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9732A - 음식물 처리기용 응축기 - Google Patents

음식물 처리기용 응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9732A
KR20140039732A KR1020120106317A KR20120106317A KR20140039732A KR 20140039732 A KR20140039732 A KR 20140039732A KR 1020120106317 A KR1020120106317 A KR 1020120106317A KR 20120106317 A KR20120106317 A KR 20120106317A KR 20140039732 A KR20140039732 A KR 20140039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pipe
partition
inner spac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6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광철
Original Assignee
에이지그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지그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지그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6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9732A/ko
Publication of KR20140039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97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26B21/002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heating the drying air indirectly, i.e. using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14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using gases or vapours other than air or steam, e.g. iner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처리기용 응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입구와 배출구가 구비되고, 후면 일측에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에 냉각팬이 설치되어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배관과, 상기 내부배관을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둘러싸는 외부배관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이중배관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단일배관;으로 구성되되,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케이싱 내부로 유입된 수증기는 상기 이중배관의 내부배관과 외부배관 사이를 유동한 후 상기 단일배관 내부를 유동하고, 연이어 상기 이중배관의 내부배관 외부를 유동한 후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어,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식물 처리기용 응축기{Condenser for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본 발명은 음식물 처리기용 응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처리기용 응축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급속한 산업 발달과 인구증가로 인한 쓰레기 배출량의 증가는 심각한 환경오염의 요인으로 지목받아 왔다.
이러한 쓰레기 중에서도 특히 가정, 음식점 및 음식물 제조공장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심한 악취를 발생시켜 그 자체로 공해가 될 뿐만 아니라, 하천으로 흘러들어갈 경우 물의 부영양화(富營養化)를 촉진시켜 수질을 오염시키는 등의 심각한 문제를 일으킨다.
한편,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는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수거 및 운반 처리가 까다로우며 소각처리가 어렵고 처리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므로 종전에는 간편한 토양 매립을 행해 왔으나, 이러한 토양 매립은 토질오염, 수질오염 등의 2차적인 환경오염을 유발시키고 음식물 쓰레기를 근본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이 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근래에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많은 장치들이 개발되어 왔고,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건조챔버에 음식물 쓰레기를 넣고 교반을 하면서 열을 가하여 수증기를 대기중으로 증발시키거나, 증발된 수증기를 응축기로 응축시켜 저온의 공기를 다시 건조챔버에 투입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대기오염을 발생시키거나 저온상태의 공기가 건조챔버에 투입되어 에너지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분이 효과적으로 제거되고 동시에 온도가 상승된 건조 공기를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챔버에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음식물 처리기용 응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용 응축기는 유입구와 배출구가 구비되고, 후면 일측에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에 냉각팬이 설치되어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배관과, 상기 내부배관을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둘러싸는 외부배관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이중배관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단일배관;으로 구성되되,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케이싱 내부로 유입된 수증기는 상기 이중배관의 내부배관과 외부배관 사이를 유동한 후 상기 단일배관 내부를 유동하고, 연이어 상기 이중배관의 내부배관 내부를 유동한 후 상기 배출구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싱은 전면이 개방됨과 아울러 후면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냉각팬이 설치되며, 상면과 하면에 상부설치홀과 하부설치홀이 각각 형성된 센터케이싱과; 상기 센터케이싱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면에 끼움홀이 형성됨과 아울러 좌측면에 유입구가 구비되며, 좌우측면 사이에 중앙격벽이 설치되는 상부케이싱과; 상기 상부케이싱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면에 배출구가 구비된 탑케이싱과; 상기 센터케이싱의 하단에 설치되고, 하면 일측에 복수개의 삽입홀이 형성되며, 좌우측면 사이에 우측격벽이 설치되는 하부케이싱과; 상기 하부케이싱의 하단에 설치되는 내부케이싱과; 상기 하부케이싱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케이싱을 둘러싸고, 좌우측면과 하면이 상기 내부케이싱의 좌우측면과 하면에 각각 일정거리 이격되는 