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6827A - 다공성친수성기재를 이용한 마이크로 유체 채널 검사키트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공성친수성기재를 이용한 마이크로 유체 채널 검사키트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6827A
KR20140036827A KR1020120103429A KR20120103429A KR20140036827A KR 20140036827 A KR20140036827 A KR 20140036827A KR 1020120103429 A KR1020120103429 A KR 1020120103429A KR 20120103429 A KR20120103429 A KR 20120103429A KR 20140036827 A KR20140036827 A KR 20140036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ous hydrophilic
hydrophilic substrate
lower film
microfluidic channel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3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5624B1 (ko
Inventor
유준호
이상호
강희석
강경태
황준영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03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5624B1/ko
Publication of KR20140036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6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5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5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8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stream of discrete samples flowing along a tube system, e.g. flow injection analy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1/78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producing a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 G01N31/22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hemical indic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029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provided with flat sample substrates, e.g. slides
    • G01N2035/00099Characterised by type of test elements
    • G01N2035/00158Elements containing microarrays, i.e. "biochip"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 유체 채널 검사키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공성친수성기재를 절단하여 접착하고 인쇄공정을 통해 소수성 벽을 형성하여 생산단가를 낮추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마이크로 유체 채널을 형성할 수 있는 다공성친수성기재를 이용한 마이크로 유체 채널 검사키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공성친수성기재를 이용한 마이크로 유체 채널 검사키트는, 소수성의 하부필름과; 상기 하부필름의 상면에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접착되는 다공성친수성기재와;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의 일단에는 도포된 반응시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는, 타단으로부터 흡수된 액체상태의 테스트시료를 상기 반응시약이 도포된 일단으로 이동시키는 마이크로 유체 채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공성친수성기재를 이용한 마이크로 유체 채널 검사키트 및 이의 제조방법 { Microfluidic channel detection ki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
본 발명은 마이크로 유체 채널 검사키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공성친수성기재를 절단하여 접착하고 인쇄공정을 통해 소수성 벽을 형성하여 생산단가를 낮추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마이크로 유체 채널을 형성할 수 있는 다공성친수성기재를 이용한 마이크로 유체 채널 검사키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공성 친수성 기재의 마이크로 유체 시스템 제조 분야에 있어 사용되는 채널의 일반적인 제조 방법은 도 1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제작 공정을 살펴보면, (1) 다공성 친수성 기재를 감광제로 적시는 단계, (2) 적신 기판을 소정 패턴의 광에 노출하는 단계, (3) 패턴에 기초하여 감광제를 제거하여 감광제로 이루어진 소수성 장벽을 형성하는 단계(현상)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조 공정은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이용하므로 포토 마스크를 이용하여 사진 식각 공정을 사용하여 구조를 형성한다.
이 과정에서 고가의 반도체 공정과 재료를 사용하게 되므로 생산 단가도 높아지게 된다.
또한, 기존의 제작 기술은 고가의 포토리소그래피공정을 이용하여, CVD 공정, 사진 감광 공정을 진행하여 채널을 제작한다.
이러한 공정을 사용하게 되면, 원하는 패턴을 얻기 위하여, CAD 도면 작업 후, 포토마스크를 사용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서 설계 변경이 불가능하며, 특정 물질을 현상해 내는 공정만을 사용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유해 화학물질을 이용한 세정 공정이 필요하고, 폐액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8340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고가의 포토리소그래피공정이 아닌 접착 및 인쇄(도포)공정 등을 통해 마이크로 유체 채널을 형성하여, 생산단가를 낮추고, 작업시 설계변경이 용이하며, 폐액 등이 발생하는 않는 다공성친수성기재를 이용한 마이크로 유체 채널 검사키트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공성친수성기재를 이용한 마이크로 유체 채널 검사키트는, 소수성의 하부필름과; 상기 하부필름의 상면에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접착되는 다공성친수성기재와;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의 일단에는 도포된 반응시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는, 타단으로부터 흡수된 액체상태의 테스트시료를 상기 반응시약이 도포된 일단으로 이동시키는 마이크로 유체 채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는, 니트로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종이, 여과지, 종이, 천, 다공성 폴리머 필름 중 어느 하나가 커팅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양측에는 씰링제가 도포되어 상기 하부필름에 결합되되, 상기 씰링제는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의 양측단면을 통해 상기 테스트시료가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의 타단에서 일단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한다.
