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6175B1 - 제조가 용이한 싱크대 - Google Patents

제조가 용이한 싱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6175B1
KR102486175B1 KR1020220093717A KR20220093717A KR102486175B1 KR 102486175 B1 KR102486175 B1 KR 102486175B1 KR 1020220093717 A KR1020220093717 A KR 1020220093717A KR 20220093717 A KR20220093717 A KR 20220093717A KR 102486175 B1 KR102486175 B1 KR 102486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binding
coupling
bar
s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3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호
Original Assignee
(주)쿡앤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쿡앤시스템 filed Critical (주)쿡앤시스템
Priority to KR1020220093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61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06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for incorporating sinks, with or without draining boards, splash-bac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3/00Kitchen or dish-washing tables

Landscapes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가 용이한 싱크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싱크볼을 포함하는 상부바디부와 복수의 다리를 포함하는 하부바디부 간의 결합이 쉽게 이루어지면서 싱크대에 대한 제조가 빠르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조가 용이한 싱크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제조가 용이한 싱크대{SINK EASY TO MANUFACTURE}
본 발명은 제조가 용이한 싱크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싱크볼을 포함하는 상부바디부와 복수의 다리를 포함하는 하부바디부 간의 결합이 쉽게 이루어지면서 싱크대에 대한 제조가 빠르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조가 용이한 싱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는 일반 가정이나 식당 등의 주방에 설치되어 그릇 등을 포함하는 식기를 세척하거나 과일이나 채소 등을 세척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특히, 업소에는 일반 가정용 싱크대와 달리 좌우 폭이 상대적으로 더 큰 대형 싱크대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싱크대는 물을 저수하여 식기나 채소 등을 씻을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사각통 형상의 싱크볼을 포함하는 상부바디부와, 복수의 다리를 포함하면서 설치대상면으로부터 상부바디를 지지하는 하부바디부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싱크대는 상부바디부의 하부에 하부바디부의 상부를 서로 맞댄 상태에서 모서리 부분을 용접함으로써 제조된다.
그러나, 종래의 싱크대는 상부바디부와 하부바디부를 맞추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용접시, 2인 이상의 작업자가 상,하부바디부를 지지한 상태에 용접작업을 진행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싱크대는 용접이 쉽지 않은 것은 물론, 인건비 상승으로 인해 생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491792호(2020.06.04.) '회전 수납부가 설치된 싱크대'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싱크볼을 포함하는 상부바디부와 복수의 다리를 포함하는 하부바디부 간의 결합이 쉽게 이루어지면서 싱크대에 대한 제조가 빠르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조가 용이한 싱크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하부가 개방되는 복수의 다리(110)와, 복수의 다리(110)의 하부가 고정되는 지지판(120)과, 이웃하는 두 다리(110)의 상부 외측을 연결하면서 사각링 형태의 측벽(A)을 이루는 복수의 연결판(130)을 포함하는 하부바디부(100); 및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중공(211)이 형성되는 프레임(210)과, 중공(211)으로 고정되는 싱크볼(220)을 포함하면서 측벽(A)의 상부로 결합되는 상부바디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가 용이한 싱크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부바디부(100)는 다리(110)를 지지판(120)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수단(140); 및 연결판(130)을 다리(110)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결합수단(150)을 더 포함하며, 지지판(120)은 모서리부에 함몰홈(121)이 형성되고, 고정수단(140)은 다리(110)의 하부 양측을 관통하는 결합공(141); 일단부가 함몰홈(121)을 이루는 내면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결합공(141)을 통과하는 고정바(142); 고정바(142)의 타단부로 나사결합되면서 다리(110)를 지지판(120)에 고정하는 고정부재(143); 및 함몰홈(121)을 이루는 내면에 마련되는 밀착부재(144)를 포함하며, 결합수단(150)은 일단부가 연결판(130)의 양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바(151); 다리(110)의 상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이웃하는 두 연결판(130)의 결합바(151)가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홀(152); 결합바(151)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다리(110)의 내면에 접하면서 결합홀(152)로부터 결합바(151)의 인출이 방지되도록 하는 걸림돌기(153); 및 다리(110)의 상부로 나사결합되는 결합부재(1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부바디부(200)는 프레임(210)을 다리(110)에 결속하는 결속수단(230)을 포함하며, 결속수단(230)은 상부가 다리(110)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프레임(210)에 