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4302A - 축전 장치와 스페이서 - Google Patents

축전 장치와 스페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4302A
KR20140034302A KR20147003245A KR20147003245A KR20140034302A KR 20140034302 A KR20140034302 A KR 20140034302A KR 20147003245 A KR20147003245 A KR 20147003245A KR 20147003245 A KR20147003245 A KR 20147003245A KR 20140034302 A KR20140034302 A KR 20140034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torage
spacer
storage device
inclined portion
cooling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03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9938B1 (ko
Inventor
가즈야 무라타
Original Assignee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34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4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9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9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01M10/647Prismatic or flat cells, e.g.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H01M10/6557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arranged between th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01M10/6563Gases with forced flow, e.g. by blow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01M50/291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축전 장치는 축전 소자(11)와, 축전 소자(11)과 교대로 배열되는 스페이서(13)를 포함한다. 각각의 스페이서(13)는 인접 축전 소자(11)에 대면하는 대향면과, 대향면을 따라 유동하는 냉각 매체용 냉각 매체 통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리브와, 냉각 매체 통로의 단부측에 배치되는 측면과,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스페이서(13)를 지지하는 레그부를 포함한다. 레그부의 상면은 제1 경사부와 측면 간의 거리가 레그부의 저면을 향한 방향으로 증가하는 방식으로 연장되는 제1 경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축전 장치와 스페이서 {ELECTRICAL STORAGE DEVICE AND SPACER}
본 발명은 인접한 축전 소자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 관련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글로벌 환경 조화형 차량으로서 차량 구동용 전기 모터를 포함하는 전기 차량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이 관심을 끌고 있고 실제로 사용된다. 전기 모터는 충방전이 가능한 축전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에 의해 구동된다.
이 축전 장치로는 복수의 전지 셀과, 서로 인접한 전지 셀 사이에 냉각 매체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스페이서가 배치되는 전지 팩이 공지되어 있다. 스페이서를 지지하기 위한 레그부가 스페이서의 측면에 마련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스페이서의 개략도이고,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지 팩의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레그부의 상면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따라서 냉각 공기나 결로수에 포함된 먼지나 오물과 같은 이물질이 축적되기 쉽다. 이런 이물질이 레그부의 상면에 축적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가 인접 전지 셀의 외부 밀봉 케이스 사이로 전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먼지 등의 이물질이 스페이서의 레그부에 축적되는 것을 억제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축전 소자와; 축전 소자와 교대로 배열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축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각의 상기 스페이서는 인접한 축전 소자에 대면하는 대향면과, 대향면을 따라 유동하는 냉각 매체용 냉각 매체 통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리브와, 냉각 매체 통로의 단부측에 배치되는 측면과,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스페이서를 지지하는 레그부를 포함한다. 레그부의 상면은 제1 경사부와 측면 사이의 거리가 레그부의 저면을 향한 방향으로 증가하는 방식으로 연장되는 제1 경사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양태에 따른 구성에서, 각각의 축전 소자는 발전 소자를 내장하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상면측에 배치되는 단자 전극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돌출부가 측면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돌출부의 상면은 제2 경사부와 측면 사이의 거리가 돌출부의 저면을 향한 방향으로 증가하는 방식으로 연장되는 제2 경사부를 포함한다. 위의 구성에 따르면, 측면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돌출부의 상면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축적되거나 결로수가 축적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양태에 따른 구성에서, 제1 경사부는 대향면보다 낮은 마찰 저항을 가질 수 있다. 위의 구성에 따르면, 제1 경사부에 떨어진 이물질이 용이하게 미끄러져 내려간다.
상술한 양태에 따른 구성에서, 제1 경사부는 발수 처리(water-repellent treatment)가 실시되어 있을 수 있다.
상술한 양태에 따른 구성에서, 제2 경사부는 대향면보다 낮은 마찰 저항을 가질 수 있다. 위의 구성에 따르면, 제2 경사부에 떨어진 이물질이 용이하게 미끄러져 내려간다.
