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9903A - 차량 헤드라이트의 습기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헤드라이트의 습기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9903A
KR20140049903A KR1020120116299A KR20120116299A KR20140049903A KR 20140049903 A KR20140049903 A KR 20140049903A KR 1020120116299 A KR1020120116299 A KR 1020120116299A KR 20120116299 A KR20120116299 A KR 20120116299A KR 20140049903 A KR20140049903 A KR 20140049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light
moisture
vehicle
dehumidify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6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경동
주영도
강정석
전지광
홍성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맥
Priority to KR1020120116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9903A/ko
Publication of KR20140049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99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30Ventilation or drainage of lighting devices
    • F21S45/33Ventilation or drainage of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head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60Heating of lighting devices, e.g. for demi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헤드라이트의 습기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도 승,하강에 따라 습기를 배출 및 흡수하는 재사용 가능한 제습제를 열선을 내장한 히팅부와 결합 구성하고 헤드라이트 동작에 따라 습기의 흡,배출을 자동 조정함으로써 헤드라이트 전원 인가시에 제습제에서 온도 상승에 따라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헤드라이트 내 습기를 제거하도록 하여 저렴한 유지비용으로 효율적으로 습기를 제거하며,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헤드라이트의 후면과 연결되는 전도 연결부를 구성함으로써 헤드라이트의 작동 시에 헤드라이트 내부 및 후면의 반사경 등에서 전도되는 열을 제습제로 효율적으로 전도되도록 하여 헤드라이트 내 습기 제거의 속도를 향상시키고, 차량 내 헤드라이트의 동작 경과 시간에 따른 제습제의 온도 상승 패턴을 고려하여 히팅부의 전원 공급을 제어함으로써 헤드라이트 동작 시에는 제습제가 일정 온도 수준을 유지하도록 하여 차량의 운행 중에 적은 전력을 소모하며 헤드라이트 내 습기를 지속하여 효율적으로 배출하며, 헤드라이트 내 헤드 램프 하우징의 후면 캡의 형태로 구성하고 열선의 전원 공급을 헤드라이트의 전원 공급원과 공유함으로써 기존 차량의 헤드라이트 구조 및 구성의 변경 없이 용이하게 장착하도록 하여 차량 적용의 범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 헤드라이트의 습기 제거 장치{Dehumidifying device for headlight in vehicle}
본 발명은 습기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에 장착된 헤드라이트의 내부에 발생한 습기를 용이하게 제거하도록 한 차량 헤드라이트의 습기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차량의 헤드라이트는 도 1과 같이,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갖는 램프 하우징(20)의 정면에 헤드 램프(10)가 장착되어 이루어져 있으며, 내부에는 리플렉터(30)가 장착되어 주사 광을 정면으로 주사해 주게 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의 헤드라이트는 내부공간이 밀폐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헤드라이트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의 환경에 따라 램프 하우징(20) 표면(예를 들어, 렌즈 등)에 습기로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차량의 헤드라이트는 습기를 외부로 유출할 수 있는 공간이나 수단이 없어 헤드라이트 내, 외의 온도차나 비, 눈 등의 침투로 인하여 습기가 발생하거나 최악의 경우처럼 물이 차게 되면, 헤드라이트의 조도가 저하되고, 습기에 의한 난반사로 인하여 사고의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헤드라이트의 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야간 운행시 헤드라이트 내부에 발생한 습기가 헤드 라이트 조명(10)의 조도를 저하시켜 운전자의 시야 확보에 상당한 지장을 초래하고 있으며, 습기 제거가 불완전한 상태를 장기간 방치하게 되면 누전의 원인이 되어 화재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자동차 제조사의 입장에서는, 신차에서 헤드라이트의 습기가 발생하는 문제로 고객의 민원이 급증하는 경우에는 리콜 대상이 되는 이유로 인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비용이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종래에 헤드라이트 내에 습기를 제거하기 위해서 리플렉터(30) 구조를 변형하거나 습기를 유출시키기 위한 굴곡관을 설치하여 습기를 배출하는 기술이 있었으나, 이는 기계적 구성인 이유로 차량의 기존 설계 구조를 변경해야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차종에 따른 적용의 범용성이 낮았으며 강제적 습기 제거 방식이 아니어서 습기 제거의 속도가 낮아 실효성이 크게 떨어졌다.
