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1657A - 튜브형 구명 장신구 - Google Patents

튜브형 구명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1657A
KR20140041657A KR1020140029251A KR20140029251A KR20140041657A KR 20140041657 A KR20140041657 A KR 20140041657A KR 1020140029251 A KR1020140029251 A KR 1020140029251A KR 20140029251 A KR20140029251 A KR 20140029251A KR 20140041657 A KR20140041657 A KR 20140041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mical
container
tube
elastic tub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9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다은
Original Assignee
고다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다은 filed Critical 고다은
Priority to KR1020140029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1657A/ko
Publication of KR20140041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16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8Inflatable equipment characterised by the gas-generating or inflation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3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attachable to body member, e.g. arm, neck, head or wai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2009/0023Particular features common to inflatable life-saving equipment
    • B63C2009/0029Inflation devices comprising automatic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 B63C2009/0035Inflation devices comprising automatic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activated by deployment of inflatable life-sav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3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attachable to body member, e.g. arm, neck, head or waist
    • B63C2009/131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attachable to body member, e.g. arm, neck, head or waist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ttachable to a single arm or wri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튜브형 구명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이즈가 작아서 휴대가 간편하고 긴급상황에서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오작동이 쉽게 발생하지 않아 안정적으로 착용할 수 있는 튜브형 구명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물 또는 과산화수소수가 채워지는 팔찌 형태의 탄성튜브; 상기 탄성튜브의 내부 양측단에 용기뚜껑에 의해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물 또는 과산화수소와 반응하여 기체를 발생시키는 화학물질이 저장되는 화학물질용기; 및 상기 화학물질용기 중에서 어느 하나의 화학물질용기와 다른 하나의 화학물질용기의 용기뚜껑을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구명 장신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튜브형 구명 장신구{Tube Type Life Accessory}
본 발명은 튜브형 구명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이즈가 작아서 휴대가 간편하고 긴급상황에서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오작동이 쉽게 발생하지 않아 안정적으로 착용할 수 있는 튜브형 구명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기술로서 손목에 착용하고 위급한 상황시에 순간적으로 팽창하도록 함으로써, 긴급상황에서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팔찌형 구명튜브가 개발된 바 있다(실용신안등록 제173074호 참조).
이러한 팔찌형 구명튜브는 연질관과, 천공핀이 삽입되도록 한 다수개의 관통공이 구비된 보강관을 형성한 저장부와, 저장부의 연질관을 천공하도록 한 천공핀과, 팽창부로 압축가스를 유출하도록 한 유출공을 형성한 천공부와, 튜브와, 튜브의 팽창에 의해 절취되도록 한 절취부와, 유통공이 구비된 보호관을 형성한 팽창부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팔찌형 구명튜브는 구명튜브를 가압하면 천공핀이 연질관을 천공하게 되고 압축가스가 천공부의 유출공을 통해 팽창부의 튜브로 유입되어 튜브가 팽창하면서 절취부가 절취되어 보호관이 이탈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팔찌형 구명튜브는 압력에 의해 천공핀이 연질관을 천공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물놀이 등의 격한 활동시 사용자도 모르게 팔찌에 압력이 가해져서 압축가스가 팽창부로 유입되는 오작동이 빈번히 발생하여 상용화되지는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사이즈가 작아서 휴대가 간편하고 긴급상황에서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화학물질용기의 용기뚜껑을 와이어가 당겨서 오픈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오작동이 쉽게 발생하지 않아 안정적으로 착용할 수 있는 튜브형 구명 장신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튜브형 구명 장신구는 내부에 물 또는 과산화수소수가 채워지는 팔찌 형태의 탄성튜브; 상기 탄성튜브의 내부 양측단에 용기뚜껑에 의해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물 또는 과산화수소와 반응하여 기체를 발생시키는 화학물질이 저장되는 화학물질용기; 및 상기 화학물질용기 중에서 어느 하나의 화학물질용기와 다른 하나의 화학물질용기의 용기뚜껑을 연결하는 한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화학물질용기를 감싸며 화학물질용기와의 사이에 탄성튜브가 개재되도록 탄성튜브의 외부 양측단에 설치되는 덧용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와이어는 일부분이 느슨하게 주름지도록 형성되고, 화학물질은 금속수소화합물, 요오드화칼륨 및 이산화망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튜브형 구명 장신구는 다음과 같은 유용한 효과를 발휘한다.
