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7687A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7687A
KR20140037687A KR1020120104152A KR20120104152A KR20140037687A KR 20140037687 A KR20140037687 A KR 20140037687A KR 1020120104152 A KR1020120104152 A KR 1020120104152A KR 20120104152 A KR20120104152 A KR 20120104152A KR 20140037687 A KR20140037687 A KR 20140037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device
conductive member
antenna
conductive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4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3588B1 (ko
Inventor
강윤모
정강재
홍성준
노승정
정병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4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3588B1/ko
Priority to US14/010,900 priority patent/US9871286B2/en
Publication of KR20140037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7687A/ko
Priority to US15/346,505 priority patent/US9985337B2/en
Priority to US15/860,427 priority patent/US10056680B2/en
Priority to US16/033,083 priority patent/US1057395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3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3588B1/ko
Priority to US16/752,485 priority patent/US10790575B2/en
Priority to US17/004,681 priority patent/US11233314B2/en
Priority to US17/557,489 priority patent/US1188821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8Earthing means; Earth screens; Counterpoi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0Structural association of antennas with earthing switches, lead-in devices or lightning prot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3/00Waveguide horns or mouths; Slot antennas; Leaky-waveguid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01Q13/10Resonant slot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30Combinations of separate antenna units operating in different wavebands and connected to a common feeder sys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0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 H01Q5/342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for different propagation modes
    • H01Q5/35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for different propagation modes using two or more simultaneously fed poi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50Feeding or matching arrangements for broad-band or multi-band ope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1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 H01Q9/2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with folded element or elements, the folded parts being spaced apart a small fraction of operating waveleng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H01Q1/521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reducing the coupling between adjacent antenna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는, 단말기 바디 및 상기 단말기 바디의 어느 일측에 서로 근접하게 배치되며, 각각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형성되는 제1 안테나 장치와 제2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장치들은 각각 일측에 슬릿이 형성되는 도전 멤버를 구비하고, 상기 도전 멤버들은 각각 상기 단말기 바디의 외관 중 일부를 구성하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전자기기이다.
이동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및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멀티 미디어 기기의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상기 시도들에 더하여, 상기 하드웨어 등의 기능을 보다 개선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개선 방안에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좀더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한 구조적인 변화 및 개량이 포함된다. 상기 구조적인 변화 및 개량의 하나로 전파를 송수신하는 안테나에 대해 고려될 수 있다.
안테나는 무선통신을 위해 무선 전자기파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되는 장치로서, 이동 단말기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구성 요소이다. 이동 단말기는 음성 통화 외에 WiBro, DMB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을 구현하는 추세이므로, 안테나는 상기 기능들을 만족시키는 대역폭들을 구현하여야 함은 물론, 이동 단말기에 내장될 수 있도록 소형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상기 요구에 따라, 멀티 주파수 대역을 구현할 수 있는 안테나들이 설계되고 있다. 그러나, 안테나의 구조가 복잡하며, 공진 주파수, 대역폭, 이득 등과 같은 특성들을 결정하는 파라미터 값들을 독립적으로 조율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새로운 구조를 갖는 안테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멀티 주파수 대역의 무선 전자기파를 송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보다 나은 효율을 가지면서도 보다 소형화된 안테나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는, 단말기 바디 및 상기 단말기 바디의 어느 일측에 서로 근접하게 배치되며, 각각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형성되는 제1 안테나 장치와 제2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장치들은 각각 일측에 슬릿이 형성되는 도전 멤버를 구비하고, 상기 도전 멤버들은 각각 상기 단말기 바디의 외관 중 일부를 구성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도전 멤버들 중 일측에 제1 슬릿이 형성되는 제1 도전 멤버는 상기 제1 안테나 장치에 포함되고, 일측에 제2 슬릿이 형성되는 제2 도전 멤버는 상기 제2 안테나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안테나 장치는, 상기 제1 도전 멤버와 함께 상기 제1 슬릿에 연통되도록 슬롯을 형성하는 제3 도전 멤버와, 상기 제1 안테나 장치가 제1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되도록 상기 슬롯 내에 전기장을 형성하는 제1 급전부 및 상기 제1 안테나 장치가 제2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되도록 상기 제1 급전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급전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도전 멤버와 상기 제3 도전 멤버가 서로 연결되는 제1 연결부로부터 상기 제1 슬릿까지 연장되는 상기 슬롯의 길이는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중심 주파수의 λ/4 또는 λ/8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급전부는 상기 제1 연결부로부터 제1 거리 만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급전 연장부는 상기 급전부로부터 제2 거리 만큼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거리는 상기 급전부로 인하여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중심 주파수의 임피던스가 50 옴(ohm) 내외가 되는 거리이고, 상기 제2 거리는 상기 급전 연장부로 인하여 상기 제2 주파수 대역 중심 주파수의 임피던스가 50 옴(ohm) 내외가 되는 거리가 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3 도전 멤버는, 그라운드를 구비하며, 일단이 상기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는 회로기판과 연결되는 연성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안테나 장치는, 상기 제2 도전 멤버와 함께 상기 제2 슬릿에 연통되도록 슬롯을 형성하는 제4 도전 멤버와, 상기 제2 안테나 장치가 제3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되도록 상기 슬롯 내에 전기장을 형성하는 제2 급전부 및 상기 제2 안테나 장치가 제4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되도록 상기 제2 급전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급전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도전 멤버와 상기 제4 도전 멤버가 서로 연결되는 제2 연결부로부터 상기 제2 슬릿까지 연장되는 상기 슬롯의 길이는 상기 제3 주파수 대역 중심 주파수의 λ/4 또는 λ/8에 대응하는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4 도전 멤버는, 그라운드를 구비하며, 일단이 상기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는 회로기판과 연결되는 연성회로기판이 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안테나 장치와 제2 안테나 장치는 상기 단말기 바디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에 내장되어 외부 기기와 접속할 수 있도록 형성된 소켓이 상기 제1 도전 멤버와 제2 도전 멤버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슬릿과 제2 슬릿은 상기 단말기 바디의 하단를 향하여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도전 멤버와 함께 제1 도전 루프를 형성하는 제3 멤버와, 상기 제1 도전 루프를 급전하도록 상기 제1 도전 루프에 연결되는 제1 급전부 및 상기 제1 도전 루프를 접지 연결하도록 상기 제1 도전 루프에 연결되는 제1 접지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안테나 장치가 폴디드 다이폴(Folded Dipole) 안테나로 동작하도록 상기 제1 도전 루프의 길이는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중심 주파수의 λ/2 또는 λ/4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도전 멤버와 함께 제2 도전 루프를 형성하는 제3 멤버와, 상기 제2 도전 루프를 급전하도록 상기 제2 도전 루프에 연결되는 제2 급전부 및 상기 제2 도전 루프를 접지 연결하도록 상기 제2 도전 루프에 연결되는 제2 접지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안테나 장치가 폴디드 다이폴(Folded Dipole) 안테나로 동작하도록 상기 제2 도전 루프의 길이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 중심 주파수의 λ/2 또는 λ/4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안테나 장치들 중 어느 하나는 슬롯(Slot) 안테나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안테나 장치들 중 어느 하나는 폴디드 다이폴(Folded Dipole)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슬릿들을 덮도록 비도전성 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단말기 바디의 외관을 형성하는 도전성 케이스 및 상기 바디의 어느 일측에 서로 근접하게 배치되며, 각각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장치들은 각각 일측에 슬릿이 형성되는 도전 멤버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 멤버는 상기 도전성 케이스의 일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이동 단말기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주변에 배치되는 전기적 소자로 인한 안테나 효율 저하가 거의 없으므로, 보다 자유로운 단말기의 설계가 가능하다.
또한, 각 안테나 장치의 그라운드가 서로 독립적으로 구현되며, 무선 신호의 방사 방향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방사되기 때문에 안테나들 사이에 상호간섭(mutual coupling) 및 관련계수(Envelope Correlation Coefficient)값이 낮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안테나의 주요 방사 구간이 단말기의 하단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외부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고주파수 대역에서 핸드 이펙트(hand effect)효과에 의한 방사특성의 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이동 단말기의 배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안테나 장치의 비교예들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안테나 장치 중 슬롯 안테나의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안테나 장치의 비교예를 도시한 도면.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안테나 장치들이 구현된 이동 단말기의 도면과 개념도이고, 도 7c는 도 7a에 도시된 안테나 장치들의 주파수에 따르는 전압정재파비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일 부분과 결합하는 케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9a 내지 도 9b는 도 7b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들.
도 10은 이동 단말기의 다른 위치에 안테나 장치들이 장착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a 내지 도 11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안테나 장치들이 구현된 이동 단말기의 도면과 개념도이고, 도 11c는 도 11a에 도시된 안테나 장치들의 주파수에 따르는 전압정재파비를 도시한 도면.
도 12a 내지 도 12b는 도 11b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의 개념도로써, 복수의 안테나 중 어느 하나는 슬롯 안테나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폴디드 다이폴 안테나로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 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베이스부(265)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e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 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 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2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본체(204)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나아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카메라 및 플래시를 갖는 임의의 휴대 전자 장치, 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O(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200)는 그 외관을 구성하는 단말기 본체(204)를 포함한다.
