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5953A - 도광판, 면광원 장치 및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도광판, 면광원 장치 및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5953A
KR20140035953A KR1020137034106A KR20137034106A KR20140035953A KR 20140035953 A KR20140035953 A KR 20140035953A KR 1020137034106 A KR1020137034106 A KR 1020137034106A KR 20137034106 A KR20137034106 A KR 20137034106A KR 20140035953 A KR20140035953 A KR 20140035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late
light guide
layer
light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4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리미츠 사카타
Original Assignee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35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59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8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 G02B6/0061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to provide homogeneous light output intensit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5Manufacturing aspects; Material aspec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5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스타이렌계 수지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고, 황색빛이 억제됨과 더불어 광 투과율의 저하를 억제한 도광판, 및 그 도광판을 구비한 면광원 장치 및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도광판(11)은, 광을 출사하는 출사면(12b) 및 출사면(12b)과 반대측의 배면(12c)을 갖는 도광판 기재부(12)와, 도광판 기재부(12)의 배면(12c)측에 설치되어 있고 광을 출사면(12b)측으로 반사하는 반사부(24)를 구비한다. 도광판 기재부(12)는 적어도 1개의 제 1 층(12d)과 적어도 1개의 제 2 층(12e)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다층체이다. 제 1 층(12d) 및 제 2 층(12e)의 각각이 스타이렌계 수지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 1 층(12d)에서의 블루잉제의 함유량이 0.1ppm∼10ppm이다. 제 2 층(12e)에서의 블루잉제의 함유량이 0.1ppm 미만이다.

Description

도광판, 면광원 장치 및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LIGHT GUIDE PLAT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TRANSMISSION TYPE 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도광판, 면광원 장치 및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는 일반적으로 면광원 장치를 백라이트로서 갖는다. 면광원 장치 방식으로서는, 도광판의 배면측에 광원이 설치되는 직하식과, 도광판의 측면을 따라 광원이 설치되는 에지라이트 방식이 있다. 에지라이트 방식은 화상 표시 장치의 박형화의 관점에서 유리하다. 에지라이트 방식에 의한 고휘도이고 대형인 면광원 장치의 개발이 강하게 요망되고 있다.
에지라이트 방식의 면광원 장치의 경우, 도광판의 측면으로부터 입사된 광이, 도광판의 배면측에 설치된 백색 도트 등의 반사부의 작용에 의해 반사되고, 임계 각도 이상의 각도 성분의 광이 도광판의 출사면으로부터 출사된다.
도광판의 기재(도광판 기재)를 형성하는 투광성 재료로서는, 아크릴계 수지 외에, 스타이렌계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는 수지인 스타이렌계 수지가 이용되고 있다. 특허문헌 1[일본 특허공개 2007-204536호 공보]에는, 스타이렌계 수지를 판상으로 성형한 것을 도광판으로서 이용하는 취지가 개시되어 있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도 도광판 기재를 형성하는 투광성 재료로서 이용되고 있다. 특허문헌 2[일본 특허공개 평9-020860호 공보] 및 특허문헌 3[일본 특허공개 평11-158364호 공보]에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판상으로 성형한 것을 도광판으로서 이용하는 취지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7-204536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9-020860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11-158364호 공보
스타이렌계 수지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도광판 기재에 이용한 경우, 도광판 기재 전체에 황색빛(黃色味)이 나타나 버려 도광판의 화상 표시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처하기 위해, 예컨대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스타이렌계 수지에 블루잉제(bluing agent)를 첨가하고, 이것을 판상으로 성형하여 도광판 기재로 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도광판 기재 중에 블루잉제를 균일하게 포함시킨 경우, 도광판 기재 전체의 황색빛은 억제되는 한편, 광의 투과율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스타이렌계 수지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고, 황색빛이 억제됨과 더불어 광 투과율의 저하를 억제한 도광판, 및 그 도광판을 구비한 면광원 장치 및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광을 출사하는 출사면 및 출사면과 반대측의 배면을 갖는 도광판 기재부와, 도광판 기재부의 배면측에 설치되어 있고 출사면측으로 광을 반사하는 반사부를 구비하며, 도광판 기재부는 적어도 1개의 제 1 층과 적어도 1개의 제 2 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다층체이고, 제 1 층 및 제 2 층의 각각이 스타이렌계 수지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고, 제 1 층에서의 블루잉제의 함유량이 0.1ppm∼10ppm이고, 제 2 층에서의 블루잉제의 함유량이 0.1ppm 미만인 도광판을 제공한다.
