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7976A - 일체형 가속 및 브레이크 페달 - Google Patents

일체형 가속 및 브레이크 페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7976A
KR20140047976A KR1020120114408A KR20120114408A KR20140047976A KR 20140047976 A KR20140047976 A KR 20140047976A KR 1020120114408 A KR1020120114408 A KR 1020120114408A KR 20120114408 A KR20120114408 A KR 20120114408A KR 20140047976 A KR20140047976 A KR 20140047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pedal
acceleration
lever
accel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4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6543B1 (ko
Inventor
한영구
Original Assignee
한영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영구 filed Critical 한영구
Priority to KR1020120114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6543B1/ko
Publication of KR20140047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7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6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6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4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means connecting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to propulsion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305Compound pedal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4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means connecting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to propulsion unit
    • B60K2026/043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means connecting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to propulsion unit with mechanical g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페달을 이용하여 가속페달과 브레이크페달을 동시에 사용함과 동시에 후방 급브레이크가 장착된 기능성 페달에 관한 것으로,
가속페달과 브레이크페달을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구조가 컴팩트하게 되면서 장착공간과 코스트 및 중량을 저감시킬 수 있고, 또 장착작업도 용이하게 되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자동차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일체형 가속 및 브레이크 페달{A PEDAL USABLE AS A BRAKE PEDAL AS WELL AS AN ACCELERATOR PEDAL}
본 발명의 일체형 가속 및 브레이크 페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페달을 이용하여 가속페달과 브레이크페달을 동시에 사용함과 동시에 후방 급브레이크가 장착된 기능성 페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제동장치는 주행하는 자동차를 감속 또는 정지시킴과 동시에 주차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로서, 통상적으로 마찰력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운동 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바꾸어 대기속으로 방출시켜 제동작용을 하는 마찰식 브레이크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브레이크장치는 주행할 때에 주로 사용하는 주 브레이크와 자동차를 주차시킬 때에 사용하는 주차 브레이크가 있고, 브레이크장치의 조작기구는 로드나 와이어를 사용하는 기계식과, 유압을 이용하는 유압식이 있으며, 상기 주 브레이크장치는 통상적으로 유압식을 사용하지만,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공기브레이크와 조작력을 가볍게 하기 위해 기관의 흡입부압이나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배력식 브레이크 등이 있다.
그리고 대형 트럭이나 버스 혹은 트레일러 등에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이용해서 브레이크 슈우를 드럼에 압착시켜 제동을 걸어주는 공기 브레이크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브레이크장치의 조작기구에 조작력을 가하기 위한 종래의 브레이크 페달은 페달 서포트에 의해 지지되는 회동축에 브레이크 페달이 일체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됨과 더불어 이 브레이크 페달에 복원력을 가해주기 위한 리턴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가 상기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주게 되면, 이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이 마스터 실린더를 통해 브레이크 본체에 전달되어 브레이크가 걸리게 되어 있고, 상기 브레이크 페달로부터 발을 떼게 되면 상기 리턴스프링의 탄성복원력으로 브레이크 페달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게 되어 있다.
한편 차량의 가속장치는 페달 지지브라켓에 회동축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가속페달과, 이 가속페달에 와이어를 매개로 연결된 드로틀밸브 및 상기 가속페달에 복원력을 가해주는 리턴스프링을 갖추고서, 상기 가속페달을 밟아주게 되면 상기 드로틀밸브의 개방도가 증가되면서 엔진으로 유입되는 공기나 혼합기의 유동량이 많아져서 차량이 가속되는 반면에 상기 가속페달로부터 발을 떼게 되면 가속페달이 리턴스프링의 탄성복원력으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브레이브의 종류가 많으나 브레이이크와 가속페달을 일체형으로 쉽게 결합된 구조는 없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브레이크 페달과 가속 페달을 서로 인접하게 배열하여 운전자의 페달조작 운동량을 저감시켜 운전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전조작의 편의도 부여한 브레이크와 가속을 통합한 페달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급브레이크를 잡을 경우에는 후방실린더에 연결되어 별도의 작용을 하도록 한 비상브레이크를 장착한 일체형 가속 및 브레이크 페달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수단은
페달과, 상기 페달의 전방에는 가속레버와 연결된 전방 가속부와 후방에는 브레이크레버와 연결된 후방 브레이크부가 장착되어 있고, 중앙에는 페달을 지지하는 중심축으로 구성된 가속 및 브레이크 수단부를 형성하고, 상기 중심축은 가이드브라켓과 복원스프링이 장착되며, 상기 중심축에는 브레이크 메인실린더와 연결되어 급브레이크시 페달전체를 눌러 브레이크가 작동되며, 평상시에는 후방 브레이크부를 작동하도록 상기 브레이크레버는 브레이크 보조실린더에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페달의 전방 가속부는 전방의 축핀에 연결된 가속레버가 연결되어 가속레버를 움직이도록 상부면에 장착되도록 형성하여 달성하였다..
