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1128A - 화장료 도포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료 도포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1128A
KR20140031128A KR1020130103719A KR20130103719A KR20140031128A KR 20140031128 A KR20140031128 A KR 20140031128A KR 1020130103719 A KR1020130103719 A KR 1020130103719A KR 20130103719 A KR20130103719 A KR 20130103719A KR 20140031128 A KR20140031128 A KR 20140031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
tip
cylinder
pen tip
cosmet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3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5314B1 (ko
Inventor
요시카즈 다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끼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끼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끼와
Publication of KR20140031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1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5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5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5Piston or plunger for supplying the liquid to the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72Eyeliners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smetic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편안한 사용감을 얻을 수 있고, 또한 가느다란 라인을 용이하게 그릴 수 있는 화장료 도포 용기를 제공한다.
화장료 도포 용기는, 용기 내의 충전 영역에 충전한 화장료를, 연질재로 형성된 펜 팁(13)으로부터 토출하는 것으로서, 펜 팁(13)은, 횡단면 외형이 편평 형상이고 또한 단축 방향을 따르는 측방에서 보아 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펜 팁(13)은, 선단면이 도포면(S)을 구성하고 있고, 선단측으로 감에 따라 단축의 길이가 짧아진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펜 팁(13)의 선단측은, 선단측으로부터 보아 장축 방향의 일방측이 예각으로 뾰족한 첨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포면(S)의 선단에는, 펜 팁(13)의 선단의 첨예부를 구성하는 정점(P)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포면(S)은, 그 선단측에, 측방에서 보아 기단측으로 오목한 오목부(81)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화장료 도포 용기 {COSMETIC MATERIAL APPLICATION CONTAINER}
본 발명은, 화장료를 펜 팁부로부터 토출하는 화장료 도포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화장료 도포 용기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용기 내의 충전 영역에 충전한 화장료를, 연질재로 형성된 펜 팁부로부터 토출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화장료 도포 용기에 있어서, 펜 팁부는, 횡단면 외형이 편평 형상이고 또한 측방에서 보아 날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선단면이 도포면을 구성하고 있고, 당해 도포면의 선단에는 정점이 형성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2012-85964호
여기에서, 최근의 화장료 도포 용기로는, 사용감의 추가적인 향상이 요구되고 있으며, 편안한 사용감을 얻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은 화장료 도포 용기로는, 예를 들면 메이크업에 대한 요구의 다양화가 진전되는 가운데, 가느다란 라인을 그리기 쉬운 것이 요망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편안한 사용감을 얻을 수 있고, 또한 가느다란 라인을 용이하게 그릴 수 있는 화장료 도포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화장료 도포 용기는, 용기 내의 충전 영역에 충전한 화장료를, 연질재로 형성된 펜 팁부로부터 토출하는 화장료 도포 용기로서, 펜 팁부는, 횡단면 외형이 편평 형상이고 또한 단축 방향을 따르는 측방에서 보아 날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선단면이 도포면을 구성하고, 선단측으로 감에 따라 단축의 길이가 짧아진 테이퍼 형상을 이루며, 펜 팁부의 선단측은, 선단측으로부터 보아 장축 방향의 일방측이 예각으로 뾰족한 첨예 형상으로 형성되고, 도포면의 선단에는, 펜 팁부의 선단의 첨예부를 구성하는 정점이 형성되며, 도포면은, 그 선단측에, 측방에서 보아 기단측으로 오목한 오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화장료 도포 용기에서는, 도포면의 선단측이 측방에서 보아 기단측으로 오목한 오목부를 가지고 있다. 이로써, 사용 시에 있어서 도포면과 피부와의 접촉을 적게 할 수 있어, 도포면에 대한 접촉감을 억제하여 편안한 사용감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당해 오목부에 의해 펜 팁부의 선단측을 가늘게 할 수 있어, 가느다란 라인을 용이하게 그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와 같이 펜 팁부의 선단측을 가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당해 선단측을 매끄럽고(부드럽고) 감촉이 좋은 것으로 하는, 즉, 당해 선단측에 유연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져, 이로 인해서도, 편안한 사용감을 얻을 수 있다.
또, 도포면은, 오목부의 기단측에, 측방에서 보아 선단측으로 솟아오른 볼록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보다 펜 팁부의 선단측으로부터 화장료가 토출되게 되어, 피부에 대하여 화장료 도포 용기를 세워서 사용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이 때, 상기 작용 효과를 적합하게 나타내는 구성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도포면은, 오목부와 볼록부가 매끄럽게 연속함으로써, 측방에서 보아 S자 형상으로 연이어 있는 곡면형상으로 되어 있는 구성을 들 수 있다.
또, 펜 팁부의 형상은, 편평 형상을 나타내는 기단 형상과, 기단 형상보다 선단측에 형성되며 편평 형상을 나타내는 선단 형상에 의해 편평 형상의 기둥체를 구성하고, 기둥체에 있어서 기단 형상의 장축 및 선단 형상의 장축을 포함하는 평면 상에, 선단 형상의 외측 가장자리와 상기 선단 형상의 장축과의 한 교점으로부터, 기단측을 향하면서 경사짐과 함께 기단측으로 오목한 오목형상을 선단측에 가지는 곡선을 설정하며, 곡선을 통과하는 절단면으로 기둥체를 절단함으로써 입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그 선단측에 측방에서 보아 기단측으로 오목한 오목부를 가지는 도포면을, 적합하게 입체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편안한 사용감을 얻을 수 있고, 또한 가느다란 라인을 용이하게 그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화장료 도포 용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장료 도포 용기에 있어서 이동체의 전진한계 상태를 나타내는 도 1의 종단면 위치를 90°상이한 위치로 한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화장료 도포 용기를 일부 단면화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화장료 도포 용기에 있어서의 펜 팁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4의 펜 팁 부재의 측면도, 도 5(b)는 도 4의 펜 팁 부재의 바닥면 도이다.
도 6(a)는 도 4의 펜 팁 부재의 정면도, 도 6(b)는 도 4의 펜 팁 부재의 배면도이다.
도 7(a)는 도 5(b)의 VII(a)-VII(a)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7(b)는 도 5(a)의 VII(b)-VII(b)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8(a)는 펜 팁의 형상의 입체 형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 8(b)는 도 8(a)의 다음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9(a)는 도 8(b)의 다음을 나타내는 도, 도 9(b)는 도 9(a)의 다음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a)는 도 1의 화장료 도포 용기를 설명하는 도, 도 10(b)는 종래의 화장료 도포 용기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1(a)는 도 1의 화장료 도포 용기를 설명하는 다른 도, 도 10(b)는 종래의 화장료 도포 용기를 설명하는 다른 도이다.
도 12(a)는 도 1의 화장료 도포 용기를 설명하는 또 다른 도, 도 12(b)는 종래의 화장료 도포 용기를 설명하는 또 다른 도이다.
도 13(a)는 도 1의 화장료 도포 용기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 도 13(b)는 종래의 화장료 도포 용기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또는 상당하는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화장료 도포 용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화장료 도포 용기에 있어서 이동체의 전진한계 상태를 나타내는 도 1의 종단면 위치를 90°상이한 위치로 한 종단면도, 도 3은 도 1의 화장료 도포 용기를 일부 단면화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화장료 도포 용기(100)는, 그 내부에 충전한 화장료(M)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적절히 토출하는(밀어내는) 것이다.
