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7522A -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7522A
KR20140037522A KR1020120103774A KR20120103774A KR20140037522A KR 20140037522 A KR20140037522 A KR 20140037522A KR 1020120103774 A KR1020120103774 A KR 1020120103774A KR 20120103774 A KR20120103774 A KR 20120103774A KR 20140037522 A KR20140037522 A KR 20140037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port
suction
chamb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3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칼라카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칼라카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칼라카나
Priority to KR1020120103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7522A/ko
Publication of KR20140037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75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6Dust remov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18Impermeable dust collecting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인실에 배치된 송풍기의 흡입력를 이용하여 청소기 본체 외부에 존재하는 청소대상물을 집진실에 축적시키고 상기 송풍기의 토출력을 이용하여 청소기의 집진실에 축적된 청소대상물을 청소기 본체 밖으로 방출시킴으로써, 종래와 같이 본체 외부에 존재하는 청소대상물을 집진실에 축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집진실에 축적된 청소대상물을 송풍기의 구동원에 의해 본체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가 혐오물을 손으로 만지는 것을 배제시킴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위생적으로 그리고 편리하게 집진실에 축적된 청소대상물을 버리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청소기 내에 포집된 먼치를 외부로 방출할 수 있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진공 청소기에서는 본체의 하류부에, 전동송풍기를 내장한 흡인실이 배치되고, 상류부에 먼지 등의 고형물을 분리 포집하는 집진실이 배치되고, 그리고 호스의 일단에 마련된 접속파이프가 탈착 자재로 접속된 흡입구가 상기 본체의 상류단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호스의 타단에는 청소시에 파지부를 구비한 선단 파이프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선단 파이프에는 연장관의 일단이 탈착 자재로 접속되고, 상기 연장관의 타단에는 청소기 외측 바닥의 먼지 등의 고형물을 흡인하기 위한 흡입 덕트구가 탈착 자재로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진공 청소기는 일정 시간 사용되면, 집진실에 고형물이 축적되어, 집진실에 음압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아 집진효율이 낮아지게 된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사이클론 타입의 청소기인 경우에 집진실에 축적된 고형물을 수동으로 빼내거나 필터타입의 청소기인 경우에 필터를 교환하는 작업을 하게 된다.
이러한 작업은 사용자로 하여금 혐오물을 손으로 만지게 하여 매우 불편하고 성가신 작업으로서 취급되고 있다는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특히, 필터타입의 청소기에 있어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송풍기의 구동원에 의해 필터를 진동 또는 타격하여 필터에 붙어 있는 고형물을 집진실 내에 털어 내거나 흡인실로 유입된 여과된 기류를 선택적으로 역류시켜 필터에 붙어 있는 고형물을 집진실 내에 털어 내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안은 여전히 집진실 내에 일정 양의 고형물이 쌓이게 되면,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고형물을 상기 집진실 내에서 배출시키는 수동작업을 요구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먼지 등과 같은 혐오물을 손으로 만지게 하여, 매우 불편하고 성가신 작업으로서 여전히 취급되고 있다는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과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흡인실에 배치된 송풍기의 흡입력를 이용하여 청소기 본체 외부에 존재하는 청소대상물을 집진실에 축적시키고 상기 송풍기의 토출력을 이용하여 청소기의 집진실에 축적된 청소대상물을 청소기 본체 밖으로 방출시킴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해, 종래와 같이 본체 외부에 존재하는 청소대상물을 집진실에 축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집진실에 축적된 청소대상물을 송풍기의 구동원에 의해 본체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가 혐오물을 손으로 만지는 것을 배제시킴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위생적으로 그리고 편리하게 집진실에 축적된 청소대상물을 버리게 할 수 있다.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 본체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진공 청소기의 전체 외형도,
도 3은 도 1의 필터에 대한 상세도,
도 4는 도 1의 진공 청소기에 접속되는 포집부를 도시한 도면,
도 5은 도 4의 포집부에 대한 변경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는 제2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 본체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필터에 대한 상세도,
도 8은 제3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 본체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의 필터에 대한 상세도,
도 10은 제4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 본체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0의 필터에 대한 상세도,
도 12는 제5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 본체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12의 진공 청소기를 필터청소시에 도시한 도면,
도 14는 제6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 본체를 도시한 도면,
도 15은 도 14의 진공 청소기를 필터청소시에 도시한 도면,
도 16은 제6실시예의 변경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 본체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도 16의 진공 청소기를 필터청소시에 도시한 도면,
도 18은 제7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와 포집부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도 18의 포집부에 대한 변경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제8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 본체를 도시한 도면,
도 21 내지 25는 제8실시예의 다른 일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 26은 제9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 본체를 도시한 도면,
도 27은 도 26의 진공 청소기의 전체 외형도,
도 28은 제9실시예의 변경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 본체를 도시한 도면,
도 29는 제10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 본체를 도시한 도면,
도 30은 도 29의 진공 청소기의 전체 외형도,
도 31은 도 29의 절단기에 대한 상세도,
도 32는 제11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 본체를 도시한 정면도,
도 33은 도 32의 본체를 위에서 본 단면도,
도 34는 도 33의 진공 청소기 본체를 필터청소시에 도시한 도면, 및
도 35는 도 33의 진공 청소기 본체를 도시한 측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의 진공 청소기가 도 1 내지 도 3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필터타입의 진공 청소기가 도 1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터타입의 진공 청소기가 부호 100-1으로서 지시되어 있다.
상기 진공 청소기(100-1)는, 칸막이 벽부(11)에 의해 내부에 집진실(12)과 흡인실(13)이 구획 형성된 본체(10), 상기 집진실(12)의 상류단에 구비된 흡입구(15), 상기 흡인실(13)의 하류단에 마련된 토출구(16), 상기 흡인실(13) 내에 마련되어 토출측이 토출유로(21)를 경유하여 상기 토출구(16)에 접속된 송풍기(20), 상기 집진실(12)에 방사 바깥방향으로 이격 공간을 둔 상태에서 마련되어 흡입된 공기 중에 청소대상물인 고형물을 포집하는 필터(50), 상기 흡인실(13)과 상기 집진실(12)을 서로 유통시키기 위해 상기 칸막이 벽부(11)에 구비된 유통구(14), 상기 흡인실(13)의 토출유로(21)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집진실(12)에 접속되어 있는 바이패스유로(22)를 포함하고 있다.
종래와 같이, 상기 흡입구(15)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2)의 일단에 마련된 접속파이프(3)가 탈착자재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호스(2)의 타단에는 바닥 청소시에 파지부를 구비한 선단파이프(4)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선단 파이프(4)에는 연장관(5)의 일단이 탈착자재로 접속되고, 상기 연장관(5)의 타단에는 청소기 외측 바닥의 고형물을 흡인하기 위한 흡입 덕트구(6)가 탈착자재로 마련되어 있다.
상기 필터(5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빈 절두원추형으로 되어 있고, 상기 필터(50)의 소직경부(51)는 개구되어서 상기 흡입구(15)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50)의 대직경부(52)는 막힌 상태에서 상기 칸막이 벽부(1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토출유로(21)의 하류단에는 밸브(V1)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바이패스유로(22)의 도중에는 밸브(V2)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송풍기(20)의 흡입측에 인접한 흡인실(13)의 본체 부위에는 제2흡입구(17)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제2흡입구(17)에는 상기 흡인실(13)을 선택적으로 외부와 유통가능하게 하는 밸브(V3)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통구(14)에는 제2의 필터(60) 또는 밸브(V4)가 개재되어 있다.
상기 필터(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끄러운 소재(예를 들면 우레탄 소재)의 제1메시층(53)과 상기 제1메시층(53)보다 조밀하고 매끄럽지 않은 소재(예를 들면 면 소재)의 제2메시층(54)이 적층되어 만들어진 것으며, 그리고 상기 필터(50)의 외주면에는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필터(50)의 길이방향으로 뻗은 복수개의 날개부(5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이패스유로(22)의 하류단은 상기 복수개의 날개부(55)의 어느 하나의 날개부를 상기 필터(50)의 둘레방향 일측에 마주하게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하류단에서 배출되는 기류에 의해 상기 필터(50)가 용이하게 둘레방향 타측으로 회전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바이패스유로(22)의 하류단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날개부의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헤더관(22a)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헤더관(22a)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날개부와 마주하게 길다란 슬롯구멍(22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롯구멍(22b)은 상기 슬롯구멍(22b)을 통하여 배출되는 기류로 하여금 상기 어느 하나의 날개부의 전장을 가압하여 균형적으로 상기 필터(50)가 회전할 수 있게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진공 청소기(100-1)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1. 유통구(14)에 제2필터(60)가 개재된 상태에서 청소기 외측 바닥을 청소하는 경우
청소기 외측 바닥 청소시에는, 밸브(V2, V3)를 닫고 밸브(V1)를 개방한 상태에서 송풍기(20)를 가동하면, 상기 흡입 덕트구(6) 밖의 공기와 고형물이, 흡입 덕트구(6), 연장관(5), 선단파이프(4), 호스(2), 접속파이프(3) 및 흡입구(1)를 경유하여 필터(50)내로 유입되게 되고, 상기 유입된 고형물은 상기 필터(50)를 관통하지 못하고 상기 필터(50) 내에 포집되어 쌓이게 되고 상기 필터(5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제2필터(60)에 의해 상기 공기 중에 함유된 미세 고형 입자들이 여과처리된 다음, 상기 제2필터(60)를 관통하여 상기 흡인실(13)과 상기 토출유로(21)를 경유하여 상기 본체(10) 밖으로 배출된다.
2. 유통구(14)에 제2필터(60)가 개재된 상태에서 필터(50)를 청소하면서 필터(50) 내의 고형물을 본체 밖으로 방출하는 경우
필터(50) 청소시에는, 밸브(V1)를 닫고 밸브(V2, V3)를 개방한 상태에서 송풍기(20)를 가동하면, 외기가 상기 밸브(V3)를 경유하여 토출유로(21) 및 바이패스유로(22)를 통하여 상기 집진실(12) 내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집진실(12)의 공기는, 상기 밸브(V3)를 통하여 유입되는 외기보다도 상기 제2필터(60)에 의해 더 부하를 받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2필터(60)를 통하여 상기 흡인실(13) 내로 유입되는 것이 억제된다.
상기 바이패스유로(22)를 경유하여 상기 집진실(12)내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필터(50)를 관통하면서 상기 필터(50)의 복수개의 날개부(55)를 가압하여 상기 필터(5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필터(50)가 회전하면서, 상기 공기가 상기 필터(50)를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하게 되면, 상기 필터(50) 내면에 붙어 있는 고형물이 상기 필터(50)의 내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게 되고, 상기 필터(50)의 내부에 유입된 공기는 상기 분리된 고형물을 상기 흡입구(15) 밖으로 배출시킨다.
상기 필터(50)의 청소시에 상기 흡입구(15)에서 접속파이프(3)를 빼어내고 일단이 포집부(70)에 일단이 접속되어 있는 포집관(71)의 타단을 상기 흡입구(14)에 접속시키면, 사용자가 고형물을 손에 접촉함 없이 용이하게 상기 본체(10)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포집부(7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집관(71)을 통하여 고형물과 함께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포집부(70)로부터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해 일부 벽면에 필터(7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포집관(71) 도중에는 체크밸브(75)가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체크밸브(75)는 집진실(12) 내의 먼지가 상기 포집부(70)에 토출될 때 토출압에 의해 개방되고 상기 토출압이 해제되면 닫힘상태가 되는 공지된 밸브이다. 이와 같은 포집부(70)는 공지된 포집포대가 될 수 있다.