더불어, 내부에 쿨링 장치를 부착하여 습기를 제거하는 기술도 있었으나, 쿨링에 의한 제습은 헤드 라이트 내부의 열로 인해 습기 제거의 효율성이 낮고 쿨링 장치의 부피가 상당하여 실용화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일정 수준 이상의 습기 제거 효율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습기 제거의 속도가 신속하며 낮은 유지 비용으로 기존의 차종에 관계없이 범용적으로 적용 가능하여 헤드라이트의 조도 향상을 도모하며 누전을 방지하여 차량의 안전 운행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차량 헤드라이트의 습기 제거 장치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국 공개 특허 특2002-0015497호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 실시 예의 목적은 온도 승,하강에 따라 습기를 배출 및 흡수하는 재사용 가능한 제습제를 열선을 내장한 히팅부와 결합 구성하고 헤드라이트 동작에 따라 습기의 흡,배출을 조정함으로써 헤드라이트 전원 인가시에 제습제에서 온도 상승에 따라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헤드라이트 내 습기를 제거하도록 한 차량 헤드라이트의 습기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 실시 예의 다른 목적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헤드라이트의 후면과 연결되는 전도 연결부를 구성함으로써 헤드라이트의 작동 시에 헤드라이트 내부 및 후면의 반사경 등에서 전도되는 열을 제습제로 효율적으로 전도되도록 한 차량 헤드라이트의 습기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 실시 예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 내 헤드라이트의 동작 경과 시간에 따른 제습제의 온도 상승 패턴을 고려하여 히팅부의 전원 공급을 제어함으로써 헤드라이트 동작 시에는 제습제가 일정 온도 수준을 유지하도록 한 차량 헤드라이트의 습기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 실시 예의 또 다른 목적은 헤드라이트 내 헤드 램프 하우징의 후면 캡의 형태로 구성하고 열선의 전원 공급을 헤드라이트의 전원 공급원과 공유함으로써 기존 차량의 헤드라이트 구조 및 구성의 변경 없이 용이하게 장착하도록 한 차량 헤드라이트의 습기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헤드라이트의 습기 제거 장치는 차량 헤드라이트의 헤드 램프 하우징 후면의 일 구성으로, 상기 헤드라이트 내부와 대면하는 방향으로 통기 구조가 형성되어 상기 헤드라이트 내부의 습기를 흡수하고 온도 상승에 따라 흡수한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온도 변화에 따라 재사용 가능한 제습제를 내장한 제습부 및 상기 제습부와 인접 배치하여 구성되며, 열선을 내장하여 상기 제습제가 습기를 배출하는 수준 이상의 열을 상기 제습부의 제습제로 전달하는 히팅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습부는 상기 제습제로 실리카 겔(Silica gel)을 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습부 및 상기 히팅부는 상기 헤드 램프 하우징의 후면 캡의 형태로 상기 램프 하우징의 차체 측 방향에 구성되고, 상기 히팅부는 상기 후면 캡의 일 측에 상기 열선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 선이 구성되되, 상기 전원 선은 상기 헤드라이트의 전원 공급원과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량 헤드라이트의 습기 제거 장치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헤드라이트의 후면과 상기 후면 캡의 일면을 연결하여 상기 헤드라이트의 작동 시에 후면에서 전도되는 열을 상기 제습부로 전달하는 전도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면 캡은 상기 헤드라이트의 램프 하우징 후면과 밀착하여 배치되며, 상기 전도 연결부는 상기 헤드라이트의 램프 하우징 후면 및 상기 후면 캡이 밀착하는 각각의 밀착 면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차량 헤드라이트의 습기 제거 장치는 헤드라이트 동작 시에는 상기 제습부가 일정 온도 수준을 유지하도록 상기 차량 내 헤드라이트의 동작 경과 시간에 따른 상기 제습부의 온도 상승 패턴을 고려하여 상기 