이 화장료(M)로서는, 예를 들면, 아이라이너, 아이브로우, 립라이너, 아이셰도우, 바디페인트, 에나멜, 립글로스, 아이컬러, 치크컬러, 컨실러, 헤어컬러 등을 비롯한 다양한 화장료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특히, 매우 부드러운(젤(겔) 형상, 반고체 형상, 연고체 형상, 연질 형상, 젤리 형상, 무스 형상, 및 이들을 포함하는 페이스트 형상 등의) 것을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 화장료(M)로서, 안료, 화장료 유제, 왁스 등에 더해 휘발성 용제(예를 들면, 시클로펜타실록산 등의 실리콘유나, 이소도데칸, 이소헥사데칸 등의 탄화수소유)를 배합함으로써, 그 지속성을 높일 수 있다.
또, 화장료(M)로서는, 저점도부터 고점도의 것을 이용할 수 있고,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서 0.1N~0.3N 정도의 경도를 가지는 화장료(M)를 이용하고 있다. 이 화장료(M)의 경도는, 화장품에 있어서 경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인 측정 방법에 의해 구해지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예를 들면 FUDOH RHEO METER[RTC-2002D.D](주식회사 레오테크사제)를 측정기로 이용하여, 분위기 온도 25℃ 조건하에서 Φ3mm의 강봉을 6cm/min의 속도로 화장료(M)에 깊이 10mm 정도 삽입했을 때에 당해 화장료(M)에 발생하는 피크 시의 힘(강도)을 경도(침입도)로 하고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장료 도포 용기(100)는, 화장료(M)가 충전되는 충전 영역(1x)을 내부에 구비한 팁 실린더인 충전 부재(1)와, 그 전반부에 충전 부재(1)의 후반부를 내삽하여 당해 충전 부재(1)를 축선 방향(전후방향) 및 축선둘레 회전방향(이하, 간단히 "회전방향"이라고도 한다)으로 걸어 맞춰 일체가 되도록 연결하는 바디 실린더(2)와, 이 바디 실린더(2)의 후단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하여 축선 방향으로 연결된 조작 실린더(3)를 외형 구성으로서 구비하고 있다. 또한, "축선"이란, 화장료 도포 용기(100)의 전후로 뻗는 중심선을 의미한다(이하 동일).
이 화장료 도포 용기(100)는, 그 내부에, 바디 실린더(2; 충전 부재(1)이어도 된다)와 조작 실린더(3)와의 상대 회전에 의해 축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체(6)와, 이동체(6)의 전단(선단)부에 장착되어 충전 영역(1x)의 후단을 구성(형성)하는 압출부로서의 피스톤(7)과, 당해 상대 회전에 의한 이동체(6)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나사결합부로서의 나사 실린더(4)와, 나사 실린더(4)에 대하여 일방향만 상대 회전 가능한 래칫 부재(5)를 대략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화장료 도포 용기(100)는, 바디 실린더(2) 및 조작 실린더(3)의 상대 회전을 일방향만 허용하는 래칫 기구(8)를 구비하고 있다.
바디 실린더(2)는,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며, 그 축선 방향 중앙부의 내주면에, 충전 부재(1) 및 나사 실린더(4)를 회전방향으로 걸어 맞추기 위한 것으로서, 둘레방향으로 다수의 요철 형상이 병설되어 당해 요철 형상이 축선 방향으로 소정 길이 뻗는 널링(2a)을 가지고 있다. 또, 바디 실린더(2)의 선단부의 내주면에는, 충전 부재(1)를 축선 방향으로 걸어 맞추기 위한 환형상 돌출부(2b)가 형성되어 있다. 바디 실린더(2)의 후부측의 내주면에는, 조작 실린더(3)를 축선 방향으로 걸어 맞추기 위한 것으로서, 둘레방향을 따라 뻗는 돌출부(2c)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 실린더(3)는, 수지에 의한 사출 성형품으로 되어 있고, 전방으로 개구하는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조작 실린더(3)는, 그 전단측에 외경이 소경이 되는 전단 실린더부(3a)를 구비하고, 그 전단 실린더부(3a)의 외주면에는, 바디 실린더(2)의 돌출부(2c)에 축선 방향으로 걸어 맞추기 위한 환형상 홈부(3b)가 형성되어 있다. 또, 조작 실린더(3)의 바닥부 중앙에는, 축체(3c)가 세워 설치되어 있다. 축체(3c)는, 원기둥체의 외주면에 축선 방향으로 뻗는 돌조(3d)를 복수 가지는 횡단면(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이 비원형 형상을 이루고, 이 돌조(3d)는, 이동체(6)의 회전 방지부의 일방을 구성한다.
또, 조작 실린더(3)는, 그 내주면에, 바닥부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뻗는 돌조(3e)를 둘레방향으로 8등분한 위치에 구비하고 있다. 이 조작 실린더(3)는, 그 전단 실린더부(3a)로부터 바디 실린더(2)에 내삽되어, 그 환형상 홈부(3b)가 바디 실린더(2)의 돌출부(2c)에 걸어 맞춰짐으로써, 바디 실린더(2)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하여 축선 방향으로 연결되어 장착되어 있다.
나사 실린더(4)는, 수지에 의한 사출 성형품으로 되어 있으며, 단차가 있는 원통 형상의 외형을 나타내고 있다. 이 나사 실린더(4)는, 전단 실린더부(4x)와, 전단 실린더부(4x)보다 대경의 외형을 가지는 중앙 실린더부(4y)와, 중앙 실린더부(4y)보다 소경의 외형을 가지는 후단 실린더부(4z)를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이 순서로 가지고 있다. 한편, 나사 실린더(4)의 내주면은, 단차 없이 축선 방향을 따라 똑바로 연이어 있다.
전단 실린더부(4x)는, 나사 실린더(4)의 전단부분을 구성하고, 그 내주면에는, 나사결합부(압출 기구; 9)의 일방을 구성하는 암 나사(4e)가 설치되어 있다. 중앙 실린더부(4y)는, 나사 실린더(4)의 중앙 부분 및 중앙 부분의 전단 부근을 구성하고, 그 외주면에 있어서 둘레방향의 복수의 위치에는, 바디 실린더(2)의 널링(2a)에 회전방향으로 걸어 맞추기 위한 돌조(4c)가 형성되어 있다.
후단 실린더부(4z)는, 나사 실린더(4)의 후단 부분 및 중앙 부분의 후단 부근을 구성하고, 그 후단면에는, 래칫 기구(8)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래칫 부재(5)에 걸어 맞추는 래칫 치부(8a)가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의 래칫 치부(8a)는, 후단면에 있어서 둘레방향으로 4등분한 위치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 실린더(4)는, 바디 실린더(2)에 내삽되어, 그 돌조(4c)가 바디 실린더(2)의 널링(2a)에 회전방향으로 걸어 맞춰진다. 또, 나사 실린더(4)는, 그 후단 실린더부(4z)가 조작 실린더(3)에 내삽된다. 이로써, 나사 실린더(4)는, 바디 실린더(2)에 회전방향으로 걸어 맞춰져, 바디 실린더(2)에 대하여 동기 회전 가능해지도록 장착되어 있다.
