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1011A - 한 손으로 뚜껑을 개방할 수 있는 식품 보관용 용기 - Google Patents

한 손으로 뚜껑을 개방할 수 있는 식품 보관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1011A
KR20140041011A KR1020120107802A KR20120107802A KR20140041011A KR 20140041011 A KR20140041011 A KR 20140041011A KR 1020120107802 A KR1020120107802 A KR 1020120107802A KR 20120107802 A KR20120107802 A KR 20120107802A KR 20140041011 A KR20140041011 A KR 20140041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dispenser
container body
opened
h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7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6118B1 (ko
Inventor
김강철
Original Assignee
(주)아이디플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디플라텍 filed Critical (주)아이디플라텍
Priority to KR1020120107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6118B1/ko
Publication of KR20140041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1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16Devices preventing loss of removable closur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6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 B65D2543/0007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 B65D2543/00092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circ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sweets or like confectionery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개의 껌을 보관하면서 낱개로 빼내어 먹을 수 있는 껌통에 관한 것으로, 껌을 보관하기 위하여 상부가 개구되어진 용기본체의 외주면을 관체로 이루어지는 덮개체로 덮고, 그 덮개체의 상부에 뚜껑이 절첩되게 일체로 형성하여 관체로 형성되는 덮개체를 하강시키면 용기본체의 상단이 뚜껑의 하단을 가압하면서 상부로 들어올려 뚜껑이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케이싱 자체의 구조가 뚜껑을 개방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껌통의 덮개체를 잡고 한 손으로 간편하게 뚜껑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한 손으로 뚜껑을 개방할 수 있는 식품 보관용 디스펜서{dispenser for foods openable using one hand}
본 발명은 캔디나 껌 등을 보관하는 식품 보관용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뚜껑의 개방구조가 식품을 보관하는 케이싱의 구조와 연동되게 이루어져 사용자가 뚜껑을 잡고 개방할 필요없이 케이스를 잡고 한 손으로 간단하게 뚜껑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캔디나 껌 등의 식품은 기호식품으로써 개인 치아의 위생과 건강 및 입냄새 제거 등을 위하여 먹게 되는 것으로, 최근에는 이러한 식품의 종류가 다양화되고 각종 기능성 캔디나 껌이 출현함에 따라 포장용기도 점차 고급화되어지고, 이에 따라 캔디나 껌과 같은 고형의 식품을 보관하기 위해서 플라스틱 소재의 원통 형상의 용기로 이루어지는 디스펜서가 주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디스펜서는 내공간을 갖는 원통형의 용기본체와 그 용기본체의 상단부에 뚜껑이 형성되어 뚜껑이 절첩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되는 것으로, 뚜껑을 개방하여 캔디나 껌을 인출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용기본체를 잡은 후 다른 한 손으로 뚜껑을 잡고 개방하여야 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것의 문제가 반드시 두 손을 모두 사용하여야 뚜껑을 개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작업중이거나 기타 다른 행동을 하는 경우에 손을 사용하고 있으면 그동안 식품을 빼낼 수 없다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식품 보관을 위한 휴대용 디스펜서는 주로 차 안에 비치하여 운전자가 졸릴 경우에 졸음을 쫓기 위하여 사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렇게 운전 중인 경우 두 개의 손을 모두 사용할 수 없으므로 디스펜서를 개방하기가 매우 어려워 사용상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대부분 경우 디스펜서를 운전대 앞으로 가져온 후 운전대와 디스펜서를 함께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뚜껑을 개방하게 되는데, 이렇게 디스펜서를 개방하는 중에 돌발상황이 발생하면 신속한 대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뚜껑을 개방하려는 힘에 의하여 자칫 핸들이 돌아가게 되는 등 여러 가지 교통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요인이 되므로 매우 위험한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44439호(2012.05.02)
