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8422A - 모기 퇴치 방법 - Google Patents

모기 퇴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8422A
KR20140038422A KR1020137030842A KR20137030842A KR20140038422A KR 20140038422 A KR20140038422 A KR 20140038422A KR 1020137030842 A KR1020137030842 A KR 1020137030842A KR 20137030842 A KR20137030842 A KR 20137030842A KR 20140038422 A KR20140038422 A KR 20140038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ct
adult
insecticide
population
larva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0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9444B1 (ko
Inventor
스티번 돕슨
Original Assignee
스티번 돕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티번 돕슨 filed Critical 스티번 돕슨
Publication of KR20140038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8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3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01N43/4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9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two or more relevant hetero rings, condensed among themselves or with a common carbocyclic r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one or more single bonds to nitrogen atoms
    • A01N47/28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one or more single bonds to nitrogen atoms
    • A01N47/28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 A01N47/34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containing the groups, e.g. biuret; Thio analogues thereof; Urea-aldehyde condensation produ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Toxi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Vir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곤충 개체수를 조절하도록 개체군 내에 도입될 수 있는 살충제를 운반하는 곤충 형태의 곤충 퇴치용 제형 및 방법을 제공한다. 제형은 살유충제가 성충에는 미미한 영향을 미치고 유충의 생존에 영향을 미치거나 또는 어린 곤충이 성충이 되는 변태를 방해하는 살유충제(larvicide)의 인위적으로 생성된 성충 매개체(carriers)를 포함할 수 있다. 곤충은 수컷 또는 암컷일 수 있으며 모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기 퇴치 방법{Method FOR MOSQUITO CONTROL}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1년 4월 21일에 출원한 미국 가출원 번호 제61/477,781호의 이익을 청구하며, 전체적으로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은 모기 퇴치를 위한 방법 및 제형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전달제, 예를 들어, 살유충제(larvicide)와 같은 살충제(insecticides)를 곤충 개체군에 전달하여 곤충 개체수를 조절하기 위한 모기 또는 다른 곤충의 이용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방법 및 제형에 관한 것이다.
동물에게 중요한 말라리아(malaria), 뎅기(dengue) 및 뎅기출혈열(denguehaemorrhagic fever),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West Nile Virus, WNV) 및 다른 뇌염(encephalitis), 인간 아프리카 수면병(human African trypanosomiasis, HAT), 인간 사상충증(human filariasis), 개 사상충(dog heartworm) 및 다른 병원균(pathogens)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들 질병은 곤충, 특히 모기를 통해서 전염된다. 모기 개체수를 조절하는 방법은 살충제(pesticides)의 사용 및 벡터 제어(vector control)방법을 포함한다.
기존의 곤충 퇴치 방법은 다수의 몸을 숨기기에 알맞고 접근하기 어려울 수 있는 많은 번식지를 찾아 처리하는데 실패한 해당 분야의 기술자들에 의존한다. 추가적인 방법은 트럭 탑재의 분무기(foggers)로부터 비행기 또는 풍력(wind-assisted) 분사를 통한 광역 처리로 구성되어 있다. 불행히도, 후자는 많은 번식지를 처리하는데 실패하고 다양한 환경 조건에 의해 복잡해진다. Barrera 등의 "푸에르토리코 산후안의 날씨 및 인간 행동에 의해 영향 받는 아에데스 아에기프티 및 뎅기의 개체군 동태(Population Dynamics of Aedesaegypti and dengue as Influenced by Weather and Human Behavior in San Juan, Puerto Rico)" PLoS Neglected Tropical Diseases, 5:e1378, 2011는 질병에 있어 다양한 번식지의 영향을 설명하고 있다.
천연 및 인공적인 물 컨테이너의 조사는 모기 및 다른 절지동물들이 나무 구멍 및 지층보다 높은 배수구를 포함하는 다양한 크기의 몸을 숨기기에 알맞은 물 웅덩이를 찾고, 서식하고 산란하는데 매우 효율적이라는 것을 설명한다.
모기 개체수를 조절하는 이전의 제형 또는 방법 중 하나는 표적 환경에 배치되는 살포기(dissemination station)의 사용을 포함한다. 살포기는 유충 호르몬 유사물질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살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살포기는 암컷 모기를 유인하는 상자 또는 다른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모기는 살포기로 들어가서, 살충제 또는 호르몬에 노출되고, 짝짓기를 통해서 다른 모기에게 영향을 미치도록 호르몬을 전달한다. 이 모기 퇴치의 예는 Devine 등에 의한 기사, "아에데스 아에기프티 유충 서식지에 모기 성충을 이용한 살충제 전달(Using adult mosquitoes to transfer insecticides to Aedesaegyptilarvalhabitats)" PNAS, vol. 106, no. 28, July 14, 2009.에 기재되어 있다.
또 다른 살포기 시험에서, 연구진은 살포기로부터 살충제를 얻은 야생의 수컷은 짝짓기 동안에 암컷에게 살충제를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을 보였다. 그 다음 짝짓기를 통해 살충제 입자를 받은 암컷은 유충의 생물 검정에서 발생(emergence)을 상당히 억제시킴을 보였다. 이는 Gaugler 등에 의한 논문, "곤충 성장 조절제를 모기 산란 장소에 전달하기 위한 자동 살포기(An autodissemination station for the transfer of an insect growth regulators to mosquitooviposition sites)" Med. Vet. Entomol. 2011.에 보고되었다.