래칫 부재(5)는, 수지에 의한 사출 성형품으로 되어 있으며, 대략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래칫 부재(5)의 전단면에는, 래칫 기구(8)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나사 실린더(4)의 래칫 치부(8a)에 걸어 맞추는 래칫 치부(8b)가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의 래칫 치부(8b)는, 래칫 부재(5)의 전단면에 있어서 둘레방향으로 8등분한 위치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래칫 부재(5)의 둘레벽에 있어서 중앙부에서 후단에 이르는 부분에는, 대략 나선 형상의 슬릿(5a)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래칫 부재(5)는, 래칫 치부(8b)를 래칫 치부(8a)측인 전방을 향하여 부세하는 스프링부(5b)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또, 래칫 부재(5)의 외주면의 전단부에는, 조작 실린더(3)의 돌조(3e)에 회전방향으로 걸어 맞추는 것으로서, 둘레방향으로 소정폭을 가지고 축선 방향으로 뻗는 세로 리브(5e)가 설치되어 있다. 세로 리브(5e)는, 래칫 부재(5)의 외주면의 전단부에 있어서 둘레방향으로 8등분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래칫 부재(5)는, 그 후방으로부터 조작 실린더(3)에 내삽되어, 그 세로 리브(5e)가 조작 실린더(3)의 돌조(3e, 3e) 사이에 진입하여, 당해 세로 리브(5e)가 돌조(3e)에 회전방향으로 걸어 맞춰져 있다. 이와 함께, 래칫 부재(5)는, 나사 실린더(4)의 후단측에 맞닿게 되어, 그 래칫 치부(8b)가 나사 실린더(4)의 래칫 치부(8a)와 걸어 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들에 의해, 래칫 부재(5)는, 래칫 치부(8a, 8b)에 의해 나사 실린더(4)에 대하여 한 회전방향만 상대 회전 가능해지는 회전 규제 상태로, 조작 실린더(3)에 조립되어 있다.
또, 래칫 부재(5)는, 나사 실린더(4)의 후단측과 조작 실린더(3)의 바닥면 사이에 축선 방향으로 끼워 넣어져, 그 스프링부(5b)에 의한 부세력(탄성력)이 발생하여 래칫 치부(8b)가 전방측으로 부세되고, 이로써, 서로 걸어 맞춰진 래칫 치부(8a, 8b)가 클릭 걸어 맞춤 상태가 된다.
이동체(6)는,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며, 그 전단부의 후측으로부터 후단부에 걸친 외주면에, 나사결합부(9)의 타방을 구성하는 수 나사(6b)를 구비하고 있다. 또, 이동체(6)의 내주면에 있어서 둘레방향으로 6등분한 위치에는, 이동체(6)의 회전 방지부의 타방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고 또한 축선 방향으로 뻗는 돌조(6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이동체(6)는, 조작 실린더(3)의 축체(3c)에 외삽됨과 함께 나사 실린더(4)에 내삽되어, 그 수 나사(6b)가 나사 실린더(4)의 암 나사(4e)와 나사결합하고 있다. 이와 함께, 이동체(6)는, 그 돌조(6c)가 축체(3c)의 돌조(3d, 3d; 도 1 참조) 사이에 걸어 맞춰져, 조작 실린더(3)에 축선 방향 이동 가능하게 하여 회전방향으로 걸어 맞춰 장착되어 있다.
피스톤(7)은, 화장료(M)의 색조와는 상이한 색조(예를 들면, 백색)를 가지는 TPEE(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TPU(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 PP(폴리프로필렌), HDPE(고밀도 폴리에틸렌), LLDPE(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으로 성형되어 있다. 피스톤(7)은, 외형이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전단면이 축선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형상을 이룸과 함께, 그 후단면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즉, 피스톤(7)은, 전면이 평평하게 되어 있고, 종단면에서 보아 후방으로 개구하는 U자 형상을 가지고 있다. 오목부의 내주면에는, 이동체(6)에 대하여 축선 방향으로 소정 길이 이동 가능하게 하여 걸어 맞추는 환형상 돌출부(7b)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피스톤(7)은, 이동체(6)의 전단부에 외삽되어, 그 환형상 돌출부(7b)가 이동체(6)에 축선 방향으로 걸어 맞춰짐으로써, 이동체(6)에 대하여 축선 방향 이동 가능(소정의 범위 내를 이동 가능)하게 하여 장착되어 있다.
충전 부재(1)는, 예를 들면, 휘발성 용제의 내투과성이 뛰어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시클로헥산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CTA), 폴리프로필렌(PP) 등의 사출 성형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부 둘레를 구성하는 외측 충전 실린더(10)와, 이 외측 충전 실린더(10)의 내측에서 충전 영역(1x)을 구획 형성하는 내측 충전 실린더(11)와, 충전 부재(1)의 선단부를 구성하여 화장료(M)를 도포하기 위한 펜 팁 부재(1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외측 충전 실린더(10)는, 착색 재료(예를 들면, 흑색)로 형성되어 있고, 원통 형상의 본체부(10a)와, 당해 본체부(10a)의 전측에 연속하는 테이퍼부(10b)를 가지고 있다. 본체부(10a)는, 그 외주면에 있어서 축선 방향 중앙에, 바디 실린더(2)의 환형상 돌출부(2b)에 축선 방향으로 걸어 맞추는 환형상 오목부(10c)를 가지고 있다. 또, 본체부(10a)는, 그 외주면의 환형상 오목부(10c)의 전측에, 바디 실린더(2)의 전단면에 맞닿는 원환 형상의 플랜지부(10d)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본체부(10a)의 외주면에 있어서 후단부에는, 바디 실린더(2)의 널링(2a)에 회전방향으로 걸어 맞추는 것으로서, 둘레방향에 다수의 요철 형상이 병설되어 당해 요철 형상이 축선 방향으로 소정 길이 뻗는 널링(10e)이 설치되어 있다.
테이퍼부(10b)는, 끝이 가늘어지는 뿔대 실린더 형상을 나타내고, 횡단면 외형이 편평원 형상으로 되어 있다. 테이퍼부(10b)의 전단부에는, 단면 편평원 형상의 개구(10g)가 형성되어 있다. 이 테이퍼부(10b)에서는,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일방향(A; 도 1의 상하 방향)이 장축 방향이 되고, 축선 방향 및 일방향과 직교하는 타방향(B; 도 2의 상하 방향)이 단축 방향으로 되어 있다. 또, 본체부(10a)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플랜지부(10d)의 전측에는, 환형상으로 연이어 있는 O링용 홈이 형성되며, 이 O링용 홈에는, 후술하는 캡(C1) 내의 기밀성 및 끼워 맞춤 안정성을 높이는 환형상 탄성체로서 기능하는 O링(R)이 끼워 넣어져 장착되어 있다.
내측 충전 실린더(11)는, 투명 재료로 형성되어, 그 내부의 충전 영역(1x)에 있어서의 화장료(M)가 비쳐 보이는 광투과성을 가지고 있다. 이 내측 충전 실린더(11)는, 원통 형상의 본체부(11a)와, 당해 본체부(11a)의 전측에 연속하는 테이퍼부(11b)와, 당해 테이퍼부(11b)의 전측에 단차를 통하여 연속하는 전단부(11d)를 가지고 있다.
