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8688A - 금속재 작업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금속재 작업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8688A
KR20140028688A KR1020120095534A KR20120095534A KR20140028688A KR 20140028688 A KR20140028688 A KR 20140028688A KR 1020120095534 A KR1020120095534 A KR 1020120095534A KR 20120095534 A KR20120095534 A KR 20120095534A KR 20140028688 A KR20140028688 A KR 201400286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work
welded
bent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5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2006B1 (ko
Inventor
서충규
Original Assignee
서충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충규 filed Critical 서충규
Priority to KR20120095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2006B1/ko
Publication of KR20140028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8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8Tops specially designed for working 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3/00Kitchen or dish-washing tables

Landscapes

  • Ladders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으로 위치되는 상판구조물과, 상판구조물의 하부 모서리부분에 각각 용접부착되는 작업대다리와, 상기 상판구조물의 하부에 수평으로 위치되면서 각 모서리부분이 작업대다리에 용접부착되는 하판구조물과,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작업대다리 사이에 용접부착되는 복수개의 측면판구조물로 구성되며, 상기 하판구조물은 사각판형상으로 된 하판부재의 전후좌우에 각각 측판부재가 일체로 전개되어 있고 각 측판부재의 외측면에는 제1마감부재 및 제2마감부재가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있어 각 측판부재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측판을 형성하면서 제1마감부재와 제2마감부재가 차례로 내측으로 절곡되어 측판의 하부를 마감처리하되, 상기 하판부재는 각 모서리부분에 작업대다리와 동일한 곡률반경을 지닌 호형상으로 수직하방으로 절곡가공되는 호형절곡부가 돌출형성되어 있어 절곡가공된 호형절곡부가 작업대다리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맞닿으면서 호형절곡부의 하단부가 작업대다리에 일체로 용접부착되며, 상기 제1마감부재는 양측끝단에 각각 작업대다리와 동일한 곡률반경을 지닌 호형상으로 제1마감부재가 내측방향으로 절곡가공된 상태에서 작업대다리의 내측면에 수평으로 밀착되게 맞닿아 용접부착되는 수평용접단부가 돌출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 작업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금속재 작업대 및 그 제조방법{A metallic worktable and the mak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주방용 세정대, 조리대, 건조대, 가스렌지대 등으로 사용되는 금속재 작업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로 위치되는 상판구조물과, 상기 상판구조물의 하부 모서리부분에 각각 용접부착되는 원통형의 작업대다리와, 상기 상판구조물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수평으로 위치되면서 각 모서리부분이 작업대다리에 용접부착되는 하판구조물과,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작업대다리 사이에 용접부착되는 복수개의 측면판구조물로 구성되며, 상기 하판구조물은 사각판형상으로 된 하판부재의 전후좌우에 각각 측판부재가 일체로 전개되어 있고 각 측판부재의 외측면에는 제1마감부재 및 제2마감부재가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있어 각 측판부재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측판을 형성하면서 제1마감부재와 제2마감부재가 차례로 내측으로 절곡되어 측판의 하부를 마감처리하되, 상기 하판부재는 각 모서리부분에 작업대다리와 동일한 곡률반경을 지닌 호형상으로 수직하방으로 절곡가공되는 호형절곡부가 돌출형성되어 있어 절곡가공된 호형절곡부가 작업대다리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맞닿으면서 호형절곡부의 하단부가 작업대다리에 일체로 용접부착되며, 상기 제1마감부재는 양측끝단에 각각 작업대다리와 동일한 곡률반경을 지닌 호형상으로 제1마감부재가 내측방향으로 절곡가공된 상태에서 작업대다리의 내측면에 수평으로 밀착되게 맞닿아 용접부착되는 수평용접단부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마감부재의 양측끝단에는 각각 수평용접단부의 끝단과 동일선상에 끝단이 위치되어 제2마감부재가 내측방향으로 절곡가공된 상태에서 작업대다리의 내측면에 수직으로 밀착되게 맞닿아 용접부착되는 수직용접단부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 작업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용 세정대, 조리대, 건조대, 가스렌지대 등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금속재 작업대는 전체적으로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재질로 되어 