보텀케이싱;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중배관의 내부배관은 상기 센터케이싱을 가로질러 상단이 상기 상부케이싱의 끼움홀에 연결되어 탑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연통됨과 아울러 하단이 상기 하부케이싱의 삽입홀에 연결되어 보텀케이싱의 내부공간과 내부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연통되고, 상기 이중배관의 외부배관은 상단이 상기 센터케이싱의 상부설치홀에 연결되어 상부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연통됨과 아울러 하단이 상기 센터케이싱의 하부설치홀에 연결되어 하부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연통되며, 상기 단일배관은 상단이 상기 센터케이싱의 상부설치홀에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센터케이싱의 하부설치홀에 연결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상부케이싱의 좌측면과 중앙격벽 사이의 내부공간에 공급된 수증기는 상기 이중배관의 내부배관과 외부배관 사이와, 하부케이싱의 좌측면과 우측격벽 사이의 내부공간과, 상기 단일배관의 내부와, 상부케이싱의 중앙격벽과 우측면 사이의 내부공간과, 단일배관 내부 및 보텀케이싱의 내부공간을 순차적으로 유동한 후, 상기 이중배관의 내부배관 내부와, 상기 탑케이싱의 내부공간을 순차적으로 유동한 후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싱은 중앙격벽과 좌측면 사이에 좌측격벽이 설치되고, 상기 하부케이싱은 우측격벽과 좌측면 사이에 좌측격벽이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수증기는 상기 상부케이싱의 좌측면과 좌측격벽 사이의 내부공간으로 공급된 후 상기 이중배관의 내부배관과 외부배관 사이와 하부케이싱의 좌측면과 좌측격벽 사이의 내부공간을 순차적으로 유동하고, 연이어 이중배관의 내부배관과 외부배관 사이를 유동하여 상기 상부케이싱의 좌측격벽과 중앙격벽 사이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싱은 좌측격벽과 우측격벽 사이에 중앙격벽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케이싱은 상기 중앙격벽과 우측면 사이에 우측격벽이 설치되어, 상기 상부케이싱의 좌측격벽과 중앙격벽 사이의 내부공간에 유입된 수증기는 상기 이중배관의 내부배관과 외부배관 사이를 유동하여 상기 하부케이싱의 좌측격벽과 중앙격벽 사이의 내부공간으로 유동하고, 이후 상기 단일배관의 내부를 통하여 상기 상부케이싱의 중앙격벽과 우측격벽 사이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고, 연이어 상기 단일배관의 내부를 통하여 상기 하부케이싱의 중앙격벽과 우측격벽 사이의 내부공간으로 유동한 후 상기 단일배관의 내부를 통하여 상기 상부케이싱의 우측격벽과 우측면 사이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 탑케이싱은 좌우측면 사이에 분리격벽이 설치되고, 상기 내부케이싱은 좌우측면 사이에 분리격벽이 설치되어, 상기 상부케이싱의 우측격벽과 우측면 사이에 유입된 후 상기 단일배관을 통하여 상기 내부케이싱과 보텀케이싱 사이로 유입된 수증기는 상기 이중배관의 내부배관 내부를 통하여 상기 탑케이싱의 좌측면과 분리격벽 사이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고, 이후 상기 이중배관의 내부배관 내부를 통하여 상기 내부케이싱의 좌측면과 분리격벽 사이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며, 연이어 상기 이중배관의 내부배관 내부를 통하여 상기 탑케이싱의 분리격벽과 우측면 사이로 유입된 후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이중배관의 외부배관 외측면과 단일배관의 외측면에는 방열핀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보텀케이싱의 하면 일측에는 토출홀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음식물 처리기용 응축기는 유입구를 통하여 공급된 고온의 수증기가 이중배관의 내부배관과 외부배관 사이, 단일배관의 내부 및 이중배관의 내부배관 내부를 순차적으로 유동함으로써 수분이 효율적으로 제거되어 건조해지고, 외부로 토출되어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챔버에 공급되기 전에 이중배관의 내부배관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의 온도가 상승되어 건조챔버의 작동온도를 크게 높이지 않아도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수증기를 효율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용 응축기의 내부를 일방향에서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용 응축기의 내부를 타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용 응축기를 뒤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용 응축기에서의 수증기 흐름을 보인 도.
도 5a 내지 도 5d는 도 4에 표시된 (A),(B),(C),(D) 지점에서의 수증기 흐름을 자세히 보인 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용 응축기의 이중배관을 보인 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용 응축기의 냉각팬에 의한 공기 흐름을 보인 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용 응축기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용 응축기의 내부를 일방향에서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용 응축기의 내부를 타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용 응축기를 뒤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용 응축기에서의 수증기 흐름을 보인 도이며, 도 5a 내지 도 5d는 도 4에 표시된 (A),(B),(C),(D) 지점에서의 수증기 흐름을 자세히 보인 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용 응축기의 이중배관을 보인 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용 응축기의 냉각팬에 의한 공기 흐름을 보인 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용 응축기는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챔버가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함으로써 이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된 수증기를 응축하여 건조한 공기로 만든 후 다시 건조챔버에 보내기 위한 것으로서, 유입구(122)와 배출구(131)가 구비된 케이싱(100)과,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내부배관(210)과 상기 내부배관(210)을 둘러싸는 외부배관(220)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이중배관(200)과,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 타측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단일배관(30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음식물 처리기용 응축기는 상기 유입구(122)를 통하여 케이싱(100) 내부로 유입된 수증기가 상기 이중배관(200)의 내부배관(210)과 외부배관(220) 사이를 유동한 후 상기 단일배관(300) 내부를 유동하고, 연이어 상기 이중배관(200)의 내부배관(210) 내부를 유동한 후 상기 배출구(131)로 배출되는 형태의 수증기 유동흐름을 갖는다.
