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0555A - 내연기관의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의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0555A
KR20140050555A KR1020130123488A KR20130123488A KR20140050555A KR 20140050555 A KR20140050555 A KR 20140050555A KR 1020130123488 A KR1020130123488 A KR 1020130123488A KR 20130123488 A KR20130123488 A KR 20130123488A KR 20140050555 A KR20140050555 A KR 20140050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value
nschw
internal combustion
combustion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3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르틱 라이
노어베르트 뮐러
제이슨 스웬크
마르틴 프리드리히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050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05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42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stopping the eng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02Controlling intak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5/00Electrical control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D41/00 - F02D43/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2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concerning induction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9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using means for generating position or synchronisation signals
    • F02D2041/0095Synchronisation of the cylinders during engine shutdow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9/00Starting aids for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9/005Aiding engine start by starting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e.g. pre-positioning or reverse rotation
    • F02N2019/008Aiding engine start by starting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e.g. pre-positioning or reverse rotation the engine being stopped in a particular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2200/00Parameters used for control of starting apparatus
    • F02N2200/02Parameters used for control of starting apparatus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N2200/021Engine crank ang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2200/00Parameters used for control of starting apparatus
    • F02N2200/02Parameters used for control of starting apparatus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N2200/022Engine spe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정지 거동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에서는 정지 요건이 검출되면 공기 계량공급 장치가 닫히고, 이어서 내연기관의 속도(n)의 검출값(nschw_u)이 설정 속도 문턱값(ns)에 미달하는 즉시 다시 개방도(
Figure pat00059
)로 개방되며, 공기 계량공급 장치는 사점(T2)으로부터 대기 각도(
Figure pat00060
)만큼 지난 후 상기 개방도(
Figure pat00061
)로 개방되며, 이때 대기 각도(
Figure pat00062
)는 희망하는 정지 위치(KWstop_soll)에 따라 선택된다.

Description

내연기관의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 10 2011 082 198 A1호에 공지된 내연기관의 정지 방법에서는, 정지 요건이 검출되면 스로틀 플랩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량이 감소하고, 검출된 내연기관의 속도가 설정 속도 문턱값에 미달하면, 스로틀 플랩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량이 다시 증가하며, 상기 공기량을 공급받은 흡입 실린더는 공급되는 공기량의 증가 후 더 이상 작동 행정으로 진행되지 않는다.
앞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에 설명된 방법에서처럼, 내연기관의 속도가 분산된 시점들에서, 예를 들어 실린더의 상사점을 통과할 때마다 스캐닝되면, 내연기관의 속도의 검출값은, 이 검출값이 설정 속도 문턱값에 미달하는 점이 처음으로 확인되는 경우 소정의 모호성을 갖는다. 상기 검출값은 2개의 연속하는 상사점 동안의 내연기관의 속도 감소에 상응하는 폭을 갖는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왜냐하면 한 극단적인 경우에는 내연기관의 속도가 설정 속도 문턱값에 미달하였을 수 있지만, 또 다른 극단적인 경우에는 내연기관의 속도가 이전 스캐닝 시점에서 여전히 설정 속도 문턱값에 미달하지 않았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내연기관의 위치를 특성화하는 크랭크축 각도는 내연기관이 멈춘 후 그에 상응하는 모호성을 갖는다.
독립항 제1항의 특징들을 갖는 방법의 장점 중 하나는 크랭크축 각도의 정지 위치의 가능 범위가 제한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서는, 내연기관의 정지 거동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서 정지 요건이 검출되면 공기 계량공급 장치, 특히 스로틀 플랩이 닫히고, 그 후 내연기관의 속도의 검출값이 설정 속도 문턱값에 미달하는 즉시 다시 소정의 개방도로 개방되며, 상기 공기 계량공급 장치는 일 실린더의 사점 후 상기 개방도를 향하여 대기 각도만큼 개방되고, 상기 대기 각도는 희망하는 정지 위치에 따라서 선택된다.
