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2275A - 선체 블록의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선체 블록의 조립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42275A KR20140042275A KR1020120108811A KR20120108811A KR20140042275A KR 20140042275 A KR20140042275 A KR 20140042275A KR 1020120108811 A KR1020120108811 A KR 1020120108811A KR 20120108811 A KR20120108811 A KR 20120108811A KR 20140042275 A KR20140042275 A KR 2014004227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plate
- longitudinal
- assembly
- transverse
- member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1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from prefabricated hull blocks, i.e. complete hull cross-se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02—Hulls assembled from prefabricated sub-uni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02—Hulls assembled from prefabricated sub-units
- B63B3/04—Hulls assembled from prefabricated sub-units with permanently-connected sub-uni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16—She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26—Frames
- B63B3/28—Frames of transverse type; String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26—Frames
- B63B3/34—Frames of longitudinal type; Bulkhead conne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3—Welding, e.g. laser weld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판에 설치되는 횡부재와 종통재에 대한 조립 방법을 변경하여 용접 방식을 아래보기 자세로 전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용접 작업의 자동화에 따른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조립에 필요로 하는 작업의 점유공간을 축소시켜 야드의 작업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판(10)을 수평하게 설치하는 단계, 상기 주판(10)에 대해 설정된 간격을 두고 다수의 횡부재(12)를 횡방향으로 결합하는 단계, 상기 횡부재(12)를 결합한 상태의 상기 주판(10)을 180도로 턴오버시켜 수평하게 설치된 다른 주판(14)의 상부에 안착시킨 다음, 상기 횡부재(12)와 상기 다른 주판(14) 사이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횡부재(12)와 상기 다른 주판(14)을 결합한 상태의 상기 주판(10)을 90도로 턴오버시켜 수직하게 설치하는 단계, 상기 횡부재(12)의 조립구멍(12a) 내부로 다수의 종통재(16)를 수직 하방향으로 인서트하여 조립하는 단계, 및 상기 횡부재(12)의 조립구멍(12a)에 대해 상기 종통재(16)를 아래보기 자세로 용접하여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판(10)을 수평하게 설치하는 단계, 상기 주판(10)에 대해 설정된 간격을 두고 다수의 횡부재(12)를 횡방향으로 결합하는 단계, 상기 횡부재(12)를 결합한 상태의 상기 주판(10)을 180도로 턴오버시켜 수평하게 설치된 다른 주판(14)의 상부에 안착시킨 다음, 상기 횡부재(12)와 상기 다른 주판(14) 사이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횡부재(12)와 상기 다른 주판(14)을 결합한 상태의 상기 주판(10)을 90도로 턴오버시켜 수직하게 설치하는 단계, 상기 횡부재(12)의 조립구멍(12a) 내부로 다수의 종통재(16)를 수직 하방향으로 인서트하여 조립하는 단계, 및 상기 횡부재(12)의 조립구멍(12a)에 대해 상기 종통재(16)를 아래보기 자세로 용접하여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선체 블록의 건조를 위한 조립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판에 설치되는 횡부재와 종통재에 대한 조립 방법을 변경하여 용접 작업을 자동화시키고 조립에 필요로 하는 작업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선체 블록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건조는 강판 등의 판재와 형강류 등의 각종 소재류들을 적절하게 절단한 다음 이를 용접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근래에 들어 선박의 건조 작업은 소규모의 블록 건조를 통해 작업 공정의 단축과 시간의 절감을 도모하고 있다. 즉, 소규모의 블록을 제작하는 소조립 공정과, 소조립된 블록을 수개씩 모아 결합하는 중조립 공정 및, 중조립된 블록을 다시 모아 결합시키는 대조립 공정 등을 거쳐 선박의 건조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일례로, 종래 선체 블록의 제작은 도 1과 도 2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외판에 해당하는 주판(51)을 작업 정반의 상부에 수평하게 설치하고, 상기 주판(51)의 상부에 다수의 횡부재(53)를 적정의 설정된 간격을 두고 상기 주판(51)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치하여 결합하며, 상기 주판(51)의 상부에 다수의 종통재(55)를 적정의 설정된 간격을 두고 상기 주판(51)의 길이방향에 해당하는 상기 횡부재(53)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하여 결합한다.