있으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1')의 상부에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로 위치되는 상판구조물(2')과, 상기 상판구조물(2')의 하부 모서리부분에 각각 용접부착되는 원통형의 작업대다리(3')와, 상기 상판구조물(2')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수평으로 위치되면서 각 모서리부분이 작업대다리(3')에 용접부착되는 하판구조물(4')과,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작업대다리(3') 사이에 용접부착되는 복수개의 측면판구조물(12')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금속재 작업대(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판구조물(4')과 측면판구조물(12')의 제조시 프레스 및 절단성형된 금속판을 절곡성형하여 작업대다리(3')에 용접부착하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하판구조물(4')은 평판형으로 된 금속판의 각 모서리부분을 절단가공하여 가운데부분에 위치된 사각판형상의 하판부재(5')의 전후좌우에 각각 측판부재(6')가 일체로 전개된 상태로 형성되도록 하면서 하판부재(5')의 각 모서리부분에는 라운드부(20')가 형성되도록 절단가공하며 각 측판부재(6')를 내측방향으로 90°각도로 절곡하고 각 측판부재(6')의 외측면에 일체로 연장형성된 제1마감부재(7') 및 제2마감부재(8')를 차례로 내측방향으로 절곡가공하여 측판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으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다리(3')들 사이에 하판부재(5')가 수평으로 위치되어 용접부착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하판부재(5')의 각 모서리부분에 형성된 라운드부(20')가 작업대다리(3')에 부합되게 끼워져 지지된 상태에서 작업대다리(3')의 외측면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맞닿은 각 측판부재(6')의 양측끝단이 작업대다리(3')에 일체로 용접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측면판구조물(12')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형으로 된 금속판의 각 모서리부분을 직각으로 절단가공하여 가운데부분에 위치된 장방형 판형상의 측면판부재(13')의 좌우양측끝단에는 접철마감부(21')가 형성하되도록 하고 전후에는 각각 제1상부마감부재(14') 및 제1하부마감부재(16')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전개된 상태에서 상기 접철마감부(21')를 내측방향으로 절곡 후 압착가공하며 제1상부마감부재(14')와 제1하부마감부재(16')를 내측방향으로 90°각도로 절곡하고 상기 제1상부마감부재(14')와 제1하부마감부재(16')의 외측면에 일체로 연장형성된 제2상부마감부재(15') 및 제2하부마감부재(17')를 차례로 내측방향으로 절곡가공하며, 도 9 및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다리(3')들 사이에 측면판부재(13')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위치되어 용접부착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측면판부재(13')의 좌우양측에 형성된 접철마감부(21')의 양측끝단이 작업대다리(3')의 외측면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맞닿아 일체로 용접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금속재 작업대(1')의 하판구조물(4')과 측면판구조물(12')은 작업대다리(3')의 외측면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맞닿은 측판부재(6')와 접철마감부(21')의 양측끝단을 따라 용접처리하게 되므로 용접부위가 상하로 길어져 용접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부위가 외측으로 노출되어 쉽게 녹슬거나 손상되어 수명이 짧아지게 되며, 외부로 노출된 용접부위는 숙련된 용접기술자에 의한 용접이 필요하여 인건비가 상승되고 외부로 드러난 용접부위를 2차적으로 매끄럽게 마감처리하는 과정에서 그라인더 등으로 긁어낼 때 금속파편이 튀면서 작업자의 눈 등의 신체부위로 튀어들어가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며 추가적인 마감처리공정으로 인하여 생산기간의 지연 및 생산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특히, 상기 측면판구조물(12')의 경우 평판형으로 전개된 상태에서 양측끝단의 접철마감부(21')를 내측방향으로 45°각도정도로 1차절곡 후 다시 프레스 등으로 2차압착하는 공정이 추가되어 전체적인 작업공정이 복잡하고 작업시간이 오래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금속재 작업대에 관한 종래기술로서 본 발명자에 의해 선등록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 20-0417372호에서는 사각판형상으로 되어 있는 상판부재의 전후좌우측면에는 각각 전면부재와 후면부재와 좌측면부재와 우측면부재가 일체로 전개되어 있고, 상기 전면부재 및 후면부재는 내측으로 절곡가공되어 전면판 및 후면판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되 양측면에는 각각 절곡삽입부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외측면에는 마감부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내측으로 절곡가공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좌측면부재 및 우측면부재는 내측으로 절곡가공되어 좌측면판과 우측면판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되 양측면에는 상기 전면부재 및 후면부재의 절곡삽입부와 부합되는 형상의 삽입요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절곡삽입부가 직각으로 절곡된 상태로 삽입요홈에 삽입되어 