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8902B1 - 탑승자 인식을 통해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스마트 기기 - Google Patents

탑승자 인식을 통해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스마트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8902B1
KR101518902B1 KR1020130128042A KR20130128042A KR101518902B1 KR 101518902 B1 KR101518902 B1 KR 101518902B1 KR 1020130128042 A KR1020130128042 A KR 1020130128042A KR 20130128042 A KR20130128042 A KR 20130128042A KR 101518902 B1 KR101518902 B1 KR 101518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enger
application
vehicle
sensor
smar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8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7945A (ko
Inventor
정우철
최영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8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8902B1/ko
Priority to US14/319,253 priority patent/US20150120136A1/en
Publication of KR20150047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7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8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8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0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탑승자 인식을 통해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스마트 기기는, 차량에 구비된 블루투스 모듈 또는 OBD 커넥터에 연결된 OBD 블루투스 모듈과의 연결을 감지하여 탑승자가 차량에 탑승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탑승 감지부와, 상기 탑승 감지부에서 탑승자의 탑승이 감지되면 기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어플리케이션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탑승자 인식을 통해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스마트 기기에 의하면, 차량에 구비된 블루투스 모듈과의 연결 상태를 감지하여 탑승자가 차량에 탑승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자동적으로 실행되어 운전자가 차량의 운전에 집중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탑승자 인식을 통해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스마트 기기 {SMART DEVICE CONTROLLING APPLICATION BY DETECTING PASSENGER}
본 발명은 탑승자 인식을 통해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스마트 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가 차량에 탑승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스마트 기기의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제어하고, 차량에 구비된 스마트 기기를 탑승자가 직접 조작하지 않고 제어 신호를 통해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는 스마트 기기 및 이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각종 스마트 기기의 보급이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출시되고 있다. 특히, 차량에 구비된 운행기록 자기 진단 장치(OBD: On Board Diagnostics) 커넥터를 이용한 차량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 기기에서 동작하는 차량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차량의 주행 중 운전자가 스마트 기기를 직접 조작해야 하기 때문에 안전 운전에 방해가 될 우려가 있다. 또한, 북미의 안전 규제 또는 현행법하에서 주행 중 스마트 기기를 조작하는 것은 불법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스마트 기기의 조작으로 인해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매우 높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중의 하나로, 차량 내부의 컨트롤러와 스마트 기기를 연동시키는 방법이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다양한 스마트 기기에 맞춤 개발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마트 기기를 소지한 탑승자가 차량에 탑승했는지 여부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자동 실행하도록 하는 스마트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탑승자가 차량에 탑승한 것을 감지한 후, 스마트 기기를 직접 조작하지 않고 탑승자의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스마트 기기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스마트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는, 차량에 구비된 블루투스 모듈 또는 OBD 커넥터에 연결된 OBD 블루투스 모듈과의 연결을 감지하여 탑승자가 차량에 탑승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탑승 감지부; 및 상기 탑승 감지부에서 탑승자의 탑승이 감지되면 기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어플리케이션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탑승자의 조작 신호를 입력받는 센서; 상기 센서로부터 입력된 조작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부는 상기 센서 감지부에서 감지된 탑승자의 조작 신호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그리고 상기 센서는, 탑승자에 의해 발생된 소리 신호를 감지하는 마이크 또는 탑승자에 조작에 의해 발생된 자기 신호를 발생하는 자기장센서 또는 탑승자에 모션 신호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부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소리 신호가 기 설정된 소리 신호의 패턴과 대응하면 사용자의 소리 신호를 인식한 것으로 판단하고 기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부는 상기 근접 