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7849A - 세제공급장치를 가지는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제공급장치를 가지는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7849A
KR20140027849A KR1020120093978A KR20120093978A KR20140027849A KR 20140027849 A KR20140027849 A KR 20140027849A KR 1020120093978 A KR1020120093978 A KR 1020120093978A KR 20120093978 A KR20120093978 A KR 20120093978A KR 20140027849 A KR20140027849 A KR 20140027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water
frame
detergent
supply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3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3883B1 (ko
Inventor
이진호
최한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3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3883B1/ko
Priority to EP13181733.0A priority patent/EP2703545B1/en
Priority to US13/975,632 priority patent/US9777424B2/en
Publication of KR20140027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7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8Arrangements for selectively supplying water to detergent compart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1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4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mounted on the agitator or the rotating drum; Free body dispensers

Abstract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부품 간의 결합구조가 개선된 세제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세탁기를 개시한다.
세탁기는 본체와, 본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과,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어 드럼의 내부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한다. 세제공급장치는, 하우징과, 세제를 수용하며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세제수용함과,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어 세제수용함으로 물을 안내하는 급수프레임과, 급수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어 급수프레임을 밀폐하며, 그 내측 둘레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급수프레임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커버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세제공급장치를 가지는 세탁기{WASHING MACHINE HAVING DETERGENT FEEDING DEVIC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세탁기의 내부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를 가지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전력을 이용하여 의류를 세탁하는 기계로서, 일반적으로 세탁수를 저수하는 터브와,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과, 드럼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펄세이터와, 드럼 및 펄세이터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구비한다.
드럼의 내부에 세탁물 및 세제수가 투입된 상태에서 드럼 및 펄세이터가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 펄세이터는 드럼의 내부로 투입된 세탁물을 세탁수와 함께 교반시켜 세탁물에 묻은 때를 제거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드럼 세탁기의 세제공급장치는 고체세제 및 액체세제를 수용하는 세제수용유닛과, 세제수용유닛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유닛을 구비하며, 급수유닛은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서로 열융착되는 상,하부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급수유닛을 구성하는 상,하부 프레임을 열융착시키는 과정에서 서로 융착이 되지 않은 부분이 발생할 경우(융착 불량),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이 높은 조건에서 서로 융착이 되지 않은 부분을 통한 누수로 인해 고체세제에만 공급되어야 할 물이 액체세제 또는 유연제로까지 공급되어 정상적으로 원하는 세탁이 수행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한, 상,하부 프레임을 열융착시키기 위한 공정으로 인해 제품의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세제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또한, 세제공급장치로 공급된 물이 세제공급장치 내부에서 고르게 분배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세제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부품 간의 결합구조가 개선된 세제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과, 상기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드럼의 내부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하우징;과, 세제를 수용하며, 상기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세제수용함;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세제수용함으로 물을 안내하는 급수프레임;과, 상기 급수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급수프레임을 밀폐하며, 그 내측 둘레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급수프레임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커버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걸림돌기는 상기 커버프레임의 내측 둘레면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급수프레임과 상기 커버프레임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급수프레임의 하부면과 접촉하는 접촉면과, 상기 접촉면과 상기 커버프레임의 내측 둘레면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프레임은, 그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걸림돌기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걸림돌기와 간격을 형성하는 간격형성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프레임은 상기 급수프레임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프레임과 상기 하우징을 체결시키기 위한 복수의 체결후크(Hook)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체결후크는 상기 커버프레임의 외측 둘레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프레임은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이동하는 급수유로와,물이 상기 급수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세제수용함으로 낙하할 수 있도록, 상기 급수유로가 형성된 상기 급수프레임의 하부를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홀과,상기 급수유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급수유로의 일 부분으로 유입된 물이 상기 급수유로의 다른 부분으로 방향을 전환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유로는, 상기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급수유로와, 상기 제1급수유로와 연통되며, 상기 제1급수유로를 따라 흘러온 물의 이동 방향이 전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급수유로와, 상기 제2급수유로와 연통되며, 상기 제2급수유로를 따라 흘러온 물의 이동 방향이 전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급수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제2급수유로와 상기 제3급수유로가 연통되는 지점에 마련되어 상기 제2급수유로를 흐르는 물이 상기 제3급수유로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제3급수유로는 상기 제1급수유로와 상기 제2급수유로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급수유로는 적어도 둘 이상이 상기 제1급수유로를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급수프레임은 그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급수유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유로형성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리브의 높이는 상기 유로형성리브의 높이보다 더 낮을 수 있다.
