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7647A - 차량의 공기센서를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공기센서를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7647A
KR20140027647A KR1020120093423A KR20120093423A KR20140027647A KR 20140027647 A KR20140027647 A KR 20140027647A KR 1020120093423 A KR1020120093423 A KR 1020120093423A KR 20120093423 A KR20120093423 A KR 20120093423A KR 20140027647 A KR20140027647 A KR 20140027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air
vehicle
nume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3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6272B1 (ko
Inventor
노형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3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6272B1/ko
Publication of KR20140027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7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6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6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2Selective call receivers
    • H04W88/023Selective call receivers with message or information receiving capa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1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ppor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e.g. for weather forecasting or climate simul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공기센서를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정 지역에 있는 차량의 공기센서를 이용하여 감지되는 외부 공기에 연관된 환경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차량 운행 중에 차량에 구비된 공기센서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의 공기 오염 상황을 측정할 수 있으며, 황사, 꽃가루 등의 알레르기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고, 차량 내부의 공기센서를 통해 센싱되는 공기의 수치정보, 차량의 현재속도, 위치정보 및 해당 지역의 기상정보를 조합하여 특정지역과 관련된 환경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공기센서를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Method for providing environment information using air sensor in vehicle, system thereof, terminal thereof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의 공기센서를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지역에 있는 차량의 공기센서를 이용하여 감지되는 외부 공기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환경정보를 제공하는 차량의 공기센서를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실내의 온도 및 습도를 적정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한 냉난방장치인 히터 및 에어컨으로 구성된 공조장치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는 차량 운행 중 실내 탑승자의 쾌적함 및 안락함을 증대시키고 안전운행을 도모하기 위한 장치로서, 주위의 환경변화에 따른 온도 및 습도와 공기환경 등을 적당하게 유지함으로써 탑승자에게 쾌적한 느낌을 주게 된다.
최근에는 각종 오염물질로 인해 대기환경이 극심하게 악화되고,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도 교통량의 증가로 인해 배기가스 등과 같은 공해물질이 차량 실내로 유입됨으로써 운전자 및 탑승자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의 실내 공기를 보다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기청정기 및 차량용 FATC(Full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ler)를 차량에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공기청정기는 차량 실내의 공기를 석션 팬에 의해 공기청정기로 유입시킨 후, 먼지나 이물질을 분진 필터에 의해 1차적으로 거르고, 2차적으로는 전기 정전 집진기로 미세 먼지를 걸러낸 다음, 마지막으로 흡착 활성판 필터에 의해 세균이나 곰팡이 및 악취발생분자를 포집하는 과정을 거쳐 청정화된 공기를 실내로 다시 배출하게 된다. 또한, 차량용 FATC형 공조장치는 실내 온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내외기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인테이크 도어,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템프 도어 및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모드 도어 등을 구비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공기청정기는 차량의 시가잭에 연결해서 사용하고, 공기 청정 기능은 없으며, 음이온만을 방출해주는 경우가 많다. 또한, 공기청정기는 실내 오염도를 표시하는 장치가 거의 없어 공기청정 기능을 한다고 해도 그 사실을 확인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차량 외부의 공기를 센싱하여 외부의 환경 요소를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10-2009-0018381 A, 2009년 02월 20일 공개 (명칭: 공기 오염표시 카오디오 및 그 제어 방법)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지역에 있는 차량의 공기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외부 공기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환경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차량의 공기센서를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차량의 공기센서를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 시스템은 기 설정된 주기로 외부 공기를 감지하고, 감지된 공기에 포함된 성분들의 수치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수치정보와 현재의 위치정보를 조합하여 서비스장치로 전송하고, 서비스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환경정보를 출력하는 단말기 및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현재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외부 공기의 수치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수치정보를 위치 별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여 환경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환경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비스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특정 지역의 외부 공기에 대한 환경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서비스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외부 공기를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주기적으로 센싱하는 센서부와,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측위하는 위치정보 수집부와, 외부 공기를 분석한 결과에 대한 환경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기 설정된 주기로 외부의 공기를 감지하고, 감지된 공기에 포함된 성분들의 수치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수치정보와 현재의 위치정보를 조합하여 서비스장치로 전송하고, 서비스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를 수신하고, 출력부를 통해 수신된 환경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센서부로부터 센싱되는 외부 공기의 수치정보, 현재 위치정보, 수치정보를 비교하기 위한 임계 값, 수치정보에 관련된 환경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가 위치한 지역의 외부 공기에 대한 환경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단말기 및 기상정보 제공장치와 통신하는 서비스통신부 및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현재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외부 공기의 수치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수치정보를 위치 별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여 환경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환경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서비스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수치정보를 해당 단말기의 위치정보에 따라 구분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하고, 수치정보에 연관된 환경정보를 저장하는 서비스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공기센서를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 방법은 단말기가 기 설정된 주기로 외부 공기를 감지하는 단계와, 단말기가 감지된 공기에 포함된 성분들의 수치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단말기가 확인된 수치정보와 현재의 위치정보를 조합하여 서비스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단말기가 서비스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단말기가 수신된 환경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공기센서를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환경정보는 현재 지역의 공기 오염도, 방사능 위험도, 황사농도, 미세먼저 농도, 꽃가루 농도, 알레르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공기센서를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확인하는 단계는 단말기가 수치정보를 기 설정된 임계 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수치정보가 기 설정된 임계 값을 초과한 경우, 단말기가 현재 위치정보를 측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공기센서를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출력하는 단계는 단말기가 환경정보를 그래프 또는 표로 표시, 오디오 기능으로 출력 또는 진동기능으로 출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공기센서를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출력하는 단계 이후에, 단말기가 환경정보에 따라 외부 공기의 유입을 자동으로 차단하고, 차량 내부의 공기를 환기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공기센서를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 방법은 서비스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현재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외부 공기의 수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서비스장치가 수신된 수치정보를 위치 별로 구분하여 분석하는 단계와, 서비스장치가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여 환경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서비스장치가 생성된 환경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공기센서를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분석하는 단계는 서비스장치가 다수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외부 공기의 수치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서비스장치가 수치정보를 전송한 단말기의 위치정보로 구분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서비스장치가 저장된 수치정보와 기상정보 제공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해당 지역의 기상정보를 조합하는 단계 및 서비스장치가 조합된 결과를 적용하여 수치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공기센서를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전송하는 단계는 서비스장치가 환경정보를 해당되는 인근 지역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인근 지역의 기상정보 제공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공기센서를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생성하는 단계는 서비스장치가 현재 위치정보에 대한 공기 성분의 기준수치를 확인하는 단계와, 서비스장치가 수신된 외부공기의 수치정보와 해당 위치정보에 연관된 기준수치를 비교하는 단계 및 서비스장치가 비교 결과를 기준으로 1차 환경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공기센서를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생성하는 단계는 서비스장치가 현재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기상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서비스장치가 수집된 기상정보의 구성요소에 기 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 및 서비스장치가 외부 공기의 수치정보와 기상정보의 구성요소를 조합하여 2차 환경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공기센서를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생성하는 단계는 서비스장치가 제1 환경정보와 제2 환경정보를 조합하여 최종 환경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상술한 차량의 공기센서를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운행 중에 차량에 구비된 공기센서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의 공기 오염 상황을 측정할 수 있으며, 황사, 꽃가루 등의 알레르기(Allergy) 등의 환경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편리하다.