상기 포집부(70)는 다른 일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담겨진 통이며, 상기 필터(50)의 청소시에 상기 흡입구(15)에 접속될 수 있게 상단에 구비되고 도중에 상기 체크밸브(75)가 개재된 포집관(71), 상기 포집관(71)을 통하여 고형물과 함께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포집부(70)로부터 외부로 방출될 수 있게 천정에 형성된 개구(73)에 구비된 필터(72), 상기 포집관(71)을 통하여 고형물과 함께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개구(73)로 빠져 나갈때 고형물이 상기 물의 수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내부에 형성된 지그재그 유로부(7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포집부(70)가 집합주택에 적용된 경우에는, 본 발명자에 의해 특허출원되어 계류중인 한국특허출원 제10-2012-0055610호에 제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집관(71)의 일단이 분기관으로 되어 있고, 그 분기관의 선단이 각 가정의 실내에 유통하고 있고, 상기 포집관(71)의 타단이 집합주택의 지면으로 뻗어서 상기 포집부(70)의 본체에 접속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집합주택에 거주하는 거주자들이 청소기에 의해 포집된 고형물을 용이하게 그리고 청결하게 실외로 버릴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3. 유통구(14)에 밸브(V4)가 개재된 상태에서 청소기 외측 바닥을 청소하는 경우
청소기 외측 바닥 청소시에는, 밸브(V2, V3)를 닫고 밸브(V1, V4)를 개방한 상태에서 송풍기(20)를 가동하면, 상기 흡입 덕트구(6) 밖의 공기와 고형물이, 흡입 덕트구(6), 연장관(5), 선단파이프(4), 호스(2), 접속파이프(3) 및 흡입구(15)를 경유하여 필터(50)내로 유입되게 되고, 상기 유입된 고형물은 상기 필터(50)를 관통하지 못하고 상기 필터(50) 내에 쌓이게 되고 상기 필터(5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밸브(V4)를 관통하여 상기 흡인실(13)과 상기 토출유로(21)를 경유하여 상기 본체(10) 밖으로 배출된다.
4. 유통구(14)에 밸브(V4)가 개재된 상태에서 필터(50)를 청소하면서 필터(50) 내의 고형물을 본체 밖으로 방출하는 경우
필터(50) 청소시에는, 밸브(V1, V4)를 닫고 밸브(V2, V3)를 개방한 상태에서 송풍기(20)를 가동하면, 외기가 상기 밸브(V3)를 경유하여 토출유로(21) 및 바이패스유로(22)를 통하여 상기 집진실(12) 내로 유입된다.
상기 바이패스유로(22)를 경유하여 상기 집진실(12)내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필터(50)를 관통하면서 상기 필터(50)의 복수개의 날개부(55)를 가압하여 상기 필터(5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필터(50)가 회전하면서, 상기 공기가 상기 필터(50)를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하게 되면, 상기 필터(50) 내면에 붙어 있는 고형물이 상기 필터(50)의 내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게 되고, 상기 필터(50)의 내부에 유입된 공기는 상기 분리된 고형물을 상기 흡입구(15) 밖으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필터(50)의 청소시에 상기 흡입구(1)에서 접속파이프(3)를 빼어내고 일단이 포집부(70)에 일단이 접속되어 있는 포집관(71)의 타단을 상기 흡입구(1)에 접속시키면, 사용자가 고형물을 손에 접촉함 없이 용이하게 상기 본체(10)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진공 청소기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 진공 청소기가 부호 100-2으로서 지시되어 있다.
상기 진공 청소기(100-2)는, 칸막이 벽부(11)에 의해 내부에 집진실(12)과 흡인실(13)이 구획 형성된 본체(10), 상기 집진실(12)의 상류단에 구비된 흡입구(15), 상기 흡인실(13)의 하류단에 마련된 토출구(16), 상기 흡인실(13) 내에 마련되어 토출측이 토출유로(21)를 경유하여 상기 토출구(16)에 접속된 송풍기(20), 상기 집진실(12)에 방사 바깥방향으로 이격 공간을 둔 상태에서 마련되어 흡입된 공기 중에 청소대상물인 고형물을 분리 포집하는 필터(50), 상기 흡인실(13)과 상기 집진실(12)을 서로 유통시키기 위해 상기 칸막이 벽부(11)에 구비된 유통구(14), 상기 흡인실(13)의 토출유로(21)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집진실(12)에 접속되어 있는 바이패스유로(22)를 포함하고 있다.
종래와 같이, 상기 흡입구(15)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2)의 일단에 마련된 접속파이프(3)가 탈착자재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필터(5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빈 절두원추형으로 되어 있고, 상기 필터(50)의 대직경부(52)는 상기 흡입구(15)와 유통하는 입구(56)가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50)의 소직경부(51)는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칸막이 벽부(11)에 형성된 출구(18)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토출유로(21)의 하류단에는 밸브(V1)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바이패스유로(22)의 도중에는 밸브(V2)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송풍기(20)의 흡입측에 인접한 본체 부위에는 제2흡입구(17)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제2흡입구(17)에는 상기 흡인실(13)을 선택적으로 외부와 유통가능하게 하는 밸브(V3)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통구(14)에는 제2의 필터(60) 또는 밸브(V4)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출구(18)에는 밸브(V5)가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구(15)에는 밸브(V6)가 개재되어 있다.
상기 출구(18)는 일단이 상기 본체(10)의 외부와 유통하는 고형물방출관(80)의 타단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필터(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끄러운 소재(예를 들면 우레탄 소재)의 제1메시층(53)과 상기 제1메시층(53)보다 조밀하고 매끄럽지 않은 소재(예를 들면 면 소재)의 제2메시층(54)이 적층되어 만들어져 있으며, 그리고 상기 필터(50)의 외주면에는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필터(50)의 길이방향으로 뻗은 복수개의 날개부(5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이패스유로(22)의 하류단은 상기 복수개의 날개부(55)의 어느 하나의 날개부를 상기 필터(50)의 둘레방향 일측에 마주하게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하류단에서 배출되는 기류에 의해 상기 필터(50)가 용이하게 둘레방향 타측으로 회전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바이패스유로(22)의 하류단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날개부의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헤더관(22a)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헤더관(22a)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날개부와 마주하게 길다란 슬롯구멍(22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롯구멍(22b)은 상기 슬롯구멍(22b)을 통하여 배출되는 기류로 하여금 상기 어느 하나의 날개부의 전장을 가압하여 균형적으로 상기 필터(50)가 회전할 수 있게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진공 청소기(100-2)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1. 유통구(14)에 제2필터(60)가 개재된 상태에서 청소기 외측 바닥을 청소하는 경우
청소기 외측 바닥 청소시에는, 밸브(V2, V3, V5)를 닫고 밸브(V1, V6)를 개방한 상태에서 송풍기(20)를 가동하면, 상기 흡입 덕트구(6) 밖의 공기와 고형물이, 흡입구(15)를 경유하여 필터(50)내로 유입되게 되고, 상기 유입된 고형물은 상기 필터(50)를 관통하지 못하고 상기 필터(50) 내에 쌓이게 되고 상기 필터(5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제2필터(60)에 의해 상기 공기 중에 함유된 미세 고형 입자들이 여과된 다음, 상기 제2필터(60)를 관통하여 상기 흡인실(13)과 상기 토출유로(21)를 경유하여 상기 본체(10) 밖으로 배출된다.
2. 유통구(14)에 제2필터(60)가 개재된 상태에서 필터(50)를 청소하면서 필터(50) 내의 고형물을 본체 밖으로 방출하는 경우
필터(50) 청소시에는, 밸브(V1, V6)를 닫고 밸브(V2, V3, V5)를 개방한 상태에서 송풍기(20)를 가동하면, 외기가 상기 밸브(V3)를 경유하여 토출유로(21) 및 바이패스유로(22)를 통하여 상기 집진실(12) 내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집진실(12)의 공기는, 상기 밸브(V3)를 통하여 유입되는 외기보다도 상기 제2필터(60)에 의해 더 부하를 받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2필터(60)를 통하여 상기 흡인실(13) 내로 유입되는 것이 억제된다.
상기 바이패스유로(22)를 경유하여 상기 집진실(12)내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필터(50)를 관통하면서 상기 필터(50)의 복수개의 날개부(55)를 가압하여 상기 필터(5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필터(50)가 회전하면서, 상기 공기가 상기 필터(50)를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하게 되면, 상기 필터(50) 내면에 붙어 있는 고형물이 상기 필터(50)의 내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게 되고, 상기 필터(50)의 내부에 유입된 공기는 상기 분리된 고형물을 상기 고형물 방출관(80) 밖으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필터(50)의 청소시에 일단이 포집부(70)에 일단이 접속되어 있는 포집관(71)의 타단을 상기 고형물 방출관(80)에 접속시키면, 사용자가 고형물을 손에 접촉함 없이 용이하게 상기 본체(10)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3. 유통구(14)에 밸브(V4)가 개재된 상태에서 청소기 외측 바닥을 청소하는 경우
청소기 외측 바닥 청소시에는, 밸브(V2, V3, V5)를 닫고 밸브(V1, V4, V6)를 개방한 상태에서 송풍기(20)를 가동하면, 상기 흡입 덕트구(6) 밖의 공기와 고형물이 흡입구(15)를 경유하여 필터(50)내로 유입되게 되고, 상기 유입된 고형물은 상기 필터(50)를 관통하지 못하고 상기 필터(50) 내에 쌓이게 되고 상기 필터(5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밸브(V4)를 관통하여 상기 흡인실(13)과 상기 토출유로(21)를 경유하여 상기 본체(10) 밖으로 배출된다.
4. 유통구(14)에 밸브(V4)가 개재된 상태에서 필터(50)를 청소하면서 필터(50) 내의 고형물을 본체 밖으로 방출하는 경우
필터(50) 청소시에는, 밸브(V1, V4, V6)를 닫고 밸브(V2, V3, V5)를 개방한 상태에서 송풍기(20)를 가동하면, 외기가 상기 밸브(V3)를 경유하여 토출유로(21) 및 바이패스유로(22)를 통하여 상기 집진실(12) 내로 유입된다.
상기 바이패스유로(22)를 경유하여 상기 집진실(12)내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필터(50)를 관통하면서 상기 필터(50)의 복수개의 날개부(55)를 가압하여 상기 필터(5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필터(50)가 회전하면서, 상기 공기가 상기 필터(50)를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하게 되면, 상기 필터(50) 내면에 붙어 있는 고형물이 상기 필터(50)의 내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게 되고, 상기 필터(50)의 내부에 유입된 공기는 상기 분리된 고형물을 상기 고형물방출관(80) 밖으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필터(50)의 청소시에 일단이 포집부(70)에 일단이 접속되어 있는 포집관(71)의 타단을 상기 고형물 방출관(80)에 접속시키면, 사용자가 고형물을 손에 접촉함 없이 용이하게 상기 본체(10)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제2실시예에서 상기 밸브(V6)는 접속파이프(3)가 상기 흡입구(15)에 삽입되면 위로 선회운동하여 개방자세에 위치될 수 있는 힌지 타입의 밸브가 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밸브(V5)는 상기 포집관(71)이 상기 고형물방출관(80)에 삽입되면 위로 선회운동하여 개방자세에 위치될 수 있는 힌지 타입의 밸브가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진공 청소기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가 부호 100-3으로서 지시되어 있다.
상기 진공 청소기(100-3)는, 칸막이 벽부(11)에 의해 내부에 집진실(12)과 흡인실(13)이 구획 형성된 본체(10), 상기 집진실(12)의 상류단에 구비된 흡입구(15), 상기 흡인실(13)의 하류단에 마련된 토출구(16), 상기 흡인실(13) 내에 마련되어 토출측이 토출유로(21)를 경유하여 상기 토출구(16)에 접속된 송풍기(20), 상기 집진실(12)에 방사 바깥방향으로 이격 공간을 둔 상태에서 마련되어 흡입된 공기 중에 청소대상물인 고형물을 분리 포집하는 필터(50), 상기 흡인실(13)과 상기 집진실(12)을 서로 유통시키기 위해 상기 칸막이 벽부(11)에 구비된 유통구(14), 상기 흡인실(13)의 토출유로(21)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집진실(12)에 접속되어 있는 바이패스유로(22)를 포함하고 있다.
종래와 같이, 상기 흡입구(15)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2)의 일단에 마련된 접속파이프(3)가 탈착자재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필터(5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에 세척가능한 소재(예를 들면 헤파필터소재)로 되어 있으며, 제1실시예에 같이, 내부가 빈 절두원추형으로 되어 있고, 상기 필터(50)의 소직경부(51)는 개구되어서 상기 흡입구(15)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필터(50)의 외주면에는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필터(50)의 길이방향으로 뻗은 복수개의 날개부(5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필터(50)의 대직경부(52)는 막힌 상태에서 상기 칸막이 벽부(1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토출유로(21)의 하류단에는 밸브(V1)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바이패스유로(22)의 도중에는 밸브(V2)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송풍기(20)의 흡입측에 인접한 흡인실(13)의 본체 부위에는 제2흡입구(17)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제2흡입구(17)에는 상기 흡인실(13)을 선택적으로 외부와 유통가능하게 하는 밸브(V3)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통구(14)에는 밸브(V4)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흡입구(15)에는 밸브(V6)가 개재되어 있다.
