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7759A -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7759A
KR20140047759A KR1020120113440A KR20120113440A KR20140047759A KR 20140047759 A KR20140047759 A KR 20140047759A KR 1020120113440 A KR1020120113440 A KR 1020120113440A KR 20120113440 A KR20120113440 A KR 20120113440A KR 20140047759 A KR20140047759 A KR 20140047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ir conditioner
area
in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3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4478B1 (ko
Inventor
김현정
전종선
김문성
유그라미
이지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3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4478B1/ko
Priority to EP13162918.0A priority patent/EP2719964B1/en
Priority to CN201310210220.2A priority patent/CN103727632B/zh
Priority to US13/912,298 priority patent/US9080785B2/en
Publication of KR20140047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7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24F11/523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for displaying temperature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디스플레이 가능한 이미지가 포함되는 필름부; 상기 필름부에서 인식된 공기 조화기의 운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 상기 필름부를 향하여 광원을 조사하는 발광부; 및 상기 공기 조화기의 패널에 터치 입력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된 광원이 작용하는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공기 조화기의 운전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영역 및 상기 운전정보에 관한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영역이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영역에서의 입력에 따라, 상기 표시영역에 표시되는 운전정보가 변경하여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A display device of an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용도,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가전기기이다. 이를테면, 여름에는 실내를 시원한 냉방상태로, 겨울에는 실내를 따뜻한 난방상태로 조절하고, 또한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며, 실내의 공기를 쾌적한 청정상태로 조절한다. 공기 조화기에는 냉동 사이클이 구동되며,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 및 증발기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조화기에는, 실내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실내공간으로 토출되는 토출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공기 조화기에는 상기 흡입부로부터 토출부까지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송풍팬이 제공될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전원이 ON 되고 특정모드의 실행을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압축기 및 송풍팬이 구동하면서 상기 특정모드에 대응하는 냉동 사이클의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특정모드에는, 냉방, 난방, 송풍 또는 제습모드가 포함될 수 있다.
종래의 공기 조화기는, 사용자가 상기 공기 조화기의 특정모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에 구비되는 입력부를 직접 조작하도록 구성되었다. 그리고, 상기 공기 조화기에는 공기 조화기의 작동에 관한 정보(이하, 작동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입력부를 조작함에 따라 상기 작동정보가 변경되는 모습이 표시된다.
종래의 공기 조화기에 의하면, 상기 입력부가 버튼식으로 구비되어 그 조작이 불편하고 버튼을 입력할 때마다 변경되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이 어렵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공기 조화기를 조작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공기 조화기를 조작하기 위한 입력부 또는 디스플레이부의 구성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끔 쉽게 구현하는데 많은 관심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공기 조화기의 작동이 편리한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디스플레이 가능한 이미지가 포함되는 필름부; 상기 필름부에서 인식된 공기 조화기의 운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 상기 필름부를 향하여 광원을 조사하는 발광부; 및 상기 공기 조화기의 패널에 터치 입력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된 광원이 작용하는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공기 조화기의 운전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영역 및 상기 운전정보에 관한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영역이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영역에서의 입력에 따라, 상기 표시영역에 표시되는 운전정보가 변경하여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공기 조화기의 작동에 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되는 내용을 변경하는 제어부가 포함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원형 또는 타원 형상의 휠 입력부; 상기 휠 입력부의 내부에 규정되며, 상기 공기 조화기의 작동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영역; 및 상기 입력 영역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입력 영역에서 입력된 내용에 따라 표시 내용이 변경되는 표시 영역이 포함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대략 원형의 휠 입력부를 통하여 공기 조화기의 작동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므로, 입력방식이 쉽고 직관적이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직관적인 입력에 따른 정보의 변경모습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쉽게 확인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입력 및 디스플레이 방식이 쉽고 간단하게 구성되므로, 사용자의 조작이 편리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정영역내에 구비되는 휠 입력부를 통하여 공기 조화기의 작동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므로,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부의 크기가 소형화 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입력 가능한 영역내에 디스플레이 영역이 구비되거나,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내에 입력 가능한 영역이 구비될 수 있고, 또는 입력 가능한 영역과 디스플레이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므로,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부 구현을 위하여 제한된 영역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필름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휠 입력부의 조작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0)에는, 흡입부(12) 및 토출부(15)를 구비하며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1)가 포함된다. 도 1에 도시된 공기 조화기(10)는 실내 공간에 설치되어 공기를 토출하는 실내기일 수 있다.
상기 흡입부(12)는 상기 케이스(11)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부(12)의 일측에는, 상기 흡입부(12)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흡입 베인(13)이 제공된다. 상기 흡입 베인(13)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토출부(15)는 상기 케이스(11)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부(15)의 일측에는, 상기 토출부(15)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토출 베인(15)이 제공된다. 상기 토출 베인(16)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케이스(11)의 전방에는 전면 패널(20)이 제공된다. 상기 전면 패널(20)에는,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작동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01)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는 터치 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01)에는, 소정의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표시영역) 및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는 영역(입력영역)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디스플레이부(101)에는, 공기 조화기(10)의 ON/OFF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전원 입력부(180)와, 상기 공기 조화기(10)에 규정되는 운전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입력부(170) 및 휠(wheel) 형상의 휠 입력부(150)가 포함된다.
