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1001B1 - 세탁기의 자동 높이조절레그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자동 높이조절레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1001B1
KR101211001B1 KR1020050069989A KR20050069989A KR101211001B1 KR 101211001 B1 KR101211001 B1 KR 101211001B1 KR 1020050069989 A KR1020050069989 A KR 1020050069989A KR 20050069989 A KR20050069989 A KR 20050069989A KR 101211001 B1 KR101211001 B1 KR 101211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nut
washing machine
height adjustment
leg
out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9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5284A (ko
Inventor
김범준
권호철
임일혁
송학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9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1001B1/ko
Priority to DE102006035036A priority patent/DE102006035036B4/de
Priority to US11/494,761 priority patent/US7717380B2/en
Publication of KR20070015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5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1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1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25Supporting arrangements for the casing, e.g. rollers or le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01Arrangements for transporting, moving, or setting washing machines; Protective arrangements for use during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의 자동 높이조절레그에 관한 것으로서, 세탁기의 베이스를 관통하는 보스부가 하부에 하향 돌출된 실린더와, 상기 베이스를 관통한 보스부에 체결되는 고정 너트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피스톤과, 상기 보스부를 관통하여 상기 피스톤에 고정된 레그와, 상기 고정 너트의 임의 풀림이 방지되도록 상기 고정 너트의 외측면에 장착된 풀림방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의 다른 모서리에 설치된 수동 높이조절레그의 높이에 따라 상기 피스톤과 레그가 승강되면서 상기 드럼 세탁기의 높이와 수평도가 자동적으로 조절되고, 상기 풀림방지수단에 의해 고정 너트의 임의 풀림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드럼 세탁기, 베이스, 수동 높이조절레그, 자동 높이조절레그, 실린더, 피스톤, 레그, 고정 너트

Description

세탁기의 자동 높이조절레그 {Auto leg of washing machine}
도 1은 종래의 드럼 세탁기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럼 세탁기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 세탁기의 자동 높이조절레그가 도시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드럼 세탁기의 자동 높이조절레그가 도시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이 도시된 도,
도 6은 도 5의 B-B선에 따른 단면이 도시된 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높이조절레그의 고정너트와 풀림방지수단이 도시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높이조절레그의 실린더와 실린더 캡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9: 베이스 68: 베이스 브래킷
69: 관통홀 70: 자동 높이조절레그
72: 실린더 74: 고정 너트
76: 실린더 캡 78: 피스톤
80: 탄성부재 82: 마찰부재
84: 레그 86: 보스부
90: 회전방지부 92: 제 1 걸림돌기
94: 제 2 걸림돌기 100: 풀림방지수단
102: 관형부 104: 걸림부
106: 걸림턱 108: 삽입홈
110: 체결부 112: 지지부
120: 걸림돌기부 122: 제 1 돌기부
124: 제 2 돌기부 126: 제 1 돌기부의 돌기
128: 제 2 돌기부의 돌기 129: 스토퍼
본 발명은 세탁기를 지지함과 아울러 세탁기의 높이를 조절하는 레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세탁기의 높이가 자동적으로 조절되는 세탁기의 자동 높이조절레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의복, 침구 등(이하, ‘세탁물’이라 칭함)에 묻은 오염을 떼어 내도록 세탁, 헹굼, 탈수, 건조 등의 과정을 통해 세탁물을 세정하는 장 치이다.
도 1은 종래의 드럼 세탁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종래의 드럼 세탁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2)의 내측에 세탁수가 수용되는 터브(미도시)가 완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터브의 내부에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4)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캐비닛(2)의 전면에는 상기 드럼(4)의 내부에 세탁물이 투입 또는 인출되는 세탁물 출입구(6)가 형성된 캐비닛 커버(8)가 장착되고, 상기 캐비닛 커버(8)에는 세탁물 출입구(6)를 개폐시키는 도어(1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2)의 상면과 하면에는 탑 플레이트(12)와 베이스(14)가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14)의 네 모서리에는 상기 드럼 세탁기(1)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드럼 세탁기(1)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레그(20)가 설치된다.
