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6098A -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6098A
KR20140046098A KR1020120111669A KR20120111669A KR20140046098A KR 20140046098 A KR20140046098 A KR 20140046098A KR 1020120111669 A KR1020120111669 A KR 1020120111669A KR 20120111669 A KR20120111669 A KR 20120111669A KR 20140046098 A KR20140046098 A KR 20140046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unit
air conditioner
voice inform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1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태형
최병진
문성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1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6098A/ko
Priority to CN201310206490.6A priority patent/CN103712311B/zh
Publication of KR20140046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60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techniques
    • G10L17/22Interactive procedures; Man-machine inte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uzzy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는, 실내 공간에 공기를 토출하는 실내기; 상기 실내기에 제공되며, 주변에서 발생하는 음성이 수집되는 음성 입력부;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하여 수집된 음성과 매칭 가능한 음성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하여 수집된 음성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 및 상기 실내기의 작동과 관련된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가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 입력부에서 수집된 음성정보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정보 중 적어도 일부의 음성정보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인식하며, 상기 수집된 음성정보와 상기 저장된 음성정보가 매칭되면,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하여 음성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An air conditioner and a control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용도,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가전기기이다. 이를테면, 여름에는 실내를 시원한 냉방상태로, 겨울에는 실내를 따뜻한 난방상태로 조절하고, 또한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며, 실내의 공기를 쾌적한 청정상태로 조절한다. 공기 조화기에는 냉동 사이클이 구동되며,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 및 증발기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조화기에는, 실내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실내공간으로 토출되는 토출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공기 조화기에는 상기 흡입부로부터 토출부까지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송풍팬이 제공될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전원이 ON 되고 특정모드의 실행을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압축기 및 송풍팬이 구동하면서 상기 특정모드에 대응하는 냉동 사이클의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특정모드에는, 냉방, 난방, 송풍 또는 제습모드가 포함될 수 있다.
종래의 공기 조화기는, 사용자가 상기 공기 조화기의 특정모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에 구비되는 입력부를 직접 조작하도록 구성되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상기 공기 조화기를 조작할 수 있는 거리까지 접근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공기 조화기의 작동이 편리한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는, 실내 공간에 공기를 토출하는 실내기; 상기 실내기에 제공되며, 주변에서 발생하는 음성이 수집되는 음성 입력부;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하여 수집된 음성과 매칭 가능한 음성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하여 수집된 음성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 및 상기 실내기의 작동과 관련된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가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 입력부에서 수집된 음성정보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정보 중 적어도 일부의 음성정보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인식하며, 상기 수집된 음성정보와 상기 저장된 음성정보가 매칭되면,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하여 음성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제공되며, 주변에서 발생하는 음성이 수집되는 음성 입력부;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하여 수집된 음성과 매칭 가능한 음성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하여 수집된 음성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 상기 케이스의 타측에 배치되며, 실내기의 작동과 관련된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및 상기 메인 제어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음성 출력부로부터의 음성 출력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가 포함되며,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음성 입력부에서 수집된 음성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정보의 매칭여부를 인식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수집된 음성과 상기 저장된 음성정보가 매칭되면,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하여 음성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에는, 실내기의 전원이 ON 되면, 음성 입력부를 통하여 음성입력이 가능한 음성입력 준비상태로 전환되는 단계;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하여 음성이 수집되는 단계;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한 음성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기의 작동여부가 결정되는 단계; 및 상기 실내기가 운전되는 단계가 포함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음성을 통하여 공기 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사용자의 음성 중에 공기 조화기의 작동과 관련한 음성정보와 노이즈와 관련된 음성정보를 구분할 수 있는 매핑 정보가 공기 조화기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음성을 오인식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공기 조화기에 대하여 음성으로 대화하는 방식으로 공기 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음성인식 장치와 함께 내실자의 존재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장치가 제공되고, 음성인식 및 내실자의 감지가 성공된 경우에만 공기 조화기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공기 조화기의 작동에 대한 오인식 가능성이 줄어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과 관련된 주요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음성주파수를 필터링 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와 사용자간의 음성대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음성인식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와 사용자간의 음성대화 및 인체감지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음성인식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0)에는, 흡입부(22) 및 토출부(25,42)를 구비하며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20)가 포함된다. 도 1에 도시된 공기 조화기(10)는 실내 공간에 설치되어 공기를 토출하는 실내기일 수 있다.