언급한 바와 같이, 계속되는 모기 문제점의 관점에서, 성가신 곤충 및 질병 벡터로서 중요한 모기의 퇴치를 위해 추가적인 도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새로운, 자체 전달하는 살충제형 및 전달 기술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형태의 제형은 수컷 모기와 같은 곤충을 처리하는 살유충제이다. 살충 제형은 의학적으로 중요한 모기를 퇴치할 수 있다. 이들 의학적으로 중요한 모기는 동물 또는 인간의 건강에 경제적 또는 의학적 중요성을 가지는 모기를 포함한다. 의학적으로 중요한 모기는 본 명세서의 부록에 열거된 것을 포함한다.
본 제형 및 전달 기술의 일면은 모기 개체수를 조절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제형으로서 수컷을 조절하는 새로운 살유충제에 관한 것이다. 제형은 모기, 특히, 수컷 모기와 같은 성충을, 유충의 생존에 영향을 미치거나 어린 모기의 변태(metamorphosis)를 방해하고 성충 모기에는 비교적 영향을 주는 않는 유충 호르몬과 같은 살충제에 노출시킴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유리하게도, 성충은 통제된 공장 환경(factory environment)에서 살충제에 노출된다. 공장에서 길러진 또는 야생에서 채집된, 살충제에 노출된 성충은 직접 처리된 개체(direct treated individuals, DTI)라 일컫는다. 그 다음, DTI를 모기 개체수를 조절하고자 하는 환경으로 방출시킨다. 살충제, 예를 들어, 살유충제가 다른 개체(간접적으로 처리된 개체(Indirectly Treated Individuals, ITI)라고 알려진)에 전달되도록 DTI를 처리되지 않은 개체(untreated individuals)와 상호작용(예를 들어, 짝짓기)하에, 모기 개체수를 조절한다.
특정 추가 실시예에서, 퇴치 방법은 성충보다 미숙/유충 단계(알, 애벌레, 번데기)에 영향을 미치는 화합물을 사용한다. 살유충 화합물의 목록은 IR-4 공중 보건 살충제 데이터베이스(Public Health Pesticides Database)에서 유지된다. 화합물의 예는 여기에 참조로 포함된 (1) 메토프렌(methoprene), 피리프록시펜(pyriproxyfen, PPF)을 포함하는 유충 호르몬 모방체 또는 유사체와 같은 곤충 성장 조절제(insect growth regulators), 및 (2) 바실러스 튜링겐시스(Bacillus thuringiensis) 및 바실러스 스파에리쿠스(Bacillus sphaericus)와 같은 미생물 살유충제를 포함한다. 예시된 화합물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서 하기 표 1-3에 제시된다.
본 발명은 이의 하나의 형태로 곤충 퇴치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방법은 최소한 하나의 살유충제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살충제를 운반하는 곤충을 곤충 개체군에 도입하여 곤충 개체수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서, 곤충은 수컷 성충이며 본 방법은 유충의 생존에 영향을 미치거나 또는 어린 곤충이 성충이 되는 변태를 방해하고, 성충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살충제에 수컷 성충을 노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하나의 추가적 특정 실시예에서, 곤충 개체군은 모기 개체군이다. 또한, 유충 활성 살충제 (즉,살유충제)는 화학적 종류(표 1) 또는 생물학적 종류(표 2) 내에 있을 수 있다. 화학적 종류 내의 예는 유충 호르몬 유사물질 또는 유충 호르몬을 모방하는 화합물과 같은 곤충 성장 조절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살유충제는 피리프록시펜 또는 메토프렌일 수 있다. 생물학적 종류 내의 예는 바이러스, 박테리아, 원생 동물, 균류 및 갑각류 유기체 또는 그들이 생성하는 독성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의 다른 형태로 인위적으로 생성된 살유충제의 성충 전달체를 포함하는, 곤충 퇴치용 제형에 관한 것이다. 살유충제는 성충에는 미미한 영향을 미치고, 어린 곤충이 성충이 되는 변태를 방해한다. 하나의 특정 제형에서, 성충은 수컷 모기이고, 대안 형태의 살유충제는 피리프록시펜, 메토프렌및 바실러스 튜링겐시스 및 바실러스 스파에리쿠스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미생물 살유충제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된(검정색) 및 미처리된(흰색) 성충의 생존을 표준 편차로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모기 퇴치를 위한 방법 및 제형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유리한 형태의 제형은 수컷에 처리되는 살유충제이다. 처리된 수컷은 공장에서 기르거나 야생에서 채집하여 얻은 의학적으로 중요한 수컷 모기 성충으로부터 생성된다. 유충 활성 살충제의 화학적 종류의 설명으로서(표 1), 수컷 모기 성충은 유리하게 통제된 실험실 또는 공장 환경에서 피리프록시펜(PPF)과 같은 살유충제에 노출된다. PPF는 모기 유충의 변태를 방해하고 모기 성충에는 상대적으로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유충 호르몬 모방체이다. 따라서, PPF는 보통 모기 살유충제로서 사용되나, 성충 살충제(adulticide)로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처리된 수컷은 그 후 직접 처리된 개체(direct treated individuals, DTI)라 하며, 이는 살충제형이다. DTI는 토종의 동종이 있는 지역으로 방출된다. 수컷 모기는 혈액을 공급하거나 또는 병을 옮기지 않는다. 따라서, 수컷 모기는 살유충제의 전달체로서, 본 퇴치 방법에서 특유의 이점을 제공한다. 간접적으로 처리된 개체(Indirectly Treated Individuals, ITI)를 생성하기 위하여 PPF가 다른 개체에 전달되도록, DTI는 미처리된 개체와 상호작용(예를 들어, 짝짓기)한다. PPF는 야생/주변 환경에서 DTI 및 ITI에 의해 치사량으로 축적되고 살유충제로서 역할을 하는 번식지로 전달된다. 이는 PPF가 추가적 모기 종을 퇴치하도록 동일한 번식지를 공유하는 추가적인 모기 종에 영향을 줄 것으로 나타났다.