상기 가이드리브의 일단은 상기 제1급수유로 및 상기 제3급수유로를 형성하는 제1유로형성리브 일면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리브의 타단은 상기 제2급수유로를 형성하는 제2유로형성리브의 일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급수프레임은, 상기 가이드리브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급수유로로 유입된 물의 수위가 상기 가이드리브보다 더 높은 경우, 상기 급수유로 상의 물을 상기 급수프레임의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수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프레임과, 상기 제1유로형성리브와, 상기 제2유로형성리브와, 상기 가이드리브에 의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홀은 상기 제2급수유로 및 상기 제3급수유로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세탁수가 저수되는 터브;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터브의 내부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세제가 수용되는 하부프레임(Lower Frame);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며,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수유로와, 물이 상기 급수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하부프레임으로 낙하할 수 있도록 상기 급수유로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가지는 미들프레임(Middle Frame);과, 상기 미들프레임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미들프레임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미들프레임의 하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걸림돌기를 가지는 상부프레임(Upper Fram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걸림돌기는 상기 수용부의 내측 둘레면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은 상기 미들프레임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을 체결시키기 위한 복수의 체결후크(Hook)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들프레임은 상기 하부프레임에 수용된 고체세제에 물을 공급하는 제1급수부와, 상기 하부프레임에 수용된 액체세제 및 유연제에 물을 공급하는 제2급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급수부는 고수압(高水壓) 조건 시, 상기 제1급수부로 공급된 물이 상기 제2급수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배수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들프레임은, 상기 제1급수부와 상기 제2급수부 사이에 마련되어 고수압(高水壓) 조건 시, 상기 제1급수부로부터 이탈한 물이 상기 제2급수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유로와, 물이 상기 배수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하부프레임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상기 배수유로를 관통하는 복수의 제2배수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급수부는 저수압(低水壓) 조건 시, 상기 제1급수부로 공급된 물이 상기 제1배수홀을 통해 배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급수부로 유입된 물의 수위가 상기 가이드리브보다 더 높은 경우, 상기 제1급수부로 유입된 물의 일부는 제1배수홀 및 제2배수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세제공급장치의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세제공급장치를 구성하는 구성들을 조립식으로 손쉽게 조립할 수 있으므로 조립 공정이 단순해지고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이 높은 경우에 누수가 발생하지 않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이 낮은 경우에 세제공급장치로 공급된 물이 세제공급장치 내부에서 고르게 분배되어 세제함으로 공급되므로, 항상 일정한 세탁 성능을 유지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공급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공급장치의 급수프레임과 커버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공급장치의 급수프레임과 커버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
도 7은 도 5의 'I-I'선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도 7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2에 도시된 급수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급수프레임의 급수유로를 따른 물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는 외관을 형성하며 그 내부의 각종 부품들을 지지하는 본체(10)와, 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20)와, 터브(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30)과, 드럼(30)을 구동하는 모터(40)를 구비한다.
본체(10)의 전면부에는 드럼(30)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11)가 형성된다. 투입구(11)는 본체(10)의 전면부에 설치된 도어(12)에 의해 개폐된다.
터브(20)의 상부에는 터브(20)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50)이 설치된다. 급수관(50)의 일측은 외부급수원(미도시)과 연결되고, 급수관(50)의 타측은 세제 공급장치(100)와 연결된다.
세제 공급장치(100)는 연결관(54)을 통해 터브(20)와 연결되며, 세제 또는 유연제 등을 수용하는 세제수용함(120)를 포함한다. 급수관(50)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세제수용함(120)을 경유하여 세제 또는 유연제 등과 함께 터브(20)의 내부로 공급된다.
터브(20)의 하부에는 터브(20) 내부의 물을 본체(1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펌프(60)와 배수관(62)이 설치된다.
터브(20)는 댐퍼(80)에 의해 지지된다. 댐퍼(80)는 본체(10)의 내측 저면과 터브(20)의 외면을 연결한다.
