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6781A - 인간 PDIb´a´태그를 이용한 생물학적 활성을 가진 인간 LIF 재조합 단백질의 대장균 내 발현 및 정제방법 - Google Patents

인간 PDIb´a´태그를 이용한 생물학적 활성을 가진 인간 LIF 재조합 단백질의 대장균 내 발현 및 정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6781A
KR20140026781A KR1020120092392A KR20120092392A KR20140026781A KR 20140026781 A KR20140026781 A KR 20140026781A KR 1020120092392 A KR1020120092392 A KR 1020120092392A KR 20120092392 A KR20120092392 A KR 20120092392A KR 20140026781 A KR20140026781 A KR 20140026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lif
recombinant
hpdib
tag
huma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2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4739B1 (ko
Inventor
최한석
송정아
구본경
Original Assignee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92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4739B1/ko
Publication of KR20140026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6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4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473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0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 coli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52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 C07K14/54Interleukins [IL]
    • C07K14/5415Leukaemia inhibitory factor [LIF]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 C07K2319/20Fusion polypeptide containing a tag with affinity for a non-protein ligan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간 PDIb´a´ 태그를 이용한 생물학적 활성을 가진 인간 LIF 재조합 단백질의 대장균 내 발현 및 정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인간 단백질 이황화물 이성질화효소(human protein disulfide isomerase; hPDI)를 코딩하는 유전자 또는 hPDIb´a´ 도메인 유전자 중 어느 하나의 유전자; 및 인간 백혈병 억제 인자(human Leukemia inhibitory factor; hLIF)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발현벡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재조합 발현벡터로 형질전환된 재조합 미생물을 제공하며, 상기 hLIF 재조합 단백질(rhLIF)의 생산방법 및 상기 생산방법에 의해 생산된 hLIF 재조합 단백질(rhLIF)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인간 PDIb´a´태그를 이용한 생물학적 활성을 가진 인간 LIF 재조합 단백질의 대장균 내 발현 및 정제방법{Expression and purification method of biologically active human LIF with human PDIb´a´ tag in Escherichia coli}
본 발명은 인간 PDIb´a´ 태그를 이용한 생물학적 활성을 가진 인간 LIF 재조합 단백질의 대장균 내 발현 및 정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백혈병 억제 인자(Leukemia inhibitory factor; LIF)는 다양한 세포에서 여러 효과를 나타내는 사이토카인들 중의 하나이다. LIF는 단핵세포(monocytes), 신경세포 및 배아줄기(embryonic stem; ES) 세포를 조절하고, 조혈작용을 한다(Trends Biochem Sci (1992) 17(2):72-6; Blood (1990) 76(1):50-6). LIF-결핍 마우스 모델에서, 이들 사이토카인은 배반포 이식(blastocyst implantation)에 필요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Endocrinology (2000) 141(12):4365-72). 더구나, LIF는 쥐의 골수 백혈병 M1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고, 분화를 유도한다(EMBO J (1987) 6(13): 3995-4002). LIF는 ES 세포의 발달 잠재력을 유지하기 때문에 다분화성(pluripotent) 줄기 세포 배양에 사용된다(Nature (1988) 336(6200): 684-7). 비변성 20 kDa LIF는 4개의 α-나선 다발(α-helical bundle) 단백질 중의 하나이고(Immunol Today (1990) 11(10): 350-4), 3개의 이황화 결합을 형성하는 6개의 시스테인 잔기를 포함한다. LIF는 낮은 친화도로 LIF 수용체(LIF receptor; LIFR)에 결합하고, 그 후 보다 높은 친화도로 gp130과 결합하여 기능성 복합체를 형성한다(Ciba Found Symp (1992) 167:245-55; discussion 255-9). LIFR 및 gp130의 헤테로다이머화(heterodimerization)는 줄기 세포 재생을 책임지는 Jak-STAT 경로를 활성화시킨다(Science (1994) 263(5143):92-5; Mech Dev (1994) 45(2):163-71; Cancer Invest (2004) 22(6):925-43; Oncogene (2005) 24(37): 5713-21; Cell Reprogram (2011) 13(3): 241-55). 다분화성(pluripotent) 줄기 세포 배양 배지에 있어서 첨가제로서의 중요성으로 인해 LIF의 과발현 및 정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ES 세포는 태아의 모든 계열(lineages)로 분화하는 능력을 가진 시험관 내(in vitro) 세포주이다. 피더 세포(feeder cells)는 ES 세포가 분화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필요한 LIF를 공급한다고 알려져 있다(Nature (1988) 336(6200): 684-7). 따라서 LIF는 ES 세포의 분화 효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인자이다. 최근에는 다양한 인간 질병에 대한 임상 용도로서의 잠재성 때문에 ES 세포 연구의 중요성이 점점 더 커지고 있고, ES 세포를 조절하는 주요한 경로 중의 하나가 상기와 같이 LIF와 관련되어 있다. 그러나, LIF와 같은 상업적 단백질의 높은 비용으로 인해 이러한 연구 과정은 제한적이고 한계가 있다. 따라서 낮은 비용으로 다량의 단백질을 생산하기 위한 많은 시도가 있었다.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 균주 GY1+ 또는 크렙스 아스시테스(Krebs ascites) 균주로부터 LIF를 발현하는 연구가 보고되었으나(Proc Natl Acad Sci U S A (1988) 85(8):2623-7; Anal Biochem (1988) 173(2):359-67), 발현 및 생산 수준이 낮았다. hLIF는 원핵세포 시스템에서 봉입체(inclusion bodies)로서 발현되었고, 그 후의 재접힘 방법을 통해 정제되었다(Biochim Biophys Acta (1995) 1260(1):27-34). 재접힘 과정은 높은 단백질 수율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종종 생물학적으로 불활성화되는 표적 단백질과의 응집(aggregation) 및 잘못 접힘(misfolding)이 일어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hLIF는 글루타치온 S-트랜스퍼라제(glutathione S-transferase; GST) 또는 티오레독신(thioredoxin; Trx)과 함께 수용성 융합 단백질로서 발현되었다(Nat Biotech (1989) 7(11):1157-1161; Protein Expr Purif (2010) 73(1):51-7; J Biotechnol (2011) 151(4):295-302; Protein Pept Lett (2011) 18(7): 690-8).