따라서 본 발명은 케이싱 자체의 구조가 뚜껑을 개방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두 손을 사용할 필요없이 한 손으로 간편하게 뚜껑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뚜껑의 개방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제작됨에도 불구하고 그 조립구성이 소수의 부품만으로 간단하게 조립하여 제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케이싱의 구조가 껌이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구되어진 용기본체와 그 용기본체를 덮기 위한 덮개체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그 덮개체의 상부에는 절첩연결부로 연결되어진 뚜껑을 일체로 형성하면서 덮개체가 용기본체에 장착된 상태로 승하강 작동되도록 하여 덮개체를 하측으로 하강시키면 뚜껑이 용기본체의 상단 테두리에 의하여 들어올려지면서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용기본체와 덮개체의 슬라이드 작동구조가 걸림구가 걸림턱에 걸려 고정되도록 하면서 스토퍼돌기에 의하여 덮개체의 슬라이드 작동범위를 제한하도록 하면서 안정적으로 승,하강 작동되도록 하고, 또한 용기본체와 덮개체에 이탈방지돌기와 절곡부를 서로 대응되게 형성함으로써 임의적인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뚜껑의 단면 구조를 용기본체의 상단 테두리에 밀착되게 돌출부를 형성하면서 뚜껑의 개방유도를 위한 제1안내면과 제2안내면을 형성하여 뚜껑이 덮개체에서 락 해제된 후 완전한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한 손으로 디스펜서를 열거나 닫을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디스펜서의 케이스를 잡아 덮개체를 하강시켜 개방하는 구조이므로 디스펜서에 시선을 두지 않고 손 조작만으로 디스펜서를 열거나 닫을 수 있으므로 작업중이거나 운전중인 상황에서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어 위험한 상황을 발생시키지 않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디스펜서의 뚜껑을 개폐하는 구조가 용기본체와 덮개체가 슬라이드 작동하면서 개폐되는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용기본체와 덮개체가 상호 걸림되는 구조에 의하여 기밀유지가 되어 방수, 방습 기능을 갖도록 됨으로써 제품이 변질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디스펜서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디스펜서의 뚜껑 개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디스펜서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디스펜서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덮개체와 뚜껑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뚜껑 개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디스펜서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디스펜서 뚜껑이 개방된 상태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디스펜서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껌이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구되어진 용기본체(10)의 외주면에 덮개체(20)를 끼워 조립하면서 덮개체(20)의 상부로는 뚜껑(30)을 형성하여 덮개체(20)를 하강시키면 용기본체(10)가 덮개체(20)의 상측으로 돌출되면서 뚜껑(30)을 강제로 개방시킴으로써 덮개체(20)의 하강에 따라 뚜껑(30)이 자동 개방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용기본체(10)는 내공간(11)을 갖도록 형성되는 벽체(12)를 형성하여 그 외측에 덮개체(20)를 끼워 조립하고, 상기 덮개체(20)는 상,하 관통되게 관통홀(21)을 형성하여 관체의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용기본체(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조립한 상태에서 덮개체(20)를 상,하로 승,하강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사용자가 디스펜서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 두 손을 모두 사용할 필요없이 덮개체(20)를 잡고 하측으로 눌러 덮개체(20)를 하강시키면 뚜껑(30)이 자동으로 개방되어 한 손으로 디스펜서를 열 수 있게 되는 것이고, 뚜껑(30)을 닫고자 하는 경우에도 뚜껑(30)을 잡고 닫으면 덮개체(20)가 상측으로 슬라이드 작동되어 딸려 올라오면서 뚜껑(30)을 간편하게 닫아 껌을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디스펜서의 뚜껑 개폐가 간단하므로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디스펜서에 시선을 두지 않고 손 조작만으로 디스펜서를 열거나 닫을 수 있게 되어 다른 작업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껌 인출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뚜껑(30)은 절첩연결부(31)에 의하여 덮개체(20)로 일체로 형성하여 절첩작동이 이루어지게 하고, 뚜껑(30)의 하단에는 용기본체(10)의 벽체(12) 내면의 직경보가 미세하게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가압날개(32)를 형성하여 뚜껑(30)을 닫으면 가압날개(32)가 벽체(12)의 내면에 밀착되면서 뚜껑(30)이 임의로 개방되지 않고 임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덮개체(20)가 상,하 슬라이딩 작동되는 구조로 형성함에 있어서, 도 3 및 도 4와 같이 용기본체(10)와 덮개체(20)에 각각 걸림턱(13)과 걸림구(23)가 서로 대응되게 형성하면 덮개체(20)가 승하강 작동될 때 걸림구(23)가 걸림턱(13)에 걸려 작동체(20)의 승,하강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이때 상기 걸림턱(13)의 하측으로는 스토퍼돌기(14)를 형성하면 덮개체(20)를 이용하여 뚜껑(30)을 개방할 때 덮개체(20)의 하강 작동을 멈추게 하면서 덮개체(20)가 상,하 슬라이드 작동되는 작동구간을 제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덮개체(20)를 하강시키면 걸림구(23)가 걸림턱(13)을 넘어 하측으로 내려가게 되면서 뚜껑(30)이 개방되는 것이고, 걸림구(23)가 스토퍼돌기(14)에 걸려 고정되면서 덮개체(20)의 하강을 중지시켜 덮개체(20)가 용기본체(10)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걸림구(23)와 걸림턱(13)은 서로 걸림되어 넘어가게 되는 구조이므로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스토퍼돌기(14)는 수직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직각벽의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걸림구(23)가 스토퍼돌기(14)에 걸려 더이상 하강되지 않고 하강을 멈추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10)의 