단말기 본체(204)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201)와 리어 케이스(202), 그리고 배터리 케이스(203)에 의해 형성된다. 배터리 케이스(203)는 리어 케이스(202)의 배면을 덮도록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201) 및 상기 리어 케이스(202)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 부품들이 내장된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본체(204)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210), 제1 음향 출력부(211), 전면 카메라부(216), 사이드키(214), 인터페이스부(215) 및 신호입력부(217)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210)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이페이퍼(e-paper) 등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10)는 터치방식에 의하여 입력할 수 있게 터치감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터치감지수단을 포함한 디스플레이부(210)를 '터치스크린'으로 칭하기로 한다. 터치스크린(210) 상의 어느 한 곳에 대하여 터치가 있으면 그 터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내용이 입력된다. 터치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터치감지수단은 디스플레이부가 보일 수 있도록 투광성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밝은 곳에서 터치스크린의 시인성(visibility)을 높이기 위한 구조가 포함될 수 있다. 도 2에 의하면, 터치스크린(210)은 프론트 케이스(201)의 전면(front surface)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상기 제1 음향출력부(211)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 또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전면 카메라부(216)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210)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전면 카메라(216)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전면 카메라(216)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신호입력부(217)는 이동 단말기(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입력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키들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지며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신호입력부(217)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작, 종료, 스크롤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201)의 측면에는 사이드키(214), 인터페이스부(215) 및 음향입력부(213) 등이 배치된다.
상기 사이드키(214)는 조작유닛으로 통칭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사이드키(214)는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사이드키(214)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키(214)에 의하여, 영상입력부(216, 221)의 제어, 음향출력부(211)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210)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음향입력부(213)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21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2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215)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이동 단말기(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215)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기 본체(204)의 후면에는 전원공급부(240), 후면 카메라부(221)가 배치된다.
상기 후면 카메라부(221)에 인접하게 플래쉬(222) 및 거울(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래쉬는 상기 후면 카메라부(2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춘다.
상기 거울은 사용자가 상기 후면 카메라부(221)을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상기 후면 카메라부(221)은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 카메라부(216)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상기 전면 카메라부(216)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 카메라부(216)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상기 후면 카메라부(2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면 및 후면 카메라부(216, 221)은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본체(204)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240)는 이동 단말기(2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배터리(240)는 단말기 본체(204)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본체(204)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10)를 구성하는 윈도우(210a) 및 디스플레이 모듈(210b)을 포함한다. 윈도우(210a)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201)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201)와 리어 케이스(202) 사이에 전기적 소자들이 지지되도록 프레임(241)이 형성된다. 프레임(241)은 단말기 내부의 지지구조로서, 일 예로 디스플레이 모듈(210b), 카메라 모듈(221), 안테나 장치, 배터리(240) 또는 회로 기판(2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프레임(241)은 그 일부가 단말기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241)은 바 타입이 아닌 슬라이드 타입의 단말기에서 본체부와 디스플레이부를 서로 연결하는 슬라이딩 모듈의 일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한 것은 일 예로서, 프레임(241)과 리어 케이스(202) 사이에 회로 기판(250)이 배치되고, 프레임(241)의 일면에 디스플레이 모듈(210b)이 결합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프레임(241)의 타면에는 회로 기판(250)과 배터리가 배치되고, 배터리를 덮도록 배터리 케이스(203)가 리어 케이스(20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210a)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201)의 일면에 결합된다. 상기 윈도우(210a)에는 터치 센서(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도록 형성되고, 광투과성으로 이루어진다. 터치 센서는 상기 윈도우(210a)의 전면에 장착되며, 윈도우(210a)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전압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10b)은 상기 윈도우(210a)의 후면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10b)의 예로서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가 개시되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210b)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250)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프레임(241)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지만,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10b)의 하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회로 기판(250)의 하면 상에 적어도 하나의 전자소자들이 장착된다.
상기 프레임(241)에는 상기 배터리(240)가 수용될 수 있도록 리세스된 형태의 수용부가 형성된다. 상기 배터리 수용부의 일 측면에는 상기 배터리(240)가 단말기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회로 기판(250)과 연결되는 접촉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상단 또는 하단에는 안테나 장치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장치는 복수로 형성되어 단말기의 각 단부에 배치되고, 각 안테나 장치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241)은 얇은 두께로 형성되더라도 충분한 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금속 재질의 프레임(241)은 그라운드로 동작할 수 있다. 즉, 회로 기판(250) 또는 안테나 장치가 프레임(241)에 접지 연결될 수 있으며, 프레임(241)은 회로 기판(250)이나 안테나 장치의 그라운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레임(241)은 이동 단말기의 그라운드를 확장할 수 있다.
회로 기판(250)은 안테나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안테나 장치에 의하여 송수신되는 무선 신호(또는 무선 전자기파)를 처리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신호의 처리를 위해, 복수의 송수신 회로들(251)이 회로 기판(250)에 형성되거나 장착될 수 있다.
송수신기 회로들은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 및 관련 전기적 소자들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송수신기 회로는 송신 집적 회로, 수신 집적회로, 스위칭 회로, 증폭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송수신기 회로들은 방사체인 도전 멤버들을 동시 급전함으로써, 복수의 안테나 장치가 동시에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느 하나가 송신하는 동안, 다른 하나는 수신할 수 있으며, 둘 다 송신하거나 둘 다 수신을 할 수 있다.
동축 케이블(251, 252)은 회로기판(250)과 각 안테나 장치들을 서로 연결한다. 일 예로 동축 케이블(251, 252)은 안테나 장치들을 급전시키는 급전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급전 장치들은 조작부(217)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들을 처리하도록 형성되는 연성회로기판(242)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연성회로기판(242)의 타면은 조작부(217)의 신호를 전달하도록 형성되는 신호 전달 유닛(217a)과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연성회로기판(242)의 타면에 돔이 형성되고, 신호 전달 유닛(217a)에 액추에이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안테나 장치의 비교예들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안테나 장치 중 슬롯 안테나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안테나 장치들 중 어느 하나는 슬롯 안테나를 변형시킨 안테나로서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슬롯 안테나는 도파관 벽면, 원통형 도체 표면 또는 평면 도체판 상에 슬롯을 형성하고, 슬롯 내에 전기장이 형성되도록 슬롯이 형성된 부분을 급전함으로써, 슬롯 안테나가 전파의 방사체가 되도록 동작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슬롯 안테나는 하나의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경우 사용되어 왔으며,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경우에는 사용되지 않았다. 그 이유를 도 5a와 도 5b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5a와 도 5b는 각각 제1 비교예와 제2 비교예로서 일측이 개구된 슬롯 안테나(30)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안테나는 양측의 슬롯이 닫힌 슬롯 안테나보다 미러(Mirror) 효과에 의해 보다 짧은 슬롯의 길이(D)로 저주파수 대역에서 공진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일측이 개구된 슬롯 안테나는 양측이 닫힌 슬롯 안테나의 슬롯의 길이보다 대략 1/2의 길이로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할 수 있다.
양측이 닫힌 슬롯 안테나의 경우 제1 주파수 대역의 전파를 방사하기 위하여, 슬롯은 제1 주파수 대역 중심 주파수에 해당하는 파장의 λ/2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으며, 일측이 개구된 슬롯 안테나의 슬롯은 중심 주파수 파장의 λ/4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는다. 다시 말하면, 일측이 개구된 슬롯 안테나는 보다 적은 길이의 슬롯으로 저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에 대응하는 전파를 방사할 수 있으므로, 그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도 5a에서, 슬롯 안테나(30)가 제1 주파수 대역의 전파를 방사할 때 임피던스와 전류의 관계를 도시한 것으로서, 점선은 임피던스의 크기를 도시한 것이고 화살표는 슬롯 주변을 따라 흐르는 전류를 도시한 것이다.
제1 멤버(31)와 제2 멤버(32)는 슬롯(S)을 형성한다.
여기서 슬롯의 길이(D)는 제1 주파수 대역 중심 주파수 파장의 λ/4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는다. 전파가 방사되는 방사 임피던스는 377 옴(ohm) 내외의 값을 갖으며 슬롯의 개구된 일단(35)에서 이루어진다. 안테나의 임피던스 매칭은 대략 50 옴(ohm) 내외에서 이루어지므로 급전부(33)의 위치는 도시한 바와 같이, 닫힌 일부분(34)에서 일정 거리(D1)만큼 이격되어 있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안테나를 이용하여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전파를 방사하는 경우 임피던스와 전류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슬롯의 길이(D)는 제2 주파수 대역 중심 주파수 파장의 λ/2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는다. 전파가 방사되는 방사 임피던스는 377 옴(ohm) 내외의 값을 갖으며, 길이 방향의 슬롯 중앙 부분에서 이루어진다.
급전부(33)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는다면,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임피던스 매칭을 위해 배치한 급전부(33)의 위치는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약 300 옴(ohm) 내외의 임피던스가 되는 위치에 해당한다. 이에 비해, 제2 주파수 대역의 임피던스 매칭이 되는 위치는 닫힌 부분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이격된 위치(D2)에 있다.
따라서, 급전부(33)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는다면, 슬롯 안테나가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일정 이상의 효율을 갖도록 하는 임피던스 매칭이 어렵게 된다.
즉, 제1 주파수 대역을 기준으로 임피던스 매칭을 위해 급전부(33)를 배치하면, 제2 주파수 대역에서는 임피던스 매칭이 어려워지므로, 제2 주파수 대역에서 만족할 만한 안테나 성능을 발휘할 수 없다.
도 5c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안테나 장치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안테나 장치는 급전부(33)로부터 연장되는 급전 연장부(36)를 구비한다.
급전 연장부(36)는 슬롯 안테나가 제2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경우 그 임피던스가 50 옴(ohm)내외가 되도록 급전부(33)로부터 연장된다. 즉, 급전부(33)는 슬롯 안테나가 제1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경우 그 임피던스가 50 옴(ohm)이 되는 곳에 위치하고, 급전 연장부는 슬롯 안테나가 제2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경우 그 임피던스가 50 옴(ohm)이 되도록 급전부(33)로부터 일정 길이(D3) 만큼 연장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안테나는 벌룬(balun)이나 다이플렉서(diplexer)를 사용하지 않고도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서 일정 이상의 안테나 효율을 가지고 동작하도록 임피던스 매칭이 가능하다.