한편 한국특허출원 제 10-1997-703592호는 백혈병 억제 인자(LIF), 거의 순수한 형태로 LIF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재조합 LIF를 클로닝하여 발현하는 방법, 그리고 LIF 제조를 위한 재조합 DNA 분자 및 숙주 세포에 관해 개시하고 있지만, LIF를 분리하기 위한 인간 PDI 또는 인간 PDIb´a´ 태깅 시스템에 대한 언급은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간 단백질 이황화물 이성질화효소(human protein disulfide isomerase; hPDI)를 코딩하는 유전자 또는 hPDIb´a´ 도메인 유전자 중 어느 하나의 유전자; 및 인간 백혈병 억제 인자(human Leukemia inhibitory factor; hLIF)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발현벡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재조합 발현벡터로 형질전환된 재조합 미생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hLIF 재조합 단백질(rhLIF)의 생산방법 및 상기 생산방법에 의해 생산된 hLIF 재조합 단백질(rhLIF)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여러 태그들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서, hLIF를 His8, hPDI 또는 hPDIb´a´로 융합하였고, 각각의 융합단백질에 최적화된 조건에서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간소화된 공정을 통해 분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hLIF의 His8 및 hPDIb´a´태깅 둘다 전체 길이의 수용성 단백질로 대장균(E. coli)에서 성공적으로 분리되었다. 그러나, hPDIb´a´가 hLIF 내에 있는 6 개의 시스테인 잔기에 3 개의 내부 이황화 결합을 형성하도록 도와서 His8보다 hLIF를 더 안정화시켰다. 분리된 hLIF의 생물학적 활성은 R1 세포에서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인간 단백질 이황화물 이성질화효소(human protein disulfide isomerase; hPDI)를 코딩하는 유전자 또는 hPDIb´a´ 도메인 유전자 중 어느 하나의 유전자; 및 인간 백혈병 억제 인자(human Leukemia inhibitory factor; hLIF)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발현벡터를 제공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hLIF 유전자는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hPDI 유전자는 서열번호 2이고, 상기 hPDIb´a´ 도메인 유전자는 서열번호 3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재조합 발현벡터는 도 1A(ii)의 개열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벡터”는 클론유전자(또는 클론 DNA의 다른 조각)를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스스로 복제되는 DNA분자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있어서, “발현 벡터”는 목적한 코딩 서열과, 특정 숙주 생물에서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코딩 서열을 발현하는데 필수적인 적정 핵산 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DNA 분자를 의미한다. 발현 벡터는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선택성 마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커는 통상적으로 화학적인 방법으로 선택될 수 있는 특성을 갖는 핵산 서열로, 형질 전환된 세포를 비 형질전환 세포로부터 구별할 수 있는 모든 유전자가 이에 해당된다. 그 예로는 앰피실린(ampicilin), 카나마이신(kanamycin), G418, 블레오마이신(Bleomycin), 하이그로마이신(hygromycin), 클로람페니콜(chloramphenicol) 과 같은 항생제 내성 유전자가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Gateway Vector system은 엔트리벡터와 목적벡터로 구성되며, 상기 엔트리벡터는 목적유전자의 양말단에 attL1, attL2를 갖는 벡터이며, 목적벡터는 attR1, attR2를 포함하는 벡터이다. 상기 엔트리벡터와 상기 목적벡터는 목적벡터의 attR1 및 attR2가 엔트리벡터의 attL1 및 attL2와 재조합효소에 의해 LR반응을 일으키며, 이 과정에서 엔트리벡터에 포함되어 있던 목적유전자가 목적벡터로 전달되게 되고, attR1과 attR2 는 attB1과 attB2 서열로 치환되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재조합 발현벡터로 형질전환된 재조합 미생물을 제공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미생물은 대장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보다 상세하게는 대장균 BL21(DE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재조합 미생물을 배지에서 배양하여 hPDI 태그- 또는 hPDIb´a´ 도메인 태그-hLIF 재조합 단백질을 발현시키는 단계; 담배 식각 바이러스(Tobacco Etch Virus; TEV) 단백질 분해효소(protease)를 처리하여 상기 hPDI 태그 또는 hPDIb´a´ 도메인 태그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hPDI 태그 또는 hPDIb´a´ 도메인 태그가 제거된 hLIF 재조합 단백질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hLIF 재조합 단백질(rhLIF)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담배 식각 바이러스(Tobacco Etch Virus; TEV) 단백질 분해효소(protease)를 사용했지만,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protease)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트롬빈(Thrombin), 엔테로키나제(Enterokinase), Factor Xa, 유비퀴틴-특이적 단백질 분해효소(Ubiquitin-specific protease), 푸린(Furin), 유전자 분해효소 I(Genease I) 또는 단백질 분해효소 K(Proteinase K)등을 적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생산방법에 의해 생산된 hLIF 재조합 단백질(rhLIF)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유전공학적 기술과 관련된 사항은 샘브룩 등의 문헌(Sambrook, et al.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Cold Spring Harbor, N. Y.(2001)) 및 프레드릭 등의 문헌 (Frederick M. Ausubel et al., 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volume 1,2,3, John Wiley & Sons, Inc.(1994)) 등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간 PDIb´a´태그를 이용한 인간 LIF 재조합 단백질의 대장균 내 발현 및 정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hPDIb´a´ 도메인과의 태깅을 통해 대장균 내에서 용해도 및 안정도가 증가된 LIF 단백질을 분리, 정제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이렇게 얻어진 LIF 단백질은 신경세포의 생존, 회복 및 형성 뿐만 아니라 배아줄기세포의 유지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His8- 및 hPDIb´a´-hLIF 발현벡터의 제작 과정 및 도메인 구조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a)는 pET28(+)-His8-TEVrs-hLIF 및 p0GWA-hPDIb´a´-TEVrs-hLIF의 벡터 지도를 나타낸다. 대장균 내에서 융합 단백질의 발현은 IPTG 유도 T7 프로모터에 의해 조절되고, His8-hLIF를 위한 선택 마커는 카나마이신(Kan(R))이고, hPDIb´a´-hLIF를 위한 선택 마커는 앰피실린(Amp(R))이다. (b)는 His8-hLIF, hPDI-hLIF 및 hPDIb´a´-hLIF 융합 단백질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화살표는 TEV 프로테아제(TEV protease)의 절단 위치를 나타낸다.