상기 높이조절레그(20)는 상기 베이스(14)에 나사 체결되는 볼트부(22)와, 상기 볼트부(22)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드럼 세탁기(1)가 설치되는 바닥면에 밀착되는 받침부(24)로 구성되고, 상기 볼트부(22)와 받침부(24) 중 어느 하나에는 육각 너트 형상의 높이 조절부(26)가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드럼 세탁기(1)의 높이 조절 과정은 상기 높이 조절부(26)에 스패너와 같은 공구를 결합한 후 상기 높이 조절부(26)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높이 조절부(26)가 회전되면 상기 볼트부(22)와 받침부(24)가 함께 회전되므로, 상기 볼트부(22)가 베이스(14)에 삽입되거나 또는 베이스(14)로부터 빠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14)에 설치된 높이조절레그(20)의 높이가 낮아지거나 높아지면서 상기 드럼 세탁기(1)의 높이가 조절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드럼 세탁기의 높이조절레그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적으로 높이가 조절되므로, 상기 드럼 세탁기(1)의 높이 조절시 작업성이 저하되고, 상기 스패너와 같이 별도의 높이 조절용 공구가 이용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드럼 세탁기(1)의 설치시 상기 베이스(14)에 설치된 네 개의 높이조절레그(20) 높이를 각각 조절하여 상기 드럼 세탁기(1)의 수평도를 맞추게 되므로, 상기 드럼 세탁기(1)의 수평도를 맞추는 작업이 매우 불편하기 때문에 상기 드럼 세탁기(1)의 설시 시간도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드럼 세탁기의 높이와 수평도가 자동적으로 조절되고, 부품이 임의로 풀리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세탁기의 자동 높이조절레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자동 높이조절레그는 세탁기의 베이스를 관통하는 보스부가 하부에 하향 돌출된 실린더와, 상기 베이스를 관통한 보스부에 체결되는 고정 너트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피스톤과, 상기 보스부를 관통하여 상기 피스톤에 고정된 레그와, 상기 고정 너트의 임의 풀림이 방지되도록 상기 고정 너트의 외측면에 장착된 풀림방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풀림방지수단은 상기 고정 너트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관형부와, 상기 관형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 너트의 상면에 걸림되는 걸림부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관형부는 상기 고정 너트의 최대 외경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관형부의 외주면에는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복수개의 미끄럼 방지턱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고정 너트의 상면 가장자리에 걸림되도록 상기 관형부의 상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에 고정 너트가 통과될 수 있도록 상기 걸림턱에 형성된 복수개의 삽입홈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턱은 상기 관형부의 상부에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은 상기 고정 너트의 모서리부와 대응되도록 상기 걸림턱에 복수개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걸림턱은 상기 고정 너트의 최대 외경부와 최소 외경부 사이에 걸림되도록 상기 고정 너트의 최대 외경보다 작음과 동시에 상기 고정 너트의 최소 외경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 너트의 상면은 최소 외경부에서 최대 외경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최소 외경부의 상면보다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최소 외경부와 최대 외경부의 높이 차이보다 작은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은 상기 고정 너트의 모서리부보다 넓은 폭으로 상기 걸림턱이 제거된 구조로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럼 세탁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드럼 세탁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51)과, 상기 캐비닛(51)의 내측에 스프링과 댐퍼에 의해 완충 가능하게 설치된 터브(미도시)와, 상기 터브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복수개의 수공(52A)이 형성된 드럼(52)과, 상기 드럼(52)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52)의 회전시 세탁물이 중력에 의해 낙하될 수 있도록 세탁물을 퍼올리는 복수개의 리프터(53)와, 상기 터브의 후방부에 장착되어 상기 드럼(52)을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캐비닛(51)의 전면에는 중앙에 세탁물 출입구(54)가 형성된 캐비닛 커버(55)가 장착되고, 상기 캐비닛 커버(55)에는 상기 세탁물 출입구(54)를 개폐하는 도어(56)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캐비닛 커버(55)의 상측에는 드럼 세탁기(50)의 작동 상태가 표시됨과 아울러 드럼 세탁기(50)의 작동이 조작되는 컨트롤 패널(57)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51)의 상면에는 탑 플레이트(58)가 장착되고, 상기 캐비닛(51)의 하면에는 베이스(59)가 장착된다.
