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0527A -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0527A
KR20140050527A KR1020130085000A KR20130085000A KR20140050527A KR 20140050527 A KR20140050527 A KR 20140050527A KR 1020130085000 A KR1020130085000 A KR 1020130085000A KR 20130085000 A KR20130085000 A KR 20130085000A KR 20140050527 A KR20140050527 A KR 20140050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ail
coupling
power supply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5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8355B1 (ko
Inventor
장준
조범연
홍호복
길상일
전하영
노시청
장두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필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필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필룩스
Priority to US13/974,081 priority Critical patent/US9200791B2/en
Publication of KR20140050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0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8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8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4Supporting elements displaceable along a guid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05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for several lighting devices in an end-to-end arrangement, i.e. light tr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 F21S4/2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 F21S4/28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rigid, e.g. LED b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30Pivoted housings or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4Supporting elements displaceable along a guiding element
    • F21V21/35Supporting elements displaceable along a guiding element with direct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supporting element and electric conductors running along the guid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01R25/147Low voltage devices, i.e. safe to touch live condu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21V15/013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the housing being an extru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coupling devices, e.g.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F21Y2103/1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comprising a linear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F21Y2103/3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curv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조명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레일부, 및 레일부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며 레일부와 접촉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전기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 개의 전기유닛이 각각 레일부에 위치 조절이 가능하면서도 레일부로부터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복수의 위치 또는 넓은 면적에 대한 조명 기능과, 밝은 조명이 필요한 위치에 대한 집중적으로 밝은 조명 기능을 모두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명장치{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빛을 발광하여 조명을 구현하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등은 적은 용량의 전원으로 고휘도의 조도 효과를 발휘하므로 장식등이나 실내조명등 등과 같이 여러 용도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엘이디 모듈과 회로기판(PCB)이 장착된 알루미늄 재질의 본체에 관체형의 형광커버를 결합하여 통상의 형광등 형태의 엘이디 조명등을 형성한 것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120885호(2009년 11월 25일 공개, 발명의 명칭 : 엘이디 조명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서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받으며 다양한 상태의 조명을 구현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레일부; 및 상기 레일부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레일부와 접촉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전기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기유닛은, 상기 레일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는 모듈부; 및 상기 레일부와 접촉되어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모듈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듈부는,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원공급부와 접촉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기판부와; 상기 기판부에 설치되어 빛을 발광하는 광원부; 및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며, 상기 광원부에서 발광된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듈부는,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원공급부와 접촉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기판부와; 상기 기판부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커넥터부; 및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며, 외부장치가 결합되는 브라켓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일부는, 상기 바디부가 결합되는 가이드레일부; 및 상기 가이드레일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원공급부와 접촉되어 상기 전원공급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극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디부는, 상기 모듈부가 설치되는 모듈설치부; 및 상기 모듈설치부를 상기 레일부에 결합시키는 결합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레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연결부; 및 상기 제2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모듈설치부를 관통하여 상기 조명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부는, 상기 가이드레일부의 측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레일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결합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커버부는, 상기 모듈설치부와 결합되는 바디결합부와, 상기 가이드레일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1레일결합부 및 상기 제1레일결합부로부터 절곡되게 연장되어 상기 결합홈부에 결합되는 제2레일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디부는, 상기 결합커버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레일결합부를 상기 결합홈부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압커버부는, 상기 가압커버부가 가압위치 또는 가압해제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결합커버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결합부; 및 상기 제1레일결합부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결합부의 슬라이딩에 연동되어 상기 제1레일결합부와 간섭되며 상기 제1레일결합부를 상기 결합홈부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기유닛은, 상기 레일부에 결합되고, 상기 레일부와 접촉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공급유닛; 및 상기 전원공급유닛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조명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기유닛은, 상기 레일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바디부와; 상기 제1바디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바디부와; 상기 제2바디부에 설치되는 모듈부; 및 상기 레일부와 접촉되어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모듈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제1바디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2바디부에 설치되어 일측이 상기 제1연결부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고 타측이 상기 모듈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기유닛은, 상기 레일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고, 외부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외부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분배부; 및 상기 레일부와 접촉되어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전원분배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상기 레일부를 결합시키는 이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일부와 접촉되어 상기 레일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파워코드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명장치에 따르면, 복수 개의 전기유닛이 각각 레일부에 위치 조절이 가능하면서도 레일부로부터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복수의 위치 또는 넓은 면적에 대한 조명 기능과, 밝은 조명이 필요한 위치에 대한 집중적으로 밝은 조명 기능을 모두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유닛에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면서도 그 외관을 깔끔하고 심플하게 유지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전기유닛의 설치 작업이 전선 등과 같은 부속물과의 간섭 등에 의해 영향받지 않도록 함으로써 조명 위치 조절이 어려움 없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각도로 조명을 구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설치하고자 하는 대상면의 상태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쉽게 설치될 수 있으며, 어느 특정 위치에 제한받지 않고 다양한 위치에서 충전수단, 조명의 기능을 구현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명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결합커버부와 가이드레일부 간의 결합 과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결합커버부와 가이드레일부 간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조명장치의 결합커버부 및 가압커버부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결합커버부와 가압커버부의 결합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결합커버부와 가압커버부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사용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다른 사용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D-D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E-E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일 사용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다른 사용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3은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명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결합커버부와 가이드레일부 간의 결합 과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결합커버부와 가이드레일부 간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조명장치의 결합커버부 및 가압커버부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결합커버부와 가압커버부의 결합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결합커버부와 가압커버부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9는 도 1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1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는 레일부(110) 및 전기유닛(150)을 포함한다.