히팅부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온도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온도 조절부는 바이메탈(bimetal) 또는 전자식 타이머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헤드라이트의 습기 제거 장치는 온도 승,하강에 따라 습기를 배출 및 흡수하는 재사용 가능한 제습제를 열선을 내장한 히팅부와 결합 구성하고 헤드라이트 동작에 따라 습기의 흡,배출을 자동 조정함으로써 헤드라이트 전원 인가시에 제습제에서 온도 상승에 따라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헤드라이트 내 습기를 제거하도록 하여 저렴한 유지비용으로 효율적으로 습기를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헤드라이트의 습기 제거 장치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헤드라이트의 후면과 연결되는 전도 연결부를 구성함으로써 헤드라이트의 작동 시에 헤드라이트 내부 및 후면의 반사경 등에서 전도되는 열을 제습제로 효율적으로 전도되도록 하여 헤드라이트 내 습기 제거의 속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헤드라이트의 습기 제거 장치는 차량 내 헤드라이트의 동작 경과 시간에 따른 제습제의 온도 상승 패턴을 고려하여 히팅부의 전원 공급을 제어함으로써 헤드라이트 동작 시에는 제습제가 일정 온도 수준을 유지하도록 하여 차량의 운행 중에 적은 전력을 소모하며 헤드라이트 내 습기를 지속하여 효율적으로 배출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헤드라이트의 습기 제거 장치는 헤드라이트 내 헤드 램프 하우징의 후면 캡의 형태로 구성하고 열선의 전원 공급을 헤드라이트의 전원 공급원과 공유함으로써 기존 차량의 헤드라이트 구조 및 구성의 변경 없이 용이하게 장착하도록 하여 차량 적용의 범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헤드라이트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헤드라이트의 습기 제거 장치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헤드라이트의 습기 제거 장치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헤드라이트의 습기 제거 장치의 결합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습부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헤드라이트의 습기 제거 장치의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도 연결부 및 전원 연결부의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도 조절부의 구성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도 조절부의 온도 조정 그래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들과 실시 예들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헤드라이트의 습기 제거 장치(100)의 개략도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헤드라이트의 습기 제거 장치(100)는 차량 헤드라이트의 헤드 램프 하우징 후면의 일 구성으로, 차체 측 방향에 배치되어 헤드램프(10: Head lamp)의 습기를 흡수(1)하는 제습제를 내장한 제습부(110) 및 상기 제습부(110)의 온도를 상승(2)시켜 습기를 배출(3)시키는 히팅부(120)를 포함한다.
차량의 헤드라이트는 작동 시에는 헤드 램프(10)의 열로 인해 내부의 온도가 서서히 40 ~ 50도 이상까지 상승하여 오랜 주행시에는 그 열기로 습기가 증발하게 되나, 차량의 정차 중과 같이 헤드 램프(10)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램프 하우징 내부에 지속적으로 습기가 차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헤드라이트의 습기 제거 장치(100)는 온도에 따라 습기를 흡, 배출하는 재사용 가능한 제습제를 구비하는 제습부(110) 및 상기 제습제로 열을 전달하는 히팅부(120)를 인접 구성하여 차량 대기시나 헤드 램프(10) 오프(Off) 시와 같이 전원 공급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습제가 헤드라이트 내부의 습기를 흡수하게 하고 헤드라이트의 작동시에 같이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제습제에 축적된 습기를 외부로 방출하도록 구성하여 지속적인 제습 효과를 발생하도록 구성한다.
