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7828B1 - OmpF와 목적단백질의 동시 발현을 통한 목적 단백질의세포외 분비·생산 방법 - Google Patents

OmpF와 목적단백질의 동시 발현을 통한 목적 단백질의세포외 분비·생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7828B1
KR100677828B1 KR1020050063957A KR20050063957A KR100677828B1 KR 100677828 B1 KR100677828 B1 KR 100677828B1 KR 1020050063957 A KR1020050063957 A KR 1020050063957A KR 20050063957 A KR20050063957 A KR 20050063957A KR 100677828 B1 KR100677828 B1 KR 100677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in
ompf
interest
gene encoding
recombin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3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9029A (ko
Inventor
이상엽
최종현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50063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7828B1/ko
Publication of KR20070009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9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7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7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87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proces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co-transform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64General methods for preparing the vector, for introducing it into the cell or for selecting the vector-containing hos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0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 coli

Landscapes

  • Genetics & Ge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ell Biology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적단백질을 세포 배양액으로 분비·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대장균 유래 세포외막에 단백질 F(OmpF) 유전자를 함유하는 재조합 발현벡터와 세포 배양액으로 분비하고자 하는 목적단백질을 함유하는 재조합 발현벡터로 동시에 형질전환된 미생물 및 상기 미생물을 배양하여 목적단백질을 세포배양액으로 분비·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목적단백질을 타 단백질과 융합없이 순수한 상태로 세포 배양액으로 분비시킬 수 있어 목적단백질의 효율적인 분리정제가 가능하다.
대장균, 세포외막 단백질 F (OmpF), 세포외 분비생산

Description

OmpF와 목적단백질의 동시 발현을 통한 목적 단백질의 세포외 분비·생산 방법 {Method for Extracellular Production of Target Proteins by Co-expression of OmpF and Target Proteins}
도 1은 플라스미드 pACYC-OmpF의 유전자 지도이다.
도 2는 플라스미드 pACYC-OmpF와 pTrcS1PhoA로 형질전환된 대장균 BL21(DE3)을 배양하여 배양액을 SDS-PAGE 겔 상에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플라스미드 pACYC-OmpF와 pTrcS1PhoA로 형질전환된 대장균 MC4100을 배양하여 배양액을 SDS-PAGE 겔 상에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플라스미드 pACYC-OmpF와 pTrcS1PhoA로 형질전환된 대장균 BL21(DE3)을 다양한 NaCl2 농도에서 배양하여 배양액을 SDS-PAGE 겔 상에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플라스미드 psEGF의 유전자 지도이다.
도 6는 플라스미드 pACYC-OmpF와 psEGF로 형질전환된 대장균 BL21(DE3)을 배양하여 배양액을 SDS-PAGE 겔 상에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7은 플라스미드 pACYC-OmpF와 psEGF로 형질전환된 대장균 BL21(DE3)을 배 양하여 배양액을 SDS-PAGE 겔 상에서 CuCl2로 염색하여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8은 플라스미드 pACYC-OmpF와 pJS101ΔP로 형질전환된 대장균 BL21(DE3)을 배양하여 배양액을 SDS-PAGE 겔 상에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9는 플라스미드 pACYC-OmpF와 pTrcKObD로 형질전환된 대장균 BL21(DE3)을 배양하여 배양액을 SDS-PAGE 겔 상에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목적단백질을 세포 배양액으로 분비·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대장균 유래 세포외막에 단백질 F (OmpF) 유전자를 함유하는 재조합 발현벡터와 세포 배양액으로 분비하고자 하는 목적단백질을 함유하는 재조합 발현벡터로 동시에 형질전환된 미생물 및 상기 미생물을 배양하여 목적단백질을 세포배양액으로 분비·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전자조작 기술이 발전하면서 박테리아 및 여러 동식물들을 이용한 유용 단백질의 대량생산 연구도 많이 이뤄지고 있다. 