상술한 양태에 따른 구성에서, 제2 경사부는 발수 처리가 실시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인접한 축전 소자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에 관한 것이다. 스페이서는 대응하는 인접 축전 소자에 대면하는 대향면과; 대향면을 따라 유동하는 냉각 매체용 냉각 매체 통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리브와; 냉각 매체 통로의 단부측에 배치되는 측면과;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스페이서를 지지하는 레그부를 포함한다. 레그부의 상면은 제1 경사부와 상기 측면 사이의 거리가 레그부의 저면을 향한 방향으로 증가하는 방식으로 연장되는 제1 경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상의 양태에 따르면, 먼지 등의 이물질이 스페이서의 레그부에 축적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특징, 장점 및 기술적 산업적 의의를 설명한다. 첨부도면에서 유사 참조번호는 유사 요소를 가리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전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X축 방향으로 바라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례에 따른 스페이서의 개략도이다.
도 5는 종래 기술의 스페이서의 개략도이다.
도 6은 종래 기술의 전지 팩의 측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전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도 1은 축전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축전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화살표는 흡기 방향과 배기 방향을 나타낸다. 도 2에는 흡기 챔버, 배기 챔버 및 구속 밴드가 도시되어 있지 않다.
축전 장치(1)는 복수의 전지 셀(축전 소자)(11)과 복수의 스페이서(13)와 단부판(14)을 포함한다. 전지 셀(11)은 X축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배열되고 스페이서(13)는 인접한 전지 셀(11) 사이에 배치된다. 단부판(14)은 X축 방향으로 각각의 단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전지 셀(11)과 스페이서(13)는 단부판(14) 사이에 개재된다.
각각의 전지 셀(11)은 소위 직사각형 케이스(11c)를 포함하며 발전 소자가 케이스(11c)에 내장된다. 전지 셀(11)은 리튬-이온 이차 전지일 수 있다. 전지 셀(11)의 상단 표면측에는 양극 단자(11a)와 음극 단자(11b)가 Y축 방향으로 마련된다. X축 방향으로 인접한 전지 셀(11)은 버스 바(미도시)를 통해 직렬로 연결된다. 구속 밴드(16)는 축전 장치(1)의 상단 표면을 따라 X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구속 밴드(16)의 양측 단부는 하향으로 절곡된다. 절곡부는 단부판(14)에 고정되며, 따라서 단부판(14) 쌍은 서로를 향해 가압된다. 따라서, 복수의 전지 셀(11)의 성능이 유지된다.
Y축 방향으로 축전 장치(1)의 일측 단부면에는 축전 장치(1) 내로 냉각 매체(냉각풍)를 도입하는 흡기 챔버(17)가 마련되며, 타측 단부면에는 축전 장치(1)에 도입된 냉각 매체(냉각풍)을 배기하는 배기 챔버(18)가 마련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스페이서(13)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3은 X축 방향으로 바라본 스페이서의 개략도이다.
스페이서(13)는 스페이서 대향면(대향면)(131), 복수의 리브(13c), 스페이서 측면(측면)(132), 레그부(13a) 및 상부 돌출부(13b)를 포함한다. 스페이서 대향면(131)은 인접한 축전 소자(11)에 대면하고 Y-Z 평면 방향으로 연장된다. 복수의 리브(13c)는 냉각 매체의 유동 방향, 즉 Y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리브(13c)는 상하 방향(Z축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냉각 매체는 상하 방향으로 인접한 리브(13c) 사이에 각각 마련되는 냉각 매체 통로에서 Y축 방향으로 유동한다. 스페이서(13)는 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각각의 스페이서 측면(132)은 냉각 매체 통로의 단부측에 배치된다.