상기 바이패스유로(22)의 하류단은 상기 복수개의 날개부(55)의 어느 하나의 날개부를 상기 필터(50)의 둘레방향 일측에 마주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바이패스유로(22)의 하류단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날개부의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헤더관(22a)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헤더관(22a)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날개부와 마주하게 길다란 슬롯구멍(22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필터(50)의 대직경부(52)의 중심에는 회전축(24)의 일단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24)의 타단은 상기 칸막이 벽부(11)를 관통하여 상기 흡인실(13) 내로 뻗어 있다.
상기 회전축(24)의 타단은 일단이 전자클러치(C1)를 개재하여 날개부(28)의 회전축(27)에 결합된 상기 송풍기(20)의 모터(M) 또는 원동기의 출력축(23)의 타단에 전자클러치(C2)를 개재하여 결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진공 청소기(100-3)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1. 청소기 외측 바닥을 청소하는 경우
청소기 외측 바닥 청소시에는, 밸브(V2, V3)를 닫고 밸브(V1, V4, V6)를 개방한 상태에서 전자클러치(C1)를 온 시켜서 송풍기(20)를 가동하면 날개부(28)가 회전하게 되어 흡인실(13)이 음압상태가 되어서, 상기 흡입 덕트구(6) 밖의 공기와 고형물이, 흡입구(15)를 경유하여 필터(50)내 로 유입되게 되고, 상기 유입된 고형물은 상기 필터(50)를 관통하지 못하고 상기 필터(50) 내에 쌓이게 되고 상기 필터(5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밸브(V4)를 관통하여 상기 흡인실(13)과 상기 토출유로(21)를 경유하여 상기 본체(10) 밖으로 배출된다.
2. 필터(50)를 청소하면서 필터(50) 내의 고형물을 본체 밖으로 방출하는 경우
필터(50)의 청소시에는, 밸브(V1, V4)를 닫고 밸브(V2, V3, V6)를 개방한 상태에서 전자클러치(C1)를 온 시켜서 송풍기(20)를 가동하면 날개부(28)가 회전하게 되어, 외기가 상기 밸브(V3)를 경유하여 토출유로(21) 및 바이패스유로(22)를 통하여 상기 집진실(12) 내로 유입된다.
상기 바이패스유로(22)를 경유하여 상기 집진실(12)내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필터(50)를 관통하면서 상기 필터(50)의 복수개의 날개부(55)를 가압하여 상기 필터(5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필터(50)가 회전하면서, 상기 공기가 상기 필터(50)를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하게 되면, 상기 필터(50) 내면에 붙어 있는 고형물이 상기 필터(50)의 내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게 되고, 상기 필터(50)의 내부에 유입된 공기는 상기 분리된 고형물을 상기 흡입구(1) 밖으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필터(50)의 청소시에 상기 흡입구(1)에서 접속파이프(3)를 빼어내고 일단이 포집부(70)에 일단이 접속되어 있는 포집관(71)의 타단을 상기 흡입구(1)에 접속시키면, 사용자가 고형물을 손에 접촉함 없이 용이하게 상기 본체(10)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3. 필터(50)를 물빨래하는 경우
필터(50)의 물빨래시에는 밸브(V2, V4)를 닫고, 밸브(V6)을 개방한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급수원에 일단이 접속된 관형부를 상기 흡입구(15)에 삽입하여 상기 집진실(12)과 상기 필터(50) 내부를 물로 채운 다음, 상기 관형부를 상기 흡입구(15)에서 빼어냄과 동시에 상기 밸브(V6)를 닫고서, 전자클러치(C2)를 온 시켜서 송풍기(20)를 일정 시간 가동하면, 회전축(24)이 회전하면서, 상기 필터(50)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의해 상기 필터(50)의 내면에 붙어 있는 먼지 등의 고형물이 수분을 먹으면서 축소되어 뭉쳐져서 상기 필터(50)의 내면으로부터 이탈되게 되면서, 상기 필터(50)의 내부에 존재하는 물에 떠 있거나 잠기게 된다.
그 다음, 밸브(V6)를 열고 상기 진공 청소기(100-3)의 흡입구(15)를 연직방향에서 하향으로 향하게 하면, 상기 집진실(12)과 상기 필터(50)에 존재하는 물과 상기 뭉쳐진 먼지 등의 고형물이 상기 흡입구(15)를 통하여 진공 청소기(100-3) 밖으로 용이하게 배출되게 된다.
이에 의해 물에 의한 필터(50)의 빨래가 완료되며, 상기 빨래된 필터의 건조를 위해 열풍공기를 상기 집진실에 불어 넣을 수 있다.
상기 열풍의 공급은 상기 바이패스유로(22)에 도시되지 않은 히터를 마련하고, 상기 필터(50)의 청소모드의 상태로 상기 진공 청소기(100-3)를 가동하면 가능하다.
상기 제3실시예의 진공 청소기가 필터를 물 세척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서, 진드기가 진공 청소기 내에 기생하는 것이 방지되어 아토피 등의 피부염 발병을 야기하지 않는 작용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의 진공 청소기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가 부호 100-4로서 지시되어 있다.
상기 진공 청소기(100-4)는, 칸막이 벽부(11)에 의해 내부에 집진실(12)과 흡인실(13)이 구획 형성된 본체(10), 상기 집진실(12)의 상류단에 구비된 흡입구(15), 상기 흡인실(13)의 하류단에 마련된 토출구(16), 상기 흡인실(13) 내에 마련되어 토출측이 토출유로(21)를 경유하여 상기 토출구(16)에 접속된 송풍기(20), 상기 집진실(12)에 방사 바깥방향으로 이격 공간을 둔 상태에서 마련되어 흡입된 공기 중에 청소대상물인 고형물을 분리 포집하는 필터(50), 상기 흡인실(13)과 상기 집진실(12)을 서로 유통시키기 위해 상기 칸막이 벽부(11)에 구비된 유통구(14), 상기 흡인실(13)의 토출유로(21)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집진실(12)에 접속되어 있는 바이패스유로(22)를 포함하고 있다.
종래와 같이, 상기 흡입구(15)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2)의 일단에 마련된 접속파이프(3)가 탈착자재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필터(5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빈 절두원추형으로 되어 있고, 상기 필터(50)의 대직경부(52)는 상기 흡입구(15)와 유통하는 입구(56)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50)의 소직경부(51)는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칸막이 벽부(11)에 형성된 출구(18)에 회전가능하게 일단이 관통된 고형물방출관(80)에 유통가능하게 고정 외접되어 있다. 상기 고형물방출관(80)의 타단은 상기 흡인실(13)을 가로지르게 수평방향으로 뻗어서 상기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본체(10)의 외부와 유통하고 있다.
상기 토출유로(21)의 하류단에는 밸브(V1)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바이패스유로(22)의 도중에는 밸브(V2)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송풍기(20)의 흡입측에 인접한 본체 부위에는 제2흡입구(17)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제2흡입구(17)에는 상기 흡인실(13)을 선택적으로 외부와 유통가능하게 하는 밸브(V3)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통구(14)에는 밸브(V4)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고형물방출관(80)에는 밸브(V5)가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구(15)에는 밸브(V6)가 개재되어 있다.
상기 필터(5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에 세척가능한 소재(예를 들면 헤파필터소재)로 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필터(50)의 외주면에는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필터(50)의 길이방향으로 뻗은 복수개의 날개부(5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이패스유로(22)의 하류단은 상기 복수개의 날개부(55)의 어느 하나의 날개부를 상기 필터(50)의 둘레방향 일측에 마주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바이패스유로(22)의 하류단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날개부의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헤더관(22a)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헤더관(22a)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날개부와 마주하게 길다란 슬롯구멍(22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형물방출관(80)에는 풀리, 스프로킷 또는 기어 등의 피동부(81)가 고정 외접되어 있고, 상기 피동부(81)는 일단이 전자클러치(C1)를 개재하여 날개부(28)의 회전축(27)이 결합된 상기 송풍기(20)의 모터 또는 원동기의 출력축(23)의 타단에 전자클러치(C2)를 개재하여 결합된 회전축인 회전축(24)에 외접된 풀리, 스프로킷 또는 기어 등의 구동부(25)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피동부(81)와 상기 구동부(25) 간의 결합을 위해 벨트 또는 체인이 사이에 개재되거나, 또는 기어들이 서로 맞물릴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진공 청소기(100-4)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1. 청소기 외측 바닥을 청소하는 경우
청소기 외측 바닥 청소시에는, 밸브(V2, V3, V5)를 닫고 밸브(V1, V4, V6)를 개방한 상태에서 전자클러치(C1)를 온 시켜서 송풍기(20)를 가동하면 날개부(28)가 회전하게 되어 흡인실(13)이 음압상태가 되어서, 상기 흡입 덕트구(6) 밖의 공기와 고형물이 흡입구(15)를 경유하여 필터(50)내로 유입되게 되고, 상기 유입된 고형물은 상기 필터(50)를 관통하지 못하고 상기 필터(50) 내에 쌓이게 되고 상기 필터(5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밸브(V4)를 관통하여 상기 흡인실(13)과 상기 토출유로(21)를 경유하여 상기 본체(10) 밖으로 배출된다.
2. 필터(50)를 청소하면서 필터(50) 내의 고형물을 본체 밖으로 방출하는 경우
필터(50) 청소시에는, 밸브(V1, V4, V6)를 닫고 밸브(V2, V3, V5)를 개방한 상태에서 전자클러치(C1)를 온 시켜서 전동송풍기(20)를 가동하면 날개부(28)가 회전하게 되어 흡인실(13)이 음압상태가 되어서, 외기가 상기 밸브(V3)를 경유하여 토출유로(21) 및 바이패스유로(22)를 통하여 상기 집진실(12) 내로 유입된다.
상기 바이패스유로(22)를 경유하여 상기 집진실(12) 내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필터(50)를 관통하면서 상기 필터(50)의 복수개의 날개부(55)를 가압하여 상기 필터(5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필터(50)가 상기 고형물방출관(80)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공기가 상기 필터(50)를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하게 되면, 상기 필터(50) 내면에 붙어 있는 고형물이 상기 필터(50)의 내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게 되고, 상기 필터(50)의 내부에 유입된 공기는 상기 분리된 고형물을 상기 고형물방출관(80) 밖으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필터(50)의 청소시에 일단이 포집부(70)에 일단이 접속되어 있는 포집관(71)의 타단을 상기 고형물 방출관(80)에 접속시키면, 사용자가 고형물을 손에 접촉함 없이 용이하게 상기 본체(10)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밸브(V6)는 접속파이프(3)가 상기 흡입구(15)에 삽입되면 위로 선회운동하여 개방자세에 위치될 수 있는 힌지 타입의 밸브가 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밸브(V5)는 상기 포집관(71)이 상기 고형물방출관(80)에 삽입되면 위로 선회운동하여 개방자세에 위치될 수 있는 힌지 타입의 밸브가 될 수 있다.
3. 필터(50)를 물빨래하는 경우
필터(50)의 물빨래시에는 밸브(V2, V4, V5)를 닫고, 밸브(V6)을 개방한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급수원에 일단이 접속된 관형부를 상기 흡인구(15)에 삽입하여 상기 집진실(12)과 상기 필터(50) 내부를 물로 채운 다음, 상기 관형부를 상기 흡입구(15)에서 빼어냄과 동시에 상기 밸브(V6)를 닫고서, 전자클러치(C2)를 온 시켜서 송풍기(20)를 일정 시간 가동하면, 상기 고형물방출관(80)이 회전하면서, 상기 필터(50)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의해 상기 필터(50)의 내면에 붙어 있는 먼지 등의 고형물이 수분을 먹으면서 축소되어 뭉쳐져서 상기 필터(50)의 내면으로부터 이탈되게 되면서, 상기 필터(50)의 내부에 존재하는 물에 떠 있거나 잠기게 된다.
그 다음, 밸브(V5)를 열고 상기 진공 청소기(100-4)의 고형물방출관(80)을 연직방향에서 하향으로 향하게 하면, 상기 집진실(12)과 상기 필터(50)에 존재하는 물과 상기 뭉쳐진 먼지 등의 고형물이 상기 고형물방출관(80)을 통하여 진공 청소기(100-4) 밖으로 용이하게 배출되게 된다.
이에 의해 물에 의한 필터(50)의 빨래가 완료되며, 상기 빨래된 필터의 건조를 위해 열풍공기를 상기 집진실에 불어 넣을 수 있다.
