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6315A - 원격지원방법, 시스템 및 단말기 - Google Patents

원격지원방법, 시스템 및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6315A
KR20140036315A KR1020147002372A KR20147002372A KR20140036315A KR 20140036315 A KR20140036315 A KR 20140036315A KR 1020147002372 A KR1020147002372 A KR 1020147002372A KR 20147002372 A KR20147002372 A KR 20147002372A KR 20140036315 A KR20140036315 A KR 20140036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window
terminal
supported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2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종난 리
시지안 장
Original Assignee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36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63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8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emulation, e.g. Tel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3Arrangements for multi-party communication, e.g. for confere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L67/025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for remote control or remote monitoring of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원격지원방법, 시스템 및 단말기를 제시한다. 상기 방법은 피지원측 단말기와 지원측 단말기가 통신 프로토콜을 통하여 연결을 구축하는 것과; 피지원측 단말기가 지원이 필요한 창을 지정하고, 상기 창의 스크린샷을 지원측 단말기에 송신하는 것과; 지원측 단말기가 상기 창의 스크린샷을 표시하고 상기 창의 스크린샷에 대하여 지원작업을 수행하며, 상기 지원작업에 대응되는 지원작업정보를 피지원측 단말기에 송신하는 것과; 피지원측 단말기가 상기 지원작업정보에 따라 상기 창에 대하여 지원측 단말기의 지원작업을 수행하는 것; 을 포함한다. 해당 방법은 작업의 정확도를 제고하고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였다.

Description

원격지원방법, 시스템 및 단말기 {REMOTE ASSISTANCE METHOD, SYSTEM AND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컴퓨터 애플리케이션 기술분야에 관한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격지원방법, 시스템 및 단말기에 관한것이다.
컴퓨터기술과 네트워크기술이 신속히 발전함에 따라서, 사람들의 일상생활, 학습 및 근무중에서 인터넷(Internet)의 역할이 점점 커지고 있다.
원격지원은 네트워크에서 1개의 단말기(주제어측, Remote/클라이언트측)가 먼거리에 있는 다른 1개의 단말기(피제어측, Host/서버측)를 지원하는 기술이다. 단말기의 원격지원기술은 디스크 오퍼레이팅 시스템(DOS) 시기에 시작되었다. 원격지원은 일반적으로 LAN, WAN, 전화 접속, 인터넷방식등 네트워크 방식에서 사용가능하다. 이외에, 일부 원격제어소프트웨어는 또한 직렬포트, 병렬포트, 적외선포트등 방식으로 원격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종래기술의 원격지원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대부분은 원도우즈(Windows) 오퍼레이팅 시스템이 원래 가지고 있는 원격데스크톱 연결기능과 유사하며, 2개의 단말기(A와 B)사이에 연결을 구축하여, 1개의 단말기(A)가 다른 1개의 단말기(B)를 살펴보거나 제어할 수있도록 한다.
현재의 원격지원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디폴트한(default) 원격대상은 피지원측 단말기의 전체화면 데스크톱이다. 그러나 실제로 피지원측 단말기는 전체화면에 대하여 모두 지원이 필요한 것이 아니며, 많은 경우에 단지 일부 기능 혹은 일부 프로그램의 어느 하나의 창(window)에 문제가 발생하여 지원이 필요하기에, 원격측에 전체 화면의 데스크톱을 표시하는 것은 효율적이 아니며, 원격측에서 데스크톱의 어느 기능 혹은 어느 프로그램의 창에 대하여 지원해야 할지 이해하기 힘들거나 오작동이 발생하기 쉽다.
한편, 지원측 단말기에 피지원측 단말기의 전체 데스크톱을 표시하여야 하기때문에, 지원측 단말기의 스크린 해상도가 피지원측 단말기의 스크린 해상도보다 낮을 경우, 표시창에 스크롤바(SCROLL BAR)가 나타나서, 지원측은 피지원측 단말기의 데스크톱을 살펴보든지 데스크톱에 대하여 작업하든지 해야 하므로 모두 편리하지 않으며, 피지원측 단말기의 데스크톱을 압축하여 표시할 경우, 표시효과가 뚜렷하지가 않다.
또한, 피지원측에 있어서, 일부 프라이버시 파일 혹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지원측한테 보여주기를 원하지 아니할 경우가 있으므로, 피지원측은 종종 전부 데스크톱을 지원측에게 노출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지원측에 전부 데스크톱을 표시하면 프라이버시가 노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원격지원방법을 제공하여 작업의 정확도를 제고하고 프라이버시를 보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원격지원 시스템을 제공하여 작업의 정확도를 제고하고 프라이버시를 보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원격지원 단말기를 제공하여 작업의 정확도를 제고하고 프라이버시를 보호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구체적인 기술내용은 다음과 같다.
원격지원방법은, 피지원측 단말기와 지원측 단말기가 통신 프로토콜을 통하여 연결을 구축하는 것과; 피지원측 단말기가 지원이 필요한 창을 지정하고, 상기 창의 스크린샷을 지원측 단말로 송신하는 것과; 지원측 단말기가 상기 창의 스크린샷을 표시하고 상기 창의 스크린샷에 대하여 지원작업을 수행하며, 상기 지원작업에 대응되는 지원작업정보를 피지원측 단말기에 송신하는 것과; 피지원측 단말기가 상기 지원작업정보에 따라 상기 창에 대하여 지원측 단말기의 지원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원격지원시스템은 지원측 단말기와 피지원측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피지원측 단말기와 지원측 단말기는 통신 프로토콜을 통하여 연결을 구축하며, 그 중, 피지원측 단말기는 지원이 필요한 창을 지정하고, 상기 창의 스크린샷을 지원측 단말기에 송신하며, 지원측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지원작업정보에 따라서 상기 지원이 필요한 창에 대하여 지원측의 지원작업을 수행하며, 지원측 단말기는 상기 창의 스크린샷을 표시하고, 상기 창의 스크린샷에 대하여 지원작업을 수행하며, 또한 상기 지원작업에 대응되는 지원작업정보를 피지원측 단말기에 송신한다.