현재까지 대장균은 여러 유용 단백질을 대량 생산하는데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숙주 세포이며, 이에 관한 연구도 가장 많이 이뤄지고 있다 (Hodgson, Bio/Technology, 11:887, 1993; Lee, Trends Biotechnol., 14:98, 1996). 그러나, 생산하고자 하는 유용 단백질이 대장균의 세 포질내에 생성되는 경우 많은 문제점들이 도출되고 있다. 첫 번째로 세포질내에 생산된 단백질을 순수 분리 및 정제하기 위해서는 상당히 복잡하고 많은 비용의 분리·정제과정을 거쳐야한다. 그리고 세포질내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프로티아제(protease)에 쉽게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수율이 낮아지는 원인이 된다. 또한 세포질내에 과다 발현된 단백질들은 완전한 접힘(folding)을 이루지 못하고 활성을 잃은 상태의 불용성 응집체(inclusion body)를 형성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불용성 단백질은 단백질로서의 활성을 가지지 못하므로 이로부터 생물학적 활성을 가진 수용성 단백질을 얻기 위하여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풀림(denaturation)과 재접힘(refolding) 과정이 필요하다 (Kane and Hartley, Trends Biotechnol., 6:95, 1988).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 중의 한가지로 세포질 내에서 생산된 단백질을 주변 세포질(periplasm) 혹은 배양액으로 분비(secretion)시키는 방법이 있다. 대장균에서 목적단백질의 세포외 분비생산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고 있다. 첫 번째로 대장균 세포내에 생산될 경우 일어날 수 있는 세포내 프로테아제에 의한 분해(proteolysis)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원하는 단백질의 안정적인 생산을 기대할 수 있다. 두번째로 분비과정을 통하여 단백질의 올바른 접힘 (folding)이 가능하여 활성을 갖는 단백질을 생산할 수 있으며 부적절한 접힘에 의한 불용성 응집체 (inclusion body)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 세번째로 분비과정을 통하여 N-말단의 분비신호서열이 제거되기 때문에 세포내 생산시 불가피하게 연결되는 N-말단의 메티오닌(methionine, Met) 잔기를 갖고 있지 않는 자연상태에 존재하는 것과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유지할 수가 있다. 마지막으로 정제과정이 용이하다. 이는 자연상태에서 대장균에서 배양액으로 분비하는 단백질은 거의 없기 때문에 원하는 단백질을 세포배양액으로 분비 생산 하였을 경우 높은 순도(purity)를 유지할 수 있고, 이로부터 원하는 단백질의 순수분리 또한 매우 용이하기 때문이다. 비록 대장균의 주변세포질에 분비하는 일반적인 분비생산과 유사한 장점을 갖고 있지만 산업적인 생산측면에서 고려해 본다면 세포외 분비 생산방법은 앞에서 언급한 장점들이 훨씬 더 유효해진다고 볼 수 있다. 일단 한정된 주변 세포질내에 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세포밖으로 완전히 분비시키는 방법이기 때문에 단백질 과잉생산에 따른 세포에 주는 부담이 훨씬 줄어들어 고농도 배양 및 연속배양을 통한 단백질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정제과정에서도 비록 두 방법 모두 높은 순수도를 유지한 상태로 생산이 가능하지만 주변세포질로의 분비생산은 세포외 분비생산보다 훨씬 더 복잡한 정제과정을 거쳐야 하며, 이는 산업적으로 활용하기에도 용이하지 않다. 이와 같이 세포외 분비생산이 갖는 장점은 매우 뛰어나고 다양하며 이러한 이유로 그동안 대장균에서 목적 단백질의 주변세포질 혹은 세포외 분비생산에 관하여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대장균으로부터 합성된 유용 단백질을 주변 세포질이나 배양액으로 분비시키는 방법은 대장균을 이용한 재조합 단백질의 생산 측면에서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우선 주변 세포질이나 배지내에는 세포질 내에 비해 상당히 적은 단백질이 존재하기 때문에 원하는 유용 단백질의 고순도 분리 및 정제가 매우 용이하다. 그리고 대부분의 프로티아제가 존재하는 세포질로부터 분리가 되기 때문에 세포내 프로 티아제에 의한 분해를 사전에 막을 수 있어 수율면에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주변 세포질은 세포질 내보다 더욱 산화된 환경이기 때문에 다이설파이드 (disulfide) 결합이 훨씬 쉽게 이루어지고, 결국 생성된 단백질의 올바른 접힘 (folding)이 형성되어 불용성 응집체의 형성이 현저히 줄어든다는 점이다 (Choi and Lee, Appl . Microbiol . Biotechnol., 64:625, 2004).
대장균에서 분비되지 않는 외래 단백질을 분비시키기 위해 기존에 알려져 있는 분비 신호 서열을 (OmpA, OmpF, PhoA, SpA 등) 외래 단백질의 N-말단에 연결하거나 혹은 이들 신호 서열을 약간 변형시켜 연결하여 분비시켰다 (Abrahmsen et al., EMBO J., 4:3901, 1985; Choi and Lee, Appl . Microbiol . Biotechnol.. 64:625, 2004; Jobling et al., Plasmid, 38:158, 1997; Klein et al., Protein Eng., 5:511, 1992; Utsumi et al., Gene, 71:349, 1988).
그러나 이러한 신호서열이나 단백질의 선택에 따라 분비 효율면에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또한 분비가 전혀 이뤄지지 않는 경우도 허다하다. 이는 아직까지 신호서열과 대상 단백질과의 상호관계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규명되지 않았기 때문이며, 따라서 대상단백질을 좀더 효율적으로 분비시킬 수 있는 새로운 신호 서열에 대한 탐색에 관한 연구가 지금도 전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또한, 분리 정제하는데 있어 세포질에서 분리·정제하는 방법보다는 보다 간편하지만, 이를 세포외로 분비시키는 경우 분리·정제하는 방법이 보다 간편해 질 수 있다.
