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0618A - Coating apparatus and liquid receiving clean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Coating apparatus and liquid receiving clean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0618A
KR20140040618A KR1020130068275A KR20130068275A KR20140040618A KR 20140040618 A KR20140040618 A KR 20140040618A KR 1020130068275 A KR1020130068275 A KR 1020130068275A KR 20130068275 A KR20130068275 A KR 20130068275A KR 20140040618 A KR20140040618 A KR 20140040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nozzle
coating
cleaning
nozz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82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12554B1 (en
Inventor
류스케 이토
슈이치 사가라
유키히로 다카무라
무네아키 오에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스크린 세이조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스크린 세이조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스크린 세이조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40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06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5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1Vats or other containers fo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25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characterised by flow controlling means, e.g. valves, located proximate the outl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271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Optical Filters (AREA)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coating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the attachment of mist formed by a cleaning treatment to a nozzle while the cleaning treatment jetting a coating solution is conducted. In the coating apparatus, an inner space (L2) attached to the lower side of a contact solution unit (42) is in negative pressure and air current (6) toward the inner space (L2) is formed near the upper side of the contact solution unit (42). Therefore, in case of the collision of coating solution discharged from spraying nozzles (52a-52c) between cleaning nozzles (45a-45c), the degree of mist generation is within the range of a descending air current region(D), in which a descending air current is generated in the air current (6) and the mist is inhaled into the inner space (L2) together with surrounding gas through the descending air current. The mist is also inhaled by the inhaling treatment of the cleaning nozzles (45a-45c). As a result, the attachment of the mist to the surroundings of the spray nozzles is prevented.

Description

도포 장치 및 액받이 세정 장치{COATING APPARATUS AND LIQUID RECEIVING CLEANING APPARATUS}Coating device and drip tray cleaning device {COATING APPARATUS AND LIQUID RECEIVING CLEANING APPARATUS}

본 발명은, 도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특정적으로는, 스테이지 상에 재치한 기판에 노즐로부터 액기둥 상태의 도포액을 토출하여 도포하는 도포 장치와, 이를 위한 액받이 세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is invention relates to a coating device. More specifically, It is related with the coating device which discharges and apply | coats the coating liquid of the liquid column state from a nozzle to the board | substrate mounted on the stage, and the liquid receiving cleaning device for this.

종래, 노즐로부터 도포액을 토출하면서, 기판을 주사하여 기판에 도포액을 도포하는 도포 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면, 유기 EL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장치에서는, 스테이지 상에 재치된 유리 기판 등의 기판의 주면에 소정의 패턴 형상으로 유기 EL 재료가 노즐을 이용하여 도포된다.Conventionally, the coating apparatus which scans a board | substrate and apply | coats a coating liquid to a board | substrate, discharging a coating liquid from a nozzle has been developed. For example, in the apparatus which manufactures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s apply | coated using a nozzle to the main surface of board | substrates, such as a glass substrate mounted on a stage, in predetermined pattern shape.

이러한 도포 장치에 있어서는, 기판에 도포액을 도포할 때, 노즐이 기판 외로 이동했을 때에 기판 외에 도포된 도포액이나 불필요한 도포액을 회수하기 위해서, 기판 외에 도포액을 받는 액받이부가 설치된다. 이는, 일단 노즐로부터의 도포액의 토출을 중지하면, 도포액이 노즐의 토출구 부근에서 응고해 버려, 이후의 도포에 악영향을 주어 버리는 것과 관계된다. 즉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서, 노즐이 기판 외에 있을 때도 노즐로부터의 도포액의 토출을 계속시키고 있는데, 이 때에 토출된 도포액을 받아 회수 혹은 폐기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의 액받이부에서는 그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그 공간 내를 부압으로 함으로써, 액받이부의 상면에 토출된 도포액을 흡인하는 구성이 나타나 있다.In such a coating apparatus, a liquid receiving section for receiving a coating liquid in addition to the substrate is provided to recover a coating liquid or an unnecessary coating liquid applied outside the substrate when the coating liquid is applied to the substrate when the nozzle moves outside the substrate. This is related to the fact that once the discharge of the coating liquid from the nozzle is stopped, the coating liquid solidifies near the discharge port of the nozzle and adversely affects subsequent coating. That is, in order to prevent such a situation, discharge of the coating liquid from a nozzle is continued even when a nozzle is outside the board | substrate, since it is necessary to collect | recover or discard the discharged coating liquid at this time. For example, the structure of patent document 1 which draws the coating liquid discharged | emit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quid receiver part by forming a space in the inside and making negative pressure inside the space is shown.

또한, 특허 문헌 2에는, 도포액을 토출하는 노즐의 토출구를 세정하기 위해서, 노즐의 하방에서 토출구에 세정액을 공급하는 노즐 세정 장치(3)가 액받이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구성이 나타나 있다.In addition, Patent Literature 2 discloses a configuration in which a nozzle cleaning device 3 for supplying a cleaning liquid to a discharge port from below the nozzle is provided adjacent to the liquid receiving portion in order to clean the discharge port of the nozzle for discharging the coating liquid.

일본국 특허공개 2011-167655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1-167655 일본국 특허공개 2009-45541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9-45541

그러나 특허 문헌 2에 나타나는 것과 같은 노즐 세정 장치의 경우, 도포 노즐로부터의 도포액의 토출을 행한 상태에서 노즐 세정을 행하는데 있어, 토출된 도포액이 노즐 세정 장치의 세정 노즐에 충돌함으로써, 도포액이 미스트 상태로 비산할 우려가 있다. 또한, 도포 노즐로부터 토출된 도포액이, 토출 직후는 액기둥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도, 토출되고 나서 거리가 길어짐에 따라 액적화하고, 또한 미스트화하여 비산할 우려가 있다.However, in the nozzle cleaning apparatus as shown in Patent Literature 2, in performing the nozzle cleaning in a state where the coating liquid is discharged from the coating nozzle, the discharged coating liquid collides with the cleaning nozzle of the nozzle cleaning apparatus, thereby applying the coating liquid. There is a fear of scattering in this mist state. In addition, even if the coating liquid discharged from the coating nozzle maintains the liquid column state immediately after the discharge, the coating liquid may be dropletized as the distance becomes longer after being discharged, and further misted and scattered.

또한, 특허 문헌 1에 나타나는 것과 같은 흡인 기능을 가지는 액받이부를 노즐 세정 장치에 인접하여 배치하면, 상기 미스트가 액받이부의 흡인 기능에 의해 발생한 기류에 의해서 감아올려져 도포 노즐이나 그 주변(예를 들면, 도포 노즐을 유지하는 부재의 하면)에 부착할 가능성이 생긴다.In addition, when the liquid receiving part having the suction function as shown in Patent Document 1 is disposed adjacent to the nozzle cleaning device, the mist is wound up by the airflow generated by the suction function of the liquid receiving part, thereby applying the application nozzle and its surroundings (for example, For example, the possibility of adhering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ember holding the coating nozzle is likely to occur.

도포 노즐은 처리 대상 기판의 상방을 주사하기 때문에, 이와 같이 노즐 주변에 미스트가 부착하면, 파티클(미스트가 고체화된 것)이 기판 상에 낙하할 우려도 있어, 수율의 저하로 이어진다.Since the coating nozzle scans the upper side of the substrate to be treated, when mist adheres around the nozzle in this manner, particles (which the mist solidifies) may fall on the substrate, leading to a decrease in yield.

한편, 노즐 세정 시에 노즐로부터의 도포액의 토출을 정지하면, 미스트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노즐을 세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도포액의 재토출 시에 도포액이 액기둥 상태로 유량이 안정되게 토출되기까지 장시간을 필요로 하므로, 대기 시간이 발생해 버려 스루풋의 저하로 이어진다.On the other hand, when discharge of the coating liquid from a nozzle is stopped at the time of nozzle cleaning, it is possible to wash | clean a nozzle, suppressing generation | occurrence | production of mist. In this case, however, it takes a long time for the coating liquid to stably discharge the coating liquid in the columnar state at the time of re-discharging the coating liquid, so that a waiting time occurs and the throughput is lowered.

본 발명은 이상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도포액을 토출하면서 노즐의 세정 처리를 행해도, 이 세정 처리에 의해서 발생하는 미스트가 도포 노즐이나 그 주변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도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view of the above subject, Even if the nozzle cleaning process is performed, discharging a coating liquid, the coating apparatus which can prevent the mist generate | occur | produced by this washing process adhering to a coating nozzle or its periphery is provided. It is.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기판 상에 도포액을 도포하는 도포 장치로서, 상기 기판의 유지 영역의 상방의 공간을 이동 가능하고, 상기 도포액을 하방으로 토출하는 토출구를 가지는 노즐과, 흡인 경로에 접속된 내부 공간을 가지고, 상기 노즐이 상기 기판의 존재 영역 외에 있을 때에 상기 노즐로부터 토출된 상기 도포액을, 상방으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에 받는 액받이부와, 상기 액받이부의 근방에 배치됨과 더불어, 소정의 세정액을 상방으로 방출 가능한 개구를 가지고, 상기 세정액에 의해서 상기 노즐의 상기 토출구의 세정 처리를 행하는 노즐 세정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흡인 경로를 통한 흡인에 의해서 상기 액받이부의 상기 내부 공간이 부압 상태로 됨으로써 상기 액받이부의 근방 공간에 발생하는 기류 중, 하향의 성분을 가지는 하강 기류가 발생하는 공간 영역인 하강 기류 영역 내에 있어서, 상기 노즐 세정 장치의 상기 개구가, 상기 액받이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고정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said subject, invention of Claim 1 is a coating apparatus which apply | coats a coating liquid on a board | substrate, It is possible to move the space above the holding area of the said board | substrate, and discharges the discharge port which discharges the said coating liquid below. Has a nozzle, an internal space connected to a suction path, and a liquid receiving part for receiving the coating liquid discharged from the nozzle in the internal space from above from the nozzle when the nozzle is outside the existing region of the substrate; The nozzle cleaning apparatus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a part and has an opening which can discharge a predetermined | prescribed washing | cleaning liquid upward, and performs the washing process of the said discharge port of the said nozzle with the said washing | cleaning liquid, The said liquid by suction through the said suction path | route When the internal space of the receiving part becomes a negative pressure state, the airflow generated in the space near the liquid receiving part is In the falling airflow area | region which is a space area | region which the falling airflow which has a component generate | occur | produces, the said opening of the said nozzle cleaning apparatus is arrange | positioned relatively fixed with respect to the said liquid receiver,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의 도포 장치로서, 상기 노즐 세정 장치의 상기 개구가 상기 액받이부의 상기 내부 공간의 상면보다도 상방에 고정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vention of Claim 2 is a coating device of Claim 1, Comprising: The said opening of the said nozzle cleaning apparatus is fixedly arrange | positioned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said inner space of the said liquid receiving part,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의 도포 장치로서, 상기 액받이부의 상기 내부 공간의 상기 상면은, 상기 내부 공간의 상측 개구를 덮는 다공성의 면상체의 상면에 의해서 규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vention of Claim 3 is a coating device of Claim 2, The said upper surface of the said inner space of the said liquid receiving part is prescribed | regulat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porous planar body which covers the upper opening of the said inner space,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do.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의 도포 장치로서, 상기 액받이부와 상기 노즐 세정 장치가 일체화되어 액받이 세정 장치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vention of Claim 4 is a coating device of Claim 1, Comprising: The said liquid receiving part and the said nozzle cleaning apparatus are integrated, and it is set as the liquid receiving cleaning apparatus.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4에 기재의 도포 장치로서, 일체화된 상기 액받이부와 상기 노즐 세정 장치의 상면이, 상기 다공성의 면상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for the coating apparatus of Claim 4, the invention of Claim 5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said liquid receiving part integrated with the said nozzle cleaning apparatus is formed from the said porous planar body.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기재의 도포 장치로서, 상기 노즐 세정 장치가 상기 액받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액받이부와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vention of Claim 6 is a coating device of Claim 4 or Claim 5, Comprising: The said nozzle cleaning apparatus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said liquid receiving part, and is integrated with the said liquid receiving part.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기재의 도포 장치로서, 상기 노즐 세정 장치가 상기 액받이부의 측부에 인접 배치되어 상기 액받이부와의 위치 관계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vention of Claim 7 is a coating device of Claim 4 or Claim 5 WHEREIN: The said nozzle cleaning apparatus is arrange | positioned adjacent to the side part of the said water receiving part, and the positional relationship with the said water receiving part is fixed.

청구항 8에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도포 장치로서, 상기 액받이부와 상기 노즐 세정 장치의 쌍방을 일체적으로 이동시키는 일체적 이동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vention of Claim 8 is an application device as described in any one of Claims 1-5, Comprising: The integrated movement mechanism which moves both the said liquid receiving part and the said nozzle cleaning apparatus integrally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do.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기판의 도포 장치의 노즐로부터 하방에 토출되는 도포액을 받음과 더불어, 상기 노즐의 세정을 행하는 액받이 세정 장치로서, 흡인 경로에 접속된 내부 공간을 가지고, 상기 노즐이 상기 기판의 존재 영역 외에 있을 때에 상기 노즐로부터 토출된 상기 도포액을, 상방으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에 받는 액받이부와, 상기 액받이부와 일체화되고, 소정의 세정액을 상방으로 방출 가능한 개구를 가지고, 상기 세정액에 의해서 상기 노즐의 토출구의 세정 처리를 행하는 노즐 세정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흡인 경로를 통한 흡인에 의해서 상기 액받이부의 상기 내부 공간이 부압 상태로 됨으로써 상기 액받이부의 근방 공간에 발생하는 기류 중, 하향의 성분을 가지는 하강 기류가 발생하는 공간 영역인 하강 기류 영역 내에 있어서, 상기 노즐 세정 장치의 상기 공급구가, 상기 액받이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고정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9 is a liquid receiving cleaning device which receives a coating liquid discharged downward from a nozzle of a coating device of a substrate and cleans the nozzle, wherein the nozzle has an internal space connected to a suction path. It has a liquid receiving part which receives the said coating liquid discharged from the nozzle in the said inner space from upper direction when it exists out of the presence area of the said board | substrate, and the opening which is integrated with the liquid receiving part, and can discharge | release predetermined | prescribed cleaning liquid upwards, And a nozzle cleaning device for cleaning the discharge port of the nozzle by the cleaning liquid, and the air flow generated in the space near the liquid receiving part by caus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liquid receiving part to become a negative pressure state by suction through the suction path. In the falling airflow area | region which is a space area | region which the downward airflow which has a downward component generate | occur | produces, And the supply port of the base nozzle cleaning device is fixed relative to the liquid receiving portion.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의 발명에 의하면, 액받이부의 근방 공간에 발생하는 기류 중, 하강 기류가 발생하는 공간 영역인 하강 기류 영역 내에 노즐 세정 장치의 세정액을 공급 가능한 개구를 배치함으로써, 세정 처리 시에 발생하는 미스트가 기류에 의해서 상방에 감아올려지는 원인이 감소하고, 그러한 미스트가 도포 노즐이나 그 주변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s 1 to 9, by arranging the opening for supplying the cleaning liquid of the nozzle cleaning device in the down stream flow region which is the space region where the down stream is generated in the air flow generated in the space near the liquid receiving por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enerated mist from being rolled upward by the air flow, and to prevent such mist from adhering to the coating nozzle and its periphery.

특히, 청구항 3의 발명에 있어서는, 액받이부의 상면이 다공성의 면상체에 의해서 구성되므로, 액받이부의 상면을 기체가 통과하기 쉽다. 따라서, 내부 공간을 부압으로 할 때에, 액받이부 상면에서 기류가 발생하기 쉽다.In particular, in the invention of claim 3, 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liquid receiver is made of a porous planar body, gas easily passes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liquid receiver. Therefore, when making an internal space into negative pressure, airflow tends to generate | occur | produc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quid receiving part.

특히, 청구항 8의 발명에 있어서는, 액받이부와 노즐 세정 장치를 일체적으로 이동시키는 일체적 이동 기구를 구비하는 도포 장치이므로, 공간 절감화 및 제어의 간편화를 실현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invention of claim 8, since the coating device includes an integrated moving mechanism for integrally moving the liquid receiver and the nozzle cleaning device, it is possible to realize space saving and simplified control.

