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7029A - 탐폰용 어플리케이터 - Google Patents
탐폰용 어플리케이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47029A KR20140047029A KR1020137023619A KR20137023619A KR20140047029A KR 20140047029 A KR20140047029 A KR 20140047029A KR 1020137023619 A KR1020137023619 A KR 1020137023619A KR 20137023619 A KR20137023619 A KR 20137023619A KR 20140047029 A KR20140047029 A KR 2014004702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uter cylinder
- cylinder
- shade
- tampon applicator
-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20—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 A61F13/26—Means for inserting tampons, i.e. applicators
- A61F13/266—Insertion devices, e.g. rods or plungers, separate from the tamp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20—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 A61F13/26—Means for inserting tampons, i.e. applic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는 흡수체(4)가 내부에 수용되고, 일측에 이 흡수체가 압출되는 압출 개구(8)가 마련되고 타측에 파지통부(7)가 마련되는 외통(2); 상기 외통(2) 내로 이동하여 흡수체(4)를 상기 압출 개구로부터 외측으로 압출할 수 있는 내통(3); 및 상기 외통(2)의 상기 파지통부(7)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차양부(11)를 포함하며, 상기 차양부에는, 차양부(11)를 통해 상기 외통(2)의 압출 개구측으로부터 상기 파지통부측(7)을 시인할 수 있는 광투과부가 구비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어플리케이터가 달린 생리용 탐폰이 제공되어 있다. 탐폰용 어플리케이터는 외통과 내통을 포함한다. 외통 내부에는 인출 끈을 갖는 흡수체가 포함되어 있다. 생리용 탐폰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외통을 파지한 상태로, 외통을 질내로 삽입한 후에, 내통을 외통을 향하여 압박한다. 내통을 외통을 향하여 압박하면, 흡수체는 외통으로부터 압출되어 질내에 배치된다. 그러나, 생리용 탐폰을 사용할 때, 외통을 적절한 깊이까지 삽입하지 않은 상태로 사용자가 흡수체를 압출하면, 흡수체가 질 내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지 않는다.
특허 문헌 1에는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탐폰용 어플리케이터가 개시되어 있다. 탐폰용 어플리케이터는, 외통의 주변으로 연장되는 곡선 형상의 차양부(collar unit)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생리용 탐폰을 사용할 때 차양부를 통해 외통을 파지하고 외통을 질 내부에 삽입한다. 외통부가 적절한 깊이까지 삽입되면, 차양부가 질구와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외통을 적절한 깊이까지 삽입할 수 있다. 외통을 적절한 깊이까지 삽입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흡수체를 압출하면, 흡수체가 질 내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된다.
그러나, 본 출원인은 상기한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가능한 문제를 발견하였다. 상기 탐폰을 사용할 때, 사용자에 따라서 한손으로 음순을 열고 다른 한손으로 내통, 파지통부, 및 차양부를 유지한 상태로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의 선단을 질구를 향하게 하여 외통을 질 내부에 삽입한다. 이 때, 사용자가 탐폰용 어플리케이터를 보면, 내통을 잡은 손이 차양부의 후방에 위치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탐폰의 내통을 잡은 손을 시인하지 못하여, 내통을 외통을 향해 부드럽게 압박하지 못하거나 내통을 외통을 향해 압박하는 조작을 할 수 없게 된다. 그 결과, 질내의 적절한 위치에 흡수체를 배치하기 곤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흡수체를 질내의 적절한 위치에 쉽게 배치할 수 있는 탐폰용 어플리케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흡수체(흡수체(4))가 내부에 수용되고, 일측에 이 흡수체가 압출되는 압출 개구(압출 개구(8))가 마련되고 타측에 파지통부(파지통부(7))가 마련되는 외통(외통(2)); 상기 파지통부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외통 내로 이동하여 흡수체를 상기 압출 개구로부터 외측으로 압출할 수 있는 내통(내통(3)); 및 상기 외통의 상기 파지통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차양부(차양부(11))로서, 상기 차양부를 통해 상기 외통의 압출 개구측으로부터 상기 외통의 파지통부측을 시인할 수 있는 광투과부를 구비한 차양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광투과부를 통해 배면측을 시인할 수 있기 때문에, 내통과 파지통부를 잡은 손(탐폰용 어플리케이터를 조작하는 손)을 시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 상태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흡수체를 부드럽게 압출하여 질내의 적절한 위치에 흡수체를 배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의 사용 양태를 도시하는 모식정면도이다.