이를 위해, 헤드라이트의 전원 배선에 상기 히팅부(120)의 전원 연결부(150)를 결선하여 헤드라이트의 동작시에 상기 히팅부(120)가 상기 제습부(110)로 열을 공급(2)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 차량 헤드라이트의 습기 제거 장치(100)는 온도 승,하강에 따라 습기를 배출 및 흡수하는 재사용 가능한 제습제를 열선(Heating coil)을 내장한 히팅부(120)와 결합 구성하고 헤드라이트 동작에 따라 습기의 흡,배출을 자동 조정하여 헤드라이트 전원 인가시에 제습제에서 온도 상승에 따라 습기를 외부로 배출(3)하도록 구성하여 저렴한 유지비용으로 효율적으로 헤드라이트 내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헤드라이트의 습기 제거 장치의 예시도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헤드라이트의 습기 제거 장치(100)는 상기 제습부(110) 및 상기 히팅부(120)를 상기 헤드 램프 하우징(20)의 후면 캡(100)의 형태로 인접 배치하여 상기 램프 하우징(20)의 차체 측 방향에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기 차량 헤드라이트의 습기 제거 장치(100)는 상기 제습부(110) 및 상기 히팅부(120)가 상기 헤드 램프 하우징(20)의 후면 캡(100)의 형태로 상기 램프 하우징(20)의 차체 측 방향에 구성되고, 상기 히팅부(120)는 상기 후면 캡(100)의 일 측에 상기 열선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 선이 구성되되, 상기 전원 선은 상기 헤드 램프(10)의 전원 공급원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헤드라이트 내 헤드 램프 하우징(20)의 후면 캡(100)의 형태로 구성하고 열선의 전원 공급을 헤드 램프(10)의 전원 공급원과 공유하는 구성을 통해 기존 차량의 헤드라이트 구조 및 구성의 변경 없이 용이하게 장착하도록 하여 차량 적용의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헤드라이트의 습기 제거 장치의 결합 예시도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차량 헤드라이트의 습기 제거 장치는 차량 헤드라이트의 헤드 램프 하우징(20) 후면, 즉 차체 측 방향의 일 구성으로 배치하되, 상기 헤드라이트 내부와 대면하는 방향으로 통기 구조가 형성되어 상기 헤드라이트 내부의 습기를 흡수하고 온도 상승에 따라 흡수한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온도 변화에 따라 재사용 가능한 제습제를 내장한 제습부(110) 및 상기 제습부(110)와 인접 배치하여 구성되며, 열선을 내장하여 상기 제습제가 습기를 배출하는 수준 이상의 열을 상기 제습부(110)의 제습제로 전달하는 히팅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 헤드라이트의 습기 제거 장치(100)는 도 3 및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후면 캡(100)의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헤드 램프(10) 하우징(20)의 차체 측 방향에 밀폐 가능한 타 형태로 구성하는 등 그 외관은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헤드라이트의 습기 제거 장치(100)의 제습부(110) 및 히팅부(120)도 통기 구조를 유지하며 제습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배치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시한 바와 같이, 제습부(110)를 내측에 배치하고 히팅부(120)를 상기 제습부(110)를 감싸는 형태로 외벽 측에 배치하여 열을 제습부(110)로 전달하는 배치도 가능하다.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면 캡(100)의 내부에 제습부(110)를 차량의 전면 방향에 배치하고 히팅부(120)를 상기 제습부(110)의 뒤쪽 즉 차체 측에 배치하여 상기 히팅부(120)의 열로 인해 상기 제습제에 포함된 습기가 차체 측 방향으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히팅부(120)는 상기 제습부(110)가 형성한 통기 구조를 유지하여 습기 배출이 용이하도록 내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습부(110)의 예시도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습부(110)는 소정 온도에서는 습기를 흡수하고 일정 수준 이상 상기 소정 온도보다 상승하면 습기를 배출하여 온도 변화에 따라 반복적 재사용이 가능한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기 제습제로 실리카 겔(112: Silica gel)을 내장할 수 있다.
상기 실리카 겔(112)은 수증기나 가스의 흡착력이 커서 건조제, 흡착제, 급수제로 많이 사용되며, 섭씨 40 ~ 50도 정도 이하에서는 습기를 흡수하고 그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하면 습기를 배출하여 반 영구적으로 재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리카 겔(112)은 중량의 약 30% 정도의 습기를 흡수할 수 있는 뛰어난 제습력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습기 제거 장치(100)는 이를 이용하여 헤드라이트 전원 및 히팅부(12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는 실리카겔(112)이 습기를 흡수하도록 하고, 헤드라이트 전원 및 히팅부(120)의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는 헤드램프(10) 또는 열선에 의한 온도 상승에 의해 제습제로부터 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헤드 램프(10) 및 헤드라이트에서 습기를 제거하도록 구성한다.
