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9247B1 -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9247B1
KR101139247B1 KR1020040091029A KR20040091029A KR101139247B1 KR 101139247 B1 KR101139247 B1 KR 101139247B1 KR 1020040091029 A KR1020040091029 A KR 1020040091029A KR 20040091029 A KR20040091029 A KR 20040091029A KR 101139247 B1 KR101139247 B1 KR 101139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input space
detergent input
supply devic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1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9076A (ko
Inventor
양윤석
남궁관석
강명순
노형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05252888A priority Critical patent/EP1607508A3/en
Priority to US11/127,194 priority patent/US20050274155A1/en
Priority to JP2005167515A priority patent/JP4137916B2/ja
Publication of KR20050119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9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9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9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69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 A47B88/975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in the form of repositionable partition wal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in a liquid stat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일한 세제투입공간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분말세제와 액체세제를 선택적으로 투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세제투입공간 내에서의 세제의 유동을 조절하여 세제와 세탁수가 잘 섞이도록 마련된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는 세제용기와, 상기 세제용기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세제투입공간과, 상기 세제투입공간에 마련되어 상기 세제투입공간 내에서의 세제의 유동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또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세제투입공간 내에 세제가 머무를 수 있는 시간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도록 마련된다.

Description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WASHING MACHINE HAVING DETERGENT FEED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세탁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세제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세제공급장치의 세제용기로부터 조절부재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세제공급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 액체세제의 투입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세제공급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 분말세제의 투입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20: 급수장치 21,22: 급수밸브
23a,23b,23c: 급수관 24: 연결관 30: 세제공급장치
40: 하우징 50: 하부케이스 51: 유출구
60: 상부케이스 61a,61b,61c: 급수채널 62a,62b,62c: 유입구
63: 통공 70: 세제용기 71: 구획판
72,73,74: 세제투입공간 74a: 승강안내홈 80: 조절부재
81: 승강안내돌기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제가 급수되는 세탁수와 함께 세탁조 내부로 공급되도록 마련된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물이 투입된 세탁조 내부에 세탁수과 세제를 함께 공급시킨 후 이러한 세탁조를 모터에 의해 회전시켜 세탁물이 세탁되도록 하는 장치로, 이러한 세탁기의 본체 일측에는 세제가 급수되는 세탁수와 함께 세탁조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세제공급장치가 마련된다.
드럼세탁기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자면, 이러한 세제공급장치는 드럼세탁기 본체 상부의 전면부에 내장되는 것으로 그 전면이 개방되는 상자 형태의 하우징과, 하우징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장착되며 서랍형태로 착탈되는 세제용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하우징의 후면 상부에는 급수밸브로부터 그 내부의 세제용기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급수관이 연결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 하부에는 하우징 내부의 세제용기를 거친 물이 세탁기의 세탁조 공급될 수 있도록 연결관과 연결되는 유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세제공급장치는 사용자가 세제용기의 세제투입공간에 분말세제를 투입할 경우 분말세제가 세제투입공간 내에 머물러 있다가 급수되는 물에 의해 하우징의 유출구 쪽으로 씻겨 내려가면서 급수되는 물에 고루 섞인 상태로 세탁조로 공급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세제공급장치는 사용자가 세제투입공간에 액체세제를 투입할 경우 이러한 액체세제가 세제투입공간에 투입됨과 동시에 세제투입공간의 경사진 바닥을 따라 곧바로 유출구 쪽으로 흘러내려 세탁조로 공급되어 급수되는 세탁수에 이러한 액체세제가 고르게 섞이지 못하게 되기 때문에, 세제투입공간에 액체세제와 분말세제를 선택적으로 투입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일한 