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8523A - 휴대 단말기의 차량 연계 운용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차량 연계 운용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8523A
KR20140048523A KR1020120114563A KR20120114563A KR20140048523A KR 20140048523 A KR20140048523 A KR 20140048523A KR 1020120114563 A KR1020120114563 A KR 1020120114563A KR 20120114563 A KR20120114563 A KR 20120114563A KR 20140048523 A KR20140048523 A KR 20140048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nnector
function
registered
operation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4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8281B1 (ko
Inventor
최보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4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8281B1/ko
Priority to US14/055,733 priority patent/US9703528B2/en
Publication of KR20140048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8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ocessing data by operating upon the order or content of the data hand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 H04M1/6083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by interfacing with the vehicle audio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차량 연계 운용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용 전자 제어 시스템이 시동 온-오프에 따라 동작하며, 상기 차량용 전자 제어 시스템에 연결된 차량용 커넥터를 포함하는 차량, 상기 차량용 커넥터 연결 여부에 따라 단말기 자체에서 지원되는 사전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사용자 기능을 자동으로 활성화하도록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차량 연계 운용 시스템과, 시스템을 구성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차량 연계 운용 방법의 구성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차량 연계 운용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Portable Device Operating Method for Cooperating with on automobile and System thereof,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운용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기를 차량과 연계하여 차량 특화된 특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차량 연계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통신 기능을 가지며 그 크기가 휴대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작아서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최근 들어 터치스크린 크기가 확대됨과 아울러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지원에 힘입어 극적인 성장을 구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차량은 제2의 집이라고 할 정도로 많은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기기 중 하나가 되어가고 있다. 이제는 집집마다 차량이 두 대가 배치될 정도로 많은 차량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차량들은 최근에는 전자 시스템이 적용되면서 엔진 제어나 위치 제어, 속도 제어 등 다양한 기기 시스템이 전자적으로 제어되고 있다.
이에 따라 차량과 휴대 단말기를 연계하여 특정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휴대 단말기 및 차량 운전자의 편의를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의 제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것으로, 휴대 단말기가 차량용 커넥터에 접속되는 경우 사전 정의된 탑승용 특정 기능을 자동으로 제공하며, 차량용 커넥터의 접속 해제가 발생하는 경우 차량 하차용 특정 기능을 자동으로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조작 없이도 보다 편리한 휴대 단말기 이용 환경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의 차량 연계 운용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용 전자 제어 시스템이 시동 온-오프에 따라 동작하며, 상기 차량용 전자 제어 시스템에 연결된 차량용 커넥터를 포함하는 차량, 상기 차량용 커넥터 연결 여부에 따라 단말기 자체에서 지원되는 사전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사용자 기능을 자동으로 활성화하도록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차량 연계 운용 시스템의 구성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차량용 커넥터가 분리되는 과정, 사전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이 등록된 하차 운용 리스트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탑승 운용 리스트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을 자동으로 활성화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차량 연계 운용 방법의 구성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또한, 커넥터에 차량용 커넥터가 접속되는 접속 과정, 사전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이 등록된 탑승 운용 리스트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탑승 운용 리스트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을 자동으로 활성화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차량 연계 운용 방법의 구성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또한, 차량용 커넥터가 접속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에 접속된 상기 차량용 커넥터가 연결 해제되는 경우 사전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이 등록된 하차 운용 리스트를 확인하고, 상기 하차운용 리스트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을 자동으로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연계 운용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또한, 차량용 커넥터가 접속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에 상기 차량용 커넥터가 접속되는 경우 사전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이 등록된 탑승 운용 리스트를 확인하고, 상기 탑승 운용 리스트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을 자동으로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연계 운용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시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차량 연계 운용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여 차량용 시스템과 연결될 수 있도록 비치된 차량용 커넥터와 휴대 단말기를 단순히 연결하는 동작만으로 차량 탑승 중에 이용하는 다양한 기능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본 발명은 또한 차량용 커넥터와 휴대 단말기를 분리하는 동작만으로 차량 하차 상태에 따른 휴대 단말기 기능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차량 연계 운용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휴대 단말기 구성 중 제어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차량 연계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나타낸 화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화면 인터페이스의 다른 예를 나타낸 화면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차량 연계 운용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차량 연계 운용 시스템(10)은 차량(200) 및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연계 운용 시스템(10)은 차량용 전자 제어 시스템(220)과 연결된 차량용 커넥터(210)를 휴대 단말기(100)와 연결하고 차량용 전자 제어 시스템(220)이 활성화되면 휴대 단말기(100)가 차량(200)과 연결됨을 인식하고 사전 정의된 탑승 운용 리스트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을 활성화하고 해당 기능을 자동으로 지원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연계 운용 시스템(10)은 차량용 커넥터(210)와 휴대 단말기(100)를 분리하는 경우 하차 운용 리스트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을 활성화하고 해당 기능을 자동으로 지원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연계 운용 시스템(10)은 차량용 커넥터(210)에 단순히 휴대 단말기(100)를 연결하고 연결 해제는 동작만으로도 사전 정의된 특정 사용자 기능들을 자동으로 활성화하도록 지원받을 수 있다. 특히 차량과 연계된 사용자 기능을 자동으로 지원받음으로써 차량 운행과 관련된 보다 편리한 휴대 단말기(100) 운용을 수행할 수 있다.
