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2153A - 전동 압축기 - Google Patents

전동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2153A
KR20140032153A KR1020120098655A KR20120098655A KR20140032153A KR 20140032153 A KR20140032153 A KR 20140032153A KR 1020120098655 A KR1020120098655 A KR 1020120098655A KR 20120098655 A KR20120098655 A KR 20120098655A KR 20140032153 A KR20140032153 A KR 20140032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ortions
compressor
clip membe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8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0116B1 (ko
Inventor
김홍민
손재식
임권수
정수철
백찬호
정경훈
박대규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8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0116B1/ko
Publication of KR20140032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2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0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0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2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2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compressor driving arrangements, e.g. clutches, transmissions or multiple dr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8Hermetic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042Driving elements, brakes, coupling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pumps
    • F04C29/0085Prime m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26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30Casings o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40Electric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압축기는, 하우징(110, 120)의 개구(124a)의 둘레에 형성되며 상기 격벽(124)으로부터 상기 모터 구동회로(134)를 향해 돌출되는 보스부(125)를 포함하고, 밀폐단자(140)는 상기 보스부(125)의 내부로 삽입되어, 단일 클립부재(150)에 의해서 상기 보스부(125)의 내부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동 압축기{ELECTRIC COMPRESSOR}
본 발명은 전동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압축기 하우징 내부의 전동 모터로의 급전을 위한 밀폐단자의 설치를 단순화할 수 있는 전동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시스템에서 냉매를 압축시키는 역할을 하는 압축기는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왔으며, 최근 자동차 부품의 전장화 추세에 따라 전력으로 구동되는 전동 압축기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 전동 압축기는 대체로 전동 모터, 압축기구부 및 제어부로 구분된다.
여기에서, 먼저 전동 모터는, 외체를 이루는 모터 하우징과, 이 모터 하우징 내에 동축으로 배치되는 스테이터 및 로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압축기구부는, 외체를 이루며 상기 모터 하우징에 결합되는 압축기구부 하우징과, 이 압축기구부 하우징 내에 상대 회전하도록 장착되는 선회 스크롤 및 고정 스크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외체를 이루며 모터 하우징에 결합되는 커버부재와, 이 커버부재 내부에 장착되는 PCB 등 모터 구동회로 및 회로소자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대적으로 고압이 유지되는 모터 하우징 및 압축기구부 하우징의 내부를 일정한 압력으로 유지하면서, 상기 모터 구동회로로부터 전동 모터로의 급전을 위한 유체기밀식의 밀폐단자가 상기 모터 하우징 또는 압축기구부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관련하여, 일본국특허공개공보 제2007-128756호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 하우징(10, 20)의 일측면(30)을 관통하는 관통홀(31)에 유체기밀식으로 장착되며, 복수의 도전부재(41) 및 지지부재(4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밀단자(40)를, 상기 홀에 복수의 C형 스냅링(50, 60)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복수의 C형 스냅링(50, 60)을 이용하여 압축기 하우징(10, 20)의 일측면의 관통홀(31)에 기밀단자(40)를 고정하는 방식은, 상기 관통홀(31)의 견부(32)에 O-링(70)을 삽입하고, 기밀단자(40)를 상기 관통홀(31)에 삽입하여 기밀단자(40)의 지지부재(42)의 하측면을 상기 견부(32)에 밀착시킨 후에 복수의 C형 스냅링(50, 60)의 각각의 고리부(52, 62)에 별개의 가위형 설치 도구의 단부를 삽입하여 C형 스냅링(50, 60)의 전체 외경을 축소한 후, C형 스냅링(50, 60)을 관통홀(31)의 내측면에 형성된 홈부(33)에 끼워 넣음으로써 완료된다. 즉, 기밀단자(40)의 고정 작업이 개별 C형 스냅링(50, 60)별로 이루어짐으로 인해서 전동 압축기 전체의 생산성이 저하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C형 스냅링(50, 60)의 C형 본체(51, 61)의 일부분만이 상기 기밀단자(40)의 지지부재(42)의 상측면과 접촉이 유지됨으로써, C형 본체(51, 61)와 지지부재(42)의 상측면이 접촉하지 않는 부분에 대한 유체의 누설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밀폐단자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스냅링 또는 클립부재를 단일화하여 전동 압축기의 생산 및 제조의 단순화를 이룰 수 있는 전동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밀폐단자의 밀폐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압축기(100)는 전동 모터(121) 및 상기 전동 모터(121)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기구부(111)를 수용하는 하우징(110, 120); 상기 하우징(110, 120)의 일측에 형성된 격벽(124)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전동 모터(121)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회로(134); 및 상기 격벽(124)에 형성되는 개구(124a)를 관통하여 연장되며, 상기 전동 모터(121)와 상기 모터 구동회로(134)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밀폐단자(140);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10, 120)은, 상기 개구(124a)의 둘레에 형성되며 상기 격벽(124)으로부터 상기 모터 구동회로(134)를 향해 돌출되는 보스부(125)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단자(140)는 상기 보스부(125)의 내부로 삽입되어, 단일 클립부재(150)에 의해서 상기 보스부(125)의 내부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립부재(150)는 일정한 폭을 갖고 연장되는 두 개의 본체부(151, 154), 일단부 및 타단부(151-1, 154-1)가 상기 두 개의 본체부(151, 154)의 일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벤딩부(155), 및 상기 두 개의 본체부(151, 154) 각각의 일단부와 타단부(151-1, 154-1) 사이에 구비되는 두 개의 고리부(152, 15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두 개의 본체부(151, 154)의 타단부(151-1, 154-1)는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벤딩된다.
