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5825A -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5825A
KR20180025825A KR1020170110880A KR20170110880A KR20180025825A KR 20180025825 A KR20180025825 A KR 20180025825A KR 1020170110880 A KR1020170110880 A KR 1020170110880A KR 20170110880 A KR20170110880 A KR 20170110880A KR 20180025825 A KR20180025825 A KR 20180025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coupling
side wall
unit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0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1191B1 (ko
Inventor
노시청
조범연
전하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룩스
Priority to US16/325,250 priority Critical patent/US10677433B2/en
Priority to PCT/KR2017/009563 priority patent/WO2018044103A1/ko
Publication of KR20180025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5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1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1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4Supporting elements displaceable along a guid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21S8/04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mounted by means of a rigid support, e.g. bracket or a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2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e.g. for foc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21V21/041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 F21V21/042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 F21V21/044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with elastically deformable elements, e.g. spring tongues
    • F21V21/045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with elastically deformable elements, e.g. spring tongues being tensioned by translation of parts, e.g. by pushing or pu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30Pivoted housings or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4Supporting elements displaceable along a guiding element
    • F21V21/35Supporting elements displaceable along a guiding element with direct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supporting element and electric conductors running along the guid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coupling devices, e.g.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조명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조명대상으로 빛을 조사하며 레일부에 결합되는 몸체부 및 몸체부와 함께 레일부에 고정되고 레일부의 전원이 몸체부로 공급됨을 안내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명장치{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다양한 조명을 구현할 수 있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등은 적은 용량의 전원으로 고휘도의 조도효과를 발휘하므로 장식등이나 실내조명등 등과 같이 여러 용도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엘이디 모듈과 회로기판(PCB)이 장착된 알루미늄 재질의 본체에 관체형의 형광커버를 결합하여 통상의 형광등 형태의 엘이디 조명등을 형성한 것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120885호(2009년 11월 25일 공개, 발명의 명칭 : 엘이디 조명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위치에서 다양한 상태의 조명을 구현할 수 있고, 조명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조명대상으로 빛을 조사하며 레일부에 결합되는 몸체부 및 몸체부와 함께 레일부에 고정되고 레일부의 전원이 몸체부로 공급됨을 안내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레일부는, 몸체부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가이드레일부 및 가이드레일부에 설치되며 몸체부에 구비된 전원공급부와 접촉되어 전원공급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극부를 포함한다.
또한 가이드레일부는, 몸체부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홈부가 삽입되기 위한 홈을 형성하는 가이드돌기부 및 가이드돌기부의 양측에 위치하며 고정부의 걸림돌기가 걸리는 홈을 형성하는 걸림부를 포함한다.
또한 몸체부는, 레일부에 결합되는 하우징부와, 하우징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판부와, 기판부에 연결되며 레일부와 접촉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공급부 및 기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빛을 발생시키는 조명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조명유닛은 회동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고정부는, 레일부에 연결된 몸체부의 이동을 구속하며 레일부의 전원이 몸체부로 공급됨을 안내하는 결합부 및 몸체부 또는 결합부에 연결되며 결합부와 연동하여 결합부와 레일부의 결합력을 강화시키는 삽입몸체부를 포함한다.
또한 결합부는, 몸체부에 결합되는 결합몸체 및 결합몸체와 이격되게 구비되는 측벽부를 포함하며, 측벽부와 결합몸체의 사이에 형성된 수용공간으로 삽입몸체부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결합부는 결합몸체와 측벽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측벽부는 외력에 연동되어 연결부재를 기준으로 회동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삽입몸체부는 결합몸체와 측벽부의 사이에 삽입되어 측벽부의 단부에 구비된 걸림돌기가 레일부의 걸림부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삽입몸체부는, 몸체부 또는 결합몸체에 연결되는 이동부재 및 이동부재에서 연장되어 측벽부와 결합몸체의 사이로 삽입되어 측벽부를 회동시키는 간섭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이동부재는 몸체부의 양단에 각각 힌지 연결되어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동부재는 몸체부의 양단에 각각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삽입몸체부는 이동부재에 연결되며 결합부의 측면을 커버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어 복수의 위치 또는 넓은 면적에 대하여 조명할 수 있고, 조명이 필요한 위치에 대해 집중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밝은 조명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받으면서도 외관을 깔끔하고 심플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모듈부의 설치 작업시 전선 등과 같은 부속물과의 간섭 등에 의한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부에 구비되는 삽입몸체부에 의해 레일부와 결합부의 결합상태를 견고히 유지시킬 수 있어 안정적인 전원 연결이 가능하며, 몸체부가 이탈되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몸체부가 결합부에 결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몸체부가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에서 삽입몸체부의 제1변형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에서 삽입몸체부의 제2변형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에서 삽입몸체부의 제3변형예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에서 삽입몸체부의 제4변형예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에서 삽입몸체부의 제5변형예이다.