고정되고 하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단턱(231a)이 형성되는 복수의 결속바(231); 결속바(231)의 외측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단턱(231a)으로 안착되는 상부링(232a)과, 상부링(232a)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면링(232b)을 포함하면서 다리(110)의 상부로 나사결합되는 결속부재(232); 결속바(231)의 하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다리(110)의 상부 내측으로 인입되는 가이드돌기(233); 및 결속부재(232)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결속바(231)의 외측으로 결합되어 결속부재(232)를 가압하면서 외력에 의해 결속부재(232)가 풀림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부재(2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234)는 원통 형태를 이루는 일측으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절개선(234a)이 형성되면서 결속부재(232)가 다리(110)의 상부로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결속바(231)의 외측으로 결합되며, 프레임(210)은 중공(211)이 형성되는 상판(212)과, 상판(212)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판(213)과, 측판(213)의 하부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214)를 포함하고, 측판(213)에는 프레임(210)의 외측에서 결속부재(232)에 대한 조임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개방구(213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싱크볼을 포함하는 상부바디부와 복수의 다리를 포함하는 하부바디부 간의 결합이 쉽게 이루어지면서 싱크대에 대한 제조가 빠르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가 용이한 싱크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가 용이한 싱크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가 용이한 싱크대에서 고정수단을 나타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가 용이한 싱크대에서 결합수단을 나타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결합수단에 의해 연결판이 다리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가 용이한 싱크대에서 결속수단을 나타낸 부분 단면 분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6에서 결속수단에 의해 하부바디부가 상부바디부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제조가 용이한 싱크대(이하 "싱크대"라 한다)는 복수의 다리(110)와, 복수의 다리(110)의 하부가 고정되는 지지판(120)과, 이웃하는 두 다리의 상부 외측을 연결하면서 사각링 형태의 측벽(A)을 이루는 복수의 연결판(130)을 포함하는 하부바디부(100) 및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중공(211)이 형성되는 프레임(210)과, 중공(211)으로 고정되는 싱크볼(220)을 포함하면서 측벽(A)의 상부로 결합되는 상부바디부(200)를 포함한다.
다리(11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설치대상면으로 안착되면서 설치대상면으로부터 하부바디부(100)와 함께 상부바디부(200)를 지지한다.
설치대상면은 실내 바닥면이나 실외 지면 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지지판(120)은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설치대상면의 상측에 위치되면서 복수의 다리(110)가 고정되며 수직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지지판(120)은 사각형을 이루는 네 모서리부에 다리(110)의 하부 일측이 각각 고정되면서 복수의 다리(110)가 수직으로 지지되며 설치대상면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복수의 다리(110)는 지지판(120)의 외측 둘레에 비치되면서 외력 등에 의해 이웃하는 다리(110) 간이 좁아지거나 벌어짐 없이 유지될 수 있다.
하부바디부(100)는 다리(110)를 지지판(120)에 고정하는 고정수단(140)을 더 포함한다.
고정수단(1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110)가 지지판(120)으로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다리(110)와 지지판(120) 간의 조립을 통한 싱크대에 대한 제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지지판(120)은 모서리부가 지지판(120)의 중앙부 방향으로 함몰되면서 다리(110)의 일측이 인입되는 함몰홈(121)이 형성된다.
고정수단(140)은 다리(110)의 하부 양측을 관통하는 결합공(141), 일단부가 함몰홈(121)을 이루는 내면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결합공(141)을 통과하는 고정바(142) 및 고정바(142)의 타단부로 나사결합되면서 다리(110)를 지지판(120)에 고정하는 고정부재(143)를 포함한다.
고정바(142)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고정부재(143)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고정바(142)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고정수단(140)은 함몰홈(121)을 이루는 내면에 마련되는 밀착부재(1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밀착부재(144)는 실리콘이나 고무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정부재(143)를 조임함에 따라 압착되면서 다리(110)가 함몰홈(121)으로 밀착되도록 한다.
밀착부재(144)는 다리(110)와 지지판(120) 간에 배치되면서 외력 등에 의한 싱크대의 흔들림시, 마찰 등이 방지되도록 하는 한편, 마찰 소음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연결판(130)은 복수로 이루어져 이웃하는 두 다리(110)의 상부 일측을 연결하면서 측벽(A)을 이루며 외력 등에 의해 이웃하는 다리(110)의 상부 간이 좁아지거나 벌어짐 없이 유지되도록 하는 한편, 싱크볼(22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연결판(130)은 양단부가 곡면 형태를 이루면서 다리(110)로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연결판(130)은 다리(110)와의 접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수 있다.