드럼(30)은 원통부(31)와, 원통부(31)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면판(32)과, 원통부(31)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판(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면판(32)에는 세탁물의 출입을 위한 개구(32a)가 형성되고, 후면판(33)에는 모터(40)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축(42)이 연결된다.
드럼(30)의 둘레에는 세탁수의 유통을 위한 다수의 통공(34)이 형성되고, 드럼(30)의 내주면에는 드럼(30)이 회전할 때 세탁물의 상승 및 낙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복수의 리프터(35)가 설치된다.
드럼(30)과 모터(40) 사이에는 구동축(42)이 배치된다. 구동축(42)의 일단은 드럼(30)의 후면판(33)에 연결되고, 구동축(42)의 타단은 터브(20)의 후벽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모터(40)가 구동축(42)을 구동하면, 구동축(42)에 연결된 드럼(30)이 구동축(42)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터브(20)의 후벽에는 구동축(4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베어링 하우징(70)이 설치된다. 베어링 하우징(70)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터브(20)를 사출 성형할 때 터브(20)의 후벽에 인서트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70)과 구동축(42) 사이에는 구동축(42)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베어링들(72)이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공급장치(100)의 구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공급장치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공급장치의 급수프레임과 커버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공급장치의 급수프레임과 커버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2에 도시된 급수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급수프레임의 급수유로를 따른 물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세제수용함(120)을 제외하고 도시하였다.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제공급장치(100)는 하우징(110)과, 세제 및 유연제 등을 수용하며, 하우징(1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세제수용함(120)과, 하우징(110)의 상부에 결합되어 하우징(110)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프레임(130)과, 급수프레임(13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급수프레임을 밀폐하는 커버프레임(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110)은 그 내측으로 세제수용함(120)이 수용되는 하우징몸체(112)와, 세제수용함(120)이 인출될 수 있도록 하우징몸체(112)의 전방이 개방되어 형성되는 개구(114)와, 하우징몸체(112) 양 내측면에 형성되어 세제수용함(120)이 하우징(11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세제수용함(120)을 지지하는 레일(116)을 포함한다.
하우징몸체(112)의 하부에는 물과 섞인 세제 및 유연제가 세제공급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배출구(118)가 형성된다. 배출구(118)는 연결관(54)과 연결되며, 배출구(118)를 통해 배출된 물과 섞인 세제 및 유연제는 연결관(54)을 거쳐 터브(20)의 내부로 공급된다. 물과 섞인 세제 및 유연제가 하우징몸체(112)의 하부에 쌓이지 않고 배출구(118)를 통해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우징몸체(112)의 하부는 배출구(118)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하우징몸체(112)의 외측에는 하우징(110)과 커버프레임(140)을 서로 결합, 고정시키기 위한 걸림턱(119)이 마련된다. 걸림턱(119)은 하우징(110)과 커버프레임(140)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커버프레임(140)의 체결후크(Hook)(146)가 걸릴 수 있도록 하우징몸체(112)의 상부 외측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다.
세제수용함(120)은 고체세제가 수용되는 제1수용부(121)와, 제1수용부(121)와 제1격벽(124)를 통해 구획되며 유연제가 수용되는 제2수용부(122)와, 제1수용부(121)와 제1격벽(124)를 통해 구획되고 제2수용부(122)와 제2격벽(125)을 통해 구획되며 액체세제가 수용되는 제3수용부(123)를 구비한다. 제3수용부(123)는 제3수용부(123)에 수용된 액체세제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액체세제배출장치(127)를 구비한다. 액체세제배출장치(127)는 제3수용부(123)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되는 사이펀관(127a)과, 사이펀관(127a)의 외측에 결합되는 사이펀캡(127b)으로 구성된다. 제1수용부(121) 및 제2수용부(122)의 전방에는 사용자가 세제수용함(120)을 하우징(110)으로부터 꺼내거나 하우징(110)으로 집어넣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 손잡이부(128)가 마련될 수 있다.