도 1은 도포 장치(1)의 상면도이다.
도 2는 도포 장치(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액받이부(3)의 개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액받이부(3)의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액받이 세정 장치(4)의 개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액받이 세정 장치(4)의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액받이 세정 장치(4)의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제어부(10)의 전기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도포 장치(1)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액받이 세정 장치(4)의 세정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액받이 세정 장치(4)의 세정 동작 중에 있어서의, 도포 유닛(50)과 액받이 세정 장치(4)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액받이 세정 장치(4) 주변의 기류(6)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액받이 세정 장치(4) 주변의 기류(6)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액받이부(3) 주변의 기류(6)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비교예에 있어서의 액받이부(3) 주변의 기류(6)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top view of a coating device 1.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coating device 1.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utline of the drip receiver 3.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drip receiver 3.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line of the liquid receiver cleaning device 4. Fig.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drip cleaning device 4.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drip cleaning device 4.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electrical configuration of the controller 10.
9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oating device 1.
10 is a flowchart showing the washing operation of the drip cleaning apparatus 4.
FIG. 11: is a figure which shows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application | coating unit 50 and the liquid receiving cleaning device 4 in the washing | cleaning operation of the liquid receiving cleaning device 4.
FIG. 12: is a figure which shows the airflow 6 around the drip cleaning apparatus 4. FIG.
FIG. 13: is a figure which shows the airflow 6 around the drip cleaning apparatus 4 in other embodiment.
FIG. 14: is a figure which shows the airflow 6 around the drip receiver 3 in another embodiment.
FIG. 15: is a figure which shows the airflow 6 around the drip receiver 3 in a comparative example.

{실시의 형태}`` Embodiment form ''

<1.1 도포 장치(1) 전체의 개략 구성><1.1 Outline structure of the entire coating device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도포 장치(1)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을 행한다. 설명을 구체적으로 하기 위해서, 당해 도포 장치가 유기 EL 재료나 정공 수송 재료 등을 도포액으로서 이용하는 유기 EL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도포 장치에 적용된 예를 이용하여, 이하의 설명을 행한다. 당해 도포 장치(1)는, 유기 EL 재료나 정공 수송 재료 등을, 스테이지 상에 재치된 유리 기판 상에 소정의 패턴 형상으로 도포하여 유기 EL 표시 장치의 패널을 제조하는 것이다. 또한, 이 명세서에 첨부한 도면에 있어서, X방향 및 Y방향은 수평면을 규정하는 2차원 좌표축이며, Z방향은 XY면에 수직인 연직 방향을 규정하고 있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coating device 1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referring drawings. In order to make description concretely,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given using the example applied to the coating apparatus which manufactures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which uses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 a hole transport material, etc. as a coating liquid. The coating device 1 applies an organic EL material, a hole transporting material, or the like on a glass substrate placed on a stage in a predetermined pattern to manufacture a panel of the organic EL display device. In the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the X direction and the Y direction are two-dimensional coordinate axes that define a horizontal plane, and the Z direction defines a vertic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XY plane.

도 1은, 도포 장치(1)의 주요부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2는, 도포 장치(1)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포 장치(1)는, 상술한 것처럼 유기 EL 재료나 정공 수송 재료 등의 복수의 도포액을 이용하는데, 그러한 대표로서 유기 EL 재료를 도포액으로 하여 설명을 행한다.1: is a top view which shows schematic structure of the principal part of the coating device 1. As shown in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coating device 1. The coating apparatus 1 uses a plurality of coating liquids, such as an organic EL material and a hole transporting material, as described above, and the organic EL material is used as the representative liquid for the explanation.

도 1, 도 2에 있어서, 도포 장치(1)는, 대략적으로, 기판 재치 장치(2), 액받이부(3), 액받이 세정 장치(4), 유기 EL 도포 기구(5), 및, 제어부(10)를 구비하고 있다.In FIG. 1, FIG. 2, the coating device 1 is roughly the board | substrate mounting apparatus 2, the liquid receiving part 3, the liquid receiving cleaning device 4, the organic EL application | coating mechanism 5, and The control unit 10 is provided.

<1.2 도포 장치(1) 내의 각 장치의 구성><Configuration of Each Device in the Coating Device 1>

<1.2.1 기판 재치 장치(2)의 구성><1.2.1 Structure of Substrate Placement Device 2>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 재치 장치(2)는, 스테이지(21), 선회부(22), 평행 이동 테이블(23), 가이드 받침부(24), 및 가이드 부재(25)를 가지고 있다.As shown in FIG. 2, the substrate placing apparatus 2 includes a stage 21, a swinging portion 22, a parallel moving table 23, a guide base 24, and a guide member 25.

스테이지(21)는, 피도포체가 되는 유리 기판 등의 기판(P)을 그 스테이지 상면에 재치하는 수평의 두꺼운 판형상의 강성재이다. 스테이지(21)의 하부는, 선회부(22)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고, 선회부(22)의 회동 동작에 의해서 도시하는 θ방향으로 스테이지(21)가 수평면 내에서 선회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The stage 21 is a horizontal thick plate-like rigid material in which a substrate P such as a glass substrate to be a coated object is placed on the stage upper surface. The lower part of the stage 21 is supported by the revolving part 22, and is comprised so that the stage 21 can rotate in a horizontal plane in the (theta) direction shown by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revolving part 22. As shown in FIG.

또한, 스테이지(21)의 내부에는, 유기 EL 재료가 도포된 기판(P)을 스테이지(21) 면 상에서 예비 가열 처리하기 위한 가열 기구나 기판(P)을 하방으로부터 흡착하여 유지하는 흡착 기구나, 기판(P)을 반송 기구와의 사이에서 주고 받을 때에 이용되는 수도 핀 기구 등(어느 것도 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Moreover, inside the stage 21, the adsorption mechanism which adsorb | sucks and hold | maintains the heating mechanism and board | substrate P for preheat-processing the board | substrate P to which the organic EL material was apply | coated on the stage 21 surface, and A water pin mechanism or the like (none of which is shown in the drawing), which is used when exchanging the substrate P with the transfer mechanism, is provided.

유기 EL 도포 기구(5)의 하방을 통과하도록, 가이드 부재(25)가 도시하는 Y축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바닥면에 수평으로 고정된다. 평행 이동 테이블(23)의 하면에는, 가이드 부재(25)와 맞닿아 가이드 부재(25) 상을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이드 받침부(24)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The guide member 25 is extended in the Y-axis direction shown and fixed to the bottom surface so that the organic EL application | coating mechanism 5 may pass below. The guide support part 24 which abuts on the guide member 25 and slides on the guide member 25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arallel movement table 23.

또한, 평행 이동 테이블(23)의 상면에는, 선회부(22)가 고정 설치된다. 이에 따라, 평행 이동 테이블(23)이, 예를 들면 리니어 모터(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구동력을 받아 가이드 부재(25)를 따른 도시하는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지고, 선회부(22)에 지지된 스테이지(21)의 수평 직진 이동도 가능해진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평행 이동 테이블(23), 가이드 받침부(24), 가이드 부재(25), 및, 예를 들면 리니어 모터(도시하지 않음)로 이루어지는 기구에 대하여, 「스테이지 이동 기구(26)」로 칭하는 경우가 있다.Moreover, the turning part 22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rallel movement table 23. Thereby, the parallel movement table 23 is movable in the Y-axis direction shown along the guide member 25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from a linear motor (not shown), for example, and is supported by the turning part 22. The horizontal straight movement of the stage 21 is also possible.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bout the mechanism which consists of a parallel movement table 23, the guide base part 24, the guide member 25, and a linear motor (not shown), for example, a "stage movement mechanism (26) "may be called.

<1.2.2 액받이부(3)의 구성><1.2.2 Structure of the liquid receiving part 3>

액받이부(3)는 복수의 도포 노즐(52a~52c)이 기판의 존재 영역(스테이지(21)의 확대보다도 약간 넓은 영역)의 상방 공간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있을 때, 이들 도포 노즐(52a~52c)에서 토출되는 유기 EL 재료(도포액)를 받아 흡인하는 장치이며,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판(P)으로부터 +X방향에 인접하는 측부 공간에 배치된다.The liquid receiving part 3 has these application nozzles 52a-52c when the some application | coating nozzles 52a-52c are in the position deviating from the upper space of the presence area of the board | substrate (the area slightly wider than the expansion of the stage 21). ) Is an apparatus that receives and sucks the organic EL material (coating liquid) discharged from the wafer), and is disposed in the side space adjacent to the + X direction from the substrate P as shown in FIGS. 1 and 2.

도 3은 액받이부(3)의 개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A3-A3 단면으로부터 -X방향을 본 경우의 단면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outline of the drip receiver 3.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3-A3 in Fig. 3 when viewed in the -X direction.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받이부(3)는, 박스부(31), 접액 부재(32), 및 배출부(33)를 구비하고 있다.3 and 4, the liquid receiving portion 3 includes a box portion 31, a liquid contact member 32, and a discharge portion 33. As shown in Fig.

박스부(31)는, X축 방향으로 신장하는 가로로 긴 형이고 또한 저면의 일부에 경사 바닥을 가지는 상자 형상이며, 노즐 이동 기구(51)와의 위치 관계가 상시 고정되도록 고정 설치되어 있다. 그 경사 바닥은, 하측 단 가장자리(31a)와 상측 단 가장자리(31b)에 의해서 규정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박스부(31) 내에 낙하한 도포액은 이 경사 바닥을 따라서 한쪽측(하측 단 가장자리(31a)측)에 흘러 내려 일시적으로 저류된다(도 1~도 4 참조).The box portion 31 is of a box shape having a transversely elongated shape extending in the X-axis direction and having an inclined bottom at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thereof, and is fixedly provided so that the positional relationship with the nozzle moving mechanism 51 is always fixed. The inclined bottom is an inclined surface defined by the lower end edge 31a and the upper end edge 31b. As described later, the coating liquid dropped into the box portion 31 is formed on one side along the inclined bottom. It flows to the lower end edge 31a side and is temporarily stored (refer FIG. 1-FIG. 4).

박스부(31)의 상면에는, 다공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면상체의 접액 부재(32)가 상방으로 개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명세서에서 말하는 바의 「다공성 재료」란, 도포액이 통과할 수 있는 정도의 작은 구멍이 다수 분포된 재료 일반을 가리키고, 수지나 세라믹스 등이 그 제조 과정에서 다수의 작은 구멍을 내포하는 상태로 된 「다공질 재료」여도 되고, 평면재에 다수의 작은 구멍을 분포 형성한 판형상재나, 그물눈에 의해서 다수의 작은 구멍이 분포한 망형상과 같이, 가공에 의해서 형성된 작은 구멍이 분포하는 「다공 형성 부재」여도 된다. 그리고, 이 접액 부재(32)의 폭(Y방향의 길이)은, 복수의 도포 노즐(52a~52c)로부터 액기둥 상태로 토출되는 유기 EL 재료를 모두 도착(塗着)시킬 수 있는 폭, 즉 복수의 도포 노즐(52a~52c)의 배열폭과 동등 또는 그 이상의 사이즈로 되어 있다.The liquid contact member 32 of the planar body which consists of porous materials is arrange |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x part 31 in the state opened upward. As used herein, the term "porous material" refers to a general material in which a large number of small holes through which a coating liquid can pass is distributed, and resins, ceramics, and the like contain a large number of small hole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porous material" may be used, or "porous formation" in which small holes formed by processing are distributed, such as a plate-like material in which a plurality of small holes are formed in a planar material and a mesh shape in which many small holes are distributed by a mesh. Absence ”may be sufficient. The width (length in the Y direction) of the liquid contact member 32 is a width capable of arriving at all of the organic EL materials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application nozzles 52a to 52c in the liquid column state, that is, It is set to the size equivalent to or more than the arrangement width | variety of several application | coating nozzles 52a-52c.

또한, 액받이부(3)의 내부는 박스부(31)와 접액 부재(32)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중공의 내부 공간(L1)을 구비하고 있다. 내부 공간(L1)의 측면 및 하면에는, 배기 및 배액을 행하는 배출부(33)를 구성하는 배출 배관이 연통하고 있다. 따라서, 내부 공간(L1)의 상측 개구는 다공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면상체의 접액 부재(32)로 덮여 있고, 내부 공간(L1)의 상측 개구 이외의 면에는 배출부(33)가 설치되어 있다.Moreover, the inside of the liquid receiving part 3 is equipped with the hollow internal space L1 surrounded by the box part 31 and the liquid contact member 32. As shown in FIG. A discharge pipe constituting a discharge portion 33 for discharging and draining is communicated with the side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internal space L1. Therefore, the upper opening of the inner space L1 is covered with the liquid contact member 32 of the planar body made of a porous material, and the discharge part 33 is provided on the surface other than the upper opening of the inner space L1.

도포 처리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데, 기판(P)에 대하여 유기 EL 재료를 도포할 때, 도포 노즐(52a~52c)은 유기 EL 재료를 토출하면서 X방향을 따라서 이동하여 기판(P)의 상방을 왕복 주사한다. 또한, 도포 노즐(52a~52c)과 스테이지(21) 상에 재치되는 기판(P)이 Y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함으로써, 도포 노즐(52a~52c)로부터의 도포액에 의한 기판(P) 상면의 2차원적인 주사(X방향의 주주사와 Y방향의 부주사의 조합)가 달성된다. 노즐(52a~52c)이 +X방향의 주사(주주사)에 따라 액받이부(3)의 상방으로 이동될 때, 도포 노즐(52a~52c)과 접액 부재(32)가 대향하도록 액받이부(3)가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포 노즐(52a~52c)로부터 기판(P)의 외부로 토출되는 도포액은 접액 부재(32)의 상면에 접액한다.The details of the coating proces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organic EL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bstrate P, the application nozzles 52a to 52c move along the X direction while discharging the organic EL material to move upward of the substrate P. Reciprocating injection. In addition, the substrates P placed on the application nozzles 52a to 52c and the stage 21 are relatively moved in the Y direction, whereby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P by the coating liquid from the application nozzles 52a to 52c is moved. Two-dimensional scanning (combination of the main scan in the X direction and the sub scan in the Y direction) is achieved. When the nozzles 52a to 52c are moved upward of the liquid receiver 3 in accordance with the scanning (scanning) in the + X direction, the liquid receiver 3 so that the application nozzles 52a to 52c and the liquid contact member 32 face each other. ) Is arranged. For this reason, the coating liquid discharged from the coating nozzles 52a to 52c to the outside of the substrate P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liquid contact member 32.

접액 부재(32)의 하면은 박스부(31)의 내부 공간(L1)에 면해 있고, 이 내부 공간(L1)에 연통하는 배출부(33)에 의해서 부압으로 유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다공성 재료인 접액 부재(32)의 상면에 부착된 도포액은 접액 부재(32)에 분포한 작은 구멍군을 통과하여 내부 공간(L1)을 향해 흡인되어, 박스부(31) 내에 적하한다. 그리고 이미 기술한 것처럼 박스부(31)의 저면의 일부는 +X방향측으로 낮아지도록 경사져 있으므로, 박스부(31) 내의 경사면에 적하된 도포액은 경사에 따라서 흐른다.The lower surface of the liquid contact member 32 faces the internal space L1 of the box portion 31, and is maintained at a negative pressure by the discharge portion 33 communicating with the internal space L1. For this reason, the coating liquid adhe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iquid contact member 32 which is a porous material passes through the small hole group distributed in the liquid contact member 32, and is attracted toward the internal space L1 and dripped in the box portion 31. do. As described above, par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ox portion 31 is inclined so as to be lowered in the + X direction side, so that the coating liquid dropped on the inclined surface in the box portion 31 flows along the inclination.

또한, 박스부(31)의 측면 및 +X방향측의 하면(저면의 최하 위치)에는 배출부(33)가 연통해 있으므로, 액받이부(3)에 토출된 도포액은 이 배출부(33)에서 배출된다. 또한, 배출부(33)는 도시하지 않은 기액 분리 장치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배출부(33)에 의해 박스부(31)로부터 배출된 기액은 배기와 배액으로 나누어 처리된다.Moreover, since the discharge part 33 communicates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box part 31, and the lower surface (lowest position of a bottom face) of the + X direction side, the coating liquid discharged | emitted to the liquid receiving part 3 is this discharge part 33 Ejected from In addition, since the discharge part 33 is connected to the gas-liquid separator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the gas liquid discharged | emitted from the box part 31 by the discharge part 33 is divided into exhaust and waste liquid, and is processed.