상판의 각 모서리부분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으며 외측면에는 측면마감부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내측으로 절곡가공된 상태에서 양측 하부 끝단이 상기 마감부재의 양측 하부 끝단과 맞닿아 일체로 용접부착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 작업대의 상판이 개시되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상판구조물에 관한 구성으로 하판구조물과 측면판구조물을 작업대다리에 설치시에는 종래의 금속재 작업대(1')와 동일한 문제점을 지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판구조물의 제조시 하판부재의 각 모서리부분에 작업대다리와 동일한 곡률반경을 지닌 호형상으로 수직하방으로 절곡가공되는 호형절곡부를 돌출형성하여 절곡가공된 호형절곡부가 작업대다리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맞닿으면서 호형절곡부의 하단부가 작업대다리에 일체로 용접부착되도록 하며, 하판부재의 각 측판부재에 일체로 연장형성된 제1마감부재에는 양측끝단에 각각 작업대다리와 동일한 곡률반경을 지닌 호형상의 수평용접단부를 돌출형성하고 제2마감부재의 양측끝단에는 각각 수직용접단부를 돌출형성하여 상기 제1마감부재와 제2마감부재가 절곡가공된 상태에서 수평용접단부는 작업대다리의 내측면에 수평으로 밀착되게 맞닿고 수직용접단부는 작업대다리의 내측면에 수직으로 밀착되게 맞닿아 일체로 용접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부분을 용접부착하여 추가적인 마감처리가 필요없고 용접부위가 적어 단시간에 용접처리가 가능하며 부식이나 녹스는 부분이 적어 수명이 오래가고 숙련된 용접기술자가 아니어도 용이하게 용접부착하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로 위치되는 상판구조물과, 상기 상판구조물의 하부 모서리부분에 각각 용접부착되는 원통형의 작업대다리와, 상기 상판구조물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수평으로 위치되면서 각 모서리부분이 작업대다리에 용접부착되는 하판구조물과,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작업대다리 사이에 용접부착되는 복수개의 측면판구조물로 구성되며, 상기 하판구조물은 사각판형상으로 된 하판부재의 전후좌우에 각각 측판부재가 일체로 전개되어 있고 각 측판부재의 외측면에는 제1마감부재 및 제2마감부재가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있어 각 측판부재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측판을 형성하면서 제1마감부재와 제2마감부재가 차례로 내측으로 절곡되어 측판의 하부를 마감처리하되, 상기 하판부재는 각 모서리부분에 작업대다리와 동일한 곡률반경을 지닌 호형상으로 수직하방으로 절곡가공되는 호형절곡부가 돌출형성되어 있어 절곡가공된 호형절곡부가 작업대다리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맞닿으면서 호형절곡부의 하단부가 작업대다리에 일체로 용접부착되며, 상기 제1마감부재는 양측끝단에 각각 작업대다리와 동일한 곡률반경을 지닌 호형상으로 제1마감부재가 내측방향으로 절곡가공된 상태에서 작업대다리의 내측면에 수평으로 밀착되게 맞닿아 용접부착되는 수평용접단부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마감부재의 양측끝단에는 각각 수평용접단부의 끝단과 동일선상에 끝단이 위치되어 제2마감부재가 내측방향으로 절곡가공된 상태에서 작업대다리의 내측면에 수직으로 밀착되게 맞닿아 용접부착되는 수직용접단부가 돌출형성된 것에 본 발명의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하판구조물의 제조시 하판부재의 각 모서리부분에 작업대다리와 동일한 곡률반경을 지닌 호형상으로 수직하방으로 절곡가공되는 호형절곡부가 돌출형성되어 있어 절곡가공된 호형절곡부가 작업대다리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맞닿으면서 호형절곡부의 하단부가 작업대다리에 일체로 용접부착되며, 하판부재의 각 측판부재에 일체로 연장형성된 제1마감부재에는 양측끝단에 각각 작업대다리와 동일한 곡률반경을 지닌 호형상의 수평용접단부가 돌출형성되고 제2마감부재의 양측끝단에는 각각 수직용접단부가 돌출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마감부재와 제2마감부재가 절곡가공된 상태에서 수평용접단부는 작업대다리의 내측면에 수평으로 밀착되게 맞닿고 수직용접단부는 작업대다리의 내측면에 수직으로 밀착되게 맞닿아 일체로 용접부착됨으로써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부분을 용접부착하여 추가적인 마감처리가 필요없고 용접부위가 적어 단시간에 용접처리가 가능하며 부식이나 녹스는 부분이 적어 수명이 오래가고 숙련된 용접기술자가 아니어도 용이하게 용접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재 작업대의 전체 사시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재 작업대의 하판구조물이 전개된 상태의 평면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재 작업대의 하판구조물이 절곡가공된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재 작업대의 하판구조물이 작업대다리에 용접부착된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재 작업대의 측면판구조물이 전개된 상태의 평면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재 작업대의 측면판구조물이 절곡가공된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재 작업대의 측면판구조물이 작업대다리 사이에 용접부착된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재 작업대의 측면판구조물이 작업대다리 사이에 용접부착된 상태의 단면개략도
도 9는 종래 금속재 작업대의 전체 사시개략도
도 10은 종래 금속재 작업대에서 하판구조물과 측면판구조물이 전개된 상태의 평면개략도
