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1524B1 - 매립형 도어힌지 - Google Patents

매립형 도어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1524B1
KR101221524B1 KR1020110033152A KR20110033152A KR101221524B1 KR 101221524 B1 KR101221524 B1 KR 101221524B1 KR 1020110033152 A KR1020110033152 A KR 1020110033152A KR 20110033152 A KR20110033152 A KR 20110033152A KR 101221524 B1 KR101221524 B1 KR 101221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buried
coupled
p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3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5693A (ko
Inventor
최근호
Original Assignee
최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근호 filed Critical 최근호
Priority to KR1020110033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1524B1/ko
Publication of KR20120115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5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1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1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 E05D7/1044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in an axial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에 설치되는 도어를 개폐가능하게 지지하는 매립형 도어힌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도어힌지는 도어(10)에 구비된 상하부 힌지핀(31,32)을 도어프레임(20)의 상하부 지지브라켓(40,50)에 구비된 상하부 타공볼트(42,52)의 힌지결합공(42a,52a)에 끼워 도어(10)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도어(10)의 설치가 매우 용이할 뿐 아니라, 도어힌지를 정확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어서 도어(10)가 잘 열리거나 닫히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경첩형태의 도어힌지에 비해 안정적이고 강도가 높아서, 장시간 사용하여도 도어(10)가 비틀리거나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매립형 도어힌지{door hinge}
본 발명은 실내에 설치되는 도어를 개폐가능하게 지지하는 매립형 도어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특히, 일반 가정집의 실내에 설치되는 목재 도어는 일측에 고정된 도어힌지에 의해 도어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가 도어를 회동시켜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도어를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도어힌지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축(1a)을 이용하여 금속재질로 구성된 2개의 회동판(1)을 상호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하여 이루어진 경첩형태로 구성되며, 각 회동판(1)이 도어(10)의 측면과 도어프레임(20)의 내측면에 각각 나사로 고정되어, 도어(1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한다.
그런데, 이러한 도어힌지를 이용하는 도어(1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도어(10)를 들어올린 상태로 도어힌지의 회동판(1)을 도어(10) 또는 도어프레임(20)에 고정하여야 하므로, 설치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힘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도어(10)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도어힌지를 설치함에 따라, 도어힌지를 정확한 위치에 설치하기 어렵고 잘못 설치된 도어힌지에 의해 도어(10)가 잘 열리거나 닫히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었다.
또한, 이러한 도어힌지는 구조가 충분히 안정적이고 강하지도 못하므로, 장시간 사용하면 도어힌지의 위치가 틀어지거나 도어힌지에 변형이 발생되고 그에 따라, 도어힌지에서 소음이 발생되거나 도어힌지가 뻑뻑해져 도어(10)가 잘 여닫히지 않게 되며, 심할 경우, 도어(10)가 비틀어져 도어프레임(20)에 잘 들어맞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어를 쉽고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도어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매립형 도어힌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10)와 도어프레임(20)의 사이에 설치되어 도어(1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도어힌지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20)은 상호 평행하게 이격설치되는 한쌍의 수직부재(21)와, 양단이 상기 수직부재(21)의 상하단에 각각 결합고정되는 상하부 수평부재(23,24)로 구성되며, 상기 도어힌지는 상기 도어(10)의 일측 상하면에 상하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상하부 힌지핀(31,32)과, 상기 도어프레임(20)의 상하부 수평부재(23,24)의 인접면에 각각 매립설치되어 상기 상하부 힌지핀(31,32)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하부 지지브라켓(40,50)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하부 지지브라켓(40,50)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공(41a,51a)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 수평부재(23,24)의 인접면에 고정되는 상하부 너트부재(41,51)와, 내부에 길이방향의 힌지결합공(42a,52a)이 형성되며 둘레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상하부 너트부재(41,51)의 관통공(41a,51a)에 나사결합되는 상하부 타공볼트(42,52)로 구성되며, 상기 도어(10)의 상하부 힌지핀(31,32)을 상기 힌지결합공(42a,52a)에 각각 끼움결합하여 도어(1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도어힌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하부 지지브라켓(40,50)은 상기 상하부 타공볼트(42,52)의 힌지결합공(42a,52a)에 결합되며 상하부 힌지핀(31,32)의 단부가 끼움결합되는 오목홈(43a,53a)과 힌지결합공(42a,52a)에 걸리는 플랜지부(43b,53b)가 형성된 상하부 힌지캡(43,5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도어힌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부 힌지캡(43)은 상부 타공볼트(42)의 힌지결합공(42a)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상부 