본 실시 형태에 이용되고 있는 접액 부재(32)는, 폴리에틸렌 등의 수지를 소결 성형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도포되는 액에 따라, 수지 재료는 적절히 선택 가능하지만, 일예로는 산파인(아사히카세이 케미컬즈 가부시키가이샤의 등록 상표) 등이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다공성 재료는, 수지 등의 분말을 소결 성형함으로써 형성되고, 내부에 불규칙한 공극이 입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기체나 액체 등의 유체를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러한 구성으로는, 금속에 의해 형성된 다공성 재료를 채용해도 된다.The liquid contact member 32 used in this embodiment is formed by sintering and molding resin such as polyethylene. Although the resin material can be selected suitably according to the liquid apply | coated, an example is sanpine (a registered trademark of Asahi Kasei Chemicals Co., Ltd.). In general, the porous material is formed by sintering a powder such as a resin, and irregular voids are three-dimensionally formed therein. For this reason, it becomes possible to let fluids, such as gas and a liquid, pass. In addition, as such a structure, you may employ | adopt the porous material formed with the metal.

또한, 배출부(33)에 의해서 내부 공간(L1) 내의 공기가 배출되어 내부 공간(L1) 내가 부압으로 유지되는 타이밍에 대해서는, 제어부(10)에 의해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배출부(33)는, 도포 노즐(52a~52c)로부터 도포액이 토출되고 있을 때는 온 상태(배출 상태)로 되고, 도포 노즐(52a~52c)로부터 도포액이 토출되지 않을 때는 오프 상태(비배출 상태)가 되도록, 제어부(10)에 의해서 제어된다.In addition, the control part 10 can set suitably about the timing which the air in the internal space L1 is discharged | emitted by the discharge part 33, and the inside space L1 is maintained at negative pressu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charge part 33 is in an on state (discharged state) when the coating liquid is being discharged from the coating nozzles 52a to 52c, and the coating liquid is not discharged from the coating nozzles 52a to 52c. If not, it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0 so as to be in an off state (non-emission state).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배출부(33)는 박스부(31)의 +Y방향의 측면에 2개와 하면에 1개로 형성되어 있는데, 박스부(31)의 X방향의 길이나 요구되는 부압에 따라, 그 부착 위치나 개수를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배출부(33)(및 후술하는 배출부(43))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흡인 경로」에 상당하고, 상기 배출 상태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흡인 경로를 통한 흡인」에 상당한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discharge part 33 is formed in the side of the box part 31 in the + Y direction, and is formed in two pieces and one in the lower surface,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box part 31 in the X direction, and the negative pressure required.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attachment position and the number appropriately. In addition, the discharge part 33 (and the discharge part 43 mentioned later) correspond to the "suction path" in this invention, and the said discharge state is corresponded to the "suction through the suction path" in this invention. .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접액 부재(32)의 하면과 접해 있는 내부 공간(L1)이 부압이 되고, 그 상방에는 내부 공간(L1)의 상부 개구를 향해 기류가 발생한다. 이 기류를 따라서, 접액한 도포액은 주위의 기체와 함께 급속히 하면으로 흡인된다. 이 때문에, 접액 부재(32)의 상방 및 그 부근은 도포액의 부유 미스트가 존재하지 않고, 마른 상태로 되어 있다. 이 기류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Since it is comprised as mentioned above, the internal space L1 which contact | connects the lower surface of the liquid contact member 32 becomes a negative pressure, and airflow generate | occur | produces toward the upper opening of the internal space L1 above. Along with this air flow, the coating liquid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urrounding gas is rapidly sucked to the lower surface. For this reason, the floating mist of the coating liquid does not exist in the upper part and the vicinity of the liquid contact member 32, and is dry.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airflow is mentioned later.

<1.2.3 액받이 세정 장치(4)의 구성><1.2.3 Configuration of the liquid receiving device 4>

도 5(a)는, 액받이 세정 장치(4)의 개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b)는 그 중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도 5(a)에 나타내는 A5-A5 단면으로부터 -X방향을 본 경우의 액받이 세정 장치(4)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에 나타내는 A5-A5 단면으로부터 +X방향을 본 경우의 액받이 세정 장치(4)의 단면도이다. 도 1, 도 2, 도 5~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받이 세정 장치(4)는, 박스부(41), 접액 부재(42), 배출부(43), 세정 노즐(45a~45c), 공통 배관(46a~46c), 공급 배관(461a~461c), 흡인 배관(462a~462c), Y방향 이동 기구(48), 및, 승강 기구(49)를 구비하고 있다.Fig. 5 (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line of the liquid receiver cleaning device 4, and Fig. 5 (b)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thereof. 6 is sectional drawing of the drip-washing | cleaning apparatus 4 in the case of seeing -X direction from the A5-A5 cross section shown to FIG. 5 (a), and FIG. 7 shows + X direction from the A5-A5 cross section shown in FIG. It is sectional drawing of the liquid receiving washing | cleaning apparatus 4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 FIG. 2, FIG. 5-FIG. 7, the liquid receiving washing | cleaning apparatus 4 is the box part 41, the contact liquid 42, the discharge part 43, and the washing | cleaning nozzles 45a-45c. , Common pipes 46a to 46c, supply pipes 461a to 461c, suction pipes 462a to 462c, Y direction moving mechanism 48, and elevating mechanism 49.

액받이 세정 장치(4)는 도포 노즐(52a~52c)에서 토출되는 유기 EL 재료(도포액)를 포집하여 흡인하는 액받이부로서의 기능과, 도포 노즐(52a~52c)의 선단의 토출구를 세정하는 세정부로서의 기능을 겸비하는 장치이며,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에 대하여 -X방향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액받이부」에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액받이부(3)」 및 「액받이 세정 장치(4)」가 상당한다.The water receiving cleaning device 4 cleans the function as a water receiving unit for collecting and sucking the organic EL material (coating liquid) discharged from the application nozzles 52a to 52c and the discharge ports at the tips of the application nozzles 52a to 52c. It is an apparatus which has a function as a washing | cleaning part to make, and is arrange | positioned with respect to a board | substrate in-X direction with respect to a board | substrate. The "drip receiver 3" and "drip receiver cleaning device 4" in this embodiment correspond to the "drip receiver" in this invention.

액받이 세정 장치(4)에 있어서의 박스부(41), 접액 부재(42), 및, 배출부(43)는, 액받이부(3)에 있어서의 박스부(31), 접액 부재(32), 및, 배출부(33)에 대응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데, 노즐 세정을 위한 후술하는 각 요소와 일체화되어 있음에 의한 형상으로서의 일부 상이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공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평면에서 봐서 대략 T자형상의 접액 부재(42)의 하면에 접하고, 마찬가지로 평면에서 봐서 대략 T자형상으로 된 박스부(41)가 설치되어 있고, 박스부(41) 내의 내부 공간(L2)에는, 내부 공간(L2) 내의 공기 및 내부 공간(L2) 내에 적하되는 액체(예를 들면, 유기 EL 재료)를 흡인하는 배출부(43)(배출 배관)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박스부(41)는 저면의 일부에 경사 바닥을 가지고 있고, 그 경사 바닥은 하측 단 가장자리(41a)와 상측 단 가장자리(41b)에 의해서 규정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The box portion 41, the liquid contacting member 42, and the discharge portion 43 in the liquid receiving cleaning device 4 are the box portion 31 and the liquid contacting member 32 in the liquid receiving portion 3. And the discharge part 33, there are some differences as a shape by being integrated with each element described later for nozzle cleaning. Specifically, the box portion 41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antially T-shaped liquid contact member 42 in plan view made of a porous material and is similarly formed in an approximately T shape in plan view is provided, and the box portion 41 is formed. The inner space L2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ion 43 (discharge piping) that sucks air in the inner space L2 and a liquid (for example, an organic EL material) dropped in the inner space L2. . Moreover, the box part 41 has the inclined bottom in a part of a bottom face, and the inclined bottom becomes the inclined surface defined by the lower edge 41a and the upper edge 41b.

이러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액받이 세정 장치(4)는 액받이부(3)와 마찬가지로, 접액 부재(42)의 하면과 접해 있는 내부 공간(L2)이 부압이 되고, 그 상방에는 내부 공간(L2)을 향해 기류가 발생한다. 이 기류에 따라서, 접액한 도포액은 주위의 기체와 함께 급속하게 하면으로 흡인된다. 이 때문에, 접액 부재(42)의 상방 및 그 부근은 도포액의 부유 미스트가 존재하지 않고, 마른 상태로 되어 있다. 이 기류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In the liquid receiver cleaning device 4, like the liquid receiver 3, the inner space L2,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liquid contact member 42, becomes a negative pressure, and the inner space L2 ). &Lt; / RTI &gt; In accordance with this air flow, the coating liquid that has been contacted is rapidly drawn to the lower surface together with the surrounding gas. For this reason, the floating mist of the coating liquid does not exist in the upper part and the vicinity of the liquid contact member 42, and it is in a dry stat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airflow is mentioned later.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통 배관(46a~46c)은, 박스부(41)의 측면을 수평 방향으로, 그리고 접액 부재(42)를 연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공통 배관(46a~46c)의 상측의 단에는 세정 노즐(45a~45c)이 설치되어 있고, 공통 배관(46a~46c)의 하측의 단에는 공급 배관(461a~461c), 및, 흡인 배관(462a~462c)이 설치되어 있다. 공통 배관(46a~46c)의 명칭에 붙여진 「공통」이란, 공통 배관(46a~46c)이 세정액의 공급과 흡인의 공통의 경로 부분을 제공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common piping 46a-46c has the structure which penetrates the side surface of the box part 41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penetrates the liquid contact member 42 in a perpendicular direction. Cleaning nozzles 45a to 45c ar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common pipes 46a to 46c, and supply pipes 461a to 461c and the suction pipes ar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common pipes 46a to 46c. 462a to 462c) are provided. "Common" attached to the names of the common pipes 46a to 46c means that the common pipes 46a to 46c provide a common path portion for supplying and sucking the cleaning liquid.

또한, 도 5(a)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개의 세정 노즐(45a~45c)의 선단은, 이들 높이(Z축 방향에 관한 위치)가 동일하고, 수평 XY면 내에 있어서는 X축 방향으로 기운 경사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거의 직선적으로 1열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 관계는, 후술하는 도포 노즐(52a~52c)에 대해서도 동일하므로, 도포 노즐(52a~52c)과 함께 후단에서 설명한다.7A and 7, the tip ends of the three cleaning nozzles 45a to 45c have the same height (position in the Z-axis direction), and in the horizontal XY plane, In the direction of the slope incline, and are arranged almost linearly at equal intervals in one line. Since this arrangement relationship is the same also about coating nozzles 52a-52c mentioned later, it demonstrates with the coating nozzles 52a-52c in a later stage.

또한, 공급 배관(461a~461c)의 타단에는 세정액 공급 기구(예를 들면 공급 펌프 등)가 구비되어 있고, 흡인 배관(462a~462c)의 타단에는 흡인 기구(예를 들면 흡인 펌프 등)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공급 배관(461a~461c) 및 흡인 배관(462a~462c)에는 배관의 개도(開度)를 설정하는 밸브가 설치되어 있다(어느 것이나 도시 생략).The other end of the supply pipes 461a to 461c is provided with a cleaning liquid supply mechanism (e.g., a supply pump), and the other end of the suction pipes 462a to 462c is provided with a suction mechanism (e.g., a suction pump). It is. The supply pipes 461a to 461c and the suction pipes 462a to 462c are provided with a valve for set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pipe (any of which is not shown).

또한, 액받이 세정 장치(4)에는, Y방향 이동 기구(48) 및 승강 기구(49)가 설치되어 있고, 액받이 세정 장치(4)는 Y방향 및 Z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다. 이들 기구는, 액받이 세정 장치(4)를 이동시킬 수 있으면 충분하고, 예를 들면 실린더에 의한 이동 기구를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이동 기구에 의해서, 세정 시에는 도포 노즐(52a~52c)과 세정 노즐(45a~45c)이 대향하도록 이동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Y방향 이동 기구(48) 및 승강 기구(49)가, 액받이 세정 장치(4)를 구성하는 「액받이부」와「노즐 세정 장치」라는 쌍방을 일체적으로 이동시키는 일체적 이동 기구로서 기능한다.In addition, the dripping cleaning device 4 is provided with a Y-direction moving mechanism 48 and a lifting mechanism 49, and the dripping cleaning device 4 can move freely in the Y direction and the Z direction. These mechanisms are sufficient as long as the liquid receiving cleaning device 4 can be moved, and for example, a cylinder moving mechanism can be adopted. And by these moving mechanisms, the application | coating nozzles 52a-52c and the cleaning nozzles 45a-45c are moved so that at the time of washing | cleaning.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Y-direction moving mechanism 48 and the lifting mechanism 49 move both the "drip receiver" and the "nozzle cleaning device" that constitute the drip cleaning device 4 integrally. It functions as an integrated movement mechanism.

액받이 세정 장치(4)는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다음에 설명하는, 세정액 공급 처리 및 흡인 처리를 행할 수 있다.Since the drip-washing apparatus 4 is comprised as mentioned above, the washing | cleaning liquid supply process and the suction process which are demonstrated next can be performed.

밸브에 의해 흡인 배관(462a~462c)이 닫혀진 상태에서, 세정액 공급 기구에 의해 세정액의 공급을 행함으로써, 세정액은 공급 배관(461a~461c) 및 공통 배관(46a~46c)을 통과하여 세정 노즐(45a~45c)까지 공급된다. 이 때문에, 세정 노즐(45a~45c)과 도포 노즐(52a~52c)이 대향됨으로써, 세정 노즐(45a~45c)의 개구(45m)(도 5(b) 참조)로부터 용출된 세정액에 의해서, 도포 노즐(52a~52c)의 각각의 선단에 세정액을 공급할 수 있다(세정액 공급 처리).By supplying the cleaning liquid by the cleaning liquid supply mechanism while the suction pipes 462a to 462c are closed by the valve, the cleaning liquid passes through the supply piping 461a to 461c and the common pipes 46a to 46c, thereby cleaning the cleaning nozzle ( 45a to 45c). For this reason, the washing nozzles 45a to 45c and the application nozzles 52a to 52c face each other, and are applied by the washing liquid eluted from the opening 45m (see FIG. 5B) of the cleaning nozzles 45a to 45c. Washing liquid can be supplied to each front-end | tip of nozzle 52a-52c (washing liquid supply process).

또한, 세정액은, 예를 들면, 도포액이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용액인 경우, 당해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액체(당해 유기 용매의 순용매여도 된다)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도포액의 용매가 톨루엔이면, 세정액으로서 톨루엔을 이용하면 된다.In addition, when the coating liquid is a solution containing an organic solvent, for example, a liquid containing the organic solvent (the net solvent of the organic solvent may be appropriate) is preferable. Specifically, toluene may be used as the cleaning liquid as long as the solvent of the coating liquid is toluene.

또한, 밸브에 의해 공급 배관(461a~461c)이 닫혀진 상태에서 흡인 기구에 의해 흡인 동작을 행함으로써, 흡인 배관(462a~462c) 및 공통 배관(46a~46c)을 통하여, 세정 노즐(45a~45c) 부근의 세정액 등을 흡인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세정 노즐(45a~45c)과 도포 노즐(52a~52c)이 대향됨으로써, 도포 노즐(52a~52c) 주변의 기체, 액체(도포액이나 세정액), 및 파티클을 흡인 배관(462a~462c)을 통하여 흡인하여, 도시하지 않은 기액 분류 장치에 송출할 수 있다(흡인 처리). 또한, 이러한 흡인 처리에 의해서 도포 노즐(52a~52c)을 건조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performing the suction operation by the suction mechanism in a state where the supply pipes 461a to 461c are closed by the valve, the cleaning nozzles 45a to 45c through the suction pipes 462a to 462c and the common pipes 46a to 46c. ) And a cleaning liquid in the vicinity can be sucked. For this reason, the washing nozzles 45a to 45c and the application nozzles 52a to 52c face each other, so that the gas, liquid (coating solution or cleaning liquid), and particles around the application nozzles 52a to 52c are sucked up and the pipes 462a to 462c. ) And can be sent to a gas-liquid classification device (not shown) (suction treatment). Moreover, application | coating nozzles 52a-52c can be dried by such a suction process.