본 발명은 가속페달과 브레이크페달을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구조가 컴팩트하게 되면서 장착공간과 코스트 및 중량을 저감시킬 수 있고, 또 장착작업도 용이하게 되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자동차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체형 가속 및 브레이크 페달을 도시한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방 가속부의 작동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후방 브레이크부의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급브레이크의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가속레버를 고정하는 가속브라켓을 장착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비상시의 급브레이크의 작동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체형 가속 및 브레이크 페달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체형 가속 및 브레이크 페달은
페달(500)과, 상기 페달의 전방에는 가속레버(100)와 연결된 전방 가속부(150)와 후방에는 브레이크레버(200)와 연결된 후방 브레이크부(250)가 장착되어 있고, 중앙에는 페달(500)을 지지하는 중심축(300)으로 구성된 가속 및 브레이크 수단부(600)를 형성하고, 상기 중심축(300)은 부싱(310)과 복원스프링(320)이 장착되며, 상기 중심축에는 브레이크 메인실린더(330)와 연결되어 급브레이크시 페달 전체를 눌러 브레이크가 작동되며, 평상시에는 후방 브레이크부(250)를 작동하도록 상기 브레이크레버(200)는 브레이크 보조실린더(220)에 연결되도록 형성하엿다. 상기 페달의 전방 가속부(150)는 전방의 축핀(110)에 연결된 가속레버(100)가 연결되어 가속로드(190)의 상부면에 장착되도록 형성된 특징이 있다.
상기 페달(500)은 각각 운전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각 페달들은 바깥쪽으로 연장될수록 완만하게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데, 이렇게 하면 운전자가 어느 한쪽의 페달을 조작한 다음에 다른쪽 페달을 조작하기 위해 페달을 따라 운전자의 발을 이동시킬 때에 운전자의 발이 적절히 이동된 후에는 페달의 돌출된 면에 운전자의 발이 닿게 되므로, 운전자에게 발의 적절한 이동상태를 용이하게 인지시켜 주면서 발의 이동범위도 규제하여 주게 되며 특히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작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형성하였다.
상기 페달(500)은 전방 가속부(150)와 후방 브레이크부(250)를 형성하고 중앙에는 급브레이크를 작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였다.
상기 전방 가속부(150)는 페달의 축핀(110)에 장착되는 가속레버(100)를 형성하고, 상기 가속레버(100)를 고정하도록 가이드브라켓(160)을 형성하여 일정한 위치에서 정확하게 작동되도록 위치를 세팅하여 주도록 형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고정되어 평상시는 상하로 작동되도록 형성하고, 급브레이크를 잡을 경우 가속레버(100)가 작동하지 않도록 상기 가속레버(100)를 작동로드(410)가 밀어 가속레버의 위치를 이탈하도록 형성하였다. 상기 작동로드(410)는 전방에는 C형 밀착판(420)을 형성하여 가속레버를 밀어서 이탈시키도록 형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형성하여 급가속이 발생이 되지 않도록 형성하였다. 원위치시에는 가이드브라켓(160)에 고정하고 있는 탄성스프링(170)에 의해 정위치로 복원되도록 형성하였다.
도 2에 도시한 전방 가속부(150)는 상기 페달의 전방 가속부(150)는 전방의 축핀(110)에 연결된 가속레버(100)가 연결되어 가속로드(190)의 상부면에 장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속레버(100)의 하부는 가속로드(190)가 장착되어 있으며, 가속로드(190)에는 복원스프링(140)이 장착되어 가속레버가 상부에는 눌러서 작동시에는 연결로드(290)가 작동하여 가속이 되도록 형성하였다.
