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8010A - 스마트 가전제품, 그 작동방법 및 스마트 가전제품을 이용한 음성인식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가전제품, 그 작동방법 및 스마트 가전제품을 이용한 음성인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8010A
KR20150068010A KR1020130153709A KR20130153709A KR20150068010A KR 20150068010 A KR20150068010 A KR 20150068010A KR 1020130153709 A KR1020130153709 A KR 1020130153709A KR 20130153709 A KR20130153709 A KR 20130153709A KR 20150068010 A KR20150068010 A KR 20150068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unit
information
area
smart h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3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락용
신태동
서대근
이주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3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8010A/ko
Publication of KR20150068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0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가전제품, 그 작동방법 및 스마트 가전제품을 이용한 음성인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가전제품에는, 음성이 수집되는 음성 입력부;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하여 수집된 음성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인식하는 음성 인식부;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하여 수집된 음성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지역을 판별하는 지역 인식부; 상기 음성 인식부에서 인식된 텍스트와 설정기능을 매핑하여 저장한 메모리부; 및 상기 지역 인식부에서 판별된 지역에 관한 정보와 상기 설정기능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지역 맞춤형 정보가 출력되는 출력부가 포함된다.

Description

스마트 가전제품, 그 작동방법 및 스마트 가전제품을 이용한 음성인식 시스템 {A smart home appliance,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nd a system for voice recognit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마트 가전제품, 그 작동방법 및 스마트 가전제품을 이용한 음성인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가전제품은 가정등에 구비되는 전기제품으로서 냉장고, 에어컨, 조리기기 및 청소기 등이 구비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가전제품을 작동하게 위하여 가전제품에 다가가서 직접 조작하거나, 리모컨등을 이용하여 원격 조정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통신기술의 발달로, 음성을 이용하여 가전제품의 작동을 위한 명령을 입력하고, 가전제품은 입력된 음성의 내용을 인식하여 구동되는 기술이 선보이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전제품의 구성 및 그 작동방법이 도시된다.
종래의 가전제품(1)에는, 음성인식 시스템(2), 제어부(3), 메모리(4) 및 구동부(5)가 포함된다.
사용자가 특정 명령을 의미하는 음성을 발화하면, 상기 가전제품(1)은 발화된 음성을 수집하고 상기 음성인식 시스템(2)을 이용하여 수집된 음성을 해석하게 된다.
상기 수집된 음성의 해석 결과로서, 음성에 대응하는 텍스트(text)가 추출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3)는 추출된 제 1 텍스트 정보와, 상기 메모리(4)에 저장된 제 2 텍스트 정보를 비교하여 텍스트의 매칭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 1,2 텍스트 정보가 매칭되면, 상기 제어부(3)는 상기 제 2 텍스트 정보에 대응하는 가전제품의 소정 기능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는 인식된 기능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5)를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가전제품에 의하면, 음성을 인식할 수 있는 다수의 가전제품이 위치하고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이 상기 다수의 가전제품에 입력되는 경우, 가전제품의 동작에 혼선이 빚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지역에 따라서 사용자가 발화하는 음성의 내용 또는 억양은 달라질 수 있다. 즉, 지역 방언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독특한 억양에 의하여 전기제품의 인식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전제품을 제어하기 위한 의도가 아니라 일상 대화를 하는 중에도 상기 가전제품이 명령으로 인식하여, 의도치 않은 작동이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음성 인식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보안 설정이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 스마트 가전제품 및 그 작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가전제품에는, 음성이 수집되는 음성 입력부;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하여 수집된 음성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인식하는 음성 인식부;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하여 수집된 음성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지역을 판별하는 지역 인식부; 상기 음성 인식부에서 인식된 텍스트와 설정기능을 매핑하여 저장한 메모리부; 및 상기 지역 인식부에서 판별된 지역에 관한 정보와 상기 설정기능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지역 맞춤형 정보가 출력되는 출력부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설정기능에는, 지역에 따라 구분되는 다수의 기능이 포함되며, 상기 다수의 기능 중 상기 지역에 관한 정보에 부합하는 하나의 기능을 포함하는 상기 지역 맞춤형 정보가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정기능에는, 지역에 따라 구분되는 음식에 관한 다수의 레시피가 포함되며, 상기 출력부에는, 상기 다수의 레시피 중 상기 지역 인식부에서 판별된 설정 지역에 부합하는 하나의 레시피에 관한 정보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정기능에는, 실내공간의 온도를 다수의 설정온도로 조절하기 위한 공기조화 운전기능이 포함되며, 상기 출력부에는, 상기 다수의 설정온도 중 상기 지역 인식부에서 판별된 설정 지역에 부합하는 하나의 설정온도에 관한 정보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지역 인식부에서 판별된 지역에 관한 사투리를 이용하여, 상기 지역 맞춤형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출력부는 보안 설정을 위한 제시어의 출력이 가능하며, 상기 음성 입력부는 상기 제시어에 대응하는 응답어의 설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역 맞춤형 정보를 이용하는 서비스 모드의 설정이 가능한 서비스 설정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서비스 설정부는 선택적으로 온 또는 오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역 인식부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의 억양에 대응하는 주파수에 기초하여, 어느 지역의 사투리인지 여부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스마트 가전제품의 작동방법에는, 음성 입력부를 통하여 음성이 수집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음성에 대응하는 텍스트가 추출되고 설정기능이 매핑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음성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지역을 판별되는 단계; 및 상기 설정기능에 관한 정보 및 상기 판별된 지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스마트 가전제품이 구동되는 단계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설정기능에 관한 정보 및 상기 판별된 지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가전제품의 구동과 관련된 지역 맞춤형 정보가 출력되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지역 맞춤형 정보가 출력되는 단계에는, 상기 사용자의 지역에서 사용되는 사투리를 이용하여 음성 또는 화면이 출력되는 단계가 포함된다.
