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8638A - 고전압 정션박스 - Google Patents

고전압 정션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8638A
KR20140038638A KR1020120104941A KR20120104941A KR20140038638A KR 20140038638 A KR20140038638 A KR 20140038638A KR 1020120104941 A KR1020120104941 A KR 1020120104941A KR 20120104941 A KR20120104941 A KR 20120104941A KR 20140038638 A KR20140038638 A KR 20140038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junction box
high voltage
voltage junction
suppor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4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8321B1 (ko
Inventor
김복규
박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20104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8321B1/ko
Publication of KR20140038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8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8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8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6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를 분리한 상태에서만 정션박스의 덮개가 분리될 수 있는 고전압 정션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면과 상면이 개구되면서 수용공간(101)이 형성되고 전면의 일측으로 하부받침부(110)가 돌출 형성된 받침부재(100)와; 내부에 퓨즈 등의 전류를 제어하는 유닛이 내장되는 몸체(210)와, 몸체(21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받침부재의 하부받침부에 놓여지며, 전원을 외부로 연결되는 제1전방커넥터(220)와, 몸체(210)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배터리에서 연장된 커넥터가 삽입되는 후방커넥터(240)가 형성된 커넥터부재(200)와; 받침부재(100)의 상면을 커버하는 상태로 고정되고, 전면의 일측으로 커넥터부재(200)의 제1전방커넥터(220)의 외주면을 감싸는 상부받침부(310)가 돌출 형성되는 덮개부재(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전압 정션박스{HIGH VOLTAGE JUNCTION BOX}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고전압 정션박스에 관한 것이다.
고전압을 사용하는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에는 전류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전류를 배터리에 저장하고 저장된 전류를 이용하여 에어컨 또는 고전압 전원이 필요한 유닛 등으로 분배하는 고전압 정션박스가 사용된다.
특히, 배터리로부터 고전압의 DC전원을 공급받는 고전압 정션박스는 에어컨 등에 연결되는 커넥터가 체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고전압 정션박스는 커넥터가 체결된 상태에서 점검하는 경우에 커넥터를 통해 흐르는 고전압으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커넥터를 분리한 상태에서만 정션박스의 내부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하여 고전압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고전압 정션박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외부커넥터를 다중 체결하여 외부커넥터가 손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고전압 정션박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정션박스는, 전면과 상면이 개구되면서 수용공간(101)이 형성되고 전면의 일측으로 하부받침부(110)가 돌출 형성된 받침부재(100)와; 내부에 퓨즈 등의 전류를 제어하는 유닛이 내장되는 몸체(210)와, 몸체(21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받침부재의 하부받침부에 놓여지며, 전원을 외부로 연결되는 제1전방커넥터(220)와, 몸체(210)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배터리에서 연장된 커넥터가 삽입되는 후방커넥터(240)가 형성된 커넥터부재(200)와; 받침부재(100)의 상면을 커버하는 상태로 고정되고, 전면의 일측으로 커넥터부재(200)의 제1전방커넥터(220)의 외주면을 감싸는 상부받침부(310)가 돌출 형성되는 덮개부재(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고전압 정션박스는 커넥터를 분리한 상태에서만 정션박스의 덮개가 분리될 수 있으므로 커넥터를 통해 흐르는 전류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결합되는 외부커넥터가 1,2,3차로 다중 체결되기 때문에 외부커넥터가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정션박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정션박스에서 커넥터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발명에 따른 커넥터부재의 제1전방커넥터와 덮개부재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커넥터의 일부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커넥터의 동작 상태의 주요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전방커넥터와 외부커넥터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고전압 정션박스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정션박스는 받침부재(100), 커넥터부재(200), 덮개부재(300), 외부커넥터(500)를 포함한다.
받침부재(100)는 전면과 상면이 개구되면서 후술하는 커넥터부재(200)가 놓여지는 수용공간(101)이 형성되고, 하단은 커넥터부재(200)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지지턱(102)이 형성되고, 전면의 일측에는 수용공간(101)에 삽입되는 커넥터부재(200)의 제1전방커넥터(220) 하부를 받치는 하부받침부(110)가 돌출 형성된다. 하부받침부(110)는 단면의 형상이 'U'의 형태로 형성되고, 외측에서 받침부재(100)까지 연장되는 리브(111)가 형성되는 경우 구조를 견고히 할 수 있다.