외주면에는 이탈방지돌기(15)를 형성하고, 그 이탈방지돌기(15)에 걸려 고정되도록 덮개체(20)의 하단에 절곡부(25)를 형성하면 덮개체(20)가 용기본체(10)에 끼워 조립된 상태에서 덮개체(20)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뚜껑(30)을 닫은 상태에서는 덮개체(20)의 걸림구(23)가 걸림턱(13)의 상단에 위치하여 임의로 뚜껑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는 것이고, 뚜껑(30)을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덮개체(20)를 하강시켜 걸림구(23)가 걸림턱(13)을 넘어 하강되도록 하면 걸림턱(13)과 스토퍼돌기(14)의 사이에서 걸림구(23)가 슬라이드 작동하면서 뚜껑(30)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뚜껑(30)은 덮개체(20)와 절첩연결부(31)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덮개체(20)와 절첩연결부(31)를 일체로 성형하거나, 또는 덮개체(20)와 뚜껑(30)이 연결되는 절첩연결부(31)의 구조를 조립식으로 형성하여 조립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뚜껑(30)의 절첩연결부(31)에는 용기본체(10)의 벽체(12) 상단에 밀착되게 하측으로 돌출부(33)를 형성하고, 그 돌출부(33)와 인접하게 뚜껑(30)의 개방 유도를 위하여 만곡되게 안내면(34)을 형성하면 덮개체(20)를 하강시켜 뚜껑을 개방할 때 돌출부(33)와 안내면(34)에 의하여 뚜껑(30)이 용이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되는 것이고, 이때 상기 안내면(34)은 뚜껑(30)의 1차 개방유도를 위한 제1안내면(34a)과 뚜껑(30)의 완전 개방유도를 위한 제2안내면(34b)을 형성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즉, 덮개체(20)를 하강시키면 뚜껑(30)이 함께 하강하면서 용기본체(10)의 벽체(12) 상단이 돌출부(33)를 가압하게 되어 뚜껑(30)이 용기본체(10)에 가압날개(32)에 의하여 임시고정된 상태를 해제하도록 되는 것이고, 그 상태에서 계속적으로 덮개체(20)를 하강시키면 도 6과 같이 용기본체(10)의 벽체(12) 상단이 제1안내면(34a)에 삽입되면서 뚜껑(30)의 1차 개방유도가 이루어져 일부분만 열리게 되며, 그 후 다시 계속적으로 덮개체(20)를 하강시키면 도 7과 같이 용기본체(10)의 벽체(12) 상단이 제2안내면(34b)의 만곡된 면을 따라서 밀어올리면서 뚜껑(30)이 완전히 젖혀져 완전한 개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벽체(12)는 상단부의 단면구조를 벽체(12)의 단면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하면서 만곡되는 형상으로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상술한 돌출부(33) 및 제1안내면(34a)과 제2안내면(34b)에 밀착될 때 걸림되지 않고 뚜껑(30)이 유연하게 개방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덮개체(20)는 손으로 파지를 하고 눌러 뚜껑(30)을 개방시킬 경우 손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덮개체(20)의 외면을 요철면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다단으로 내입테를 형성하여 마찰력을 부가함으로써 미끄러짐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인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고, 이러한 미끄러짐 방지를 위한 수단은 상술한 구조 이외에도 덮개체(20)의 외면어 손잡이 홈을 형성하거나 또는 그 외면에 마찰력이 높은 실리콘 등을 형성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미끄러짐 방지수단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덮개체(20)는 전방에 내입부(22)를 형성하면 뚜껑(30)을 수동으로 개방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때 뚜껑(30)의 전방에는 덮개체(20)의 내입부(22)에 의하여 개방되는 부분에 걸림요홈(35)을 형성하면 뚜껑을 개방할 때 걸림요홈(35)에 손을 걸어 간편하게 뚜껑(30)을 개방할 수 있으므로 뚜껑(30)의 수동 개방이 더욱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10: 용기본체 11: 내공간
12: 벽체 13: 걸림턱
14: 스토퍼돌기 15: 이탈방지돌기
20: 덮개체 21: 관통홀
22: 내입부 23: 걸림구
25: 절곡부
30: 뚜껑 31: 절첩연결부
32: 가압날개 33: 돌출부
34: 안내면 34a: 제1안내면
34b: 제2안내면 35: 걸림요홈

Claims (4)

  1. 껌이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구되어진 용기본체(10)에 덮개체(20)가 조립되고, 상기 덮개체(20)는 용기본체(10)의 외면을 감싸도록 조립되면서 그 상부에 절첩 작동하는 뚜껑(30)이 일체로 형성되어 덮개체(20)의 하강 작동에 의하여 용기본체(10)가 뚜껑(30)의 하단을 들어올려 뚜껑(30)의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되는 한 손으로 뚜껑을 개방할 수 있는 식품 보관용 디스펜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0)와 덮개체(20)는 각각 걸림턱(13)과 걸림구(23)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덮개체(20)의 승,하강 작동을 제어하도록 되고, 걸림턱(13)의 하측으로는 스토퍼돌기(14)가 형성되어 덮개체(20)를 이용하여 뚜껑(30)을 개방할 때 덮개체(20)의 하강 작동을 제한하면서 슬라이드 작동구간이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한 손으로 뚜껑을 개방할 수 있는 식품 보관용 디스펜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30)은 덮개체(20)와 연결되는 절첩연결부(31)에 용기본체(10)의 벽체 상단과 밀착되게 하측으로 돌출부(33)가 형성되고, 그 돌출부(33)와 인접하게 뚜껑(30)의 개방 유도를 위하여 만곡되게 안내면(3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손으로 뚜껑을 개방할 수 있는 식품 보관용 디스펜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면(34)은 뚜껑(30)의 1차 개방유도를 위한 제1안내면(34a)과 뚜껑(30)의 완전 개방유도를 위한 제2안내면(34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손으로 뚜껑을 개방할 수 있는 식품 보관용 디스펜서.