도 4는 제1 변형예에 따른 차양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제2 변형예에 따른 차양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제3 변형예에 따른 차양부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의 사용 양태를 도시하는 모식정면도이다.
도 4는 제1 변형예에 따른 차양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제2 변형예에 따른 차양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제3 변형예에 따른 차양부의 평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 전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의 평면도이다.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는 외통(2) 및 내통(3)을 갖는다. 외통(2) 및 내통(3)은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이다. 외통(2) 및 내통(3)의 단면 형상은 정원형(precise circle)이다. 외통(2) 및 내통(3)은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표면을 폴리올레핀 필름으로 적층한 판지로 전체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외통(2) 및 내통(3)은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과, 안료 1% 이상 및 윤활재 1% 이상을 함께 혼합하여 사출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외통(2) 및 내통(3)의 단면 형상은 정원형이지만, 본 발명에 따른 외통(2) 및 내통(3)의 단면 형상은, 질내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면 어떤 형상, 예컨대 타원형이어도 좋다.
외통(2)의 내부에는, 탐폰으로서 흡수체(4)가 수용되어 있다. 흡수체(4)에는 인출 끈(4a)이 연결되어 있다. 인출 끈(4a)은 내통(3)의 내부로 삽입되어 있고 흡수체(4)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삽입된 단부가 내통(3)으로부터 인출된다. 사용 중에 인출 끈(4a)을 당겨, 흡수체(4)를 체내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외통(2)의 일단에는 흡수체(4)가 압출되는 압출 개구(8)가 마련되어 있다. 압출 개구(8)에는, 흡수체(4)가 압출될 때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변형되는 화판체(8a)가 형성되어 있다. 화판체(8a)는 통상 압출 개구(8)의 연부에서 폐쇄되어 있고, 내통(3)에 의해 흡수체(4)가 압출될 때 흡수체(4)에 의해 넓어지면서 열린다. 따라서, 흡수체(4)가 외통(2)으로부터 압출되고, 흡수체(4)를 체내로 삽입할 수 있다.
외통(2)의 타단에는, 외통(2) 및 내통(3)의 이동 조작 시에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는 파지통부(7)가 마련되어 있다. 파지통부(7)는, 그 직경이 압출 개구(8)와 파지통부(7) 사이의 외통 본체(9)의 직경보다 작다. 파지통부(7)에는 내통(3)의 선단 부분이 삽입되고, 삽입된 내통(3)의 선단면은 흡수체(4)에 대면하고 있다. 파지통부(7)측에서의 외통 본체(9)의 단부는, 파지통부(7)와 대략 동일한 직경 크기로 좁아지고, 돌기부(5)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5)는 후술하는 차양부(11)와 접촉하고, 차양부(11)가 외통 본체(9)측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차양부(11)의 이동을 제한한다.
파지통부(7)에는 파지통부(7)보다도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차양부(11)가 장착되어 있다. 차양부(11)는 돌기부(5)와 접촉하고 있다. 차양부(11)에는, 파지통부(7)가 삽입된 구멍부(11a)가 형성되어 있다. 구멍부(11a)의 직경은 파지통부(7)의 외주 직경보다 큰 직경 또는 파지통부(7)의 외주 직경과 동일한 직경인 것이 좋다. 또한, 차양부(11)의 구멍부(11a)의 내경(D1)은 돌기부(5)의 외경보다 작다. 따라서, 차양부(11)는 원주 방향으로 및 축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차양부(11)는 돌기부(5)에 의해 외통 본체(9)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본 발명의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에서는, 차양부(11)의 내경(D1)은 9.9 mm이다. 외통본체(9)의 외경은 13.7 mm이고, 파지통부(7)의 외경은 9.4 mm이며, 돌기부(5)의 외경은 10.4 mm이다. 또한, 압출 개구(8)측의 외통(2) 단부로부터 차양부까지의 거리(L1)(도 2 참조)는 50 mm이고, 차양부(11)의 선단측의 면으로부터 파지통부(7)측의 외통(2) 단부까지의 거리(L2)(도 2 참조)는 10 mm이다. 또한, 차양부(11)의 선단측의 면으로부터 파지통부(7)측의 외통(2)의 단부까지의 거리(L2)는, 사용시에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파지하는 부분의 길이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잡기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10 mm 이상으로 구성한다. 또한, 차양부(11)의 두께는 1.5 mm이다.