차량(2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인원이나 화물을 싣고 운반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차량(200)은 차량 운행과 관련된 다양한 기능 등을 전자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차량용 전자 제어 시스템(220)이 장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용 전자 제어 시스템(220)은 OBD(On Board Diagonsis)I 또는 OBDII가 장착되어 차량(200)의 전반적인 구동 기능 제어를 지원하는 시스템이 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배출가스 제어나 엔진 제어, 라이트 제어, 브러쉬 제어 등 다양한 제어를 전자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용 전자 제어 시스템(220)은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위하여 OBD 단자 또는 OBD 커넥터에 해당하는 차량용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OBD 단자는 차량용 커넥터(210)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차량용 커넥터(210)는 휴대 단말기(100)에 마련된 외부 연결 커넥터와 연결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용 커넥터(210)는 20핀 삽입 형태의 커넥터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차량용 커넥터(210)는 다양한 휴대 단말기(100)의 다양한 커넥터 구조에 채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용 커넥터(210)는 USB 커넥터 타입으로도 구현이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구성의 차량(200)은 사용자가 탑승한 이후 차량 시동 조작 신호가 수신되면, 차량용 전자 제어 시스템(220)을 활성화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용 전자 제어 시스템(220)은 차량(200)의 전반적인 구성들을 초기화한다. 이때 차량용 전자 제어 시스템(220)은 차량용 커넥터(210)에 신호를 송출하여 특정 외부 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차량용 전자 제어 시스템(220)은 OBD 제어 신호를 차량용 커넥터(210)에 전송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파지하거나 휴대할 수 있으며 차량(200)의 일정 위치에 비치 또는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10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다양한 사용자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는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의 종류 및 사용자 조작에 따라 내비게이션 지원 기능, 블랙박스 지원 기능, 음악 재생 기능, 통화 기능, 검색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상술한 기능들 중 사용자가 사전 정의된 차량 탑승 운용 리스트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을 차량용 커넥터(210) 연결 시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차량용 커넥터(210)가 분리된 경우 차량(200) 하차로 판단하고 그에 대응하는 사전 정의된 하차 운용 리스트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을 자동으로 활성화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계 운용 시스템(10)은 휴대 단말기(100)를 운용하는 운용자가 차량(200) 탑승 시 특정 사용자 목록 확인 및 해당 목록에서의 특정 기능 선택과 활성화를 제어하지 않더라도 사전 설정된 특정 사용자 기능을 자동으로 활성화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차량 운전에 보다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사용자 설정에 따라 차량(200) 하차 시에도 적응적으로 차량과 연계된 기능을 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된 차량 운용을 지원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연계 운용 시스템(10)의 구성을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오디오 처리부(130), 표시부(140), 저장부(150) 및 제어부(160)의 구성을 포함하며, 커넥터(170), 위치 추적 모듈인 GPS(180)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휴대 단말기(100)는 커넥터(170)에 차량용 커넥터(210)가 연결되면 저장부(150)에 저장된 탑승 운용 리스트(151)를 기반으로 특정 사용자 기능을 자동으로 활성화하도록 지원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차량(200) 탑승 이후 별도의 사용자 기능 선택을 위한 검색 및 조작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차량용 커넥터(210) 연결만을 통하여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특정 사용자 기능으로 자동으로 활성화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차량(200)의 시동이 턴-온되어 차량용 전자 제어 시스템(220)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차량용 전자 제어 시스템(220)으로부터 차량 인식이 가능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탑승 운용 리스트(151)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차량용으로 인식 가능한 특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데이터 수신에 따라 사전 정의된 사용자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차량(200) 하차에 따라 차량용 커넥터(210)가 커넥터(17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사전 정의된 하차 운용 리스트(153)에 등록된 특정 사용자 기능을 자동으로 활성화하여 운용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데, 특히 본 발명의 차량 연계 운용을 위한 통신 채널 형성을 지원할 수 있다. 즉 통신부(110)는 커넥터(170)에 차량용 커넥터(210)가 연결되면, 제어부(160) 제어에 따라 활성화되어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하는 특정 서버 장치에 자동으로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110)는 해당 내비게이션 정보를 서버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내비게이션 정보 수신은 휴대 단말기(100)가 내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차량용 커넥터(210)가 커넥터(170)에 연결되는 경우 제어부(160) 제어에 따라 자동으로 활성화되고 사전 정의된 타 휴대 단말기에 사전 정의된 메시지 예를 들면 차량(200) 탑승을 알리는 사전 작성된 메시지를 타 휴대 단말기(10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기능이 서버 장치로부터 음악 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기능인 경우 통신부(110)는 해당 서버 장치 접속을 수행하고 서버 장치로부터 음악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또는 일정 주기로 수신하여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도 있다. 이러한 통신부(110)는 휴대 단말기(100)가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배치될 수 있는 구성으로서, 휴대 단말기(100)가 통신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생략될 수도 있다.