레일부(110)는 전기유닛(150)의 설치와, 위치 조절 및 전원 공급을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가이드레일부(120) 및 전극부(130)를 포함한다.
가이드레일부(120)는, 조명장치(100)가 설치될 구조물(미도시)에 고정되도록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조명장치(100)는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그러나 조명장치(100)의 설치 위치는 건물의 천장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구 등과 같이 건물이 아닌 다른 구조물에 설치될 수도 있고, 벽면이나 바닥면 등이 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가이드레일부(120)에는 전기유닛(15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가이드레일부(120)의 측부에는 결합홈부(121)가 형성된다. 결합홈부(121)는 가이드레일부(120)의 측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가이드레일부(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이와 같이 측부에 결합홈부(121)가 형성되는 가이드레일부(120)는, 전체적으로 "工"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레일부(120)는 부도체(不導體)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극부(130)는 가이드레일부(120)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극부(130)는 가이드레일부(120)의 측부에 형성된 결합홈부(121)에 설치되며, 가이드레일부(120)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가이드레일부(1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전극부(130)는 외부의 전원공급장치(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으며, 후술할 전기유닛(150)의 전원공급부(180)와 접촉되어 전원공급부(1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전극부(130)는 레일부(1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기유닛(150)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극부(130)는 알루미늄 재질의 금속판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전기유닛(150)은 레일부(110)에 레일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된다. 전기유닛(150)은 레일부(11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전극부(130)와 접촉되어 전원을 공급받으며 조명을 구현한다. 이러한 전기유닛(150)은 바디부(160)와, 모듈부(170) 및 전원공급부(180)를 포함한다.
바디부(160)는 레일부(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바디부(160)는 부도체로 형성되며, 모듈설치부(161) 및 결합커버부(165)를 포함한다.
모듈설치부(161)에는 모듈부(170)가 설치된다. 모듈설치부(161)에는 모듈부(170)의 기판부(171)가 장착되는 기판설치부(162)가 구비된다.
결합커버부(165)는 모듈설치부(161)를 레일부(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결합커버부(165)는 모듈설치부(161)의 길이 방향 양 단부에 결합되며, 레일부(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커버부(165)는 바디결합부(166)와, 제1레일결합부(167) 및 제2레일결합부(168)를 포함한다.
바디결합부(166)는 모듈설치부(161)의 길이 방향 양 단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바디결합부(166)는 바디결합부(166)와 모듈설치부(161)에 각각 형성된 끼움돌기(부호생략)와 끼움홈(부호생략) 간의 끼움 결합을 통해 모듈설치부(161)와 결합됨으로써, 결합커버부(165)를 모듈설치부(161)에 결합시킨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레일결합부(167)는 가이드레일부(120)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제2레일결합부(168)는 제1레일결합부(167)로부터 가이드레일부(120)의 측부 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결합홈부(121)에 결합된다.
이에 따르면, 결합커버부(165)는 가이드레일부(120)의 외측을 감싸며 가이드레일부(120)와 맞물림으로써 가이드레일부(1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레일결합부(168)가 결합홈부(121)에 끼움 결합되어 가이드레일부(120)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결합커버부(165)는, 바디결합부(166)를 통해 모듈설치부(161)와 결합되고 제1 및 제2레일결합부(167,168)를 통해 가이드레일부(120)에 결합됨으로써, 모듈설치부(161) 및 이를 포함하는 바디부(160)를 레일부(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아울러, 결합커버부(165), 특히 제1레일결합부(167)는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커버부(16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레일결합부(167) 내부의 공간이 확장되도록 벌어지면서 가이드레일부(1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커버부(165)는 그 탄성에 의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레일결합부(167)의 벌어진 상태가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가이드레일부(120)와의 착탈 가능한 결합이 완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가이드레일부(120)와 커버결합부(165) 간의 착탈 가능한 결합에 의해, 바디부(160)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유닛(150)은 레일부(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레일부(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기유닛(150)은, 레일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전기유닛(150)은, 레일부(110)의 길이 방향 위치 중 선택된 어느 한 위치에 설치된 후, 레일부(110)로부터 다시 분리되어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바디부(160)는 가압커버부(1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압커버부(155)는 결합커버부(165)에 설치되어 제1 및 제2레일결합부(167,168)를 결합홈부(121) 측으로 가압한다. 이러한 가압커버부(155)는 슬라이딩결합부(156) 및 가압돌기부(157)를 포함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슬라이딩결합부(156)는 결합커버부(16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가압커버부(155)를 결합커버부(16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이러한 슬라이딩결합부(156)에 의해, 가압커버부(155)는 제1 및 제2레일결합부(167)를 결합홈부(121)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위치 또는 제1 및 제2레일결합부(167)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는 가압해제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가압돌기부(157)는 가압커버부(155)의 내측에 제1레일결합부(167)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가압돌기부(157)는 슬라이딩결합부(156)의 슬라이딩에 연동되어 가압위치 또는 가압해제위치로 이동된다. 이러한 가압돌기부(157)는 가압위치로 이동되어 제1레일결합부(167)와 간섭되며 제1레일결합부(167)를 결합홈부(121) 측으로 가압한다.