원격지원방법은 피지원측 단말기와 지원측 단말기가 통신 프로토콜을 통하여 연결을 구축하는 것과; 피지원측 단말기가 지원이 필요한 창을 지정하고, 상기 창의 스크린샷을 지원측 단말기에 송신하는 것과; 피지원측 단말기가 지원측 단말기에서 송신된 지원작업정보를 수신하는 것과; 피지원측 단말기가 상기 지원작업정보에 따라 상기 창에 대하여 지원측 단말기가 수행하는 지원작업을 수행하는 것; 을 포함하며, 그중, 상기 지원작업정보는 지원측 단말기가 상기 창 스크린샷에 대하여 수행한 지원작업과 대응된다.
원격지원 단말기는 연결모듈, 창지정모듈, 송수신모듈 및 처리모듈을 포함하며, 그중 상기 연결모듈은 통신 프로토콜을 통하여 지원측 단말기와 연결을 구축하며, 상기 창지정모듈은 지원이 필요한 창을 지정하고, 상기 창의 스크린샷을 상기 송수신모듈에 송신하며, 상기 송수신모듈은 상기 창의 스크린샷을 지원측 단말기에 송신하고, 또한 지원측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지원작업정보를 수신하며, 여기에서 상기 지원작업정보는 지원측 단말기가 상기 창에 대하여 수행한 지원작업과 대응되며, 처리모듈은 상기 지원작업정보에 따라 상기 창에 대하여 지원측 단말기의 상기 지원작업을 수행한다.
상술한 내용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피지원측 단말기와 피지원측 단말기는, 우선 통신 프로토콜을 통하여 연결을 구축하며, 그 다음에 피지원측 단말기는 지원이 필요한 창을 지정하고, 지원측 단말기는 해당 창의 스크린샷을 표시하여 해당 창의 스크린샷에 대하여 지원작업을 수행하고, 해당 지원작업에 대응되는 지원작업정보를 피지원측 단말기에 송신하며, 마지막으로 피지원측 단말기는 지원작업정보에 따라서 창에 대하여 지원측 단말기의 지원작업을 수행한다.
이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적용하면, 지원측 단말기는 종래기술의 전체화면 원격방식처럼 지원이 필요한 창을 찾을 필요가 없이, 자신의 임무 및 지원해야 하는 대상을 정확히 또한 직관적으로 알수 있으므로 지원이 정말로 필요한 대상을 찾을 필요가 없고, 오작동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원격지원이 필요한 창을 지정한 다음, 지원측에서는 피지원측 단말기에 의해 지정된 지원대상만 볼수 있고, 피지원측 단말기의 데스크톱상의 해당 지원과정과 관계가 없는 기타 내용은 피지원측에서 볼수 없으므로 피지원측의 프라이버시를 양호하게 보호할 수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작업의 정확도를 제고할 수 있고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원격지원방법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원격지원방법의 선택설명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체화면 원격지원 방식하의 피지원측의 데스크톱 설명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단일창 원격지원 방식일 경우 선택창이 최상단 레이어에 위치한 설명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단일창 원격지원 방식일 경우의 전환창 설명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단일창 원격지원 방식일 경우 피지원측의 창표시 설명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단일창 원격지원 방식일 경우 지원측의 창표시 설명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체화면 원격지원방식에서 단일창 원격지원방식으로 전환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단일창 원격지원방식에서 전체화면 원격지원방으로 전환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원격지원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원격지원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원격지원 단말기의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내용과 장점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하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원격지원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방법은 101단계, 102단계, 103단계 및 104단계를 포함한다.
101단계에서 피지원측 단말기와 지원측 단말기는 통신 프로토콜을 통하여 연결을 구축한다.
여기에서, 피지원측 단말기와 지원측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기본 입력/출력 시스템 사용자 확장 인터페이스(NETBEUI), 네트워크 기본 입력/출력 시스템(NETBIOS), 인터네트워크 패킷 교환(IPX) /시퀀스 패킷 교환(SPX),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 인터넷 프로토콜(IP)등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원격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지원측 단말기는 웹(Web)페이지를 통하여 자바(Java)기술로 피지원측 단말기를 제어할수도 있으며, 그에 따라 서로 다른 오퍼레이팅 시스템사이에서 원격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피지원측 단말기와 지원측 단말기는 인스턴트 메시징(IM:instantmessaging)방식으로 연결을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2단계에서 피지원측 단말기는 지원이 필요한 창을 지정하고, 해당 창의 스크린샷(screen shot)을 지원측 단말기로 송신한다.
여기에서, 피지원측 단말기가 지원측 단말기와 연결을 구축한 다음, 피지원측 단말기에서 지원이 필요한 창을 지정하고 해당 창의 스크린샷을 지원측 단말기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피지원측 단말기가 지원측 단말기와 연결을 구축하기 전에 지원측 단말기에서 지원이 필요한 창을 사전에 지정해놓고 피지원측 단말기가 지원 단말기와 연결을 구축한 후, 해당 창의 스크린샷을 지원측 단말기에 송신할 수도 있다. 창의 스크린샷을 지원측 단말기에 송신하기 전에 해당 스크린샷을 압축하여 정보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3단계에서 지원측 단말기는 해당 창의 스크린샷을 표시하고 해당 창의 스크린샷에 대하여 지원작업을 수행하며, 해당 지원작업에 대응되는 지원작업정보를 피지원측 단말기에 송신한다.
여기에서, 지원측 단말기는 우선 피지원측 단말기에서 송신되어 온 스크린 샷을 포함한 압축 패키지에 대하여 압축해제하여 해당 창 스크린샷을 표시하고, 그 다음에 해당 창 스크린샷에 대하여 상응한 지원작업을 수행하며, 해당 지원작업에 대응되는 지원작업정보를 피지원측 단말기로 송신한다.