상기 도광판은 스타이렌계 수지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이용한 것이다. 도광판에 있어서, 황색빛이 억제됨과 더불어 광 투과율의 저하가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 1 층 및 제 2 층에 포함되는 스타이렌계 수지에서의 스타이렌계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이 50질량%∼100질량%이고, (메트)아크릴산에스터 단위의 함유량이 0질량%∼50질량%인 경우에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에서는, 도광판 기재부의 두께를 d로 하고 제 1 층의 두께를 d1로 했을 때, d1/d가 0.01∼0.05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에서는, 도광판 기재부의 출사면측의 최외층이 제 1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에서는, 도광판 기재부의 배면측의 최외층이 제 1 층인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도광판과, 도광판 기재부의 측면에 광을 공급하는 광원부를 구비하는 면광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도광판과, 도광판 기재부의 측면에 광을 공급하는 광원부와, 도광판 기재부의 출사면측에 설치되고, 출사면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으로 조명되는 투과형 화상 표시부를 구비하는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타이렌계 수지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이용한 도광판으로서, 황색빛이 억제됨과 더불어 광 투과율의 저하를 억제한 도광판, 및 그 도광판을 구비한 면광원 장치 및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도광판 기재부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도광판 제작의 일 공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도광판 기재부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광선 투과율의 측정 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도광판, 면광원 장치 및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의 실시형태가 설명된다. 도면의 설명에서,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가 붙여지고, 중복되는 설명이 생략된다. 도면의 치수 비율은 설명한 것과 반드시 일치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도 1의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10)는, 도광판(11)을 갖는 면광원 장치(22)와, 도광판(11)이 갖는 도광판 기재부(12)의 출사면(12b)측에 설치된 투과형 화상 표시부(18)를 갖는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면광원 장치(22)와 투과형 화상 표시부(18)의 배열 방향이 z 방향으로 칭해지며, z 방향에 직교하는 2 방향이고 서로 직교하는 2 방향이 각각 x 방향 및 y 방향으로 칭해진다.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10)는, 면광원 장치(22)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투과형 화상 표시부(18)에 조명되는 것에 의해 화상을 표시한다. 투과형 화상 표시부(18)의 예는 액정 표시 패널이다. 이 경우,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10)는 액정 표시 장치(또는 액정 텔레비전)이다.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10)는, 도광판(11)과 투과형 화상 표시부(18) 사이에 배치된 복수 매의 광학 필름(20)을 추가로 구비해도 좋다. 광학 필름(20)의 예는 확산 필름, 프리즘 필름 및 휘도 향상 필름이다.
면광원 장치(22)는, 판상의 도광판 기재부(12)를 갖는 도광판(11)과, 도광판 기재부(12)의 측면(12a) 근방에 배치된 광원부(14)를 구비하는 에지라이트 방식의 면광원 장치(22)이다. 면광원 장치(22)는, 도광판 기재부(12)의 배면(12c)측에 배치된 반사 시트(16)를 추가로 구비해도 좋다. 반사 시트(16)를 구비함으로써, 도광판(11)으로부터 반사 시트(16)측으로 출사된 광이 도광판(11)으로 되돌려질 수 있다. 그 결과, 광원부(14)로부터의 광이 보다 유효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광학 필름(20)은 면광원 장치(22)의 구성 요소이어도 좋다.
광원부(14)는 광원(14A)을 갖는다. 광원(14A)은 도광판 기재부(12)의 측면(12a)의 y 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측면(12a)은 입사면이다. 광원(14A)은 발광 다이오드, 할로젠 램프 및 텅스텐 램프와 같은 점광원이어도 좋고, 형광관과 같은 선상 광원이어도 좋다. 적색광, 녹색광 및 청색광을 발광하는 RGB 타입의 발광 다이오드가 광원(14A)으로서 적합하게 이용된다.
광원(14A)과 도광판 기재부(12)의 측면(입사면; 12a)의 거리는 통상 1mm∼15mm이고, 바람직하게는 10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mm 이하이다. 광원(14A)이 점광원인 경우, 측면(12a)의 y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점광원이 직선상으로 배열된다. 이웃하는 점광원끼리의 간격은 통상 1mm∼25mm이다. 전력 절약화의 관점에서, 이웃하는 점광원끼리의 간격은, 점광원의 수를 감소키시도록 바람직하게는 10mm 이상이다.
광원부(14)는, 도광판(11)과 반대측에 설치된, 광을 반사시키는 리플렉터(14B)를 추가로 갖고 있어도 좋다. 리플렉터(14B)를 갖는 것에 의해, 광원(14A)으로부터의 광이 효율 좋게 도광판 기재부(12)의 측면(12a)으로 입사될 수 있다. 리플렉터(14B)는 예컨대 백색 수지판 또는 백색 수지 필름으로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면광원 장치(22)에 있어서는, 도광판 기재부(12)의 4개의 측면 중 1개의 측면에만 광원부(14)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광원부(14)는 도광판 기재부(12)의 측면쪽에 설치되어 있으면 좋다. 예컨대, 도광판 기재부(12)의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 각각에 대해 광원부(14)가 설치되어도 좋고, 출사면(12b) 및 배면(12c)과 교차하는(도 1에서는 직교하는) 4개의 측면 전부에 대해 광원부(14)가 설치되어도 좋다.
도광판(11)은 도광판 기재부(12)와, 도광판 기재부(12)의 배면(12c)에 설치된 반사부(24)를 갖는다.
도광판 기재부(12)는 z 방향에서 본 경우의 평면시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인 판상체이다. 도광판 기재부(12)는 광을 출사하는 출사면(12b) 및 출사면(12b)과 반대측의 배면(12c)을 갖는다.