제1레일결합부(167)의 가압돌기부(157)와 간섭되는 부위에는, 제1레일결합부(167) 상에서의 가압돌기부(157)의 슬라이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슬라이딩홈부(165a)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압돌기부(157)는 가압커버부(155)의 슬라이딩에 연동되어 슬라이딩홈부(165a) 상에서 매끄럽게 이동되면서 제1레일결합부(167)를 결합홈부(121) 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레일결합부(167)를 가압하는 가압돌기부(157)는 슬라이딩홈부(165a)의 단부에 형성된 고정홈부(165b)에 안착되면서 가압커버부(155)를 결합커버부(165) 상에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제1레일결합부(167)에 대한 가압은, 제1 및 제2레일결합부(167)를 결합홈부(121) 측으로 가압하여, 결합커버부(165)와 가이드레일부(120) 간의 결합이 더욱 신뢰성 있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모듈부(170)는 바디부(160)의 모듈설치부(161)에 설치된다. 이러한 모듈부(170)는 기판부(171)와, 광원부(173) 및 확산부(175)를 포함한다.
기판부(171)는 모듈설치부(161)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기판부(171)는 피씨비(PC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기판부(171)에는 기판부(171)에 설치되는 광원부(173)를 구동시키기 위한 각종 회로부품이 실장된다.
기판부(171)는 기판설치부(162)를 관통하여 기판부(171) 측으로 노출된 전원공급부(180)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전원공급부(180)를 통해 광원부(173)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받는다(도 10 참조).
광원부(173)는 기판부(171)에 설치되어 빛을 발광한다. 이러한 광원부(173)는 빛을 발광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광원부(173)를 이루는 발광체는, 엘이디(LED) 또는 오엘이디(OLED)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확산부(175)는 모듈설치부(161)에 설치된 광원부(173)가 내측에 수용되도록 모듈설치부(161)에 설치된다. 이러한 확산부(175)는 광원부(173)에서 발광된 빛을 확산시킨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유닛(150)은, 도 2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열부(190)는 모듈설치부(161)의 측부에 관통되게 형성된 방열부설치부(163)에 삽입됨으로써 바디부(160)의 모듈설치부(161) 상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방열부(190)는 전기유닛(1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알루미늄 등과 같은 열 전도도가 높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방열부(190)는 모듈부(170)에서 발생된 열을 발산하여 방출함으로써 과열로 인한 광원부(173)의 열화를 방지한다.
아울러, 바디부(160)의 방열부(190) 및 방열부설치부(163)에 인접한 부분에는, 방열구조부(16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방열구조부(164)는 바디부(160)가 외부 공기와 접촉하는 표면적을 넓힘으로써 방열부(190)에 의한 열 발산 및 방출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방열구조부(164)는 모듈설치부(161)의 외측에 돌출된 구조물을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다른 예로서, 방열구조부(164)는 모듈설치부(161)의 내부에 통공(부호생략) 등이 형성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전기유닛(150)은 체결부(1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195)는 결합커버부(165)를 조명결합부(161) 상에 견고하게 체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2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전원공급부(180)는 바디부(160)에 설치된다. 전원공급부(180)는 레일부(110)의 전극부(130)와 접촉되어 전원을 공급받으며, 모듈부(170)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80)는 제1연결부(181)와, 제2연결부(183) 및 제3연결부(185)를 포함한다.
제1연결부(181)는 전극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연결부(181)는 전극부(130)에 접촉됨으로써 전극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연결부(181)는 제2연결부(183)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어 제2연결부(18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연결부(181)는 제2연결부(183)로부터 절곡되게 형성된다. 이처럼 절곡되게 형성되는 제1연결부(181)는, 전원공급부(180)에 제1연결부(181)를 전극부(130)에 밀착시키기 위한 텐션이 부여되도록 하며, 제1연결부(181)는 이와 같이 전원공급부(180)에 부여된 텐션에 의해 전극부(130)에 밀착되며 접촉될 수 있다.
제3연결부(185)는 제2연결부(18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3연결부(185)는 기판설치부(162)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모듈설치부(161)의 기판설치부(162)를 관통하여 기판부(171) 측으로 노출된다. 이러한 제3연결부(185)는 모듈부(170)의 기판부(171)와 접촉되며 기판부(17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결합커버부(165)의 내측에는 지지홈부(169)가 형성된다. 지지홈부(165)는 전원공급부(180)의 일부분이 삽입되도록 결합커버부(165)의 내측,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1 및 제2레일결합부(167,168)의 내측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홈부(169)는 전원공급부(180)의 일부분을 내측에 수용하여 전원공급부(180)의 위치를 구속한다. 또한 지지홈부(169)는, 제1연결부(181)가 전극부(130) 측으로 밀착되도록 전원공급부(180)를 지지함으로써, 제1연결부(181)를 매개로 한 전원공급부(180)와 전극부(130) 간의 전기적 연결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3연결부(181,233,235)는 구리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며, 이러한 제1 내지 제3연결부(181,233,235)를 포함하는 전원공급부(180)는 전체적으로 "L"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80)는 전극부(1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이를 모듈부(170)에 공급하며, 이러한 전원 공급이 전기유닛(150)의 위치 변화와 관계없이 레일부(110)와 전기유닛(150)의 결합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전극부(130)와 접촉되는 제1연결부(181)의 단부에는 절곡부(187)가 형성된다. 절곡부(187)는 제1연결부(181)의 단부로부터 절곡되게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절곡부(187)는, 모듈부(170)에서 발생된 열이나 전원공급부(180)와 전극부(130) 간의 접촉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전원공급부(180)가 팽창되는 것을 억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전원공급부(180)는, 전기유닛(150) 상에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전원공급부(180)가 전기유닛(1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전원공급부(180)를 구비하는 전기유닛(150)은, 하나의 전원공급부(180)에 불량 또는 고장이 발생될 경우, 나머지 다른 전원공급부(180)를 통해 모듈부(17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모듈부(170)로의 전원 공급을 더욱 안정적으로 이룰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사용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다른 사용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기유닛(150)은 건물의 천장 등과 같은 구조물에 설치된 레일부(110)에 레일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전기유닛(150)은 레일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그 설치된 위치가 변화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러한 전기유닛(150)의 위치를 조명이 필요한 위치로 변화시키며 조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전기유닛(150)으로의 전원 공급은 다음과 같은 연결 구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외부의 전원공급장치(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은, 외부의 전원공급장치와 전극부(130)를 연결하는 전선(미도시) 등에 의해 전극부(130)로 공급된다. 전극부(130)로 공급된 전원은, 전극부(130)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공급부(180)로 공급된다.