상기 흡입부(22)는 상기 케이스(20)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부(25,42)에는, 상기 흡입부(22)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상기 케이스(20)의 전방 또는 측방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메인 토출부(25) 및 하방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하부 토출부(42)가 포함된다.
상기 메인 토출부(25)는 상기 케이스(20)의 양측에 형성되며, 토출 베인(26)에 의하여 그 개폐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토출 베인(26)은 상기 메인 토출부(25)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토출부(42)는 상기 케이스(20)의 전방 하부에 형성되는 공간부(41)에 배치되며, 하부 토출베인(44)에 의하여 그 개폐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공간부(41)는 상기 케이스(20)의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함몰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간부(41)의 후면에는,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장식미를 높일 수 있는 장식패널(50)이 구비된다. 상기 장식패널(50)은 엘시디 패널등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조명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식패널(50)에는, 공기 조화기(10)의 작동 상태에 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의 상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상부 토출장치(30)가 제공된다.
상기 공기 조화기(10)가 ON 되면 상기 상부 토출장치(30)는 상기 케이스(20)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이동되고, 상기 공기 조화기(10)가 OFF 되면 상기 상부 토출장치(30)는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케이스(2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토출장치(30)의 전면에는 공기가 토출되는 상부 토출부(32)가 규정되며, 상기 상부 토출장치(30)의 내부에는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상부 토출베인(34)이 구비된다. 상기 상부 토출베인(34)은 회전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의 적어도 일측에는,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될 수 있는 음성 입력부(110)가 구비된다. 일례로, 상기 음성 입력부(110)는 상기 케이스(20)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음성 입력부(110)는 음성을 수집할 수 있는 점에서 "음성 수집부"라 명명할 수도 있다. 상기 음성 입력부(110)에는, 마이크(micro-phone)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음성 입력부(110)는 상기 메인 토출부(25)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에 영향을 받지 않기 위하여, 상기 메인 토출부(25)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10)에는, 상기 음성 입력부(110)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 중 노이즈 음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부(115)가 제공된다. 음성은 상기 필터부(115)를 거치면서 음성정보를 인식하기 용이한 음성주파수로 필터링 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10)에는, 상기 필터부(115)를 거친 음성정보로부터 공기 조화기(10)의 작동을 위한 정보로 인식하는 제어부(120,150)가 포함된다.
상기 제어부(120,150)에는, 공기 조화기의 작동을 위하여 구동부(14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메인 제어부(120) 및 상기 메인 제어부(12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공기 조화기의 작동정보를 외부에 디스플레이 하기 위하여 출력부(160)를 제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제어부(150)가 포함된다.
상기 구동부(140)에는, 압축기 또는 송풍팬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력부(160)에는,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작동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 및 음성으로 표시하는 음성 출력부(165, 도 3 참조)가 포함된다. 상기 음성 출력부는 스피커일 수 있다.
상기 음성 출력부(165)는 상기 케이스(20)의 일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음성 출력부(165)는 상기 음성 입력부(110)와 구분되어 별도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조화기(10)에는, 상기 음성 입력부(110)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 중,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작동과 관련된 음성정보와,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작동과 관련없는 음성정보를 미리 매핑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부(130)가 포함된다.