도광판 기재부(12)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mm∼30mm, 보다 바람직하게는 1mm∼10mm이다. 도광판 기재부(12)의 측면(12a)은 바람직하게는 연마 처리 등에 의해 평활화되어 있다. 도광판 기재부(12)는 수지판의 성형 방법으로서 통상 채용되고 있는 방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예컨대, 도광판 기재부(12)는 열 프레스법, 용융 압출법 및 사출 성형법 등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반사부(24)는 도광판 기재부(12)의 배면(12c)측에 설치된다. 반사부(24)는 도광판 기재부(12)의 배면(12c)에 도달한 광을 출사면(12b)측으로 반사시킨다. 반사부(24)의 예는 확산 도트이다. 확산 도트는, 배면(12c)측을 향해 전파해 온 광을 출사면(12b)측으로 확산시키면서 반사시킨다. 확산 도트는 전형적으로는 백색 도트이다. 확산 도트는 출사광이 균일해지도록 설계된 패턴으로 형성된다. 확산 도트는 예컨대 스크린 인쇄 또는 잉크젯 인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반사부(24)는 확산 도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배면(12c)에 소정의 패턴을 갖는 요철 형상을 형성하고, 이 요철 형상을 갖는 배면(12c)이 반사부(24)일 수 있다. 또는, 렌즈 형상의 투명 또는 반투명 도트가 반사부(24)로서 배면(12c) 상에 설치되어도 좋다. 렌즈의 효과에 의해 광의 진행 방향이 변경되어 광이 출사면(12b)으로부터 출사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광판 기재부(12)의 구성이 도 2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광판 기재부(12)는 제 1 층(12d) 및 제 2 층(12e)이 제 1 층(12d), 제 2 층(12e) 및 제 1 층(12d)의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체(다층체)이다. 즉, 도광판 기재부(12)는, 중간층인 제 2 층(12e)이 표층인 제 1 층(12d)에 의해 협지된 2종 3층 구조를 갖는다.
제 1 층(12d) 및 제 2 층(12e)은 스타이렌계 수지로 구성되는 층이다. 스타이렌계 수지의 예는 폴리스타이렌이다. 제 1 층(12d)에서의 블루잉제의 함유량은 제 1 층(12d)의 질량을 기준으로 0.1ppm∼10ppm이고, 바람직하게는 0.1ppm∼1ppm이다. 제 2 층(12e)에서의 블루잉제의 함유량은 제 2 층(12e)의 질량을 기준으로 0.1ppm 미만이고, 바람직하게는 0.07pp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ppm이다.
블루잉제는 통상 이용되고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블루잉제의 예는 매크로렉스 블루 RR(바이엘사제, 상품명), 매크로렉스 블루 3R(바이엘사제, 상품명) 및 폴리신스렌 블루 RLS(클라이언트사제, 상품명)를 포함한다.
제 1 층(12d)의 두께는, 도광판 기재부(12)의 두께를 d로 하고 제 1 층(12d)의 두께를 d1로 했을 때, d1/d가 0.01∼0.05를 만족시키는 d1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광판 기재부(12)가, 도 2에 도시된 2종 3층 구조와 같이 제 1 층(12d)을 복수 갖는 경우, 두께 d1은 복수의 제 1 층(12d)의 두께 d1의 합계를 d2로 했을 때, d2/d가 0.02∼0.1을 만족시키는 d1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제 1 층(12d)의 두께가 상기 범위보다 작으면, 도광판 기재부(12)의 황색빛을 억제하는 효과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고, 상기 범위보다 크면, 도광판 기재부(12)의 광 투과율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상기 2종 3층 구조의 도광판 기재부(12)에 있어서, 두께(d)의 구체예는 3.6mm이고, 각 제 1 층(12d)의 두께(d1)의 구체예는 50㎛이다.
도광판 기재부(12)는,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자외선 흡수제, 열 안정제, 산화 방지제, 내후제, 광 안정제, 형광 증백제 및 가공 안정제 등의 각종 첨가제, 및 광확산 입자를 포함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도광판(11)의 제작 방법의 일례가, 도광판(11) 제작의 일 공정을 나타내는 도 3을 이용하여 설명된다. 도 3(a)는 도광판 기재부(12)의 제조 장치(40)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는 도 3(a)의 파선으로 둘러싸인 영역(b)의 확대도이다. 도광판(11)은, 도 3(a)에 나타내는 제조 장치(40)로 도광판 기재부(12)를 제작한 후, 반사부(24)로서의 확산 도트을 형성하여 제작된다.
제조 장치(4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3(a)에 나타내는 제조 장치(40)는, 멀티매니폴드 다이(43)에 접속되는 제 1 압출기(41)와, 마찬가지로 멀티매니폴드 다이(43)에 접속되는 제 2 압출기(42)를 구비한다. 멀티매니폴드 다이(43)로부터 압출되는 수지 시트를 성형하기 위해, 제조 장치(40)는 제 1 가압 롤(44), 제 2 가압 롤(45) 및 제 3 가압 롤(46)을 구비한다. 제 1 가압 롤(44), 제 2 가압 롤(45) 및 제 3 가압 롤(46)은 각 롤의 축이 대략 평행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1 가압 롤(44), 제 2 가압 롤(45) 및 제 3 가압 롤(46)의 표면은 경면이다.
