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4270B1 - 자가 팽창 기능을 갖는 비상용 튜브 - Google Patents

자가 팽창 기능을 갖는 비상용 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4270B1
KR101524270B1 KR1020140168542A KR20140168542A KR101524270B1 KR 101524270 B1 KR101524270 B1 KR 101524270B1 KR 1020140168542 A KR1020140168542 A KR 1020140168542A KR 20140168542 A KR20140168542 A KR 20140168542A KR 101524270 B1 KR101524270 B1 KR 101524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outer skin
reactant
container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8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준
강판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모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모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모아이
Priority to KR1020140168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42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4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4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3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attachable to body member, e.g. arm, neck, head or wai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2009/0023Particular features common to inflatable life-saving equipment
    • B63C2009/0029Inflation devices comprising automatic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 B63C2009/0035Inflation devices comprising automatic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activated by deployment of inflatable life-sav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3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attachable to body member, e.g. arm, neck, head or waist
    • B63C2009/131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attachable to body member, e.g. arm, neck, head or waist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ttachable to a single arm or wri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자가 팽창 기능을 갖는 비상용 튜브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팽창 기능을 갖는 비상용 튜브는 신체의 일부에 착용되어 고정하는 원통 형상의 착용부; 상기 착용부의 외부 둘레에 수축되어 접혀진 상태로 설치되고, 내부에 제 1 반응물을 수납한 외피부; 상기 외피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반응물과 혼합하여 기체를 발생하는 제 2 반응물을 수납한 용기부; 상기 용기부에 설치한 마개부; 및 상기 마개부와 연결부로 연결되고, 상기 용기부가 개방되도록 상기 마개부를 당기는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가 팽창 기능을 갖는 비상용 튜브 {emergency tube with self expansion function}
본 발명은 자가 팽창 기능을 갖는 비상용 튜브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사람의 팔이나 배에 착용되어 물에 빠진 위급 상황에서 기체를 발생시켜 튜브의 팽창에 따른 구명 장치로 동작하는 자가 팽창 기능을 갖는 비상용 튜브에 관한 것이다.
여름철 물놀이나 수중 스포츠 등 레저 스포츠를 즐기는 인구가 점차 증가함에 따라 이와 비례하여 수난사고 및 익사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들 사고 중 구명용구의 미착용으로 발생하는 익사사고의 비율이 가장 높은 실정이다.
최근 익사사고를 방지하고자 제공되고 있는 구명용구는 조끼 형태로 제조된 구명조끼가 있으며, 상기 구명조끼는 내부에 부력이 높은 스티로폼 재질의 부유물체가 내장되거나 또는 구명조끼의 내부에 튜브와 가스통이 내장되어 위급할 경우 손잡이를 잡아당겨 가스를 튜브에 주입하도록 제공되고 있다.
또한, 한국 특허등록번호 제10-0442910호(발명의 명칭: 자동 구명 튜브)에는 착용자가 물에 잠기면 자동으로 튜브 안에 가스가 주입되어 물속에서의 익사사고를 방지하는 자동 구명 튜브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 구명조끼 안에 부유물체가 내장된 구명용구를 사용하는 경우는 구명조끼의 착용시 몸이 자유롭지 못하고, 더욱이 물놀이나 수중 스포츠를 마음대로 즐기기에 어려움이 있어서, 구명조끼를 착용하지 않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또한 위급할 경우 손잡이를 잡아당겨 구명조끼 안의 튜브에 가스를 주입하는 구명용구는 내부에 기체가 주입된 용기가 설치되어 무게가 증가하고, 기체가 주입된 용기의 형상 변경이나 상기 용기에 가해지는 충격으로 인한 안전상의 위험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자동으로 가스가 주입되는 구명 튜브는 센서를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특허등록번호 제10-0442910호(발명의 명칭: 자동 구명 튜브)