이하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는 단말기의 일측에 복수의 안테나 장치가 구현되는 예를 설명한 것이다.
각각의 안테나 장치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제1 안테나 장치(ANT 1)는 DCN 1x 방식 또는 PCS 1x 방식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고, 제2 안테나 장치(ANT 2)는 DCN EVDO(Evolution-Data Optimized 또는 Evolution-Data Only) 방식에 따른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안테나 장치(ANT 1)가 LTE B4 방식에 따르는 신호를 송수신하면, 제2 안테나 장치(ANT 2)는 LTE B13 방식에 따르는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안테나 장치(ANT 1)가 이동 단말기의 음성 서비스에 해당하는 신호를 송수신하면, 제2 안테나 장치(ANT 2)는 이동 단말기의 LTE 서비스에 해당하는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안테나 장치의 비교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에서 A부분에 형성되는 안테나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제1 안테나 장치(ANT 1)와 제2 안테나 장치(ANT 2)는 각각 모노폴이나 다이폴 또는 PIFA 타입 중 어느 하나의 타입을 따르는 안테나로서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안테나 장치(ANT 1)와 제2 안테나 장치(ANT 2)가 단말기의 일측에 서로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안테나 장치(ANT 1, ANT 2)의 방사부는 캐리어(245)와 캐리어(245)의 어느 일면에 형성되는 도전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안테나 장치(ANT 1, ANT 2)는 상기 도전 패턴 중 어느 일단에서 주된 방사가 일어나므로 전기장이나 자기장이 생성되는 주변의 전기적 소자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전기적 소자(예를 들면, 소켓이나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연성회로기판)로부터 안테나 장치가 이격되어야 한다. 이 경우, 단말기 내에 복수의 안테나 장치(ANT 1, ANT 2)를 구현하는 경우 각각의 안테나 장치를 다른 전기적 소자들로부터 이격시켜야 하므로, 단말기 내 안테나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협소해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공간을 확보하지 못하면 안테나 장치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단말기의 소형화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안테나 장치들이 구현된 이동 단말기의 도면과 개념도이고, 도 7c는 도 7a에 도시된 안테나 장치들의 주파수에 따르는 전압정재파비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도 7a 내지 도 7b는 도 3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에서 A부분에 형성되는 안테나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 내지 도 7b는 제1 안테나 장치(ANT 1)와 제2 안테나 장치(ANT 2)가 동종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었지만, 제1 안테나 장치(ANT 1)와 제2 안테나 장치(ANT 2)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타입의 안테나가 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르는 안테나 장치들은 앞서 설명한 일종의 슬롯 안테나로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각 슬롯을 형성하는 멤버들과 급전부 및 급전 연장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제1 안테나 장치(ANT 1)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안테나 장치(ANT 1)는 제1 도전 멤버(311)와 제3 도전 멤버(312), 제1 급전부(313) 및 제1 급전 연장부(314)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도전 멤버(311)와 제3 도전 멤버(312)는 도전성 멤버로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도전 멤버(311)와 제3 도전 멤버(312)는 안테나 장치의 슬롯(S)을 한정한다. 즉, 제1 도전 멤버(311)와 제3 도전 멤버(312) 사이의 빈 공간이 안테나 장치의 슬롯(S)이 된다. 여기서 편의상 슬롯(S)의 개구된 부분을 개구부(316)라 하고, 제1 도전 멤버(311)와 제3 도전 멤버(312)가 연결되어 닫힌 부분을 연결부(317)라고 부르기로 한다.
슬롯(S)의 개구부(316)로부터 연결부(317)까지의 길이는 제1 주파수 대역 중심 주파수의 λ/4 또는 λ/8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된다. 이러한 슬롯(S)의 길이는 안테나의 급전 방식이나 안테나를 구성하는 유전체의 유전율 또는 제1 급전부(313)에 형성되는 커패시터의 추가 등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를 테면, 급전 방식을 변경하여, λ/4 공진 모드로 안테나 장치가 동작하는 경우 슬롯의 길이는 중심 주파수의 λ/4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장치(ANT 1)는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도록 슬롯(S)이 어느 일부분에서 만곡되거나, 슬롯(S)이 미앤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주파수 대역이 GSM 850에 해당하는 통신 서비스 대역인 경우 요구되는 슬롯(S)의 길이는 대략 45 내지 53 mm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주파수 대역이 LTE 700에 해당하는 통신 서비스 대역인 경우 요구되는 슬롯(S)의 길이는 대략 50 내지 60 mm 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슬롯은 제1 주파수 대역 중심 주파수에 반비례하는 길이를 갖는다. 즉,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슬롯의 길이는 짧아진다. 그리고 슬롯(S)의 폭은 안테나 효율을 고려하여 최소 0.003λ배 이상의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요구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슬롯의 길이는 제1 주파수 대역 중심 주파수의 λ/4에 대응하는 길이로 이루어지나, 직렬 소자(Series element) 또는 분로 소자(Shunt element)로 이루어지는 정합부(315)로 인해 그 길이가 짧아져 제1 주파수 대역 중심 주파수의 λ/8에 대응하는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안테나 장치를 구성하는 각 요소들의 특성이나, 안테나 주변에 형성되는 다른 전기적 소자들의 영향으로 인해 그 길이가 가감될 수 있다.
제1 도전 멤버(311)와 제3 도전 멤버(312)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기만 하면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도전 멤버(311)를 단말기의 일측을 감싸는 케이스(202a)의 일부분으로 선택하고, 제3 도전 멤버(312)는 그라운드를 구비하는 연성회로기판(242)으로 선택하였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연성회로기판(242)은 일단이 제어부를 구비하는 회로기판(25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연성회로기판(242)은 단말기의 조작부(217)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연성회로기판(242)은 조작부(217)에서 생성된 신호가 회로기판(250)의 제어부에 전달되도록 형성된다. 일 예로, 연성회로기판(242)은 조작부(217)와 연결되도록 조작부(217)의 하부에 형성되며, 조작부(217)와 접촉한다.
제1 도전 멤버(311)가 단말기 바디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로 이루어지므로, 제1 도전 멤버(311)의 일측에는 개구부(316)와 연통하는 슬릿이 형성된다. 슬롯 안테나의 특성상 이러한 슬릿을 통하여 무선 신호의 주된 방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급전부(313)는 안테나 장치가 특정 주파수에서 공진할 수 있도록 슬롯 안테나를 급전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급전부(313)가 슬롯(S) 내에 전기장을 형성하도록 제1 급전부(313)의 일단이 슬롯을 한정하는 어느 하나의 멤버(311, 31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급전부(313)의 타단은 제1 급전 연장부(314)에 연결될 수 있다.
급전 방식에 따라 제1 급전부(313)와 멤버들은 서로 연결되거나, 이격되어 커플링 급전 연결될 수 있다.
제1 급전부(313)가 멤버들 중 어느 하나를 급전하는데 있어서, 직접 급전(direct feeding) 방식에 따르면 동축 케이블(253, 도 4 참조)로부터 연장되는 제1 급전부(313)가 슬롯(S)을 가로지르도록 어느 하나의 멤버로부터 다른 하나의 멤버까지 연장될 수 있다. 즉, 직접 급전 방식에 따르면, 제1 급전부(313)의 일단은 어느 하나의 멤버에 연결되고, 제1 급전부(313)의 타단은 제1 급전 연장부(314)에 이르기까지 연장되어 제1 급전 연장부(314)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커플링 급전(coupling feeding) 방식에 의하면 제1 급전부(313)는 멤버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제1 급전 연장부(314)로부터 이격되어 근접한 멤버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제1 급전 연장부(314)를 커플링 급전할 수 있다.
제1 급전부(313)는 제3 도전 멤버(312)로부터 제1 도전 멤버(311)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는데, 커플링 급전 방식에 따라 제1 급전부(313)의 일단이 제1 급전 연장부(314)에 연결되고, 제1 급전부(313)의 타단은 제1 도전 멤버(311)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급전부(313)의 위치는 도 5c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부(317)로부터 일정 거리 만큼 이격된 위치로서, 제1 급전부(313)로 인하여 제1 주파수 대역 중심 주파수의 임피던스가 50 옴(ohm) 내외가 되는 거리이다.
제1 급전 연장부(314)는 제1 급전부(313)로부터 일정 거리 만큼 연장된다. 이러한 거리는 제1 급전 연장부(314)로 인하여 제2 주파수 대역 중심 주파수의 임피던스가 50 옴(ohm) 내외가 되는 거리이다. 제1 급전 연장부(314)의 길이는 안테나 장치(300)가 효율적으로 동작하도록 튜닝을 위해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튜닝에 의해, 제1 급전 연장부(314)의 길이는 제2 주파수 대역 중심 주파수의 임피던스가 150 옴(ohm) 내외가 되는 거리까지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1 급전부(313)와 제1 급전 연장부(314) 사이에 임피던스 매칭을 위해 커패시터나 인덕터를 포함하여 구현되는 분로 소자(shunt element)나 직렬 소자(series element)가 형성될 수 있다. 임피던스 매칭을 위해 커패시터나 인덕터를 포함하여 구현되는 분로 소자(shunt element)나 직렬 소자(series element)가 형성되는 부분은 정합부(315)라 불리어질 수 있다.