상기 씰링제는, UV접착제, 일액형 에폭시 접착제, 일액형 아크릴계 접착제, UV잉크, 감광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는, 타단으로부터 흡수된 액체상태의 테스트시료를 상기 반응시약이 도포된 일단으로 이동시키는 채널부와; 상기 채널부의 양측에 돌출 형성된 흡수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씰링제는 상기 흡수부에 도포되어 흡수되면서 상기 하부필름에 결합된다.
상기 하부필름에는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가 배치된 하부에 회피공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필름과 상기 채널부가 비접촉하되, 상기 흡수부는 상기 하부필름에 결합되어 상기 채널부를 지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의 외곽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필름의 상면에 접착되는 소수성의 상부필름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필름은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의 측단면에서 상기 테스트시료가 증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한다.
상기 상부필름은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의 측단면에 인접하게 이격되거나 접하고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양측에는 씰링제가 도포되어 상기 하부필름에 결합되되, 상기 씰링제는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와 상기 상부필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와 상기 상부필름 사이를 통해 상기 테스트시료가 상기 반응시약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한다.
이러한,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는, 타단으로부터 흡수된 액체상태의 테스트시료를 상기 반응시약이 도포된 일단으로 이동시키는 채널부와; 상기 채널부의 양측에서 상기 상부필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흡수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씰링제는 상기 흡수부에 도포되어 흡수되면서 상기 하부필름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공성친수성기재를 이용한 마이크로 유체 채널 검사키트의 제조방법은, 소수성의 하부필름을 준비하는 하부필름준비단계와; 다공성친수성기재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준비하는 다공성친수성기재준비단계와; 일정한 크기로 절단된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를 상기 하부필름의 상면에 접착하는 제1접착단계와;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양측에 씰링제를 도포하는 씰링단계와;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의 일단에 반응시약을 도포하는 시약도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마이크로 유체 채널을 형성하는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의 타단으로부터 흡수된 액체상태의 테스트시료는 상기 반응시약이 도포된 일단으로 이동되고, 상기 씰링제는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의 양측단면을 통해 상기 테스트시료가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의 타단에서 일단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준비단계에서는,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를, 상기 테스트시료가 흡수되어 이동하는 채널부와; 상기 채널부의 양측에서 돌출된 흡수부가 형성되게 절단하여 준비하고, 상기 씰링단계에서는, 상기 씰링제를 상기 흡수부에 도포하여 상기 하부필름에 결합한다.
상기 하부필름준비단계에서는, 상기 하부필름에 회피공을 형성하여 상기 하부필름과 상기 채널부가 비접촉되도록 하되, 상기 제1접착단계에서는 상기 흡수부를 상기 하부필름에 접착하여 상기 채널부를 지지하도록 한다.
상기 제1접착단계 후 상기 씰링단계 이전에,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의 외곽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필름의 상면에 소수성의 상부필름을 접착하는 제2접착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필름은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의 측단면에 인접하게 이격되거나 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의 측단면에서 상기 테스트시료가 증발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씰링단계에서는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와 상기 상부필름 사이에 상기 씰링제를 도포하여 상기 하부필름에 결합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공성친수성기재를 이용한 마이크로 유체 채널 검사키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고가의 포토리소그래피공정이 아닌 다공성친수성기재를 커팅한 후 접착하고 씰링제 및 반응시약을 다공성친수성기재에 인쇄(도포)하여 마이크로 유체 채널 및 소수성 벽을 형성하는바, 생산이 용이하고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작업시 설계변경이 용이하며, 화학물질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폐액 등이 발생하는 않는다.
또한, 씰링제 및 상부필름에 의해 보다 정확한 검사결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마이크로 유체 채널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유체 채널 검사키트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씰링제 및 흡수부를 설명하기 위한 비교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유체 채널 검사키트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유체 채널 검사키트의 조립전 및 조립후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유체 채널 검사키트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유체 채널 검사키트의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유체 채널 검사키트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씰링제 및 흡수부를 설명하기 위한 비교설명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유체 채널 검사키트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유체 채널 검사키트의 조립전 및 조립후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마이크로 유체 채널 검사키트는, 하부필름(10)과, 다공성친수성기재(20)와, 반응시약(30)과, 상부필름(40)과, 씰링제(5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위 구성요소 중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필름(40), 씰링제(50)는 경우에 따라 제외될 수도 있다.
상기 하부필름(10)은 소수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예로서 PVC필름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20)는 상기 하부필름(10)의 상면에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접착된다.
