio frequency spectrum band
US10057779B2 (en) 2014-06-13 2018-08-21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enhancing frame structure and listen before talk procedure (LBT) for transmissions using an unlicensed radio frequency spectrum band
US10080159B2 (en) 2014-06-24 2018-09-18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bandwidth management for load-based equipment in unlicensed spectrum
WO2015199732A1 (en) * 2014-06-27 2015-12-30 Nokia Technologies Oy Cloud-based system for distributed hierarchical databases
KR20160004626A (ko) * 2014-07-03 2016-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비인가 대역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및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장치
WO2016006449A1 (ja) * 2014-07-11 2016-01-14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基地局、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US10686709B2 (en) 2014-07-14 2020-06-1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hannel usage indication
EP3175672B1 (en) 2014-07-29 2019-05-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Listen-before-talk based medium access
US10375690B2 (en) * 2014-08-08 2019-08-06 Qualcomm Incorporated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in unlicensed spectrum
KR102247085B1 (ko) * 2014-09-01 2021-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비인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기법
EP3190854B1 (en) * 2014-09-05 2019-04-10 LG Electronics Inc. Transmitting data on unlicensed band and base station therefor
CN105407489B (zh) * 2014-09-12 2020-06-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频谱共享方法及传输节点
US10070443B2 (en) 2014-09-25 2018-09-04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nlicensed communications band access
US20170280448A1 (en) * 2014-09-25 2017-09-28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9794792B2 (en) * 2014-09-26 2017-10-17 Qualcomm Incorporated Shared spectrum operation
US20170238311A1 (en) * 2014-09-26 2017-08-17 Nokia Technologies Oy Synchronous Licensed Assisted Access
CN104219780B (zh) * 2014-09-26 2018-01-12 上海交通大学 一种支持全双工ofdma的随机接入介质访问控制方法
US10980045B2 (en) * 2014-10-02 2021-04-13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managing power on an uplink component carrier transmitted over a shared radio frequency spectrum band
CN105578479A (zh) * 2014-10-15 2016-05-11 普天信息技术有限公司 Lte小区的关闭方法、基站和终端
US9894466B2 (en) * 2014-10-24 2018-02-13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ilence time
CN105636206B (zh) * 2014-10-28 2019-11-19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laa侦听资源分配方法和装置
US10637619B2 (en) * 2014-11-03 2020-04-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access for LTE on unlicensed spectrum
WO2016072218A1 (ja) * 2014-11-06 2016-05-12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CN105611639B (zh) * 2014-11-07 2019-03-19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用于实现会话前侦听的方法和装置
EP3216299B1 (en) 2014-11-07 2020-12-23 Nokia Technologies Oy Listen-before-talk channel access
CN107113886B (zh) 2014-11-07 2020-07-31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以选择的先听后说(lbt)方法执行lbt的第一无线电节点和其中的方法
PT3216302T (pt) 2014-11-07 2019-09-26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Nó de rede, dispositivo sem fios e métodos nos mesmos, para agendar um ou mais portadores com exigências de qos diferentes e aplicação de uma configuração de escutar-antes-de-falar respetivamente
WO2016081375A1 (en) * 2014-11-17 2016-05-26 Intel IP Corporation Listen before talk (lbt) design for uplink licensed assisted access (laa) operation in unlicensed band
US10271325B2 (en) * 2014-11-17 2019-04-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hannel access in listen before talk systems
CN105681006B (zh) * 2014-11-19 2019-08-20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laa通信的方法和装置
US9942801B2 (en) 2014-12-15 2018-04-10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reserving a channel of a radio frequency spectrum
CA2972227C (en) * 2014-12-25 2021-09-07 Nec Corporation Radio terminal, radio station, and method performed thereby
US10085283B2 (en) 2014-12-31 2018-09-25 Qualcomm Incorporated Antenna subset and directional channel access in a shared radio frequency spectrum band