다음으로, 도광판(11)의 제조 공정이 설명된다. 우선, 스타이렌계 수지 및 블루잉제가 준비된다. 이어서, 스타이렌계 수지 및 블루잉제가 핸드 블렌딩된다. 그리고, 그 혼합물을 190℃∼230℃에서 용융 혼련하는 것에 의해, 블루잉제를 포함하는 마스터배치 펠릿이 제작된다.
스타이렌계 수지를 실린더 내의 온도가 200℃∼245℃인 제 1 압출기(41)로 용융 혼련한 후, 용융 혼련된 스타이렌계 수지가 멀티매니폴드 다이(43)에 공급된다. 마찬가지로, 스타이렌계 수지 및 마스터배치 펠릿을 블루잉제의 농도가 상기 예시한 범위로 되도록 핸드 블렌딩한 펠릿을, 실린더 내의 온도가 200℃∼245℃인 제 2 압출기(42)로 용융 혼련한 후, 용융 혼련된 펠릿이 멀티매니폴드 다이(43)에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압출기(41)로부터 공급되는 수지가 중간층(제 2 층(12e))으로 되고, 상기 제 2 압출기(42)로부터 공급되는 수지가 표층(제 1 층(12d))으로 되도록, 멀티매니폴드 다이(43)에 의해 다이 온도 245℃에서 공압출 성형이 행해진다. 공압출 성형된 수지가 제 1 가압 롤(44), 제 2 가압 롤(45) 및 제 3 가압 롤(46)에 의해 협압(挾壓)됨과 더불어 냉각된다. 그 결과,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중간층의 양측에 표층이 설치된 2종 3층 구조를 갖는 적층판인 도광판 기재부(12)가 얻어진다.
이 제조방법에서는, 도 3(a)에 도시된 제 1 가압 롤(44)과 제 2 가압 롤(45) 사이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도광판 기재부(12)의 두께가 조정될 수 있다. 제 2 가압 롤(45)과 제 3 가압 롤(46)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도광판 기재부(12) 표면의 표면 거칠기가 조정될 수 있다.
얻어진 도광판 기재부(12)의 배면(12c)에 스크린 인쇄 또는 잉크젯 인쇄에 의해 확산 도트(반사부(24))가 형성되어 도광판(11)이 얻어진다. 한편, 도광판(11)의 제작 방법은 지금까지 기술된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사출 성형 등에 의해, 반사부(24)가 도광판 기재부(12)의 배면(12c)에 형성된 도광판(11)이 직접 제작되어도 좋다. 예컨대 반사부(24)가 배면(12c)에 형성된 요철 형상인 경우에는, 상기 도광판 기재부(12)를 제조하는 공정에 있어서, 표면에 소정의 패턴을 갖는 요철 형상이 설치된 가압 롤을 제 2 가압 롤(45) 또는 제 3 가압 롤(46)로서 이용함으로써 도광판(11)이 직접 제작되어도 좋다. 반사부(24)로서 확산 도트 대신에 투명 도트 또는 반투명 도트 등이 이용되는 경우, 투명 도트 또는 반투명 도트는 확산 도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제조 장치(40)를 이용한 경우의 도광판(11)의 제작 방법이 설명되었지만, 도광판(11)의 제작 방법은 설명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도광판 기재부(12)는, 각 층을 구성하는 성분(수지 및 블루잉제)을 포함하는 시트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조하고, 이들 시트를 중첩시켜 열 프레스하는 것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도광판 기재부(12)의 작용효과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면광원 장치(22)의 일부로서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10)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된다. 광원부(14)가 갖는 광원(14A)이 발광하면, 광원(14A)으로부터의 광은, 광원(14A)에 대향하는 도광판 기재부(12)의 측면(12a)으로부터 도광판 기재부(12)로 입사된다. 도광판 기재부(12)로 입사된 광은, 도광판 기재부(12) 내를 전(全)반사하면서 전파한다. 도광판 기재부(12) 내를 전파하는 광의 일부는, 반사부(24)에 의해, 광이 전반사 조건 이외의 조건에서 반사된다. 그 때문에, 반사부(24)에서 반사된 광은 출사면(12b)으로부터 출사된다. 이에 의해 출사면(12b)이 면상(面狀)의 광을 출사할 수 있다.
도광판(11)이 갖는 도광판 기재부(12)는 제 1 층(12d) 및 제 2 층(12e)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체이고, 제 1 층(12d) 및 제 2 층(12e)의 주성분은 스타이렌계 수지이다. 그 때문에, 도광판(11)은 저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광판 기재부(12)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 1 층(12d)은 제 1 층(12d)의 질량을 기준으로 0.1ppm∼10ppm(이하, 소정량이라고 부름)의 블루잉제를 포함한다. 그 때문에, 도광판 기재부(12)가 스타이렌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스타이렌계 수지에 기인하는 황색빛이 억제될 수 있다. 그 결과, 도광판(11)을 구비하는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10)는 자연에 보다 가까운 색조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제 1 층(12d)이 상기 소정량의 블루잉제를 포함하는 한편, 제 2 층(12e)에서의 블루잉제의 함유량은 0.1ppm 미만이고, 제 2 층(12e)의 질량을 기준으로 0.1ppm 이상의 블루잉제는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블루잉제에 의한 광 투과율의 저하가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블루잉제가 도광판 기재부(12)에 포함되어 있어도, 출사면(12b)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휘도가 확보될 수 있다.