도 13과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에서 모듈부의 변형예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변형예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의 변형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명의 명칭)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B-B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몸체부가 결합부에 결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몸체부가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는, 조명대상으로 빛을 조사하며 레일부(10)에 결합되는 몸체부(110) 및 몸체부(110)와 함께 레일부(10)에 고정되고 레일부(10)의 전원이 몸체부(110)로 공급됨을 안내하는 고정부(300)를 포함한다. 조명대상이란 조명장치(100)가 빛을 조사하기 위한 대상체로, 조명이 비추는 불특정 공간이나 물체를 통칭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부(10)는 몸체부(110)의 설치와, 위치 조절 및 전원 공급을 위해 구비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부(10)는 가이드레일부(12)와 전극부(15)를 포함한다.
가이드레일부(12)는 조명장치(100)가 설치될 구조물(미도시)에 고정되도록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조명장치(100)는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100)의 설치 위치는 건물의 천장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가구 등과 같이 건물이 아닌 다른 구조물에 설치될 수도 있고, 벽면이나 바닥면 등이 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가이드레일부(12)에는 몸체부(11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는 후술되는 결합부(12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레일부(12)는 가이드돌기부(13)와 걸림부(14)를 포함한다.
가이드돌기부(13)는 몸체부(110)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홈부(114)가 삽입되기 위한 홈을 형성한다. 가이드레일부(12)의 하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돌기부(13)는 2개가 한 쌍을 이루며 가이드레일부(1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가이드돌기부(13)는 몸체부(110)의 가이드홈부(114)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되기 위한 홈을 형성하므로, 몸체부(110)는 레일부(10)를 따라 설치위치의 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걸림부(14)는 가이드돌기부(13)의 양측에 위치하며 고정부(300)의 걸림돌기(125)가 걸리는 홈을 형성한다. 걸림부(14)는 레일부(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을 형성하므로, 몸체부(110)와 고정부(300)가 레일부(1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된 후 고정되는 이전설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전극부(15)는 가이드레일부(12)의 하부에서 가이드레일부(12)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며, 몸체부(110)에 구비된 전원공급부(144)와 접촉되어 전원공급부(144)에 전원을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부(15)는 가이드레일부(12)의 저면에 설치되며, 가이드레일부(12)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가이드레일부(1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전극부(15)는 외부의 전원공급장치(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으며, 후술되는 전원공급부(144)와 접촉되어 전원공급부(14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전극부(15)는 레일부(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부(110)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극부(15)는 알루미늄 재질의 금속판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몸체부(110)는 조명대상으로 빛을 조사하며 레일부(10)에 결합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110)는 레일부(10)에 결합되는 하우징부(111)와, 하우징부(11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빛을 조사하는 모듈부(14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몸체부(110)는 레일부(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몸체부(110)의 하우징부(111)는 부도체로 형성되며, 이러한 하우징부(111)에 모듈부(14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하우징부(111)에는 모듈부(140)의 기판부(142)가 장착되기 위한 기판설치부(112)가 구비된다.
하우징부(111)의 상면에는 가이드홈부(114)가 형성되고, 가이드레일부(12)에는 가이드홈부(114)에 대응되는 가이드돌기부(13)가 형성된다. 가이드홈부(114)와 가이드돌기부(13)는 조명장치(100)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몸체부(110)의 상단은 후술되는 가이드레일부(12)의 걸림부(14)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가이드홈부(114)는 하우징부(111)의 상측 중앙에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에는 장공의 홈을 형성한다. 가이드홈부(114)는 레일부(10)의 가이드돌기부(13)의 내측에 형성됨 홈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가이드홈부(114)와 가이드돌기부(13)는 레일부(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므로 몸체부(110)의 위치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가이드홈부(114)는 가이드돌기부(13)의 내측에 형성된 홈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므로 몸체부(1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한다.
기판설치부(112)는 하우징부(111)의 내측에 기판부(142)가 걸리기 위한 장착홈을 형성한다. 사각판 형상의 기판부(142)가 하우징부(111)의 측면으로 삽입되어 기판설치부(112)에 구비된 장착홈에 걸리므로 기판부(142)의 설치 및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부(140)는 하우징부(11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레일부(10)의 전극부(15)를 통해 전원을 전달받아 빛을 조사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부(140)는 기판부(142)와 전원공급부(144)와 조명유닛(145)을 포함한다.