일반적으로, 지원측 단말기의 지원작업은 주로 해당 창 스크린샷에 대한 마우스작업 및/또는 키누름 작업을 포함하며, 이러한 마우스작업 및/또는 키누름작업은 상응한 마우스 이동 좌표정보 혹은 키누름 메세지를 통하여 피지원측 단말기에 송신할 수 있다.
104단계에서, 피지원측 단말기는 지원작업정보에 따라 지원이 필요한 창에 대하여 지원측 단말기의 지원작업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피지원측 단말기는 마우스작업 및/또는 키누름작업과 대응되는 지원작업정보를 수신한 다음,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함수를 이용하여 로컬(local)의 창에 대하여 해당 마우스작업 및/또는 키누름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마치 지원측 단말기가 로컬의 마우스 및/또는 키보드로 작업하는 것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해당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더 포함한다.
피지원측 단말기에서 창전환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와; 피지원측 단말기가 해당 창전환 조건을 만족할 경우 다시 창을 선택하며, 또한 다시 선택된 창을 지원이 필요한 창으로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하여 창전환 조건에 따라 지원창사이의 전환을 실현할 수 있다.
예컨대, 현재의 지원창이 전체화면 데스크톱일 경우, 피지원측 단말기가 어느 한 소프트웨어 A의 사용창에 대하여 지원을 원하면, 창전환 조건을 해당 소프트웨어 A의 사용창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해당 사용창을 지원창으로 지정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 후에, 해당 소프트웨어 A의 사용창에 문제가 발생하면 해당 창전환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보고, 수동 또는 자동으로 다시 지원창을 선택함으로써 해당 소프트웨어 A의 사용창을 지원이 필요한 창으로 지정할 수 있으며, 이로써 지원창을 전체화면 데스크톱으로부터 구체적인 실제창으로 전환하는 것을 실현한다.
이와 유사하게, 창전환 조건에 따라 전환창을 구체적인 실제창으로부터 전체화면 데스크톱으로 전환하는 것을 실현할 수도 있다.
창전환 조건으로서 어느 하나의 특정한 창에 대하여 지원이 필요할 경우, 사용자는 전체화면 원격지원을 개시한 다음 다시 단일창을 선택하여 지원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전체화면 원격지원을 개시하기 전에 단일창을 선택하여 원격지원을 진행할 수도 있다.
이하, 피지원측 단말기와 지원측 단말기사이에 인스턴트 메시징방식 연결을 구축하는 것을 구체적인 실시예로 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당업자는 이러한 설명은 단지 예시적인 설명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대하여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원격지원방식의 선택설명도이다.
도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피지원측으로서 우선 지원측과의 인스턴트 메시징 채팅창을 연다. 이때, 전체화면 원격지원버튼을 클릭하면, 지원측 단말기에 전체화면 원격지원신청을 개시하는 것으로 된다. 단일창 원격지원버튼을 클릭하면, 지원측 단말기에 단일창 원격지원신청을 개시하는 것으로 된다.
지원측 단말기가 피지원측 단말기의 원격지원신청을 수신한 다음, 피지원측 단말기는 지원측 단말기에 연결이 이미 성공되었음을 피드백하며, 또한 상대방이 단일창을 살펴보거나 전체화면 데스크톱을 원격제어하는 것을 허용함을 알려준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체화면 원격지원 방식 하의 지원측 단말기의 데스크톱 설명도이다. 이때, 지원측 단말기의 화면에 피지원측 단말기의 데스크톱 전부를 표시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단일창 원격지원 방식일 경우 선택창이 최상단 레이어에 위치한 설명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단일창 원격지원 방식일 경우의 전환창 설명도이다.
마우스를 지원이 필요한 창으로 이동(mouse over)시킬수 있으며, 마우스가 최상단 레이어에 있지 않은 창으로 이동되었을 경우, 자동적으로 최상단 레이어에 창을 놓으며, 또한 어느 하나의 창을 클릭하면 해당 창이 성공적으로 선택된다. 도4와 도5를 참조하면, 마우스를 창4로 이동하였을 경우, 자동적으로 최상단 레이어에 창4를 놓으며, 마우스로 창2를 클릭하면 성공적으로 창2를 지원이 필요한 창으로 선택한다. 바람직하게는, 임의 시각에 키ESC를 누르면 지원창을 선택하는 과정으로 리턴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단일창 원격지원 방식일 경우 피지원측 단말기의 창 표시 설명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단일창 원격지원 방식일 경우 지원측 단말기의 창 표시 설명도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지원측 단말기에서 창2를 지원이 필요한 창으로 성공적으로 선택한 다음, 해당 창2의 스크린샷을 지원측 단말기에 송신하며, 이때 지원측 단말기의 창은 창2만 표시하게 된다. 이때, 원격지원을 진행하는 지원측 단말기는 해당 창 스크린샷에서 창2에 대한 지원작업을 수행하며, 해당 지원작업에 대응되는 지원작업정보를 피지원측 단말기에 송신할 수 있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2를 클릭하여 해당 창2를 성공적으로 선택한 다음, 피지원측 단말기는 해당 창2에 대하여 원격지원을 하고 있음을 알려줄 수 있다.
상기 과정에서, 사용자는 우선 전체화면 원격지원신청을 개시하고 그 다음에 다시 단일창을 선택하여 원격지원신청을 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우선 단일창에 대하여 원격지원신청을 개시하고, 그 다음에 필요에 따라 전체화면 원격지원신청을 다시 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전체화면 원격지원과 단일창 원격지원 사이에서 편리하게 전환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체화면 원격지원방식에서 단일창 원격지원방식으로 전환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801단계에서, 피지원측 단말기는 통신 프로토콜을 통하여 지원측 단말기와 연결을 구축하며, 지원측 단말기에 원격지원신청을 송신한다.
802단계에서, 지원측 단말기는 해당 원격지원신청을 접수할 지를 판단하고, 접수할 경우 803단계 및 후속단계를 수행하고, 접수하지 않을 경우 현재 과정에서 리턴한다.