차양부(11)의 외형은 평면시로 원 형상이다. 차양부(11)의 전광선투과율은 63% 이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차양부(11)는 전체가 반투명하고, 선단측(즉, 압출 개구(8)측)으로부터 차양부(11)를 통해 배면측이 시인가능하도록(인식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차양부(11) 전체가 광투과부로서 기능한다. 전광선투과율은, 차양부(11)를 구성하는 수지 재료에 포함되는 산화티탄의 양 또는 차양부(11)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산화티탄의 함유량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미세한 요철을 형성시킴으로써 전광선투과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차양부(11)의 전광선투과율이 63% 이상이므로, 차양부(11)를 통해 조작하는 손을 시인할 수 있다. 또한, 차양부(11)의 전광선투과율은 90% 이하로 구성된다. 차양부의 전광선투과율이 너무 높으면, 투명도가 높아지고 사용자가 차양부를 인식하기가 어렵게 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전광선투과율이 90% 이하인 차양부에 의하면, 사용자가 차양부를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반투명"이란, 전광선투과율이 63% 이상 90% 이하인 것을 의미하며, "투명"이란 전광선투과율이 90% 초과인 것을 의미한다.
차양부(11)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엘라스토머, 종이, 또는 그 외의 다른 재료로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차양부(11)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의 사용 형태를 도시하는 모식 정면도이다. 도 3은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를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를, 외통(2)의 선단(압출 개구(8))측으로부터 시인한 것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차양부(11) 전체가 반투명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차양부(11)를 통해 내통(3)과 파지통부(7)를 잡은 손(탐폰용 어플리케이터를 조작하는 손)을 시인할 수 있다. 따라서, 내통(3)을 외통(2)을 향해 압박할 때, 조작 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흡수체(4)를 부드럽게 압출하여 질내의 적절한 위치에 흡수체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차양부(11)의 직경은, 구멍부(11a)의 주변 강도를 확보하는 관점에서 적어도 구멍부의 내경보다 2 mm 외측으로 연장된 길이로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차양부(11)의 직경은, 차양부(11)와 질구가 접촉할 때, 체액이 손가락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적어도 15 mm 이상으로 구성한다.