다시 말하면, 전원 공급이 없는 경우에는 제습제에 의한 자연 건조 방식으로 헤드 라이트를 제습하며,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는 열선에 의해 제습제의 제습 용량을 복원시켜 지속적 재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제습부(110)는 내부에 포함되는 실리카 겔(112)의 알갱이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금속 재질 또는 타 재질로 이루어진 그물망과 같은 형태의 이탈 방지 구조(111)를 구성하여 통기성을 유지하며 제습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헤드라이트의 습기 제거 장치의 개략도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헤드라이트의 습기 제거 장치(100)는 차량 헤드라이트의 헤드 램프(10) 하우징 후면의 일 구성으로, 상기 헤드라이트 내부와 대면하는 방향으로 통기 구조가 형성되어 상기 헤드라이트 내부의 습기를 흡수(1)하고 온도 상승(2)에 따라 흡수한 습기를 외부로 배출(3)하여 온도 변화에 따라 재사용 가능한 제습제를 내장한 제습부(110), 상기 제습부(110)와 인접 배치하여 구성되며, 열선을 내장하여 상기 제습제가 습기를 배출할 수 있는 정도 이상의 열을 상기 제습부(110)의 제습제로 전달하는 히팅부(120),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헤드라이트의 후면과 상기 후면 캡의 일면을 연결하여 상기 헤드라이트의 작동 시에 후면에서 전도되는 열을 상기 제습부(110)로 전달(4)하는 전도 연결부(130) 및 헤드라이트 동작 시에는 상기 제습부(110)가 일정 온도 수준을 유지하도록 상기 차량 내 헤드라이트의 동작 경과 시간에 따른 상기 제습부(110)의 온도 상승 패턴을 고려하여 상기 히팅부(120)의 전원 공급을 제어(5)하는 온도 조절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전도 연결부(130)는 헤드라이트 내부 및 후면의 반사경 등에서 전도되는 열을 제습제로 효율적으로 전도(4)되도록 하여 헤드라이트 내 습기 제거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온도 조절부(140)는 차량 내 헤드라이트의 동작 경과 시간에 따른 제습제의 온도 상승 패턴을 고려하여 히팅부(120)의 전원 공급을 제어(5)하여 헤드라이트 동작 시에는 제습제가 일정 온도 수준을 유지하도록 하므로 차량의 운행 중에 적은 전력을 소모하며 헤드라이트 내 습기를 지속하여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도 연결부(130) 및 전원 연결부(150)의 예시도다.
상기 전도 연결부(130)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기 후면 캡은 상기 헤드라이트의 램프 하우징 후면(20)과 밀착하여 배치되며, 이때, 상기 전도 연결부(130)는 상기 헤드라이트의 램프 하우징(20) 후면 및 상기 후면 캡이 밀착하는 각각의 밀착 면(131,132)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전도 연결부(130)는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면(131)은 헤드 램프 하우징(20)의 차체 측 후면 방향으로 상기 후면 캡과 나사 결합하며 밀착되는 일부 면(131)에 열 전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구성하고, 도 7b와 같이, 타면(132)은 상기 후면 캡이 상기 하우징의 일면(131)과 접촉하는 밀착 면(132)에 열 전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형성하여 후면 캡을 잠글 경우 양면(131,132)이 밀착하여 열 전도성을 유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면 캡에 구성되는 전도 연결부(130)의 타면(132)은 열 전도에 의한 습기 제거의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밀착 면(132)으로부터 제습부(110)의 외벽을 감싸도록 연결 구성(133)되어 상기 제습부(110)에 내장된 제습제에 열을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전도 연결부(13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헤드라이트의 후면 차체 측과 연결되는 구성을 통해, 헤드라이트의 작동 시에 헤드라이트 내부 및 후면의 반사경 등에서 전도되는 열이 제습제로 효율적으로 전도되도록 하여 헤드라이트 내 습기 제거의 속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온도 조절부(140)는 상기 히팅부(120)의 전원 연결부(150)에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도 조절부(140)의 구성 예시도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온도 조절부(140)는 바이메탈(bimetal) 또는 전자식 타이머를 이용하여 상기 히팅부(120)의 전원 연결부(150)에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바이메탈은 열 팽창률이 다른 두 개의 금속판을 접착한 것으로, 평판형 등으로 구성하여 온도에 따라 개폐되는 스위치로 이용할 수 있다.
전원 공급시에 상기 히팅부(120)가 순간적으로 강한 열을 발산하는 경우에는, 제습제에서 방출되는 습기의 양이 일시적으로 과도해져 헤드램프(10) 또는 램프 하우징(20) 내벽에 재응결되는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상기 온도 조절부(140)는 재응결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최대한 습기를 배출할 수 있는 적정한 히팅 온도로 히팅부(120)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제습 효과를 극대화하도록 스위치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온도 조절부(140)를 구비한 습기 제거 장치(100)는 비교적 단순한 구성으로 적용이 용이하며 제작 비용이 저렴한 데 비해, 그 제습 효과 및 장착의 범용성이 높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도 조절부(140)의 온도 조정 그래프다.