입력부(120)는 휴대 단말기(100) 조작에 필요한 다양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입력부(120)는 홈 키, 사이드 키, 키패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00)의 표시부(140)가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터치스크린 형태 또는 터치 패널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입력부(120)는 스타일러스 펜이나 전자기 유도 펜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입력부(120)는 탑승 운용 리스트(151) 및 하차 운용 리스트(153)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입력부(120)는 탑승 운용 리스트(151) 및 하차 운용 리스트(153)에 특정 사용자 기능을 새로 등록하거나, 이미 등록된 사용자 기능을 삭제하거나, 등록된 사용자 기능을 비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등의 입력 신호를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입력 신호는 제어부(160)에 전달되어 해당 입력 의도에 따른 명령어로 동작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휴대 단말기(100) 운용에 따른 다양한 오디오 데이터 출력을 지원하기 위해 스피커를 포함한다. 휴대 단말기(100)가 통화 기능이나 녹음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오디오 처리부(130)는 오디오 데이터 수집을 위한 마이크 구성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오디오 처리부(130)는 커넥터(170)에 차량용 커넥터(210)가 접속되는 경우 접속에 대한 안내음이나 효과음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또는 오디오 처리부(130)는 차량용 전자 제어 시스템(220)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차량용 커넥터(210)가 커넥터(170)에 삽입되는 경우 안내음이나 효과음 출력을 지원하며, 차량용 전자 제어 시스템(220)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차량용 커넥터(210)가 커넥터(170)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별다른 오디오 데이터 출력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처리부(130)는 차량용 커넥터(210)가 커넥터(170)에 삽입된 후 차량용 전자 제어 시스템(220)이 활성화되어 차량 인식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해당 시점에 차량 접속을 안내하는 안내음이나 효과음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이후 오디오 처리부(130)는 탑승 운용 리스트(151)에 등록된 특정 사용자 기능이 오디오 데이터 출력이 필요한 경우 해당 오디오 데이터 출력을 지원한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130)는 차량용 커넥터(210)가 커넥터(170)로부터 분리된 경우 차량 하차에 해당하는 안내음이나 효과음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오디오 처리부(130)는 하차 운용 리스트(153)에 포함된 특정 사용자 기능 활성화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하차 운용 리스트(153)에 등록된 사용자 기능이 없거나 차량 연계 운용 종료를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오디오 처리부(130)는 차량 연계 운용 기능 종료에 대한 안내음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상술한 안내음들은 설계자에 의하여 사전 정의되거나 사용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새롭게 등록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오디오 처리부(130)의 안내음 등의 출력은 사용자 설정 등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표시부(140)는 휴대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40)는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사용자 기능 예컨대 내비게이션 기능 활성화 요청 시 내비게이션 기능 활성화에 따라 지도 정보 및 도로 교통 정보, 길 안내 정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부(140)는 음악 재생 기능 요청 시 음악 재생 기능과 관련된 화면, 예컨대 음악 재생 제어 화면, 음악 파일 리스트 검색 화면, 선택된 음악의 앨범 재킷이나 뮤직 비디오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40)는 차량(200) 하차에 따라 주차 추적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차량 주차된 위치 정보 표시를 현재 휴대 단말기(100) 위치와 비교하여 방향으로 제공하거나, 현재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및 주차된 차량(200)의 위치를 지도 정보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표시부(14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탑승 운용 리스트(151) 및 하차 운용 리스트(153)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할 수 있는 설정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표시부(140)는 탑승 운용 리스트(151) 및 하차 운용 리스트(153) 설정 항목에 해당하는 메뉴나 아이콘 등을 화면 일측에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설정 화면을 통하여 탑승 운용 리스트(151)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거나, 추가된 기능을 등록 해제 또는 리스트에서 삭제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사용자는 설정 화면을 통하여 하차 운용 리스트(153)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거나, 추가된 기능의 등록 해제, 삭제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 구동에 필요한 다양한 프로그램 및 휴대 단말기(100)가 지원하는 다양한 기능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으며, 해당 프로그램 지원 또는 프로그램 운용에 따른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50)는 탑승 운용 리스트(151) 및 하차 운용 리스트(153)를 저장하며, 상기 탑승 운용 리스트(151) 및 하차 운용 리스트(153)에 등록된 각 기능들을 지원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탑승 운용 리스트(151)는 차량(200) 탑승 시 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사용자 기능을 등록한 정보가 될 수 있다. 탑승 운용 리스트(151)는 크게 기능 등록 정보 및 활성화 선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100)가 지원하는 다양한 기능 중 특정 사용자 기능을 탑승 운용 리스트(151)에 등록할 수 있으며, 등록된 기능 중 특정 기능을 차량용 커넥터(210)가 커넥터(170)에 삽입되는 시점에 자동으로 활성화되도록 활성화 선택 정보로서 설정할 수 있다. 즉 활성화 선택 정보는 기능 등록 정보들 중에 차량용 커넥터(210) 연결 시 자동으로 활성화되도록 지정한 사용자 기능들에 대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탑승 운용 리스트(151)는 디폴트로 내비게이션 기능, 음악 재생 기능, 통화 수신 자동 거부 및 안내 메시지 응답 기능, 블랙 박스 기능 등은 디폴트로 기능 등록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해당 기능들 중 특정 기능을 비활성화하거나 삭제하여 탑승 운용 리스트(151)를 조정할 수도 있다.
