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1881A - 운전자 맞춤형 공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운전자 맞춤형 공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1881A
KR20180101881A KR1020170028395A KR20170028395A KR20180101881A KR 20180101881 A KR20180101881 A KR 20180101881A KR 1020170028395 A KR1020170028395 A KR 1020170028395A KR 20170028395 A KR20170028395 A KR 20170028395A KR 20180101881 A KR20180101881 A KR 20180101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ing
information
vehicle
conditioning control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8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8741B1 (ko
Inventor
이경희
김도현
박병준
윤창락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28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8741B1/ko
Publication of KR20180101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1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8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8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7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including features for locking or memorising of control m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solar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6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vehicle driving condition, e.g. speed
    • B60H1/0077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vehicle driving condition, e.g. speed the input being a vehicle position or surrounding, e.g. GPS-based position or tun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by the detection of humidity or fro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ir qua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07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specific way of measuring or calculating an air or coolant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display or indicating devices, e.g. voice sim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10Weather information or foreca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운전자 맞춤형 공조 제어 방법은 GPS 정보 및 지도 정보로부터 차량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기상청으로부터 기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차량이 주차된 건물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지역별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정보로부터 제1 공조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차량 공조 장치 컨트롤러가 상기 제1 공조 제어 명령을 실행하도록 상기 차량 공조 장치 컨트롤러에 상기 제1 공조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운전자 맞춤형 공조 제어 시스템 및 방법{Customized air conditioning system and way for vehicle driver}
본 발명은 운전자 맞춤형 공조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운전자에게 편의 서비스 및 맞춤형 공조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차량의 공조 장치 컨트롤러에 부속된 센서에 의해 감지된 환경 데이터, 차량의 위치와 차량 주변에서 제공하는 기상 정보, 공기질 정보 등을 활용하여 차량 탑승 전에 공조 환경을 운전자가 미리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탑승 후에 운전자에게 최적화된 공조 환경을 자동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지능형 공조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평소 운전자가 차량 공조 컨트롤러를 조작하는 경우, 운행을 완료하였다 하더라도, 다음날 운전 중에도 그 전날 제어했던 공조 컨트롤러를 유사한 형식으로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반복적인 공조 제어기 조작은 평소 운행하는 곳이 같거나 운전 패턴이 유사한 운전자의 경우 운전의 방해 요소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세먼지가 많은 도심이나 공단을 통과할 경우에는 자동차 공기를 내부 순환 방식으로 설정해서, 외부 공기가 차단되어 외부의 오염된 공기의 흡입을 최소화해야 한다.
원치 않는 악취가 외부에서 실내 들어올 수 있고, 도로에서는 다른 차량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가 차량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일부 차량에는 차량 내 센서를 통하여 차량으로 들어오는 공기 오염도를 검출해서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는 AQS(Air Quality System) 기능이 있다. AQS는 유해 가스 유입 차단 장치라고도 하고, 운행 중 외부 공기의 오염도를 감지하여 높은 농도의 배기 가스 유입은 신속히 차단하고, 신선한 공기만을 유입하여 차량 실내를 쾌적하게 자동적으로 유지시키는 자동 내외기 전환 장치이다.