급수프레임(130)은 세제수용함(120)의 제1수용부(121)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1수용부(121)에 수용된 고체세제에 물을 공급하는 제1급수부(131)와, 세제수용함(120)의 제2수용부(122)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2수용부(122)에 수용된 유연제에 물을 공급하는 제2급수부(132)와, 세제수용함(120)의 제3수용부(123)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3수용부(123)에 수용된 액체제에 물을 공급하는 제3급수부(1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급수프레임(130)은 외부 급수원(미도시)으로부터 급수프레임(130)으로 공급된 물이 이동하는 복수의 급수유로(134)와, 물이 급수유로(134)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세제수용함(120)으로 낙하할 수 있도록, 급수유로(134)가 형성된 급수프레임(130)의 하부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홀들(130b)을 구비한다.
급수유로(134)는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급수프레임(130)으로 공급된 물을 제1급수부(131)로 안내하는 제1급수유로(134a)와, 제1급수유로(134a)와 연통되며, 제1급수유로(134a)를 따라 흘러온 물의 이동 방향이 전환되는 제2급수유로(134b)와, 제2급수유로(134b)와 연통되며, 제2급수유로(134b)를 따라 흘러온 물의 이동 방향이 전환되는 제3급수유로(134c)를 포함한다.
또한, 급수유로(134)는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급수프레임(130)으로 공급된 물을 제2급수부(132)로 안내하는 제4급수유로(134d)와,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급수프레임(130)으로 공급된 물을 제3급수부(133)로 안내하는 제5급수유로(134e)와, 제5급수유로(134e)와 연통되며, 제5급수유로(134e)를 따라 흘러온 물의 이동 방향이 전환되는 제6급수유로(134f)를 포함한다.
제2급수유로(134b) 및 제3급수유로(134c)는 제1급수유로(134a)를 사이에 두고 그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제3급수유로(134c)는 제1급수유로(134a)와 제2급수유로(134b)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제6급수유로(134f)는 제5급수유로(134e)를 사이에 두고 그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1급수부(131) 또는 제3급수부(133)에서 물의 이동 방향을 전환시키는 이유는 물이 급수프레임(130) 내부에서 고르게 분배되어 세제수용함(120)으로 낙하되도록 함으로써 세제수용함(120)에 수용된 세제 또는 유연제와 물이 고르게 섞인 상태로 터브(20) 내부로 공급되게 하기 위함이다.
제1급수부(131)와 제2급수부(132) 사이 또는 제2급수유로(134b)와 제4급수유로(134d) 사이에는 배수유로(136)가 마련되고, 배수유로(136)에는 물이 배수유로(136)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하우징(110)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배수유로(136)를 관통하는 복수의 제2배수홀(138)이 형성된다. 배수유로(136) 및 제2배수홀(138)은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급수프레임(130)으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이 높은 경우 제1급수부(131)로부터 이탈한 물을 수용하여 하우징(110)으로 배수되게 함으로써 제2급수부(132)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고체세제에 공급되는 물이 액체세제 또는 유연제에 침투되는 현상이 미연에 방지된다.
급수유로(134)는 급수프레임(13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유로형성리브(137)에 의해 형성된다. 유로형성리브(137)는 제1급수유로(134a)를 형성하는 제1유로형성리브(137a)와, 제2급수유로(134b)를 형성하는 제2유로형성리브(137b)와, 제1유로형성리브(137a) 및 제2유로형성리브(137b) 사이에 배치되어 제1유로형성리브(137a)와는 제3급수유로(134c)를 형성하고, 제2유로형성리브(137b)와는 제2급수유로(134b)를 형성하는 제3유로형성리브(137c)를 포함한다.
또한, 급수유로(134)는 제2유로형성리브(137b)와의 사이에 배수유로(136)를 형성하는 제4유로형성리브(137d)와, 제4유로형성리브(137d)와 함께 제4급수유로(134d)를 형성하는 제5유로형성리브(137e)와, 제5유로형성리브(137e)와 함께 제6급수유로(134f)를 형성하며 서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어 제5급수유로(134e)를 형성하는 제6유로형성리브(137f)를 포함한다.