상기 전원 입력부(1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 입력부(180)는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ON/OFF 여부에 관계없이 상기 전면 패널(20)에 표시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입력부(180)를 통하여 공기 조화기(10)의 ON/OFF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원 입력부(180)를 한번 누르면 공기 조화기(10)는 ON 상태로 변경되고, 다시한번 누르면 상기 공기 조화기(10)는 OFF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입력부(180)는 공기 조화기(10)의 ON/OFF 여부에 관계없이, 항상 밝게 비춰질 수 있다.
상기 모드 입력부(17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1)의 전체 면적 중 일부 면적을 규정하며, 사용자의 선택이 가능한 일 입력영역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모드 입력부(170)의 내부에는, 공기 조화기(10)의 다수의 운전모드가 표시되는 모드 표시부(172)가 포함된다. 상기 모드 표시부(172)는 상기 운전모드에 대응하는 소정의 모양을 포함하는 아이콘의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다수의 운전모드에는, 냉방, 난방, 공기청정, 절전모드, 제습 또는 송풍과 같은 공기 조화기의 작동방식이 구분되는 운전모드들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모드 표시부(172)는 특정 운전모드를 표시함과 함께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입력부로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기 모드 표시부(172)는 입력부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드 입력부(170)는 공기 조화기(10)가 OFF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전면 패널(20)에 표시되지 않고, 공기 조화기(10)가 ON될 경우에 전면 패널(20)에 표시되는 히든 디스플레이(hidden display)일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모드 입력부(170)의 후방에는 빛을 조사하기 위한 조명원이 구비되며, 상기 공기 조화기(10)가 OFF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조명원이 OFF 되고, 상기 공기 조화기(10)가 ON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조명원이 ON될 수 있다.
그리고, 현재 운전되고 있는 운전모드에 대응하는 아이콘은, 다른 아이콘과 구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현재 운전되고 있는 운전모드의 아이콘은 노란색, 나머지 아이콘은 흰색으로 표시될 수도 있고, 현재 운전모드의 아이콘은 밝게 빛나는 특정색상, 나머지 아이콘은 흐리게 빛나게 특정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정리하면, 상기 모드 입력부(170)를 통하여 운전하고자 하는 일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즉, 다수의 모드 표시부(172) 중 일 모드 표시부(172)를 터치하면 상기 공기 조화기(10)는 해당 표시부에 대응하는 운전모드로 운전될 수 있으며, 터치된 모드 표시부(172)는 다른 모드 표시부와 구분되어 다른 색상으로 표시되거나, 조도가 밝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휠 입력부(150)는 공기 조화기(10)의 작동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휠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조작할 수 있음을 직관적으로 보여주는 입력부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휠 입력부(15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1)의 전체 면적 중 일부 면적을 규정하며, 사용자의 선택이 가능한 일 입력영역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휠 입력부(150)는 원주 방향의 라인에 의하여 그 내부와 외부가 구획될 수 있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휠 입력부(150)에는, 조화공간(실내공간)의 현재온도 또는 공기 조화기(10)의 설정온도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는 온도 표시부(152) 및 상기 공기 조화기(10)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의 세기를 표시하는 바람세기 표시부(156)가 포함된다.
상기 온도 표시부(152)는 공기 조화기(10)의 설정온도 또는 실내공간의 현재온도가 표시되는 표시영역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온도 표시부(152)는 상기 휠 입력부(150)의 내부 중앙측에 배치된다.
상기 바람세기 표시부(156)에는, 상기 온도 표시부(152)의 외측을 둘러싸는 다수의 원주 라인(156a)을 포함한다. 상기 원주 라인(156a)은 원형 또는 타원형의 폐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원주 라인(156a) 중 일 원주 라인은 타 원주 라인의 외측에 이격되어, 상기 타 원주 라인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원주 라인(156a)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원주 라인(156a)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2개 이상의 값으로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10)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의 세기에 따라, 상기 다수의 원주 라인(156a) 중 가장 내측의 원주 라인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점점 밝게 표시, 즉 활성화될 수 있다.
일례로, 도 2를 기준으로, 바람의 세기가 가장 약한 경우, 가장 내측의 원주 라인(156a)이 밝게 비추어 지며, 바람의 세기가 가장 강한 경우, 4개의 원주 라인이 모두 밝게 비추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람세기 표시부(156)는 바람세기를 표시하는 표시영역을 구성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조작을 인식할 수 있는 입력영역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바람세기 표시부(156)의 표시영역을 통하여 설정온도 값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바람세기 표시부(156)는, 표시영역과 입력영역이 적어도 일부분 중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설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필름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0)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전면 패널(20)의 후측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형성시키는 장치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는, 상기 전면 패널(20)의 후방에 결합되는 컨트롤 박스(110)와, 상기 컨트롤 박스(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디스플레이부(101)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30,도 4 참조)가 구비되는 PCB(113)가 포함된다. 상기 PCB(113)는 지지부(112)에 의하여 상기 컨트롤 박스(11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는, 상기 PCB의 전방에 결합되는 발광부(115)와, 상기 발광부(115)에서 조사되는 빛을 반사시키기 위한 리플렉터(117)와, 상기 리플렉터(117)의 전방에 결합되는 필름부(120) 및 상기 리플렉터(117)에서 반사된 빛을 상기 필름부(120)측으로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118)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발광부(115)는 LED(Light Emitting Diode) 소자일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20)을 통하여 소정의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필름부(120)에서 이를 인식하여 상기 제어부(130)에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전달된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될 영역을 결정하고,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통하여 외부에 표시될 수 있도록 상기 발광부(115)를 구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115)에서 조사된 빛은 상기 리플렉터(117) 및 가이드부(118)에 작용한 후 전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빛은 상기 필름부(120)에 인쇄된 영역, 즉 전원 입력부(180), 모드 입력부(170) 및 휠 입력부(150)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 작용하여 해당 부분의 아이콘 또는 문양이 밝게 비춰지도록 할 수 있다. 결국, 상기 전면 패널(20)에는 디스플레이부(101)가 구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필름부(120)에는, 상기 다수의 입력부(150,170,180)에 해당하는 문양이 인쇄된다.