전원공급부(180)는 제1연결부(181)와 전극부(130) 간의 접촉에 의해 전극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제1연결부(181)와 전극부(130)의 연결에 의해, 전원공급부(180)는 전극부(130)가 설치된 레일부(110)의 길이 방향 어느 위치에서도 전극부(13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원을 공급받은 전원공급부(180)는, 제3연결부(185)와 기판부(171) 간의 접촉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모듈부(170)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와 같이 전원공급부(18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모듈부(170)는, 전기유닛(150)의 위치 변화와 관계없이 전원공급부(180)로부터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받으며 조명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기유닛(150)은 레일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전기유닛(150)은 레일부(110)에 위치 변화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전극부(130)와 전원공급부(18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통해 레일부(1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이러한 복수 개의 전기유닛(150)을 구비하는 조명장치(100)는, 조명이 필요한 복수 개의 위치에 전기유닛(150)이 각각 배치되도록 하여 그 해당 위치에 모두 조명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조명장치(1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밝은 조명이 필요한 위치에 두 개 이상의 전기유닛(150)이 밀집되게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그 해당 위치에 더욱 밝은 조명이 구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밀집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전기유닛(150)은, 전기유닛(150)과 전기유닛(150)이 서로 밀착되도록 결합됨으로써 조명이 단절되는 부분이 없도록 하면서 그 조명 효과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조명장치(10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부(110)의 폭 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치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조명장치(100)는, 해당 위치에 더욱 밝은 조명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고, 면상(面狀)으로 빛을 확산시키는 면광원 형태의 조명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명장치(100)는, 복수 개의 전기유닛(150)이 각각 레일부(110)에 위치 조절이 가능하면서도 레일부(110)로부터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복수의 위치 또는 넓은 면적에 대한 조명 기능과, 밝은 조명이 필요한 위치에 대한 집중적으로 밝은 조명 기능을 모두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명장치(100)는, 외관으로 잘 드러나지 않는 부분에 설치된 전극부(130)와 전원공급부(18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통해 전기유닛(150)으로 전원을 공급하므로, 전기유닛(150)으로의 전원 공급을 위한 별도의 전선 연결 없이도 전기유닛(150)으로의 전원 공급을 안정적으로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조명장치(100)는, 전기유닛(150)에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면서도 그 외관을 깔끔하고 심플하게 유지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전기유닛(150)의 설치 작업이 전선 등과 같은 부속물과의 간섭 등에 의해 영향받지 않도록 함으로써 조명 위치 조절이 어려움 없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또한, 도 1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D-D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1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E-E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2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일 사용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다른 사용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22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3은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4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25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6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 14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10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부재이므로, 설명의 편의상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200)는 레일부(210) 및 전기유닛(250)을 포함한다.
레일부(210)는 가이드레일부(220)와 전극부(230)를 포함한다. 전극부(230)는 가이드레일부(220)에 설치되되, 가이드레일부(220)의 저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전극부(230)는 가이드레일부(220)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가이드레일부(2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외부의 전원공급장치(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다.
전기유닛(250)은 바디부(260)와, 모듈부(170) 및 전원공급부(280)를 포함한다. 바디부(260)는 레일부(210)에 착탈 및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원공급부(280)는 바디부(260)에 설치되되, 가이드레일부(220)의 저면과 마주보는 바디부(260)의 상면에 설치된다. 전원공급부(280)는 전극부(230)와 상하 방향으로 접촉되며 전원을 공급받으며, 모듈부(170)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280)의 텐션 부여 구조 및 모듈부(170)와의 전기적 연결 구조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부(180; 도 10 참조)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전기유닛(250)에 따르면, 전원공급부(280)와 전극부(230)의 접촉이 레일부(210)와 바디부(260)의 결합 방향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전원공급부(280)와 전극부(230)의 연결이 더욱 공고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전기유닛(250)으로의 전기 공급이 더욱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가이드레일부(220)는 단부가 바디부(260)를 향해 뾰족하게 형성되는 화살촉 형상을 포함하도록 구비되고, 바디부(260)의 내부에는 바디부(260)의 내부에 삽입된 가이드레일부(220)를 구속하는 끼움돌기(261)가 형성된다.
끼움돌기(261)는 바디부(260)의 내부에 삽입되는 가이드레일부(220)를 통해 작용되는 가압력에 의해 바디부(260)의 내측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끼움돌기(261)는, 가이드레일부(220)가 끼움돌기(261) 부분을 완전히 통과하여 바디부(260)의 내부에 삽입되면, 가이드레일부(220)가 바디부(260)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가이드레일부(220)를 구속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가이드레일부(220)가 바디부(260)의 내부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소정 이상의 힘을 가하여 주면, 끼움돌기(261)가 바디부(260)의 외측 방향으로 휘어지면서 가이드레일부(220)의 구속을 해제하고, 이에 따라 가이드레일부(220)와 바디부(260)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가이드레일부(220)와 바디부(260) 간의 착탈 가능한 결합에 의해, 전기유닛(250)은 레일부(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300)는 레일부(210)와 전기유닛(350)을 포함한다.