또한, 액받이 세정 장치(4)에 관한 동작(이동, 세정액 공급 처리, 흡인 처리 등)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도포 장치(1)에 있어서의 이들 각종 동작은 제어부(10)에 의해서 제어된다.In addition, the detail of the operation | movement (movement | movement, washing | cleaning liquid supply process, suction process, etc.) regarding the drip cleaning apparatus 4 is mentioned later. In addition, these various operations in the coating device 1 ar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0.

또한, 세정 노즐(45a~45c)의 선단에 형성된 개구(45m)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세정액을 상방에 방출 가능한 개구」에 상당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의 「노즐 세정 장치 내의 개구가, 액받이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고정 배치된다」는 것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세정 노즐(45a~45c)(더욱 상세하게는, 개구(45m))이, 액받이 세정 장치(4)의 액받이부에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고정 배치되는」것에 대응한다.In addition, the opening 45m formed in the front-end | tip of washing nozzle 45a-45c is corresponded to "an opening which can discharge a washing | cleaning liquid upward" in this invention.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n opening in a nozzle cleaning apparatus is relatively fixedly arranged with respect to a liquid receiving part"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cleaning nozzles 45a to 45c (more specifically, an opening ( 45m)) is relatively fixed to the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liquid receiver of the liquid receiver cleaning device 4 &quot;.

여기서, 액받이 세정 장치(4)의 구성에 대하여 정리한다. 도 1 및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받이 세정 장치(4)는 평면에서 봐서 대략 T자 형상을 하고 있는 상자 형상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액받이 세정 장치(4)의 T자의 가로획(─)에 상당하는 부분(도 5(a)의 B5-B5 단면에서 +Y방향의 부분)을 특히, 「액받이 세정 장치(4)의 액받이 블록(4a)」으로 칭하고, T자의 세로획(│)에 상당하는 부분(도 5의 B5-B5 단면에서 -Y방향의 부분)을 특히, 「액받이 세정 장치(4)의 세정 블록(4b)」으로 칭한다.Here, the structure of the liquid receiving washing | cleaning apparatus 4 is put together. As shown to FIG. 1 and FIG. 5 (a), the liquid receiving washing | cleaning apparatus 4 is a box shape which is substantially T-shaped from planar view.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portion (part in the + Y direction in the B5-B5 cross section in FIG. 5A) of the T-shaped stroke (−) of the drip cleaning device 4 is particularly referred to as “drip cleaning device ( 4), and the portion (part in the -Y direction in the cross section B5-B5 in Fig. 5)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stroke (│) of the T-shaped is particularly referred to as the "drip tray cleaning device 4". Cleaning block 4b ”.

또한, 액받이 블록(4a)과 세정 블록(4b)은, 액받이 세정 장치(4)의 2개의 부분을 개념적으로 구별하고 있는데 불과하고, 실제로는 이들을 사이를 가르는 부재 등도 없이 일체의 액받이 세정 장치(4)를 구성하고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drip block 4a and the washing block 4b conceptually distinguish two parts of the drip tray cleaning apparatus 4, in fact, the drip tray cleaning is carried out without the member etc. which separate them. The apparatus 4 is comprised.

액받이 블록(4a)의 주요 기능은, 액받이부(3)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액받이 기능이다. 따라서, 도포 노즐(52a~52c)이 유기 EL 재료를 토출하면서 -X방향을 따라서 기판(P)의 상방을 주사한 후, 그 주사를 위한 도포 노즐(52a~52c)의 이동을 지속함으로써, 도포 노즐(52a~52c)은 액받이 블록(4a)의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도포 노즐(52a~52c)의 하단에 있는 토출구와 접액 부재(42)가 대향하도록 액받이 블록(4a)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도포 노즐(52a~52c)로부터 토출되는 도포액은 액받이 블록(4a)의 접액 부재(42)의 상면에 접액한다.The main function of the liquid receiver block 4a is the liquid receiver function in the same manner as the configuration of the liquid receiver 3. Therefore, after the application nozzles 52a to 52c scan the upper portion of the substrate P along the -X direction while discharging the organic EL material, the application nozzles 52a to 52c continue the movement of the application nozzles 52a to 52c for the application. The nozzles 52a-52c are moved above the dripping block 4a. At this time, since the liquid receiving block 4a is disposed so that the discharge port at the lower end of the coating nozzles 52a to 52c and the liquid contact member 42 face each other, the coating liquid discharged from the coating nozzles 52a to 52c is a liquid receiving block. A liquid contact is mad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quid contact member 42 of (4a).

한편, 세정 블록(4b)은, 주로 도포 노즐(52a~52c)의 세정 기능을 가지는 구성이므로, 도포 노즐(52a~52c)의 세정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만, 세정 블록(4b)의 세정액 방출 기능 및 흡인 기능이 능동화된다.Since the cleaning block 4b has a cleaning function mainly for the application nozzles 52a to 52c, the cleaning block 4b is provided with the cleaning liquid discharge function and the cleaning liquid discharge function of the cleaning block 4b only when the cleaning nozzles 52a to 52c are cleaned. The suction function is activated.

이 경우, Y방향 이동 기구(48) 및 승강 기구(49)에 의해서, 액받이 블록(4a)의 상방에 있는 도포 노즐(52a~52c)의 각 토출구가 세정 노즐(45a~45c)(세정 블록(4b))의 각각의 개구(45m)의 거의 바로 위에 오도록, 액받이 세정 장치(4)가 이동되고, 상술한 세정액 공급 처리 및 흡인 처리가 행해진다.In this case, each discharge port of the application nozzles 52a to 52c above the liquid receiving block 4a is flushed with the cleaning nozzles 45a to 45c by the Y-direction moving mechanism 48 and the lifting mechanism 49. The liquid receiving cleaning device 4 is moved so as to be almost immediately above each of the openings 45m of (4b), and the above-described cleaning solution supply processing and suction processing are performed.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액받이 세정 장치(4)에서는, 도포 노즐(52a~52c)로부터 유기 EL 재료가 토출되는 기간에 있어서나, 토출되지 않는 기간에 있어서도, 도포 노즐(52a~52c)에 대해서 상기 세정액 공급 처리 및 흡인 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liquid-phase-under-scrubbing apparatus 4 of the present embodiment, even in the period in which the organic EL material is discharged from the dispensing nozzles 52a to 52c, or in the dispensation period, the dispensing nozzles 52a to 52c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cleaning liquid supply processing and the suction processing.

<1.2.4 유기 EL 도포 기구(5)의 구성>&Lt; 1.2.4 Configuration of Organic EL Coating Mechanism (5) >

유기 EL 도포 기구(5)에 대하여, 주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유기 EL 도포 기구(5)는, 노즐 유닛(50)과 노즐 이동 기구(51)를 가지고 있다.The organic EL coating mechanism 5 will be main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The organic EL application mechanism 5 has a nozzle unit 50 and a nozzle movement mechanism 51.

노즐 유닛(50)은,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어느 1색의 유기 EL 재료를 토출하는 복수의 도포 노즐(52)(도 1에서는, 3개의 도포 노즐(52a, 52b, 및 52c))을 나란히 설치한 상태로 유지한다.The nozzle unit 50 uses a plurality of coating nozzles 52 (three coating nozzles 52a, 52b, and 52c in FIG. 1) that discharge organic EL materials of any one of red, green, and blue colors. Keep them installed side by side.

각 도포 노즐(52a~52c)로는, 각각 도시하지 않은 공급부로부터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어느 1색의 유기 EL 재료가 공급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도포 노즐(52)로부터 같은 색의 유기 EL 재료가 토출되는데, 설명을 구체적으로 하기 위해서 적색의 유기 EL 재료가 3개의 도포 노즐(52a~52c)로부터 토출되는 예를 이용한다.Each of the coating nozzles 52a to 52c is supplied with an organic EL material of any one color of red, green, and blue from a supply unit not shown, respectively. Thus, although the organic EL material of the same color is discharged from the some application | coating nozzle 52, the example in which red organic EL material is discharged from three application | coating nozzles 52a-52c is used for the specific description.

도포 노즐(52a~52c)은, 그 높이(Z축 방향에 관한 위치)는 동일하고, X축 방향을 따라서 거의 1열로 배치되어 있는데, Y축 방향에 관해서 조금씩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노즐 피치(각 노즐 간의 Y방향의 간격)는,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데,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기판(P)에 형성된 스트라이프형상의 홈 3열분의 간격과 일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 관계는, 상술한 세정 노즐(45a~45c)과 동일하다.The coating nozzles 52a to 52c have the same height (positions in the Z-axis direction) and are arranged in almost one row along the X-axis direction, but are arranged slightly shifted with respect to the Y-axis direction. In addition, although a nozzle pitch (interval in the Y direction between each nozzle) can be set suitably, in this embodiment, it is set so that it may correspond with the space | interval of 3 rows of stripe grooves formed in the board | substrate P. As shown in FIG. This arrangement relationship is the same as the cleaning nozzles 45a to 45c described above.

노즐 이동 기구(51)는, 도시하는 X축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는 샤프트 가이드(511) 및 볼 나사(512)와,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의해 구성된다. 노즐 유닛(50)에는, 볼 나사(512)가 나사 결합되고, 샤프트 가이드(511)가 관통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의해, 볼 나사가 회전되면, 이와 나사 결합되는 노즐 유닛(50)은 가이드 샤프트를 따라서, X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한다.The nozzle moving mechanism 51 is constituted by a shaft guide 511 and a ball screw 512 extended in the illustrated X-axis direction, and a motor (not shown). The ball screw 512 is screwed to the nozzle unit 50, and the shaft guide 511 penetrates. For this reason, when a ball screw rotates by the motor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the nozzle unit 50 screwed with this moves freely along a guide shaft to a X direction.

따라서, 제어부(10)가, 도포 노즐(52a~52c)로부터 유기 EL 재료를 도포시키면서, 노즐 유닛(50)을 X축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키도록 노즐 이동 기구(51)를 제어함으로써, 스테이지(21) 상에 유지되는 기판(P)의 홈에, 도포 노즐(52a~52c)로부터 소정 유량의 유기 EL 재료를 토출시킨다. 이때, 본 실시 형태의 도포 장치(1)에서는, 도포 노즐(52a~52c)의 피치가 기판(P)의 홈 3열분과 일치하기 때문에, 서로 2열씩 간격을 둔 3열분의 홈에 대하여 도포가 행해진다.Therefore, the control unit 10 controls the nozzle moving mechanism 51 to move the nozzle unit 50 along the X-axis direction while applying the organic EL material from the coating nozzles 52a to 52c, thereby providing a stage 21. ), The organic EL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flow rate is discharged from the coating nozzles 52a to 52c in the groove of the substrate P held on the substrate P. FIG. At this time, in the coating devic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pitch of the coating nozzles 52a to 52c coincides with three rows of grooves of the substrate P, the coating is applied to three rows of grooves spaced two rows apart from each other. Is done.

또한, 도포 노즐(52a~52c)의 X축 방향 토출 위치에 있어서, 스테이지(21)에 재치된 기판(P)으로부터 일탈하는 양 사이드의 공간에는, 기판(P)으로부터 벗어나 토출된 유기 EL 재료를 받는 액받이부(3)(+X측) 및 액받이 세정 장치(4)(-X측)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노즐 이동 기구(51)는, 기판(P)의 한쪽 사이드 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액받이부(3)(혹은, 액받이 세정 장치(4))의 상부 공간으로부터, 기판(P)을 횡단하여 기판(P)의 다른 쪽 사이드 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액받이 세정 장치(4)(혹은, 액받이부(3))의 상부 공간까지, 노즐 유닛(50)을 이동시킴으로써, 기판(P) 상에 유기 EL 재료를 도포한다. 또한, 상기 「기판(P)으로부터 일탈하는 양 사이드의 공간」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기판의 존재 영역 외」에 상당한다.In addition, in the X-axis-discharge position of the coating nozzles 52a to 52c, the organic EL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substrate P is discharged into spaces on both sides deviating from the substrate P mounted on the stage 21. The receiving liquid receiving part 3 (+ X side) and the receiving liquid washing | cleaning apparatus 4 (-X side) are provided, respectively. The nozzle movement mechanism 51 traverses the substrate P from the upper space of the liquid receiver 3 (or the liquid receiver cleaning device 4) provided outside one side of the substrate P. The nozzle unit 50 is moved to the upper space of the drip cleaning device 4 (or the drip tray 3) provided outside the other side of the P, so that the organic matter is transferred to the substrate P. Apply EL material. In addition, said "space of both sides deviating from the board | substrate P" is corresponded to "outside the presence area of a board | substrate" in this invention.

또한, 평행 이동 테이블(23)은, 노즐 유닛(50)이 액받이부(3)의 상부 공간에 배치되어 있을 때, 노즐 왕복 이동 방향과는 수직의 소정 방향(도시하는 Y축 방향)으로 소정 피치(예를 들면, 노즐 피치의 3배분)만큼 스테이지(21)를 이동시킨다. 이러한 노즐 이동 기구(51) 및 평행 이동 테이블(23)의 동작과, 도포 노즐(52a~52c)로부터 유기 EL 재료를 액기둥 상태로 토출하는 토출 동작을 행함으로써, 적색의 유기 EL 재료가 기판(P)에 형성된 스트라이프형상의 홈마다 배열된, 이른바, 스트라이프 배열이 기판(P) 상에 형성된다.In addition, when the nozzle unit 50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upper space of the liquid receiving part 3, the parallel movement table 23 is predetermined in the predetermined direction (Y-axis direction shown) perpendicular | vertical to a nozzle reciprocation movement direction. The stage 21 is moved by a pitch (for example, three times the nozzle pitch). By performing the operation | movement of such a nozzle movement mechanism 51 and the parallel movement table 23, and the discharge operation which discharges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 from a coating nozzle 52a-52c in a liquid column state, a red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 becomes a board | substrate ( A so-called stripe arrangement, arranged for each stripe groove formed in P), is formed on the substrate P. FIG.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도포 장치(1)에는, 기판 상에 도포해야 할 패턴에 대응하여 도포 노즐(45a~45c)의 Y축 방향의 피치를 개별적으로 조정하는 기구를 구비해도 된다. 이러한 피치 조정의 기구로는, 피치 조정 기구(일본국 특허공개 2008-155138호 공보) 등 다양한 피치 조정의 기구를 채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ating apparatus 1 of this embodiment may be equipped with the mechanism which adjusts the pitch of the coating nozzle 45a-45c of the Y-axis direction individually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to apply on a board | substrate. As such a pitch adjustment mechanism, various pitch adjustment mechanisms such as a pitch adjustment mechanism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8-155138) can be adopted.

<1.2.5 제어부(10)의 구성><1.2.5 Configuration of Control Unit 10>

도 8은, 도포 장치(1)의 전기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electrical configuration of the coating device 1.

제어부(10)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CPU(11), ROM(12), RAM(13), 기억 장치(14) 등이, 버스 라인(15)을 통하여 상호 접속된 일반적인 컴퓨터에 의해서 구성된다. ROM(12)은 기본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고 있고, RAM(13)은 CPU(11)가 소정의 처리를 행할 때의 작업 영역으로서 제공된다. 기억 장치(14)는, 플래쉬 메모리, 혹은, 하드 디스크 장치 등의 불휘발성 기억 장치에 의해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8, the control unit 10 includes, for example, a CPU 11, a ROM 12, a RAM 13, a storage device 14, and the like, interconnected via a bus line 15. It is configured by a normal computer. The ROM 12 stores a basic program and the like, and the RAM 13 is provided as a work area when the CPU 11 performs a predetermined process. The memory device 14 is constituted by a nonvolatile memory device such as a flash memory or a hard disk device.