또한, 상기 두 개의 고리부(152, 153)는 상기 두 개의 본체부(151, 154)의 일부분이 각각 원호형상으로 벤딩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벤딩부(155)의 폭은 상기 두 개의 본체부(151, 154)의 폭보다 작거나 같다.
또한, 상기 밀폐단자(140)는 상기 모터 구동회로(134)로부터 상기 전동 모터(121)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도전성 연결핀(141), 및 상기 복수의 도전성 연결핀(141)을 지지하며 상기 개구(124a)의 형상에 대응되는 외주면 형상을 갖는 바디부(142)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142)의 하측면은 상기 보스부(125)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단차부(126)에 밀착되며, 상기 바디부(142)의 상측면은 상기 두 개의 본체부(151, 154) 및 벤딩부(155)에 밀착된다.
또한, 상기 보스부(125)의 내주면에는 상기 클립부재(150)가 삽입되는 홈부(127)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개구(124a)는 적어도 하나의 축(X-X')을 중심으로 대칭인 형상을 갖고, 상기 클립부재(15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축(X-X')을 중심으로 대칭인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도전성 연결핀(141)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축(X-X')을 따라 일렬로 배열된다.
또한, 상기 개구(124a)는 두 개의 직선구간(124a-1, 124a-3) 및 두 개의 원호구간(124a-2, 124a-4)으로 형성되며, 상기 클립부재(150)의 상기 두 개의 본체부(151, 154) 각각의 타단부(151-1, 154-1)는 상기 보스부(125)의 내부에서 상기 두 개의 원호구간(124a-2, 124a-4) 중 어느 하나에 모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압축기(100)는 종래의 복수의 스냅링을 단일화하여 전동 압축기의 생산 및 제조의 단순화를 이룰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압축기(100)는 밀폐단자의 밀폐성능을 향상시켜 전동 압축기(100)의 하우징 내부로부터의 냉매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복수의 C형 스냅링(50, 60)을 이용하여 하우징(20)에 고정되는 밀폐단자(40)를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10)의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압축기(100)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밀폐단자(140)와 단일 클립부재(150)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클립부재(150a)와 밀폐단자(140)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클립부재(150b)와 밀폐단자(140)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클립부재(150c)와 밀폐단자(140)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압축기(100)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압축기(100)는 전동 모터(121) 및 상기 전동 모터(121)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기구부(111)를 수용하는 하우징(110, 120); 상기 하우징(110, 120)의 일측에 형성된 격벽(124)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전동 모터(121)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회로(134); 및 상기 격벽(124)에 형성되는 개구(124a)를 관통하여 연장되며, 상기 전동 모터(121)와 상기 모터 구동회로(134)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밀폐단자(14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0, 120)은 내부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공간에는 후술하는 전동 모터(121) 및 압축기구부(111)가 수용된다. 하우징(110, 120)은 압축기구부(111)를 수용하는 제1하우징(110) 및 전동 모터(121)를 수용하는 제2하우징(120)을 포함하며, 이들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은 일체로 형성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개의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하우징(110, 120)은 금속 재질, 특히 일정한 강성을 가지면서 비교적 낮은 중량을 갖는 알루미늄 계열의 재질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동 모터(121)는 전동 압축기의 회전 동력을 만들어 내는 구동원으로써, 제2하우징(120) 내부에 고정식으로 결합되는 스테이터(121b)와, 이 스테이터(121b)의 내부에 위치되는 로터(121a), 및 이 스테이터의 회전 동력을 후술하는 압축기구부(111)에 전달하는 회전축(1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테이터(121b)는 상기 로터(121a)와 함께 회전 구동력을 만드는 구동부분으로서, 일종의 전자석이며, 제2하우징(120)의 내주면 상에 압입 등의 방식에 의해 고정되어 장착되는 코어와, 이 코어에 권선되는 코일 다발로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는 중공 원통형의 부재로서, 회전축(122)과 동축으로 로터(121a)가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코어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리브가 반경 방향 안쪽으로 돌출되고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됨으로써 통공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때 리브는 코일을 권선하기 위해 스테이터(121b)의 축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다.