도 11은 종래 금속재 작업대의 측면판구조물이 작업대다리 사이에 용접부착된 상태의 단면개략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성을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금속재 작업대(1)는 도 1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주방용 세정대, 조리대, 건조대, 가스렌지대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로 작업대(1)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판구조물(2)과, 상기 상판구조물(2)의 하부 전후좌우 모서리부분에 각각 용접부착되는 원통형의 작업대다리(3)와, 상기 상판구조물(2)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수평으로 위치되면서 각 모서리부분이 작업대다리(3)에 용접부착되는 하판구조물(4)과,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작업대다리(3) 사이에 용접부착되는 복수개의 측면판구조물(1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판구조물(2)은 도 1, 4,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판형상의 금속판을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 및 절곡가공하여 제작되며 수평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하면부 전후좌우 각 모서리부분에는 각각 수직하방으로 통상적인 원통형의 작업대다리(3)가 일체로 용접부착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상판구조물(2)의 상부에는 가스렌지나 각종 조리도구 등이 올려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하판구조물(4)은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판형상의 금속판을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 및 절곡가공하여 제작하되, 도 2에 도시된 평면도에서와 같이 전개된 상태에서 사각판형상으로 된 하판부재(5)가 구비되고 상기 하판부재(5)의 전후좌우에는 각각 측판부재(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 측판부재(6)는 작업대다리(3) 사이의 간격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어 내측방향으로 90°각도로 절곡가공되어 하판부재(5)의 전후좌우에 각각 측판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각 측판부재(6)의 외측면에는 제1마감부재(7) 및 제2마감부재(8)가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있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마감부재(7)와 제2마감부재(8)가 내측방향으로 90°각도로 차례로 절곡가공되어 각 측판의 하부를 마감처리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판부재(5)는 각 모서리부분에 작업대다리(3)와 동일한 곡률반경을 지닌 호(弧)형상으로 수직하방으로 절곡가공되는 호형절곡부(9)가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어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하방으로 절곡가공된 호형절곡부(9)가 작업대다리(3)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맞닿으면서 호형절곡부(9)의 하단부가 작업대다리(3)에 일체로 용접부착되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부분이 용접부착되면서 추가적인 마감처리가 필요없고 상기 호형절곡부(9)가 작업대다리(3)와 동일한 곡률반경을 지녀 밀착되게 맞닿은 상태로 용접되어 견고하게 부착되며 숙련된 용접기술자가 아니어도 용이하게 용접부착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마감부재(7)는 양측끝단에 각각 작업대다리(3)와 동일한 곡률반경을 지닌 호(弧)형상으로 제1마감부재(7)가 내측방향으로 절곡가공된 상태에서 작업대다리(3)의 내측면에 수평으로 밀착되게 맞닿는 수평용접단부(10)가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마감부재(8)의 양측끝단에는 각각 수평용접단부(10)의 끝단과 동일선상에 끝단이 위치되어 제2마감부재(8)가 내측방향으로 절곡가공된 상태에서 작업대다리(3)의 내측면에 수직으로 밀착되게 맞닿는 수직용접단부(11)가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용접단부(10)와 수직용접단부(11)의 끝단이 작업대다리(3)의 내측면에 맞닿아 서로 맞닿는 부분이 일체로 견고하게 용접부착되면서 외부로 잘 드러나지 않는 부분이 용접부착되어 추가적인 마감처리가 필요없고 용접부위가 적어 단시간에 용접처리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측면판구조물(12)은 도 1 및 5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좌우에 위치된 작업대다리(3) 사이에 복수개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용접부착되면서 작업대다리(3)를 지지하는 부분으로, 사각판 형상의 금속판을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 및 절곡가공하여 제작하되, 도 5에 도시된 평면도에서와 같이 전개된 상태에서 좌우로 긴 장방형의 사각판형상으로 된 측면판부재(13)가 구비되고 상기 측면판부재(13)는 작업대다리(3) 사이의 간격에 부합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판부재(13)의 양측끝단이 작업대다리(3)의 양측면 가운데부분에 맞닿으면서 작업대다리(3)의 외측면 수평연장선 보다 일정간격 내측으로 들어간 상태로 설치되어 측면판부재(13)의 양측끝단이 작업대다리(3)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상기 측면판부재(13)의 양측끝단에 종래의 방법에 따른 접철마감부(21')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져 작업공정이 간단해지고 제작시간이 단축된다.
