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0663B1 -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0663B1
KR102180663B1 KR1020170111354A KR20170111354A KR102180663B1 KR 102180663 B1 KR102180663 B1 KR 102180663B1 KR 1020170111354 A KR1020170111354 A KR 1020170111354A KR 20170111354 A KR20170111354 A KR 20170111354A KR 102180663 B1 KR102180663 B1 KR 102180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low path
passage
indoor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1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4396A (ko
Inventor
진원재
이주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KR1020170111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0663B1/ko
Priority to US16/042,638 priority patent/US10876749B2/en
Priority to CN201811010341.1A priority patent/CN109425067A/zh
Publication of KR20190024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4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24F11/67Switching between heating and cooling mo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1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air supply to heat-exchangers or bypass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24F3/1423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with a moving bed of solid desiccants, e.g. a rotary wheel supporting solid desicc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35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58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using regenerators
    • F24F2003/146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using regenerators using rotating re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2012/007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 by-pass for bypassing the heat-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02System or Device comprising a heat pump as a subsystem, e.g. combined with humidification/dehumidification, heating, natural energy or with hybrid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16Rotary wheel combined with another type of cooling principle, e.g. compression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24Rotary wheel combined with a humidifi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32Desiccant whe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4Free-cooling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환기모드와 열교환이 이루어지지 않는 환기모드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는 실내유입 공기유로;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실외배출 공기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실외배출 공기유로는,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와의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공기유로와,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와의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지 않는 바이패스유로로 이루어지고; 상기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공기유로와 상기 바이패스유로 중 어느 하나로 유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Air conditioner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외공기와 실내공기 사이에 열교환 과정 없이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는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실내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거나 실내 공기를 환기시켜 실내를 쾌적하게 유지하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공기조화기에 제습, 가습, 공기 정화, 환기 등의 다양한 기능을 부가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계절의 변화에 맞추어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기에 관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88846호 "제습냉방 시스템"이 공개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제습 냉방 시스템은 냉방 또는 환기 또는 제습 운전만 가능하였으므로, 난방 및 가습운전 모드를 추가한 공기조화기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한 제습 냉방 시스템에서는 응축기에 직접 물을 뿌려 물을 증발시키고, 상기 증발된 수증기를 이용하여 실내를 가습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실내로 가습되는 공기는 응축기의 열에 의해 온도가 높아지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실내 온도로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한 제습 냉방 시스템에서 제습통로 상에 냉각기가 구비되고, 상기 냉각기는 재생 증발식 냉각기가 사용될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으나, 재생 증발식 냉각기를 이용한 실내 가습은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재생 증발식 냉각기를 사용하게 되면 환기시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일어나게 되므로, 열교환이 일어나지 않는 환기모드를 구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환기모드와 열교환이 이루어지지 않는 환기모드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제습, 냉방, 가습, 난방, 환기 및 공기청정이 모두 이루어질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실외공기와 실내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환기모드를 통해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는 실내유입 공기유로;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실외배출 공기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실외배출 공기유로는,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와의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공기유로와,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와의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지 않는 바이패스유로로 이루어지고; 상기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공기유로와 상기 바이패스유로 중 어느 하나로 유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실내유입 공기유로에 연결되는 건채널과, 일측과 타측이 상기 실외배출 공기유로와 실내유입 공기유로에 연결되어 상기 건채널을 통과하는 공기와의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습채널과, 상기 습채널을 유동하는 공기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부로 이루어진 증발냉각기가 구비되고; 상기 바이패스유로는 상기 증발냉각기의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가 통과하는 제1영역과 제2영역이 구비되어 상기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가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을 통과하면서 수분을 흡착하거나 방출하는 제습로터와, 실내와 연통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1영역을 통과하는 제1공기유로와, 실외와 연통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2영역을 통과하는 제2공기유로가 구비되고; 상기 실내유입 공기유로는,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상기 제1공기유로와, 상기 제1공기유로에 연결되어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제3공기유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습채널의 입구측에는, 상기 제1공기유로에서 분기되어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제4공기유로와, 상기 제4공기유로에 연통하며 상기 제4공기유로에 인접한 위치에 연결되는 제7공기유로가 연결되고; 상기 바이패스유로는 상기 제4공기유로와 제7공기유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습채널을 통과하는 상기 실외배출 공기유로는 제1배출유로와 제2배출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배출유로는 상기 습채널의 출구측에서 상기 제습로터의 한 영역을 통과한 후 실외로 연결되는 제6공기유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배출유로는 상기 습채널의 출구측에서 실외로 연결되는 제5공기유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5공기유로와 상기 제6공기유로의 연결부에는 제6댐퍼가 구비되고, 상기 제6댐퍼의 제어에 의해 상기 습채널을 통과한 공기가 상기 제5공기유로 또는 제6공기유로를 선택적으로 유동하여 실외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7공기유로의 타측은 상기 제5공기유로와 제6공기유로 및 실외에 연결되는 제4실외개구부에 연결되어 4방향 유로 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4방향 유로 연결부에는 제5댐퍼가 구비되어, 상기 제5댐퍼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5공기유로와 상기 제6공기유로 및 제7공기유로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로가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6공기유로와 상기 제2공기유로는 제8공기유로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6공기유로와 상기 제8공기유로의 연결부에 구비되는 제7댐퍼가 구비되어, 상기 제7댐퍼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8공기유로가 개폐되며; 상기 바이패스유로는, 상기 제4공기유로에서 유입되는 실내공기가 제7공기유로와 제6공기유로와 제8공기유로 및 제2공기유로를 순차로 유동하여 상기 제2공기유로에 연결되는 제2실외개구부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공기유로에 제2송풍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2송풍기는, 상기 제1공기유로로부터 유입되는 실내공기가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유동하여 실외로 배출되도록 흡인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습채널의 출구측에 제3송풍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3송풍기는, 상기 습채널을 통과한 공기가 실외로 배출하도록 흡인하고; 제어부는 상기 제2송풍기와 제3송풍기를 제어하여, 상기 제1공기유로로부터 유입되는 실내공기가 상기 습채널을 통과하는 실외배출유로 또는 상기 바이패스유로를 선택적으로 유동하여 실외로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습로터는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과 분리된 제3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6공기유로는 상기 제3영역을 통과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는 실내유입 