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1203B1 - 회전 가능한 손잡이 - Google Patents

회전 가능한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1203B1
KR101001203B1 KR1020080012451A KR20080012451A KR101001203B1 KR 101001203 B1 KR101001203 B1 KR 101001203B1 KR 1020080012451 A KR1020080012451 A KR 1020080012451A KR 20080012451 A KR20080012451 A KR 20080012451A KR 101001203 B1 KR101001203 B1 KR 101001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hole
button
bracket
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2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7169A (ko
Inventor
김종문
Original Assignee
킴스홀딩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스홀딩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킴스홀딩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2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1203B1/ko
Publication of KR20090087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7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1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1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1Saucepan, frying-pan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2Bowl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용 냄비에 설치되는 브라켓에 설치된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내부에는 내주면을 따라 다수의 걸림턱들과, 상기 걸림턱들의 사이로 공간부가 구비된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외부에는 둘레를 따라 상기 브라켓이 끼워지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는 둘레를 따라 걸림홈이 형성된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에 형성된 구멍에는 양측으로 끼움부가 형성된 상부캡이 끼워지며, 상기 상부캡에는 하단둘레에 돌기가 형성된 버튼이 끼워지고, 상기 돌기는 상기 끼움부를 지나 걸림홈에 걸려지며 손잡이의 회전을 구속한 상태에서 상기 버튼의 누름 동작으로 하강하며 상기 손잡이의 구속을 해지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손잡이를 제공함에 있다.
조리용 냄비, 손잡이, 버튼, 회전