또한, 상기 측면판부재(13)의 후방에는 제1상부마감부재(14) 및 제2상부마감부재(15)가 차례로 연장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면판부재(13)의 전방에는 제1하부마감부재(16) 및 제2하부마감부재(17)가 차례로 연장형성되어 있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상부마감부재(14) 및 제2상부마감부재(15)와 제1하부마감부재(16) 및 제2하부마감부재(17)가 각각 내측방향으로 90°각도로 차례로 절곡가공되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는 측면판부재(13)의 상,하부를 마감처리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상부마감부재(14)와 제1하부마감부재(16)는 양측끝단에 각각 작업대다리(3)와 동일한 곡률반경을 지닌 호(弧)형상으로 제1상부마감부재(14)와 제1하부마감부재(16)가 내측방향으로 절곡가공된 상태에서 작업대다리(3)의 내측면에 수평으로 밀착되게 맞닿는 측면판수평용접단부(18a)(18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상부마감부재(15)와 제2하부마감부재(17)의 양측끝단은 각각 측면판수평용접단부(18a)(18b)의 끝단과 동일선상에 끝단이 위치되면서 제2상부마감부재(15)와 제2하부마감부재(17)가 내측방향으로 절곡가공된 상태에서 끝단이 작업대다리(3)의 내측면에 수직으로 밀착되게 맞닿는 측면판수직용접단부(19a)(19b)가 형성되어 있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판수평용접단부(18a)(18b)와 측면판수직용접단부(19a)(19b)의 끝부분이 작업대다리(3)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맞닿아 서로 맞닿는 부분이 일체로 용접부착되면서 외부로 잘 드러나지 않는 측면판구조물(12)의 양측끝부분 내측 상,하부가 작업대다리(3)에 각각 일체로 견고하게 용접부착되어 추가적인 마감처리가 필요없고 용접부위가 적어 단시간에 용접처리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재 작업대(1)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사각판형상의 금속판을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 및 절곡가공하여 통상의 상판구조물(2)을 제작하고 상기 상판구조물(2)의 하면부 전후좌우 각 모서리부분에 수직하방으로 통상적인 원통형의 작업대다리(3)를 일체로 용접부착하며, 상기 상판구조물(2)의 하부에는 상하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하판구조물(4)을 위치시키고 상기 하판구조물(4)의 각 모서리부분을 작업대다리(3)에 용접부착하되, 상기 하판구조물(4)은 도 2에 도시된 평면도에서와 같이 사각판 형상의 금속판을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가공하여 사각판형상의 하판부재(5)의 전후좌우에 각각 측판부재(6)가 일체로 전개된 상태로 형성되도록 한 다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측판부재(6)를 내측방향으로 90°각도로 절곡가공하여 하판부재(5)의 전후좌우에 각각 측판을 형성하도록 하며, 상기 각 측판부재(6)의 외측면에 일체로 연장형성된 제1마감부재(7) 및 제2마감부재(8)를 내측방향으로 90°각도로 차례로 절곡가공하여 각 측판의 하부를 마감처리한다.
이 때, 상기 하판부재(5)의 각 모서리부분에는 작업대다리(3)와 동일한 곡률반경을 지닌 호(弧)형상으로 수직하방으로 절곡가공되는 호형절곡부(9)를 돌출형성하여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하방으로 절곡가공된 호형절곡부(9)를 작업대다리(3)의 내측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호형절곡부(9)의 하단부를 작업대다리(3)에 일체로 용접부착하며, 또한 상기 제1마감부재(7)의 양측끝단에는 각각 작업대다리(3)와 동일한 곡률반경을 지닌 호(弧)형상으로 제1마감부재(7)가 내측방향으로 절곡가공된 상태에서 작업대다리(3)의 내측면에 수평으로 밀착되게 맞닿는 수평용접단부(10)를 일체로 돌출형성하고 상기 제2마감부재(8)의 양측끝단에는 각각 수평용접단부(10)의 끝단과 동일선상에 끝단이 위치되어 제2마감부재(8)가 내측방향으로 절곡가공된 상태에서 작업대다리(3)의 내측면에 수직으로 밀착되게 맞닿는 수직용접단부(11)를 일체로 돌출형성하여 도 1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용접단부(10)와 수직용접단부(11)의 끝단을 작업대다리(3)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맞닿도록 하고 서로 맞닿는 부분을 용접처리함으로써 외부로 잘 드러나지 않는 부분이 용접부착되어 추가적인 마감처리가 필요없고 용접부위가 적어 단시간에 용접처리가 가능하며 숙련된 용접기술자가 아니어도 용이하게 용접부착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금속재 작업대(1)에서 전후좌우에 위치된 작업대다리(3) 사이에는 복수개의 측면판구조물(12)을 용접부착하여 작업대다리(3)가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되, 각 측면판구조물(12)은 사각판 형상의 금속판을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가공하여 도 5에 도시된 평면도에서와 같이 전개된 상태에서 좌우로 긴 장방형의 사각판형상으로 된 측면판부재(13)의 양측끝단이 작업대다리(3)의 양측면 가운데부분에 맞닿도록 하면서 측면판부재(13)의 전,후방에는 각각 제1상,하부마감부재(14)(16) 및 제2상,하부마감부재(15)(17)가 전개된 상태로 형성되도록 한 다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상부마감부재(14) 및 제2상부마감부재(15)와 제1하부마감부재(16) 및 제2하부마감부재(17)를 내측방향으로 90°각도로 차례로 절곡가공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는 측면판부재(13)의 상,하부를 마감처리한다.