하부바디부(110)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판(130)을 다리(110)에 고정하는 결합수단(150)을 더 포함한다.
결합수단(150)은 연결판(130)이 다리(110)로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다리(110)와 연결판(130) 간의 조립을 통한 싱크대에 대한 제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다리(110)는 상,하부가 개방되는 관 형태를 이룬다.
결합수단(150)은 일단부가 연결판(130)의 양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바(151), 다리(110)의 상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이웃하는 두 연결판(130)의 결합바(151)가 상하방향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홀(152), 결합바(151)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다리(110)의 내면에 접하면서 결합홀(152)로부터 결합바(151)의 인출이 방지되도록 하는 걸림돌기(153) 및 다리(110)의 상부로 나사결합되는 결합부재(154)를 포함한다.
결합홀(152)은 다리(110)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되면서 이웃하는 두 연결판(130)이 다리(110)로 교차되며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결합바(151)는 연결판(130)의 양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결합홀(152)로 결합되면서 걸림돌기(153)가 다리(110)의 내면에 접하도록 한다.
걸림돌기(153)는 결합바(151)가 결합홀(152)로 인입시, 다리(110)의 내면에 접하면서 결합바(151)가 결합홀(152)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당겨지더라도 결합홀(152)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결합홀(152)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면서 결합바(151)가 결합홀(152)의 상부로부터 하방향으로의 인입을 통해 결합홀(152)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연결판(130)은 다리(110)의 상부로부터 하방향으로의 이동을 통해 다리(110)로 결합될 수 있다.
걸림돌기(153)는 결합바(151)의 타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걸림돌기(153)는 결합바(151)의 타단부가 절곡,벤딩되거나 권취, 접힘 등에 의해 형성되면서 결합바(151)와 일체를 이룰 수 있다.
연결판(130)은 걸림돌기(153)가 다리(110)의 내면에 접함에 따라 이웃하는 두 다리(110)를 연결하는 한편, 외력 등에 의해 다리(110)와 연결판(130)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리(110)는 상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결합부재(152)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다리(110)의 상부로 나사결합된다.
결합부재(154)는 조임 회전에 따라 연결판(130)으로 밀착되면서 연결판(130)이 상하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다리(110)로부터 결합바(151)의 이탈을 방지한다.
프레임(210)은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211)이 형성되는 상판(212), 상판(212)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판(213)을 포함한다.
프레임(210)은 판상으로부터 상,하면을 관통하는 중공(211)이 형성되며 상판(212)이 형성되고, 상판(212)의 가장자리가 절곡되어 측판(213)이 형성되면서 상판(212)과 측판(213)이 일체로 연결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측판(213)은 상판(212)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사각 링 형태를 이루며 내측으로 측벽(A)의 결합을 가이드한다.
싱크볼(220)은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세척공간이 형성되며 용접 등에 의해 중공(211)을 이루는 둘레로 고정될 수 있다.
싱크볼(220)은 바닥면에 배수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수위조절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싱크볼은 공지된 일반적인 형태를 이루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프레임(210)은 측판(213)의 하부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측판(213)의 하부가 날카롭지 않도록 마감하는 플랜지(2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214)는 측판(213)의 하부가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거나 벤딩되면서 형성될 수 있으며, 측판(213)의 하부가 매끄럽게 마감될 수 있도록 하여 신체 등의 접촉에 따른 부상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상부바디부(200)는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10)을 다리(110)에 결속하는 결속수단(230)을 더 포함한다.
결속수단(230)은 상부가 다리(110)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상판(212)에 고정되고 하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단턱(231a)이 형성되는 복수의 결속바(231), 결속바(231)의 외측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다리(110)의 상부로 나사결합되는 결속부재(232)를 포함한다.
결속바(231)는 다리(110)와 동일한 개수로 이루어져 각 다리(11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판(212)에 고정된다.
결속부재(232)는 결속바(231)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상부링(232a) 및 상부링(232a)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다리(110)의 상부로 나사결합되는 측면링(232b)을 포함한다.
단턱(231a)은 상부바(231)의 하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상부링(232a)이 안착 및 걸림되며 결속부재(232)가 결속바(23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결속바(231)는 측벽(A)의 상부가 측판(213)의 내측으로 인입됨에 따라 다리(110)의 상부와 이웃허거나 접할 수 있다.