하지만, AQS 기능은 도심지역에서는 차량 내부에 있는 AQS 장치의 센서 값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되기 때문에 실제로 운전자가 체감하는 공기 오염 정도와 다르며, 이미 외부의 오염된 공기를 냄새를 통하여 운전자가 체감한 후에 작동되기도 한다. 그리고, 차량 전면 창문 내에 포그 현상이 발생할 경우에 운전자는 수동으로 AQS 기능을 해제해서 외부 공기 순환 모드로 전환해야 한다. 한편, 운전자는 다양한 실내 공간과 실외 공간을 경유하여, 차량에 탑승하기 때문에 다양한 공조 환경을 접해야 하지만, 각 공간에 있는 공조 장치가 서로 연동되어 작동하는 기능이 없는 실정이다. 이동하는 각 공간의 온도가 매우 다르기 때문에 실내와 실외의 기온 차이가 크기 때문에 감기 등의 질병에 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운전자의 선호도, 지도 정보, 건물 정보, 차량의 위치, 날씨 정보, 공기질 정보 등을 활용하여, 운전자가 자동차에 탑승하기 전에 자동차 내부 상태를 미리 예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차 공조 장치가 필요한 경우, 자동으로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반복되는 수동 조작의 횟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주행 중에는 도착 지점의 온도 및 공기질 등을 고려하여 자동차 공조장치의 설정 온도나 풍속이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하여, 운전자는 각 공간이 연계된 통합 지능형 공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자동차의 공조 장치가 운전자가 이동할 공간의 기온과 대기질 상태와 연계되어 자동으로 동작되도록 하기 위하여, 날씨 정보나 공질 정보뿐만 아니라, 가정이나 회사에 있는 공조기와 연동하여 활용한다면, 온도, 습도, 공기질 등과 같은 공조 정보를 수시로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각 공간의 온도, 습도, 공기질, 공조 정보도 비교하여 공조 상태를 항상 최종적으로 제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운전자 맞춤형 공조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기술, GPS 정밀 측위 기술을 이용하여 차량 위치 정보를 얻고, 차량 정체 구간에 도달하거나, 지하도 및 터널을 통과하는 경우, 차량 공조 컨트롤 장치의 공시 순환 모드를 실내 환기 모드로 자동으로 바꾸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운전자가 이동하는 모든 경로에 있는 공조 장치 혹은 공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운전자가 자주 휴대하는 스마트 기기나 PC 등의 외부 단말기를 통해 원하는 곳의 공조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공조 정보가 등록된 목적지에 가까워지면, 공조 장치는 도착지점의 온도와 자동차 내 실내 온도의 차이를 계산하여, 공조기의 온도 및 풍속을 조절하여 도착 지점의 온도와 큰 차이가 없도록 제어되도록 한다. 상기 기술은 운전자에게 최적화된 공조 환경을 언제 어디에서나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각 공간의 공조 환경을 통합 모니터링하고, 제어함으로써, 쾌적하고 안전한 공조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운전자 맞춤형 공조 제어 방법은 GPS 정보 및 지도 정보로부터 차량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기상청으로부터 기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차량이 주차된 건물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지역별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정보로부터 제1 공조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차량 공조 장치 컨트롤러가 상기 제1 공조 제어 명령을 실행하도록 상기 차량 공조 장치 컨트롤러에 상기 제1 공조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운전자 맞춤형 공조 제어 시스템은 운전자 맞춤형 공조 제어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에 따라, GPS 정보 및 지도 정보로부터 차량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기상청으로부터 기상 정보를 획득하고, 차량이 주차된 건물의 정보를 획득하고, 지역별 환경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정보로부터 제1 공조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차량 공조 장치 컨트롤러가 상기 제1 공조 제어 명령을 실행하도록 상기 차량 공조 장치 컨트롤러에 상기 제1 공조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 공조 장치 동작을 위하여, 자동차 내부에 장착된 각종 센서를 활용할 필요 없이, 자동차 외부의 데이터들을 활용하여 자동차와 떨어진 공간에서 언제 어디서든 자동차의 실내 온도를 미리 예측하여 탑승 전에 차량의 상태를 미리 파악할 수 있어서, 운전자에게 운전 편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제 차량 주행 시에 차량 공조 장치 동작에 있어서도 지도 기반의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차량 정체 교차로 및 터널에 진입하기 전에 공기 순환 모드를 실내 순환 모드로 전환하여 반복적인 공조 장치의 조작을 최소화하고, 쾌적한 공조환경을 제공하여 안전 운전을 지원할 수 있다.
전지 자동차의 개발과 보급에 더불어, 공조 장치도 지능화되어 운전자가 이동하는 공간의 공조 정보와 차량 내 공조 정보를 활용한다면, 공조 장치의 통합 모티너링뿐만 아니라 자동 공조 제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사물 인터넷 시대를 대비하여 각 공간의 공조 정보를 연계하여, 각 개인에게 맞춤화된 공조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맞춤형 공조 제어 방법이 구현되는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서 사용되는 공조 장치 컨트롤러에 운전자 맞춤형 공조 제어 시스템이 추가된 시스템의 예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조 제어 방법의 절차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조 제어 방법의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공조 정보 통합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맞춤형 공조 제어 방법의 절차 흐름도.