받침부재(100)의 후면에는 커넥터부재(200)의 후방커넥터가 삽입되는 후방커넥터 안착홈(120)이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받침부재(100)의 상부 외측에는 다수의 나사탭(130)이 형성된다.
한편, 커넥터부재(200)는 상부가 개구되어 있으며 내부에 퓨즈 등의 전류를 제어하는 유닛이 내장되는 몸체(210)와, 몸체(21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에어컨 등의 전원이 연결되는 제1전방커넥터(220)와 전원제어유닛(HPCU 등)에 연결되는 제2전방커넥터(230) 및 몸체(210)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배터리에서 연장된 커넥터가 삽입되는 후방커넥터(240)를 구비한다. 이때, 제1전방커넥터(220)는 받침부재(100)의 하부받침부 상단에 놓여지고, 후방커넥터(240)는 받침부재(100)의 후방커넥터 안착홈(120)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또한, 제1전방커넥터(220)의 상부에는 후술하는 덮개부재의 상부받침부(310)와, 외부커넥터(500)의 장착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돌기(221)가 돌출 형성된다. 가이드돌기(221)의 후단은 외부커넥터에 체결되도록 'ㄴ'형상으로 고정턱(222)이 형성된다.
한편, 덮개부재(300)는 받침부재(100)의 상면을 커버하는 상태로 고정되고, 상부 외측에 다수의 관통홀(320)이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덮개부재(300)는 받침부재(100)의 상면을 전체적으로 커버하도록 판재형태로 형성되며 고전압 노이즈를 차폐할 수 있는 금속 플레이트, 특히 알루미늄 플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덮개부재(300)는 전면의 일측으로 커넥터부재(200)의 제1전방커넥터(220) 상부를 감싸도록 돌출된 상부받침부(310)가 형성된다. 상부받침부(310)는 단면의 형상이 '∩'의 형태로 형성되어 받침부재(100)의 하부받침부(110) 상부에 놓여지게 되고, 전방 상부에는 제1전방커넥터(220)의 가이드돌기(221)가 삽입되는 가이드홈(314)이 형성된다. 또한, 외측에는 덮개부재(300)까지 연장되는 리브(311)가 형성되는 경우 구조를 견고히 할 수 있다. 또한, 상부받침부(310)의 외측에는 외부커넥터와 체결되는 걸림돌기(313)가 형성된다.
도 3에서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재(100)의 하부받침부(110)는 양측단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경사지면서 절곡되는 하부턱(112)이 형성되고, 덮개부재(300)의 상부받침부(310)는 양측단에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지면서 절곡되는 상부턱(31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부받침부(310)와 하부받침부(110)의 양측단이 각기 마주되는 경우, 하부턱(112)과 상부턱(312)이 서로 결합되므로, 상부받침부(310)와 하부받침부(110)의 결합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받침부(310)와 하부받침부(110)가 제1전방커넥터(220)를 감싸기 때문에 제1전방커넥터(220)의 외주면이 외부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방커넥터(220)의 전방 외주면에는 삽입홈(223)이 형성되고, 상부받침부(310)의 끝단에는 삽입홈(223)에 체결되는 삽입돌기(315)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부받침부(310)가 제1전방커넥터(220)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상부받침부(310)가 제1전방커넥터(220)에서 이격되지 않는 상태로 외부커넥터(500)에 용이하게 삽입되어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체결볼트(400)는 덮개부재(300)의 관통홀(320)을 관통하는 상태로 받침부재(100)의 나사탭(130)에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체결볼트(400)의 체결에 의해 덮개부재(300)가 받침부재(100)의 상부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외부커넥터(500)는 커넥터부재(200)의 제1전방커넥터(220)에 결합되어서 몸체(210)의 전류를 공급받는다. 외부커넥터(500)의 내측면에는 받침부재(100)의 하부받침부(110)와, 덮개부재(300)의 상부받침부(310)로 흐르는 고전압 노이즈를 차폐하기 위하여 금속 플레이트(특히, 알루미늄 플레이트)가 내장되는 것이 바림직하다. 이러한 금속 플레이트는 고전압 정션박스에서 고전압 노이즈가 발생되면 금속재질의 하부받침부와, 덮개부재를 거처 외부커넥터의 내부로 전달하면서 차폐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커넥터(500)는 상부받침부(310)와 하부받침부(110)에 커버된 제1전방커넥터(220)가 삽입되는 커넥터삽입부(510)가 형성되고, 커넥터삽입부(510)의 내주면에는 상부받침부(310)의 걸림돌기(313)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걸림홈(511)이 형성된다.