또한, 차량 내부의 공기센서를 통해 센싱되는 공기의 수치정보, 차량의 현재속도, 위치정보 및 해당 지역의 기상정보를 조합하여 특정지역과 관련된 환경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공기센서를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공기센서를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6의 환경정보 생성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통신망에 연결되어 차량 주변의 외부 공기에 대한 환경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를 대표적인 예로서 설명하지만 단말기는 이동통신단말기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 단말기, 유선 단말기, 고정형 단말기 및 IP(Internet Protocol) 단말기 등의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는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ID(Mobile Internet Device), 스마트폰(Smart Phone), 데스크톱(Desktop), 태블릿컴퓨터(Tablet PC), 노트북(Note book), 넷북(Net book), 네비게이션(Navigation), 하이패스(Hi-Pass) 단말기 및 정보통신 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통신 사양을 갖는 모바일(Mobile) 단말기일 때 유리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공기센서를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공기센서를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다수의 단말기(10; 10a, 10b,…, 10n), 서비스장치(20), 기상정보 제공장치(30) 및 통신망(40)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장치(20)나 단말기(10)에 탑재되는 프로세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일 구현 예에서, 이 프로세서는 싱글 쓰레드(Single-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 예에서 본 프로세서는 멀티 쓰레드(Multi-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다. 나아가 본 프로세서는 메모리 혹은 저장 장치 상에 저장된 명령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통신망(40)은 단말기(10), 서비스장치(20) 및 기상정보 제공장치(30) 사이의 데이터 전송 및 정보 교환을 위한 일련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한다. 특히, 통신망(40)은 다양한 형태의 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방식 또는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통신망(40)은 상기에 제시된 통신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도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형태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0)는 통신망(40)을 통해 서비스장치(20)와 통신하고, 공기 센서를 통해 외부 공기를 감지하여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른 환경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특히, 단말기(10)는 공기센서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주기로 외부 공기를 감지한다. 그리고, 단말기(10)는 공기센서를 통해 감지된 공기에 포함된 성분들의 수치정보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10)는 외부 공기에 포함된 질소(N₂), 산소(O₂), 이산화탄소(CO₂), 수소(H₂), 아르곤(A), 네온(Ne), 크리프톤(Kr), 헬륨(He), 크세논(X) 등의 성분들에 대한 수치정보를 확인한다.
단말기(10)는 확인된 수치정보와 현재의 위치정보를 조합하여 서비스장치(20)로 전송한다. 이후, 단말기(10)는 서비스장치(20)로부터 환경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환경정보를 제공한다.
서비스장치(20)는 통신망(40)을 통해 단말기(10) 및 기상정보 제공장치(30)와 통신하여 외부 공기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환경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특히, 서비스장치(20)는 단말기(10)로부터 현재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외부 공기의 수치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서비스장치(20)는 수신된 수치정보를 위치 별로 구분하여 분석한다. 이후, 서비스장치(20)는 수치정보의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여 환경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환경정보를 해당되는 단말기(10)로 전송한다.
서비스장치(20)는 단말기(10)의 현재 위치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GPS 기반 방식 또는 셀 기반 방식으로 단말기(10)의 현재 위치정보를 측위한다. 그리고, 서비스장치(20)는 맑은날, 비오는날, 흐린날 등의 날씨 별로 구분되는 기상정보에 대응하는 외부 공기의 성분을 수집하고, 수집된 외부 공기의 성분과 기 설정된 임계 값을 기초로 하여 현재 위치정보에 대한 공기 오염도, 방사능 위험도, 황사농도, 미세먼저 농도, 꽃가루 농도, 알레르기 정보 등에 관련된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에 대한 데이터를 단말기(10)로 제공한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서비스장치(20)는 현재 차량의 위치정보를 확인한다. 위치정보가 확인되면, 서비스장치(20)는 차량 내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되는 현재 위치정보와 관련된 외부의 공기성분에 대한 수치정보를 확인한다. 즉, 서비스장치(20)는 차량의 현재 위치가 고속도로, 일반도로, 도심, 주택가, 산악, 터널, 바닷가 중 어느 지역에 위치하는지 확인한다. 즉, 서비스장치(20)는 위치정보 별로 설정되어 있는 기준 수치 정보와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된 현재 외부 공기의 수치정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 특정 공기성분의 수치가 일정 수치 이상 높은 경우, 이를 공기 오염, 황사 발생, 방사능 위험 등으로 판단하여 환경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장치(20)는 좌표로 구분된 지도데이터를 기 저장하고 있으며, 단말기(10)의 위치정보로 확인되는 좌표에 따라 현재 위치한 지역을 결정할 수 있다.