이때, 상기 횡부재(53)에 대한 상기 종통재(55)의 결합은 상기 횡부재(53)에 형성된 조립구멍(53a)이 슬롯의 형태이면, 칼라 플레이트(57)와 같은 별도의 부재를 덧댄 상태에서 상기 횡부재(53)의 조립구멍(53a)과 상기 종통재(55) 외측 사이의 조립부위를 용접으로 마감하게 된다.
반면에, 상기 횡부재(53)에 형성된 조립구멍(53a)이 상기 종통재(55)의 외형과 일치하는 슬릿의 형태이면, 별도의 부재없이 상기 횡부재(53)의 조립구멍(53a)과 상기 종통재(55) 외측 사이의 조립부위를 직접 용접하여 틈새를 마감하게 된다.
또한, 선체가 이중저 구조의 블록인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횡부재(53)와 상기 종통재(55)를 결합한 상태의 상기 주판(51)을 180도로 턴오버시켜 작업 정반에 대해 수평하게 설치된 내판에 해당하는 다른 주판(59)의 상부에 안착시킨 다음, 상기 횡부재(53)와 상기 다른 주판(59) 사이의 조립부위를 용접을 결합하는 과정을 부가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방식의 종래 선체 블록의 제작은 상기 주판(51)의 상부에 결합된 상기 횡부재(53)의 조립구멍(53a)에 대해 상기 종통재(55)를 조립할 때, 이들 조립부위에서 이루어지는 용접은 모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이루어지는 수직용접이기 때문에 전용의 용접장비를 이용한 반자동용접이나 자동용접을 구현할 수 없고, 전적으로 작업자에 의한 수동용접에 의존해야 하므로 블록을 제작하는 데 많은 시간과 비용의 소요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주판(51)의 상부에 결합된 상기 횡부재(53)의 조립구멍(53a)에 대해 상기 종통재(55)를 조립할 때, 윈치와 와이어 등을 이용하여 상기 횡부재(53)의 조립구멍(53a)으로 상기 종통재(55)의 삽입이 이루어질 수밖에 없음으로 인해 조립작업에 많은 시간의 소요와 함께 생산성을 크게 저하시키게 된다. 이는 상기 다수의 횡부재(53)에 각각 형성된 조립구멍(53a)에 대한 정확한 위치를 맞추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다수의 조립구멍(53a)을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조립이 이루어지는 종통재(55)는 각각의 횡부재(53)에 형성된 조립구멍(53a)의 내부를 지날 때 마다 수반되는 간섭으로 인해 종통재(55)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기인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방식의 종래 선체 블록의 제작은 작업 정반에 대해 주판(51)을 수평한 상태로 배치한 상태에서 횡부재(53)를 조립한 다음, 이에 대해 종통재(55)를 수평한 방향으로 인서트하기 때문에 조선소의 야드 내 작업장에서 반드시 적정의 공간을 확보해야 하므로 조립 공간을 많이 점유할 수밖에 없게 된다.
이 결과, 조선소 내부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데 그 한계가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조선소 내에서 다수의 블록을 동시에 제작하는 데 넓은 부지를 확보해야 하는 등의 많은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안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주판에 설치되는 횡부재와 종통재에 대한 조립 방법을 변경하여 용접 방식을 아래보기 자세로 전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용접 작업의 자동화에 따른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조립에 필요로 하는 작업의 점유공간을 축소시켜 야드의 작업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체 블록의 조립 방법으로서, 작업 정반에 대해 주판을 수평하게 설치하는 단계;
상기 주판에 대해 설정된 간격을 두고 다수의 횡부재를 횡방향으로 결합하는 단계;
상기 횡부재를 결합한 상태의 상기 주판을 180도로 턴오버시켜 작업 정반에 대해 수평하게 설치된 다른 주판의 상부에 안착시킨 다음, 상기 횡부재와 상기 다른 주판 사이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횡부재와 상기 다른 주판을 결합한 상태의 상기 주판을 90도로 턴오버시켜 수직하게 설치하는 단계;
상기 횡부재의 조립구멍 내부로 다수의 종통재를 수직 하방향으로 인서트하여 조립하는 단계; 및
상기 횡부재의 조립구멍에 대해 상기 종통재를 아래보기 자세로 용접하여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선체 블록의 조립 방법으로서, 작업 정반에 대해 주판을 수평하게 설치하는 단계;
상기 주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된 간격을 두고 다수의 종통재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주판에 대해 상기 종통재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정된 간격을 두고 다수의 횡부재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종통재와 상기 횡부재를 결합한 상태의 상기 주판을 180도로 턴오버시켜 작업 정반에 대해 수평하게 설치된 다른 주판의 상부에 안착시킨 다음, 상기 횡부재와 상기 다른 주판 사이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종통재와 상기 횡부재를 결합한 상태의 상기 주판을 90도로 턴오버시켜 수직하게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횡부재의 조립구멍에 대해 상기 종통재를 아래보기 자세로 용접하여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선체 블록의 건조에 있어 주판에 설치되는 횡부재와 종통재에 대한 조립 방식을 변경함으로써 횡부재와 종통재 사이의 조립부위에서 이루어지는 용접 작업을 종래의 수직용접에서 아래보기 자세의 수평용접으로 