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2140A - 타이어의 트레드 트리밍용 커터 - Google Patents

타이어의 트레드 트리밍용 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2140A
KR20140032140A KR1020120098624A KR20120098624A KR20140032140A KR 20140032140 A KR20140032140 A KR 20140032140A KR 1020120098624 A KR1020120098624 A KR 1020120098624A KR 20120098624 A KR20120098624 A KR 20120098624A KR 20140032140 A KR20140032140 A KR 20140032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tread
cutter
trimming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8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2588B1 (ko
Inventor
이덕주
Original Assignee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8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2588B1/ko
Publication of KR20140032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2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2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2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003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2001/006Cutting members therefor the cutting blade having a special shape, e.g. a special outline, ser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Tyre Mou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타이어의 트레드에 형성되는 식출고무를 수동으로 제거하기 위한 타이어의 트레드 트리밍용 커터 관한 것으로서,
전면에 V 형상의 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도록 다수의 절단날(10)이 연속적으로 배치된 절단부가 형성되고, 후면에는 손잡이 결합 구멍(20)이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타이어의 트레드에 형성된 식출고무를 절단하는 타이어의 트레드 트리밍용 커터에 있어서,
상기 절단날(10)은 선단이 곡면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선단으로부터 일정 거리까지 형성되어 식출고무를 절단하지 않고 안쪽으로 안내하도록 칼날이 형성되지 않은 가이드부(11)와, 상기 가이드부(11)의 후방에 위치되며 칼날(12')이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부(11)에 의해 안내되는 식출고무를 절단하는 식출 제거부(1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선단이 둥글게 가공된 절삭날이 타이어에 접촉되더라도 타이어가 손상되지 않게 되고 절삭날의 선단 부분에 형성되는 칼날이 없는 가이드부로 인해 타이어의 트레드 부위에서 트리밍 절상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타이어의 트레드 트리밍용 커터{Cutter for Trimming of Tire Tread}
본 발명은 타이어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타이어의 트레드에 형성되는 식출고무를 수동으로 제거하기 위한 타이어의 트레드 트리밍용 커터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타이어의 트레드 및 그 주변부위에 대한 트리밍 절상을 방지하여 타이어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타이어의 트레드 트리밍용 커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이어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여러 가지의 타이어 반제품을 성형드럼에 부착하여 성형함으로써 그린타이어를 제작한 후, 이 그린 타이어를 가황금형에 넣어 가황함으로써 완제품 타이어로 제작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황금형은 사용하는 몰드의 수에 따라 2종류로 분류되고 있다.
즉, 상부 몰드와 하부 몰드로 이루어진 2피스 몰드(2 Piece Mold)형 가황금형과, 2개의 사이드 몰드(Side Mold)와 다수의 트레드 몰드(Tread Mold)를 갖는 세그먼트 몰드(Segment Mold)형 가황금형으로 분류되고 있다. 이 중에서 세그먼트 몰드형 가황금형은 사이드 몰드는 그대로 둔 채 트레드 몰드만 교환하는 것만으로도 트레드 형상이 다른 타이어를 가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세그먼트 몰드형 가황금형은 다수의 몰드를 조립하여 사용함에 따라 다양한 접합부가 존재하게 되며, 반복 사용에 따른 마모와 변형으로 인해 이들 접합부에 틈새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그린타이어를 가황하는 과정에서 고무가 틈새를 통해 누출되거나 몰드에 장착된 식출구를 통한 타이어의 대표적인 외관 불량인 식출(Over Flow)이 이들 접합부나 식출구를 통해 발생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가황이 완료된 완제품 타이어의 트레드부에는 보통 직경 1.5㎜, 길이 10㎜ 안팎의 식출고무가 형성되고 있고, 이들 식출고무는 외관 품질 문제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자동 혹은 수동으로 제거를 하게 된다.