기판부(142)는 하우징부(111)의 기판설치부(11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기판부(142)에 연결되는 전원공급부(144)는 레일부(10)와 접촉되어 전원을 공급받는다. 그리고 조명유닛(145)은 기판부(1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빛을 발생시키므로 조명대상 공간이나 물체로 빛을 전달한다.
기판부(142)는 하우징부(111)의 기판설치부(112)에 슬라이드 삽입되어 결합된다. 전원공급부(144)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부(142)의 상면 가장자리에 구비되며, 굴곡 형성되는 금속편으로 형성된다. 고정부(300)의 결합몸체(122)에는 전원공급부(144)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방홀(123)이 형성된다. 이때, 결합몸체(122)를 구비한 결합부(120)와 몸체부(110)는 나사 결합된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몸체(122)와 몸체부(110)의 하단은 나사 결합되고, 상단은 개방홀(123)과 굴곡 형성되는 금속편으로 이루어지는 전원공급부(144)의 결합에 의해 결합이 강화되며, 전원공급부(144)와 개방홀(123)에 의해 가고정이 가능하여 조립성이 향상된다.
개방홀(123)을 통해 돌출된 전원공급부(144)는 전극부(15)와 접촉되어 전원을 공급받는다. 이때, 전원공급부(144)는 굴곡형상에 의해 탄성력을 지녀, 전극부(15)를 가압함으로써 안정적인 접촉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조명유닛(145)은 기판부(142)에 구비되는 광원부(146) 및 광원부(146)의 빛을 확산하도록 하우징부(111)에 결합되는 확산부(147)를 포함한다. 광원부(146)는 빛을 발광하는 하나의 발광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광원부(146)를 이루는 발광체는 엘이디(LED) 또는 오엘이디(OLED)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146)는 기판부(142)의 하측에 복수로 설치되며, 확산부(147)는 상측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의 곡면을 형성하며 하우징부(11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확산부(147)는 광원부(146)에서 발생된 빛을 확산시켜 조명대상으로 빛을 확산하는 기능을 구현한다. 확산부(147)를 구비한 모듈부(140)는 하우징부(111)의 하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고정부(300)는 몸체부(110)의 일측이나 타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몸체부(110)의 양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고정부(300)는 몸체부(110)가 레일부(10)를 따라 이동됨을 구속하므로 몸체부(110)의 설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300)는, 레일부(10)에 연결된 몸체부(110)의 이동을 구속하며 레일부(10)의 전원이 몸체부(110)로 공급됨을 안내하는 결합부(120)와, 몸체부(110) 또는 결합부(120)에 연결되며 결합부(120)와 연동하여 결합부(120)와 레일부(10)의 결합력을 강화시키는 삽입몸체부(130)를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120)는 레일부(10)에 연결된 몸체부(110)의 이동을 구속하며, 레일부(10)의 전원이 몸체부(110)로 공급됨을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120)는 결합몸체(122)와 측벽부(124)와 걸림돌기(125)와 연결부재(126)를 포함한다.
결합몸체(122)는 몸체부(110)의 일측이나 타측 또는 양측에 결합된다. 모듈부(140)와 마주하는 결합몸체(122)의 측면은 홈부를 형성하므로, 모듈부(140)의 기판부(142)가 결합몸체(122)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기판부(142)의 상측으로 돌출된 전원공급부(144)는 결합몸체(122)의 상측에 구비된 개방홀(123)을 통해 상측으로 돌출되어 레일부(10)의 전극부(15)에 접한다.
측벽부(124)는 결합몸체(122)와 이격되게 구비되며, 결합몸체(122)의 양측에 세워진 상태의 판을 형성한다. 측벽부(124)와 결합몸체(122)의 사이에 형성된 수용공간(S)으로 삽입몸체부(130)의 이동이 이루어지므로 측벽부(124)가 레일부(10)의 걸림부(14)에 걸려서 몸체부(110)와 함께 레일부(10)에 고정된다. 이러한 결합부(120)는 결합몸체(122)와 측벽부(124)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12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측벽부(124)는 외력에 연동되어 연결부재(126)를 기준으로 회동되게 구비된다.
결합몸체(124)와 측벽부(124)의 사이에는 삽입몸체부(13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S)이 형성된다. 삽입몸체부(130)는 수용공간(S)의 내외측을 이동하면서 측벽부(124)가 레일부(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측벽부(124)를 가압한다. 삽입몸체부(130)의 간섭부재(134)가 측벽부(124)를 가압하므로 측벽부(124)는 레일부(10)의 걸림부(14)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측벽부(124)는 삽입몸체부(130)에 맞물린 상태에서, 삽입몸체부(130)를 통해 레일부(10)에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고정된다.