전환할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본 발명은 횡부재와 종통재에 대한 조립 방법의 변경을 통해 용접작업을 수평용접에 의한 반자동화 또는 자동화할 수 있게 되므로 선체 블록의 건조에 있어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횡부재에 대한 종통재의 조립 방향을 수직 하방향으로 인서트하는 방식으로 전환하여 종통재의 조립에 소요되는 장비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으므로 블록의 건조에 소요되는 작업시수를 대폭 절감함과 더불어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선체 블록의 조립시 횡부재를 결합한 주판을 수직한 상태로 설치한 다음, 다수의 종통재를 수직 하방향으로 인서트하게 되므로, 조선소의 야드 내 작업장에서 높이방향으로 적정의 공간만 확보할 수 있다면 블록의 조립을 위한 점유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조선소 내에서 다수의 블록을 동시에 제작하는 데 요구되는 부지를 필요 이상으로 넓게 확보하지 않아도 된다.
도 1 내지 도 3은 각각 종래 선체 블록의 조립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도 1은 종래 선체 블록의 제작에 있어 주판에 대해 횡부재를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선체 블록의 제작에 있어 횡부재에 대해 종통재를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 선체 블록의 제작에 있어 이중저 구조일 경우, 주판의 횡부재에 대해 내판에 해당하는 주판이 별도로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체 블록의 조립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체 블록의 제작에 있어 주판에 대해 횡부재를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체 블록의 제작에 있어 이중저 구조일 경우, 주판의 횡부재에 대해 내판에 해당하는 주판이 별도로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선체 블록의 제작에 있어 횡부재에 대해 종통재를 조립하는 과정, 및 횡부재와 종통재 사이의 조립부위에서 이루어지는 아래보기 자세의 용접과정을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각각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선체 블록의 조립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선체 블록의 제작에 있어 주판에 대해 종통재를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선체 블록의 제작에 있어 종통재에 대해 횡부재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선체 블록의 제작에 있어 이중저 구조일 경우, 주판의 횡부재에 대해 내판에 해당하는 주판이 별도로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선체 블록의 제작에 있어 횡부재와 종통재 사이의 조립부위에서 이루어지는 아래보기 자세의 용접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종래 선체 블록의 제작에 있어 주판에 대해 횡부재를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선체 블록의 제작에 있어 횡부재에 대해 종통재를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 선체 블록의 제작에 있어 이중저 구조일 경우, 주판의 횡부재에 대해 내판에 해당하는 주판이 별도로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체 블록의 조립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체 블록의 제작에 있어 주판에 대해 횡부재를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체 블록의 제작에 있어 이중저 구조일 경우, 주판의 횡부재에 대해 내판에 해당하는 주판이 별도로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선체 블록의 제작에 있어 횡부재에 대해 종통재를 조립하는 과정, 및 횡부재와 종통재 사이의 조립부위에서 이루어지는 아래보기 자세의 용접과정을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각각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선체 블록의 조립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선체 블록의 제작에 있어 주판에 대해 종통재를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선체 블록의 제작에 있어 종통재에 대해 횡부재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선체 블록의 제작에 있어 이중저 구조일 경우, 주판의 횡부재에 대해 내판에 해당하는 주판이 별도로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선체 블록의 제작에 있어 횡부재와 종통재 사이의 조립부위에서 이루어지는 아래보기 자세의 용접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체 블록의 조립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특히 이중저 구조의 선체 블록에 대한 건조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로 하면, 선체의 외판에 해당하는 주판(10)을 작업 정반의 상부에 핀 지그 등의 지지 구조물을 이용하여 수평하게 설치하고, 상기 주판(10)의 상부에 다수의 횡부재(12)를 적정의 설정된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결합한다. 이때, 상기 횡부재(12)는 상기 주판(10)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횡방향으로 배치된다.