분로 소자는 임피던스의 실수부인 저항값(resistance)을 조절할 수 있는데, 일 예로 인덕터는 저항값을 높이고 커패시터는 저항값을 낮추어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튜닝이 가능하다. 이러한 분로 소자는 제1 급전부(313)와 제1 급전 연장부(314) 사이에 집중 정수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직렬 소자는 임피던스의 허수부인 리액턴스 값(reactance)을 조절할 수 있는데, 일 예로 인덕터는 리액턴스를 높이고 커패시터는 리액턴스를 낮추어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튜닝이 가능하다. 이러한 직렬 소자는 제1 급전부(313)와 제1 급전 연장부(314) 사이에 집중 정수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제1 급전 연장부(314)의 일단에 직렬 커패시터가 배치되거나, 제1 급전 연장부(314)의 어느 일부분에 직렬 인덕터가 배치될 수 있다.
분로 소자나 직렬 소자가 안테나 장치에 포함되는 경우 슬롯의 길이나 형상을 변경하여 보다 향상된 안테나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급전부(313)에 분로 커패시터(shunt capacitor)를 배치하고, 제1 급전 연장부(314)에 직렬 커패시터(series capacitor)를 배치하는 경우, 낮추어진 저항값과 리액턴스의 영향으로, 안테나 슬롯의 길이를 제1 주파수 대역 중심 주파수의 약 λ/8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짧아진 슬롯의 길이로 인하여, 안테나 장치는 보다 소형화될 수 있다.
도 7b는 정합부(315)가 직렬 소자로 이루어진 것을 도시하고 있는데, 제1 주파수 대역(저주파수 대역)이 약 700 내지 900 Mhz일 때, 커패시턴스의 값은 0.7 내지 1.4 pF의 값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인덕턴스의 값은 5.0 내지 11 nH의 값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급전 연장부(314)는 제3 도전 멤버(312)의 일면에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급전 연장부(314)와 제3 도전 멤버(312) 사이에는 유전체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유전체로서, 에폭시레진 접합제를 함침시킨 여러겹의 종이로 이루어진 FR-3, 에폭시레진을 함침시킨 종이코어를 가진 합성체인 CEM-1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표면에는 직조된 유리섬유가 에폭시레진이 함침되어 있고, 코어는 직조되지 않은 유리섬유에 에폭시레진이 함침되어 있는 CEM-3, 에폭시레진이 함침된 유리섬유가 여러겹 쌓여 있는 FR-4, 다기능 에폭시 레진을 함침시킨 직조 유리섬유를 여러겹 쌓은 FR-5, 폴리이미드 레진을 함침시킨 여러 겹의 직조된 유리섬유로 이루어져 있는 GI, 인쇄회로기판(PCB)의 일부와 같은 재질들이 유전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급전 연장부(314)는 제3 도전 멤버(312)의 일면에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5c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급전 연장부(314)는 슬롯 안테나가 제2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경우 그 임피던스가 50 옴(ohm) 내외가 되도록 제1 급전부(313)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2 주파수 대역의 중심 주파수가 대략 1900 MHz인 경우, 제1 급전부(313)로부터 연장되는 제1 급전 연장부(314)의 길이는 8 내지 13 mm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길이는 안테나 장치를 구성하는 다른 구성요소들의 전자기적인 영향에 의해 제1 급전 연장부(314)의 길이가 가감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1 급전 연장부(314)와 제3 도전 멤버(312) 사이에는 절연체나 유전체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안테나 장치(ANT 2)는 제2 도전 멤버(321), 제4 도전 멤버(322), 제2 급전부(323)와 제2 급전 연장부(325)를 포함한다. 제2 도전 멤버(321), 제4 도전 멤버(322), 제2 급전부(323)와 제2 급전 연장부(325)는 제1 안테나 장치(ANT 1)와 같이 동일 유사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제1 안테나 장치(ANT 1)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제1 도전 멤버(311)와 제2 도전 멤버(321)는 단말기 바디의 외관 중 일부를 형성한다. 도 7a와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도전 멤버(311)와 제2 도전 멤버(321)는 단말기 하부를 형성하는 케이스가 될 수 있다. 제1 도전 멤버(311)와 제2 도전 멤버(321) 사이에는 소켓(219)이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켓(219)은 외부 기기와 접속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3 도전 멤버(312)와 제4 도전 멤버(322)는 각각 그라운드를 구비하는 연성회로기판(242)의 일 부분으로서 상기 그라운드를 공유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3 도전 멤버(312)와 제4 도전 멤버(322)는 각각 연성회로기판(242)의 일 부분이 될 수 있으며, 그라운드가 분리될 수 있다. 즉, 제3 도전 멤버(312)는 제1 그라운드를 구비하며, 제4 도전 멤버(322)는 제2 그라운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3 도전 멤버(312)는 연성회로기판(242)의 상부가 될 수 있으며, 제4 도전 멤버(322)는 연성회로기판(242)의 하부가 될 수 있으며, 각각 분리된 그라운드를 구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3 도전 멤버(312)는 연성회로기판(242)이 될 수 있으며, 제4 도전 멤버(322)는 단말기 바디의 내부를 지지하는 도전성 프레임(241)이 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그라운드는 서로 분리된다.
이와 같이, 제1 안테나 장치(ANT 1)와 제2 안테나 장치(ANT 2)의 그라운드가 독립적으로 구현되면, 제1 안테나 장치(송신 또는 수신측의 메인 안테나)와 제2 안테나 장치(다이버시티 또는 MIMO 시스템의 수신측 서브 안테나) 사이에 상호간섭(mutual coupling) 및 관련계수(Envelope Correlation Coefficient)값이 낮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가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할 때, 복수의 안테나 장치 간의 격리도(Antenna to antenna isolation)가 문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안테나 장치(ANT 1)와 제2 안테나 장치(ANT 2)의 전파가 방사되는 주된 위치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제1 안테나 장치(ANT 1)의 주된 방사 방향은 제1 측을 향하고, 제2 안테나 장치(ANT 2)의 주된 방사 방향은 제1 측과 직교하거나 제1 측에 대하여 반대 방향인 제2 측을 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수의 안테나 장치가 MIMO 또는 다이버시티로 동작하더라도 제1 안테나 장치(송신 또는 수신측의 메인 안테나)와 제2 안테나 장치(다이버시티 또는 MIMO 시스템의 수신측 서브 안테나) 사이에 상호간섭(mutual coupling) 및 관련계수(Envelope Correlation Coefficient)값이 낮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에 장착되는 복수의 안테나 장치가 본 발명에 따르는 슬롯 안테나로 구현되는 경우, 기존의 이동 단말기에 비해 보다 한정된 공간 내에 복수의 안테나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슬롯 안테나로서 동작하는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가 단말기의 베젤(디스플레이의 외곽에서 단말기의 케이스까지 연장되는 단말기 본체 내의 공간, 도 6 참고) 부분에서 서로 근접하게 배치되므로 단말기 본체의 베젤을 축소할 있으므로, 보다 소형화되고 컴팩트한 복수의 안테나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를 구현할 수 있다.
도 7c를 참고하면, 단말기의 일측에 제1 안테나 장치(ANT 1)와 제2 안테나 장치(ANT 2)가 동시에 동작하더라도 서로 영향을 주지 않으며, 만족할 만한 안테나 효율을 발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슬롯 안테나로 동작하는 각각의 안테나 장치가 멀티 주파수 대역에서 안테나 효율을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8은 도 7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일 부분과 결합하는 케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 슬롯 안테나(ANT 1) 및 제2 슬롯 안테나(ANT 2)를 덮는 케이스(CASE)에는 슬롯들과 연통되는 슬릿확장부가 형성될 수 있다. 슬릿 확장부는 슬롯 안테나의 슬롯을 확장하면서 슬롯의 상부를 개구시키므로, 안테나의 효율이 보다 상승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b는 도 7b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앞서 살펴본 도 7a를 참고하면, 슬릿은 단말기 바디의 횡방향(x축 방향)으로 슬롯이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도전성 케이스가 외관을 형성하는 단말기 바디를 손으로 감싼 채로 쥐게 되면, 손바닥이 안테나 장치의 주된 방사가 일어나는 슬릿 부분을 덮게 된다. 이로 인해, 안테나의 방사 효율이 감소하는 핸드 이펙트가 발생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b는 핸드 이펙트에 의한 안테나 효율 감소를 방지하기 위해, 슬릿이 단말기 바디의 종방향(y축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 단말기를 도시한 것이다. 슬릿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비도전성 부재로 덮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9b는 단말기 하부의 중앙 영역에 또 하나의 슬릿(SLIT 2)을 형성함으로써, 안테나 장치들을 구성하는 도전 멤버를 한정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도 9b에서 도시된 실시예는 서로 다른 안테나 장치를 구성하는 도전 멤버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분리시킨 것을 도시한 것이다. 즉, 도전 멤버들 사이에는 또 하나의 슬릿(SLIT 2)이 형성된다.
도 10은 이동 단말기의 다른 위치에 안테나 장치들이 장착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단말기 바디의 상부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안테나 장치들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안테나 장치 즉, 제3 안테나 장치(ANT 3)와 제4 안테나 장치(ANT 4)가 단말기 바디의 상부에 형성되며, 단말기 바디의 상부를 이루는 도전성 케이스(202c)가 안테나 장치를 구성하는 도전 멤버로써 활용된다. 그리고 제3 안테나 장치(ANT 3)와 제4 안테나 장치(ANT 4)를 구성하는 도전 멤버(331, 341)들에 각각 슬릿이 형성된다.
