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7819A - 기능적 체조운동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기능적 체조운동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7819A
KR20140037819A KR1020137020970A KR20137020970A KR20140037819A KR 20140037819 A KR20140037819 A KR 20140037819A KR 1020137020970 A KR1020137020970 A KR 1020137020970A KR 20137020970 A KR20137020970 A KR 20137020970A KR 20140037819 A KR20140037819 A KR 20140037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herical
functional
base plate
support rod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0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라우스 담바흐마이어
Original Assignee
크라우스 담바흐마이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라우스 담바흐마이어 filed Critical 크라우스 담바흐마이어
Publication of KR20140037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78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2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large-room or outdoor sport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2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large-room or outdoor sporting games
    • A63B71/023Supports, e.g. poles
    • A63B71/028Floor sockets for removable po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적 체조운동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고, 구형 세그멘트 형상을 가진 적어도 두 개의 요홈(3)들을 가진 기저 판(2)을 포함하며 단부들에서 구형요소(6)들을 가진 두 개의 지지막대(4)들을 포함하며, 상기 구형요소는 구형요홈(3)과 일치한다.

Description

기능적 체조운동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DEVICE FOR SUPPORTING FUNCTIONAL CYMNASTIC EXERCISES}
본 발명은, 제 1 항에 따라 기능적 체조운동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위 기능적 체조는, 정해진 해부학적 특성 및 기능적인 운동 지침에 따라 개발된 운동이다. 관절과 근육의 관계 및 연결조직 구조의 부하 적합성(compatibility)에 대한 상당한 고려는, 기능적인 체조 운동이 가지는 주요한 특징적 효과이다.
상기 기능적인 체조 운동의 중심 부분은 비틀림 운동, 소위 스트레칭이다. 스트레칭할 때, 휨기구와 접촉하는 반대전압이 가능한 작게 유지되도록 근육은 조심해서 정해진 비틀림위치로 안내된다. 근육 또는 근육군(group)이 선택적으로 비틀림될 수 있고 정해진 유출 및 최종위치와 신체위치 및 위치설정이 요구된다.
상기 발명이 본 명세서에 제시된다. 상기 발명의 목적은, 효과적인 기능적 체조를 가능하게 하고 기능적 체조운동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목적은 제 1 항의 특징을 가진 장치에 의해 해결된다. 상기 지지막대는, 상기 기저판에 형성된 구형 세그멘트 형상의 요홈내에서 단부측에 배열된 구형 요소를 가지고, 구형 조인트 형태의 구조가 형성된다. 사용자에 의해 단부에서 쥐어지는(grip) 상기 지지 막대를 통해 기능적인 체조운동의 범위내에서 사용자는 명확하게 안내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기저판은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반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선호된다. 사용자는 상기 원호형상부의 중간위치에 놓여지고, 상기 지지막대의 조인트 위치에 대해 최적의 대칭상태로 위치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기저판의 대칭축의 양쪽 측부들에서 동일한 갯수의 구형 요홈들이 마주보게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막대가 서로에 대해 다양한 거리로 위치설정될 수 있어서, 안내된 사용자의 운동반경은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지지막대는 양쪽 단부에서 구형 요소들을 가진다. 따라서, 쥐어지는 측의 단부에 구형상의 그립(grip)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운동을 수행할 때 사용자의 손은 지지막대상에서 미끄럼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지지막대는 가변 길이를 가진다. 따라서, 장치의 이용범위가 확대된다. 또한, 상기 지지막대는, 단계적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각각의 조정된 길이에서 고정될 수 있게 형성되는 텔레스코픽 막대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선택적으로, 고정요소가 구성되어 상기 텔레스코픽 막대는 정해진 눈금(gradation)에 따라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과 다른 구성들이 종속항들에서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도면에 도시되고 하기 상세한 설명에 주어진다.
도 1은, 기능적 체조운동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의 기능보드(functional board)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장치를 구성하는 지지 막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실시예로서 선택된 기능적 체조운동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는, 실제로 기능보드(1) 및 상기 기능보드와 일치하는 두 개의 지지 막대(4)들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기능보드(1)는 상기 실시예에서 원형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며 형성된 기저판(2)을 포함하고, 상기 기저판은 중실 목재로 제조된다. 상기 기저판(2)내에서 마주보는 위치에서 쌍을 이루며 반구형상을 가진 요홈(3)들이 기저판의 대칭축에 대해 양쪽 측부에 제공되고, 상기 요홈들은 상기 기저판(2)의 가상 중심에 형성되고 원형으로 구부러진 축에 배열된다. 상기 요홈(3)들에 대해 마주보게 배열된 하측부들에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고무발판(rubber bumper)들이 상기 기저판(2)상에 배열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고무발판은 기능보드(1)의 미끄럼저항 및, 상기 지지막대(4)를 통해 상기 기능보드(1)에 형성되는 하중을 탄성수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막대(4)는 알루미늄 파이프로부터 제조된 텔레스코픽 막대(telescopic rod)로서 구성된다. 상기 텔레스코픽 막대(5)는 단계없이(stepless) 길이 조절이 가능한 회전식 클램프(swivel clamp)로서 제조된다. 상기 지지막대(4)는 단부에서 안내 구형체(6)를 가진다. 상기 안내 구형체(6)는 상기 기능보드(1)에 구성된 반구형 요홈(3)의 내경과 사실상 일치하는 외경을 가진다. 상기 지지막대(4)는 상기 안내 구형체(6)의 마주보는 단부에서 그립(grip) 구형체(7)를 가진다. 상기 안내 구형체(6)와 그립 구형체(7)는 상기 실시예에서 목재로 제조된다.
기능적 체조운동을 수행할 때 사용자에 의해 지지막대(4)는 그립 구형체(7)상에 고정되고, 마주보게 배열된 두 개의 요홈(3)들내에 안내 구형체(6)에 의해 배열되어, 구형 조인트 형태의 구조가 형성된다. 요홈(3)의 선택에 따라, 추가로 상기 지지막대(4)는 더 가까이 또는 더 멀리 분리되고 동시에 사용자에 의해 더 가깝게 또는 더욱 떨어져 배열되며, 사용자의 신체 정지는 영향을 받게 된다.
1....기능보드,
2....기저판,
3....요홈,
4....지지막대,
6,7....구형체.