상세히, 상기 필름부(120)에는, ITO(Indium Tin Oxide) 필름(121) 및 상기 ITO 필름(121)의 일측에 제공되는 패턴부(125)가 포함된다.
상기 ITO 필름(121)은 인듐(In2O3)과 주석(SnO2)의 화합물인 ITO를 이용한 필름으로서 면저항이 103Ω/sq 이하이며, 가시광선에서 투과율이 80% 이상으로 형성되는 특성을 가진다. 상기 ITO 필름(121)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ITO를 접착한 후 에칭 처리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ITO 필름(121)에는, 디스플레이부(101)의 입력부(150,170,180)에 대응하는 문양이 인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ITO 필름(121)에는, 휠 입력부(150)에 대응하는 휠 인쇄부(122a)와, 모드 입력부(170)에 대응하는 모드 인쇄부(122b) 및 전원 입력부(180)에 대응하는 전원 인쇄부(122c)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패턴부(125)는 인쇄부(122a,122b,122c)에 연결되며, 각 입력부(150,170,180)에서 터치된 정보를 인식하여 출력단(126)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패턴부(125)는 실버 잉크패턴(Silver ink pattern)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휠 인쇄부(122a)에는, 휠 문양의 원주를 따라 터치된 위치를 감지하기 위하여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격자부(123)가 포함된다. 상기 격자부(123)는 터치지점을 검출하는 점에서, "검출선"이라 이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격자부(123)는 휠의 전체 원(또는 타원) 형상에 걸쳐 고르게 분포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격자부(123)는 상기 바람세기 표시부(156)에 형성되는 다수의 원주 라인(156a)에 걸쳐 반경방향으로 연장된다. 사용자가 상기 휠 입력부(150)의 외주면 내측영역을 따라 휠의 외주면 방향으로 터치하는 경우, 몇 개의 격자부(123)가 터치되었는지 여부가 인식될 수 있다.
상기 휠의 외주면 방향으로 터치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는 휠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직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라 함은, 터치기구, 즉 사용자의 손 또는 터치펜등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01)에 접촉되는 것 또는 설정거리 이내로 위치됨으로써, 상기 공기 조화기(10)에 특정정보가 인식되는 것으로서 규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공기 조화기(10)에 특정정보가 인식되는 경우에는, 터치에 따른 압력의 변화 또는 전하(정전용량)의 변화가 인지되는 경우가 포함된다. 이하, 상기 "터치"는 이러한 개념으로 설명된다.
한편, 도 4에는, 상기 다수의 격자부(123)가 상기 다수의 원주 라인(156a) 중 최외측 원주 라인(156a)으로부터 내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이와는 달리, 설정길이 만큼 상기 최외측 원주 라인(156a)의 외측 방향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최외측 원주 라인은 상기 휠 입력부(150)의 외주면을 구성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다수의 원주 라인(156a)이 형성된 영역뿐만 아니라, 휠 입력부(150)의 외주면 외측으로 설정거리만큼 이격된 지점으로부터 휠의 회전방향으로 터치하더라도, 해당 격자부(123)의 터치여부가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휠 입력부(150)에 대한 외주면(회전)방향 터치가 이루어진 경우, 어떠한 격자부(123)가 터치되었는지가 인식될 수 있고, 이러한 인식정보는 상기 패턴부(125)를 통하여 상기 출력단(126)으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드 인쇄부(122b)에 대응하는 모드 입력부(170) 및 전원 인쇄부(122c)에 대응하는 전원 입력부(180)는 특정 지점의 터치여부가 인식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모드 표시부(172) 중 일 표시부 또는 전원 입력부(180)의 터치가 인식되면, 압력변화 또는 정전용량의 변화에 따라 해당 아이콘의 선택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출력단(126)으로 전송된 입력정보는 드라이버(135)를 거쳐 제어부(130)로 전달된다. 상기 드라이버(135)는 Driver IC로서, 입력된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전기적 신호로 제공하는 장치로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라이버(135)는 디스플레이 하고자 하는 색상 또는 크기에 따라 다수의 키(key)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라이버(135)와 제어부(130)는 I2C 통신방식에 의하여 신호 전송을 수행한다. 상기 I2C 통신방식은 동기 통신방식으로서, 시리얼 통신규약으로 이해된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드라이버(135)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부(80)를 구동하여 공기 조화기(10)의 운전을 제어하고, 상기 발광부(115)를 제어하여 해당 운전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01)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80)는 압축기 또는 송풍팬이 포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휠 입력부의 조작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a 및 5b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01)의 휠 입력부(250)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운전시간 정보를 나타내는 시간 표시부(253) 및 휠의 내측 중앙부에 위치되어 현재온도를 표시하는 현재온도 표시부(251)가 포함된다.