즉, 내연기관이 정지해야 하는 크랭크축 각도에 따라서 상응하는 크랭크축 각도값, 즉 대기 각도가 설정되고, 상사점의 통과 후 내연기관이 상기 대기 각도도 초과하는 즉시 공기 계량공급 장치가 개방된다. 그러므로 내연기관의 정지 위치는 매우 용이한 방식으로 유연하게 조정될 수 있음으로써, 예를 들어 내연기관의 신속한 재시동을 위해 최적화될 수 있다.
이 경우, 대기 각도는 희망하는 정지 위치에 따라, 희망하는 제1 정지 위치에서 제1 값을 취하고, 희망하는 제2 정지 위치에서 제2 값을 취하며, 희망하는 제1 정지 위치는 희망하는 제2 정지 위치보다 하사점에 더 가깝고, 제1 대기 각도는 제2 대기 각도보다 더 크도록 선택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대기 각도가 희망하는 정지 위치의 함수로서 단조 감소하도록 선택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대기 각도가 큰 경우, 내연기관의 정지 직전에 작동 행정에 있는 실린더에서 공기 충전량이 적고, 압축 행정에 있는 실린더에서 공기 충전량이 많다. 이 때문에 내연기관 또는 크랭크축은 진자 운동 과정에서 하사점의 방향에 가깝게 역진동하여 거기에서 정지한다. 반대로 대기 각도가 작으면, 진자 운동의 말미에 팽창 행정에 있는 실린더 내 공기 충전량과 진자 운동의 말미에 압축 행정에 있는 실린더 내 공기 충전량이 대략 동일한 크기가 된다. 이 때문에 내연기관 또는 크랭크축은 상사점에 훨씬 더 가까운 각도에서, 예를 들어 상사점으로부터 약 90°앞에서 정지한다.
그러므로 앞서 언급한 특징들은, 크랭크축의 실제 정지 위치가 진자 운동의 말미에서 가능한 한 신뢰성 있게 희망하는 정지 위치에 상응한다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매우 바람직한 한 측면에서, 크랭크축 각도의 정지 위치의 가능 범위의 제한은, 개방도가 속도의 검출값에 따라 선택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매우 바람직한 한 실시예에서 공기 계량공급 장치의 개방은, 내연기관이 공기 계량공급 장치의 개방 후 2회 더 상사점을 통과하도록, 실시된다. 즉, 공기 계량공급 장치의 개방 후 추가로 2개의 실린더가 각각 자신의 흡입 행정에서 증대된 공기 충전량을 얻는다. 그럼으로써 엔진 정지 과정의 종료 시 정확한 정지 위치를 지배적으로 결정하는 양 실린더의 공기 충전량이 매우 정확하게 제어된다.
즉, 일측 실린더는 제1 실린더로서 상당히 증대된 공기 충전량을 흡입한다. 이 실린더가 압축 행정으로 진행되면, 그의 에어 스프링이 압축되어 내연기관의 회전 운동이 역전될 정도의 상당한 반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실린더 내 공기량, 즉 그 에어 스프링의 세기는, 상기 실린더가 역진동 시 다시 자신의 하사점을 통과하지 않음으로써 내연기관이 상기 실린더의 압축 행정에서 정지하도록 결정된다. 그러므로 이 실린더를 압축 실린더라고도 부른다.