이어, 도 5를 참조로 하면, 상기 횡부재(12)를 결합한 상태의 상기 주판(10)을 180도의 방향으로 턴오버시켜 작업 정반에 대해 수평하게 설치되는 선체의 내판에 해당하는 다른 주판(14)의 상부에 안착시키고, 상기 횡부재(12)와 상기 다른 주판(14)사이의 조립부위를 결합한다.
이어, 도 6을 참조로 하면, 상기 횡부재(12)와 상기 다른 주판(14)을 각각 결합한 상태의 상기 주판(10)을 90도의 방향으로 턴오버시켜 수직하게 설치한다. 이때, 상기 주판(10)의 기립 상태는 별도의 지지 구조물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 상기 횡부재(12)에 형성된 다수의 조립구멍(12a)을 통해 다수의 종통재(16)를 수직 하방향으로 인서트하여 조립한다. 이때, 다수의 종통재(16)는 크레인과 같은 인양설비를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횡부재(12)에 형성된 조립구멍(12a)을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상기 횡부재(12)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어, 상기 횡부재(12)의 조립구멍(12a)과 상기 종통재(16) 사이의 조립부위를 아래보기 자세의 수평용접을 통해 상호 견고하게 결합한다. 이때, 상기 횡부재(12)에 대한 상기 종통재(16)의 결합은 상기 횡부재(12)에 형성된 조립구멍(12a)이 슬롯(Slot))의 형태이면, 칼라 플레이트(18)와 같은 별도의 부재를 덧댄 상태에서 상기 횡부재(12)의 조립구멍(12a)과 상기 종통재(16) 외측 사이의 조립부위를 용접으로 마감하게 된다. 반면에, 상기 횡부재(12)에 형성된 조립구멍(12a)이 상기 종통재(16)의 외형과 일치하는 슬릿(Slit)의 형태이면, 별도의 부재없이 상기 횡부재(12)의 조립구멍(12a)과 상기 종통재(16) 외측 사이의 조립부위를 직접 용접하여 틈새를 마감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 선체 블록이 이중저 구조가 아닌 경우에 대한 선체 블록의 조립 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 주판(10)을 작업 정반의 상부에 핀 지그 등의 지지 구조물을 이용하여 수평하게 설치하고, 상기 주판(10)의 상부에 상기 다수의 횡부재(12)를 적정의 설정된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결합한다. 이때, 상기 횡부재(12)는 상기 주판(10)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횡방향으로 배치된다.
이어, 상기 횡부재(12)를 결합한 상태의 상기 주판(10)을 90도의 방향으로 턴오버시켜 수직하게 설치하여 고정한 다음, 상기 횡부재(12)의 조립구멍(12a) 내부로 다수의 종통재(16)를 수직 하방향으로 인서트하여 조립한다.
이어, 상기 횡부재(12)의 조립구멍(12a)과 상기 종통재(16) 사이의 조립부위를 아래보기 자세의 수평용접을 통해 상호 견고하게 결합한다. 이때, 상기 횡부재(12)에 대한 상기 종통재(16)의 결합은 상기와 동일하게 칼라 플레이트(18)를 이용하거나 또는 별도의 부재없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각각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선체 블록의 조립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특히 이중저 구조의 선체 블록에 대한 건조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로 하면, 선체의 외판에 해당하는 주판(10)을 작업 정반의 상부에 핀 지그 등의 지지 구조물을 이용하여 수평하게 설치하고, 상기 주판(10)의 상부에 다수의 종통재(16)를 적정의 설정된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결합한다. 이때, 상기 종통재(16)는 상기 주판(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어, 도 8을 참조로 하면, 상기 주판(10)의 상부에 다수의 횡부재(12)를 상기 주판(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적정의 설정된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결합한다. 이때, 상기 횡부재(12)는 상기 종통재(16)의 설치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횡방향으로 배치된다.
이어, 도 9를 참조로 하면, 상기 종통재(16)와 상기 횡부재(12)를 결합한 상태의 상기 주판(10)을 180도의 방향으로 턴오버시켜 작업 정반에 대해 수평하게 설치되는 선체의 내판에 해당하는 다른 주판(14)의 상부에 안착시키고, 상기 횡부재(12)와 상기 다른 주판(14) 사이의 조립부위를 결합한다.
