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1895A - 튜브형 음료수 용기 - Google Patents

튜브형 음료수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1895A
KR20160011895A KR1020140093156A KR20140093156A KR20160011895A KR 20160011895 A KR20160011895 A KR 20160011895A KR 1020140093156 A KR1020140093156 A KR 1020140093156A KR 20140093156 A KR20140093156 A KR 20140093156A KR 20160011895 A KR20160011895 A KR 20160011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tube body
tubular
beverage container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3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9414B1 (ko
Inventor
서재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린
Priority to KR1020140093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9414B1/ko
Publication of KR20160011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9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9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7/00Portable flexible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8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 B65D77/286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튜브형 음료수 용기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등산, 조깅 또는 자전거 여행 등과 같은 활동적인 야외 활동시 이동하면서 편하고 쉽게 음료를 마실 수 있게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음료가 채워질 수 있는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일측에 상기 음료가 주입되는 주입구가 형성되고, 양단부에 상기 음료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는 튜브 몸체;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는 중공형의 연결 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의 소정 영역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음료를 흡입 가능하도록 구성된 음료 흡입 부재를 포함하는 튜브형 음료수 용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튜브형 음료수 용기{TUBE TYPE DRINK CONTAIN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튜브형 음료수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산, 조깅 또는 자전거 여행 등과 같은 활동적인 야외 활동을 할 때, 갈증 해소를 위하여 음료수를 지참하게 된다.
야외 활동을 위하여 출발하기 전에 음료를 별도의 물통에 담아 휴대하거나, 그 음료 용기를 별도의 가방에 담아 휴대하는 것이 보통이다.
즉, 음료 용기를 가방에 담거나, 또는 별도의 물병용 주머니를 사용하거나 고가의 빨대가 달린 물 주머니를 이용하여 휴대하게 된다.
이렇게 음료수를 개별 용기에 담아서 휴대 및 보관하는 경우, 또는 음료수를 가지고 다닐 경우의 불편함 이외에도 음료수 섭취시 양손을 사용해야 하므로, 음료수를 마실 때 상당히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2948호 '베개로 사용가능한 음료수 용기'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41657호 '튜브형 구명 장신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등산, 조깅 또는 자전거 여행 등과 같은 활동적인 야외 활동시 이동하면서 편하고 쉽게 음료를 마실 수 있는 튜브형 음료수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튜브형 음료수 용기는 내부에 음료가 채워질 수 있는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일측에 상기 음료가 주입되는 주입구가 형성되고, 양단부에 상기 음료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는 튜브 몸체;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는 중공형의 연결 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의 소정 영역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음료를 흡입 가능하도록 구성된 음료 흡입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튜브 몸체는 C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C자형의 내측 영역에는 실리콘 또는 천으로 이루어진 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음료 흡입 부재는 상기 연결 부재의 소정 영역에 연장 형성되고 그 단부의 내측벽에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연장 파이프; 및 일단부에는 상기 가이드 홈에 대응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일단부의 반대 방향인 타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외부 힘이 작용되는 개폐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튜브 몸체의 주입구의 인접 영역에는 상기 음료가 이동되도록 상기 튜브 몸체의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되, 소정 영역을 관통하는 걸림홈이 구비되는 고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에는 상기 연결 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배출구의 동심원 상에 부착되는 탄성 링과, 상기 탄성 링에 끼워지는 탄성 마개로 구비되되, 상기 탄성 마개의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에 상기 연결 부재의 단부가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와 음료 흡입 부재는 중공형의 파이프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음료수 용기는 튜브형으로 사용자의 목 부위에 착용가능하도록 형성하여 등산, 조깅 또는 자전거 여행 등과 같은 활동적인 야외 활동시 이동하면서 편하고 쉽게 음료를 마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음료수 용기는 여름에는 내부에 차가운 음료를 채워 냉기를 느끼도록 할 수 있고, 겨울에는 내부에 따뜻한 음료를 채워 온기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음료수 용기는 내부에 음료 대신 공기를 주입하여 휴대형 목 베개로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음료수 용기가 착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음료수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튜브형 음료수 용기의 하측부 및 측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도 2의 튜브형 음료수 용기의 음료 흡입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도 2의 튜브형 음료수 용기의 연결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c는 도 2의 튜브형 음료수 용기의 고정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d는 도 2의 튜브형 음료수 용기의 주입 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음료수 용기가 착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음료수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튜브형 음료수 용기의 하측부 및 측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a는 도 2의 튜브형 음료수 용기의 음료 흡입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b는 도 2의 튜브형 음료수 용기의 연결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c는 도 2의 튜브형 음료수 용기의 고정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d는 도 2의 튜브형 음료수 용기의 주입 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음료수 용기(10)는 사용자(1)의 목 부위(1a)에 착용가능한 튜브형 구조를 가지고, 튜브 몸체(100), 연결 부재(200) 및 음료 흡입 부재(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의 음료는 물, 생수, 주스 또는 각종 이온 음료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튜브 몸체(100)는 C자형으로 형성되어 사용자(1)의 목 부위(1a)에 착용되는 물 주머니이다. 