또한, 차양부(11)는 파지통부(7)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기 때문에, 차양부(11)를 파지한 상태로 외통(2)을 체내에 삽입할 때에 외통(2)에 대하여 차양부(11)를 회전시켜 적절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외통(2)을 체내에 삽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외통(2)의 선단인 압출 개구(8)가 질구에 접촉한 상태와, 외통(2)이 질 내에 삽입되어 차양부(11)가 질구와 접촉한 상태에서는,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를 잡은 손의 각도와 위치가 달라진다. 이 때, 외통(2)에 대해 차양부(11)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에 대한 손의 위치나 각도 변화에 따라 차양부(11)와 외통(2) 사이의 상대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를 잡은 손의 각도와 위치가 변하는 경우라도, 사용자는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에 적절한 힘을 가하여 부드럽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차양부(11)는 금형을 이용하여 열가소성 수지를 사출성형하여 형성한 것이다. 사출 성형시, 차양부는 외통(2)과 함께 성형되어도 좋고, 별도로 성형하고, 이후 제조 공정 중에 일체 형성 공정을 통해 장착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차양부(11)는 외통(2)에 대하여 착탈이 자유롭게 구성되고, 사용 전에 사용자가 장착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어서, 이렇게 구성된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의 사용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흡수체(4)를 사용할 때, 사용자는 외통(2)을 질 내의 적절한 위치까지 삽입한다. 외통(2)을 적절한 위치까지 삽입한 상태에서는, 차양부(11)의 이면측(외통 본체측)의 평면은 질구 근방으로 배치된다. 다시 외통(2)을 삽입하면, 사용자의 신체에 차양부(11)가 접촉한다. 즉, 차양부(11)는 스토퍼로서의 기능을 발휘하고, 사용자는 적절한 위치까지 외통(2)을 삽입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외통(2)을 적절한 위치까지 삽입했을 때 질구와 손가락 사이에는 차양부(11)가 배치되기 때문에, 경혈 등에 의한 체액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질내의 소정 위치까지 외통(2)을 삽입한 후, 내통(3)을 외통(2)측을 향해 압박함으로써, 외통(2)의 압출 개구(8)로부터 흡수체(4)가 압출되고, 흡수체(4)가 질내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차양부(11)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이 질구 부근에 접촉하지 않고 적절한 위치에 흡수체(4)를 쉽게 배치할 수 있다. 흡수체(4)를 적절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사용시의 위화감을 최소로 할 수 있고, 사용자는 탐폰의 사용을 쾌적하게 느끼게 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차양부(11)는 전체가 광투과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차양부(11)는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차양부의 일부만 광투과부로서 구성된 것이어도 좋다. 이어서, 변형예에 따른 차양부를 설명한다. 도 4는 제1 변형예에 따른 차양부(12)의 평면도이고, 도 5는 제 2변형예에 따른 차양부(13)의 평면도이며, 도 6은 제3 변형예에 따른 차양부(14)의 평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변형예에 관한 설명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1 변형예에 따른 차양부(12)의 외형은 평면시로 대략 원형이다. 차양부(12)의 중심에는, 파지통부(7)가 삽입된 구멍부(12a)가 형성되어 있다. 구멍부(12a) 주변에는 차양부(12)에 하나 이상의 개구부가 마련되어 있다. 예를 들어, 구멍부(12a) 주변에는 광투과부로서 개구부(12b)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12b)를 마련함으로써, 차양부(12)의 전광선투과율이 63% 이하인 경우에도, 사용자가 차양부(12)를 통해 내통을 조작하는 손을 시인할 수 있다.
개구부(12b)의 크기는, 개구부(12b)를 통해 조작하는 손을 시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구체적으로는 직경이 2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개구부(12b)의 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여러 각도에서 시인할 수 있도록 차양부 전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3∼8개일 수 있다. 또한, 차양부(12) 전체가 메쉬 구조일 수도 있다.
개구부(12b)는, 사출 성형, 레이저 성형, 열 성형, 그 외의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개구부(12b)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성상형, 하트형, 및 클로버형 등의 각종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제1 변형예에 있어서, 차양부(12)에 개구부(12b)를 형성하여 개구부를 통해 조작하는 손을 시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개구부(12b) 대신에, 개구부(12b) 영역에 전광선투과율이 63% 이상인 고 광투과부를 복수개 형성하여, 고 광투과부를 통해 내통 등을 조작하는 손 등을 시인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제2 변형예에 따른 차양부(13)는 전체가 반투명이며, 그 외주에 구멍부(13a)(중심측)를 향해 오목하게 된 오목부(13c)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3c)를 마련함으로써, 사용자는 오목부(13c)를 따라 손가락을 배치하여 차양부(13)를 파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오목부(13c)에 손가락을 걸어 외통(2)을 삽입할 수 있으며, 질 내의 적절한 위치와 각도로 외통을 삽입하고, 질내에 적절한 위치에 용이하게 흡수체(4)를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오목부(13c)를 마련함으로써, 사용자가 손톱이 길거나 또는 인공 손톱을 장착한 경우라도, 질구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손톱을 향하게 할 수 있어 손톱이 질구 등,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13c)는 3개 형성되어 있고, 임의의 2개의 오목부(13c) 사이의 간격은 동일하며, 3개의 오목부(13c)는 구멍부(13a)의 중심에 대하여 120도 각도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차양부(13)를 마련함으로써, 3개의 손가락으로 차양부(13)를 파지할 수 있고, 외통(2)을 삽입할 때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인접한 오목부(13c) 사이의 간격을 등간격으로 함으로써, 오목부(13c)를 통해 균등하게 힘을 걸어 차양부(13)를 유지할 수 있고, 파지할 때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오목부를 3개 이상 형성할 수 있다.