결합부(120)는 결합몸체부(122)와 측벽부(124)의 사이에 형성된 수용공간(S)에 수용되는 삽입몸체부(130)에 의해 하측부는 외측으로 벌어지고 상측부는 레일부(10)에 밀착되므로 레일부(10)에 더 강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측벽부(124)의 일단에는 굽힘부재(128)를 구비한 걸림돌기(125)가 더 형성되므로, 걸림돌기(125)는 레일부(10)의 걸림부(14)에 안정적으로 걸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레일부(10)의 가장자리에는 측벽부(124)와 결속되도록 걸림부(14)가 형성되고, 측벽부(124)의 단부에는 걸림부(14)에 걸려지도록 내측으로 굴곡된 걸림돌기(125)가 형성된다. 걸림부(14)에 걸리는 걸림돌기(125)의 상측에는 둔각을 형성하는 굽힘부재(128)가 구비된다. 따라서 걸림돌기(125)가 걸림부(14)의 홈에 걸린 상태에서 삽입몸체부(130)에 밀려서 회전될 때, 굽힘부재(128)의 형상에 의해 걸림돌기(125)가 걸림부(14)에 간섭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걸림돌기(125)와 걸림부(14)에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돌기(125)와 걸림부(14)의 내측면 사이에 작동공간을 확보하므로 걸림돌기(125)가 걸림부(14)에 간섭됨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부재(126)는 결합몸체(122)와 측벽부(124) 사이에 구비되어 측벽부(124)의 결합력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재(126)는 측벽부(124)의 중앙부위와 결합몸체(122)의 외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측벽부(124)가 회전 운동을 하게 하는 부재이다. 측벽부(124)는 외력에 연동되어 연결부재(126)를 기준으로 회동되며 탄성을 구비한다. 따라서 연결부재(126)를 기준으로 측벽부(124)의 하단을 누르면 외측으로 벌어지고, 가압력이 해제되면 복원되어 레일부(10)를 가압하므로, 측벽부(124)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돌기(125)에 의해 걸림부(14)에 결합될 수 있다.
삽입몸체부(130)는 몸체부(110)나 결합부(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몸체부(110)나 결합부(12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삽입몸체부(130)는 측벽부(124)와 연동되어 레일부(10)에 대한 측벽부(124)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며, 결합몸체(122)와 측벽부(124)의 사이에 삽입되어 측벽부(124)의 단부에 구비된 걸림돌기(125)가 레일부(10)의 걸림부(14)에 걸리게 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몸체부(130)는, 몸체부(110) 또는 결합몸체(122)에 연결되는 이동부재(132) 및 이동부재(132)에서 연장되어 측벽부(124)와 결합몸체(122)의 사이로 삽입되어 측벽부(124)를 회동시키는 간섭부재(134)를 포함한다. 측벽부(124)는 연결부재(126) 없이 자체의 탄성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연결부재(126)와 연결된 경우에는 연결부재(126)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동부재(132)의 이동으로 간섭부재(134)가 결합몸체(122)와 측벽부(124) 사이에 삽입되어 측벽부(124)의 일단은 간섭부재(134)의 삽입에 의해 벌어지고, 타단은 오므라져 레일부(10)와 측벽부(124)의 결합을 강화시킨다.