하차 운용 리스트(153)는 차량(200) 하차 시 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사용자 기능을 등록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예컨데 하차 운용 리스트(153)는 음악 재생 기능, 차량 주차 확인 기능 등이 디폴트로 등록될 수 있다. 디폴트로 등록된 기능들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다른 기능들로 대체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하차 운용 리스트(153)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와이파이 자동 접속 기능, 게임 기능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휴대 단말기(100) 동작 제어와 관련된 전반적인 신호 흐름과 데이터 처리 및 전달과 저장 관리를 지원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60)는 본 발명의 차량 연계 운용을 위한 기능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중 제어부(160)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내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어부(160)는 커넥터 검사부(161) 및 기능 운용 제어부(163)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검사부(161)는 커넥터(170)에 차량용 커넥터(210)가 연결되는지를 확인하는 구성이다. 특히 커넥터 검사부(161)는 차량용 전자 제어 시스템(220)이 활성화된 상태의 차량용 커넥터(210) 연결과 비활성화된 상태의 차량용 커넥터(210) 연결을 구분할 수 있다. 커넥터 검사부(161)는 차량용 전자 제어 시스템(220)이 활성화된 상태의 차량용 커넥터(210) 연결에 따라 차량용 전자 제어 시스템(220)이 제공하는 차량 인식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차량(200) 연결에 따른 정보를 기능 운용 제어부(163)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커넥터 검사부(161)는 차량용 커넥터(210)가 연결된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의 차량용 전자 제어 시스템(220)이 비활성화된 경우 예를 들어 차량 시동이 턴-오프된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기능 운용 제어부(163)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커넥터 검사부(161)는 차량용 전자 제어 시스템(220)이 비활성화된 상태의 차량용 커넥터(210) 연결 정보를 기능 운용 제어부(163)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검사부(161)는 차량용 커넥터(210)가 커넥터(170)로부터 이탈하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연결 해제 정보를 기능 운용 제어부(163)에 전달할 수 있다.
기능 운용 제어부(163)는 커넥터 검사부(161)가 전달하는 차량 연결 정보를 바탕으로 저장부(150)에 저장된 탑승 운용 리스트(151) 및 하차 운용 리스트(153)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정의된 사용자 기능 활성화를 지원할 수 있다. 즉 기능 운용 제어부(163)는 활성화된 차량용 전자 제어 시스템(220)과 연결된 차량용 커넥터(210)가 휴대 단말기(100)의 커넥터(170)에 접속되면 기능 운용 제어부(163)는 탑승 운용 리스트(151)에 포함된 사용자 기능을 자동으로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 운용 제어부(163)는 내비게이션 기능을 자동으로 활성화하여 표시부(140)에 내비게이션 기능 활성화에 따른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와 함께 기능 운용 제어부(163)는 음악 재생 기능도 활성화 선택 정보에 포함된 경우 사전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음악 파일을 재생하여 오디오 처리부(130)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기능 운용 제어부(163)는 블랙 박스 기능이 활성화 선택 정보에 포함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카메라를 활성화하여 블랙 박스 기능 수행을 위한 영상 촬영 및 저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휴대 단말기(100)는 카메라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능 운용 제어부(163)는 차량용 커넥터(210)가 휴대 단말기(100)의 커넥터(170)로부터 연결 해제되는 경우, 저장부(150)에 저장된 하차 운용 리스트(153)를 확인하여 특정 사용자 기능을 자동으로 활성화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기능 운용 제어부(163)는 차량용 커넥터(210)가 연결 해제되는 경우 하차 운용 모드 및 차량 연계 운용 모드 해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항목을 표시부(140)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하차 운용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하차 운용 리스트(153)에 등록된 사용자 기능을 자동으로 활성화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차량 연계 운용 모드 해제를 선택하는 경우, 기능 운용 제어부(163)는 일반 휴대 단말기(100) 기능 지원을 위한 상태로 천이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 운용 제어부(163)는 대기 화면 출력 상태 또는 메뉴 화면 출력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거나 슬립 상태로 천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기능 운용 제어부(163)는 차량용 전자 제어 시스템(220)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차량용 커넥터(210)가 커넥터(170)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사전 정의된 대기 운용 모드를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대기 운용 모드 지원을 위하여 대기 운용 리스트가 저장부(150)에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앞서 설명한 설정 화면을 통하여 대기 운용 리스트에 특정 사용자 기능들을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 운용 제어부(163)는 차량용 커넥터(210)가 커넥터(170)에 연결되는 경우 대기 운용 리스트에 등록된 음악 재생 기능을 자동으로 활성화하고, 오디오 데이터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이때 기능 운용 제어부(163)는 대기 운용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는 사용자 기능이 활성화 상태인 경우 해당 사용자 기능을 비활성화 상태로 천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의 커넥터(170)를 차량용 커넥터(210)에 우선 연결하는 경우 기능 운용 제어부(163)는 사전 정의된 대기 운용 리스트를 기반으로 특정 사용자 기능인 음악 재생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기능 운용 제어부(163)는 대기 운용 리스트에 사전 등재된 기능에 따라 방송 수신 기능, 블랙 박스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용 전자 제어 시스템(220)이 활성화되는 경우 즉 시동이 턴-온되는 경우 기능 운용 제어부(163)는 탑승 운용 리스트(151)에 따른 사용자 기능 운용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대기 운용 리스트에 음악 재생 기능이 탑승 운용 리스트(151)에 동일하게 등록되어 있는 경우 기능 운용 제어부(163)는 음악 재생 기능을 턴-오프 하지 않고 유지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후 차량용 커넥터(210)가 커넥터(170)에 연결되어 있지만 시동이 턴-오프되어 차량용 전자 제어 시스템(220)이 비활성화되는 경우 기능 운용 제어부(163)는 대기 운용 모드를 운용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대기 운용 리스트에 음악 재생 기능과 블랙 박스 기능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기능 운용 제어부(163)는 해당 기능들을 수행하되 포함되어 있지 않는 기능 즉 탑승 운용 리스트(151)에만 등록되어 