상기 베이스(59)의 네 모서리에는 상기 드럼 세탁기(50)의 하중을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드럼 세탁기(5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레그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높이조절레그는 상기 베이스(59)의 네 모서리 중 적어도 두 개의 모서리 이상에 설치되는 수동 높이조절레그(60)와, 상기 수동 높이조절레그(60)가 설치되지 않은 베이스(59)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자동 높이조절레그(70)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동 높이조절레그(60)는 상기 베이스(59)에 나사 체결되는 볼트부(62)와, 상기 볼트부(62)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드럼 세탁기(50)가 설치되는 바닥면에 밀착되는 받침부(64)로 구성된다.
상기 수동 높이조절레그(60)에는 스패너와 같은 공구에 의해 높이가 수동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볼트부(62)와 받침부(64) 중 어느 하나에 육각 너트 형상의 높이 조절부(66)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자동 높이조절레그(70)는 상기 드럼 세탁기(50)가 수평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수동 높이조절레그(60)의 높이에 따라 자동적으로 높이가 조절된다.
특히, 상기 수동 높이조절레그(60)와 자동 높이조절레그(70)는 상기 베이스(59)의 모서리에 직접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베이스(59)의 모서리에 별도로 장착된 베이스 브래킷(68)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동 높이조절레그(60)와 자동 높이조절레그 (70)가 상기 베이스 브래킷(68)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베이스 브래킷(68)은 상기 수동 높이조절레그(60)와 자동 높이조절레그(70)가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드럼 세탁기의 자동 높이조절레그가 도시된 사시도와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이 도시된 도이며, 도 6은 도 5의 B-B선에 따른 단면이 도시된 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높이조절레그의 고정너트와 풀림방지수단이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높이조절레그의 실린더와 실린더 캡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드럼 세탁기의 자동 높이조절레그는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브래킷(68)의 상면에 수직하게 안착되고 상기 베이스 브래킷(68)을 관통하는 보스부(86)가 하단부에 하향 돌출된 실린더(72)와, 상기 실린더(72)가 베이스 브래킷(68)에 고정되도록 상기 보스부(86)의 외주면에 체결 고정되는 고정 너트(74)와, 상기 실린더(72)의 개구된 상단부에 나사체결 구조로 장착된 실린더 캡(76)과, 상기 실린더(72)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피스톤(78)과, 상기 피스톤(78)이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상기 피스톤(78)과 실린더 캡(76) 사이에 배치된 탄성부재(80)와, 상기 실린더(72)와 마찰 접촉되도록 상기 피스톤(78)의 외측면에 장착된 마찰부재(82)와, 상기 실린더(72)의 보스부(86)에 상단부가 이동 가능하도록 관통되게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피스톤(78)에 상단부가 고정된 레그(8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72)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통 형상의 사출물로써, 상기 피스톤(78)과 탄성부재(80)가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면이 개구되고, 상기 베이스 브래킷(68)의 상면에 올려짐과 아울러 상기 레그(84)의 상단부가 관통되게 끼워지도록 하면의 중앙에는 상기 보스부(86)가 내부와 연통되게 하향 돌출된다.
상기 베이스 브래킷(68)에는 상기 보스부(86)가 관통되는 관통홀(69)이 형성되고, 상기 보스부(86)의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 너트(74)가 체결되도록 수나사가 형성된다.