제3 안테나 장치(ANT 3)와 제4 안테나 장치(ANT 4)가 슬롯 안테나로 동작하는 경우,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전 멤버들(331, 332, 341, 342), 급전부(333, 343), 급전 연장부(334, 344)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제3 안테나 장치(ANT 3) 또는 제4 안테나 장치(ANT 4)는 상기한 슬롯 안테나로 동작할 수도 있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안테나 장치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폴디드 다이폴 타입의 안테나로 동작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안테나 장치를 구성하는 하나의 부재를 도전성 케이스로 활용함으로써, 보다 적은 단말기 내의 공간에서 안테나를 복수로 구성할 수 있으며, 근접한 전기적 소자에 의해 안테나 성능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형성되는 단말기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안테나 장치들이 구현된 이동 단말기의 도면과 개념도이고, 도 11c는 도 11a에 도시된 안테나 장치들의 주파수에 따르는 전압정재파비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도 11a 내지 도 11b는 도 3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에서 A부분에 형성되는 안테나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의 어느 일측에 제1 안테나 장치(ANT 1)와 제2 안테나 장치(ANT 2)가 배치된다. 제1 안테나 장치(ANT 1)와 제2 안테나 장치(ANT 2)의 구성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제1 안테나 장치(ANT 1)에 대하여 설명하고, 제2 안테나 장치(ANT 2)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안테나 장치(ANT 1)는 단말기 바디의 외관 중 일부를 형성하는 제1 도전 멤버(411), 제1 도전 멤버(411)와 함께 제1 도전 루프를 형성하는 제3 멤버(412), 제1 급전부(413), 제1 접지 연결부(414)를 포함하여 폴디드 다이폴(Folded Dipole) 안테나로 동작하도록 형성된다.
제1 급전부(413)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된 회로기판(250)과 제1 도전 멤버(411)를 서로 연결하며, 제1 도전 멤버(511)를 급전하도록 형성된다. 제1 급전부(413)는 발룬, 이상기, 분배기, 감쇠기, 증폭기 등이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제1 급전부(413)와 제3 멤버(412) 사이에는 임피던스 정합을 위해 정합부(415)가 형성될 수 있다. 정합부(415)는 직렬 소자나 분로 소자들로 구현될 수 있다. 직렬 소자로 구성되는 경우, 임피던스의 허수부인 리액턴스 값(reactance)이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인덕터는 리액턴스를 높이고 커패시터는 리액턴스를 낮추므로 제1 주파수 대역의 임피던스가 변경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분로 소자로 구성되는 경우, 임피던스의 실수부인 저항값(resistance)을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인덕터는 저항값을 높이고 커패시터는 저항값을 낮추어 제1 주파수 대역의 임피던스가 변경될 수 있다.
도 11b는 정합부(415)가 직렬 소자로 이루어진 것을 도시하고 있는데, 제1 주파수 대역(저주파수 대역)이 약 700 내지 900 Mhz일 때, 커패시턴스의 값은 0.5 내지 1.0 pF의 값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인덕턴스의 값은 3.0 내지 7.0 nH의 값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급전부(413)와 제3 멤버(412) 사이에 정합부(415)를 형성하게 되면 제1 도전 루프의 길이에 대응하는 중심 주파수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정합부(415)로 인해 중심 주파수를 보다 낮은 주파수로 이동시키면, 주파수와 안테나를 구성하는 제1 도전 루프의 길이는 서로 반비례하므로, 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제1 도전 루프로 해당 주파수 대역의 중심 주파수에 대응하는 안테나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도전 루프의 길이는 제1 주파수 대역 중심 주파수의 λ/2에 대응하는 길이로 이루어지나, 직렬 소자로 이루어지는 정합부(415)로 인해 그 길이가 짧아져 제1 주파수 대역 중심 주파수의 λ/4에 대응하는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안테나 장치를 구성하는 각 요소들의 특성이나, 안테나 주변에 형성되는 다른 전기적 소자들의 영향으로 인해 그 길이가 가감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안테나 장치(ANT 2)도 이와 유사한 구성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제2 급전부(423)로부터 제4 멤버(422) 및 제2 도전 멤버(421)를 지나 제2 접지 연결부(424)까지 이어지는 경로는 제2 안테나 장치(ANT 2)가 폴디드 다이폴(Folded Dipole) 안테나로 동작하도록 제2 도전 루프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이동 단말기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안테나 장치(ANT 1)와 제2 안테나 장치(ANT 2)는 서로 근접하게 배치되며, 각각 접지 연결부에 의해 회로기판(250)의 그라운드에 접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안테나 장치의 그라운드는 는 분리될 수 있다. 즉, 제1 안테나 장치(ANT 1)는 회로기판(250)의 제1 그라운드에 연결되고, 제2 안테나 장치(ANT 2)는 회로기판(250)의 제2 그라운드에 연결될 수 있다. 회로기판(250)이 다층 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1 그라운드나 제2 그라운드는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안테나 장치(ANT 1)와 제2 안테나 장치(ANT 2)의 그라운드가 독립적으로 구현되면, 제1 안테나 장치(ANT 1)와 제2 안테나 장치(ANT 2) 사이에 상호간섭(mutual coupling) 및 관련계수(Envelope Correlation Coefficient)값이 낮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할 수 있다.
제1 도전 멤버(411)와 제2 도전 멤버(421)의 일측에는 각각 비도전성 부재가 결합될 수 있도록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비도전성 부재에 의해 제1 도전 멤버(411)와 제2 도전 멤버(421)가 한정된다. 그리고, 안테나 장치가 특정 주파수에서 공진하도록 제1 도전 멤버(411)와 제2 도전 멤버(421)는 특정 주파수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게 된다.
도 11a와 도 11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르는 안테나 장치의 제1 도전 멤버(511)는 단말기의 상단 또는 하단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도전 멤버(411)와 제2 도전 멤버(421)의 슬릿에 인접한 부분에서 무선 신호의 주된 방사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주요 방사 구간이 단말기의 하단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외부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고주파수 대역에서 핸드 이펙트(hand effect)효과에 의한 방사특성의 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1c를 참고하면, 단말기의 일측에 제1 안테나 장치(ANT 1)와 제2 안테나 장치(ANT 2)가 동시에 동작하더라도 서로 영향을 주지 않으며, 만족할 만한 안테나 효율을 발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슬롯 안테나로 동작하는 각각의 안테나 장치가 멀티 주파수 대역에서 안테나 효율을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b는 도 11b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2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의 어느 일측에 제1 안테나 장치(ANT 1)와 제2 안테나 장치(ANT 2)가 배치된다. 제1 안테나 장치(ANT 1)와 제2 안테나 장치(ANT 2)의 구성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제1 안테나 장치(ANT 1)에 대하여 설명하고, 제2 안테나 장치(ANT 2)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안테나 장치(ANT 1)는 제1 도전 멤버(511), 제3 멤버(512), 제1 급전부(513), 제1 접지 연결부(514)의 일부를 구성하는 소켓(219)을 포함하여 폴디드 다이폴(Folded Dipole) 안테나로 동작하도록 형성된다.
제1 급전부(513)와 제3 멤버(512) 사이에는 임피던스 정합을 위해 정합부(515)가 형성될 수 있다. 정합부(515)는 직렬 소자나 분로 소자들로 구현될 수 있다. 직렬 소자로 구성되는 경우, 임피던스의 허수부인 리액턴스 값(reactance)이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인덕터는 리액턴스를 높이고 커패시터는 리액턴스를 낮추므로 제1 주파수 대역의 임피던스가 변경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분로 소자로 구성되는 경우, 임피던스의 실수부인 저항값(resistance)을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인덕터는 저항값을 높이고 커패시터는 저항값을 낮추어 제1 주파수 대역의 임피던스가 변경될 수 있다.
급전부(513)와 제3 멤버(512) 사이에 정합부(515)를 형성하게 되면 제1 도전 멤버(511)와 제3 멤버(512)의 길이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의 중심 주파수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정합부(515)로 인해 중심 주파수를 보다 낮은 주파수로 이동시키면, 주파수와 안테나를 구성하는 제1 도전 멤버(511)와 제3 멤버(512)를 포함하는 제1 도전 루프 길이는 서로 반비례하므로, 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제1 도전 멤버(511)와 제3 멤버(512)로 해당 주파수 대역의 중심 주파수에 대응하는 안테나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기판의 일면에 송수신 회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송수신 회로부는 급전부(515)에 연결된다. 송수신 회로부는 급전부(513)와 정합부(515)를 통해 제1 도전 멤버(511)를 급전함으로써, 무선 신호를 송신하거나, 제1 도전 멤버(511)에 의해 수신된 수신 무선 신호를 급전부(513)와 정합부(515)를 통해서 입력받아 주파수 변환 처리나 복조 처리 등의 소정의 수신 처리를 실행하도록 형성된다.
안테나 장치(ANT 1, ANT 2)는 소켓(219)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의 그라운드에 접지 연결되는데, 소켓(219)은 제1 도전 멤버(511)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소켓(219)을 통하여 외부기기가 삽입되는데, 외부 기기로써,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커넥터(MMI Connector ; Multimedia Interface Connector)와 같은 충전용이나 통화 이어폰용 또는 데이터케이블용 포트 등과 같은 인터페이스 장치가 소켓(219)에 삽입될 수 있다.