있는 내비게이션 기능 등을 비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차량용 커넥터(210)가 커넥터(17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기능 운용 제어부(163)는 하차 운용 리스트(153)에 등록된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음악 재생 기능이 하차 운용 리스트(153)에 포함되어 있고 블랙 박스 기능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기능 운용 제어부(163)는 블랙 박스 기능은 비활성화하고, 음악 재생 기능은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추가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차량 연계 기능 종료를 위한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기능 운용 제어부(163)는 휴대 단말기(100)를 슬립 상태로 천이시키거나 기 설정된 특정 상태로 천이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차량(200)과 연결되는 상태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가 제공하는 다양한 사용자 기능들 중 사전 정의된 기능들을 자동으로 활성화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조작을 최소화하면서도 필요한 기능을 즉각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차량 연계 운용 방법 지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차량 연계 운용 방법은 먼저, 제어부(160)가 401 단계에서 전원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휴대 단말기(100)의 각 구성들의 구동을 위한 전원으로 공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60)는 커넥터(170), 입력부(120) 및 입력 기능의 표시부(14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403 단계로 분기하여 해당 입력 이벤트가 차량용 전자 제어 시스템(220)인 OBD 연결에 해당하는 입력 이벤트인지 확인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이 단계에서 커넥터(170)를 통하여 차량용 전자 제어 시스템(220)의 연결에 해당하는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차량용 전자 제어 시스템(220)은 차량용 커넥터(210)를 통하여 차량 인식 데이터를 커넥터(170)를 통하여 휴대 단말기(10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403 단계에서 발생된 입력 이벤트가 차량용 전자 제어 시스템(220)인 OBD 연결을 위한 입력 이벤트가 아닌 경우 405 단계로 분기하여 해당 입력 이벤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선택된 파일을 재생하는 기능, 파일 편집 기능, 파일 전송 기능 등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403 단계에서 OBD 연결에 해당하는 입력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어부(160)는 407 단계로 분기하여 탑승 운용 리스트(151) 확인 및 기능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탑승 운용 리스트(151)에 복수개의 사용자 기능이 활성화 선택 정보로 등록되어 있는 경우 각각의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60)는 탑승 운용 리스트(151)에 표시부(140) 운용이 필요한 복수개의 사용자 기능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표시부(140) 화면을 분할하고, 분할된 화면 각각의 복수개의 사용자 기능 활성화에 따른 화면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방송 수신 기능과 내비게이션 기능을 탑승 운용 리스트(151)에 포함시킨 경우, 제어부(160)는 표시부(140)를 분할하고 내비게이션 화면과 방송 수신 화면을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방송 데이터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 출력 및 내비게이션 기능에 따른 안내 데이터 출력을 동시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409 단계에서 OBD 연결 해제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즉 커넥터(170)와 활성화 상태의 차량용 전자 제어 시스템(220)이 연결된 차량용 커넥터(210)가 분리되는지 확인한다. 연결이 유지되는 경우 제어부(160)는 407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재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409 단계에서 차량용 커넥터(210)가 커넥터(17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제어부(160)는 411 단계로 분기하여 하차 운용 리스트(153)를 확인하고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하차 운용 리스트(153)에 주차 추적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차량용 커넥터(210)가 커넥터(17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GPS(180)를 활성화하여 현재 위치를 차량 위치로 수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차량 위치 수집 이후 GPS(180)를 비활성화 상태로 천이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요청에 따라 차량 주차 위치 확인을 위한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60)는 GPS(180)를 다시 활성화하여 현재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현재 위치 정보와 이전 수집된 차량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주차 추적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60)는 지도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 지도 정보 상에 상술한 위치들을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413 단계에서 OBD 모드 해제를 위한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차량 연계 운용 모드 종료를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60)는 차량 연계 운용 모드 종료를 위한 메뉴 항목이나 아이콘을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메뉴 항목이나 아이콘 선택이 수행되면 제어부(160)는 해당 선택 신호를 차량 연계 운용 모드 종료를 위한 입력 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60)는 차량 연계 운용 모드를 종료하고 405 단계로 분기하여 사용자 조작에 따라 특정 사용자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413 단계에서 OBD 모드 해제가 없는 경우 제어부(160)는 415 단계로 분기하여 OBD 연결이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411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하차 운용 리스트(153) 기반의 기능 지원을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OBD 연결이 다시 수행되는 경우 407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재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차량용 전자 제어 시스템(220)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차량용 커넥터(210)가 커넥터(170)에 연결되는 과정만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어부(160)는 앞서 제어부(160) 구성 중 기능 운용 제어부(163) 설명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비활성화된 차량용 전자 제어 시스템(220)이 연결된 차량용 커넥터(210)가 접속되는 경우 대기 운용 리스트 기반의 특정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대기 운용 리스트 적용에 대한 구성은 설계자의 설계 방식에 따라 추가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연계 운용을 지원하는 과정에서의 화면 예시도의 일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60)는 활성화된 차량용 전자 제어 시스템(220)과 연결된 차량용 커넥터(210)가 커넥터(170)에 접속되면, 또는 차량용 커넥터(210)가 커넥터(170)에 접속되고 차량용 전자 제어 시스템(220)이 접속되면, 표시부(1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 운용 리스트(151)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탑승 운용 리스트(151)는 내비게이션 기능, 블랙 박스 기능, 음악 재생 기능 등이 활성화 선택 정보로서 등록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는 탑승 운용 리스트(151)에 활성화 선택 정보를 조정함으로써 탑승 운용 리스트(151)를 통하여 자동으로 활성화된 사용자 기능 항목들을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탑승 운용 리스트(151)를 출력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활성화 선택 정보로서 등록된 사용자 기능들을 자동으로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잇다. 