본 발명은 사람의 팔이나 배에 착용되어 물에 빠진 위급 상황에서 기체를 발생시켜 튜브의 팽창에 따른 구명 장치로 동작하는 자가 팽창 기능을 갖는 비상용 튜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자가 팽창 기능을 갖는 비상용 튜브로서, 신체의 일부에 착용되어 고정하는 원통 형상의 착용부; 상기 착용부의 외부 둘레에 수축되어 접혀진 상태로 설치되고, 내부에 제 1 반응물을 수납한 외피부; 상기 외피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반응물과 혼합하여 기체를 발생하는 제 2 반응물을 수납한 용기부; 상기 용기부에 설치한 마개부; 및 상기 마개부와 연결부로 연결되고, 상기 용기부가 개방되도록 상기 마개부를 당기는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착용부는 신축 가능한 고무밴드 또는 양끝을 서로 연결하는 임의의 체결수단을 갖는 벨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외피부는 내부에 기체가 없이 접혀진 상태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외피부는 수축되어 접혀진 상태의 제 1 외피부 몸체와 제 2 외피부 몸체를 구비하는 외피부 몸체; 상기 접혀진 제 1 및 제 2 외피부 몸체의 말단이 밀착되도록 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외피부 몸체가 서로 팽창하면 상기 외피부 몸체의 부피가 증가되도록 탈락하는 접착부; 및 상기 외피부 몸체에 수납한 제 1 반응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 1 반응물은 염기성의 분말이고, 제 2 반응물은 산성의 액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반응물은 탄산수소 나트륨으로 구성되고, 제 2 반응물은 아세트산, 식초, 시트르산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마개부는 제 1 마개부; 및 내측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마개부가 억지끼움 결합되면, 용기부의 내측면으로 확장하여 상기 용기부와 제 1 마개부의 기밀성이 증가되도록 하는 제 2 마개부를 갖는 이중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 1 마개부는 제 1 마개부 몸체; 및 상기 제 1 마개부 몸체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고, 상기 제 2 마개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억지끼움 결합을 통해 상기 제 2 마개부가 확장되도록 가압하는 제 1 마개부 가압돌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 2 마개부는 삽입된 제 1 마개부가 분리되지 않도록 걸림턱을 형성한 제 2 마개부 몸체; 및 상기 제 2 마개부 몸체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마개부가 삽입되면 확장되어 제 2 마개부가 상기 용기부의 내측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복수의 제 2 마개부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마개부는 제 1 마개부가 인출되면, 제 2 마개부가 함께 분리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연결부는 일측이 상기 마개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외피부의 내측면에 접합한 제 1 연결부; 및 일측이 상기 외피부의 외부면에 접합되고, 타측이 손잡이부에 연결한 제 2 연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사람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어 기체 발생에 따른 튜브의 자가 팽창을 통해 구명 장치로 동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 팽창 기능을 갖는 비상용 튜브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 팽창 기능을 갖는 비상용 튜브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 팽창 기능을 갖는 비상용 튜브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 팽창 기능을 갖는 비상용 튜브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 팽창 기능을 갖는 비상용 튜브의 마개부 분리과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 팽창 기능을 갖는 비상용 튜브의 마개부 결합 과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 팽창 기능을 갖는 비상용 튜브에서 용기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 팽창 기능을 갖는 비상용 튜브에서 용기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 팽창 기능을 갖는 비상용 튜브에서 용기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 팽창 기능을 갖는 비상용 튜브의 팽창과정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 팽창 기능을 갖는 비상용 튜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따른 자가 팽창 기능을 갖는 비상용 튜브의 팽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
도 13은 도 11에 따른 자가 팽창 기능을 갖는 비상용 튜브의 착용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가 팽창 기능을 갖는 비상용 튜브의 착용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수단", "~부", "~모듈", "~블록"으로 명명된 구성요소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들 각각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자가 팽창 기능을 갖는 비상용 튜브가 구현된 일 예를 특정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 팽창 기능을 갖는 비상용 튜브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 팽창 기능을 갖는 비상용 튜브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 팽창 기능을 갖는 비상용 튜브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 팽창 기능을 갖는 비상용 튜브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 팽창 기능을 갖는 비상용 튜브의 마개부 분리과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 팽창 기능을 갖는 비상용 튜브의 마개부 결합 과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며,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가 팽창 기능을 갖는 비상용 튜브(100)는 착용부(110)와, 외피부(120)와, 용기부(130)와, 마개부(140)와, 손잡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착용부(110)는 비상용 튜브(100)가 신체의 일부에 착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원통 형상의 구성으로서, 원통 형상이 일체로 형성된 신축 가능한 고무밴드이거나 또는 양끝을 서로 연결하는 벨크로, 버클 등의 체결수단(미도시)이 설치된 길이 조절이 가능한 벨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신체의 크기에 따라 원통 형상의 착용부(110) 크기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외피부(120)는 내부에 기체가 없는 상태로 착용부(110)의 외부 둘레에 수축되어 여러 겹으로 접혀져 설치되고, 외피부 몸체(121)와, 접착부(122)와, 제 1 반응물(1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외피부 몸체(121)는 착용부(110)의 외부면 둘레를 따라 수축되어 접혀진 상태로서, 제 1 외피부 몸체(121a)와 제 2 외피부 몸체(121b)로 구성되고, PVC 또는 폴리에틸렌 등의 신축성 있는 소재로 구성된다.