도 9a를 참조하면, 헤드라이트에 전원 공급할 때 상기 온도 조절부(140)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차량 헤드라이트의 내부 온도(11)가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야 소정 온도로 수렴되어 헤드라이트 내부 열로 인한 제습제의 습기 방출 효과는 헤드 라이트의 동작 이후 내부 온도가 일정 수준에 도달하기까지 어느 정도 지체된다.
반면, 상기 온도 조절부(140)를 포함하는 차량 헤드 라이트의 습기 제거 장치(100)는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온도 조절부(140)가 내부 온도가 상승하기 전인 차량 헤드라이트의 동작 초기에는 히팅부(120)의 히팅 온도를 급격히 올리도록 제어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헤드라이트의 온도 상승 패턴을 고려하여 서서히 히팅부(120)의 온도가 낮아지도록 제어(12)하여, 제습제에 반영되는 열을 헤드라이트 동작시간의 경과에 관계없이 습기 배출 효과가 지속적으로 발휘되는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온도 조절부(140)는 상기 헤드라이트의 내부 열 및 히팅부(120)의 발생 열로 인해 상기 제습제로 반영되는 열 또는 온도를 도 8에서 상술한 재응결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적정 온도의 수준으로 유지하도록 온도 스위치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헤드 라이트의 습기 제거 장치(100)는 소형 팬(pan) 등을 더 부가 구성하여 제습제에 함유된 습기를 강제적으로 배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헤드라이트의 습기 제거 장치(100)는 차량 내 헤드라이트의 동작 경과 시간에 따른 제습제의 온도 상승 패턴을 고려하여 히팅부(120)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헤드라이트 동작 시에는 제습제가 일정 온도 수준을 유지하도록 하므로 적은 전력으로 차량의 운행 중에 헤드라이트 내 습기를 지속적이며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 헤드 램프 20: 램프 하우징
100: 습기 제거 장치 110: 제습부
111: 제습제 이탈 방지 구조 112: 제습제
120: 히팅부 121: 열선
130: 전도 연결부 131,132,133: 전도 연결 부재
140: 온도 조절부 150: 전원 연결부

Claims (7)

  1. 차량 헤드라이트의 헤드 램프 하우징 후면의 일 구성으로, 상기 헤드라이트 내부와 대면하는 방향으로 통기 구조가 형성되어 상기 헤드라이트 내부의 습기를 흡수하고 온도 상승에 따라 흡수한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온도 변화에 따라 재사용 가능한 제습제를 내장한 제습부;및
    상기 제습부와 인접 배치하여 구성되며, 열선을 내장하여 상기 제습제가 습기를 배출하는 수준 이상의 열을 상기 제습부의 제습제로 전달하는 히팅부;를 포함하는 차량 헤드라이트의 습기 제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부는
    상기 제습제로 실리카 겔(Silica gel)을 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헤드라이트의 습기 제거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부 및 상기 히팅부는 상기 헤드 램프 하우징의 후면 캡의 형태로 상기 램프 하우징의 차체 측 방향에 구성되고,
    상기 히팅부는 상기 후면 캡의 일 측에 상기 열선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 선이 구성되되, 상기 전원 선은 상기 헤드라이트의 전원 공급원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헤드라이트의 습기 제거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헤드라이트의 후면과 상기 후면 캡의 일면을 연결하여 상기 헤드라이트의 작동 시에 후면에서 전도되는 열을 상기 제습부로 전달하는 전도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헤드라이트의 습기 제거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캡은 상기 헤드라이트의 램프 하우징 후면과 밀착하여 배치되며,
    상기 전도 연결부는 상기 헤드라이트의 램프 하우징 후면 및 상기 후면 캡이 밀착하는 각각의 밀착 면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헤드라이트의 습기 제거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헤드라이트 동작 시에는 상기 제습부가 일정 온도 수준을 유지하도록 상기 차량 내 헤드라이트의 동작 경과 시간에 따른 상기 제습부의 온도 상승 패턴을 고려하여 상기 히팅부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온도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헤드라이트의 습기 제거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부는
    바이메탈(bimetal) 또는 전자식 타이머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헤드라이트의 습기 제거 장치.