도광판 기재부(12)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층으로서의 제 2 층(12e)의 양측에 표층으로서의 제 1 층(12d)이 각각 설치된 구성인 경우, 광원부(14)로부터 도광판 기재부(12)의 측면(12a)으로 입사된 광은 제 2 층(12e)을 주로 전파한다. 그 결과, 광 투과율의 저하가 보다 억제될 수 있다. 나아가, 블루잉제를 포함하는 제 1 층(12d)이 적층 구조에 있어서의 최외층인 표층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스타이렌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한 것에 의한 황색빛이 효율적으로 억제된다. 그 결과, 도광판(11)을 구비하는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10)는 보다 자연에 가까운 색조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 1 층(12d) 및 제 2 층(12e)의 적층 방향(도 1의 z 방향)에서 도광판 기재부(12)가 보인 경우에 있어서, 소정 영역 내의 블루잉제의 양이 0.1ppm∼10ppm 인 것에 의해, 도광판 기재부(12)가 제 1 층(12d)을 복수 갖는 경우나, 제 2 층(12e)에서의 블루잉제의 함유량이 0.1ppm 미만이었다고 해도, 도광판 기재부(12)의 황색빛을 억제하면서 광 투과율의 저하가 보다 확실히 억제될 수 있다. 상기 소정 영역은 도광판 기재부(12)의 적층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상(柱狀) 영역이고 적층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의 면적이 단위 면적인 영역이다. 단위 면적은 예컨대 1mm2이다.
면광원 장치(22)는 도광판 기재부(12)를 갖는 도광판(11)을 구비하기 때문에, 자연에 가까운 색조이면서 휘도가 확보된 면상의 광을 출사할 수 있다.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10)는 상기 도광판(11)을 구비하기 때문에, 자연에 가까운 색조이면서 휘도가 확보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형이 가능하다. 예컨대, 제 1 층(12d) 및 제 2 층(12e)의 주성분인 스타이렌계 수지는, 예시한 폴리스타이렌에 한정되지 않고, 스타이렌계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는 수지이면 좋다. 예컨대, 제 1 층(12d) 및 제 2 층(12e)은 각각 스타이렌계 단량체와 (메트)아크릴산에스터가 공중합된 수지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는, (메트)아크릴산에스터는 메타크릴산에스터와 아크릴산에스터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제 1 층(12d) 또는 제 2 층(12e)의 주성분이 스타이렌계 단량체와 (메트)아크릴산에스터가 공중합된 수지인 형태에서는, 스타이렌계 단량체 단위의 양은 (메트)아크릴산에스터 단위의 양 이상이다. 즉, 제 1 층(12d) 및 제 2 층(12e)을 구성하는 수지는, 스타이렌계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이 50질량%∼100질량%이고, (메트)아크릴산에스터 단위의 함유량이 0질량%∼50질량%인 수지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스타이렌계 수지는 스타이렌계 단량체 단위에서 유래하기 때문인지 황색빛이 나타나기 쉬우므로, 본 발명이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이와 같은 스타이렌계 단량체와 (메트)아크릴산에스터 단량체가 공중합된 수지의 예는 스타이렌과 메타크릴산메틸이 공중합된 MS 수지이다.
스타이렌계 단량체로서는, 스타이렌 외에, 치환 스타이렌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치환 스타이렌은, 예컨대 클로로스타이렌 및 브로모스타이렌 등의 할로젠화 스타이렌, 및 바이닐톨루엔 및 α-메틸스타이렌 등의 알킬 스타이렌을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산에스터로서는, 메타크릴산메틸 외에, 메타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뷰틸, 메타크릴산사이클로헥실, 메타크릴산페닐, 메타크릴산벤질, 메타크릴산2-에틸헥실 및 메타크릴산2-하이드록시에틸 등의 메타크릴산에스터, 및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뷰틸, 아크릴산사이클로헥실, 아크릴산페닐, 아크릴산벤질, 아크릴산2-에틸헥실 및 아크릴산2-하이드록시에틸 등의 아크릴산에스터를 들 수 있다.
제 1 층(12d) 및 제 2 층(12e)의 주성분으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이용되어도 좋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내열성이 우수하다. 그 때문에, 제 1 층(12d) 또는 제 2 층(12e)에 내열성이 부여될 수 있다. 도광판 기재부(12)의 성형 온도는 이용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도광판 기재부(12)의 성형 온도의 예는 260∼320℃이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서는, 예컨대 미쓰비시엔지니어링플라스틱주식회사제의 유피론(형 번호: H-3000, H-4000, HL-4000, HL-7001, HL-8000), 바이엘사제의 마크롤론(형 번호: 2205, 2405, CD2605), 이데미쓰고산주식회사제의 타플론(형 번호: #1700, #1900, #2200), 데이진가세이주식회사제의 판라이트(형 번호: L-1225L, L-1225-Y, LV-2225Y), 데이진바이엘폴리테크주식회사제의 ST-3000, GE플라스틱스사제의 렉산(형 번호: 101R, 103R, 153R) 및 스미토모다우주식회사제의 칼리버(형 번호: 301-15, 301-22, 301-30)를 들 수 있다.