상기 피스톤(78)은 상기 실린더(72)의 내부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원통 형상의 사출물로써, 상기 마찰부재(82)가 장착 고정되도록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장착홈(78A)이 형성되고, 상기 레그(84)의 상단부가 나사체결 구조로 고정되도록 하면의 중앙에는 암나사가 형성된 체결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레그(84)는 상기 보스부(86)에 관통되게 삽입되어 상기 피스톤(78)의 체결홈에 상단부가 체결되는 볼트부(84A)와, 상기 볼트부(84A)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드럼 세탁기(50)가 설치되는 바닥면에 밀착되는 받침부(84B)로 구성된다.
상기 볼트부(84A)는 상기 피스톤(78)의 체결홈에 나사체결 구조로 연결되도록 상단부의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보스부(86)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상단부 이외의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지 않는다.
특히, 상기 볼트부(84A)가 체결홈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피스톤(78)이 볼트부(84A)와 함께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피스톤(78)과 실린더(72)에는 회전방지부(90)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방지부(90)는 상기 피스톤(78)의 하면에 하향 돌출된 제 1 걸림돌기(92)와, 상기 제 1 걸림돌기(92)가 원주방향으로 걸림되도록 상기 실린더(72) 내부의 저면에 상향 돌출된 제 2 걸림돌기(94)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걸림돌기(92)는 상기 피스톤(78)의 하면에 상기 체결홈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걸림돌기(94)는 상기 실린더(72) 내부의 저면에 상기 보스부(86)를 중심으로 상기 제 1 걸림돌기(92)와 대응되게 방사형으로 복수개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78)의 제 1 걸림돌기(92)가 상기 실린더(72)의 제 2 걸림돌기(94)에 걸림되므로, 상기 레그(84)의 볼트부(84A)가 상기 피스톤(78)의 체결홈에 체결될 때 상기 피스톤(78)이 볼트부(84A)와 함께 회전되지 않아 상기 레그(84)와 피스톤(78)의 조립 작업이 용이하게 실시된다.
상기 마찰부재(82)는 상기 실린더(72)와 피스톤(78)의 급격한 상대 이동을 방지하여 상기 자동 높이조절레그(70)에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시키는 부재로써, 상기 피스톤(78)의 장착홈(78A)에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실린더(72)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마찰부재(82)는 펠트(Felt)와 스펀지(sponge)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80)는 상기 피스톤(78)이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80)으로써, 상기 피스톤(78)의 상면에 하단부가 배치되고, 상기 실린더 캡(76)의 저면에 상단부가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실린더 캡(76)의 저면과 피스톤(78)의 상면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80)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상기 코일 스프링의 중공된 내부로 삽입되는 상측 삽입부(112A)와 하측 삽입부(78B)가 일정 높이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자동 높이조절레그(70)에 드럼 세탁기(50)의 하중이 전달되지 않으면, 상기 탄성부재(80)에 의해 피스톤(78)이 실린더(72)의 저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 1 걸림돌기(92)와 제 2 걸림돌기(94)가 걸림된 상태가 된다.
상기 고정 너트(74)는 상기 베이스 브래킷(68)에 실린더(72)가 고정되도록 상기 보스부(86)의 외주면에 체결된다.
즉, 상기 고정 너트(74)가 상기 보스부(86)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 브래킷(68)의 상면과 하면에 상기 실린더(72)의 하면과 고정 너트(74)의 상면이 압착되면서 상기 실린더(72)가 베이스(59)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고정 너트(74)가 소비자 또는 미숙련된 정비업자에 의해 임의로 조작되면, 상기 자동 높이조절레그(70)가 드럼 세탁기(50)의 진동 및 충격 등에 의해 유동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자동 높이조절레그(70)가 파손되거나 상기 드럼 세탁기(50)가 넘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 너트(74)의 임의 풀림이 방지되도록 상기 고정 너트(74)의 외측에는 풀림방지수단(100)이 장착된다.