지금까지 진행되어온 대장균에서 목적단백질의 세포외 분비·생산 방법은 다음과 같이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1) 분비신호서열 (signal peptide)과 의 융합방법으로 주로 대장균에서 주변세포질로의 분비생산에 이용하는 signal peptide를 많이 이용한다. Toksoy 등은 말토오스 결합 단백질 (maltose binding protein, MBP)과의 융합 방법으로 TaqI 단백질을 세포외로 분비·생산한 바 있다 (Toksoy et al., Biotechnol Techniq., 3:803, 999). 대장균 XL1 균주를 이용하였으며 1 mM IPTG를 이용한 유도발현 후 배양액 1 L당 약 270 x 103 Unit의 TaqI 단백질이 세포배양액에 생산되었다. Lo 등은 고초균 (Bacillus subtilis)에서 유래한 베타-1,4-엔도글루카나제 (β-1,4-endoglucanase)를 대장균에서 발현한 결과, 세포외 분비생산이 일어났음을 확인하였다 (Lo et al., Appl . Environ. Microbiol ., 54:2287, 1988). Nagahari 등은 OmpF 단백질의 분비신호서열 및 N-말단 8개 아미노산과의 융합방법을 이용하여 베타-엔돌핀을 세포외 분비생산하였다 (Nagahari et al., EMBO J., 4:3589, 1985). 대장균 N99, RRI, MC4100 및 mutant인 MH1461 (envZ), MH1160 (ompR)을 숙주세포로 사용하였으며, 이중 RR1 균주에서 가장 높은 분비효율을 나타냈는데, 분비 생산 후 세포외 프로테아제의 작용으로 급격히 베타-엔돌핀의 분해가 일어났다. 가장 안정적인 분비효율은 N99균주에서 나타내었다. 반면에 Yamamoto 등은 앞에서와 같은 OmpF 분비신호 서열과의 융합방법을 이용하여 Harvey murine sarcoma virus에서 유래한 p21 단백질의 분비생산을 시도하였으나, 분비생산되지 않고 세포질내(cytoplasm)에 불용성 응집체 (insoluble inclusion body)형태로 축적되었다고 보고하였다 (Yamamoto et al., Appl . Microbiol . Biotechnol., 35:615, 1991).
(2) 대장균에서 단백질 분비에 관여하는 단백질의 동시 생산방법을 이용한다. Baneyx 등은 OmpA-TEM-β-lactamase 융합 단백질의 분비생산에 대장균의 transmembrane 단백질인 TolAIII 단백질의 동시 생산방법을 이용하였다 (Baneyx and Eugene, Protein Expr . Purif ., 14:13, 1998). OmpA-TEM-β-lactamase 융합 단백질의 분비생산에는 IPTG 유도체를 필요로 하는 lpp-lac 프로모터를 사용하였고, TolAIII의 발현에는 역시 IPTG 유도체를 필요로 하는 T7lac 프로모터를 사용하였다. 대장균 BL21(DE3)을 사용하여 1 mM IPTG로 유도발현한 결과, TolAIII를 동시 발현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동시 발현하였을 경우에 세포배양액에서 3.5 배정도의 β-lactamase 활성 증가를 확인하였다. Robbens 등은 interleukin-2 (IL-2)의 생산에 있어 kil 유전자의 동시발현방법을 사용하였다 (Robbens et al., Protein Expr. Purif., 6:481, 1995). IL-2 유전자를 OmpA 분비신호서열과 융합한뒤 IPTG 유도체를 필요로 하는 tac 프로모터를 이용하여 유도발현하였으며, kil 유전자의 경우 42℃의 heat shock을 필요로 하는 PL 프로모터를 사용하여 동시발현에 이용하였다. Heat shock에 의한 kil 유전자의 유도발현 전에 대장균의 주변세포질에 생성된 IL-2 단백질이 kil 유전자의 유도발현 후 대부분 세포외막을 통과하여 세포배양액으로 분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van der Wal 등은 베타-락타마제 (β-lactamase)의 세포외 분비생산에 대장균의 lipoporotein인 bacteriocin release protein (BRP)을 이용하였다 (van der Wal et al., Appl . Environ. Microbiol., 64:392, 1998). van der Wal 등은 기존의 BRP 유전자에 무작위 돌연변이 (redome mutagenesis) 방법을 이용하여 변형된 BRP 유전자를 확보하였으며, 이들로부터 기존의 BRP 보다 안정적으로 세포외 분비생산이 가능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Aristidou 등은 BRP를 이용한 세포외 분비생산에서 배지내에 글리신 (glycine)의 첨가가 분비효율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Aristidou et al., Biotechnol. Lett., 15:331, 1993). 대상단백질로는 알파-아밀라제 (α-amylase)와 베타-락타마제 (β-lactamase)를 사용하였으며 BRP의 발현은 lpp/lac 프로모터에 의해 이루어졌다. 알파-아밀라제의 경우 배지내에 글리신을 1% 첨가하였을 경우에 0.1 % 첨가하였을 경우와 비교하여 세포배양액에 약 10배정도의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베타-락타마제의 경우 약 2.5배의 활성증가를 나타내었다.
(3) 세포외막이 없는 대장균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소위 L-form이라 불리우는 이 돌연변이체는 대장균의 세포외막을 제거함으로써 주변세포질 없이 세포내막으로만 세포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이다. 즉, 기존의 널리 이용되어 왔던 주변세포질로의 단백질 분비생산 방법을 이용하였을 때 세포내막만 통과하면 주변세포질 없이 바로 세포 배양액으로 노출이 되기 때문에 세포외 분비생산이 가능하다. Kujau 등은 L-form 대장균인 RV308 균주를 사용하여 miniantibody (miniAb)를 세포외로 분비생산하였다 (Kujau et al., Appl . Microbiol . Biotechnol., 49:51, 1998). MiniAb 유전자는 OmpA 분비신호서열과 융합하여 lac 프로모터에 의해 유도발현 되었다. 26℃의 저온에서 배양하였을 때가 37℃에서 배양했을 때보다 더 높은 세포농도 및 단백질 생성정도를 나타내었다.