제 1 층(12d) 및 제 2 층(12e)의 각각의 주성분은 동일해도 상이해도 좋다. 예컨대, 제 1 층(12d) 및 제 2 층(12e)의 주성분이 공히 폴리스타이렌계 수지이어도 좋고, 공히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이어도 좋다. 제 1 층(12d)의 주성분이 폴리스타이렌계 수지이고, 제 2 층(12e)의 주성분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이어도 좋고, 제 1 층(12d)의 주성분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이고, 제 2 층(12e)의 주성분이 폴리스타이렌계 수지이어도 좋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층(12d)이 복수 있는 경우, 복수의 제 1 층(12d)의 각각의 주성분은 동일해도 상이해도 좋다. 예컨대, 도 2에 나타낸 도광판 기재부(12)의 경우, 한쪽 제 1 층(12d)의 주성분이 폴리스타이렌계 수지이고, 다른쪽 제 1 층(12d)의 주성분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이어도 좋다.
도광판 기재부(12)의 구성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 1 층(12d)과 제 2 층(12e)을 1층씩 갖고, 제 1 층(12d)이 도광판 기재부(12)의 출사면(12b)측의 최외층인 구성이어도 좋다. 제 1 층(12d)이 도광판 기재부(12)의 최외층이 아니라 중간층이어도 좋다. 나아가, 제 1 층(12d)과 제 2 층(12e)의 계면에서 블루잉제의 농도가 단계적으로 변화되어도 좋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이 보다 상세히 설명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원재료>
본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는, 수지 시트를 형성시키기 위해 이하의 수지(원재료)가 이용되었다.
열가소성 수지 A : 스타이렌계 수지(도요스티렌(주)제, HRM-40)
착색제 B : 블루잉제(바이엘사제, 상품명 「매크로렉스 블루 RR」)
100.0질량부의 열가소성 수지 A 및 0.001질량부의 착색제 B를 핸드 블렌딩한 후, 스크류 직경 30mmφ의 조립기(造粒機)에 의해 190℃∼230℃에서 용융 혼련하여, 블루잉제를 포함하는 마스터배치 펠릿 C가 제작되었다.
<실시예 1>
도 3(a)에 도시된 제조 장치(40)로 도광판 기재부(12)로서의 수지 시트가 제조되었다. 100질량부의 열가소성 수지 A가 제 1 압출기(41)(스크류 직경 40mmφ의 단축 압출기)에 의해 200℃∼245℃에서 용융 혼련되었다. 10질량부의 마스터배치 펠릿 C와 90질량부의 열가소성 수지 A를 핸드 블렌딩한 펠릿이 제 2 압출기(42)(스크류 직경 20mmφ의 단축 압출기)에 의해 200℃∼245℃에서 용융 혼련되었다. 그리고, 용융 혼련된 상기 열가소성 수지 A 및 상기 펠릿이 폭 250mm의 멀티매니폴드 다이(43)로부터 다이 온도 245℃에서 2종 3층 구조의 수지 시트로서 연속적으로 공압출되었다. 이 압출된 수지 시트가, 경면 냉각 롤인 제 1 가압 롤(44)과 제 2 가압 롤(45)로 가압되었다. 그 후, 이 수지 시트가 제 2 가압 롤(45)에 밀착된 상태로 제 2 가압 롤(45)의 회전에 수반하여 반송되었다. 이어서 수지 시트가 제 2 가압 롤(45)과 제 3 가압 롤(46)로 가압되었다. 이때의 각 롤의 온도는 제 1 가압 롤(44)이 94℃, 제 2 가압 롤(45)이 97℃, 제 3 가압 롤(46)이 102℃였다. 이에 의해, 블루잉제를 포함하는 표층(제 1 층(12d))이 수지 시트의 양면에 있는 실시예 1의 도광판 기재부(12)로서의 수지 시트가 제조되었다. 수지 시트의 형태(층 구조) 및 두께(d), 표층의 두께(d1), 및 표층에 포함되는 블루잉제의 농도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멀티매니폴드 다이(43)로부터 2종 2층 구조를 갖는 수지 시트가 연속적으로 공압출된 점 이외는,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멀티매니폴드 다이(43)로부터 수지 시트가 공압출되었다. 이 압출된 수지 시트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제 1 가압 롤(44), 제 2 가압 롤(45) 및 제 3 가압 롤(46)로 성형되었다. 이때의 각 롤의 온도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였다. 이에 의해, 블루잉제를 포함하는 표층(제 1 층(12d))이 수지 시트의 편면에 있는 실시예 2의 도광판 기재부(12)로서의 수지 시트가 제조되었다. 수지 시트의 형태 및 두께(d), 표층의 두께(d1), 및 표층에 포함되는 블루잉제의 농도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100질량부의 열가소성 수지 A가 제 1 압출기(41)에 의해 200℃∼245℃에서 용융 혼련되었다. 