도 7은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공조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맞춤형 공조 제어 방법이 구현되는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맞춤형 공조 제어 방법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구현되거나, 또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0)와, 메모리(120)와, 사용자 입력 장치(150)와, 데이터 통신 버스(130)와, 사용자 출력 장치(160)와, 저장소(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각각의 구성 요소는 데이터 통신 버스(130)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한다.
컴퓨터 시스템은 네트워크(180)에 연결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10)는 중앙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이거나, 혹은 메모리(120) 및/또는 저장소(140)에 저장된 명령어를 처리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상기 메모리(120) 및 상기 저장소(140)는 다양한 형태의 휘발성 혹은 비휘발성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메모리(120)는 ROM(123) 및 RAM(126)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맞춤형 공조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맞춤형 공조 제어 방법이 컴퓨터 장치에서 수행될 때,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명령어들이 본 발명에 따른 운영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맞춤형 공조 제어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서 사용되는 공조 장치 컨트롤러에 운전자 맞춤형 공조 제어 시스템이 추가된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차량 내 클러스터 혹은 센터페시아에 있는 자동차 공조 장치 콘트롤러에 "운전자 상태 맞춤 공조" 기능이 있어, 운전자에게 최적화된 공조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운전자 상태 맞춤 공조는 스마트폰이나 웨어러블 장치에 미리 입력된 공조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될 수 있고, 차량 공조 장치들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공조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동작될 수도 있다.
자동차 공조 장치 콘트롤러는 운전자가 콘트롤러를 통하여 직접 수동 조작이 가능하나, 공조 제어 시스템을 통하여 공조 환경에 따른 생성된 공조 제어 명령에 의하여 자동으로 조정될 수 있다. 공조 제어 명령은 콘트롤러에 반드시 저장될 필요는 없고, 외부 단말기로부터 공조 제어 명령을 받아 공조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외부 단말기는 스마트폰, PC, 웨어러블 기기, 포브 장치 등 통신 기능을 갖추어 공조 제어 시스템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것이라면 충분하다. 공조 제어 시스템과 근거리 데이터 통신을 위하여는 블루투스, 직비와 같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가 유용하나,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무선 통신도 무관하고, 차량용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s) 통신(IEEE 802.11p)을 이용할 수도 있다.
운전자가 공조 장치 콘트롤러를 수동 조작하는 경우, 운전자가 소지한 스마트 기기(스마트폰, 웨어러블 장치 등)에 조작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스마트 기기를 통하여 원격 제어가 가능하므로, 운전자 뿐만 아니라, 탑승자도 자동차 공조 장치 콘트롤러를 원격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수동 조작한 정보를 스마트 기기 뿐만 아니라 외부 서버에 저장할 수도 있다. 다수의 차량으로부터 공조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여 서버에서 분석하면, 보다 정확한 공조 환경을 설정할 수 있는 빅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조 제어 방법의 절차 흐름도를 나타낸다.
네비게이션 정보 및 지도 정보를 토대로 주행하는 자동차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다. 이동하는 차량의 전방에 터널이나 지하차도, 공단, 차량 정체 구간 등이 나타나는 경우, 공조 장치의 공기 순환 모드를 실내 공기 순환 모드로 변환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조 제어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운전자 상태 맞춤 공조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은 GPS 또는 네비게이션 맵과 연동되어, 터널이나 공기 오염이 심한 지역을 통과하기 전에 동작될 수 있다. GPS가 장착된 차량이 터널이나 지하차도를 통과할 경우, 진입하기 전에 자동으로 공기 순환 모드가 실내 순환 모드로 동작되도록 한다. 또한, 차량 정체 구간 및 차량이 밀집된 교차로와 같이 공기 오염이 심한 지역에서 차량 공기 순환 모드를 실내 순환 모드로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차량이 터널에 진입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지도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차량 정체 여부는 전국의 교통 정보, 도로 상황 등 교통 시스템 정보를 제공하는 종합 교통 정보 시스템인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 또는 다른 차량으로부터 얻을 수 있고, 공기질 정보 안내 시스템 또는 자동차에 있는 카메라의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 정체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공기질 정보 안내 시스템으로부터 공기질이 나쁜 경우, 실내 순환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현재 공기질 모니터링 제공 서비스를 위한 공기질(미세 먼지 및 금속)의 측정 장비가 고가이고, 측정 방식이 상이하여, 각 지역 별로 일부 지역에서만 측정되고 있다.