소켓(219)은 제1 도전 멤버(511)에서 회로기판(250)까지 연장될 수 있다. 회로기판(250)에 접한 소켓(219)은 회로기판(250)에 접지 연결된다. 즉, 소켓(219)은 제1 도전 멤버(511)를 회로기판(250)에 접지 연결한다. 이로 인해, 제1 급전부(513)로부터 제1 도전 멤버(511) 및 제3 멤버(512)를 지나 소켓(219)까지 이어지는 경로는 제1 안테나 장치(ANT 1)가 폴디드 다이폴(Folded Dipole) 안테나로 동작하도록 제1 도전 루프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2 안테나 장치(ANT 2)도 이와 유사한 구성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제2 급전부(522)로부터 제4 멤버(522) 및 제2 도전 멤버(521)를 지나 소켓(219)까지 이어지는 경로는 제2 안테나 장치(ANT 2)가 폴디드 다이폴(Folded Dipole) 안테나로 동작하도록 제2 도전 루프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이동 단말기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안테나 장치(ANT 1)와 제2 안테나 장치(ANT 2)는 소켓(219)을 통해 회로기판(250)의 그라운드에 접지 연결된다. 이러한, 소켓(219)과 그라운드 간의 접지 연결은 제1 접지 연결부(미도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접지 연결부는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패스(path)를 구비하며, 각 패스에 대응하는 스위치를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 패스를 선택하는 스위치를 통해 각 패스는 선택적으로 그라운드와 제1 도전 멤버(511)를 서로 다른 길이로 연결시킨다. 여기서, 패스는 접지와 방사체를 연결하는 전기적 통로로, 접지판, 접지용 클립, 및 접지선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지선을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함으로써 패스의 길이를 달리 형성할 수 있다.
도전 멤버의 양측에 비도전성 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비도전성 부재에 의해 각 도전 멤버들이 한정된다. 그리고, 안테나 장치가 특정 주파수에서 공진하도록 각 도전 멤버들은는 특정 주파수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게 된다.
이와 달리, 도전성 케이스(CASE 1)에 근접하는 단말기의 측면 케이스들(CASE 2)이 도전성 부재로만 형성되는 경우에는 도전성 케이스(CASE 1)와 다른 케이스(CASE 2)가 서로 이격되면서 슬릿(SLIT 1, SLIT 2)이 형성된다. 이러한 슬릿(SLIT 1, SLIT 2)에는 비도전성 부재가 결합된다.
도전성 케이스(CASE 1)는 제1 안테나 장치(ANT 1) 또는 제2 안테나 장치(ANT 2)의 방사체가 되는데, 이를 구분하도록 도전성 케이스(CASE 1)는 분리될 수 있다. 분리된 도전성 케이스는 각각 제1 안테나 장치(ANT 1)의 방사체가 되는 제1 도전 멤버(511)와 제2 안테나 장치(ANT 2)의 방사체가 되는 제2 도전 멤버(521)와 연결될 수 있다.
도 12a와 도 12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르는 안테나 장치의 도전성 케이스(CASE 1)는 단말기의 상단 또는 하단에 형성된다. 그리고 도전성 케이스(CASE 1)의 양측에서 무선 신호가 방사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주요 방사 구간이 단말기의 하단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외부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고주파수 대역에서 핸드 이펙트(hand effect)효과에 의한 방사특성의 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의 개념도로서, 복수의 안테나 중 어느 하나는 앞서 설명한 슬롯 안테나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앞서 설명한 폴디드 다이폴 안테나로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도 13은 도 3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에서 A부분에 형성되는 안테나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제1 안테나 장치(ANT 1)는 제1 도전 멤버(611)와 제3 도전 멤버(612), 제1 급전부(613) 및 급전 연장부(614)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도전 멤버(611)와 제3 도전 멤버(612)는 도전성 멤버로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도전 멤버(611)와 제3 도전 멤버(612)는 안테나 장치의 슬롯(S)을 한정한다.
그리고, 제2 안테나 장치(ANT 2)는 단말기 바디의 외관 중 일부를 형성하는 제2 도전 멤버(621),제2 도전 멤버(621)와 함께 제1 도전 루프를 형성하는 제4 도전 멤버(622), 제2 급전부(623), 접지 연결부(624)를 포함하여 폴디드 다이폴(Folded Dipole) 안테나로 동작하도록 형성된다.
제3 도전 멤버(612)와 제4 도전 멤버(622)는 각각 연성회로기판(242)의 일부분이 될 수 있다. 즉, 제3 도전 멤버(612)는 연성회로기판(242)의 상부가 될 수 있으며, 제4 도전 멤버(622)는 연성회로기판(242)의 하부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도전 멤버(612)와 제4 도전 멤버(622)의 그라운드는 서로 이격되어 분리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3 도전 멤버(612)는 연성회로기판(242)이 사용되고, 제4 도전 멤버(622)는 단말기의 회로기판(250)이 사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안테나 장치(ANT 1)와 제2 안테나 장치(ANT 2)의 그라운드가 분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6)

  1. 단말기 바디; 및
    상기 단말기 바디의 어느 일측에 서로 근접하게 배치되며, 각각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형성되는 제1 안테나 장치와 제2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장치들은 각각 일측에 슬릿이 형성되는 도전 멤버를 구비하고,
    상기 도전 멤버들은 각각 상기 단말기 바디의 외관 중 일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멤버들 중 일측에 제1 슬릿이 형성되는 제1 도전 멤버는 상기 제1 안테나 장치에 포함되고, 일측에 제2 슬릿이 형성되는 제2 도전 멤버는 상기 제2 안테나 장치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 장치는,
    상기 제1 도전 멤버와 함께 상기 제1 슬릿에 연통되도록 슬롯을 형성하는 제3 도전 멤버;
    상기 제1 안테나 장치가 제1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되도록 상기 슬롯 내에 전기장을 형성하는 제1 급전부; 및
    상기 제1 안테나 장치가 제2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되도록 상기 제1 급전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급전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 멤버와 상기 제3 도전 멤버가 서로 연결되는 제1 연결부로부터 상기 제1 슬릿까지 연장되는 상기 슬롯의 길이는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중심 주파수의 λ/4 또는 λ/8에 대응하는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부는 상기 제1 연결부로부터 제1 거리 만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급전 연장부는 상기 급전부로부터 제2 거리 만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거리는 상기 급전부로 인하여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중심 주파수의 임피던스가 50 옴(ohm) 내외가 되는 거리이고,
    상기 제2 거리는 상기 급전 연장부로 인하여 상기 제2 주파수 대역 중심 주파수의 임피던스가 50 옴(ohm) 내외가 되는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도전 멤버는,
    그라운드를 구비하며, 일단이 상기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는 회로기판과 연결되는 연성회로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테나 장치는,
    상기 제2 도전 멤버와 함께 상기 제2 슬릿에 연통되도록 슬롯을 형성하는 제4 도전 멤버;
    상기 제2 안테나 장치가 제3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되도록 상기 슬롯 내에 전기장을 형성하는 제2 급전부; 및
    상기 제2 안테나 장치가 제4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되도록 상기 제2 급전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급전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 멤버와 상기 제4 도전 멤버가 서로 연결되는 제2 연결부로부터 상기 제2 슬릿까지 연장되는 상기 슬롯의 길이는 상기 제3 주파수 대역 중심 주파수의 λ/4 또는 λ/8에 대응하는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도전 멤버는,
    그라운드를 구비하며, 일단이 상기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는 회로기판과 연결되는 연성회로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 장치와 제2 안테나 장치는 상기 단말기 바디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에 내장되어 외부 기기와 접속할 수 있도록 형성된 소켓이 상기 제1 도전 멤버와 제2 도전 멤버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릿과 제2 슬릿은 상기 단말기 바디의 하단를 향하여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 멤버와 함께 제1 도전 루프를 형성하는 제3 멤버;
    상기 제1 도전 루프를 급전하도록 상기 제1 도전 루프에 연결되는 제1 급전부; 및
    상기 제1 도전 루프를 접지 연결하도록 상기 제1 도전 루프에 연결되는 제1 접지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 장치가 폴디드 다이폴(Folded Dipole) 안테나로 동작하도록 상기 제1 도전 루프의 길이는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중심 주파수의 λ/2 또는 λ/4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 멤버와 함께 제2 도전 루프를 형성하는 제3 멤버;
    상기 제2 도전 루프를 급전하도록 상기 제2 도전 루프에 연결되는 제2 급전부; 및
    상기 제2 도전 루프를 접지 연결하도록 상기 제2 도전 루프에 연결되는 제2 접지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테나 장치가 폴디드 다이폴(Folded Dipole) 안테나로 동작하도록 상기 제2 도전 루프의 길이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 중심 주파수의 λ/2 또는 λ/4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장치들 중 어느 하나는 슬롯(Slot) 안테나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장치들 중 어느 하나는 폴디드 다이폴(Folded Dipole)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들을 덮도록 비도전성 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0. 단말기 바디의 외관을 형성하는 도전성 케이스; 및
    상기 바디의 어느 일측에 서로 근접하게 배치되며, 각각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장치들은 각각 일측에 슬릿이 형성되는 도전 멤버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 멤버는 상기 도전성 케이스의 일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장치들 중 어느 하나의 안테나 장치는,
    상기 슬릿에 연통되도록 상기 도전 멤버와 함께 슬롯을 형성하는 슬롯 멤버;
    상기 안테나 장치가 제1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되도록 상기 슬롯 내에 전기장을 형성하는 급전부; 및
    상기 안테나 장치가 제2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되도록 상기 급전부로부터 연장되는 급전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멤버와 슬롯 멤버가 서로 연결되는 연결부로부터 상기 슬릿까지 연장되는 상기 슬롯의 길이는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중심 주파수의 λ/4 또는 λ/8에 대응하는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 멤버는,
    그라운드를 구비하며, 일단이 상기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는 회로기판과 연결되는 연성회로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장치들 중 어느 하나의 안테나 장치는,
    상기 도전 멤버와 함께 도전 루프를 형성하는 루프 멤버;
    상기 도전 루프를 급전하도록 상기 도전 루프에 연결되는 급전부; 및
    상기 도전 루프를 접지 연결하도록 상기 도전 루프에 연결되는 접지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장치가 폴디드 다이폴(Folded Dipole) 안테나로 동작하도록 상기 도전 루프의 길이는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중심 주파수의 λ/2 또는 λ/4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들을 덮도록 비도전성 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20104152A 2012-09-19 2012-09-19 이동 단말기 KR102013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152A KR102013588B1 (ko) 2012-09-19 2012-09-19 이동 단말기
US14/010,900 US9871286B2 (en) 2012-09-19 2013-08-27 Mobile terminal
US15/346,505 US9985337B2 (en) 2012-09-19 2016-11-08 Mobile terminal
US15/860,427 US10056680B2 (en) 2012-09-19 2018-01-02 Mobile terminal
US16/033,083 US10573957B2 (en) 2012-09-19 2018-07-11 Mobile terminal
US16/752,485 US10790575B2 (en) 2012-09-19 2020-01-24 Mobile terminal
US17/004,681 US11233314B2 (en) 2012-09-19 2020-08-27 Mobile terminal
US17/557,489 US11888213B2 (en) 2012-09-19 2021-12-21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152A KR102013588B1 (ko) 2012-09-19 2012-09-19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7687A true KR20140037687A (ko) 2014-03-27
KR102013588B1 KR102013588B1 (ko) 2019-08-23

Family

ID=50273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4152A KR102013588B1 (ko) 2012-09-19 2012-09-19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7) US9871286B2 (ko)
KR (1) KR102013588B1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9263A1 (ko) * 2014-06-26 2015-12-30 (주)파트론 모바일 전자 장치
US9608314B1 (en) 2016-01-11 2017-03-2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O2017052015A1 (ko) * 2015-09-25 2017-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WO2017090997A1 (ko) * 2015-11-27 2017-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WO2017090865A1 (ko) * 2015-11-27 2017-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70084474A (ko) * 2016-01-12 2017-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Rf 케이블 연결장치 및 이를 가지는 전자 장치