대안적 퇴치 방법으로, 암컷 모기가 DTI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암컷 모기는 혈액을 공급하며 병을 옮길 수 있다. 암컷 모기의 사용은 암컷이 주변 환경에 배치되기에 앞서 무력화되고, 제한된 생식 능력을 가지는 경우 적용할 수 있으며, 물어뜯고(bite) 질병을 전달한다.
추가적인 대안적 방법으로서, 다른 살유충 활성 성분이 사용될 수 있으며, 성충보다 유충 생존에 영향을 미치거나 또는 미숙/발달의 유충 단계(알, 애벌레, 번데기)에 영향을 미치는 화합물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살유충 화합물의 목록은 IR-4 공중 보건 살충제 데이터베이스에 유지된다. 화합물의 예는 (1) 메토프렌, 피리프록시펜(PPF)을 포함하는 유충 호르몬 모방체 또는 유사체와 같은 곤충 성장 조절제 및, (2) 바실러스 튜링겐시스 및 바실러스 스파에리쿠스와 같은 미생물 살유충제를 포함한다. 표 1-3은 적합한 화합물의 요약되고 예시적인 목록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3
또 다른 대안적 방법으로서, 앞서 언급한 방법은 하나의 수명 단계 및/또는 성(sex)이 직접적으로 손상을 유발하지 않는, 경제적 및 의학적으로 중요한 해충을 포함하는(동물 및 인간의 건강 포함), 추가적으로 감염되기 쉬운 절지동물에 적용 할 수 있다.
다른 대안적 전달 기술로, 본 방법은 표적 절지동물과 동일한 번식지를 이용하는 비표적의, 이롭거나 무해충의 절지동물을 사용하여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TI는 표적된 곤충의 번식지와 접촉하는 PPF-처리된 절지동물일 수 있다. 한 예로서, Oytiscidae 성충(물방개과, Predaceous Diving Beetles)은 사육되거나 또는 산지에서 수집되고, PPF로 처리되어 DTI가 되도록 할 수 있다. DTI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추가적인 후보 곤충은 파리목(Diptera) (예를 들어, Tipulidae, Chironomidae, Psychodidae, Ceratapogonidae, Cecidomyiidae, Syrphidae, Sciaridae, Stratiomyiidae, Phoridae), 딱정벌레목(Coleoptera) (예를 들어, Staphylinidae, Scirtidae, Nitidulidae, Oytiscidae, Noteridae) 및 매미목(Hemiptera) (예를 들어, Pleidae, Belostomatidae, Corixidae, Notonectidae, Nepidae)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후자의 전략의 추가적 이점(즉, 비-모기과(non-Culicid) DTI)은 DTI가 사육하기 쉽고, 더 큰 크기를 가지며(PPF의 증가된 양을 받아들이도록), PPF에 의해 덜 영향을 받거나 또는 표적된 절지동물의 번식지와 직접 접촉할 가능성이 증가된다는 것이다 (즉, 반드시 짝짓기를 통한 PPF의 전달에 의존할 필요가 없고, 번식지의 개선된 위치).
DTI의 종은 특정 적용, 서식지 및 위치에 따라 다양할 것으로 주목된다. 예를 들어, DTI로 사용된 종이 토착종이라면, 규제 문제가 단순해질 수 있다. 그러나, 생물학적 조절을 가져올 외래종 절지동물의 수많은 예가 있음을 언급한다. 또한, 다른 DTI 종은 도시, 교외 및 농촌 환경에 더욱/덜 적합할 수 있다.
하기 예들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참조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흰줄숲모기(Aedesalbopictus)는 켄터키 렉싱턴에2008년부터 확립된 서식지에서 진행된 실험에 사용되었다. 콩바구미(Callosobruchus maculatus)는 Carolina Biological Supply Company (Burlington, NC)에서 구입하였으며, 녹두(Vignaradiata)에서 유지하였다. 사육 및 실험은 주변 조건(~25℃; 80% 습도)에서 수행되었다. 애벌레는 ~500ml의 물과 분쇄된 고양이 먹이(Science Diet; Hill's Pet Nutrition, Inc.)가 담긴 팬(pan)에서 사육하였다. 성충에 당 공급원으로서 건포도를 제공하였다. 라인 유지 보수를 위해, 저자에 의해 암컷은 혈액을 공급받았다.