현재 차량에 장착되는 AQS는 통상 유해 가스가 기준치 이상 감지되는 순간 외부 공기 유입구를 닫고, 내부 순환 모드로 전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AQS의 작동할 때, 차량의 위치, 날짜, 시간, 기후, 유해가스 농도 등의 AQS 작동 정보를 저장하고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보다 정확한 분석을 위하여, 다수의 차량에 대한 AQS 작동 정보를 외부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차량에 설치된 공조 제어 시스템의 자원은 제한적일 수 밖에 없고, 한 대의 차량에서 수집한 정보를 특정 지역에 편중되는 문제가 있다. 일자 별, 시간 별, 각 차량의 AQS 정보를 외부 서버에서 집중하여 수집하면, 전국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정 지역에 대하여 특정 날짜, 특정 시간대에 AQS가 작동할 확률을 지도에 대응하여 위치 별로 산출할 수 있다. AQS가 작동할 확률이 높은 지역을 차량이 이동한다면, 차량의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조작 없이도 선제적으로 AQS를 작동시킬 수 있으며, 운전자에게 외부 공기의 유해 가스 농도가 높다는 경고를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차량의 공조 장치의 AQS 정보를 통합하거나 공유하고, 사후적인 검증을 할 경우, 다수 차량의 공조 장치의 AQS 정보를 토대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산출 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공조 장치의 AQS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차 공조 상태 모니터링 정보와 터널, 지하차도, 교차로 등의 위치에 따른 차량 외부의 공기질 정보를 네비게이션 또는 지도에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조 제어 방법의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맞춤형 공조 제어 방법은 차량의 주차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기상청의 지역별 실시간 날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주차 건물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지역별 실시간 미세먼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정보를 토대로 차량의 공조 정보의 예측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예측값을 외부 단말기에 의하여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단말기를 이용하여 차량 내부의 공조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맞춤형 공조 제어 방법은 GPS 정보 및 지도 정보로부터 차량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기상청으로부터 기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차량이 주차된 건물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지역별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정보로부터 제1 공조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차량 공조 장치 컨트롤러가 상기 제1 공조 제어 명령을 실행하도록 상기 차량 공조 장치 컨트롤러에 상기 제1 공조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의 주차 위치 정보는 GPS 및 지도를 이용하여 획득하며, 상기 기상청의 지역별 실시간 날씨 정보는 온도, 습도, 강우량, 강수량을 포함한다. 상기 주차 건물의 정보는 건물의 높이 및 너비 정보를 포함한다. 지역별 실시간 미세먼지 정보는 PM10 수치 및 일산화탄소 농도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의 공조 정보는 차량 내부의 온도, 습도 및 공기질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차량의 공조 정보는 차량 외부의 온도, 습도 및 공기질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기상청의 지역별 실시간 날씨 정보 및 상기 지역별 실시간 미세먼지 정보는 공공기관에서 첨단 계측 장비를 이용하여 과거, 현재 및 미래의 데이터를 제공하므로, 신뢰성 높은 데이터를 얻을 수 있으므로, 상기 차량의 공조 정보는 시간대 별로 상당히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고, 일정 시간 경과 후에 차량을 사용하는 것에 대비하여, 미리 공조 장치를 작동시켜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공조 정보를 얻고자 하는 차량의 위치 정보와 더불어 차량 주변의 지형, 지물 정보를 등록하여, 상기 차량의 공조 정보를 더 정확히 예측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공조 정보를 외부 단말기(스마트 기기, 스마트폰, 웨어러블 장치)에 의하여 확인하고, 상기 외부 단말기를 통하여, 원격으로 차량의 공조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자동차의 공조 장치를 차량에 탑승하기 전에 미리 가동하고, 차량에 탑승할 때, 쾌적한 실내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온도가 사용자가 설정하는 실내 온도로 변경되는데 필요로 하는 시간을 알릴 수 있다.