한편, 로터(121a)는 스테이터(121b)의 내측 통공에 동축으로 장착되어 회전하는 부분으로서, 스테이터(121b)의 코어 중앙의 통공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며, 중심축을 따라 배열되는 회전축(122) 및 이 회전축(122)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영구자석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122)은 로터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개의 부재로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로터(121a)는 스테이터(121b)가 여자된 때 모터의 구동원리에 따라 스테이터(121b)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회전 구동한다.
압축기구부(111)는 상기 전동 모터(121)에서 발생되는 회전 구동력을 회전축(122)으로부터 전달받아 냉매를 압축하는 부분으로, 제1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상기 회전축(122)으로부터 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선회 스크롤과, 이 선회 스크롤과 짝을 이루어 냉매를 압축하여 압축기 외부로 토출시키는 고정 스크롤(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에는 상기 선회 스크롤과 고정 스크롤을 포함하는 스크롤 방식의 압축기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방식의 압축기구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모터 구동회로(134)는 상기 전동 모터(121)에 동력을 전달하고 전동 모터(121)의 작동을 제어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전동 모터(121)의 스테이터(121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로터(121a)를 여탈자시킴으로써 로터(121a)가 회전 구동하거나 정지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모터 구동회로(134)는 각종 회로 소자가 구비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여기서, 상기 회로기판 상에 실장되는 각종 구동회로 및 소자들은 접속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통해 인가되는 외부 전원의 전력선(136)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됨으로써, 상기 전동 모터(121)에 동력을 공급하고, 상기 전동 모터(121)의 작동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모터 구동회로(134)는, 상기 제2하우징(120)의 일측에 부착되며 상기 제2하우징(120) 및 커버부재(130)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공간의 내부에 외부 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서 밀폐식으로 구비된다. 상기 커버부재(130)는 단일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버부재(130) 및 제2커버부재(130)를 포함하는 복수의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모터 구동회로(134)와 스테이터(121b) 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상기 제2하우징(120)의 일측에 형성된 격벽(124)을 유체기밀식으로 관통하여 연장되는 밀폐단자(140)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전동 모터(121)측 및 모터 구동회로(134)측에 동시에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핀(141)은 스테이터(121b)의 커넥터 및 모터 구동회로(134)의 커넥터(13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밀폐단자(140) 및 밀폐단자(14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클립부재(150)에 대한 상세 구성은 도 4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밀폐단자(140)와 단일 클립부재(150)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밀폐단자(140)는 하우징, 바람직하게는 제2하우징(120)의 일측의 격벽(124)에 형성된 개구(124a)의 둘레에 형성되며, 상기 격벽(124)으로부터 상기 모터 구동회로(134)를 향해 돌출되는 보스부(125)의 내부에 삽입되어 지지되며, 밀폐단자(140)는 단일 클립부재(150)에 의해서 상기 보스부(125)의 내부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보다 상세히는, 밀폐단자(140)는 모터 구동회로(134)로부터 상기 전동 모터(121)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도전성 연결핀(141), 및 절연부(143)를 통해서 상기 연결핀(141)을 절연상태로 지지하며 상기 개구(124a)의 형상에 대응되는 외주면 형상을 갖는 바디부(142)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142)의 상측면은 상기 클립부재(150)에 밀착되어 상기 보스부(125)의 내부로부터 이탈되는 방향(도 4(b)에서 상측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된다.