이 경우 공기 계량공급 장치가 반드시 스로틀 플랩에 의해 제공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캠의 스위칭에 의해 밸브 리프트를 변경하는 캠축 조정 장치일 수도 있고 완전 가변식, 예를 들어 유압식 밸브 제어 장치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바람직한 측면에서, 선택적 개방도는 속도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 개방도가 속도의 제1 검출값에서는 제1 값을 취하고 속도의 제2 검출값에서는 제2 값을 취하며, 속도의 제1 검출값은 속도의 제2 검출값보다 더 작으며, 제1 값은 제2 값보다 더 크도록 선택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바람직한 측면에서, 선택적 개방도는 속도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 개방도와 속도의 검출값 사이의 함수 관계가 단조 감소하도록 선택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매우 바람직한 측면에서, 상기 함수 관계는 선형으로 감소하는 함수에 의해 제공된다. 본 실시예는 매우 간단하게 매개변수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 선택 개방도는 속도의 검출값에 따라서 단조 감소하도록 선택된다. 그 이유는, 속도의 검출값이 크면 내연기관의 회전 운동 에너지가 크기 때문에 역진동이 상대적으로 늦은 시점에, 다시 말해 진자 운동의 말미에서 압축 행정에 있는 실린더의 공기 충전량의 압축에 의해 회전 에너지가 완전히 보상될 때 에야 비로소 실시되기 때문이다. 또, 이 때문에, 엔진이 상대적으로 멀리 역진동하고, 더 정확하게는 하사점의 근처까지 역진동한다. 그러므로 속도의 검출값이 큰 경우 개방도가 작은 것이 유리한데, 왜냐하면 그 때문에 압력이 흡기관 안에서 너무 급격히 상승하지 않아서 압축 실린더 내 반력이 너무 크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실린더는 하사점의 방향으로 그리 멀리 역진동하지 않는다. 반대로 상기 속도의 검출값이 낮으면, 진자 운동의 말미에서 압축 행정에 있는 실린더가 그의 상사점으로부터 약 90°전까지만 진자 운동을 한 후에 상기 진자 운동이 역전되고 실린더가 역진동한다. 그러므로 속도의 검출값이 낮을 때 개방도가 크면 실린더는 계속 역회전한다.
따라서 선택 개방도와 속도 검출값 사이의 단조 감소형 함수의 결과, 속도의 검출값에 대한 정지 위치의 의존성이 감소한다. 이 속도의 검출값이 정확하게 조정될 수 없기 때문에(조정 정확성은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내연기관 속도의 2개의 연속적인 스캐닝 포인트들 사이의 속도 감소를 통해 구현된다), 이는 내연기관의 정지 위치가 더 간편하게 제어될 수 있게 한다.
매우 간단한 한 구성에서는, 선택 개방도가 속도의 검출값에 따라서 선형으로 감소하는 함수로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대안적 또는 보충적 측면에서, 대기 각도는 속도의 검출값에 따라서 선택된다. 이로써, 엔진의 정지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흡기관 내 압력이 속도의 검출값에 따라서 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선택된 대기 각도가 속도의 제1 검출값에서 제1 대기 각도값을 취하고, 속도의 제2 검출값에서 제2 대기 각도값을 취하며, 속도의 제1 검출값이 속도의 제2 검출값보다 더 작으며, 제1 대기 각도값이 제2 대기 각도값보다 더 작은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내연기관의 정지 직전에 연소 행정에 있는 실린더는 속도의 제1 검출값이 더 작은 경우 적은 실린더 충전량을 획득하여 더 작은 복원력을 야기하는 한편, 속도의 제2 검출값이 더 큰 경우에는 더 큰 실린더 충전량을 획득하여 그에 상응하게 더 큰 복원력을 야기한다. 그러므로 증가한 내연기관의 회전 운동 에너지가 가변적으로 제동될 수 있다.
또 다른 매우 바람직한 한 실시예에서, 이런 효과는 선택된 대기 각도가 속도의 검출값에 따라서 단조 증가하도록 선택되면 더욱 개선되며, 즉 모든 회전수 값에서 달성된다.
이 경우, 또 다른 매우 간단한 실시예에서, 선택 대기 각도는 속도의 검출값에 따라서 선형으로 증가하는 함수로서 선택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의 모든 단계들을 실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내연기관의 개루프 및/또는 폐루프 제어 장치를 위한 전기 저장 매체 및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의 모든 단계들을 실행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된 개루프 및/또는 폐루프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예를 들어 개루프 및/또는 폐루프 제어 장치가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전기 저장 매체를 포함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도면들에는 본 발명의 매우 바람직한 양태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내연기관의 진자 운동 거동에 관한 도이다.