결속수단(230)은 결속바(231)의 하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다리(110)의 상부로 인입되는 가이드돌기(2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돌기(233)는 측벽(A)의 상부가 측판(213)의 내측으로 인입됨에 따라 다리(110)의 상부 내측으로 인입되면서 상,하부바디부(200,100) 간의 결합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결속부재(232)는 가이드돌기(233)가 다리(110)의 상부 내측으로 인입된 상태에서 조임 회전에 의해 다리(110)로 나사결합되면서 결속바(231)를 다리(110)에 결속한다.
상,하부바디부(200,100)는 결속부재(232)가 다리(110)의 상부로 조임됨에 따라 서로 결속될 수 있다.
결속부재(232)는 측판(213)과 측벽(A) 사이 또는 측벽(A)과 싱크볼(220) 사이로 작업자의 손 등을 인입함으로써 회전될 수 있다.
또는, 측판(213)에는 프레임(210)의 외측에서 결속부재(232)에 대한 조임이 가능하도록 하는 개방구(213a)가 복수 형성될 수 있다.
개방구(213a)는 외부에서 결속부재(232)에 대한 확인이 가능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도구 등을 사용하여 결속부재(232)를 회전시킬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방구(213a)는 측판(213)에 개폐도어(미도시)가 설치되면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는 것은 물론, 개폐도어의 조작에 따라 개폐될 수 있다.
결속수단(230)은 결속부재(232)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결속바(231)의 외측으로 결합되면서 결속부재(232)를 다리(110)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2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234)는 결속부재(232)를 하방향으로 가압하여 결속부재(232)가 외력 등에 의해 풀림되는 것을 방지한다.
탄성부재(234)는 발포폼, 우레탄, 고무재질 등을 포함하는 완충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결속부재(232)가 다리(110)의 상부로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결속바(231)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탄성부재(234)는 원통 형태를 이루는 일측으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절개선(234a)이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234)는 절개선(234a)을 벌림으로써 양단부가 이격되며 결속바(231)의 외측으로 결합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가 용이한 싱크대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하부바디부 110 : 다리
120 : 지지판 130 : 연결판
140 : 고정수단 150 : 결합수단
200 : 상부바디부 210 : 프레임
220 : 싱크볼 230 : 결속수단

Claims (5)

  1. 상,하부가 개방되는 복수의 다리(110)와, 복수의 다리(110)의 하부가 고정되는 지지판(120)과, 이웃하는 두 다리(110)의 상부 외측을 연결하면서 사각링 형태의 측벽(A)을 이루는 복수의 연결판(130)을 포함하는 하부바디부(100); 및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중공(211)이 형성되는 프레임(210)과, 중공(211)으로 고정되는 싱크볼(220)을 포함하면서 측벽(A)의 상부로 결합되는 상부바디부(200)를 포함하고,
    하부바디부(100)는 다리(110)를 지지판(120)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수단(140); 및 연결판(130)을 다리(110)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결합수단(150)을 더 포함하며,
    지지판(120)은 모서리부에 함몰홈(121)이 형성되고,
    고정수단(140)은 다리(110)의 하부 양측을 관통하는 결합공(141); 일단부가 함몰홈(121)을 이루는 내면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결합공(141)을 통과하는 고정바(142); 고정바(142)의 타단부로 나사결합되면서 다리(110)를 지지판(120)에 고정하는 고정부재(143); 및 함몰홈(121)을 이루는 내면에 마련되는 밀착부재(144)를 포함하며,
    결합수단(150)은 일단부가 연결판(130)의 양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바(151); 다리(110)의 상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이웃하는 두 연결판(130)의 결합바(151)가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홀(152); 결합바(151)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다리(110)의 내면에 접하면서 결합홀(152)로부터 결합바(151)의 인출이 방지되도록 하는 걸림돌기(153); 및 다리(110)의 상부로 나사결합되는 결합부재(1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가 용이한 싱크대.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부바디부(200)는 프레임(210)을 다리(110)에 결속하는 결속수단(230)을 포함하며,
    결속수단(230)은
    상부가 다리(110)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프레임(210)에 고정되고 하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단턱(231a)이 형성되는 복수의 결속바(231);
    결속바(231)의 외측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단턱(231a)으로 안착되는 상부링(232a)과, 상부링(232a)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면링(232b)을 포함하면서 다리(110)의 상부로 나사결합되는 결속부재(232);
    결속바(231)의 하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다리(110)의 상부 내측으로 인입되는 가이드돌기(233); 및
    결속부재(232)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결속바(231)의 외측으로 결합되어 결속부재(232)를 가압하면서 외력에 의해 결속부재(232)가 풀림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부재(2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가 용이한 싱크대.