이러한 식출고무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롤러에 의해 회전하는 타이어에 작업자가 다수의 커터날을 갖는 커터를 접근시켜 식출고무가 절단되도록 하는 수동 제거방식과, 회전하는 타이어에 트리밍 커터를 자동으로 근접시켜 식출고무가 절단되도록 하는 자동 제거방식이 있으며, 본 발명은 수동 제거방식에서 사용되는 트리밍 커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타이어의 트레드 트리밍용 커터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전면에 파형으로 형성된 다수열의 커터날(111)이 구비되고, 상기 커터날(111)의 후방에는 가이드 홈(112)이 형성됨과 아울러 후면측에는 손잡이 결합 구멍(113)이 복수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커터날(111)은 식출고무가 진입하는 입구는 넓지만 안쪽은 좁은 'V' 형상의 톱니 구조로 이루어져, 식출고무의 제거에 용이한 구조를 갖는다. 또한, 타이어의 트레드 면에 접하는 저면측이 편평한 면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커터날(111) 부분만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커터날(111)의 선단 부분이 타이어의 트레드 면에 접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타이어의 트레드 트리밍용 커터는 도 4와 같이 타이어(200)의 트레드 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되는 타이어(200)의 식출고무(250)가 커터날(111) 사이로 유입되어 절단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타이어의 트레드 트리밍용 커터는 타이어의 식출고무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타이어의 트레드 면이 절상되는 현상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도 5 및 도 6 참조).
이는 종래의 타이어의 트레드 트리밍용 커터에 형성되는 파형의 커터날이 입구측에서부터 형성되어 타이어의 트레드 면에 접촉되는 순간 타이어의 트레드 면에 손상을 줄 수 있고, 커터의 저면이 타이어의 트레드 면에 직접 접촉되도록 전면의 커터날이 타이어의 트레드 면에 순간적으로 접촉되면서 손상을 야기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통상적인 수동식 식출 제거 방법은, 두 개의 원통 드럼 위에 타이어를 위치시키고 고속으로 두개의 원통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트리밍 커터를 이용하여 식출을 제거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작업자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트레드 부위(트레드 패턴 끝단부위, 트레드 숄더 부위 등)에 많은 트리밍 절상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일반적인 트레드 고무보다 부드러운(Soft) 고무로 구성된 트레드의 경우에는 식출고무가 트레드 표면에 붙어 있기도 하며, 이러한 경우에는 식출고무의 수동제거 과정에서 절상이 더 쉽게 발생하게 된다.
이는 종래의 트리밍 커터가 아랫면은 편평하게 구성되어 있고 위면은 V형태로 날카로운 칼날 모양을 형성함과 아울러 전체가 날카로운 칼날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트리밍 커터의 저면이 타이어의 트레드 면에 밀접하게 밀착된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며, 보통 트레드면의 패턴 끝단과 숄더부위에 트리밍 절상을 만들어 내고 있다.
한편, 타이어의 트레드에 형성된 식출고무를 제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는, 공개특허 10-1999-0049509호와 공개특허 10-2001-0001687호 및 공개특허 10-2010-0044514호가 있다.
여기서, 상기 공개특허 10-1999-0049509호(발명의 명칭: 타이어 자동 트리밍 커터장치)와 공개특허 10-2001-0001687호(발명의 명칭: 트레드 식출 자동 제거장치)는 자동 제거방식을 이용한 것으로서 본 발명과는 무관하다. 다만, 상기 공개특허 10-2010-0044514호(발명의 명칭: 타이어 트리밍 장치)는 수동제거방식을 이용한 것이어서 본 발명과 유사성이 있으나, 상기한 타이어 트리밍 장치 역시 트리밍 절상을 방지할 수는 없다.
KR 10-1999-0049509 A KR 10-2001-0001687 A KR 10-2010-0044514 A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타이어의 트레드 부위에 형성되는 식출고무를 제거함과 아울러 트레드 표면이나 패턴의 끝단 부위 및 트레드 숄더 부위에 트리밍 절상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타이어의 트레드 트리밍용 커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면에 V 형상의 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도록 다수의 절단날이 연속적으로 배치된 절단부가 형성되고, 후면에는 손잡이 결합 구멍이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타이어의 트레드에 형성된 식출고무를 절단하는 타이어의 트레드 트리밍용 커터에 있어서,
상기 절단날은 선단이 곡면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선단으로부터 일정 거리까지 형성되어 식출고무를 절단하지 않고 안쪽으로 안내하도록 칼날이 형성되지 않은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후방에 위치되며 칼날이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안내되는 식출고무를 절단하는 식출 제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타이어의 트레드 트리밍용 커터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부의 길이는 6~8㎜이고, 상기 식출 제거부의 길이는 4~6㎜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타이어의 트레드 트리밍용 커터에 따르면, 상기 절삭날 사이의 거리는 10~14㎜이고, 상기 절삭날 사이의 각도는 16~2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타이어의 트레드 트리밍용 커터에 따르면, 연속하게 위치된 2개의 절단날이 만나는 상기 식출 제거부의 끝단에는 식출고무가 완전히 절단되도록 칼날이 구비된 원형의 식출 제거 마감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타이어의 트레드 트리밍용 커터에 따르면, 상기 식출 제거 마감부의 직경은 3~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타이어의 트레드 트리밍용 커터에 따르면, 상기 절삭날의 저면에는 반원형의 절상방지 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타이어의 트레드 트리밍용 커터에 따르면, 상기 절상방지 돌기는 상기 절삭날의 선단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타이어의 트레드 트리밍용 커터에 따르면, 상기 절상방지 돌기의 높이는 2~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타이어의 트레드 트리밍용 커터에 따르면, 상기 절상방지 돌기는 그 선단부가 상측으로 들려진 곡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타이어의 트레드 트리밍용 커터는, 절삭날의 선단이 둥글게 가공되어 타이어에 접촉되더라도 타이어가 손상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절삭날의 선단 부분에 칼날이 없는 가이드부를 형성함으로써 타이어의 트레드 부위에서 트리밍 절상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타이어의 트레드 트리밍용 커터에 따르면, 절삭날의 연결 부위에 칼날이 구비된 원형의 식출 제거 마감부가 형성됨에 따라 식출 고무가 원활하게 절단되어 타이어의 외관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타이어의 트레드 트리밍용 커터에 따르면, 절삭날의 저면에 절상방지 돌기가 돌출 형성됨에 따라 식출고무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절삭날의 선단부가 타이어에 직접 접촉하지 않게 되어 트리밍 절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타이어의 트레드 트리밍용 커터의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타이어의 트레드 트리밍용 커터의 저면도.