각각의 레그부(13a)가 대응하는 스페이서 측면(132)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스페이서(13)를 지지한다. 레그부(13a)는 차량의 바닥 패널에 고정될 수 있다. 레그부(13a)의 상면은 스페이서 측면(132)과 경사 레그면(13a1) 간의 거리가 레그부(13a)의 저면을 향한 방향으로 증가하는 방식으로 연장되는 경사 레그면(13a1)을 포함한다. 즉, 도 3에서 경사 레그면(13a1)은 레그부(13a)의 저면을 향한 방향으로 스페이서 측면(132)에 대해 외향으로 경사진다. 각각의 냉각 매체 통로는 협소하며, 따라서 흡기 챔버(17)를 통해 도입되는 공기에 먼지나 모발 등의 이물질이 들어있을 경우 이물질의 일부가 냉각 매체 통로 내로 진입하지 못하고 냉각 매체 통로의 인렛 하부에 배치되는 경사 레그면(13a1)에 떨어질 수 있다. 경사 레그면(13a1)에 떨어진 이물질은 경사 레그면(13a1)을 따라 미끄러져 내려간다. 따라서, 이물질이 레그부(13a)에 축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X축 방향으로 인접한 두 레그부(13a) 사이에 이물질이 축적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고, 축적된 이물질을 통해 X축 방향으로 인접한 전지 셀(11)의 케이스(11c) 사이에 전기가 전도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로가 레그부(13a)에 발생할 때 결로수는 경사 레그면(13a1)을 따라 낙하한다. 따라서, 레그부(13a)의 상면에 물이 축적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X축 방향으로 인접한 두 레그부(13a) 사이에 물이 존재함으로 인해 X축 방향으로 인접한 전지 셀(11)의 케이스(11c) 사이에 전기가 전도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냉각 매체 통로를 통과하는 냉각 매체에 이물질이 들어있을 경우, 이물질의 일부가 냉각 매체 통로의 아웃렛 하부에 배치되는 경사 레그면(13a1)에 떨어질 수 있다. 경사 레그면(13a1)에 떨어진 이물질은 경사 레그면(13a1)을 따라 미끄러져 내려가며, 따라서 상술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레그부(13a)의 상면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편평한 표면에서 경사면으로 변경되며, 이에 따라 이물질과 물을 받아들이는 면적이 증가한다. 따라서, 이물질의 일부가 마찰 저항으로 인해 낙하하지 않더라도 이물질이 레그부(13a)에 존재하지 않는 기간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경사 레그면(13a1)의 마찰 저항이 스페이서의 다른 외면(즉, 스페이서 대향면(131))의 마찰 저항보다 낮아지도록 경사 레그면(13a1)에 저마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즉, 경사 레그면(13a1)은 저마찰처리제로 처리될 수 있다). 저마찰 처리는 경사 레그면(13a1)에 플루오로수지를 도포하는 발수 처리일 수 있다. 경사 레그면(13a1)에 떨어진 이물질이나 물은 경사 레그면(13a1)의 마찰 저항 감소로 인해 용이하게 미끄러져 내려간다.
각각의 상부 돌출부(13b)가 대응하는 스페이서 측면(132)으로부터 돌출된다. 상부 돌출부(13b)를 형성함으로써 냉각 매체 통로의 밀봉 성능을 보장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돌출부(13b)의 상면은 경사 돌출면(13b1)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 돌출면(13b1)은 경사면이며, 경사 돌출면(13b1)과 스페이서 측면(132) 사이의 거리가 상부 돌출부(13b)의 하면(저면)을 향한 방향으로 증가하는 방식으로 연장된다. 즉, 도 3에서 경사 돌출면(13b1)은 상부 돌출부(13b)의 저면을 향한 방향으로 스페이서 측면(132)에 대해 외향으로 경사진다. 상부 돌출부(13b)에 떨어진 이물질은 경사 돌출면(13b1)을 따라 낙하하며, 따라서 상부 돌출부(13b)에 이물질이 축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부 돌출부(13b)가 경사면을 포함하지 않고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편평한 형상으로 형성된다면, 축적된 이물질로 인해 X축 방향으로 인접한 전지 셀(11)의 양극 단자(11a)와 음극 단자(11b) 사이로(즉, 서로 인접한 전지 셀(11)의 반대 극성 단자 사이로) 전기가 전도될 수 있다. 이런 문제는 상부 돌출부(13b)의 상면을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경사 돌출면(13b1)에도 상술한 바와 같은 저마찰 처리를 가할 수 있다.
[변형례 1]
상술한 실시예에서 경사 레그면(13a1)은 경사지게 하향 연장되는 편평한 표면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위의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물질이나 물이 낙하하기만 한다면 경사 레그면은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경사 레그면(13a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곡면일 수 있다. 또한, 경사 레그면(13a1)은 도 4에 도시된 곡면의 돌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곡면일 수 있다.