도 2는 SDS-PAGE를 이용하여 대장균 내에서 3개의 태그들로 융합된 rhLIF의 발현을 분석한 결과이다. 단백질 발현은 0.5 mM IPTG 에 의해 (A) 37℃ 및 (B) 18℃에서 유도되었다. His8, 옥타히스티딘(octahistidine); hPDI, 인간 PDI의 전체길이(full-length), hPDIb´a´, 인간 PDI의 b´a´ 도메인; M, 분자량 사이즈 마커; C, 대조구로서 IPTG 유도 전의 총 세포 단백질; I, IPTG 유도 후의 총 세포 단백질; P, 불용성 세포 펠렛; S, 세포 초음파 처리 후 수용성 상등액.
도 3은 대장균 내에서 rhLIF의 분리에 대한 것이다. 대장균으로부터 발현된 (A) His8-LIF 및 (C) hPDIb´a´-hLIF는 SDS-PAGE에 의해 분석되었다. lane 5 및 lane 5'는 His8 및 hPDIb´a´가 거의 완전하게 절단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M, 분자량 마커; lane 1 및 lane 1', 음성대조구로서 IPTG 유도 전 총 세포; lane 2 및 lane 2', IPTG로 처리한 총 세포; lane 3 및 lane 3', 세포 초음파 처리 후 수용성 분획; lane 4, His-trap HP 컬럼을 이용하여 분리한 His8-hLIF 융합 단백질(25 kDa); lane 4',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리한 hPDIb´a´-hLIF 융합 단백질(55.4 kDa); lane 5, TEV 단백질 분해효소로 절단된 His8 태그: His8 (5 kDa) 및 rhLIF(20 kDa); lane 5', TEV 단백질 분해효소로 절단된 hPDIb´a´ 태그: hPDIb´a´ (35.6 kDa) 및 rhLIF(20 kDa); lane 6 및 lane 6', 최종 분리된 rhLIF. (B) 및 (D) 분리된 rhLIF의 최종 순도를 확인하기 위한 실버 염색된 10% SDS 젤 전기영동을 나타낸다. lane 7, His8 태그를 이용하여 정제된 rhLIF; lane 7', hPDIb´a´ 태그를 이용하여 정제된 rhLIF. (E) 절단 반응 후의 hLIF의 젤 여과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다. TEV 및 hPDIb´a´와 함께 절단된 hLIF는 다른 크기로 뚜렷하게 분리된다.
도 4는 대장균으로부터 분리된 rhLIF의 MALDI-TOF MS 분석결과를 나타낸다. (A) hLIF(181 aa)의 트립신 분해 펩타이드 지도. (B, C) 환원 및 비환원 조건에서 각각 분리된 hLIF의 MALDI-TOF MS 결과.
도 5는 생체 내(in vivo)의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낸다. (A) 배아줄기세포에 대조구 LIF와 비교해서 재조합 LIF를 처리한 결과는 콜로니로 잘 자란 것을 확인하였다(왼쪽). 배아줄기세포는 LIF 존재하에 그 표면에서 SSEA-1 발현을 유지한다. 염색되지 않은 배아줄기세포는 background 발현을 하는데 사용되었다. (B) 배아줄기세포 유지와 분화과정을 보여주는 모식도(위쪽그림). 재조합 LIF 존재하에 유지되는 배아줄기세포는 대조구 LIF 존재 하에서와 같이 성공적으로 중배엽 전구체 Flk-1+를 대등하게 증가시켰다.
이하, 하기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hLIF 발현벡터의 제작 및 발현
8개의 히스티딘 태그를 포함하는 최종 벡터를 만들기 위해서, 리딩프레임 카세트 A(reading frame cassette A; RfA)를 pET28a(+) 유래 벡터로 서브클로닝 하였다. RfA는 게이트웨이 벡터 전환 키트(Gateway vector conversion kit; Invitrogen, CA, USA)의 한 프레임이고, 이는 ccdB 유전자가 인접해 있는 attR 사이트 및 클로람페니콜 내성 유전자를 포함하는 평활 말단 카세트(blunt-ended cassette)이다. pET28a(+) 유래 벡터는 Nco I 및 Xho I(Enzynomics, Daejon, Korea)으로 처리되었고, 멍 빈 뉴클레아제(Mung Bean Nuclease; New England Biolabs, Inc., MA, USA)에 의한 단일 가닥 연장(single-stranded extension)으로 제거된 후, RfA는 준비된 벡터에 연결되었다.
성숙(mature) hLIF (NCBI Reference Sequence: NP_002300.1)의 180개 아미노산을 코딩하는 DNA는 유전자 합성 서비스(Bioneer)에 의해 합성되었고, TEVrs 및 attB 사이트는 엔트리 벡터에 삽입되었다. 합성된 DNA는 BP 재조합 클로닝(Invitrogen, CA, USA)에 의해 pDONOR207로 서브클로닝 되었고, 최종 엔트리 벡터는 pENTR-TEVrs-hLIF로 명명하였다. 발현벡터를 얻기 위해서, pENTR-TEVrs-hLIF 내에 있는 hLIF는 LR 재조합(Invitrogen, CA, USA)에 의해 pDEST-His8로 옮겨졌다. His8-TEVrs-hLIF 융합 단백질을 코딩하는 최종 구조체(construct)는 pET28(+)-His8-TEVrs-hLIF로 명명하였고, D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Macrogen, Inc., Daejon, Korea). 또한, 추가적으로 LR 재조합 클로닝을 통해 발현 수준을 확인하기 위해서, pENTR-TEVrs-hLIF는 pDEST-hPDI 및 pDEST-hPDIb´a´로 각각 클로닝을 수행하였다(도 1). 다른 태그들을 포함하는 3 개의 발현벡터들이 게이트웨이 프로토콜(Gateway protocol)을 통해 얻어졌다(Genome Res (2000) 10(11): 1788-95). 한편, 하나의 추가적인 글리신 잔기를 가진 hLIF로부터 융합된 hPDIb´a´ 및 His8을 단백질 분해에 의해 절단하기 위해 TEVrs를 삽입하였다.