또한, 보안 설정단계가 더 포함되며, 상기 보안 설정단계에는, 설정된 제시어가 출력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된 제시어에 응답하는 응답어가 입력되는 단계가 포함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스마트 가전제품을 이용한 음성인식 시스템에는, 음성 명령에 따라 작동 제어가 가능한 다수의 스마트 가전제품이 포함되는 음싱인식 시스템에 있어서, 음성이 수집되는 음성 입력부; 상기 음성 입력부에서 수집된 음성으로부터 텍스트를 추출하는 음성 인식부; 및 상기 음성 인식부에서 추출된 텍스트로부터, 각 스마트 가전제품의 동작과 관련된 단어가 사용되었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명령 인식부가 포함되며, 상기 다수의 스마트 가전제품 중 상기 설정된 단어에 매핑되는 어느 하나의 스마트 가전제품이 선택적으로 작동되며, 상기 설정된 단어에 매핑되는 다른 스마트 가전제품의 작동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명령 인식부에는, 상기 각 가전제품의 동작과 관련된 단어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음성 입력부, 음성 인식부 및 명령 인식부는 상기 다수의 스마트 가전제품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성 입력부가 구비되는 모바일 장치; 및 상기 음성 인식부 및 명령 인식부가 구비되며, 상기 다수의 스마트 가전제품에 통신 가능하게 제공되는 서버가 더 포함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음성을 통하여 스마트 가전제품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음성을 인식할 수 있는 다수의 스마트 가전제품이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가 명령하는 음성의 특징점(특정 단어)을 추출하여 명령 주제를 인식할 수 있고, 인식된 명령 주제에 따라 다수의 전기제품 중 특정 전기제품만이 응답할 수 있으므로, 전기제품의 작동에 혼선이 방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사용하는 음성의 표준어 또는 방언여부를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의 내용 및 방언 종류에 따라 사용자에게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가전제품의 음성인식 기능을 사용할 지 여부에 관한 설정 및 보안 설정이 가능하여 임의의 사용자가 해당 기능을 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 동작의 신뢰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음성 중에 공기 조화기의 작동과 관련한 음성정보와 노이즈와 관련된 음성정보를 구분할 수 있는 매핑 정보가 공기 조화기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음성을 오인식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전제품의 구성 및 그 작동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스마트 가전제품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스마트 가전제품에 대하여 음성을 발화한 경우의 작동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다수의 스마트 가전제품의 작동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가전제품 또는 모바일 장치의 구성과, 그 작동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메세지 출력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메세지 출력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기능 수행을 위한 보안설정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가전제품의 일례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가전제품의 일례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스마트 가전제품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스마트 가전제품에 대하여 음성을 발화한 경우의 작동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시스템(10)에는, 음성인식이 가능한 다수의 스마트 가전제품(100,200,300)이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다수의 스마트 가전제품(100,200,300,400)에는, 청소기(100), 조리기기(200), 공기 조화기(300) 및 냉장고(40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스마트 가전제품(100,200,300,400)은 음성을 받아들일 수 있는 대기상태(stand-by)에 있을 수 있다. 상기 대기상태는, 사용자가 각 스마트 가전제품에 음성인식 모드를 설정함으로써 돌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성인식 모드의 설정은, 소정의 입력부 입력 또는 설정된 음성을 입력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스마트 가전제품(100,200,300,400)은 소정의 공간에 함께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상기 다수의 스마트 가전제품(100,200,300,400) 중 특정 가전제품을 향하여 소정의 음성 명령을 발화하더라도, 다른 가전제품이 상기 음성 명령에 반응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음성이 발화되었을 때, 명령하고자 하는 대상 가전제품을 적절하게 추정 또는 판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히, 도 3을 참조하면, 각 스마트 가전제품(100,200,300,400)에는, 음성 입력부(510), 음성 인식부(520) 및 명령 인식부(530)가 포함된다.