KR1020120116299A 2012-10-18 2012-10-18 차량 헤드라이트의 습기 제거 장치 KR201400499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299A KR20140049903A (ko) 2012-10-18 2012-10-18 차량 헤드라이트의 습기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299A KR20140049903A (ko) 2012-10-18 2012-10-18 차량 헤드라이트의 습기 제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9903A true KR20140049903A (ko) 2014-04-28

Family

ID=50655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6299A KR20140049903A (ko) 2012-10-18 2012-10-18 차량 헤드라이트의 습기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9903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6774B1 (ko) * 2015-05-21 2016-06-02 박용국 차량 램프 제습장치
WO2018139760A1 (ko) * 2017-01-25 2018-08-02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캡 타입 벤트
US10184636B2 (en) 2016-09-13 2019-01-22 Hyundai Motor Company Head lamp for vehicle including moisture removing apparatus
KR20190091991A (ko) * 2018-01-30 2019-08-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의 흡습장치
US10436412B2 (en) 2016-07-29 2019-10-08 Lg Electronics Inc. Lamp assembly for vehicle
KR102233831B1 (ko) 2020-03-05 2021-03-30 정종삼 흡습성과 내방출성이 개선된 자동차 램프용 조습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습 제품
KR20220114770A (ko) * 2021-02-09 2022-08-17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열촉진유닛이 구비된 차량용 조명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6774B1 (ko) * 2015-05-21 2016-06-02 박용국 차량 램프 제습장치
US10436412B2 (en) 2016-07-29 2019-10-08 Lg Electronics Inc. Lamp assembly for vehicle
US10184636B2 (en) 2016-09-13 2019-01-22 Hyundai Motor Company Head lamp for vehicle including moisture removing apparatus
WO2018139760A1 (ko) * 2017-01-25 2018-08-02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캡 타입 벤트
US11104264B2 (en) 2017-01-25 2021-08-31 Amogreentech Co., Ltd. Cap-type vent
KR20190091991A (ko) * 2018-01-30 2019-08-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의 흡습장치
KR102233831B1 (ko) 2020-03-05 2021-03-30 정종삼 흡습성과 내방출성이 개선된 자동차 램프용 조습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습 제품
KR20220114770A (ko) * 2021-02-09 2022-08-17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열촉진유닛이 구비된 차량용 조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49903A (ko) 차량 헤드라이트의 습기 제거 장치
US10648639B2 (en) Dehumidifying apparatus
KR101856359B1 (ko) 습기제거장치가 구비된 차량용 헤드램프
JP7036937B2 (ja) パッキン構造の赤外線乾燥機能および排気機能を有するヘッドランプバックカバー
CN205828597U (zh) 一种新能源汽车蓄电池冷却装置
CN207880747U (zh) 一种led照明车灯湿气去除装置
KR101786198B1 (ko) 차량용 램프의 제습장치
KR101382455B1 (ko) 차량용 램프 장치
CN107013859B (zh) 飞行器外部灯装置
CN106838762A (zh) 一种汽车前照灯
CN108916818A (zh) 防起雾装置、车灯、汽车及防起雾控制方法
KR20140049901A (ko) 헤드램프 습기 제거 시스템
KR101072715B1 (ko) 램프용 습기제거장치
CN204962532U (zh) 一种散热车灯
KR102078415B1 (ko) 온풍기 겸용 조명기구
KR101275530B1 (ko) 헤드 라이트의 제습용 내부 쿨링 장치
JP2005222785A (ja) 車両用灯具
KR0122066Y1 (ko) 자동차 헤드램프의 습기 제거장치
CN110145721B (zh) 一种传感器和摄像头相结合的智慧型led大灯
JP6113488B2 (ja) 照明および/または信号装置、ならびに該装置を備える自動車
KR20160050278A (ko) 차량용 램프 장치
CN204026439U (zh) 一种汽车led前大灯模组
CN113227647B (zh) 机动车照明装置及用于控制其元件的方法
KR100534885B1 (ko)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냉각장치
KR102371068B1 (ko) 잠열 축열 물질을 이용한 헤드램프 습기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헤드램프 습기 방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