세제투입공간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분말세제와 액체세제를 선택적으로 투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세제투입공간 내에서의 세제의 유동을 조절하여 세제와 세탁수가 잘 섞이도록 마련된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는 세제용기와, 상기 세제용기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세제투입공간과, 상기 세제투입공간에 마련되어 상기 세제투입공간 내에서의 세제의 유동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는 세제용기와, 상기 세제용기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세제투입공간과, 상기 세제투입공간에 마련되어 상기 세제투입공간 내에 세제가 머무를 수 있는 시간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도록 마련된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제투입공간은 상부와 후방 측 단부가 개방되고 분말세제와 액체세제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상기 세제용기에 마련되고,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세제투입공간의 양 측면 사이에 승강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상기 세제투입공간에 액체세제가 투입될 경우 상기 세제투입공간 내부에 액체세제가 머무를 수 있는 시간을 늘리도록 하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세제투입공간에 분말세제가 투입될 경우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절부재의 승강동작을 안내하도록 상기 세제투입공간의 양 측면에는 승강안내홈이 각각 마련되고, 상기 조절부재의 양단에는 상기 각 승강안내홈에 진입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조절부재의 승강시 상기 승강안내홈을 따라 조절부재와 함께 승강하도록 형성된 승강안내돌기가 각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안내홈은 상기 세제투입공간의 상부 측 양 측면에 각각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구간에 걸쳐 마련되고, 상기 승강안내돌기는 상기 조절부재의 상부 양단에 각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안내돌기는 상기 승강부재가 상부나 하부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안내홈에 꽉 끼워지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안내돌기는 상기 승강안내홈에 회전이 제한된 상태로 결합되 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세제투입공간의 개방된 후방 측 단부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세제투입공간의 전방측 단부와 개방된 후방 측 단부 사이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제투입공간의 바닥은 상기 제세투입공간의 전방으로부터 후방 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절부재의 높이는 상기 세제투입공간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제투입공간은 상호 구획된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조절부재는 이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세제투입공간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세탁수가 담수되도록 설치된 수조와, 상기 수조 내부로 세탁수를 공급하도록 마련된 급수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상기 급수장치로부터 상기 수조로 공급되는 세탁수가 상기 세제투입공간을 경유할 수 있도록 상기 급수장치와 상기 수조 사이의 급수유로 상에 마련되며, 상기 세제투입공간을 경유하는 세탁수는 상기 세제투입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세제투입공간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세제투입공간의 개방된 후방 측 단부를 통해 상기 세제투입공간 외부로 유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세제투입공간에 투입된 세제는 상기 세제투입공간을 경유하는 세탁수에 섞인 상태에서 세탁수와 함께 상기 수조 내부로 공급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이 적용된 드럼세탁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수의 담수가 가능하도록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 원통형의 수조(11)와, 수조(1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벽면에 다수의 탈수공이 형성된 원통형의 세탁조(12)를 구비한다.
수조(11)의 하부에는 수조(11) 내부의 세탁조(12)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세탁, 헹굼, 탈수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구동모터(13)가 설치되며, 수조(11)와 세탁조(12)는 사용자가 본체(10)의 전방에서 세탁물을 인출할 수 있도록 본체(10)의 전방 쪽에 개구가 형성되도록 마련되고, 본체(10)의 전방에는 이러한 개구를 개폐하도록 도어(14)가 설치된다.
또 수조(11)의 상부에는 수조(11)의 내부로 세탁수를 공급하도록 수조(11)와 급수유로를 통해 연결된 급수장치(20)가 설치되고, 수조(11)의 하부에는 세탁 종료 후 수조(11) 내부의 세탁수를 본체(10) 외부로 강제 배수시키기 위한 것으로 배수관(16a) 및 배수펌프(16b)를 포함하는 배수장치(16)가 설치된다.
또한, 급수장치(20)와 수조(11) 사이의 급수유로 중도에는 세제가 수조(11) 내부로 공급되는 세탁수에 섞인 상태에서 세탁수와 함께 수조(11)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세제공급장치(30)가 마련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급수장치(20)는 외부의 급수호스(미도시)와 연결되며 급수를 제어하도록 마련된 복수의 급수밸브(21,22)와, 상기 급수호스(미 도시)와 함께 급수유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급수밸브(21,22)와 세제공급장치(30)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급수관(23a,23b,23c) 및 세제공급장치(30)를 거친 세탁수를 수조(11)의 내부로 안내하는 연결관(24)을 구비하도록 마련된다.