힌지캡(43)에는 상부 힌지캡(43)이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스프링(44)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도어힌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부 수평부재(24)는 실내의 바닥면(3)에 매립되도록 설치되고, 바닥면(3)을 마감하는 마감재(4)가 하부 수평부재(24)의 상면을 덮도록 설치되며, 상기 하부 수평부재(24)의 상면에는 상기 하부 너트부재(51)가 삽입고정되는 삽입홈(24a)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타공볼트(52)는 마감재(4)를 관통하여 마감재(4)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 너트부재(52)에 나사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도어힌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도어(10)의 상하단에는 상기 상하부 힌지핀(31,32)이 결합되는 고정공(33a)이 형성된 지지블록(33)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블록(33)의 둘레부에는 소음방지패킹(34)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도어힌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도어힌지는 도어(10)에 구비된 상하부 힌지핀(31,32)을 도어프레임(20)의 상하부 지지브라켓(40,50)에 구비된 상하부 타공볼트(42,52)의 힌지결합공(42a,52a)에 끼워 도어(10)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도어(10)의 설치가 매우 용이할 뿐 아니라, 도어힌지를 정확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어서 도어(10)가 잘 열리거나 닫히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경첩형태의 도어힌지에 비해 안정적이고 강도가 높아서, 장시간 사용하여도 도어(10)가 비틀리거나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도어힌지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도어힌지가 설치되는 도어 및 도어프레임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도어힌지가 설치되는 도어 및 도어프레임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도어힌지가 설치되는 도어 및 도어프레임을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도어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부 힌지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지지브라켓을 도시한 저면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지지브라켓을 도시한 평면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도어힌지를 도시한 것으로, 도어(10)와 도어프레임(20)의 사이에 설치되어 도어(1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도어(10)는 목재로 제작되며, 상기 도어프레임(2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평행하게 이격설치되는 한쌍의 수직부재(21)와, 양단이 상기 수직부재(21)의 상하단에 각각 결합고정되는 상하부 수평부재(23,24)로 구성되며, 내주면에는 도어(10)의 둘레면이 걸리는 단턱부(25)가 형성되어, 벽면(2)에 형성된 개구부(2a)에 설치된다.
이러한 도어프레임(20)의 구조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매립형 도어힌지는 상기 도어(10)의 일측 상하면에 상하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상하부 힌지핀(31,32)과, 상기 도어프레임(20)의 상하부 수평부재(23,24)의 인접면에 각각 매립설치되어 상기 상하부 힌지핀(31,32)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하부 지지브라켓(40,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하부 힌지핀(31,32)은 가벼우면서 강도가 높은 알루미늄재질의 봉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도어(10)의 상하면에 10mm 정도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10)의 상하면에는 결합홈(11)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11)에는 상기 상하부힌지핀(31,32)이 결합되는 지지블록(30)이 고정된다. 상기 지지블록(33)은 알루미늄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상하부 힌지핀(31,32)이 끼움결합되는 고정공(33a)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결합홈(11)에 억지끼움결합되거나, 상기 결합홈(11)에 끼워진 상태에서 별도의 나사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지지블록(33)의 둘레면에는 소음방지패킹(34)이 구비된다. 상기 소음방지패킹(34)은 고무재질의 얇은 시트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블록(33)의 둘레면에 부착되어, 지지블록(33)을 결합홈(11)에 끼워 고정하면, 소음방지패킹(34)에 의해 지지블록(22)의 둘레면과 결합홈(11)의 내주면이 상호 이격되도록 지지되어, 지지블록(22)의 진동이나 소음이 도어(10)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블록(33)을 도어(10)의 상하면에 형성된 결합홈(11)에 각각 결합한 후, 지지블록(33)의 고정공(33a)의 상하측에 상하부 힌지핀(31,32)을 끼워 고정함으로써, 도어(10)의 상하면에 상하부 힌지핀(31,32)을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상하부 지지브라켓(40,5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하부 수평부재(23,24)의 인접면에 고정되는 상하부 너트부재(41,51)와, 상기 상하부 너트부재(41,51)에 결합되는 상하부 타공볼트(42,52)와, 상기 상하부 타공볼트(42,52)에 끼움결합되는 상하부 힌지캡(43,53)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하부 너트부재(41,51)는 사각의 금속 블록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상하부 수평부재(23,24)의 인접면에 형성된 삽입홈(23a,24a)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공(41a,51a)이 중앙부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상하부 타공볼트(42,52)는 일단이 개방된 힌지결합공(42a,52a)이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것으로, 둘레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단부가 상하부 수평부재(23,24)의 내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상하부 너트부재(41,51)의 관통공(41a,51a)에 나사결합된다. 이때, 도 2 및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수평부재(24)는 실내의 바닥면(3)에 매립되도록 설치되고, 바닥면(3)을 마감하는 마감재(4)가 하부 수평부재(24)의 상면을 덮도록 설치되며, 상기 하부 타공볼트(52)는 마감재(4)를 관통하여 마감재(4)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너트부재(51)에 결합된다.