(4) 세포 외막 단백질 F(OmpF)와 목적단백질의 융합을 통해 세포외로 분비시 키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세포 외막 단백질 F의 C-말단에 목적 단백질인 β-endorphin을 융합시켜 고농도로 배양하여 세포외로 분비시켰다 (한국특허 10-0447530; Jeong and Lee, Appl . Environ. Microbiol., 68:4979, 2002). 하지만, 이 방법의 경우 세포외로 분비 시켜 생산하기 위하여 반드시 고동도 배양을 수행하여야 하며 생산된 목적 단백질은 OmpF 단백질과 융합되어 있기 때문에 여러 종류의 프로테아제를 이용하여 절단하여 목적 단백질을 분리 정제하는 단계가 들어가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대장균에서 목적단백질의 세포외 분비생산을 위해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이 되어왔으나, 아직도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남아있다. 앞에서 기술한 방법들에 의해 원하는 단백질의 분비생산이 가능한 반면 대부분의 방법이 일정부분 대장균의 용해 (lysis)를 수반하기 때문에 세포배양액에 적지 않은 양의 대장균 세포내 단백질이 포함되게 되어 순도가 감소하고 결국 세포외 분비생산의 최대 장점인 쉬운 정제과정이 어렵게 된다. 또한 대장균의 용해를 수반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고농도 배양이 어려운 단점이 있어 원하는 단백질의 대량생산 또한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L-form 대장균의 경우 대장균의 구조적인 문제점 때문에 저농도 배양만이 가능하다.
이에 본 발명자는 대장균에서 목적단백질을 세포밖(배양액)으로 효율적으로 분비·생산하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대장균의 세포외막 단백질 F (OmpF)과 목적단백질을 동시 발현시켰을 때 목적단백질이 대장균으로부터 세포배양액으로 효율적으로 분비·생산되며, 세포 배양액에는 순수한 형태의 목적 단백질만이 존재하기 때문에 원하는 목적 단백질을 매우 간단한 방법으로 분리·정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결국,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OmpF와 목적단백질을 동시 발현시켜 목적 단백질을 세포밖으로 분비·생산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는 미생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미생물을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단백질의 세포외 분비·생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OmpF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함유하는 재조합벡터와 목적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함유하고 상기 목적단백질을 미생물의 주변세포질로 분비·발현시킬 수 있는 재조합벡터로 동시에 형질전환되고, OmpF를 코딩하는 유전자와 목적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가 동시에 발현되어, 목적단백질을 세포밖(배양액)으로 분비·생산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는 재조합 미생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OmpF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발현시킬 수 있도록 OmpF를 코딩하는 유전자와 그 프로모터를 크로모좀에 도입한 재조합 미생물에 목적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함유하고 상기 목적단백질을 미생물의 주변세포질로 분비·발현시킬 수 있는 재조합벡터를 도입하여 수득되고, OmpF를 코딩하는 유전자와 목적단백 질을 코딩하는 유전자가 동시에 발현되어, 목적단백질을 세포밖(배양액)으로 분비·생산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는 재조합 미생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OmpF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함유하는 재조합벡터와 목적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함유하는 재조합벡터는 실질적으로 같은 조건에서 발현되는 오리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OmpF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함유하는 재조합벡터의 오리진은 p15A이고, 목적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함유하는 재조합벡터의 오리진은 ColE1이다.
상기 OmpF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함유하는 재조합벡터는 OmpF 자체 프로모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pACYC-OmpF이다.
한편, 목적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함유하는 재조합벡터는 목적단백질을 미생물의 주변세포질로 분비·발현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특성을 가지는 재조합벡터와 OmpF를 코딩하는 유전자로 동시에 미생물을 형질전환시킨 다음, 배양할 경우, 목적단백질을 배양액으로 분비시킬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또한, (a) 상기 재조합 미생물을 배양하여 목적단백질을 세포 밖(배양액)으로 분비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배양액으로부터 목적단백질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목적단백질의 세포외 분비·생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목적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함유하고 상기 목적단백질을 미생물의 주변 세포질로 분비·발현시킬 수 있는 벡터에 OmpF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도입하여 제작되고, 발현시 OmpF를 코딩하는 유전자와 목적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가 동시에 발현되어 목적단백질을 세포밖(배양액)으로 분비시킬 수 있는 특성을 가지는 재조합벡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재조합벡터로 형질전환된 미생물 및 상기 형질전환 미생물을 배양하여 목적단백질을 세포 밖(배양액)으로 분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목적단백질의 세포외 분비·생산 방법을 제공한다.
발명에 따른 목적단백질의 세포외 분비·생산 방법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목적단백질의 세포밖 분비시 미생물의 용해(lysis)를 실질적으로 수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자들은 대장균 OmpF를 동시 발현하기 위하여 재조한 플라스미드 벡터 pACYC-OmpF를 제조하였다. 본 재조합 플라스미드는 대장균 OmpF 유전자 및 프로모터와 클로람페니콜 저항 유전자를 포함하고 p15A 오리진을 가지고 있어 대부분의 발현 벡터에서 사용되는 ColE1 오리진과 용이하게 동시 발현되도록 하였다. OmpF 유전자 및 프로모터는 대장균 BL21(DE3) 염색체로부터 PCR 방법을 이용하여 수득하였다.