도 5는 공조 정보 통합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공조 제어 시스템은 공조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공조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공조 장치 컨트롤러의 부속된 장치들뿐만 아니라, 외부의 장치(집에 설치된 센서 및 공조 장치, 사무실에 설치된 센서 및 공조 장치)의 모니터링 및 제어도 가능하다.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의 발전으로 인하여, 집과 사무실에 설치되는 에어컨, 공기 청정기, 환풍기 등의 작동을 본 발명에 따른 공조 제어 시스템에 의하여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다.
공조 정보 통합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은 차량뿐만 아니라, 차 실외 공조를 모니터링 하고, 집, 사무실과 같은 공간의 실내 공조 정보를 모니터링 및 제어할 수 있다. 즉, 차량뿐만 아니라, 집, 사무실 등의 실내의 공조 환경을 모니터링하고, 실내 공조 장치를 구동하여, 실내 공조 환경을 변경할 수 있다.
최근 IoT(Internet Of Things)의 발전으로 실내 공조 장치인 에어컨, 제습기, 공기 청정기 등의 기기에 IoT를 위한 모듈이 탑재되어 있으므로, 스마트폰과 같은 외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구동할 수 있고, 각 장치에 내장된 각종 센서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차량용 공조 장치뿐만 아니라 가정용, 사무용 공조 장치에 대하여도, 본 발명의 부분실시예에 따른 공조 정보 통합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맞춤형 공조 제어 방법의 절차 흐름도를 나타낸다.
차량이 주행 중에 공조 정보가 등록된 목적지에 접근하면, 목적지의 온도와 자동차 내부 온도의 차이를 계산하여, 온도 조절 장치를 구동한다. 예컨대, 목적지의 실외 온도가 35도이고, 실내 온도가 25도인 경우, 자동차 공조 장치를 제어하여 실외 온도와 실내 온도의 차이가 줄어들도록 한다. 목적지에 도착했을 때, 실외 온도와 실내 온도의 차이가 적게 되므로, 하차할 때 운전자 느끼는 불쾌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는 온도와 관련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즉, 공조 정보는 온도, 습도, 공기질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특정 지역에 따라 공조 정보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해당 지역을 운전자의 관심 지역으로 등록하고, 해당 지역을 공조 정보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분실시예에 따른 공조 제어 방법은 차량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GPS 정보 및 상기 지도 정보로부터 전방에 목적지가 존재하는 여부를 감지하고, 목적지의 온도를 확인한 후, 차량 실내 온도와 목적지의 온도를 비교하여 차이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차량 실내 온도가 목적지의 온도에 가까워 지도록 하고, 차이가 임계치 미만인 경우, 현재 설정을 유지하도록 하는 공조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7은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공조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공조 정보는 자동차, 차 실외 정보(온도, 습도, 공기질 등), 집, 식당, 학교, 사무실, 까페, 극장 등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화면은 통상 외부 단말기 또는 외부 서버의 관리자 화면에 구현되는 것이다.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디스플레이 화면의 구성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는 스마트폰 등을 이용하여, 공조 환경 정보 및 공조 제어 명령을 손쉽게 확인하고, 새로운 공조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서는 아니 되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컴퓨터 시스템
110: 프로세서
120: 메모리
123: ROM
126: RAM
130: 데이터 통신 버스
140: 저장소
150: 사용자 입력 장치
160: 사용자 출력 장치
17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180: 네트워크
210: 외부 단말기
220: 차량 공조 장치 컨트롤러
225: 공조 제어 시스템
700: 공조 환경 모니터링 디스플레이 화면

Claims (14)

  1. 운전자 맞춤형 공조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운전자 맞춤형 공조 제어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에 따라,
    GPS 정보 및 지도 정보로부터 차량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기상청으로부터 기상 정보를 획득하고, 차량이 주차된 건물의 정보를 획득하고, 지역별 환경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정보로부터 제1 공조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차량 공조 장치 컨트롤러가 상기 제1 공조 제어 명령을 실행하도록 상기 차량 공조 장치 컨트롤러에 상기 제1 공조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맞춤형 공조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한 정보를 외부 단말기에 전송하고, 외부 단말기로부터 제2 공조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차량 공조 장치 컨트롤러가 상기 제2 공조 제어 명령을 실행하도록 상기 차량 공조 장치 컨트롤러에 상기 제2 공조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맞춤형 공조 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한 정보를 가공하여 공조 환경 정보를 생성하고, 외부 단말기에서 생성된 공조 환경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외부 단말기에 상기 공조 환경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맞춤형 공조 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조 제어 명령은 차량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GPS 정보 및 상기 지도 정보로부터 전방에 터널이 존재하는 여부를 감지하고, 터널이 존재하는 경우 실내 공기 순환 모드로 변환하는 차량 공조 제어 명령인 것