이어, 도 10을 참조로 하면, 상기 종통재(16)와 상기 횡부재(12)를 결합한 상태의 상기 주판(10)을 90도의 방향으로 턴오버시켜 수직하게 설치한다. 이때, 상기 주판(10)의 기립 상태는 별도의 지지 구조물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 상기 횡부재(12)의 조립구멍(12a)과 상기 종통재(16) 사이의 조립부위를 아래보기 자세의 수평용접을 통해 상호 견고하게 결합한다. 이때, 상기 횡부재(12)에 대한 상기 종통재(16)의 결합은 상기 횡부재(12)에 형성된 조립구멍(12a)이 슬롯(Slot)의 형태이면, 상기 칼라 플레이트(18)와 같은 별도의 부재를 덧댄 상태에서 상기 횡부재(12)의 조립구멍(12a)과 상기 종통재(16) 외측 사이의 조립부위를 용접으로 마감하게 된다. 반면에, 상기 횡부재(12)에 형성된 조립구멍(12a)이 상기 종통재(16)의 외형과 일치하는 슬릿(Slit)의 형태이면, 별도의 부재없이 상기 횡부재(12)의 조립구멍(12a)과 상기 종통재(16) 외측 사이의 조립부위를 직접 용접하여 틈새를 마감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 선체 블록이 이중저 구조가 아닌 경우에 대한 선체 블록의 조립 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 주판(10)을 작업 정반의 상부에 핀 지그 등의 지지 구조물을 이용하여 수평하게 설치하고, 상기 주판(10)의 상부에 상기 다수의 종통재(16)를 적정의 설정된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결합한다. 이때, 상기 종통재(16)는 상기 주판(1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어, 상기 주판(10)의 상부에 다수의 횡부재(12)를 상기 주판(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적정의 설정된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결합한다. 이때, 상기 횡부재(12)는 상기 종통재(16)의 설치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횡방향으로 배치된다.
이어, 상기 종통재(16)와 상기 횡부재(12)를 결합한 상태의 상기 주판(10)을 90도의 방향으로 턴오버시켜 수직하게 설치하여 고정한다.
이어, 상기 횡부재(12)의 조립구멍(12a)과 상기 종통재(16) 사이의 조립부위를 아래보기 자세의 수평용접을 통해 상호 견고하게 결합한다. 이때, 상기 횡부재(12)에 대한 상기 종통재(16)의 결합은 상기와 동일하게 칼라 플레이트(18)를 이용하거나 또는 별도의 부재없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선체 블록의 조립 방법은 평 블록에 국한하여 설명하였으나, 곡형의 블록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슬릿 공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에서 상기 횡부재(12)는 플레임(Frame)과 플로어(Floor)에 해당하고, 상기 종통재(16)는 거더(Girder)와 론지(Longitudinal)에 해당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선체 블록의 조립 방법은 주판(10)에 설치되는 횡부재(12)와 종통재(16)에 대한 조립방식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횡부재(12)와 상기 종통재(16) 사이의 조립부위에서 이루어지는 용접을 블록의 수직 설치로부터 종래 수직용접에서 아래보기 자세의 수평용접으로 전환할 수 있으므로, 자동화 용접설비를 이용하여 횡부재(12)와 종통재(16) 사이의 결합을 보다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본 발명은 상기 횡부재(12)와 상기 종통재(16) 사이에 대한 조립 방식의 변경을 통해 용접작업을 수평용접에 의한 반자동화 또는 자동화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선체 블록의 제작에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횡부재(12)에 대한 상기 종통재(16)의 조립방향을 수직 하방향으로 인서트하는 방식으로 전환할 수 있으므로 상기 종통재(16)의 조립에 소요되는 장비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블록의 건조에 소요되는 작업시수를 대폭 절감할 뿐만 아니라 작업성의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에서 기재되는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주판 12-횡부재
12a-조립구멍 14-주판(내판)
16-종통재 18-칼라 플레이트
12a-조립구멍 14-주판(내판)
16-종통재 18-칼라 플레이트
Claims (4)
- 선체 블록의 조립 방법으로서,
주판(10)을 수평하게 설치하는 단계;
상기 주판(10)에 대해 설정된 간격을 두고 다수의 횡부재(12)를 횡방향으로 결합하는 단계;
상기 횡부재(12)를 결합한 상태의 상기 주판(10)을 90도로 턴오버시켜 수직하게 설치하는 단계;
상기 횡부재(12)의 조립구멍(12a) 내부로 다수의 종통재(16)를 수직 하방향으로 인서트하여 조립하는 단계; 및
상기 횡부재(12)의 조립구멍(12a)에 대해 상기 종통재(16)를 아래보기 자세로 용접하여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 블록의 조립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판(10)에 대해 상기 횡부재(12)를 결합하는 단계의 이후에 상기 횡부재(12)를 결합한 상태의 상기 주판(10)을 180도로 턴오버시켜 수평하게 설치된 다른 주판(14)의 상부에 안착시킨 다음, 상기 횡부재(12)와 상기 다른 주판(14) 사이를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 블록의 조립 방법. - 선체 블록의 조립 방법으로서,