이 때, 상기 제1상,하부마감부재(14)(16)의 양측끝단에는 각각 작업대다리(3)와 동일한 곡률반경을 지닌 호(弧)형상으로 제1상,하부마감부재(14)(16)가 내측방향으로 절곡가공된 상태에서 작업대다리(3)의 내측면에 수평으로 밀착되게 맞닿는 측면판수평용접단부(18a)(18b)를 형성하고 상기 제2상,하부마감부재(15)(17)의 양측끝단에는 각각 측면판수평용접단부(18a)(18b)의 끝단과 동일선상에 끝단이 위치되며 제2상,하부마감부재(15)(17)가 내측방향으로 절곡가공된 상태에서 끝단이 작업대다리(3)의 내측면에 수직으로 밀착되게 맞닿는 측면판수직용접단부(19a)(19b)를 형성하며,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판부재(13)의 양측끝단은 작업대다리(3)의 양측면 가운데부분에 맞닿으면서 작업대다리(3)의 외측면 수평연장선 보다 일정간격 내측으로 들어간 상태로 설치하여 측면판부재(13)의 양측끝단이 작업대다리(3)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측면판수평용접단부(18a)(18b)와 측면판수직용접단부(19a)(19b)의 끝부분은 작업대다리(3)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맞닿도록 하고 서로 맞닿는 부분을 일체로 용접처리함으로써 외부로 잘 드러나지 않는 측면판구조물(12)의 양측끝부분 내측 상,하부가 작업대다리(3)에 각각 일체로 견고하게 용접부착되어 추가적인 마감처리가 필요없고 용접부위가 적어 단시간에 용접처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1, 1'. 금속재 작업대 2, 2'. 상판구조물
3, 3'. 작업대다리 4, 4'. 하판구조물
5, 5'. 하판부재 6, 6'. 측판부재
7, 7'. 제1마감부재 8, 8'. 제2마감부재
9. 호형절곡부 10. 수평용접단부
11. 수직용접단부 12, 12'. 측면판구조물
13, 13'. 측면판부재 14, 14', 제1상부마감부재
15, 15'. 제2상부마감부재 16, 16'. 제1하부마감부재
17, 17'. 제2하부마감부재 18a, 18b. 측면판수평용접단부
19a, 19b. 측면판수직용접단부 20'. 라운드부
21'. 접철마감부

Claims (5)

  1.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로 위치되는 상판구조물(2)과, 상기 상판구조물(2)의 하부 모서리부분에 각각 용접부착되는 원통형의 작업대다리(3)와, 상기 상판구조물(2)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수평으로 위치되면서 각 모서리부분이 작업대다리(3)에 용접부착되는 하판구조물(4)로 구성되며, 상기 하판구조물(4)은 사각판형상으로 된 하판부재(5)의 전후좌우에 각각 측판부재(6)가 일체로 전개되어 있고 각 측판부재(6)의 외측면에는 제1마감부재(7) 및 제2마감부재(8)가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있어 각 측판부재(6)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측판을 형성하면서 제1마감부재(7)와 제2마감부재(8)가 차례로 내측으로 절곡되어 측판의 하부를 마감처리하되, 상기 하판부재(5)는 각 모서리부분에 작업대다리(3)와 동일한 곡률반경을 지닌 호형상으로 수직하방으로 절곡가공되는 호형절곡부(9)가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어 절곡가공된 호형절곡부(9)가 작업대다리(3)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맞닿으면서 호형절곡부(9)의 하단부가 작업대다리(3)에 일체로 용접부착되며, 상기 제1마감부재(7)는 양측끝단에 각각 작업대다리(3)와 동일한 곡률반경을 지닌 호형상으로 제1마감부재(7)가 내측방향으로 절곡가공된 상태에서 작업대다리(3)의 내측면에 수평으로 밀착되게 맞닿아 용접부착되는 수평용접단부(10)가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 작업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마감부재(8)는 양측끝단에 각각 수평용접단부(10)의 끝단과 동일선상에 끝단이 위치되어 제2마감부재(8)가 내측방향으로 절곡가공된 상태에서 작업대다리(3)의 내측면에 수직으로 밀착되게 맞닿아 용접부착되는 수직용접단부(11)가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 작업대.