센서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모션 신호가 기 설정된 모션 신호의 패턴과 대응하면 사용자의 모션 신호를 인식한 것으로 판단하고 기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그리고 상기 탑승 감지부를 통해 사용자가 탑승한 것을 감지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부는 상기 근접 센서의 감지 범위를 사용 가능한 최대 범위로 설정하고, 사용자의 모션 신호를 인식하면 근접 센서로 입력되는 모션 신호를 제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기기에 의하면, 차량에 구비된 블루투스 모듈과의 연결 상태를 감지하여 탑승자가 차량에 탑승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자동적으로 실행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탑승자가 스마트 기기를 직접 조작하지 않고, 탑승자의 제어 신호에 의해 스마트 기기의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자동적으로 실행되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탑승자가 스마트 기기를 직접 조작하지 않고, 탑승자의 탑승 또는 제어 신호에 따라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자동적으로 실행됨에 따라 운전자가 차량의 운전에 집중할 수 있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기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기기의 탑승자 탑승 여부 감지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과정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기기의 소리 신호를 감지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과정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기기의 모션 신호를 감지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과정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기기의 자기 신호를 감지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과정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기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기기(100)는 탑승자의 탑승 여부를 감지하는 탑승 감지부(10)와, 상기 탑승 감지부(10)에서 탑승자의 탑승이 감지되면 기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어플리케이션 관리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탑승 감지부(10)는 차량의 클러스터에 구비된 클러스터 블루투스 모듈과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탑승자가 차량에 탑승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차량에 구비된 OBD(On Board Diagnostics) 커넥터에 연결된 OBD 블루투스 모듈과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탑승자가 차량에 탑승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스마트 기기(100)의 탑승 감지부(10)와 차량의 클러스터 블루투스 모듈 또는 OBD 블루투스 모듈과 페어링(pairing) 과정을 통해 스마트 기기를 소지한 탑승자가 차량에 탑승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OBD 블루투스 모듈과의 페어링을 통해 스마트 기기(100)를 소지한 탑승자의 탑승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상기 상기 OBD 블루투스 모듈로부터 차량의 엔진 상태 정보 또는 차량의 속도 정보 또는 주유 상태 정보 등의 차량 상태 정보를 전송 받아 탑승자가 차량에 탑승했는지 여부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기기의 탑승자 탑승 여부 감지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과정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승 감지부(10)는 상기 스마트 기기(10)와 차량에 구비된 클러스터 블루투스 모듈 또는 OBD 블루투스 모듈과 페어링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 즉, 상기 탑승 감지부(10)는 상기 스마트 기기(10)와 차량에 구비된 클러스터 블루투스 모듈 또는 OBD 블루투스 모듈과 페어링되었으면 탑승자가 탑승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탑승자가 차량에 탑승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부(20)는 상기 OBD 블루투스 모듈로부터 전송된 차량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S12), 수신한 차량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14).
예를 들면, 상기 OBD 블루투스 모듈로부터 엔진이 아이들 상태 인지 여부 또는 주행 상태 인지 또는 엔진이 정지된 상태 인지 여부에 따라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OBD 블루투스 모듈로부터 차량의 속도 정보를 전송 받아 차량의 속도에 따라 안전 운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OBD 블루투스 모듈로부터 차량의 주유 상태 정보를 전송 받아 주유 상태가 일정 수준 이하인 경우, 주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OBD 블루투스 모듈로부터 차량 상태를 전송 받지 않고, 차량에 탑승자가 탑승한 것을 감지하면, 탑승자에 의해 기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기기(100)는, 탑승자의 조작 신호를 입력받는 센서와, 상기 센서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 감지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탑승자에 의해 발생된 소리 신호를 감지하는 마이크(32) 또는 탑승자에 조작에 의해 발생된 자기 신호를 발생하는 자기장센서(36) 또는 탑승자에 모션 신호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기기의 소리 신호를 감지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과정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승 감지부(20)를 통해 탑승자가 자동차에 탑승한 것을 확인하면(S20), 상기 마이크(32)를 통해 탑승자의 음성 신호 또는 노크 신호와 같은 소리 신호를 입력 받는다(S22).
그리고 상기 센서 감지부(30)는 입력된 소리 신호의 레벨이 기 설정된 설정값 이상인 경우(S24), 상기 마이크(32)를 통해 입력된 소리 신호를 기준 패턴과 비교하여(S26) 기준 패턴과 대응하는 소리 신호의 유형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부(20)는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S28).