본체부(11a)는, 충전 영역(1x) 내의 공기 및 화장료(M)의 일부를 충전 영역(1x) 밖으로 통하게 하는 통로부로서, 구멍부(11e)를 가지고 있다. 구멍부(11e)는, 본체부(11a)의 후단부의 둘레벽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한 쌍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부(11b)는, 횡단면 외형이 편평원 형상으로 된 끝이 가늘어지는 뿔대 실린더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전단부(11d)는, 횡단면 외형이 편평원 형상으로 된 실린더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테이퍼부(11b) 및 전단부(11d)에서는, 상기 일방향(A)이 장축 방향이 되고, 상기 타방향(B)이 단축 방향이 되고 있다. 이 내측 충전 실린더(11)는, 외측 충전 실린더(10)에 대하여 내삽되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일방향(A)을 장축 방향(A)이라고 하고, 상기 타방향(B)을 단축 방향(B)이라고 한다.
도 4~7은, 도 1의 화장료 도포 용기에 있어서의 펜 팁 부재를 나타내는 각 도이다. 도 4~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충전 부재(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화장료(M)를 도포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질재로 형성된 펜 팁 부재(12)를 구비하고 있다. 연질재로서는, 예를 들면, 가황에 의해 가열하여 성형하는 열경화성의 일반적인 고무나, 플라스틱의 일종으로 열에 의해 가소화시켜 금형에 주입하여 성형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이용할 수 있다.
일반 고무로서는, 니트릴고무(NBR), 부틸고무(IIR), 에틸렌프로필렌고무(EPDM), 실리콘고무(Si)를 주로 들 수 있다. 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는,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TPEE), 올레핀계 엘라스토머(TPO), 우레탄계 엘라스토머(TPU)를 주로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우레탄계 엘라스토머에 있어서는, 하드 세그먼트가 폴리우레탄으로, 소프트 세그먼트가 폴리에스테르 타입 또는 폴리에테르 타입의 2종류 중 어느 것을 이용할 수 있고, 화장료(M)에 대해서는, 소프트 세그먼트가 폴리에테르 타입인 것이 특히 적합하다.
이 펜 팁 부재(12)는, 바람직한 것으로서, JIS K 6253에서 규정되고 있는 타입 A 듀로미터에 의한 경도가 60±20으로 되어 있다. 펜 팁 부재(12)는, 선단측에 첨예형의 펜 팁(펜 팁부; 13)과, 펜 팁(13)의 기단측에 단차(14)를 통하여 연속하는 기단부(16)를 포함하고 있다.
펜 팁(13)은, 횡단면 외형이 편평원이고 또한 측방에서 보아 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펜 팁(13)은, 횡단면의 장축 방향(A)에 있어서의 일방측(도 4에 있어서 상측)이, 선단측으로부터 보아 예각으로 뾰족한 첨예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펜 팁(13)은, 선단측으로 감에 따라 단축 방향(B)의 길이가 짧아진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펜 팁(13)에서는, 그 선단면에 의해, 사용자의 피부 등의 도포 대상에 맞닿는 도포면(S)이 구성되어 있다.
도포면(S)은, 펜 팁(13)의 횡단면의 단축 방향(B)에 있어서는 똑바로 뻗는 곡면으로 되어 있다. 도포면(S)의 선단에는, 정점(P)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도포면(S)은, 그 선단측에, 측방에서 보아(단축 방향(B)에서 보아) 기단측으로 오목한 오목부(81)를 가지고 있다. 또한, 도포면(S)은, 오목부(81)의 기단측에, 측방에서 보아 선단측으로 솟아오른 볼록부(82)를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는, 오목부(81)와 볼록부(82)가 매끄럽게 연속하고 있고, 이로써, 도포면(S)은, 측방에서 보아 S자 형상(싸인 커브 형상, 3차 곡선 형상, 또는 물결 형상이라고도 한다)으로 연이어 있는 곡면형상으로 되어 있다. 환언하면, 오목부(81)는, 정점(P)을 지나는 소정의 기준 평면(85)을 설정했을 때, 당해 기준 평면(85)에 대하여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한편, 볼록부(82)는, 이 기준 평면(85)에 대하여 융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도포면(S)에 있어서는, 측방에서 보아, 펜 팁(13)의 선단의 첨예부를 구성하는 정점(P)으로부터, 기단측(후측)을 향하면서 축선(G)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면서, 기단측으로 오목한 오목형상을 선단측에 가짐과 함께, 당해 오목형상의 후방에 선단측으로 솟아오른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곡면으로 되어 있다. 이 때, 도포면(S)의 축선(G)방향에 대한 경사각도(접선의 기울기)는, 정점(P)으로부터 기단측으로 감에 따라, 서서히 커져, 이로써, 오목부(81)가 형성되고, 그 후, 서서히 작아져, 이로써 볼록부(82)가 형성된다. 이 도포면(S)은, 장축 방향(A)으로부터 보아, 축선(G)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가늘고 긴 편평원 형상으로 되어 있다(도 5(b) 참조). 환언하면, 도포면(S)은, 전후로 가늘고 긴 면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 펜 팁(13)의 양측면에 있어서 도포면(S)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소정 길이 기단측에 걸친 영역에는, 도포면(S)측으로 끝이 가늘어지도록 경사진 테이퍼면(17)이 형성되어 있다. 펜 팁(13)의 축선(G)위치에는, 축선(G)방향을 따라 연이어 있는 단면 대략 원형의 관통구멍(18)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구멍(18)에 있어서의 도포면(S)의 개구 부분은, 화장료(M)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18a)를 구성한다.
토출구(18a)는, 선단측(축선(G)방향)으로부터 보아, 도포면(S)의 중앙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장축 방향(A)에 있어서의 타방측이 솟아오른 물방울 형상으로 되어 있다(도 6(a) 참조). 또, 토출구(18a)는, 장축 방향(A)으로부터 보아, 전방측이 긴 원 형상이 되는 대략 알형상으로 되어 있다(도 5(b) 참조).
기단부(16)는, 실린더 형상을 나타내고, 그 횡단면 외형이 펜 팁(13)보다 대경의 편평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기단부(16)의 외주면에 있어서 전단으로부터 중앙에 걸친 영역에는, 상기 외측 충전 실린더(10)의 테이퍼부(10b; 도 2 참조)에 걸어 맞추는 것으로서, 끝이 가늘어지도록 경사진 테이퍼면(19)이 형성되어 있다. 기단부(16)의 실린더 구멍(20)은, 관통구멍(18)보다 대경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구멍(18)에 연통하도록 축선(G)방향을 따라 연이어 있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펜 팁 부재(12)는, 그 펜 팁(13)이 외측 충전 실린더(10)의 개구(10g)에 내삽됨으로써, 외측 충전 실린더(10)에 대하여 회전방향으로 걸어 맞춰져 장착되어 있다. 또, 그 기단부(16)의 실린더 구멍(20)이 내측 충전 실린더(11)의 전단부(11d)에 외삽됨으로써, 내측 충전 실린더(11)에 대하여 회전방향으로 걸어 맞춰져 밀착되어 있다. 이 때, 이 펜 팁 부재(12)는, 그 단차(14)가 외측 충전 실린더(10)의 테이퍼부(10b)의 전단부에 축선 방향으로 걸어 맞춰져 있음과 함께, 그 기단부(16)의 후단면이 내측 충전 실린더(11)의 단차(11c)에 축선 방향으로 걸어 맞춰져, 이로써, 외측 충전 실린더(10) 및 내측 충전 실린더(11)에 의해 축선 방향으로 협지되어 지지되고 있다.