도 2는 속도의 검출값 및 대기 각도에 대한 정지 위치의 함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희망하는 정지 위치에 따른 대기 각도의 선택에 관한 도이다.
도 4는 속도의 검출값에 따른 대기 각도의 선택에 관한 도이다.
도 5는 속도의 제1 검출값에 따른 개방도의 선택에 관한 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개방도의 선택 시 속도의 검출값에 대한 정지 위치의 함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의 a)에는 내연기관의 정지 과정 동안 제1 실린더(ZYL1)와 제2 실린더(ZYL2)의 행정 순서가 도시되어 있다. 행정 순서는 배기 행정, 흡입 행정, 압축 행정 및 작동 행정의 순서로 진행된다. 실린더들 사이의 사점들은 제1 사점(T1), 제2 사점(T2), 제3 사점(T3), 제4 사점(T4) 및 제5 사점(T5)으로 제공되어 있다. 연속하는 사점들은 4실린더 내연기관에서 180°의 크랭크축 각도(KW)만큼 오프셋된다.
도 1의 b)에는 내연기관의 속도(n)가 시간(t)의 함수인 곡선이 도 1의 a)와 나란히 도시되어 있다. 속도(n)는 예를 들어 속도 센서에 의해 크랭크축에서 검출될 수 있다. 내연기관의 코스팅 시 내연기관의 속도(n)는 특유의 거동에 따라 감소하는데, 이때 상기 속도는 각각 압축 행정에 있는 실린더의 공기 충전량의 압축으로 인해 사점들 직전에 매우 급격히 강하하고, 이에 후속하는, 작동 행정에 있는 실린더의 스프링 작용으로 인해 관련 사점 직후에 다시 용이하게 상승한다. 제1 시점(t1), 제2 시점(t2), 제3 시점(t3) 및 제4 시점(t4)은 제1 사점(T1), 제2 사점(T2), 제3 사점(T3) 및 제4 사점(T4)에 도달하는 시점들에 상응한다. 주의할 점은, 내연기관의 속도(n)의 감소로 인해 타임 스케일이 선형이 아니라는 것이다.
도 1의 c)에는 내연기관(DK)의 공기 계량공급 장치의 개방도, 예를 들어 스로틀 플랩의 개방도가 도시되어 있다. 정지 요건이 검출된 후에는 공기 계량공급 장치의 개방도가 감소하므로, 예를 들어 스로틀 플랩이 닫히므로, 내연기관 정지 과정의 정숙성이 개선될 수 있고, 지나치게 차가운 신선 공기에 의한 배기 시스템 내 촉매의 냉각이 억제될 수 있다.
도 1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이산 시점들에서, 예를 들어 주기적으로, 특히 사점들에서 내연기관의 속도(n)가 검출되어 설정 속도 문턱값(ns)과 비교된다. 속도(n)가 설정 속도 문턱값(ns)에 미달하면, 그 후 검출된 속도값(nschw_u)이 예를 들어 개루프 및/또는 폐루프 제어 장치에 저장된다. 상사점(예에서 제2 사점(T2)) 이후 대기 각도(
Figure pat00001
)만큼 공기 계량공급 장치의 개방도(DK)가 증가한다.
즉, 크랭크축 각도(KWauf)에 상응하는 개방 시점(tAuf)에, KWauf는 속도(n)가 설정 속도 문턱값(ns)에 처음으로 미달했던 제2 상사점(T2)으로부터 대기 각도(
Figure pat00002
) 만큼 지나간 각도가 된다.