이러한 튜브 몸체(100)는 내부에 음료가 채워질 수 있는 수용 공간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튜브 몸체(100)의 형상 및 색깔은 설계자의 설계 의도 및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튜브 몸체(100)의 일측에는 음료가 주입되는 주입구(110)가 형성되고, 양단부에 음료가 배출되는 배출구(120)가 각각 형성된다. 즉, 본 튜브형 음료수 용기(10)가 사용자(1)의 목 부위(1a)에 착용되는 경우, 주입구(110)는 사용자(1)의 목 부위(1a)의 뒷 부분에 위치되고, 배출구(120)는 사용자(1)의 목 앞 부분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주입구(110)를 통하여 주입된 음료는 음료의 중력에 의하여 좌우로 균형이 이루어지면서 배출구(120) 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연결 부재(200) 및 음료 흡입 부재(300)를 통하여 사용자가 흡입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주입구(110)는,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 캡(111)의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산에 의하여 나사결합 방식으로 주입 캡(111)과 결합된다.
상기 튜브 몸체(100)는 고무나 라텍스 등과 같이 잘 늘어나는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튜브 몸체(100)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FDA에서 승인된 재질 중 탄성을 가지는 다양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튜브 몸체(100)의 C자형의 내측 영역에 실리콘 또는 천으로 이루어진 지지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30)가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1)의 목 부위(1a)의 피부 보호에 유익하고, 천으로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1)의 목 부위(1a)의 피부 보호 효과와 함께 해당 부위에 생성된 땀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상기 튜브 몸체(100)의 주입구(110)의 인접 영역에는 고리부(140)가 형성된다. 상기 고리부(140)는 주입구(110)를 통하여 주입된 음료가 이동되도록 튜브 몸체(10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리부(140)는 소정 영역을 관통하는 걸림홈(14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홈(141)은 고리 기능을 수행하여 본 튜브형 음료수 용기(10)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건물 벽 등에 걸어 보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걸림홈(141)은 그 내부에 안전줄이 삽입되어 사용자(1)가 본 튜브형 음료수 용기(10)를 착용한 후 수영 등의 활동을 수행하는 경우 안전줄을 통하여 튜브 몸체(100)를 잡거나 잡아당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 튜브 또는 구조용 튜브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상기 배출구(120)에는 연결 부재(200)가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 부재(12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부재(121)는 배출구(120)의 동심원 상에 부착되는 탄성 링(121a)과, 탄성 링(121a)에 끼워지는 탄성 마개(121b)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 마개(121b)는 탄성 링(121a)을 개폐하도록 튜브 몸체(100) 방향의 일측이 ⊃형상 내지 구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의 외경이 탄성 링(121a)의 내경과 같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마개(121b)의 중앙에는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은 연결 부재(200)의 단부가 끼워지도록 그 내경이 연결 부재(200)의 단부의 외경과 같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부재(200)는 배출구(120)에 연결되는 중공형의 파이프 부재로서, 튜브 몸체(100)의 양단부에 형성된 배출구(120)를 연결한다. 또한, 상기 연결 부재(200)는 중간이나 단부가 느슨하게 주름지도록, 즉 요철 모양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1)가 본 튜브형 음료수 용기(10)를 목 부위(1a)에 착용시 약간의 당김이 발생하더라도 해당 당김이 목 부위(1a)에 전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음료 흡입 부재(300)는 연결 부재(200)의 소정 영역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음료를 흡입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음료 흡입 부재(30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 파이프(310)와 개폐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연장 파이프(310)는 연결 부재(200)의 소정 영역에 연장 형성되는 중공형의 파이프 부재로서, 그 내부가 연결 부재(200)의 내부와 연결되어 음료가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 파이프(310)는 그 단부의 내측벽에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홈(미도시)이 형성되어, 개폐부(320)의 가이드 돌기와의 결합 또는 분리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320)는 일단부에 가이드 홈에 대응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어 연장 파이프(310)의 단부에 회전 또는 상하 이동 방식으로 결합 또는 분리된다. 즉, 상기 개폐부(320)는 일단부의 반대 방향인 타단부에 구 형상으로 형성된 손잡이를 형성하여 외부 힘(예를 들면, 손으로 위로 치켜올림)에 의하여 길이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연장 파이프(310)의 단부에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음료수 용기(10)는 튜브형으로 사용자(1)의 목 부위(1a)에 착용가능하도록 형성하여 등산, 조깅 또는 자전거 여행 등과 같은 활동적인 야외 활동시 이동하면서 편하고 쉽게 음료를 마실 수 있다.
또한, 본 튜브형 음료수 용기(10)는 여름에는 내부에 차가운 음료를 채워 냉기를 느끼도록 할 수 있고, 겨울에는 내부에 따뜻한 음료를 채워 온기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튜브형 음료수 용기(10)는 내부에 음료 대신 공기를 주입하여 휴대형 목 베개로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튜브형 음료수 용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사용자 1a: 목 부위
10: 튜브형 음료수 용기 100: 튜브 몸체
110: 주입구 111: 주입캡
120: 배출구 121: 고정 부재
121a: 탄성 링 121b: 탄성 마개
130: 지지부 140: 고리부
200: 연결 부재 300: 음료 흡입 부재
310: 연장 파이프 320: 개폐부