상기 메모리부(130)에는, 제 1 음성정보(132), 제 2 음성정보(134) 및 제 3 음성정보(136)가 저장된다 (도 3 참조). 상세히, 상기 메모리부(130)에는, 상기 제 1 내지 3 음성정보를 규정하는 주파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음성정보는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작동과 관련된 음성정보, 즉 키워드 정보로서 이해된다. 상기 제 1 음성정보가 입력된 것으로 인식되면, 입력된 제 1 음성정보에 대응하는 공기 조화기의 운전이 수행되거나, 정지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음성정보가 공기 조화기의 ON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제 1 음성정보가 인식되면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운전이 시작된다. 반면에, 상기 제 1 음성정보가 공기 조화기의 OFF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제 1 음성정보가 인식되면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운전이 정지된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 1 음성정보가 공기 조화기의 일 운전모드, 즉 냉방, 난방, 송풍 또는 제습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제 1 음성정보가 인식되면 해당 운전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
결국, 상기 메모리부(130)에는, 상기 제 1 음성정보 및 상기 제 1 음성정보에 대응하는 공기 조화기의 운전방식(온오프 여부, 운전모드)이 미리 매핑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 2 음성정보는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작동과 관련한 제 1 음성정보와 유사한 주파수 정보를 가지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공기 조화기(10)의 작동과 관련한 음성정보로서 이해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음성정보와 유사한 주파수 정보란 상기 제 1 음성정보와 설정범위 내의 주파수 차이를 보이는 주파수 정보라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 2 음성정보가 입력된 것으로 인식되면, 해당 음성정보는 노이즈 정보로서 필터링 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 제어부(120)는 상기 제 2 음성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의 작동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 3 음성정보는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작동과 전혀 관련없는 음성정보로서 이해된다. 상기 제 3 음성정보는 상기 제 1 음성정보와 설정범위 외의 주파수 차이를 보이는 주파수 정보라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 2 음성정보와 제 3 음성정보는 공기 조화기의 작동과 관련없는 음성정보인 점에서, "미관련 정보"라 이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과 관련된 주요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음성주파수를 필터링 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성 입력 및 음성정보 매칭과정을 설명한다.
공기 조화기(10)의 주변에서 특정 음성이 발생한 경우, 상기 음성 입력부(110)는 발생된 음성을 수집하게 된다. 수집된 음성은 상기 필터부(115)에서 노이즈 음을 제거한 후 상기 메인 제어부(120)에 전달된다.
상기 메인 제어부(120)는 상기 음성 입력부(110)에서 입력된 음성정보와, 상기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음성정보를 비교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 제어부(120)는 상기 입력된 음성정보가 제 1 음성정보(132), 제 2 음성정보(134) 및 제 3 음성정보(136) 중 어떠한 음성정보에 대응되는지 인식한다.
입력된 음성정보와, 메모리부(130)에 미리 저장된 음성정보의 대응여부는, 각 음성정보를 규정하는 시간값 및 주파수값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4에는,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주변에서 발생되는 음성 중 상기 제 1 음성정보(132)를 인식하는 과정이 도시된다.
상세히, 상기 메인 제어부(120)는 Δt의 시간간격으로 상기 제 1 음성정보의 발생여부를 확인한다. 즉, 일 시점에서 발생되는 주파수 값과 Δt가 경과된 시점에서 발생되는 주파수 값들을 인식하여 상기 제 1 음성정보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일례로, 일 시점 t1에서 특정 주파수 값이 인식되고, 이후 Δt의 시간간격 이후에 차례로 규정되는 시간 t2, t3 및 t4에서 특정 범위의 주파수 값이 인식되고, 이러한 시간 및 주파수의 변화 관계가 상기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제 1 음성정보(132)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메인 제어부(120)는 상기 제 1 음성정보가 입력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t1은 제 1 음성정보의 시작시점, t4는 제 1 음성정보의 종료시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 1 음성정보가 입력된 것으로 인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150)는 음성 출력부(165)를 제어하여, 상기 제 1 음성정보에 대응하는 공기 조화기의 작동 정보가 음성으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S1).
반면에, 각 시점 t1, t2 t3 및 t4에서 인식된 주파수 값이 상기 특정 주파수에 대한 설정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인식되면, 이는 제 2 음성정보가 입력된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상기 제 2 음성정보가 입력된 것으로 인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150)는 상기 음성 출력부(165)를 제어하여 음성 입력을 재요청하는 메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음성정보와 유사한 주파수의 음성정보가 입력된 것으로 인식되었는 바, 재입력을 요청하여 제 1 음성정보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S2).
한편, 상기 각 시점 t1, t2 t3 및 t4에서 인식된 주파수 값이 상기 특정 주파수에 대한 설정범위 밖에 있는 것으로 인식되면, 이는 제 3 음성정보가 입력된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상기 제 3 음성정보가 입력된 것으로 인식되면, 상기 메인 제어부(120)는 이를 노이즈 정보로 인식하여 자체 필터링을 수행하며, 별도의 메세지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S3).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와 사용자간의 음성대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음성인식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와 사용자는 대화 형식을 통하여 공기 조화기의 작동과 관련한 명령 및 응답을 교환할 수 있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공기 조화기(10)의 전원이 ON 되면, 상기 공기 조화기(10)는 음성인식 준비(stand by) 상태에 돌입할 수 있다. 상기 음성인식 대기상태는, 음성 입력부(110)를 통한 음성 입력이 가능한 상태로서 이해될 수 있다(S11,S12).