US9681422B2 (en) 2014-12-31 2017-06-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ynamic adaptive and non-adaptive mode switching
US9615279B2 (en) * 2015-01-27 2017-04-04 Intel Corporation Enhanced listen-before-talk (LBT) for unlicensed band operation with cell splitting
TWI666957B (zh) * 2015-01-28 2019-07-21 財團法人資訊工業策進會 授權輔助存取網路系統
JPWO2016121917A1 (ja) * 2015-01-29 2017-12-07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基地局、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EP3251453B1 (en) * 2015-01-30 2020-09-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providing listen-before-talk and related ues and network nodes
US10014970B2 (en) * 2015-03-06 2018-07-03 Qualcomm Incorporated Mitigation of inter-base station resynchronization loss in LTE/LTE-A networks with contention-based shared frequency spectrum
US10015778B2 (en) 2015-03-17 2018-07-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s and methods for uplink control information signaling design
US10582532B2 (en) 2015-03-17 2020-03-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cheduling in license assisted access
EP3955691A1 (en) 2015-03-17 2022-02-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Listen-before-talk for multi-carrier operation in unlicensed spectrum
CN104703210B (zh) * 2015-03-23 2018-09-07 北京邮电大学 一种异构网中干扰抑制及信息传输的方法
US11218882B2 (en) * 2015-04-09 2022-0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LBT technique for frequency reuse in communication system using unlicensed band
WO2016161980A1 (zh) 2015-04-10 2016-10-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非授权载波的竞争方法及装置
CN106162898B (zh) * 2015-05-15 2022-01-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非授权载波处理的方法及装置
WO2016184331A1 (zh) * 2015-05-15 2016-11-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非授权载波处理的方法及装置
US10412749B2 (en) 2015-05-21 2019-09-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cheduling in license assisted access
WO2017007391A1 (en) 2015-07-06 2017-01-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ransmitting node and method therein for performing data transmissions to at least one receiving node on a radio channel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CN106454881B (zh) * 2015-08-06 2021-05-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数据发送、接收方法及装置
WO2017026406A1 (ja) * 2015-08-11 2017-02-16 京セラ株式会社 基地局及び無線端末
EP3335508A1 (en) * 2015-08-13 2018-06-20 Intel IP Corporation Energy detection threshold adaptation for licensed assisted access of lte in unlicensed band
US10462819B2 (en) 2015-08-14 2019-10-29 Intel IP Corporation Multi-carrier listen before talk
US10091789B2 (en) * 2015-08-19 2018-10-02 Qualcomm, Incorporated Re-contention-based co-existence on a shared communication medium
CN115426657A (zh) * 2015-09-25 2022-12-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确定lbt模式的方法、装置和实现lbt模式切换的方法
US10581571B2 (en) 2015-10-21 2020-03-03 Lg Electronic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transmitting/receiving discovery signal in wireless access system supporting unlicensed band
US10757699B2 (en) 2015-11-09 2020-08-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ownlink prioritization in TDD based LBT systems
EP3376814A4 (en) * 2015-11-12 2018-10-31 Fujitsu Limited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KR102420603B1 (ko) * 2015-11-25 2022-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감지 방법 및 장치
CN105611540A (zh) * 2015-12-17 2016-05-25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信道检测的控制方法及相关设备
CN114900404B (zh) * 2015-12-24 2024-02-0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用于非授权带中的信道访问的方法、装置、和系统
CN106992847B (zh) 2016-01-20 2021-01-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上行数据发送、接收方法、装置、终端及基站
US10687288B2 (en) 2016-02-02 2020-06-16 Qualcomm Incorporated Synchronization across transmitting nodes using shared radio frequency spectrum
CN107041000A (zh) 2016-02-04 2017-08-11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上行控制信息的传输方法及装置
JP6921126B2 (ja) * 2016-02-15 2021-08-18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チャンネル接続方法及び装置
US10764913B2 (en) * 2016-03-24 2020-09-01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assisting performance of listen before talk procedures and uplink traffic multiplexing at user equipment