위치정보가 결정되면, 서비스장치(20)는 해당 위치에 대한 공기 성분의 기준 수치를 확인한다. 여기서, 기준 수치는 각각의 위치 별로 설정되어 있는 공기에 대한 수치정보가 된다.
그리고, 서비스장치(20)는 수집된 외부 공기의 수치정보와 기준 수치를 비교하여 1차 환경정보를 생성한다. 이를 통해, 서비스장치(20)는 공기 오염도, 방사능 위험도, 황사 농도, 미세먼저 농도, 꽃가루 농도, 알레르기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서비스장치(20)는 기상정보 제공장치(30)를 통해 현재 위치정보와 연관된 기상정보를 확인한다. 이때, 기상정보는 날씨에 따라 맑은날, 비오는날, 흐린날, 건조한날, 습한날, 눈오는날 등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각 날씨는 온도, 습도, 기압, 풍속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여기서, 서비스장치(20)는 날씨 별로 외부 공기의 수치정보에 기 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하고, 외부 공기의 수치정보와 기상정보의 각 구성요소를 조합하여 2차 환경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일반적으로 외부공기 성분에 포함된 질소는 78%, 산소는 20%, 기타성분이 2%로 측정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질소 및 산소에 대한 성분을 제외하고, 기타성분(이산화탄소, 수소, 아르곤, 네온, 크리프톤, 헬륨, 크세논 등)에 대한 수치정보에만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서비스장치(20)는 1차 환경정보와 2차 환경정보를 비교하여 최종 환경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서비스장치(20)는 1차 환경정보와 2차 환경정보 중에서 인접한 다른 차량으로부터 수집되는 외부공기에 대한 수치정보의 분석 결과를 통해 최종 환경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장치(20)는 공기 오염도, 방사능 위험도, 황사 농도, 미세먼저 농도, 꽃가루 농도, 알레르기 정보를 상, 중, 하 단위 또는 수치로 구분하여 환경정보를 결정한다.
기상정보 제공장치(30)는 통신망(40)을 통해 서비스장치(20)와 연결되어 특정 지역의 기상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서비스장치(20)로 제공한다. 특히, 기상정보 제공장치(30)는 서비스장치(20)의 요청에 따라 단말기(10)의 위치정보에 연관된 지역의 기상정보를 검색하여 서비스장치(2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기상정보 제공장치(30)는 측정 가능한 모든 지역의 날씨, 온도, 습도, 풍량 등에 대한 기상정보를 지역에 따라 구분하여 저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차량 운행 중에 차량에 구비된 공기센서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의 공기 오염 상황을 측정할 수 있으며, 황사, 꽃가루 등의 알레르기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차량 내부의 공기센서를 통해 센싱되는 공기의 수치정보, 차량의 현재속도, 위치정보 및 해당 지역의 기상정보를 조합하여 특정지역과 관련된 환경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기(10)는 제어부(11), 입력부(12), 출력부(13), 센서부(14), 저장부(15), 위치정보 수집부(16) 및 통신부(17)로 구성된다. 이때, 제어부(11)는 수치정보 확인부(11a)를 포함한다.
입력부(12)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을 설정 및 단말기(1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부(11)로 전달한다. 또한, 입력부(12)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입력부(12)는 출력부(13)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입력 장치 외에도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출력부(13)는 단말기(10)의 기능 수행 중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상태 및 동작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이러한 출력부(13)는 단말기(10)의 메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부(13)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 LCD),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발광다이오드(LED),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3 Dimension)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출력부(13)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이와 같이, 터치스크린 형태로 형성된 경우, 출력부(13)는 입력부(12)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력부(13)는 외부 공기의 분석을 통해 제공되는 환경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출력부(13)는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SPK)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제어부(11)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출력부(13)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형식의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형식으로 변환하여 제어부(11)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3)는 제어부(11)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형식의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출력부(13)는 차량의 외부 공기에 관련된 환경정보를 오디오 기능으로 제공하고, 이에 적용되는 모든 효과음, 설정음 또는 실행음을 출력한다.
센서부(14)는 공기센서를 포함하며, 단말기(10)의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유입구를 통해 전달된 차량 외부의 공기를 센싱한다. 이때, 센서부(14)는 제어부(11)의 제어에 따라 주기적으로 외부 공기를 감지한다.
저장부(15)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주 기억 장치 및 보조 기억 장치를 포함하고, 단말기(10)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15)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10)는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여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어부(11)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 영역은 단말기(1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 차량의 외부 공기에 포함된 성분들의 수치를 확인하는 프로그램, 외부공기의 수치정보와 임계 값을 비교하는 프로그램, 환경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외부 공기 유입을 차단하고, 내부 공기를 환기시키는 프로그램 등을 포함한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단말기(1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영역은 차량이 위치한 지역의 외부공기에 포함되는 성분들의 수치정보, 수치정보에 대응하는 기준 임계 값, 위치정보, 현재 지역에 대한 환경정보 등을 저장한다. 여기서, 환경정보는 현재 지역의 공기 오염도, 방사능 위험도, 황사농도, 미세먼저 농도, 꽃가루 농도, 알레르기 정보 등이 포함된다. 또한, 외부공기에 포함되는 성분으로는 공기에 포함된 질소, 산소, 이산화탄소, 수소, 아르곤, 네온, 크리프톤, 헬륨, 크세논 등의 성분들이 포함된다.