다음으로 목적 단백질을 생산하고 세포외로 분비하는 형질전환된 대장균을 제조하기 위하여, 다양한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사용하였다. 우선, 목적단백질로 대장균에서 유래한 알칼라인 포스파타제(alkaline phosphatase)를 이용하였다. 알칼라인 포스파타제는 45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고 분자량은 약 50 kDa이다. 대장균에서 발현되어 주변 세포질로 분비되며 주변 세포질에 존재할 때만이 효소 활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Manoil et al., Science, 233:1403, 1986). 알칼라인 포스파타제를 세포질로 분비·생산할 수 있는 재조합 플라스미드 pTrcS1PhoA와 상기 pACYC-OmpF를 동시에 대장균에 도입시키고 배양한 다음, 배양액을 분석한 결과 대장균 BL21(DE3)와 MC4100에서 목적 단백질인 알칼라인 포스파타제가 배양액으로 매우 좋은 효율로 분비 생산됨을 확인하였다. 전기 균주로부터 세포외로 분비된 순수 알칼라인 포스파타제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알칼라인 포스파타제 이외의 다른 단백질로서, 53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상피세포 성장인자, 인체유래 랩틴 단백질, 바실러스(Bacillus sp.) 유래 엔도자일라나제를 목적단백질로서 사용하여 배양액으로의 분비능을 확인하였다. 상기 기술한 모든 단백질이 형질전환 대장균에서 배양액으로 효율적으로 분비시킴을 확인하였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특히, 하기 실시예에서는 OmpF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함유하는 재조합벡터와 목적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함유하는 재조합벡터로 동시에 형질전환된 미생물을 배양하여 목적단백질을 세포밖(배양액)으로 분비·생산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목적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함유하고 상기 목적단백질을 미생물의 주변세포질 로 분비·발현시킬 수 있는 재조합벡터에 OmpF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도입하여 제작된 재조합벡터로 형질전환된 미생물을 사용하여도 목적단백질을 세포밖(배양액)으로 분비·생산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OmpF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함유하는 재조합벡터 이외에, OmpF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발현시킬 수 있도록 OmpF를 코딩하는 유전자와 그 프로모터를 크로모좀에 도입한 재조합 미생물에 목적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함유하고 상기 목적단백질을 미생물의 주변세포질로 분비·발현시킬 수 있는 재조합벡터를 도입하여 재조합 미생물을 제작하고, 이를 이용하여 목적단백질을 세포밖(배양액)으로 분비·생산할 수 있다는 것 역시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에서는 목적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함유하고 상기 목적단백질을 미생물의 주변세포질로 분비·발현시킬 수 있는 재조합벡터로 pJS101ΔP(엔도자일라나제를 주변 세포질로 분비 발현시킬 수 있는 재조합벡터)와
pTrcKObD(랩틴 단백질을 대장균의 주변 세포질로 분비 발현시킬 수 있는 재조합벡터)를 예시하였으나, 목적단백질을 미생물의 주변세포질로 분비·발현시킬 수 있는 재조합벡터라면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아울러 하기 실시예에서는 목적단백질로, 알칼라인 포스파타제, 상피세포 성장인자, 엔도자일라나제 및 랩틴 만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 역시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실시예 1: OmpF 유전자 발현시스템의 개발
장균 BL21(DE3)로부터 염색체를 분리한 다음, ompF 유전자 및 그 프로모터 영역을 클로닝 하기 위하여, 프라이머 1 (5'-CGGAATTCTGGATTATACCGACGCAG-3': 서열번호 1)과 프라이머 2 (5'-GCGGATCCTTAGAACTGGTAAACGATAC-3': 서열번호 2)를 합성하였다. 프라이머 1과 2를 이용한 PCR을 수행하여, 2160 bp의 PCR 산물을 얻었다. 이를 HidIII과 BamHI으로 절단한 다음, pACYC184 (New England Biolabsd, 미국)에 cloning하였다. 이를 대장균 XL1-Blue [supE44 hsdR17 recA1 endA1 gyrA96 thi relA1 lacF'( proAB + lacI q lacZ Δ M15Tn ( tet r ))]에 형질전환하여 재조합 플라스미드 pACYC-OmpF를 수득하였다 (도 1).
