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4572A - 제습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에어컨 시스템 - Google Patents

제습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에어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4572A
KR20140044572A KR1020120110699A KR20120110699A KR20140044572A KR 20140044572 A KR20140044572 A KR 20140044572A KR 1020120110699 A KR1020120110699 A KR 1020120110699A KR 20120110699 A KR20120110699 A KR 20120110699A KR 20140044572 A KR20140044572 A KR 20140044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humidifying
opening
air
dehumidification
sid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0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5415B1 (ko
Inventor
권춘규
권정호
공동현
서석원
황윤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0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5415B1/ko
Publication of KR20140044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4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2Moistening ; Devices influencing humidity levels, i.e. humidity control
    • B60H3/024Moistening ; Devices influencing humidity levels, i.e. humidity control for only dehumidifying th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05Control means therefor
    • B60H1/3207Control means therefor for minimizing the humidity of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구비되는 에어컨 시스템의 응축수 발생을 저감하기 위하여 제습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한쌍의 제습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제습부를 교대로 제습단계 및 탈습단계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일측의 제습부에서는 에어컨 시스템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수분을 사전에 제습하여 저감한 후 상기 에어컨 시스템으로 유입시키고, 이와 동시에 타측의 제습부에서는 제습부에 축적된 수분을 탈습하하여 배출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제습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에어컨 시스템 {A Hybrid Aircondition System Using A Dehumidifying Material}
본 발명은 에어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구비되는 에어컨 시스템의 응축수 발생을 저감하기 위하여 제습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한쌍의 제습부를 구비함으로써 에어컨 시스템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수분을 사전에 제습하여 저감한 후 상기 에어컨 시스템으로 유입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실내의 쾌적한 환경을 위한 편의 시설로서 소정의 공조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용 공조장치는 대표적으로 히터와 에어컨이 있으며, 겨울철에는 상기 히터를 가동시켜 실내 온도를 높이는 난방 기능을 수행하고, 여름철에는 상기 에어컨을 가동시켜 실내 온도를 낮추는 냉방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운전자를 포함하는 탑승자들에게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히터는 차량 구동시 발생하는 엔진 폐열을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하나, 상기 에어컨은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별도의 에어컨 수단이 구비되어야 한다.
종래의 에어컨 시스템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에어컨 시스템은 증발기와 히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공기에는 수분이 포함되어 있으며, 일정수준 이상 포함된 수분이 차량 실내에 공급하게 되면 차 실내 탑승객의 쾌적성을 저하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의 에어컨 시스템은 차량 실내 탑승객의 쾌적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온도와 습도를 동시에 제어하기 위하여 증발기와 히터를 포함한다.
상기 증발기는 공기가 이슬점 아래로 냉각되면 공기중에 포함된 수증기가 응결되어 응축수가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공기중의 수분을 제습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도 2는 이러한 제습 원리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고온 다습한 공기의 온도가 상기 증발기를 통과하며 이슬점 온도 아래로 내려가고, 이슬점 온도 아래로 온도가 내려간 공기에서 응축수가 발생하여 제습이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종래의 에어컨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증발기를 이용하여 수분을 제습하여 차량 실내로 공급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에어컨 시스템은 차량 실내 제습을 위하여 상기 증발기의 온도를 이슬점 온도 이하로 낮추어 공기중의 수분을 응축시켜 제습하나, 이때 불필요한 컴프레서 소모동력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증발기에 의하여 응결된 응축수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응결되어 흐르도록 이루어지나, 상기 증발기의 표면상에서 완전히 제거되지 않아 증발기에 남은 응축수는 세균번식을 촉진하여 악취를 유발하고 이로 인하여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증발기를 이용한 종래의 에어컨 시스템은 공기중 포함된 수분이 많은 우천시와 같은 상황에서는 제습을 위하여 작동되기도 하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가동되는 에어컨에 의하여 차량 연비가 악화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공기중 수분의 제습을 위하여 공기를 이슬점 아래로 냉각하기 때문에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가 지나치게 낮아져 오히려 쾌적성이 악회되는 문제가 있었다. 