803단계 및 804단계에서, 지원측 단말기와 피지원측 단말기는 전체화면 원격지원을 수행한다.
이때, 양자가 협의를 달성하여 연결을 구축한 다음, 피지원측 단말기의 전체화면 데스크톱을 실시간으로 스크린샷하여 압축한 패키지를 지원측 단말기에 송신한다. 지원측 단말기는 압축 패키지를 압축해제하여 해당 전체화면 데스크톱의 스크린샷을 표시하고 지원작업을 수행하며, 그 다음에 지원작업정보를 압축한 패키지를 다시 피지원측 단말기에 송신한다. 이때, 송신된 압축 패키지에는 지원측 단말기의 마우스가 전체화면 데스크톱의 스크린샷에서의 위치, 동작 및 키보드동작이 기록된다. 피지원측 단말기는 해당 압축 패키지를 수신한 다음 압축해제하여 해당 전체화면 데스크톱 스크린샷을 표시하며, 동시에 API함수를 사용하여 지원측 단말기의 마우스 및 키보드가 해당 전체화면 데스크톱 스크린샷에 대한 동작을 시뮬레이션한다.
805단계에서, 피지원측 단말기가 단일창 을 선택하여 원격지원을 진행한 다음, 지원측 단말기와 피지원측 단말기는 단일창 원격지원을 수행한다.
이때, 피지원측 단말기는 우선 어느 한 창을 지원창으로 선택하고, 해당 지원창을 실시간으로 스크린샷하여 압축한 패키지를 지원측 단말기에 송신한다. 지원측 단말기는 압축 패키지를 압축해제하여 해당 지원창 스크린샷을 표시하고 지원작업을 수행하며, 그 다음에 지원작업정보를 압축한 패키지를 다시 피지원측 단말기에 송신한다. 이때, 송신된 압축 패키지에는 지원측 단말기의 마우스의 해당 지원창 스크린샷에서의 위치, 동작 및 키보드동작이 기록된다다. 피지원측 단말기는 해당 압축 패키지를 수신한 다음 압축해제하여 해당 지원창 스크린샷을 표시하며, 동시에 API함수를 사용하여 지원측 단말기의 마우스 및 키보드가 해당 지원창 스크린샷에 대한 동작을 시뮬레이션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단일창 원격지원방식에서 전체화면 원격지원방으로 전환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901단계에서, 피지원측 단말기는 단일창을 지원창으로 선택하고, 지원측 단말기에 원격지원신청을 송신한다.
여기에서, 피지원측 단말기와 지원측 단말기는 통신 프로토콜을 통하여 연결을 구축하며, 그 다음 피지원측 단말기는 어느 하나의 단일창을 지원창으로 선택하고, 해당 연결을 통하여 지원측 단말기에 원격지원신청을 발송한다.
902단계에서, 지원측 단말기는 해당 원격지원신청을 접수할 지를 판단하고, 접수할 경우 903단계 및 후속단계를 수행하고, 접수하지 않을 경우 현재 과정에서 리턴한다.
903단계에서, 지원측 단말기와 피지원측 단말기는 단일창 원격지원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피지원측 단말기는 901단계에서 선택된 지원창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스크린샷하여 압축한 패키지를 지원측 단말기에 송신한다. 지원측 단말기는 압축 패키지를 압축해제하여 해당 지원창 스크린샷을 표시하고, 지원창 스크린샷에 대하여 지원작업을 수행하며, 그 다음에 지원작업정보를 압축한 패키지를 다시 피지원측 단말기에 송신한다. 이때, 송신된 압축 패키지에는 지원측 단말기의 마우스의 해당 지원창 스크린샷에서의 위치, 동작 및 키보드동작이 기록된다. 피지원측 단말기는 해당 압축 패키지를 수신한 다음 압축해제하여 해당 지원창 스크린샷을 표시하며, 동시에 API함수를 사용하여 지원측 단말기의 마우스 및 키보드가 해당 지원창 스크린샷에 대한 동작을 시뮬레이션한다.
904단계에서, 피지원측 단말기는 전체화면 원격지원을 선택하며, 지원측 단말기와 피지원측 단말기는 전체화면 원격지원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피지원측 단말기는 지원측 단말기에 의해 전체화면 지원을 수행할 것을 결정하고, 피지원측 단말기는 자신의 전체화면 데스크톱을 실시간으로 스크린샷하여 압축한 패키지를 지원측 단말기에 송신한다. 지원측 단말기는 압축 패키지를 압축해제하여 해당 전체화면 데스크톱의 스크린샷을 표시하고, 해당 전체화면 데스크톱 스크린샷에 대하여 지원작업을 수행하며, 그 다음에 지원작업정보를 압축한 패키지를 다시 피지원측 단말기에 송신한다. 이때, 송신된 압축 패키지에는 지원측 단말기의 마우스의 전체화면 데스크톱의 스크린샷에서의 위치, 동작 및 키보드동작이 기록된다. 피지원측 단말기는 해당 압축 패키지를 수신한 다음 압축해제하여 해당 전체화면 데스크톱 스크린샷을 표시하며, 동시에 API함수를 사용하여 지원측 단말기의 마우스 및 키보드가 해당 전체화면 데스크톱 스크린샷에 대한 동작을 시뮬레이션한다.
상기 상세한 설명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격지원시스템을 제시한다.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원격지원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시스템은 지원측 단말기(1001)와 피지원측 단말기(1002)를 포함하며, 피지원측 단말기(1001)와 피지원측 단말기(1002)는 통신 프로토콜을 통하여 연결을 구축한다.
피지원측 단말기(1001)는 지원이 필요한 창을 지정하고, 해당 창의 스크린샷을 지원측 단말기(1002)에 송신하며, 또한 지원측 단말기(1002)로부터 송신된 지원작업정보에 따라 지원이 필요한 창에 대하여 지원측 단말기(1002)의 지원작업을 수행한다.
지원측 단말기(1002)는 해당 창의 스크린샷을 표시하고 해당 창의 스크린샷에 대하여 지원작업을 수행하며, 또한 해당 지원작업에 대응되는 지원작업정보를 피지원측 단말기(1001)에 송신한다.