  3.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로 위치되는 상판구조물(2)과, 상기 상판구조물(2)의 하부 모서리부분에 각각 용접부착되는 원통형의 작업대다리(3)와, 상기 상판구조물(2)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수평으로 위치되면서 각 모서리부분이 작업대다리(3)에 용접부착되는 하판구조물(4)과, 전후좌우에 위치된 작업대다리(3) 사이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용접부착되는 복수개의 측면판구조물(12)로 구성되되, 상기 측면판구조물(12)은 전개된 상태에서 좌우로 긴 장방형의 사각판형상으로 된 측면판부재(13)가 구비되고 상기 측면판부재(13)는 작업대다리(3) 사이의 간격에 부합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측면판부재(13)의 양측끝단이 작업대다리(3)의 양측면 가운데부분에 맞닿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판부재(13)의 후방에는 제1상부마감부재(14) 및 제2상부마감부재(15)가 차례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측면판부재(13)의 전방에는 제1하부마감부재(16) 및 제2하부마감부재(17)가 차례로 연장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상부마감부재(14) 및 제2상부마감부재(15)와 제1하부마감부재(16) 및 제2하부마감부재(17)가 각각 내측방향으로 차례로 절곡가공되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는 측면판부재(13)의 상,하부를 마감처리하도록 되어 있되, 상기 제1상부마감부재(14)와 제1하부마감부재(16)는 양측끝단에 각각 작업대다리(3)와 동일한 곡률반경을 지닌 호형상으로 제1상부마감부재(14)와 제1하부마감부재(16)가 내측방향으로 절곡가공된 상태에서 작업대다리(3)의 내측면에 수평으로 밀착되게 맞닿아 용접부착되는 측면판수평용접단부(18a)(18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 작업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상부마감부재(15)와 제2하부마감부재(17)는 양측끝단에 각각 측면판수평용접단부(18a)(18b)의 끝단과 동일선상에 끝단이 위치되며 제2상부마감부재(15)와 제2하부마감부재(17)가 내측방향으로 절곡가공된 상태에서 끝단이 작업대다리(3)의 내측면에 수직으로 밀착되게 맞닿아 용접부착되는 측면판수직용접단부(19a)(19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 작업대.
  5. 사각판형상의 금속판을 절단 및 절곡가공하여 상판구조물(2)을 제작하고 상판구조물(2)의 하면부 전후좌우 각 모서리부분에 수직하방으로 원통형의 작업대다리(3)를 용접부착하며 상판구조물(2)의 하부에는 상하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하판구조물(4)을 위치시키고 하판구조물(4)의 각 모서리부분을 작업대다리(3)에 용접부착하는데, 상기 하판구조물(4)은 금속판을 절단가공하여 사각판형상의 하판부재(5)의 전후좌우에 각각 측판부재(6)가 전개된 상태로 형성되도록 한 다음 각 측판부재(6)를 내측방향으로 90°각도로 절곡가공하여 하판부재(5)의 전후좌우에 각각 측판을 형성하며 각 측판부재(6)의 외측면에 일체로 연장형성된 제1마감부재(7) 및 제2마감부재(8)를 내측방향으로 90°각도로 차례로 절곡가공하여 각 측판의 하부를 마감처리하되, 상기 하판부재(5)의 각 모서리부분에는 작업대다리(3)와 동일한 곡률반경을 지닌 호형상으로 수직하방으로 절곡가공되는 호형절곡부(9)를 돌출형성하여 절곡가공된 호형절곡부(9)를 작업대다리(3)의 내측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호형절곡부(9)의 하단부를 작업대다리(3)에 용접부착하며, 상기 제1마감부재(7)의 양측끝단에는 각각 작업대다리(3)와 동일한 곡률반경을 지닌 호형상으로 제1마감부재(7)가 내측방향으로 절곡가공된 상태에서 작업대다리(3)의 내측면에 수평으로 맞닿는 수평용접단부(10)를 돌출형성하고 상기 제2마감부재(8)의 양측끝단에는 각각 수평용접단부(10)의 끝단과 동일선상에 끝단이 위치되어 제2마감부재(8)가 내측방향으로 절곡가공된 상태에서 작업대다리(3)의 내측면에 수직으로 맞닿는 수직용접단부(11)를 돌출형성하여 수평용접단부(10)와 수직용접단부(11)의 끝단이 작업대다리(3)의 내측면에 맞닿아 용접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 작업대의 제조방법.