상기 상하부 힌지캡(43,53)은 상기 상하부 힌지핀(31,32)의 단부가 끼움결합되는 오목홈(43a,53a)이 형성된 단관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상하부 타공볼트(42,52)의 힌지결합공(42a,52a)에 끼워지도록 설치된다. 또한, 오목홈(43a,53a)의 입구쪽 둘레부에는 상기 힌지결합공(42a,52a)의 입구부분에 걸리는 플랜지부(43b,53b)가 형성되어, 상하부 힌지캡(43,53)이 상하부 타공볼트(42,52)의 힌지결합공(42a,52a)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상기 하부 힌지캡(53)은 하부 타공볼트(52)의 힌지결합공(52a)에 단순히 회전가능하게 삽입결합되며, 상기 상부 힌지캡(43)은 상기 상부 타공볼트(42)의 힌지결합공(42a)에 회전 및 승강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타공볼트(42)의 힌지결합공(42a) 내부에는 양단이 상기 힌지결합공(42a)의 내부와 상부힌지캡(43)의 상면에 각각 지지되는 스프링(44)이 구비되어, 상부 힌지캡(43)이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힌지캡(43)을 상측으로 가압하면, 도 5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힌지캡(43)이 스프링(44)에 지지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승강된다.
따라서, 도어프레임(20)의 상하부 수평부재(23,24)에 상하부 지지브라켓(40,50)을 각각 설치하고, 도어(10)의 상하단에 지지블록(33)과 상하부 힌지핀(31,32)을 각각 설치한 후, 상부 힌지핀(31)을 먼저 상부 지지브라켓(40)의 상부 힌지캡(43)에 끼워 상측으로 밀어올린 상태에서 하부 힌지핀(32)을 하부 힌지캡(53)에 맞대어 놓고 도어(10)를 하강시키면, 하부 힌지핀(32)이 하부 힌지캡(53)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부 힌지캡(43)이 도어(10)와 함께 하강되어 상부 힌지핀(31)을 지지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도어(10)를 설치하면, 도어(10)에 설치된 상하부 힌지핀(31,32)이 상하부 지지브라켓(40,5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므로, 사용자는 도어(10)를 회동시켜 개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매립형 도어힌지에 따르면, 도어(10)와 도어프레임(20)에 상하부 힌지핀(31,32)과 상하부 지지브라켓(40,50)을 각각 결합한 후 상하부 힌지핀(31,32)을 상하부 지지브라켓(40,50)에 결합하여 도어(10)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10)의 설치가 매우 용이할 뿐 아니라, 종래의 경첩형태의 도어힌지에 비해 안정적이고 강도가 높아서, 장시간 사용하여도 도어(10)가 비틀리거나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미리 설치된 상하부 지지브라켓(40,50)에 도어(10)의 상하면에 구비된 힌지핀(31,32)을 끼워 도어(10)를 설치하므로, 도어힌지의 위치를 정확히 설정할 수 있어서, 도어힌지의 위치가 잘못되어 도어(10)가 잘 열리거나 닫히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상하부 지지브라켓(40,50)의 상하부 타공볼트(42,52)는 도어프레임(20)에 매립설치된 상하부 너트부재(41,51)에 나사결합되므로, 도어프레임(20)과 도어(10) 사이의 유격에 맞게 상하부 타공볼트(42,52)를 회전시켜 상하부 타공볼트(42,52)가 도어프레임(2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실내에 설치되는 목재 도어와 도어프레임은 사이즈가 항상 균일하게 제작되기 어려워, 도어프레임(20)과 도어(10) 사이에 과도한 유격이 발생되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이러한 경우, 상기 상하부 타공볼트(42,52)를 회전시켜 상하부 타공볼트(42,52)가 도어프레임(2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정도를 조절하여, 도어프레임(20)과 도어(10) 사이의 유격을 수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상하부 지지브라켓(40,50)에 구비된 상하부 너트부재(41,51)의 고정공(33a)에는 상하부 힌지캡(43,53)이 삽입결합되므로, 상하부 힌지캡(43,53)이 베어링의 기능을 하여 상하부 힌지핀(31,32)이 더욱 원활히 회전되도록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힌지캡(43)은 상부 타공볼트(42)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스프링(44)에 의해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되므로, 도어(10)의 상면에 구비된 힌지핀(31)을 상부 힌지캡(43)에 먼저 결합한 후, 하부 힌지핀(32)을 하부 힌지캡(53)에 결합하여 도어(10)를 설치할 수 있으며, 이때, 상부 힌지캡(43)은 스프링(44)에 의해 가압되므로, 사용자가 도어(10)을 여닫을 때 실수로 도어(10)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는 것을 방지하고, 도어(10)가 의도하지 않게 상측으로 들어 올려져 하부 힌지핀(32)과 하부 지지브라켓(50)의 결합이 해제되어 도어(10)가 빠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수평부재(24)는 실내의 바닥면(3)에 매립되도록 설치되고, 바닥면(3)을 마감하는 마감재(4)가 하부 수평부재(24)의 상면을 덮도록 설치되며, 상기 하부 수평부재(24)의 상면에는 상기 하부 너트부재(51)가 삽입고정되는 