또한, 외부커넥터(500)는 커넥터삽입부(510)의 상부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상부관통부(520)가 형성된다. 상부관통부(520)의 하부면에는 제1전방커넥터(220)가 체결될 때에 가이드돌기(221)가 삽입되도록 안내홀(521)이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측면관통공(5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관통부(520)의 내측에는 상부체결편(530)과 누름편(540)이 위치한다. 상부체결편(530)은 양측면에 상부관통부의 측면관통공으로 돌출되는 돌출돌기(532)가 형성되며 끝단에 가이드돌기의 후방에 형성된 고정턱(222)에 체결되는 걸림부(531)가 형성되고, 전단에 손잡이(533)가 형성된다. 이때, 상부체결편(530)의 중앙부분은 상하로 관통된 삽입공(53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누름편(540)은 상부체결편(530)의 상부에서 위치하며 중앙에 상부체결편의 후반부가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관통공(541)이 형성되며, 후반부의 끝은 고정턱(222)에 체결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커넥터(500)가 제1전방커넥터(220)에 체결되는 경우 누름편(540)의 끝단이 가이드돌기(221)를 넘어 고정턱(222)에 위치하면서 체결되고, 상부체결편(530)을 후방으로 밀면 상부체결편의 후반부가 누름편(540)의 관통공(541)을 통해 상부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제1전방커넥터(220)의 가이드돌기(221)와 누름편(540)의 끝단을 넘어서 고정턱(222)의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외부커넥터(500)는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홈으로 상부받침부(310)에 형성된 걸림돌기(313)에 1차로 체결되고, 상부에 형성된 누름편(540)으로 2차 체결되며, 상부체결편(530)으로 3차 체결되기 때문에 외부커넥터의 체결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커넥터(500)를 분리하는 경우에는 상부체결편(530)의 손잡이(533)를 잡아당기면 상부체결편의 끝단이 누름편(540)의 끝단을 넘어서 이동하게 된다. 다시 누름편(540)의 전단을 누르면서 외부커넥터(500)를 잡아당기면 누름편의 전단 하부가 상부체결편(530)의 삽입공(534)으로 이동하면서 누름편(540)의 끝단이 가이드돌기(221)의 상부로 들리면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재(100)의 수용공간(101)에 커넥터부재(200)를 수용시킨다. 이때, 제1전방커넥터(220)가 받침부재(100)의 전면으로 돌출되면서 하부면이 하부받침부(110)에 의해 커버되고, 후방커넥터(240)는 후방커넥터 안착홈(120)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이어서, 덮개부재(300)를 받침부재(100)의 상부에 덮어서 위치시켜서 상부받침부(310)가 제1전방커넥터(220)의 외주면을 커버하도록 한다. 이때, 하부턱(112)과 상부턱(312)이 서로 결합되므로, 하부받침부(110)와 상부받침부(310)가 제1전방커넥터(220)의 외주면을 완전히 커버한다. 그리고, 체결볼트(400)를 이용하여 덮개부재(300)를 받침부재(100)에 체결시킨다.
계속해서, 하부받침부(110)와 상부받침부(310)에 감싸진 상태의 제1전방커넥터(220)에 외부커넥터(500)를 삽입시켜서 결합한다. 이때, 상부받침부(310)의 걸림돌기(313)가 외부커넥터(500)의 걸림홈(511)에 착탈가능하게 걸리면서 1차 결합되며, 상부의 누름편(540)의 끝단이 가이드돌기(221)를 넘어 고정턱(222)에 위치하게 되면서 2차 결합된다.