공기유로;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실외배출 공기유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실외배출 공기유로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와의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거나,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와의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바이패스유로를 통해 유동하고; 제어부는, 상기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공기유로와 상기 바이패스유로 중 어느 하나로 유동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실내유입 공기유로에 연결되는 증발냉각기의 건채널을 통과하는 공기와의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상기 증발냉각기의 습채널을 통과한 후 실외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실내공기를 실외공기와 환기시키는 환기모드시, 상기 실외공기를 상기 실내유입 공기유로와 제습로터의 제1영역을 통과한 후 실내로 유입시키고, 상기 실내공기가 상기 습채널을 통과하는 실외배출 공기유로와 상기 바이패스유로 중 어느 하나의 경로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유로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제습로터의 제2영역에 연결되는 제2공기유로 상에 구비된 제2송풍기에 의해 흡인되고; 상기 습채널을 통과하는 실외배출 공기유로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습채널의 출구측에 구비된 제3송풍기에 의해 흡인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유로는 상기 제습로터의 제2영역을 통과하고; 상기 실내공기가 상기 바이패스유로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습로터가 회전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실내공기가 상기 습채널을 통과하는 실외배출 공기유로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습로터의 제1영역을 제외한 다른 영역을 통과하는 경로와, 상기 제습로터의 다른 영역을 통과하는 경로와 병렬로 연결되어 제습로터를 통과하지 않는 경로 중 어느 하나의 경로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환기모드와 열교환이 이루어지지 않는 환기모드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제어모드를 하나의 공기조화기 내부에 모두 구현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제어모드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외공기와 실내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환기모드로 가동을 하면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증발냉각기에서 공급되는 수분을 이용하여 냉방 및 가습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가습을 위한 별도의 수분공급부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내 가습시 실외 공기를 이용하지 않고 공기조화기 내부의 공기만을 이용하여 가습을 함으로써 실외의 차가운 공기로 인한 열에너지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냉방모드 운전중 습도를 조절하고 실내 공기가 필요 이상으로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적절한 습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환기모드 운전시 실내공기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환기모드 운전은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실내 습도조절을 위해 제습로터를 통과하도록 하거나, 제습로터를 통과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운전모드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습냉방모드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습냉방 습도조절모드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환기모드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환기 가습모드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환기 바이패스모드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순환 가습모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공기청정모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 공기조화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는,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는 실내유입 공기유로(11,13)와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실외배출 공기유로(14,15;14,16),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가 통과하는 적어도 2개의 영역(410,420,430)이 구비되고 상기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가 상기 영역(410,420,430)을 통과하면서 수분을 흡착하거나 방출하는 제습로터(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때 상기 실외배출 공기유로(14,15;14,16)는 상기 제습로터(400)의 적어도 2개의 영역(410,420,430)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통과하는 제1배출유로(16; 제6공기유로)와, 상기 제습로터를 통과하지 않는 제2배출유로(15; 제5공기유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조화기(1)에는, 실내로 통하는 제1실내개구부(111)와 제2실내개구부(112), 실외로 통하는 제1실외개구부(121)와 제2실외개구부(122)와 제3실외개구부(123) 및 제4실외개구부(124)가 형성되어 상기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가 상기 공기조화기(1) 내부에 출입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제2실내개구부(111,112)는 합쳐져 하나의 유로에서 분기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내지 제4실외개구부(121,122,123,124)도 합쳐져 하나 이상의 유로에서 분기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개구부(111,112,121,122,123,124)는 상기 공기조화기(1) 내부에 구비되는 제1공기유로(11)와 제2공기유로(12), 제3공기유로(13), 제4공기유로(14), 제5공기유로(15), 제6공기유로(16), 제7공기유로(17) 및 제8공기유로(18)를 통해 연통된다.
상기 제1공기유로(11)는 제1실내개구부(111), 제1영역(410), 증발냉각기(300)의 건채널(310), 제2실내개구부(112)를 순차 연결하는 유로이다. 상기 제1실내개구부(111)는 제1공기유로(11)의 일측에 구비되어 실내의 공기(RA)가 유입되고, 상기 제2실내개구부(112)는 상기 제1공기유로(11)의 타측에 각각 구비되어 증발냉각기(300)의 건채널(310)을 통과한 공기가 실내로 배출된다(SA).
상기 제2공기유로(12)는 제1실외개구부(121), 제2영역(420), 제2실외개구부(122)를 순차 연결하는 유로이다. 상기 제1실외개구부(121)는 상기 제2공기유로(12)의 일측에 구비되어 실외 공기(OA)가 유입되고, 상기 제2실외개구부(122)는 상기 제2공기유로(12)의 타측에 각각 구비되어 제2공기유로(12)를 통과한 공기가 실외로 배출된다(EA).
상기 제3공기유로(13)는 실외 공기(OA)가 유입되는 것으로서, 일측에 제3실외개구부(123)가 구비되고, 타측단은 제1공기유로(11)에 연결된다.
상기 제4공기유로(14)는 일측이 제1공기유로(11)에 연결되고, 타측이 증발냉각기(300)의 습채널(320) 입구측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실내개구부(111)를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의 일부인 추기 공기가 제4공기유로(14)를 통해 증발냉각기(300)의 습채널(320)로 유입된다.
상기 제5공기유로(15)는 일측이 증발냉각기(300)의 습채널(320) 출구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4실외개구부(124)에 연결된다(EA). 또한, 상기 제6공기유로(16)는 일측이 증발냉각기(300)의 습채널(320) 출구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4실외개구부(124)에 연결되며, 제습로터(400)의 제3영역(430)을 통과하는 유로이다.
상기 제5공기유로(15)와 제6공기유로(16)는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5공기유로(15)와 제6공기유로(16)의 일측 연결부에 상기 제7공기유로(17)의 일측이 더 연결된다.
상기 제8공기유로(18)는 일측이 제6공기유로(16)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1실외개구부(121)이 구비된 제2공기유로(12)에 연결된다.
상기 제5공기유로(15)와 제6공기유로(16)와 제7공기유로(17)의 연결부에 상기 제4실외개구부(124)가 구비되어 4방향 유로 연결부가 형성된다.
상기 증발냉각기(300)의 습채널(320) 출구측과 제5공기유로(15)와 제6공기유로(16)의 연결부가 연결되어, 3방향 유로 연결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4공기유로(14)의 타측과 상기 제7공기유로(17)의 타측은 서로 연통하되, 증발냉각기(300)의 습채널(320) 입구측에 인접하게 연결된다.
상기 공기조화기(1)에는 증발냉각기(30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증발냉각기(300)는, 서로 격리된 건채널(310)과 습채널(320)로 이루어지며, 상기 건채널 (310)을 유동하는 공기와 습채널(320)을 유동하는 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증발냉각기(300)는 복수의 플레이트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적층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플레이트 사이의 이격된 공간이 교대로 습채널(320)과 건채널(310)을 구성하게 된다. 즉,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건채널(310)과 습채널(320)을 서로 격리시키는 동시에 상기 건채널(310)과 습채널(320) 사이의 열교환을 발생시키는 매개체가 된다.
상기 습채널(320)에는 습채널(320)을 유동하는 공기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수분공급부(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수분공급부는 물을 공급하기 위한 주수펌프와 상기 주수펌프에 의해 공급되는 물을 분사하기 위한 분사노즐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습채널(320)을 유동하는 공기에 물을 분사하면, 분사된 물이 증발되면서 상기 습채널(320)을 둘러싸는 플레이트를 냉각시켜 상기 건채널(310)을 유동하는 공기를 냉각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습채널(320)을 유동하여 수분을 머금은 공기는 실내의 가습에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주수펌프의 가동에 의해 분사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여 실내의 온도 또는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한 실내 가습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효율적인 열교환을 위해 상기 건채널(310)을 유동하는 공기와 상기 습채널(320)을 유동하는 공기가 서로 십자 방향의 대향류를 이루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습채널(320)에서 수분을 머금은 공기가 상부에서 하부로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건채널(310)은 제1공기유로(11)상에 구비되며, 상기 제1공기유로(11)를 유동하는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가 상기 건채널(310)을 통과한 후 제1실내개구부(112)를 통해 배출되어 실내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4공기유로(14)와 제7공기유로(17)는 상기 습채널(320)의 입구측에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4공기유로(14) 또는 제7공기유로(17)를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습채널(320)을 통과한 후 상기 습채널(320)의 출구측에 연결된 상기 제5공기유로(15) 또는 제6공기유로(16)로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습로터(400)는, 중앙에 구비된 축을 중심으로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되며, 공기의 수분을 흡착하기 위한 흡착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습로터(400)는 제1영역(410)과 제2영역(420)과 제3영역(430)으로 구분될 수 있고, 상기 제1공기유로(11)와 상기 제2공기유로(12)와 상기 제6공기유로(16)의 경로 상에 상기 제1영역(410)과 제2영역(420)과 제3영역(430)이 각각 위치한다.