또한, 제어부(10)에서는, 입력부(16) 및 출력부(17)도 버스 라인(15)에 접속되어 있다. 입력부(16)에서는, 각종 스위치, 터치 패널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오퍼레이터(도포 장치(1)를 조작하는 작업자)로부터 처리 레시피 등의 각종 입력 설정 지시를 받는다. 출력부(17)는, 액정 표시 장치, 램프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CPU(11)에 의한 제어 하에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In the control unit 10, the input unit 16 and the output unit 17 are also connected to the bus line 15. The input part 16 is comprised by various switches, a touch panel, etc., and receives various input setting instructions, such as a process recipe, from an operator (an operator who operates the application apparatus 1). The output part 17 is comprised by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 lamp, etc., and displays various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by CPU11.

또한, 제어부(10)에는, 기판 재치 장치(2), 액받이부(3), 액받이 세정 장치(4), 유기 EL 도포 기구(5)가 제어 대상으로서 접속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제어부(10)에 의해서, 도포 장치(1) 내의 각 장치(기판 재치 장치(2), 액받이부(3), 액받이 세정 장치(4), 유기 EL 도포 기구(5))의 동작이 제어된다.Moreover, the board | substrate mounting apparatus 2, the liquid receiving part 3, the liquid receiving cleaning apparatus 4, and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application | coating mechanism 5 are connected to the control part 10 as a control object. Since it is comprised as mentioned above, by the control part 10, each apparatus (substrate mounting apparatus 2, the liquid receiving part 3, the liquid receiving cleaning device 4,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application | coating mechanism) in the coating device 1 is carried out. The operation of (5) is controlled.

<2.1 도포 장치(1)의 전체 동작><2.1 overall operation of the coating device 1>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도포 장치(1)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9는, 도포 장치(1)에 있어서 1매의 기판(P)에 유기 EL 재료의 도포 처리가 행해질 때의 공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도 9를 참조하면서 도포 장치(1)의 도포 처리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operation | movement of the coating device 1 comprised as mentioned above is demonstrated.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tep when a coating treatment of an organic EL material is performed on one substrate P in the coating apparatus 1. Hereinafter, the outline | summary of the application | coating process of the coating device 1 is demonstrated, referring FIG.

도포 장치(1)에 있어서의 도포 처리의 대상이 되는 기판(P)은, 도시하지 않은 반송 로봇 등에 의해서 도포 장치(1)에 반입되어 스테이지(21) 상에 재치된다. 이때, 기판(P)은, 유기 EL 발광 셀의 열을 규정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홈이 X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되도록 재치된다(단계 ST1). 도포 장치(1)에 반입되는 기판(P)에는, 유기 EL 발광 셀용의 양극 및 정공 수송층이 이미 형성되어 있다.The board | substrate P used as the object of the application | coating process in the coating device 1 is carried in to the coating device 1 with the conveyance robot etc. which are not shown in figure, and are mounted on the stage 21. At this time, the substrate P is placed so that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to define the rows of the organic EL light emitting cells are parallel to the X-axis direction (step ST1). The anode P and the hole transport layer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cell are already formed in the board | substrate P carried in to the coating device 1.

도포 장치(1)에 반입된 기판(P)이 스테이지(21)에 고정되면, 제어부(10)는, 액받이 세정 장치(4), 스테이지(21), 및, 도포 노즐 유닛(50)을 초기 위치로 이동시킨다(단계 ST2). 구체적으로, 제어부(10)는, Y방향 이동 기구(48) 및 승강 기구(49)에 의해서, 액받이 세정 장치(4)의 액받이 블록(4a)이 액받이부(3)와 동일한 Y방향 위치 및 Z방향 위치가 되도록, 액받이 세정 장치(4)의 전체를 이동시킨다.When the board | substrate P carried in the coating device 1 is fixed to the stage 21, the control part 10 initializes the liquid receiving cleaning apparatus 4, the stage 21, and the coating nozzle unit 50. To the position (step ST2).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0 uses the Y-direction moving mechanism 48 and the lifting mechanism 49 in the Y-direction in which the water receiving block 4a of the water receiving cleaning device 4 is the same as the water receiving unit 3. The entire liquid receiving cleaning device 4 is moved to be in the position and the Z direction position.

또한, 미리 정해진 초기 위치에 스테이지(21)를 기판(P)마다 이동시킴과 더불어, 노즐 이동 기구(51)(샤프트 가이드(511), 볼 나사(512))의 일단에 도포 노즐 유닛(50)을 이동시킨다. 이 때, 노즐 유닛(50)은, 액받이부(3)의 상방(+X측의 일단)이나 액받이 세정 장치(4)의 액받이 블록(4a)의 상방(-X측의 일단)이나 어느 한쪽으로 이동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노즐 유닛(50)의 초기 위치가 액받이부(3)의 상방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Further, the stage 21 is moved for each substrate P at a predetermined initial position, and the coating nozzle unit 50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nozzle moving mechanism 51 (shaft guide 511 and ball screw 512). Move it. At this time, the nozzle unit 50 is located above the liquid receiver 3 (one end on the + X side) or above the liquid receiver block 4a of the liquid receiver cleaning device 4 (one end on the -X side). Is moved to one sid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case where the initial position of the nozzle unit 50 is above the liquid receiving part 3 is demonstrated.

또한, 스테이지(21)의 초기 위치는, 기판(P)에 있어서 Y축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된 복수 개의 홈 중 가장 Y축 정방향측에 있는 홈의 바로 위에 도포 노즐(52c)(각 도포 노즐(52a~52c) 중에서 가장 Y축 정방향측에 있는 도포 노즐)이 위치하는 위치이다. 이상과 같이 액받이 세정 장치(4), 스테이지(21), 및, 도포 노즐 유닛(50)이 초기 위치에 배치되면, 제어부(10)는 도포 노즐(52a~52c)로부터 유기 EL 재료의 토출을 개시한다(단계 ST3).Moreover, the initial position of the stage 21 is the application | coating nozzle 52c (each application nozzle 52a-each in the board | substrate P just above the groove located in the most Y-axis forward direction side among the some groove | channel formed in the Y-axis direction). 52c) is the position where the coating nozzle in the Y-axis forward direction side is located mos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liquid receiving cleaning device 4, the stage 21, and the application nozzle unit 50 are disposed at the initial position, the control unit 10 discharges the organic EL material from the application nozzles 52a to 52c. It starts (step ST3).

도포 노즐 유닛(50)의 각 도포 노즐(52a~52c)로부터 적색의 유기 EL 재료가 토출됨과 더불어, 도포 노즐 유닛(50)이 노즐 이동 기구(51)(샤프트 가이드(511), 볼 나사(512))의 일단(액받이부(3)의 상방)으로부터 타단(액받이 블록(4a)의 상방)으로 이동한다(단계 ST4). 이 단계 ST4의 공정을, 이하 「1회의 도포 동작(주주사)」으로 칭한다.While the red organic EL material is discharged from each of the coating nozzles 52a to 52c of the coating nozzle unit 50, the coating nozzle unit 50 performs the nozzle movement mechanism 51 (shaft guide 511 and the ball screw 512). )) And the other end (above the dripping block 4a) from one end (above the dripping tray 3) (step ST4). The process of this step ST4 is called "one application | coating operation (main scanning)" below.

또한, 상술과 같이, 각 도포 노즐(52a~52c)의 Y축 방향의 피치는 기판(P)에 형성된 홈 3열분의 간격과 일치한다. 이 때문에, 1회의 도포 동작에 있어서는, 기판(P)에 대하여 2열마다 간격을 두고 3열의 홈에 대하여 유기 EL 재료의 직선형상의 도포가 행해진다.In addition, as mentioned above, the pitch of the application | coating nozzles 52a-52c in the Y-axis direction is equal to the space | interval of 3 rows of groove | channels provided in the board | substrate P. As shown in FIG. For this reason, in one application | coating operation | movement, linear application | coating of an organic EL material is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groove | channel of 3 rows at intervals every 2 rows with respect to the board | substrate P. FIG.

1회의 도포 동작이 종료하면, 노즐 유닛(50)은 액받이 세정 장치(4)의 액받이 블록(4a)의 상방에서 유기 EL 재료의 토출을 행하면서 대기한다. 이 때, 접액 부재(43)의 상면에 유기 EL 재료가 접액되는데, 상술한 것처럼 배출부(43)에 의한 흡인이 행해지고 있으므로, 접액 부재(43)의 상면에 토출되는 유기 EL 재료는, 박스부(41)를 통과하여 배출부(43)에서 배출된다.When one application | coating operation | movement is complete | finished, the nozzle unit 50 waits, performing discharge of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 above the dripping block 4a of the drip receiving apparatus 4. At this time, the organic EL material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liquid contact member 43. Since the suction by the discharge portion 43 is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organic EL material discharg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iquid contact member 43 is a box portion. Passed through 41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ion (43).

또한, 이와 같이 노즐 유닛(50)이 대기하고 있는 동안에, 스테이지 이동 기구(26)에 의해서 소정 피치(예를 들면, 노즐 피치의 3배분)만큼 스테이지(21)를 +Y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 결과, 스테이지(21) 상에 재치되는 기판(P)도 +Y방향으로 이동된다(단계 ST5). 이 단계 ST5의 공정을, 이하 「1회의 기판 이송 동작(부주사)」으로 칭한다. 노즐 피치는 기판(P)의 3열분의 홈 간격이므로, 1회의 기판 이송 동작에서는 홈 9열분만큼 기판(P)이 +Y방향으로 이동된다.In addition, while the nozzle unit 50 is waiting in this manner, the stage moving mechanism 26 moves the stage 21 in the + Y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pitch (for example, three times the nozzle pitch). As a result, the substrate P placed on the stage 21 is also moved in the + Y direction (step ST5). The process of this step ST5 is called "one substrate transfer operation (sub scanning)" below. Since the nozzle pitch is a groove spacing for three rows of the substrate P, the substrate P is moved in the + Y direction by nine rows of grooves in one substrate transfer operation.

그리고 이와 같이, 노즐 유닛(50)이 액받이 블록(4a)의 상방에 대기하고 있는 타이밍에서는, 도포 노즐(52a~52c)의 세정 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 세정 처리의 공정(단계 ST6, 단계 ST7)에 대해서는, 후술하므로, 단계 ST6의 분기에서 NO로 진행된 경우(세정 처리를 행하지 않은 경우)에 대하여 설명을 계속한다.And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washing | cleaning process of application | coating nozzles 52a-52c at the timing which the nozzle unit 50 waits above the dripping block 4a. Since the process (step ST6, step ST7) of these washing | cleaning processes is mentioned later, the case where it progressed to NO in the branch of step ST6 (when the washing process is not performed) is continued.

단계 ST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포 처리가 종료한 경우에는 유기 EL 재료의 토출이 정지되고, 도포 처리가 종료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T4로 이행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1회의 도포 동작과, 상기 1회의 이송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기판(P)에 대한 도포가 3열씩 행해진다. 이에 따라, 기판(P)에 유기 EL 재료가 3열의 스트라이프형상으로 도포된다.As shown in step ST8, when the coating process is finished, the discharge of the organic EL material is stopped, and when the coating process is not finish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T4. As a result, application | coating to the board | substrate P is performed by three rows by repeating the said one application | coating operation | movement and the said one conveyance operation | movement. Thereby, the organic EL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bstrate P in three rows of stripes.

1회의 도포 동작 및 1회의 이송 동작은, 기판(P)의 유효 영역(홈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에 대하여 유기 EL 재료가 도포되기까지 행해진다. 또한, 이 시점에서는, X축 방향에 관해서는 기판(P)의 유효 영역 이외의 부분에 대해서도 유기 EL 재료가 도포되는데, 유효 영역 이외의 영역에 도포된 유기 EL 재료는, 후술하는 제거 처리에 의해서 제거된다. 이상에 의해, 도포 노즐(52a~52c)에 의한 유기 EL 재료의 토출이 종료된다(단계 ST9).One application | coating operation | movement and one conveyance operation | movement are performed until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s apply | coated to the effective area | region (region in which the groove | channel is formed) of the board | substrate P. FIG. At this point in time, the organic EL material is also applied to portions other than the effective region of the substrate P with respect to the X-axis direction. The organic EL material applied to the regions other than the effective region is subjected to the removal process described later. Removed. The discharge of the organic EL material by the coating nozzles 52a to 52c is completed by the above (step ST9).

또한, 도포 장치(1)에 있어서의 도포 처리가 완료된 기판(P)은, 도시하지 않은 반송 로봇에 의해 도포 장치(1)로부터 반출된다(단계 ST10). 반출된 기판(P)에 대해서는, 기판(P)의 유효 영역 이외의 영역에 부착된 유기 EL 재료가 제거된다. 제거 처리는, 기판(P) 상의 유기 EL 재료를 제거하는 방법이면 어떠한 방법이어도 되고, 예를 들면, 레이저 어블레이션에 의해서 유기 EL 재료를 제거하는 방법이어도 되고, 제거 영역에 미리 마스킹 테이프를 붙여 두는 방법이어도 된다. 그리고 제거 처리가 완료된 기판(P)에 대하여 건조 처리(베이크 처리)가 행해진다.In addition, the board | substrate P with which the coating process in the coating device 1 was completed is carried out from the coating device 1 by the carrier robot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step ST10). With respect to the board | substrate P carried out, the organic EL material adhering to the area | regions other than the effective area of the board | substrate P is removed. The removal treatment may be any method as long as it is a method of removing the organic EL material on the substrate P. For example, the removal process may be a method of removing the organic EL material by laser ablation, and attaching a masking tape to the removal region in advance. It may be a method. And drying process (baking process) is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board | substrate P with which the removal process was completed.

이상에 의해, 적색의 유기 EL 재료에 대하여 도포·건조 처리가 완료되게 된다. 이 후, 기판(P)에 대해서는, 적색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녹색 및 청색의 유기 EL 재료에 대하여 도포·건조 처리가 행해진다. 즉, 녹색의 유기 EL 재료를 도포하는 처리, 도포된 녹색의 유기 EL 재료를 건조시키는 처리, 청색의 유기 EL 재료를 도포하는 처리, 및, 도포된 청색의 유기 EL 재료를 건조시키는 처리가 순서대로 행해진다. 이와 같이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유기 EL 재료에 대하여 도포·건조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유기 EL 표시 장치의 발광층이 형성된다. 또한, 발광층이 형성된 기판에 대하여 예를 들면 진공 증착법에 의해 음극 전극이 발광층 상에 형성됨으로써, 유기 EL 표시 장치가 제조된다.By the above, application | coating and drying process are completed with respect to the red organic EL material. Then, about the board | substrate P, application | coating and drying process are performed with respect to green and blue organic EL material similarly to the case of red. That is, a process of applying a green organic EL material, a process of drying a coated green organic EL material, a process of applying a blue organic EL material, and a process of drying a coated blue organic EL material are performed in this order Is done. Thus, the application | coating and drying process are performed with respect to red, green, and blue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 and the light emitting layer of a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is formed. In addition, the cathode electrode is formed on the light emitting layer by, for example, a vacuum deposition method, on the substrate on which the light emitting layer is formed, thereby producing an organic EL display device.

<2.2 세정 처리의 동작>2.2 Operation of Cleaning Process

다음에, 세정 시에 있어서의 도포 장치(1)의 동작(세정 동작)을 설명한다. 도 10은, 도포 장치(1)의 세정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또한, 도 10에 도시하는 세정 동작은, 도포 장치에 의한 1일 작업의 개시 전 또는 종료 후에 행해져도 되고, 소정 매수의 기판에 대한 도포 처리가 종료할 때마다 행해져도 되고, 소정 시간 간격으로 행해져도 된다. 또한, 도 9의 단계 ST6 및 단계 ST7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1매의 기판(P)의 도포 처리의 한창 중에 행해져도 된다. 또한, 도포 장치(1)의 메인티넌스 후 등, 각 도포 노즐(52a~52c)로부터 토출을 재개하는 경우에 행해져도 된다.Next, the operation (washing operation) of the coating device 1 at the time of washing | cleaning is demonstrated. 10 is a flowchart showing the flow of the cleaning operation of the coating device 1. In addition, the washing | cleaning operation shown in FIG. 10 may be performed before the start of a daily operation | work by an application | coating device, or after completion | finish, may be performed every time the application | coating process with respect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board | substrates is complete, and is perform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You may also In addition, as shown in step ST6 and step ST7 of FIG. 9, you may perform in the middle of the coating process of one board | substrate P. FIG. In addition, you may perform when discharge is restarted from each application | coating nozzles 52a-52c, such as after maintenance of the application | coating apparatus 1, and so on.