3 개의 융합된 태그들의 발현 수준을 비교하기 위해서, 3 개의 발현벡터를 컴피턴트(competent) E. coli BL21(DE3) 숙주세포로 각각 형질전환하였다. 형질전환체들을 25ug/ml 카나마이신이 포함된 LB 배지에서 37℃로 배양하였고, 600nm에서의 광학밀도(OD600)가 0.6에 이르렀을 때, 0.5mM 이소프로필-β-D-티오갈락토시드(isopropyl-β-D-thiogalactoside; IPTG)로 발현을 유도하였다. IPTG 첨가 후의 배양 조건은 용해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37℃에서 4시간 동안 유지하거나 18℃에서 18시간 동안 배양으로 전환하였다. 배양 후, 발현 수준은 10% 트리스-글리신 젤(tris-glycine gel)을 사용하여 SDS-PAGE에 의해 분석하였다.
< 실시예 2> 재조합 hLIF 의 분리
1. His8-hLIF의 분리
배양된 세포는 30분 동안 3,500 rpm에서 원심분리하여 수확한 후, 세포 펠렛은 용해 완충액(lysis buffer)(20 mM Tris-HCl, pH 8.0, 0.5 M NaCl, 5% 글리세롤 (v/v), 1 mM 페닐메틸설포닐플루오라이드(Phenylmethylsulfonylfluoride; PMSF))에 10ml/g 비율로 재현탁하였다. 용해물은 세포 파괴를 위해 20회 초음파 처리한 후, 12,000rpm에서 30분 동안 원심분리를 통해 얻어진 상등액에 포함된 수용성 단백질을 분리를 위해 사용하였다.
과발현된 His8-hLIF 융합 단백질은 미리 패킹된 Ni Sepharose 컬럼을 사용하여 우선 고정화 금속 이온 친화 크로마토그래피(immobilized metal ion affinity chromatography; IMAC)에 의해 분리되었다. 결합 완충액(20 mM Tris-HCl, pH 8.0, 500 mM NaCl, 5% 글리세롤 (v/v))으로 평형화된 여과된 용해물은 5ml His-trap HP 컬럼 (GE Healthcare)을 사용하였다. 비특이적으로 결합한 단백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컬럼은 8-10 컬럼 부피(column volume; CV)의 세척 완충액(20 mM Tris-HCl, pH 8.0, 500 mM NaCl, 5% 글리세롤 (v/v), 150 mM 이미다졸)으로 충분히 씻어낸 후, 단백질 샘플은 6 CV의 용출(elution) 완충액(EBA; 20 mM Tris-HCl, pH 8.0, 500 mM NaCl, 5% 글리세롤 (v/v), 1 M 이미다졸)으로 용출시켰다. 단백질 절단을 위해서, 용출된 His8-hLIF 융합 단백질에 1:1 (w/w)의 비율로 TEV 프로테아제(protease)를 처리하였다. 절단 조건은 30℃에서 1mM DTT 존재 하에서 3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단백질 절단 후에, hLIF는 2차 IMAC를 통해 다시 분리되었는데, 먼저 샘플을 분자량 3,500 Da 이상을 차단할 수 있는 투석막(Viskase Companies, Inc.)을 통과시켰고, 이를 His-trap HP 컬럼에 다시 적용하기 전에, DTT 및 이미다졸(imidazole)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 결합 완충액으로 1:100 (v/v)의 비율로 4℃에서 2시간씩 2 번 투석하였다. 절단된 융합 단백질을 결합 완충액으로 평형화된 5ml His-trap HP 컬럼에 로딩하였다. 컬럼을 2 CV의 결합 완충액으로 씻어냈다. 절단된 hLIF를 2 CV의 용출 완충액 B(EBB; 20 mM Tris-HCl, pH 8.0, 500 mM NaCl, 5% 글리세롤, 100 mM 이미다졸)으로 용출시킨 후, 절단된 His8-태그 및 TEV 프로테아제는 EBA로 분리하였다. NaCl의 농도를 감소시키고 이미다졸을 제거하기 위해서, 분리된 hLIF 단백질을 포함하는 분획을 최종 완충액(20 mM Tris-HCl, pH 8.0, 200 mM NaCl, 5% 글리세롤 (v/v))에 투석하였다. 분리 과정 동안 모든 분획은 10% 트리스-트리신 SDS-PAGE 젤(tris-tricine SDS-PAGE gel)을 사용하여 SDS-PAGE에 의해 분석하였다. 단백질의 농도는 BSA를 사용하여 브래드포드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Anal Biochem (1976) 72: 248-54).