Sumilarv 0.5G은 Sumitomo Chemical (London, UK)에서 충분히 공급되었다. 액체 PPF는 Pest Control Outlet (New Port Richey, FL)에서 구입하였다. 바실러스튜링겐시스의 아종인 이스라엘렌시스(israelensis) 기술적 분말은 HydroToYou (Bell, CA)에서 구입하였다. 적용을 위해서, Sumilarv 과립제(granules)는 미세한 분말로 분쇄하고 벨로즈형(bellows-type) 집진장치(dusting apparatus)를 이용하여 적용하였다(J.T. Eaton Insecticidal Duster #530; Do-ityourself Pest Control, Suwanee, GA). 액체 PPF는 표준 분출 병을 이용하여 적용되었다(WalMart, Lexington, KY). 처리된 성충은 유충 생물 검정에서 사용되기 전까지 수크로오스 공급원으로서 건포도를 제공하며 개별화된 가방에 두었다. 유충 생물 검정은 10개의 L3 애벌레, 20ml 물 및 분쇄된 고양이 먹이를 포함하는 3 oz Dixie Cups (Georgia-Pacific, Atlanta, GA)에서 수행되었다.
성충의 처리는 생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분쇄된 Sumilarv가 처리된 수컷 및 암컷 흰줄숲모기는 처리되지 않은 대조 개체와 구별할 수 없는 실내 검정(laboratory assays)에서 우수한 생존을 나타내었다. 초기 분석에서, 성충의 경우 2일의 관찰 기간 동안 Sumilarv 처리군 (n=8 복제) 및 미처리된 대조군(n=2 복제) 모두에서 100% 생존이 관찰되었다. 두번째 비교에서, 8일 동안 성충이 관찰되었다. 초기 실험과 유사하게, 처리군 및 대조군 사이에 차이점이 관찰되지 않았다.
특히, Sumilarv 처리군(6.3±2.0일; n=4) 및 미처리 대조군 (7.3일; n=l) 비교시, 유사한 평균 수명이 관찰되었다. 세번째 실험에서, 처리된 및 미처리된 성충을 성별로 분리하고 8일동안 관찰하였다. 이전의 실험과 유사하게, 처리군 및 미처리군 사이에서 생존의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도 1).
별도의 실험에서, Sumilarv로 처리된 딱정벌레(beetles)(콩바구미( Callosobruchus maculatus))의 생존을 미처리된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처리군 및 대조군 모두에서 4일 실험동안 100% 생존이 관찰되었다.
처리된 성충의 살유충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Sumilarv 처리된 성충 및 미처리된 대조 성충을 애벌레와 함께 생물 검정 컵에 개별적으로 배치하였다. 처리된 성충을 담은 5개의 분석 컵으로부터 성충이 부화(eclose)되지 않았던 반면; 대조적으로, 미처리된 성충을 담은 4개의 대조 분석 컵으로부터 높은 수준의 성충 부화가 관찰되었다. 카이스퀘어 분석(Chi square analysis)은 처리된 성충으로부터 얻은 성충의 부화 결과가 대조군과 비교하여 상당히 감소하였음을 나타내었다(X2 (1, N=9)=12.37, p<0.0004). 그 후, 생물 검정 실험은 유사한 결과의 더 큰 실험이 반복되었다; 처리군에서 성충의 부화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상당히 감소하였다(X2 (1, N=24)=13.67, p<0.0002).
유사한 생물 검정은 처리된 딱정벌레의 살유충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이전의 결과와 유사하게, 딱정벌레의 처리군의 분석에서 성충의 부화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상당히 감소하였다(X2 (1, N=14)=13.38, p<0.0003).
PPF의 추가적 제형을 연구하기 위해, 동일한 생물 검정을 수행하였으나, Sumilarv를 처리하는 대신 액체 PPF 용액을 모기 성충에 적용하였다. 이전 결과와 유사하게, 처리군에서 성충의 부화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상당히 감소하였다(X2 (1, N=14)=16.75, p<0.0001).
유충 활성 살충제(표 2) 및 다른 활성 성분의 생물학적 종류의 예를 검토하기 위해, 동일한 생물 검정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바실러스 튜링겐시스의 아종인 이스라엘렌시스 기술적 분말의 분말 제형을 Sumilarv를 처리할 때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모기 성충에 적용하였다. 이전의 결과와 유사하게, 처리군 대 미처리된 성충의 수명 사이에는 차이점이 관찰되지 않았다(X2 (1, N=15)=3.2308, p>0.091). 성충을 처리하기 위해 애벌레를 노출시킨 경우, 부화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상당히 감소하였다(X2 (1, N=28)=15.328, p<0.0001).
결과는 C. maculatus 및 A. albopictus 성충이 살충제로 직접 처리에 의한 생존의 감소를 겪지 않는다는 것을 설명한다. 특히, 처리된 모기와 딱정벌레의 생존은 미처리된 동종의 그것과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과는 살유충제를 자체 전달로 처리된 성충의 제안된 사용을 위해 필요한 특성과 일치한다. 처리된 성충은 산지 조건하에서 생존해야하며, 분산되어야하고 번식지를 찾아야한다. 여기에 보고된 가능성 분석의 결과는 모기 또는 다른 절지동물 퇴치의 유리한 방법의 증거를 제공한다.