  4. 제 3항에 있어서,
    탄성부재(234)는 원통 형태를 이루는 일측으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절개선(234a)이 형성되면서 결속부재(232)가 다리(110)의 상부로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결속바(231)의 외측으로 결합되며,
    프레임(210)은
    중공(211)이 형성되는 상판(212)과, 상판(212)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판(213)과, 측판(213)의 하부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214)를 포함하고,
    측판(213)에는 프레임(210)의 외측에서 결속부재(232)에 대한 조임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개방구(213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가 용이한 싱크대.
  5. 삭제
KR1020220093717A 2022-07-28 2022-07-28 제조가 용이한 싱크대 KR102486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3717A KR102486175B1 (ko) 2022-07-28 2022-07-28 제조가 용이한 싱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3717A KR102486175B1 (ko) 2022-07-28 2022-07-28 제조가 용이한 싱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6175B1 true KR102486175B1 (ko) 2023-01-10

Family

ID=84893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3717A KR102486175B1 (ko) 2022-07-28 2022-07-28 제조가 용이한 싱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617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0237Y1 (ko) * 1991-05-31 1994-01-19 백승복 도어클로우저
JP3069860U (ja) * 1999-12-21 2000-07-04 株式会社明道エンジニアリング 組立式流し台
JP3076884U (ja) * 2000-10-10 2001-04-20 株式会社明道エンジニアリング 簡易流し台
KR100491792B1 (ko) 2002-02-28 2005-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선형 압축기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20140028688A (ko) * 2012-08-30 2014-03-10 서충규 금속재 작업대 및 그 제조방법
KR101747281B1 (ko) * 2015-01-19 2017-06-14 서충규 금속제 싱크대 및 그 제조방법
KR102196132B1 (ko) * 2018-11-27 2020-12-2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조립식 작업대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0237Y1 (ko) * 1991-05-31 1994-01-19 백승복 도어클로우저
JP3069860U (ja) * 1999-12-21 2000-07-04 株式会社明道エンジニアリング 組立式流し台
JP3076884U (ja) * 2000-10-10 2001-04-20 株式会社明道エンジニアリング 簡易流し台
KR100491792B1 (ko) 2002-02-28 2005-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선형 압축기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20140028688A (ko) * 2012-08-30 2014-03-10 서충규 금속재 작업대 및 그 제조방법
KR101747281B1 (ko) * 2015-01-19 2017-06-14 서충규 금속제 싱크대 및 그 제조방법
KR102196132B1 (ko) * 2018-11-27 2020-12-2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조립식 작업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8854B2 (en) Pivot lid waste basket
NZ543480A (en) Wash plate for an automatic clothes washer
JP4125703B2 (ja) 家電製品用の高さ調節装置およびこれを具備した家電製品
CA2638643C (en) Removable tub divider
KR102486175B1 (ko) 제조가 용이한 싱크대
KR200403163Y1 (ko) 싱크대용 배수유닛
KR200490006Y1 (ko) 식기건조대의 측면판과 행거부재 조립구조
DE19524255A1 (de) Stützeinrichtung für Zwischenböden im Innenraum eines Haushalt-Kühlschrankes
EP1859094A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KR101646316B1 (ko) 가스켓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JP5740571B2 (ja) 浴室構造
KR101088047B1 (ko) 싱크대 다리
KR20100053781A (ko) 싱크대용 배수 유닛
JP2511935Y2 (ja) 器具の脚装置
KR200320995Y1 (ko) 주방용 식기건조대
KR200402889Y1 (ko) 세탁기의 자동 높이조절레그
KR101211001B1 (ko) 세탁기의 자동 높이조절레그
US3404932A (en) Slideable drawer stop
KR102462835B1 (ko)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주방용기 뚜껑
JP7350614B2 (ja) 洗濯機設置用防水パンの嵩上げ用台セット及び洗濯機設置用防水パンの嵩上げ用台
KR20080082366A (ko) 장착이 용이한 도어록 구조
CN211735621U (zh) 排水塞连动结构
KR102663918B1 (ko) 프로파일용 연결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파티션
KR200321253Y1 (ko) 조립 선반
KR200366497Y1 (ko) 씽크대용 배수구에 구비되는 패킹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