한 실시형태에서, 피지원측 단말기(1001)는 지원측 단말기(1002)와 NETBIOS프로토콜, NETBEUI프로토콜, IPX//SPX프로토콜 혹은 TCP/ IP등 프로토콜을 통하여 연결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피지원측 단말기(1001)는 또 다른 창전환 조건을 설정하고, 해당 창전환 조건을 만족할 경우 다시 창을 선택하여, 다시 선택한 창을 지원이 필요한 창으로 지정할 수 있다. 예하면, 피지원측 단말기(1001)는 다시 전체화면 데스크톱으로 전환하는 것을 선택하여 전체화면 데스크톱을 지원이 필요한 창으로 지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지원측 단말기(1002)는 창 스크린샷에 대하여 마우스작업 및/또는 키누름작업을 수행하며, 또한 마우스작업 및/또는 키누름작업에 대응되는 지원작업정보를 피지원측 단말기(1001)에 송신한다. 피지원측 단말기(1001)는 마우스작업 및/또는 키누름작업에 대응되는 해당 지원작업정보를 수신하고, 또한 API함수를 이용하여 해당 창에 대하여 마우스작업 및/또는 키누름작업를 수행한다.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원격지원방법도 제시한다. 도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원격지원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해당 방법은 피지원측 단말기와 지원측 단말기가 통신 프로토콜을 통하여 연결을 구축하는 1101단계와; 피지원측 단말기가 지원이 필요한 창을 지정하고, 해당 창의 스크린샷을 지원측 단말기에 송신하는 1102단계와; 피지원측 단말기가 지원측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지원작업정보를 수신하는 1103단계와, 그중, 지원작업정보는 지원측 단말기가 해당 창 스크린샷에 대하여 수행한 지원작업에 대응되며; 피지원측 단말기가 해당 지원작업정보에 따라 해당 창에 대하여 지원측 단말기가 수행한 지원작업을 수행하는 1104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해당 방법은 또한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피지원측 단말기에서 창전환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와; 피지원측 단말기가 해당 창전환 조건을 만족할 경우 창을 선택하며, 또한 선택된 창을 지원이 필요한 창으로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피지원측 단말기가 전체화면 데스크톱으로 전환하는 것을 선택할 경우, 해당 전체화면 데스크톱을 지원이 필요한 창으로 지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지원측 단말기가 해당 창 스크린샷에 대하여 수행하는 지원작업은 마우스작업 및/또는 키누름작업을 포함하며, 해당 지원작업정보는 마우스작업 및/또는 키누름작업과 대응되는 지원작업정보를 가리킨다. 피지원측 단말기는 마우스작업 및/또는 키누름작업과 대응되는 지원작업정보를 수신하고, 애플리게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함수를 이용하여 해당 창에 대하여 마우스작업 및/또는 키누름작업를 수행한다.
도1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또한 원격지원 단말기를 제공한다. 도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원격지원 단말기의 구조도이다. 해당 단말기는 연결모듈(1201), 창지정모듈(1202), 송수신모듈(1203) 및 처리모듈(1204)을 포함한다.
연결모듈(1201)은 통신 프로토콜을 통하여 지원측 단말기와 연결을 구축하도록 한다. 또한, 연결을 성공적으로 구축한 다음에는, 연결모듈(1201)은 연결성공메시지를 창지정모듈(1202)에 송신한다.
창지정모듈(1202)은 지원이 필요한 창을 지정하고, 해당 창의 스크린샷을 송수신모듈(1203)에 송신한다. 여기에서, 창지정모듈(1202)은 연결모듈(1201)에 의해 송신된 연결성공메시지를 수신한 다음 지원이 필요한 창을 지정한다.
송수신모듈(1203)은 해당 창의 스크린샷을 지원측 단말기에 송신하며, 또한 지원측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지원작업정보를 수신하다. 여기에서, 해당 지원작업정보는 지원측 단말기가 상기 창에 대하여 수행한 지원작업과 대응된다.
처리모듈(1204)은 지원작업정보에 따라 해당 창에 대하여 지원측 단말기의 상기 지원작업을 수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해당 단말기는 창전환 조건을 설정하는 설정모듈을 더 포함한다. 창지정모듈은 해당 창전환 조건을 만족할 경우 창을 선택하며, 선택된 창을 지원이 필요한 창으로 지정하도록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창지정모듈은 피지원측 단말기에서 전체화면 데스크톱으로 전환할 것을 선택할 경우, 해당 전체화면 데스크톱을 지원이 필요한 창으로 지정하도록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지원측 단말기가 해당 창 스크린샷에 대하여 수행하는 지원작업은 마우스작업 및/또는 키누름작업을 포함하며, 해당 지원작업정보는 마우스작업 및/또는 키누름작업과 대응되는 지원작업정보를 가리킨다. 송수신모듈은 마우스작업 및/또는 키누름작업과 대응되는 지원작업정보를 수신하고, 처리모듈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함수를 이용하여 해당 창에 대하여 마우스작업 및/또는 키누름작업를 수행한다.