또한, 세정 동작은, 작업자에 의해서 수동으로 제어부(10)에 지시된 것에 따라 개시되어도 되고, 소정의 조건에 따라서 제어부(10)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개시되도록 해도 된다.In addition, the washing | cleaning operation may be started by what was manually instruct | indicated by the operator to the control part 10, and may be automatically started by the control part 10 according to predetermined conditions.

세정 동작에 있어서는, 우선, 노즐 유닛(50)은, 각 도포 노즐(52a~52c)과 각 세정 노즐(45a~45c)의 X방향 위치가 대응하도록, 노즐 이동 기구(51)에 의해서 액받이 세정 장치(4)의 상방으로 이동한다(도 10:단계 ST11).In the washing operation, first, the nozzle unit 50 washes the liquid by the nozzle moving mechanism 51 so that the X-direction positions of the respective application nozzles 52a to 52c and the cleaning nozzles 45a to 45c correspond. It moves upward of the apparatus 4 (FIG. 10: step ST11).

이때, 액받이 세정 장치(4)는 상술한 초기 위치에 있으므로, 노즐 이동 기구(51)는 액받이 세정 장치(4)의 액받이 블록(4a)의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이 액받이 세정 장치(4)의 초기 위치를 위치 P1으로 칭한다. 위치 P1에서의 노즐 유닛(50)과 액받이 세정 장치(4)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도 11(a)에 나타낸다. 또한, 도 11(a)~(e)는 액받이 세정 장치(4)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므로, 배출부(43) 등은 적절히 생략하고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drip cleaning device 4 is in the initial position described above, the nozzle moving mechanism 51 is positioned above the dripping block 4a of the dripping cleaning device 4.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initial position of this drip cleaning apparatus 4 is called position P1.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nozzle unit 50 and the liquid receiving cleaning device 4 at the position P1 is shown in Fig. 11A. In addition, since FIG.11 (a)-(e) is a figure explaining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with the drip cleaning apparatus 4, the discharge part 43 etc. are abbreviate | omitted suitably.

다음에, 승강 기구(49)에 의해서, 도포 노즐(52a~52c)의 최하면에서 세정 노즐(45a~45c)의 최상면이 낮아지기까지, 액받이 세정 장치(4)가 하강한다(단계 ST12). 이는, 다음 공정인 단계 ST13에 있어서, 도포 노즐(52a~52c)과 세정 노즐(45a~45c)이 충돌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단계 ST12 직후의 액받이 세정 장치(4)의 위치를 위치 P2로 칭한다. 또한, 도 11(b)에는, 위치 P2에서의 노즐 유닛(50)과 액받이 세정 장치(4)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나타나 있다.Next, the liquid receiving apparatus 4 descends by the elevating mechanism 49 until the uppermost surface of the cleaning nozzles 45a to 45c is lowered from the lowermost surfaces of the application nozzles 52a to 52c (step ST12). This is to prevent the coating nozzles 52a to 52c from colliding with the cleaning nozzles 45a to 45c in the next step ST13.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position of the liquid receiving cleaning device 4 immediately after step ST12 is referred to as position P2. 11B,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nozzle unit 50 and the liquid receiving cleaning device 4 at the position P2 is shown.

다음에, Y방향 이동 기구(48)에 의해, 각 도포 노즐(52a~52c)의 바로 아래에 각 세정 노즐(45a~45c)이 위치하기까지, 액받이 세정 장치(4)가 +Y방향으로 이동한다(단계 ST13). 이 결과, 도 1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도포 노즐(52a~52c)과, 액받이 세정 장치(4)의 세정 블록(4b)에 있는 각 세정 노즐(45a~45c)이 대향하여 접근한 상태로 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단계 ST13 직후의 액받이 세정 장치(4)의 위치를 위치 P3으로 칭한다. 또한, 도 11(c)에는, 위치 P3에서의 노즐 유닛(50)과 액받이 세정 장치(4)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나타나 있다.Subsequently, the liquid receiving cleaning device 4 moves in the + Y direction until the cleaning nozzles 45a to 45c are positioned directly under the respective application nozzles 52a to 52c by the Y-direction moving mechanism 48. (Step ST13). As a result, as shown to FIG. 11 (c), each application | coating nozzle 52a-52c and each washing | cleaning nozzle 45a-45c in the washing | cleaning block 4b of the liquid receiving washing | cleaning apparatus 4 oppose and approach. It is in a stat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position of the liquid receiving cleaning device 4 immediately after step ST13 is referred to as position P3. 11C shows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nozzle unit 50 and the liquid receiving cleaning device 4 at the position P3.

액받이 세정 장치(4)가 위치 P3으로 이동하면, 우선, 상술한 흡인 처리가 행해진다(단계 ST14). 즉, 밸브에 의해 공급 배관(461a~461c)이 닫혀진 상태에서 흡인 기구에 의해 흡인 동작을 행함으로써, 공통 배관(46a~46c) 및 흡인 배관(462a~462c)을 통하여, 세정 노즐(45a~45c) 부근의 흡인이 행해진다.When the drip cleaning apparatus 4 moves to the position P3, the above-mentioned suction process is performed first (step ST14). That is, by performing the suction operation by the suction mechanism in a state where the supply pipes 461a to 461c are closed by the valve, the cleaning nozzles 45a to 45c through the common pipes 46a to 46c and the suction pipes 462a to 462c. ) Suction is performed.

이 때, 도 1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세정 노즐(45a~45c)은 각 도포 노즐(52a~52c)에 대향하고 있으므로, 도포 노즐(52a~52c) 주변의 기체, 도포액, 및 파티클을 흡인할 수 있다(흡인 처리). 이하에서는, 이 단계 ST14에서의 흡인 처리(세정액 공급 처리 전에 행해지는 흡인 처리)를 제1의 흡인 처리로 칭한다. 제1의 흡인 처리 종료의 타이밍에 대해서는, 작업자에 의해서 수동으로 제어부(10)에 지시된 것에 따라 처리가 종료되어도 되고, 미리 정한 흡인 처리 시간의 경과에 의해서 처리가 종료되도록 해도 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11 (c), since each washing nozzle 45a-45c opposes each coating nozzle 52a-52c, the gas, coating liquid, and the surroundings of the coating nozzle 52a-52c, and Particles can be attracted (suction treatment). Below, the suction process (suction process performed before washing liquid supply process) in this step ST14 is called 1st suction process. As for the timing of the end of the first suction processing, the processing may be terminated as manually instructed by the operator to the control unit 10, or the processing may be terminated by the passage of a predetermined suction processing time.

제1의 흡인 처리(단계 ST14)가 종료되면, 상술한 세정액 공급 처리가 행해진다(단계 ST15). 즉, 밸브에 의해 흡인 배관(462a~462c)이 닫혀진 상태에서, 세정액 공급 기구에 의해 세정액의 공급을 행함으로써, 세정액은 공급 배관(461a~461c) 및 공통 배관(46a~46c)을 통과하여 세정 노즐(45a~45c)까지 공급된다.When the first suction process (step ST14) is completed, the above-described cleaning liquid supply process is performed (step ST15). That is, by supplying the cleaning liquid by the cleaning liquid supply mechanism in a state where the suction pipes 462a to 462c are closed by the valve, the cleaning liquid passes through the supply piping 461a to 461c and the common piping 46a to 46c to clean it. It supplies to the nozzles 45a-45c.

이때, 도 1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세정 노즐(45a~45c)은 각 도포 노즐(52a~52c)에 대향하고 있으므로, 세정 노즐(45a~45c)(더욱 상세하게는 개구(45m))로부터 용출된 세정액에 의해서, 도포 노즐(52a~52c)에 세정액을 공급할 수 있다(세정액 공급 처리). 세정액 공급 처리의 종료 타이밍에 대해서도, 제1의 흡인 처리의 종료 타이밍과 마찬가지로, 작업자에 의해서 결정되어도 되고, 미리 정해져 있어도 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11 (c), since each washing nozzle 45a-45c opposes each application | coating nozzle 52a-52c, washing nozzle 45a-45c (more specifically, opening 45m) Cleaning liquid can be supplied to application | coating nozzles 52a-52c by the cleaning liquid eluted from (Cleaning liquid supply process). The timing of ending the cleaning liquid supply process may be determined by an operator or may be determined in advance, similarly to the timing of ending the first suction process.

세정액 공급 처리가 종료하면, 상술한 흡인 처리가 행해진다(단계 ST16). 즉, 밸브에 의해 공급 배관(461a~461c)이 닫혀진 상태에서 흡인 기구에 의해 흡인 처리를 행함으로써, 공통 배관(46a~46c) 및 흡인 배관(462a~462c)을 통하여, 세정 노즐(45a~45c) 주변의 기체, 액체(세정액이나 도포액 등) 및 파티클 등의 흡인이 행해진다.When the cleaning liquid supply process is completed, the above-described suction process is performed (step ST16). That is, the suction nozzle 45a through the common pipes 46a to 46c and the suction pipes 462a to 462c by performing the suction processing by the suction mechanism in a state where the supply pipes 461a to 461c are closed by the valves. Aspiration is performed on the surrounding gas, liquid (cleaning liquid, coating liquid, etc.) and particles.

이때, 도 1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세정 노즐(45a~45c)은 각 도포 노즐(52a~52c)에 대향하고 있으므로, 도포 노즐(52a~52c) 주변의 기체, 도포액, 및 파티클 등을 흡인할 수 있다(흡인 처리). 또한, 이 흡인 처리에 의해서 도포 노즐(52a~52c)을 건조시킬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 단계 ST16에서의 흡인 처리(세정액 공급 처리 후에 행해지는 흡인 처리)를 제2의 흡인 처리로 칭한다. 제2의 흡인 처리 종료의 타이밍에 대해서도, 제1의 흡인 처리 및 세정 처리의 종료 타이밍과 마찬가지로, 작업자에 의해서 결정되어도 되고, 미리 정해져 있어도 상관없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11 (c), since each cleaning nozzle 45a-45c opposes each application | coating nozzle 52a-52c, the gas, coating liquid, and particle | grains around application | coating nozzles 52a-52c are Etc. can be sucked (suction treatment). Moreover, application | coating nozzles 52a-52c can also be dried by this suction process. Hereinafter, the suction process (suction process performed after the cleaning liquid supply process) in this step ST16 is referred to as a second suction process. The timing of the end of the second suction process may be determined by an operator or may be determined in advance, similarly to the end timing of the first suction process and the washing process.

단계 ST14~단계 ST16에 있어서의, 제1의 흡인 처리, 세정액 공급 처리, 제2의 흡인 처리가 종료하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도포 노즐(52a~52c)에 대한 세정 처리는 종료된다. 따라서, 도포 동작을 개시하기 위한 초기 위치로 각 장치가 이동된다.When the 1st suction process, the washing | cleaning liquid supply process, and the 2nd suction process in step ST14-step ST16 are complete | finished, the washing process with respect to the application | coating nozzles 52a-52c in this embodiment is complete | finished. Thus, each device is moved to the initial position for starting the application operation.

구체적으로는, 우선, Y방향 이동 기구(48)에 의해서, 액받이 세정 장치(4)가 위치 P3로부터 위치 P2까지 -Y방향으로 이동한다(단계 ST17). 이동 후의 노즐 유닛(50)과 액받이 세정 장치(4)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도 11(d)에 나타낸다(위치 P2).Specifically, first, the liquid receiving cleaning device 4 moves in the -Y direction from the position P3 to the position P2 by the Y-direction moving mechanism 48 (step ST17).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nozzle unit 50 after the movement and the liquid receiving cleaning device 4 is shown in Fig. 11D (position P2).

액받이 세정 장치(4)는, 위치 P2까지 -Y방향으로 이동하면, 다음에, 승강 기구(49)에 의해서 위치 P1까지 상승한다(단계 ST18). 이동 후의 노즐 유닛(50)과 액받이 세정 장치(4)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도 11(e)에 나타낸다(위치 P1). 위치 P1는 도포 동작을 개시하기 위한 초기 위치이기도 하므로, 노즐 유닛(50)은, 도 8에 나타내는 도포 동작을 재개할 수 있다.When the water receiving cleaning device 4 moves to the position P2 in the -Y direction, the descent washing machine 4 then rises to the position P1 by the elevating mechanism 49 (step ST18).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nozzle unit 50 after the movement and the liquid receiving cleaning device 4 is shown in Fig. 11E (position P1). Since the position P1 is also an initial position for starting an application | coating operation, the nozzle unit 50 can resume the application | coating operation shown in FIG.

이상 설명한, 단계 ST11~단계 ST18에 의해, 일련의 세정 동작이 완료된다.In the above-described steps ST11 to ST18, a series of cleaning operations are completed.

<3 도포 장치(1)의 효과><Effect of the Coating Apparatus 1>

전술과 같이, 도포 장치(1)가 기판 전면에 대하여 도포액을 도포하는 경우, 주사 이동하는 도포 노즐(52a~52c)에 의해서, 액받이부(3) 혹은 액받이 세정 장치(4)에 대하여, 몇 번이나 도포액이 토출된다. 이 때, 접액 부재(32, 42)의 상면에 도포액이 잔류하고 있으면, 다음에 토출되는 도포액과 잔류하는 도포액이 충돌함으로써, 미스트 상태의 액적(이하, 간단히 「미스트」로 칭한다)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ating device 1 applies the coating liquid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substrate, the coating part 52 or the liquid receiving cleaning device 4 is applied by the coating nozzles 52a to 52c that are moved in scanning. The coating liquid is discharged several times. At this time, if the coating liquid remains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liquid contact members 32 and 42, the next-applied coating liquid and the remaining coating liquid collide with each other, whereby mist droplets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quot; mist &quot;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is increased.

이 발생한 미스트가 노즐 유닛(50)(예를 들면, 도포 노즐(52a~52c))에 부착하면, 노즐 유닛(50)이 기판(P)의 상방을 이동할 때에, 상기 미스트 또는 파티클(미스트가 고화된 것)이 기판(P)에 낙하할 우려가 생긴다. 미스트나 파티클의 기판(P)으로의 낙하는, 기판(P)이 불량품이 될 가능성을 높여 수율의 저하로 이어지므로, 방지하는 것이 요구된다.If this generated mist adheres to the nozzle unit 50 (for example, the application nozzles 52a to 52c), the mist or particles (mist solidifies) when the nozzle unit 50 moves above the substrate P. May fall on the substrate P. The fall of mist and particle to the board | substrate P raises the possibility of the board | substrate P becoming a defective product, and leads to the fall of a yield, and therefore it is desired to prevent it.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도포 장치(1)에 의하면, 도포 노즐(52a~52c)로부터 토출된 도포액이 접액하는 접액 부재(32, 42)의 상면은, 배출부(33, 43)의 흡인에 의해서 항상 마른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미스트가 발생할 가능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ating device 1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the upper surface of the liquid contact members 32 and 42 which the coating liquid discharged from the application | coating nozzles 52a-52c liquid-contacts by suction of the discharge part 33,43. Since it is always in a dry state, the possibility of generating the said mist can be reduced.

또한, 상술한 것처럼, 배출부(33, 43)의 흡인에 의해서 접액 부재(32, 42)의 하면과 접해 있는 내부 공간(L1, L2)이 부압이 되고, 접액 부재(32, 42) 상면의 근방에서는 내부 공간(L1, L2)을 향한 기류가 발생한다. 당연히, 이 기류는, 접액 부재(32, 42)에 가까울수록 강력하다. 또한, 접액 부재(32, 42)의 바로 옆에서는 내부 공간(L1, L2)을 향해서 하강 기류(하향 성분을 가지는 기류)가 발생하고 있다. 여기서, 「접액 부재의 바로 가까이」란, 기류가 발생하는 「접액 부재의 근방」중에서도, 보다 접액 부재에 가까워, 하강 기류가 발생하는 범위를 의미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internal spaces L1 and L2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s of the liquid contact members 32 and 42 become negative pressure by the suction of the discharge portions 33 and 43,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iquid contact members 32 and 42 In the vicinity, airflow toward the inner spaces L1 and L2 occurs. As a matter of course, the closer the airflow is to the liquid contact members 32 and 42, the stronger the air flow. Further, a downward flow (airflow having a downward component) is generated toward the inner spaces L1 and L2 on the side of the liquid contact members 32 and 42. [ Here, "close to a contact liquid member" means the range which is closer to a contact liquid member, and a downward airflow generate | occur | produces also in the "near vicinity of a contact liquid member" which airflow generate | occur | produces.