상기 케이싱(100)은 일측과 타측에 유입구(122)와 배출구(131)가 구비되고, 후면 일측에 관통홀(111)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111)에 냉각팬(400)이 설치됨으로써 외부공기를 흡입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케이싱(100)은 센터(Center)케이싱(110)과, 상기 센터케이싱(110)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부케이싱(120)과, 상기 상부케이싱(120)의 상단에 설치되는 탑(Top)케이싱(130)과, 상기 센터케이싱(110)의 하단에 설치되는 하부케이싱(140)과, 상기 하부케이싱(140)의 하단에 설치되는 내부케이싱(150)과, 상기 하부케이싱(140)의 하단에 설치되는 보텀(Bottom)케이싱(160)으로 구성된다.
상기 센터케이싱(110)은 케이싱(100)의 중앙 부분에 위치되고, 전면이 개방되며 후면에 하나 이상의 관통홀(111)이 상기 이중배관(200)과 가까운 곳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면에는 복수개의 상부설치홀(112)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복수개의 하부설치홀(113)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111)에는 냉각팬(400)이 설치된다. 이 냉각팬(400)은 센터케이싱(110)의 개방된 전면을 통하여 외부공기를 후방쪽으로 흡입한다.
상기 상부케이싱(120)은 그 좌우폭이 상기 센터케이싱(110)의 좌우폭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하면이 개방된 형태를 취하는 것으로서, 상기 센터케이싱(110)의 상면이 개방된 상부케이싱(120)의 하면을 밀폐한다. 이러한 상부케이싱(120)은 상면 일측에 복수개의 끼움홀(121)이 형성되고, 좌측면에 유입구(122)가 구비된다.
상기 유입구(122)는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챔버에 수용되어 높은 온도로 가열되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된 고온의 수증기가 유입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부케이싱(120)의 내부공간에는 3개의 격벽이 설치되는데, 좌측면과 우측면 사이에 중앙격벽(123)이 구비되고, 좌측면과 중앙격벽(123) 사이에 좌측격벽(124)이 구비되며, 우측면과 중앙격벽(123) 사이에 우측격벽(125)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케이싱(120)의 좌측면과 좌측격벽(124) 사이에 제1상부공간(120a)이 형성되고, 상기 좌측격벽(124)과 중앙격벽(123) 사이에 제2상부공간(120b)이 형성되며, 상기 중앙격벽(123)과 우측격벽(125) 사이에 제3상부공간(120c)이 형성되고, 상기 우측격벽(125)과 우측면 사이에 제4상부공간(120d)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케이싱(120) 내부에 형성되는 제1상부공간(120a)은 나머지 제2상부공간(120b)과 제3상부공간(120c) 및 제4상부공간(120d)에 비하여 그 폭이 좁게 형성된다. 부연하면, 상기 유입구(122)는 상기 상부케이싱(120)의 제1상부공간(120a)에 연통되도록 상부케이싱(120)의 좌측면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상부케이싱(120)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중앙격벽(123)과 좌측격벽(124) 및 우측격벽(125)은 상단이 상부케이싱(120)의 상면에 밀착되고 하단이 상기 센터케이싱(110)의 상면에 밀착된다.
상기 탑케이싱(130)은 상기 상부케이싱(120)보다 그 좌우폭이 상기 센터케이싱(110)의 좌우폭보다 훨씬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고, 하면이 개방된 형태를 취하는 것으로서, 좌측면이 상기 상부케이싱(120)의 좌측면에 연결되어 일직선을 이루고, 상기 상부케이싱(120)의 상면이 개방된 탑케이싱(130)의 하면을 밀폐한다. 이러한 탑케이싱(130)은 상면에 배출구(131)가 구비되고, 내부에 하나의 분리격벽(132)이 설치된다.
상기 배출구(131)는 상기 유입구(122)를 통하여 내부로 유입된 후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용 응축기의 응축과정을 거친 수증기가 배출되는 부분이다.