상기 음성 입력부(510)는 사용자가 발화하는 음성을 수집한다. 일례로, 상기 음성 입력부(510)에는, 마이크로 폰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음성 인식부(520)는 수집된 음성으로부터 텍스트를 추출한다.
상기 명령 인식부(530)는 상기 추출된 텍스트를 이용하여, 각 가전제품의 동작과 관련된 특징적인 단어가 사용된 텍스트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명령 인식부(530)에는, 상기 특징적인 단어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집된 음성에 상기 특징적인 단어가 사용된 음성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명령 인식부(530)는 해당 가전제품이 사용자의 명령 대상이 된 가전제품인 것으로 인식한다. 상기 음성 인식부(5120)와 명령 인식부(530)는 기능적으로 구별하여 설명되었으나, 하나의 컨트롤러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명령 대상이 된 것으로 인식한 가전제품은, 사용자의 명령 대상이 자신인지 여부에 대하여 확인하는 메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일례로, 명령 대상이 된 것으로 인식한 가전제품이 공기 조화기(300)인 경우, "에어컨을 작동할까요" 라는 음성 또는 문자 메세지가 출력될 수 있다. 이 때, 출력되는 음성 또는 문자 메세지를 "인식 메세지"라 이름한다.
이에 대하여, 사용자가 공기 조화기의 작동을 원하는 것이 맞는 경우, 공기 조화기가 대상임을 인정 또는 확인하는 메세지, 일례로 "에어컨 작동" 또는 "오케이"라는 간결한 메세지를 입력할 수 있다. 이 때, 입력되는 음성 메세지를 "확인 메세지"라 이름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수집된 음성에 상기 특징적인 단어가 사용된 음성이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경우, 상기 명령 인식부(530)는 해당 가전제품이 사용자의 명령 대상에서 제외된 것으로 인식한다.
그리고, 명령 대상에서 제외된 가전제품은 이후에 설정시간 동안, 사용자의 발화가 입력되더라도 사용자의 명령 대상이 아닌 것으로 인식하여, 사용자의 음성에 반응하지 않을 수 있다.
도 3에는, 다수의 가전제품 중 공기 조화기(300)에 해당하는 음성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되었을 때, 인식 메세지가 출력되고, 입력된 명령에 따른 동작이 이루어지는모습이 도시된다.
한편, 상기 명령 대상이 된 것으로 인식한 가전제품이 복수 개인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각 가전제품은 사용자의 명령 대상이 자신인지 여부에 대하여 확인하는 메세지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복수의 가전제품 중 명령하고자 하는 가전제품의 종류에 관한 음성을 입력하여 명령 대상이 되는 가전제품을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정 내에 음성 인식이 가능한 청소기(100), 조리기기(200), 공기 조화기(300) 및 냉장고(400)가 함께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냉방 시작"이라는 발화를 하는 경우, 공기 조화기(300)는 "냉방"이라는 특징적인 단어가 사용된 것으로 인식하여, 자신이 명령 대상이 되는 가전제품인 것으로 인식한다. 물론, "냉방"이라는 텍스트에 관한 정보는 공기 조화기(300)의 메모리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청소기(100), 조리기기(200) 및 냉장고(400)에 대하여는, "냉방"이라는 단어가 해당 제품의 특징적인 단어가 아니므로, 상기 가전제품(100,200,400)들은 명령 대상에서 제외된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가 "온도 올려"라는 발화를 하는 경우, 조리기기(200), 공기 조화기(300) 및 냉장고(400)는 "온도"라는 특징적인 단어가 사용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즉, 복수의 가전제품(200,300,400)은 자신이 명령 대상인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의 가전제품(200,300,400)은 사용자의 명령 대상이 자신인지 여부에 대하여 확인하는 메세지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특정 가전제품, 일례로 "에어컨"이라는 음성을 입력함으로써, 명령 대상이 공기 조화기(300)인 것으로 특정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방식에 의하여 명령 대상이 특정되면, 사용자와 해당 가전제품간에 대화 형식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하여 가전제품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음성 인식이 가능한 다수의 스마트 가전제품이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가 명령하는 음성의 특징점(특정 단어)을 추출하여 명령 주제를 인식할 수 있고, 인식된 명령 주제에 따라 다수의 전기제품 중 특정 전기제품만이 응답할 수 있으므로, 전기제품의 작동에 혼선이 방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다수의 스마트 가전제품의 작동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시스템(10)에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이 가능한 모바일 장치(700)와, 상기 모바일 장치(700)에서 입력된 음성에 기초하여 작동 제어되는 다수의 가전제품(100,200,300,400) 및 상기 모바일 장치(700)와 다수의 가전제품(100,200,300,400)을 통신 연결하기 위한 서버(60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모바일 장치(700)에는 도 3에서 설명한 음성 입력부(510)가 구비되며, 상기 서버(600)에는 음성 인식부(520) 및 명령 인식부(530)가 포함된다.