이러한 외측 충전 실린더(10), 내측 충전 실린더(11) 및 펜 팁 부재(12)를 구비한 충전 부재(1)에 있어서는, 내측 충전 실린더(11)를 선단측에서 뚜껑을 닫아 막고 충전 영역(1x)에 화장료(M)를 후측으로부터 주입한 후, 당해 뚜껑을 떼어내, 이 내측 충전 실린더(11)를 펜 팁 부재(12)가 장착된 외측 충전 실린더(10)에 조립합으로써, 화장료(M)가 충전된다.
그리고, 화장료(M)가 충전된 충전 부재(1)에 있어서는, 그 후부측으로부터 바디 실린더(2)에 내삽되어, 그 외측 충전 실린더(10)의 환형상 오목부(10c)가 바디 실린더(2)의 환형상 돌출부(2b)에 걸어 맞춰짐과 함께, 그 외측 충전 실린더(10)의 널링(10e)이 바디 실린더(2)의 널링(2a)에 걸어 맞춰짐으로써, 바디 실린더(2)에 대하여 축선 방향 및 회전방향으로 걸어 맞춰져 장착되어, 당해 바디 실린더(2)와 일체화된다.
이와 함께, 충전 부재(1)는, 그 내측 충전 실린더(11)의 후단부에, 피스톤(7)이 기밀하게 밀착하도록 하여 내삽되어 장착된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내측 충전 실린더(11)의 후단부에 구멍부(11e)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충전 영역(1x) 내의 화장료(M)와 피스톤(7)과의 사이에 에어가 존재하는 경우여도, 이러한 간극으로부터 에어를 구멍부(11e)를 통하여 적절히 빼낼 수 있어, 충전 영역(1x)의 내압이 높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충전 부재(1)는, 그 선단측으로부터 캡(C1)이 장착된다. 또한, 이 캡(C1) 내에는, 외측 충전 실린더(10)의 선단측에 외삽되어 장착되는 중간 실린더(C3)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펜 팁 부재(12)의 펜 팁(13)의 형상을 입체 형성하는 경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여기에서의 설명에 있어서는, 펜 팁(13)에 테이퍼면(17)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예를 실시예로서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는, 펜 팁의 형상의 입체 형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펜 팁(13)의 형상의 입체 형성 시에, 바람직한 것으로서 서피스계 CAD(Computer Aided Design)를 이용하고 있으며, 예를 들면 라이나서러스(Rhinoceros; Robert McNeel & Associates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고 있다.
먼저,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펜 팁(13)의 축선(G)방향 기단(도면 우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장축(L1) 및 단축(H1)을 가지고 또한 중심을 향하여 원형을 평평하게 변형시킨 편평 형상의 기단 형상(51)을 그린다. 계속해서, 기단 형상(51)에 대하여 축선(G)방향 선단측(도면 좌측)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간하는 위치에, 당해 기단 형상(51)과 평행으로 장축(L2) 및 단축(H2)을 가지고 또한 중심을 향하여 원형을 평평하게 변형시킨 편평 형상의 선단 형상(52)을 그린다.
이 때, 기단 형상(51)의 장축(L1)의 방향과 선단 형상(52)의 장축(L2)의 방향은, 서로 동일하게 되어 있으며, 여기에서는, 장축 방향(A)으로 되어 있다. 또, 기단 형상(51)의 단축(H1)의 방향과 선단 형상(52)의 단축(H2)의 방향은, 서로 동일하게 되어 있으며, 여기에서는, 단축 방향(B)으로 되어 있다. 기단 형상(51) 및 선단 형상(52)의 장경(장축(L1, L2)의 길이)은, 서로 대략 동일하게 하고 있다. 한편, 선단 형상(52)의 단경(단축(H2)의 길이)은, 기단 형상(51)의 단경(단축(H1)의 길이)에 비해 짧게 하고 있다. 또, 선단 형상(52)은, 그 장축 방향(A)의 일방측에, 장축 방향(A)의 타방측보다 예각으로 뾰족한 뿔부로서의 첨예형부(5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단 형상(51) 및 선단 형상(52)이 이간하는 일정 거리는, 펜 팁(13)의 축선(G)방향 길이에 대응하는 거리로 하고 있다.
계속해서,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단 형상(51) 및 선단 형상(52)에 의해, 이들을 단면으로서 가지는 테이퍼 형상의 편평 원기둥(편평 형상의 기둥체; 54)을 구성한다. 그리고, 장축(L1, L2)을 포함하는 평면(55) 상에 있어서, 선단 형상(52)의 외측 가장자리와 장축(L2)과의 한 교점(56)으로부터, 기단측을 향하면서 경사진 곡선(57)을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평면(55) 상에 있어서, 선단 형상(52)의 첨예형부(53)의 단이 장축(L2)과 교차하는 한 교점(56)을 지나고, 기단측을 향하여 경사지면서, 기단측으로 오목한 오목형상을 선단측에 가짐과 함께 당해 오목형상의 후방에 선단측으로 솟아오른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곡선(57)을, 편평 원기둥(54)의 측면의 기단측을 통과하도록 묘화한다. 여기에서의 곡선(57)은, 서서히 접선의 기울기가 변화되는 S자 형상의 자유 곡선으로 묘화되고 있다. 이 자유 곡선에 있어서의 접선과 축선(G)과의 기울기(경사각도)는, 한 교점(56)으로부터 기단측을 따라, 서서히 커진 후, 서서히 작아지고 있다.
계속해서,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선(57)을 지나 단축(H1, H2)방향으로 뻗는 절단면(58)으로 편평 원기둥(54)을 절단한다. 환언하면, 평면(55)을 기준으로 하여 측방향(당해 평면(55)의 법선방향) 일방측 및 타방측으로 곡선(57)을 각각 연장시켜 이루어지는 절단면(58)에 의해, 편평 원기둥(54)을 절단한다. 이로써, 편평 원기둥(54)과 절단면(58)과의 교선(즉, 편평 원기둥(54)이 절단면(58)과 교차하는 면의 외형선)이 선단면 외측 가장자리(E)가 된다. 또, 절단면(58)의 선단면 외측 가장자리(E)보다 평면(55)의 법선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도 9(a)에 있어서의 절단면(58)의 편평 원기둥(54)과 교차하지 않는 부분)을 잘라내는 것에 의해 도포면(S)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단 형상(51)의 중앙과 선단 형상(52)의 중앙을 연결하도록 단면 원형의 관통구멍(59)을 축선(G)방향을 따라 형성하고, 축선(G)방향으로부터 보아, 절단면(58)으로 절단된 편평 원기둥(54)의 선단면 중앙에 개구(59a)를 형성한다.