상기 시간 표시부(253)는 1일 24시간을 원주 방향에 배치하여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휠 입력부(250)에는, 상기 온도 표시부(251)로부터 상기 시간 표시부(253)의 일 지점까지 일방향으로 연장된 라인을 나타내는 시작시점 표시부(259a) 및 상기 온도 표시부(251)로부터 상기 시간 표시부(253)의 타 지점까지 타방향으로 연장된 라인을 나타내는 종료시점 표시부(259b)가 더 포함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시작시점 표시부(259a)를 "제 1 라인", 상기 종료시점 표시부(259b)를 "제 2 라인"이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시작시점 표시부(259a)은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운전 시작시간을 나타내며, 상기 종료시점 표시부(259b)는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운전 종료시간을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휠 입력부(250)의 내부 전체영역에 대한 시작시점 표시부(259a)과 종료시점 표시부(259b)에 의하여 규정되는 내부영역은, 1일 24시간에 대한 공기 조화기의 운전시간 구간에 대응된다.
정리하면, 상기 시작지점 표시부(259a)와, 상기 종료시점 표시부(259b) 및 상기 휠 입력부(150)의 원주 중 일부분이 연결되어 형성되는 폐영역은 공기 조화기(10)의 운전시간 또는 예약시간을 나타내는 운전시간 영역(256)을 규정한다.
상기 운전시간 영역(256)의 색상 또는 조도는 상기 휠 입력부(250) 내의 다른 영역의 그것과 구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운전시간 영역(256)은 상기 다른 영역보다 어둡게 또는 진하게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시간 표시부(253)를 따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터치하면 상기 격자부(123)의 터치된 위치 또는 거리를 통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운전시간 또는 예약시간이 설정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시작지점 표시부(259a) 또는 종료시점 표시부(259b)를 터치한 상태에서 상기 시간 표시부(253)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즉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터치하면 상기 시작지점 표시부(259a) 또는 종료시점 표시부(259b)가 회전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운전시간 영역(256)은 확장 또는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운전시간 영역(256) 내에는, 공기 조화기(10)의 운전모드를 나타내는 운전모드 표시부(255)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운전모드에는, "냉방", "난방", "제습", "송풍" 또는 "공기 청정"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시작시점 표시부(259a) 및 종료시점 표시부(259b) 중 어느 하나에는, 설정온도 표시부(257)가 배치된다. 상기 설정온도 표시부(257)는 상기 시작시점 표시부(259a) 또는 종료시점 표시부(259b)의 라인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세히, 사용자가 터치를 통하여 상기 설정온도 표시부(257)를 상기 라인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설정온도가 증가될 수 있고, 상기 라인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설정온도가 감소될 수 있다.
이 때, 터치를 통한 설정온도의 증감에 대한 인식은, 상기 격자부(123)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는 인식거리를 통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설정온도 표시부(257)에 기재된 온도값은 상기 설정온도 표시부(257)의 이동되는 거리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시작시점 표시부(259a) 및 종료시점 표시부(259b) 중 다른 하나에는, 바람세기 표시부(258)가 배치된다. 상기 바람세기 표시부(258)는 상기 시작시점 표시부(259a) 또는 종료시점 표시부(259b)의 라인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바람세기 표시부(259)의 이동 메커니즘은 상기 설정온도 표시부(257)의 그것과 유사하다.
상세히, 상기 바람세기 표시부(258)를 터치한 상태에서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바람세기는 강해질 수 있으며,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바람세기는 약해질 수 있다. 즉, 상기 바람세기 표시부(258)는 터치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바람세기 표시부(258)가 상기 시작시점 표시부(259a) 또는 종료시점 표시부(259b)의 대략 중앙위치에 배치되면 "중"으로 표시되고, 외측 위치에서는 "강", 내측 위치에서는 "약"으로 표시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시작시점 표시부(259a) 및 종료시점 표시부(259b)의 라인 중 어느 하나에는 설정온도 표시부(257)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다른 하나에는 바람세기 표시부(258)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사용자가 터치를 통하여 상기 바람세기 표시부(258)를 상기 라인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바람세기가 증가될 수 있고, 상기 라인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바람세기가 감소될 수 있다.
이 때, 터치를 통한 설정온도의 증감에 대한 인식은, 상기 격자부(123)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는 인식거리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휠 입력부(250)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시작시점 표시부(259a) 또는 종료시점 표시부(259b)에 설정온도 표시부(257) 및 바람세기 표시부(258)를 마련하여 두고, 상기 표시부(259,259b)를 따라 설정온도 또는 바람세기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공기 조화기의 작동에 관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운전모드 표시부(257)에 나타난 운전모드는 상기 운전시간 영역(256)의 내부영역 또는 운전모드 표시부(257)를 터치함으로써 다른 운전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운전모드 표시부(257)는, 휠 입력부(250)의 제 1 라인, 제 2 라인 및 휠 입력부(250)의 외주면에 의하여 규정되는 영역내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라인에는 공기 조화기의 작동에 관한 제 1 정보가 표시되며, 상기 제 2 라인에는 상기 공기 조화기의 작동에 관한 제 2 정보가 표시된다. 일례로, 상기 제 1 정보는 공기 조화기의 설정온도 및 토출되는 바람세기 중 하나이며, 제 2 정보는 다른 하나일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공기 조화기(10)에는 미리 설정된 다수의 운전모드가 규정되며, 상기 운전시간 영역(256)의 내부영역 또는 운전모드 표시부(257)를 터치하면, 상기 운전모드 표시부(257)에 표시된 일 운전모드는 타 운전모드로 변경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운전모드를 변경하기 위하여, 상기 운전모드 표시부(257)를 직접 터치할 수도 있고, 상기 운전시간 영역(256)의 내부영역 중 상기 운전모드 표시부(257)의 외측에 형성되는 영역을 터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모드 표시부(257)의 표시된 내용을 변경하고, 변경된 운전모드에 따라 공기 조화기(10)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운전모드 표시부(257)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중 운전모드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영역을 규정하며, 상기 운전모드 표시부(257)를 둘러싸는 운전시간 영역(256)은 상기 운전모드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영역으로서 규정된다.