실시예 2: 재조합 플라스미드 pTrcS1PhoA의 제조
대장균 W3110 (derived from E. coli K-12, λ-, F-, prototrophic)로부터 염색체를 분리한 다음, 알칼라인 포스파타제 유전자를 확보하기 위하여 프라이머 3 (5'-GGACTGCAGCACGGACACCAGAAATGCCTGTT-3': 서열번호 3)과 프라이머 4 (5'-GCGGGATCCTTATTATTTCAGCCCCAGAGCCGG-3': 서열번호 4)를 합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PCR 조건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변성(denaturation)은 94℃에서 5분간 한번 하였으며, 이후 두 번째 변성(denaturation)은 94℃에서 45초간, 교잡(annealing)은 52℃에서 45초간, 연장(extension)은 72℃에서 1분 10초간씩 수행하였으며, 이를 30회 반복하였다. 이후 72℃에서 7분간 마지막 연장(extension)을 한번 하였다. 상기 PCR에 의해 얻어진 DNA를 아가로즈 겔 전기영동하여, 약 1360 bp 크기의 DNA 절편을 분리하였으며, 이를 두 가지의 제한효소 PstI과 BamHI으로 절단하였다. 이와 동시에 재조합 플라스미드 pJS101ΔP (Choi, J.H., et al., Appl. Microbiol. Biotechnol., 53:640, 2000)를 두 가지의 제한효소 PstI과 BamHI으로 절단하여 엔도자일라나제 유전자를 제거한 다음, 이를 앞에서 얻은 DNA 절편과 함께 섞은 후, T4 DNA 리가아제를 사용하여 연결시켜 재조합 플라스미드 pTrcS1PhoA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3: 알칼라인 포스파타제의 세포외 분비·생산
대장균 BL21(DE3)을 재조합 플라스미드 pACYC-OmpF와 pTrcS1PhoA로 동시에 형질전환하였다. 형질전환 방법으로는 electroporation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형질전환 균주는 항생제 엠피실린(50㎍/L)과 클로람페니콜 (34㎍/L)이 첨가된 LB 평판배지에서 선택되었다. 이렇게 형질전환된 균주를 LB 액체배지(트립톤 10 g/L, yeast extract 5 g/L, NaCl 5 g/L)에 접종하여 30℃로 배양한 다음, 알칼라인 포스파타제의 세포외 분비정도를 조사하였다. 액체배지에 접종한 후 분광광도계로 600nm 파장에서 측정한 광학밀도(O.D.)가 0.7일 때, 0.1 및 1.0 mM의 IPTG를 첨가하여 유전자 발현을 유도하였다. 유도 발현 12시간 후에 배양액 1 mL씩을 채취하여 알칼라인 포스파타제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동시에 배양액 1 mL을 SDS-PAGE 겔 상에서 분석하였다 (도 2). 도 2에서, M은 단백질 표준 분자량이고, 1은 0.1 mM IPTG로 유도발현 12시간 후에 pACYC-OmpF와 pTrcS1PhoA로 형질전환된 대장균 BL21(DE3) 배양액을 SDS-PAGE 겔 상에서 분석한 결과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 이, 약 50 kDa에 해당하는 알칼라인 포스파타제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본 시스템이 목적단백질을 매우 효율적으로 배양액에 분비시킬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즉, 대장균에서 알칼라인 포스파타제의 분비가 일어났음을 알 수 있으며, 그 양을 Bradford 방법으로 정량한 결과, 배양액에서 알칼라인 포스파타제가 약 0.1 g/L로 수용성 형태로 생산됨을 확인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대장균 BL21(DE3)에서 알칼라인 포스파타제가 효율적으로 배양액으로 분비됨을 확인하였으며, 대장균 BL21(DE3) 뿐만 아니라 다른 대장균에서도 배양액으로 분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술한 재조합 플라스미드 pACYC-OmpF와 pTrcS1PhoA를 동시에 대장균 MC4100 [F - araD139 Δ( argF - lac ) U169 rpsL150(str r ) relA1 flbB5301 deoC1 ptsF25 rbsR]에 도입하였다. 형질전환 방법으로는 electroporation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형질전환 균주는 항생제 엠피실린(50㎍/L)과 클로람페니콜 (34㎍/L)이 첨가된 LB 평판배지에서 선택되었다. 이렇게 형질전환된 균주를 LB 액체배지(트립톤 10 g/L, yeast extract 5 g/L, NaCl 5 g/L)에 접종하여 30℃로 배양한 다음, 알칼라인 포스파타제의 세포외 분비정도를 조사하였다. 액체배지에 접종한 후 분광광도계로 600nm 파장에서 측정한 광학밀도(O.D.)가 0.7일 때, 0.1 및 1.0 mM의 IPTG를 첨가하여 유전자 발현을 유도하였다. 유도 발현 12시간 후에 배양액 1 mL씩을 채취하여 SDS-PAGE 겔 상에서 분석하였다 (도 3). 도 3에서, M은 단백질 표준 분자량이고, 1은 1mM IPTG로 유도발현 12시간 후에 pACYC-OmpF와 pTrcS1PhoA로 형질전환된 대장균 MC4100 배양액을 SDS-PAGE 겔 상에 서 분석한 결과이며, 2는 0.1mM IPTG로 유도발현 12시간 후에 pACYC-OmpF와 pTrcS1PhoA로 형질전환된 대장균 MC4100 배양액을 SDS-PAGE 겔 상에서 분석한 결과이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약 50 kDa에 해당하는 알칼라인 포스파타제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본 시스템이 목적단백질을 매우 효율적으로 배양액으로 분비시킬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하지만, 대장균 MC4100에서 알칼라인 포스파타제의 분비 효율은 대장균 BL21(DE3)보다 적었다.
실시예 4: 재조합 대장균에서 분비된 알칼라인 포스파타제의 활성 측정
알칼라인 포스파타제의 활성측정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하였다 (Brickman and Beckwith, J Mol. Biol., 96:307, 1975). 재조합 플라스미드 pACYC-OmpF와 pTrcS1PhoA를 갖고 있는 재조합 대장균 BL21(DE3)을 50 mL LB 배지가 담겨있는 250 mL 플라스크에 접종하여 37℃에서 배양하였다. 분광광도계로 600nm 파장에서 측정한 광학밀도(O.D.)가 0.7일 때, 1 mM의 IPTG를 첨가하여 유전자 발현을 유도하였으며, 유도 발현 12시간 후에 배양액 1 mL씩을 채취한 다음, 여기에 클로로포름(chlroform) 0.1 mL를 첨가한 후 37℃에서 5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0.4% PNPP (p-Nitrophenyl phosphate)를 0.1 mL 첨가한 후 다시 37℃에서 5분간 반응시켰다. 5분간 반응 후 1M K2HPO4 용액을 0.1 mL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이렇게 얻어진 반응액을 50 mM Tris-HCl 용액으로 적절히 희석시킨 후 분광광도계로 420nm와 550nm의 두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대조실험으로 플라스미드를 갖고 있지 않은 대장균 BL21(DE3)과 pTrcS1PhoA으로 형질전환된 BL21(DE3) 배양액으로부터 같은 방법으로 활성을 측정하였다. 활성도는 다음과 같은 식에 의해 구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과 같다.