상기 풀림방지수단(100)은 관 형상으로 형성된 사출물로써, 상기 보스부(86) 에 체결된 고정 너트(74)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관형부(102)와, 상기 관형부(102)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 너트(74)의 상면 가장자리에 걸림되는 걸림부(10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관형부(102)는 상기 고정 너트(74)의 최대 외경(D1)보다 큰 내경(D2)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형부(102)의 착탈 작업이 용이하도록 외주면에 복수개의 미끄럼 방지턱(102A)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관형부(102)의 내경(D2)은 상기 고정 너트(74)의 최대 외경(D1)과 동일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104)는 상기 고정 너트(74)에 장착된 관형부(102)가 하측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상기 관형부(102)의 상부에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턱(106)과, 상기 걸림턱(106)을 통과하여 상기 관형부(102)의 내측에 고정 너트(74)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걸림턱(106)이 제거된 구조로 형성된 복수개의 삽입홈(108)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턱(106)은 상기 고정 너트(74)의 최대 외경부와 최소 외경부 사이에 걸림되도록, 상기 고정 너트(74)의 최대 외경(D1)보다 작게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 너트(74)의 최소 외경(D4)보다는 큰 내경(D3)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최대 외경부는 고정 너트(74)의 모서리부(74A)이고 상기 최소 외경부는 상기 모서리부(74A) 사이의 평면부(74B)이므로, 상기 걸림턱(106)은 상기 모서리부(74A)와 평면부(74B) 사이의 상면에 걸림된다.
특히, 상기 고정 너트(74)의 최소 외경(D4) 부위에 비해 최대 외경(D1) 부위 의 두께가 작아지도록 상기 고정 너트(74)의 상면은 평면부(74B)에서 모서리부(74A)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경사면(74C)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106)은 상기 고정 너트(74)의 상면보다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평면부(74B)와 모서리부(74A)의 높이 차이보다 작은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108)은 상기 고정 너트(74)의 모서리부(74A)가 걸림턱(106)을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너트(74)의 모서리부(74A)보다 넓은 폭으로 상기 걸림턱(106)이 제거된 구조로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 너트(74)가 육각 너트이면, 상기 걸림턱(106)의 내경(D3)은 고정 너트(74)의 모서리부(74A) 외경(D1)보다는 작고 상기 고정 너트(74)의 평면부(74B) 외경(D4)보다는 크게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08)은 상기 고정 너트(74)의 모서리부(74A)가 걸리지 않도록 상기 걸림턱(106)에 60도 간격으로 여섯 개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풀림방지수단(100)은 상기 삽입홈(108)을 통해 상기 고정 너트(74)가 삽입된 후 상기 고정 너트(74)의 모서리부(74A) 상면에 걸림턱(106)이 걸림되도록 원주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실린더 캡(76)은 상기 실린더(72)의 상단부에 씌워지도록 하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의 사출물로써, 상기 실린더(72)의 상단부 외주면에 나사체결 구조로 장착되는 체결부(110)와, 상기 탄성부재(80)의 상단부가 지지되는 지지부(1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부(110)의 내주면에는 상기 실린더(72)의 상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와 체결되도록 암나사가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실린더 캡(76)이 용이하게 체결되도록 복수개의 미끄럼 방지턱(110A)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112)의 저면에는 상기 탄성부재(80)의 상단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상기 상측 삽입부(112A)가 하향 돌출된다.