즉 제어부(160)는 내비게이션 기능 활성화를 위하여 저장부(150)에 저장된 내비게이션 기능을 활성화하고 GPS(180)를 활성화하여 위치 정보를 수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어부(160)는 내비게이션 기능이 서버 장치 접속을 기반으로 제공되는 경우 통신부(110)를 활성화하여 서버 장치를 접속하고 도로 정보 등을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블랙 박스 기능 지원을 위하여 카메라를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 촬영 및 저장을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탑승 운용 리스트(151) 출력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고 이후 리스트에 포함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어부(160)는 탑승 운용 리스트(151) 출력 없이 해당 리스트에 포함된 사용자 기능 항목들을 자동으로 활성화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는 탑승 운용 리스트(151) 설정을 위한 별도 항목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연계 운용을 지원하는 과정에서의 화면 예시도의 일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커넥터(170)와 차량용 커넥터(210)가 연결 해제되는 경우, 또는 대기 운용 모드가 지원되지 않는 상태에서 차량용 커넥터(210)가 연결되어 있지만 차량용 전자 제어 시스템(220)이 비활성화되는 경우 표시부(1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차 운용 리스트(153) 설정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도면에서 하차 운용 리스트(153)는 주차 추적 기능, 음악 재생 기능, 와이파이 접속 기능 등이 활성화 선택 정보로서 등록된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기능들은 사용자 설정 변경에 따라 다른 기능들로 대체될 수 있으며, 하차 운용 리스트(153)는 다른 기능이 추가되거나, 등록된 기능이 등록 해제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하차 운용 리스트(153)를 일정 시간 동안 표시하도록 지원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등록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차량용 커넥터(210)가 분리되면 기능 지원에 따라 주차 추적 기능 지원을 위하여 GPS(180)를 활성화하며, 음악 재생 기능을 지원하고, 와이파이 자동 접속을 위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 스캔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60)는 차량용 커넥터(210) 분리 시 하차 운용 리스트(153) 출력 없이 해당 기능들을 바로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하차 운용 리스트(153) 출력 이전에 하차 운용 모드 및 차량 연계 운용 모드 해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항목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하차 운용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60)는 상술한 하차 운용 리스트(153) 출력 및 기능 자동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차량 연계 운용 모드 해제가 선택되면, 사전 정의된 특정 사용자 기능 수행 없이 휴대 단말기(100)가 디폴트로 지원하는 대기 화면 또는 메뉴 화면을 표시부(140)에 출력하거나 슬립 상태 천이를 지원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표시부(140)는 대기 운용 리스트 설정을 위한 설정 화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대기 운용 리스트는 도 5에서와 같이 차량용 커넥터(210)가 커넥터(170)에 접속되데, 차량용 전자 제어 시스템(220)이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 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연계 운용 방법은 차량용 커넥터(210)의 연결 여부에 따라 탑승 운용 리스트(151) 및 하차 운용 리스트(153) 중 어느 하나를 운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은 차량용 커넥터(210)의 연결 여부 및 차량용 전자 제어 시스템(220)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탑승 운용 리스트(151), 하차 운용 리스트(153) 및 대기 운용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운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차량의 시동 온-오프를 통하여 차량용 전자 제어 시스템(220)의 활성화 및 차량용 커넥터(210)의 연결 등을 통하여 사전 정의한 특정 사용자 기능을 자동으로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휴대 단말기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다양한 추가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는 통신 휴대 단말기인 경우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통신모듈,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인터넷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통신모듈 및 디지털 방송 수신과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방송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상기 디바이스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 단말기는 예를 들면, 상기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휴대 단말기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을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음악 재생기(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게임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Notebook) 및 핸드헬드 PC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차량 연계 운용 시스템
100 : 휴대 단말기 110 : 통신부
120 : 입력부 130 : 오디오 처리부
140 : 표시부 150 : 저장부
160 : 제어부 170 : 커넥터
180 : GPS 200 : 차량
210 : 차량용 커넥터 220 : 차량용 전자 제어 시스템, OBD

Claims (17)

  1. 차량용 전자 제어 시스템이 시동 온-오프에 따라 동작하며, 상기 차량용 전자 제어 시스템에 연결된 차량용 커넥터를 포함하는 차량;
    상기 차량용 커넥터 연결 여부에 따라 단말기 자체에서 지원되는 사전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사용자 기능을 자동으로 활성화하도록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차량 연계 운용 시스템.