제2급수유로(134b)와 제3급수유로(134c)가 만나는 지점, 즉 제1유로형성리브(137a)의 일면과 제1유로형성리브(137a)의 일면과 마주보는 제2유로형성리브(137b)의 일면 사이에는 제1가이드리브(139a)가 마련된다. 제1가이드리브(139a)는 그 일단이 제1유로형성리브(137a)의 일면과 연결되고, 그 타단이 제2유로형성리브(137b)의 일면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제1가이드리브(139a)는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급수프레임(130)으로 유입된 물의 수입이 낮은 경우, 즉 저수압(低水壓) 조건에서 제2급수유로(134b)로 유입된 물이 제3급수유로(134c)로 원활하게 분배되어 흐르도록 함과 동시에 제2급수유로(134b)와 제3급수유로(134c)가 만나는 지점에서 후술할 제1배수홀(135a)을 통해 물이 배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5유로형성리브(137e)의 일면과 제5유로형성리브(137e)의 일면과 마주보는 제6유로형성리브(137f)의 일면 사이에는 제2가이드리브(139b)가 마련된다. 제2가이드리브(139b)는 그 일단이 제5유로형성리브(137e)의 일면과 연결되고, 그 타단이 제6유로형성리브(137f)의 일면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제2가이드리브(139b)는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급수프레임(130)으로 유입된 물의 수입이 낮은 경우, 즉 저수압(低水壓) 조건에서 제6급수유로(134f)로 유입된 물이 후술할 제2배수홀(135b)을 통해 물이 배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급수프레임(130)은 제1가이드리브(139a)의 상부에 형성되고 제2급수유로(134b) 및 제3급수유로(134c)와 연통되는 제1배수홀(135a)과, 제2가이드리브(139b)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6급수유로(134f)와 연통되는 제2배수홀(135b)을 포함한다.
제1배수홀(135a)은 커버프레임(140)과, 제1유로형성리브(137a)와, 제2유로형성리브(137b)와, 제1유로형성리브(137a) 및 제2유로형성리브(137b) 보다 높이가 낮은 제1가이드리브(139a)에 의해 형성된다. 제1배수홀(135a)은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급수프레임(130)으로 유입된 물의 수입이 높은 경우, 즉 고수압(高水壓) 조건에서 제2급수유로(134b) 또는 제3급수유로(134c)로 유입된 물의 수위가 제1가이드리브(139a)보다 더 높은 경우, 제2급수유로(134b) 또는 제3급수유로(134c) 상의 물이 급수프레임(130)의 외부로 배수되도록 하여 내부 압력을 낮춤으로써 제1급수부(131)로 공급된 물이 급수프레임(130)과 커버프레임(140) 사이의 틈을 통해 제2급수부(132) 또는 제3급수부(133)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고체세제에 공급되는 물이 액체세제 또는 유연제에 침투되는 현상이 미연에 방지된다.
제2배수홀(135b)은 커버프레임(140)과, 제5유로형성리브(137e)와, 제6유로형성리브(137f)와, 제5유로형성리브(137e) 및 제6유로형성리브(137f) 보다 높이가 낮은 제2가이드리브(139b)에 의해 형성된다. 제2배수홀(135b)은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급수프레임(130)으로 유입된 물의 수입이 높은 경우, 즉 고수압(高水壓) 조건에서 제6급수유로(134f)로 유입된 물의 수위가 제2가이드리브(139b)보다 더 높은 경우, 제6급수유로(134f) 상의 물이 급수프레임(130)의 외부로 배수되도록 하여 내부 압력을 낮춤으로써 제3급수부(133)로 공급된 물이 급수프레임(130)과 커버프레임(140) 사이의 틈을 통해 제1급수부(131)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액체세제 또는 유연제에 공급되는 물이 고체세제에 침투되는 현상이 미연에 방지된다.
급수프레임(130)의 하부면에는 복수의 간격형성돌기(130a)가 형성된다. 간격형성돌기(130a)는 급수프레임(130)의 하부면에서 소정 길이 돌출되고, 후술할 커버프레임(140)의 걸림돌기(144)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걸림돌기(144)와의 사이에 간격을 형성한다. 급수프레임(130)과 커버프레임(140)이 조립된 상태에서 급수프레임(130)과 커버프레임(140)을 분리할 필요가 있을 때, 간격형성돌기(130a)와 걸림돌기(144) 사이에 형성된 간격에 드라이버 등과 같은 도구를 삽입하고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손쉽게 급수프레임(130)과 커버프레임(140)을 분리시킬 수 있다.