상기 모바일 장치(700)에는, 상기 서버(600)에 연결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모바일 장치(700)에는 사용자의 음성입력을 위한 음성 입력모드가 활성화 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장치(700)의 음성 입력부(510)를 통하여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면, 입력된 음성은 상기 서버(600)로 전달되며, 상기 서버(600)는 상기 음성 인식부(520) 및 명령 인식부(530)가 작동하여, 음성 명령의 대상이 되는 가전제품이 무엇인지 판별하게 된다.
판별 결과, 특정 가전제품이 명령 대상으로 인식되면, 상기 서버(600)는 상기 특정 가전제품에 인식된 결과를 통보한다. 결과를 통보받은 가전제품은 사용자의 명령에 응답하게 된다.
일례로, 공기 조화기(300)가 명령 대상으로 인식되어 결과 통보된 경우, 상기 공기 조화기(300)는 "에어컨을 작동할까요" 와 같은 인식 메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사용자는 "오케" 또는 "에어컨 작동"과 같은 확인 메세지를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도 3에서 설명한 내용을 원용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가전제품 또는 모바일 장치의 구성과, 그 작동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에 기재된 구성들은, 스마트 가전제품 또는 모바일 장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스마트 가전제품을 일례로 들어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가전제품에는, 사용자의 음성입력이 가능한 음성 입력부(510) 및 상기 음성 입력부(510)를 통하여 수집된 음성으로부터 텍스트를 추출할 수 있는 음성 인식부(520)가 포함된다. 상기 음성 인식부(520)에는, 음성의 주파수와 텍스트가 매핑된 메모리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가전제품에는, 상기 음성 입력부(510)에서 입력된 음성의 억양을 추출하여 상기 음성의 지역색, 즉 어느 지역의 사투리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지역 인식부(54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지역 인식부(540)에는, 다수의 지역에서 사용되는 사투리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는, 사투리 발화시 인식되는 억양, 즉 고유의 주파수 변화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음성 인식부(520)를 통하여 추출된 텍스트와, 상기 지역 인식부(540)를 통하여 판별된 지역에 관한 정보는 제어부(55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가전제품에는, 상기 음성 인식부(520)에서 추출된 텍스트와, 상기 텍스트에 대응하는 기능을 매핑하여 저장한 메모리부(56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어부(550)는 상기 메모리부(560)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음성 인식부(520)에서 추출된 텍스트에 대응하는 기능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50)는 인식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가전제품에 구비되는 구동부(59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590)에는, 일례로, 청소기의 흡입 모터, 조리기기의 모터 또는 히터, 공기 조화기의 압축기 모터, 또는 냉장고의 압축기 모터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전제품에는, 상기 음성 인식부(520)에서 추출된 텍스트에 대응하는 설정기능과, 상기 지역 인식부(540)에서 판별된 지역정보에 기초하여, 지역 맞춤형 정보를 화면으로 출력 또는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570) 및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58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70)와 음성 출력부(580)를 합하여, "출력부"라 이름할 수 있다.
즉, 상기 설정기능에는 지역에 따라 구분되는 다수의 기능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다수의 기능 중 상기 지역 인식부(540)에서 판별된 지역정보에 부합하는 하나의 기능이 출력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570) 또는 음성 출력부(580)에는, 상기 인식된 기능과 판별된 지역색을 조합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지역 맞춤형 정보제공 서비스).
한편, 스마트 가전제품에는, 상기 지역 맞춤형 정보제공 서비스에 관한 모드를 수행하기 위하여 선택 가능한 모드 설정부(565)가 더 포함된다. 사용자는 상기 모드 설정부(565)를 "온" 상태로 입력하여, 상기 지역 맞춤형 정보제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모드 설정부(565)를 "오프" 상태로 입력하여, 상기 지역 맞춤형 정보제공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570)에 출력될 수 있는 지역 맞춤형 정보의 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메세지 출력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570)는 조리기기(200), 냉장고(400) 또는 모바일 장치(70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냉장고(40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57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조리기기(200) 또는 냉장고(400)는 소정의 요리에 대한 레시피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조리기기(200) 또는 냉장고(400)에는, 하나 이상의 요리에 관한 레시피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가 포함될 수 있다.
레시피 정보를 얻기 위한 지역 맞춤형 정보제공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냉장고(400)의 모드 설정부(565)를 온 상태로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지역 맞춤형 정보제공 서비스가 시작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570)에는 일례로,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라는 안내 메세지, 즉 음성입력 요청메세지가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음성 출력부(580)를 통하여, 상기 음성입력 요청메세지가 음성을 출력될 수도 있을 것이다.