오목부(13c)는, 사출 성형, 레이저 성형, 열 성형, 및 그 외의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오목부(13c)의 형상은, 유선형, 오목형, 이등변 삼각형 및 눈물 방울 등의 각종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제3 변형예에 따른 차양부(14)에서는, 외통이 삽입되는 구멍부(14a)와 광투과부로서 작용하는 개구부(14b)가 일체화되어 있다. 도 6에 있어서, 구멍부(14a)는 차양부(14)의 대략 중심에 배치되어 있고, 그 중심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4개의 개구부(14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구멍부(14a)와 개구부(14b)를 일체화함으로써, 동시에 개구를 형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차양부(14)는 외통(2)과 4개소의 접점에서 접하고 있고, 이 4개의 접점을 교점으로 하여 외통(2)에 계합되기 때문에, 계합 밸런스가 향상되고, 계합 상태가 더욱 안정될 수 있다. 또한, 사출 성형, 레이저 성형, 열 성형 및 다른 방법에 의해 일체형 개구를 가지는 차양부를 사전성형할 수 있다. 차양부의 프리폼으로부터 일체형 개구를 잘라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여기에 구체적으로 기재하지 않은 다양한 실시형태를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설명으로부터 타당한 특허청구범위에 따른 발명의 특정 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예를 들어, 차양부는 평면시에서 원형 이외의 외형을 가질 수 있고, 또한 직사각형이나 삼각형 등의 다각형이거나, 하트형 및 성상형이어도 좋고, 타원형이어도 좋으며, 동물의 머리 형상이어도 좋다. 예를 들어, 차양부의 외형을 하트형이나 동물의 머리 형상 등으로 하면, 탐폰과 같은 의료 용구를 차양부로 장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생리와 관련된 우울한 기분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다음 회에 그러한 의료 용구의 사용 의욕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차양부에 색을 부여하여, 장식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차양부에 부가된 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하트형의 차양부에는 적색과 핑크색을 부여하고, 곰 머리와 같은 형상의 차양부에는 갈색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차양부를 착색하는 것에 의해, 차양부를 눈에 띄게 할 수 있고, 특히 화장실 등의 불빛이 어두운 장소에서 취급이 용이해진다.
또한, 일부 실시형태에서 차양부의 외주 형상은 곡선 형상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곡선 형상에서는 날카로운 각의 부분을 포함하지 않지만, 직선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차양부의 외주 형상을 곡선 형상으로 함으로써, 사용자가 차양부를 파지할 때 감촉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차양부의 시인성 평가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평가 내용)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 1 및 2에 따른 전광선투과율이 상이한 차양부를 이용하여, 예를 들어 배면측의 손을 차양부를 통해 인식할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한 시인성 평가를 행하였다.
(전과성 투과율의 측정 방법)
차양부를 시료 가위에 끼우고, 광 수용 구멍부가 광속 중심에 위치하도록 시료대를 이동시키고, 광학 시험실의 덮개를 닫았다. 이어서, 전광선투과율을 측정한다. 전광선투과율은, 1개의 차양부에 대해 6개소를 측정하고, 그 평균치를 산출하였다.
(전광선투과율의 측정 장치)
측색 색차계(Nippon Denshoku Industries Co. Ltd. 제조의 모델 NDH-300A)를 사용하였다.