그리고,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제 1 음성정보(이하, 제 1 키워드)를 입력하면, 음성인식을 통한 공기 조화기의 제어가 가능한 상태, 즉 음성인식 활성화 상태에 돌입하였다는 응답 메세지가 음성으로 출력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키워드는 음성인식 활성화를 위하여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와 공기 조화기간 약속된 키워드로서 이해된다. 그리고, 상기 음성인식 활성화란, 상기 음성 입력부(110)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과 상기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음성정보를 매칭시키기 위한 상태로서 이해될 수 있다(S13,S14).
일례로, 도 5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에어컨 준비"라는 제 1 키워드를 입력하면, 상기 공기 조화기(10)는 상기 제 1 키워드를 인식하고 이에 대응하는 응답, 예를 들어 "음성인식 가능상태 입니다"라는 음성인식 활성화 메세지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음성인식 활성화 상태에서,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제 1 음성정보(이하, 제 2 키워드)를 입력하면, 공기 조화기의 운전이 시작되면서 공기 조화기의 운전에 돌입하였다는 응답 메세지가 음성으로 출력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키워드는 공기 조화기의 운전 또는 정지를 위하여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와 공기 조화기간 약속된 키워드로서 이해된다(S15,S16).
일례로, 도 5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에어컨 켜"라는 제 2 키워드를 입력하면, 상기 공기 조화기(10)는 상기 제 2 키워드를 인식하고 이에 대응하는 응답, 예를 들어 "에어컨을 동작시켰습니다"라는 에어컨 동작 메세지를 출력하고 동작이 시작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개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 2 키워드에는 "에어컨 꺼"라는 음성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키워드에는 공기 조화기의 운전정지에 관한 음성정보가 포함되며, 이러한 제 2 키워드가 인식되면 상기 공기 조화기의 운전이 정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키워드에는 공기 조화기의 운전모드, 예를 들어 "난방", "냉방", "송풍" 또는 "제습"과 같은 음성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중에 이러한 제 2 키워드가 인식되면, 상기 공기 조화기(10)는 인식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모드로 운전될 수 있다.
상기 제 2 키워드의 인식에 따라 공기 조화기(10)의 운전이 제어되는 중에,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제 1 음성정보(이하, 제 3 키워드)를 입력하면, 음성인식 중지상태(음성인식 sleep 모드)로 돌입할 수 있다(S17,S18).
일례로, 도 5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에어컨 대기"라는 제 3 키워드를 입력하면, 상기 공기 조화기(10)는 상기 제 3 키워드를 인식하고 이에 대응하는 응답, 예를 들어 "음성인식 기능을 중지합니다"라는 에어컨 음성인식 중지메세지를 출력하고 음성인식이 종료될 수 있다.
그리고, 이후, 음성인식 기능을 다시 활성화 하기 위하여는, 상기 제 1 키워드를 입력할 수 있을 것이다.
정리하면, 상기 메모리부(130)에 저장되는 제 1 음성정보(132)에는, 음성인식 활성화 상태에 돌입할 것을 명령하는 "제 1 키워드"와, 공기 조화기(10)의 동작과 관련된 명령, 예를 들어 에어컨 운전시작, 운전종료, 운전모드 결정에 관한 "제 2 키워드" 및 음성인식을 중지할 것을 명령하는 "제 3 키워드"가 포함된다.
이와 같이, 음성인식 및 공기 조화기의 동작과 관련된 키워드가 구분되어 메모리부(130)에 저장되고, 음성인식 활성화 상태에서는 언제든지 음성인식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므로, 음성인식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간단한 단어 위주로 구성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공기 조화기의 작동 또는 음성인식 활성화 여부를 명령할 수 있으므로, 음성 오인식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음성인식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음성인식 모드를 중지할 수 있으므로, 음성인식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소모전력이 저감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와 사용자간의 음성대화 및 인체감지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음성인식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0)에는, 상기 공기 조화기(10) 주변의 사람(이하, 내실자)의 존재여부 또는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인체감지 센서(170)가 포함된다.