상기 분리격벽(132)은 상단이 탑케이싱(130)의 상면에 밀착되고 하단이 상기 상부케이싱(120)의 상면에 밀착된다. 이러한 분리격벽(132)의 설치에 의하여 상기 탑케이싱(130)의 좌측면과 분리격벽(132) 사이에는 제1탑공간(130a)이 설치되고, 상기 분리격벽(132)과 우측면 사이에는 제2탑공간(130b)이 설치된다. 상기 제1탑공간(130a)은 그 좌우폭이 상기 제2탑공간(130b)의 좌우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부연하면, 상기 배출구(131)는 상기 탑케이싱(130)의 제2탑공간(130b)에 연통되도록 탑케이싱(130)의 상면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상부케이싱(120)의 상면에 형성되는 끼움홀(121)은 상부케이싱(120)의 상면 전체에 형성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탑케이싱(130)의 좌측면과 우측면 사이에 위치되는 면에만 형성된다.
상기 하부케이싱(140)은 그 좌우폭이 상기 센터케이싱(110)의 좌우폭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된 형태를 취하는 것으로서, 상기 센터케이싱(110)의 하면이 개방된 하부케이싱(140)의 상면을 밀폐한다. 이러한 하부케이싱(140)은 하면 일측에 복수개의 삽입홀(141)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홀(141)은 상기 상부케이싱(120)에 형성된 끼움홀(121)과 동일한 상하라인 선상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끼움홀(121)과 동일한 개수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싱(140)의 내부공간에는 3개의 격벽이 설치되는데, 좌우측면과 우측면 사이에 중앙격벽(142)이 구비되고, 좌측면과 중앙격벽(142) 사이에 좌측격벽(143)이 구비되며, 우측면과 중앙격벽(142) 사이에 우측격벽(144)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케이싱(140)의 좌측면과 좌측격벽(143) 사이에 제1하부공간(140a)이 형성되고, 상기 좌측격벽(143)과 중앙격벽(142) 사이에 제2하부공간(140b)이 형성되며, 상기 중앙격벽(142)과 우측격벽(144) 사이에 제3하부공간(140c)이 형성되고, 상기 우측격벽(144)과 우측면 사이에 제4하부공간(140d)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케이싱(14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4하부공간(140d)은 나머지 제1하부공간(140a)과 제2하부공간(140b) 및 제3하부공간(140c)에 비하여 그 폭이 좁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하부케이싱(140)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중앙격벽(142)과 좌측격벽(143) 및 우측격벽(144)은 상단이 센터케이싱(110)의 하면에 밀착되고 하단이 상기 하부케이싱(140)의 하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싱(140)에 설치된 중앙격벽(142)과 좌측격벽(143) 및 우측격벽(144)의 하단에는 수증기의 응축과정 중에 발생될 수 있는 응결수를 상기 보텀케이싱(160) 내부공간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홀(145)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케이싱(150)은 좌우폭이 상기 하부케이싱(140)의 좌우폭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되어 상기 하부케이싱(140)의 하면에 상단이 밀착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개방된 상면은 하부케이싱(140)의 하면에 의하여 밀착된다. 이러한 내부케이싱(150)의 내부공간에는 하나의 분리격벽(151)이 좌측면과 우측면 사이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내부케이싱(150)의 좌측면과 분리격벽(151) 사이에 제1내부공간(150a)이 형성되고, 상기 분리격벽(151)과 우측면 사이에 제2내부공간(150b)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내부케이싱(15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내부공간(150a)은 상기 제2내부공간(150b)보다 그 폭이 좁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내부케이싱(150)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분리격벽(151)은 상단이 상기 하부케이싱(140)의 하면이 밀착되고, 하단이 내부케이싱(150)의 하면에 밀착된다.
상기 보텀케이싱(160)은 그 좌우폭이 상기 하부케이싱(140)이 좌우폭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된 형태를 취하는 것으로서, 상기 하부케이싱(140)의 하면이 개방된 보텀케이싱(160)의 상면을 밀폐한다. 이러한 보텀케이싱(160)은 상기 내부케이싱(150)을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좌우측면과 하면이 상기 내부케이싱(150)의 좌우측면과 하면에 각각 일정거리 이격된다.
그리고, 상기 보텀케이싱(160)의 하면 일측에는 토출홀(161)이 형성되어, 응축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응결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중배관(200)은 상기 케이싱(100)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배관(210)과, 상기 내부배관(210)을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둘러싸서 내측면과 내부배관(210)의 외측면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는 외부배관(2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내부배관(210)은 상기 센터케이싱(110)을 가로질러 상단이 상기 상부케이싱(120)의 끼움홀(121)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탑케이싱(130) 내부공간에 연통됨과 아울러 하단이 상기 하부케이싱(140)의 삽입홀(141)에 연결됨으로써 보텀케이싱(160)의 내부공간과 내부케이싱(150)의 내부공간에 연통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내부배관(210)은 복수개가 케이싱(100)에 설치되는데, 복수개의 내부배관(210) 중 일부 내부배관(210)의 상단은 상기 탑케이싱(130)의 제1탑공간(130a)과 연통되고 나머지 내부배관(210)의 상단은 탑케이싱(130)의 제2탑공간(130b)과 연통된다. 그리고, 복수개의 내부배관(210) 중 일부 내부배관(210)의 하단은 상기 내부케이싱(150)과 보텀케이싱(160) 사이의 공간에 연통되고, 나머지 내부배관(210)의 하단은 상기 내부케이싱(150)의 제1내부공간(150a)에 연통된다.