이러한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20)는, 니트로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종이, 여과지, 종이, 천, 다공성 폴리머 필름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커팅기에 의해 일정한 형상 및 크기로 커팅되어 형성된다.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20)는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 등에 의해 상기 하부필름(10)의 상면에 접착된다.
위와 같은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20)는, 타단으로부터 흡수된 액체상태의 테스트시료를 상기 반응시약(30)이 도포된 일단으로 이동시키는 마이크로 유체 채널을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20)는 후술한 바와 같이 채널부(21)와 흡수부(22)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시약(30)은 테스트시료에 대하여 반응을 하는 물질로써 검사, 진단 종류에 따라 다양한 약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20)의 일단에 잉크젯 등에 의해 인쇄(도포)된다.
상기 상부필름(40)은 상기 하부필름(10)과 같이 소수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20)의 외곽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필름(10)의 상면에 접착된다.
위와 같은 상기 상부필름(40)은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 등에 의해 상기 하부필름(10)의 상면에 접착된다.
상기 상부필름(40)은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20)의 측단면에서 상기 테스트시료가 증발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필름(4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20)의 측단면에 인접하게 이격되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접적으로 접하고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필름(40)의 내측면이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20)의 측단면에 접하여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20)의 측단면에서 상기 테스트시료가 공기중으로 증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상부필름(40)의 형상을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20)의 일단의 형상과 동일하게 제작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경우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간 이격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씰링제(50)는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20)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양측에서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20)와 상기 상부필름(40) 사이에 배치되어, 소수성 벽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20)와 상기 상부필름(40) 사이를 통해 상기 테스트시료가 상기 반응시약(30)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20)의 타단을 액체상태의 테스트시료에 넣으면,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20)의 측단면의 모서리를 따라 이동하는 테스트시료의 속도가 가장 빠르게 작용하게 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하부필름(10)을 타고 올라온 테스트시료가 상기 반응시약(30) 쪽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씰링제(50)가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20)의 양측에서 상기 하부필름(10)에 접착되어 상기 테스트시료의 이동을 차단하기 때문에,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20)를 통한 상기 테스트시료의 이동만으로 허용하는바, 상기 테스트시료에 대한 보다 균일하고 정확한 검사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씰링제(50)는, UV접착제, 일액형 에폭시 접착제, 일액형 아크릴계 접착제, UV잉크, 감광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씰링제(50)는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20)와 상기 상부필름(40)의 사이에서 상기 하부필름(10)에 결합되게 도포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20)를 채널부(21)와 흡수부(22)로 형성하고 상기 흡수부(22)에 상기 씰링제(50)를 도포하도록 한다.
상기 씰링제(50)는 상기 흡수부(22)에 도포되어 흡수되면서 상기 하부필름(10)에 결합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채널부(21)는 긴 스트립 타입으로 형성되어 타단으로부터 흡수된 액체상태의 테스트시료를 상기 반응시약(30)이 도포된 일단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흡수부(22)는 상기 채널부(21)의 양측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채널부(21)의 양측에 상기 흡수부(22)를 형성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씰링제(50)가 상기 채널부(21)와 상기 상부필름(40) 사이에 도포될 경우, 상기 씰링제(50)의 일부가 상기 채널부(21)에 흡수되어 상기 하부필름(10)에 접착됨으로써, 상기 채널부(21)의 폭을 본래의 폭보다 좁힐 수 있다.
그러나,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채널부(21)의 양측에 상기 흡수부(22)를 형성하고 여기에 상기 씰링제(50)를 도포할 경우에는, 상기 씰링제(50)가 상기 흡수부(22)에 도포되면서 상기 하부필름(10)에 접착됨에 따라 상기 채널부(21) 폭을 본래의 폭과 거의 동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채널부(21)의 타단을 통해 흡수된 테스트시료가 균일하게 일단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정확한 검사결과치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마이크로 유체 채널 검사키트는 상기 상부필름(40)을 제외하고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씰링제(50)는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20)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양측에 도포된다.
이때, 상기 씰링제(50)는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20)의 양측단면을 통해 상기 테스트시료가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20)의 타단에서 일단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한다.