이때 상기 제1영역(410)은 상기 제1공기유로(11)와 제3공기유로(13)의 연결부와 상기 건채널(310)의 입구측 사이의 상기 제1공기유로(11)상에 위치한다.
제습냉방운전에서, 상기 제습로터(400)는, 상기 제1영역(410)에서 상기 제1공기유로(11)를 유동하는 공기로부터 수분을 흡착한다. 이때 상기 수분을 흡착한 제습로터(400)의 일부가 회전하여 상기 제2영역(410)에 도달하면 상기 제2공기유로(12)를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건조 재생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실내에 유입되는 공기를 제습한다.
가습운전에서, 상기 제습로터(400)는, 상기 제3영역(410)에서 상기 습채널(320)을 통과하여 수분을 머금고 상기 제6공기유로(16)를 유동하는 공기로부터 수분을 흡착한다. 이때 상기 수분을 흡착한 상기 제습로터(400)의 일부가 회전하여 상기 제1영역(410)에 도달하면 상기 제1공기유로(11)를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수분을 흡착한 제습로터(400)를 통과하며 수분을 머금게 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실내에 유입되는 공기를 가습한다.
상기 흡착재로는 실리카겔(silicagel)이나 제올라이트(zeolite) 등의 제습제가 사용될 수 있고, 벌집 패턴과 같은 소정의 형태의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흡착재의 표면에는 고분자 제습제가 코팅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제습제(Desiccant Polymer)는 전해질 고분자 물질로 수분과 접촉시 이온화가 되는데, 흡착재에 수분이 접촉하게 되면 이온 농도차에 의한 삼투압 현상으로 세균이 흡착제로부터 제거되므로, 항균효과를 발생시킨다. 또한, 악취를 발생시키는 암모니아나 황화수소등도 극성 분자로 이온화된 고분자 제습제에 달라붙어 탈취효과를 발생시킨다. 즉,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코팅되는 고분자 제습제로는 실리카(silica) 또는 지올라이트(zeolite)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유로(11,12,13,14,15,16,17,18)상에는,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210)와, 상기 압축기(210)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냉매의 열을 방열하는 응축기(220; 가열부)와, 상기 응축기(220)를 통과한 냉매를 팽창시켜 저온,저압의 상태를 만드는 팽창밸브(미도시)와, 상기 팽창밸브를 통과한 냉매가 증발되며 공기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230; 냉각부)로 이루어지는 냉동 싸이클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210)와 응축기(220)는 상기 제2공기유로(12)상의 상기 제1실외개구부(121)와 상기 제2영역(4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압축기(210)와 응축기(220)는 상기 제1실외개구부(121)를 통해 상기 제2영역(420)에 유입되는 실외공기를 가열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상기 가열된 실내공기는 상기 제2영역(420)을 통과하며 제습냉방운전 중 상기 제습로터(400)를 재생시킨다.
상기 증발기(230)는 건채널(310)의 출구측인 상기 제1실내개구부(111)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공기유로(11)와 상기 건채널(310)을 지나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시켜 실내 공기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유로(11,12,13,14,15,16,17,18)상에는, 한 개 이상의 가열부(510,520,5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유로(11)상에 구비되는 제1가열부(510)는, 상기 제1공기유로(11)와 제3공기유로(13)의 연결부와 상기 제1영역(41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영역(410)을 통과하여 상기 제1실내개구부(111)를 통해 실내에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한다. 즉, 상기 제1영역(410)을 가열하여 상기 제습로터(400)의 습도조절 능력을 향상시키고 실내 공기의 온도를 높인다.
상기 제2공기유로(12)상에 구비되는 제2가열부(520)는, 상기 제1실외개구부 (121)와 상기 제2영역(4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실외개구부(121)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제2영역(420)을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한다. 즉, 상기 제2영역(420)을 가열하여 상기 재생로터(400)를 재생시킨다.
상기 제1실내개구부(111)에 구비되는 제3가열부(530)는, 상기 제1공기유로(11)와 상기 건채널(310)을 지나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여 실내 공기의 온도를 신속하게 높인다.
상기 한 개 이상의 가열부(510,520,530)는 전기 히터 또는 온수가 내부를 유동하는 온수배관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히트펌프의 응축기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복수의 유로(11,12,13,14,15,16,17,18)상에는 한 개 이상의 송풍기(31,32,33)와 한 개 이상의 댐퍼(21,22,23,24,25,26,27,28,29)가 구비되어 공기의 유동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유로(11)상에 구비되는 제1송풍기(31)는, 상기 제1영역(410)과 건채널(310)의 입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실내개구부(111)를 통해 유입되는 실내공기 또는 상기 제3실외개구부(123)를 통해 유입되는 실외공기가 상기 제1공기유로(11)를 유동하여 상기 제1영역(410)을 통과하도록 흡인한다.
상기 제1영역(410)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건채널(310)을 통과한 후 실내로 유입되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상기 제1공기유로(11)와 제3공기유로(13)를 실내유입 공기유로라 한다.
상기 제2공기유로(12)상에 구비되는 제2송풍기(32)는, 상기 제2영역(420)과 상기 제2실외개구부(122)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실외개구부(121)를 통해 유입되는 실외공기 또는 상기 제8공기유로(18)를 유동하는 실내공기가 상기 제2영역(12)을 유동하여 상기 제2영역(420)을 통과하고 상기 제2실외개구부(122)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도록 흡인한다.
상기 습채널(320)의 출구측에 구비되는 제3송풍기(33)는, 상기 제4공기유로(14) 또는 상기 제7공기유로(17)를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습채널(320)을 통과하여 상기 제5공기유로(15) 또는 제6공기유로(16)로 유동하도록 흡인한다.
상기 제8공기유로(18)와 제2공기유로(12)는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실외배출 공기유로라 한다.
상기 제4공기유로(14)로부터 상기 습채널(320)을 지나 상기 제5공기유로(15) 또는 제6공기유로(16)를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제4실외개구부(124)를 통해 실외로 배출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4공기유로와 제5공기유로(15) 또는 상기 제4공기유로(14)와 제6공기유로(16)도 실외배출 공기유로라 한다.
또한, 상기 제7공기유로(17)로부터 상기 습채널(320)을 지나 상기 제5공기유로(15) 또는 제6공기유로(16)를 유동하는 공기는 다시 상기 제7공기유로(17)를 지나 상기 습채널(320)과 상기 제5공기유로(15) 또는 제6공기유로(16)를 유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7공기유로(17)와 습채널(320)과 제5공기유로(15) 및 제7공기유로(17)로 순환하는 유로와, 제7공기유로(17)와 습채널(320)과 제6공기유로(16) 및 제7공기유로(17)로 순환하는 유로를 순환유로라 한다.
상기 제4공기유로(14)상에 구비되는 제1댐퍼(21)는, 상기 제4공기유로(14)를 개폐한다.