이와 같이 접액 부재(32, 42)의 바로 가까이에서는 하강 기류가 발생하고 있으므로, 만일 도포액이 접액 부재(32, 42)에 충돌하여 미스트가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도, 당해 미스트는 상기 하강 기류를 따라서 주위의 기체와 함께 내부 공간(L1/L2)에 흡인된다. 그 결과, 발생한 미스트가 떠올라, 도포 노즐(52a~52c) 및 그 주변(예를 들면, 노즐 유닛(50) 등)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us, since the downdraft generate | occur | produces in the immediate vicinity of the liquid contact members 32 and 42, even if a coating liquid collides with the liquid contact members 32 and 42 and mist generate | occur | produces, the said mist flows around the said down stream airflow. It is aspirated into the internal space (L1 / L2) with the gas of. As a result, the generated mist rises and can be prevented from adhering to the application nozzles 52a to 52c and their surroundings (for example, the nozzle unit 50 and the like).

도 12는, 본 실시 형태의 노즐 유닛(50)과 액받이 세정 장치(4)(위치 P3)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인 도 11(c)에, 상기 기류(6)를 추가해 그린 도면이다.FIG. 12: is the figure which added the said air stream 6 to FIG. 11 (c) which is a figure which shows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nozzle unit 50 of this embodiment and the liquid receiving cleaning device 4 (position P3).

상술한 것처럼, 액받이 세정 장치(4)가 위치 P3에 있는 경우에는, 흡인 처리 및 세정 처리를 행하기 위해, 도포 노즐(52a~52c)의 바로 아래에는 세정 노즐(45a~45c)이 위치한다. 따라서, 도 11(c)나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포액인 유기 EL 재료는, 접액 부재(42)가 아니라 세정 노즐(45a~45c)을 향해서 토출된다. 이때, 토출된 도포액과 세정 노즐(45a~45c)(세정 처리 중에 있어서는 세정액)이 충돌함으로써, 미스트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liquid receiving cleaning device 4 is at the position P3, the cleaning nozzles 45a to 45c are positioned immediately below the application nozzles 52a to 52c in order to perform suction processing and cleaning processing. . Therefore, as shown in FIG.11 (c) and FIG.12,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 which is a coating liquid is discharged toward the cleaning nozzles 45a-45c instead of the liquid contact member 42. FIG. At this time, the discharged coating liquid and the cleaning nozzles 45a to 45c (the cleaning liquid during the cleaning process) collide with each other, so that mist may be generated.

그러나 이와 같이 미스트가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도,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세정 노즐(45a~45c)(더욱 상세하게는, 개구(45m))이, 상기 기류(6) 중 하향(-Z방향)의 성분을 가지는 하강 기류가 발생하는 영역인 하강 기류 영역(D)의 범위 내에 있어서, 액받이부(액받이부(3)여도 상관없지만, 이 예에 있어서는 액받이 세정 장치(4))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고정 배치되어 있으면, 미스트는 당해 하강 기류를 따라서 주위의 기체와 함께 내부 공간(L2)에 흡인된다. 따라서, 발생한 미스트가 떠올라, 도포 노즐(52a~52c) 및 그 주변(예를 들면, 노즐 유닛(50) 등)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However, also in the case where mist generate | occur | produces in this way, the washing nozzle 45a-45c (more specifically, opening 45m) is the component of the downward direction (-Z direction) among the said airflows 6 like this embodiment. Within the range of the downdraft region D, which is a region in which the downdraft is generated, the drip receiver (the drip receiver 3 may be used, but in this example, the drip cleaner 4 is relatively relative to the drip receiver). If it is fixed, the mist is drawn into the inner space L2 along with the surrounding gas along the downdraf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enerated mist from sticking to the application nozzles 52a to 52c and their surroundings (for example, the nozzle unit 50 and the like).

이상 정리하면, 본 실시 형태의 발명에서는, 미스트가 발생할 확률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만일 미스트가 발생했다고 해도 당해 미스트의 발생 개소가 하강 기류 영역(D)의 범위 내이면, 미스트가 도포 노즐(52a~52c) 및 그 주변(예를 들면, 노즐 유닛(50) 등)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summary, in the inven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mist can be reduced. Moreover, even if mist generate | occur | produces, if the generation point of the said mist exists in the range of the downdraft area | region D, mist may apply to application | coating nozzles 52a-52c and its periphery (for example, the nozzle unit 50 etc.). The attachment can be prevented.

특히,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세정 노즐(45a~45c)(더욱 상세하게는, 개구(45m))이 액받이부의 내부 공간(L1, L2)의 상면보다 상방에 고정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미스트의 발생 개소가 하강 기류 영역(D)의 범위 내가 되므로, 미스트가 도포 노즐(52a~52c) 및 그 주변(예를 들면, 노즐 유닛(50) 등)에 부착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cleaning nozzles 45a to 45c (more specifically, the openings 45m) are fixedly disposed above the upper surfaces of the inner spaces L1 and L2 of the liquid receiving portion,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ist Since the occurrence point of is within the range of the downdraft region D,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the mist from adhering to the application nozzles 52a to 52c and its surroundings (for example, the nozzle unit 50 and the like).

{변형예}{Variation example}

이상,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는데, 이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상술한 것 이외에 다양한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this invention can be variously changed except having mentioned above, unless the meaning is deviated.

또한, 변형예의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각 요소와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혹은 동작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description of a modification,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bout the element same as each element of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and it demonstrates. In addition, duplicat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about the structure or operation | movement similar to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4.1 액받이 세정 장치(4)의 변형예>4.1 Modified Example of Substrate Cleaning Device 4

상기 실시 형태에 관련된 액받이 세정 장치(4)는, 노즐 세정 장치로서의 기구(세정 노즐(45a~45c), 공통 배관(46a~46c), 공급 배관(461a~461c), 흡인 배관(462a~462c))의 일부가, 액받이부로서의 기구(박스부(41), 접액 부재(42), 배출부(43))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노즐 세정 장치가 액받이부의 내부에 배치」란,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노즐 세정 장치의 일부가 액받이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The drip-washing apparatus 4 which concerns on the said embodiment is a mechanism as a nozzle washing apparatus (washing nozzle 45a-45c, common piping 46a-46c, supply piping 461a-461c, suction piping 462a-462c A part of)) is provided inside the mechanism (box part 41, liquid contact member 42, discharge part 43) as a liquid receiving part. "Nozzle cleaning apparatus arrange | positioned inside the drip tray part" in this invention includes the case where "a part of nozzle cleaning apparatus is arrange | positioned inside a drip tray part" like the said embodiment.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관련된 액받이 세정 장치(4)는, 도 5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정 노즐(45a~45c)의 상단(개구(45m))이 접액 부재(42)의 상면보다 높게 배치되어 있다.Moreover, in the liquid receiving cleaning device 4 which concerns on the said embodiment, as shown to FIG. 5 and FIG. 7, the upper end (opening 45m) of the cleaning nozzle 45a-45c is larg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liquid contact member 42. As shown in FIG. It is placed high.

그러나 본 발명의 구성은 이러한 상기 실시 형태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액받이 세정 장치(4)에 대하여 이하에 예를 나타내는 것과 같은 변형을 가할 수 있다.However, the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stitu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ations can be made to the drip cleaning device 4 as shown in the following examples, provided that they do not depart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4.1.1 액받이 세정 장치(4)의 변형예 1> <4.1.1 Modification Example 1 of Substrate Cleaning Device 4>

도 13은, 제1의 변형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액받이 세정 장치(4)에 상당하는 구성을 나타낸 개념적인 단면도이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정 노즐(45a~45c)의 상단이 접액 부재(42)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액받이 세정 장치(4)를 구성해도 된다.FIG. 13 is a conceptu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liquid receiving cleaning device 4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st modification. As shown in FIG. 12, the liquid receiving cleaning device 4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upper ends of the cleaning nozzles 45a to 45c are flush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liquid contact member 42.

이 경우에 있어서도, 흡인 처리 및 세정액 공급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도포 노즐(52a~52c)의 바로 아래에 세정 노즐(45a~45c)이 위치한다(위치 P3). 따라서, 유기 EL 재료가 세정 노즐(45a~45c)을 향해서 토출되고, 토출된 도포액과 세정 노즐(45a~45c)(세정 처리 중에 있어서는 세정액)이 충돌함으로써, 미스트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Also in this case, when performing a suction process and a washing | cleaning liquid supply process, washing nozzles 45a-45c are located just under application | coating nozzles 52a-52c similarly to this embodiment (position P3). Therefore, the organic EL material is discharged toward the cleaning nozzles 45a to 45c, and the discharged coating liquid and the cleaning nozzles 45a to 45c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process) may collide, causing mist.

그러나 본 변형예에서는, 세정 노즐(45a~45c)의 상단이 접액 부재(42)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이므로, 당연히, 미스트의 발생 개소(세정 노즐(45a~45c)의 개구(45))는 하강 기류 영역(D)의 범위 내가 된다.However, in the present modification, since the upper ends of the cleaning nozzles 45a to 45c have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surface of the liquid contact member 42, the generation point of the mist (the opening 45 of the cleaning nozzles 45a to 45c) is lowered. It is in the range of the airflow area D.

따라서, 제1의 변형예에서는, 만일 미스트가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도, 미스트는 당해 하강 기류를 따라서 주위의 기체와 함께 내부 공간(L2)에 흡인된다. 그 결과, 발생한 미스트가 떠올라, 도포 노즐(52a~52c) 및 그 주변(예를 들면, 노즐 유닛(50))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first modified example, even when a mist is generated, the mist is sucked into the inner space L2 together with the surrounding gas along the downward flow. As a result, the generated mist rises and can be prevented from adhering to the application nozzles 52a to 52c and their surroundings (for example, the nozzle unit 50).

또한, 제1의 변형예와는 다르지만, 세정 노즐(45a~45c)의 상단이 접액 부재(42)의 상면보다 낮은 높이여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는, 세정액 공급 처리에 있어서 도포 노즐(52a~52c)과 세정 노즐(45a~45c)이 대향하여 접근해 있는 상태가 바람직하다고 하는 기계적인 제약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Moreover, although it is different from 1st modification, even if the upper end of the cleaning nozzle 45a-45c is low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liquid contact member 42, it is contain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mechanical constraint that the application nozzles 52a to 52c and the cleaning nozzles 45a to 45c face each other in the cleaning liquid supply processing.

<4.1.2 액받이 세정 장치(4)의 변형예 2> <4.1.2 Modification 2 of the drip tray cleaning device 4>

도 14는, 제2의 변형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액받이 세정 장치(4)에 상당하는 구성을 나타낸 개념적인 단면도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는 달리, 액받이 기능을 가지는 액받이부(3)와 노즐의 세정 기능을 가지는 세정 장치(9)를, 별도체로서 설치해도 된다.14 is a conceptu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drip cleaning device 4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cond modification. As shown in FIG. 14, unlik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quid receiving part 3 having the liquid receiving function and the cleaning device 9 having the cleaning function of the nozzle may be provided as separate bodies.

세정 장치(9)는, 액 회수부(91), 배출부(93), 세정 노즐(95a~95c), 공통 배관(96a~96c), 공급 배관(961a~961c), 및, 흡인 배관(962a~962c)으로 구성된다.The cleaning apparatus 9 includes the liquid recovery part 91, the discharge part 93, the cleaning nozzles 95a to 95c, the common pipes 96a to 96c, the supply pipes 961a to 961c, and the suction pipe 962a. 962c).

또한, 도 14의 각 요소에 붙여진 참조 기호 중, 액 회수부(91)는 박스부(31, 41)에, 배출부(93)는 배출부(33, 43)에, 세정 노즐(95a~95c)은 세정 노즐(45a~45c)에, 공통 배관(96a~96c)은 공통 배관(46a~46c)에, 공급 배관(961a~961c)은 공급 배관(461a~461c)에, 흡인 배관(962a~962c)은 흡인 배관(462a~462c)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In addition, among the reference symbols attached to the elements of FIG. 14, the liquid recovery part 91 is in the box parts 31 and 41, the discharge part 93 is in the discharge parts 33 and 43, and the cleaning nozzles 95a to 95c. The suction pipes 962a to the cleaning nozzles 45a to 45c, the common pipes 96a to 96c to the common pipes 46a to 46c, and the supply pipes 961a to 961c to the supply pipes 461a to 461c. 962c corresponds to suction pipe 462a-462c, respectively.

액 회수부(91)는, 상면이 개방된 상자 형상의 장치이며, 그 폭(Y방향의 길이)은, 도포 노즐(52a~52c)로부터 액기둥 상태로 토출되는 유기 EL 재료를 전체 도착시키는 폭을 가지고 있다.The liquid recovery part 91 is a box-shaped device with an upper surface open, and the width (length in the Y direction) is a width that causes the entire organic EL material to be discharged from the coating nozzles 52a to 52c to be discharged in the liquid column state. Have

도포 처리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데, 기판(P)에 대하여 유기 EL 재료를 도포할 때, 도포 노즐(52a~52c)은 유기 EL 재료를 토출하면서 X방향을 따라서 기판(P)의 상방이 주사된다. 노즐(52a~52c)이 X방향을 따라서 주사되어 세정 장치(9)의 상방으로 이동될 때, 도포 노즐(52a~52c)과 세정 노즐(95a~95c)이 대향하도록 세정 장치(9)가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세정 노즐(95a~95c)에 의해서,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세정 처리(세정액 공급 처리 및 흡인 처리)를 도포 노즐(52a~52c)에 대하여 행할 수 있다.The details of the coating proces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organic EL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bstrate P, the application nozzles 52a to 52c are scanned above the substrate P along the X direction while discharging the organic EL material. . When the nozzles 52a to 52c are scanned along the X direction and moved above the cleaning device 9, the cleaning device 9 is disposed so that the application nozzles 52a to 52c and the cleaning nozzles 95a to 95c face each other. It is. For this reason, the washing | cleaning process (washing liquid supply process and aspiration process) in this modification can be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coating nozzles 52a-52c by the washing | cleaning nozzle 95a-95c.

이상과 같이, 액받이 기능을 가지는 액받이부(3)와 세정 기능을 가지는 세정 장치(9)를 별도체로서 설치한 제2의 변형예의 구성에 있어서도, 본 발명은 적용된다.As mentioned above, this invention is applied also in the structure of the 2nd modified example which provided the liquid receiving part 3 which has a liquid receiving function, and the cleaning apparatus 9 which has a cleaning function as a separate body.

즉,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스트의 발생 개소(세정 노즐(95a~95c), 더욱 상세하게는 그 개구)가, 박스부(31)의 부압에 의해 발생하는 기류(6) 중 하강 기류가 발생하는 영역인 하강 기류 영역(D)의 범위 내이면, 미스트는 당해 하강 기류를 따라서 주위의 기체와 함께 내부 공간(L1)에 흡인된다. 따라서, 발생한 미스트가 떠올라, 도포 노즐(52a~52c) 및 그 주변(예를 들면, 노즐 유닛(50))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14, the falling airflow of the mist generation point (the cleaning nozzles 95a-95c, more specifically, the opening) of the mist is generated by the negative pressure of the box part 31. If it exists in the range of the falling airflow area | region D which is the area | region which generate | occur | produces, mist will be attracted to the internal space L1 with the surrounding gas along the said falling airflow. Therefore, the generated mist rises and can be prevented from adhering to the application nozzles 52a to 52c and their surroundings (for example, the nozzle unit 50).

또한, 본 변형예와 같이, 세정 장치(9)가 액받이부(3)의 측부에 인접 배치되어 상호 위치 관계가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술한 일체적 이동 기구를 채용하는 것이 용이해진다.In the case where the cleaning device 9 is disposed adjacent to the side of the liquid receiver 3 and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m is fixed as in the present modified example, it is easy to employ the above-described integral moving mechanism.