게다가, 이러한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가 너무 낮기 때문에, 쾌적성 개선을 위하여 상기 히터를 구동시켜 목표 토출온도까지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으나, 이러한 구조는 에너지를 불필요하게 소모시킴으로써, 차량의 연비를 크게 저하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 10-2011-0067191 호 "차량용 공기 청정기"는 유입된 공기를 제습제에 의하 제습시키고, 제습제가 포화되면 가열기구에 의하여 탈습시켜 재생하는 구조를 가진다. 다시말해서, 상기 차량용 공기 청정기는, 실내 유입구, 실내 토출구 및 실외 토출구가 형성된 몸체, 몸에 내부에 설치되어 유입된 공기 흐름을 통과시키는 제습제, 및 실내 토출구와 실외토출구 중 하나의 토출구를 차단하고 차단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토출구로 상기 제습제를 통과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는 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구비된 제습제가 포화되면 포화된 제습제를 가열기구에 의하여 탈습하여 제습제를 기능회복 시키는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공기 청정기는 포화된 제습제의 탈습을 위하여 별도의 가열기구를 더 구비하며, 상기 가열기구는 온도를 상승시키도록 구비되므로, 에너지를 소비하여 에너지 소비 효율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공지의 차량용 공기 청정기는 패키지의 문제로 그 크기가 제약적일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 10-2006-0115245 호 "탈취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공기 조화기"는 외부 공기 또는 차실에서 순환되는 공기가 차실로 공급되도록 송풍팬이 설치된 송풍유닛과, 상기 송풍유닛에 송풍통로에 의해 연결되고, 송풍팬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에 열 에너지를 공급하는 히터 및 공기 중의 열 에너지를 흡수하는 증발기가 설치된 열교환유닛과, 상기 송풍통로에 설치되므로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여 증발기에 응축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습장치를 포함하고, 차실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 중의 습기가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증발기에 응축수가 생성되는 것을 억제하여 차실 내부에 습기가 제거된 쾌적한 공기를 공급하도록 이루어지나, 이러한 구조는 제습장치에 모아진 수분을 케이스의 하단으로 배출하거나, 이송관을 통해 수분을 저장부에 모아 증발시키도록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습제의 재생 효율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으며, 패키지 문제로 크기가 제약적인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차량에 구비되는 에어컨 시스템의 응축수 발생을 저감하기 위하여 제습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한쌍의 제습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제습부를 교대로 제습단계 및 탈습단계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일측의 제습부에서는 에어컨 시스템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수분을 사전에 제습하여 저감한 후 상기 에어컨 시스템으로 유입시키고, 이와 동시에 타측의 제습부에서는 제습부에 축적된 수분을 탈습하하여 배출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차량의 에어컨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와 연결되어 주행풍이 유입되는 제1개구부 및 콘덴서 및 라디에이터에 연결되어 상기 콘덴서 및 라디에이터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는 제2개구부로 이루어진 입구와, 외부와 연결되어 공기가 배출되는 제3개구부 및 공기조화기와 연결된 제4개구부로 이루어진 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1개구부와 상기 제2개구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개구부와 상기 제2개구부를 교대로 폐쇄시키는 입구측도어; 상기 제3개구부와 상기 제4개구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3개구부와 상기 제4개구부를 교대로 폐쇄시키는 출구측도어;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습제; 를 각각 포함하는 제1제습부 및 제2제습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제습부의 입구측도어 및 출구측 도어는 상기 제2제습부의 입구측도어 및 출구측도어와 각각 반대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제습부의 입구측도어가 제2개구부를 폐쇄하면 상기 제1제습부의 출구측도어가 제3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제습부의 입구측도어가 제1개구부를 폐쇄하면 상기 제1제습부의 출구측도어가 제4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제습부와 상기 제2제습부의 하우징은 내부에 챔버를 형성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차량의 후드의 저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공기조화장치로 유입되는 공기를 사전에 제습제를 이용하여 제습함으로써 제습제의 탈습을 위하여 제습을 위하여 가동되던 종래의 에어컨 소모동력을 저감시켜 연비를 향상시키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공기조화장치로 유입되는 공기를 사전에 제습시켜 제습된 공기만을 공기조화장치로 유입시킴으로써, 공기조화장치의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응축수를 감소시켜 냄새를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습부를 이용하여 실내의 습도를 공기조화장치와는 독립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실내 습도를 감소시켜 사용자 쾌적성을 향상시키고, 우천시에도 차량 실내에 수분이 응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에어컨의 작동 없이도 실재 수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마지막으로, 한쌍의 제습부를 구비하고, 서로 번갈아가면서 제습단계와 탈습단계를 거쳐 반복적으로 제습 및 탈습을 하도록 함으로써, 제습과 탈습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에어컨 시스템의 구조는를 나타낸다.