처리된 성충의 살유충 특성을 특징화하는 생물 검정은 처리된 모기 및 딱정벌레의 존재로부터 상당한 치사율의 결과를 나타낸다. 다수의 제형(즉, 가루 및 액체) 및 다수의 활성 성분에 대해 유사한 결과가 관찰되었다. 또한, 유충 활성 살충제의 화학적 및 생물학적 종류(표 1 및 2) 각각의 대표적인 예들이 설명되었다. 이것은 또한 살충제를 자체 전달로 처리된 절지 동물의 제안된 적용을 위해 필요한 특성과 일치한다. 특히, 모기 번식지에 도달한 처리된 절지 동물이 그 장소에 존재하는 미숙한 모기에 영향을 미칠 것을 예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모기 개체군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곤충 개체군을 처리하기 위한 새로운 제형 또는 방법에 관한 것임이 이제 분명할 것이다. 살포기를 이용하여 살충제를 살포한 다음, 살포기에 들어온 야생의 곤충을 살충제로 처리하는 이전의 조절 방법과는 달리, 본 제형 및 방법은 인공적으로 조절된 환경에서 곤충 전달체를 생성 또는 설정을 시작한다. 곤충 전달체는 공장 사육되거나 또는 야생에서 채집한 성충 중 하나일 수 있다. 그 후, 전달체는 조절 물질 또는 제형으로서 환경에 방출된다. 따라서, 이전의 방법 및 제형은 제형이 처리된 곤충이 아닌 처리된 살포기인 반면, 전달체, 즉, 살충제로 처리한 곤충은 곤충 퇴치를 위한 제형이다.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곤충 애벌레를 표적하는 본 처리를 인식할 것이며, 성충을 표적하는 이전의 곤충 퇴치 기술에 비해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방법은 곤충의 다음 세대를 표적하는 세대 전환 곤충 퇴치 기술인 반면, 이전 기술은 현재의 세대, 즉, 성충을 표적으로 한다. 예를 들어, Garcia-Munguia 등의 "수컷에서 암컷 아에데스 아에기프티 모기로 백강균의 전염(Transmission of Beauveria bassiana from male to female Aedes aegypti mosquitoes)" Parasites & Vectors, 4:24, 2011은 2011년 2월 26에 출판된 성충 모기 퇴치를 설명하는 논문이며, 따라서, 이 논문은 곤충의 현재 세대를 죽이는 것을 설명한다. Garcia-Munguia 논문은 살충 균류를 성충 암컷에 전달하기 위한 균류 처리된 수컷을 사용을 설명한다. 균류는 암컷의 수명을 단축하고 성충 암컷의 생식 능력을 감소시킨다. 이런 유형의 방법(성충 살충제에 전달하기 위한 곤충의 사용)은 특별히 새롭지 않으며, Baverstock 등의 "곤충기생 진균 및 곤충 행동: 생각지못한 숙주로부터 표적 벡터(Entomopathogenic fungi and insect behaviour: from unsuspecting hosts to targeted vectors)" Biocontrol, 55:89-102, 2009.에 기재되어 있는 예를 포함하는 몇몇 중요한 곤충 종에서 사용되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기술은 천연의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인 살유충제와 함께 성충의 공장 처리를 독특하게 사용한다. 이전의 기술은 세대 전환 전달을 위해 살유충제 처리된 곤충의 제조를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성충을 죽이는 진균으로 성충을 처리하는 이전의 기술과는 달리, 본 기술은 단지 성충 수컷을 죽이지 않는 살유충 화합물로 성충 수컷들 처리한다; 오히려, 처리는 다음 세대, 즉 애벌레를 죽이기 위한 세대 전환 전달로 살유충제 화합물을 전달한다.
본 기술에 따르는 이점은 초기 처리된 성충의 수명을 통해 다른 성충에게 살유충제를 옮기기 위하여 살유충제로 처리된 성충의 사용을 포함한다. 그 결과로, 성충을 죽이는 이전의 기술보다 다른 성충에 처리를 옮기기 위해 처리된 성충을 이용하여 본 살유충제를 전달하는 기술은 기하급수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기술은 처리된 성충에 의해 살유충제가 수천마리의 성장하는, 미성숙한 모기에 영향을 주고 죽일 수 있는 번식지로 살유충제를 전달한다. 이 기술은 단지 성충을 표적하여 수천마리의 성장하는, 미성숙한 모기, 즉, 다음 세대의 곤충이 아니라 오직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은 성충만을 죽이는 이전의 기술과는 다르다.
또한, 본 기술은 이전의 곤충 퇴치 기술이 처리하지 않는 몸을 숨기는데 알맞은, 즉, 이전에 알려지지 않은 번석지를 포함하는 곤충 번식지의 처리를 허용한다.
또한, 본 기술은 처리된 곤충 종 뿐만 아니라, 공통의 번식지를 공유하는 다른 종의 곤충 개체수에도 영향을 미친다. 본 기술은 살유충제를 번식지에 전달하기 위해 성충을 사용하기 때문에, 본 기술은 하나 이상의 곤충 종 중에서 일반적일 수 있는 번식지로 살유충제를 전달하는 것을 허용한다.