활성도 (U/mL) = 1000 x (Abs420nm - 1.75 x Abs550nm) / [반응시간(분) x 반응부피 (mL)]
각 조건에서 재조합 대장균에서 알칼라인 포스파타제의 활성도
재조합 대장균 알칼라인 포스파타제 활성도 (U/mL)
대장균 BL21(DE3) 검출되지 않음
대장균 BL21(DE3) (pTrcS1PhoA), 0.1 mM induction 검출되지 않음
대장균 BL21(DE3) (pTrcS1PhoA, pACYC-OmpF), 0.1 mM induction 7500
대장균 BL21(DE3) (pTrcS1PhoA, pACYC-OmpF), 0.01 mM induction 7800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플라스미드 pACYC-OmpF와 pTrcS1PhoA로 형질전환된 대장균의 배양액에서 모두 높은 알칼라인 포스파타제 활성을 나타낸 반면, 형질전환 되지 않은 대장균들은 거의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알칼라인 포스파타제는 세포내에서는 활성을 갖지 못하여 반드시 분비과정을 통해 주변 세포질에서 disulfide 결합이 일어나야 활성을 띄게 된다. 따라서, 위 실험 결과들로 비춰볼 때 형질전환된 재조합 대장균에서 생산된 알칼라인 포스파타제는 배양액으로 매우 놓은 효율로 분비가 성공적으로 일어났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5: 알칼라인 포스파타제의 세포외 분비에 대한 NaCl2 농도의 영향
대장균 BL21(DE3)에 재조합 플라스미드 pACYC-OmpF와 pTrcS1PhoA를 동시에 도입하였다. 형질전환 방법으로는 electroporation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형질전환 균주는 항생제 엠피실린(50㎍/L)과 클로람페니콜 (34㎍/L)이 첨가된 LB 평판배지에서 선택되었다. 이렇게 형질전환된 균주를 다양한 NaCl2 농도를 가진 LB 액체배지(트립톤 10 g/L, yeast extract 5 g/L, NaCl 0, 1, 5, 10g/L)에 접종하여 30℃로 배양한 다음, 알칼라인 포스파타제의 세포외 분비정도를 조사하였다. 액체배지에 접종한 후 분광광도계로 600nm 파장에서 측정한 광학밀도(O.D.)가 0.7일 때, 0.1 및 1.0 mM의 IPTG를 첨가하여 유전자 발현을 유도하였다. 유도 발현 12시간 후에 배양액 1 mL씩을 채취하여 SDS-PAGE 겔 상에서 분석하였다 (도 4). 도 4에서, M은 단백질 표준 분자량이고, 1-4는 0.1 mM IPTG로 유도발현 12시간 후에 pACYC-OmpF와 pTrcS1PhoA로 형질전환된 대장균 BL21(DE3) 배양액을 SDS-PAGE 겔 상에서 분석한 결과로, 라인 1-4는 각각 서로 다른 NaCl2 농도를 가진 LB 액체배지(트립톤 10 g/L, yeast extract 5 g/L, NaCl 0, 1, 5, 10g/L)에서 배양한 후 얻은 샘플이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약 50 kDa에 해당하는 알칼라인 포스파타제의 단백질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NaCl2의 농도가 0에서부터 10 g/L로 증가함에 따라 배양액으로 분비되는 알카라인 포스파타제가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6: 재조합 플라스미드 psEGF의 제조
한국 사이토카인 은행(전라북도 전주시 전북대학교 생물과학부)으로부터 분양받은 상피세포 성장인자 유전자가 삽입된 재조합 플라스미드 G82를 주형 DNA(template DNA)로 이용하고. 상피세포 성장인자 (EGF: epidermal growth factor) 유전자를 확보하기 위하여 프라이머 5 (5'-GAACTGCAGCTAATAGTGACYCTGAATGTCCC-3': 서열번호 5)과 프라이머 6 (5'-GCGGATCCTTATTAGCGCAGTTCCCACCACT-3': 서열번호 6)을 합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PCR 조건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변성(denaturation)은 94℃에서 5분간 한번 하였으며 이후 두 번째 변성(denaturation)은 94℃에서 45초간, 교잡(annealing)은 56℃에서 45초간, 연장(extension)은 72℃에서 30초간씩 수행하였으며 이를 30회 반복하였다. 이후 72℃에서 7분간 마지막 연장(extension)을 한번 하였다. 상기 PCR에 의해 얻어진 DNA를 아가로즈 겔 전기영동하여 증폭된 상피세포 성장인자 DNA 절편을 분리하였으며, 이를 두 가지의 제한효소 PstI과 BamHI으로 절단하였다. 이와 동시에 재조합 플라스미드 pJS101ΔP (Choi, J.H. et al., Appl . Microbiol. Biotechnol., 53:640, 2000)를 두 가지의 제한효소 PstI과 B amHI으로 절단하여 엔도자일라나제 유전자를 제거한 다음, 이를 앞에서 얻은 DNA 절편과 함께 섞은 후 T4 DNA 리가아제를 사용하여 연결시켜 재조합 플라스미드 psEGF를 수득하였다 (도 5).