    인 운전자 맞춤형 공조 제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조 제어 명령은 차량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GPS 정보 및 상기 지도 정보로부터 전방에 목적지가 존재하는 여부를 감지하고, 목적지의 온도를 확인한 후, 차량 실내 온도와 목적지의 온도를 비교하여 차이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차량 실내 온도가 목적지의 온도에 가까워 지도록 하고, 차이가 임계치 미만인 경우, 현재 설정을 유지하도록 하는 공조 제어 명령인 것
    인 운전자 맞춤형 공조 제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상 정보로부터 온도, 습도, 일사량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지역별 환경 정보로부터 미세먼지 농도, 유해가스 농도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토대로 차량 실외 환경 정보를 모니터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운전자 맞춤형 공조 제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차량의 AQS(Air Quality System)으로부터, 외부 공기의 오염도를 수신하여, 외부 서버로 수신한 외부 공기의 오염도, 현재 위치, 현재 날짜, 현재 시간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맞춤형 공조 제어 시스템.
  8. GPS 정보 및 지도 정보로부터 차량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기상청으로부터 기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차량이 주차된 건물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지역별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정보로부터 제1 공조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차량 공조 장치 컨트롤러가 상기 제1 공조 제어 명령을 실행하도록 상기 차량 공조 장치 컨트롤러에 상기 제1 공조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운전자 맞춤형 공조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한 정보를 외부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제2 공조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차량 공조 장치 컨트롤러가 상기 제2 공조 제어 명령을 실행하도록 상기 차량 공조 장치 컨트롤러에 상기 제2 공조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운전자 맞춤형 공조 제어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한 정보를 가공하여 공조 환경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외부 단말기에서 생성된 공조 환경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외부 단말기에 상기 공조 환경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운전자 맞춤형 공조 제어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조 제어 명령은,
    차량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GPS 정보 및 상기 지도 정보로부터 전방에 터널이 존재하는 여부를 감지하고, 터널이 존재하는 경우 실내 공기 순환 모드로 변환하는 차량 공조 제어 명령인 것
    인 운전자 맞춤형 공조 제어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조 제어 명령은,
    차량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GPS 정보 및 상기 지도 정보로부터 전방에 목적지가 존재하는 여부를 감지하고, 목적지의 온도를 확인한 후, 차량 실내 온도와 목적지의 온도를 비교하여 차이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차량 실내 온도가 목적지의 온도에 가까워 지도록 하고, 차이가 임계치 미만인 경우, 현재 설정을 유지하도록 하는 공조 제어 명령인 것
    인 운전자 맞춤형 공조 제어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 정보로부터 온도, 습도, 일사량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지역별 환경 정보로부터 미세먼지 농도, 유해가스 농도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토대로 차량 실외 환경 정보를 모니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운전자 맞춤형 공조 제어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차량의 AQS(Air Quality System)으로부터, 외부 공기의 오염도를 수신하여, 외부 서버로 수신한 외부 공기의 오염도, 현재 위치, 현재 날짜, 현재 시간을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운전자 맞춤형 공조 제어 방법.