도 2는 제습 원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습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에어컨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제1제습부의 제습단계시 구조를 나타낸다.
도 5는 제1제습부의 탈습단계시 구조를 나타낸다.
도 6은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제습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에어컨 시스템과 종래의 제습장치가 사용된 에어컨 시스템의 온도대 습도 비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습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에어컨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본 발명은 차량 후드의 내부에 제습제(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한쌍의 제습부(제1제습부(10), 제2제습부(20))를 구비하여 제습공기는 실내 공기조화장치(100)(HVAC, Heating,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내부로 공급하고, 재생공기는 외부로 방출시키는 구조를 이용하여 실내 공기조화장치(100)로 공급되는 공기의 습도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습제(18)는 습기에 대하여 강한 친화력이 있는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주위 공기로부터 수증기를 흡수하는 특징이 있으며, 또한, 상기 제습제(18)에 열을 가하면 흡수된 수증기가 증발하여 제습제(18)가 다시 건조해지므로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는 공지의 수단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습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에어컨 시스템에서는 차량의 후드의 저면에 한쌍의 재습부(제1제습부(10), 제2제습부(20))가 구비되고, 상기 한쌍의 제습부의 입구측과 출구측에는 공기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도어가 구비됨으로써 양측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한쌍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제습부는 각각 제습제(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서로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습과 탈습을 모두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서로 교대로 제습과 탈습을 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1제습부(10)가 제습을 하는경우에는, 상기 제2제습부(20)가 탈습을 하고, 반대로 상기 제1제습부(10)가 탈습을 하는경우에는, 상기 제2제습부(20)가 제습을 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습 및 탈습이 반복적으로 스위칭되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한쌍의 제습부의 재생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제습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에어컨 시스템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1제습부(10)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제1제습부(10)의 제습단계시 구조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제습부(10)는 제습제(18)를 내부에 배치하는 하우징(11)으로 이루어지며 그 입구와 출구의 입구측도어(16) 및 출구측 도어가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11)은 바람직하게는 내부에 상기 제습제(18)를 배치하고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는 챔버를 형성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에따라, 상기 하우징(11)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습제(18) 역시 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갯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의 입구는 제1개구부(12) 및 제2개구부(13)의 두개의 개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개구부(12)는 주행풍이 유입되고 상기 제2개구부(13)는 콘덴서(200)와 라디에이터(210)를 통과한 주행풍이 유입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1개구부(12) 및 제2개구부(13)는 하나로 합쳐져 제습부로 연결되고, 그 사이에 배치된 입구측도어(16)에 의하여 스위칭되어 교대로 개구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입구측도어(1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개구부(12) 및 상기 제2개구부(13) 사이에 배치되되, 구동시 상기 제1개구부(12) 및 상기 제2개구부(13)중 어느 하나만을 폐쇄하도록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구측도어(16)는 상기 제1개구부(12) 및 상기 제2개구부(13) 사이의 임의의 지점을 축으로 힌지결합되어 구동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1)의 출구는 상기 하우징(11)의 입구와 마찬가지로 제3개구부(14) 및 제4개구부(15)의 두개의 개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개구부(14)는 외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습부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4개구부(15)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100)에 연결되어 제습된 공기가 상기 공기조화장치(100)로 유입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제습부(10)의 출구에 구비된 두개의 개구부는그 사이에 배치된 출구측도어(17)에 의하여 스위칭되어 교대로 개구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출구측도어(17) 역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개구부(14) 및 상기 제4개구부(15) 사이에 배치되되, 구동시 상기 제3개구부(14) 및 상기 제4개구부(15)중 어느 하나만을 폐쇄하도록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출구측도어(17)는 상기 제3개구부(14) 및 상기 제4개구부(15) 사이의 임의의 지점을 축으로 힌지결합되어 구동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습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에어컨 시스템의 제습단계시 입구측도어(16)가 외부와 연결된 제1개구부(12)를 개방시킴으로써, 외부 주행품이 상기 제습부로 유입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입구측도어(16)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제2개구부(13)는 폐쇠되고 콘덴서(200)와 라디에이터(21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제습부에 도달하지 않는다.