위치정보 수집부(16)는 제어부(11)의 제어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단말기(10)의 위도 및 경도 등의 현재위치 정보를 파악하여 제어부(11)에 전송한다. 그런데, GPS위성으로부터의 수신 신호만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위치정보 수집부(16)는 정확한 위치정보를 위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라운드 트립 지연(Round Trip Delay) 정보, 파일럿 위상(Pilot Phase)파일 정보 등을 GPS신호와 함께 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기지국은 두 가지 역할을 한다. 하나는 통신센터와 단말기(10)의 데이터 전송을 중개하는 역할이고, 다른 하나는 단말기(10)의 위치, 즉,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위치정보 수집부(16)는 상술한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단말기(10)의 위치를 파악하거나 3곳 이상의 기지국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정밀위치를 파악하는 삼각법 등을 통해 단말기(10)의 현재 위치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통신부(17)는 서비스장치(20)와 통신망(40)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통신부(17)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 수단과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 수단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통신부(17)는 무선통신 모듈(미도시) 및 유선통신 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며, 단말기(10)가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무선망 통신 모듈, 무선랜 통신 모듈 및 무선팬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서비스장치(20)로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을 통해 통신망(40)에 접속하여, 다른 단말기 및 서비스장치(20)와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즉, 단말기(10)는 유선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통신망(40)에 접속하며, 통신망(40)을 통해 서비스장치(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부(17)는 특정 지역의 공기와 관련된 환경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서비스장치(20)와 통신한다.
제어부(11)는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1)는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가 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1)는 기 설정된 주기로 센서부(14)를 통해 외부 공기를 감지한다. 그리고, 제어부(11)는 감지된 공기에 포함된 성분들의 수치정보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1)는 외부 공기에 포함된 질소, 산소, 이산화탄소, 수소, 아르곤, 네온, 크리프톤, 헬륨, 크세논 등의 성분들에 대한 수치정보를 확인한다. 이후, 제어부(11)는 수치정보를 기 설정된 임계 값과 비교하고, 수치정보가 기 설정된 임계 값을 초과한 경우, 현재 위치정보를 측위한다.
제어부(11)는 확인된 수치정보와 현재의 위치정보를 조합하여 서비스장치(20)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11)는 서비스장치(20)로부터 환경정보를 수신한다. 이후, 제어부(11)는 수신된 환경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제어부(11)는 환경정보를 그래프 또는 표로 표시, 오디오 기능으로 출력 또는 진동기능으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환경정보는 현재 지역의 공기 오염도, 방사능 위험도, 황사농도, 미세먼저 농도, 꽃가루 농도, 알레르기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1)는 환경정보에 따라 외부 공기의 유입을 자동으로 차단하고, 차량 내부의 공기를 환기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10)의 동작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1)는 수치정보 확인부(11a)를 구비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수치정보 확인부(11a)는 차량에 장착된 공기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외부 공기의 성분들에 대한 수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수치와 기 설정된 기준 임계 값을 비교한다. 그리고, 수치정보 확인부(11a)는 외부 공기의 성분들에 대한 수치와 기준 임계 값과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생성되는 환경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의 전송을 요청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장치(20)는 서비스제어부(21), 서비스저장부(22) 및 서비스통신부(23)로 구성된다. 여기서, 서비스제어부(21)는 수치정보 분석부(21a)와 환경정보 생성부(21b)를 포함한다.
서비스통신부(23)는 통신망(40)을 통해 단말기(10) 및 기상정보 제공장치(3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서비스통신부(23)는 단말기(10)가 위치한 지역의 외부 공기에 대한 환경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단말기(10) 및 기상정보 제공장치(30)와 통신한다.
서비스저장부(22)는 서비스장치(20)의 기능 실행에 따른 전반적인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서비스저장부(22)는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되는 수치정보를 해당 단말기(10)의 위치정보에 따라 구분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한다. 또한, 서비스저장부(22)는 공기의 성분들에 대한 수치정보에 연관된 환경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서비스저장부(22)는 기상정보 제공장치(30)로부터 수신되는 측정 가능한 모든 지역의 날씨, 온도, 습도, 풍량 등에 대한 기상정보를 저장한다.
서비스제어부(21)는 운영 체제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제어부(21)는 단말기(10)로부터 현재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외부 공기의 수치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제어부(21)는 외부 공기에 포함된 질소, 산소, 이산화탄소, 수소, 아르곤, 네온, 크리프톤, 헬륨, 크세논 등의 성분들에 대한 수치정보를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하여 확인한다. 그리고, 서비스제어부(21)는 수신된 수치정보를 단말기(10)의 위치 별로 구분하여 분석한다. 이때, 서비스제어부(21)는 고속도로, 일반도로, 터널, 산악지대, 바닷가, 도심 또는 주택가 등으로 구분하여 단말기(10)의 위치에 따라 수치정보를 관리한다. 즉, 서비스제어부(21)는 다수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외부 공기의 수치정보를 확인하고, 수치정보를 전송한 단말기(10)의 위치정보로 구분한 후,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한다.
서비스제어부(21)는 저장된 수치정보와 기상정보 제공장치(30)로부터 수신되는 해당 지역의 기상정보를 조합하고, 조합된 결과를 적용하여 수치정보를 분석한다. 여기서, 기상정보는 측정 가능한 모든 지역의 날씨, 온도, 습도, 풍량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서비스제어부(21)는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여 환경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환경정보를 단말기(10)로 전송한다. 이때, 서비스제어부(21)는 생성된 환경정보를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해당 단말기 또는 인근 지역의 다른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인근 지역의 기상정보 제공장치(30)로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제어부(21)는 위치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GPS 기반 방식 또는 셀 기반 방식으로 단말기(10)의 현재 위치정보를 측위한다. 그리고, 서비스제어부(21)는 맑은날, 비오는날, 흐린날 등의 날씨 별로 구분되는 기상정보에 대응하는 외부 공기의 성분을 수집하고, 수집된 외부 공기의 성분과 기 설정된 임계 값을 기초로 하여 현재 위치정보에 대한 공기 오염도, 방사능 위험도, 황사농도, 미세먼저 농도, 꽃가루 농도, 알레르기 정보 등에 관련된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에 대한 데이터를 단말기(10)로 제공한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서비스제어부(21)는 현재 차량의 위치정보를 확인한다. 위치정보가 확인되면, 서비스제어부(21)는 차량 내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되는 현재 위치정보와 관련된 외부의 공기성분에 대한 수치정보를 확인한다. 즉, 서비스제어부(21)는 차량의 현재 위치가 고속도로, 일반도로, 도심, 주택가, 산악, 터널, 바닷가 중 어느 지역에 위치하는지 확인한다. 이를 위해, 서비스제어부(21)는 좌표로 구분된 지도데이터를 기 저장하고 있으며, 단말기(10)의 위치정보로 확인되는 좌표에 따라 현재 위치한 지역을 결정할 수 있다.