커버프레임(140)은 급수프레임(130)의 상부에 결합되어 급수프레임(130)을 밀폐하는 구성으로 그 내측으로 급수프레임(130)을 수용하는 수용부(142)와, 수용부의 내측면(142a)으로부터 돌출되어 급수프레임(130)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걸림돌기(144)와, 급수프레임(130)이 커버프레임(140)에 고정된 상태에서 커버프레임(140)을 하우징(110)에 체결,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체결후크(Hook)(1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복수의 걸림돌기(144)는 수용부(142)의 내측 둘레면(142a)을 따라 이격 배치되며, 급수프레임(130)이 수용부(142)에 수용된 상태에서 급수프레임(130)의 하부면과 접촉하는 접촉면(144a)과, 접촉면(144a)과 수용부(142)의 내측 둘레면(142a)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경사면(144b)을 포함한다. 접촉면(144a)은 급수프레임(130)이 커버프레임(140)에 고정되도록 한다. 경사면(144b)은 급수프레임(130)과 커버프레임(140)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급수프레임(130)의 단부와 접촉하여 급수프레임(130)이 수용부(142)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안내한다.
복수의 체결후크(146)는 커버프레임(140)의 외측 둘레면에 형성되며, 하우징(110)의 상부 외측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 걸림턱(119)에 결합되어 급수프레임(130)과 결합된 커버프레임(140)을 하우징(110)에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커버프레임(140)에 마련되는 복수의 걸림돌기(144)와 복수의 체결후크(Hook)를 이용하여 세제공급장치(100)를 구성하는 하우징(110), 급수프레임(130), 커버프레임(140)을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으므로 조립 시간이 단축되고, 제조 비용이 절감되므로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급수프레임(130)에 마련되는 제1가이드리브(139a) 및 제2가이드리브(139b)에 의해 저수압 조건에서도 물이 급수프레임(130) 내부에서 고르게 분배되고, 제1배수홀(135a) 및 제2배수홀(135b)에 의해 저수압 조건에서도 급수프레임(130)과 커버프레임(140) 사이의 틈을 통해 물이 누수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세탁기 10 : 본체
20 : 터브 30 : 드럼
40 : 모터 100 : 세제공급장치
110 : 하우징 120 : 세제수용함
130 : 급수프레임 140 : 커버프레임

Claims (29)

  1. 세탁기에 설치되어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에 있어서,
    개구를 가지는 하우징;과, 세제를 수용하며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세제수용함;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세제수용함으로 물을 안내하는 급수프레임;과, 상기 급수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급수프레임을 밀폐하는 커버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급수프레임은,
    제1급수유로를 형성하는 제1유로형성리브;와,
    상기 제1급수유로와 연통되며 상기 제1급수유로와 다른 방향으로 물을 안내하는 제2급수유로를 형성하는 제2유로형성리브;와,
    상기 제1유로형성리브와 상기 제2유로형성리브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제1급수유로를 흐르는 물이 상기 제2급수유로로 흐를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급수유로 및 상기 제2급수유로와 연통되고, 상기 가이드리브의 상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급수프레임 내부의 물의 수위가 상기 가이드리브의 높이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1급수유로를 흐르는 물을 상기 제2급수유로로 안내하고,
    상기 급수프레임 내부의 물의 수위가 상기 가이드리브의 높이보다 높은 경우 상기 급수프레임 내부의 적어도 일부분의 물을 상기 배수홀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리브의 높이는 상기 제1유로형성리브 및 상기 제2유로형성리브의 높이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공급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제1유로형성리브 및 상기 제2유로형성리브와 함께 상기 배수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공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프레임은 상기 제1유로형성리브와 상기 제2유로형성리브 사이에 배치되어 그 일면으로 상기 제1유로형성리브와 함께 상기 제1급수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으로 상기 제2유로형성리브 함께 상기 제2급수유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유로형성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공급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프레임은 그 내측 둘레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급수프레임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공급장치.