또한, 성충 살충 방법과 대조적으로, 본 살유충 기술은 처리된 곤충이 떠나거나 또는 죽은 이후에도 번식지에서 지속하기 위해 살충제를 허용한다.
본 방법의 하나의 추가 이점은 살포되는 물질이 곤충 개체수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살충제의 전달체로서 곤충 자체라는 점이다. 이전의 제형 및 방법은 야생에서 개체군의 곤충이 처음 살포기를 찾아, 살충제의 적절한 용량을 확보한 다음, 곤충 개체수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살포기의 살유충제와 함께 개체군으로 복귀해야하는 간접 살포를 필요로 한다.
본 실험에 기초하여 살충제 전달체 곤충의 본 제형 및 곤충 개체수의 조절을 위한 본 방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이제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곤충이 유충 단계를 가진다면, 성충은 성충에 최소한의 영향을 미치나, 애벌레에 치명적인 살유충제의 운반체로서 사용될 수 있고, 이로써 곤충 개체수를 조절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재하였으나, 설명된 특정 메커니즘 및 기술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를 벗어나지 않고 기재된 방법 및 장치에 다수의 변경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24)

  1. 최소한 살유충제(larvicide)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살충제(insecticide)를 운반하는 곤충을 곤충 개체군에 도입하여 곤충 개체수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곤충 퇴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곤충은 성충이며, 방법은 유충의 생존에 영향을 미치거나 또는 어린 곤충이 성충이 되는 변태를 방해하고, 성충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살충제에 성충을 노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곤충 퇴치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성충은 수컷 곤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퇴치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곤충 개체군은 모기 개체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퇴치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곤충 개체군은 모기 개체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퇴치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곤충 개체군은 모기 개체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퇴치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성충 수컷 곤충은 모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퇴치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살충제는 화학 물질(chemical agen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퇴치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화학 물질은 아자디라크틴(Azadirachtin), 디플루벤주론(Diflubenzuron), 메토프렌(Methoprene), 님 오일(Neem Oil) (Azadirachtaindica), 노발루론(Novaluron), 피리프록시펜(Pyriproxyfen), S-메토프렌(S-Methoprene), S-히드로펜(S-Hydropene) 및 테메포스(Temephos)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퇴치 방법.
  10. 제2항에 있어서, 살충제는 생물학적 물질(biological agen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퇴치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생물학적 물질은 아스코그레가린 종(Ascogregarine spp.), 바실러스 스파에리쿠스(Bacillus sphaericus), 바실러스 튜링겐시스 이스라엘렌시스(Bacillus thuringiensis israelensis), 바큘로바이러스(Baculoviruses), 요각류(Copepoda spp.), 덴소비리내(Densovirinae spp.), 라제니듐 지간테움(Lagenidium giganteum)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퇴치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살유충제는 유충 호르몬 유사물질 또는 유충 호르몬을 모방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퇴치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살유충제는 피리프록시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퇴치 방법.
  14. 제2항에 있어서, 성충을 살충제에 노출시키는 단계는 직접 처리된 개체(direct treated individuals)를 생성하도록 통제된 환경에서 성충 수컷을 살충제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곤충을 도입하는 단계는 직접 처리된 개체를 곤충 개체군으로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퇴치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직접 처리된 개체를 직접적으로 처리된 개체 곤충이 도입된 곤충 개체군의 미처리된 개체(untreated individuals)와 상호작용시켜 간접적으로 처리된 개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곤충 퇴치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직접적으로 처리된 개체 및 간접적으로 처리된 개체가 모두 곤충 개체군에 살충제를 전달함으로써 곤충 개체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퇴치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살충제를 운반하는 곤충은 암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퇴치 방법.
  18. 곤충 퇴치 제형으로서, 상기 제형은 살유충제의 인위적으로 생성된 성충 전달체를 포함하고, 상기 살유충제는 성충에는 미미한 영향을 미치고, 유충의 생존에 영향을 미치거나 또는 어린 곤충이 성충이 되는 변태를 방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퇴치 제형.
  19. 제18항에 있어서, 성충은 수컷 모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퇴치 제형.
  20. 제18항에 있어서, 성충은 암컷 모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퇴치 제형.
  21. 제18항에 있어서, 살유충제는 화학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퇴치 제형.
  22. 제21항에 있어서, 화학 물질은 아자디라크틴(Azadirachtin), 디플루벤주론(Diflubenzuron), 메토프렌(Methoprene), 님 오일(Neem Oil) (Azadirachtaindica), 노발루론(Novaluron), 피리프록시펜(Pyriproxyfen), S-메토프렌(S-Methoprene), S-히드로펜(S-Hydropene) 및 테메포스(Temephos)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퇴치 제형.
  23. 제18항에 있어서, 살유충제는 생물학적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퇴치 제형.
  24. 제23항에 있어서, 생물학적 물질은 아스코그레가린 종(Ascogregarine spp.), 바실러스 스파에리쿠스(Bacillus sphaericus), 바실러스 튜링겐시스 이스라엘렌시스(Bacillus thuringiensis israelensis), 바큘로바이러스(Baculoviruses), 요각류(Copepoda spp.), 덴소비리내(Densovirinae spp.), 라제니듐 지간테움(Lagenidium giganteum)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퇴치 제형.