위치정보가 결정되면, 서비스제어부(21)는 해당 위치에 대한 공기 성분의 기준 수치를 확인한다. 여기서, 기준 수치는 각각의 위치 별로 설정되어 있는 공기에 대한 수치정보가 된다.
그리고, 서비스제어부(21)는 수집된 외부 공기의 수치정보와 기준 수치를 비교하여 1차 환경정보를 생성한다. 즉, 서비스제어부(21)는 위치정보 별로 설정되어 있는 기준 수치 정보와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된 현재 외부 공기의 수치정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 특정 공기성분의 수치가 일정 수치 이상 높은 경우, 이를 공기 오염, 황사 발생, 방사능 위험 등으로 판단하여 환경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비스제어부(21)는 공기 오염도, 방사능 위험도, 황사 농도, 미세먼저 농도, 꽃가루 농도, 알레르기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서비스제어부(21)는 기상정보 제공장치(30)를 통해 현재 위치정보와 연관된 기상정보를 확인한다. 이때, 기상정보는 날씨에 따라 맑은날, 비오는날, 흐린날, 건조한날, 습한날, 눈오는날 등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각 날씨는 온도, 습도, 기압, 풍속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여기서, 서비스제어부(21)는 날씨 별로 외부 공기의 수치정보에 기 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하고, 외부 공기의 수치정보와 기상정보의 각 구성요소를 조합하여 2차 환경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일반적으로 외부공기 성분에 포함된 질소는 78%, 산소는 20%, 기타성분이 2%로 측정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질소 및 산소에 대한 성분을 제외하고, 기타성분(이산화탄소, 수소, 아르곤, 네온, 크리프톤, 헬륨, 크세논 등)에 대한 수치정보에만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서비스제어부(21)는 1차 환경정보와 2차 환경정보를 비교하여 최종 환경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서비스제어부(21)는 1차 환경정보와 2차 환경정보 중에서 인접한 다른 차량으로부터 수집되는 외부공기에 대한 수치정보의 분석 결과를 통해 최종 환경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제어부(21)는 공기 오염도, 방사능 위험도, 황사 농도, 미세먼저 농도, 꽃가루 농도, 알레르기 정보를 상, 중, 하 단위 또는 수치로 구분하여 환경정보를 결정한다.
이와 같은 서비스장치(20)의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제어부(21)는 수치정보 분석부(21a) 및 환경정보 생성부(21b)를 구비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수치정보 분석부(21a)는 다수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외부 공기에 대한 수치정보를 확인한다. 그리고, 수치정보 분석부(21a)는 확인된 데이터를 해당되는 차량이 위치한 위치정보에 연관하여 저장한다. 또한, 환경정보 생성부(21b)는 분석된 수치정보, 해당 차량이 위치한 위치정보, 위치정보에 연관된 기상정보를 조합하여 환경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서비스장치(20)는 서버 기반 컴퓨팅 기반 방식 또는 클라우드 방식으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를 이용하여 차량 외부 공기의 분석을 통해 획득되는 환경정보에 대한 데이터는 인터넷 상의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에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기능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우드 컴퓨팅은 데스크톱,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넷북 및 스마트폰 등의 디지털 단말기에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가상화된 IT(Information Technology) 자원, 예를 들어, 하드웨어(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소프트웨어(데이터베이스, 보안, 웹 서버 등), 서비스, 데이터 등을 온 디맨드(On demand) 방식으로 서비스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한편, 서비스장치(20)나 단말기(10)에 탑재되는 메모리는 그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일 구현 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일 수도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저장장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다양한 서로 다른 구현 예에서, 저장장치는 예컨대 하드디스크 장치, 광학디스크 장치, 혹은 어떤 다른 대용량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비록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는 예시적인 장치 구성을 기술하고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다른 유형의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공기센서를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장치(20)나 단말기(1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앞서 설명한 기능들과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명령으로는, 예컨대 Java Script나 ECMA Script 명령 등의 스크립트 명령과 같은 해석되는 명령이나 실행 가능한 코드 혹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는 기타의 명령이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서버 팜(Server Farm)과 같이 네트워크에 걸쳐서 분산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혹은 단일의 컴퓨터 장치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단말기(10)는 S11 단계에서 공기센서를 통해 기 설정된 주기로 외부 공기를 감지한다. 그리고, 단말기(10)는 S13 단계에서 감지된 공기에 포함된 성분들의 수치정보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10)는 외부 공기에 포함된 질소, 산소, 이산화탄소, 수소, 아르곤, 네온, 크리프톤, 헬륨, 크세논 등의 성분들에 대한 수치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단말기(10)는 수치정보를 기 설정된 임계 값과 비교한다. 이후, 단말기(10)는 S15 단계에서 수치정보가 기 설정된 임계 값을 초과한 경우, 차량이 위치한 현재 위치정보를 측위한다. 또한, 단말기(10)는 S17 단계에서 확인된 수치정보와 현재의 위치정보를 조합하여 서비스장치(20)로 전송한다.
서비스장치(20)는 S19 단계에서 단말기(10)로부터 현재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외부 공기의 수치정보를 수신하고, 해당되는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확인한다. 또한, 서비스장치(20)는 수신된 수치정보를 단말기(10)의 위치 별로 구분하여 분석한다. 여기서, 서비스장치(20)는 다수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외부 공기의 수치정보를 확인하고, 수치정보를 전송한 단말기의 위치정보로 구분한 후,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서비스장치(20)는 S21 단계에서 단말기(10)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기상정보를 기상정보 제공장치(30)로 요청한다.