상기 제1공기유로(11)상에 구비되는 제2댐퍼(22)는, 상기 제1공기유로(11)와 제4공기유로(14)의 연결부와 상기 제1공기유로(11)와 제3공기유로(13)의 연결부 사이에 구비되며,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상기 제1공기유로(11)를 개폐한다.
상기 제2공기유로(12)상에 구비되는 제3댐퍼(23)는, 상기 제2공기유로(12)와 상기 제8공기유로(18)의 연결부와 상기 제1실외개구부(121)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실외개구부(121)를 개폐한다.
상기 제3공기유로(13)상에 구비되는 제4댐퍼(24)는 제3실외개구부(123)를 개폐한다.
상기 제5공기유로(15)와 제6공기유로(16)와 제7공기유로(17)와 제4실외개구부(124)의 4방향 유로 연결부에 구비되는 제5댐퍼(25)는, 상기 제7공기유로(17) 또는 상기 제4실외개구부(124)를 개폐한다. 즉, 상기 제7공기유로(17)를 폐쇄하고 상기 제4실외개구부(124)를 개방하여 상기 제5공기유로(15) 또는 제6공기유로(16)로부터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제4실외개구부(124)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도록 하거나, 상기 제4실외개구부(124)를 폐쇄하고 상기 제7공기유로(17)를 개방하여 상기 제5공기유로(15) 또는 제6공기유로(16)로부터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제7공기유로(17)를 통해 상기 습채널(320)로 유동하도록 한다.
상기 습채널(320)의 출구측과 상기 제5공기유로(15)와 상기 제6공기유로(16)가 만나는 3방향 유로 연결부에 구비되는 제6댐퍼(26)는, 상기 제5공기유로(15) 또는 상기 제6공기유로(16)를 개폐한다. 즉, 상기 제5공기유로(15)를 폐쇄하고 상기 제6공기유로(16)를 개방하여 상기 습채널(320)을 통과한 수분을 머금은 공기가 상기 제6공기유로(16)로 유동하도록 하거나, 상기 제6공기유로(16)를 폐쇄하고 상기 제5공기유로(15)를 개방하여 상기 습채널(320)을 통과한 공기가 상기 제5공기유로(15)로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6댐퍼(26)가 상기 제6공기유로(16)를 개방하면 상기 습채널(320)을 통과한 수분을 머금은 공기가 상기 제3영역(430)을 통과하여 실내 공기 가습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6댐퍼(26)의 개도를 조절하여 상기 제5공기유로(15)와 상기 제6공기유로(16)를 일부씩 동시에 개방하고 상기 습채널(320)을 통과한 수분을 머금은 공기가 상기 제5공기유로(15)와 제6공기유로(16)를 모두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6댐퍼(26)의 개도를 조절하여 상기 제5공기유로(15)와 제6공기유로(16)로 유동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제6공기유로(16) 상에 구비된 제3영역(430)을 통과하는 공기의 양에 의해 실내 습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6공기유로(16)를 폐쇄하고 상기 제5공기유로(15)를 개방하면 상기 습채널(320)을 통과한 공기가 상기 제5공기유로(15)를 유동한다.
상기 제6공기유로(16)와 상기 제8공기유로(18)의 연결부에 구비되는 제7댐퍼(27)는, 상기 제8공기유로(18)를 폐쇄하여 제6공기유로(16)의 일측과 타측이 연통하도록 하거나, 상기 제8공기유로(18)를 개방함과 동시에 제6공기유로(16)의 일측과 타측이 차단되도록 한다.
상기 제8댐퍼(28)는, 상기 제2송풍기(32)와 상기 제2실외개구부(122) 사이의 제2공기유로(12)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2실외개구부(122)를 개폐한다.
상기 제6공기유로(16)상에 구비되는 제9댐퍼(29)는, 상기 제6공기유로(16)와 제8공기유로(18)의 연결부와 상기 제3영역(43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6공기유로(16)를 개폐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습채널(320)의 출구측에서 제5공기유로(15)와 제6공기유로(16)로 택일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하면, 제습냉방모드 및 환기모드시, 습채널(320)을 통과한 공기를 제4실외개구부(124)를 통해 곧바로 실외로 배출되도록 하거나, 제습로터(400)를 통과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냉방모드 운전 시 습도를 조절하고 실내 공기가 필요 이상으로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적절한 습도를 유지할 수 있고, 환기모드 운전시에도 실내공기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유로(11,12,13,14,15,16,17,18)상에는 한 개 이상의 필터(710,720,730)가 구비되어 공기 청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청정 기능은, 상기 제1공기유로(11)와 제3공기유로(13)의 연결부와 상기 제1영역(410) 사이에 제1필터(710)와 제2필터(720)가 구비되고, 상기 제1영역(410)과 상기 제1송풍기(31) 사이에 상기 제3필터(7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실내개구부(111)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와 상기 제3실외개구부(113)를 통해 유입된 실외공기가 상기 제1필터(710)와 제2필터(720)와 상기 제1영역(410)과 상기 제3필터(730)를 순차로 통과하며 정화되어 상기 제2실내개구부(112)를 통해 실내로 유입된다.
상기 제1필터(710)와 제2필터(720)와 제3필터(730)는 각각 PRE 필터, 탈취 필터 및 HEPA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에는 제어부(미도시)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온도와 습도 등의 실내 공기의 상태 및 설정 모드에 따라 상기 제습로터(400)와 증발냉각기(300)의 수분공급부, 냉동싸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210)와 응축기(220)와 증발기(230), 한 개 이상의 가열부(510,520,530)와 송풍기(31,32,33) 등의 온오프와 속도 및 작동 세기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댐퍼(21,22,23,24,25,26,27,28,29)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 제어로 실내유입 공기유로를 통해 실내에 공급되는 공기의 냉방, 난방, 제습, 가습, 환기 및 공기청정이 이루어져 쾌적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제어모드를 하나의 공기조화기 내부에 모두 구현할 수 있도록 공기유로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제어모드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실내의 온도와 습도는 온도센서(미도시)와 습도센서(미도시)에 의해 측정될 수 있으며, 상기 측정된 실내의 온도와 습도 정보는 제어부로 송출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의 제습냉방모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습냉방모드가 가동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댐퍼(22)와 제1댐퍼(21)와 제4댐퍼(24)를 제어하여 상기 제1공기유로(11)와 제4공기유로(14)와 제3공기유로(13)를 개방한다. 또한, 상기 제5댐퍼(25)는 제7공기유로(17)를 폐쇄하고, 제6댐퍼(26)는 제6공기유로(16)를 폐쇄하고, 제7댐퍼(27)는 제8공기유로(18)를 폐쇄하며, 제9댐퍼(29)는 제6공기유로(16)를 폐쇄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1송풍기(31)와 제3송풍기(33)와 증발냉각기(300)의 수분공급부와 압축기(210)와 응축기(220)와 증발기(230)를 온(on) 하고 상기 제1가열부(510)와 제3가열부(530)를 오프(off)상태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댐퍼(23)와 제8댐퍼(28)를 제어하여 상기 제2공기유로(12)를 개방하고 상기 제2송풍기(32)와 상기 제2가열부(520)를 온(on)시키며, 상기 제습로터(400)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실내개구부(111)를 통해 제1공기유로(11)로 유입되는 실내공기의 일부는 제1공기유로(11)를 유동하여 제습로터(400)의 제1영역(410)을 통과하고, 상기 제1영역(410)을 통과한 공기는 증발냉각기(300)의 건채널(310)을 통과한 후 제2실내개구부(112)를 통해 실내로 배출된다.