일례로,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10)가 냉방운전 되는 과정에서, 상기 운전모드 표시부(257)에는 이에 대응하여 "냉방"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운전시간 영역(256)의 내부영역 또는 운전모드 표시부(257)를 터치하면, 운전모드의 표시가 변경될 수 있다. 즉, 도 5b와 같이, "송풍"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다수의 운전모드 중 변경되는 운전모드의 순서는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운전모드의 표시 변경을 위하여 상기 운전시간 영역(256)의 내부영역 또는 운전모드 표시부(257)를 터치하는 방법에는, 상기 운전시간 영역(256)을 한번씩 터치할 수도 있고, 설정시간 이상 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상기 운전시간 영역(256)을 한번씩 터치하는 경우, 터치할 때마다 운전모드의 표시가 변경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운전시간 영역(256)의 터치 상태를 제 1 설정시간 이상 유지하고 있으면, 상기 운전모드의 표시는 상기 미리 설정된 순서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운전모드의 표시가 변경되는 시간간격은 제 2 설정시간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설정시간은 2초, 제 2 설정시간은 1초일 수 있다. 즉, 상기 운전시간 영역(256)의 터치를 2초 이상 하게 되면, 상기 운전모드 표시의 변경이 시작된다. 예를 들어, 냉방->난방->송풍->제습->공기청정의 순서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일 운전모드에서 타 운전모드로 변경되는 시간간격으로 1초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운전모드 표시부(255)가 상기 운전시간 영역(256) 내에 배치됨으로써, 운전모드의 디스플레이가 용이하며,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운전모드 표시부가 휠 입력부 내의 일 위치에 제공되고, 터치에 따라 운전모드가 변경되어 사용자에게 보여질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부(101)의 제한된 영역에서 운전모드의 표시 및 변경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작은 영역의 운전모드 표시부(255)를 터치하는 것은 물론, 상기 운전모드 표시부(255)보다 큰 상기 운전시간 영역(256)을 터치하는 것만으로도 운전모드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조작이 편리하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휠 입력부의 조작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301)에는, 원형 또는 타원 형상의 휠 입력부(350) 및 상기 휠 입력부(350)의 외측에 제공되어 공기 조화기(10)의 운전모드를 입력할 수 있는 모드 입력부(37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모드 입력부(370)에는, 공기 조화기(10)에 규정되는 운전모드에 대응하는 다수의 모드 표시부(372)가 포함된다. 상기 다수의 모드 표시부(372)는 입력이 가능하도록 각각 소정의 영역을 형성한다.
도 6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모드 표시부(372)에 표시되는 운전모드에는, "냉방", "제습", "난방" 및 "공기청정"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휠 입력부(350)에는, 휠 입력부(350)의 내부 중앙측에 구비되어 현재온도 값을 표시하는 현재온도 표시부(351)와, 상기 현재온도 표시부(351)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바람세기의 정도를 표시하는 바람세기 표시부(356) 및 상기 바람세기 표시부(356)의 일 지점에 배치되어 공기 조화기의 설정온도 값을 표시하는 설정온도 표시부(357)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바람세기 표시부(356)에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폐곡선 형상을 가지는 다수의 원주 라인(156a)이 포함된다. 상기 원주 라인(156a)에 관한 설명은, 제 1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상기 모드 표시부(372)는 터치에 의하여 입력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상기 모드 표시부(372)는 운전모드 정보를 표시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모드 표시부(372)는 입력 영역으로서 규정될 수 있다.
상기 모드 표시부(372)에 포함된 다수의 운전모드 중 일 운전모드를 선택하면, 선택된 일 운전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휠 입력부(350)의 구성이 결정된다.
일례로, 선택된 운전모드에 따라, 상기 다수의 원주 라인(156a) 중 일 원주라인(156a)의 색상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즉, 각 운전모드에 대응하는 원주 라인(156a)의 구성이 달라질 수 있다.