기상정보 제공장치(30)는 S23 단계에서 서비스장치(20)의 요청에 따라 단말기(10)의 위치정보에 연관된 지역의 기상정보를 검색하고, S25 단계에서 이에 대한 데이터를 서비스장치(2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기상정보 제공장치(30)는 측정 가능한 모든 지역의 날씨, 온도, 습도, 풍량 등에 대한 기상정보를 지역에 따라 구분하여 저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비스장치(20)는 S27 단계에서 저장된 수치정보와 기상정보 제공장치(30)로부터 수신되는 해당 지역의 기상정보를 조합하고, 조합된 결과를 적용하여 수치정보를 분석한다.
서비스장치(20)는 S29 단계에서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여 환경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서비스장치(20)는 S31 단계에서 생성된 환경정보를 단말기(10)로 전송한다. 또한, 서비스장치(20)는 환경정보를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해당 단말기(10) 또는 인근 지역의 다른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인근 지역의 기상정보 제공장치(30)로 제공할 수 있다.
단말기(10)는 S33 단계에서 서비스장치(20)로부터 환경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환경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환경정보는 현재 지역의 공기 오염도, 방사능 위험도, 황사농도, 미세먼저 농도, 꽃가루 농도, 알레르기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단말기(10)는 환경정보를 그래프 또는 표로 표시, 오디오 기능으로 출력 또는 진동기능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후, 단말기(10)는 환경정보에 따라 외부 공기의 유입을 자동으로 차단하고, 차량 내부의 공기를 환기 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장치(20)는 위치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GPS 기반 방식 또는 셀 기반 방식으로 단말기(10)의 현재 위치정보를 측위한다. 그리고, 서비스장치(20)는 맑은날, 비오는날, 흐린날 등의 날씨 별로 구분되는 기상정보에 대응하는 외부 공기의 성분을 수집하고, 수집된 외부 공기의 성분과 기 설정된 임계 값을 기초로 하여 현재 위치정보에 대한 공기 오염도, 방사능 위험도, 황사농도, 미세먼저 농도, 꽃가루 농도, 알레르기 정보 등에 관련된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운행 중에 차량에 구비된 공기센서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의 공기 오염 상황을 측정할 수 있으며, 황사, 꽃가루 등의 알레르기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차량 내부의 공기센서를 통해 센싱되는 공기의 수치정보, 차량의 현재속도, 위치정보 및 해당 지역의 기상정보를 조합하여 특정지역과 관련된 환경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는 S41 단계에서 공기 센서를 통해 기 설정된 주기로 외부 공기를 감지한다. 그리고, 단말기(10)는 S43 단계에서 감지된 공기에 포함된 성분들의 수치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단말기(10)는 수치정보를 기 설정된 임계 값과 비교한다. 이후, 단말기(10)는 S45 단계에서 수치정보가 기 설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는지 확인한다. 수치정보가 기 설정된 임계 값을 초과한 경우, 단말기(10)는 S47 단계에서 차량이 위치한 현재 위치정보를 측위하고, 수치정보와 현재의 위치정보를 조합하여 서비스장치(20)로 전송하여 환경정보 분석을 요청한다.
한편, 감지된 외부 공기에 대한 수치정보가 기 설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단말기(10)는 외부 공기에 대한 센싱을 기 설정된 주기로 다시 실행한다.
단말기(10)는 S49 단계에서 서비스장치(20)로부터 환경정보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환경정보가 수신되면, 단말기(10)는 S51 단계에서 수신된 환경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서, 환경정보는 현재 지역의 공기 오염도, 방사능 위험도, 황사농도, 미세먼저 농도, 꽃가루 농도, 알레르기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단말기(10)는 환경정보를 그래프 또는 표로 표시, 오디오 기능으로 출력 또는 진동기능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후, 단말기(10)는 환경정보에 따라 외부 공기의 유입을 자동으로 차단하고, 차량 내부의 공기를 환기 시킬 수 있다.
한편, 환경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단말기(10)는 서비스장치(20)로 환경정보 재전송을 요청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장치(20)는 S61 단계에서 단말기(10)로부터 현재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외부 공기의 수치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단말기(10)는 S63 단계에서 해당되는 단말기(10)의 위치정보를 확인한다. 또한, 서비스장치(20)는 수신된 수치정보를 단말기(10)의 위치 별로 구분하여 분석한다. 여기서, 서비스장치(20)는 다수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외부 공기의 수치정보를 확인하고, 수치정보를 전송한 단말기의 위치정보로 구분한 후,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한다.
서비스장치(20)는 S65 단계에서 단말기(10)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기상정보를 기상정보 제공장치(30)로 요청한다. 여기서, 기상정보는 측정 가능한 모든 지역의 날씨, 온도, 습도, 풍량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서비스장치(20)는 S67 단계에서 기상정보 제공장치(30)로부터 기상정보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기상정보가 수신되면, 서비스장치(20)는 S69 단계에서 수치정보와 기상정보 제공장치(30)로부터 수신되는 해당 지역의 기상정보를 조합하고, 조합된 결과를 적용하여 수치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여 환경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환경정보는 현재 지역의 공기 오염도, 방사능 위험도, 황사농도, 미세먼저 농도, 꽃가루 농도, 알레르기 정보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서비스장치(20)는 S71 단계에서 생성된 환경정보를 단말기(10)로 전송한다. 또한, 서비스장치(20)는 환경정보를 해당 단말기 또는 인근 지역의 다른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인근 지역의 기상정보 제공장치(3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기상정보 제공장치(30)로부터 기상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서비스장치(20)는 기상정보 제공장치(30)로 해당되는 위치정보에 대한 기상정보를 재 요청한다.