  8.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과,
    상기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드럼의 내부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하우징;과,
    세제를 수용하며, 상기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세제수용함;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세제수용함으로 물을 안내하는 급수프레임;과,
    상기 급수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급수프레임을 밀폐하며, 그 내측 둘레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급수프레임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커버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걸림돌기는 상기 커버프레임의 내측 둘레면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급수프레임과 상기 커버프레임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급수프레임의 하부면과 접촉하는 접촉면과,
    상기 접촉면과 상기 커버프레임의 내측 둘레면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프레임은, 그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걸림돌기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걸림돌기와 간격을 형성하는 간격형성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프레임은 상기 급수프레임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프레임과 상기 하우징을 체결시키기 위한 복수의 체결후크(Hook)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체결후크는 상기 커버프레임의 외측 둘레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프레임은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이동하는 급수유로와,
    물이 상기 급수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세제수용함으로 낙하할 수 있도록, 상기 급수유로가 형성된 상기 급수프레임의 하부를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홀과,
    상기 급수유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급수유로의 일 부분으로 유입된 물이 상기 급수유로의 다른 부분으로 방향을 전환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유로는,
    상기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급수유로와,
    상기 제1급수유로와 연통되며, 상기 제1급수유로를 따라 흘러온 물의 이동 방향이 전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급수유로와,
    상기 제2급수유로와 연통되며, 상기 제2급수유로를 따라 흘러온 물의 이동 방향이 전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급수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제2급수유로와 상기 제3급수유로가 연통되는 지점에 마련되어 상기 제2급수유로를 흐르는 물이 상기 제3급수유로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제3급수유로는 상기 제1급수유로와 상기 제2급수유로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제2급수유로는 적어도 둘 이상이 상기 제1급수유로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프레임은 그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급수유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유로형성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리브의 높이는 상기 유로형성리브의 높이보다 더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리브의 일단은 상기 제1급수유로 및 상기 제3급수유로를 형성하는 제1유로형성리브의 일면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리브의 타단은 상기 제2급수유로를 형성하는 제2유로형성리브의 일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프레임은, 상기 가이드리브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급수유로로 유입된 물의 수위가 상기 가이드리브보다 더 높은 경우, 상기 급수유로 상의 물을 상기 급수프레임의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수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프레임과, 상기 제1유로형성리브와, 상기 제2유로형성리브와, 상기 가이드리브에 의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홀은 상기 제2급수유로 및 상기 제3급수유로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2.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세탁수가 저수되는 터브;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터브의 내부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세제가 수용되는 하부프레임(Lower Frame);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며,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수유로와, 물이 상기 급수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하부프레임으로 낙하할 수 있도록 상기 급수유로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가지는 미들프레임(Middle Frame);과,
    상기 미들프레임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미들프레임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미들프레임의 하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걸림돌기를 가지는 상부프레임(Upper Fram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걸림돌기는 상기 수용부의 내측 둘레면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은 상기 미들프레임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을 체결시키기 위한 복수의 체결후크(Hook)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프레임은 상기 하부프레임에 수용된 고체세제에 물을 공급하는 제1급수부와, 상기 하부프레임에 수용된 액체세제 및 유연제에 물을 공급하는 제2급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급수부는 고수압(高水壓) 조건 시, 상기 제1급수부로 공급된 물이 상기 제2급수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배수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프레임은,
    상기 제1급수부와 상기 제2급수부 사이에 마련되어 고수압(高水壓) 조건 시, 상기 제1급수부로부터 이탈한 물이 상기 제2급수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유로와,
    물이 상기 배수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하부프레임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상기 배수유로를 관통하는 복수의 제2배수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급수부는 저수압(低水壓) 조건 시, 상기 제1급수부로 공급된 물이 상기 제1배수홀을 통해 배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급수부로 유입된 물의 수위가 상기 가이드리브보다 더 높은 경우, 상기 제1급수부로 유입된 물의 일부는 제1배수홀 및 제2배수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세제공급장치의 외부로 배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120093978A 2012-08-27 2012-08-27 세제공급장치를 가지는 세탁기 KR101953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978A KR101953883B1 (ko) 2012-08-27 2012-08-27 세제공급장치를 가지는 세탁기