상기 외부배관(220)은 상단이 상기 센터케이싱(110)의 상부설치홀(112)에 연결되어 상부케이싱(120)의 내부공간에 연통됨과 아울러 하단이 상기 센터케이싱(110)의 하부설치홀(113)에 연결되어 하부케이싱(140)의 내부공간에 연통된다.
이러한 외부배관(220)의 외측면에는 방열핀(221)이 상단에서부터 하단에 이르기까지 높은 밀도로 촘촘하게 설치된다. 이 방열핀(221)은 알루미늄으로 그 재질을 구성하고 높은 밀도로 설치함으로써 방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단일배관(300)은 상기 이중배관(200)의 내부배관(210)이 관통하고 남아 있는 나머지 센터케이싱(110)의 상부설치홀(112)과 하부설치홀(113)에 상단과 하단이 각각 연결된다. 이러한 단일배관(300)의 외측면에는 방열핀(310)이 상단에서부터 하단에 이르기까지 높은 밀도로 촘촘하게 설치된다. 이 방열핀(310)은 알루미늄으로 그 재질은 구성하고 높은 밀도로 설치함으로써 방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용 응축기의 수증기 흐름을 먼저 간단히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 상부케이싱(120)의 유입구(122)를 통하여 상기 상부케이싱(120)의 좌측면과 중앙격벽(123) 사이의 내부공간에 공급된 수증기는 상기 이중배관(200)의 내부배관(210)과 외부배관(220) 사이와, 하부케이싱(140)의 좌측면과 우측격벽(144) 사이의 내부공간과, 상기 단일배관(300)의 내부와, 상부케이싱(120)의 중앙격벽(123)과 우측면 사이의 내부공간과, 단일배관(300) 내부 및 보텀케이싱(160)의 내부공간을 순차적으로 유동한 후, 상기 이중배관(200)의 내부배관(210) 내부와, 상기 탑케이싱(130)의 내부공간을 순차적으로 유동한 후 상기 배출구(13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흐름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용 응축기의 수증기 유동과정에 대하여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상부케이싱(120)의 유입구(122)를 통하여 유입되는 수증기는 상기 상부케이싱(120)의 좌측면과 좌측격벽(124) 사이의 내부공간, 즉 제1상부공간(120a)으로 공급된 후 상기 이중배관(200)의 내부배관(210) 외측면과 외부배관(220) 내측면 사이를 유동하여 하측으로 하강한다.
상기 내부배관(210)과 외부배관(220) 사이를 유동하여 하강한 수증기는 상기 하부케이싱(140)의 좌측면과 좌측격벽(143) 사이의 내부공간, 즉 제1하부공간(140a)으로 유입되고, 제1하부공간(140a)으로 유입된 수증기는 이중배관(200)의 내부배관(210)과 외부배관(220) 사이를 유동하여 상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상부케이싱(120)의 좌측격벽(124)과 중앙격벽(123) 사이의 내부공간, 즉 제2상부공간(120b)으로 유입된다.
상기 제2상부공간(120b)으로 유입된 수증기는 상기 이중배관(200)의 내부배관(210)과 외부배관(220) 사이를 유동하여 하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하부케이싱(140)의 좌측격벽(143)과 중앙격벽(142) 사이의 내부공간, 즉 제2하부공간(140b)으로 유입된다.
상기 제2하부공간(140b)으로 유입된 수증기는 상기 단일배관(300)의 내부를 유동하여 상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상부케이싱(120)의 중앙격벽(123)과 우측격벽(125) 사이의 내부공간, 즉 제3상부공간(120c)으로 유입된다.
상기 제3상부공간(120c)으로 유입된 수증기는 상기 단일배관(300)의 내부를 유동하여 하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하부케이싱(140)의 중앙격벽(142)과 우측격벽(144) 사이의 내부공간, 즉 제3하부공간(140c)으로 유입된다.
상기 제3하부공간(140c)으로 유입된 수증기는 상기 단일배관(300)의 내부를 통하여 상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상부케이싱(120)의 우측격벽(125)과 우측면 사이의 내부공간, 즉 제4상부공간(120d)으로 유입된다.