예를 들면, 탑승자가 차량의 대시 보드를 노크 한다고 가정하면, 탑승자의 노크 신호의 레벨이 일정 레벨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노크 신호의 레벨이 일정 레벨 이상이면 노크 신호의 패턴(예를 들면, 탑승자가 한 번 노크했는지 또는 두 번 노크했는지)을 분석하여 기 설정된 기준 패턴과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노크 신호의 패턴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
상기 마이크(32)를 통해 입력된 소리 신호를 분석하는 방법은 HMM (Hidden Markov Model)을 이용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소리 신호의 레벨만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기기의 모션 신호를 감지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과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승 감지부(20)를 통해 탑승자가 자동차에 탑승한 것을 확인하면(S30),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부(20)는 상기 근접 센서(34)의 감지 범위를 사용 가능한 최대 범위로 설정한다(S32). 일반적으로 스마트 기기(100)에 구비되는 근접 센서(34)의 감지 거리는 5cm 이내이다. 이 경우 탑승자가 스마트 기기에 매우 근접하여 모션 신호를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상기 근접 센서(34)의 감지 거리를 최대 범위로 설정하여 탑승자의 모션 신호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모션 신호의 감지를 통해 실행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이면, 모션 신호 입력을 통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지 않고,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이 아니면(S34), 상기 근접 센서(34)를 통해 탑승자의 모션 신호를 입력 받는다.
그리고 상기 센서 감지부(30)는 상기 근접 센서로부터 입력된 탑승자의 모션 유형을 감지한다(S36). 예를 들면, 탑승자가 좌우 방향으로 손을 흔드는지 또는 상하 방향으로 손을 흔드는지 등을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부(20)는 상기 센서 감지부(30)에서 감지된 모션 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38).
그리고 상기 모션 신호의 감지에 의해 기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탑승자의 모션 신호를 또 다시 감지하지 않도록, 상기 근접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모션 신호를 더 이상 감지하지 않도록, 상기 근접 센서를 비활성화시킨다(S40).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기기의 자기 신호를 감지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과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승 감지부(20)를 통해 탑승자가 자동차에 탑승한 것을 확인하면(S50), 상기 자기장 센서(36)를 통해 자기 신호를 입력 받는다(S52). 예를 들면, 차량에 구비된 시동 버튼을 누르면 크래쉬 패드 내측에 장착된 전자석에서 자기장이 발생한다. 이때 발생한 자기장은 상기 자기장센서(36)로 입력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 감지부(30)는 상기 자기장센서(36)로 입력된 자기 신호의 크기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4).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부(20)는 입력된 자기 신호가 설정값 이상이면, 기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S54).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탑승 감지부
20: 어플리케이션 관리부
30: 센서 감지부
32: 마이크
34: 근접센서
36: 자기장센서

Claims (6)

  1. 차량에 구비된 블루투스 모듈 또는 OBD 커넥터에 연결된 OBD 블루투스 모듈과의 연결을 감지하여 탑승자가 차량에 탑승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탑승 감지부;
    상기 탑승 감지부에서 탑승자의 탑승이 감지되면 기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어플리케이션 관리부;
    탑승자의 조작 신호를 입력받는 센서; 및
    상기 센서로부터 입력된 조작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 감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탑승자에 의해 발생된 소리 신호를 감지하는 마이크 또는 탑승자에 조작에 의해 발생된 자기 신호를 발생하는 자기장센서 또는 탑승자에 모션 신호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 중의 어느 하나이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부는 상기 센서 감지부에서 감지된 탑승자의 조작 신호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상기 근접 센서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모션 신호가 기 설정된 모션 신호의 패턴과 대응하면 사용자의 모션 신호를 인식한 것으로 판단하고 기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상기 탑승 감지부를 통해 사용자가 탑승한 것을 감지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부는 상기 근접 센서의 감지 범위를 사용 가능한 최대 범위로 설정하고, 사용자의 모션 신호를 인식하면 근접 센서로 입력되는 모션 신호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부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소리 신호가 기 설정된 소리 신호의 패턴과 대응하면 사용자의 소리 신호를 인식한 것으로 판단하고 기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
  5. 삭제
  6. 삭제
KR1020130128042A 2013-10-25 2013-10-25 탑승자 인식을 통해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스마트 기기 KR101518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042A KR101518902B1 (ko) 2013-10-25 2013-10-25 탑승자 인식을 통해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스마트 기기