이와 동시에 상기 출구측도어(17)는 상기 제3개구부(14)를 폐쇄시키도록 제어되고, 이러한 출구측 도어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제4개구부(15)가 개방되어 상기 제습부를 통과한 공기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100)로 유입된다.
도 5는 제1제습부(10)의 탈습단계시 구조를 나타낸다.
상기 제1제습부(10)의 탈습은 차량의 내부로 유입되어 콘덴서(200) 및 라디에이터(210)를 통과하며 가열되어 온도가 상승된 주행풍을 이용한다.
이를 위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습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에어컨 시스템의 탈습단계시에는 상기 제1제습부(10)의 입구측도어(16)가 외부와 연결된 제1개구부(12)를 폐쇠시키고, 상기 입구측도어(16)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제2개구부(13)가 개방됨으로써, 콘덴서(200)와 라디에이터(21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제습부로 유입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콘덴서(200)와 라디에이터(210)를 통과하여 가열된 공기는 상기 제습부에 포함된 수분을 탈습시킨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1제습부(10)의 출구측도어(17)는 외부와 연결된 상기 제3개구부(14)를 개방시키도록 이동하고, 이러한 출구측 도어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제4개구부(15)가 폐쇠된다. 따라서, 상기 제습부를 통과하며 상기 제습부에 축척된 수분을 탈습하여 수분을 포함한 공기는 차량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제습부(10)는 제습단계를 거치며 공기중에 포함된 수분을 제습하고, 탈습단계를 거치며 제습부에 축척된 수분을 탈습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제습부(10)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제2제습부(20) 역시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동일한 기능을 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제습부(10)와 상기 제2제습부(20)는 서로 교대로 제습단계 및 탈습단계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된다. 즉, 상기 제1제습부(10)가 제습단계를 수행하면 상기 제2제습부(20)는 탈습단계를 수행하고, 반대로, 상기 제1제습부(10)가 탈습단계를 수행하면, 상기 제2제습부(20)는 제습단계를 수행하며, 이는 상기 제1제습부(10)의 입구측도어(16) 및 출구측도어(17)가 상기 제2제습부(20)의 입구측도어(16) 및 출구측도어(17)와 각각 반대로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제습부(10)의 입구측도어(16)가 제2개구부(13)를 폐쇄하고 상기 제1제습부(10)의 출구측도어(17)가 제3개구부(14)를 폐쇄하도록 제어된 경우에, 상기 제2제습부(20)의 입구측도어(미도시)는 제1개구부(미도시)를 폐쇄하고 상기 제2제습부(20)의 출구측도어(미도시)는 제4개구부(미도시)를 폐쇄하도록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제1제습부(10)의 입구측도어가 제1개구부를 폐쇄하고 상기 제1제습부(10)의 출구측도어가 제4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제어된 경우에, 상기 제2제습부(20)의 입구측도어(미도시)는 제2개구부(미도시)를 폐쇄하고 상기 제2제습부(20)의 출구측도어(미도시)는 제3개구부(미도시)를 폐쇄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제습부(10)와 제2제습부(20)는 각각 구비한 입구측도어 및 출구측 도어에 의하여 제습과 탈습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1제습부(10)의 하우징(11)과 상기 제2제습부(20)의 하우징(미도시)은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에 챔버를 형성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따라서 그 두께를 얇게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제습부(10)와 제2제습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후드의 저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차량의 전면 엔진룸의 부피를 크게 차지하지 않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제습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에어컨 시스템과 종래의 제습장치가 사용된 에어컨 시스템의 온도대 습도 비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에어컨 시스템은 공기조화장치(1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습도를 낮추기 위하여 공기의 이슬점 아래로 온도를 과냉각시킨다. 이후, 과냉각된 공기의 온도를 사용자가 요구한 온도로 높히기 위하여 재가열 하는 방법을 통하여 목표 토출온도로 제어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습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에어컨 시스템은 공기조화장치(100)로 유입되기 전의 공기를 상기 제1제습부(10) 및 제2제습부(20)를 통하여 제습시키고, 제습된 공기를 공기조화장치(100)로 유입시키고, 에어컨 컴프에서는 공기의 온도를 냉각시키는 기능만을 하도록 함으로써, 에어컨 소모 동력 감소 및 응축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제습제의 탈습을 위하여 제습을 위하여 가동되던 종래의 에어컨 소모동력을 저감시켜 연비를 향상시키는 장점을 제공하며, 또한, 제습된 공기를 공기조화장치(100)의 내부로 유입시켜 공기조화장치(100)의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응축수를 감소시켜 냄새를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습부를 이용하여 실내의 습도를 공기조화장치(100)와는 독립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실내 습도를 감소시켜 사용자 쾌적성을 향상시키고, 우천시에도 차량 실내에 수분이 응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에어컨의 작동 없이도 실재 수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제습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에어컨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특정한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제1제습부
11: 하우징
12: 제1개구부
13: 제2개구부
14: 제3개구부
15: 제4개구부
16: 입구측도어
17: 출구측도어
18: 제습제
20: 제2제습부
100:공기조화장치