상기 제4상부공간(120d)으로 유입된 수증기는 상기 단일배관(300)의 내부를 통하여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내부케이싱(150)의 외측면과 보텀케이싱(160)의 내측면 사이로 유입되고, 이후 상기 이중배관(200)의 내부배관(210) 내부를 통하여 상기 탑케이싱(130)의 좌측면과 분리격벽(132) 사이의 내부공간, 즉 제1탑공간(130a)으로 유입된다.
상기 제1탑공간(130a)으로 유입된 수증기는 상기 이중배관(200)의 내부배관(210) 내부를 통하여 하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내부케이싱(150)의 좌측면과 분리격벽(151) 사이의 내부공간, 즉 제1내부공간(150a)으로 유입된다.
상기 제1내부공간(150a)으로 유입된 수증기는 상기 이중배관(200)의 내부배관(210) 내부를 통하여 상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탑케이싱(130)의 분리격벽(132)과 우측면 사이의 공간, 즉 제2탑공간(130b)으로 유입된다.
이렇게 제2탑공간(130b)으로 유입된 수증기는 상기 배출구(13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유입구(122)를 통하여 공급된 수증기가 유동하는 과정 중에 상기 냉각팬(400)은 회전을 하여 외부의 차가운 공기를 흡입하여 그 외부의 공기가 센터케이싱(110)의 개방된 전면을 통하여 관통홀(111)로 토출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서 수증기가 응축됨으로써 최종적으로 배출구(131)를 통하여 외부에 배출될 때는 수분이 거의 남아 있지 않은 공기가 배출되고, 이 공기는 다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챔버에 공급된다.
건조챔버는 앞서 말한대로 음식물 쓰레기에 열을 가하여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되어 있던 수분을 증발시키는 역할을 하는 장치인데, 이 건조챔버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유입구(122)를 통하여 공급받은 후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용 응축기로 응축을 한 다음 수분이 제거된 공기를 다시 건조챔버에 공급한다.
배출구(131)를 통하여 건조챔버로 공급되는 수분이 제거된 공기는 유입구(122)를 통하여 제1상부공간(120a)에 유입된 수증기보다는 온도가 낮지만 제4상부공간(120d)에 유입되는 수증기보다는 온도가 높다. 이렇게 배출구(131)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더 높은 이유는 배출구(131)로 배출되기 직전에 수분이 제거된 공기가 이중배관(200)의 내부를 유동하는데, 이때 이중배관(200)의 외부에는 높은 온도의 수증기가 유동하여 둘 사이에 열교환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응축과정에 의하여 온도가 일정부분 상승됨과 아울러 건조해진 공기를 건조챔버로 공급하면 건조챔버의 온도를 조금만 높여도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수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100: 케이싱 110: 센터케이싱
111: 관통홀 112: 상부설치홀
113: 하부설치홀 120: 상부케이싱
120a: 제1상부공간 120b: 제2상부공간
120c: 제3상부공간 120d: 제4상부공간
121: 끼움홀 122: 유입구
123: 중앙격벽 124: 좌측격벽
125: 우측격벽 130: 탑케이싱
130a: 제1탑공간 130b: 제2탑공간
131: 배출구 132: 분리격벽
140: 하부케이싱 140a: 제1하부공간
140b: 제2하부공간 140c: 제3하부공간
140d: 제4하부공간 141: 삽입홀
142: 중앙격벽 143: 좌측격벽
144: 우측격벽 150: 내부케이싱
150a: 제1내부공간 150b: 제2내부공간
151: 분리격벽 160: 보텀케이싱
161: 토출홀 200: 이중배관
210: 내부배관 220: 외부배관
221: 방열핀 300: 단일배관
310: 방열핀

Claims (7)

  1. 유입구(122)와 배출구(131)가 구비되고, 후면 일측에 관통홀(111)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111)에 냉각팬(400)이 설치되어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케이싱(100)과;
    상기 케이싱(100)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배관(210)과, 상기 내부배관(210)을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둘러싸는 외부배관(220)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이중배관(200)과;
    상기 케이싱(100)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단일배관(300);으로 구성되되,
    상기 유입구(122)를 통하여 케이싱(100) 내부로 유입된 수증기는 상기 이중배관(200)의 내부배관(210)과 외부배관(220) 사이를 유동한 후 상기 단일배관(300) 내부를 유동하고, 연이어 상기 이중배관(200)의 내부배관(210) 내부를 유동한 후 상기 배출구(131)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용 응축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0)은 전면이 개방됨과 아울러 후면에 관통홀(11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11)에 냉각팬(400)이 설치되며, 상면과 하면에 상부설치홀(112)과 하부설치홀(113)이 각각 형성된 센터케이싱(110)과; 상기 센터케이싱(110)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면에 끼움홀(121)이 형성됨과 아울러 좌측면에 유입구(122)가 구비되며, 좌우측면 사이에 중앙격벽(123)이 설치되는 상부케이싱(120)과; 상기 