  2. 차량용 커넥터가 접속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에 상기 차량용 커넥터가 접속되는 경우 사전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이 등록된 탑승 운용 리스트를 확인하고, 상기 탑승 운용 리스트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을 자동으로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연계 운용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넥터에 접속된 상기 차량용 커넥터가 연결 해제되는 경우 사전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이 등록된 하차 운용 리스트를 확인하고, 상기 하차운용 리스트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을 자동으로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연계 운용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용 커넥터에 연결된 차량용 전자 제어 시스템이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 사전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이 등록된 대기 운용 리스트를 확인하고, 상기 대기 운용 리스트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을 자동으로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연계 운용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5. 차량용 커넥터가 접속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에 접속된 상기 차량용 커넥터가 연결 해제되는 경우 사전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이 등록된 하차 운용 리스트를 확인하고, 상기 하차 운용 리스트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을 자동으로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연계 운용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넥터에 상기 차량용 커넥터가 재 접속되는 경우 사전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이 등록된 탑승 운용 리스트를 확인하고, 상기 탑승 운용 리스트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을 자동으로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연계 운용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용 커넥터에 연결된 차량용 전자 제어 시스템이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 사전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이 등록된 대기 운용 리스트를 확인하고, 상기 대기 운용 리스트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을 자동으로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연계 운용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8. 커넥터에 차량용 커넥터가 접속되는 접속 과정;
    사전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이 등록된 탑승 운용 리스트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탑승 운용 리스트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을 자동으로 활성화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차량 연계 운용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 운용 리스트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기능을 자동으로 활성화하는 과정은
    상기 탑승 운용 리스트에 따라, 내비게이션 기능을 활성화하여 활성화된 화면을 표시부에 출력하는 과정;
    블랙 박스 기능 지원을 위하여 카메라를 활성화하여 영상 촬영 및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과정;
    음악 재생 기능 지원에 따라 기 설정된 음악 파일을 재생하는 과정;
    방송 수신 기능 지원에 따라 방송 기능을 지원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차량 연계 운용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 운용 리스트에 포함된 기능 중 표시부 운용을 이용하는 기능이 복수개인 경우 표시부 화면을 분할하고, 수행된 기능들의 화면을 분할 화면에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차량 연계 운용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 접속된 상기 차량용 커넥터가 연결 해제되는 과정;
    사전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이 등록된 하차 운용 리스트를 확인하고, 상기 하차 운용 리스트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을 자동으로 활성화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차량 연계 운용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차 운용 리스트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기능을 자동으로 활성화하는 과정은
    주차 추적 기능 지원을 위하여 위치 추적 모듈을 활성화하여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주차 차량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
    음악 재생 기능 지원에 따라 음악 재생을 수행하는 과정;
    와이파이 접속 지원을 위하여 무선 액세스 포인트 검색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차량 연계 운용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과정에서
    상기 차량용 커넥터에 연결된 차량용 전자 제어 시스템이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 상기 차량용 전자 제어 시스템이 활성화 상태가 되거나 차량용 커넥터가 분리되기 이전까지 사전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이 등록된 대기 운용 리스트를 확인하고, 상기 대기 운용 리스트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을 자동으로 활성화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차량 연계 운용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운용 리스트에 따라 사용자 기능을 자동으로 활성화하는 과정은
    상기 대기 운용 리스트에 따라, 음악 재생 기능 지원을 위하여 음악 재생을 수행하는 과정;
    블랙 박스 기능 지원을 위하여 카메라를 활성화하고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과정;
    방송 수신 기능 지원을 위하여 방송을 수신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차량 연계 운용 방법.
  15. 상기 차량용 커넥터가 분리되는 과정;
    사전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이 등록된 하차 운용 리스트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탑승 운용 리스트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을 자동으로 활성화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차량 연계 운용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 차량용 커넥터가 다시 접속되면, 사전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이 등록된 탑승 운용 리스트를 확인하고, 상기 탑승 운용 리스트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을 자동으로 활성화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차량 연계 운용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과정에서
    상기 차량용 커넥터에 연결된 차량용 전자 제어 시스템이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 상기 차량용 전자 제어 시스템이 활성화 상태가 되기 이전까지 사전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이 등록된 대기 운용 리스트를 확인하고, 상기 대기 운용 리스트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능을 자동으로 활성화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차량 연계 운용 방법.