도 3은 종래의 타이어의 트레드 트리밍용 커터의 절삭날 부분이 도시된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타이어의 트레드 트리밍용 커터를 이용하여 식출고무를 절단하는 모습이 도시된 참고도.
도 5와 도 6은 종래의 타이어의 트레드 트리밍용 커터에 의해 발생한 트리밍 절상을 나타낸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타이어의 트레드 트리밍용 커터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타이어의 트레드 트리밍용 커터의 배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타이어의 트레드 트리밍용 커터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타이어의 트레드 트리밍용 커터의 저면도.
도 11은 도 9의 'A-A'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도 9의 'B-B'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타이어의 트레드 트리밍용 커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타이어의 트레드 트리밍용 커터는 도 7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V 형상의 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도록 다수의 절단날(10)이 연속적으로 배치된 절단부가 형성되고, 후면에는 손잡이 결합 구멍(20)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절단날(10)은 선단이 곡면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선단으로부터 일정 거리까지 형성되어 식출고무를 절단하지 않고 안쪽으로 안내하도록 칼날이 형성되지 않은 가이드부(11)와, 상기 가이드부(11)의 후방에 위치되며 칼날이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부(11)에 의해 안내되는 식출고무를 절단하는 식출 제거부(12)와, 연속하게 위치된 다른 절단날(10)이 만나는 상기 식출 제거부(12)의 끝단에 형성되어 식출고무가 완전히 절단되도록 칼날이 구비된 원형의 식출 제거 마감부(1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11)의 길이는 6~8㎜이고, 상기 식출 제거부(12)의 길이는 4~6㎜이며, 상기 식출 제거 마감부(13)의 직경은 3~5㎜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절삭날(10) 사이의 거리는 10~14㎜이고, 상기 절삭날(10) 사이의 각도는 16~2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절삭날(10)의 저면에는 반원형의 절상방지 돌기(15)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절상방지 돌기(15)는 상기 절삭날(10)의 선단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상방지 돌기(15)의 높이는 2~3㎜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절상방지 돌기(15)는 그 선단부가 상측으로 들려진 곡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타이어의 트레드 트리밍용 커터는 드럼에 의해 회전되는 타이어의 트레드에 형성된 식출고무를 절단하게 되며, 식출고무의 절단과정에서 발생하는 트리밍 절상을 최소화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절삭날
11...가이드부
12...식출 제거부
12'...칼날
13...식출 제거 마감부
13'...칼날
15...절상방지 돌기
20...손잡이 결합구멍

Claims (9)

  1. 전면에 V 형상의 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도록 다수의 절단날(10)이 연속적으로 배치된 절단부가 형성되고, 후면에는 손잡이 결합 구멍(20)이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타이어의 트레드에 형성된 식출고무를 절단하는 타이어의 트레드 트리밍용 커터에 있어서,
    상기 절단날(10)은 선단이 곡면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선단으로부터 일정 거리까지 형성되어 식출고무를 절단하지 않고 안쪽으로 안내하도록 칼날이 형성되지 않은 가이드부(11)와, 상기 가이드부(11)의 후방에 위치되며 칼날(12')이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부(11)에 의해 안내되는 식출고무를 절단하는 식출 제거부(1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트레드 트리밍용 커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11)의 길이는 6~8㎜이고, 상기 식출 제거부(12)의 길이는 4~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트레드 트리밍용 커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날(10) 사이의 거리는 10~14㎜이고, 상기 절삭날(10) 사이의 각도는 16~2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트레드 트리밍용 커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속하게 위치된 2개의 절단날(10)이 만나는 상기 식출 제거부(12)의 끝단에는 식출고무가 완전히 절단되도록 칼날(13')이 구비된 원형의 식출 제거 마감부(13)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트레드 트리밍용 커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식출 제거 마감부(13)의 직경은 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트레드 트리밍용 커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날(10)의 저면에는 반원형의 절상방지 돌기(15)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트레드 트리밍용 커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상방지 돌기(15)는 상기 절삭날(10)의 선단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트레드 트리밍용 커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상방지 돌기(15)의 높이는 2~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트레드 트리밍용 커터.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상방지 돌기(15)는 그 선단부가 상측으로 들려진 곡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트레드 트리밍용 커터.