상기 모듈은 논리적기능에 따라서 구분한 것인 바, 실제 응용에서는 다수의 모듈로 1개의 모듈의 기능을 실현할 수도 있고, 또는 1개의 모듈로 다수의 모듈의 기능을 실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에 있어서, 원격지원 단말기는 기타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원격지원 단말기의 다른 구조도를 제시하였다. 해당 원격지원 단말기는 연결모듈, 창지정모듈, 송수신모듈, 처리모듈, CPU, 메모리, MAC 주소 매핑 테이블(MAC address mapping table) 및 터널 인캡슐래이션 매핑 테이블(Tunnel encapsulation mapping table)을 포함하며, 이러한 모듈은 내부 버스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연결모듈, 창지정모듈, 송수신모듈, 처리모듈의 기능은 주로 연결모듈, 창지정모듈, 송수신모듈, 처리모듈에 의해 개시되거나 제어되지만, 실제응용에서 이러한 기능은 기타 모듈의 협력하에 실현할 수도 있으며, 다수의 모듈의 협력하에 실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CPU의 처리기능을 이용할 수 있고, 메모리에서 정보를 판독할 수 있으며, 또한 내부 버스를 통하여 데이터의 전송 등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방법 및 설비는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 또는 하드웨어와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의 조합에 의하여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은 다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CD-ROM, DVD, 컴팩트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RAM, ROM 또는 다른 적합한 기록설비에 저장되어 있다. 또는 적어도 일부의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은 구체적인 하드웨어, 예를 들면 커스텀 집적 회로(Custom integrated circuit), 게이트 어레이(gate array), FPGA, 및 구체적인 기능을 가지는 컴퓨터 등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를 제공하여 명령을 저장하는 것을 통하여 컴퓨터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공한 시스템 및 설비는 모두 상기 임의의 실시예의 기능을 실현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된 기록매체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시스템 또는 설비(CPU 또는 MPU)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가능하며 또한 프로그램 코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 하에, 기록매체로부터 판독한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임의의 하나의 실시예를 실현할 수 있으므로, 해당 프로그램 코드 및 해당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된 기록매체는 본 기술내용의 일부분이다.
프로그램 코드를 제공하는 기록매체는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예를 들어, CD-ROM, CD-R, CD-RW, DVD-ROM, DVD-RAM, DVD-RW, DVD+RW), 디스크,플래시 카드, ROM등을 포함한다. 프로그램 코드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 단말기로부터 다운로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주의할 것은,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그램 코드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의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되는 작업은 컴퓨터에서 작동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에 의해 실현되어 상기 임의의 하나의 실시예의 기술 내용을 실현할 수 있다. 그중 해당 컴퓨터는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명령을 수행한다.
이외에, 기록매체중의 프로그램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며, 그 중 해당 메모리는 컴퓨터의 확장보드에 삽입되거나 컴퓨터에 연결되는 확장유닛에 위치하여 있다. 본 실시예에서, 확장보드 또는 확장유닛의 CPU는 명령에 따라, 프로그램 코드에 기초하여 적어도 일부의 작업을 수행하여 상기 임의의 하나의 실시예의 기술내용을 실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피지원측 단말기와 지원측 단말기는 우선 통신 프로토콜을 통하여 연결을 구축하고, 그 다음에 피원측 단말기는 지원이 필요한 창을 지정하며, 지원측 단말기는 해당 창을 표시하고 해당 창 스크린샷에 대하여 지원작업을 수행하며, 또한 해당 지원작업에 대응되는 지원작업정보를 피지원측 단말기에 송신하며, 나중에 피지원측 단말기는 지원작업정보에 따라 창에 대하여 지원측 단말기의 지원작업을 수행한다. 이상의 내용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적용하면, 지원측 단말기는 종래기술의 전체화면 원격방식처럼 지원이 필요한 창을 찾을 필요가 없이, 자신의 임무 및 지원해야 하는 대상을 정확히 직관적으로 알수 있으므로, 정말로 지원이 필요한 대상을 찾을 필요가 없고 또는 오작동을 피할 수 있으며, 이로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작업정확도를 제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원격지원이 필요한 창을 지정한 다음, 지원측에서는 피지원측 단말기에 의해 지정된 지원대상만 볼 수 있으며, 피지원측 단말기의 데스크톱상의 해당 지원과정과 관계가 없는 기타 내용은 지원측에서 볼 수 없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피지원측의 프라이버시를 양호하게 보호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원격지원이 필요한 창을 지정한 다음, 지원측 단말기에서는 안정되고 뚜렷하게 피지원측의 대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스크롤바가 나타나지 않고 해상도에도 크게 차이가 없다. 따라서, 지원측 단말기는 마음대로 지원창의 사이즈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격지원을 함에 있어서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사상 및 원칙내에서 진행되는 임의의 수정, 동등한 대체, 개선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18)

  1. 피지원측 단말기와 지원측 단말기가 통신 프로토콜을 통하여 연결을 구축하는 것과;
    피지원측 단말기가 지원이 필요한 창을 지정하고, 상기 창의 스크린샷을 지원측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과;
    지원측 단말기가 상기 창의 스크린샷을 표시하고 상기 창의 스크린샷에 대하여 지원작업을 수행하며, 상기 지원작업에 대응되는 지원작업정보를 피지원측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과;
    피지원측 단말기가 상기 지원작업정보에 따라 상기 창에 대하여 지원측 단말기의 상기 지원작업을 수행하는 것;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원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피지원측 단말기와 지원측 단말기는 통신 프로토콜을 통하여 연결을 구축하며,
    그중 통신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기본 입력/출력 시스템(NETBIOS) 프로토콜, 네트워크 기본 입력/출력 시스템 사용자 확장 인터페이스(NETBEUI) 프로토콜, 인터네트워크 패킷 교환(IPX) /시퀀스 패킷 교환(SPX) 프로토콜 또는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 / 인터넷 프로토콜(I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원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피지원측 단말기가 창전환 조건을 설정하는 것과;
    피지원측 단말기가 상기 창전환 조건을 만족할 경우 창을 선택하며, 또한 선택된 창을 지원이 필요한 창으로 지정하는 것;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원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피지원측 단말기가 상기 창전환 조건을 만족할 경우 창을 선택하는 것은, 피지원측 단말기가 전체화면 데스크톱으로 전환하는 것을 선택하면, 상기 전체화면 데스크톱을 지원이 필요한 창으로 지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원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창의 스크린샷에 대하여 지원작업을 수행하고, 상기 지원작업에 대응되는 지원작업정보를 피지원측 단말기에 송신하는 것은, 상기 지원측 단말기가 상기 창 스크린샷에 대하여 마우스작업 및/또는 키누름작업을 수행하고, 또한 마우스작업 및/또는 키누름작업과 대응되는 지원작업정보를 피지원측 단말기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피지원측 단말기가 상기 지원작업정보에 따라 상기 창에 대하여 지원측 단말기의 상기 지원작업을 수행하는 것은, 피지원측 단말기가 마우스작업 및/또는 키누름작업과 대응되는 지원작업정보를 수신하고, 애플리게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창에 대하여 상기 마우스작업 및/또는 키누름작업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원방법.