KR1020170028395A 2017-03-06 2017-03-06 운전자 맞춤형 공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158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395A KR102158741B1 (ko) 2017-03-06 2017-03-06 운전자 맞춤형 공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395A KR102158741B1 (ko) 2017-03-06 2017-03-06 운전자 맞춤형 공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881A true KR20180101881A (ko) 2018-09-14
KR102158741B1 KR102158741B1 (ko) 2020-09-22

Family

ID=63599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395A KR102158741B1 (ko) 2017-03-06 2017-03-06 운전자 맞춤형 공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87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9431B1 (ko) * 2021-01-11 2021-11-19 사재빈 IoT 기반의 차량용 공기 청정기
US11745559B2 (en) 2020-10-14 2023-09-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isolating motor vehicle interior from poor outdoor air qualit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0438A (ko) 2022-06-10 2023-12-1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공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2880A (ja) * 2003-04-25 2004-11-18 Denso Corp 移動体の空調装置
JP2007230270A (ja) * 2006-02-28 2007-09-13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空調装置
KR20140027647A (ko) * 2012-08-27 2014-03-0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차량의 공기센서를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KR20160124458A (ko) * 2015-04-20 2016-10-2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동 단말기의 원격 차량 공조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2880A (ja) * 2003-04-25 2004-11-18 Denso Corp 移動体の空調装置
JP2007230270A (ja) * 2006-02-28 2007-09-13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空調装置
KR20140027647A (ko) * 2012-08-27 2014-03-0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차량의 공기센서를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KR20160124458A (ko) * 2015-04-20 2016-10-2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동 단말기의 원격 차량 공조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45559B2 (en) 2020-10-14 2023-09-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isolating motor vehicle interior from poor outdoor air quality
KR102329431B1 (ko) * 2021-01-11 2021-11-19 사재빈 IoT 기반의 차량용 공기 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8741B1 (ko) 2020-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7846B2 (en) Auto-isolate vehicular climate system
EP3318871B1 (en) Internet of vehicles-based air quality detecting system
US10315492B2 (en) Automatic air quality monitoring and improvement systems
CN109491284B (zh) 基于用户出行习惯的车辆控制方法、装置和终端设备
JP2009075010A (ja) 経路長算出装置、経路長算出方法、経路長算出プログラム及び車両用空調装置ならびに移動物体搭載機器の制御装置
WO2003000513A1 (en) Vehicle climate control system
CN111634170B (zh) 空调控制系统、空调管理系统和车载空调系统
KR102158741B1 (ko) 운전자 맞춤형 공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1138358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JP2015158451A (ja) 気象観測システム
EP3628972A1 (en) A computer-implemented method and a system for determining a route
CN111152623A (zh) 一种车载空调控制方法、车载空调控制系统及装置
CN111023474A (zh) 中央空调控制系统及控制方法
KR20180028336A (ko) 차량용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JP2009292247A (ja) 車載情報装置、情報サーバ、及び情報共有システム
KR101194569B1 (ko) 공기조화 시스템 및 방법
CN104807133A (zh) 车辆的空调装置
KR20090121805A (ko) 차량 공조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346238B1 (ko) 차량용 실내공기 청정 장치
JP4221758B2 (ja) 車両用空調装置のための内外気切替方法および車両用空調システム
CN109466479B (zh) 车辆控制方法、装置、终端设备和介质
CN113044062B (zh) 一种智慧路灯无人驾驶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6421406B2 (ja) 車両用制御装置および車両用制御方法
CN115257276A (zh) 车辆空调控制方法、车辆空调控制系统及车辆
KR102208657B1 (ko) Tpeg 표준 기술을 통해 차량에 오염도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