도 4에는 상기 개구(124a)는 적어도 하나의 축(X-X')을 중심으로 대칭인 형상을 갖고, 상기 클립부재(15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축(X-X')을 중심으로 대칭인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도전성 연결핀(141)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축(X-X')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하에서는 도시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립부재(150)는 일정한 폭을 갖고 연장되는 두 개의 본체부(151, 154), 일단부 및 타단부(151-1, 154-1)가 상기 두 개의 본체부(151, 154)의 일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벤딩부(155), 및 상기 두 개의 본체부(151, 154) 각각의 일단부와 타단부(151-1, 154-1) 사이에 구비되는 두 개의 고리부(152, 153)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밀폐단자(140)의 바디부(142)의 상측면은 상기 두 개의 본체부(151, 154) 및 벤딩부(155)에 밀착되어 클립부재(150)는 밀폐단자(140)의 스토퍼(stopper) 역할을 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클립부재(150)는 대체로 일정한 두께를 갖도록 구성되는 본체부(151, 154) 및 벤딩부(155)를 포함하는 전체 형상이 U자형상 또는 V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초기 상태에서 벌어져 있던 두 본체부(151, 154)의 타단부(151-1, 154-1)들 사이를 서로 좁히는 조작력이 작용하는 상태(즉, 벤딩부(155)를 변형시키는 조작력이 작용하는 상태)로 보스부(125)의 개구(124a)에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보스부(125)의 내부로 삽입된 클립부재(150)가 고정되는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보스부(125)의 내주면에는 클립부재(150)의 두께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홈부(127)가 형성된다. 클립부재(150)가 상기 홈부(127)의 위치에 이르게 되어 상기 조작력이 해제되면, 클립부재(150)는 초기 상태(본체부(151, 154)들의 단부들 사이가 벌어지는 상태)로 복귀하려는 탄성력이 벤딩부(155)로부터 작용되어 홈부(127)에 자동으로 삽입된다. 홈부(127)에 삽입된 이후에는, 벤딩부(155)는, 본체부(151, 154)들의 외측면이 홈부(127)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힘을 본체부(151, 154)들에 가하게 되어, 클립부재(150)의 이탈이 방지되며, 더불어 밀폐단자(140)의 이탈이 방지된다.
그리고 두 개의 본체부(151, 154) 각각의 일단부와 타단부(151-1, 154-1) 사이에 구비되는 두 개의 고리부(152, 153)는 초기 상태에서 벌어져 있던 두 본체부(151, 154)의 타단부(151-1, 154-1)들 사이를 서로 좁히는 조작력이 작용하는 부분에 해당하며, 도시되지 않은 가위형 설치 도구의 단부들이 삽입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상기 두 개의 고리부(152, 153)는 두 개의 본체부(151, 154)에 각각 일체로 구비되거나, 별개의 부재로서 성형되어 두 개의 본체부(151, 154)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디부(142)의 하측면은 상기 보스부(125)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단차부(126)에 밀착되어 상기 보스부(125)의 내부로부터 진입하는 방향(도 4(b)에서 하측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서 일단 밀폐단자(140)가 보스부(125)의 내부로 삽입된 후에는 도 4(b)를 기준으로 밀폐단자(140)의 상측면과 하측면이 클립부재(150)와 단차부(126)에 밀착된 상태로 상측방향 및 하측방향의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밀폐단자(140)의 밀폐기능을 높이기 위해서 상기 본체부(151, 154)의 외주면과 상기 보스부(125)의 내주면 사이에는 탄성체 재질을 갖는 O-링(160)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클립부재(150)는 밀폐단자(140)의 밀폐성능을 향상시키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축(X-X')을 중심으로 대칭인 형상을 갖는 개구(124a)로서, 보다 상세히는 두 개의 직선구간(124a-1, 124a-3) 및 두 개의 원호구간(124a-2, 124a-4)으로 형성되는 보스부(125)의 개구(124a)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클립부재(150)의 두 개의 본체부(151, 154) 및 벤딩부(155)의 외주 형상도 본체부(151, 154)가 두 개의 직선구간에 대응하도록, 벤딩부(155)는 원호구간에 대응하도록 하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클립부재(150)의 상기 두 개의 본체부(151, 154) 각각의 타단부(151-1, 154-1)는 상기 보스부(125)의 내부에서 상기 두 개의 원호구간(124a-2, 124a-4) 중 어느 하나에 모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라, 개구(124a)가 형성되는 보스부(125)의 내주면을 기준으로 일부 구간(124a-4)을 제외한 밀폐단자(140)의 본체부(151, 154)의 대부분의 구간(127a)에 대해서 클립부재(150)가 밀착되도록 구성하여, 전동 압축기(100) 내부 압력의 변동에 영향을 받지 않는 균일한 밀폐구조가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클립부재(150a)와 밀폐단자(140)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5(a)에는 보스부(125)에 삽입되기 전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b) 및 5(c)에는 보스부(125)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5(a)와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립부재(150a)는 두 개의 본체부(151a, 154a)와 벤딩부(155a)의 폭이 서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두 개의 본체부(151a, 154a)의 길이방향 및 벤딩부(155a)의 전체에 걸쳐 폭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단자(140)와 접촉하는 두 개의 본체부(151a, 154a) 및 벤딩부(155a)의 접촉면적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립부재(150a)는 상기 두 개의 본체부(151a, 154a) 각각의 일단부와 타단부(151a-1, 154a-1) 사이에는 구비되며 서로 대향하는 방향(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두 개의 고리부(152a, 153a)가 구비된다. 