  6. 지원측 단말기와 피지원측 단말기를 포함하는 원격지원시스템으로서,
    상기 피지원측 단말기와 지원측 단말기는 통신 프로토콜을 통하여 연결을 구축하며, 그 중, 피지원측 단말기는 지원이 필요한 창을 지정하고, 상기 창의 스크린샷을 지원측 단말기로 송신하며, 지원측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지원작업정보에 따라서 상기 지원이 필요한 창에 대하여 지원측의 지원작업을 수행하며,
    지원측 단말기는 상기 창의 스크린샷을 표시하고, 상기 창의 스크린샷에 대하여 지원작업을 수행하며, 또한 상기 지원작업에 대응되는 지원작업정보를 피지원측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원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피지원측 단말기와 지원측 단말기는 NETBIOS 프로토콜, NETBEUI 프로토콜, IPX//SPX 프로토콜 또는 TCP/ IP를 통하여 연결을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원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피지원측 단말기는 창전환 조건을 설정하고, 상기 창전환 조건을 만족할 경우 창을 선택하며, 또한 선택된 창을 지원이 필요한 창으로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원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피지원측 단말기가 전체화면 데스크톱으로 전환하는 것을 선택하면, 상기 전체화면 데스크톱을 지원이 필요한 창으로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원시스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원측 단말기가 상기 창 스크린샷에 대하여 마우스작업 및/또는 키누름작업을 수행하고,마우스작업 및/또는 키누름작업과 대응되는 지원작업정보를 피지원측 단말기로 송신하며,
    상기 피지원측 단말기가 마우스작업 및/또는 키누름작업과 대응되는 지원작업정보를 수신하고, 애플리게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창에 대하여 상기 마우스작업 및/또는 키누름작업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원시스템.
  11. 피지원측 단말기와 지원측 단말기가 통신 프로토콜을 통하여 연결을 구축하는 것과;
    피지원측 단말기가 지원이 필요한 창을 지정하고, 상기 창의 스크린샷을 지원측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과;
    피지원측 단말기가 지원측 단말기에서 송신된 지원작업정보를 수신하는 것과;
    피지원측 단말기가 상기 지원작업정보에 따라 상기 창에 대하여 지원측 단말기가 수행한 지원작업을 수행하는 것; 을 포함하며,
    그 중, 상기 지원작업정보는 지원측 단말기가 상기 창 스크린샷에 대하여 수행한 지원작업과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원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피지원측 단말기가 창전환 조건을 설정하는 것과;
    피지원측 단말기가 상기 창전환 조건을 만족할 경우 창을 선택하며, 또한 선택된 창을 지원이 필요한 창으로 지정하는 것;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원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피지원측 단말기가 상기 창전환 조건을 만족할 경우 창을 선택하는 것은, 피지원측 단말기가 전체화면 데스크톱으로 전환하는 것을 선택하면, 상기 전체화면 데스크톱을 지원이 필요한 창으로 지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원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원측 단말기가 상기 창 스크린샷에 대하여 수행한 지원작업은 마우스작업 및/또는 키누름작업을 포함하고,
    상기 지원작업정보는 마우스작업 및/또는 키누름작업과 대응되는 지원작업정보이며,
    상기 피지원측 단말기가 상기 지원작업정보에 따라 상기 창에 대하여 지원측 단말기의 상기 지원작업을 수행하는 것은, 피지원측 단말기가 마우스작업 및/또는 키누름작업과 대응되는 지원작업정보를 수신하고, 애플리게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창에 대하여 상기 마우스작업 및/또는 키누름작업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원방법.
  15. 연결모듈, 연결모듈, 창지정모듈, 송수신모듈 및 처리모듈을 포함하는 원격지원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연결모듈은 통신 프로토콜을 통하여 지원측 단말기와 연결을 구축하며,
    상기 창지정모듈은 지원이 필요한 창을 지정하고, 상기 창의 스크린샷을 상기 송수신모듈에 송신하며,
    상기 송수신모듈은 상기 창의 스크린샷을 지원측 단말기에 송신하고, 또한 지원측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지원작업정보를 수신하며, 여기에서 상기 지원작업정보는 지원측 단말기가 상기 창에 대하여 수행한 지원작업과 대응되며,
    처리모듈은 상기 지원작업정보에 따라 상기 창에 대하여 지원측 단말기의 상기 지원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원 단말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창전환 조건을 설정하는 설정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창지정모듈은 상기 창전환 조건을 만족할 경우 창을 선택하며, 선택된 창을 지원이 필요한 창으로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원 단말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창지정모듈은 피지원측 단말기가 전체화면 데스크톱으로 전환하는 것을 선택할 경우, 상기 전체화면 데스크톱을 지원이 필요한 창으로 지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원 단말기.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원측 단말기가 상기 창 스크린샷에 대하여 수행하는 지원작업은 마우스작업 및/또는 키누름작업을 포함하며,
    상기 지원작업정보는 마우스작업 및/또는 키누름작업과 대응되는 지원작업정보이며,
    상기 송수신모듈은 마우스작업 및/또는 키누름작업과 대응되는 지원작업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처리모듈은 애플리게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창에 대하여 마우스작업 및/또는 키누름작업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원 단말기.