- 측정 방법: JIS K7105의 측정법 A에 준거
- 측정 광원: 12-V 4-A 할로겐 램프 수명 2000 시간
- 광로 방식: 전광선투과율과 확산 투과율의 교조 측정 방식
- 광 수용 소자: JIS K 7105에 준거한 실리콘 광전지 1개 사용
- 필터: 유리 필터 Y
- 측정 면적: 직경 12 mm
- 전원: AC100V, 50/60HZ
(평가 방법)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 1 및 2에 따른 차양부를 사용하여, 차양부의 배면측이 육안으로 시인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였다. 모니터 요원의 수는 5인이었다.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5인의 모니터 요원이 시인성을 판정하였다. 모니터 요원이 배면측을 시인할 수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 배면측이 시인가능한 것으로 판정하고, 모니터 요원이 배면측을 시인할 수 없다고 판정한 경우에, 배면측이 시인 불가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평가 결과)
평가 결과를 표 1에 제시한다.
실시예 1 내지 4에 따른 차양부는, 2인 이상의 모니터 요원이 시인가능하다고 판정하였고, 차양부를 통해 배면측을 시인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차양부의 전광선투과율은 6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시예 3 및 실시예 4에 따른 차양부는, 5인의 모니터 요원 전원이 시인가능하다고 판정하였다. 따라서, 차양부의 전광선투과율이 72%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출원은 일본 출원 2011-033315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그 전문이 참고로 본원에 포함된다.
Claims (8)
- 흡수체가 내부에 수용되고, 일측에 상기 흡수체가 압출되는 압출 개구가 마련되고 타측에 파지통부(grip tube unit)가 마련되는 외통;
상기 파지통부 내에 삽입되고, 상기 외통 내로 이동하여 흡수체를 상기 압출 개구로부터 외측으로 압출할 수 있는 내통; 및
상기 외통의 상기 파지통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차양부(collar unit)로서, 상기 차양부를 통해 상기 외통의 압출 개구측으로부터 상기 파지통부측을 시인할 수 있는 광투과부를 구비한 차양부
를 포함하는 탐폰용 어플리케이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부의 전광선투과율이 63% 이상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부는 반투명하거나 또는 투명하며,
상기 광투과부는 상기 차양부 전체에 형성되어 있는 탐폰용 어플리케이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부는 상기 차양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는 탐폰용 어플리케이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부에는, 외통을 삽입할 수 있는 구멍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와 상기 구멍부가 하나의 개구로 일체화되어 있는 것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부의 전광선투과율이 72% 이상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부의 전광선투과율이 90% 이하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부는 외통이 삽입되는 구멍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투과부는 상기 구멍부 주변에 배치되는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탐폰용 어플리케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1-033315 | 2011-02-18 | ||
JP2011033315 | 2011-02-18 | ||
PCT/JP2012/001044 WO2012111342A1 (en) | 2011-02-18 | 2012-02-16 | Tampon applicat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47029A true KR20140047029A (ko) | 2014-04-21 |
Family
ID=46672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7023619A KR20140047029A (ko) | 2011-02-18 | 2012-02-16 | 탐폰용 어플리케이터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140052048A1 (ko) |
EP (1) | EP2675414A4 (ko) |
JP (1) | JP6043489B2 (ko) |
KR (1) | KR20140047029A (ko) |
AU (1) | AU2012218945A1 (ko) |
WO (1) | WO201211134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791310B2 (ja) * | 2011-03-01 | 2015-10-07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タンポン用アプリケータ |
USD819814S1 (en) * | 2016-07-22 | 2018-06-05 | Edgewell Personal Care Brands, Llc. | Menstrual product applicator |
USD819813S1 (en) * | 2016-07-22 | 2018-06-05 | Edgewell Personal Care, Brands, LLC | Applicator with telescoping plunger |
USD819206S1 (en) * | 2016-07-22 | 2018-05-29 | Edgewell Personal Care Brands, Llc | Applicator with telescoping plunger |
USD816839S1 (en) * | 2016-07-22 | 2018-05-01 | Edgewell Personal Care Brands, Llc. | Menstrual product applicator |