이동부재(132)는 몸체부(110)의 양단에 각각 힌지 연결되어 회동된다.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132)는 몸체부(110)로부터 회동되고, 이동부재(132)의 회동에 의해 간섭부재(134)는 결합몸체(122)와 측벽부(124)의 하단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측벽부(124)의 걸림돌기(125)는 레일부(10)에 밀착되어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재(132)는 몸체부(110)의 양단에 각각 힌지 연결되어 회동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삽입몸체부 제1변형예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삽입몸체부(230)의 이동부재(232)에는 결합부(120)의 측면을 커버하는 커버부재(235)가 더 구비된다. 즉, 이동부재(232)는 커버부재(235)에 상부로 굴곡되어 형성되어 'ㄴ'자 단면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동부재(232)의 회동에 의해 간섭부재(234)가 결합부재(124)와 결합몸체부(122)의 사이에 삽입되어 결합부재(134)의 상단을 레일부(10)에 밀착시키고, 커버부재(235)는 결합부(120)의 측면을 커버하여 결합몸체부(122)와 결합부재(124) 사이 틈새를 커버하여 미려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간섭부재(234)가 결합부재(124)와 결합몸체부(122) 사이에 삽입되어 결합부재(134)의 상단을 레일부(10)에 밀착시키는 구성과 동작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삽입몸체부(130)의 동작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의 삽입몸체부 제2변형예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삽입몸체부(230)의 이동부재(232)는 몸체부(110)의 양단에 각각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몸체부(110)에는 가이드홈(110a)이 형성되고, 이동부재(232)는 몸체부(110)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110a)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축(232a)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동부재(232)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간섭부재(234)가 결합몸체부(122)와 결합부재(124)의 사이에 삽입되거나 이탈될 수 있다. 이때 간섭부재(234)는 이동부재(232)의 이동방향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의 삽입몸체부 제3변형예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이동부재(232)의 제2변형예와 동일하게 이동부재(232)는 몸체부(110)의 양단에 각각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러한 이동부재(232)의 이동이 반자동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이동부재(232)에는 가이드축(232a)이 형성되고, 몸체부(110)에는 가이드축(232a)이 수용되는 가이드홈(110a)이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홈(110a)의 내부는 탄성부재(237)에 의해 지지되며, 가이드축(232a)을 선택적으로 밀어내는 작동부재(236)가 구비된다. 이러한 작동부재(236)는 볼펜 등에 적용된 공지 기술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물론, 이동부재(232)가 결합부(120)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다양한 구조적 변경이 가능하다. 이처럼 이동부재(232)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간섭부재(234)가 결합몸체부(122)와 결합부재(124)의 사이에 삽입되거나 반자동으로 이탈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에서 삽입몸체부의 제4변형예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120)의 몸체를 형성하는 결합몸체(122)의 측부에는 삽입몸체부(260)가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삽입몸체부(260)에서 결합몸체(122)를 향하여 연장된 가이드축(262a)은 결합몸체(122)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므로, 삽입몸체부(260)의 측면 슬라이드 이동이 안내된다. 삽입몸체부(260)에서 연장되어 측벽부(124)와 결합몸체(12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삽입되는 간섭부재(264)는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벽부(124)를 회전시켜 레일부(10)의 걸림부(14)에 걸림돌기(125)를 고정시킨다. 간섭부재(264)의 일측(도 11기준 우측)에서 타측(도 11기준 좌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폭이 넓어지는 테이퍼 형상이다. 따라서 간섭부재(264)가 측벽부(124)와 결합몸체(12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삽입될 때, 비교적 폭이 좁은 간섭부재(264)의 일측이 측벽부(124)와 결합몸체(12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삽입몸체부(260)의 이동에 따라 점차로 폭이 넓은 간섭부재(264)의 몸체가 측벽부(124)와 결합몸체(12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삽입되므로 측벽부(124)가 벌어지는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간섭부재(264)의 일측으로 돌출된 가이드축(262a)은 몸체부(110)에 구비된 가이드홈(110a)으로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이 안내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도 10에 도시된 탄성부재(267)와 작동부재(236)가 몸체부(110)의 가이드홈(110a)에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간섭부재(264)에 연결된 커버부재(265)는 결합몸체(122)와 마주하는 판 형상이며, 세워진 상태로 설치된다. 커버부재(265)에서 연장된 가이드봉(266)은 결합몸체(122)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커버부재(265)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된다. 그리고, 커버부재(265)와 결합몸체(122)는 코일스프링을 사용하는 탄성부재(267)에 의해 연결된다. 탄성부재(267)는 결합몸체(12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커버부재(265)를 탄성 가압한다. 그리고, 가이드축(262a)은 결합몸체(122)에 형성된 가이드홈(110a)으로 삽입되어 딸깍하고 걸리는 조작감과 함께 가이드홈(110a)의 내측에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된다. 가이드축(262a)이 가이드홈(110a)의 내측에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되는 동작은 볼펜에 적용된 락킹구조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에서 삽입몸체부의 제5변형예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몸체부(130)는 결합부(120)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삽입몸체부(130)를 구성하는 이동부재(132)가 결합몸체(122)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이동부재(132)가 회전되어 결합몸체(122)의 하부를 감싸는 경우, 이동부재(132)에 연결된 간섭부재(134)가 측벽부(124)와 결합몸체(12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삽입되어 측벽부(124)를 가압하므로 측벽부(124)의 상측에 연결된 걸림돌기(125)가 레일부(10)의 걸림부(14)로 삽입되어 걸린다.