200: 콘덴서
210: 라디에이터

Claims (5)

  1. 차량의 에어컨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와 연결되어 주행풍이 유입되는 제1개구부 및 콘덴서(200) 및 라디에이터(210)에 연결되어 상기 콘덴서(200) 및 라디에이터(210)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는 제2개구부로 이루어진 입구와, 외부와 연결되어 공기가 배출되는 제3개구부 및 공기조화기와 연결된 제4개구부로 이루어진 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1개구부와 상기 제2개구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개구부와 상기 제2개구부를 교대로 폐쇄시키는 입구측도어;
    상기 제3개구부와 상기 제4개구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3개구부와 상기 제4개구부를 교대로 폐쇄시키는 출구측도어;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습제;
    를 각각 포함하는 제1제습부(10) 및 제2제습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에어컨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습부(10)의 입구측도어 및 출구측 도어는 상기 제2제습부(20)의 입구측도어 및 출구측도어와 각각 반대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에어컨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습부(10)의 입구측도어가 제2개구부를 폐쇄하면 상기 제1제습부(10)의 출구측도어가 제3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에어컨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습부(10)의 입구측도어가 제1개구부를 폐쇄하면 상기 제1제습부(10)의 출구측도어가 제4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에어컨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습부(10)와 상기 제2제습부(20)의 하우징은 내부에 챔버를 형성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차량의 후드의 저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에어컨 시스템.
KR1020120110699A 2012-10-05 2012-10-05 제습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에어컨 시스템 KR101845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699A KR101845415B1 (ko) 2012-10-05 2012-10-05 제습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에어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699A KR101845415B1 (ko) 2012-10-05 2012-10-05 제습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에어컨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4572A true KR20140044572A (ko) 2014-04-15
KR101845415B1 KR101845415B1 (ko) 2018-04-05

Family

ID=50652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0699A KR101845415B1 (ko) 2012-10-05 2012-10-05 제습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에어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54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8388B1 (ko) * 2014-09-15 2016-01-2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수분흡착제를 구비한 제습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0573A (ja) 2005-03-07 2006-09-14 Mazda Motor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4538846B2 (ja) 2005-03-25 2010-09-08 スズ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5741895B2 (ja) * 2010-09-15 2015-07-01 琢昌 渡邊 電気自動車用防曇・空調システムの受電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8388B1 (ko) * 2014-09-15 2016-01-2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수분흡착제를 구비한 제습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5415B1 (ko) 2018-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3474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CN105922845B (zh) 电动汽车空调系统及电动汽车
CN110520315B (zh) 车用空调
CN100410590C (zh) 加湿器
KR101558001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
CN106232402A (zh) 加湿装置
JP2014097740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102180663B1 (ko)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JP4538846B2 (ja) 空気調和装置
JP5828140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12224205A (ja) 車両用空調装置
CN217022125U (zh) 车用空调箱、车用空调系统及车辆
JP2010038432A (ja) 空調システム及び空調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4466306B2 (ja) 換気装置及び建物
KR101845415B1 (ko) 제습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에어컨 시스템
KR101886077B1 (ko) 차량용 hvac 모듈
CN215001975U (zh) 一种新风空调系统
KR10140344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CN114523817A (zh) 车辆及用于干燥车用空调蒸发器的方法、系统、存储介质
KR20190024394A (ko)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JP2013035484A (ja) 車両用空調装置
JP6115095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2421244B1 (ko)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KR20140061716A (ko) 제습 하이브리드 에어컨 시스템
WO2018190081A1 (ja) 電動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