즉 상기 외피부 몸체(121)는 내부에 기체가 없는 상태로 접혀짐으로써, 상기 외피부 몸체(121)가 최소한의 부피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착용감이 개선될 수 있도록 하고, 비상시에 내부에 기체가 발생하면 일정 크기로 부피가 팽창하여 구명 튜브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접착부(122)는 접혀진 제 1 및 제 2 외피부 몸체(121a, 121b)의 말단이 밀착되도록 접착하여 사용자가 비상용 튜브(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접혀진 상기 제 1 및 제 2 외피부 몸체(121a, 121b)가 서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의 동작이 불편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 외피부 몸체(121a, 121b)의 말단을 고주파 접착하거나 또는 접착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접착한다.
또한, 상기 접착부(122)는 비상시에 외피부 몸체(121)에 기체가 발생하여 접혀진 제 1 및 제 2 외피부 몸체(121a, 121b)가 서로 팽창하면 탈락하여 상기 외피부 몸체(121)의 부피가 증가되도록 한다.
상기 제 1 반응물(123)은 외피부 몸체(121)에 수납된 염기성의 분말로서, 바람직하게는 탄산수소나트륨(일명, 베이킹 소다)으로 구성되며, 용기부(130)에 내재된 제 2 반응물(131)과 반응하여 기체가 발생되도록 한다.
상기 용기부(130)는 외피부(121)의 내부에 설치되고, 외피부(120)에 수납된 제 1 반응물과 혼합하여 기체를 발생하는 제 2 반응물(131)이 내재된다.
또한, 상기 용기부(130)는 일정 형상을 갖는 별도의 용기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외피부(121)의 내측에 격벽을 통해 구획되는 일정 크기의 수납 공간을 형성하여 제 2 반응물(131)이 수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 2 반응물(131)은 용기부(130)에 수용된 산성의 액체로서, 바람직하게는 아세트산, 식초, 시트르산 등의 약산성 액체로 구성되고, 외피부(120)에 내재된 제 1 반응물(123)과 혼합하여 상기 외피부(120)의 내부에 기체가 발생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염기성 분말과 산성 액체를 탄산수소나트륨과 아세트산, 식초, 시트르산 등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기체를 발생시키는 물질들은 화학적으로 널리 알려진 물질들로 변경 실시할 수도 있으며, 비상용 튜브의 제작 의도에 따라 분말이나 액상 대신 고체 상태의 다양한 물질들이 선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산소를 발생시키고자 할 경우 과산화수소수와 이산화망간이 혼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질소를 발생시키고자 할 경우 아지드화나트륨과 산화철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마개부(140)는 용기부(130)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부(130)에 내재된 제 2 반응물(131)이 외피부(120)의 내측으로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제 1 마개부(141)와, 내측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마개부(141)가 억지끼움 결합되면, 용기부(130)의 내측면으로 확장하여 상기 용기부(130)와 제 1 마개부(141)의 기밀성이 증가되도록 하는 제 2 마개부(142)를 형성한 이중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마개부(141)는 용기부(130)에 내재된 제 2 반응물(131)이 상기 용기부(130)의 외부로 흘러나오지 않도록 막는 구성으로서, 제 1 마개부 몸체(141a)와, 제 1 마개부 가압돌기(141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 마개부 몸체(141a)는 하단에 용기부(130)의 입구를 막을 수 있도록 판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마개부 가압돌기(141b)는 제 1 마개부 몸체(141a)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고, 말단에 제 2 마개부(142)의 내측을 가압하는 플랜지를 형성한 부재로서, 제 2 마개부(142)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 2 마개부(142)와 억지끼움 결합을 통해 상기 제 2 마개부(142)가 용기부(130)의 내측으로 확장되도록 한다.