Description

회전 가능한 손잡이{Grip of pot}
본 발명은 조리용 냄비에 부착되는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손잡이에 설치되는 버튼의 누름 동작으로 상기 손잡이의 몸체가 회전가능하도록 하여 조리용 냄비의 보관시 공간활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회전 가능한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냄비는 주방용 조리기구의 하나로서,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수용부를 가지는 냄비본체와, 상기 냄비본체를 덮을 수 있는 두껑으로 크게 이루어져 있으며, 또한 상기 냄비본체의 외측면에는 손잡이가 설치되어 조리 과정이나 혹은 조리 후에 냄비를 이동시켜야 할 때 유용하게 사용되어 진다.
즉,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종래 냄비는 언급한 바와 같이 음식물을 조리하기에 더 없이 유용한 고안임에는 분명하나, 냄비에 돌출되어 있는 손잡이로 인한 부피증가로 보관의 어려움을 야기시켰으며, 또한 조리를 위해 2개이상의 냄비를 동시에 사용할 경우에는 손잡이들간에 간섭이 발생함으로서 조리과정에도 많은 번거로 움을 야기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0138062 호(명칭: 냄비용손잡이의 절첩 구조)(이하 '선행기술'이라 함)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냄비본체에 부착되어 있는 브라켓에 손잡이의 지지대가 힌지 체결되게 구성하여 접철시, 상기 손잡이가 힌지를 중심으로 위로 회동하며 접철될 수 있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하지만 상기한 선행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예상된다.
우선, 접철시에는 손잡이가 위로 회동하여 냄비본체의 상면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손잡이의 간섭으로 뚜껑을 닫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단점은 냄비본체내의 음식물을 효과적으로 가열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외부 이물질이 유입되어 음식물을 오염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져왔다.
또한 상기와 같이 손잡이가 접철시 냄비본체의 상면에 위치하게 되면 조리과정에서 발생한 열이 상기 손잡이에 직접 전해지게 됨으로써 차후, 냄비의 운반과정에서 데워진 손잡이로 인한 화상의 위험성까지 내포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손잡이의 일측에 설치된 버튼의 누름 동작으로 상기 손잡이의 몸체가 브라켓을 중심으로 회전가 능하도록 하여 냄비의 보관시 공간 활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 가능한 손잡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조리용 냄비에 설치되는 브라켓에 설치된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내부에는 내주면을 따라 다수의 걸림턱들과, 상기 걸림턱들의 사이로 공간부가 구비된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외부에는 둘레를 따라 상기 브라켓이 끼워지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는 둘레를 따라 걸림홈이 형성된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에 형성된 구멍에는 양측으로 끼움부가 형성된 상부캡이 끼워지며, 상기 상부캡에는 하단둘레에 돌기가 형성된 버튼이 끼워지고, 상기 돌기는 상기 끼움부를 지나 걸림홈에 걸려지며 손잡이의 회전을 구속한 상태에서 상기 버튼의 누름 동작으로 하강하며 상기 손잡이의 구속을 해지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손잡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냄비를 사용할 때에는 상기 냄비에 설치된 브라켓에 손잡이가 고정이 되어 있음으로 냄비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상기 냄비를 보관할 때에는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 설치된 버튼을 눌러 손잡이의 몸체가 상기 브라켓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냄비의 둘레에 밀착될 수 있음으로써 상기 냄비의 보관시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회전 가능한 손잡이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회전 가능한 손잡이의 결합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회전 가능한 손잡이의 결합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회전 가능한 손잡이(10)는 조리용 냄비(50)와, 상기 손잡이(10)와 조리용 냄비(50)를 연결하는 브라켓(32)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손잡이(10)는 몸체(12)를 가진다. 상기 몸체(12)는 손잡이(10)를 편리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으로 일단이 원형형태로 제작되며, 그 내부에는 구멍(14)이 형성되고, 외부에는 원형형태의 둘레를 따라 상기 브라켓(32)이 끼워지기 위한 개구부(20)가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32)은 손잡이(10)와 조리용 냄비(50)를 연결하는 수단으로 일단에 구멍(34)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34)의 둘레에는 걸림홈(3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32)의 타단에는 구멍(38)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38)에는 볼트(52)가 끼워져 상기 냄비(50)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구멍(14)의 내부에는 둘레를 따라 다수의 걸림턱(16)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16)들의 사이사이에는 공간부(18)가 형성된다.
상기 구멍(14)에는 상부캡(28)이 결합 된 버튼(22)이 끼워진다. 상기 버튼(22)은 상기 손잡이(10)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하단 둘레에는 돌기(24a,24b)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24a,24b)는 상기 공간부(18)에 위치하는 걸림홈(36)에 끼워진다.
상기 버튼(22)과 상부캡(28)의 결합방법은 상부캡(28)의 내부에 스프링(26)을 삽입하고 버튼(22)에 형성된 돌기(24a,24b)를 상기 상부캡(28)의 양측에 형성된 끼움부(30a,30b)에 끼워 고정한다. 이때, 상기 끼움부(30a,30b)는 계단형태로 제작됨으로써 상기 돌기(24a,24b)가 끼움부(30a,30b)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버튼(22)과 상부캡(28)의 사이에는 스프링(26)을 삽입하여 버튼(22)의 누름 동작에는 돌기(24a,24b)가 하강하며 걸림홈(36)에서 빠지도록 하여 손잡이(10)가 회전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버튼(22)의 누름 해지 동작에는 상기 돌기(24a,24b)가 복귀하며 걸림홈(36)에 걸려지도록 하여 상기 손잡이(10)가 고정되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구멍(14)의 하단에는 하부캡(40)이 끼워지고, 상기 하부캡(40)에는 구멍(42)이 형성된다. 상기 구멍(42)으로는 볼트(44)가 관통하며 상기 볼트(44)는 상부캡(28)의 하단에 형성된 홈(54)에 나사식으로 체결되어 고정된다.
이하, 상기 구성들로 이루어진 회전 가능한 손잡이(10)의 동작을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손잡이(10) 몸체(12)의 일단에 설치된 버튼(22)을 누르면 상기 버튼(22)의 하단 둘레에 형성된 돌기(24a,24b)가 하강하고, 버튼(22)의 아래쪽에 밀착된 스프링(26)은 압착된다.
이후, 상기 돌기(24a,24b)가 하강하면 몸체(12)의 공간부(18)와 상기 공간부(18)에 위치하며 브라켓(32)의 구멍(34)에 형성된 걸림홈(36)에서 돌기(24a,24b)가 빠져나옴으로써 상기 몸체(12)가 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후, 상기 몸체(12)를 잡은 다음 몸체(12)를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몸체(12)가 상기 브라켓(32)을 중심으로 수평하게 회전하며 조리용 냄비(50)의 둘레에 근접하게 접혀진다.
이후, 상기 버튼(22)을 놓으면 압착된 스프링(26)에 의해서 버튼(22)이 상승하고 이에 따라 버튼(22)의 하단에 형성된 돌기(24a,24b)가 상승한다.
이후, 상기 돌기(24a,24b)가 상승하면 몸체(12)의 공간부(18)와 상기 공간부에 위치하는 걸림홈(36)으로 돌기(24a,24b)가 끼워지고 이로 인해서 손잡이(10)의 몸체(12)는 접혀진 상태로 고정되어 그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이후, 조리용 냄비(50)를 사용하기 위해 상기 손잡이(10)의 몸체(12)를 펼치고자 할 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버튼(22)을 눌러 몸체(12)를 회전가능한 상태로 만든 다음 상기 몸체(12)를 잡고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접혀있던 손잡이(10)이 몸체(12)가 펴짐으로써 간편하게 조리용 냄비(50)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손잡이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회전 가능한 손잡이의 결합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상기 도 2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회전 가능한 손잡이의 결합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회전 가능한 손잡이의 구성중 버튼을 누르는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회전 가능한 손잡이의 구성중 상기 손잡이의 몸체가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상기 도 6에서 도시한 손잡이의 몸체가 회전을 완료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회전 가능한 손잡이 12: 몸체
16: 걸림턱 18: 공간부
20: 개구부 22: 버튼
24a,24b: 돌기 26: 스프링
28: 상부캡 30a,30b: 끼움부
32: 브라켓 36: 걸림홈
40: 하부캡 50: 조리용 냄비