전기유닛(350)은 바디부(260)와, 모듈부(370) 및 전원공급부(280)를 포함한다. 그리고 모듈부(370)는 기판부(171)와, 커넥터부(373) 및 브라켓부(375)를 포함한다.
커넥터부(373)는, 기판부(171)에 설치되고, 전원공급부(2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기판부(17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기판부(171)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다. 이러한 커넥터부(373)는 후술할 브라켓부(375)에 설치되는 외부장치(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브라켓부(375)는 바디부(260)의 모듈설치부(161) 및 결합커버부(165)에 설치된다. 이러한 브라켓부(375)에는 각종 센서나 소형 카메라 등과 같은 외부장치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브라켓부(375)에 설치된 외부장치는 케이블 등과 같은 연결부재를 통해 커넥터부(37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커넥터부(373)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400)는 레일부(110)와 전기유닛(450)을 포함한다.
전기유닛(450)은 전원공급유닛(450a)과 조명유닛(450b)을 포함한다.
전원공급유닛(450a)은 레일부(110)에 결합되고, 레일부(110)와 접촉되어 전원을 공급받는다. 이러한 전원공급유닛(450a)은 바디부(460a)와, 모듈부(470a) 및 전원공급부(180)를 포함한다.
바디부(460a)는 모듈설치부(461a)와, 결합커버부(165) 및 가압커버부(155)를 포함한다.
모듈설치부(461a)는 모듈부(470a)를 수용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모듈부(470)의 측부에는 제1개방홀(463a)이 형성된다.
모듈설치부(461a)에는 모듈부(470a)가 설치된다. 모듈부(470a)는 모듈설치부(461a)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원공급부(1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모듈부(470a)는 기판부(171)를 포함하는 형태인 것으로 예시된다. 다른 예로서, 모듈부(470a)는 기판부(171)를 포함하지 않는 형태로 전원공급부(1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모듈부(470a)에는 전선(4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선(40)은 모듈부(470a)에 연결된 일측으로부터 제1개방홀(463a)을 통해 바디부(460a)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바디부(460a)의 외측으로 연장된 전선(40)의 타측은 후술할 조명유닛(450b)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전기유닛(450)은 연결부(450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450c)는 조명유닛(450b)을 전원공급유닛(450a)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시키도록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450c)는 바디부(460a)로부터 조명유닛(450b)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형태인 것으로 예시된다.
조명유닛(450b)은 전원공급유닛(450a)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조명유닛(450b)은 바디부(460b)와 모듈부(470b)를 포함한다.
바디부(460b)는 모듈부(470b)를 수용하도록 구비된다. 바디부(460b)는 연결부(450c)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전원공급유닛(450a)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바디부(460b)의 측부에는 제2개방홀(463b)이 형성된다.
모듈부(470b)는 바디부(460b)의 내부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모듈부(470b)는 기판부(171)와, 광원부(173) 및 확산부(475)를 포함하는 형태인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모듈부(470b)는, 제2개방홀(463b)을 통해 바디부(460b)의 내부로 연장된 전선(40)이 기판부(171)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의해, 전원공급유닛(450a)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전기유닛(450)은 조명이 필요한 위치를 향해 조명유닛(450b)의 각도를 조절하여 조명을 비출 수 있다. 이러한 전기유닛(450)을 구비하는 본 실시예의 조명장치(400)는, 조명유닛(450b)의 레일부(110)의 길이 방향에 따른 위치 조절 및 레일부(110)를 중심으로 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취함으로써,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각도로 조명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500)는 레일부(110)와 전기유닛(550)을 포함한다.
전기유닛(550)은 제1바디부(560a)와, 제2바디부(560b)와, 모듈부(170) 및 전원공급부(580)를 포함한다.
제1바디부(560a)는 레일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제1바디부(560a)는 제1레일결합부(567)와 제2레일결합부(568)를 포함한다.
제1레일결합부(567)는 가이드레일부(120)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제2레일결합부(568)는 제1레일결합부(567)로부터 가이드레일부(120)의 측부 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결합홈부(121)에 결합된다.
이에 따르면, 제1바디부(560a)는 가이드레일부(120)의 외측을 감싸며 가이드레일부(120)와 맞물림으로써 가이드레일부(1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레일결합부(568)가 결합홈부(121)에 끼움 결합되어 가이드레일부(120)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제1바디부(560a)는, 제1 및 제2레일결합부(567,568)를 통해 가이드레일부(120)에 결합됨으로써, 제2바디부(560b)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유닛(550)을 레일부(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제2바디부(560b)는 제1바디부(560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제2바디부(560b)는 모듈부(170)가 설치되는 모듈설치부(56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바디부(560a)에 회전결합돌기(565a)가 형성되고, 제2바디부(560b)에 회전결합홈(565b)이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회전결합돌기(565a)가 회전결합홈(565b)에 회전 가능하게 끼움 결합됨에 따라 제2바디부(560b)가 제1바디부(560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전원공급부(580)는 레일부(110)와 접촉되어 전원을 공급받으며, 모듈부(170)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580)는 제1연결부(580a)와 제2연결부(580b)를 포함한다.