일례로, 도 6a 내지 도 6d는 차례로, 냉방, 제습, 난방, 공기청정이 선택되었을 때의 디스플레이부(301) 구성을 보여준다.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선택된 운전모드에 따라 상기 다수의 원주 라인(156a) 중 최외측 원주 라인(156a)의 색상 또는 질감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입력영역(모드 표시부)의 선택에 따라, 표시 영역을 구성하는 휠 입력부(350)의 구성이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정리하면, 휠 입력부(350)의 외측에는 운전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표시부(37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모드 표시부(372) 중 일 모드 표시부(372)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30)는 선택된 일 모드 표시부(372)에 대응하여, 상기 휠 입력부(350)의 구성을 달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가 터치를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부(301)를 통하여 공기 조화기(10)의 제어사항이 확인될 수 있으므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는, 전면 패널(430) 및 상기 전면 패널(430)의 양측에 제공되어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부(410,420)가 포함된다. 상기 토출부(410,420)에는 이물의 유입 또는 토출을 방지하기 위한 토출 그릴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430)에는 디스플레이부(401)가 구비된다.
상기 토출부(410,420)에는, 전면 패널(430) 일측의 제 1 토출부(410) 및 타측의 제 2 토출부(420)가 포함된다.
상기 공기 조화기에는, 상기 토출부(410,420)의 일측에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토출부(410,420)를 개폐할 수 있는 토출패널(415,425)가 포함된다. 상기 토출패널(415,425)에는, 상기 제 1 토출부(410) 및 제 2 토출부(420)를 각각 개폐할 수 있는 제 1 토출 패널(415) 및 제 2 토출패널(425)이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제 1 토출패널(415)이 닫히고 상기 제 2 토출패널(425)이 개방되면 상기 제 2 토출부(420)를 통하여 일측으로 공기가 토출될 수 있고, 상기 제 1 토출패널(415)이 개방되고 상기 제 2 토출패널(425)이 닫히면 상기 제 1 토출부(410)를 통하여 타측으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부(410) 및 제 2 토출부(420)에는, 움직임 가능하게 제공되는 토출 베인(418)이 제공된다. 상기 토출 베인(418)은, 상기 제 1 토출부(410) 또는 제 2 토출부(42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 조화기의 상부에는, 공기를 토출하는 상부 토출장치(435)가 제공된다. 상기 상부 토출장치(435)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세히, 공기 조화기가 구동할 때 상기 상부 토출장치(435)는 상기 공기 조화기의 상부로 돌출되어 공기를 토출할 수 있고, 상기 공기 조화기가 구동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공기 조화기의 내부로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토출장치(435)는 토출되는 바람의 방향을 제어하기 위하여 좌우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토출장치(435)에는, 상하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제공되는 토출덕트(437)가 포함된다. 상기 상부 토출장치(435)가 상기 공기 조화기의 상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토출덕트(437)는 상하 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토출장치(435)에는, 공기 조화기가 설치되는 실내공간에 사용자(이하, 내실자)의 존재여부 또는 위치를 감지하는 인체감지 센서(438)가 제공된다. 상기 인체감지 센서(438)는 PIR(Pyroelectric Infrared Ray) 센서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01)에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휠 입력부(450) 및 상기 상부 토출장치(435)의 회전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회전 선택부(456,457)가 포함된다.
상기 휠 입력부(450)에는, 상기 공기 조화기(1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방향 조절부(451)가 포함된다. 상기 방향 조절부(451)에는, 상기 휠 입력부(450)의 원주 방향을 따라 4방향으로 구획되는 다수의 방향 조절부가 포함된다.
상기 다수의 방향 조절부에는, 공기가 공기 조화기(10)의 좌측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 1 방향 조절부(451a)와, 우측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 2 방향 조절부(451b)와, 상방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 3 방향 조절부(451c) 및 하방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 4 방향 조절부(451d)가 포함된다.
사용자는 상기 다수의 방향 조절부 중 일 방향 조절부를 선택함으로써, 해당 방향 조절부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방향 조절부의 선택방법은, 방향 조절부가 배치되는 일 영역을 1회 터치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선택된 방향 조절부는 다른 방향 조절부와 구별되도록, 다른 색상 또는 조도로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다수의 방향 조절부가 휠 입력부(450)의 원주 방향으로 구분되어 배치됨으로써,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일 방향 조절부를 선택하여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방향 조절부(451)의 내부에는, 원형의 입력영역을 규정하는 토출모드 선택부(453)가 구비된다.
원형의 토출모드 선택부(453)는 다수의 영역으로 구획되어, 다수의 모드 선택부를 표시한다. 상기 다수의 모드 선택부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의 작동모드로서 "숲속바람(제 1 모드)", "직접풍(제 2 모드)" 및 "간접풍(제 3 모드)"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작동모드들은, 상기 구동부(80)의 구동방식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숲속바람은 상기 구동부(80)의 일 구동방식과 함께, 공기 조화기로부터 숲속에서 들을 수 있는 음향이 같이 토출되는 모드로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직접풍 및 간접풍은, 상기 인체감지 센서(438)를 통하여 내실자를 감지하고 내실자를 향하여 공기를 직접 토출할 것인지, 내실자를 피하여 공기를 토출할 것인지가 결정되는 모드로서 이해될 수 있다.
각 작동모드는 설정된 영역을 규정하며, 사용자가 해당 영역을 터치하면 선택된 영역의 해당모드가 공기 조화기의 작동모드로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선택부(456,457)에는, 상부 토출장치(350)의 상하 회전을 조절할 수 있는 상하회전 선택부(456) 및 좌우 회전을 조절할 수 있는 좌우회전 선택부(457)가 포함된다.
상기 회전 선택부(456,457)는 터치에 의하여 가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ON/OFF가 제어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501)에는, 원형 또는 타원 형상의 휠 입력부(550)가 포함된다.