또 세제공급장치(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개구부(41)가 형성되는 상자형상의 하우징(40)과, 상기 하우징(40)의 개구부(41)를 통해 하우징(4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세제용기(70)를 포함하며, 이러한 세제공급장치(30)는 상기 세제용기(70)를 본체(10)의 외부에서 통상의 서랍과 같이 착탈할 수 있도록 본체(10)의 상측 전면부에 설치된다.
하우징(40)은 내부에 세제용기(7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그 전면과 상면이 개방된 구조의 하부케이스(50)와, 하부케이스(50)의 개방된 상면을 덮도록 하부케이스(5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스(60)가 상호 결합되어 형성된다.
또 상부케이스(60)의 내부에는 서로 구획된 복수의 급수채널(61a,61b,61c)이 형성되고, 상부케이스(60)의 후단에는 상부케이스(60)의 각 급수채널(61a,61b,61c) 내부로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각 급수관(23a,23b,23c)이 연결되는 복수의 유입구(62a,62b,62c)가 형성되며, 상부케이스(60)의 바닥에는 각 급수채널(61a,61b,61c)로 공급된 물이 세제용기(70)의 상부로 분산되며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통공(63)이 형성된다.
또한, 하부케이스(50)는 하우징(40) 내부로 전달된 물이 상기 수조(11)로 공급될 수 있도록 바닥면 후방 쪽에 형성되며 연결관(24)이 결합되는 유출구(51)를 구비하고, 하부케이스(50)의 바닥면은 하우징(40) 내부의 물이 유출구(51) 쪽으로 흐르기 용이하도록 유출구(51)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 하부케이스(50)의 양쪽 측면 상부에는 세제용기(70)의 착탈을 안내하도록 안내레일(52)이 형성된다.
그리고 세제용기(70)는 상부와 후면이 개방된 구조로 마련되며, 그 내부에는 세제를 종류별로 구분하여 투입할 수 있도록 구획판(71)을 통해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된 세제투입공간(72,73,74)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각 세제투입공간(72,73,74)은 상기 세제용기(70)의 전후방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부와 후방 측 단부가 개방되도록 마련되고, 각각 상부케이스(60)의 내부에 마련된 각 급수채널(61a,61b,61c)과 대응하도록 구성되며, 그 바닥이 전방으로부터 후방 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급수장치(30)로부터 수조(11) 측으로 공급되는 세탁수는 수조(11)로 공급되기 전에 각 세제투입공간(72,73,74)을 경유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각 세제투입공간(72,73,74)에 투입된 세제는 세탁수에 섞인 상태에서 세탁수와 함께 수조(11) 내부로 공급된다.
즉, 하우징(40) 상부의 각 급수채널(61a,61b,61c)을 통해 세제용기(70) 측으로 공급된 세탁수는 각 세제투입공간(72,73,74)의 상부를 통해 각 세제투입공간(72,73,74)으로 유입된 후 각 세제투입공간(72,73,74)의 경사진 바닥을 따라 세제투입공간(72,73,74)의 후방 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각 세제투입공간(72,73,74)에 투입된 세제가 세탁수에 섞이게 되고, 이렇게 세탁수에 섞이게 된 세제는 계속해서 세제투입공간(72,73,74)의 개방된 후방 측 단부와 상기 하우징(40)의 유출구(51) 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세탁수와 함께 수조(11) 내부로 공급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제투입공간(72,73,74) 중 적어도 하나의 세제투입공간(74)에는 분말세제와 액체세제가 선택적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고, 이러한 세제투입공간(74)의 일측에는 세제투입공간(74) 양 측면 사이에 승강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상기 세제투입공간(74)에 액체세제가 투입될 경우 이러한 액체세제가 상기 세제투입공간(74) 내부에 머무를 수 있는 시간을 늘리 수 있도록 하측으로 이동되며, 분말세제가 투입될 경우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고, 세제투입공간(74)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를 갖도록 마련된 조절부재(80)가 마련된다.
이러한 조절부재(80)의 승강동작을 안내하도록 세제투입공간(74)의 상부 측 양 측면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구간에 걸쳐 형성된 승강안내홈(74a)이 각각 마련되고, 조절부재(80)의 상부 양단에는 상기 각 승강안내홈(74a)에 진입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조절부재(80)의 승강시 상기 승강안내홈(74a)을 따라 조절부재(80)와 함께 승강하도록 형성된 승강안내돌기(81)가 각각 마련된다.