상기 제1실내개구부(111)를 통해 상기 제1공기유로(11)로 유입된 실내공기의 나머지 일부는 제4공기유로(14)를 통해 상기 증발냉각기(300)의 습채널(320)을 통과한 후 상기 제5공기유로(15)와 상기 제4실외개구부(124)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습채널(320)의 수분공급부에서 분사되는 물이 증발하며 열을 흡수하여 상기 습채널(320)과 상기 건채널(310)의 경계를 이루는 플레이트를 냉각시키고, 상기 플레이트의 냉각에 의해 상기 건채널(310)을 유동하는 공기가 냉각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실외개구부(121)를 통해 상기 제2공기유로(12)에 유입되는 실외공기는 상기 압축기(210) 및 응축기(220)를 통과하며 1차 가열되고 상기 제2가열부(520)에 의해 2차 가열된다. 가열된 높은 온도의 공기는 상기 제2영역(420)을 통과하며 상기 제습로터(400)를 건조 재생시키고, 상기 제습로터(400)의 건조 재생된 부분은 회전하여 상기 제1영역(410)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실내개구부(111)와 제3실외개구부(123)를 통해 상기 제1공기유로(11) 및 제3공기유로(13)에 유입되는 실내공기 및 실외공기는, 건조하게 재생된 상기 제습로터(400)의 상기 제1영역(410)을 통과하며 건조 재생된 상기 제습로터(400)에 공기중의 수분을 흡착시키고, 상기 건채널(310)과 증발기(230)를 통과하며 이중으로 냉각되므로, 상기 제2실내개구부(111)를 통해 건조하고 냉각된 공기가 실내에 유입되어 제습 냉방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증발냉각기(400)의 수분공급부를 통한 수분 공급을 중단하고, 증발기(230)의 동작을 정지시킨 경우에는 냉방작용은 이루어지지 않고, 제습작용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의 제습냉방모드 중 습도조절 모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습냉방모드 중 습도조절 모드가 가동되면, 제습냉방모드시와 비교하여 제6댐퍼(26)와 제9댐퍼(29)의 개폐 위치가 변경되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고, 나머지 구성들의 동작은 도 2에서 설명한 제습냉방모드시와 동일하다.
상기 제6댐퍼(26)는 제5공기유로(15)를 폐쇄하여 습채널(320)을 통과한 공기가 제6공기유로(16)로 유동하도록 하고, 상기 제9댐퍼(29)는 제6공기유로(16)를 개방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실내개구부(111)를 통해 상기 제4공기유로(14)에 유입되는 실내공기의 일부는 상기 습채널(320)을 통과하면서 수분을 함유한 습공기 상태가 된다. 상기 습채널(320)을 통과한 공기는 제6공기유로(16)를 유동하여 제습로터(400)의 제3영역(430)을 통과하면서 제3영역(430)의 흡착재에 수분이 흡착되고, 상기 제습로터(400)의 수분이 흡착된 부분이 회전하여 제1영역(410)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3영역(430)을 통과한 공기는 제6공기유로(16)를 유동한 후 상기 제4실외개구부(114)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상기 제3영역(430)에서 수분을 흡착한 제습로터(400)는 회전하여 제1영역(410)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수분을 흡착한 부분이 제1영역(410)에 위치하게 되면 제1영역(410)을 통과하는 공기에 수분을 방출하게 된다. 상기 제1영역(410)을 통과한 공기는 건채널(310)을 통과한 후 제2실내개구부(112)를 통해 실내에 유입되어 실내 공기의 습도 조절 및 냉방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습로터(400)는 상기 제2영역(420)으로부터 상기 제3영역(430)을 지나 상기 제1영역(410)에 위치하도록 회전방향을 설정하거나, 제1 내지 제3영역(410,420,430)을 배치하면 제1영역(410)을 통과하는 공기에 수분공급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제2영역(420)에서 재생이 이루어진 후 건조한 상태가 된 제습로터(400)의 부분이 제3영역(430)에 위치하면 수분을 흡착량이 증가할 수 있고, 그 후 제1영역(410)에 위치하면 제1영역(410)을 통과하는 공기에 수분 공급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와 반대방향인 제3영역(430), 제2영역(420), 제1영역(410)의 순으로 회전시키면, 수분 공급량이 감소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과 함께 수분공급부의 수분공급량을 조절하면, 상기 제3영역(430)에서 흡착되는 수분량과 제1영역(410)에서 방출되는 수분량을 조절할 수 있어 실내 가습량의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습냉방모드 중 냉방 습도조절 모드가 가동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6댐퍼(26)를 조절하여 상기 제5공기유로(15)와 상기 제6공기유로(16)를 동시에 개방할 수 있으며, 상기 제5공기유로(15)와 상기 제6공기유로(16)의 개방 정도는 실내공기의 습도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즉, 실내공기가 건조할수록 상기 제6공기유로(16)가 넓게 개방되고, 상기 습채널(320)을 통과하여 수분을 머금은 공기가 높은 비율로 상기 제3영역(430)을 통과하여, 상기 제습로터(400)가 흡착한 습기의 양이 많아지고, 상기 제1영역(410)을 통과하는 공기에 방출되는 습기의 양이 많아짐으로써, 상기 제2실내개구부(111)를 통해 실내에 유입되는 공기의 습도가 높아지고 강한 가습이 이루어진다.
반대로, 실내공기가 습할수록 상기 제5공기유로(15)가 넓게 개방되고, 상기 습채널(320)을 통과하여 수분을 머금은 공기가 낮은 비율로 상기 제3영역(430)을 통과하여, 상기 제습로터(400)가 흡착한 습기의 양이 적어지고, 상기 제1영역(410)을 통과하는 공기에 방출되는 습기의 양이 적어짐으로써, 상기 제2실내개구부(111)를 통해 실내에 유입되는 공기의 습도가 낮아지고 약한 가습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제어방법에 의하면 제습냉방 중에도 실내 공기의 가습을 구현할 수 있어 실내공기를 보다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습냉방모드 시 실내 가습 여부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4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의 환기모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환기모드가 가동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댐퍼(21)와 제4댐퍼(24)를 제어하여 상기 제4공기유로(14)와 제3공기유로(13)를 개방한다. 상기 제5댐퍼(25)는 제7공기유로(17)를 폐쇄하고, 제6댐퍼(26)는 제6공기유로(16)를 폐쇄하고, 제7댐퍼(27)는 제8공기유로(18)를 폐쇄하며, 제9댐퍼(29)는 제6공기유로(16)를 폐쇄한다.