상기 개방 시점(tauf)에서는, 도 1의 c)에 도시된 것처럼, 공기 계량공급 장치의 개방도가 증대된 개방도(
Figure pat00003
)로 개방된다. 이 경우 상기 설정 속도 문턱값(ns)은, 상기 개방 시점(tauf) 이후 내연기관의 정지 시까지 정확하게는 2개의 사점, 즉 제3 사점(T3)과 제4 사점(T4)이 더 통과되도록 설정 및/또는 조정된다. 제2 사점(T2)과 제3 사점(T3) 사이의 구간에서는 제1 실린더(ZYL1)가 흡입 행정에 위치한다. 개방 시점(tauf)부터 제1 실린더(ZYL1)가 증대된 공기량을 흡입한다. 즉, 흡입 밸브의 폐쇄 후 제1 실린더(ZYL1) 내 공기량은 대기 각도(
Figure pat00004
)와 증대된 개방도(
Figure pat00005
)에 좌우된다. 후속하는 제3 사점(T3)과 제4 사점(T4) 사이의 행정에서 제2 실린더(ZYL2)는 흡입 행정에 위치하고 증대된 공기량을 흡입하며, 이 공기량은 증대된 개방도(
Figure pat00006
)에 좌우된다. 제4 사점(T4) 이후 후속 행정에서 제2 실린더(ZYL2)는 압축 행정에 위치한다. 제2 실린더(ZYL2) 내 가스 스프링의 상당한 압축을 통해 내연기관의 속도(n)는, 내연기관의 회전 운동이 역진동 시점(TOSC)에 자신의 회전 방향을 바꿀 때까지 크게 감소하고, 내연기관은 역진동한다. 정지 상태(tstop)에서 내연기관은 마침내 정지한다. 역진동 시점(TOSC) 이후의 시점들의 경우, 크랭크축 각도가 기입되어 있는 도 1a의 가로축과 시간축인 도 1b)의 가로축 사이에 그래프로 도시된 관계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역진동 시점(TOSC) 이후 내연기관은 역진동하여 결국 정지 위치(KWstop)에서 정지한다. 이 정지 위치(KWstop)는 여기에서 그리고 하기에서 압축 실린더[즉, 여기 도시된 경우에서는 제2 실린더(ZYL2)]의 크랭크축 각도를 나타내며, 압축 실린더가 작동 행정으로 진행되는 상사점으로부터 역계산된다. 180°의 정지 위치(KWstop)는 압축 실린더가 바로 자신의 하사점에서 정지함을 의미한다.
도 2에는 속도(n)의 검출값(nschw_u)과 정지 위치(KWstop) 사이의 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3개의 상이한 대기 각도(
Figure pat00007
)에 대한 관계들이 도시되어 있다. 대기 각도(
Figure pat00008
)가 0°이면, 즉 속도(n)가 설정 속도 문턱값에 미달한 점이 확인된 사점에서 바로 개방도가 증가하면, 정지 위치로서 상사점으로부터 90°앞의 값이, 더 정확하게는 내연기관의 속도(n)의 검출값(nschw_u)과 무관하게, 도출된다. 즉, 압축 행정에 있는 제2 실린더(ZYL2)는 압축 행정의 정확히 중앙 지점에서 정지한다. 이는 작동 행정에 있는 제1 실린더(ZYL1)와 압축 행정에 있는 제2 실린더(ZYL2)의 가스 스프링들 사이의 힘평형에 근거한다. 이 가스 스프링들의 크기가 동일하기 때문에, 내연기관은 양 가스 스프링이 완전히 똑같이 이완되는 정지 위치로 진입한다. 대기 각도(
Figure pat00009
)가 180°일 때, 즉, 도 1에 도시된 예에서는 제3 사점(T3)에서 개방도가 증가할 때, 제2 실린더(ZYL2)의 압축 행정에서 가스 스프링은 제1 실린더(ZYL1)의 작동 행정에서의 가스 스프링보다 훨씬 더 크다. 그러므로 정지 위치에서는, 제2 실린더(ZYL2) 내 체적이 제1 실린더(ZYL1) 내 체적보다 더 큰 평형 상태가 설정된다. 내연기관의 역진동 운동이 더 클수록, 압축 행정에 있는 제2 실린더(ZYL2) 내 에어 스프링은 역진동 시점(TOSC) 이전에 그만큼 더 강하게 압축되기 때문에, 정지 위치(KWstop)가 커질수록, 속도(n)의 검출값(nschw_u)이 그만큼 더 커진다. 평균 대기 각도, 예를 들어
Figure pat00010
인 경우에는, 대기 각도(
Figure pat00011
)가 0°인 경우의 정지 위치와 대기 각도가 180°인 경우의 정지 위치 사이에 놓이는 정지 위치(KWstop)가 도출된다.