삽입홈(24a)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타공볼트(52)는 마감재(4)를 관통하여 마감재(4)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 너트부재(51)에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문지방이라고 불리는 하부 수평부재(24)가 마감재(4)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형태의 도어(10) 뿐 아니라, 하부 수평부재(24)가 바닥면(3)에 매입되어 문지방이 드러나지 않는 타입의 도어(10)에도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10)의 상하단에는 상기 상하부 힌지핀(31,32)이 결합되는 고정공(33a)이 형성된 지지블록(33)이 구비되어 상하부 힌지핀(31,32)을 도어(10)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지지블록(33)의 둘레부에는 소음방지패킹(34)이 구비되므로, 도어(10)를 여닫을 때 발생되는 소음이 도어(10)에 전달되어 소리가 커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도어(10)는 통상 내부가 빈 나무재질로 제작되므로, 도어(10)를 여닫을 때 상하부 힌지핀(31,32)과 상하부 지지브라켓(40,50)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음이 도어(10)에 전달될 경우 소리가 울리면서 소음이 더 커지게 되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지지블록(33)의 둘레부에 소음방지패킹(34)이 구비되어 소음의 전달을 막음으로써, 소음이 도어(10)로 전달되어 더 큰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10. 도어 20. 도어프레임
31,32. 상하부 힌지핀 33. 지지블록
40, 50. 상하부 지지브라켓

Claims (5)

  1. 도어(10)와 도어프레임(20)의 사이에 설치되어 도어(1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도어힌지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20)은 상호 평행하게 이격설치되는 한쌍의 수직부재(21)와, 양단이 상기 수직부재(21)의 상하단에 각각 결합고정되는 상하부 수평부재(23,24)로 구성되며,
    상기 도어힌지는,
    상기 도어(10)의 일측 상하면에 상하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상하부 힌지핀(31,32)과,
    상기 도어프레임(20)의 상하부 수평부재(23,24)의 인접면에 각각 매립설치되어 상기 상하부 힌지핀(31,32)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하부 지지브라켓(40,50)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하부 지지브라켓(40,50)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공(41a,51a)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 수평부재(23,24)의 인접면에 고정되는 상하부 너트부재(41,51)와,
    내부에 길이방향의 힌지결합공(42a,52a)이 형성되며 둘레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상하부 너트부재(41,51)의 관통공(41a,51a)에 나사결합되는 상하부 타공볼트(42,52)로 구성되며,
    상기 도어(10)의 상하부 힌지핀(31,32)을 상기 힌지결합공(42a,52a)에 각각 끼움결합하여 도어(1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도어힌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지지브라켓(40,50)은 상기 상하부 타공볼트(42,52)의 힌지결합공(42a,52a)에 결합되며 상하부 힌지핀(31,32)의 단부가 끼움결합되는 오목홈(43a,53a)과 힌지결합공(42a,52a)에 걸리는 플랜지부(43b,53b)가 형성된 상하부 힌지캡(43,5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도어힌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힌지캡(43)은 상부 타공볼트(42)의 힌지결합공(42a)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상부 힌지캡(43)에는 상부 힌지캡(43)이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스프링(44)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도어힌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수평부재(24)는 실내의 바닥면(3)에 매립되도록 설치되고,
    바닥면(3)을 마감하는 마감재(4)가 하부 수평부재(24)의 상면을 덮도록 설치되며,
    상기 하부 수평부재(24)의 상면에는 상기 하부 너트부재(51)가 삽입고정되는 삽입홈(24a)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타공볼트(52)는 마감재(4)를 관통하여 마감재(4)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 너트부재(52)에 나사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도어힌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10)의 상하단에는 상기 상하부 힌지핀(31,32)이 결합되는 고정공(33a)이 형성된 지지블록(33)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블록(33)의 둘레부에는 소음방지패킹(34)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도어힌지.