Claims (7)

  1. 내부에 음료가 채워질 수 있는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일측에 상기 음료가 주입되는 주입구가 형성되고, 양단부에 상기 음료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는 튜브 몸체;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는 중공형의 연결 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의 소정 영역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음료를 흡입 가능하도록 구성된 음료 흡입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음료수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몸체는 C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C자형의 내측 영역에는 실리콘 또는 천으로 이루어진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음료수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흡입 부재는 상기 연결 부재의 소정 영역에 연장 형성되고 그 단부의 내측벽에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연장 파이프; 및 일단부에는 상기 가이드 홈에 대응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일단부의 반대 방향인 타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외부 힘이 작용되는 개폐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음료수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몸체의 주입구의 인접 영역에는 상기 음료가 이동되도록 상기 튜브 몸체의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되, 소정 영역을 관통하는 걸림홈이 구비되는 고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음료수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에는 상기 연결 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 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음료수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배출구의 동심원 상에 부착되는 탄성 링과, 상기 탄성 링에 끼워지는 탄성 마개로 구비되되, 상기 탄성 마개의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에 상기 연결 부재의 단부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음료수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와 음료 흡입 부재는 중공형의 파이프 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음료수 용기.
KR1020140093156A 2014-07-23 2014-07-23 튜브형 음료수 용기 KR101599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156A KR101599414B1 (ko) 2014-07-23 2014-07-23 튜브형 음료수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156A KR101599414B1 (ko) 2014-07-23 2014-07-23 튜브형 음료수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895A true KR20160011895A (ko) 2016-02-02
KR101599414B1 KR101599414B1 (ko) 2016-03-03

Family

ID=55354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3156A KR101599414B1 (ko) 2014-07-23 2014-07-23 튜브형 음료수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94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5165A (ko) * 2021-02-10 2022-08-17 홍수완 물통 수납 옷깃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292B1 (ko) 2017-11-03 2019-11-04 권태연 음료 햅틱 팔찌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948Y1 (ko) 2003-07-02 2004-02-27 전숙자 베개로 사용가능한 음료수 용기
KR200420858Y1 (ko) * 2006-04-25 2006-07-06 구재용 목에 착용 가능한 음료수 용기.
KR20140041657A (ko) 2014-03-12 2014-04-04 고다은 튜브형 구명 장신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948Y1 (ko) 2003-07-02 2004-02-27 전숙자 베개로 사용가능한 음료수 용기
KR200420858Y1 (ko) * 2006-04-25 2006-07-06 구재용 목에 착용 가능한 음료수 용기.
KR20140041657A (ko) 2014-03-12 2014-04-04 고다은 튜브형 구명 장신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5165A (ko) * 2021-02-10 2022-08-17 홍수완 물통 수납 옷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9414B1 (ko) 201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50802A1 (en) Squeezable holder for a container
US6073796A (en) Insulated bottle structure
US20120323221A1 (en) Adapter Cap and Nasal Washing System Using the Cap
US20170354120A1 (en) Outdoor pet drinking apparatus
US10214330B2 (en) Fluid container with axis straw
US20110024311A1 (en) Liquid container with storage compartment
KR200487631Y1 (ko) 스포이드형 이액 혼합용기
US9179724B1 (en) Beverage dispensing headwear
US20170008670A1 (en) Foldable silicone cup
KR101599414B1 (ko) 튜브형 음료수 용기
US20130008914A1 (en) Portable hand-held liquid container
KR102370414B1 (ko) 촉감 손잡이가 구비된 유아용 젖병 커버
US9565923B2 (en) Water bottle
CN203555299U (zh) 一种可存放药液的头套
KR20140090827A (ko) 투약 타이머가 구비된 음료보관장치
GB2515269B (en) Water bottle
KR101924513B1 (ko) 연속 수유가 가능한 보조수유통을 갖는 젖병
CN206390520U (zh) 具有硅胶头的眼霜软管
CN208974666U (zh) 一种奶瓶
CN204766594U (zh) 抛弃式奶瓶
US20210353036A1 (en) Resilient container holder
KR200168524Y1 (ko) 배낭용 물통
KR101802072B1 (ko) 오프너 기능이 구비된 물병걸이
WO2013128166A1 (en) Wrist container for drinks
KR200269545Y1 (ko) 걸고리가 형성된 피트병 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