그리고, 용융 혼련된 상기 열가소성 수지 A가 폭 250mm의 멀티매니폴드 다이(43)로부터 다이 온도 245℃에서 단층 구조의 수지 시트로서 연속적으로 압출되었다. 이 압출된 수지 시트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제 1 가압 롤(44), 제 2 가압 롤(45) 및 제 3 가압 롤(46)로 성형되었다. 이때의 각 롤의 온도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였다. 이에 의해, 비교예 1의 도광판 기재부로서의 수지 시트가 얻어졌다. 수지 시트의 형태 및 두께(d), 및 수지 시트에 포함되는 블루잉제의 농도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90질량부의 열가소성 수지 A와 10질량부의 상기 마스터배치 펠릿 C를 핸드 블렌딩한 펠릿이 제 1 압출기(41)에 의해 200℃∼245℃에서 용융 혼련되었다. 그리고, 용융 혼련된 상기 펠릿이 폭 250mm의 멀티매니폴드 다이(43)로부터 다이 온도 245℃에서 단층 구조의 수지 시트로서 연속적으로 압출되었다. 이 압출된 수지 시트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제 1 가압 롤(44), 제 2 가압 롤(45) 및 제 3 가압 롤(46)로 성형되었다. 이때의 각 롤의 온도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였다. 이에 의해, 비교예 2의 도광판 기재부로서의 수지 시트가 얻어졌다. 수지 시트의 형태 및 두께(d), 및 수지 시트에 포함되는 블루잉제의 농도를 표 1에 나타낸다.
<광 투과율을 측정하기 위한 샘플의 제작 방법>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의 수지 시트를 장변 250mm, 단변 50mm로 패널 톱으로 잘라내어 길이 250mm × 폭 50mm × 두께 3.6mm의 단책상(短冊狀) 샘플이 얻어졌다.
다음으로, 연마기(메갈로테크니카사제, 상품명, 플라뷰티 PB-500)에 의해 샘플의 4개의 측면이 광 투과율의 측정에 지장이 없도록 연마되었다.
<광 투과율의 평가 방법>
도 5는 전광선 투과율(이하, 간단히 투과율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음)의 측정 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상기 샘플(도광판 기재부(12))의 측면(입사면측)에 슬릿판(50)이 밀착되었다. 슬릿판(50)은, 샘플의 폭 방향(도 1의 y 방향)에 대해 평행하고, 또한 샘플의 측면 중앙부에 슬릿이 오도록 설치되었다.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은 폭(w)이 0.5mm인 슬릿이 중앙에 설치된 판이 슬릿판(50)으로서 이용되었다. 다음으로, 슬릿판(50) 부착 샘플이 분광 광도계(히타치하이테크놀로지사 U-4100형 분광 광도계)에 설치되었다. 그 후, 파장 300∼800nm의 광(L1)이 슬릿판(50)을 통해 샘플에 조사되었다. 샘플의 가운데를 통과한 광(L2)이 분광 광도계의 수광부(52)에서 측정 간격 1nm로 검출되었다. 광(L1 및 L2)의 광도를 바탕으로 전광선 투과율이 구해졌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각 수지 시트에 있어서의 투과율 및 측면(12a)에 대응하는 측면으로부터의 육안 결과가 평가되었다. 그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2의 수지 시트의 투과율은 블루잉제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과 동일한 정도이다. 따라서, 투과율의 저하가 억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2의 수지 시트는 블루잉제를 포함하기 때문에, 수지 시트의 황색빛은 수지 시트의 측면으로부터의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았다. 한편, 블루잉제를 포함하는 비교예 2는, 수지 시트의 황색빛은 수지 시트의 측면으로부터의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았지만, 투과율이 실시예 1 및 2의 수지 시트와 비교하여 약 30% 감소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2의 수지 시트에 있어서, 표층만이 블루잉제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수지의 황색빛이 억제되고, 또한 광 투과율의 저하가 억제됨이 분명해졌다.
10: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 11: 도광판, 12: 도광판 기재부, 12a: 측면, 12b: 출사면, 12c: 배면, 12d: 제 1 층, 12e: 제 2 층, 14: 광원부, 16: 반사 시트, 18: 투과형 화상 표시부, 20: 광학 필름부, 22: 면광원 장치, 24: 반사부(확산 도트).