물론 이 경우,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20)를 구성하는 상기 채널부(21)의 양측에 상기 씰링제(50)가 도포되는 상기 흡수부(22)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씰링제(50)가 상기 흡수부(22)에 도포되어 흡수되면서 상기 하부필름(10)에 결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유체 채널 검사키트의 조립전 및 조립후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 및 도 5와 비교하여, 상기 하부필름(10)에 회피공(11)이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회피공(11)은 상기 하부필름(10)에서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20)가 배치된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필름(10)과 상기 채널부(21)가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채널부(21)에서 돌출된 상기 흡수부(22)는 상기 하부필름(10)에 결합되어 상기 채널부(21)를 지지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씰링제(50)는 상기 흡수부(22)에 도포되어 상기 하부필름(10)을 타고 이동하는 테스트시료의 이동을 저지한다.
또한, 상기 채널부(21)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하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채널부(21)의 일단에도 흡수부(22)를 추가로 형성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상기 하부필름(10)에 상기 채널부(21)와 비접촉하는 상기 회피공(11)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채널부(21)의 상면 및 하면이 다른 구성과 접촉되어 있지 않는바, 상기 테스트시료가 다른 구성에 간섭없이 상기 채널부(21)만을 통해 균일하고 이동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검사결과치를 얻을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마이크로 유체 채널 검사키트의 제조방법은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필름준비단계(S1)와, 다공성친수성기재준비단계(S2)와, 제1접착단계(S3)와, 제2접착단계(S4)와, 씰링단계(S5)와, 시약도포단계(S6)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유체 채널 검사키트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유체 채널 검사키트의 공정도이다.
도 8은 상기 하부필름준비단계(S1), 다공성친수성기재준비단계(S2)를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제1접착단계(S3) 및 제2접착단계(S4)를 도시한 것이며, 도 10은 상기 씰링단계(S5)를 도시한 것이고, 도 11은 시약도포단계(S6)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하부필름준비단계(S1)는 소수성의 상기 하부필름(10)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준비단계(S2)는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20)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준비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준비단계(S2)에서는, 상기 채널부(21)와 상기 흡수부(22)가 형성되게 절단하여 준비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필름(40)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필름(40)도 준비한다.
상기 제1접착단계(S3)는 일정한 크기로 절단된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20)를 상기 하부필름(10)의 상면에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 등을 통해 접착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2접착단계(S4)는 소수성의 상기 상부필름(40)을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20)의 외곽에 배치되게 상기 하부필름(10)의 상면에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접착하는 단계이다.
물론, 상기 상부필름(40)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제2접착단계(S4)가 생략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필름(40)이 있는 경우를 전제로 하여 설명한다.
상기 씰링단계(S5)는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20)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양측에 상기 씰링제(50)를 도포하여 소수성 벽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20)와 상기 상부필름(40) 사이에 상기 씰링제(50)를 도포하여,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20)와 상기 상부필름(40) 사이의 틈을 상기 씰링제(50)가 메우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씰링단계에서는, 상기 씰링제(50)를 상기 흡수부(22)에 도포하여 상기 하부필름(20)에 결합하도록 한다.
상기 시약도포단계(S6)는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20)의 일단에 상기 반응시약(30)을 도포하는 단계이다.
위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본 발명의 마이크로 유체 채널 검사키트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20)의 타단을 액체상태의 테스트시료에 침수시킨다.
그러면, 액체상태의 상기 테스트시료는 마이크로 유체 채널을 형성하는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20)에 흡수되면서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20)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반응시약(30)이 도포된 일단으로 점점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20)의 측단면을 따라 이동하는 테스트시료가 다른 부분보다 빠르게 이동하거나, 상기 하부필름(10)을 타고 테스트시료가 상기 반응시약(30) 쪽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20)의 양측에 상기 씰링제(50)가 도포되어 있는바,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20)의 양측단면 및/또는 상기 하부필름(10)을 타고 이동하는 테스트시료는 상기 씰링제(50)에 의해 그 이동이 저지된다.
따라서,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20)의 타단에서 일단으로 이동하는 정상적인 테스트시료만이 상기 반응시약(30) 쪽으로 이동하여 반응할 수 있는바, 보다 정확한 검사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필름(40)이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20)의 측단면에 인접하게 이격되거나 접하고 있는바,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20)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테스트시료가 외부로 증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검사결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마이크로 유체 채널 검사키트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작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하부필름준비단계(S1)에서 상기 하부필름(10)에 상기 회피공(11)을 형성하여 상기 하부필름(10)과 상기 채널부(21)가 비접촉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회피공(11)의 크기는 상기 채널부(21)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접착단계(S3)에서는 상기 흡수부(22)를 상기 하부필름(10)에 접착하여 상기 채널부(21)를 지지하도록 한다.