도 3에 도시한 후방 브레이크부(250)는 페달(500)의 후방에 축핀(210)으로 고정된 브레이크 레버(200)와 연결되며, 하부에는 브레이크 로드(230)에 복원스프링(240)을 장착하여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브레이크 로드의 상부에는 브레이크 레버가 장착되어 후방 브레이크부를 눌렀을 경우에는 브레이크 보조실린더(220)가 작동되도록 형성하였다.
도 4에 도시한 급브레이크를 구성은 페달(500)의 중심축(300)과 상기 중침축의 측면에는 부싱(310)과 복원스프링(320)이 장착되며, 상기 중심축에는 브레이크 메인실린더(330)와 연결되어 급브레이크시 페달 전체를 눌러 브레이크가 작동된다. 페달 전체를 밟을 경우에는 중심축(300)이 하부로 작동하여 브레이크 메인실린더(330)를 작동시켜 유압력을 높일 경우 체크밸브(340, 한쪽방향 개폐)가 열려 유압력에 의해 브레이크가 작동하도록 형성하였다. 이때 후방 브레이크부가 동시에 작용되도록 형성하였다.
상기 다른 실시예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가속부는
평상시는 상하방향으로 작동되도록 형성하고, 급브레이크를 잡을 경우 가속레버(100)가 작동하지 않도록 상기 가속레버(100)를 작동로드(410)가 밀어 가속레버의 위치를 이탈하도록 형성하였다. 상기 작동로드(410)는 전방에는 C형 밀착판(420)을 형성하여 가속레버를 밀어서 이탈시키도록 형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형성하여 급가속이 발생이 되지 않도록 형성하였다. 원위치시에는 가이드브라켓(160)에 고정하고 있는 탄성스프링(170)에 의해 정위치로 복원되도록 형성하였다.
전방 가속부의 가속레버는 가이드브레이크가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브라켓은 양쪽에는 탄성스프링(170)을 장착하고 상기 탄성스프링(170)을 지지대(180)가 고정하도록 형성하였다.
상기 페달(500)의 중심축(300)은 부싱(310)과 복원스프링(320)이 장착되며, 상기 중심축에는 브레이크 메인실린더(330)와 연결되어 급브레이크시 페달 전체를 눌러 브레이크가 작동되며
전체를 밟을 경우에는 중심축(300)이 하부로 작동하여 브레이크 메인실린더(330)를 작동시켜 유압력을 높일 경우 체크밸브(340, 한쪽방향 개폐)가 열려 유압력에 의해 브레이크가 작동하도록 형성하였다. 이때 후방 브레이크부가 동시에 작용되도록 형성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페달의 급브레이크를 작동할 경우 중심축(300)이 작동시에는 브레이크 메인실린더(330)가 작동하여 발생되는 유압이 후방에 장착된 비상브레이크(700)부가 작동하도록 형성하였다. 상기 비상브레이크부(660)는 유압실린더(610)와 축(640)에 고정된 가압로드(620)와 리턴스프링(650) 및 마찰패드(630)를 형성하여 유압실린더(610)가 작동하여 가압로드(620)가 하부방향으로 작동하면, 마찰패드는 지면과 마찰을 발생하여 급브레이크가 작동되도록 형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급비상 상태가 발생하여 정지거리를 단축시에는 페달의 전체를 밟게되면 브레이크와 급브레이크부가 작동하여 급정지가 되도록 형성하였다.