제1연결부(580a)는 제1바디부(560a)에 설치되어 전극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연결부(580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예시된 전원공급부(180; 도 10 참조)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며, 이러한 제1연결부(580a)의 일측은 전극부(130)와 접촉되고, 제1연결부(580b)의 타측은 제1바디부(560a)를 관통하여 제1바디부(560a)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제2연결부(580b)는 제2바디부(560b)에 설치된다. 제2연결부(580b)의 일측은 제1연결부(580a)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고, 제2연결부(580b)의 타측은 모듈부(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연결부(580a)의 타측이 절곡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처럼 형성되는 제1연결부(580a)의 타측은, 제1연결부(580a)를 제2연결부(580b)에 밀착시키기 위한 텐션이 부여되도록 하며, 제1연결부(580a)와 제2연결부(580b)는 이와 같이 부여된 텐션에 의해 서로 밀착되며 접촉될 수 있다.
한편 제2바디부(560b)는, 회전결합돌기(565a)와 회전결합홈(565b) 간의 결합을 매개로 제1바디부(560a)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바디부(560b)는 제1바디부(560a)로부터 분리되어 제1바디부(560a)와 이격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전기유닛(550)을 구비하는 본 실시예의 조명장치(500)는,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바디부(560b)가 제1바디부(560a) 상에서 회전되어 그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조명장치(500)는,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부(110)의 길이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전기유닛(550)의 위치를 변화시켜 조명이 구현되는 방향, 위치를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명장치(500)는, 레일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전기유닛(550)이 배치되되, 각각의 전기유닛(550)이 조명을 비추는 방향, 위치를 각각 자유롭게 변화시키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므로, 조명의 표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조명장치(500)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부(1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 개의 전기유닛(550)을 연결체(50)로 연결하는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어느 하나의 전기유닛(550)을 레일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밀거나 당겨 복수 개의 전기유닛(550)이 레일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600)는 파워코드유닛(650)을 더 포함한다. 파워코드유닛(650)은 레일부(110)와 접촉되어 레일부(110)에 전원을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파워코드유닛(650)은 바디부(660)와, 모듈부(170) 및 전원공급부(180;도 10 참조)를 포함한다.
바디부(660)는 결합커버부(165) 및 가압커버부(155)를 포함한다. 결합커버부(165) 및 가압커버부(155)의 상세 구성에 대한 사항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이미 설명된 바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바디부(660)는, 레일부(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파워코드유닛(650)이 레일부(1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모듈부(170)는 결합커버부(165)의 내부에 설치되는 기판부(171)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되며, 기판부(171)에는 외부전원(미도시)과 연결되는 전선(6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외부전원은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Switching Mode Power Supply; 이하 SMPS라 한다)인 것으로 예시된다. SMPS는 조명장치(600)의 외부에 외부전원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파워코드유닛(650)의 내부에 내장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르면,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선(60)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은, 기판부(171)와 레일부(1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원공급부(180)를 통해 레일부(110)로 공급된다.
상기와 같은 파워코드유닛(650)을 구비하는 본 실시예의 조명장치(600)는, 레일부(1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파워코드유닛(650)을 레일부(110)에 간단하게 설치하는 것만으로, 레일부(110)에 전원이 안정적으로 공급되게 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700)는 전원공급유닛(750)과 파워코드유닛(650)을 더 포함한다.
전원공급유닛(750)은 레일부(110)에 결합되고, 외부전원(미도시)으로부터 전선(7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공급받은 전원을 레일부(110)로 공급한다.
상기와 같은 전원공급유닛(75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 예시된 전원공급유닛(450a; 도 17 참조)과 비교하여, 전원공급유닛(450a)와 대부분 유사하고, 모듈부(470a; 도 17 참조)에 전선(7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이 추가된다는 것이 상이하다. 이러한 전원공급유닛(750)의 상세 구성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 예시된 전원공급유닛(450a)을 기초로 당업자가 충분히 구현 가능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파워코드유닛(650)은 전원공급유닛(7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선(75)을 통해 전원공급유닛(75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전원공급유닛(750)이 결합된 레일부(110)와 분리된 다른 레일부(110)에 결합되어 그 레일부(1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일례로서, 파워코드유닛(650)은 그 내부에 SMPS(미도시)가 내장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레일부(110)에 설치된 복수 개의 파워코드유닛(650)은 병렬 연결의 형태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800)는 레일부(810)와 전기유닛(15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레일부(810)가 복수 개 구비되고, 각각의 레일부(810)는 서로 분리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레일부(810)는 통상 제조되는 레일부(810)의 길이보다 긴 길이에 걸쳐 레일부(810)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또는 레일부(810)를 설치하고자 하는 벽면 또는 천장에 평탄하지 못한 면이 있는 경우에 복수 개의 레일부(810)를 이격 배치시키는 형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전기유닛(150)은, 그 일측이 어느 하나의 레일부(810)와 결합되고 타측이 어느 하나의 레일부(810)와 이격 배치된 다른 하나의 레일부(810)와 결합되는 형태로 복수 개의 레일부(810) 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설치 구조를 통해,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800)는, 레일부(810)의 설치가 필요한 길이보다 레일부(810)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도 대상면에 효율적으로 설치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평탄하지 않은 대상면에도 큰 어려움 없이 효과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900)는 이음부(940)를 더 포함한다. 이음부(940)는 복수 개의 레일부(110)를 결합시키도록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레일부(110)는 이음부(940)에 각각 끼움 결합되어 이음부(940)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음부(940)는 복수 개의 레일부(110)를 레일부(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결할 수도 있고, 복수 개의 레일부(110)를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레일부(110)의 연결 방향은, 연결하고자 하는 각 레일부(110)가 끼움 결합되도록 이음부(940)에 형성된 끼움공(945)의 형성 방향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음부(940)는 전도체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부도체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전도체 형태로 형성되는 이음부(940)는 복수 개의 레일부(1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고, 부도체 형태로 형성되는 이음부(940)는 이음부(940)에 의해 연결된 복수 개의 레일부(110) 사이를 절연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음부(940), 복수 개의 레일부(110)를 안정적으로 결합시켜 조명장치(900)의 설치 가능 길이를 안정적으로 확장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직선이 아닌 다양한 굴절 연결을 포함하는 형태로 레일부(110)를 연결할 수 있어 조명장치(900)의 설치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0)는 레일부(110)와 전기유닛(1050)을 포함한다. 그리고 전기유닛(1050)은 바디부(1060)와, 전원분배부(1070) 및 전원공급부(180)를 포함한다.