상부케이싱(120)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면에 배출구(131)가 구비된 탑케이싱(130)과; 상기 센터케이싱(110)의 하단에 설치되고, 하면 일측에 복수개의 삽입홀(141)이 형성되며, 좌우측면 사이에 우측격벽(144)이 설치되는 하부케이싱(140)과; 상기 하부케이싱(140)의 하단에 설치되는 내부케이싱(150)과; 상기 하부케이싱(140)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케이싱(150)을 둘러싸고, 좌우측면과 하면이 상기 내부케이싱(150)의 좌우측면과 하면에 각각 일정거리 이격되는 보텀케이싱(160);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중배관(200)의 내부배관(210)은 상기 센터케이싱(110)을 가로질러 상단이 상기 상부케이싱(120)의 끼움홀(121)에 연결되어 탑케이싱(130)의 내부공간에 연통됨과 아울러 하단이 상기 하부케이싱(140)의 삽입홀(141)에 연결되어 보텀케이싱(160)의 내부공간과 내부케이싱(150)의 내부공간에 연통되고, 상기 이중배관(200)의 외부배관(220)은 상단이 상기 센터케이싱(110)의 상부설치홀(112)에 연결되어 상부케이싱(120)의 내부공간에 연통됨과 아울러 하단이 상기 센터케이싱(110)의 하부설치홀(113)에 연결되어 하부케이싱(140)의 내부공간에 연통되며,
    상기 단일배관(300)은 상단이 상기 센터케이싱(110)의 상부설치홀(112)에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센터케이싱(110)의 하부설치홀(113)에 연결되어,
    상기 유입구(122)를 통하여 상기 상부케이싱(120)의 좌측면과 중앙격벽(123) 사이의 내부공간에 공급된 수증기는 상기 이중배관(200)의 내부배관(210)과 외부배관(220) 사이와, 하부케이싱(140)의 좌측면과 우측격벽(144) 사이의 내부공간과, 상기 단일배관(300)의 내부와, 상부케이싱(120)의 중앙격벽(123)과 우측면 사이의 내부공간과, 단일배관(300) 내부 및 보텀케이싱(160)의 내부공간을 순차적으로 유동한 후, 상기 이중배관(200)의 내부배관(210) 내부와, 상기 탑케이싱(130)의 내부공간을 순차적으로 유동한 후 상기 배출구(13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용 응축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싱(120)은 중앙격벽(123)과 좌측면 사이에 좌측격벽(124)이 설치되고, 상기 하부케이싱(140)은 우측격벽(144)과 좌측면 사이에 좌측격벽(143)이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122)를 통하여 유입되는 수증기는 상기 상부케이싱(120)의 좌측면과 좌측격벽(124) 사이의 내부공간으로 공급된 후 상기 이중배관(200)의 내부배관(210)과 외부배관(220) 사이와 하부케이싱(140)의 좌측면과 좌측격벽(143) 사이의 내부공간을 순차적으로 유동하고, 연이어 이중배관(200)의 내부배관(210)과 외부배관(220) 사이를 유동하여 상기 상부케이싱(120)의 좌측격벽(124)과 중앙격벽(123) 사이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용 응축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싱(140)은 좌측격벽(143)과 우측격벽(144) 사이에 중앙격벽(142)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케이싱(120)은 상기 중앙격벽(123)과 우측면 사이에 우측격벽(125)이 설치되어,
    상기 상부케이싱(120)의 좌측격벽(124)과 중앙격벽(123) 사이의 내부공간에 유입된 수증기는 상기 이중배관(200)의 내부배관(210)과 외부배관(220) 사이를 유동하여 상기 하부케이싱(140)의 좌측격벽(143)과 중앙격벽(142) 사이의 내부공간으로 유동하고, 이후 상기 단일배관(300)의 내부를 통하여 상기 상부케이싱(120)의 중앙격벽(123)과 우측격벽(125) 사이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고, 연이어 상기 단일배관(300)의 내부를 통하여 상기 하부케이싱(140)의 중앙격벽(142)과 우측격벽(144) 사이의 내부공간으로 유동한 후 상기 단일배관(300)의 내부를 통하여 상기 상부케이싱(120)의 우측격벽(125)과 우측면 사이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용 응축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탑케이싱(130)은 좌우측면 사이에 분리격벽(132)이 설치되고, 상기 내부케이싱(150)은 좌우측면 사이에 분리격벽(151)이 설치되어,
    상기 상부케이싱(120)의 우측격벽(125)과 우측면 사이에 유입된 후 상기 단일배관(300)을 통하여 상기 내부케이싱(150)과 보텀케이싱(160) 사이로 유입된 수증기는 상기 이중배관(200)의 내부배관(210) 내부를 통하여 상기 탑케이싱(130)의 좌측면과 분리격벽(132) 사이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고, 이후 상기 이중배관(200)의 내부배관(210) 내부를 통하여 상기 내부케이싱(150)의 좌측면과 분리격벽(151) 사이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며, 연이어 상기 이중배관(200)의 내부배관(210) 내부를 통하여 상기 탑케이싱(130)의 분리격벽(132)과 우측면 사이로 유입된 후 배출구(13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용 응축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중배관(200)의 외부배관(220) 외측면과 상기 단일배관(300)의 외측면에는 방열핀(221,310)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용 응축기.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텀케이싱(160)의 하면 일측에는 토출홀(16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용 응축기.