US14/319,253 US20150120136A1 (en) 2013-10-25 2014-06-30 Smart device executing application program by occupant det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042A KR101518902B1 (ko) 2013-10-25 2013-10-25 탑승자 인식을 통해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스마트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945A KR20150047945A (ko) 2015-05-06
KR101518902B1 true KR101518902B1 (ko) 2015-05-11

Family

ID=52996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8042A KR101518902B1 (ko) 2013-10-25 2013-10-25 탑승자 인식을 통해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스마트 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120136A1 (ko)
KR (1) KR1015189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2828B1 (ko) * 2015-07-06 2022-05-2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차량상태 적응형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무선통신장치 및 그 무선통신방법, 사용자단말기 및 그 구동방법
US20170308365A1 (en) * 2016-04-26 2017-10-26 General Motors Llc Facilitating mobile device application installation using a vehicle
US10367934B2 (en) * 2017-06-13 2019-07-30 Edward Villaume Motor vehicle safe driving and operating devices, mechanisms, systems, and methods
US11501584B2 (en) 2020-03-26 2022-11-15 Intel Corporation In-cabin acoustic-based passenger occupancy and situation state assessment
CN112882456B (zh) * 2021-01-13 2022-04-12 深圳市道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obd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668B1 (ko) * 2012-05-23 2013-07-26 한국과학기술원 운전자 위치 변화에 따라 움직이는 운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75412B2 (en) * 2008-12-31 2012-09-25 Motorola Mobility Llc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directional proximity sensors based on device orientation
US9273979B2 (en) * 2011-05-23 2016-03-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djustable destination icon in a map navigation tool
KR101988281B1 (ko) * 2012-10-16 2019-09-30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차량 연계 운용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668B1 (ko) * 2012-05-23 2013-07-26 한국과학기술원 운전자 위치 변화에 따라 움직이는 운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20136A1 (en) 2015-04-30
KR20150047945A (ko) 2015-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8902B1 (ko) 탑승자 인식을 통해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스마트 기기
KR101603553B1 (ko) 차량에서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제스쳐 인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차량
KR102030578B1 (ko) 자동차의 이동 운전의 자동 제어를 위한 방법
US9457816B2 (en) Controlling access to an in-vehicle human-machine interface
CN104460974B (zh) 车辆操纵装置
CN104093619B (zh) 在机动车中向车辆驾驶员发出警报的警报装置
US20230154257A1 (en) Scheme for setting/using electronic device as keyless device of vehicle and adjusting devices in the vehicle
KR20190076731A (ko) 탑승자 단말 및 디스트랙션 확인을 통한 컨텐츠 표시 방법
US20160336009A1 (en) In-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in-vehicle control method
US9397762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distinguishing the mobile device of a driver among a plurality of mobile devices of passengers within a vehicle
RU2016141950A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инициирования разблокировки багажника
TW201634320A (zh) 行車安全檢測方法、系統、行車電腦及智慧型穿戴裝置
KR101484202B1 (ko) 제스쳐 인식 시스템을 갖는 차량
IN2014CH02484A (ko)
CN204595766U (zh) 车载设备的手势识别装置
US985443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 mobile application lockout
KR20190069327A (ko) 객체를 자동으로 개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901848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 interaction mirroring
KR20190062118A (ko) 차량의 스티어링 휠의 파지 상태를 인식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US10611303B2 (en) Portable device and vehicle
JP2018127066A (ja) 駐車支援装置
CN109389717B (zh) 一种电子锁、用于交通工具的电子锁、电子锁管理系统及方法
JP2015134556A (ja) 車載機器および車載機器における操作の抑制方法
CN107848489A (zh) 借助移动设备激活交通工具动作
CN108473053B (zh) 车辆方向盘上的触摸表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