사용자는 상기 음성입력 요청메세지에 대하여, 특정 레시피, 일례로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소고기 무국 레시피"라는 음성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400)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입력받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추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570)에는, "소고기 무국 레시피"라는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400)는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으로부터 억양을 추출하고, 추출된 억양에 대응되는 주파수 변화를 인식함으로써, 특정 지역에 관한 사투리임을 인식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경상도 사람의 말투로 상기 "소고기 무국 레시피"라는 음성을 입력하게 되면, 상기 냉장고(400)는 경상도 사투리임을 인식하여, 경상도 지역에 최적화 된 레시피를 제공할 준비를 하게 된다.
즉, 소고기 무국 레시피에는 지역에 따른 다수의 레시피가 존재하는데, 인식된 지역, 즉 경상도에 부합하는 하나의 레시피가 추천될 수 있다.
결국, 상기 냉장고(400)는 경상도 지역의 사용자가 "소고기 무국 레시피"를 제공받기를 원한다는 것을 인식하고, 상기 메모리부(560)로부터 경상도식 무국 레시피에 관한 정보를 불러와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570)에는, "경상도식 빠알간 소고기 무국 레시피 알려드리겠습니다"라는 메세지가 출력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음성 출력부(580)를 통하여 음성 메세지가 출력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예를 설명한다.
상기 스마트 가전제품이 실내공간을 조화하기 위한 공기 조화기이고, 사용자의 지역이 강원도와 같은 추운 지역인 것으로 인식된 경우, 사용자가 "온도 내려"라는 음성 명령을 입력하면, 추운 지역에 사는 사용자는 추운 날씨를 좋아할 수 있다는 가정하에,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설정온도로 셋팅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력부(570,580)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 일례로 20℃로 설정온도를 조절한다는 내용의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특정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 없이도,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투리를 인식하고 인식된 사투리 정보에 기초하여 지역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메세지 출력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570)는 공기 조화기(300) 또는 모바일 장치(70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일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300)의 운전에 관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하여, 지역 맞춤형 정보제공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공기 조화기(300)의 모드 설정부(565)를 온 상태로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지역 맞춤형 정보제공 서비스가 시작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570)에는 일례로,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라는 안내 메세지, 즉 음성입력 요청메세지가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음성 출력부(580)를 통하여, 상기 음성입력 요청메세지가 음성을 출력될 수도 있을 것이다.
사용자는 상기 음성입력 요청메세지에 대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300)의 작동에 관한 명령, 일례로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에어컨 켜부려야"라는 음성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300)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입력받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추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570)에는, "에어컨 켜부려야"라는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조화기(300)는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으로부터 억양을 추출하고, 추출된 억양에 대응되는 주파수 변화를 인식함으로써, 특정 지역에 관한 사투리임을 인식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전라도 사람의 말투로 상기 "에어컨 켜부려야"라는 음성을 입력하게 되면, 상기 공기 조화기(300)는 전라도 사투리임을 인식하여, 사용자에 대한 응답 메세지를 전라도 사투리로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 조화기(300)는 전라도 지역의 사용자가 "에어컨 동작"을 원한다는 것을 인식하고, 상기 메모리부(560)로부터 에어컨 동작을 수행하겠다는 메세지에 관한 사투리 정보를 불러와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570)에는, "허벌라게 덥지라잉~ 퍼뜩 켜부릴게요"라는 전라도 사투리를 이용한 메세지가 출력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음성 출력부(580)를 통하여 음성 메세지가 출력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투리를 인식하고 인식된 사투리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정보를 사투리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친근함을 느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기능 수행을 위한 보안설정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a 및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시스템에는, 사용자의 보안 설정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보안 설정은 스마트 가전제품에 직접 또는 모바일 장치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례로 모바일 장치를 이용하여, 보안 설정 및 인증하는 절차를 설명하다.
사용자가 상기 지역 맞춤형 정보제공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 상기 모바일 장치(700)에 구비되는 모드 설정부(565)를 온 상태로 입력할 수 있다. 상기 모드 설정부(565)가 온 상태로 입력되면, 초기 보안을 설정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장치(700)는 소정의 제시어에 관한 메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일례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달력"이라는 제시어가 상기 모바일 장치(700)의 화면을 통하여 문자 출력되거나, 스피커를 통하여 음성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력된 제시어에 관한 메세지와 함께, 제 1 안내 메세지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 1 안내 메세지는, 상기 제시어에 대한 응답어를 입력하여 달라는 내용을 포함한다. 일례로, 상기 제 1 안내 메세지에는, 도 8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다음 단어를 보고 떠오르는 단어를 말씀해 주세요"라는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안내 메세지는, 상기 모바일 장치(700)의 화면을 통하여 문자 출력되거나, 스피커를 통하여 음성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 1 안내 메세지에 대하여, 암호로 설정하고 싶은 단어를 음성으로 입력할 수 있다. 일례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양이"라는 응답어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장치(700)가 상기 응답어를 인식하면, 저장되었음을 알리는 제 2 안내 메세지가 화면 또는 음성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안 설정이 완료된 이후 상기 지역 맞춤형 정보제공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때,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시어에 대한 응답어를 입력하여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모바일 장치(700)에 구비되는 모드 설정부(565)를 온 상태로 입력하면, 상기 모바일 장치(700)는 상기 제시어에 관한 메세지, 일례로 "달력"을 출력하며, "본 기능 사용을 위해 사용자 인증이 필요합니다"와 같이 인증의 필요성을 알리는 제 3 안내 메세지를 출력한다.