한편, 상기 실린더 캡(76)이 실린더(72)로부터 임의로 풀리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상기 실린더 캡(76)과 실린더(72)에는 걸림돌기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부(120)는 상기 실린더 캡(76)의 하단부에 하향 돌출된 제 1 돌기부(122)와, 상기 실린더 캡(76)의 장착 완료시 상기 제 1 돌기부(122)가 걸림 고정되도록 상기 실린더(72)의 상단부 외주에 상향 돌출된 제 2 돌기부(12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돌기부(122)는 상기 실린더 캡(76)의 체결부(110) 하단에 하향 돌출되되, 상기 체결부(110) 하단을 따라 복수개의 돌기(126)가 연속적으로 수평하게 배치된 수평 톱니형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돌기부(124)는 상기 실린더(72)의 상단부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스토퍼(129)의 상면에 상향 돌출되되, 상기 스토퍼(129)의 상면을 따라 복수개의 돌기(128)가 연속적으로 수평하게 배치된 수평 톱니형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제 1 돌기부(122)와 제 2 돌기부(124)의 돌기(126)(128)는 삼각단면 형상으로 형성된 삼각 돌기로써, 상기 제 1 돌기부(122)와 제 2 돌기부(124) 는 상기 실린더 캡(76)의 체결이 완료되는 시점에 복수개의 돌기(126)(128)가 모두 걸림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돌기부(122)와 제 2 돌기부(124)의 걸림력에 의해 상기 실린더 캡(76)의 임의 풀림이 방지되고, 상기 제 1 돌기부(122)가 제 2 돌기부(124)의 상면에 걸림되어 상기 실린더 캡(76)의 과체결도 방지된다.
또한, 상기 제 1 돌기부(122)와 제 2 돌기부(1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원주 방향으로 복수개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돌기부(122)가 상기 실린더 캡(76)의 체결부(110) 하단에 원주방향으로 복수개가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 2 돌기부(124)가 상기 실린더(72)의 상단부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복수개가 형성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린더 캡(76)의 체결부(110) 하단에 상기 제 1 돌기부(122)가 원주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드럼 세탁기의 자동 높이조절레그에 대한 조립 및 설치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피스톤(78)의 장착홈(78A)에 마찰부재(82)가 장착되고, 상기 피스톤(78)은 실린더(72)의 개구된 상면을 통해 실린더(72) 내부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78)의 하측 삽입부(78B)가 탄성부재(80)의 하단에 삽입되도록 상기 탄성부재(80)는 실린더(72)의 개구된 상면을 통해 실린더(72) 내부에 삽입된다.
상기 실린더(72)의 내부에 피스톤(78)과 탄성부재(80)가 삽입되면, 상기 실린더(72)의 상단부에 실린더 캡(76)이 체결되어 상기 실린더(72)의 개구된 상면을 밀폐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 캡(76)의 내측 저면에 형성된 상측 삽입부(112A)는 상기 탄성부재(80)의 상단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80)는 상측 삽입부(112A)와 하측 삽입부(78B)에 의해 안정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78)은 상기 탄성부재(80)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한편, 상기 실린더 캡(76)이 회전되어 상기 실린더(72)의 상단부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실린더 캡(76)의 체결부(110) 하단에 형성된 제 1 돌기부(122)도 함께 회전되면서 하강되고, 상기 실린더 캡(76)과 실린더(72)의 체결이 완료될 때 상기 제 1 돌기부(122)는 상기 실린더(72)의 상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제 2 돌기부(124)에 걸림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제 1 돌기부(122)가 제 2 돌기부(124)에 걸림 고정되면, 상기 제 1 돌기부(122)에 하향 돌출된 복수개의 돌기(126)와 상기 제 2 돌기부(124)에 상향 돌출된 복수개의 돌기(128)가 동시에 걸림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실린더 캡(76)이 진동 및 충격 등에 의해 임의 풀리는 현상이 상기 제 1 돌기부(122)가 제 2 돌기부(124)의 걸림력에 의해 충분히 방지된다.
또한, 상기 제 1 돌기부(122)가 제 2 돌기부(124)에 걸려 하강이 불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제 1 돌기부(122)와 제 2 돌기부(124)에 의해 실린더 캡 (76)의 체결 위치가 설정되어 상기 실린더 캡(76)의 과체결도 방지된다.
상기 실린더(72)는 드럼 세탁기(50)의 베이스(59) 모서리에 장착된 베이스 브래킷(68)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바, 상기 베이스 브래킷(68)의 관통홀(69)에 상기 실린더(72)의 하단부에 형성된 보스부(86)가 관통되게 삽입되고, 상기 보스부(86)에 고정 너트(74)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실린더(72)가 베이스 브래킷(68)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 너트(74)에 의해 실린더(72)가 설치 고정되면, 상기 고정 너트(74)의 하측에 풀림방지수단(100)이 배치되고, 상기 고정 너트(74)의 모서리부(74A)와 대향되는 위치에 삽입홈(108)이 배치되도록 상기 풀림방지수단(100)의 조립 방향이 조정된다.