첫째, 팔찌 형태로 사이즈가 작아서 휴대가 간편하고 물놀이 사고 등의 긴급상황에서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둘째, 튜브 내 화학물질용기의 용기뚜껑을 와이어가 강하게 당겨서 개방하는 방식으로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사이에 튜브가 팽창하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튜브 내에서 화학물질용기와 용기뚜껑을 연결하는 와이어는 일정 길이 늘어나는 신축성을 갖거나 요철형태로 느슨하게 배치되어 있어서 일정 길이까지는 용기뚜껑이 개방되지 않으므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구명 장신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구명 장신구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구명 장신구의 작동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구명 장신구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구명 장신구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구명 장신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구명 장신구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구명 장신구의 작동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구명 장신구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튜브형 구명 장신구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튜브(100), 학물질용기(200) 및 와이어(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탄성튜브(100)는 고무나 라텍스 등의 잘 늘어나는 탄성력 있는 질긴 재질의 팔찌 형태로 내부에 물(H2O) 또는 과산화수소수(H2O2)가 채워진다.
화학물질용기(200)는 상기 탄성튜브(100)의 내부 양측단에 각각 설치되고, 측면에 화학물질용기(200)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용기뚜껑(210)이 구비되는데, 상기 용기뚜껑(210)은 탄성튜브(100)의 내부공간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화학물질용기(200)는 ⊃형상 내지 구형상으로 개방된 부분을 덮는 용기뚜껑(210)이 설치되며, 상기 탄성튜브(100)의 양측단부는 화학물질용기(200)를 감싼 후 묶어서 매듭(110)을 지어 화학물질용기(20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화학물질용기(200)는 내부에 상기 물(H2O) 또는 과산화수소수(H2O2)와 반응하여 수소(H2) 또는 산소(O2)의 기체를 발생시키는 화학물질(M)이 액체 또는 고체분말로 저장되며, 상기 용기 뚜껑(210)을 씌운 후 방수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물질(M)로는 수소화리튬, 수소화칼슘, 수소화알루미늄리튬, 붕소수소화나트륨, 암모니아보란 등의 금속수소화합물류나 요오드화칼륨 및 이산화망간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이상의 물질을 선택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이어(300)는 플라스틱 줄이나 철사 또는 고무줄 등으로 이루어지는 긴 선으로 상기 화학물질용기(200) 중에서 어느 하나의 화학물질용기(200)와 다른 하나의 화학물질용기 용기뚜껑(210)을 연결한다.
도면에서는 예를 들어 화학물질용기(200)를 한 쌍을 도시하였으며, 한 쌍의 화학물질용기(200)와 용기뚜껑(210)은 각각 반대편의 용기뚜껑(210)과 화학물질용기(200)와 연결된다.
상기 와이어(300)의 중간이나 끝단부(일부분)는 느슨하게 주름지도록(요철 모양을 이루도록) 여유분을 두어 탄성튜브(100)에 평상시에 약간의 당김이 발생하더라도 용기뚜껑(210)이 오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화학물질용기(200)를 감싸며 화학물질용기(200)와의 사이에 탄성튜브(100)가 개재되도록 탄성튜브(100)의 외부 양측단에 설치되는 덧용기(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덧용기(400)는 내부에 화학물질용기(200)가 들어가고, ⊃형상으로 양측 자유단부가 내측을 향하여 절곡되어 탄성튜브(100)와 화학물질용기(200)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덧용기(400) 없이 화학물질용기(200)의 개방된 부분에 테이프(220)(용기뚜껑(210)의 기능을 함)를 부착한 후 방수처리하여 테이프(220)를 벗기는 방식으로 화학물질용기(200)를 오픈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도 5 및 도 6에서 (a)-(b)-(c)-(d)의 순서대로 작동함).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튜브형 구명 장신구의 사용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예를 들어 물놀이 등의 활동을 할 때 사용자는 팔찌형태로 손목에 착용하고 있다가 위급상황이 발생하면 탄성튜브(100)를 양쪽으로 힘껏 잡아당긴다.
그러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학물질용기(200)에 구비된 용기뚜껑(210)을 와이어(300)가 잡아당겨 오픈시키고 화학물질용기(200) 내에 저장되어 있던 금속수소화합물류 등의 화학물질(M)이 탄성튜브(100) 내부로 유출된다(도 5에서는 용기뚜껑(210)의 기능을 테이프(220)가 하고 있음).
이렇게 하여 화학물질이 탄성튜브(100) 내의 물(H2O) 또는 과산화수소수(H2O2)와 반응하여 수소(H2)나 산소(O2)의 기체를 발생시키고, 기체는 수초내에 탄성튜브(100)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키면서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튜브(100)를 팽창시킨다.
이때 발생하는 열은 주위의 물로 이동하여 착용자는 뜨거움을 느끼지 못하며, 발생하는 수소(H2)나 산소(O2)는 6ℓ 이상으로 부력에 의해 사람을 물위로 띄우기에 적당하도록 발생된다.
더욱이, 수소는 분자량이 공기에 비하여 1/16으로 낮아서 수소로 채워진 탄성튜브(100)의 부력은 일반 공기로 채워진 튜브의 부력보다 크기 때문에 구명에 매우 효과적이다.
즉, 본 발명은 손목에 차는 튜브형 구명 장신구로서 착용중 비상시에 팔찌를 잡아 당기면 팔찌의 내부에서 화학반응이 발생하여 수초 내에 가스가 발생하고, 발생한 가스는 고무 등 재질의 튜브에 압력을 가하여 튜브가 부풀어 오르고 착용자는 튜브의 부력을 이용하여 수면 위로 숨을 쉴 수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장신구란 팔찌, 허리띠 등 신체에 착용하는 각종 악세사리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100: 탄성튜브 110: 매듭
200: 화학물질용기 210: 용기뚜껑
220: 테이프 300: 와이어
400: 덧용기 M: 화학물질