Claims (1)

  1. 조리용 냄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 냄비(50)에 볼트(44)로 고정 설치되며 그 일단에는 구멍(34)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34) 둘레면을 따라 걸림홈(36)이 형성된 브라켓(32)과;
    둘레를 따라 상기 브라켓(32)이 끼워지는 개구부(20)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내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걸림턱(16)들과, 상기 걸림턱(16)들 사이로 공간부(18)가 구비된 구멍(14)이 관통 형성된 몸체(12)와;
    상기 몸체(12)의 구멍(14)에 끼워지며 양측으로는 계단식으로 절곡 형성된 끼움부(30a, 30b)가 형성된 상부캡(28)과;
    상기 상부캡(28)에 스프링(26)을 사이에 두고 끼워지며 외부의 누름 동작으로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26)의 텐션력으로 복귀 동작하는 버튼(22)과;
    상기 버튼(22)의 하단 둘레면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캡(28)의 끼움부(30a, 30b)를 통과하여 상기 브라켓(32)의 구멍(14) 둘레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36)에 걸려지며 몸체(12)의 회전을 구속한 상태에서 상기 버튼(22)의 하강 동작에 따라 상기 걸림홈(36)에서 이탈하며 상기 몸체(12)의 회전 구속을 해지시키는 돌기(24a, 24b)와;
    상기 몸체(12)의 구멍(14) 하단에 끼워지며 중앙으로는 구멍(42)이 관통 형성된 하부캡(40)과;
    상기 하부캡(40)의 구멍(42)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캡(28)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홈(54)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며 상기 상부캡(28)을 고정시키는 볼트(44)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이 가능한 손잡이.
KR1020080012451A 2008-02-12 2008-02-12 회전 가능한 손잡이 KR101001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2451A KR101001203B1 (ko) 2008-02-12 2008-02-12 회전 가능한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2451A KR101001203B1 (ko) 2008-02-12 2008-02-12 회전 가능한 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7169A KR20090087169A (ko) 2009-08-17
KR101001203B1 true KR101001203B1 (ko) 2010-12-15

Family

ID=41206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2451A KR101001203B1 (ko) 2008-02-12 2008-02-12 회전 가능한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12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486B1 (ko) * 2010-11-19 2011-04-06 이상만 조리용기용 손잡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801Y1 (ko) * 2004-03-31 2004-06-22 주식회사 킴스핸들 접이식 냄비 손잡이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801Y1 (ko) * 2004-03-31 2004-06-22 주식회사 킴스핸들 접이식 냄비 손잡이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7169A (ko) 2009-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1034B2 (en) Utensil with simplified handling
JP6499034B2 (ja) 用具置き付きハンドルを有する蓋を含む調理器具
KR101001203B1 (ko) 회전 가능한 손잡이
KR101131001B1 (ko) 스팀배출기능과 뚜껑지지기능을 갖는 조리용기 뚜껑 노브
KR20110011200U (ko) 냄비
KR101583779B1 (ko) 취사용기용 돌솥뚜껑
KR200439944Y1 (ko) 냄비 손잡이
JP5802281B2 (ja) 着脱式調理器具把持装置
KR200476325Y1 (ko) 프라이팬
JP3671409B2 (ja) 断熱調理容器
KR20110081410A (ko) 조리용기
JP3352841B2 (ja) 断熱調理容器
KR101113980B1 (ko) 서류 고정용 클립
KR101146368B1 (ko) 조리용기용 손잡이
KR102297712B1 (ko) 조리용기용 손잡이
KR101030706B1 (ko) 음식물용기
JP3237211U (ja) 調理容器の蓋
KR101440990B1 (ko) 손잡이 연동형 밀폐 냄비
JPS5849694Y2 (ja) 煮炊器等の蓋鎖錠装置
JP3114695U (ja) 蓋付き容器
JP3118591U (ja) 匙の支持手段
JP2006288909A (ja) 保温調理器
KR200390546Y1 (ko) 케이크 포장용 박스
KR200379426Y1 (ko) 주걱걸이를 구비한 전기 밥솥
IT202100010910A1 (it) Pentola per la cottura di alimenti e manico per pentol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