2. hPDIb´a´-hLIF의 분리
배양된 세포는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수확하였고, 그 후 세포 펠렛은 용해 완충액(lysis buffer)(20 mM Tris-HCl, pH 7.0, 5% 글리세롤 (v/v), 1 mM 페닐메틸설포닐플루오라이드(Phenylmethylsulfonylfluoride; PMSF), 0.5 mM EDTA)에 10ml/g 비율로 재현탁하였다. 용해물은 His8-LIF와 같이 초음파 처리하였다. 상등액은 Whatman™ 실린지 필터(0.45um, GE Healthcare)를 통하여 여과하였고, 완충액 A(20 mM Tris-HCl, pH 7.0, 5% 글리세롤 (v/v), 0.5 mM EDTA)로 전평형화된 5ml Hi-trap SP 컬럼(GE Healthcare)을 사용하였다. 비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단백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2 CV의 완충액 A로 씻어냈고, 25-45% 범위를 갖는 10 CV의 완충액 A에 0 - 1 M NaCl의 선형 구배(linear gradient)로 용출하였다. 용출된 분획들은 완충액 B(20 mM Tris-HCl, pH 8.0, 5% 글리세롤 (v/v), 0.5 mM EDTA)로 투석한 후, 5ml Hi-trap Q HP 컬럼 (GE Healthcare)에 적용하였는데, 이는 완충액 B로 평형화된 것이다. 컬럼은 2 CV의 완충액 B로 씻어냈고, 45-60% 범위를 갖는 10 CV의 완충액 B에 0 - 1 M NaCl의 선형 구배(linear gradient)로 용출하였다. 10ug의 융합 단백질을 절단하기 위해서, 1ug의 TEV 단백질 분해효소(protease)로 처리하였다. 절단 조건은 1mM 디티오트레이톨(dithiothreitol; DTT) 하에 상온에서 밤새도록 처리하였다. 단백질 절단 후에, 센트리콘(centricon)으로 반응 혼합물을 500ul로 농축하였고, 수퍼덱스75(superdex75) 젤 여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하여 분리하였다. 이를 완충액 C(20 mM Tris-HCl, pH 8.0, 300 mM NaCl, 5% 글리세롤 (v/v))로 평형화된 HiLoad 26/100 수퍼덱스-75 HR (GE Healthcarae)에 로딩하였다. hPDIb´a´ 태그로부터 분리된 hLIF를 약 75ml의 보존 체적(retention volume)으로 용출하였다. 잔여 TEV 단백질 분해효소(protease)를 제거하기 위해서, 수퍼덱스-75 HR로부터의 용출물을 결합 완충액(20 mM Tris-HCl, pH 8.0, 300 mM NaCl, 5% 글리세롤 (v/v))으로 평형화된 5 ml His-trap HP 컬럼 (GE Healthcare)에 로딩하였고, 2 CV의 결합 완충액으로 씻어냈다. 절단된 hLIF를 2 CV의 용출 완충액 C(EBC; 20 mM Tris-HCl, pH 8.0, 300 mM NaCl, 5% 글리세롤, 100 mM 이미다졸)로 용출하였다. 분리된 hLIF 단백질을 포함하는 분획을 최종 완충액(20 mM Tris-HCl, pH 8.0, 200 mM NaCl, 5% 글리세롤 (v/v))으로 투석하였다. 이는 NaCl의 농도를 감소시키고 이미다졸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His8 태그된 hLIF의 분리와 같다. 분리 과정 동안의 모든 분획은 10% 트리스-트리신 SDS-PAGE 젤(tris-tricine SDS-PAGE gel)을 사용하여 SDS-PAGE에 의해 분석하였다.
3. 전기영동 및 실버 염색
단백질들은 SDS-PAGE 젤에서 분리되었다(Nature (1970) 227(5259): 680-5). 단백질 샘플은 100 mM DTT가 포함된 샘플 완충액에서 100℃에서 10분 동안 변성되었다. 샘플들은 10% 폴리아크릴아미드(polyacrylamide) 젤에 로딩되었다. 단백질 밴드들은 쿠마시 브릴런트 블루 R-250(Coomassie brilliant blue R-250; AMRESCO LLC, OH, USA) 염색에 의해 확인되었고, ImageJ program (http://imagej.nih.gov/ij)에 의해 분석되었다. 최종적으로 분리된 hLIF는 염색하였고,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Silver Stain Plus® kit (Bio-Rad Laboratories, Inc., CA, USA)에 의해 확인하였다.
밴드들이 명확하게 보이면, 상기 반응을 5% (v/v) 아세트산으로 15분 동안 처리하여 정지시켰다. 젤들은 충분한 물로 씻어냈고, 보존을 위하여 5% (v/v) 글리세롤 및 0.02% (w/v) 소듐 아지드(sodium azide) 수용액으로 밤새도록 처리하였다.
4. 결과
여러 융합 태그들의 발현 수준을 비교하기 위해서,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3 개의 발현 벡터를 LR 조합에 의해 얻었다. 도 1B는 His8-, hPDI- 및 hPDIb´a´-hLIF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hPDI-hLIF는 37℃에서는 수용성이었으나, 발현 수준이 매우 낮았다(표 1). His8-hLIF 및 hPDIb´a´-hLIF 융합 단백질은 37℃에서는 거의 수용성 형태로 발현되지 않았다(도 2A). 하지만, IPTG가 존재하는 18℃에서는 각각 25 kDa, 79.7 kDa 및 55.5 kDa에서 수용성 형태로서 유도되었다(표 1 및 도 2B). 18℃에서 His8-, hPDI- 및 hPDIb´a´-hLIF의 용해도는 각각 80.1%, 95.4% 및 99.5%이었다(표 1).
His8-, hPDI- 및 hPDIb'a' 태그를 가진 rhLIF의 발현수준 및 용해도
태그 크기 (kDa) 융합 단백질 크기(kDa) 발현 수준 (%) 용해도(%)
37 o C 18 o C 37 o C 18 o C
hLIF
(19.8 kDa )
His8 - 1 5.2 25.0 30.9 51.9 22.0 80.1
hPDI - 59.8 79.6 12.0 78.3 97.0 95.4
hPDIb'a' - 35.6 55.4 66.2 80.2 41.8 99.5
1 TEVrs 포함.
His8-hLIF는 단지 금속 이온 친화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해서만 분리되었다(도 3A). 과발현된 His8-TEVrs-hLIF 융합 단백질은 우선 His-trap HP 컬럼을 통해 분리되었고, TEV 단백질 분해효소로 절단되었다. TEV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한 His8/LIF의 비특이적 절단은 검출되지 않았다. 절단 반응으로부터 20 kDa의 hLIF 및 5 kDa의 His8 태그를 얻었다. 클로닝을 위해 사용된 게이트웨이 방법으로 인해, 추가 아미노산이 His8과 함께 포함되었다. 그리고 그 후, hLIF, His8 및 TEV 단백질 분해효소의 혼합물은 2 번째 His-trap HP 컬럼에 의해 분리되었다. 1 L 배양으로부터 투석 후에 1.8 mg의 순수한 hLIF가 얻어졌다(도 3A, lane 6).