KR1020137030842A 2011-04-21 2012-03-30 모기 퇴치 방법 KR1019894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477781P 2011-04-21 2011-04-21
US61/477,781 2011-04-21
PCT/US2012/031437 WO2012145145A2 (en) 2011-04-21 2012-03-30 Method for mosquito contr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8422A true KR20140038422A (ko) 2014-03-28
KR101989444B1 KR101989444B1 (ko) 2019-06-14

Family

ID=47042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0842A KR101989444B1 (ko) 2011-04-21 2012-03-30 모기 퇴치 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2) US20130259846A1 (ko)
EP (2) EP3231285B1 (ko)
JP (2) JP6525589B2 (ko)
KR (1) KR101989444B1 (ko)
CN (1) CN103547158B (ko)
AU (1) AU2012245837B2 (ko)
BR (1) BR112013027061B1 (ko)
CA (1) CA2833629C (ko)
ES (2) ES2808985T3 (ko)
IL (1) IL229001A (ko)
MX (1) MX362125B (ko)
MY (1) MY167261A (ko)
PT (2) PT3231285T (ko)
SG (1) SG194572A1 (ko)
WO (1) WO2012145145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2205B1 (ko) * 2020-11-06 2021-07-02 서다경 미생물을 활용한 모기 퇴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808985T3 (es) * 2011-04-21 2021-03-02 Stephen Dobson Método para el control de mosquitos
WO2017096381A1 (en) * 2015-12-04 2017-06-08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ement of mosquito populations with habitat sharing heterospecific insects carrying insect growth regulators
CN105594686A (zh) * 2016-01-13 2016-05-25 漳州立康有害生物防控有限公司 一种城区蚊子综合防治方法
US10219507B1 (en) 2016-01-25 2019-03-05 Richard L. Fewell, Jr. Natural pesticide structures and methods of fabrication thereof
WO2017184539A1 (en) * 2016-04-20 2017-10-2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Dispersal composition
KR101958443B1 (ko) 2017-05-11 2019-03-14 안용준 모기 유인제
WO2019150152A1 (en) * 2018-01-31 2019-08-08 Baba Aaron Insect repellent and insecticide
US11968963B2 (en) 2018-04-05 2024-04-30 Vanderbilt University Male arthropod killing factors and methods of use thereof
EP3808180A4 (en) * 2018-05-25 2022-03-16 Dr. C Medical Medicine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PESTS
US11541395B1 (en) 2018-08-21 2023-01-03 Mosquitomate, Inc. System and method for sex sorting of mosquitoes
US11147256B2 (en) 2018-12-03 2021-10-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nitoring disease vectors
CN111296489A (zh) * 2018-12-12 2020-06-19 江苏功成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含有球形芽孢杆菌和有机磷的卫生杀虫组合物
CN111374140A (zh) * 2018-12-29 2020-07-07 江苏功成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含氟酰脲的卫生杀虫组合物及其应用
WO2021009179A1 (en) * 2019-07-15 2021-01-21 Scg Chemicals Co., Ltd Insecticidal composi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insects therewith
CN110974839A (zh) * 2019-12-27 2020-04-10 内蒙古农业大学 一种骆驼阴道蝇蛆病外用软膏剂及其制备方法
CN110946150B (zh) * 2019-12-27 2021-08-27 武汉市拜乐卫生科技有限公司 一种复合杀蚊油悬剂及其制备方法
CN111820208B (zh) * 2020-06-15 2022-03-15 广东省石油与精细化工研究院 一种蚊子幼虫杀灭剂及其制备和应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0001A (ja) * 1992-05-20 1993-12-03 Sumitomo Chem Co Ltd 蚊の駆除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93925A (en) * 1943-01-26 1946-01-29 Shell Dev Insecticides
DE2967512D1 (en) * 1978-05-30 1985-10-17 Wellcome Found Synergistic pyrethroid formulations and their preparation
JP2619683B2 (ja) * 1988-04-25 1997-06-11 俊男 秋元 領域内の蚊の逓減方法
JP3285368B2 (ja) * 1991-04-08 2002-05-27 有恒薬品工業株式会社 害虫駆除剤
US7343710B2 (en) * 1998-07-03 2008-03-18 I.D.A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ests
US6512012B1 (en) * 1999-01-22 2003-01-28 Lee County Mosquito Control District Method for the control of aquatic breeding insect populations
BR0309938B1 (pt) * 2002-05-08 2014-07-08 American Biophysics Corp Isca para atração de insetos voadores
US20050224596A1 (en) * 2003-07-08 2005-10-13 Panopoulos Peter J Machine that is an automatic pesticide, insecticide, repellant, poison, air freshener, disinfectant or other type of spray delivery system
US7837988B2 (en) * 2005-04-25 2010-11-23 B2E Microbials Llc Sustained release microbial insect control composition and means
WO2009032975A1 (en) * 2007-09-07 2009-03-12 Mevlabs, Inc. Formulations and devices for delivering compounds to arthropods and microorganisms within arthopods
US9392788B2 (en) * 2008-11-07 2016-07-19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Mosquito attractant compositions and methods
ES2808985T3 (es) * 2011-04-21 2021-03-02 Stephen Dobson Método para el control de mosquitos