도 13과 도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에서 모듈부의 변형예이다. 도 13과 도 1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유닛(245)은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부위에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이러한 조명유닛(245)은 회동부(25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동부(250)는 몸체부(110)에 구비되고, 볼부재(252) 및 볼부재(252)가 결합되도록 조명유닛(245)에 구비되는 회동홀부(254)를 포함한다. 즉, 볼부재(252)의 외면을 따라 조명유닛(245)은 회동될 수 있다. 이때, 볼부재(252)는 몸체부(110)에 나사 결합되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듈부(140)를 조명기능을 갖는 조명유닛(145,245)으로 도시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듈부(140)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패널, 외부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전원분배장치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한편,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의 변형예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레일부(10)와 레일부(10)에 결합되는 몸체부(110)의 형상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즉, 레일부(10)와 몸체부(110)는 굴절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몸체부(110)의 양단부에는 결합부(120)가 결합되어 다른 실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의 변형예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부(124)는 연결부재(126) 없이 결합몸체(122)에 직접 연결된다. 측벽부(124)는 탄성을 구비한 판 형상이며, 측벽부(124)의 상측에 연결된 걸림돌기(125)는 측벽부(124)의 탄성 변형에 의해 이동되어 레일부(10)의 걸림부(14)에 걸린다. 또한 측벽부(124)의 하측과 결합몸체(122)의 사이로 삽입되는 간섭부재(264)에 의해 측벽부(124)의 형상이 변형되어 측벽부(124)의 상측이 레일부(10)의 걸림부(14)에 접하는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조명유닛(145)이 구비되는 몸체부(110)는 건물의 천장 등과 같은 구조물에 설치된 레일부(10)에 설치된다. 몸체부(110)는 레일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위치가 가변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러한 몸체부(110)의 위치를 조명이 필요한 위치로 조절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명유닛(145)이 구비된 몸체부(110)의 설치 및 전원공급은 다음과 같은 연결구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의 전원공급장치(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은 외부의 전원공급장치와 전극부(15)를 연결하는 전선(미도시) 등에 의해 전극부(15)에 공급된다.
조명유닛(145)이 구비된 몸체부(110)는 고정부(300)에 의해 가이드레일부(12)에 결합된다. 즉, 가이드레일부(12)의 하부에서 상부로 몸체부(110)를 가압하면, 결합부(120)의 측벽부(124)의 걸림돌기(125)가 가이드레일부(12)의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걸림부(14)를 감싸면서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구조로 인하여, 몸체부(110)는 가이드레일부(12)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몸체부(110)의 상면에는 가이드홈부(114)가 형성되고, 가이드레일부(12)의 저면에는 가이드돌기부(13)가 형성되어 상호 대응되므로, 몸체부(110)의 이동시 가이드레일부(12)를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처럼 몸체부(110)가 레일부(10)에 결합되면, 전원공급부(144)는 개방홀(123)을 통해 노출된 상태이므로 전원공급부(144)와 전극부(15)간의 접촉에 의해 전극부(1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44)와 전극부(15)의 연결에 의해 전원공급부(144)는 전극부(15)가 설치된 레일부(10)의 길이방향 어느 위치에서도 전극부(15)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원을 공급받은 전원공급부(144)는 기판부(142)로 전원을 공급하고, 기판부(1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광원부(146)에 전원을 공급한다. 즉, 전원공급부(144)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광원부(146)는 점등되고, 확산부(147)에 의해 확산되므로 몸체부(110)의 위치 변화와 관계없이 조명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결합부(120)에는 삽입몸체부(130)에 의해 몸체부(110)의 결합상태를 견고히 할 수 있다. 이를 살펴보면, 도 5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0)의 양단에 힌지 연결되는 이동부재(132)를 이동시키면, 이동부재(132)에 굴곡되어 형성되는 간섭부재(134)가 결합몸체(122)와 측벽부(124) 사이에 삽입된다. 즉, 간섭부재(134)가 결합몸체(122)와 측벽부(124)의 하단부 사이에 끼워지므로 간섭부재(134)의 두께에 의해 측벽부(124)는 연결부재(126)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하단부가 외측으로 벌어지고, 상단은 가이드레일부(12)의 걸림부(14)를 가압하여 견고히 고정된다. 이처럼, 이동부재(132)의 회동에 의해 측벽부(124)와 걸림부(14)의 결속을 견고히 할 수 있으므로 측벽부(124)의 결속이 해제되어 조명장치(100)가 레일부(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조명장치(100)의 의도되지 않은 위치변경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232)에는 결합부(120)의 측면을 커버하는 커버부재(235)가 연결되어 미려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9와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232)의 가이드축(232a)이 가이드홈(110a)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이동부재(232)에 구비되는 간섭부재(234)가 결합몸체(122)와 측벽부(124)의 사이에 삽입되므로 결합부(130)의 결합을 강화할 수 있다. 특히, 도 10의 경우, 이동부재(232)의 이동이 탄성부재(237)에 의해 지지되고 이동부재(232)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작동부재(236)에 의해 이동부재(232)를 반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몸체(122)의 측면에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몸체부(260)가 설치되며, 이러한 삽입몸체부(260)를 따라 간섭부재(264)가 이동되어 수용공간(S)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측벽부(124)를 회전시킨다. 삽입몸체부(260)와 결합부(120)가 하나의 모듈을 형성하므로 부품관리 및 조립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몸체부(130)가 결합부(120)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조명유닛(145)의 형상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고정부(300)는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3과 도 1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유닛(245)은 스팟조명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회동부(25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공간에 조명할 수 있으며, 도시하지 않지만,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패널 등 다양한 모듈부(140)가 적용될 수도 있다.