이후, 상기 풀림방지수단(100)이 상기 고정 너트(74) 측으로 상승되고, 상기 고정 너트(74)의 모서리부(74A)는 상기 삽입홈(108)에 의해 걸림턱(106)을 통과하여 상기 풀림방지수단(100)의 관형부(102) 내측에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풀림방지수단(100)의 관형부(102) 내측에 고정 너트(74)가 위치될 때까지 상기 풀림방지수단(100)이 상승되면, 상기 고정 너트(74)의 모서리부(74A) 상면에 상기 걸림턱(106)이 위치되도록 상기 풀림방지수단(100)을 원주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풀림방지수단(100)의 걸림턱(106)이 상기 고정 너트(74)의 모서리부(74A) 상면에 걸림되므로, 상기 풀림방지수단(100)은 고정 너트(74)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상기 고정 너트(74)에 장착 고정되고, 상기 고정 너트(74)는 상기 풀림방지수단(100)에 의해 조정이 불가능한 구조가 되어 임의 풀림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 너트(74)의 외주에 풀림방지수단(100)이 장착되면, 상기 보스부(86)에 레그(84)의 볼트부(84A)가 관통되게 삽입된 후 상기 피스톤(78)의 체결홈에 삽입되고, 상기 레그(84)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볼트부(84A)가 체결홈에 체결되어 상기 피스톤(78)에 레그(84)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피스톤(78)은 상기 탄성부재(80)에 의해 실린더(72)의 하부에 밀착된 상태이므로, 상기 피스톤(78)의 하면에 형성된 제 1 걸림돌기(92)가 상기 실린더(72)의 내부 저면에 형성된 제 2 걸림돌기(94)에 걸림되어 상기 볼트부(84A)와 체결홈의 체결시 상기 레그(84)와 함께 피스톤(78)이 회전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의 자동 높이조절레그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상기 자동 높이조절레그는 세탁기뿐만 아니라 건조기와 식기 세척기 등과 같이 베이스에 레그가 설치된 제품에 모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자동 높이조절레그의 탄성부재는 코일 스프링 이외에도 다양한 탄성체가 사용될 수 있으며, 마찰부재도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자동 높이조절레그는 실린더의 내부에 레그의 상단부가 연결된 피스톤이 탄성 이동되게 배치되고 상기 실린더와 베이스는 고정 너트에 의해 체결 고정되며 상기 고정 너트의 외측면에 풀림방지수단이 장착되므로, 상기 베이스의 다른 모서리에 설치된 수동 높이조절레그의 높이에 따라 상기 피스톤과 레그가 승강되면서 상기 드럼 세탁기의 높이와 수평도가 자동적으로 조절되고, 상기 풀림방지수단에 의해 고정 너트의 임의 풀림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고정 너트가 소비자 또는 미숙련된 정비업자에 의해 임의로 조정되어 풀리는 현상이 상기 풀림방지수단에 의해 방지되므로, 상기 드럼 세탁기의 진동 및 충격 등에 의해 자동 높이조절레그가 유동되면서 파손되는 현상이 미연에 방지되고, 상기 자동 높이조절레그의 기능이 상실되어 드럼 세탁기가 과진동되거나 넘어지게 되는 현상도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9)

  1. 세탁기의 베이스를 관통하는 보스부가 하부에 하향 돌출된 실린더와;
    상기 베이스를 관통한 보스부에 체결되는 고정 너트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피스톤과;
    상기 보스부를 관통하여 상기 피스톤에 고정된 레그와;
    상기 고정 너트의 임의 풀림이 방지되록 상기 고정 너트의 외측면에 장착된 풀림방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풀림방지수단은 상기 고정 너트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관형부와, 상기 관형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 너트의 상면에 걸림되는 걸림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자동 높이조절레그.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형부는 상기 고정 너트의 최대 외경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자동 높이조절레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관형부의 외주면에는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복수개의 미끄럼 방지턱이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자동 높이조절레그.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고정 너트의 상면 가장자리에 걸림되도록 상기 관형부의 상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에 고정 너트가 통과될 수 있도록 상기 걸림턱에 형성된 복수개의 삽입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자동 높이조절레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관형부의 상부에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은 상기 고정 너트의 모서리부와 대응되도록 상기 걸림턱에 복수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자동 높이조절레그.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고정 너트의 최대 외경부와 최소 외경부 사이에 걸림되도록 상기 고정 너트의 최대 외경보다 작음과 동시에 상기 고정 너트의 최소 외경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자동 높이조절레그.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고정 너트의 상면은 최소 외경부에서 최대 외경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최소 외경부의 상면보다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최소 외경부와 최대 외경부의 높이 차이보다 작은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자동 높이조절레그.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고정 너트의 모서리부보다 넓은 폭으로 상기 걸림턱이 제거된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자동 높이조절레그.