KR20170098401A (ko) * 2016-02-20 2017-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7171161A1 (ko) * 2016-03-28 2017-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WO2017183801A1 (ko) * 2016-04-22 2017-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70120790A (ko) * 2016-04-22 2017-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안테나 전환 방법
KR20180060163A (ko) * 2016-11-28 2018-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8190655A1 (ko) * 2017-04-14 2018-10-18 주식회사 블루버드 모바일 단말기
KR20190047084A (ko) * 2016-09-29 2019-05-07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단말
WO2019198862A1 (ko) * 2018-04-09 2019-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0608324B2 (en) 2016-09-29 2020-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tenna
KR20200123859A (ko) * 2017-01-26 2020-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1658394B2 (en) 2016-04-22 2023-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3588B1 (ko) 2012-09-19 2019-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GB2516304A (en) * 2013-07-19 2015-01-21 Nokia Corp Apparatus and methods for wireless communication
KR102094754B1 (ko) * 2013-12-03 2020-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544698B1 (ko) * 2013-12-23 2015-08-17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내장형 안테나
US9774073B2 (en) * 2014-01-16 2017-09-26 Htc Corporation Mobile device and multi-band antenna structure therein
JP6212405B2 (ja) * 2014-02-19 2017-10-11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機
EP2940789A1 (en) * 2014-04-28 2015-11-04 King Slide Technology Co., Ltd. Communication device antenna
KR102178485B1 (ko) * 2014-08-21 2020-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3182513B1 (en) * 2014-09-03 2019-06-05 Huawei Technologies Co. Ltd. Mobile terminal with a transmission line antenna
US9864464B2 (en) * 2014-10-31 2018-01-09 Semtech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reducing radio frequency interference of proximity and touch detection in mobile devices
EP3238303B1 (en) * 2014-12-26 2019-08-14 BYD Company Limited Mobile terminal and antenna of mobile terminal
US9780452B2 (en) * 2015-01-05 2017-10-03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US10477713B2 (en) * 2015-02-04 2019-11-12 Motorola Mobility Llc Single-piece metal housing with integral antennas
CN104577334B (zh) * 2015-02-11 2017-07-21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天线模块及移动终端
KR102364415B1 (ko) * 2015-05-19 2022-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CN204720561U (zh) * 2015-05-29 2015-10-21 瑞声精密制造科技(常州)有限公司 手机天线系统
CN204732533U (zh) * 2015-07-02 2015-10-28 瑞声精密制造科技(常州)有限公司 天线模块及移动终端
CN204809377U (zh) * 2015-07-08 2015-11-25 瑞声精密制造科技(常州)有限公司 天线系统
CN204947066U (zh) * 2015-07-09 2016-01-06 瑞声精密制造科技(常州)有限公司 天线系统
CN105094231B (zh) * 2015-07-28 2019-03-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屏和便携设备
KR101689612B1 (ko) * 2015-07-30 2016-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06410375A (zh) * 2015-07-30 2017-02-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天线的带宽调试处理方法及装置
TWI599105B (zh) * 2015-07-31 2017-09-11 宏碁股份有限公司 行動通訊裝置
KR102396339B1 (ko) * 2015-08-13 2022-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306080B1 (ko) * 2015-08-13 2021-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및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9905909B2 (en) * 2015-09-29 2018-02-27 Chiun Mai Communication Systems, Inc. Antenna module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same
US10374287B2 (en) * 2015-10-26 2019-08-06 AAC Technologies Pte. Ltd. Antenna system with full metal back cover
CN105337035A (zh) * 2015-10-30 2016-02-17 东莞酷派软件技术有限公司 天线系统及移动终端
KR102476765B1 (ko) * 2015-12-15 2022-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를 구비한 전자 장치
WO2017104950A1 (ko) * 2015-12-17 2017-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케이스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조방법
KR102496124B1 (ko) * 2016-01-11 2023-02-06 삼성전자 주식회사 금속 하우징 안테나를 포함한 전자 장치
US20180115054A1 (en) * 2016-01-28 2018-04-26 AAC Technologies Pte. Ltd. Mobile device
CN107026324B (zh) * 2016-01-29 2021-01-0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天线组件及电子设备
TWI612724B (zh) * 2016-01-29 2018-01-21 泓博無線通訊技術有限公司 整合天線的模組系統
KR102429230B1 (ko) 2016-02-20 2022-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및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686482B2 (en) * 2016-02-26 2020-06-16 Intel Corporation Wi-gig signal radiation via ground plane subwavelength slit
EP3331096B1 (en) * 2016-03-18 2020-08-05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al housing, antenna device, and mobile terminal
CN105655689B (zh) * 2016-03-18 2017-11-14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天线装置和移动终端
KR101756150B1 (ko) * 2016-03-18 2017-07-11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루프타입의 방사소자를 갖는 메탈바디 안테나
CN105655705B (zh) 2016-03-18 2017-08-2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装置
CN105655706B (zh) * 2016-03-18 2018-01-1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金属终端后盖及终端
KR101756774B1 (ko) * 2016-03-23 2017-07-26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루프타입의 방사소자를 갖는 메탈바디 안테나
CN107240765B (zh) * 2016-03-29 2019-12-1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wifi天线
CN107240773A (zh) * 2016-03-29 2017-10-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金属后壳的双馈可调谐终端天线
TWI608659B (zh) * 2016-04-26 2017-12-11 泓博無線通訊技術有限公司 具有天線的整合模組
CN107275761A (zh) * 2016-04-08 2017-10-2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终端的天线
CN107275753B (zh) 2016-04-08 2020-06-1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终端的天线
KR102466002B1 (ko) * 2016-04-19 2022-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9859609B2 (en) * 2016-05-03 2018-01-02 Auden Techno Corp.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rear cover thereof
US10483622B2 (en) * 2016-07-19 2019-11-19 Chiun Mai Communication Systems, Inc. Antenna structu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same
US10340581B2 (en) * 2016-07-19 2019-07-02 Chiun Mai Communication Systems, Inc. Antenna structu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same
CN107799909B (zh) * 2016-09-01 2021-02-05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天线结构及具有该天线结构的无线通信装置
CN106972254B (zh) * 2016-09-22 2020-05-15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移动终端
KR102588428B1 (ko) 2016-10-10 2023-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103435B2 (en) * 2016-11-09 2018-10-16 Dell Products L.P.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loop impedance matching of an antenna
US10340590B2 (en) * 2016-12-07 2019-07-02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Device assembly applied to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CN106550073B (zh) * 2016-12-07 2020-10-1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应用于移动终端的设备组件及移动终端
WO2018120774A1 (en) * 2016-12-28 2018-07-05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Antenna device for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WO2018120773A1 (en) * 2016-12-28 2018-07-05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Antenna device for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CN106785432B (zh) * 2016-12-28 2023-01-3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的天线装置以及移动终端
TWI665884B (zh) * 2017-03-13 2019-07-11 宏達國際電子股份有限公司 通訊裝置及通訊方法
KR102364559B1 (ko) * 2017-03-24 2022-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236559B2 (en) * 2017-04-14 2019-03-19 Futurewei Technologies, Inc. Three-slotted antenna apparatus and method
KR102419402B1 (ko) * 2017-06-12 2022-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7453023B (zh) * 2017-06-22 2020-02-18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天线系统以及移动终端
CN107425258B (zh) * 2017-06-22 2020-02-18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天线系统及移动终端
CN107453056B (zh) * 2017-06-22 2020-08-21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天线系统以及通讯设备
KR20190005030A (ko) * 2017-07-05 2019-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장치
CN107403996B (zh) * 2017-07-07 2020-12-29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金属边框多耦合终端天线以及移动终端设备
US10886607B2 (en) 2017-07-21 2021-01-05 Apple Inc. 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antenna structures
US10700416B2 (en) * 2017-08-30 2020-06-3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10367570B2 (en) 2017-09-11 2019-07-30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having printed circuits for antennas
CN107681255B (zh) * 2017-09-22 2021-09-03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天线及无线通信设备
WO2019068331A1 (en) * 2017-10-05 2019-04-11 Huawei Technologies Co., Ltd. ANTENNA SYSTEM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U2017435282B2 (en) * 2017-10-09 2021-07-01 Huawei Technologies Co., Ltd. Antenna apparatus and terminal
CN108054491B (zh) * 2017-10-13 2020-02-18 瑞声科技(南京)有限公司 天线系统及移动终端
CN107948349B (zh) 2017-11-10 2019-12-0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金属基材、中框组件及电子设备
CN109802236B (zh) * 2017-11-17 2021-07-20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天线结构及具有该天线结构的无线通信装置
US10826177B2 (en) * 2018-02-27 2020-11-03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having phased antenna arrays for performing proximity detection operations
CN114843769A (zh) 2018-03-20 2022-08-02 华为技术有限公司 天线扩展器以及使用天线扩展器的电子设备
US10879585B2 (en) * 2018-04-09 2020-12-2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CN108288747B (zh) * 2018-04-24 2020-06-05 瑞声精密制造科技(常州)有限公司 天线系统及移动终端