이러한 조절부재(80)의 구성은 세제투입공간(74) 내에 세제가 머무를 수 있는 시간이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도록 세제투입공간(74) 내의 세제의 유동을 조절함으로써, 세제투입공간(74)에 액체세제나 분말세제가 선택적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고, 또 이렇게 투입된 각 세제가 세제용기를 지나는 세탁수에 고르게 잘 섞 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세제투입공간(74)은 바닥이 후방 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마련되고 후방 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있어 이러한 세제투입공간(74)에 액체세제를 투입할 경우, 액체세제는 투입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40)의 유출구(51) 측으로 흐르며 추후 상기 세제투입공간(74)으로 급수되는 세탁수에 고루 섞이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세제투입공간(74)에 상기 조절부재(80)가 마련된 상태에서 유동성이 큰 액체세제를 투입하게 될 경우, 상기 조절부재(80)를 하부 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우선 조절부재(80) 전방 측 세제투입공간(74) 내부에 액체세제가 머무를 수 있는 시간이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이렇게 조절부재(80)가 세제투입공간(74)의 바닥 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급수가 이루어지게 되면, 조절부재(80) 전방 측 상기 세제투입공간(74)으로 급수되는 세탁수가 액체세제와 섞인 후 조절부재(80)의 상단을 넘어서 상기 하우징(40)의 유출구(51) 쪽으로 흐르게 되며, 이를 통해 세제투입공간(74)에 투입된 액체세제가 급수되는 세탁수에 고루 섞인 상태에서 세탁수와 함께 수조(11) 내부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반대로 상기 세제투입공간(74)에 유동성이 작은 분말세제를 투입하게 될 경우에는 조절부재(80)의 하단이 세제투입공간(74)의 바닥으로부터 큰 폭으로 이격되도록 조절부재(80)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세제투입공간(74) 내부에 투입된 분말세제가 급수되는 세탁수에 고르게 섞여 용해되면서 세탁수와 함께 수조(11) 측으로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승강안내돌기(81)는 조절부재(80)가 최상부 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승강안내홈(74a)의 상단에 위치되고, 승강부재(80)가 최하부 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승강안내홈(74a)의 하단에 위치되도록 마련되는데, 이러한 승강안내돌기(81)는 조절부재(80)가 상부나 하부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안내홈(74a)에 다소 꽉 끼워지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승강안내돌기(81)는 조절부재(80)가 세제투입공간(74)의 바닥 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세제투입공간(74) 내부의 액체세제나 세탁수에 밀려 승강안내돌기(81)를 축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승강안내홈(74a)에 회전이 제한된 상태가 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80)는 세제투입공간(74)의 전방 측 단부와 개방된 후방 측 단부 사이에 마련되어 있고, 또 조절부재(80)가 최하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급수가 이루어지기 전에는 조절부재(80) 전방 측 액체세제가 거의 조절부재(80) 후방 측으로 유동될 수 없도록 그 하단이 세제투입공간(74)의 바닥에 지지되게 마련되어 있으나, 이러한 조절부재(80)는 세제투입공간(74)의 개방된 후방 측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세제투입공간(74) 내부 전체에 액체세제를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도 무방하며, 또 조절부재(80)는 조절부재(80) 전방 측 액체세제가 소정시간 이상 머무를 수 있도록 하는 범위 내에서 최하부 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세제투입공간(74)의 바닥과 다소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다음은 이러한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의 세제투입 및 급수동작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세제용기(70)는 상기 세제투입공간(74)의 양측면에 형성된 승강안내홈(74a)에 조절부재(80)의 각 승강안내돌기(81)를 압입 결합시켜 조절부재(80)가 상기 세제투입공간(74)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조립된 상태로 하우징(40) 내부에 장착된다.