His8-hLIF는 초반에 hLIF의 발현 및 분리를 위해서 선택되었는데, 이는 His8 태그가 비록 발현 수준은 다른 구조체들보다 낮지만, 18℃에서 발현시킨 수용성 hLIF들 중 가장 작고, 분리하기 쉽기 때문이다. 하지만, 첫 번째 단계의 His-trap HP 컬럼을 사용한 후, 샘플 순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두 번째 이온 교환 컬럼에 있어서, 본 발명자들은 완충액에 있는 염 농도를 감소시키려는 시도를 했는데, 대부분의 융합 단백질은 침전되었다. 단백질 침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온 교환 컬럼을 위한 모든 종류의 완충액을 탐색하였으나, 적절한 완충액 조건을 찾는 것은 어려웠다.
hPDIb´a´ 태그는 hPDI 보다 작고, hPDIb´a´-hLIF의 발현 수준 및 용해도가 가장 높기 때문에, 분리 과정 동안 hPDIb´a´-hLIF가 hLIF의 용해도 비교를 위해 선택되었다. 따라서 His8 또는 hPDIb´a´ 태그된 hLIF의 용해도를 비교하였다. TEV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한 hPDIb´a´의 절단과 함께 SP sepharose 및 Q sepharose를 조합하여 hLIF는 대장균 배양액으로부터 분리되었고, 젤 여과를 통하여 절단된 태그 및 TEV 단백질 분해효소로부터 분리되었다(도 3D). 약 1.3mg의 굉장히 순수한 재조합 hLIF를 1L 배양으로부터 얻었다(도 3B, lane 6). hLIF의 최종 순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최종적으로 분리된 hLIF를 실버 염색 방법으로 염색하였고 다른 불순물은 없었다(도 3C, lane 7).
다양한 시간 포인트, 온도 및 염 농도에 따라 각각의 수용성 hLIF를 정량한 실험에 기초하여, His8 및 hPDIb´a´로부터 최종적으로 분리된 hLIF 사이의 용해도는 비슷했다. 하지만, 융합 단백질의 경우, 최종 수용성 hPDIb´a´-hLIF는 91%인데 비해 염 농도를 줄인 His8-hLIF는 단지 6%에 불과했다.
< 실시예 3> MALDI - TOF MS 분석에 의한 재조합 융합 단백질의 확인
분리된 재조합 결합 단백질의 확인을 위하여, 샘플을 10% TCA로 침전시킨 후, 침전된 샘플을 50mM 이오도아세트아미드(iodoacetamide; IAA)가 포함된 IA 완충액(0.5 M Tris-HCl, pH 8.0, 5% 글리세롤 (v/v), 100 mM NaCl, 1 mM EDTA, 2 % SDS)에 현탁하였고, 상온에서 30분 동안 유지하였다. 샘플을 14.4% SDS-PAGE 젤에 로딩하였다. 재조합 융합 단백질과 연관된 밴드를 자른 후에, 트립신으로 처리하였다. Voyager-DE™ STR을 이용하여 MALDI-TOF MS을 수행하였다. Data Explorer TM 소프트웨어(Applied Biosystems, Framingham, MA)를 사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후, 얻어진 펩타이드 질량을 Mascot peptide mass fingerprinting search program(Matrix Science, Boston; MA)으로 NCBI 데이타베이스에서 검색하였다(Nature 440(7082) (2006) 363-7).
분리된 rhLIF를 확인하기 위해서, MALDI-TOF MS 분석을 환원 및 비환원 조건에서 수행하였다. 분리된 rhLIF의 MALDI-TOF MS 분석 결과는 대부분의 트립신 분해 펩타이드 질량이 rhLIF와 관련된 것으로 관측되었다(도 4). 또한, rhLIF의 6개 시스테인 잔기가 비환원 조건에서 내부 이황화 결합의 형성에 관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4C). 이는 rhLIF의 6개 시스테인 잔기 모두가 3개의 내부 이황화 결합을 형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실시예 4> rhLIF 의 활성 측정
1. rhLIF의 내독소 측정
잔여 내독소(endotoxin)의 양은 정량시험인 Endpoint Chromogenic Limulus Amebocyte Lysate (LAL) Test (Lonza, Basel, Swizerland)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10ug/ml 샘플 또는 내독소 표준용액(1.0, 0.5, 0.25, 0.1 EU/ml) 중 50ul를 미리 따뜻하게 해 둔 37℃의 내독소(endotoxin)가 없는 마이크로플레이트 웰에 나누어 담았다. 각각의 웰에는 생물학적 내독소 시험(limulus amebocyte lysate; LAL) 시약 50ul를 첨가하였다. 웰들은 37℃에서 10분 동안 유지되었다. 그 후, 미리 따뜻하게 해 둔 100ul의 발색 기질(chromogenic substrate) 용액을 각각의 웰에 첨가하였고, 37℃에서 6분 동안 유지하였다. 그리고 나서 100ul의 정지 시약(25% (v/v) 아세트산)을 첨가하고,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405nm에서 분석하였다. 흡광도 분석 후에, 표준용액을 통해 얻어진 표준곡선을 이용하여 내독소(endotoxin) 단위를 계산하였다.
2. 배아줄기세포 수확과 Flk1+ 세포 유도
E14tg2a 배아줄기세포 라인이 0.1% 젤라틴이 코팅된 판에서 상업적 대조구 LIF 혹은 재조합 LIF가 포함된 GMEM 유지 배양액에 1x103 cell/cm2의 밀도로 수확되었다. 배양액은 매일 바꿔주었다. Flk1+ 세포 유도를 위해, 배아줄기세포가 0.1% 젤라틴이 코팅된 판에서 LIF 추가 없이 2x103 cell/cm2의 밀도로 펼쳐졌다. 배양액은 이틀에 한번씩 바꿔주었다. 4.5일 후에 Flk1+ 세포 세대가 항-마우스 Flk1 항체(eBioscience)로 분석되었다.