그 이외의 다른 단계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 유사한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인 다공성친수성기재를 이용한 마이크로 유체 채널 검사키트 및 이의 제조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하부필름, 11 : 회피공, 20 : 다공성친수성기재, 21 : 채널부, 22 : 흡수부, 30 : 반응시약, 40 : 상부필름, 50 : 씰링제,
S1 : 하부필름준비단계, S2 : 다공성친수성기재준비단계, S3 : 제1접착단계, S4 : 제2접착단계, S5 : 씰링단계, S6 : 시약도포단계.

Claims (14)

  1. 소수성의 하부필름과;
    상기 하부필름의 상면에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접착되는 다공성친수성기재와;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의 일단에는 도포된 반응시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는, 타단으로부터 흡수된 액체상태의 테스트시료를 상기 반응시약이 도포된 일단으로 이동시키는 마이크로 유체 채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친수성기재를 이용한 마이크로 유체 채널 검사키트.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는, 니트로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종이, 여과지, 종이, 천, 다공성 폴리머 필름 중 어느 하나가 커팅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친수성기재를 이용한 마이크로 유체 채널 검사키트.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양측에는 씰링제가 도포되어 상기 하부필름에 결합되되,
    상기 씰링제는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의 양측단면을 통해 상기 테스트시료가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의 타단에서 일단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친수성기재를 이용한 마이크로 유체 채널 검사키트.
  4.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씰링제는,
    UV접착제, 일액형 에폭시 접착제, 일액형 아크릴계 접착제, UV잉크, 감광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친수성기재를 이용한 마이크로 유체 채널 검사키트.
  5.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는,
    타단으로부터 흡수된 액체상태의 테스트시료를 상기 반응시약이 도포된 일단으로 이동시키는 채널부와;
    상기 채널부의 양측에 돌출 형성된 흡수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씰링제는 상기 흡수부에 도포되어 흡수되면서 상기 하부필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친수성기재를 이용한 마이크로 유체 채널 검사키트.
  6. 청구항5에 있어서,
    상기 하부필름에는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가 배치된 하부에 회피공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필름과 상기 채널부가 비접촉하되,
    상기 흡수부는 상기 하부필름에 결합되어 상기 채널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친수성기재를 이용한 마이크로 유체 채널 검사키트.
  7.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의 외곽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필름의 상면에 접착되는 소수성의 상부필름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필름은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의 측단면에서 상기 테스트시료가 증발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친수성기재를 이용한 마이크로 유체 채널 검사키트.
  8. 청구항6에 있어서,
    상기 상부필름은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의 측단면에 인접하게 이격되거나 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친수성기재를 이용한 마이크로 유체 채널 검사키트.
  9. 청구항7 또는 청구항8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양측에는 씰링제가 도포되어 상기 하부필름에 결합되되,
    상기 씰링제는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와 상기 상부필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와 상기 상부필름 사이를 통해 상기 테스트시료가 상기 반응시약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친수성기재를 이용한 마이크로 유체 채널 검사키트.
  10. 청구항9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는,
    타단으로부터 흡수된 액체상태의 테스트시료를 상기 반응시약이 도포된 일단으로 이동시키는 채널부와;
    상기 채널부의 양측에서 상기 상부필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흡수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씰링제는 상기 흡수부에 도포되어 흡수되면서 상기 하부필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친수성기재를 이용한 마이크로 유체 채널 검사키트.
  11. 소수성의 하부필름을 준비하는 하부필름준비단계와;
    다공성친수성기재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준비하는 다공성친수성기재준비단계와;
    일정한 크기로 절단된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를 상기 하부필름의 상면에 접착하는 제1접착단계와;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양측에 씰링제를 도포하는 씰링단계와;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의 일단에 반응시약을 도포하는 시약도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마이크로 유체 채널을 형성하는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의 타단으로부터 흡수된 액체상태의 테스트시료는 상기 반응시약이 도포된 일단으로 이동되고,
    상기 씰링제는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의 양측단면을 통해 상기 테스트시료가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의 타단에서 일단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친수성기재를 이용한 마이크로 유체 채널 검사키트의 제조방법.
  12. 청구항11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준비단계에서는,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를, 상기 테스트시료가 흡수되어 이동하는 채널부와; 상기 채널부의 양측에서 돌출된 흡수부가 형성되게 절단하여 준비하고,
    상기 씰링단계에서는,
    상기 씰링제를 상기 흡수부에 도포하여 상기 하부필름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친수성기재를 이용한 마이크로 유체 채널 검사키트의 제조방법.