상기 열풍의 공급은 상기 바이패스유로(22)에 도시되지 않은 히터를 마련하고, 상기 필터(50)의 청소모드의 상태로 상기 진공 청소기(100-4)를 가동하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예의 진공 청소기가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2에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가 부호 100-5로서 지시되어 있다.
상기 진공 청소기(100-5)에는 유통구(14)가 마련된 칸막이 벽부(11)에 의해 본체(10) 내부에 집진실(12)과 흡인실(13)이 나누어 구획형성되어 있다.
상기 집진실(12)에는 청소대상물이 유입되는 흡입구(15)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집진실(12) 내에는 상기 흡입구(15)를 통하여 유입되는 청소대상물인 고형물을 여과하는 필터(50)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흡인실(13)에는 상기 집진실(12)에서 유통구(14)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를 방출시키는 토출구(16)가 마련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흡인실(13)에는 송풍기(2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송풍기(20)는 모터(M)의 회전축(27) 일단에 본체(10) 밖의 고형물을 상기 흡입구(15)를 통하여 집진실(12) 내부로 유입시키고 고형물과 함께 유입된 공기를 상기 흡인실(13)의 토출구(16)에 방출시키는 날개부(28)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날개부(28)는 흡입구(15)에서 토출구(16)쪽으로 유체이동을 유도할 수 있는 날개들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모터(M)는 상기 집진실(12)의 바닥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턴테이블(30)에 탑재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턴테이블(30)의 회전중심축선(S)에 회전중심을 갖는 자세전환축(33)의 일단이 상기 모터(M)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자세전환축(33)의 타단은 상기 본체(10) 밖으로 돌출되어 핸들(34)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핸들(34)의 일단에는 탄성적으로 출몰하는 출몰핀(35)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송풍기(20)의 날개부(28)가 상기 유통구(14)와 마주하고 있는 때와 상기 토출구(16)와 마주하고 있을 때의 상기 핸들(34)의 위치에서 마주하고 있는 본체(10) 부위에는 상기 출몰핀(35)이 삽입되는 홈(3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진공 청소기(100-5)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1. 청소기 외측 바닥을 청소하는 경우(도 12참조)
핸들(34)을 돌려서 상기 날개부(28)가 상기 유통구(14)와 마주하고 있게 한 다음, 상기 모터(M)를 가동하게 되면, 날개부(28)가 작동하여, 상기 흡인실(13)에 음압이 형성되어서 본체(10) 밖의 바닥의 고형물이 흡인턱트구(6)를 통하여 상기 흡입구(15)를 경유하여 집진실(12)내로 유입되게 되고, 상기 유입된 고형물은 상기 필터(50)를 관통하지 못하고 상기 집진실(12) 내에 쌓이게 되고 상기 필터(5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유통구(14)를 관통하여 상기 흡인실(13)과 상기 토출구(16)를 경유하여 상기 본체(10) 밖으로 배출된다.
2. 필터(50)를 청소하는 경우(도 13참조)
핸들(34)을 돌려서 상기 날개부(28)가 상기 토출구(16)와 마주하고 있게 한 다음, 모터(M)를 가동하게 되면, 날개부(28)가 작동하여, 상기 흡인실(13)에 음압이 형성되어서 본체(10) 밖의 외기가 토출구(16)를 거쳐서 상기 흡인실(13), 유통구(14) 및 집진실(12) 내로 유입되게 되고, 상기 집진실(12) 내로 유입된 외기는 상기 필터(50)를 관통하면서 상기 필터(50)에 붙어 있는 고형물이 상기 필터(5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됨과 동시에 상기 집진실(12)에 축적된 고형물과 함께 상기 흡입구(15)를 경유하여 밖으로 방출된다.
이 상태에서 포집부(70)에 일단이 접속되어 있는 포집관(71)의 타단을 상기 흡입구(15)에 접속시키면, 사용자가 고형물을 손에 접촉함 없이 용이하게 상기 본체(10)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제5실시예에서, 상기 날개부(28)의 방향 전환을 수동으로 구현하기 위해 모터(M)가 턴테이블(30)에 탑재되고 상기 모터(M)에 핸들(34)이 고정된 것으로 되어 있지만, 변경 실시예로서, 핸들(34)을 상기 자세전환축(33)을 개재하여 턴테이블(30)에 고정시켜 상기 핸들(34)로 하여금 턴테이블(34)을 회전시켜서 상기 날개부(28)의 방향 전환을 수동으로 구현하여도 되고, 상기 턴테이블(30)을 도시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모터에 의해 구동시켜 자동으로 상기 날개부(28)의 방향 전환을 구현하여도 된다.
또한, 제5실시예의 다른 변경 실시예로서, 상기 송풍기(20)는, 상기 날개부(28)의 방향 전환을 위한 턴테이블, 핸들을 배제하고, 모터(M)을 정역방향으로 구동가능하게 하고, 상기 날개부(28)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흡입구(15)에서 상기 토출구(16)로의 공기류을 발생시키고 그리고 날개부(28)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토출구(16)에서 상기 흡입구(15)로의 공기류를 발생시킬 수 있는 송풍기로 대체하여도 된다.
이때, 모터(M)는 브러시리스 직류모터이고, 영구자석을 사용한 회전자와 고정자로 구성되며, 송풍기로는 일반적으로 축류팬 등이 이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6실시예의 진공 청소기가 도 14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4에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가 부호 100-6으로서 지시되어 있다.
상기 진공 청소기(100-6)에는 유통구(14)가 마련된 칸막이 벽부(11)와 제2유통구(42)가 마련된 제2칸막이 벽부(40)에 의해 본체(10) 내부에 집진실(12), 흡인실(13) 및 토출실(19)이 나누어 구획형성되어 있다.
상기 집진실(12)에는 청소대상물이 유입되는 흡입구(15)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집진실(12) 내에는 상기 흡입구(15)를 통하여 유입되는 고형물을 여과하는 필터(50)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토출실(19)에는 상기 집진실(12)에서 유통구(14)를 통하여 흡인실(13)에 유입되어 상기 흡인실(13)에서 제2유통구(42)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를 방출시키는 토출구(16)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2칸막이 벽부(40)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칸막이 벽부(40)의 일측의 제2유통구(42) 주변에 마련된 브래킷(41)을 개재하여 송풍기(2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송풍기(20)는 상기 브래킷(41)에 장착된 모터(M), 상기 모터(M)의 회전축(27) 일단에는 본체(10) 밖의 고형물을 상기 흡입구(15)를 통하여 집진실(12) 내부로 유입하고 고형물과 함께 유입된 공기를 필터(50)에 의해 여과하여 고형물이 제거된 공기를 상기 유통구(14)를 통하여 상기 흡인실(13)에 유입하고 상기 흡인실(13)에 유입된 공기를 상기 토출실(19)의 토출구(16)에 방출시키는 날개부(28)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6실시예의 별도 실시예로서, 상기 제2칸막이 벽부(40)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6실시예와 같이 상기 브래킷(41)을 개재하여 모터(M)가 장착되되, 모터(M)의 회전축(27)이 제2유통구(42)를 관통하여 뻗어 있다.
상기 제2유통구(42)를 관통한 회전축(27) 선단에는 본체(10) 밖의 고형물을 상기 흡입구(15)를 통하여 집진실(5) 내부로 유입하고, 고형물과 함께 유입된 공기를 필터(50)에 의해 여과하여 고형물이 제거된 공기를 상기 유통구(14)를 통하여 상기 흡인실(12)에 유입하고 상기 흡인실(12)에 유입된 공기를 상기 토출실(19)의 토출구(16)에 방출시키는 날개부(28)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날개부(28)는 흡입구(15)에서 토출구(16)쪽으로 유체이동을 유도할 수 있는 날개들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2칸막이 벽부(40)의 밑면 및 윗면 중앙 부위 각각에는, 제1 및 제2자세전환축(33a, 33b)이 삽입고정되어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제1자세전환축(33a)은 상기 본체(10)의 바닥에 형성된 홈(37a)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제2자세전환축(33b)은 상기 본체(10)의 천장에 형성된 관통구멍(37b)을 회전가능하게 관통하여 있어서, 상기 제2칸막이 벽부(40)는, 제1 및 제2자세전환축(33a, 33b)을 중심으로 상기 본체(1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본체(10) 밖으로 돌출된 상기 제2자세전환축(33b)의 선단에는 핸들(34)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핸들(34)의 일단에는 탄성적으로 출몰하는 출몰핀(35)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날개부(28)가 상기 유통구(14)와 마주하고 있는 때와 상기 토출구(16)와 마주하고 있을 때의 상기 핸들(34)의 위치에서 마주하고 있는 본체(10) 부위에는 상기 출몰핀(35)이 삽입되는 홈(3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진공 청소기(100-6)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1. 청소기 외측 바닥을 청소하는 경우(도 14 및 도 16참조)
핸들(34)을 돌려서 상기 날개부(28)가 상기 유통구(14)와 마주하고 있게 한다음, 상기 모터(M)를 가동하게 되면, 날개부(28)가 회전하여, 상기 흡인실(13)에 음압이 형성되어서 본체(10) 밖의 바닥의 고형물이 흡인턱트구(6)를 통하여 상기 흡입구(15)를 경유하여 집진실(12)내로 유입되게 되고, 상기 유입된 고형물은 상기 필터(50)를 관통하지 못하고 상기 집진실(12) 내에 쌓이게 되고 상기 필터(5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유통구(14) 및 제2유통구(42)를 관통하여 상기 흡인실(13)과 상기 토출실(19)을 경유하여 상기 토출구(16)를 통하여 상기 본체(10) 밖으로 배출된다.
2. 필터(50)를 청소하는 경우(도 15 및 도 17참조)
핸들(34)을 돌려서 상기 날개부(28)가 상기 토출구(16)와 마주하고 있게 한 다음, 모터(M)를 가동하게 되면, 날개부(28)가 회전하여, 상기 토출실(10)에 음압이 형성되어서 본체(10) 밖의 외기가 토출구(16)를 거쳐서 상기 토출실(19), 제2유통구(42), 상기 흡인실(13), 유통구(14) 및 집진실(12) 내로 유입되게 되고, 상기 집진실(12)내로 유입된 외기는 상기 필터(50)를 관통하면서 상기 필터(50)에 붙어 있는 고형물이 상기 필터(5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됨과 동시에 상기 집진실(12)에 축적된 고형물과 함께 상기 흡입구(15)를 경유하여 밖으로 방출된다.
이 상태에서 포집부(70)에 일단이 접속되어 있는 포집관(71)의 타단을 상기 흡입구(15)에 접속시키면, 사용자가 고형물을 손에 접촉함 없이 용이하게 상기 본체(10)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제6실시예는 상기 날개부(28)의 앞쪽이 음압원일 때를 가정해서 설명된 것이며, 상기 날개부(28)의 날개부 뒤쪽이 음압원일 때에는 상기 제6실시예에서 바닥청소시와 필터청소시의 상기 칸막이 벽부(40)의 자세와 반대로 상기 칸막이 벽부(40)의 자세를 취하면 바닥청소와 필터청소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7실시예의 진공 청소기가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8에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가 부호 100-7로서 지시되어 있다.
상기 진공 청소기(100-7)에는 유통구(14)가 마련된 칸막이 벽부(11)에 의해 본체(10) 내부에 집진실(12)과 흡인실(13)이 나누어 구획형성되어 있다.