Claims (3)

  1. 내부에 물 또는 과산화수소수가 채워지는 팔찌 형태의 탄성튜브;
    상기 탄성튜브의 내부 양측단에 용기뚜껑에 의해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물 또는 과산화수소와 반응하여 기체를 발생시키는 화학물질이 저장되는 화학물질용기; 및
    상기 화학물질용기 중에서 어느 하나의 화학물질용기와 다른 하나의 화학물질용기의 용기뚜껑을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구명 장신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물질용기를 감싸며 화학물질용기와의 사이에 탄성튜브가 개재되도록 탄성튜브의 외부 양측단에 설치되는 덧용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구명 장신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일부분이 느슨하게 주름지도록 형성되고, 화학물질은 금속수소화합물, 요오드화칼륨 및 이산화망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구명 장신구.
KR1020140029251A 2014-03-12 2014-03-12 튜브형 구명 장신구 KR201400416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251A KR20140041657A (ko) 2014-03-12 2014-03-12 튜브형 구명 장신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251A KR20140041657A (ko) 2014-03-12 2014-03-12 튜브형 구명 장신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1657A true KR20140041657A (ko) 2014-04-04

Family

ID=50651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9251A KR20140041657A (ko) 2014-03-12 2014-03-12 튜브형 구명 장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165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1895A (ko) 2014-07-23 2016-02-02 주식회사 우린 튜브형 음료수 용기
CN105620691A (zh) * 2014-12-01 2016-06-01 韦振勇 用化学方法制气,可在水中快速充气的上浮装备
CN106477005A (zh) * 2016-12-22 2017-03-08 董迎港 救生装置及救生手环
CN114750903A (zh) * 2022-03-04 2022-07-15 浙江农林大学暨阳学院 智能防溺水自救手环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1895A (ko) 2014-07-23 2016-02-02 주식회사 우린 튜브형 음료수 용기
CN105620691A (zh) * 2014-12-01 2016-06-01 韦振勇 用化学方法制气,可在水中快速充气的上浮装备
CN106477005A (zh) * 2016-12-22 2017-03-08 董迎港 救生装置及救生手环
CN114750903A (zh) * 2022-03-04 2022-07-15 浙江农林大学暨阳学院 智能防溺水自救手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4751B2 (en) Inflatable personal bodywear flotation device
KR20140041657A (ko) 튜브형 구명 장신구
JP2016094181A (ja) 救命ブレスレット
JP5563404B2 (ja) 救命浮き袋
CN204452886U (zh) 一种自救式上衣
CN203975190U (zh) 救生腕带以及气体发生器
KR20090055280A (ko) 개인용 구명 장치
CN107161300A (zh) 一种安全救生腰带
KR20140007536A (ko) 구명벨트
CN206871327U (zh) 一种安全救生腰带
CN108177741A (zh) 一种基于化学原理的溺水自救手环
CN207737479U (zh) 充气装置及使用该充气装置的水上自救器
KR101773844B1 (ko) 소화기가 탑재된 인명구조용 케이스 수납 및 호환형 가방 겸용 구호복
CN205186485U (zh) 腕表式水中救生装置
CN104943834A (zh) 一种随身水中自救腕(臂)带
KR101524270B1 (ko) 자가 팽창 기능을 갖는 비상용 튜브
KR101853682B1 (ko) 목걸이 타입의 자동구명장치
US20040063365A1 (en) Personal flotation device
CN213262869U (zh) 一种单手触发式防溺救生手表
KR20180036054A (ko) 휴대가 용이한 개인 구명물품
KR20180063476A (ko) 위급한 상황 시 튜브가 나오는 방수팩
CN218703812U (zh) 浸水自充气防溺水救生手臂环
KR20180051193A (ko) 구명슈트
JP3164356U (ja) 水難用救命具
KR101758598B1 (ko) 휴대용 인명구조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