USD829905S1 (en) * | 2016-07-22 | 2018-10-02 | Edgewell Personal Care Brands, Llc | Applicator with telescoping plunger |
US11529264B2 (en) | 2017-10-06 | 2022-12-20 |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 Tampon applicator |
US11980531B2 (en) | 2021-03-17 | 2024-05-14 | Sarah Folluo | Protective ring for tampon applicator |
WO2022268279A1 (en) | 2021-06-25 | 2022-12-29 | Coloplast A/S | A demonstration tool for an ostomy appliance user and a demonstration method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042040A (en) * | 1959-06-30 | 1962-07-03 | George M Galik | Attachment for tampon applicator |
JPS606518U (ja) * | 1983-06-22 | 1985-01-17 | 花王株式会社 | タンポンのアプリケ−タ− |
JPH022332Y2 (ko) * | 1985-03-16 | 1990-01-19 | ||
ZA933133B (en) * | 1992-05-15 | 1994-10-05 | Akzo Nv | Application for introducing a cream-type substance into a woman's vagina |
US6572577B1 (en) * | 2000-06-23 | 2003-06-03 | Mcneil-Ppc, Inc. | Applicator for catamenial device having improved gripper end |
US6932805B2 (en) * | 2002-03-18 | 2005-08-23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Shaped tampon |
TW595484U (en) * | 2003-04-28 | 2004-06-21 | Fu-Sheng Lai | Improved assembly structure for mouth, nose, and eye mask |
US20080167599A1 (en) * | 2007-01-10 | 2008-07-10 | The Procter & Gamble Comapny | Active applicator |
JP5386207B2 (ja) * | 2009-03-23 | 2014-01-15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タンポンの製造方法、及び、タンポンの製造装置 |
-
2012
- 2012-02-16 US US13/985,826 patent/US20140052048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2-02-16 KR KR1020137023619A patent/KR2014004702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2-02-16 WO PCT/JP2012/001044 patent/WO2012111342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2-02-16 EP EP12747510.1A patent/EP2675414A4/en not_active Withdrawn
- 2012-02-16 AU AU2012218945A patent/AU2012218945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2-02-16 JP JP2012031966A patent/JP6043489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2111342A1 (en) | 2012-08-23 |
JP6043489B2 (ja) | 2016-12-14 |
JP2012183305A (ja) | 2012-09-27 |
EP2675414A4 (en) | 2014-07-23 |
AU2012218945A1 (en) | 2013-08-29 |
EP2675414A1 (en) | 2013-12-25 |
US20140052048A1 (en) | 2014-02-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40047029A (ko) | 탐폰용 어플리케이터 | |
EP2682082A1 (en) | Tampon applicator | |
EP2882393B1 (en) | Tampon applicator and sanitary tampon | |
AU2009272241B2 (en) | Tampon applicator | |
WO2018190422A1 (ja) | スクイズボトル | |
AU2011291445B2 (en) | Tongue depressor | |
KR20140002722A (ko) | 탐폰용 어플리케이터 | |
CA2781174A1 (en) | Applicator having an enhanced gripping region | |
US20100193386A1 (en) | Vaginal-Health Products Comprising Colored Applicators | |
WO2010024398A1 (ja) | タンポン用アプリケータ | |
JP5996170B2 (ja) | タンポン用アプリケータ | |
JP5285359B2 (ja) | タンポン用アプリケータ | |
US20210290448A1 (en) | Tampon and applicator assembly with advantageously-shaped gripping portion | |
JP2010051722A (ja) | タンポン用アプリケータ | |
JP2015077510A (ja) | タンポン用アプリケータ | |
WO2021085060A1 (ja) | 生理用タンポン | |
US20140276350A1 (en) | Position confirmation sheet of sanitary tampon, explanatory note of sanitary tampon, package bag of sanitary tampon, and container of sanitary tampon | |
JP2024054020A (ja) | 歯ブラシ | |
BRPI0504371A (pt) | colher para alimentação de enfermos portadores de doenças neurológica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