이러한 두 개의 고리부(152a, 153a)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시되지 않은 가위형 설치 도구의 조작력이 작용하는 부분으로 사용자는 이러한 설치도구 및 고리부(152a, 153a)를 통해 클립부재(150a)를 용이하게 설치하고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두 개의 본체부(151a, 154a)의 타단부(151a-1, 154a-1)들은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벤딩처리 된다. 상기 곡률은 개구의 두 개의 원호구간의 곡률에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두 개의 본체부(151a, 154a)의 타단부(151a-1, 154a-1)들의 곡률을 두 개의 원호 구간의 곡률에 대응되록 구성함으로써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단자(140)와 접촉하는 두 개의 본체부(151a, 154a)의 접촉면적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클립부재(150b)와 밀폐단자(140)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5와 마찬가지로 도 6(a)에는 보스부(125)의 내부에 삽입되기 전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b) 및 6(c)에는 보스부(125)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5에 도시된 제1실시예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제1실시예와는 달리 도 6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 따른 클립부재(150b)는 두 개의 본체부(151b, 154b)와 벤딩부(155b)의 폭이 서로 상이하게 형성된다. 즉, 벤딩부(155b)의 폭이 두 개의 본체부(151b, 154b)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벤딩부(155b)의 폭을 더 좁게 형성함으로써 더 작은 조작력으로 두 본체부들 사이의 간격을 좁혀 용이하게 클립부재(150b)를 보스부(125)의 내부에 삽입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클립부재와 밀폐단자(140)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5 및 도 6과 마찬가지로 도 7(a)에는 보스부(125)의 내부에 삽입되기 전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b) 및 7(c)에는 보스부(125)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실시예들과는 달리 도 7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 따른 클립부재(150c)는 두 개의 본체부(151c, 154c) 각각의 일단부와 타단부(151c-1, 154c-1) 사이에 구비되는 두 개의 고리부(152c, 153c)가 상기 두 개의 본체부(151c, 154c)의 일부분이 각각 원호형상으로 벤딩되어 형성된다. 즉, 두 개의 본체부(151c, 154c) 각각에 대해서 그 일부분을 원호형상으로 구부려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클립부재(150c)의 구성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전동 모터(121) 및 상기 전동 모터(121)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기구부(111)를 수용하는 하우징(110, 120); 상기 하우징(110, 120)의 일측에 형성된 격벽(124)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전동 모터(121)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회로(134); 및 상기 격벽(124)에 형성되는 개구(124a)를 관통하여 연장되며, 상기 전동 모터(121)와 상기 모터 구동회로(134)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밀폐단자(140);를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 120)은, 상기 개구(124a)의 둘레에 형성되며 상기 격벽(124)으로부터 상기 모터 구동회로(134)를 향해 돌출되는 보스부(125)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단자(140)는 상기 보스부(125)의 내부로 삽입되어, 단일 클립부재(150)에 의해서 상기 보스부(125)의 내부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재(150)는 일정한 폭을 갖고 연장되는 두 개의 본체부(151, 154), 일단부 및 타단부(151-1, 154-1)가 상기 두 개의 본체부(151, 154)의 일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벤딩부(155), 및 상기 두 개의 본체부(151, 154) 각각의 일단부와 타단부(151-1, 154-1) 사이에 구비되는 두 개의 고리부(152, 1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본체부(151, 154)의 타단부(151-1, 154-1)는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벤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고리부(152, 153)는 상기 두 개의 본체부(151, 154)의 