도 3에는 희망하는 정지 위치(KWstop_Soll)의 함수로서 대기 각도(
Figure pat00012
)의 선택이 도시되어 있다. 희망하는 정지 위치(KWstop_Soll)는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실행되는 개루프 및/또는 폐루프 제어 장치에 의해 내연기관의 작동 파라미터에 따라, 후속 저항이 매우 용이하게 가능하도록 결정된다. 도 3에는 희망하는 제1 정지 위치와 희망하는 제2 정지 위치(KW2)가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들 위치에서 대기 각도(
Figure pat00013
)는 제1 값(
Figure pat00014
1) 또는 제2 값(
Figure pat00015
2)을 취한다. 도시된 것처럼, 희망하는 정지 위치(KWstop_Soll)와 대기 각도(
Figure pat00016
) 사이의 관계는 단조 감소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그러므로 내연기관의 정지 후 정지 위치(KWstop)는 가능한 한 정확하게 희망하는 정지 위치(KWstop_Soll)에 상응할 수 있다.
도 4에는 내연기관의 속도(n)의 검출값(nschw_u)의 함수로서 대기 각도(
Figure pat00017
)의 선택이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개루프 및/또는 폐루프 제어 장치는, 내연기관 속도(n)의 검출값(nschw_u)이 검출된 후, 대기 각도(
Figure pat00018
)를 선택한다. 대기 각도(
Figure pat00019
)가 초과되면 공기 계량공급 장치는 개방도(
Figure pat00020
)로 개방된다. 내연기관의 속도(n)의 제1 검출값(nschw_u1)과 제2 검출값(nschw_u2)이 도시되어 있다. 제1 검출값(nschw_u1)에 대해 선택 대기 각도(
Figure pat00021
)는 제1 대기 각도(
Figure pat00022
S1)로 결정되고, 제2 검출값(nschw_u2)의 경우에 선택 대기 각도(
Figure pat00023
)는 제2 대기 각도(
Figure pat00024
S2)로 결정된다.
속도(n)의 검출값(nschw_u)과 선택된 대기 각도(
Figure pat00025
) 사이의 관계는 예를 들어 단조 감소한다. 단조 선형 감소 관계는 파선으로, 계단형 감소 관계는 실선으로, 그리고 둥근 계단 형태의 관계는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5에는 내연기관의 속도(n)의 검출값(nschw_u)의 함수로서 개방도(
Figure pat00026
)의 선택이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개루프 및/또는 폐루프 제어 장치는, 내연기관의 속도(n)의 검출값(nschw_u)이 검출된 후 개방도(
Figure pat00027
)를 선택하고, 대기 각도(
Figure pat00028
)의 초과 후 공기 계량공급 장치를 상기 개방도(
Figure pat00029
)로 개방한다. 내연기관의 속도(n)의 제1 검출값(nschw_u1)과 제2 검출값(nschw_u2)이 도시되어 있다. 제1 검출값(nschw_u1)에 대해 상기 선택 개방도(
Figure pat00030
)는 제1 값(W1)으로 결정되고, 제2 검출값(nschw_u2)의 경우에 선택 개방도(
Figure pat00031
)는 제2 값(W2)으로 결정된다.