KR1020120107802A 2012-09-27 2012-09-27 한 손으로 뚜껑을 개방할 수 있는 식품 보관용 용기 KR101396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802A KR101396118B1 (ko) 2012-09-27 2012-09-27 한 손으로 뚜껑을 개방할 수 있는 식품 보관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802A KR101396118B1 (ko) 2012-09-27 2012-09-27 한 손으로 뚜껑을 개방할 수 있는 식품 보관용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1011A true KR20140041011A (ko) 2014-04-04
KR101396118B1 KR101396118B1 (ko) 2014-05-15

Family

ID=50650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7802A KR101396118B1 (ko) 2012-09-27 2012-09-27 한 손으로 뚜껑을 개방할 수 있는 식품 보관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61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36630A4 (en) * 2016-11-02 2019-11-06 CTK Co., Ltd CONTAINER HAVING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COVER
EP3847107A4 (en) * 2018-09-09 2022-06-01 NOVEMBAL USA Inc. CAPTIVE PLASTIC PLU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161B1 (ko) * 2015-05-28 2015-12-30 김장식 용기뚜껑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34256B2 (ja) 2002-04-16 2006-10-18 エム・エフ・ヴィ株式会社 容器
KR200424929Y1 (ko) 2006-04-26 2006-08-29 김강철 내용물의 추출이 용이한 포장용기
JP2009173308A (ja) * 2008-01-24 2009-08-06 Mfv Kk 容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36630A4 (en) * 2016-11-02 2019-11-06 CTK Co., Ltd CONTAINER HAVING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COVER
EP3847107A4 (en) * 2018-09-09 2022-06-01 NOVEMBAL USA Inc. CAPTIVE PLASTIC PL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6118B1 (ko) 2014-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4506B2 (en) Sealing mechanism for beverage container
EP3539409A1 (en) Cosmetics container having cap opened and closed by one-touch method
CA2793036C (en) Child resistant bulk dose dispensing unit
JP2006298449A (ja) 蓋体ロック構造
WO2020035814A1 (zh) 具有盖子的储存容器
KR20140041011A (ko) 한 손으로 뚜껑을 개방할 수 있는 식품 보관용 용기
WO2013103664A1 (en) Dispenser
JP6492674B2 (ja) 蓋付き容器
KR200404820Y1 (ko) 한개의 잠금수단으로 밀폐가 가능한 양념통
JP2011057290A (ja) 再閉鎖自在の容器蓋
KR100615946B1 (ko) 실링지 파지안내 구조를 갖는 식품포장용기용 뚜껑체
EP3118134A2 (en)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capable of controlling opening same and container provided with the apparatus
US10435210B1 (en) Scoop dock and use methods
KR20200075583A (ko) 발명의 명칭 한 손으로 뚜껑을 개방할 수 있는 식품 보관용 용기
JP6468047B2 (ja) 蓋付き容器
KR100648733B1 (ko) 음료용기 뚜껑에 구비된 마개 개방구조
JP6831265B2 (ja) 抽出キャップ
JPH04112048U (ja) 容 器
JP2009173290A (ja) 液体容器
JP3806822B2 (ja) 組合せ開口具
KR200456405Y1 (ko) 용기의 개폐구
KR20060045847A (ko) 바닥이 상승되는 화장품 용기
CN111556845A (zh) 容器设备、用于打开容器的方法和用于容器设备的拉链构件
JP5146162B2 (ja) 粒状物収納容器
KR101001203B1 (ko) 회전 가능한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