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5152A - 차량용 대쉬 패널 - Google Patents

차량용 대쉬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5152A
KR20140035152A KR1020120101657A KR20120101657A KR20140035152A KR 20140035152 A KR20140035152 A KR 20140035152A KR 1020120101657 A KR1020120101657 A KR 1020120101657A KR 20120101657 A KR20120101657 A KR 20120101657A KR 20140035152 A KR20140035152 A KR 20140035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vehicle
dash panel
panel body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1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도회
박주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120101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5152A/ko
Publication of KR20140035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51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4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01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characterised by combining metal and synthet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2Plastic parts manufactured by mou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차량용 대쉬 패널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대쉬 패널은 차량의 엔진룸과 차실을 구획하도록 대쉬 패널의 형상을 따라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성형되는 패널체 및: 상기 패널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인서트되는 다수개의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대쉬 패널{Dash panel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대쉬 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된 대쉬 패널 바디에 스틸 소재의 연결부재가 인서트되어 결합된 차량용 대쉬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대쉬 패널(dash panel)은 엔진룸과 차실을 구획하는 패널로서, 조향장치나 여러 종류의 케이블 및 공조기의 덕트 등이 통과하도록 형성되며, 공조유닛과 페달장치 및 크래쉬 패드 등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대쉬 패널은 엔진룸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차실 내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대쉬 패널의 강성은 물론 방음성능이 중요하게 고려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대쉬 패널의 사시도이다.
통상, 스틸 재질을 사용하여 프레스 공법으로 제작되는 대쉬 패널(10)은 사각이 판재 형상을 갖는다.
상기 대쉬 패널(10)에는 관통하는 다수개의 조립홀(10a)이 형성되고, 상기 조립홀(10a)을 통해 케이블이나 덕트 등이 끼워져 장착된다.
상기 대쉬 패널(10)의 좌우 양측에는 전방 차체를 형성하는 프론트 사이드 멤버가 매칭되고, 상기 대쉬 패널(10)의 상부에는 카울 파트가 매칭되며, 하부에는 센터 플로워 패널이 매칭된다.
그리고 상기 대쉬 패널(10)은 부분적으로 보강이 필요한 부위에 여러 형태의 보강 부재가 장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대쉬 패널(10)은 소정 두께, 예를 들면 0.9t의 스틸 소재로 프레스 공법을 사용하여 제작되기 때문에 형상 자유도가 낮고, 여러 형상의 보강부재(미도시)를 별도로 구성하여 보강이 필요한 부위에 추가로 장착됨으로 부품수 증가 및 작업 공수의 증가로 제작 단가가 높고, 차량의 중량을 증가시킨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0.9t 두께의 스틸 소재를 사용함에 따라 엔진룸 내의 소음이 차실 내부로 유입되는 등, 방음성능이 떨어지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별도의 인슐레이터 패드 등을 부착해야 하는 등의 단점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성형함에 따라 형상 자유도가 향상되고, 중량이 가벼우며, 엔진룸에서 차실 내부로 유입되는 소음에 대한 방음성을 높여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대쉬 패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엔진룸과 차실을 구획하도록 대쉬 패널의 형상을 따라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성형되는 패널체 및: 상기 패널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인서트되는 다수개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대쉬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체는 사각판재 형상을 가지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패널체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인서트되어 패널체와 동시에 사출 성형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스틸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패널체에 인서트되어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패널체의 외부로 일부가 돌출되도록 상기 결합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결합부와 연장부가 "L" 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패널체와의 결합력을 높이도록 패널체가 채워지는 다수개의 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대쉬 패널을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성형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어 형상 자유도가 향상된다.
또한, 종래 스틸 소재에 비해 중량이 가벼운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함에 따라 대쉬 패널의 전체적인 중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대쉬 패널을 플라스틱 사출 성형함에 따라 스틸 소재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두께를 이용하여 강성을 보강할 수 있어 종래 별도로 제작되어 부착되는 보강부재와 같은 부품을 배제하고, 이로 인한 작업 공수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 스틸 소재에 비하여 방음성이 뛰어난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되어 방음성을 높이며, 이로 인한 승차감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라스틱 소재의 대쉬 패널 가장자리를 따라 스틸 소재로 제작된 다수개의 연결부재를 인서트하여 결합함으로써 다른 부품과의 용접 및 결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대쉬 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대쉬 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대쉬 패널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대쉬 패널(20)은 패널체(21)와 연결부재(22)를 포함한다.
상기 패널체(21)는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되며, 상기 연결부재(22)는 상기 패널체(21)에 인서트되는 것으로 스틸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된다.
즉, 상기 패널체(21)는 대체로 사각판재의 형상으로 성형되며, 단면상에는 다수개의 조립홀(H)이 형성되어서 케이블이나 덕트 등을 끼울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패널체(21)는 차체에 장착되었을 때에 차고방향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가장자리(21a)와, 차폭방향으로 좌우에 위치하는 좌우측 가장자리(21b) 및, 차고방향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가장자리(21c)를 따라서 상기한 다수개의 연결부재(22)가 인서트되어 일체로 성형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재(22)는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스틸소재로 제작되며, 대체로 L자 형상으로 절곡된 브래킷 형태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22)는 용접성 및 강성 등을 확보할 수 있다면 반드시 스틸 소재로 제작될 필요는 없다.
상기 연결부재(22)는 상기 패널체(21)에 인서트되어 일체로 고정되는 L자 형상으로 결합부(22a)와, 상기 결합부(22a)에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패널체(21)의 외측으로 일부가 돌출되는 연장부(22b)로 형성된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이때, 상기 연장부(22b)에는 다수개의 결합홀(22c)이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홀(22c)에는 상기 패널체(21)와의 결합력을 높이도록 상기 패널체(21)의 플라스틱 사출 성형 시, 패널체(21)를 이루는 플라스틱 소재가 채워진다.
즉, 상기 결합홀(22c)에 패널체(21)가 채워져 사출됨으로, 상기 패널체(21)와 연결부재(22) 사이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연장부(22b)는 패널체(21)의 각 가장자리 외측으로 일부가 돌출된 상태로, 다른 부품들과 패널체(21)를 용접하거나 연결할 때에 사용된다.
즉, 상기 패널체(21)의 상부 가장자리(21a)를 따라 구성된 연결부재(22)의 연장부(22b)는 카울 파트(미도시)와 패널체(21)를 매칭하여 용접하도록 하고, 상기 패널체(21)의 좌우측 가장자리(21b)를 따라 구성된 연결부재(22)의 연장부(22b)는 전방 차체를 구성하는 프론트 사이드 멤버(미도시)와 패널체(21)를 매칭하여 연결하도록 사용된다.
또한, 상기 패널체(21)의 하부 가장자리(21c)를 따라 구성된 연결부재(22)의 연장부(22b)는 센터 플로워 패널(미도시)을 패널체(21)에 매칭하여 용접하도록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대쉬 패널(20)은 패널체(21)가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성형됨에 따라 대쉬 패널(20)을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어 형상 자유도가 높으며, 대쉬 패널(20)에서 보강이 필요한 부위에는 그 부분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사출 성형함으로써 별도의 보강부재를 적용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상기 대쉬 패널(20)은 패널체(21)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인서트된 연결부재(21)들에 의해 다른 부품들과 대쉬 패널(20)을 매칭하여 연결하기 용이하며, 특히, 용접 및 기구적인 체결를 통하여 다른 부품과의 조립성이 좋아진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20: 대쉬 패널 21: 패널체
21a: 상부 가장자리 21b: 좌우측 가장자리
21c: 하부 가장자리 22; 연결부재
22a: 결합부 22b: 연장부
22c: 결합홀