이상에 의해, 횡단면 외형이 편평원이고 또한 측방에서 보아 날 형상으로 형성된 펜 팁(13)이 입체 형성된다. 그리고, 절단면(58)으로 절단된 편평 원기둥(54)의 선단면에 의해, 적어도 오목부(81)를 선단측에 가지는 상기 도포면(S; 여기에서는, 오목부(81) 및 볼록부(82)를 가지는 S자 형상의 상기 도포면(S))이 입체 형성된다. 또, 한 교점(56)에 의해 상기 정점(P)이 입체 형성되고, 개구(59a)에 의해 상기 토출구(18a)가 입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도 1에 나타내는 초기 상태의 화장료 도포 용기(100)에 있어서는, 사용자에 의해 캡(C1) 및 뚜껑(C2)이 분리되어, 바디 실린더(2)와 조작 실린더(3)가 조출(繰出) 방향인 일방향으로 상대 회전되면, 나사 실린더(4)의 암 나사(4e) 및 이동체(6)의 수 나사(6b)로 이루어지는 나사결합부(9)와 조작 실린더(3)의 돌조(3d) 및 이동체(6)의 돌조(6c)로 이루어지는 회전 방지부와의 협동에 의해, 이동체(6) 및 피스톤(7)이 전진한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체(6) 및 피스톤(7)이 전진함으로써, 충전 부재(1)의 충전 영역(1x)에 채워진 화장료(M)가 펜 팁 부재(12)의 토출구(18a)로부터 토출된다. 사용자는, 이 상태로, 펜 팁(13)의 도포면(S)을 눈의 가장자리 등의 도포 대상에 대어 화장료 라인을 묘화한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포면(S)의 선단측이 측방에서 보아 기단측으로 오목한 오목부(81)를 가지고 있다. 이로써, 펜 팁(13)은, 도 10(a),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81)를 갖지 않는 도포면(S’)이 형성된 종래의 펜 팁(13’)에 비해, 사용 시에 있어서 도포면(S)과 도포 대상인 피부(50)와의 접촉을 적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도포면(S)에 대한 접촉감을 억제하여 편안한 사용감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도포면(S)에서는 오목부(81)가 피부(50)에 대한 접촉을 약하게 하는 점에서, 종래의 도포면(S’)에 비해, 토출구(18a)로부터 토출된 화장료(M)가 측방향으로 퍼지지 않기 때문에, 가느다란 라인을 적합하게 그릴 수 있다.
또한, 당해 오목부(81)에 의해 펜 팁(13)의 선단측을 가늘게 할 수 있어, 도 11(a),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펜 팁(13)의 선단 각도(θ)는, 종래의 펜 팁(13’)의 선단 각도(θ’)에 비해 예각화되게 된다. 그 결과, 가느다란 라인을 용이하게 그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와 같이 펜 팁(13)의 선단측을 가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당해 선단측을 매끄럽고(부드럽고) 감촉이 좋은 것으로 하는, 즉, 당해 선단측에 유연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져, 더욱 편안한 사용감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화장료 도포 용기(100)에 의하면, 편안한 사용감을 얻을 수 있고, 또한 가느다란 라인을 용이하게 그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의 도포면(S)은, 상술한 바와 같이, 측방에서 보아 선단측으로 솟아오른 볼록부(82)를 오목부(81)의 기단측에 가지고 있다. 이 경우, 도 12(a), 도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펜 팁(13’)에 비해, 보다 펜 팁(13)의 선단측으로부터 화장료(M)가 토출되게 된다. 그 결과, 도 13(a),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장료 도포 용기(100)에서는, 종래의 펜 팁(13’)을 구비하는 화장료 도포 용기(100’)에 비해, 피부(50)에 대하여 세워서 사용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즉, 펜 팁(13)에 있어서의 피부(50)에 대한 사용 각도(Φ)는, 종래의 펜 팁(13’)에 있어서의 사용 각도(Φ’)에 비해, 큰 각도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예를 들면 좌우 양방의 아이라인을 그릴 때에 있어서, 주 사용손과 반대측의 아이라인을 주 사용손으로는 펜 팁을 눕혀서 그리기 어려운 실정에 적합하게 대응할 수 있다. 그 결과, 좌우의 아이라인(특히, 주 사용손과 반대측의 아이라인)을 적합하게 그릴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도포면(S)은, 상술한 바와 같이, 오목부(81)와 볼록부(82)가 매끄럽게 연속하여 측방에서 보아 S자 형상으로 연이어 있는 곡면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편안한 사용감을 얻을 수 있다는 상기 작용 효과, 가느다란 라인을 용이하게 그릴 수 있다는 상기 작용 효과, 및, 화장료 도포 용기(100)를 세워서 사용하는 것이 용이해진다는 상기 작용 효과를, 적합하게 한번에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펜 팁(13)의 형상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기둥체(54)의 평면(55) 상에 있어서, 한 교점(56)으로부터 기단측을 향하면서 경사지면서 오목형상과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곡선(57)을 설정하여, 이 곡선(57)을 통과하는 절단면(58)으로 기둥체(54)를 절단함으로써 입체 형성된다. 이로써, 오목부(81) 및 볼록부(82)를 가지는 도포면(S)을, 적합하게 입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하의 작용 효과도 나타난다.
즉, 바디 실린더(2)와 조작 실린더(3)가 일방향으로 상대 회전되었을 때, 래칫 부재(5)의 스프링부(5b)의 탄성력으로 래칫 치부(8b)가 축선 방향 전측으로 부세됨으로써, 래칫 기구(8)에 있어서의 래칫 치부(8a, 8b)의 걸어 맞춤 및 걸어 맞춤 해제(맞물림 및 맞물림 해제)가 반복된다. 즉, 래칫 치부(8a)의 측면이 래칫 치부(8b)의 측면에 회전방향으로 걸어 맞춰져, 래칫 치부(8a)가 래칫 치부(8b)의 측면을 타고 오르듯이 슬라이딩한다. 그리고, 래칫 치부(8a)가 래칫 치부(8b)를 타고 넘어 당해 걸어 맞춤이 해제된 후, 이들 측면이 다시 회전방향으로 걸어 맞춰진다. 그 결과, 래칫 치부(8a, 8b)의 걸어 맞춤 및 걸어 맞춤 해제 시마다, 사용자에게 클릭감이 부여된다. 여기에서는, 바디 실린더(2)와 조작 실린더(3)가 일방향으로 상대적으로 1/8 회전(45°)되었을 때 클릭감이 1번 발생하게 되어 있다.