속도(n)의 검출값(nschw_u)과 선택 개방도(
Figure pat00032
) 사이의 관계는 예를 들어 단조 감소한다. 단조 선형 감소하는 관계는 파선으로, 계단형 감소 관계는 실선으로, 그리고 둥근 계단 형태의 관계는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특히 선택 개방도(
Figure pat00033
)는 속도(n)의 검출값(nschw_u)과 무관하게 선택될 수도 있다(도시되지는 않았음).
도 6에는 속도(n)의 검출값(nschw_u)에 따른 개방도(
Figure pat00034
) 선택의 효과가 도시되어 있다. 실선으로 표시된, 정지 위치(KWstop)와 속도의 검출값(nschw_u) 사이의 관계들은 도 2에도 도시되어 있는 관계들에 상응한다. 속도(n)의 검출값(nschw_u)에 따라 개방도(
Figure pat00035
)를 하강 거동으로 선택하면, 도 6에 파선으로 표시된 것처럼, 대기 각도(
Figure pat00036
)가 0°보다 큰 경우에는 검출값(nschwu)에 대한 정지 위치(KWstop)의 의존도가 이상적으로는 정지 위치(KWstop)가 속도(n)의 검출값(nschw_u)과 무관할 때까지 감소한다. 이는, 압축 행정에 위치하는 제2 실린더(ZYL2)의 스프링백 효과가 속도(n)의 검출값(nschw_u)이 상승하면 같이 증가하고, 속도(n)의 검출값(nschw_u)이 크면 감소하며, 속도(n)의 검출값(nschw_u)이 작으면 강화함으로써 달성된다. 그 결과, 속도(n)가 스캐닝되는 타임 슬롯의 러프니스에 기인하는 정지 위치(KWstop)의 부정확성이 최소화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완전히 최소화될 수 있다.

Claims (13)

  1. 내연기관의 정지 거동의 제어 방법이며, 정지 요건이 검출되면 공기 계량공급 장치가 닫히고, 이어서 내연기관의 속도(n)의 검출값(nschw_u)이 설정 속도 문턱값(ns)에 미달하는 즉시 다시 개방도(
    Figure pat00037
    )로 개방되는, 내연기관의 정지 거동 제어 방법에 있어서,
    공기 계량공급 장치는 사점(T2)으로부터 대기 각도(
    Figure pat00038
    )만큼 지나서 개방도(
    Figure pat00039
    )로 개방되며, 상기 대기 각도(
    Figure pat00040
    )는 희망하는 정지 위치(KWstop_soll)에 따라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정지 거동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대기 각도(
    Figure pat00041
    )는 희망하는 제1 정지 위치(KW1)에서 제1 값(
    Figure pat00042
    1)을 취하고 희망하는 제2 정지 위치(KW2)에서 제2 값(
    Figure pat00043
    2)을 취하며, 희망하는 제1 정지 위치(KW1)는 희망하는 제2 정지 위치(KW2)보다 하사점에 더 가깝고, 제1 대기 각도(
    Figure pat00044
    1)는 제2 대기 각도(
    Figure pat00045
    2)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정지 거동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대기 각도(
    Figure pat00046
    )는 희망하는 정지 위치(KWstop_soll)의 함수로서 단조 감소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정지 거동 제어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방도(
    Figure pat00047
    )는 속도(n)의 검출값(nschw_u)에 따라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정지 거동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선택된 개방도(
    Figure pat00048
    )는 속도(n)의 제1 검출값(nschw_u1)에서 제1 값(W1)을 취하고 속도(n)의 제2 검출값(nschw_u2)에서 제2 값(W2)을 취하며, 속도(n)의 제1 검출값(nschw_u1)은 속도(n)의 제2 검출값(nschw_u2)보다 더 작고, 제1 값(W1)은 제2 값(W2)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정지 거동 제어 방법.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선택된 개방도(
    Figure pat00049
    )는 속도의 검출값(nschw_u)에 따라서 단조 감소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정지 거동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선택된 개방도(
    Figure pat00050
    )는 속도의 검출값(nschw_u)에 따라 선형 감소 함수로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정지 거동 제어 방법.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기 각도(
    Figure pat00051
    )는 속도(n)의 검출값(nschw_u)에 따라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정지 거동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선택된 대기 각도(
    Figure pat00052
    )는 속도(n)의 제1 검출값(nschw_u1)에서 제1 대기 각도 값(
    Figure pat00053
    S1)을 취하고 속도(n)의 제2 검출값(nschw_u2)에서 제2 대기 각도 값(
    Figure pat00054
    S2)을 취하며, 속도(n)의 제1 검출값(nschw_u1)은 속도(n)의 제2 검출값(nschw_u2)보다 더 작으며, 제1 대기 각도 값(
    Figure pat00055
    S1)은 제2 대기 각도 값(
    Figure pat00056
    S2)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정지 거동 제어 방법.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선택된 대기 각도(
    Figure pat00057
    )는 속도의 검출값(nschw_u)에 따라서 단조 증가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정지 거동 제어 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선택된 대기 각도(
    Figure pat00058
    )는 속도의 검출값(nschw_u)에 따라서 선형 증가 함수로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정지 거동 제어 방법.