도 1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부(10)와 레일부(10)에 결합되는 몸체부(110)의 형상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어 실내공간의 분위기를 다양하게 연출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부(124)가 별도의 연결부재(126) 없이 바로 결합몸체(122)에 연결되며, 측벽부(124)의 탄성에 의해 측벽부(124)의 상측에 연결된 걸림돌기(125)가 레일부(10)의 걸림부(14)에 걸리는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측벽부(124)가 결합몸체(122)에 연결된 부분이 탄성을 구비하므로 측벽부(124)가 회전될 수 있을 경우, 삽입몸체부(130)의 간섭부재(134)가 측벽부(124)와 결합몸체(122)의 사이로 삽입되어 측벽부(124)를 회전시키므로, 걸림돌기(125)가 레일부(10)의 걸림부(14)에 걸려서 이동이 구속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므로 복수의 위치 또는 넓은 면적에 대하여 조명할 수 있고, 조명이 필요한 위치에 대해 집중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밝은 조명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받으면서도 외관을 깔끔하고 심플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모듈부(140)의 설치 작업시 전선 등과 같은 부속물과의 간섭 등에 의한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몸체부(110)에 구비되는 삽입몸체부(130)에 의해 레일부(10)와 결합부(120)의 결합상태를 견고히 유지시킬 수 있어 안정적인 전원 연결이 가능하며, 몸체부(110)가 이탈되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조명장치 10 : 레일부
12 : 가이드레일부 13 : 가이드돌기부
14 : 걸림부 15 : 전극부
110 : 몸체부 111: 하우징부
110a: 가이드홈 112 : 기판설치부
114 : 가이드홈부 120 : 결합부
122 : 결합몸체 123 : 개방홀
124 : 측벽부 125 : 걸림돌기
126 : 연결부재 128: 굽힘부재
130 : 삽입몸체부 132 : 이동부재
134 : 간섭부재 140 : 모듈부
142 : 기판부 144 : 전원공급부
145 : 조명유닛 146 : 광원부
147 : 확산부 230 : 삽입몸체부
232 : 이동부재 232a : 가이드축
234 : 간섭부재 235 : 커버부재
236 : 작동부재 237 : 탄성부재
245 : 조명유닛 250 : 회동부
252 : 볼부재 254 : 회동홀부
260: 삽입몸체부 262a: 가이드축
264: 간섭부재 265: 커버부재
266: 가이드봉 267: 탄성부재
300: 고정부 S: 수용공간

Claims (14)

  1. 조명대상으로 빛을 조사하며 레일부에 결합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와 함께 상기 레일부에 고정되고, 상기 레일부의 전원이 상기 몸체부로 공급됨을 안내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상기 몸체부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가이드레일부; 및
    상기 가이드레일부에 설치되며, 상기 몸체부에 구비된 전원공급부와 접촉되어 상기 전원공급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홈부가 삽입되기 위한 홈을 형성하는 가이드돌기부; 및
    상기 가이드돌기부의 양측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부의 걸림돌기가 걸리는 홈을 형성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레일부에 결합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판부;
    상기 기판부에 연결되며, 상기 레일부와 접촉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기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빛을 발생시키는 조명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유닛은 회동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레일부에 연결된 상기 몸체부의 이동을 구속하며, 상기 레일부의 전원이 상기 몸체부로 공급됨을 안내하는 결합부; 및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며, 상기 결합부와 연동하여 상기 결합부와 상기 레일부의 결합력을 강화시키는 삽입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결합몸체; 및
    상기 결합몸체와 이격되게 구비되는 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벽부와 상기 결합몸체의 사이에 형성된 수용공간으로 상기 삽입몸체부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결합몸체와 상기 측벽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외력에 연동되어 상기 연결부재를 기준으로 회동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몸체부는 상기 결합몸체와 상기 측벽부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측벽부의 단부에 구비된 걸림돌기가 상기 레일부의 걸림부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몸체부는,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결합몸체에 연결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에서 연장되어 상기 측벽부와 상기 결합몸체의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측벽부를 회동시키는 간섭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 각각 힌지 연결되어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 각각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몸체부는, 상기 이동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결합부의 측면을 커버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KR1020170110880A 2016-08-31 2017-08-31 조명장치 KR101981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325,250 US10677433B2 (en) 2016-08-31 2017-08-31 Lighting device