바디부(1060)는 레일부(1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바디부(1060)의 레일부(110)와의 결합 구조 및 전원공급부(180)를 통한 레일부(110)와의 전기적인 연결 구조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예시된 바디부(160; 도 10 참조) 및 전원공급부(180;도 10 참조)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원분배부(1070)는 바디부(160)에 설치되고, 외부장치(미도시)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분배부(1070)는 레일부(110)와 접촉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공급부(1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원공급부(18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다.
상기와 같은 전원분배부(1070)는 콘센트, USB 단자 등을 구비하는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전원분배부(1070)는, 외부장치와의 직접 결합 또는 연결선을 매개로 한 연결을 통해 외부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각종 조명이나, 기타 센서, 소형 카메라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외부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전원분배부(1070)를 구비하는 본 실시예의 조명장치(1000)는, 레일부(110)를 따라 다양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전기유닛(1050)을 통해 어느 특정 위치에 제한받지 않고 다양한 위치에서 충전수단, 조명의 기능을 구현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200,300,400,500,600,700,800,900,1000 : 조명장치
110,210,810 : 레일부 120,220 : 가이드레일부
121 : 결합홈부 130,230 : 전극부
150,250,350,450,550,1050 : 전기유닛
160,260,460a,460b,660,1060 : 바디부
155 : 가압커버부 156 : 슬라이딩결합부
157 : 가압돌기부 161,461a,561 : 모듈설치부
162 : 기판설치부 163 : 방열부설치부
164 : 방열구조부 165 : 결합커버부
166 : 바디결합부 167,567 : 제1레일결합부
168,568 : 제2레일결합부 169 : 지지홈부
170,370,470a,470b,1070 : 모듈부
171 : 기판부 173: 광원부
175,475 : 확산부 180,280,580 : 전원공급부
181 : 제1연결부 183 : 제2연결부
185 : 제3연결부 187 : 절곡부
190 : 방열부 261 : 끼움돌기
373 : 커넥터부 375 : 브라켓부
450a : 전원공급유닛 450b : 조명유닛
450c : 연결부 463a : 제1개방홀
463b : 제개방홀 560a : 제1바디부
560b : 제2바디부 565a : 회전결합돌기
565b : 회전결합홈 650 : 파워코드유닛
750 : 전원공급유닛 940 : 이음부
945 : 끼움공

Claims (15)

  1. 레일부; 및
    상기 레일부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레일부와 접촉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전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유닛은,
    상기 레일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는 모듈부; 및
    상기 레일부와 접촉되어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모듈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부는,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원공급부와 접촉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기판부;
    상기 기판부에 설치되어 빛을 발광하는 광원부; 및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며, 상기 광원부에서 발광된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부는,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원공급부와 접촉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기판부;
    상기 기판부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커넥터부; 및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며, 외부장치가 결합되는 브라켓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상기 바디부가 결합되는 가이드레일부; 및
    상기 가이드레일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원공급부와 접촉되어 상기 전원공급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모듈부가 설치되는 모듈설치부; 및
    상기 모듈설치부를 상기 레일부에 결합시키는 결합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연결부;
    상기 제1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연결부; 및
    상기 제2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모듈설치부를 관통하여 상기 조명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부는, 상기 가이드레일부의 측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레일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결합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커버부는, 상기 모듈설치부와 결합되는 바디결합부와, 상기 가이드레일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1레일결합부 및 상기 제1레일결합부로부터 절곡되게 연장되어 상기 결합홈부에 결합되는 제2레일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결합커버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레일결합부를 상기 결합홈부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커버부는,
    상기 가압커버부가 가압위치 또는 가압해제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결합커버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결합부; 및
    상기 제1레일결합부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결합부의 슬라이딩에 연동되어 상기 제1레일결합부와 간섭되며 상기 제1레일결합부를 상기 결합홈부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유닛은,
    상기 레일부에 결합되고, 상기 레일부와 접촉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공급유닛; 및
    상기 전원공급유닛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조명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유닛은,
    상기 레일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바디부;
    상기 제1바디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바디부;
    상기 제2바디부에 설치되는 모듈부; 및
    상기 레일부와 접촉되어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모듈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제1바디부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2바디부에 설치되어 일측이 상기 제1연결부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고 타측이 상기 모듈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유닛은,
    상기 레일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고, 외부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외부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분배부; 및