[변형례 2]
상술한 실시예에서, 상부 돌출부(13b)는 경사 돌출면(13b1)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위의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경사 돌출면(13b1)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먼지와 같은 이물질은 하부측에 축적되기가 쉽다. 따라서, 냉각 매체 통로의 구성으로 인해 이물질이 상부 돌출부(13b)에 거의 축적되지 않는다면, 경사 돌출면(13b1)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돌출부(13b)의 상면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편평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변형례 3]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레그부(13a)의 상면 전체가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위의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면의 일부는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변형례 4]
상술한 실시예에서, 냉각 매체 통로는 흡기 챔버(17)의 흡기 방향과 배기 챔버(18)의 배기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위의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흡기 방향과 배기 방향은 동일한 방향일 수 있다.
[변형례 5]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경사 레그면(13a1)(경사 돌출면(13b1))에 저마찰 처리를 가하는 방법으로서 플루오로수지를 도포하는 방법이 채택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방법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방법이 채택될 수 있다. 예컨대, 경사 레그면(13a1)(경사 돌출면(13b1))은 연마될 수 있다.
[변형례 6]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발전 소자를 포함하는 전지 셀(11)이 사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위의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발전 소자가 케이스 내에서 연결되는 전지 모듈(축전 소자)이 사용될 수 있다.
[참고예]
레그부(13a)나 상부 돌출부(13b) 이외의 돌출부가 스페이서 측면(132)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돌출부의 상면은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Claims (9)

  1. 축전 소자와,
    상기 축전 소자와 교대로 배열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축전 장치이며,
    각각의 상기 스페이서는 인접한 축전 소자에 대면하는 대향면과, 상기 대향면을 따라 유동하는 냉각 매체용 냉각 매체 통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리브와, 상기 냉각 매체 통로의 단부측에 배치되는 측면과, 상기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스페이서를 지지하는 레그부를 포함하고, 레그부의 상면은 제1 경사부와 상기 측면 사이의 거리가 상기 레그부의 저면을 향한 방향으로 증가하는 방식으로 연장되는 제1 경사부를 포함하는, 축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부는 경사지게 하향 연장되는 편평한 표면인, 축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부는 곡면인, 축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축전 소자는 발전 소자를 내장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면측에 배치되는 단자 전극을 포함하며, 돌출부가 상기 측면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상면은 제2 경사부와 상기 측면 간의 거리가 상기 돌출부의 저면을 향한 방향으로 증가하는 방식으로 연장되는 제2 경사부를 포함하는, 축전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부는 상기 대향면보다 낮은 마찰 저항을 가지는, 축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부는 발수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축전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사부는 상기 대향면보다 낮은 마찰 저항을 가지는, 축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사부는 발수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축전 장치.
  9. 인접한 축전 소자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이며,
    대응하는 인접 축전 소자에 대면하는 대향면과,
    상기 대향면을 따라 유동하는 냉각 매체용 냉각 매체 통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리브와,
    상기 냉각 매체 통로의 단부측에 배치되는 측면과,
    상기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스페이서를 지지하는 레그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그부의 상면은 제1 경사부와 상기 측면 간의 거리가 상기 레그부의 저면을 향한 방향으로 증가하는 방식으로 연장되는 제1 경사부를 포함하는, 스페이서.
KR1020147003245A 2011-08-12 2012-08-10 축전 장치와 스페이서 KR1016799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76698A JP5742577B2 (ja) 2011-08-12 2011-08-12 蓄電装置、スペーサ
JPJP-P-2011-176698 2011-08-12
PCT/IB2012/001541 WO2013024330A1 (en) 2011-08-12 2012-08-10 Electrical storage device and spac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4302A true KR20140034302A (ko) 2014-03-19
KR101679938B1 KR101679938B1 (ko) 2016-11-25

Family

ID=47018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3245A KR101679938B1 (ko) 2011-08-12 2012-08-10 축전 장치와 스페이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09498B2 (ko)
JP (1) JP5742577B2 (ko)
KR (1) KR101679938B1 (ko)
CN (1) CN103733422B (ko)
DE (1) DE112012003341B4 (ko)