일부분이 각각 원호형상으로 벤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부(155)의 폭은 상기 두 개의 본체부(151, 154)의 폭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단자(140)는 상기 모터 구동회로(134)로부터 상기 전동 모터(121)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도전성 연결핀(141), 및 상기 복수의 도전성 연결핀(141)을 지지하며 상기 개구(124a)의 형상에 대응되는 외주면 형상을 갖는 바디부(142)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142)의 하측면은 상기 보스부(125)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단차부(126)에 밀착되며, 상기 바디부(142)의 상측면은 상기 두 개의 본체부(151, 154) 및 벤딩부(155)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부(125)의 내주면에는 상기 클립부재(150)가 삽입되는 홈부(12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124a)는 적어도 하나의 축(X-X')을 중심으로 대칭인 형상을 갖고,
    상기 클립부재(15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축(X-X')을 중심으로 대칭인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도전성 연결핀(141)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축(X-X')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124a)는 두 개의 직선구간(124a-1, 124a-3) 및 두 개의 원호구간(124a-2, 124a-4)으로 형성되며, 상기 클립부재(150)의 상기 두 개의 본체부(151, 154) 각각의 타단부(151-1, 154-1)는 상기 보스부(125)의 내부에서 상기 두 개의 원호구간(124a-2, 124a-4) 중 어느 하나에 모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KR1020120098655A 2012-09-06 2012-09-06 전동 압축기 KR101530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655A KR101530116B1 (ko) 2012-09-06 2012-09-06 전동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655A KR101530116B1 (ko) 2012-09-06 2012-09-06 전동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153A true KR20140032153A (ko) 2014-03-14
KR101530116B1 KR101530116B1 (ko) 2015-06-18

Family

ID=50643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8655A KR101530116B1 (ko) 2012-09-06 2012-09-06 전동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01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2263B1 (ko) 2019-06-17 2020-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동식 압축기
KR20210007481A (ko) 2019-07-11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의 고정자 및 이를 구비한 전동식 압축기
KR102355929B1 (ko) 2021-04-14 2022-02-09 두원중공업(주) 전동압축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26212B2 (ja) * 2005-11-04 2011-11-3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コンプレッサ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2263B1 (ko) 2019-06-17 2020-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동식 압축기
KR20210007481A (ko) 2019-07-11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의 고정자 및 이를 구비한 전동식 압축기
KR102355929B1 (ko) 2021-04-14 2022-02-09 두원중공업(주) 전동압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0116B1 (ko) 2015-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54514B (zh) 用于车辆的压缩机
JP2019205341A (ja) 圧縮機駆動装置及び上記装置の組立方法
EP3525323B1 (en) Compressor driven by an electric motor
CN103573630A (zh) 马达驱动压缩机
CN111740533B (zh) 在车辆空调压缩机中使用的用于定子固定的承载件夹持件
CN101960146A (zh) 具有电线保持器的压缩机
JP2014039381A (ja) 電動モータ
KR20140032153A (ko) 전동 압축기
JP2017141677A (ja) 電動圧縮機
JP6881378B2 (ja) 電動圧縮機
US10107293B2 (en) Electric compressor
JP2010259318A (ja) インシュレータ、モータ、及び、圧縮機
US11536492B2 (en) Electric compressor with improved insulation performance
KR101927071B1 (ko) 전동 압축기
CN103244377B (zh) 电动压缩机
US20100247348A1 (en) Terminal device for electric compressor
CN110417173B (zh) 用于驱动压缩机的设备以及用于安装设备的方法
WO2019123913A1 (ja) 電動圧縮機
JP5118449B2 (ja) 電動圧縮機の端子装置
JP5952678B2 (ja) 電動モータ
JP2022128587A (ja) モータ及び駆動装置
JP2018168835A (ja) 電動圧縮機
US20100254833A1 (en) Terminal device for electric compressor
EP2623786A1 (en) Motor-driven compressor
KR20140039105A (ko) 전동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