상기 제1송풍기(31)와 제3송풍기(33)를 온(on)시키고, 상기 증발냉각기(300)의 수분공급부와 상기 제1가열부(510)와 제3가열부(510) 및 압축기(210)와 응축기(220)와 증발기(230)를 오프(off)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댐퍼(23)와 제8댐퍼(28)를 제어하여 상기 제1실외개구부(121)와 제2실외개구부(122) 및 제2공기유로(12)를 폐쇄하고, 상기 제2송풍기(32)와 상기 제2가열부(520)를 오프(off)하며, 상기 제습로터(400)는 회전시키지 않는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실내개구부(111)를 통해 상기 제4공기유로(14)에 유입되는 실내공기는 상기 증발냉각기(300)의 습채널(320)을 통과한 후 상기 제5공기유로(15)를 유동하여 상기 제4실외개구부(114)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제3실외개구부(123)를 통해 상기 제3공기유로(13)를 유동하여 상기 제1공기유로(11)에 유입되는 실외공기는 상기 제1영역(410)과 상기 건채널(320)을 유동하여 상기 제2실내개구부(112)를 통해 실내에 유입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사이의 환기가 이루어지며, 이 경우 상기 건채널(310)을 통과하는 실외공기와 습채널(320)을 통과하는 실내공기 사이에 현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의 환기모드중 가습모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환기모드 중 가습모드가 가동되면, 환기모드시와 비교하여 제6댐퍼(26)와 제9댐퍼(29)의 개폐 위치가 변경되고, 증발냉각기(300)의 수분공급부에서 수분이 공급되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고, 나머지 구성들의 동작은 도 4에서 설명한 환기모드시와 동일하다.
상기 제6댐퍼(26)는 제5공기유로(15)를 폐쇄하여 습채널(320)을 통과한 공기가 제6공기유로(16)로 유동하도록 하고, 상기 제9댐퍼(29)는 제6공기유로(16)를 개방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실내개구부(111)를 통해 상기 제4공기유로(14)에 유입되는 실내공기의 일부는 상기 습채널(320)을 통과하면서 수분을 함유한 습공기 상태가 된다. 상기 습채널(320)을 통과한 공기는 제6공기유로(16)를 유동하여 제습로터(400)의 제3영역(430)을 통과하면서 제3영역(430)의 흡착재에 수분이 흡착되고, 상기 제습로터(400)의 수분이 흡착된 부분이 회전하여 제1영역(410)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3영역(430)을 통과한 공기는 제6공기유로(16)를 유동한 후 상기 제4실외개구부(114)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상기 제3영역(430)에서 수분을 흡착한 제습로터(400)는 회전하여 제1영역(410)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수분을 흡착한 부분이 제1영역(410)에 위치하게 되면 제1영역(410)을 통과하는 공기에 수분을 방출하게 된다. 상기 제1영역(410)을 통과한 공기는 건채널(310)을 통과한 후 제2실내개구부(112)를 통해 실내에 유입되어 실내 공기의 습도 조절 및 환기가 이루어진다.
한편, 이 경우 제1가열부(510)를 온(On)시키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실외개구부(123)를 통해 상기 제3공기유로(13)를 유동하여 상기 제1공기유로(11)에 유입되는 실외공기는, 상기 제1가열부(510)를 통해 가열되어 내포 가능한 수분량을 높인 후 상기 제습로터(400)의 상기 제1영역(410)을 통과하며 상기 제습로터(400)로부터 수분을 건네받고, 상기 건채널(310)을 통과하며 냉각되어 수분을 포함한 공기가 제2실내개구부(112)를 통해 실내에 유입된다.
이와 같은 제어방법에 의하면 환기모드 시에도 실내 공기의 가습을 구현할 수 있어 실내공기를 보다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환기모드 시 실내 가습 여부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증발냉각기(300)의 수분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수분을 이용하여 가습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가습을 위한 별도의 수분공급부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외공기와 실내공기 사이에 증발냉각기(300)에서 1차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제습로터(400)에서 2차로 열교환이 이루어지므로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의 열을 이용할 수 있어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의 환기모드중 바이패스모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바이패스모드가 가동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댐퍼(21)와 제4댐퍼(24)를 제어하여 상기 제4공기유로(14)와 제3공기유로(13)를 개방한다.
또한, 상기 제5댐퍼(25)는 제4실외개구부(124)를 폐쇄하고, 제6댐퍼(26)는 제5공기유로(15)를 폐쇄하고, 제7댐퍼(27)와 제9댐퍼(29)는 제6공기유로(16)를 폐쇄하여 제8공기유로(18)가 개방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1송풍기(31)와 상기 제2송풍기(32)를 온(on)시키고, 제3송풍기(33)와 상기 증발냉각기(300)의 수분공급부와 상기 제1가열부(510)와 제3가열부(510) 및 압축기(210)와 응축기(220)와 증발기(230)를 오프(off)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댐퍼(23)를 제어하여 상기 제1실외개구부(121)를 폐쇄하며, 상기 제8댐퍼(28)을 제어하여 상기 제2실외개구부(122) 및 제2공기유로(12)를 개방하고, 상기 제2송풍기(32)를 온(on)시키며, 상기 제2가열부(520)를 오프(off)하고, 상기 제습로터(400)는 회전시키지 않는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실내개구부(111)를 통해 상기 제4공기유로(14)에 유입되는 실내공기는, 상기 제3송풍기(33)의 영향을 받지 않고 상기 제2송풍기(32)에 의해 흡인되므로, 상기 제4공기유로(14)와 제7공기유로(17)의 연결부인 증발냉각기(300)의 습채널(320) 입구측의 공간을 통해 제7공기유로(17)와 제8공기유로(18)와 제6공기유로(16)의 일부 및 제2공기유로(12)로 순차 연결되는 바이패스유로를 유동하여 상기 제2실외개구부(122)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제3실외개구부(123)를 통해 상기 제3공기유로(13)를 유동하여 상기 제1공기유로(11)에 유입되는 실외공기는, 상기 제1영역(410)과 상기 건채널(310)을 유동하여 상기 제2실내개구부(112)를 통해 실내에 유입된다.
이 경우 상기 실내유입 공기유로(11,13)를 유동하는 공기와 상기 바이패스유로(14,17,16,12)를 유동하는 공기는 혼합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습로터(400)는 회전하지 않으므로 상기 제1영역(410)을 통과하는 공기의 습도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특히, 본 바이패스 모드의 특징은 상기 건채널(310)을 통과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실내유입 공기유로와 상기 제4공기유로(14)와 제7공기유로(17)의 연결부를 통해 제7공기유로(17)와 제8공기유로(18) 및 제2공기유로(12)를 유동하여 실외로 배출되는 실외배출 공기유로 사이에 열교환과정 없이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증발냉각기(300)에서 제4공기유로(14)을 통과한 공기는 습채널(320)을 통과하지 않고 곧바로 제7공기유로(17)로 유동하므로 건채널(310)과의 사이에 일어나는 현열교환이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제습로터(400)가 회전하지 않으므로, 제습로터(400)가 회전하는 경우 일측 영역과 다른 영역 사이에 이루어지는 전열교환도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사이에 열교환 과정 없이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앞서 설명한 환기모드와 환기모드중 가습모드를 포함하여 열교환이 일어나지 않는 바이패스모드를 통해 다양한 환기모드를 구현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증발냉각기(300)의 수분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수분을 이용하여 가습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가습을 위한 별도의 수분공급부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의 순환 가습모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순환 가습모드라 함은, 실내공기를 가습하는 경우 실내공기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공기유로가 공기조화기 내부에서 순환하는 경로를 갖는 경우를 의미한다.