EP13181733.0A EP2703545B1 (en) 2012-08-27 2013-08-26 Washing machine having detergent supply device
US13/975,632 US9777424B2 (en) 2012-08-27 2013-08-26 Washing machine having detergent suppl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978A KR101953883B1 (ko) 2012-08-27 2012-08-27 세제공급장치를 가지는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7849A true KR20140027849A (ko) 2014-03-07
KR101953883B1 KR101953883B1 (ko) 2019-05-22

Family

ID=49033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3978A KR101953883B1 (ko) 2012-08-27 2012-08-27 세제공급장치를 가지는 세탁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777424B2 (ko)
EP (1) EP2703545B1 (ko)
KR (1) KR1019538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3152A1 (ko) * 2017-10-24 2019-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제공급장치를 갖는 세탁기
WO2023029838A1 (zh) * 2021-08-30 2023-03-09 重庆海尔洗衣机有限公司 洗涤设备的洗涤剂投放装置及洗涤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5224713B2 (en) * 2014-03-04 2016-11-10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USD788391S1 (en) * 2015-07-02 2017-05-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tergent container for washing machine
USD788390S1 (en) * 2015-07-02 2017-05-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tergent container for washing machine
USD828662S1 (en) * 2016-06-08 2018-09-11 Lg Electronics Inc. Detergent inlet for washing machine
EP3882392A1 (en) * 2016-09-05 2021-09-22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A method of using a laundry washing machine and laundry washing machine
CN108532227B (zh) * 2017-03-06 2022-01-18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水盒及洗衣机
IT201700052193A1 (it) * 2017-05-15 2018-11-15 Linea 3 S R L Dispositivo per lavatrice per l'alimentazione di acqua ad un sottostante gruppo di vaschette contenenti detersivi
CN110857506B (zh) * 2018-08-22 2020-11-10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投放装置及具有其的衣物处理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13513A2 (en) * 1997-10-31 1999-05-06 T & P - S.p.A. Device for housing washing agents in a washing machine with built-in air break
KR20070001605A (ko) * 2005-06-29 200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정장치의 세제공급기구
KR20120079403A (ko) * 2011-01-04 2012-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07431A1 (de) 1988-03-07 1989-09-21 Bosch Siemens Hausgeraete Waschmitteleinspueleinrichtung
KR101082564B1 (ko) * 2004-04-14 2011-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디스펜서
KR20050118894A (ko) * 2004-06-15 2005-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제공급장치를 갖는 세탁기
EP2331739B1 (en) 2008-07-07 2011-12-07 Arçelik Anonim Sirketi Detergent box flushing arrangement for a washing machi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13513A2 (en) * 1997-10-31 1999-05-06 T & P - S.p.A. Device for housing washing agents in a washing machine with built-in air break
KR20070001605A (ko) * 2005-06-29 200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정장치의 세제공급기구
KR20120079403A (ko) * 2011-01-04 2012-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3152A1 (ko) * 2017-10-24 2019-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제공급장치를 갖는 세탁기
US11384472B2 (en) 2017-10-24 2022-07-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having detergent supply device
WO2023029838A1 (zh) * 2021-08-30 2023-03-09 重庆海尔洗衣机有限公司 洗涤设备的洗涤剂投放装置及洗涤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3883B1 (ko) 2019-05-22
EP2703545B1 (en) 2017-10-11
US20140053614A1 (en) 2014-02-27
EP2703545A3 (en) 2015-10-21
EP2703545A2 (en) 2014-03-05
US9777424B2 (en) 2017-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27849A (ko) 세제공급장치를 가지는 세탁기
US9340919B2 (en) Detergent supply apparatus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101186320B1 (ko) 드럼 세탁기의 세제 투입장치
US9702077B2 (en) Washing machine
US20160010267A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washing machine
KR101082563B1 (ko) 드럼 세탁기의 세제박스
US8739578B2 (en) Washing machine with a liquid detergent mixer
US9297106B2 (en) Washing machine having a detergent box with a partitioning member
US20050274155A1 (en) Washing machine with detergent supply unit
KR20130016932A (ko) 세탁기
KR101215448B1 (ko) 세탁기
WO2008115017A1 (en) Washing machine
JP2011240078A (ja) 洗濯機
KR20100059370A (ko) 세탁기
KR101013374B1 (ko)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KR101010698B1 (ko) 세탁기
KR100753440B1 (ko)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KR101252158B1 (ko) 세탁기의 세제공급기구
KR20050047424A (ko)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RU2293151C1 (ru) Узел для подачи моющего средства стиральной машины
KR101236194B1 (ko) 세탁기
KR20090079708A (ko) 세탁기의 세제 공급 장치
KR101139247B1 (ko)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KR101568037B1 (ko) 드럼세탁기용 세제함
KR20120133988A (ko)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