상기 휠 입력부(550)에는, 휠 입력부(550)의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토출모드 선택부(551) 및 상기 토출모드 선택부(551)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하는 방향 조절부(553)가 포함된다.
상기 토출모드 선택부(551)는 다수의 설정영역으로 구획되어, 다수의 운전모드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각 운전모드에 대응하는 영역을 터치하여 일 운전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방향 조절부(553)는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하 및 좌우 방향에 배치되는 다수의 방향 조절부가 포함된다.
상기 다수의 방향 조절부에는, 공기가 공기 조화기(10)의 좌측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 1 방향 조절부(553a)와, 우측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 2 방향 조절부(553b)와, 상방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 3 방향 조절부(553c) 및 하방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 4 방향 조절부(553d)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내지 4 방향 조절부(553)는 공기의 토출방향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입력 가능한 입력영역을 규정한다.
이와 같이, 상기 다수의 방향 조절부가 공기의 토출방향에 대응하여 구분되어 배치됨으로써,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일 방향 조절부를 선택하여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10 : 공기 조화기 20 : 전면 패널
100 : 디스플레이 장치 101 : 디스플레이부
150 : 휠 입력부 152 : 온도 표시부
156 : 바람세기 표시부 156a : 원주 라인
170 : 모드 입력부 172 : 모드 표시부
180 : 전원 입력부 250 : 휠 입력부
251 : 현재온도 표시부 253 : 시간 표시부
255 : 운전모드 표시부 256 : 운전시간 영역
257 : 설정온도 표시부 258 : 바람세기 조절부
350,450 : 휠 입력부 451 : 방향 조절부
453 : 토출모드 선택부 551 : 토출모드 선택부
553 : 방향 조절부

Claims (17)

  1. 디스플레이 가능한 이미지가 포함되는 필름부;
    상기 필름부에서 인식된 공기 조화기의 운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
    상기 필름부를 향하여 광원을 조사하는 발광부; 및
    상기 공기 조화기의 패널에 터치 입력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된 광원이 작용하는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공기 조화기의 운전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영역 및 상기 운전정보에 관한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영역이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영역에서의 입력에 따라, 상기 표시영역에 표시되는 운전정보가 변경하여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영역의 내부에 상기 표시영역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기의 운전정보를 변경하기 위하여,
    상기 표시영역 또는 상기 입력영역의 내부 중 상기 표시영역을 제외한 다른 영역을 통하여 입력이 가능한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원 또는 타원 형상을 가지는 휠 입력부가 포함되며,
    상기 표시영역 및 입력영역은 상기 휠 입력부의 내부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휠 입력부에는,
    상기 휠 입력부의 중심부로부터 외주면을 향하여 일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라인; 및
    상기 휠 입력부의 중심부로부터 외주면을 향하여 타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2 라인이 포함되고,
    상기 입력영역은 상기 제 1 라인과 제 2 라인에 의하여 규정되는 내부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라인에는, 공기 조화기의 작동에 관한 제 1 정보가 표시되며,
    상기 제 2 라인에는, 상기 공기 조화기의 작동에 관한 제 2 정보가 표시되는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공기 조화기의 설정온도 및 상기 공기 조화기에서 토출되는 바람세기 중 하나이며, 상기 제 2 정보는 다른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영역에 표시되는 운전정보는 상기 공기 조화기에 규정된 운전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모드는 다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입력영역의 내부를 터치하면, 상기 운전모드는 미리 설정된 순서로 변경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영역에는, 선택 가능한 다수의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표시부 중, 일 표시부를 선택할 때 상기 표시영역에 표시되는 정보는,
    타 표시부를 선택할 때 상기 표시영역에 표시되는 정보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휠 입력부에는, 상기 공기 조화기의 공기 토출방향을 규정하는 입력영역이 포함되며,
    상기 입력영역에는, 상기 토출방향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구분하여 배치되는 다수의 방향 조절부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12. 공기 조화기의 작동에 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되는 내용을 변경하는 제어부가 포함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원형 또는 타원 형상의 휠 입력부;
    상기 휠 입력부의 내부에 규정되며, 상기 공기 조화기의 작동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영역; 및
    상기 입력 영역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입력 영역에서 입력된 내용에 따라 표시 내용이 변경되는 표시 영역이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은 상기 입력 영역의 내부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형성하는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역은,
    상기 휠 입력부의 중심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라인 및 상기 휠 입력부의 외주면에 의하여 규정되는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역을 터치하면,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정보가 변경되는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역을 한번씩 터치할 때마다,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정보는 설정된 순서로 변경되는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역을 설정시간 이상 터치하면,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정보는 설정된 순서로 변경되는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20113440A 2012-10-12 2012-10-12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94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440A KR101994478B1 (ko) 2012-10-12 2012-10-12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EP13162918.0A EP2719964B1 (en) 2012-10-12 2013-04-09 Display device of an air conditioner
CN201310210220.2A CN103727632B (zh) 2012-10-12 2013-05-30 空气调节器的显示装置
US13/912,298 US9080785B2 (en) 2012-10-12 2013-06-07 Display device for an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440A KR101994478B1 (ko) 2012-10-12 2012-10-12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759A true KR20140047759A (ko) 2014-04-23
KR101994478B1 KR101994478B1 (ko) 2019-06-28

Family

ID=48095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3440A KR101994478B1 (ko) 2012-10-12 2012-10-12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080785B2 (ko)
EP (1) EP2719964B1 (ko)
KR (1) KR101994478B1 (ko)