KR20120095534A 2012-08-30 2012-08-30 금속재 작업대 및 그 제조방법 KR101512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95534A KR101512006B1 (ko) 2012-08-30 2012-08-30 금속재 작업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95534A KR101512006B1 (ko) 2012-08-30 2012-08-30 금속재 작업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688A true KR20140028688A (ko) 2014-03-10
KR101512006B1 KR101512006B1 (ko) 2015-04-14

Family

ID=50642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95534A KR101512006B1 (ko) 2012-08-30 2012-08-30 금속재 작업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200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8481B1 (ko) * 2015-06-19 2016-08-16 오일성 금속제 상판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테이블
KR20180025141A (ko) * 2017-05-29 2018-03-08 박중식 이동식 매대 및 그의 제작 방법
KR102174680B1 (ko) * 2020-08-13 2020-11-05 오일성 금속 수납선반의 금속다리에 가접되는 금속받침대 및 금속받침대의 제조방법
KR102486175B1 (ko) * 2022-07-28 2023-01-10 (주)쿡앤시스템 제조가 용이한 싱크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8291B1 (ko) 2015-09-30 2017-11-15 (주)성원산업 조립식 세정대
KR102433375B1 (ko) * 2021-10-06 2022-08-16 박재민 벽걸이형 도어 수납장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0651B2 (ja) * 1995-08-29 1998-12-24 コクヨ株式会社 家具の天板
KR200327293Y1 (ko) 2003-06-20 2003-09-19 서성창 금속제 작업대
KR20070021681A (ko) * 2005-08-19 2007-02-23 김영준 조립식 다단 조리대
JP5605806B2 (ja) 2010-07-30 2014-10-15 河淳株式会社 組立棚及び連結組立棚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8481B1 (ko) * 2015-06-19 2016-08-16 오일성 금속제 상판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테이블
KR20180025141A (ko) * 2017-05-29 2018-03-08 박중식 이동식 매대 및 그의 제작 방법
KR101867229B1 (ko) * 2017-05-29 2018-06-12 박중식 이동식 매대 및 그의 제작 방법
KR102174680B1 (ko) * 2020-08-13 2020-11-05 오일성 금속 수납선반의 금속다리에 가접되는 금속받침대 및 금속받침대의 제조방법
KR102486175B1 (ko) * 2022-07-28 2023-01-10 (주)쿡앤시스템 제조가 용이한 싱크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2006B1 (ko) 2015-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28688A (ko) 금속재 작업대 및 그 제조방법
TW200940203A (en) High-strength three-dimensional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0417372Y1 (ko) 금속재 작업대의 상판
ITVA20110038A1 (it) Sistema economico e versatile per fissare un piano di cottura in un piano di lavoro.
JP5123439B2 (ja) グリル
KR101703655B1 (ko) 휴대용 가스렌지의 바디
JP6402298B1 (ja) ガスレンジ用補助五徳
KR101348225B1 (ko) 가구용 모서리 연결구
KR101895584B1 (ko) 싱크대의 상판
KR200327293Y1 (ko) 금속제 작업대
KR200463051Y1 (ko) 조립식 가스버너설치대
US2337660A (en) Metal furniture
KR200384338Y1 (ko) 주방용 조리대
CN212805771U (zh) 应用于燃气灶具烤箱一体机的锅架
KR20070021681A (ko) 조립식 다단 조리대
CN211408724U (zh) 一种嵌入互扣式组装结构
CN205000156U (zh) 一种晾晒架
JP3016765U (ja) ステンレス製段差付きキッチン天板
RU2003105166A (ru) Набор металлических элементов для создания металлических мебель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CN211511410U (zh) 烹饪器具
KR200310211Y1 (ko) 이음부가 용접된 싱크대
US1584118A (en) Cooking top or burner frame for gas ranges or the like
CN208822465U (zh) 烹饪腔体和蒸汽烹饪装置
KR20090001463U (ko) 식탁을 갖춘 주방용 작업대
KR20090126457A (ko) 조리 공간이 나뉘어진 냄비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523

Effective date: 2014120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