상기 제 2 마개부(142)는 용기부(130)에 내재된 제 2 반응물(131)이 상기 용기부(130)의 외부로 흘러나오지 않도록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보조 마개로서, 제 2 마개부 몸체(142a)와, 제 2 마개부 걸림돌기(142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2 마개부 몸체(142a)는 내측으로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내측에는 상기 제 2 마개부 몸체(142a)의 내측으로 삽입된 제 1 마개부(141)의 제 1 마개부 가압돌기(141b)와 치합하여 상기 제 2 마개부 몸체(142a)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142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마개부 몸체(142a)는 걸림턱(142a')을 통해 제 1 마개부 가압돌기(141b)와 치합하여 제 1 마개부(141)를 인출할 경우 제 2 마개부(142)도 함께 인출되도록 한다.
상기 제 2 마개부 걸림돌기(142b)는 제 2 마개부 몸체(142a)의 상단에 다수 설치되고, 상기 제 1 마개부(141)의 제 1 마개부 가압돌기(141b)가 삽입되면 반경방향 외측으로 벌어져서 제 2 마개부(142)가 용기부(130)의 내측에 고정되도록 하여 용기부(130)와 마개부(140) 사이의 기밀점(143)이 향상되도록 한다.
즉 제 1 마개부 몸체(141a)와 제 2 마개부 몸체(142a) 사이의 제 1 기밀점(143a)과, 제 2 마개부 몸체(142a)와 용기부(130) 사이의 제 2 기밀점(143b)과, 제 1 마개부 가압돌기(141b)와 제 2 마개부 걸림돌기(142b) 사이의 제 3 기밀점(143c) 등을 통해 용기부(130)와 마개부(140) 사이의 기밀점(143)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손잡이부(150)는 사용자가 용기부(130)를 개방시키기 위해 마개부(140)를 잡아당기는 구성으로서, 끈 형태인 연결부(151)와 접합부(152)를 통해 외피부(120)와 상기 마개부(140)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151)는 일측이 제 1 외피부 몸체(121a)의 내측과 연결되고, 타측이 제 1 마개부(141)에 연결되는 제 1 연결부(151a)와, 일측이 제 1 외피부 몸체(121b)의 외측과 연결되고, 타측이 손잡이부(150)에 연결되는 제 2 연결부(151b)로 이루어지고, 마개부(140)와 손잡이부(150)를 연결하기 위해 외피부(120)를 관통하여 설치되지 않는다.
상기 접합부(152)는 제 1 연결부(151a)가 제 1 외피부 몸체(121a)의 내측에 접합되도록 하는 제 1 접합부(152a)와, 제 2 연결부(151b)가 제 1 외피부 몸체(121a)의 외측에 접합되도록 하는 제 2 접합부(152b)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접합부(152)는 상기 제 1 외피부 몸체(121a)를 중심으로 양쪽 대칭방향에 설치될 수도 있고, 도 5와 같이, 제 1 외피부 몸체(121a)를 접어 접힘부(121a')가 발생되도록 하여 제 1 접합부(152a)와 제 2 접합부(152b)가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용기부(130)의 하단에 설치된 마개부(140)가 연결부(151)를 통해 결합된 손잡이부(15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용기부(130)에서 분리되도록 구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7(a)와 같이, 용기부(130a)를 관통하여 링크부(153)가 설치되고, 상기 링크부(153)의 일측은 마개부(140a)와 연결되며, 상기 링크부(153)의 타측은 용기부(130a)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손잡이부(150a)와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도 7(b)와 같이 손잡이부(150a)를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가압하면 링크부(153)에 연결된 마개부(140a)가 용기부(130)의 하단으로 분리되어 내재된 제 2 반응물이 흘러나옴으로써, 제 1 반응물과 혼합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8과 같이 용기부(130b)의 하단에 단일 형상의 마개부(140b)를 설치하여 용기부(130b)에 내재된 제 2 반응물이 흘러나오지 않도록 밀봉할 수도 있다.