상기 인체감지 센서(170)는 상기 상부 토출장치(30)의 전면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인체감지 센서(170)는, 상기 상부 토출장치(30)가 작동을 위하여 상기 케이스(20)의 상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상기 상부 토출부(32)의 주변 테두리부에 제공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인체감지 센서(17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내실자의 존재여부 또는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면, 다른 어디에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인체감지 센서(170)에 인식한 정보는 상기 메인 제어부(120) 또는 디스플레이 제어부(150)에 전달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제어부(120) 또는 디스플레이 제어부(150)는 전달된 정보를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운전을 제어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공기 조화기(10)의 전원이 ON 되면, 상기 공기 조화기(10)는 음성인식 준비(stand by) 상태에 돌입할 수 있다(S21,S22).
그리고, 사용자가 제 1 키워드를 입력하면, 음성인식 활성화 상태에 돌입하였다는 응답 메세지가 음성으로 출력될 수 있다(S23,S24)
상기 음성인식 활성화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 2 키워드를 입력하면(도 8의 (A) 부분), 상기 인체감지 센서(170)가 작동하여 내실자의 존재여부 또는 위치가 감지될 수 있다(도 8의 (B) 부분)(S25,S26).
상기 인체감지 센서(170)가 내실자의 존재를 감지하였다면, 상기 메인 제어부(120)는 상기 제 2 키워드에 따른 공기 조화기(10)의 운전이 수행되도록 상기 구동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 제어부(120)는 공기 조화기(10)의 운전시작, 운전종료 또는 운전모드 중 일모드에 따른 운전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음성 출력부(165)를 통하여 "에어컨을 동작시켰습니다"라는 에어컨 동작 메세지를 출력하고 동작이 시작될 수 있다(도 8의 (C) 부분)(S27).
이와 같이, 상기 제 2 키워드가 인식되더라도 상기 인체감지 센서(170)에 따른 내실자의 존재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제 2 키워드에 따른 공기 조화기(10)의 운전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운전이 시작되는 과정에서, 상기 인체감지 센서(170)를 통하여 인식된 내실자의 위치에 따라 운전모드가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일례로, 상기 토출부(25,32,42)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이 상기 내실자를 향할 수 있도록, 상기 토출베인(26,34,44)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인체감지 센서(170)가 내실자의 존재를 감지하지 못하였다면, 상기 메인 제어부(120)는 상기 제 2 키워드에 따른 공기 조화기(10)의 운전제어가 수행되지 않도록 상기 구동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 2 키워드의 인식에 따라 공기 조화기(10)의 운전이 제어되는 중에, 사용자가 제 3 키워드를 입력하면, 음성인식 중지상태(음성인식 sleep 모드)로 돌입할 수 있다(S28,S29).