한편, 바디 실린더(2)와 조작 실린더(3)가 되돌림 방향인 타방향으로 상대 회전하려고 해도, 래칫 치부(8a)의 측면이 래칫 치부(8b)의 측면에 맞닿아 회전방향으로 계지되어, 나사 실린더(4)와 래칫 부재(5)가 상대 회전하지 않도록 이들의 상대 회전이 규제된다. 그 결과, 바디 실린더(2)와 조작 실린더(3)가 타방향으로 상대 회전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래칫 기구(8)에 의해, 타방향에 있어서의 바디 실린더(2) 및 조작 실린더(3)의 상대 회전을 규제하고, 일방향에 있어서의 바디 실린더(2) 및 조작 실린더(3)의 상대 회전만을 허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펜 팁(13)의 색을 화장료(M)의 색과 상이한 것으로 함으로써, 화장료(M)의 사용 상황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인식 가능해진다. 또, 펜 팁(13)이 장축 방향(A)으로 휘어지면, 토출구(18a)가 단축 방향(B)으로 압축·변형되어, 이 압축·변형된 토출구(18a)로부터 화장료(M)가 소량씩 토출되기 때문에, 화장료(M)를 피부(50)에 도포할 때, 액이 끊기는(흐려지는) 일 없이 가늘고 긴 화장료 라인을 묘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펜 팁(13)을 입체 형성할 때, 선단 형상(52)에 있어서 한 교점(56)에 대응하는 부분은, 예각으로 뾰족한 뿔부로서의 첨예형부(53)로 되어 있고, 선단 형상(52)의 외측 가장자리와 장축(L2)과의 다른 교점(56’: 도 8 참조)에 대응하는 부분보다 뾰족하다. 이로써, 도포면(S)의 선단측을 뾰족하게 입체 형성하여 도포면(S)에 정점(P)을 형성할 수 있어, 그 결과, 가는 화장료 라인을 특히 용이하게 묘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정점(P)을 작은 구형상 정점으로 하여 둥글게 함으로써(정점(P)이 작은 반경(R)의 구면을 가짐으로써), 피도포부인 피부(50)에 대한 감촉을 부드럽게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펜 팁(13)을 입체 형성할 때, 단축(H2)의 길이가 단축(H1)의 길이보다 짧게 되어, 편평 원기둥(54)이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펜 팁(13)의 형상을 테이퍼 형상으로 입체 형성할 수 있어, 화장료 라인을 더욱 용이하게 묘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절단면(58)으로 편평 원기둥(54)을 절단함으로써 입체 형성되는 도포면(S)은, 장축 방향(A)으로부터 보아, 축선(G)방향을 따르는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가늘고 긴 편평원 형상이 되며, 그 선단에는, 정점(P)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가는 화장료 라인을 더욱 용이하게 묘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펜 팁(13)은, 그 양측면에 테이퍼면(17)을 가지고 있고,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축 방향(B)에 있어서 일정한 경사각도로 끝이 가늘어지는 것이 아닌, 그 선단측에서 특히 끝이 가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결과, 펜 팁(13)의 기단측의 굵기를 유지하여, 펜 팁(13)의 강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청구항에 기재한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하거나, 또는 다른 것에 적용한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의 도포면(S)은, 오목부(81) 및 볼록부(82)를 가지고 있지만, 오목부(81)만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 도포면(S)은, 오목부(81) 및 볼록부(82)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측방에서 보아 S자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오목부(81) 및 볼록부(82)가 단속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선단 형상(52)에 첨예형부(53)을 형성함으로써 펜 팁(13)의 도포면(S)의 선단에 정점(P)을 입체 형성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가공에 의해 도포면(S)의 선단에 정점(P)을 형성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펜 팁(13)을 입체 형성할 때의 절단면(58; 도 9 참조)이, 곡선(57)을 측방향의 양측으로 연장하여 이루어지는 면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절단면(58)은, 곡선(57)을 통과하는 면이면 된다. 예로서 절단면(58)은, 곡선(57)을 정점부로 하여 선단측으로 곡면적으로 솟아오른 면으로 해도 되고, 이 경우, 펜 팁(13)의 도포면(S)은, 곡선(57)에 대응하는 부분을 정점부로 하여 곡면적으로 선단측으로 솟아오른 형상으로 입체 형성된다. 다른 예로서, 절단면(58)은, 곡선(57)을 선저형상으로 하여 기단측에 곡면적으로 오목한 면으로 해도 되고, 이 경우, 펜 팁(13)의 도포면(S)은, 곡선(57)에 대응하는 부분을 선저형상으로 하여 곡면적으로 기단측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입체 형성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는, 바디 실린더(2; 용기 전부)와 조작 실린더(3; 용기 후부)와의 상대 회전으로 이동체(6) 및 피스톤(7)을 이동시키는 용기로 되어 있지만, 노크 기구로 이동체(6) 및 피스톤(7)을 이동시키는 용기여도 된다. 또, 이동체(6) 및 피스톤(7)을 전진시킴으로써 화장료(M)를 압출하는 대신에 혹은 더하여, 이동체(6) 및 피스톤(7)을 후퇴시킴으로써 화장료(M)를 되돌리는(후퇴시키는) 경우도 있다. 또, 충전 부재(1) 내에 화장료(M)가 함침된 안솜을 마련하여, 당해 화장료(M)를 중계심에 의한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펜 팁(13)의 토출구(18a)로부터 토출시키는 용기이어도 된다. 나아가서는, 주름 상자 형상의 조정 기구를 이용하여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펜 팁(13)으로부터 화장료(M)를 토출시키는 용기이어도 된다.
또, 펜 팁(13)의 입체 형성 시에 설정한 곡선(57; 도 8 참조)은, 평면(55) 상에 있어서 편평 원기둥(54)의 측면의 기단측을 통과하도록 묘화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곡선(57)은, 한 교점(56)으로부터 기단측을 향하면서 경사짐과 함께 기단측으로 오목한 오목형상을 선단측에 가지는 것이면, 다양한 궤적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 화장료(M)로서, 예를 들면, 립, 미용액, 세정액, 네일 에나멜, 네일케어 용액, 네일 리무버, 마스카라, 안티에이징, 두발용 화장료, 오랄 케어, 마사지 오일, 각질 연화액, 파운데이션, 스킨 크림, 마킹 펜 등의 필기 용구 등의 잉크, 액상의 의약품, 점토상 물질 등을 이용한 화장료 도포 용기에 대해서도, 본 발명은 물론 적용 가능하다.
또, 상술한 수 나사 및 암 나사는, 나사산이나 나사홈뿐 만이 아니라, 간헐적으로 배치되는 돌기군, 또는 나선 형상 또한 간헐적으로 배치되는 돌기군과 같이 나사산이나 나사홈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스프링부(5b)가 래칫 부재(5)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 스프링부(5b)는, 래칫 부재(5)와 별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 래칫 기구(8)가 클릭 기구를 겸용하고 있어, 래칫 치부(8a, 8b)가 한 쌍의 클릭 돌기(클릭이빨)에 대응한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래칫 치부(8a, 8b)에 대해서는, 용기 전부와 용기 후부와의 상대 회전 1회전으로 8회의 클릭감이 발생하는 클릭 수로 설정되어 있지만, 보다 세세하게 화장료(M)를 토출시키기 위해서, 상대 회전 1회전으로 12회 또는 18회 등의 클릭감이 발생하는 클릭 수로 늘려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편평 형상"으로서, 원형을 평평하게 변형(편평)시킨 타원이나 긴 원 등의 편평원 형상을 기본으로 하고, 선단 형상(52)은 타원을 변화시킨 첨예형부를 가지는 물방울 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편평 형상에 있어서는, 당해 편평원 형상을 더욱 변화시킨, 가늘고 긴 타원 나뭇잎 형상이나 고양이눈형의 가늘고 긴 형상, 대략 3각형상, 대략 5각형상, 대략 6각형상 등의 대략 다각형상을 선택할 수 있다.
1x…충전 영역,
13…펜 팁(펜 팁부),
51…기단 형상,
52…선단 형상,
54…편평 원기둥(편평 형상의 기둥체),
55…평면,
56…한 교점,
57…곡선,
58…절단면,
81…오목부,
82…볼록부,
100…화장료 도포 용기,
L1…기단 형상의 장축,
L2…선단 형상의 장축,
M…화장료,
P…정점,
S…도포면.