또한, 도 9와 같이 용기부(130c)에 별도의 마개부를 설치하지 않고, 용기부(130c)의 측벽에 일정 경로를 따라 탈락되도록 분리부(132)를 설치하며, 상기 분리부(132)는 연결부(151)를 통해 손잡이부(150)와 연결함으로써, 상기 손잡이부(150)의 이동에 따라 상기 분리부(132)가 용기부(130c)의 측벽에서 분리되어 내재된 제 2 반응물이 상기 용기부(130c)에서 흘러나와 제 1 반응물과 혼합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 팽창 기능을 갖는 비상용 튜브의 팽창과정을 설명하는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자가 팽창 기능을 갖는 비상용 튜브의 동작 과정을 도 1 내지 도 6과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200)가 신체의 일부 예를 들면, 팔, 손목, 허리 등에 비상용 튜브(100, 100', 100")를 착용한다.
이후 사용자가 손잡이부(150)를 잡아당기면, 제 2 연결부(151b)와 접합된 제 1 외피부 몸체(121a)가 당겨지고, 상기 제 1 외피부 몸체(121b)의 내측에 접합된 제 1 연결부(151a)도 함께 당겨져 마개부(140)가 용기부(130)에서 분리되어 상기 용기부(130)를 개방시킨다.
이때, 상기 마개부(140)는 제 1 연결부(151a)와 연결된 제 1 마개부(141)가 분리를 위해 이동하면 제 2 마개부(142)의 걸림턱(142a')과 치합하여 상기 제 2 마개부(142)도 함께 분리된다.
상기 마개부(140)가 분리되어 용기부(130)가 개방되면, 상기 용기부(130)에 내재된 액상의 제 2 반응물(131)이 제 1 외피부 몸체(121a)의 내부로 흘러 내려 상기 제 1 외피부 몸체(121a)에 내재된 분말 형태의 제 1 반응물(123)과 혼합하여 화학반응을 통해 기체가 발생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반응물(123, 131)의 반응으로 발생된 기체는 제 1 외피부 몸체(121a)와 제 2 외피부 몸체(121b)의 내부로 확산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외피부 몸체(121a, 121b)는 서로 팽창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외피부 몸체(121a, 121b)의 팽창력으로 인해 상기 제 1 및 제 2 외피부 몸체(121a, 121b)가 일정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하는 접착부(122)가 탈락하여 외피부(120)의 전체적인 부피가 더욱 증가되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외피부(120)를 착용부(110)의 둘레를 따라 설치한 구성을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상용 튜브(100')의 착용부(110) 일측에 다수겹으로 접은 외피부(120')를 설치하고, 상기 외피부(120')의 내부에는 용기부(130)와 마개부(140)와 손잡이부(150)를 설치하여 비상용 튜브(100')의 팽창시에 착용부(110)의 일측에서 외피부(120')가 수직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사람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어 기체 발생에 따른 튜브의 자가 팽창을 통해 구명 장치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도 11에 예시된 자가 팽창 기능을 갖는 비상용 튜브(100')는 착용부(110)가 팔이나 다리 등을 감싸도록 착용하되, 외피부(120')가 바깥을 향하도록 착용할 수 있다.
도 13의 (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착용한 상태에서, 손잡이부(120)를 잡아당기는 것에 의하여 도 13의 (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팽창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4는 상용 튜브(100')의 또 다른 착용 방식을 예시한다. 도 14의 예에서 착용부(110')는 밴드의 형상이 아니라, 목걸이의 형상을 갖는다.
사용자는 도 14의 (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목걸이 형태로 목에 걸어 착용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손잡이부(150)을 잡아당기는 것에 의하여, 도 14의 (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팽창시킬 수 있다.