KR1020147002372A 2012-02-22 2013-01-16 원격지원방법, 시스템 및 단말기 KR201400363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210040505.1 2012-02-22
CN201210040505.1A CN103294523B (zh) 2012-02-22 2012-02-22 一种远程协助方法和系统
PCT/CN2013/070524 WO2013123837A1 (zh) 2012-02-22 2013-01-16 远程协助方法、系统和终端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315A true KR20140036315A (ko) 2014-03-25

Family

ID=49004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2372A KR20140036315A (ko) 2012-02-22 2013-01-16 원격지원방법, 시스템 및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40223300A1 (ko)
KR (1) KR20140036315A (ko)
CN (1) CN103294523B (ko)
WO (1) WO20131238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79892B2 (en) * 2010-04-16 2018-09-18 Avaya Inc. System and method for suggesting automated assistants based on a similarity vector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communication sessions
CN103558978A (zh) * 2013-10-17 2014-02-05 深圳市同洲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截取图像的方法、装置及系统
US9563445B2 (en) 2014-05-05 2017-02-07 Citrix Systems, Inc. Remote assistance for managed mobile devices
CN104038560A (zh) * 2014-06-30 2014-09-10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移动终端间的远程协助方法、客户端、电子设备及系统
CN105357240A (zh) * 2014-08-21 2016-02-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远程协助的控制方法及装置
CN104657211A (zh) * 2015-02-03 2015-05-27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用于操作对应设备上目标应用的方法与设备
CN104991772B (zh) * 2015-06-30 2018-05-0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远程操作引导方法及装置
CN105700869B (zh) * 2015-12-30 2021-11-16 联想(北京)有限公司 控制方法、信息处理方法、相关装置及电子设备
CN106131173A (zh) * 2016-07-01 2016-11-16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移动终端和移动终端远程协助与受助方法、装置
CN107592283B (zh) * 2016-07-06 2021-06-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协助方法及移动终端
CN107508975A (zh) * 2017-08-10 2017-12-22 佛山市三水区彦海通信工程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远程实时控制方法及系统
CN110809256B (zh) * 2018-08-06 2021-09-28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终端的系统加速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CN110300187A (zh) * 2019-07-22 2019-10-01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跨终端的远程协助方法和终端、服务器以及系统
CN111371876A (zh) * 2020-02-28 2020-07-03 张善敏 一种柜员机远程协同方法及系统
CN112558827A (zh) * 2020-12-03 2021-03-26 南京机敏软件科技有限公司 在云手机中访问云手机状态栏和终端设备状态栏的方法及系统
CN113923396B (zh) * 2021-08-20 2023-09-26 福建升腾资讯有限公司 基于视频会议场景下的远程桌面控制方法、装置和介质
CN114979108A (zh) * 2022-05-05 2022-08-30 北京精一强远科技有限公司 一种远程协助与安全审计的系统、方法、设备与介质
CN116708027B (zh) * 2023-08-03 2023-11-0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多端远程协同通信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50897B2 (en) * 1992-05-05 2006-05-23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Telematics system
CN1764103B (zh) * 2004-10-20 2010-05-12 联想(新加坡)私人有限公司 用于远程控制的隐私保护的方法和设备
US20070288850A1 (en) * 2006-06-09 2007-12-13 Microsoft Corporation Application sharing
CN100438473C (zh) * 2007-01-29 2008-11-26 成都金山数字娱乐科技有限公司 一种通过网络数据包控制输入的远程协助其他网络用户的方法
CN101311924B (zh) * 2007-05-24 2010-06-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图形用户界面的浏览器系统及方法
CN101470786A (zh) * 2007-12-28 2009-07-01 北京帮助在线信息技术有限公司 用于在线帮助的透明窗体隐私保护的装置和方法
CN101470787A (zh) * 2007-12-28 2009-07-01 北京帮助在线信息技术有限公司 用于在线帮助的窗口信息隐私保护的装置和方法
US8285857B2 (en) * 2008-10-31 2012-10-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aving a layout of display(s) of a remote computer
US9569231B2 (en) * 2009-02-09 2017-02-14 Kryon Systems Ltd.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ve guidance with execution of operations
US9369357B2 (en) * 2010-02-03 2016-06-14 Symantec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remote device management
JP5685840B2 (ja) * 2010-07-01 2015-03-18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画像送信プログラム及び画像表示方法
CN101888608A (zh) * 2010-07-20 2010-11-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远程控制方法、装置和系统
CN101930368B (zh) * 2010-08-31 2014-03-26 广东威创视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计算机屏幕截取方法及其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94523B (zh) 2017-03-22
WO2013123837A1 (zh) 2013-08-29
CN103294523A (zh) 2013-09-11
US20140223300A1 (en) 2014-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36315A (ko) 원격지원방법, 시스템 및 단말기
US10572267B2 (en) Bios user interface control using mobile device
US8707321B2 (en) Resource sha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EP2901435B1 (en) A devic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EP2687988A1 (en) Method for contents backup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JP4316295B2 (ja) シンクライアントシステム、シンクライアント端末機、中継装置、サーバ装置及びシンクライアント端末画面表示方法
US20110287750A1 (en) Link server and program thereof, website browsing system, website browsing method, and website browsing program
WO2014206347A1 (en) Cross-terminal input method, apparatus and system
CN104702665A (zh) 信息分享方法和信息分享装置
EP3343352B1 (en) Method, apparatus and device for instructing operations on terminal device
US20170169122A1 (en) Webpage display method, mobile terminal, intelligent terminal, program and storage medium
CN112764857A (zh) 信息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6570045B (zh) 一种数据操作控制方法及其系统、用户终端
WO2017096812A1 (zh) 网页展示方法、移动终端、智能终端、计算机程序和存储介质
JP2005323093A (ja) Webサーバを利用した遠隔操作制御プログラム
US20140087714A1 (en) Devic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1109578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a transmission destination of image data
EP2150052B1 (en) Remote desktop client peephole movement
JP6333434B1 (ja) 画面データ中継サーバ、画面データ中継プログラム、及び画面データ中継方法
KR20040108028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원격 접속 방법
JP6816487B2 (ja) 遠隔操作装置、遠隔操作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7102847A (ja) 情報処理システム、中継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7277758B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移动终端
WO2014162667A1 (ja) 端末装置、端末装置制御方法および記憶媒体
JP2018085054A (ja) 遠隔操作装置、遠隔操作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