3. 유동 세포 분석
세포들은 분리 완충액 (Invitrogen)과 함께 수확되었고 HBSS/2% FBS 100ul 당 2x106 세포가 재현탁 되었다. 세포들은 항-마우스 SSEA-1 (Abcam)이나 비오틴이 결합된 항-마우스 Flk1 (eBioscience)에서 10분간 배양되었다. HBSS/2% FBS로 두 번 세척된 후, 세포들은 PE 결합된 스트렙타비딘(streptavidin; eBioscience)이나 FITC 결합된 항-마우스 IgM 항체와 배양되었다. FACS Aria II (Beckton Dickinson)으로 분석되었고, 죽은 세포들은 7-AAD (Invitrogen)에 의해 배제되었다. 데이터는 FlowJo 소프트웨어 (Tree Star Inc.)로 분석되었다.
4. 결과
분리된 His8-hLIF의 생물학적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FACS 배양물로 실험하였다(도 5). 그 결과, 분리된 재조합 hLIF는 상업적으로 판매하는 hLIF와 생물학적 활성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110> University of Ulsan Foundation For Industry Cooperation <120> Expression and purification method of biologically active human LIF with human PDIb'a' tag in Escherichia coli <130> DP-2012-0461 <160> 3 <170> KopatentIn 2.0 <210> 1 <211> 540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1 agtcctctgc cgatcacacc tgtgaatgcc acatgcgcaa tccgtcatcc ttgccacaat 60 aatctgatga atcagatccg ttcacagctc gcgcagctga atggatcagc taacgcactt 120 tttattctgt attataccgc acagggagag ccatttccga acaacctgga taaattgtgt 180 ggcccgaacg taactgattt tccgccattc catgctaatg ggacggaaaa ggccaagctg 240 gttgaactgt atcgtattgt tgtttacctg ggcacctctc tgggcaacat tactcgcgat 300 cagaaaattc tgaatccgag cgcactgagt ctccactcta aactgaacgc cacagctgac 360 atattacggg gtttactgag caatgtgttg tgtcgcctgt gttcgaaata tcatgtaggt 420 cacgtggatg tcacctacgg gcccgacacg tccggtaaag atgtctttca aaaaaaaaaa 480 ttgggctgcc aactgctggg caagtataaa cagataattg cggttctggc ccaggcgttc 540 540 <210> 2 <211> 1461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2 gacgcaccgg aagaagagga tcatgtcctg gttctgcgca aaagcaactt cgcggaagca 60 ctggccgcac ataaatatct gctggtggaa ttttatgctc cttggtgcgg tcattgcaaa 120 gccctggccc cggagtacgc caaagccgca ggtaaactga aagctgaagg tagcgaaatc 180 cgcctggcaa aggttgatgc tacggaagag agtgacctgg cgcagcagta tggtgtccgc 240 ggctatccta caattaaatt cttccgtaac ggtgataccg catctccaaa agaatatacc 300 gctggtcgcg aggcggacga tattgttaac tggctgaaga aacgcactgg ccctgccgca 360 accaccctgc ctgatggcgc tgctgccgaa agcctggtcg aaagtagcga agttgccgtc 420 attggtttct ttaaggatgt agaatctgac agtgccaaac agtttctgca agcggcagag 480 gctatcgatg acatcccgtt cggcatcacc tctaacagtg acgtattcag taaataccaa 540 ctggataaag acggcgttgt gctgttcaag aaatttgatg aaggtcgcaa caactttgag 600 ggtgaggtga ccaaggagaa cctgctggat tttattaagc acaaccaact gccgctggtt 660 attgaattta cagaacaaac ggcgccgaaa attttcggcg gtgagattaa aacacatatc 720 ctgctgtttc tgccgaagag cgtttctgat tacgatggta aactgagtaa ttttaaaacc 780 gccgcagaat ctttcaaagg taagattctg ttcattttca ttgatagcga ccacacggac 840 aatcagcgta tcctggagtt ctttggtctg aagaaagagg aatgcccggc tgtgcgtctg 900 attacgctgg aagaggaaat gacaaagtac aagccggaga gcgaggaact gactgcagaa 960 cgtatcaccg aattttgtca tcgtttcctg gaggggaaga ttaagccgca tctgatgagc 1020 caggaactgc cggaggattg ggacaaacag ccagtgaaag ttctggtggg gaagaatttt 1080 gaagatgtgg ccttcgatga gaagaagaat gtgtttgtgg agttctacgc cccgtggtgt 1140 gggcactgta aacagctggc gccgatctgg gacaaactgg gcgaaacgta taaagatcac 1200 gaaaatattg tgatcgcgaa aatggattct accgcgaatg aagtagaagc ggtaaaagta 1260 cactcttttc cgacgctgaa attctttcca gcgagcgcgg atcgtactgt cattgattat 1320 aatggcgaac gtactctgga cggctttaag aaatttctgg aaagcggcgg ccaggatggc 1380 gcgggcgatg atgatgacct ggaagacctg gaagaagcgg aggaaccaga catggaggag 1440 gatgacgacc agaaagcggt c 1461 <210> 3 <211> 801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3 attgaattta cagaacaaac ggcgccgaaa attttcggcg gtgagattaa aacacatatc 60 ctgctgtttc tgccgaagag cgtttctgat tacgatggta aactgagtaa ttttaaaacc 120 gccgcagaat ctttcaaagg taagattctg ttcattttca ttgatagcga ccacacggac 180 aatcagcgta tcctggagtt ctttggtctg aagaaagagg aatgcccggc tgtgcgtctg 240 attacgctgg aagaggaaat gacaaagtac aagccggaga gcgaggaact gactgcagaa 300 cgtatcaccg aattttgtca tcgtttcctg gaggggaaga ttaagccgca tctgatgagc 360 caggaactgc cggaggattg ggacaaacag ccagtgaaag ttctggtggg gaagaatttt 420 gaagatgtgg ccttcgatga gaagaagaat gtgtttgtgg agttctacgc cccgtggtgt 480 gggcactgta aacagctggc gccgatctgg gacaaactgg gcgaaacgta taaagatcac 540 gaaaatattg tgatcgcgaa aatggattct accgcgaatg aagtagaagc ggtaaaagta 600 cactcttttc cgacgctgaa attctttcca gcgagcgcgg atcgtactgt cattgattat 660 aatggcgaac gtactctgga cggctttaag aaatttctgg aaagcggcgg ccaggatggc 720 gcgggcgatg atgatgacct ggaagacctg gaagaagcgg aggaaccaga catggaggag 780 gatgacgacc agaaagcggt c 801

Claims (9)

  1. 인간 단백질 이황화물 이성질화효소(human protein disulfide isomerase; hPDI)를 코딩하는 유전자 또는 hPDIb´a´ 도메인 유전자 중 어느 하나의 유전자; 및 인간 백혈병 억제 인자(human Leukemia inhibitory factor; hLIF)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발현벡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hLIF 유전자는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조합 발현벡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hPDI 유전자는 서열번호 2이고, 상기 hPDIb´a´ 도메인 유전자는 서열번호 3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조합 발현벡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발현벡터는 도 1A(ii)의 개열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조합 발현벡터.