KR1020110033152A 2011-04-11 2011-04-11 매립형 도어힌지 KR101221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152A KR101221524B1 (ko) 2011-04-11 2011-04-11 매립형 도어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152A KR101221524B1 (ko) 2011-04-11 2011-04-11 매립형 도어힌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5693A KR20120115693A (ko) 2012-10-19
KR101221524B1 true KR101221524B1 (ko) 2013-01-11

Family

ID=47284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3152A KR101221524B1 (ko) 2011-04-11 2011-04-11 매립형 도어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15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8701A (ko) * 2017-12-09 2019-06-19 장영근 좁은 회전 반경을 갖는 접이식 여닫이 도어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3540A (ko) * 2005-02-26 2006-06-12 린수건창산업(주) 유리문용 프레임
KR20080111882A (ko) * 2007-06-20 2008-12-24 가부시키가이샤 호시모토 도어용 힌지
KR20090003053U (ko) * 2007-09-21 2009-03-25 전용훈 창고용 도어힌지
KR20110000242U (ko) * 2009-07-02 2011-01-10 (주)예성 도어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3540A (ko) * 2005-02-26 2006-06-12 린수건창산업(주) 유리문용 프레임
KR20080111882A (ko) * 2007-06-20 2008-12-24 가부시키가이샤 호시모토 도어용 힌지
KR20090003053U (ko) * 2007-09-21 2009-03-25 전용훈 창고용 도어힌지
KR20110000242U (ko) * 2009-07-02 2011-01-10 (주)예성 도어잠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8701A (ko) * 2017-12-09 2019-06-19 장영근 좁은 회전 반경을 갖는 접이식 여닫이 도어장치
KR102015421B1 (ko) * 2017-12-09 2019-08-28 이준우 좁은 회전 반경을 갖는 접이식 여닫이 도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5693A (ko) 201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7380B2 (en) Automatic height adjustment leg of laundry handling apparatus and laundry handling apparatus
KR101558129B1 (ko) 미닫이용 도어프레임
KR101376372B1 (ko) 방화문(防火門)의 힌지장치
KR100750254B1 (ko) 높이조절 가능형 냉장고 도어용 힌지
KR101221524B1 (ko) 매립형 도어힌지
JP5638713B2 (ja) サッシ
KR102049451B1 (ko) 슬라이딩 도어 가이드장치
KR100970845B1 (ko) 창호 설치용 고정구
JP4026778B2 (ja) 扉用傾き補正具
KR101640993B1 (ko) 도어용 힌지 장치
KR200460854Y1 (ko) 주방가구의 도어 고정구
KR101068134B1 (ko) 문의 비노출식 경첩구조
KR101875412B1 (ko) 철문용 절곡 타입 경첩
KR20140091151A (ko) 여닫이문의 문짝용 상부피봇지지장치
KR200411572Y1 (ko) 문과 그 문이 설치되는 문틀
CN110495718B (zh) 一种层板托架以及使用该层板托架的壁柜
KR20110087536A (ko) 유리문용 경첩
KR101451819B1 (ko) 안전도어
JP6942470B2 (ja) 改修戸
JP2016002124A (ja) 物干し装置用延長器具
KR200402889Y1 (ko) 세탁기의 자동 높이조절레그
CN215887635U (zh) 观察门及滚筒洗衣机
KR102625482B1 (ko) 도어 힌지 구조
KR100869128B1 (ko) 유압식 힌지장치가 장착된 자동 닫힘 도어를 위한회전조절수단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
KR100983804B1 (ko) 철재함용 경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