Claims (8)

  1. 차량의 엔진룸과 차실을 구획하도록 대쉬 패널의 형상을 따라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성형되는 패널체 및:
    상기 패널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인서트되는 다수개의 연결부재;
    를 포함하는 차량용 대쉬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체는 사각판재 형상을 가지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패널체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인서트되어 패널체와 동시에 사출 성형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대쉬 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스틸 소재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대쉬 패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패널체에 인서트되어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패널체의 외부로 일부가 돌출되도록 상기 결합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연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대쉬 패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결합부와 연장부가 "L" 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패널체와의 결합력을 높이도록 패널체가 채워지는 다수개의 결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대쉬 패널.
  6. 차량의 엔진룸과 차실을 구획하도록 대쉬 패널의 형상을 따라 사각판재 형상으로 플라스틱 사출 성형되는 패널체 및:
    상기 패널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인서트되어 패널체와 동시에 사출 성형되어 결합되며, 상기 패널체에 인서트되어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패널체의 외부로 일부가 돌출되도록 상기 결합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연장부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연결부재;
    를 포함하는 차량용 대쉬 패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스틸 소재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대쉬 패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결합부와 연장부가 "L" 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패널체와의 결합력을 높이도록 패널체가 채워지는 다수개의 결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대쉬 패널.
KR1020120101657A 2012-09-13 2012-09-13 차량용 대쉬 패널 KR201400351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657A KR20140035152A (ko) 2012-09-13 2012-09-13 차량용 대쉬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657A KR20140035152A (ko) 2012-09-13 2012-09-13 차량용 대쉬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152A true KR20140035152A (ko) 2014-03-21

Family

ID=50645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1657A KR20140035152A (ko) 2012-09-13 2012-09-13 차량용 대쉬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51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6153A (ko) 2017-08-07 2019-02-18 (주)대한솔루션 소음 성능을 개선한 자동차용 대시 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6153A (ko) 2017-08-07 2019-02-18 (주)대한솔루션 소음 성능을 개선한 자동차용 대시 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5706B1 (ko) 카울크로스 구조
KR100550621B1 (ko) 캐리어 구조
US8534739B2 (en) Cross car beam assembly including reinforced polymerized elements
JPWO2013094515A1 (ja) 自動車用繊維強化樹脂部材および自動車用繊維強化樹脂部材の製造方法
JP2010505681A (ja) 乗用車のフロントエンドモジュールの支持部
US10494032B2 (en) Vehicle cross-car beam
US8708379B2 (en) Vehicle bumper structure
JP2012131338A (ja) 車両の上部車体
KR101488326B1 (ko) 엔진룸의 구조
KR101424787B1 (ko) 선루프용 하이브리드 프레임 차체 연결구조
US10384723B2 (en) Vehicle cross-car beam
KR20140035152A (ko) 차량용 대쉬 패널
KR101703620B1 (ko) 차체 멤버 체결구조
JP2012140093A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支持構造
KR101689575B1 (ko) 후드 힌지 마운팅부의 연결 브라켓
KR20220008108A (ko)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7069015A1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CN111688814A (zh) 车辆后部结构
KR102394573B1 (ko) 차량의 배터리 마운팅 구조
KR20140045805A (ko) 펜더 에이프론 연결 구조
KR20210145017A (ko) 이종소재의 카울패널과 에이필러의 결합구조
KR101501905B1 (ko) 프런트 엔드 모듈 캐리어
KR20190113221A (ko) 자동차용 필러트림과 루프 접합부의 보강구조
JP5640628B2 (ja) フロントコンパートメント構造
JP2012030640A (ja) 車両前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