상기 제시어에 관한 메세지 및 제 3 안내 메세지는 모바일 장치(700)의 화면 또는 음성으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시어에 대하여, 사용자는 미리 설정한 응답어, 일례로 "고양이"라는 음성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장치(700)는, 상기 제시어와 응답어의 매칭을 인식하면, 인증이 성공되었음을 알리는 제 4 안내 메세지, 일례로 "인증되었습니다"라는 문자 또는 음성 메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지역 맞춤형 정보제공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보안을 설정한 후, 사용 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응답어를 입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지정된 사용자 외에 다른 사용자의 서비스 접근 및 이용을 제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가전제품의 일례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가전제품의 일례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이하에서는, 음성인식 장치의 구성과 관련하여, 스마트 가전제품의 일례로서 공기 조화기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상기 음성인식 장치의 구성은 다른 스마트 가전제품에도 적용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300)에는, 흡입부(22) 및 토출부(25,42)를 구비하며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20)가 포함된다. 도 7에 도시된 공기 조화기(10)는 실내 공간에 설치되어 공기를 토출하는 실내기일 수 있다.
상기 흡입부(22)는 상기 케이스(20)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부(25,42)에는, 상기 흡입부(22)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상기 케이스(20)의 전방 또는 측방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메인 토출부(25) 및 하방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하부 토출부(42)가 포함된다.
상기 메인 토출부(25)는 상기 케이스(20)의 양측에 형성되며, 토출 베인(26)에 의하여 그 개폐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토출 베인(26)은 상기 메인 토출부(25)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토출부(42)는 하부 토출베인(44)에 의하여 그 개폐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의 상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상부 토출장치(30)가 제공된다.
상기 공기 조화기(300)가 ON 되면 상기 상부 토출장치(30)는 상기 케이스(20)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이동되고, 상기 공기 조화기(300)가 OFF 되면 상기 상부 토출장치(30)는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케이스(2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토출장치(30)의 전면에는 공기가 토출되는 상부 토출부(32)가 규정되며, 상기 상부 토출장치(30)의 내부에는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상부 토출베인(34)이 구비된다. 상기 상부 토출베인(34)은 회전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의 적어도 일측에는,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될 수 있는 음성 입력부(110)가 구비된다. 일례로, 상기 음성 입력부(110)는 상기 케이스(20)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음성 입력부(110)는 음성을 수집할 수 있는 점에서 "음성 수집부"라 명명할 수도 있다. 상기 음성 입력부(110)에는, 마이크(micro-phone)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음성 입력부(110)는 상기 메인 토출부(25)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에 영향을 받지 않기 위하여, 상기 메인 토출부(25)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10)에는, 상기 음성 입력부(110)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 중 노이즈 음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부(115)가 제공된다. 음성은 상기 필터부(115)를 거치면서 음성정보를 인식하기 용이한 음성주파수로 필터링 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300)에는, 상기 필터부(115)를 거친 음성정보로부터 공기 조화기(300)의 작동을 위한 정보로 인식하는 제어부(120,150)가 포함된다.
상기 제어부(120,150)에는, 공기 조화기의 작동을 위하여 구동부(14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메인 제어부(120) 및 상기 메인 제어부(12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공기 조화기의 작동정보를 외부에 디스플레이 하기 위하여 출력부(160)를 제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제어부(150)가 포함된다.
상기 구동부(140)에는, 압축기 또는 송풍팬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력부(160)에는, 상기 공기 조화기(300)의 작동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 및 음성으로 표시하는 음성 출력부가 포함된다. 상기 음성 출력부는 스피커일 수 있다.
상기 음성 출력부는 상기 케이스(20)의 일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음성 입력부(110)와 구분되어 별도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조화기(30)에는, 상기 음성 입력부(110)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 중, 상기 공기 조화기(300)의 작동과 관련된 음성정보와,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작동과 관련없는 음성정보를 미리 매핑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부(130)가 포함된다.