도 15는, 본 발명의 비교예로서,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없는 도포 장치(1)의, 액받이부(3)와 세정 장치(9)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FIG. 1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iquid receiving part 3 and the cleaning device 9 of the coating device 1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not be applied as a comparativ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스트의 발생 개소(세정 노즐(95a~95c))가, 박스부(31)의 부압에 의해 발생하는 기류(6) 중 상승 기류가 발생하는 영역인 상승 기류 영역(E)의 범위 내에 있는 경우는, 미스트는 당해 상승 기류를 따라서, 감아올려진다. 그 결과, 미스트가 도포 노즐(52a~52c) 및 그 주변(예를 들면, 노즐 유닛(50) 등)에 부착될 가능성이 높아진다.As shown in FIG. 15, the rising airflow area | region E where the generation | occurrence | production point of a mist (cleaning nozzles 95a-95c) is an area | region which raises an airflow among the airflows 6 generate | occur | produced by the negative pressure of the box part 31. When it exists in the range of), the mist is wound up along the said raised airflow. As a result, the possibility that the mist adheres to the application nozzles 52a to 52c and its surroundings (for example, the nozzle unit 50, etc.) becomes high.

<4.2 도포 장치(1)의 다양한 변형예><4.2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coating device 1>

이상, 특히 액받이 세정 장치(4)에 관한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상술한 것 이외에 다양한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modification regarding the drip cleaning apparatus 4 was demonstrated especially, as long as this invention does not deviate from the meaning, it is possible to make various changes other than the above-mentioned.

상술의 실시 형태에서는, 액받이부(3) 및 액받이 세정 장치(4)에 있어서 도포 노즐(52a~52c)로부터 토출된 도포액이 접액하는 접액 부재로서, 다공질 재료가 이용되고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다공성의 재료이면 충분하고, 예를 들면, 부직포나 면상체, 직포나 메쉬 형상의 박판 등, 액체와 함께 기체를 통과시킬 수 있는 정도의 간극을 내부에 구비하는 재료이면, 접액 부재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porous material is used as the liquid contact member to which the coating liquid discharged from the coating nozzles 52a to 52c in the liquid receiving part 3 and the liquid receiving cleaning device 4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iquid. It doesn't happen. That is, a porous material is sufficient. If the material is provided with a gap inside such that a gas can pass together with a liquid, such as a nonwoven fabric, a planar body, a woven fabric, or a mesh-like thin plate, it can be used as a liquid contact member. It is possible.

또한, 도포액이 접액하는 접액 부재로서, 다공질 재료가 아니라, 다수의 슬릿형상 부재 등이 이용되어도 된다. 슬릿형상 부재는, 경사 방향으로 경사진 간극으로부터 기체를 통과시킴으로써 액체를 그 간극으로부터 하부로 흘러내리기 쉽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슬릿형상 부재로는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판이나, PTFE(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의 수지 재료 등을 이용할 수 있다.As the liquid contact member to which the coating liqui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iquid, a large number of slit-like members may be used instead of the porous material. The slit-like member is configured to allow a liquid to easily flow down from the gap by passing gas through the gap inclined in the oblique direction. As the slit member, a metal plate such as stainless steel or a resin material such as PTFE (polytetrafluoroethylene) can be used.

또한, 접액 부재의 하면에 접하는 공간(L1, L2)으로는 공극을 형성하는 구성을 기재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실질적으로 공간(L1, L2)과 동일하게 그다지 압력 손실을 발생시키지 않는 정도의, 저밀도의 면(綿)상 부재나, 복수의 기둥 형상의 부재 등이 공간(L1, L2)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In addition, although the structure which forms a space | gap was described as spaces L1 and L2 which contact | connect the lower surface of a liquid contact member, it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a low-density planar member, a plurality of columnar members, and the like, which do not substantially generate pressure loss in the same way as the spaces L1 and L2, are formed in the spaces L1 and L2. It may be arranged.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적색의 유기 EL 재료를 3개 1그룹의 도포 노즐(52a~52c)로 기판(P)에 도포하는 구성이었는데, 다른 색의 유기 EL 재료여도 되고, 또한, 정공 수송층 재료의 도포에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although red, green, and blue, red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 was apply | coated to the board | substrate P with three application | coating nozzles 52a-52c, it was organic EL of a different color. A material may be sufficient and it can also be used for application | coating of a positive hole transport layer material.

또한, 도포 노즐(52a~52c)로부터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유기 EL 재료를 각각 토출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순서로 배열된, 이른바, 스트라이프 배열이 1개의 도포 공정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red, green, and blue organic EL materials may be discharged from the application nozzles 52a to 52c, respectively. In this case, a so-called stripe arrangement arranged in the order of red, green, and blue is formed by one coating process.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3개 1그룹의 도포 노즐(52a~52c)로 기판(P)의 각 홈 내에 유기 EL 재료를 흘려 넣고 있는데, 이 개수는 3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1개거나, 또한 보다 다수의 노즐에 의해서 도포되어도 된다. 노즐의 개수를 늘림으로써, 한 번의 주사 이동으로 도포할 수 있는 개수가 증가하므로, 처리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Moreover, in embodiment mentioned above, although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s poured into each groove | channel of the board | substrate P with three one group of application nozzles 52a-52c, this number is not limited to three, but one Or may be applied by more nozzles. By increasing the number of nozzles, the number that can be applied in one scan movement increases, so that the processing time can be shortened.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도포액으로서 유기 EL 재료나 정공 수송 재료를 도포액으로 한 유기 EL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를 일예로서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다른 도포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레지스트액이나 SOG(Spin On Glass)액이나 PDP(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형광 재료를 도포하는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액정 칼라 디스플레이를 칼라 표시하기 위해서 액정 셀 내에 구성되는 칼라 필터를 제조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색재를 도포하는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태양광 발전에 이용하는 태양광 패널을 제작할 때, 도포 처리를 행하는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although the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which used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 and the hole-transport material as a coating liquid was demonstrated as an example, this invention is applicable also to other coating apparatuses.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an apparatus for applying a fluorescent material used for producing a resist liquid, a spin on glass (SOG) liquid, or a plasma display panel (PDP). Moreover, it is applicable also to the apparatus which apply | coats the color material used for manufacturing the color filter comprised in a liquid crystal cell for color display of a liquid crystal color display. Moreover, when manufacturing the solar panel used fo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it is applicable also to the apparatus which performs a coating process.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액받이부(3) 및 액받이 세정 장치(4)는 X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는 구성이지만, 액받이부(3) 및 액받이 세정 장치(4)에 X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설치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한 경우, 도포 대상 기판(P)의 사이즈에 맞추어, 액받이부(3) 및 액받이 세정 장치(4)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liquid receiving part 3 and the liquid receiving washing | cleaning apparatus 4 in the said embodiment are the structures which cannot move to an X direction, the liquid receiving part 3 and the liquid receiving washing | cleaning apparatus 4 have X direction. Therefore, you may provide the moving mechanism to move. In this case,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liquid receiver 3 and the liquid receiver cleaning device 4 can be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substrate to be coated P.

1: 도포 장치 2: 기판 재치 장치
3: 액받이부 4: 액받이 세정 장치
5: 유기 EL 도포 기구 6: 기류
9: 세정 장치 21: 스테이지
31, 41: 박스부 32, 42: 접액 부재
33, 43, 93: 배출부 45, 95: 세정 노즐
46, 96: 공통 배관 50: 노즐 유닛
51: 노즐 이동 기구 52: 도포 노즐
91: 액 회수부 L1, L2: 내부 공간
1: coating device 2: substrate placing apparatus
3: drip tray 4: drip tray cleaning device
5: organic EL applicator 6: air flow
9: cleaning device 21: stage
31, 41: box portion 32, 42:
33, 43, 93: outlet 45, 95: cleaning nozzle
46, 96: common piping 50: nozzle unit
51: nozzle moving mechanism 52: application nozzle
91: liquid recovery part L1, L2: internal space

Claims (9)

기판 상에 도포액을 도포하는 도포 장치로서,
상기 기판의 유지 영역의 상방의 공간을 이동 가능하고, 상기 도포액을 하방으로 토출하는 토출구를 가지는 노즐과,
흡인 경로에 접속된 내부 공간을 가지고, 상기 노즐이 상기 기판의 존재 영역 외에 있을 때에 상기 노즐로부터 토출된 상기 도포액을, 상방으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에 받는 액받이부와,
상기 액받이부의 근방에 배치됨과 더불어, 소정의 세정액을 상방으로 방출 가능한 개구를 가지고, 상기 세정액에 의해서 상기 노즐의 상기 토출구의 세정 처리를 행하는 노즐 세정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흡인 경로를 통한 흡인에 의해서 상기 액받이부의 상기 내부 공간이 부압 상태로 됨으로써 상기 액받이부의 근방 공간에 발생하는 기류 중, 하향 성분을 가지는 하강 기류가 발생하는 공간 영역인 하강 기류 영역 내에 있어서, 상기 노즐 세정 장치의 상기 개구가, 상기 액받이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고정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장치.
An application device for applying a coating liquid onto a substrate,
A nozzle capable of moving a space above the holding region of the substrate, the nozzle having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coating liquid downward;
A liquid receiving portion having an internal space connected to a suction path and receiving the coating liquid discharged from the nozzle when the nozzle is outside the presence region of the substrate,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internal space;
And a nozzle cleaning device which is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liquid receiving part and has an opening capable of discharging a predetermined cleaning liquid upward, and performs cleaning of the discharge port of the nozzle by the cleaning liquid.
In the falling airflow area | region which is a space area | region which the downward airflow which has a downward component generate | occur | produces among the airflows which generate | occur | produce in the space near the said water receiving part by the said internal space of the said water receiving part by a suction through the said suction path, The said opening of the said nozzle cleaning apparatus is arrange | positioned relatively with respect to the said liquid receiving part, The coat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 세정 장치의 상기 개구가 상기 액받이부의 상기 내부 공간의 상면보다도 상방에 고정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ning of the nozzle cleaning device is fixedly disposed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space of the liquid receiving porti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액받이부의 상기 내부 공간의 상기 상면은, 상기 내부 공간의 상측 개구를 덮는 다공성의 면상체의 상면에 의해서 규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space of the liquid receiving part is defin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porous planar body covering the upper opening of the inner spa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받이부와 상기 노즐 세정 장치가 일체화되어 액받이 세정 장치가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quid receiving portion and the nozzle cleaning device are integrated to form a liquid receiving and cleaning device.
청구항 4에 있어서,
일체화된 상기 액받이부와 상기 노즐 세정 장치의 상면이, 상기 다공성의 면상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An upper surface of the integrated liquid receiving part and the nozzle cleaning device is formed of the porous planar body.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노즐 세정 장치가 상기 액받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액받이부와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And the nozzle cleaning device is disposed inside the dripping portion and is integrated with the dripping portion.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노즐 세정 장치가 상기 액받이부의 측부에 인접 배치되어 상기 액받이부와의 위치 관계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And the nozzle cleaning device is arranged adjacent to the side of the liquid receiver, and the positional relationship with the liquid receiver is fixed.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받이부와 상기 노즐 세정 장치의 쌍방을 일체적으로 이동시키는 일체적 이동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nd an integral moving mechanism for integrally moving both the liquid receiving part and the nozzle cleaning device.
기판의 도포 장치의 노즐로부터 하방으로 토출되는 도포액을 받음과 더불어, 상기 노즐의 세정을 행하는 액받이 세정 장치로서,
흡인 경로에 접속된 내부 공간을 가지고, 상기 노즐이 상기 기판의 존재 영역 외에 있을 때에 상기 노즐로부터 토출된 상기 도포액을, 상방으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에 받는 액받이부와,
상기 액받이부와 일체화되고, 소정의 세정액을 상방으로 방출 가능한 개구를 가지고, 상기 세정액에 의해서 상기 노즐의 토출구의 세정 처리를 행하는 노즐 세정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흡인 경로를 통한 흡인에 의해서 상기 액받이부의 상기 내부 공간이 부압 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액받이부의 근방 공간에 발생하는 기류 중, 하향의 성분을 가지는 하강 기류가 발생하는 공간 영역인 하강 기류 영역 내에 있어서, 상기 노즐 세정 장치의 상기 공급구가, 상기 액받이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고정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받이 세정 장치.
A liquid receiving cleaning device which receives a coating liquid discharged downward from a nozzle of a coating device of a substrate and cleans the nozzle,
A liquid receiving portion having an internal space connected to a suction path and receiving the coating liquid discharged from the nozzle when the nozzle is outside the presence region of the substrate,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internal space;
And a nozzle cleaning device which is integrated with the liquid receiving part and has an opening capable of discharging a predetermined cleaning liquid upward, and performs a cleaning process of the discharge port of the nozzle by the cleaning liquid,
In the falling airflow area | region which is a space area | region which the downward airflow which has a downward component among the airflows which generate | occur | produce in the space near the said water receiving part by making the said internal space of the said water receiving part become a negative pressure state by the suction through the said suction path, And the supply port of the nozzle cleaning device is fixedly disposed relative to the liquid receiving part.
KR20130068275A 2012-09-26 2013-06-14 Coating apparatus and liquid receiving cleaning apparatus KR10151255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12638A JP6000782B2 (en) 2012-09-26 2012-09-26 Coating device and liquid receiver cleaning device
JPJP-P-2012-212638 2012-09-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618A true KR20140040618A (en) 2014-04-03
KR101512554B1 KR101512554B1 (en) 2015-04-15

Family

ID=50650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8275A KR101512554B1 (en) 2012-09-26 2013-06-14 Coating apparatus and liquid receiving cleaning apparatus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000782B2 (en)
KR (1) KR101512554B1 (en)
TW (1) TWI555581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017B1 (en) 2017-07-21 2019-07-18 세메스 주식회사 Substrate treating apparatus and substrate treating method
WO2021005139A1 (en) 2019-07-11 2021-01-14 Bobst Lyon Method for folding a corrugated cardboard blank intended to form a folded box
IT202100025556A1 (en) * 2021-10-07 2023-04-07 New System Srl CLEANING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3239B2 (en) * 1986-11-10 1994-07-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How to clean the painting gun
JP4451175B2 (en) * 2004-03-19 2010-04-14 大日本スクリーン製造株式会社 Nozzle clean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JP2006231192A (en) * 2005-02-24 2006-09-07 Dainippon Screen Mfg Co Ltd Coating applicator
JP4857193B2 (en) * 2007-05-28 2012-01-18 大日本スクリーン製造株式会社 Nozzle cleaning device
JP5226984B2 (en) 2007-08-17 2013-07-03 大日本スクリーン製造株式会社 Nozzle cleaning device and coating device
JP2009202075A (en) * 2008-02-27 2009-09-10 Seiko Epson Corp Capping apparatus and liquid material discharge device
JP5342282B2 (en) 2009-03-17 2013-11-13 大日本スクリーン製造株式会社 Coating device
JP5172756B2 (en) * 2009-03-24 2013-03-27 大日本スクリーン製造株式会社 Coating device
JP5519319B2 (en) * 2010-02-22 2014-06-11 大日本スクリーン製造株式会社 Coating device
KR101205834B1 (en) * 2010-08-24 2012-11-29 세메스 주식회사 Cleaning unit, Apparatus of discharging treating fluid with the unit and Method for cleaing he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55581B (en) 2016-11-01
TW201420198A (en) 2014-06-01
JP2014065001A (en) 2014-04-17
JP6000782B2 (en) 2016-10-05
KR101512554B1 (en) 2015-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8988B2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using processing solution
CN102194657B (en) Device for cleaning and treating substrate
JP6740028B2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substrat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08292599B (en) Substrate liquid processing apparatus, substrate liquid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6761125B2 (en) Coating film forming system
TWI517228B (en) Liquid processing device and cleaning method
CN111446150B (en) Substrate processing method and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KR20060041868A (en) Nozzle clean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JP2013026381A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TWI720076B (en) Substrate cleaning device
CN107527839B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cleaning method for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KR20140045904A (en) Liquid processing device
KR20140040618A (en) Coating apparatus and liquid receiving cleaning apparatus
JP2017069346A (en) Substrate processing method and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JP6014313B2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CN108206147A (en) Disconnecting device
CN107851572B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substrat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09224653A (en) Photoresist coating device
JP6014312B2 (en) Cleaning method
KR101115194B1 (en) Application apparatus and method
JP5519319B2 (en) Coating device
JP2006231192A (en) Coating applicator
JP5226984B2 (en) Nozzle cleaning device and coating device
KR20140071312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Substrate
JP2006051504A (en) Applic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