Claims (8)

  1. 기능적 체조운동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로서, 구형 세그멘트 형상을 가진 적어도 두 개의 요홈(3)들을 포함한 기저 판(2) 및, 단부들에서 구형요소(6)들을 가진 두 개의 지지막대(4)들을 포함하며, 상기 구형요소는 구형요홈(3)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적 체조운동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판(2)은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반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적 체조운동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판(2)의 대칭축의 양쪽 측부들에서 동일한 갯수의 구형 요홈(3)들이 마주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적 체조운동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4. 전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막대(4)는 양쪽 단부에서 구형 요소(6,7)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적 체조운동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5. 전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막대(4)는 가변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적 체조운동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막대(4)는 텔레스코픽 막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적 체조운동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스코픽 막대는 단계적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각각의 조정된 길이에서 고정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적 체조운동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스코픽 막대는 정해진 눈금(gradation)에 따라 길이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적 체조운동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KR1020137020970A 2011-01-08 2011-11-15 기능적 체조운동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KR201400378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1001255.7 2011-01-08
DE202011001255U DE202011001255U1 (de) 2011-01-08 2011-01-08 Vorrichtung zur Unterstützung funktionsgymnastischer Übungen
PCT/EP2011/070178 WO2012092995A1 (de) 2011-01-08 2011-11-15 Vorrichtung zur unterstüzung funktionsgymnastischer übung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7819A true KR20140037819A (ko) 2014-03-27

Family

ID=43797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0970A KR20140037819A (ko) 2011-01-08 2011-11-15 기능적 체조운동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661309A1 (ko)
JP (1) JP2014506174A (ko)
KR (1) KR20140037819A (ko)
CN (1) CN103402588A (ko)
DE (1) DE202011001255U1 (ko)
WO (1) WO2012092995A1 (ko)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09371A (en) * 1954-09-29 1959-10-20 Picas Internat Ltd Gymnastic device
CH526312A (it) * 1970-12-10 1972-08-15 Ugo Passera Franco Apparecchio meccanico per eseguire esercizi di ginnastica medico-ortopedica
GB2147212B (en) * 1983-10-04 1987-10-07 Hubert Harley Neblett Exercise apparatus
US5372564A (en) * 1993-05-05 1994-12-13 Spirito; Pamela J. Exercise device for exercising the leg abductor, upper arm and postural muscle groups
US5403256A (en) * 1993-11-05 1995-04-04 Squires; Bernardo Z. Aerobic apparatus
US5518474A (en) * 1995-06-30 1996-05-21 Barksdale; Erline J. Exercise machine
US7115078B1 (en) * 2003-02-21 2006-10-03 Kalember Robert S Orbital resistance-adjustable sphere exercising apparatus
JP3640072B2 (ja) * 2003-04-15 2005-04-20 和歳 三枝 管状シャフト両端に球状ウェイトを螺着した健康器具
EP1520605A1 (en) * 2003-10-03 2005-04-06 Michael Jeffery Amann Exercise device and exercise handle
CA2597904A1 (en) * 2005-02-17 2006-08-24 Robert S. Kalember Orbital resistance-adjustable sphere exercising apparatus
CN101277742A (zh) * 2005-09-29 2008-10-01 克雷格·艾伦·科赫 健身器械
SE534200C2 (sv) * 2009-03-26 2011-05-31 Lennart Barrenaes Anordning för rörelseträ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402588A (zh) 2013-11-20
WO2012092995A1 (de) 2012-07-12
EP2661309A1 (de) 2013-11-13
DE202011001255U1 (de) 2011-03-24
JP2014506174A (ja) 2014-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53980B2 (ja) レッグプレス
US8944973B2 (en) Lower body exercise
US9630081B2 (en) Elastic training apparatus
US9789352B2 (en) Abdominal exercise device
US9968820B2 (en) Rotational exercise device
US7931572B1 (en) Resistance exercise device
US10213638B2 (en) Exercise device
US20150202110A1 (en) Massage device for tilting inversion exerciser
US20120225759A1 (en) Pull-up and Abdominal Exerciser
US20160250513A1 (en) Rocking roller exerciser
KR20160049549A (ko) 허리의 치료 및 훈련을 위한 장치
US20130252790A1 (en) Upper body exercise device
JPWO2013187421A1 (ja) トレーニング装置
US8920293B1 (en) Resistance exercise device
JP4147541B2 (ja) 運動補助具
KR20140037819A (ko) 기능적 체조운동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CN204723686U (zh) 一种老年人锻炼平衡能力的健身装置
US9227100B2 (en) Portable physical therapy exercise support stand
US20180104523A1 (en) Training device
US20170361167A1 (en) Exercise apparatus
RU2600436C1 (ru) Тренажер-массажер
US20210260436A1 (en) Glide handle training device
KR101974454B1 (ko) 다용도 운동기구
US8083656B2 (en) Multi-functional exercise apparatus with adjustable resistance
US10583322B2 (en) Pivoting abdominal exercise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