상기 집진실(12)에는 먼지 등의 청소대상물이 유입되는 흡입구(15)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유통구(14)에는 상기 흡입구(15)를 통하여 유입되는 고형물을 여과하는 필터(50)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흡인실(13)에는 상기 집진실(12)에서 유통구(14)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를 방출시키는 토출구(16)가 마련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흡인실(13)에는 송풍부(2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송풍부(20)는 정역모터의 회전축에 날개부가 결합되어 정역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흡입구(15)에서 토출구(16)의 공기흐름과 토출구(16)에서 흡입구(15)로의 공기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는 공지된 송풍기(도 18참조)이거나, 하나의 모터의 양단에 각각 전자클러치를 개재하여 2개의 날개부를 결합시켜 2개의 날개부 중 하나를 작동시키면 흡입구(15)에서 토출구(16)의 공기흐름을 발생시키고 다른 하나를 작동시키면 토출구(16)에서 흡입구(15)로의 공기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는 송풍기(도 21참조)이거나, 흡입구(15)에서 토출구(16)의 공기흐름을 발생시키고 모터구동식 송풍기와 토출구(16)에서 흡입구(15)로의 공기흐름을 발생시키는 모터구동식 송풍기를 세트로서 구비한 송풍기(도 22참조)이거나, 정방향구동모터의 회전축에 날개부가 결합되어 정방향으로 구동되는 상기 날개부가 흡입구(15)와 마주할 때는 흡입구(15)에서 토출구(16)의 공기흐름을 발생시키고 상기 정방향구동모터와 상기 날개부를 방향전환시켜 상기 토출구(16)와 마주할 때는 토출구(16)에서 흡입구(15)로의 공기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는 송풍기(도 23참조)이거나, 또는 정방향구동모터의 회전축에 날개부가 결합되어 정방향으로 구동되는 상기 날개부의 토출측과 본체의 토출구를 접속시키는 토출관의 도중에 일단을 접속시키고 타단을 집진실(12)에 접속시킨 바이패스유로에 밸브를 개재하여 흡인실(13)에 별도로 마련된 제2흡입구를 통하여 외기를 흡입하여 상기 바이패스유로를 경유하여 상기 집진실(12)에 외기를 공급하는 송풍기(도 24참조)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공 청소기(100-7)는 쑤시개부(20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쑤시개부(200)는 흡인실(12)에 배치된 정역구동모터(210), 상기 칸막이 벽부(11)를 관통하여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로드(230), 상기 정역구동모터(210)의 회전축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피니온(220), 상기 피니온(220)에 치합되게 상기 로드(230)의 기단에 구비된 랙부(231) 및 상기 로드(230)의 선단에 기단이 고정되고 선단이 우산살 모양으로 뻗은 우산살부(240)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쑤시개부(200)는 일단이 상기 칸막이 벽부(11)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로드(230)의 선단에 고정되어 상기 로드(230)에 외접되어서 상기 로드(230)의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한 도시되지 않은 자바라관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자바라관은 상기 로드(230)가 왕복운동할 때 상기 로드(230)에 고형물이 붙어서 상기 칸막이 벽부(11)와 상기 로드(230) 사이로 침입하여 상기 로드(230)의 왕복운동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진공 청소기(100-7)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1. 청소기 외측 바닥을 청소하는 경우
흡입구(15)에서 토출구(16)의 공기흐름이 발생되도록 상기 송풍부(20)를 작동시키면, 상기 흡인실(13)에 음압이 형성되어서, 도 18의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밖의 바닥의 먼지 등의 고형물이 흡입덕투구(6)를 통하여 흡입구(15)를 거쳐서 집진실(12) 내로 외기와 함께 유입되고, 상기 집진실(12)에 유입된 고형물은 필터(50)에 의해 여과되어 상기 필터(50)를 관통하지 못하고 상기 집진실(12) 내에 쌓이게 되고 상기 필터(50)를 통과한 외기는 상기 유통구(14)를 경유하여 흡인실(13)를 거쳐 토출구(16)를 통하여 상기 본체(10) 밖으로 배출된다.
2. 필터(50)를 청소하는 경우
토출구(16)에서 흡입구(15)로의 공기흐름이 발생되도록 상기 송풍부(20)를 작동시키면, 상기 흡인실(13)에 음압이 형성되어서, 도 18의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밖의 외기가 토출구(16)를 거쳐서 상기 흡인실(13), 유통구(14) 및 집진실(12) 내로 유입되게 되고, 상기 집진실(12)내로 유입된 외기는 상기 필터(50)를 관통하면서 상기 필터(50)의 내면에 붙어 있는 고형물이 상기 필터(50)의 내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됨과 동시에 상기 집진실(12)에 축적된 고형물와 함께 상기 흡입구(15) 밖으로 방출되게 된다.
상기 필터(50)의 청소시에 상기 흡입구(15)에서 접속파이프(3)를 빼어내고 일단이 포집부(70)에 일단이 접속되어 있는 포집관(71)의 타단을 상기 입구(7)에 접속시키면, 사용자가 고형물을 손에 접촉함 없이 용이하게 상기 본체(4)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집진실(12)에 축적된 고형물이 뭉쳐서 상기 흡입구(15) 밖으로 빠져나가지 않을 경우가 있어서, 상기 필터(50)의 청소시에는 상기 쑤시개부(200)를 가동하여 우산살부(240)를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진으로 왕복운동시키면, 뭉쳐있는 고형물이 풀어지거나 강제적으로 상기 흡입구(15) 내로 들어가게 되어 용이하게 고형물이 상기 포집부(70) 내로 수집되게 한다.
상기 제1 내지 제7실시예에서, 진공청소기가 집진실에 필터(50)를 구비한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는 상기 필터 대신에 다음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사이클론을 상기 집진실에 구비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8실시예의 사이클론 타입의 진공 청소기가 도 2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가 부호 100-8로서 지시되어 있다.
상기 진공 청소기(100-8)에는 유통구(14)가 마련된 칸막이 벽부(11)에 의해 본체(10) 내부에 집진실(12)과 흡인실(13)이 나누어 구획형성되어 있다.
상기 집진실(12)에는 먼지 등의 청소대상물이 유입되는 흡입구(15)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흡입구(15)와 접속된 흡입유로(91)와 상기 유통구(14)와 접속된 배출유로(92)를 구비하고서 상기 흡입구(15)를 통하여 유입되는 고형물을 여과하고 여과된 공기를 상기 유통구(14)로 배출시키는 사이클론(90)이 내장되어 있고, 상기 흡인실(13)에는 상기 사이크론(90)에서 유통구(14)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를 방출시키는 토출구(16)가 마련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흡인실(13)에는 송풍부(2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흡입유로(91)에는 밸브(V6)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사이클론(90)이 하단에는 먼지수납함(93)이 상기 사이클론(90)과 유통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먼지수납함(93)에는 고형물방출관(80)의 기단이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고형물방출관(80)의 선단은 상기 본체(10)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10) 밖으로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형물방출관(80)에는 밸브(V5)가 개재되어 있다.
상기 송풍부(20)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역모터의 회전축에 날개부가 결합되어 정역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흡입구(15)에서 토출구(16)로의 공기흐름과 토출구(16)에서 고형물방출관(80)으로의 공기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는 공지된 송풍기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부(20)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모터(M)의 회전축(도시되지 않음) 양단에 각각 전자클러치(C1, C2)를 개재하여 2개의 날개부(28a, 28b)를 결합시켜 2개의 날개부 중 하나의 날개부(28a)를 작동시키면 흡입구(15)에서 토출구(16)로의 공기흐름을 발생시키고 다른 하나의 날개부(28b)를 작동시키면 토출구(16)에서 고형물방출관(80)으로의 공기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는 송풍기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부(20)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구(15)에서 토출구(16)로의 공기흐름을 발생시키는 모터구동식 송풍기(20a)와 토출구(16)에서 고형물방출관(80)으로의 공기흐름을 발생시키는 모터구동식 송풍기(20b)를 세트로서 구비한 송풍기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부(20)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방향구동모터(M)의 회전축에 날개부(28)가 결합되어 정방향으로 구동되는 상기 날개부가 방향반전수단(300)에 의해 흡입구(15)와 마주할 때는 흡입구(15)에서 토출구(16)으로의 공기흐름을 발생시키고 상기 정방향구동모터(M)와 상기 날개부(28)를 방향반전수단(300)에 의해 방향전환시켜 상기 토출구(16)와 마주할 때는 토출구(16)에서 고형물방출관(80)으로의 공기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는 송풍기가 될 수 있다.
상기 방향반전수단(300)은 예를 들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인실(13)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중앙에 제2유통구(42)가 마련되어 있는 제2칸막이벽부(4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2칸막이 벽부(40)에는, 상기 제2유통구(42)와 마주하게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2유통구(42) 주변에 마련된 브래킷(41)을 개재하여 상기 정방향구동모터(M)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정방향구동모터(M)의 회전축 일단에는 상기 제2유통구(42)와 마주하게 배치되어 본체(10) 밖의 고형물을 상기 흡입구(15)를 통하여 집진실(12) 내부로 유입하고, 고형물과 함께 유입된 공기를 집진실(12)에 의해 여과하여 고형물이 제거된 공기를 상기 유통구(14)를 통하여 상기 흡인실(13)에 유입하고 상기 흡인실(13)에 유입된 공기를 토출구(16)에 방출시키는 날개부(28)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2칸막이벽부(40)의 상단 중앙에는 제2자세전환축(33b)이 상기 본체(10)를 관통하여 장착되어 있고, 하단 중앙에과 상기 본체(10) 사이에는 제1자세전환축(33a)이 개재되어 상기 제2칸막이벽부(40)가 상기 본체(1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제2자세전환축(33b)에는 핸들(34)이 상기 본체(10)에 밖에 노출되어 장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기 방향반전수단(300)은 핸들(34)을 돌림에 따라 상기 날개부(28)를 선택적으로 상기 유통구(14) 또는 상기 토출구(16)와 마주하게 함으로써 흡입구(15)에서 토출구(16)로의 유체흐름과 상기 토출구(16)에서 상기 고형물방출관(80)으로의 유체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부(20)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된 팬이 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팬의 토출측은 토출유로(21)을 경유하여 토출구(16)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토출유로(21)의 도중에는 도중에 밸브(V2)를 개재한 상태에서 일단이 배출유로(92)의 도중에 접속되어 있는 바이패스유로(22)의 타단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유통구(14)에는 밸브(V4)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흡인실(13)에는 선택적으로 흡인실(13)과 본체(10) 외부와를 유통시키는 밸브(V3)가 개재된 별도의 제2흡입구(17)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토출구(16)에는 밸브(V1)이 개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진공 청소기(100-8)는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포집부(7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포집부(70)의 포집관(71)은 상기 먼지수납함(93)의 청소시에 상기 고형물방출관(80)에 접속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진공 청소기(100-8)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1. 송풍부가 도 20에 도시된 송풍기인 경우
1-1 청소기 외측 바닥을 청소하는 경우
밸브(V6)를 열고 밸브(V5)를 닫은 상태에서, 흡입구(15)에서 토출구(16)의 공기흐름이 발생되도록 상기 송풍부(20)를 작동시키면, 상기 흡인실(13)에 음압이 형성되어서, 도 20의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밖의 바닥의 먼지 등의 고형물이 흡입덕트구(6)를 통하여 흡입구(15)를 거쳐서 사이클론(90) 내로 외기와 함께 유입되고, 상기 사이클론(90)에 유입된 고형물은 먼지수납함(93)에 쌓이게 되고 상기 사이클론(90)를 통과한 외기는 상기 유통구(14)를 경유하여 흡인실(13)를 거쳐 토출구(16)를 통하여 상기 본체(10) 밖으로 배출된다.
1-2. 먼지수납함(93)을 청소하는 경우
밸브(V6)를 닫고 밸브(V5)를 열은 상태에서, 토출구(16)에서 고형물방출관(80)으로의 공기흐름이 발생되도록 상기 송풍부(20)를 작동시키면, 상기 흡인실(13)에 음압이 형성되어서, 도 20의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밖의 외기가 토출구(16)를 거쳐서 상기 흡인실(13), 유통구(14) 및 사이클론(90) 내로 유입되게 되고, 상기 사이클론(90)내로 유입된 외기는 상기 먼지수납함(93)에 유입되어 상기 먼지수납함(93)에 축적된 고형물과 함께 상기 고형물방출관(80) 통하여 밖으로 방출되게 된다.
상기 먼지수납함(93)의 청소시에 일단이 포집부(70)에 일단이 접속되어 있는 포집관(71)의 타단을 상기 고형물방출관(80)에 접속시키면, 사용자가 고형물을 손에 접촉함 없이 용이하게 상기 본체(10)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2. 송풍부가 도 21에 도시된 송풍기인 경우
2-1 청소기 외측 바닥을 청소하는 경우
밸브(V6)를 열고 밸브(V5)를 닫은 상태에서, 흡입구(15)에서 토출구(16)로의 공기흐름이 발생되도록 전자클러치(C1)를 온시킨 상태에서 날개부(28a)를 작동시키는 방식으로 송풍부(20)를 가동하면, 상기 흡인실(13)에 음압이 형성되어서, 도 21의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밖의 바닥의 먼지 등의 고형물이 흡입덕트구(6)를 통하여 흡입구(15)를 거쳐서 사이클론(90) 내로 외기와 함께 유입되고, 상기 사이클론(90)에 유입된 고형물은 먼지수납함(93)에 쌓이게 되고 상기 사이클론(90)를 통과한 외기는 상기 유통구(14)를 경유하여 흡인실(13)를 거쳐 토출구(16)를 통하여 상기 본체(10) 밖으로 배출된다.