그 후,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커넥터(500)의 상부체결편(530)을 후방으로 밀면 상부체결편의 끝단이 제1전방커넥터(220)의 가이드돌기(221)와 누름편(540)의 끝단을 넘어서 고정턱(222)의 후방에 위치하면서 3차 결합된다. 이에 따라 외부커넥터(500)는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홈으로 상부받침부(310)에 형성된 걸림돌기(313)에 1차로 체결되고, 상부에 형성된 누름편(540)으로 2차 체결되며, 상부체결편(530)으로 3차 체결되기 때문에 외부커넥터의 체결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넥터부재(200)의 제1전방커넥터(220)를 외부커넥터(500)에서 분리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는, 체결볼트(400)를 분리하여도 받침부재(100)에서 덮개부재(300)를 분리할 수 없다. 즉, 커넥터부재(200)의 제1전방커넥터(220)를 외부커넥터(500)에서 분리한 상태에서만 체결볼트(400)를 분리한 후 받침부재(100)에서 덮개부재(300)를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커넥터부재(200)와 외부커넥터(500)가 분리되어 전류가 차단된 상태에서만 받침부재(100)에서 덮개부재(300)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감전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외부커넥터(500)를 분리하는 경우에는 상부체결편(530)을 잡아당기면 상부체결편(530)의 끝단이 누름편(540)의 끝단을 넘어서 초기 상태로 이동하게 되고, 다시 누름편(540)의 전단을 누르면서 외부커넥터(500)를 잡아당기면 누름편(540)의 끝단이 제1전방커넥터(220)의 가이드돌기의 상부로 들리면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받침부재 101 : 수용공간
110 : 하부받침부 130 : 나사탭
120 : 후방커넥터 안착홈 200 : 커넥터부재
210 : 몸체 220 : 제1전방커넥터
221 : 가이드돌기 222 : 고정턱
223 : 삽입홈 230 : 제2전방커넥터
240 : 후방커넥터 300 : 덮개부재
310 : 상부받침부 312 : 상부턱
313 : 걸림돌기 314 : 가이드홈
315 : 삽입돌기 320 : 관통홀
400 : 체결볼트 500 : 외부커넥터
510 : 커넥터삽입부 511 : 걸림홈
520 : 상부관통부 521 : 안내홀
522 : 측면관통공 530 : 상부체결편
532 : 걸림부 533 : 손잡이
534 : 삽입공 540 : 누름편
541 : 관통공

Claims (15)

  1. 전면과 상면이 개구되면서 수용공간(101)이 형성되고 전면의 일측으로 하부받침부(110)가 돌출 형성된 받침부재(100)와;
    내부에 퓨즈 등의 전류를 제어하는 유닛이 내장되는 몸체(210)와, 몸체(21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받침부재의 하부받침부에 놓여지며, 전원을 외부로 연결되는 제1전방커넥터(220)와, 몸체(210)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배터리에서 연장된 커넥터가 삽입되는 후방커넥터(240)가 형성된 커넥터부재(200)와;
    상기 받침부재(100)의 상면을 커버하는 상태로 고정되고, 전면의 일측으로 상기 커넥터부재(200)의 제1전방커넥터(220)의 외주면을 감싸는 상부받침부(310)가 돌출 형성되는 덮개부재(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정션박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받침부(110)는 단면의 형상이 'U'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받침부(310)는 단면의 형상이 '∩'의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정션박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100)의 하부받침부(110)는 양측단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경사지면서 절곡되는 하부턱(112)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재(300)의 상부받침부(310)는 양측단에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지면서 절곡되는 상부턱(3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정션박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받침부(110)의 외측에서 받침부재(100)까지 연장되는 리브(1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정션박스.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받침부(310)외측에는 덮개부재(300)까지 연장되는 리브(3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정션박스.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100)의 후면에는 커넥터부재(200)의 후방커넥터가 삽입되는 후방커넥터 안착홈(120)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정션박스.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100)의 상부 외측에는 다수의 나사탭(130)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재(300)의 상부 외측에 다수의 관통홀(320)이 관통 형성되어 체결볼트(400)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정션박스.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재(200)는 몸체(21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전원제어유닛에 연결되는 제2전방커넥터(230)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정션박스.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전방커넥터(220)의 상부에는 후단이 'ㄴ'형상의 고정턱(222)을 갖는 가이드돌기(22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부받침부(310)는 가이드돌기(221)가 삽입되는 가이드홈(31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정션박스.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전방커넥터(220)의 전방 외주면에는 삽입홈(223)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받침부(310)의 끝단에는 삽입홈(223)에 체결되는 삽입돌기(31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정션박스.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재(200)의 제1전방커넥터(220)에 결합되어서 몸체(210)의 전류를 공급받는 외부커넥터(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정션박스.