상기 메모리부(130)에는, 제 1 음성정보, 제 2 음성정보 및 제 3 음성정보가 저장된다. 상세히, 상기 메모리부(130)에는, 상기 제 1 내지 3 음성정보를 규정하는 주파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음성정보는 상기 공기 조화기(30)의 작동과 관련된 음성정보, 즉 키워드 정보로서 이해된다. 상기 제 1 음성정보가 입력된 것으로 인식되면, 입력된 제 1 음성정보에 대응하는 공기 조화기의 운전이 수행되거나, 정지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음성정보가 공기 조화기의 ON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제 1 음성정보가 인식되면 상기 공기 조화기(30)의 운전이 시작된다. 반면에, 상기 제 1 음성정보가 공기 조화기의 OFF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제 1 음성정보가 인식되면 상기 공기 조화기(30)의 운전이 정지된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 1 음성정보가 공기 조화기의 일 운전모드, 즉 냉방, 난방, 송풍 또는 제습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제 1 음성정보가 인식되면 해당 운전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
결국, 상기 메모리부(130)에는, 상기 제 1 음성정보 및 상기 제 1 음성정보에 대응하는 공기 조화기의 운전방식(온오프 여부, 운전모드)이 미리 매핑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 2 음성정보는 상기 공기 조화기(30)의 작동과 관련한 제 1 음성정보와 유사한 주파수 정보를 가지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공기 조화기(30)의 작동과 관련한 음성정보로서 이해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음성정보와 유사한 주파수 정보란 상기 제 1 음성정보와 설정범위 내의 주파수 차이를 보이는 주파수 정보라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 2 음성정보가 입력된 것으로 인식되면, 해당 음성정보는 노이즈 정보로서 필터링 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 제어부(120)는 상기 제 2 음성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의 작동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 3 음성정보는 상기 공기 조화기(30)의 작동과 전혀 관련없는 음성정보로서 이해된다. 상기 제 3 음성정보는 상기 제 1 음성정보와 설정범위 외의 주파수 차이를 보이는 주파수 정보라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 2 음성정보와 제 3 음성정보는 공기 조화기의 작동과 관련없는 음성정보인 점에서, "미관련 정보"라 이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스마트 가전제품에는 입력된 음성 중, 가전제품의 작동과 관련된 음성정보와, 가전제품의 작동과 관련없는 음성정보를 미리 매핑하여 저장될 수 있으므로, 음성인식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0 : 음성인식 시스템 100 : 청소기
110 : 음성 입력부 115 : 필터부
120 : 메인 제어부 130 : 메모리부
140 : 구동부 150 : 디스플레이 제어부
160 : 출력부 200 : 조리기기
300 : 공기 조화기 400 : 냉장고
510 : 음성 입력부 520 : 음성 인식부
530 : 명령 인식부 540 : 지역 인식부
550 : 제어부 560 : 메모리부
565 : 서비스 설정부 570 : 디스플레이부
580 : 음성 출력부 590 : 구동부

Claims (16)

  1. 음성이 수집되는 음성 입력부;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하여 수집된 음성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인식하는 음성 인식부;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하여 수집된 음성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지역을 판별하는 지역 인식부;
    상기 음성 인식부에서 인식된 텍스트와 설정기능을 매핑하여 저장한 메모리부; 및
    상기 지역 인식부에서 판별된 지역에 관한 정보와 상기 설정기능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지역 맞춤형 정보가 출력되는 출력부가 포함되는 스마트 가전제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기능에는, 지역에 따라 구분되는 다수의 기능이 포함되며,
    상기 다수의 기능 중 상기 지역에 관한 정보에 부합하는 하나의 기능을 포함하는 상기 지역 맞춤형 정보가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가전제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기능에는, 지역에 따라 구분되는 음식에 관한 다수의 레시피가 포함되며, 상기 출력부에는,
    상기 다수의 레시피 중 상기 지역 인식부에서 판별된 설정 지역에 부합하는 하나의 레시피에 관한 정보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가전제품.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기능에는, 실내공간의 온도를 다수의 설정온도로 조절하기 위한 공기조화 운전기능이 포함되며, 상기 출력부에는,
    상기 다수의 설정온도 중 상기 지역 인식부에서 판별된 설정 지역에 부합하는 하나의 설정온도에 관한 정보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가전제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지역 인식부에서 판별된 지역에 관한 사투리를 이용하여, 상기 지역 맞춤형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가전제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보안 설정을 위한 제시어의 출력이 가능하며,
    상기 음성 입력부는 상기 제시어에 대응하는 응답어의 설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가전제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 맞춤형 정보를 이용하는 서비스 모드의 설정이 가능한 서비스 설정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서비스 설정부는 선택적으로 온 또는 오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가전제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 인식부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의 억양에 대응하는 주파수에 기초하여, 어느 지역의 사투리인지 여부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가전제품.