그리고, 이후, 음성인식 기능을 다시 활성화 하기 위하여는, 상기 제 1 키워드를 입력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 의하면, 미리 설정된 음성정보 및 인체감지 센서를 통하여 공기 조화기(10)의 운전이 제어될 수 있으므로, 음성 오인식에 따른 공기 조화기(10)의 잘못된 제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 : 공기 조화기 20 : 케이스
30 : 상부 토출장치 110 : 음성 입력부
115 : 필터부 120 : 메인 제어부
130 : 메모리부 132 : 제 1 음성정보
134 : 제 2 음성정보 136 : 제 3 음성정보
140 : 구동부 150 : 디스플레이 제어부
160 : 출력부 165 : 음성 출력부

Claims (18)

  1. 실내 공간에 공기를 토출하는 실내기;
    상기 실내기에 제공되며, 주변에서 발생하는 음성이 수집되는 음성 입력부;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하여 수집된 음성과 매칭 가능한 음성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하여 수집된 음성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실내기의 작동과 관련된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가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 입력부에서 수집된 음성정보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정보 중 적어도 일부의 음성정보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인식하며,
    상기 수집된 음성정보와 상기 저장된 음성정보가 매칭되면,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하여 음성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입력부는,
    상기 실내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에는,
    상기 실내기의 작동과 관련된 제 1 음성정보 및 상기 실내기의 작동과 관련없는 음성정보가 구분되어 매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의 작동과 관련없는 음성정보에는,
    상기 제 1 음성정보의 주파수에 대하여 설정범위 내의 주파수를 가지는 제 2 음성정보; 및
    상기 제 1 음성정보의 주파수에 대하여 설정범위 외의 주파수를 가지는 제 3 음성정보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에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음성정보에 대하여, 시간에 대한 주파수 변화값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음성정보에는,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음성정보를 매칭시키기 위한 음성인식 활성화 상태에 돌입하기 위한 제 1 키워드;
    상기 실내기의 작동명령에 관한 제 2 키워드; 및
    상기 음성인식 활성화 상태를 중지하기 위한 제 3 키워드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에 구비되며,
    상기 실내기 주변의 내실자의 존재여부 또는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인체감지부가 더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음성정보에 매칭된 것으로 인식하더라도,
    상기 인체감지부를 통한 내실자의 존재가 인식되지 않으면, 상기 실내기의 작동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9.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제공되며, 주변에서 발생하는 음성이 수집되는 음성 입력부;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하여 수집된 음성과 매칭 가능한 음성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하여 수집된 음성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
    상기 케이스의 타측에 배치되며, 실내기의 작동과 관련된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및
    상기 메인 제어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음성 출력부로부터의 음성 출력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가 포함되며,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음성 입력부에서 수집된 음성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정보의 매칭여부를 인식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수집된 음성과 상기 저장된 음성정보가 매칭되면,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하여 음성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기의 전원이 ON 되면, 상기 공기 조화기는,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하여, 음성이 입력될 준비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상태에서,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하여 미리 설정된 제 1 키워드가 입력되면,
    상기 음성 출력부는, 음성인식 활성화 상태에 관한 메세지를 출력하는 공기 조화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인식 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하여 미리 설정된 제 2 키워드가 입력되면,
    상기 음성 출력부는, 상기 공기 조화기의 작동과 관련된 메세지를 출력하는 공기 조화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인식 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하여 미리 설정된 제 3 키워드가 입력되면,
    상기 음성 출력부는, 음성인식 중지상태에 관한 메세지를 출력하는 공기 조화기.
  14. 음성 입력부를 통하여 음성입력이 가능한 음성입력 준비상태로 전환되는 단계;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하여 음성이 수집되는 단계;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한 음성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기의 작동여부가 결정되는 단계; 및
    상기 실내기가 운전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하여 수집된 음성이 미리 설정된 제 1 키워드에 관한 것이면, 음성인식의 활성화 상태를 알리는 메세지가 출력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인식의 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하여 수집된 음성이 미리 설정된 제 2 키워드에 관한 것이면, 상기 제 2 키워드에 대응하는 공기 조화기의 작동에 관련한 메세지가 출력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인식의 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하여 수집된 음성이 미리 설정된 제 3 키워드에 관한 것이면, 상기 음성인식이 종료되는 메세지가 출력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키워드가 음성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면, 인체감지부를 통하여 내실자의 존재여부 또는 위치가 감지되는 단계; 및
    상기 내실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 2 키워드에 대응하는 공기 조화기의 작동에 관련한 메세지가 출력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0120111669A 2012-10-09 2012-10-09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4609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1669A KR20140046098A (ko) 2012-10-09 2012-10-09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N201310206490.6A CN103712311B (zh) 2012-10-09 2013-05-29 空调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1669A KR20140046098A (ko) 2012-10-09 2012-10-09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6098A true KR20140046098A (ko) 2014-04-18