이후 사용자가 세제용기(70) 내부에 액체세제를 투입하고자 할 때는 우선 세제용기(70)를 하우징(40)으로부터 빼낸 후 상기 세제투입공간(74) 내부에 결합된 조절부재(80)를 하측으로 눌러 조절부재(80)의 하단이 세제투입공간(74)의 바닥에 지지되도록 조절부재(80)를 하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때는 조절부재(80)의 각 승강안내돌기(81)가 각 승강안내홈(74a)의 하단 측에 위치되며, 이러한 조절부재(80)는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여 상측으로 들어올리기 전에는 이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계속해서 사용자는 조절부재(80) 전방 측 세제투입공간(74)에 액체세제를 투입한 후 세제용기(70)를 하우징(40) 내부로 다시 진입시키게 되며, 이러한 과정 중에 조절부재(80) 전방 측 세제투입공간(74)에 투입된 액체세제는 세제투입공간(74)의 후방 측으로 거의 흘러 내리지 않고 세제투입공간(74) 내부에 머물러 있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로 세탁기의 급수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면, 급수밸브(21,22)를 거쳐 공급되는 세탁수가 급수관(23a,23b,23c)과 세제공급장치(30)의 유입구(62a,62b,62c)를 통해 세제공급장치(30) 내부로 공급되며, 세제공급장치(30) 내부로 공급된 세탁수는 상기 급수채널(61a,61b,61c) 중 어느 하나를 거쳐 상기 세제투 입공간(74) 내부로 분사된다. 이때 상기 조절부재(80) 전방 측 상기 세제투입공간(74)으로 급수되는 세탁수는 액체세제와 함께 고르게 섞인 후 조절부재(80)의 상단을 넘어 세제용기(70)의 후방 측으로 흐르게 되고, 계속해서 하우징(40)의 유출구(51)를 통해 세탁수와 함께 수조(11) 내부로 공급된다.
또한, 반대로 세제용기(70) 내부에 분말세제를 투입하고자 할 경우에는 세제용기(70)를 하우징(40)으로부터 빼낸 후 하부 측으로 이동되어 있던 조절부재(80)를 상부 측으로 이동시켜 조절부재(80)의 하단과 상기 세제투입공간(74)의 바닥 사이가 큰 폭으로 이격되도록 하는데, 이때는 조절부재(80)의 각 승강안내돌기(81)가 각 승강안내홈(74a)의 상단 측에 위치되며, 조절부재(80)는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여 하측으로 다시 누르기 전에는 이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계속해서 상기 세제투입공간(74)에 분말세제를 투입한 후 세제용기(70)를 하우징(40) 내부로 다시 진입시키게 되며, 이 상태로 세탁기의 급수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면, 세제투입공간(74) 내부의 분말세제가 급수되는 세탁수에 섞여 용해되면서 세제용기(70)의 후방 측으로 계속 흐르게 되고, 이를 통해 세탁수에 고르게 섞인 분말세제가 세탁수와 함께 수조(11) 내부로 공급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는 세제투입공간에 액체세제가 투입될 경우 이러한 세제투입공간 내부에 액체세제가 머무를 수 있는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측으로 이동되고 또 세제투입공간에 분말세제가 투입될 경우 상측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된 조절부재를 통해 동일 한 세제투입공간 내부에 분말세제와 액체세제를 선택적으로 투입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이러한 세제투입공간에 선택적으로 투입된 액체세제와 분말세제가 급수되는 세탁수에 고루 섞여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갖는다.