    상기 레일부와 접촉되어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전원분배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레일부를 결합시키는 이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와 접촉되어 상기 레일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파워코드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KR20130085000A 2012-10-19 2013-07-18 조명장치 KR101508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974,081 US9200791B2 (en) 2012-10-19 2013-08-23 Lighting apparatus having rail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941 2012-10-19
KR20120116941 2012-10-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0527A true KR20140050527A (ko) 2014-04-29
KR101508355B1 KR101508355B1 (ko) 2015-04-07

Family

ID=49447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5000A KR101508355B1 (ko) 2012-10-19 2013-07-18 조명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2722584B1 (ko)
KR (1) KR101508355B1 (ko)
CN (2) CN10520242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5825A (ko) * 2016-08-31 2018-03-09 주식회사 필룩스 조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7848B1 (ko) * 2013-10-16 2021-07-16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만능 자외선 살균 장치
CN103968284B (zh) * 2014-04-30 2016-01-20 深圳市思奥特照明科技有限公司 一种滑动式无缝拼接灯具
ITUA20161601A1 (it) * 2016-03-11 2017-09-11 Aldabra S R L Dispositivo di illuminazione e relativo elemento di giunzione
CN105938950B (zh) * 2016-06-06 2018-08-21 深圳亚锐光电科技有限公司 导电结构以及条形灯
DE102017119532A1 (de) * 2017-08-25 2019-02-28 Arnold & Richter Cine Technik Gmbh & Co. Betriebs Kg Haltestange für Zubehörkomponente einer Filmkamera
CN107575845A (zh) * 2017-08-29 2018-01-12 广州左右照明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轨道系统
CN107559676B (zh) * 2017-09-20 2020-03-20 珠海拓比光科技有限公司 一种轨道灯
CN109958936B (zh) * 2019-03-25 2023-02-07 深圳市宝森照明有限公司 一种基于滑轨滑动式led吊灯
DE102019126915A1 (de) * 2019-10-08 2021-04-08 Zumtobel Lighting Gmbh Tragschiene sowie Tragschienensystem mit Tragschienen
KR102273174B1 (ko) * 2020-01-17 2021-07-06 시그마엘이디 주식회사 장착 및 분리시공이 용이한 위치가변형 엘이디 무빙레일조명장치
KR102339398B1 (ko) * 2020-03-11 2021-12-14 케이에이치필룩스 주식회사 조명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레일형 조명 장치
US11493196B1 (en) * 2021-04-27 2022-11-08 Taiwan Oasis Technology Co., Ltd. Assembly structure
ES2914342B2 (es) * 2021-12-14 2022-10-26 Antares Iluminacion S A U Sistema de iluminacion con un carril flexible continuo
WO2023227407A1 (en) * 2022-05-24 2023-11-30 Signify Holding B.V. Modular track lighting
EP4311976A1 (de) * 2022-07-28 2024-01-31 cropled AG Intelligentes modulares beleuchtungssystem und verfahren zum erstellen des beleuchtungs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1273A (en) * 1987-10-13 1989-08-29 Thomas Industries, Inc. Low-voltage miniature track lighting system
US7513675B2 (en) * 2004-05-06 2009-04-07 Genlyte Thomas Group Llc Modular luminaire system with track and ballast attachment means
JP4315867B2 (ja) 2004-07-09 2009-08-19 大光電機株式会社 照明器具のプラグ
KR100836887B1 (ko) * 2006-02-24 2008-06-11 김재원 이동 조명장치
JP4949053B2 (ja) * 2007-02-06 2012-06-06 中澤 直継 配電ダクト
US9121597B2 (en) * 2008-05-14 2015-09-01 Schneider Electric USA, Inc. LED track lighting system
KR20090120885A (ko) 2008-05-21 2009-11-25 양경호 엘이디 조명등
KR101026794B1 (ko) * 2009-02-09 2011-04-04 주식회사 에이엘 직관형 엘이디 조명램프
CN102192439B (zh) * 2010-03-19 2012-12-19 林万炯 Led射灯
JP5002070B1 (ja) * 2011-10-27 2012-08-15 昌樹 松本 スライドファスナ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5825A (ko) * 2016-08-31 2018-03-09 주식회사 필룩스 조명장치
US10677433B2 (en) 2016-08-31 2020-06-09 Feelux Co., Ltd. Ligh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22584A3 (en) 2014-11-19
CN103775914A (zh) 2014-05-07
EP2722584A2 (en) 2014-04-23
KR101508355B1 (ko) 2015-04-07
EP2722584B1 (en) 2016-08-31
CN105202422A (zh) 2015-12-30
CN103775914B (zh) 2017-01-04
CN105202422B (zh) 2018-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50527A (ko) 조명장치
US9200791B2 (en) Lighting apparatus having rail unit
KR101360678B1 (ko) 조명 장치
US20110128737A1 (en) Angle-adjusting led lighting apparatus
JP6446330B2 (ja) 照明器具
TW201432192A (zh) 發光模塊、直管型燈以及照明器具
US10677433B2 (en) Lighting device
KR20150115377A (ko) 수족관용 엘이디 램프 장치
JP2001325811A (ja) 照明器具
JP5244033B2 (ja) 調光器及び照明システム
KR101241348B1 (ko) 형광등 타입 led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한 조명시스템
JP3178229U (ja) ランプ
JP2019153513A (ja) 照明装置
KR20130048380A (ko) 조명기구
KR200465943Y1 (ko) 리미트 스위치 일체형 엘이디 조명장치
JP2020161401A (ja) 照明装置
JP2013168247A (ja) 照明器具
JP2014086166A (ja) 照明器具
JP6179725B2 (ja) 照明器具
KR20110000965U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수배전반용 등기구
KR200471342Y1 (ko) 엘이디모듈 및 이를 갖춘 전자기기
JP5909697B2 (ja) 発光装置および照明器具
KR101082344B1 (ko) 조명장치
JP2022133572A (ja) 照明器具
JP2023148734A (ja) 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