PCT/KR2017/009563 WO2018044103A1 (ko) 2016-08-31 2017-08-31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296 2016-08-31
KR20160111296 2016-08-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825A true KR20180025825A (ko) 2018-03-09
KR101981191B1 KR101981191B1 (ko) 2019-05-22

Family

ID=61727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0880A KR101981191B1 (ko) 2016-08-31 2017-08-31 조명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677433B2 (ko)
KR (1) KR1019811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174B1 (ko) * 2020-01-17 2021-07-06 시그마엘이디 주식회사 장착 및 분리시공이 용이한 위치가변형 엘이디 무빙레일조명장치
US11333310B2 (en) 2020-04-27 2022-05-17 Intense Lighting, Llc Point source light assembly
CN217334596U (zh) * 2022-01-10 2022-08-30 广东意高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发光标识供电导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465Y1 (ko) * 2013-02-18 2014-04-29 김선복 보조걸이수단이 구비된 스포트
KR20140050527A (ko) * 2012-10-19 2014-04-29 주식회사 바이필룩스 조명장치
KR20150088562A (ko) * 2014-01-24 2015-08-03 주식회사 필룩스 커튼걸이용 조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5461B1 (ko) 1996-12-31 1999-07-01 양재신 차량의 자동 실내 조명 장치
KR200302078Y1 (ko) 2002-10-28 2003-01-29 김동선 이동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조명시스템
KR20090120885A (ko) 2008-05-21 2009-11-25 양경호 엘이디 조명등
KR101351358B1 (ko) * 2013-03-05 2014-01-23 주식회사 린노 라인 타입 조명장치
US20150184841A1 (en) * 2013-12-27 2015-07-02 Diode-On Optoelectriconics Limited Track lighting fixture
KR101573218B1 (ko) 2014-01-20 2015-12-01 주식회사 필룩스 이동식 조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699352B1 (ko) 2014-09-24 2017-01-24 (주)이레인텍 방범용 조명기구
US9759403B2 (en) * 2015-09-21 2017-09-12 Generation Brands Llc Recessed lighting system for direct and indirect light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0527A (ko) * 2012-10-19 2014-04-29 주식회사 바이필룩스 조명장치
KR200472465Y1 (ko) * 2013-02-18 2014-04-29 김선복 보조걸이수단이 구비된 스포트
KR20150088562A (ko) * 2014-01-24 2015-08-03 주식회사 필룩스 커튼걸이용 조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1191B1 (ko) 2019-05-22
US10677433B2 (en) 2020-06-09
US20190178480A1 (en) 2019-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1191B1 (ko) 조명장치
KR101508355B1 (ko) 조명장치
US10502395B2 (en) LED downlight capable of regulating illumination Angle
US9200791B2 (en) Lighting apparatus having rail unit
JP5732613B2 (ja) 照明器具
JP5624853B2 (ja) 照明器具
JP3205170U (ja) 調光器
WO2018044103A1 (ko) 조명장치
JP2018060681A (ja) 面発光装置
KR101377968B1 (ko) 조명장치
KR101896625B1 (ko) 회전 및 각도 조절구조를 갖는 천정매입등
JP5938210B2 (ja) 発光源内装ランプ
JP5677538B2 (ja) 照明器具
KR101560659B1 (ko) 조사 방향 조절과 위치 고정이 용이한 조명 조립체
KR101653669B1 (ko) 시스템 마감장치
CN204420783U (zh) 照明器具
CN203836900U (zh) 一种led离线灯
KR102015353B1 (ko) 전원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JP5877384B2 (ja) 照明器具
KR200489639Y1 (ko) 각도 조절이 용이한 트랙 조명기구
US11002430B2 (en) Sliding lamp
CN105299600A (zh) 一种led离线灯
KR200368492Y1 (ko) 스포트 조명
US20230349541A1 (en) Fastening device to secure a lighting assembly and lighting arrangement with at least one of this type of fastening device
JP2011258384A (ja) 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