상기 순환 가습모드가 가동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댐퍼(22)와 제9댐퍼(29)를 제어하여 상기 제1공기유로(11)와 제6공기유로(16)를 개방하고, 상기 제1댐퍼(21)와 제4댐퍼(24)와 제5댐퍼(25)와 제6댐퍼(26)와 제7댐퍼(27)가 상기 제4공기유로(14)와 제3공기유로(13)와 제4실외개구부(124)와 제5공기유로(15)와 제8공기유로(18)를 각각 폐쇄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1송풍기(31)와 제3송풍기(33)와 증발냉각기(300)의 수분공급부와 상기 제1가열부(510)를 온(on)시키고, 상기 압축기(210)와 응축기(220)와 증발기(230) 및 상기 제3가열부(530)를 오프(off)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댐퍼(23)와 제8댐퍼(28)를 제어하여 상기 제2공기유로(12)를 폐쇄하고 상기 제2송풍기(32)와 상기 제2가열부(520)를 오프(off)시키며, 상기 제습로터(400)를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제3송풍기(33)에 작동에 의해 상기 증발냉각기(300)의 습채널(320) 내부의 공기는 상기 습채널(320), 제6공기유로(16), 제7공기유로(17), 습채널(320)로 이루어지는 순환유로를 따라 반복 유동하게 된다.
상기 습채널(320)을 통과하여 수분공급부에 의해 수분을 머금은 공기가 상기 제6공기유로(16)를 유동하며 상기 제습로터(400)의 상기 제3영역(430)을 통과하며 상기 제습로터(400)에 수분을 흡착시키고, 상기 제습로터(400)의 수분이 흡착된 부분이 회전하여 상기 제1영역(410)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실내개구부(111)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제1공기유로(11)를 유동하는 실내공기는, 상기 제1가열부(510)를 통해 가열되어 내포 가능한 수분량을 높인 후, 상기 제습로터(400)의 상기 제1영역(410)을 통과하며 상기 제습로터(400)로부터 수분을 전달받고, 상기 건채널(310)을 통과한 후 제2실내개구부(112)를 통해 실내에 유입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공기조화기(1) 내부의 공기가 상기 순환유로를 순환하며 상기 실내공기에 수분을 공급함으로써 실내공기의 순환 및 가습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실외 공기의 온도가 낮은 경우에도 실내 가습시 실외 공기가 공기조화기(1) 내부로 유입되지 않으므로, 열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순환유로가 제3영역(430)을 통과하는 것으로 구성하였으나, 제습로터(400)가 제1영역(410)과 제2영역(420) 만으로 이루어진 경우 순환유로가 제2영역(420)을 통과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제습로터(400)는 제1영역(410)과 제2영역(420)으로 이루어지고, 제6공기유로(16)의 일측이 제2영역(420)의 일측(도 7에서 좌측)의 제2공기유로(12)에 연결되며, 제6공기유로(16)에서 제3영역(430)을 통과하는 부분을 제거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순환유로는 습채널(320), 제6공기유로(16)의 일측, 제2공기유로(12)의 일측, 제2영역(420), 제2공기유로(12)의 타측, 제8공기유로(18), 제6공기유로(16)의 타측, 제7공기유로(17), 습채널(320)을 반복 순환하는 유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차가운 실외공기가 공기조화기(1) 내부로 유입되지 않는다는 점에서는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나, 제2공기유로(12)는 실외공기가 유동하는 구성이므로 겨울철에는 제3영역(430)을 통과하는 제6공기유로(16) 내부의 공기에 비해 온도가 낮으므로, 도 7의 경우에 비해 열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의 공기청정모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공기청정모드가 가동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댐퍼(22)를 제어하여 상기 제1공기유로(11)를 개방하고, 상기 제1댐퍼(21)와 제4댐퍼(24)와 제5댐퍼(25)와 제6댐퍼(26)와 제7댐퍼(27)와 제9댐퍼(29)가 상기 제4공기유로(14)와 제3공기유로(13)와 제4실외개구부(124)와 제5공기유로(15)와 제6공기유로(16)와 제8공기유로(18)를 폐쇄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1송풍기(31)를 온(on)시키고, 상기 제3송풍기(33)와 증발냉각기(300)의 수분공급부와 상기 제1가열부(510)와 상기 제3가열부(530)와 상기 압축기(210)와 응축기(220) 및 증발기(230)를 오프(off)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댐퍼(23)와 제8댐퍼(28)를 제어하여 상기 제2공기유로(12)를 폐쇄하고, 상기 제2송풍기(32)와 상기 제2가열부(520)를 오프(off)시키며, 상기 제습로터(400)는 회전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1실내개구부(111)를 통해 유입되는 실내공기는 상기 제1공기유로(11)를 유동하여 상기 제1공기유로(11)상에 위치하는 제1필터(710)와 제2필터(720)와 제1영역(410)과 제3필터(730)를 순차로 통과하며 여과가 이루어져, 실내 공기의 순환 및 공기 정화가 이루어진다.
한편, 실내 난방이 필요한 경우에는 제3가열부(530)가 온(on) 되고, 상기 제2실내개구부(122)를 통해 실내에 유입되는 공기가 가열되어 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난방모드는 도 4 내지 도 8에 나타난 환기모드와 순환모드 및 공기청정모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 : 공기조화기 11 : 제1공기유로
12 : 제2공기유로 13 : 제3공기유로
14 : 제4공기유로 15 : 제5공기유로
16 : 제6공기유로 17 : 제7공기유로
18 : 제8공기유로 21 : 제1댐퍼
22 : 제2댐퍼 23 : 제3댐퍼
24 : 제4댐퍼 25 : 제5댐퍼
26 : 제6댐퍼 27 : 제7댐퍼
28 : 제8댐퍼 29 : 제9댐퍼
31 : 제1송풍기 32 : 제2송풍기
33 : 제3송풍기 111 : 제1실내개구부
112 : 제2실내개구부 121 : 제1실외개구부
122 : 제2실외개구부 123 : 제3실외개구부
124 : 제4실외개구부 210 : 압축기
220 : 응축기 230 : 증발기
300 : 증발냉각기 310 : 건채널
320 : 습채널 400 : 로터
410 : 제1영역 420 : 제2영역
430 : 제3영역 510 : 제1가열부
520 : 제2가열부 530 : 제3가열부
710 : 제1필터 720 : 제2필터
730 : 제3필터

Claims (17)

  1.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는 실내유입 공기유로;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실외배출 공기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실외배출 공기유로는,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와의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공기유로와,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와의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지 않는 바이패스유로로 이루어지고;
    상기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공기유로와 상기 바이패스유로 중 어느 하나로 유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내유입 공기유로를 유동하는 공기와 상기 바이패스유로를 유동하는 공기는 독립적으로 유동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유입 공기유로에 연결되는 건채널과, 일측과 타측이 상기 실외배출 공기유로와 실내유입 공기유로에 연결되어 상기 건채널을 통과하는 공기와의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습채널과, 상기 습채널을 유동하는 공기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부로 이루어진 증발냉각기가 구비되고;
    상기 바이패스유로는 상기 증발냉각기의 외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가 통과하는 제1영역과 제2영역이 구비되어 상기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가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을 통과하면서 수분을 흡착하거나 방출하는 제습로터와,
    실내와 연통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1영역을 통과하는 제1공기유로와, 실외와 연통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2영역을 통과하는 제2공기유로가 구비되고;
    상기 실내유입 공기유로는,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상기 제1공기유로와, 상기 제1공기유로에 연결되어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제3공기유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습채널의 입구측에는, 상기 제1공기유로에서 분기되어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제4공기유로와, 상기 제4공기유로에 연통하며 상기 제4공기유로에 인접한 위치에 연결되는 제7공기유로가 연결되고;
    상기 바이패스유로는 상기 제4공기유로와 제7공기유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습채널을 통과하는 상기 실외배출 공기유로는 제1배출유로와 제2배출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배출유로는 상기 습채널의 출구측에서 상기 제습로터의 한 영역을 통과한 후 실외로 연결되는 제6공기유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배출유로는 상기 습채널의 출구측에서 실외로 연결되는 제5공기유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5공기유로와 상기 제6공기유로의 연결부에는 제6댐퍼가 구비되고, 상기 제6댐퍼의 제어에 의해 상기 습채널을 통과한 공기가 상기 제5공기유로 또는 제6공기유로를 선택적으로 유동하여 실외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7공기유로의 타측은 상기 제5공기유로와 제6공기유로 및 실외에 연결되는 제4실외개구부에 연결되어 4방향 유로 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4방향 유로 연결부에는 제5댐퍼가 구비되어, 상기 제5댐퍼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5공기유로와 상기 제6공기유로 및 제7공기유로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로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6공기유로와 상기 제2공기유로는 제8공기유로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6공기유로와 상기 제8공기유로의 연결부에 구비되는 제7댐퍼가 구비되어, 상기 제7댐퍼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8공기유로가 개폐되며;