KR1020120114563A 2012-10-16 2012-10-16 휴대 단말기의 차량 연계 운용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101988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563A KR101988281B1 (ko) 2012-10-16 2012-10-16 휴대 단말기의 차량 연계 운용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US14/055,733 US9703528B2 (en) 2012-10-16 2013-10-16 Method and system for vehicle-connected operation of mobile device, and such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563A KR101988281B1 (ko) 2012-10-16 2012-10-16 휴대 단말기의 차량 연계 운용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8523A true KR20140048523A (ko) 2014-04-24
KR101988281B1 KR101988281B1 (ko) 2019-09-30

Family

ID=50476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4563A KR101988281B1 (ko) 2012-10-16 2012-10-16 휴대 단말기의 차량 연계 운용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703528B2 (ko)
KR (1) KR1019882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6110A1 (zh) * 2017-03-14 2018-09-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辅助控制装置及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902B1 (ko) * 2013-10-25 2015-05-11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탑승자 인식을 통해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스마트 기기
US10217135B2 (en) * 2014-02-05 2019-02-26 Pacific Wave Technology, Inc. Presenting an advertisement in a vehicle
CN104837125A (zh) * 2014-02-11 2015-08-12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手机来电自动回应系统及方法
EP3151587B1 (en) * 2014-05-26 2022-08-31 Yamaha Corporation Connection confirmation system, connection confirmation program, connection confirmation method, and connection detection device
KR101589217B1 (ko) * 2014-10-17 2016-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E102016103627A1 (de) 2016-03-01 2017-09-07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innern eines Fahrzeuginsassen an ein mobiles Endgerät
DE102018202181A1 (de) * 2018-02-13 2019-08-14 Audi Ag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wenigstens eine Hardwarekomponente umfassenden Rechen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es
WO2019220254A1 (en) * 2018-05-14 2019-11-21 Gentex Corporation Vehicle control module for smart home control system
DE102019119215A1 (de) * 2019-07-16 2021-03-1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reitstellen einer Fahrzeugfunktion während einer aktuellen Fahrt eines Fahrzeugs, computerlesbares Medium, System, und Fahrzeu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22074A1 (en) * 2009-11-23 2011-05-26 Yi-Hsuan Chen Electronic system applied to a transport and related control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09813B2 (en) * 2003-05-13 2007-04-24 Spx Corporation Cellular phone configured with off-board device capabilities and starter/charger and battery testing capabilities
KR20100109061A (ko) 2009-03-31 2010-10-08 주식회사 유비솔 Eco-Drive (친환경 경제운전)서비스 지원 다목적 휴대폰 충전 거치장치
US20130019020A1 (en) * 2011-07-13 2013-01-17 Sony Corporation Smart wireless connection
US9146900B2 (en) * 2012-02-21 2015-09-29 Htc Corporation Method for activating application, handheld electronic apparatus and car system
US8989961B2 (en) * 2012-04-13 2015-03-24 Htc Corporation Method of controlling interaction between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in-vehicle electronic system and devices using the same
US9999080B2 (en) * 2012-10-14 2018-06-12 Lg Electronics Inc.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22074A1 (en) * 2009-11-23 2011-05-26 Yi-Hsuan Chen Electronic system applied to a transport and related control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6110A1 (zh) * 2017-03-14 2018-09-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辅助控制装置及方法
US10952281B2 (en) 2017-03-14 2021-03-16 Huawei Technologies Co., Ltd. Auxiliary terminal-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8281B1 (ko) 2019-09-30
US20140107891A1 (en) 2014-04-17
US9703528B2 (en) 2017-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8281B1 (ko) 휴대 단말기의 차량 연계 운용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US9294611B2 (en) Mobile terminal, electronic system and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the same
EP2784646B1 (en)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Application
JP5192434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車載装置、携帯端末、及び処理方法
CN104821177A (zh) 局部网络媒体共享
CN104115119B (zh) 与信息娱乐主机单元的移动装置应用程序集成
CN103373292A (zh) 车载信息系统、信息终端、应用程序执行方法
CN109918040A (zh) 语音指令分发方法和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KR102589468B1 (ko) 차량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CN110278461B (zh) 信息推荐界面显示方法、装置、车载终端及存储介质
CN102449990A (zh) 基于空间和时间的设备定制
EP3817349A1 (en) Portable vehicle touch screen device utilizing functions of smart phone
JP2012010287A (ja) 携帯機器と連携し、携帯機器のアプリケーションを自動的に起動する車載機器
KR20150042318A (ko) 근접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JP5920104B2 (ja) 車両用音声制御装置
CN104077097A (zh) 信息处理方法和信息处理设备
CN112954648A (zh) 一种移动终端和车载终端的交互方法、终端以及系统
WO2013125785A1 (en) Task performing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W201741849A (zh) 業務處理方法、裝置、終端設備和用戶介面系統
CN113840033B (zh) 音频数据的播放方法、装置
JP5725504B2 (ja) 車載装置
KR102652361B1 (ko) 콘텐트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31191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rehensive vehicle system state capture
CN219651110U (zh) 一种卡车用中控屏系统控制装置
CN214823068U (zh) 车用智能平板电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