KR1020050069989A 2005-07-30 2005-07-30 세탁기의 자동 높이조절레그 KR101211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9989A KR101211001B1 (ko) 2005-07-30 2005-07-30 세탁기의 자동 높이조절레그
DE102006035036A DE102006035036B4 (de) 2005-07-30 2006-07-28 Automatik-Höheneinstellfuß eines Wäschehandhabungsgeräts sowie Wäschehandhabungsgerät
US11/494,761 US7717380B2 (en) 2005-07-30 2006-07-28 Automatic height adjustment leg of laundry handling apparatus and laundry handl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9989A KR101211001B1 (ko) 2005-07-30 2005-07-30 세탁기의 자동 높이조절레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5284A KR20070015284A (ko) 2007-02-02
KR101211001B1 true KR101211001B1 (ko) 2012-12-11

Family

ID=38080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9989A KR101211001B1 (ko) 2005-07-30 2005-07-30 세탁기의 자동 높이조절레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10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895B1 (ko) * 2013-10-14 2020-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지장치 및 지지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KR102662315B1 (ko) * 2022-02-10 2024-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레그장치,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악세서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5284A (ko) 200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23591A1 (en) Automatic height adjustment leg of laundry handling apparatus and laundry handling apparatus
KR101275557B1 (ko) 세탁기의 높이조절구조
US8220770B2 (en) Domestic appliance with height adjustable foot
US7744049B2 (en) Automatic level controlling apparatus
KR101239311B1 (ko) 수평유지 조립체
US9169593B2 (en) Device for fixing a wall-mounted drum type washing machine
US20150008808A1 (en) Washing machine
CA2170676A1 (en) Appliance mounting assembly
KR101211001B1 (ko) 세탁기의 자동 높이조절레그
KR200402888Y1 (ko) 세탁기의 자동 높이조절레그
JP3061784B2 (ja) 洗濯機の水平調節装置
KR200402889Y1 (ko) 세탁기의 자동 높이조절레그
KR101211002B1 (ko) 세탁기의 자동 높이조절레그
KR20070066597A (ko) 세탁기의 높이조절다리
KR101368291B1 (ko) 높이 조절용 지지장치
KR101770815B1 (ko) 세탁기 레그
KR200483282Y1 (ko) 행거수단이 구비된 옷걸이
KR100535499B1 (ko) 엔진 커버의 결합 장치
KR101716173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221524B1 (ko) 매립형 도어힌지
KR19980038099U (ko) 세탁기의 수평조절장치
KR100786681B1 (ko) 받침대를 구비한 세탁기
KR200390285Y1 (ko) 길이 가변형 주방가구용 지지대
KR101225961B1 (ko) 드럼 세탁기의 베이스 장착구조
KR200281185Y1 (ko) 가구용 힌지의 힌지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