2-2. 먼지수납함(93)을 청소하는 경우
밸브(V6)를 닫고 밸브(V5)를 열은 상태에서, 토출구(16)에서 흡입구(15)로의 공기흐름이 발생되도록 전자클러치(C2)를 온시킨 상태에서 날개부(28b)를 작동시키는 방식으로 송풍부(20)를 가동하면, 상기 흡인실(13)에 음압이 형성되어서, 도 21의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밖의 외기가 토출구(16)를 거쳐서 상기 흡인실(13), 유통구(14) 및 사이클론(90) 내로 유입되게 되고, 상기 사이클론(90)내로 유입된 외기는 상기 먼지수납함(93)에 유입되어 상기 먼지수납함(93)에 축적된 고형물과 함께 상기 고형물방출관(80) 통하여 밖으로 방출되게 된다.
상기 먼지수납함(93)의 청소시에 일단이 포집부(70)에 일단이 접속되어 있는 포집관(71)의 타단을 상기 고형물방출관(80)에 접속시키면, 사용자가 고형물을 손에 접촉함 없이 용이하게 상기 본체(10)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3. 송풍부가 도 22에 도시된 송풍기인 경우
3-1 청소기 외측 바닥을 청소하는 경우
밸브(V6)를 열고 밸브(V5)를 닫은 상태에서, 흡입구(15)에서 토출구(16)로의 공기흐름이 발생되도록 송풍부(20a)를 가동하면, 상기 흡인실(13)에 음압이 형성되어서, 도 22의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밖의 바닥의 먼지 등의 고형물이 흡입덕트구(6)를 통하여 흡입구(15)를 거쳐서 사이클론(90) 내로 외기와 함께 유입되고, 상기 사이클론(90)에 유입된 고형물은 먼지수납함(53)에 쌓이게 되고 상기 사이클론(90)을 통과한 외기는 상기 유통구(14)를 경유하여 흡인실(13)을 거쳐 토출구(16)를 통하여 상기 본체(4) 밖으로 배출된다.
3-2. 먼지수납함(93)을 청소하는 경우
밸브(V6)를 닫고 밸브(V2)를 열은 상태에서, 토출구(8)에서 고형물방출관(80)으로의 공기흐름이 발생되도록 송풍부(20b)를 가동하면, 상기 흡인실(13)에 음압이 형성되어서, 도 22의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본체(4) 밖의 외기가 토출구(16)를 거쳐서 상기 흡인실(13), 유통구(14) 및 사이클론(90) 내로 유입되게 되고, 상기 사이클론(90)내로 유입된 외기는 상기 먼지수납함(93)에 유입되어 상기 먼지수납함(93)에 축적된 고형물과 함께 상기 고형물방출관(80) 통하여 밖으로 방출되게 된다.
상기 먼지수납함(93)의 청소시에 일단이 포집부(70)에 일단이 접속되어 있는 포집관(71)의 타단을 상기 고형물방출관(80)에 접속시키면, 사용자가 고형물을 손에 접촉함 없이 용이하게 상기 본체(10)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4. 송풍부가 도 23에 도시된 송풍기인 경우
4-1 청소기 외측 바닥을 청소하는 경우
밸브(V6)를 열고 밸브(V5)를 닫고 방향반전수단(300)에 의해 날개부(28)가 상기 유통구(14)를 마주보게 한 상태에서 상기 정방향구동모터(M)를 가동하면, 상기 흡인실(13)에 음압이 형성되어서, 도 23의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밖의 바닥의 먼지 등의 고형물이 흡입덕트구(6)를 통하여 흡입구(15)를 거쳐서 사이클론(90) 내로 외기와 함께 유입되고, 상기 사이클론(90)에 유입된 고형물은 먼지수납함(93)에 쌓이게 되고 상기 사이클론(90)를 통과한 외기는 상기 유통구(14)를 경유하여 흡인실(13)를 거쳐 토출구(16)를 통하여 상기 본체(10) 밖으로 배출된다.
4-2. 먼지수납함(93)을 청소하는 경우
밸브(V6)를 닫고 밸브(V5)를 열고 방향반전수단(300)에 의해 날개부(28)가 상기 토출구(16)를 마주보게 한 상태에서 상기 정방향구동모터(M)를 가동하면, 상기 흡인실(13)에 음압이 형성되어서, 도 23의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밖의 외기가 토출구(16)를 거쳐서 상기 흡인실(13), 유통구(14) 및 사이클론(90) 내로 유입되게 되고, 상기 사이클론(90)내로 유입된 외기는 상기 먼지수납함(93)에 유입되어 상기 먼지수납함(93)에 축적된 고형물과 함께 상기 고형물방출관(80)을 통하여 밖으로 방출되게 된다.
상기 먼지수납함(93)의 청소시에 일단이 포집부(70)에 일단이 접속되어 있는 포집관(71)의 타단을 상기 고형물방출관(80)에 접속시키면, 사용자가 고형물을 손에 접촉함 없이 용이하게 상기 본체(10)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5. 송풍부가 제5실시예인 경우
5-1 청소기 외측 바닥을 청소하는 경우
밸브(V6, V4, V1)를 열고 밸브(V5, V3, V2)를 닫고 상기 송풍부(20)를 가동하면, 상기 흡인실(13)에 음압이 형성되어서, 도 24의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밖의 바닥의 먼지 등의 고형물이 흡입덕트구(6)를 통하여 흡입구(15)를 거쳐서 사이클론(90) 내로 외기와 함께 유입되고, 상기 사이클론(90)에 유입된 고형물은 먼지수납함(93)에 쌓이게 되고 상기 사이클론(90)를 통과한 외기는 상기 유통구(14)를 경유하여 흡인실(13)를 거쳐 토출구(16)를 통하여 상기 본체(10) 밖으로 배출된다.
5-2. 먼지수납함(93)을 청소하는 경우
밸브(V6, V4, V1)를 닫고 밸브(V5, V3, V2)를 열고 상기 송풍부(20)를 가동하면, 상기 흡인실(13)에 음압이 형성되어서, 도 24의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밖의 외기가 토출구(16)를 거쳐서 상기 흡인실(13), 유통구(14) 및 사이클론(90) 내로 유입되게 되고, 상기 사이클론(90)내로 유입된 외기는 상기 먼지수납함(93)에 유입되어 상기 먼지수납함(93)에 축적된 고형물과 함께 상기 고형물방출관(80)을 통하여 밖으로 방출되게 된다.
상기 먼지수납함(93)의 청소시에 일단이 포집부(70)에 일단이 접속되어 있는 포집관(71)의 타단을 상기 고형물방출관(80)에 접속시키면, 사용자가 고형물을 손에 접촉함 없이 용이하게 상기 본체(10)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제8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진공 청소기에 구비된 송풍부(20)가 선택적으로 흡입구(15)에서 토출구(16)로의 공기흐름과 토출구(16)에서 고형물방출관(80)로의 공기흐름을 발생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것으로 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별도 실시예로서, 흡인실(13)에 마련된 송풍부(20)가 단지 흡입구(15)에서 토출구(16)로의 공기흐름을 발생시키고, 외기를 바로 먼지수납함(93)을 경유해서 고형물방출관(80)으로의 공기흐름을 별도의 송풍기에 의해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별도의 송풍기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실(12)에 배치된 팬(400)이 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팬(400)의 흡입측이 외부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팬(400)의 토출측이 도중에 밸브(V2)를 개재한 상태에서 상기 먼지수거함(93)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별도의 실시예에서는 밸브(V6)가 상기 사이클론(90)과 상기 먼지수거함(93)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별도의 실시예에서는, 청소기 외측 바닥을 청소하는 경우에, 밸브(V5, V2)를 닫고 밸브(V6)를 열고 상기 송풍부(20)를 가동하면, 상기 흡인실(13)에 음압이 형성되어서, 도 25의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밖의 바닥의 먼지 등의 고형물이 흡입덕트구(6)를 통하여 흡입구(15)를 거쳐서 사이클론(90) 내로 외기와 함께 유입되고, 상기 사이클론(90)에 유입된 고형물은 먼지수납함(93)에 쌓이게 되고 상기 사이클론(90)를 통과한 외기는 상기 유통구(14)를 경유하여 흡인실(13)를 거쳐 토출구(16)를 통하여 상기 본체(10) 밖으로 배출되며, 그리고 먼지수납함(93)을 청소하는 경우에, 밸브(V5, V2)를 열고 밸브(V6)를 닫고 상기 팬(400)을 가동하면, 도 25의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밖의 외기가 상기 먼지수납함(93) 내로 유입되게 되어, 상기 먼지수납함(93)에 축적된 고형물과 함께 상기 고형물방출관(80)을 통하여 밖으로 방출되게 된다.
상기 먼지수납함(93)의 청소시에 일단이 포집부(70)에 일단이 접속되어 있는 포집관(71)의 타단을 상기 먼지토출관(94)에 접속시키면, 사용자가 고형물을 손에 접촉함 없이 용이하게 상기 본체(10)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8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진공 청소기가 전원(모터)에 의해 상기 송풍부가 구동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예로 상기 진공 청소기가 낙엽 등을 포집하는 야외용 청소기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송풍부가 내연기관과 같은 원동기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다. 그 실시예들은 다음과 같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9실시예의 원동기 타입의 진공 청소기가 도 26 내지 도 27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6에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가 부호 100-9로서 지시되어 있다.
상기 진공 청소기(100-9)는, 칸막이 벽부(11)에 의해 내부에 집진실(12)과 흡인실(13)이 구획 형성된 본체(10), 상기 집진실(12)의 상류단에 구비된 흡입구(15), 상기 흡인실(13)의 하류단에 마련된 토출구(16), 상기 흡인실(13) 내에 마련되어 토출측이 토출유로(21)를 경유하여 상기 토출구(16)에 접속된 송풍기(20), 상기 집진실(12)에 방사 바깥방향으로 이격 공간을 둔 상태에서 마련되어 흡입된 공기 중에 청소대상물인 고형물을 분리 포집하는 필터(50), 상기 흡인실(13)과 상기 집진실(12)을 서로 유통시키기 위해 상기 칸막이 벽부(11)에 구비된 유통구(14), 상기 흡인실(13)의 토출유로(21)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집진실(12)에 접속되어 있는 바이패스유로(22)를 포함하고 있다.
종래와 같이, 상기 흡입구(15)에는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2)의 일단에 마련된 접속파이프(3)가 탈착자재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체(10)에는 사용자가 자신의 어께에 멜수 있도록 멜빵(7)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송풍기(20)가 내연기관인 원동기(M)에 의해 구동되게 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휴대하여 도로, 보도 등에 떨어져 있는 낙엽 등을 상기 진공 청소기(100-9)에 의해 용이하게 포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필터(50)는 도 26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빈 절두원추형으로 되어 있고, 상기 필터(50)의 대직경부(52)는 상기 흡입구(15)와 유통하는 입구(56)가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50)의 소직경부(51)는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칸막이 벽부(1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칸막이 벽부(11)에 형성된 출구(18)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관통된 고형물방출관(80)에 유통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고형물방출관(80)의 타단은 상기 흡인실(13)을 가로지르게 수평방향으로 뻗어서 상기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본체(10)의 외부와 유통하고 있다.
상기 토출유로(21)의 하류단에는 밸브(V1)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바이패스유로(22)의 도중에는 밸브(V2)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송풍기(20)의 흡입측에 인접한 본체 부위에는 제2흡입구(17)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제2흡입구(17)에는 상기 흡인실(13)을 선택적으로 외부와 유통가능하게 하는 밸브(V3)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통구(14)에는 밸브(V4)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고형물방출관(80)에는 밸브(V5)가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구(15)에는 밸브(V6)가 개재되어 있다.