Family

ID=50405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1669A KR20140046098A (ko) 2012-10-09 2012-10-09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40046098A (ko)
CN (1) CN103712311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05882A (zh) * 2014-12-30 2016-07-27 Tcl空调器(中山)有限公司 空调器控制方法和装置
KR20180110978A (ko) * 2017-03-30 2018-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홈 어플라이언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91208B (zh) * 2014-05-23 2017-11-14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空调器风速控制方法和系统
CN104075411B (zh) * 2014-06-26 2017-01-25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基于音频信号的终端控制方法和系统
CN104075408B (zh) * 2014-06-26 2017-06-06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基于中转终端的终端控制方法和系统
CN104075410B (zh) * 2014-06-26 2017-02-15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基于音频信号的终端控制方法和系统
CN104214892B (zh) * 2014-06-26 2017-03-15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基于音频信号的空调器运行参数调整方法和系统
CN105280188B (zh) * 2014-06-30 2019-06-28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基于终端运行环境的音频信号编码方法和系统
CN105321521B (zh) * 2014-06-30 2019-06-04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基于终端运行环境的音频信号编码方法和系统
CN104505092B (zh) * 2014-12-10 2017-12-2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语音控制方法和系统
WO2017020234A1 (zh) * 2015-08-03 2017-02-09 薄冰 用语音控制空调的方法和空调
CN105222275B (zh) * 2015-09-25 2018-04-1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显示数据的切换方法、装置及系统
CN105202707B (zh) * 2015-10-22 2018-01-19 重庆大学 基于音频信号特征识别的空调送风控制系统
WO2018006207A1 (zh) * 2016-07-02 2018-01-11 李珂悦 智能空调
US10186263B2 (en) * 2016-08-30 2019-01-22 Lenovo Enterprise Solutions (Singapore) Pte. Ltd. Spoken utterance stop event other than pause or cessation in spoken utterances stream
CN107166651B (zh) * 2017-05-23 2020-01-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的控制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416416Y (zh) * 2000-01-28 2001-01-24 广东科龙空调器有限公司 可语音控制的空调器
JP2002169584A (ja) * 2000-11-29 2002-06-14 Denso Corp 音声操作システム
KR100383749B1 (ko) * 2000-12-21 2003-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원격음성제어시스템
CN2486896Y (zh) * 2001-06-17 2002-04-17 海尔集团公司 声控空调
CN2548056Y (zh) * 2001-06-17 2003-04-30 海尔集团公司 声控空调遥控器
CN1889035A (zh) * 2005-06-30 2007-01-03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具有声音识别功能的声控空调
JP4793291B2 (ja) * 2007-03-15 2011-10-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リモコン装置
CN201129826Y (zh) * 2007-11-20 2008-10-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控制装置
JP5020222B2 (ja) * 2008-12-08 2012-09-05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102183075A (zh) * 2011-05-30 2011-09-14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具有自定义声控功能的空调器的声音控制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05882A (zh) * 2014-12-30 2016-07-27 Tcl空调器(中山)有限公司 空调器控制方法和装置
CN105805882B (zh) * 2014-12-30 2019-06-07 Tcl空调器(中山)有限公司 空调器控制方法和装置
KR20180110978A (ko) * 2017-03-30 2018-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홈 어플라이언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712311B (zh) 2016-06-22
CN103712311A (zh) 2014-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46098A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88090B1 (ko) 스마트 가전제품, 그 작동방법 및 스마트 가전제품을 이용한 음성인식 시스템
KR101556173B1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전자 기기 구동 장치 및 방법
US2014014911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electric device using speech recognition
KR20100026353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5646969B2 (ja) 空気調和機
CN105202721A (zh) 空调器及其控制方法
KR20090115586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JP2004108604A (ja) ドア制御装置、自動ドア、ドア制御方法及び自動ドアを用いた冷蔵庫
CN109210703B (zh) 空调的语音控制方法和语音控制的空调
KR20190026519A (ko) 인공지능 공기조화기의 동작 방법
JP2011169536A (ja) 電気機器および空気調和機
KR20150032106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116299A (ko) 공기조화기의 제습운전방법
US11846441B2 (en) Air conditioner
KR20100009253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20110008931A (ko) 냉장고 및 그 운전 방법
KR101222578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JP2018017467A (ja) マルチ空気調和機
CN116268895A (zh) 一种智能镜及冰箱
KR20150068011A (ko) 스마트 가전제품 및 그 작동방법
JP4175814B2 (ja) 空調設備及びその制御装置
KR20120007871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61515A (ko) 공기조화기 및 그 필터 청소 방법
KR20150068010A (ko) 스마트 가전제품, 그 작동방법 및 스마트 가전제품을 이용한 음성인식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923

Effective date: 2015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