도 7은 도 6의 환경정보 생성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서비스장치(20)는 현재 차량의 위치정보를 확인한다. 위치정보가 확인되면, 서비스장치(20)는 S101 단계에서 차량 내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되는 현재 위치정보와 관련된 외부의 공기성분에 대한 수치정보를 확인한다. 즉, 서비스장치(20)는 차량의 현재 위치가 고속도로, 일반도로, 도심, 주택가, 산악, 터널, 바닷가 중 어느 지역에 위치하는지 확인한다. 이를 위해, 서비스장치(20)는 좌표로 구분된 지도데이터를 기 저장하고 있으며, 단말기(10)의 위치정보로 확인되는 좌표에 따라 현재 위치한 지역을 결정할 수 있다.
위치정보가 결정되면, 서비스장치(20)는 S103 단계에서 해당 위치에 대한 공기 성분의 기준 수치를 확인한다. 여기서, 기준 수치는 각각의 위치 별로 설정되어 있는 공기에 대한 수치정보가 된다.
서비스장치(20)는 S105 단계에서 수집된 외부 공기의 수치정보와 기준 수치를 비교하여 1차 환경정보를 생성한다. 즉, 서비스장치(20)는 위치정보 별로 설정되어 있는 기준 수치 정보와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된 현재 외부 공기의 수치정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 특정 공기성분의 수치가 일정 수치 이상 높은 경우, 이를 공기 오염, 황사 발생, 방사능 위험 등으로 판단하여 환경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비스장치(20)는 공기 오염도, 방사능 위험도, 황사 농도, 미세먼저 농도, 꽃가루 농도, 알레르기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서비스장치(20)는 S107 단계에서 기상정보 제공장치(30)를 통해 현재 위치정보와 연관된 기상정보를 확인한다. 이때, 기상정보는 날씨에 따라 맑은날, 비오는날, 흐린날, 건조한날, 습한날, 눈오는날 등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각 날씨는 온도, 습도, 기압, 풍속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여기서, 서비스장치(20)는 S109 단계에서 날씨 별로 외부 공기의 수치정보에 기 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하고, 가중치가 부여된 외부 공기의 수치정보와 기상정보의 각 구성요소를 조합하여 2차 환경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일반적으로 외부공기 성분에 포함된 질소는 78%, 산소는 20%, 기타성분이 2%로 측정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질소 및 산소에 대한 성분을 제외하고, 기타성분(이산화탄소, 수소, 아르곤, 네온, 크리프톤, 헬륨, 크세논 등)에 대한 수치정보에만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서비스장치(20)는 S111 단계에서 1차 환경정보와 2차 환경정보를 비교하여 최종 환경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서비스장치(20)는 1차 환경정보와 2차 환경정보 중에서 인접한 다른 차량으로부터 수집되는 외부공기에 대한 수치정보의 분석 결과를 통해 최종 환경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장치(20)는 공기 오염도, 방사능 위험도, 황사 농도, 미세먼저 농도, 꽃가루 농도, 알레르기 정보를 상, 중, 하 단위 또는 수치로 구분하여 환경정보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장치(20)는 현재 위치가 바닷가이고, 온도(24~26℃), 습도(50~65%), 풍속(10~20m/s)로 측정되는 맑은날인 경우, 정상적인 기준 가중치로 위치정보와 기상정보를 조합하여 환경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정상적인 기준 가중치를 '1'이라고 정의 할 수 있다. 만약, 날씨가 흐리거나, 건조하거나, 눈 또는 비가 오는 경우에는 가중치를 높게 또는 낮게 하여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장치(20)는 현재 차량의 위치가 도심이고, 온도(28~30℃), 습도(70~80%), 풍속(5~10m/s)로 측정되는 건조한날인 경우, 외부 공기의 성분 중에서 기타성분에만 기 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하고, 부여된 가중치에 따라 기상정보와 조합하여 환경정보를 생성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 지역에 있는 차량의 공기센서를 이용하여 감지되는 외부 공기에 연관된 환경정보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차량 운행 중에 차량에 구비된 공기센서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의 공기 오염 상황을 측정할 수 있으며, 황사, 꽃가루 등의 알레르기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차량 내부의 공기센서를 통해 센싱되는 공기의 수치정보, 차량의 현재속도, 위치정보 및 해당 지역의 기상정보를 조합하여 특정지역과 관련된 환경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a, 10b,…, 10n: 단말기 20: 서비스장치
30: 기상정보 제공장치 40: 통신망 11: 제어부
12: 입력부 13: 출력부 14: 센서부
15: 저장부 16: 위치정보 수집부 17: 통신부
11a: 수치정보 확인부 21: 서비스제어부 22: 서비스저장부
23: 서비스통신부 21a: 수치정보 분석부 21b: 환경정보 생성부
100: 공기센서를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 시스템

Claims (17)

  1. 기 설정된 주기로 외부 공기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공기에 포함된 성분들의 수치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수치정보와 현재의 위치정보를 조합하여 서비스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환경정보를 출력하는 단말기; 및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현재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외부 공기의 수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수치정보를 위치 별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여 환경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환경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비스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공기센서를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 시스템.
  2. 특정 지역의 외부 공기에 대한 환경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서비스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외부 공기를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주기적으로 센싱하는 센서부;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측위하는 위치정보 수집부;
    상기 외부 공기를 분석한 결과에 대한 환경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기 설정된 주기로 외부의 공기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공기에 포함된 성분들의 수치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수치정보와 현재의 위치정보를 조합하여 서비스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수신된 환경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 상기 센서부로부터 센싱되는 외부 공기의 수치정보, 현재 위치정보, 상기 수치정보를 비교하기 위한 임계 값, 상기 수치정보에 관련된 환경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4.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가 위치한 지역의 외부 공기에 대한 환경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단말기 및 기상정보 제공장치와 통신하는 서비스통신부; 및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현재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외부 공기의 수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수치정보를 위치 별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에 기초로 하여 환경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환경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서비스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수치정보를 해당 단말기의 위치정보에 따라 구분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하고, 상기 수치정보에 연관된 환경정보를 저장하는 서비스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6. 단말기가 기 설정된 주기로 외부 공기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감지된 공기에 포함된 성분들의 수치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확인된 수치정보와 현재의 위치정보를 조합하여 서비스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수신된 환경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공기센서를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정보는
    현재 지역의 공기 오염도, 방사능 위험도, 황사농도, 미세먼저 농도, 꽃가루 농도, 알레르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공기센서를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수치정보를 기 설정된 임계 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수치정보가 기 설정된 임계 값을 초과한 경우, 상기 단말기가 현재 위치정보를 측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공기센서를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환경정보를 그래프 또는 표로 표시, 오디오 기능으로 출력 또는 진동기능으로 출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공기센서를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단말기가 상기 환경정보에 따라 외부 공기의 유입을 자동으로 차단하고, 차량 내부의 공기를 환기 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공기센서를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 방법.