상기 필터(50)의 외주면에는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필터(50)의 길이방향으로 뻗은 복수개의 날개부(5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이패스유로(22)의 하류단은 상기 복수개의 날개부(55)의 어느 하나의 날개부를 상기 필터(50)의 둘레방향 일측에 마주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바이패스유로(22)의 하류단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날개부의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헤더관(22a)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헤더관(22a)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날개부와 마주하게 길다란 슬롯구멍(22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밸브(V5) 보다 상류측의 상기 고형물방출관(80) 내에는 절단기(50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절단기(500)는 상기 고형물방출관(80) 내에 서로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한 쌍의 중심축(61), 상기 한 쌍의 중심축(61, 61)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고 외주면에 분쇄날이 구비된 한 쌍의 롤러(62, 62), 상기 한 쌍의 중심축(61, 61)의 일단 각각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서로 맞물려있는 한 쌍의 피동기어(63, 63), 및 상기 한 쌍의 피동기어(63, 63) 중 어느 하나에 맞물려 있는 구동기어(6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구동기어(64)는 일단이 전자클러치(C1)를 개재하여 날개부(28)의 회전축(27)이 결합된 상기 원동기(M)의 출력축(23)의 타단에 전자클러치(C2)를 개재하여 결합된 구동축(24)에 고정 외접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진공 청소기(100-9)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1. 청소기 외측 바닥을 청소하는 경우
청소기 외측 바닥 청소시에는, 2가지의 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제1모드에서는 밸브(V2, V3, V5)를 닫고 밸브(V1, V4, V6)를 개방한 상태에서 전자클러치(C1)를 온 시켜서 원동기(M)를 가동하면 날개부(28)가 회전하게 되어 흡인실(13)이 음압상태가 되어서, 상기 흡입 덕트구(6) 밖의 공기와 고형물이 흡입구(15)를 경유하여 필터(50)내로 유입되게 되고, 상기 유입된 고형물은 상기 필터(50)를 관통하지 못하고 상기 필터(50) 내에 쌓이게 되고 상기 필터(5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밸브(V4)를 관통하여 상기 흡인실(13)과 상기 토출유로(21)를 경유하여 상기 본체(10) 밖으로 배출된다.
또한, 제2모드에서는, 밸브(V2, V3)를 닫고 밸브(V1, V4, V5, V6)를 개방한 상태에서 전자클러치(C1)를 온 시켜서 원동기(M)를 가동하면 날개부(28)가 회전하게 되어 흡인실(13)이 음압상태가 되어서, 상기 흡입 덕트구(6) 밖의 공기와 고형물이 흡입구(15)를 경유하여 필터(50)내로 유입됨과 동시에 상기 절단기(60)의 한 쌍의 롤러(62, 62) 사이의 틈이 상기 고형물방출관(80)과 유통한 관계로 상기 고형물방출관(80) 밖의 공기가 상기 고형물방출관(80)을 경유하여 필터(50) 내로 유입되게 되고, 상기 유입된 고형물은 상기 필터(50)를 관통하지 못하고 상기 필터(50) 내에 쌓이게 되고 상기 필터(5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밸브(V4)를 관통하여 상기 흡인실(13)과 상기 토출유로(21)를 경유하여 상기 본체(10) 밖으로 배출된다.
상기 제2모드는 상기 흡입구(15)와 상기 고형물방출관(80)을 통하여 외기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유입되게 되어, 상기 필터(50) 내에서 편위되어 쌓인 고형물이 상기 필터(50) 내에서 골고루 퍼지게 되므로, 필터(50)의 막힘 현상이 종래보다 더디게 발생되고, 이후에 설명되는 필터의 청소시에 상기 절단기(500)에 의해 고형물이 용이하게 절단될 수 있는 작용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2. 필터(50)를 청소하는 경우
필터(50) 청소시에는, 밸브(V1, V4, V6)를 닫고 밸브(V2, V3, V5)를 개방한 상태에서 전자클러치(C1)를 온 시켜서 송풍기(20)를 가동하면 날개부(28)가 회전하게 되어 흡인실(13)이 음압상태가 되어서, 외기가 상기 밸브(V3)를 경유하여 토출유로(21) 및 바이패스유로(22)를 통하여 상기 집진실(12) 내로 유입된다.
상기 바이패스유로(22)를 경유하여 상기 집진실(12)내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필터(50)를 관통하면서 상기 필터(50)의 복수개의 날개부(55)를 가압하여 상기 필터(5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필터(50)가 회전하면서, 상기 공기가 상기 필터(50)를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하게 되면, 상기 필터(50) 내면에 붙어 있는 고형물이 상기 필터(50)의 내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게 되고, 상기 필터(50)의 내부에 유입된 공기는 상기 분리된 고형물을 상기 고형물방출관(80) 밖으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전자클러치(C2)를 온 시켜서 상기 절단기(500)를 작동시키면, 상기 고형물방출관(80) 내로 유입되는 고형물(예를 들면 낙엽 등)이 절단되어 상기 고형물방출관(80) 밖으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필터(50)의 청소시에 일단이 포집부(70)에 일단이 접속되어 있는 포집관(71)의 타단을 상기 고형물 방출관(80)에 접속시키면, 사용자가 고형물을 손에 접촉함 없이 용이하게 상기 본체(10)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제9실시예에서 상기 밸브(V6)는 접속파이프(3)가 상기 흡입구(15)에 삽입되면 위로 선회운동하여 개방자세에 위치될 수 있는 힌지 타입의 밸브가 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밸브(V5)는 상기 포집관(71)이 상기 고형물방출관(80)에 삽입되면 위로 선회운동하여 개방자세에 위치될 수 있는 힌지 타입의 밸브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9실시예의 별도 실시예로서,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50)의 소직경부(51)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칸막이 벽부(11)에 형성된 출구(15)에 회전가능하게 일단이 관통된 고형물방출관(80)에 유통가능하게 외접되어 있고, 상기 고형물방출관(80)의 타단은 상기 흡인실(13)을 가로지르게 수평방향으로 뻗어서 상기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본체(10)의 외부와 유통하고 있으며, 상기 제9실시예의 절단기(500) 대신에 선단이 상기 필터(50) 내로 돌출되어 있고 기단이 상기 고형물방출관(80)의 입구측 내주면에 고정된 복수개의 칼날을 구비한 절단기(500')로 대체하고, 상기 고형물방출관(80)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피동기어(81)가 상기 구동기어(64)에 맞물리게 할 수 있다.
상기 절단기(500')의 칼날은 공지된 믹서기의 칼날과 유사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제9실시예에서의 청소기 외측 바닥 청소시의 2가지의 모드와 필터(50)를 청소하는 경우 모두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10실시예의 진공 청소기가 도 29 내지 도 3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9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진공 청소기가 부호 100-10으로서 지시되어 있다.
상기 진공 청소기(100-10)는, 칸막이 벽부(11)에 의해 내부에 집진실(12)과 흡인실(13)이 구획 형성된 본체(10), 상기 집진실(12)의 상류단에 구비된 흡입구(15), 상기 흡인실(13)의 하류단에 마련된 토출구(16), 상기 흡인실(13) 내에 마련되어 토출측이 토출유로(21)를 경유하여 상기 토출구(16)에 접속된 송풍기(20), 상기 집진실(12)에 방사 바깥방향으로 이격 공간을 둔 상태에서 마련되어 흡입된 공기 중에 청소대상물인 고형물을 분리 포집하는 필터(50), 상기 흡인실(13)과 상기 집진실(12)을 서로 유통시키기 위해 상기 칸막이 벽부(11)에 구비된 유통구(14), 상기 흡인실(13)의 토출유로(21)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집진실(12)에 접속되어 있는 바이패스유로(22)를 포함하고 있다.
종래와 같이, 상기 흡입구(15)에는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2)의 일단에 마련된 접속파이프(3)가 탈착자재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필터(50)는 내부가 빈 절두원추형으로 되어 있고, 상기 필터(50)의 소직경부는 개구되어서 상기 흡입구(15)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50)의 대직경부는 막힌 상태에서 상기 칸막이 벽부(11)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토출유로(21)의 하류단에는 밸브(V1)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바이패스유로(22)의 도중에는 밸브(V2)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송풍기(20)의 흡입측에 인접한 본체 부위에는 제2흡입구(17)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제2흡입구(17)에는 상기 흡인실(13)을 선택적으로 외부와 유통가능하게 하는 밸브(V3)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통구(14)에는 밸브(V4)가 개재되어 있다.
또한, 본체(10)에는,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자신의 어께에 멜수 있도록 멜빵(7)이 장착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휴대하여 도로, 보도 등에 떨어져 있는 낙엽 등을 상기 진공 청소기(100-10)에 의해 용이하게 포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장관(5)에는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기(500)가 유통가능하게 개재되어 있다.
상기 절단기(500)는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관(5)의 도중에 개재된 케이싱(561), 상기 케이싱(561) 내에 고정된 열십자형상의 지지틀(562), 상기 지지틀(562)에 구비된 지지대(563)에 장착된 모터 또는 원동기(564), 상기 지지틀(562)의 중앙에 개재된 축받이(565)를 관통하여 뻗어 있는 회전축(566a)에 장착된 커터(566)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커터(566)는 상기 회전축(566a)이 내접고정된 디스크(567), 상류측을 마주하는 상기 디스크(567)의 면에 동일한 위상차를 두고서 장착된 블레이드(568)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디스크(567)의 외경은 상기 케이싱(561)의 내경보다 작게 되어 있어서, 상기 흡입덕트구(6)를 경유하여 흡입되어 상기 커터(566)에 의해 절단된 고형물이 용이하게 상기 집진실(12)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관(5)에는 상기 절단기(500)의 입구측에 밸브(V7)를 개재하여 일단이 접속되어 있는 바이패스유로(569)의 타단이 상기 절단기(500)의 출구측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관(5)에는 상기 절단기(500)의 출구측에 바로 인접한 위치에 밸브(V8)가 개재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진공 청소기(100-1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1. 청소기 외측 바닥을 청소하는 경우
밸브(V2, V3, V7)를 닫고 밸브(V1, V4, V8)를 개방한 상태에서 송풍기(20)와 모터 또는 원동기(564)를 가동하면, 흡인실(13)이 음압상태가 되어, 상기 흡입 덕트구(6) 밖의 공기와 고형물(예를 들면 낙엽 등)이, 흡입 덕트구(6)을 경유하여 연장관(5) 내로 유입되게 되고, 상기 연장관(5) 내로 유입된 고형물이 절단기(500)에 의해 절단된 다음, 선단파이프(4), 호스(2), 접속파이프(3) 및 흡입구(15)를 경유하여 집진실(12)로 유입되게 되고, 상기 집진실(12)에 유입된 고형물은 상기 필터(50)를 관통하지 못하고 상기 필터(50) 내에 쌓이게 되고 상기 필터(5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유통구(14)를 관통하여 상기 흡인실(13)과 상기 토출유로(21)를 경유하여 상기 본체(10) 밖으로 배출된다.
2. 필터(50)를 청소하는 경우
필터(50) 청소시에는, 밸브(V1, V4, V8)를 닫고 밸브(V2, V3, V7)를 개방한 상태에서 송풍기(20)와 모터 또는 원동기(564)를 가동하면, 흡인실(13)이 음압상태가 되어 외기가 상기 밸브(V3)를 경유하여 토출유로(21) 및 바이패스유로(22)를 통하여 상기 집진실(12) 내로 유입된다.
상기 바이패스유로(22)를 경유하여 상기 집진실(12)내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필터(50)를 관통하면서, 상기 필터(50) 내면에 붙어 있는 고형물이 상기 필터(50)의 내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게 되고, 상기 필터(50)의 내부에 유입된 공기는 상기 분리된 고형물을 상기 흡입구(15), 상기 접속파이프(3), 호스(2), 선단파이프(4), 연장관(5), 바이패스유로(569), 연장관(5), 흡입덕트구(6)를 경유하여 밖으로 방출된다.
상기 필터(50)의 청소시에 상기 흡입구(15)에서 접속파이프(3)를 빼어내고 일단이 포집포대(70)에 일단이 접속되어 있는 포집관(71)의 타단을 상기 흡입구(1)에 접속시키면, 사용자가 고형물을 손에 접촉함 없이 용이하게 상기 본체(10)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11실시예의 진공 청소기가 도 32 내지 도 3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11실시예의 진공 청소기가 도 32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32에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가 부호 100-11로서 지시되어 있다.
상기 진공 청소기(100-11)에는,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통구(14)가 마련된 칸막이 벽부(11)와 제2유통구(42)가 마련된 제2칸막이 벽부(40)에 의해 본체(10) 내부에 집진실(12), 흡인실(13) 및 토출실(19)이 나누어 구획형성되어 있다.