Claims (7)

  1. 광을 출사하는 출사면 및 상기 출사면과 반대측의 배면을 갖는 도광판 기재부와,
    상기 도광판 기재부의 배면측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출사면측으로 광을 반사하는 반사부
    를 구비하며,
    상기 도광판 기재부는 적어도 1개의 제 1 층과 적어도 1개의 제 2 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다층체이고,
    상기 제 1 층 및 상기 제 2 층의 각각이 스타이렌계 수지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층에서의 블루잉제의 함유량이 0.1ppm∼10ppm이고,
    상기 제 2 층에서의 블루잉제의 함유량이 0.1ppm 미만인
    도광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 및 상기 제 2 층에 포함되는 스타이렌계 수지에서의 스타이렌계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이 50질량%∼100질량%이고, (메트)아크릴산에스터 단위의 함유량이 0질량%∼50질량%인 도광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 기재부의 두께를 d로 하고 상기 제 1 층의 두께를 d1로 했을 때, d1/d가 0.01∼0.05를 만족시키는 도광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 기재부의 상기 출사면측의 최외층이 상기 제 1 층인 도광판.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 기재부의 상기 배면측의 최외층이 상기 제 1 층인 도광판.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 기재부의 측면에 광을 공급하는 광원부
    를 구비하는 면광원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 기재부의 측면에 광을 공급하는 광원부와,
    상기 도광판 기재부의 상기 출사면측에 설치되고,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으로 조명되는 투과형 화상 표시부
    를 구비하는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
KR1020137034106A 2011-05-24 2012-05-23 도광판, 면광원 장치 및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 KR201400359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16193 2011-05-24
JP2011116193 2011-05-24
JPJP-P-2011-285852 2011-12-27
JP2011285852A JP5280513B2 (ja) 2011-05-24 2011-12-27 導光板
PCT/JP2012/063200 WO2012161222A1 (ja) 2011-05-24 2012-05-23 導光板、面光源装置及び透過型画像表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953A true KR20140035953A (ko) 2014-03-24

Family

ID=47217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4106A KR20140035953A (ko) 2011-05-24 2012-05-23 도광판, 면광원 장치 및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280513B2 (ko)
KR (1) KR20140035953A (ko)
CN (1) CN103547852A (ko)
TW (1) TW201307394A (ko)
WO (1) WO20121612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85046B2 (ja) * 2011-10-07 2015-09-24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導光体用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導光体
KR102090036B1 (ko) 2013-09-16 2020-03-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L3169520T3 (pl) 2014-07-16 2018-07-31 Kba-Metalprint Gmbh Urządzenie z pewną liczbą zespołów drukujących do zadrukowywania pustych korpusów
JP2017050276A (ja) * 2015-08-19 2017-03-09 Jsr株式会社 導光板用組成物、導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エッジライト型面発光装置
JP2017050277A (ja) * 2015-09-01 2017-03-09 Jsr株式会社 導光板用組成物、導光板及びエッジライト型面発光装置
JP2017107770A (ja) * 2015-12-10 2017-06-15 住友化学株式会社 面発光導光体、面発光導光体の製造方法、面光源装置及び透過型画像表示装置
CN107422532A (zh) * 2017-08-16 2017-12-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透明显示面板、其制作方法及显示系统
WO2020016752A1 (en) * 2018-07-20 2020-01-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ptical film including polymeric optical reflector and discontinuous transparent coating
JP2020126162A (ja) * 2019-02-05 2020-08-20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画像表示用導光板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757A (zh) * 1995-03-06 1997-10-22 株式会社日立制作所 具有侧边型背照明系统的液晶显示器
JP4104707B2 (ja) * 1997-11-27 2008-06-18 出光興産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導光板
JP2007204536A (ja) * 2006-01-31 2007-08-16 Ps Japan Corp 導光板
CN101334558B (zh) * 2007-06-29 2011-04-20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背光模组及液晶显示器
JP2009043565A (ja) * 2007-08-08 2009-02-26 Citizen Electronics Co Ltd 導光板及び面状ライトユニット並びに表示装置
JP2009059583A (ja) * 2007-08-31 2009-03-19 Mitsubishi Rayon Co Ltd 側面漏光型照光装置
JP2010037380A (ja) * 2008-08-01 2010-02-18 Teijin Chem Ltd 導光板用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導光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547852A (zh) 2014-01-29
JP5280513B2 (ja) 2013-09-04
JP2013008657A (ja) 2013-01-10
WO2012161222A1 (ja) 2012-11-29
TW201307394A (zh) 2013-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80513B2 (ja) 導光板
WO2013039009A1 (ja) 導光板、面光源装置、透過型画像表示装置及び導光板用反射ドット
US8789997B2 (en) Light guide plat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transmission image display device
JP2009539137A (ja) 多層構造光拡散板及びそれらを含む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CN111458928A (zh) 照明装置以及显示装置
JP5262490B2 (ja) 光拡散板、光学シー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0044270A (ja) 光拡散板、光学シー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5648075B2 (ja) 形状転写樹脂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樹脂シート
JP4992280B2 (ja) 液晶表示装置
WO2012147741A1 (ja) 光学シート
JP2014086387A (ja) 導光板、導光板を備え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表示装置
WO2013008589A1 (ja) 光学シート、面光源装置及び透過型画像表示装置
JP2012108497A (ja) 光拡散板及び光拡散板の製造方法
JP2013225439A (ja) バックライト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WO2012144451A1 (ja) 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KR101715893B1 (ko) 면광원 커버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평판 조명장치
JP2012144033A (ja) 樹脂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3039827A (ja) 光学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4029417A (ja) 導光板
KR20130028270A (ko) 반사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반사 시트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20002933A (ko) 수지 시트의 제조방법
JP2010044268A (ja) 光拡散板、光学シー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2030584A (ja) 表面形状転写樹脂シートの製造方法
TWI554726B (zh) 導光板及其製造方法
JP2014053093A (ja) 導光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