CN109076603B (zh) * 2016-03-28 2022-08-19 英特尔公司 用于上行链路传输的对话前监听
CN107295676B (zh) 2016-03-31 2019-07-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及装置
US10681663B2 (en) 2016-03-31 2020-06-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for adjusting uplink transmission timing
US10716143B2 (en) 2016-03-31 2020-07-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device for timing correction in a channel access using a Listen-Before-Talk protocol
KR102481291B1 (ko) * 2016-09-12 2022-12-26 삼성전자 주식회사 비 면허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위상을 교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10200874B2 (en) * 2016-09-29 2019-02-05 Qualcomm Incorporated Signature sequence for system identification in a shared spectrum
KR101967813B1 (ko) * 2016-09-30 2019-08-13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이기종망에서 비면허대역 주파수 공유 적응형 신호 전송 방법 및 시스템
KR102450962B1 (ko) * 2017-01-13 2022-10-05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기지국 및 이의 제어 방법
US11405980B2 (en) 2018-09-28 2022-08-02 Apple Inc. Listen again after talk for broadcast/multi-cast commun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97626B1 (en) 1998-11-30 2004-02-24 Skyworks Solutions, Inc. Using channel loading statistics to determine whether to search for a new channe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887894B2 (ja) * 2006-04-28 2012-02-29 アイコム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中継局、および無線通信局
US7990944B2 (en) * 2007-09-06 2011-08-02 Wi-Lan, Inc. Contention-based communication
JP5024095B2 (ja) 2008-02-08 2012-09-12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無線送信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8290A (ko) * 2014-12-22 2017-08-29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채널 감지 향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28895A1 (en) 2011-06-02
US8774209B2 (en) 2014-07-08
JP2015053700A (ja) 2015-03-19
JP2013513303A (ja) 2013-04-18
CN102648646B (zh) 2016-06-01
CN102648646A (zh) 2012-08-22
KR101625107B1 (ko) 2016-05-27
EP2508019B1 (en) 2013-09-18
KR101502876B1 (ko) 2015-03-16
TW201132144A (en) 2011-09-16
KR101496933B1 (ko) 2015-03-02
JP5931994B2 (ja) 2016-06-08
EP2508019A1 (en) 2012-10-10
WO2011068765A1 (en) 2011-06-09
KR20140105031A (ko) 2014-08-29
KR20120102101A (ko) 2012-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6933B1 (ko) 휴지 기간들과 함께 리슨-비포어-토크를 이용하여 스펙트럼을 공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들
US8744511B2 (en) Output power control for advanced WLAN and bluetooth-amp systems
EP304761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ull duplex communication over a wireless network
US9258833B2 (en) LTE/Wi-Fi coexistence
Zinno et al. On a fair coexistence of LTE and Wi-Fi in the unlicensed spectrum: A Survey
US7626968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terminal
US2014032819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ownlink frequency domain multiplexing transmissions
WO2012093349A2 (en) Lte/wi-fi coexistence
EP3298851B1 (en) Method and network node for sharing radiofrequency spectrum following a contention based protocol with determination of transmission time duration
Abdelfattah et al. Modeling and performance analysis of Wi-Fi networks coexisting with LTE-U
KR20170039158A (ko) 버스티-간섭 환경에서의 간섭 관리
Kutsevol et al. Analytical study of license-assisted access in 5G networks
EP3694288B1 (e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JP2020523846A (ja)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通信を実施するための技法
Ahn et al. Collision decoding and reporting: A new collision resolution approach using full-duplex radio in WLANs
Jia An adaptive p-persistent CSMA scheme for LTE in unlicensed bands
Kwon et al. AWARE: Adaptive Wi-Fi power save operation coexisting with LTE-U
Wang Effective Scheduling Algorithms for Cross-Interference Mitigation in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권휘재 Adaptive Wi-Fi Power Save Operation Coexisting with LTE-U
Srikanteswara et al. Interference mitigation using spectrum sensing
Kim Opportunistic packet scheduling over IEEE 802.11 WLAN
de Oliveira et al. OCA-MAC: Opportunistic channel aggregation for wireless ad hoc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