KR1020120098624A 2012-09-06 2012-09-06 타이어의 트레드 트리밍용 커터 KR101392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624A KR101392588B1 (ko) 2012-09-06 2012-09-06 타이어의 트레드 트리밍용 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624A KR101392588B1 (ko) 2012-09-06 2012-09-06 타이어의 트레드 트리밍용 커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140A true KR20140032140A (ko) 2014-03-14
KR101392588B1 KR101392588B1 (ko) 2014-05-08

Family

ID=50643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8624A KR101392588B1 (ko) 2012-09-06 2012-09-06 타이어의 트레드 트리밍용 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25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449B1 (ko) * 2016-04-20 2016-11-11 이동수 타이어의 트레드 트리밍용 커터
KR20160145570A (ko) * 2014-04-23 2016-12-20 브이엠아이 홀랜드 비.브이. 타이어 트레드로부터 호일을 제거하기 위한 호일 제거 디바이스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4276B1 (ko) 2016-12-14 2017-06-07 이동수 타이어의 트레드 트리밍용 커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8893A (en) 1981-04-20 1982-11-16 B & J Manufacturing Company Tire trimm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5570A (ko) * 2014-04-23 2016-12-20 브이엠아이 홀랜드 비.브이. 타이어 트레드로부터 호일을 제거하기 위한 호일 제거 디바이스 및 방법
KR101675449B1 (ko) * 2016-04-20 2016-11-11 이동수 타이어의 트레드 트리밍용 커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2588B1 (ko) 201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2588B1 (ko) 타이어의 트레드 트리밍용 커터
MX2010014340A (es) Unidad de corte para una maquina o prensa termoformadora, y maquina termoformadora equipada con esta unidad de corte.
KR200487563Y1 (ko) 마스크용 후크
KR20150126273A (ko) 타이어의 트레드 트리밍용 커터 및 그 제조 방법
US20090218017A1 (en) Tire, a Mold for Vulcanizing the Tire, a Method of Fabricating the Mold, and a Mold Matrix
US2005007675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tting a ribbon of rubber-coated fabric
DE112019005907B4 (d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Luftreifens
JP2009096092A (ja) スピューのトリミング方法及びタイヤ成形型
RU2014129029A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ротектора шины
KR101599150B1 (ko) 타이어 정밀 트리밍 장치
US3903948A (en) Transverse flash breaking in tire manufacture
JP2008307800A (ja) タイヤ成形金型
CA1106752A (en) Tire stripp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310165B1 (ko) 압연 코드지의 사이드 트리밍 장치
CN202895346U (zh) 一种胶板落料刀模
JP2010017986A (ja) タイヤ成型用金型及び空気入りタイヤ
KR101658312B1 (ko) 타이어 가황금형의 벤트 플러그
CN205521723U (zh) 自动清废模
JP2016210091A (ja) タイヤ加硫用金型
CN216329530U (zh) 溢胶边料修剪刀具
CN219235352U (zh) 一种用于胎坯出模后的修边刀
CN101722258B (zh) 锻件飞边切断模
CN210590394U (zh) 一种水口料去除装置
US3856070A (en) Transverse flash breaking in tire manufacture
CN210701965U (zh) 无铁屑废料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