CN (1) CN10372763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44368A (zh) * 2016-01-13 2016-03-30 东莞市利发爱尔空气净化系统有限公司 一种控制空气净化器的方法及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36218A1 (ja) * 2013-03-06 2014-09-12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および運転状態表示装置
KR101554722B1 (ko) * 2015-01-23 2015-09-21 황용희 풍량 가변장치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WO2017146353A1 (ko) 2016-02-26 2017-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EP3211337B1 (en) 2016-02-26 2020-09-23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CN111156622B (zh) 2016-02-26 2022-04-26 Lg电子株式会社 空气清洁器
US10518205B2 (en) 2016-02-26 2019-12-31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CN111765554B (zh) 2016-02-26 2022-02-25 Lg电子株式会社 空气清洁器
WO2017146352A1 (ko) 2016-02-26 2017-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EP3211345B1 (en) 2016-02-26 2020-09-16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10436469B2 (en) 2016-02-26 2019-10-08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9943794B2 (en) 2016-02-26 2018-04-17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10684036B2 (en) 2016-07-22 2020-06-1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Indoor unit for air-conditioning apparatus
US20180031266A1 (en) 2016-07-27 2018-02-01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Interactive outdoor display
CN107065296A (zh) * 2016-11-18 2017-08-18 惠而浦(中国)股份有限公司 一种表面显示控制面板
CN106839350B (zh) * 2017-01-04 2020-08-25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空调器及其显示控制方法
CN106931589B (zh) * 2017-02-14 2018-12-0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扫风区域的控制方法及系统
CN108444073B (zh) * 2018-02-23 2020-11-24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空调控制界面的操作反馈方法、控制器及空调
CN108518798A (zh) * 2018-03-12 2018-09-1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的显示方法、装置、存储介质及空调
US10753633B2 (en) * 2018-03-14 2020-08-25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iagnostic display method for an air conditioner unit
CN110068106A (zh) * 2019-05-21 2019-07-30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显示组件和空调器
CN112460783B (zh) * 2020-11-20 2022-05-3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列间空调器
CN114719405B (zh) * 2022-03-25 2023-09-01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空调器的控制方法、显示器、空调器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1883A (ja) * 2003-03-27 2004-10-21 Denso Corp 車両用空調表示装置
KR20080065127A (ko) * 2007-01-08 2008-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2010211500A (ja) * 2009-03-10 2010-09-24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操作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10674B2 (en) * 1995-06-29 2013-12-17 Apple Inc. Programmable tactile touch screen displays and man-machine interfaces for improved vehicle instrumentation and telematics
DE19929973A1 (de) * 1999-06-30 2001-01-04 Volkswagen Ag Bedienelement
KR20070083046A (ko) * 2006-02-20 2007-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WO2007097515A2 (en) * 2006-02-27 2007-08-30 Lg Electronics Inc. Displaying method of picture for air conditioner
US8672649B2 (en) * 2007-10-10 2014-03-18 Delta T Corporation Ceiling fan system with brushless motor
KR101533315B1 (ko) * 2008-11-17 2015-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563487B1 (ko) * 2009-05-11 2015-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
CN201672622U (zh) * 2009-11-18 2010-12-15 Tcl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家用空调触摸屏显示装置
CN102253770A (zh) * 2010-05-17 2011-11-23 海尔集团公司 电容式触摸屏及具有该触摸屏的空调器
CN102003775A (zh) * 2010-11-23 2011-04-06 广东美的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器触摸屏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1883A (ja) * 2003-03-27 2004-10-21 Denso Corp 車両用空調表示装置
KR20080065127A (ko) * 2007-01-08 2008-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2010211500A (ja) * 2009-03-10 2010-09-24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操作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44368A (zh) * 2016-01-13 2016-03-30 东莞市利发爱尔空气净化系统有限公司 一种控制空气净化器的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02664A1 (en) 2014-04-17
KR101994478B1 (ko) 2019-06-28
EP2719964A3 (en) 2018-03-07
CN103727632B (zh) 2016-09-14
CN103727632A (zh) 2014-04-16
US9080785B2 (en) 2015-07-14
EP2719964B1 (en) 2019-12-25
EP2719964A2 (en) 2014-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4478B1 (ko)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94479B1 (ko)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618260B2 (en) Air conditioner
KR101947156B1 (ko) 공기 조화기
KR101707787B1 (ko) 히트 펌프 시스템의 리모트 컨트롤 장치
WO2017022132A1 (ja) 空気調和機
EP2204623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20140065590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83704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20080065127A (ko) 공기조화기
JP6289829B2 (ja) 冷蔵庫
KR20150039439A (ko) Hvac 컨트롤러
CN113614462B (zh) 空调机
KR101476296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13113469A (ja) 空気調和機
KR101994477B1 (ko)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03873A (ko) 공기조화기
KR102152732B1 (ko) 공기조화기
KR102155556B1 (ko) 공기조화기
KR102134610B1 (ko) 공기조화기
KR20050074822A (ko) 공기조화기 입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113628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76012A (ko) 공기조화기
JPWO2019073563A1 (ja) 空気調和機のリモコン装置
KR20110097368A (ko) 공기 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