  11. 서비스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현재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외부 공기의 수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수신된 수치정보를 위치 별로 구분하여 분석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여 환경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생성된 환경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공기센서를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장치가 다수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외부 공기의 수치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수치정보를 전송한 단말기의 위치정보로 구분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저장된 수치정보와 기상정보 제공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해당 지역의 기상정보를 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조합된 결과를 적용하여 수치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공기센서를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현재 위치정보에 대한 공기 성분의 기준수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수신된 외부공기의 수치정보와 해당 위치정보에 연관된 기준수치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비교 결과를 기준으로 1차 환경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공기센서를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현재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기상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수집된 기상정보의 구성요소에 기 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외부 공기의 수치정보와 상기 기상정보의 구성요소를 조합하여 2차 환경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공기센서를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 방법.
  15. 제13항 및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제1 환경정보와 제2 환경정보를 조합하여 최종 환경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공기센서를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환경정보를 해당되는 인근 지역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인근 지역의 기상정보 제공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공기센서를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 방법.
  17. 제6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량의 공기센서를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20093423A 2012-08-27 2012-08-27 차량의 공기센서를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KR101906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423A KR101906272B1 (ko) 2012-08-27 2012-08-27 차량의 공기센서를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423A KR101906272B1 (ko) 2012-08-27 2012-08-27 차량의 공기센서를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7647A true KR20140027647A (ko) 2014-03-07
KR101906272B1 KR101906272B1 (ko) 2018-10-10

Family

ID=50641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3423A KR101906272B1 (ko) 2012-08-27 2012-08-27 차량의 공기센서를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6272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1528A (ko) * 2014-08-18 2016-02-2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대기 오염 모니터 방법
KR20180101881A (ko) * 2017-03-06 2018-09-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운전자 맞춤형 공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20353A (ko) * 2017-04-27 2018-11-06 김수종 모바일 단말 거치대와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공기 청정 시스템
WO2019107782A1 (ko) * 2017-11-30 2019-06-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2034622B1 (ko) * 2019-06-18 2019-10-21 주식회사 올리브아이앤씨 지역별 공기오염도 측정시스템
KR20190121251A (ko) 2018-04-17 2019-10-2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프트웨어 정의 기반의 차량 센싱 장치 및 방법
US10596876B2 (en) 2018-03-14 2020-03-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for adjusting fine particulate measurement values
KR20200042667A (ko) * 2018-10-16 2020-04-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5 마이크로미터 이하 미세먼지(pm2.5) 측정 및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5460B1 (ko) * 2019-04-04 2020-11-06 (주)유비벨록스모바일 차량을 이용한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 및 차량 부착용 공기질 측정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1528A (ko) * 2014-08-18 2016-02-2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대기 오염 모니터 방법
KR20180101881A (ko) * 2017-03-06 2018-09-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운전자 맞춤형 공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20353A (ko) * 2017-04-27 2018-11-06 김수종 모바일 단말 거치대와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공기 청정 시스템
WO2019107782A1 (ko) * 2017-11-30 2019-06-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190064109A (ko) * 2017-11-30 2019-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 서버 및 방법
US11210944B2 (en) 2017-11-30 2021-1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server and method for information provision
US10596876B2 (en) 2018-03-14 2020-03-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for adjusting fine particulate measurement values
KR20190121251A (ko) 2018-04-17 2019-10-2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프트웨어 정의 기반의 차량 센싱 장치 및 방법
KR20200042667A (ko) * 2018-10-16 2020-04-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5 마이크로미터 이하 미세먼지(pm2.5) 측정 및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034622B1 (ko) * 2019-06-18 2019-10-21 주식회사 올리브아이앤씨 지역별 공기오염도 측정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6272B1 (ko) 2018-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6272B1 (ko) 차량의 공기센서를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US1153526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 passenger-based driving profile
US1031722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ollution mapping from variations data
US1135860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passenger-based driving profile
EP36209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user reaction user interface for generating a passenger-based driving profile
US956996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raffic jam detection and prediction
US9813874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ximizing mobile device power using intelligent geo-location selection
EP362100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vehicle using a passenger-based driving profile
US10887722B2 (en) Traffic pollution mapper
US10894547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assessing safety and comfort systems of a vehicle
CN104535071A (zh) 一种语音导航方法及装置
WO2010125499A1 (en) Automated carpooling matching
CN103134508A (zh) 导航方法、导航装置和导航系统
KR20150000016A (ko) 차량 상태를 이용한 도로 환경 분석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US201602929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ynamic strength decay for predictive traffic
CN102803898A (zh) 导航装置和关于目的地的信息的引导方法
US1108761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mmending services based on map-based dynamic location sampling
US111447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low-power perception architecture
US11546724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non-specific location according to an observed mobility pattern derived from non-positioning related sensor data
WO2018047048A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route based on air pollution levels
EP2977724B1 (en) Map information creation device, information presentation device, map information creation method and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KR102145296B1 (ko) 이동형센서단말을 이용한 환경정보관리 시스템
KR20100052324A (ko) 네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
US1134007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th recovery when using map-based dynamic location sampling
KR101937567B1 (ko) 대중교통수단분담률과 내부통행거리비율의 관계 분석 기반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