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외부커넥터(500)는 상기 상부받침부(310)와 하부받침부(110)에 커버된 제1전방커넥터(220)가 삽입되는 커넥터삽입부(5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정션박스.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상부받침부(310)의 외측에는 외부커넥터와 체결되는 걸림돌기(313)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커넥터(500)의 커넥터삽입부(510)의 내주면에는 상부받침부(310)의 걸림돌기(313)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걸림홈(5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정션박스.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외부커넥터(500)는 커넥터삽입부(510)의 상부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있으며 하부면에는 제1전방커넥터(220)가 체결될 때에 가이드돌기(221)가 삽입되도록 안내홀(521)이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측면관통공(522)이 형성된 상부관통부(520)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관통부(520)의 내부에는,
    양측면에 상부관통부의 측면관통공(522)으로 돌출되는 돌출돌기(532)와, 끝단에 가이드돌기의 후방에 형성된 고정턱(222)에 체결되는 걸림부(531)가 형성되고, 전단에 손잡이(533)가 형성된 상부체결편(530)과,
    상기 상부체결편(530)의 상부에 위치하며 중앙에 상부체결편의 후반부가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관통공(541)이 형성되며, 끝단이 가이드돌기의 후방에 형성된 고정턱(222)에 체결되는 누름편(5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정션박스.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받침부재(100), 덮개부재(300)는 고전압 노이즈를 차폐할 수 있는 금속 플레이트재질로 이루어지고, 외부커넥터(500)의 내측면에는 받침부재(100)의 하부받침부(110), 덮개부재(300)의 상부받침부(310)로 흐르는 고전압 노이즈를 차폐하기 위한 금속 플레이트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정션박스.
KR1020120104941A 2012-09-21 2012-09-21 고전압 정션박스 KR101558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941A KR101558321B1 (ko) 2012-09-21 2012-09-21 고전압 정션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941A KR101558321B1 (ko) 2012-09-21 2012-09-21 고전압 정션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8638A true KR20140038638A (ko) 2014-03-31
KR101558321B1 KR101558321B1 (ko) 2015-10-12

Family

ID=50646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4941A KR101558321B1 (ko) 2012-09-21 2012-09-21 고전압 정션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83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27157A (zh) * 2016-11-23 2017-05-10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电动汽车配电盒及使用该配电盒的电动汽车
KR20230039148A (ko) * 2021-09-13 2023-03-21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전기접속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00867B2 (ja) 2007-09-05 2012-03-2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用の置換ハウジング及びワイヤハーネスのコネクタ処理方法
JP2011101511A (ja) 2009-11-06 2011-05-19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ジャンクションブロック構造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27157A (zh) * 2016-11-23 2017-05-10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电动汽车配电盒及使用该配电盒的电动汽车
KR20230039148A (ko) * 2021-09-13 2023-03-21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전기접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8321B1 (ko) 2015-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24041B2 (ja) 電動工具セット
JP6160905B2 (ja) 電気接続構造および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
JP6241696B2 (ja) 電気接続構造
JP2014082880A (ja) 電線収容プロテクタ
US8616912B1 (en) Electrical outlet and a cord releasably mounted to a ladder
JP5641354B2 (ja) 充電コネクタ
WO2014038543A1 (ja) コネクタ
KR20140038638A (ko) 고전압 정션박스
US9610850B2 (en) Vehicle charging unit
JP2011253681A (ja) コネクタカバー
CN112285401A (zh) 一种电能计量装置
WO2016203588A1 (ja) コネクタ
KR101568151B1 (ko) 퓨즈 홀더
JP5846441B2 (ja) 電気接続箱
CN209857326U (zh) 一种电控盒及空调器
KR102415119B1 (ko) 회로기판을 구비한 장치
JP2014204552A (ja) 電気接続構造
US11133556B2 (en) Battery accommodating device, battery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the interior of battery system
KR101989395B1 (ko) 박스용 커버장치
JP6452057B2 (ja) 電気接続構造
JP6953174B2 (ja) キャビネット
KR101197916B1 (ko) 용접기용 전원 단자조립체
JP5974639B2 (ja) 車両のハーネスコネクタ部構造
KR20100084890A (ko) 퓨즈박스
JP6984318B2 (ja) 充電ケーブル用固定具および充電ケーブル用固定具を備えた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