  9. 음성 입력부를 통하여 음성이 수집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음성에 대응하는 텍스트가 추출되고 설정기능이 매핑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음성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지역을 판별되는 단계; 및
    상기 설정기능에 관한 정보 및 상기 판별된 지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스마트 가전제품이 구동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스마트 가전제품의 작동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기능에 관한 정보 및 상기 판별된 지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가전제품의 구동과 관련된 지역 맞춤형 정보가 출력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스마트 가전제품의 작동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 맞춤형 정보가 출력되는 단계에는,
    상기 사용자의 지역에서 사용되는 사투리를 이용하여 음성 또는 화면이 출력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스마트 가전제품의 작동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보안 설정단계가 더 포함되며, 상기 보안 설정단계에는,
    설정된 제시어가 출력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된 제시어에 응답하는 응답어가 입력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스마트 가전제품의 작동방법.
  13. 음성 명령에 따라 작동 제어가 가능한 다수의 스마트 가전제품이 포함되는 음싱인식 시스템에 있어서,
    음성이 수집되는 음성 입력부;
    상기 음성 입력부에서 수집된 음성으로부터 텍스트를 추출하는 음성 인식부; 및
    상기 음성 인식부에서 추출된 텍스트로부터, 각 스마트 가전제품의 동작과 관련된 단어가 사용되었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명령 인식부가 포함되며,
    상기 다수의 스마트 가전제품 중 상기 설정된 단어에 매핑되는 어느 하나의 스마트 가전제품이 선택적으로 작동되며,
    상기 설정된 단어에 매핑되는 다른 스마트 가전제품의 작동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가전제품을 이용한 음성인식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 인식부에는,
    상기 각 가전제품의 동작과 관련된 단어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가 포함되는 스마트 가전제품을 이용한 음성인식 시스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입력부, 음성 인식부 및 명령 인식부는 상기 다수의 스마트 가전제품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가전제품을 이용한 음성인식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입력부가 구비되는 모바일 장치; 및
    상기 음성 인식부 및 명령 인식부가 구비되며, 상기 다수의 스마트 가전제품에 통신 가능하게 제공되는 서버가 더 포함되는 스마트 가전제품을 이용한 음성인식 시스템.
KR1020130153709A 2013-12-11 2013-12-11 스마트 가전제품, 그 작동방법 및 스마트 가전제품을 이용한 음성인식 시스템 KR201500680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709A KR20150068010A (ko) 2013-12-11 2013-12-11 스마트 가전제품, 그 작동방법 및 스마트 가전제품을 이용한 음성인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709A KR20150068010A (ko) 2013-12-11 2013-12-11 스마트 가전제품, 그 작동방법 및 스마트 가전제품을 이용한 음성인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010A true KR20150068010A (ko) 2015-06-19

Family

ID=53515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3709A KR20150068010A (ko) 2013-12-11 2013-12-11 스마트 가전제품, 그 작동방법 및 스마트 가전제품을 이용한 음성인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801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53007A (zh) * 2016-10-31 2017-02-22 邯郸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防止智能家电误动作的控制方法和装置、路由器和智能家电
CN110414014A (zh) * 2019-08-05 2019-11-0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语音设备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语音设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53007A (zh) * 2016-10-31 2017-02-22 邯郸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防止智能家电误动作的控制方法和装置、路由器和智能家电
CN110414014A (zh) * 2019-08-05 2019-11-0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语音设备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语音设备
CN110414014B (zh) * 2019-08-05 2020-12-0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语音设备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语音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61309B1 (en) Smart home appliances, operating method of thereof, and voice recognition system using the smart home appliances
JP7348558B2 (ja) 機器制御システム
US10056081B2 (en) Control method, controller,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KR101556173B1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전자 기기 구동 장치 및 방법
CN104879882A (zh) 空调器的控制方法和系统
EP2713351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US2014014911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electric device using speech recognition
CN103712311B (zh) 空调及其控制方法
US20030177012A1 (en) Voice activated thermostat
CN110832578A (zh) 可定制唤醒语音命令
KR101924963B1 (ko)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 방법
JP3838029B2 (ja) 音声認識を用いた機器制御方法および音声認識を用いた機器制御システム
US20150120294A1 (en) Appliances for providing user-specific response to voice commands
JP2017069835A (ja) 電子機器
CN109584874A (zh) 电器设备控制方法、装置、电器设备及存储介质
EP3783496A1 (en) Apparatus control system and apparatus control method
CN108592316B (zh) 空调器的控制方法、空调器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50068010A (ko) 스마트 가전제품, 그 작동방법 및 스마트 가전제품을 이용한 음성인식 시스템
KR101965880B1 (ko) 음성 인식 방법
KR20150068011A (ko) 스마트 가전제품 및 그 작동방법
CN111164678A (zh) 控制系统
WO2019128632A1 (zh) 播放音频的方法、装置和系统
JP6771681B2 (ja) 空調用コントローラ
US20220189476A1 (en) Control device, apparatus control system,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12581950A (zh) 空调器的语音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