  5. 제 1 항에 따른 재조합 발현벡터로 형질전환된 재조합 미생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은 대장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조합 미생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대장균은 BL21(DE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조합 미생물.
  8. 제 5 항에 따른 재조합 미생물을 배지에서 배양하여 hPDI 태그- 또는 hPDIb´a´ 도메인 태그-hLIF 재조합 단백질을 발현시키는 단계;
    담배 식각 바이러스(Tobacco Etch Virus; TEV) 단백질 분해효소(protease)를 처리하여 상기 hPDI 태그 또는 hPDIb´a´ 도메인 태그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hPDI 태그 또는 hPDIb´a´ 도메인 태그가 제거된 hLIF 재조합 단백질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hLIF 재조합 단백질(rhLIF) 생산방법.
  9. 제 8 항에 따른 생산방법에 의해 생산된 hLIF 재조합 단백질(rhLIF).
KR1020120092392A 2012-08-23 2012-08-23 인간 PDIb´a´태그를 이용한 생물학적 활성을 가진 인간 LIF 재조합 단백질의 대장균 내 발현 및 정제방법 Active KR101434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392A KR101434739B1 (ko) 2012-08-23 2012-08-23 인간 PDIb´a´태그를 이용한 생물학적 활성을 가진 인간 LIF 재조합 단백질의 대장균 내 발현 및 정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392A KR101434739B1 (ko) 2012-08-23 2012-08-23 인간 PDIb´a´태그를 이용한 생물학적 활성을 가진 인간 LIF 재조합 단백질의 대장균 내 발현 및 정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6781A true KR20140026781A (ko) 2014-03-06
KR101434739B1 KR101434739B1 (ko) 2014-09-01

Family

ID=50641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2392A Active KR101434739B1 (ko) 2012-08-23 2012-08-23 인간 PDIb´a´태그를 이용한 생물학적 활성을 가진 인간 LIF 재조합 단백질의 대장균 내 발현 및 정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47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4601A1 (ko) 2019-04-05 2020-10-08 한국세라믹기술원 Csq-태그를 이용한 단백질의 발현 및 정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T87133B (pt) * 1987-04-02 1992-07-31 Amrad Corp Ltd Metodo de purificacao do factor inibidor da leucemia (lif) e de composicoes farmaceuticas contendo polipeptidos com actividade do lif
WO2007049829A1 (en) * 2005-10-24 2007-05-03 Vexxon, Inc. Method for preparing soluble and active recombinant proteins using pdi as a fusion part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4601A1 (ko) 2019-04-05 2020-10-08 한국세라믹기술원 Csq-태그를 이용한 단백질의 발현 및 정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4739B1 (ko) 2014-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92650B2 (en) Production of seleno-biologics in genomically recoded organisms
EP1220933B1 (en) Purification of recombinant proteins fused to multiple epitopes
JP2022544277A (ja) カスパーゼ-2バリアント
CN104974994A (zh) 一种用于n-糖蛋白去糖基化的糖苷酶及其应用
US20080233614A1 (en) Production of recombinant collagenases colg and colh in escherichia coli
EP3330282A1 (en) Cipa, cipb and pixa as scaffolds to organize proteins into crystalline inclusions
KR101434739B1 (ko) 인간 PDIb´a´태그를 이용한 생물학적 활성을 가진 인간 LIF 재조합 단백질의 대장균 내 발현 및 정제방법
CN101970469B (zh) 外源蛋白或肽的制备方法
JP2016518855A (ja) 融合プロテアーゼ
CN109136209B (zh) 肠激酶轻链突变体及其应用
KR102060881B1 (ko) 재조합 인간 혈청 알부민의 수용성 과발현 및 정제 방법
CN112029741B (zh) 银杏中生长素n糖基转移酶蛋白及其编码基因与应用
CN108486142A (zh) 一种表达异戊烯基转移酶ComQ的基因工程菌的构建方法及应用
KR20210079235A (ko) Whep 도메인 융합에 의한 목적 단백질의 수용성 증진 방법
KR101434734B1 (ko) 인간 PDIb´a´도메인을 이용한 인간 FGF2 재조합 단백질의 대장균 내 발현 및 정제방법
CN102250938A (zh) 一种海葵强心肽的制备方法
Schmidt et al. Purification of the M flax‐rust resistance protein expressed in Pichia pastoris
KR100677828B1 (ko) OmpF와 목적단백질의 동시 발현을 통한 목적 단백질의세포외 분비·생산 방법
WO2016153150A1 (ko) 다중 이황화 결합 펩티드의 재조합 발현 시스템 개발
KR101717238B1 (ko) 크로타민 단백질을 생산하는 재조합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크로타민 단백질의 생산방법
KR101814048B1 (ko)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경구투여용 트롬보포이에틴 및 이의 대량 생산공정
CN102108344A (zh) 那西肽耐药型核糖体rna甲基转移酶、其制备方法及应用
Ma et al. High‐Level Expression and Purification of Tag‐free Peptides Containing Multiple Disulfide Bond in Pichia pastoris
WO2025077918A1 (zh) 一种重组多肽以及制备神经毒素的方法
WO2024231419A1 (en) New high expression and high activity n-glycosidases, methods of production and application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17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8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8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1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