WO (1) WO20130243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11951B2 (en) 2014-09-30 2018-03-06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Battery module compressed cell assembly
CN105742749A (zh) * 2014-12-09 2016-07-06 中国重汽集团济南动力有限公司 一种新型的电池散热结构
US10199621B2 (en) * 2015-06-11 2019-02-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attery cell spacer for establishing dielectric barriers within a battery assembly
US10388916B2 (en) 2015-09-18 2019-08-20 Gs Yuasa International Ltd. Energy storage apparatus
US11830672B2 (en) 2016-11-23 2023-11-28 KYOCERA AVX Components Corporation Ultracapacitor for use in a solder reflow process
US11791516B2 (en) 2018-03-23 2023-10-17 Gs Yuasa International Ltd. Energy storage apparatus
CN114245952A (zh) 2019-07-04 2022-03-25 株式会社杰士汤浅国际 蓄电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50688B2 (ja) * 2001-07-19 2006-11-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角形電池及び組電池の冷却装置
JP2006260905A (ja) 2005-03-16 2006-09-28 Toyota Motor Corp 電池パック構造
JP2007048750A (ja) 2005-08-10 2007-02-22 Samsung Sdi Co Ltd 電池モジュール
JP5078052B2 (ja) * 2005-10-18 2012-11-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構造
KR100709261B1 (ko) * 2005-11-15 2007-04-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JP4974578B2 (ja) 2006-04-27 2012-07-11 三洋電機株式会社 パック電池
JP2008159439A (ja) * 2006-12-25 2008-07-10 Toyota Motor Corp 蓄電モジュール
JP5121395B2 (ja) 2007-10-31 2013-01-16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池パック及び電池パック用セパレータ
US7851080B2 (en) * 2008-04-09 2010-12-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Battery cooling plate design with discrete channels
JP2009283193A (ja) * 2008-05-20 2009-12-03 Toyota Motor Corp 蓄電モジュールの固定構造及び車両
JP2009301969A (ja) * 2008-06-17 2009-12-24 Toyota Motor Corp 蓄電装置及び車両
US7883793B2 (en) 2008-06-30 2011-02-08 Lg Chem, Ltd. Battery module having battery cell assemblies with alignment-coupling features
JP4767291B2 (ja) 2008-07-07 2011-09-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保持枠および集合電池
JP5377955B2 (ja) 2008-12-24 2013-12-25 三洋電機株式会社 車両用の電源装置
JP2010170870A (ja) 2009-01-23 2010-08-05 Sanyo Electric Co Ltd 車両用の電源装置
JP5473558B2 (ja) * 2009-11-25 2014-04-16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JP5284248B2 (ja) * 2009-11-25 2013-09-11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積層体へのチャンバダクト取付け構造
US8460815B2 (en) * 2010-05-28 2013-06-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tackable repeating frame with integrated cell sensing conn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041708A (ja) 2013-02-28
DE112012003341B4 (de) 2021-12-09
CN103733422A (zh) 2014-04-16
DE112012003341T5 (de) 2014-04-24
WO2013024330A1 (en) 2013-02-21
KR101679938B1 (ko) 2016-11-25
US9209498B2 (en) 2015-12-08
CN103733422B (zh) 2016-02-24
JP5742577B2 (ja) 2015-07-01
US20140205876A1 (en) 2014-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9938B1 (ko) 축전 장치와 스페이서
US9666845B2 (en) Power storage module and fixing structure of power storage module
US9666378B2 (en) Power storage module
KR100919390B1 (ko) 수직 적층 구조의 중대형 전지모듈
KR101275813B1 (ko) 배터리 팩 조립체
KR101520902B1 (ko) 자동차용 배터리 팩 케이스
KR101029021B1 (ko) 높은 냉각 효율성의 전지모듈
JP6724552B2 (ja) バッテリ
KR101615941B1 (ko) 냉매 및 배기 가스의 혼합을 방지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JP5601283B2 (ja) 蓄電装置、スペーサ
KR101338275B1 (ko) 우수한 냉각 효율성의 전지팩
US9865898B2 (en) Power storage module and fixing structure of power storage module
KR101054315B1 (ko) 전기집진장치
KR101764842B1 (ko)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130054715A (ko) 전지팩 케이스
JP2012028228A (ja) 電池冷却装置
CN102687335A (zh) 蓄电装置
JP2013145686A (ja) 車両用の電池スタック
KR20150129494A (ko) 크래쉬 빔을 포함하는 차량용 전지팩
JP5768743B2 (ja) 蓄電装置
KR100696668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1059985B1 (ko) 집진장치용 스파크 프로텍터
US10079412B2 (en) Electrochemical electricity storage cell
KR101233060B1 (ko)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한 전지팩
CN107710494B (zh) 电池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