BR112020023108A2 (pt) * 2018-05-15 2021-02-02 Huawei Technologies Co., Ltd. sistema de antena e dispositivo terminal
CN110556620B (zh) * 2018-06-01 2021-07-09 华为技术有限公司 天线及移动终端
US11205834B2 (en) * 2018-06-26 2021-12-21 Apple Inc. Electronic device antennas having switchable feed terminals
CN110739534B (zh) * 2018-07-19 2021-08-06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天线装置及其控制方法
CN108987944B (zh) * 2018-07-24 2021-04-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终端设备
CN108987945B (zh) * 2018-07-24 2020-08-0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终端设备
CN109066056B (zh) * 2018-08-01 2021-02-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天线组件以及电子设备
CN109149086B (zh) * 2018-08-03 2020-07-07 瑞声科技(南京)有限公司 天线系统及移动终端
CN109193120B (zh) * 2018-08-07 2021-02-23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天线系统及移动终端
KR102556813B1 (ko) 2018-10-16 2023-07-18 삼성전자 주식회사 단일 절연성 부분을 이용한 안테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9509962B (zh) * 2018-11-19 2023-10-20 惠州硕贝德无线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5g手机终端的双频mimo天线结构
KR102561241B1 (ko) * 2018-11-23 2023-07-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측면을 향하는 안테나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장치
CN110011025B (zh) * 2018-12-29 2021-03-26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一种天线系统及移动终端
KR102614045B1 (ko) * 2019-01-25 2023-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819029B2 (en) * 2019-02-08 2020-10-27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frequency ultra-wideband antennas
KR102607569B1 (ko) * 2019-02-19 2023-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886619B2 (en) 2019-02-28 2021-01-05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dielectric resonator antennas
CN109888477B (zh) * 2019-03-01 2023-12-19 深圳市信维通信股份有限公司 应用于5g通信的双频双极化mimo天线系统及移动终端
KR20210015563A (ko) 2019-08-02 2021-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Fpcb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017066A (ko) 2019-08-06 2021-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5395208A (zh) * 2019-08-22 2022-11-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天线组件和具有卷曲屏的电子设备
CN112635971B (zh) * 2019-09-24 2022-12-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天线和移动终端
CN210245722U (zh) * 2019-10-29 2020-04-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天线组件及无线终端
CN112864583B (zh) * 2019-11-28 2023-07-18 华为技术有限公司 天线装置及电子设备
CN111225090B (zh) * 2020-01-17 2022-03-01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音频组件及其终端
CN113161721B (zh) * 2020-01-22 2023-11-28 华为技术有限公司 天线装置及电子设备
EP4050731A4 (en) 2020-03-19 2023-11-01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WITH ANTENNA
CN111430940B (zh) * 2020-04-23 2021-09-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天线结构及电子设备
CN113839181A (zh) * 2020-06-23 2021-12-2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天线模组和终端设备
CN113922081A (zh) * 2020-07-08 2022-01-1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
US20220085488A1 (en) * 2020-09-11 2022-03-17 Apple Inc. Wireless Devices Having Co-Existing Antenna Structures
CN112531340A (zh) * 2020-12-10 2021-03-1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CN115134440A (zh) * 2021-03-26 2022-09-3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中框和终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3596A (ko) * 2007-10-01 2009-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대역 내장형 안테나
KR20100032681A (ko) * 2008-09-18 2010-03-26 삼성전기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용 다중 대역 안테나
KR20120097877A (ko) * 2011-02-25 2012-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54461B2 (en) * 2009-07-30 2012-04-10 San Wen (H.K.) International Co., Ltd. Multi-directional panel antenna
KR101781451B1 (ko) 2010-11-01 2017-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US8872706B2 (en) 2010-11-05 2014-10-28 Apple Inc. Antenna system with receiver diversity and tunable matching circuit
US8791864B2 (en) * 2011-01-11 2014-07-29 Apple Inc. Antenna structures with electrical connections to device housing members
US8648752B2 (en) * 2011-02-11 2014-02-11 Pulse Finland Oy Chassis-excited antenna apparatus and methods
KR101240273B1 (ko) * 2011-06-01 2013-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9160058B2 (en) * 2011-11-28 2015-10-13 Htc Corporatio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8836587B2 (en) * 2012-03-30 2014-09-16 Apple Inc. Antenna having flexible feed structure with components
EP3525285B1 (en) * 2012-06-21 2021-05-12 LG Electronics Inc. Antenna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US9819071B2 (en) * 2012-08-20 2017-11-14 Nokia Technologies Oy Antenna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2013588B1 (ko) 2012-09-19 2019-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9287612B2 (en) * 2012-11-16 2016-03-15 Sony Mobile Communications Ab Transparent antennas for wireless terminals
KR102162738B1 (ko) 2014-01-06 2020-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KR101573598B1 (ko) 2014-02-20 2015-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3596A (ko) * 2007-10-01 2009-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대역 내장형 안테나
KR20100032681A (ko) * 2008-09-18 2010-03-26 삼성전기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용 다중 대역 안테나
KR20120097877A (ko) * 2011-02-25 2012-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ited B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9263A1 (ko) * 2014-06-26 2015-12-30 (주)파트론 모바일 전자 장치
KR20160001049A (ko) * 2014-06-26 2016-01-06 (주)파트론 모바일 전자 장치
US10665926B2 (en) 2015-09-25 2020-05-2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O2017052015A1 (ko) * 2015-09-25 2017-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WO2017090997A1 (ko) * 2015-11-27 2017-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WO2017090865A1 (ko) * 2015-11-27 2017-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1509040B2 (en) 2015-11-27 2022-11-2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11189929B2 (en) 2015-11-27 2021-11-3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11043734B2 (en) 2015-11-27 2021-06-2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11600905B2 (en) 2015-11-27 2023-03-0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10553931B2 (en) 2015-11-27 2020-02-04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10498038B2 (en) 2015-11-27 2019-12-0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10205225B2 (en) 2015-11-27 2019-02-1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10164323B2 (en) 2016-01-11 2018-12-2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9608314B1 (en) 2016-01-11 2017-03-2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O2017122877A1 (ko) * 2016-01-11 2017-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70084474A (ko) * 2016-01-12 2017-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Rf 케이블 연결장치 및 이를 가지는 전자 장치
WO2017122907A1 (ko) * 2016-01-12 2017-07-20 삼성전자 주식회사 Rf 케이블 연결장치 및 이를 가지는 전자 장치
US10616995B2 (en) 2016-01-12 2020-04-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RF cable connect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KR20170098401A (ko) * 2016-02-20 2017-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7171161A1 (ko) * 2016-03-28 2017-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0587737B2 (en) 2016-03-28 2020-03-1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11658394B2 (en) 2016-04-22 2023-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KR20170120790A (ko) * 2016-04-22 2017-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안테나 전환 방법
WO2017183801A1 (ko) * 2016-04-22 2017-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1114746B2 (en) 2016-09-29 2021-09-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Terminal
US10608324B2 (en) 2016-09-29 2020-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tenna
KR20190047084A (ko) * 2016-09-29 2019-05-07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단말
KR20180060163A (ko) * 2016-11-28 2018-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123859A (ko) * 2017-01-26 2020-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WO2018190655A1 (ko) * 2017-04-14 2018-10-18 주식회사 블루버드 모바일 단말기
KR20180115949A (ko) * 2017-04-14 2018-10-24 (주)블루버드 모바일 단말기
US10700417B1 (en) 2018-04-09 2020-06-3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O2019198862A1 (ko) * 2018-04-09 2019-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88213B2 (en) 2024-01-30
US10573957B2 (en) 2020-02-25
US20140078008A1 (en) 2014-03-20
US20200161747A1 (en) 2020-05-21
US9985337B2 (en) 2018-05-29
US20170054200A1 (en) 2017-02-23
US10790575B2 (en) 2020-09-29
US9871286B2 (en) 2018-01-16
US10056680B2 (en) 2018-08-21
US20180131077A1 (en) 2018-05-10
KR102013588B1 (ko) 2019-08-23
US11233314B2 (en) 2022-01-25
US20200395654A1 (en) 2020-12-17
US20220115771A1 (en) 2022-04-14
US20180323497A1 (en) 2018-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8213B2 (en) Mobile terminal
US9627743B2 (en) Antenna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2025661B1 (ko)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101977078B1 (ko) 이동 단말기
KR101977082B1 (ko) 이동 단말기
KR101708311B1 (ko)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58948B1 (ko)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20327B1 (ko) 이동 단말기
KR101990041B1 (ko) 안테나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8549B1 (ko) 이동 단말기
KR101995488B1 (ko)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101955981B1 (ko) 안테나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20130135646A (ko)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101984099B1 (ko) 안테나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