본 발명은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 가속레버 110,210,310 : 축핀
140,240,320 : 복원스프링 150 : 전방가속부
160 : 가이드 브라켓 170 : 탄성스프링
180 : 지지대 190 : 가속로드
200 : 브레이크레버 220 : 브레이크 보조실린더
230 : 브레이크로드 250 : 후방브레이크부
330 : 브레이크 메인실린더 340 : 부싱
350 : 유압관

Claims (4)

  1. 페달과, 상기 페달의 전방에는 가속레버와 연결된 전방 가속부와 후방에는 브레이크레버와 연결된 후방 브레이크부가 장착되어 있고, 중앙에는 페달을 지지하는 중심축으로 구성된 가속 및 브레이크 수단부를 형성하고,
    상기 중심축은 가이드브라켓과 복원스프링이 장착되며, 상기 중심축에는 브레이크 메인실린더와 연결되어 급브레이크시 페달전체를 눌러 브레이크가 작동되며, 평상시에는 후방 브레이크부를 작동하도록 상기 브레이크레버는 브레이크 보조실린더에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페달의 전방 가속부는 전방의 축핀에 연결된 가속레버가 연결되어 가속레버를 움직이도록 상부면에 장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가속 및 브레이크 페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에는 가속레버와 후방 브레이크레버는 가이드브라켓이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브라켓이 유동될 수 있도록 탄성스프링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가속 및 브레이크 페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의 중심축에는 브레이크 메인실린더와 연결되어 급브레이크시 페달전체를 눌러 브레이크가 작동시 가속레버를 이동시키도록 중심축에 축핀으로 고정한 작동로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가속 및 브레이크 페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의 전체를 눌러 급브레이크를 잡을 경우 중심축(300)이 작동시에는 브레이크 메인실린더(330)가 작동하여 발생되는 유압이 후방에 장착된 비상브레이크(700)부가 작동하도록 형성고, 상기 비상브레이크부(660)는 유압실린더(610)와 축(640)에 고정된 가압로드(620)와 리턴스프링(650) 및 마찰패드(630)를 형성하여 유압실린더(610)가 작동하여 가압로드(620)가 하부방향으로 작동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가속 및 브레이크 페달.
KR1020120114408A 2012-10-15 2012-10-15 일체형 가속 및 브레이크 페달 KR101446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408A KR101446543B1 (ko) 2012-10-15 2012-10-15 일체형 가속 및 브레이크 페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408A KR101446543B1 (ko) 2012-10-15 2012-10-15 일체형 가속 및 브레이크 페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976A true KR20140047976A (ko) 2014-04-23
KR101446543B1 KR101446543B1 (ko) 2014-10-06

Family

ID=50654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4408A KR101446543B1 (ko) 2012-10-15 2012-10-15 일체형 가속 및 브레이크 페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65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7728A1 (zh) * 2016-04-15 2017-10-19 郭双庆 安全型机动车加速操控与刹车踏板一体化机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7950A (en) 1989-02-10 1990-08-14 The Deaccelerator Corporation Vehicle speed control device
JPH09123789A (ja) * 1995-10-31 1997-05-13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操作ペダル装置
KR19980085317A (ko) * 1997-05-28 1998-12-05 김영귀 전기자동차용 가속페달 겸용 브레이크 페달
JP2001109532A (ja) 1999-10-08 2001-04-20 Chuo Spring Co Ltd ペダル式操作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7728A1 (zh) * 2016-04-15 2017-10-19 郭双庆 安全型机动车加速操控与刹车踏板一体化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6543B1 (ko) 2014-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203777A (en) Combination accelerator and brake control for vehicles
JP5726313B2 (ja) ブレーキ倍力装置およびブレーキ倍力装置を駆動するための方法
KR101554358B1 (ko) 차량용 일체형 액셀레이터 및 브레이크 페달
JP4395042B2 (ja) ブレーキ装置
US3025713A (en) Brake actuating mechanism for motor vehicles
KR101446543B1 (ko) 일체형 가속 및 브레이크 페달
US20160273630A1 (en) Brake operating device
JP2020194405A (ja) 車両用ペダル装置
US2604962A (en) Motor vehicle control mechanism
KR101262419B1 (ko) 비상 제동 보조장치
KR101526377B1 (ko) 페달비 가변형 브레이크 페달유닛
KR20080008032A (ko) 자동차용 에어 브레이크시스템
JP3203310U (ja) ペダル機構
KR100507224B1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
KR20080100872A (ko) 페달비 가변형 브레이크 페달유닛
US2919773A (en) Combined accelerator and brake control for motor vehicles
JP2009251674A (ja) ブレーキ装置
KR20090057637A (ko) 차량용 제동장치의 브레이크페달과 브레이크부스터의연결구조
KR100391679B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페달어셈블리
KR100836327B1 (ko) 차량의 파킹 일체형 리어 캘리퍼 브레이크
KR100398258B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페달어셈블리
JP5924935B2 (ja) 回生協調ブレーキシステム
KR930007338B1 (ko) 제동 겸용 가속페달을 갖춘 승용차
US2260566A (en) Semiautomatic brake
US2081126A (en) Combined motive fluid control and brake operating means for motor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