상기 집진실(12)에는 청소대상물이 유입되는 흡입구(15)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집진실(12) 내에는 상기 흡입구(15)를 통하여 유입되는 고형물을 여과하는 필터(50)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토출실(19)에는 상기 집진실(12)에서 유통구(14)를 통하여 흡인실(13)에 유입되어 상기 흡인실(13)에서 제2유통구(42)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를 방출시키는 토출구(16)가 마련되어 있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뒷벽 외측에서 회전축(43)이 상기 제2칸막이 벽부(40)의 뒷변과 마주하게 배치되어 상기 본체(10) 외측에 마련된 브래킷(49)에 원동기(M)가 탈착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43)의 선단에는 상기 제2칸막이 벽부(40)의 뒷변을 앞변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관통하여 일단이 상기 제2유통구(42)에 노출되어 있는 구동축(44)의 타단이 전자클러치(45)를 개재하여 탈착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구동축(44)의 일단에는 상기 제2유통구(42) 내에 배치된 구동베벨기어(46)가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다.
상기 구동베벨기어(46)에는 상기 제2유통구(42) 내에 배치된 피동베벨기어(47)가 치합되어 있고, 상기 피동베벨기어(47)에는 일단이 상기 유통구(14) 쪽으로 뻗어서 상기 제2칸막이 벽부(40)에 브래킷(41)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피동축(48)의 타단이 고정적으로 내접되어 있다.
상기 피동축(48)의 일단에는 본체(10) 밖의 낙엽 등의 고형물을 상기 흡입구(15)를 통하여 집진실(12) 내부로 유입하고, 고형물과 함께 유입된 공기를 필터(50)에 의해 여과하여 고형물이 제거된 공기를 상기 유통구(14)를 통하여 상기 흡인실(13)에 유입하고 상기 흡인실(13)에 유입된 공기를 상기 토출실(19)의 토출구(16)에 방출시키는 송풍기(20)의 날개부(28)가 상기 흡인실(13)에 배치되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송풍기(20)의 날개부(28)는 흡입구(15)에서 토출구(16)쪽으로 유체이동을 유도할 수 있는 날개들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2칸막이 벽부(40)의 앞벽 중앙에는, 상기 구동축(44)의 회전중심축선과 동일한 회전중심축선을 갖는 자세전환축(33)이 삽입고정되어 돌출되어 있고, 상기 자세전환축(33)은 상기 본체(10)의 앞벽에 형성된 관통구멍(37b)을 회전가능하게 관통하여 있어서, 상기 제2칸막이 벽부(40)는, 상기 구동축(44)과 자세전환축(33)을 중심으로 상기 본체(1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본체(10) 밖으로 돌출된 상기 자세전환축(33)의 선단에는 핸들(34)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핸들(34)의 일단에는 탄성적으로 출몰하는 출몰핀(35)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송풍기(20)의 날개부(28)가 상기 유통구(14)와 마주하고 있는 때와 상기 토출구(16)와 마주하고 있을 때의 상기 핸들(34)의 위치에서 마주하고 있는 본체(10) 부위에는 상기 출몰핀(35)이 삽입되는 홈(3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진공청소기(100-11)의 본체(10)의 앞벽에는 사용자의 어께에 본체(10)를 멜 수 있도록 멜빵(7)이 구비되어 있고, 사용자가 어께에 상기 본체(10)를 걸칠때 상기 핸들(34)이 사용자의 등을 자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8)가 탈착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진공 청소기(100-11)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1. 청소기 외측 바닥을 청소하는 경우(도 33참조)
전자클러치(45)를 오프하여, 회전축(43)과 구동축(44) 간의 결합을 해제한 상태에서, 핸들(34)을 돌려서 상기 송풍기(20)의 날개부(28)가 상기 토출구(16)와 마주하고 있게 한 다음, 상기 전자클러치(45)를 온시켜, 회전축(43)과 구동축(44) 간의 결합을 수행한 상태에서, 상기 원동기(M)를 가동하게 되면, 날개부(28)가 작동하여, 상기 흡인실(13)에 음압이 형성되어서 본체(10) 밖의 바닥에 존재하는 낙엽 등의 고형물이 흡인턱트구(6)를 통하여 상기 흡입구(15)를 경유하여 집진실(12)내로 유입되게 되고, 상기 유입된 고형물은 상기 필터(50)를 관통하지 못하고 상기 집진실(12) 내에 쌓이게 되고 상기 필터(5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유통구(14) 및 제2유통구(42)를 관통하여 상기 흡인실(13)과 상기 토출실(19)을 경유하여 상기 토출구(16)를 통하여 상기 본체(10) 밖으로 배출된다.
2. 필터(50)를 청소하는 경우(도 34참조)
전자클러치(45)를 오프하여, 회전축(43)과 구동축(44) 간의 결합을 해제한 상태에서, 핸들(34)을 돌려서 상기 날개부(28)가 상기 토출구(16)와 마주하고 있게 한 다음, 원동기(M)를 가동하게 되면, 날개부(28)가 작동하여, 상기 토출실(19)에 음압이 형성되어서 본체(10) 밖의 외기가 토출구(16)를 거쳐서 상기 토출실(19), 제2유통구(42), 상기 흡인실(13), 유통구(14) 및 집진실(12) 내로 유입되게 되고, 상기 집진실(12)내로 유입된 외기는 상기 필터(50)를 관통하면서 상기 필터(50)에 붙어 있는 고형물이 상기 필터(5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됨과 동시에 상기 집진실(12)에 축적된 고형물과 함께 상기 흡입구(15)를 경유하여 밖으로 방출된다.
이 상태에서 포집포대(70)에 일단이 접속되어 있는 포집관(71)의 타단을 상기 입구(7)에 접속시키면, 사용자가 고형물을 손에 접촉함 없이 용이하게 상기 본체(10)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제11실시예는 상기 송풍기(20)의 날개부(28) 앞쪽이 음압원일 때를 가정해서 설명된 것이며, 상기 송풍기(20)의 날개부(28) 뒤쪽이 음압원일 때에는 상기 제11실시예에서 바닥청소시와 필터청소시의 상기 칸막이 벽부(40)의 자세와 반대로 상기 칸막이 벽부(40)의 자세를 취하면 바닥청소와 필터청소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1실시예에서 상기 집진실(12) 내의 필터(50) 상류측에 상기 집진실(12) 내로 송풍기(20)의 음압원에 의해 유입되는 낙엽을 분쇄 또는 절단하기 위해 원동기(M)에 구동적으로 결합된 절단기가 구비되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낙엽은 표면적이 넓어서 낙엽과 함께 집진실 내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필터(50)를 관통하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상기 절단기가 상기 집진실에 내장되어 상기 원동기에 구동적으로 접속된 경우에는 상기 필터(50)가 상기 유통구(14)에 내접되어 있으면 용이하게 상기 절단기를 상기 원통기의 출력측에 구동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단기는 제10실시예와 같이 상기 연장관에 개재되어 있어도 되며, 이때에 상기 절단기는 상기 원동기와는 별개인 전동기에 구동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됨 없이 상기 실시예들 각각에 구비된 구성요소들이 서로 조합되어 만들어진 다른 실시예의 진공 청소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2; 호스, 3; 접속파이프, 4; 선단파이프, 5; 연장관, 6; 흡입덕트구, 7; 멜빵, 8; 커버, 10; 본체, 11; 칸막이벽부, 12; 집진실, 13; 흡인실, 14; 유통구, 15; 흡입구, 16; 토출구, 17; 제2흡입구, 18; 출구, 19; 토출실, 20; 송풍기, 20a; 송풍기, 20b; 송풍기, 21; 토출유로, 22; 바이패스유로, 22a; 헤더관, 22b; 슬롯구멍. 23; 출력축, 24; 회전축, 25; 구동부, 27; 회전축, 28; 날개부, 28a; 날개부, 28b; 날개부, 30; 턴테이블, 33; 자세전환축, 33a; 제1자세전환축, 33b; 제2자세전환축, 34; 핸들, 35; 출몰핀, 36; 홈, 37a; 홈, 37b; 관통구멍, 40; 제2칸막이 벽부, 41; 브래킷, 42; 제2유통구, 43; 회전축, 44; 구동축, 45; 전자클러치, 46; 구동베벨기어, 47; 피동베벨기어, 48; 피동축, 49; 브래킷, 50; 필터, 51; 소직경부, 52; 대직경부 53; 제1메시층, 54; 제2메시층, 55; 날개부, 56; 입구, 60; 제2필터, 61, 중심축, 62, 롤러, 63; 피동기어, 64; 구동기어, 70; 포집부, 71; 포집관, 72; 필터, 73; 개구, 74; 지그재그 유로부, 80; 고형물방출관, 81; 피동기어, 90; 사이클론, 91; 흡입유로, 92; 배출유로, 93; 먼지수납함, 200; 쑤시개부, 210; 정역구동모터, 220; 피니온, 230; 로드, 231; 랙부, 240; 우산살부, 300; 방향반전수단, 400; 팬, 500; 절단기, 561; 케이싱, 562; 지지틀, 563; 지지대, 564; 모터 또는 원동기, 565; 축받이, 566; 커터, 566a; 회전축, 567; 디스크, 568; 블레이드, 569; 바이패스유로, C1; 전자클러치, C2; 전자클러치 M; 모터 또는 원동기, V1~V8; 밸브

Claims (2)

  1. 흡인실에 배치된 송풍기의 흡입력를 이용하여 청소기 본체 외부에 존재하는 청소대상물을 집진실에 축적시키고, 상기 송풍기의 토출력을 이용하여 청소기의 집진실에 축적된 청소대상물을 청소기 본체 밖으로 방출시키는 진공청소기.
  2. 흡인실에 배치된 송풍기의 흡입력를 이용하여 청소기 본체 외부에 존재하는 청소대상물을 집진실에 축적시키고, 상기 송풍기의 토출력을 이용하여 청소기의 집진실에 축적된 청소대상물을 청소기 본체 밖으로 방출시키되, 상기 청소대상물의 방출시에 상기 청소대상물이 상기 청소기 본체 밖으로 방출되는 토출구에 포집부가 접속되며, 상기 포집부에는 통기 가능한 필터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KR1020120103774A 2012-09-19 2012-09-19 진공청소기 KR201400375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774A KR20140037522A (ko) 2012-09-19 2012-09-19 진공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774A KR20140037522A (ko) 2012-09-19 2012-09-19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7522A true KR20140037522A (ko) 2014-03-27

Family

ID=50646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3774A KR20140037522A (ko) 2012-09-19 2012-09-19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752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029B1 (ko) * 2014-09-18 2016-01-06 주식회사 중정 진공청소기
KR20160001269A (ko) * 2014-06-27 2016-01-06 주식회사 중정 진공청소기
CN114847795A (zh) * 2022-05-27 2022-08-05 钱江集团温岭正峰动力有限公司 一种清洁机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269A (ko) * 2014-06-27 2016-01-06 주식회사 중정 진공청소기
KR101583029B1 (ko) * 2014-09-18 2016-01-06 주식회사 중정 진공청소기
CN114847795A (zh) * 2022-05-27 2022-08-05 钱江集团温岭正峰动力有限公司 一种清洁机
CN114847795B (zh) * 2022-05-27 2024-05-14 钱江集团温岭正峰动力有限公司 一种清洁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84754B2 (ja) 真空掃除機用サイクロン集塵装置
JP5052686B2 (ja) 内部ツインモーター駆動システムを備えたアジテーター
CN104127158B (zh) 一种洗地吸干机
CN105286732A (zh) 一种水洗清洁装置
KR101372513B1 (ko) 진공 청소기
CN104042166B (zh) 电吸尘器
AU2007234560A1 (en) Upright vacuum cleaner using return current of discharging air
CN104042167B (zh) 电吸尘器
KR20140037522A (ko) 진공청소기
KR101392428B1 (ko) 진공청소기
JP6251700B2 (ja) 舗装材切断装置における切断ダスト回収方法並びに装置並びにこの装置を具えた舗装材切断装置
JPH09135795A (ja) 電気掃除機
JP2010035954A (ja) 電気掃除機
JP2004255119A (ja) 電気掃除機
KR101245673B1 (ko) 진공청소기
JP5258438B2 (ja) 電気掃除機
KR20200109488A (ko) 스팀물걸레 진공청소기
JP2006101904A (ja) 電気掃除機
KR101311866B1 (ko) 진공 청소기
KR101245672B1 (ko) 전기 진공청소기
KR101433087B1 (ko) 음압과 양압에 의해 실내를 청소하는 붙박이 청소기
CN205397512U (zh) 一种具有自动清网功能的谷物收集机
KR101468509B1 (ko) 진공 청소기
KR101144669B1 (ko) 청소기
JP2010051743A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