Claims (4)

  1. 용기 내의 충전 영역에 충전한 화장료를, 연질재로 형성된 펜 팁부로부터 토출하는 화장료 도포 용기로서,
    상기 펜 팁부는, 횡단면 외형이 편평 형상이고 또한 단축 방향을 따르는 측방에서 보아 날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선단면이 도포면을 구성하고, 선단측으로 감에 따라 단축의 길이가 짧아진 테이퍼 형상을 이루며,
    상기 펜 팁부의 선단측은, 선단측으로부터 보아 장축 방향의 일방측이 예각으로 뾰족한 첨예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도포면의 선단에는, 상기 펜 팁부의 선단의 첨예부를 구성하는 정점이 형성되며,
    상기 도포면은, 그 선단측에, 상기 측방에서 보아 기단측으로 오목한 오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도포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포면은, 상기 오목부의 기단측에, 상기 측방에서 보아 선단측으로 솟아오른 볼록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도포 용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도포면은, 상기 오목부와 상기 볼록부가 매끄럽게 연속함으로써, 상기 측방에서 보아 S자 형상으로 연이어 있는 곡면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도포 용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펜 팁부의 형상은,
    편평 형상을 나타내는 기단 형상과, 상기 기단 형상보다 선단측에 형성되며 편평 형상을 나타내는 선단 형상에 의해 편평 형상의 기둥체를 구성하고,
    상기 기둥체에 있어서 상기 기단 형상의 장축 및 상기 선단 형상의 장축을 포함하는 평면 상에, 상기 선단 형상의 외측 가장자리와 상기 선단 형상의 장축과의 한 교점으로부터, 기단측을 향하면서 경사짐과 함께 기단측으로 오목한 오목형상을 선단측에 가지는 곡선을 설정하며,
    상기 곡선을 통과하는 절단면으로 상기 기둥체를 절단함으로써, 입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도포 용기.
KR1020130103719A 2012-09-04 2013-08-30 화장료 도포 용기 KR1015053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94299 2012-09-04
JP2012194299A JP6085809B2 (ja) 2012-09-04 2012-09-04 化粧料塗布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1128A true KR20140031128A (ko) 2014-03-12
KR101505314B1 KR101505314B1 (ko) 2015-03-23

Family

ID=50138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3719A KR101505314B1 (ko) 2012-09-04 2013-08-30 화장료 도포 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92858B2 (ko)
JP (1) JP6085809B2 (ko)
KR (1) KR101505314B1 (ko)
CN (1) CN103653685B (ko)
FR (1) FR29948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3482A1 (ko) * 2014-12-12 2016-06-16 (주)연우 액상의 내용물이 함침된 흡수부재가 구비되는 화장품 용기
WO2017082702A1 (ko) * 2015-11-11 2017-05-18 조지원 화장용 펜슬 카트리지
KR20170139672A (ko) * 2015-05-28 2017-12-19 로레알 화장품 어플리케이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01138B2 (ja) 2013-07-18 2017-09-27 株式会社トキワ 化粧料容器
US9549602B2 (en) 2014-10-09 2017-01-24 Elc Management Llc Foundation makeup and concealer composition
JP6746053B2 (ja) * 2015-11-06 2020-08-26 株式会社トキワ 液状化粧料容器
JP6641174B2 (ja) * 2015-12-25 2020-02-05 三菱鉛筆株式会社 アイメイク用液体化粧料塗布具
JP6692158B2 (ja) * 2015-12-25 2020-05-13 三菱鉛筆株式会社 液体化粧料塗布具
JP2017189466A (ja) * 2016-04-14 2017-10-19 株式会社トキワ 棒状化粧料繰出容器
CN106666997A (zh) * 2017-02-28 2017-05-17 广州卡迪莲化妆品有限公司 一种液体化妆笔
JP7279915B2 (ja) * 2017-08-23 2023-05-23 株式会社トキワ 塗布材繰出容器
KR102018557B1 (ko) * 2017-10-31 2019-11-04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
KR102056336B1 (ko) * 2018-01-05 2020-01-22 (주)이니스프리 튜브형 화장품 용기 및 어플리케이터
JP7025764B2 (ja) * 2018-09-18 2022-02-25 株式会社トキワ 塗布材繰出容器
KR102067958B1 (ko) * 2019-03-29 2020-01-20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
JP7431440B2 (ja) 2020-02-27 2024-02-15 株式会社トキワ 化粧料容器
CN113347904B (zh) * 2020-05-25 2022-04-26 韩国科玛株式会社 内容物容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42503A (en) * 1946-02-27 1948-06-01 Melnikoff Zachary Lip rouge applicator
FR2727608B1 (fr) * 1994-12-06 1997-01-10 Oreal Distributeur pour un produit de consistance liquide a pateuse
FR2871664B1 (fr) * 2004-06-17 2006-07-28 Techpack Int Sa Applicateur de rouge a levres et distributeur comprenant ledit applicateur
JP5118363B2 (ja) * 2007-02-28 2013-01-16 紀伊産業株式会社 塗布機能付化粧料容器
DE102009052755B8 (de) * 2009-11-12 2012-02-09 H & M Gutberlet Gmbh Kosmetikstift
JP5108919B2 (ja) * 2010-06-28 2012-12-26 株式会社トキワ 充填物押出容器
US9044078B2 (en) * 2010-09-24 2015-06-02 Tokiwa Corporation Cosmetic material application container
JP5001417B2 (ja) * 2010-09-24 2012-08-15 株式会社トキワ 化粧料塗布容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3482A1 (ko) * 2014-12-12 2016-06-16 (주)연우 액상의 내용물이 함침된 흡수부재가 구비되는 화장품 용기
KR20170139672A (ko) * 2015-05-28 2017-12-19 로레알 화장품 어플리케이터
WO2017082702A1 (ko) * 2015-11-11 2017-05-18 조지원 화장용 펜슬 카트리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653685A (zh) 2014-03-26
US9392858B2 (en) 2016-07-19
JP2014046154A (ja) 2014-03-17
CN103653685B (zh) 2016-06-29
US20140064822A1 (en) 2014-03-06
KR101505314B1 (ko) 2015-03-23
FR2994805A1 (fr) 2014-03-07
JP6085809B2 (ja) 2017-03-01
FR2994805B1 (fr) 2016-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31128A (ko) 화장료 도포 용기
US9044078B2 (en) Cosmetic material application container
US9486054B2 (en) Applying material extruding container
JP5108919B2 (ja) 充填物押出容器
US9283801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ating instrument
KR101951555B1 (ko) 도포 용기 및 도포 용기의 제조 방법
CN107440306B (zh) 棒状化妆品旋出容器
JP5001417B2 (ja) 化粧料塗布容器
US9532635B2 (en) Applying material extruding container
EP3675686B1 (en) Stem with bayonet closure and device equipped therewith
JP5374342B2 (ja) 塗布材押出容器
EP2656925B1 (en) Application material extruding container
US9474348B2 (en) Applying material extruding container
JP2007143857A (ja) 内容物押出容器
JP4740173B2 (ja) 塗布材押出容器
JP5990735B2 (ja) 塗布具の製造方法
JP5457389B2 (ja) 塗布材押出容器
JP5747275B2 (ja) 塗布材押出容器
JP2019051107A (ja) 塗布材押出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