  12. 내연기관의 개루프 또는 폐루프 제어 장치를 위한 전기 저장 매체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의 모든 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개루프 또는 폐루프 제어 장치용 전기 저장 매체.
  13. 내연기관의 개루프 또는 폐루프 제어 장치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의 모든 단계를 실행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개루프 또는 폐루프 제어 장치.
KR1020130123488A 2012-10-19 2013-10-16 내연기관의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400505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1210219130 DE102012219130A1 (de) 2012-10-19 2012-10-19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2012219130.5 2012-10-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0555A true KR20140050555A (ko) 2014-04-29

Family

ID=50555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3488A KR20140050555A (ko) 2012-10-19 2013-10-16 내연기관의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40050555A (ko)
CN (1) CN103775217A (ko)
DE (1) DE1020122191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01653A1 (de) * 2014-01-30 2015-07-30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r Brennkraftmaschin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50627B2 (ja) * 2005-03-02 2010-09-22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燃機関の停止制御方法および停止制御装置
JP4849040B2 (ja) * 2007-09-10 2011-12-28 マツダ株式会社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5209454B2 (ja) * 2008-12-09 2013-06-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停止時に点火を停止する時期を制御する装置
JP2010185312A (ja) * 2009-02-10 2010-08-26 Denso Corp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制御装置
CN101581255B (zh) * 2009-06-17 2011-05-11 吉林大学 内燃机活塞停止位置控制装置及方法
KR20130108549A (ko) 2010-09-10 2013-10-04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내연기관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JP5238014B2 (ja) * 2010-12-20 2013-07-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停止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2219130A1 (de) 2014-05-15
CN103775217A (zh) 201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22193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00154738A (ja) 可変動弁エンジンの吸入空気量制御装置
JP2010138722A (ja) 内燃機関の停止時に点火を停止する時期を制御する装置
EP3084190A1 (en) Improvements to engine shutdown and restart
US11136927B2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system
US9599043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834752B2 (ja) 内燃機関の吸気制御装置
JP2007023800A (ja) 内燃機関のバルブ特性制御装置
US7311080B2 (en) Idle speed controller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ntroller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6029159A (ja) 可変動弁装置を備える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WO2014174969A1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2020026751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KR20140050555A (ko) 내연기관의 제어 방법 및 장치
JP4609279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6179240B2 (ja) エンジンの過給制御装置
JP2013253558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5402757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17078343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14105578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16050502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08115829A (ja) レシプロ式内燃機関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2005180306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6734633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05273462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4280731B2 (ja) 可変バルブタイミング機構を備えた内燃機関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