이상 몇 가지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00 : 비상용 튜브 110 : 착용부
120 : 외피부 121 : 외피부 몸체
121a : 제 1 외피부 몸체 121a' : 접힘부
121b : 제 2 외피부 몸체 122 : 접착부
123 : 제 1 반응물 130 : 용기부
131 : 제 2 반응물 140 : 마개부
141 : 제 1 마개부 141a : 제 1 마개부 몸체
141b : 제 1 마개부 가압돌기 142 : 제 2 마개부
142a : 제 2 마개부 몸체 142a' : 걸림턱
142b : 제 2 마개부 걸림돌기 143 : 기밀점
143a : 제 1 기밀점 143b : 제 2 기밀점
143c : 제 3 기밀점 150 : 손잡이부
151 : 연결부 151a : 제 1 연결부
151b : 제 2 연결부 152 : 접합부
152a : 제 1 접합부 152b : 제 2 접합부

Claims (11)

  1. 신체의 일부에 착용되는 착용부(110);
    상기 착용부(110)의 외부 둘레에 수축되어 접혀진 상태로 설치되고, 내부에 제 1 반응물(123)을 수납한 외피부(120);
    상기 외피부(121)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반응물과 혼합하여 기체를 발생하는 제 2 반응물(131)을 수납한 용기부(130);
    상기 용기부(130)에 설치한 마개부(140); 및
    상기 마개부(140)와 연결부(151)로 연결되고, 상기 용기부(130)가 개방되도록 상기 마개부(140)를 당기는 손잡이부(150)를 구비하되,
    상기 외피부(120)는 수축되어 접혀진 상태의 제 1 외피부 몸체(121a)와 제 2 외피부 몸체(121b)를 구비하는 외피부 몸체(121);
    상기 접혀진 제 1 및 제 2 외피부 몸체(121a, 121b)의 말단이 밀착되도록 접착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외피부 몸체(121a, 121b)가 서로 팽창하면 상기 외피부 몸체(121)의 부피가 증가되도록 탈락하는 접착부(122); 및
    상기 외피부 몸체(121)에 수납한 제 1 반응물(123);을 포함하는 자가 팽창 기능을 갖는 비상용 튜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110)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신축 가능한 고무밴드 또는 양끝을 서로 연결하는 임의의 체결수단을 갖는 벨트 중 어느 하나인 자가 팽창 기능을 갖는 비상용 튜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부(120)는 내부에 기체가 없이 접혀진 상태로 설치한 자가 팽창 기능을 갖는 비상용 튜브.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응물(123)은 염기성의 분말이고, 제 2 반응물(131)은 산성의 액체인 자가 팽창 기능을 갖는 비상용 튜브.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응물(123)은 탄산수소 나트륨이고, 제 2 반응물(131)은 아세트산, 식초, 시트르산 중 어느 하나인 자가 팽창 기능을 갖는 비상용 튜브.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140)는 제 1 마개부(141); 및
    내측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마개부(141)가 억지끼움 결합되면, 용기부(130)의 내측면으로 확장하여 상기 용기부(130)와 제 1 마개부(141)의 기밀성이 증가되도록 하는 제 2 마개부(142)를 갖는 이중 구조인 자가 팽창 기능을 갖는 비상용 튜브.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마개부(141)는 제 1 마개부 몸체(141a); 및
    상기 제 1 마개부 몸체(141a)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고, 상기 제 2 마개부(142)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억지끼움 결합을 통해 상기 제 2 마개부(142)가 확장되도록 가압하는 제 1 마개부 가압돌기(141b)를 포함하는 자가 팽창 기능을 갖는 비상용 튜브.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마개부(142)는 삽입된 제 1 마개부(141)가 분리되지 않도록 걸림턱(142a')을 형성한 제 2 마개부 몸체(142a); 및
    상기 제 2 마개부 몸체(142a)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마개부(141)가 삽입되면 확장되어 제 2 마개부(142)가 상기 용기부(130)의 내측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복수의 제 2 마개부 걸림돌기(142b)를 갖는 자가 팽창 기능을 갖는 비상용 튜브.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140)는 제 1 마개부(141)가 인출되면, 제 2 마개부(142)가 함께 분리되도록 하는 자가 팽창 기능을 갖는 비상용 튜브.