    상기 바이패스유로는,
    상기 제4공기유로에서 유입되는 실내공기가 제7공기유로와 제6공기유로와 제8공기유로 및 제2공기유로를 순차로 유동하여 상기 제2공기유로에 연결되는 제2실외개구부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기유로에 제2송풍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2송풍기는, 상기 제1공기유로로부터 유입되는 실내공기가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유동하여 실외로 배출되도록 흡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습채널의 출구측에 제3송풍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3송풍기는, 상기 습채널을 통과한 공기가 실외로 배출하도록 흡인하고;
    제어부는 상기 제2송풍기와 제3송풍기를 제어하여, 상기 제1공기유로로부터 유입되는 실내공기가 상기 습채널을 통과하는 실외배출유로 또는 상기 바이패스유로를 선택적으로 유동하여 실외로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로터는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과 분리된 제3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6공기유로는 상기 제3영역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2.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는 실내유입 공기유로;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실외배출 공기유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실외배출 공기유로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와의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거나,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와의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바이패스유로를 통해 유동하고;
    제어부는, 상기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공기유로와 상기 바이패스유로 중 어느 하나로 유동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실내유입 공기유로를 유동하는 공기와 상기 바이패스유로를 유동하는 공기는 독립적으로 유동하도록 제어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실내유입 공기유로에 연결되는 증발냉각기의 건채널을 통과하는 공기와의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상기 증발냉각기의 습채널을 통과한 후 실외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실내공기를 실외공기와 환기시키는 환기모드시,
    상기 실외공기를 상기 실내유입 공기유로와 제습로터의 제1영역을 통과한 후 실내로 유입시키고,
    상기 실내공기가 상기 습채널을 통과하는 실외배출 공기유로와 상기 바이패스유로 중 어느 하나의 경로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유로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제습로터의 제2영역에 연결되는 제2공기유로 상에 구비된 제2송풍기에 의해 흡인되고;
    상기 습채널을 통과하는 실외배출 공기유로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습채널의 출구측에 구비된 제3송풍기에 의해 흡인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유로는 상기 제습로터의 제2영역을 통과하고;
    상기 실내공기가 상기 바이패스유로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습로터가 회전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공기가 상기 습채널을 통과하는 실외배출 공기유로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습로터의 제1영역을 제외한 다른 영역을 통과하는 경로와, 상기 제습로터의 다른 영역을 통과하는 경로와 병렬로 연결되어 제습로터를 통과하지 않는 경로 중 어느 하나의 경로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0170111354A 2017-08-31 2017-08-31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KR102180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354A KR102180663B1 (ko) 2017-08-31 2017-08-31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US16/042,638 US10876749B2 (en) 2017-08-31 2018-07-23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201811010341.1A CN109425067A (zh) 2017-08-31 2018-08-31 空气调节机及空气调节机的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354A KR102180663B1 (ko) 2017-08-31 2017-08-31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396A KR20190024396A (ko) 2019-03-08
KR102180663B1 true KR102180663B1 (ko) 2020-11-19

Family

ID=65436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354A KR102180663B1 (ko) 2017-08-31 2017-08-31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876749B2 (ko)
KR (1) KR102180663B1 (ko)
CN (1) CN10942506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41958B2 (en) 2019-03-18 2021-03-09 Lennox Industries Inc. HVAC systems with evaporator bypass and supply air recirculation and methods of using same
CN110925889A (zh) * 2019-12-05 2020-03-27 上海东健净化股份有限公司 一种多回程洁净新风处理系统
CN112303787A (zh) * 2020-09-30 2021-02-02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新风系统
CN112303788B (zh) * 2020-09-30 2022-12-27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新风系统的湿度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49559B2 (ja) 2001-01-31 2011-08-17 株式会社西部技研 除湿空調装置
JP2004093017A (ja) * 2002-08-30 2004-03-25 Seibu Giken Co Ltd 除湿空調装置
KR100700191B1 (ko) * 2004-10-28 2007-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환기장치
CN100510558C (zh) * 2007-09-13 2009-07-08 上海交通大学 太阳能驱动的单个转轮两级除湿空调器
GB2455332A (en) * 2007-12-05 2009-06-10 Oxycom Beheer Bv A combined heat exchange system supplying cooled air
KR101475131B1 (ko) * 2010-06-11 2014-12-23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환기 공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434563B1 (ko) 2012-06-19 2014-08-27 주식회사 신성엔지니어링 데시칸트 공조기
CN103791592B (zh) * 2014-02-25 2016-04-13 上海理工大学 用于温湿独立控制系统的降温除湿方法
WO2016002071A1 (ja) 2014-07-04 2016-01-07 三菱電機株式会社 空調換気装置
KR101749194B1 (ko) * 2015-11-18 2017-06-20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난방과 습도 조절이 가능한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KR101794730B1 (ko) 2016-07-19 2017-11-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제습냉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76749B2 (en) 2020-12-29
CN109425067A (zh) 2019-03-05
KR20190024396A (ko) 2019-03-08
US20190063777A1 (en) 2019-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9194B1 (ko) 난방과 습도 조절이 가능한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KR101782839B1 (ko) 냉방과 습도 조절이 가능한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KR101664791B1 (ko) 환기와 습도 조절이 가능한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JP4816267B2 (ja) 湿度調節装置
KR100742074B1 (ko) 조습장치
KR102538252B1 (ko)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KR102180663B1 (ko)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JP3992051B2 (ja) 空調システム
JP2011089665A (ja) 調湿装置
KR100607108B1 (ko) 사계절용 외기도입 공조시스템 및 공조방법
JP2003139350A (ja) 除湿空調装置
KR102287900B1 (ko) 공기조화기
KR102421244B1 (ko)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CN108885023B (zh) 空调及其控制方法
JP2013210130A (ja) 冷房除湿システム
KR102190905B1 (ko) 공기 조화기
JP3767114B2 (ja) 空気調和装置
KR102506022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35411B1 (ko)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JP2006112780A (ja) 空気調和装置
KR20060108023A (ko) 공기조화기
JP2015021622A (ja) 除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