Claims (14)

  1. 세제용기와, 분말세제와 액체세제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상기 세제용기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세제투입공간과, 상기 세제투입공간에 마련되어 상기 세제투입공간 내에서의 세제의 유동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세제투입공간의 양 측면 사이에 승강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상기 세제투입공간에 액체세제가 투입될 경우 액체세제의 유동을 제한하도록 하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세제투입공간에 분말세제가 투입될 경우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의 승강동작을 안내하도록 상기 세제투입공간의 양 측면에는 승강안내홈이 각각 마련되고, 상기 조절부재의 양단에는 상기 각 승강안내홈에 진입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조절부재의 승강시 상기 승강안내홈을 따라 조절부재와 함께 승강하도록 형성된 승강안내돌기가 각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안내홈은 상기 세제투입공간의 상부 측 양 측면에 각각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구간에 걸쳐 마련되고, 상기 승강안내돌기는 상기 조절부재의 상부 양단에 각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안내돌기는 상기 승강부재가 상부나 하부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안내홈에 꽉 끼워지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안내돌기는 상기 승강안내홈에 회전이 제한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세제투입공간의 개방된 후방 측 단부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세제투입공간의 전방측 단부와 개방된 후방 측 단부 사이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투입공간의 바닥은 상기 세제투입공간의 전방으로부터 후방 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의 높이는 상기 세제투입공간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투입공간은 상호 구획된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조절부재는 이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세제투입공간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12. 제 1항에 있어서,
    세탁수가 담수되도록 설치된 수조와, 상기 수조 내부로 세탁수를 공급하도록 마련된 급수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상기 급수장치로부터 상기 수조로 공급되는 세탁수가 상기 세제투입공간을 경유할 수 있도록 상기 급수장치와 상기 수조 사이의 급수유로 상에 마련되며,
    상기 세제투입공간을 경유하는 세탁수는 상기 세제투입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세제투입공간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세제투입공간의 개방된 후방 측 단부를 통해 상기 세제투입공간 외부로 유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세제투입공간에 투입된 세제는 상기 세제투입공간을 경유하는 세탁수에 섞인 상태에서 세탁수와 함께 상기 수조 내부로 공급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13. 세제용기와, 상기 세제용기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세제투입공간과, 상기 세제투입공간에 마련되어 상기 세제투입공간 내에 세제가 머무를 수 있는 시간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도록 마련된 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투입공간은 상부와 후방 측 단부가 개방되고 분말세제와 액체세제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상기 세제용기에 마련되고,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세제투입공간의 양 측면 사이에 승강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상기 세제투입공간에 액체세제가 투입될 경우 상기 세제투입공간 내부에 액체세제가 머무를 수 있는 시간을 늘리도록 하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세제투입공간에 분말세제가 투입될 경우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14. 삭제
KR1020040091029A 2004-06-14 2004-11-09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KR101139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5252888A EP1607508A3 (en) 2004-06-14 2005-05-11 Washing machine with detergent supply unit
US11/127,194 US20050274155A1 (en) 2004-06-14 2005-05-12 Washing machine with detergent supply unit
JP2005167515A JP4137916B2 (ja) 2004-06-14 2005-06-07 洗剤供給装置を備えた洗濯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4041 2004-06-15
KR20040044041 2004-06-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9076A KR20050119076A (ko) 2005-12-20
KR101139247B1 true KR101139247B1 (ko) 2012-05-17

Family

ID=37291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1029A KR101139247B1 (ko) 2004-06-14 2004-11-09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92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698B1 (ko) * 2008-11-17 2011-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US9297106B2 (en) 2008-11-17 2016-03-29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having a detergent box with a partitioning memb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8083U (ko) * 1988-09-29 1990-04-03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8083U (ko) * 1988-09-29 1990-04-0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9076A (ko) 2005-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63854B1 (en) Apparatus for supplying detergent in washer
KR101186320B1 (ko) 드럼 세탁기의 세제 투입장치
KR101082563B1 (ko) 드럼 세탁기의 세제박스
KR101315425B1 (ko) 세탁기
KR101467882B1 (ko) 세탁기
KR101444356B1 (ko) 세탁기
KR20050118895A (ko) 세제공급장치를 갖는 세탁기
US20090293202A1 (en)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Controllable Water Supply and Method for Operating a Washing Machine of this Type
KR20050118894A (ko) 세제공급장치를 갖는 세탁기
DE112005000834T5 (de) Waschmittelzuführungsvorrichtung für Waschmaschine
US20050274155A1 (en) Washing machine with detergent supply unit
KR101215448B1 (ko) 세탁기
KR101384759B1 (ko) 세탁기
KR100753440B1 (ko)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KR101013374B1 (ko)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KR20100059370A (ko) 세탁기
KR100830488B1 (ko) 드럼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AU2020223652B2 (en) Detergent supply device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139247B1 (ko)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KR20070059426A (ko) 세탁기의 세제공급기구
KR101022224B1 (ko)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KR20030009845A (ko) 드럼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KR101034194B1 (ko)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KR20070117914A (ko) 세탁기의 세탁방법
JP5253488B2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