  11. 신체의 일부에 착용되는 착용부(110);
    상기 착용부(110)의 외부 둘레에 수축되어 접혀진 상태로 설치되고, 내부에 제 1 반응물(123)을 수납한 외피부(120);
    상기 외피부(121)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반응물과 혼합하여 기체를 발생하는 제 2 반응물(131)을 수납한 용기부(130);
    상기 용기부(130)에 설치한 마개부(140); 및
    상기 마개부(140)와 연결부(151)로 연결되고, 상기 용기부(130)가 개방되도록 상기 마개부(140)를 당기는 손잡이부(150)를 구비하되,
    상기 연결부(151)는 일측이 상기 마개부(140)와 연결되고, 타측이 외피부(120)의 내측면에 접합한 제 1 연결부(151a); 및
    일측이 상기 외피부(120)의 외부면에 접합되고, 타측이 손잡이부(150)에 연결한 제 2 연결부(151b)를 포함하는 자가 팽창 기능을 갖는 비상용 튜브.
KR1020140168542A 2014-11-28 2014-11-28 자가 팽창 기능을 갖는 비상용 튜브 KR101524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542A KR101524270B1 (ko) 2014-11-28 2014-11-28 자가 팽창 기능을 갖는 비상용 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542A KR101524270B1 (ko) 2014-11-28 2014-11-28 자가 팽창 기능을 갖는 비상용 튜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4270B1 true KR101524270B1 (ko) 2015-05-28

Family

ID=53395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8542A KR101524270B1 (ko) 2014-11-28 2014-11-28 자가 팽창 기능을 갖는 비상용 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42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02883A1 (de) * 2020-06-29 2022-01-06 Uwe Mettang Schwimmrettungsvorrichtung, schwimmrettungskit und aufblaseinrichtung fuer eine schwimmrettungsvorrichtu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7986A (ja) * 2000-10-25 2002-05-09 Aqua Network Japan:Kk 首着膨脹式救命胴衣
JP3824714B2 (ja) * 1996-07-16 2006-09-20 株式会社三幸化成 栓構造
KR101230659B1 (ko) * 2010-08-27 2013-02-06 (주)이화바이오메딕스 가스팽창식 안전튜브
KR20140130839A (ko) * 2013-05-02 2014-11-12 김민수 자동 구명튜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24714B2 (ja) * 1996-07-16 2006-09-20 株式会社三幸化成 栓構造
JP2002127986A (ja) * 2000-10-25 2002-05-09 Aqua Network Japan:Kk 首着膨脹式救命胴衣
KR101230659B1 (ko) * 2010-08-27 2013-02-06 (주)이화바이오메딕스 가스팽창식 안전튜브
KR20140130839A (ko) * 2013-05-02 2014-11-12 김민수 자동 구명튜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02883A1 (de) * 2020-06-29 2022-01-06 Uwe Mettang Schwimmrettungsvorrichtung, schwimmrettungskit und aufblaseinrichtung fuer eine schwimmrettungsvorrichtu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4751B2 (en) Inflatable personal bodywear flotation device
US20030236040A1 (en) Apparatus to be worn as a necklace around the neck of a small child, which, when submerged in water, will inflate an float the child's head above water
CN106477005B (zh) 救生装置及救生手环
KR101524270B1 (ko) 자가 팽창 기능을 갖는 비상용 튜브
CN203975190U (zh) 救生腕带以及气体发生器
AU2008101075B4 (en) Flotation aid
KR20090055280A (ko) 개인용 구명 장치
KR101230659B1 (ko) 가스팽창식 안전튜브
KR20140002679U (ko) 휴대용 자동 팽창식 구명환 어셈블리
CN105346691B (zh) 一种游泳救生工具
US10549827B2 (en) Life vest
KR200482789Y1 (ko) 구명튜브 겸용 방수가방
KR20140041657A (ko) 튜브형 구명 장신구
CN207389503U (zh) 一种防溺水应急救生装置
US2149616A (en) Life preserver
CN208559719U (zh) 一种涉水触发报警充气救生包
CN2936920Y (zh) 游泳救生球
US11623717B2 (en) Emergency flotation device with chemical reaction chamber
CN104943834A (zh) 一种随身水中自救腕(臂)带
US20160229501A1 (en) Lifesaving bag
KR101773844B1 (ko) 소화기가 탑재된 인명구조용 케이스 수납 및 호환형 가방 겸용 구호복
JP2017144846A (ja) ペンダント型救命具
KR20050081843A (ko) 팽창가능한 안전장치
KR200292609Y1 (ko) 구명벨트
KR20180063476A (ko) 위급한 상황 시 튜브가 나오는 방수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