주판(10)을 수평하게 설치하는 단계;
상기 주판(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된 간격을 두고 다수의 종통재(16)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주판(10)에 대해 상기 종통재(16)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정된 간격을 두고 다수의 횡부재(12)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종통재(16)와 상기 횡부재(12)를 결합한 상태의 상기 주판(10)을 90도로 턴오버시켜 수직하게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횡부재(12)의 조립구멍(12a)에 대해 상기 종통재(16)를 아래보기 자세로 용접하여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 블록의 조립 방법.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주판(10)에 대해 상기 종통재(16)와 상기 횡부재(12)를 각각 결합하는 단계의 이후에 상기 종통재(16)와 상기 횡부재(12)를 결합한 상태의 상기 주판(10)을 180도로 턴오버시켜 수평하게 설치된 다른 주판(14)의 상부에 안착시킨 다음, 상기 횡부재(12)와 상기 다른 주판(14) 사이를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 블록의 조립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8811A KR20140042275A (ko) | 2012-09-28 | 2012-09-28 | 선체 블록의 조립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8811A KR20140042275A (ko) | 2012-09-28 | 2012-09-28 | 선체 블록의 조립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42275A true KR20140042275A (ko) | 2014-04-07 |
Family
ID=50651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08811A KR20140042275A (ko) | 2012-09-28 | 2012-09-28 | 선체 블록의 조립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042275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22060A (ko) | 2019-04-17 | 2020-10-27 | 김영진 | 이중선체블록 건조 공법 |
-
2012
- 2012-09-28 KR KR1020120108811A patent/KR2014004227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22060A (ko) | 2019-04-17 | 2020-10-27 | 김영진 | 이중선체블록 건조 공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20125974A1 (en) | Complete floor welding system for various vehicle models | |
JP2018035556A (ja) | 屋根構造体の構築方法 | |
KR20140042275A (ko) | 선체 블록의 조립 방법 | |
KR101590789B1 (ko) | 블록 턴오버 지그용 연결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블록의 고정 방법 | |
KR20140000687U (ko) | 선박 블록 또는 해양구조물 블록의 보강재 취부지그 | |
CN110937080B (zh) | 一种集装箱船横隔舱顶板组立的建造方法 | |
CN104439820A (zh) | 薄板插接快速组合夹具及其制造方法 | |
KR101239982B1 (ko) | 형강용접방법 및 이를 통해 제작된 용접형강체 | |
KR101716328B1 (ko) | 컨테이너 가이드 설치방법 및 구조 | |
KR20140115622A (ko) | 선박의 호퍼부 조립구조 | |
KR20140018738A (ko) | H-타입 빌트-업 거더 제조장치 및 방법 | |
JP6507018B2 (ja) | 建材用加工装置 | |
CN220450641U (zh) | 一种分体钢箱梁的整体预装结构 | |
KR102681105B1 (ko) | 산업용 로봇의 지지장치 | |
KR20130005479U (ko) | H형 빌트업 형강재 취부지그 | |
KR100257113B1 (ko) |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설비용 포크형 지지대 조립 구조 및 그 방 법 | |
JP2006316507A (ja) | 床材支持部材及び床材支持構造 | |
JP2018075603A (ja) | 冶具、及び、その冶具を用いた鉄筋かごの製造方法 | |
KR20160000250U (ko) | 선박의 선수부 결합 구조체 | |
CN110863658A (zh) | 一种可拆卸的卸料平台型钢主梁端部固定方法 | |
CN117661729A (zh) | 一种装配式建筑施工模块结构及其施工方法 | |
JPH05113053A (ja) | 垂直円筒貯槽の組立方法 | |
KR20220037652A (ko) | 직립을 위한 힌지 모듈 및 그라운드 힌지 설비 | |
TWI468574B (zh) | 箱型鋼之內隔板組立治具及組立機 | |
WO2020016996A1 (ja) | エレベータ機械台およびそ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