WO2017096381A1 (en) * 2015-12-04 2017-06-08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ement of mosquito populations with habitat sharing heterospecific insects carrying insect growth regulato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0001A (ja) * 1992-05-20 1993-12-03 Sumitomo Chem Co Ltd 蚊の駆除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2205B1 (ko) * 2020-11-06 2021-07-02 서다경 미생물을 활용한 모기 퇴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2245837A1 (en) 2013-11-07
ES2808985T3 (es) 2021-03-02
EP2699096A4 (en) 2014-09-24
MX2013012297A (es) 2014-07-28
AU2012245837B2 (en) 2016-05-19
MX362125B (es) 2019-01-07
CN103547158A (zh) 2014-01-29
CA2833629C (en) 2023-03-28
US20130259846A1 (en) 2013-10-03
US20230225311A1 (en) 2023-07-20
WO2012145145A3 (en) 2013-01-03
IL229001A (en) 2016-07-31
EP3231285B1 (en) 2020-06-10
SG194572A1 (en) 2013-12-30
JP2014512381A (ja) 2014-05-22
ES2636444T3 (es) 2017-10-05
CA2833629A1 (en) 2012-10-26
PT2699096T (pt) 2017-08-04
MY167261A (en) 2018-08-14
JP2018080195A (ja) 2018-05-24
IL229001A0 (en) 2013-12-31
KR101989444B1 (ko) 2019-06-14
WO2012145145A2 (en) 2012-10-26
JP6525589B2 (ja) 2019-06-05
CN103547158B (zh) 2019-03-05
EP2699096A2 (en) 2014-02-26
BR112013027061B1 (pt) 2019-09-10
EP3231285A1 (en) 2017-10-18
BR112013027061A2 (pt) 2016-10-18
EP2699096B1 (en) 2017-05-03
PT3231285T (pt) 2020-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9444B1 (ko) 모기 퇴치 방법
Begley 11. Efficacy Against Insects in Habitats Other than Soil
Stara et al. Laboratory evaluation of the side effects of insecticides on Aphidius colemani (Hymenoptera: Aphidiidae), Aphidoletes aphidimyza (Diptera: Cecidomyiidae), and Neoseiulus cucumeris (Acari: Phytoseidae)
Ghazy et al. Phytoseiid mites under environmental stress
De Clercq Predaceous stinkbugs (Pentatomidae: Asopinae)
Ketoh et al. Susceptibility of the bruchid Callosobruchus maculatus (Coleoptera: Bruchidae) and its parasitoid Dinarmus basalis (Hymenoptera: Pteromalidae) to three essential oils
Kuhlmann et al. Possibilities for biological control of the western corn rootworm, Diabrotica virgifera virgifera LeConte, in Central Europe
Canning An evaluation of protozoal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biological control of pests
Ndlela et al. Male annihilation technique using methyl eugenol for field suppression of Bactrocera dorsalis (Hendel)(Diptera: Tephritidae) on mango in Kenya
Dekeyser et al. Biochemical and physiological targets for miticides
Butu et al. Biopesticides: Clean and viable technology for healthy environment
Swadener Bacillus thuringiensis (BT)
Idris et al. Pesticides affect immature stages of Diadegma insulare (Hymenoptera: Ichneumonidae) and its host, the diamondback moth (Lepidoptera: Plutellidae)
Akol et al. Relative safety of sprays of two neem insecticides to Diadegma mollipla (Holmgren), a parasitoid of the diamondback moth: effects on adult longevity and foraging behaviour
Zulkefli et al. Beyond four decades of Elaeidobius kamerunicus Faust (Coleoptera: Curculionidae) in the Malaysian oil palm industry: A review
Devetak et al. Cabbage moth (Mamestra brassicae [L.]) and bright-line brown-eyes moth (Mamestra oleracea [L.])-presentation of the species, their monitoring and control measures
Sulaiman et al. Sustainable control of bagworm (Lepidoptera: Psychidae) in oil palm plantation: A review paper
Renn Mortality of immature houseflies (Musca domestica L.) in artificial diet and chicken manure after exposure to encapsulated entomopathogenic nematodes (Rhabditida: Steinernematidae, Heterorhabditidae)
Schöller Integration of biological and non-biological methods for controlling arthropods infesting stored products.
Solangi et al. Comparative toxicity of some insecticides on 4th instar grub of Coccinella septempunctata L. under laboratory conditions
Senthoorraja et al. Eco-Smart Biorational Approaches in Housefly Musca domestica L. 1758 Management
Zheng et al. Bioassay of rongbao (active ingredients of calcium cyanamide) against housefly maggots
Oliver et al. Effect of insecticides on Tiphia vernalis (Hymenoptera: Tiphiidae) oviposition and survival of progeny to cocoon stage when parasitizing Popillia japonica (Coleoptera: Scarabaeidae) larvae
Bhati et al. Insect Pest Management of Agricultural Crops
CN102258051B (zh) 有害生物防除组合物及有害生物的防除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