KR1020120106317A 2012-09-25 2012-09-25 음식물 처리기용 응축기 KR201400397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317A KR20140039732A (ko) 2012-09-25 2012-09-25 음식물 처리기용 응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317A KR20140039732A (ko) 2012-09-25 2012-09-25 음식물 처리기용 응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732A true KR20140039732A (ko) 2014-04-02

Family

ID=50650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6317A KR20140039732A (ko) 2012-09-25 2012-09-25 음식물 처리기용 응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9732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16998A (zh) * 2016-07-07 2016-10-12 无锡市昂益达机械有限公司 一种箱体式的干燥设备
CN111780525A (zh) * 2020-07-22 2020-10-16 西藏天虹科技股份有限责任公司 黄精采收加工生产线
KR102333064B1 (ko) 2021-02-23 2021-12-02 (주)휴렉 음식물 처리기
KR102333065B1 (ko) 2021-02-23 2021-12-02 (주)휴렉 음식물 처리기
KR102333063B1 (ko) 2021-02-23 2021-12-02 (주)휴렉 음식물 처리기
KR20220138946A (ko) * 2021-04-07 2022-10-14 이택기 응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동물 폐사체 처리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16998A (zh) * 2016-07-07 2016-10-12 无锡市昂益达机械有限公司 一种箱体式的干燥设备
CN111780525A (zh) * 2020-07-22 2020-10-16 西藏天虹科技股份有限责任公司 黄精采收加工生产线
CN111780525B (zh) * 2020-07-22 2021-11-16 西藏天虹科技股份有限责任公司 黄精采收加工生产线
KR102333064B1 (ko) 2021-02-23 2021-12-02 (주)휴렉 음식물 처리기
KR102333065B1 (ko) 2021-02-23 2021-12-02 (주)휴렉 음식물 처리기
KR102333063B1 (ko) 2021-02-23 2021-12-02 (주)휴렉 음식물 처리기
KR20220138946A (ko) * 2021-04-07 2022-10-14 이택기 응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동물 폐사체 처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39732A (ko) 음식물 처리기용 응축기
KR100993347B1 (ko) 음식물쓰레기처리기에 구비되는 제습 및 탈취장치
CN102011295A (zh) 干燥机
CN214300905U (zh) 一种干衣机排湿装置的外壳结构、排湿装置、干衣机
CN208545289U (zh) 一种基于热泵技术的污泥烘干系统
CN214271396U (zh) 一种干衣机用排湿气装置、干衣机
CN208327790U (zh) 一种低温带式干化机余热除湿装置
CN219823970U (zh) 污泥处理用深度污泥脱水装置
CN216024034U (zh) 一种仓储物流用除湿机构
CN204634197U (zh) 一种紧凑型通信机柜
CN203464785U (zh) 双冷式闭式冷却系统
CN214300902U (zh) 一种用于排湿装置的换热组件、排湿装置、干衣机
CN216530127U (zh) 一种防尘散热效果好的电力通信设备
CN214300904U (zh) 一种用于排湿装置的换热组件、排湿装置、干衣机
CN114293355A (zh) 一种干衣机排湿装置的外壳结构、排湿装置、干衣机
CN210012740U (zh) 一种基于热泵技术的污泥烘干系统
CN210399824U (zh) 一种湿气回用和组合加热的盘式干燥装置
CN105311895A (zh) 一种祛除烟气中固形物和有害气体的方法及其装置
CN216137844U (zh) 一种用于有机垃圾处理利用的热量内循环式水汽处理系统
CN114250610B (zh) 一种用于排湿装置的换热组件、干衣机
CN216558204U (zh) 一种热风除湿及换热循环设备
CN103363781A (zh) 一种挂面烘房
CN214502139U (zh) 一种基于环保的消雾型冷却塔的节水结构
CN218393031U (zh) 除尘烟雾消白系统
CN214300903U (zh) 一种用于排湿气装置的换热件、排湿气装置、干衣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