  13. 청구항12에 있어서,
    상기 하부필름준비단계에서는,
    상기 하부필름에 회피공을 형성하여 상기 하부필름과 상기 채널부가 비접촉되도록 하되,
    상기 제1접착단계에서는 상기 흡수부를 상기 하부필름에 접착하여 상기 채널부를 지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친수성기재를 이용한 마이크로 유체 채널 검사키트의 제조방법.
  14. 청구항11 내지 청구항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착단계 후 상기 씰링단계 이전에,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의 외곽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필름의 상면에 소수성의 상부필름을 접착하는 제2접착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필름은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의 측단면에 인접하게 이격되거나 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의 측단면에서 상기 테스트시료가 증발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씰링단계에서는 상기 다공성친수성기재와 상기 상부필름 사이에 상기 씰링제를 도포하여 상기 하부필름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친수성기재를 이용한 마이크로 유체 채널 검사키트의 제조방법.
KR1020120103429A 2012-09-18 2012-09-18 다공성친수성기재를 이용한 마이크로 유체 채널 검사키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85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429A KR101385624B1 (ko) 2012-09-18 2012-09-18 다공성친수성기재를 이용한 마이크로 유체 채널 검사키트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429A KR101385624B1 (ko) 2012-09-18 2012-09-18 다공성친수성기재를 이용한 마이크로 유체 채널 검사키트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827A true KR20140036827A (ko) 2014-03-26
KR101385624B1 KR101385624B1 (ko) 2014-04-15

Family

ID=50645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3429A KR101385624B1 (ko) 2012-09-18 2012-09-18 다공성친수성기재를 이용한 마이크로 유체 채널 검사키트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56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2629B1 (ko) * 2015-03-06 2016-08-31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유체흐름 소자
CN108169301A (zh) * 2018-03-15 2018-06-15 宁波雪弗尔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高通量定量检测核酸反应密闭实验系统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3285B1 (ko) 2015-06-01 2017-05-0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온도 이력 측정용 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719320A1 (en) * 2008-03-27 2009-10-01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Three-dimensional microfluidic devic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2629B1 (ko) * 2015-03-06 2016-08-31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유체흐름 소자
CN108169301A (zh) * 2018-03-15 2018-06-15 宁波雪弗尔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高通量定量检测核酸反应密闭实验系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5624B1 (ko) 2014-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03272B (zh) 纸基底诊断装置及相关方法和系统
KR101385624B1 (ko) 다공성친수성기재를 이용한 마이크로 유체 채널 검사키트 및 이의 제조방법
WO2006023037A3 (en) Photopolymerizable silicone materials form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nsor applications
JP4681052B2 (ja) フローセ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533636A5 (ko)
KR20190083642A (ko) 미세유체 장치
JP2005140681A (ja) 微小流路デバイスおよびその作製方法
JP5821430B2 (ja) 液体吸収部材及び生体反応検出システム
Juang et al. Fabrication of microfluidic paper-based analytical devices by filtration-assisted screen printing
Juang et al. Rapid fabrication of microfluidic paper-based analytical devices by microembossing
US20150110688A1 (en) Channel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2004294388A (ja) 成分分析装置
Temiz et al. ‘Chip-olate’and dry-film resists for efficient fabrication, singulation and sealing of microfluidic chips
US11376582B2 (en) Fabrication of paper-based microfluidic devices
Hao et al. Fabrication for paper-based microfluidic analytical devices and saliva analysis application
CN101294972A (zh) 玻璃微-纳流控一体化芯片的制作方法
KR101511040B1 (ko) 미세채널에 플라즈모닉 구조를 선택적으로 갖는 미세유체칩을 제조하는 방법
KR101233906B1 (ko) 분석 요소의 제조 방법
FI20175637A1 (en) Microfluidic chip and a method of making a microfluidic chip
TWI388825B (zh) 流體檢測試片之基板
US9017995B2 (en) Liquid-transport and analytical test device
KR101393446B1 (ko) 마이크로 유체 채널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되는 마이크로 유체 채널
JP4283512B2 (ja) 試験用具、およびそれの製造方法
JP5139580B2 (ja) 分析用ストリップの基板
Jamal et al. Advances in microfluidics: Lab-on-a-chip to point of care diagnostic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