실시예 7: 상피세포 성장인자의 세포외 분비 생산
대장균 BL21(DE3)에 재조합 플라스미드 pACYC-OmpF와 psEGF를 동시에 도입하였다. 형질전환 방법으로는 electroporation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형질전환 균주는 항생제 엠피실린(50㎍/L)과 클로람페니콜 (34㎍/L)이 첨가된 LB 평판배지에서 선택되었다. 이렇게 형질전환된 균주를 LB 액체배지(트립톤 10 g/L, yeast extract 5 g/L, NaCl 5 g/L)에 접종하여 상피세포성장 인자의 세포외 분비정도를 조사하였다. 액체배지에 접종한 후 분광광도계로 600nm 파장에서 측정한 광학밀도(O.D.)가 0.7일 때, 0.1 및 1.0 mM의 IPTG를 첨가하여 유전자 발현을 유도하였다. 유도 발현 12시간 후에 배양액 1 mL를 채취하여 Tricine SDS-PAGE (Shagger, H. and von Jogot, G., Anal. Biochem., 166:368, 1987) 겔 상에서 분석하였다. SDS-PGAE 후 일반적인 염색 방법으로 염색한 결과는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서, M은 단백질 표준 분자량이고, 1은 0.1 mM IPTG로 유도발현 12시간 후에 pACYC-OmpF와 psEGA로 형질전환된 대장균 BL21(DE3) 배양액을 SDS-PAGE 겔 상에서 분석한 결과이며, 2는 1 mM IPTG로 유도발현 12시간 후에 pACYC-OmpF와 psEGA로 형질전환된 대장균 BL21(DE3) 배양액을 SDS-PAGE 겔 상에서 분석한 결과이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약 36kDa의 세포외막 단백질 F와 동시에 약 5kDa에 해당하는 상피세포 성장인자 단백질(화살표)을 SDS-PGAE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IPTG의 농도가 1mM일 때는 약간의 세포가 lysis 됨을 확인하였으며, 0.1mM일 때는 발현양의 감소없이 세포가 lysis 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단백질 특성으로 푸른색으로 염색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일반적으로 쓰이는 쿠마시블루 방법 대신 300mM CuCl2 용액으로 5분간 염색(Lee, C. et al., Anal. Biochem., 166:308, 1987)하여 동일한 샘플을 다시 확인하였다 (도 7). 도 7에서, M은 단백질 표준 분자량이고, 1은 0.1 mM IPTG로 유도발현 12시간 후에 pACYC-OmpF와 psEGA로 형질전환된 대장균 BL21(DE3) 배양액을 SDS-PAGE 겔 상에서 분석한 결과이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피세포 성장인자 단백질(화살표)이 배양액으로 효율적으로 분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대장균에서 상피세포 성장인자 단백질 분비가 일어났음을 알 수 있었으며, 그 양을 Bradford 방법으로 정량한 결과, 배양액에서 상피세포 성장인자 단백질이 약 0.07 g/L로 수용성 형태로 생산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8: 엔도자일라나제의 세포외 분비 생산
재조합 플라스미드 pJS101ΔP는 바실러스 유래 엔도자일라나제를 주변 세포질로 분비 발현시킬 수 있는 재조합벡터이다 (Choi, J.H., et al., Appl. Microbiol. Biotechnol., 53:640, 2000). 엔도자일라나제를 대장균에서 배양액으로 분비생산하기 위하여 대장균 BL21(DE3)에 재조합 플라스미드 pACYC-OmpF와 pJS101ΔP를 동시에 도입하였다. 형질전환 방법으로는 electroporation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형질전환 균주는 항생제 엠피실린(50㎍/L)과 클로람페니콜 (34㎍/L)이 첨가된 LB 평판배지에서 선택되었다. 이렇게 형질전환된 균주는 LB 액체배지(트립톤 10 g/L, yeast extract 5 g/L, NaCl 5 g/L)에 접종하여 30℃로 배양하면서 엔도자일라나제의 세포외 분비정도를 조사하였다. 액체배지에 접종한 후 분광광도계로 600nm 파장에서 측정한 광학밀도(O.D.)가 0.7일 때, 0.1 mM의 IPTG를 첨가하여 유전자 발현을 유도하였다. 유도 발현 12시간 후에 배양액 1 mL를 채취하여 SDS-PAGE 겔 상에서 분석하였다. SDS-PGAE 후 일반적인 염색 방법으로 염색하였다(도 8). 도 8에서, M은 단백질 표준 분자량이고, 1은 0.1 mM IPTG로 유도발현 12시간 후에 pACYC-OmpF로만 형질전환된 대장균 BL21(DE3) 배양액을 SDS-PAGE 겔 상에서 분석한 결과이며, 2는 0.1 mM IPTG로 유도발현 12시간 후에 pACYC-OmpF와 pJS101ΔP로 형질전환된 대장균 BL21(DE3) 배양액을 SDS-PAGE 겔 상에서 분석한 결과이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약 36kDa의 세포외막 단백질 F와 동시에 약 20kDa에 해당하는 엔도자일란나제(화살표)를 SDS-PGAE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는 대장균에서 엔도자일라나제 단백질이 배양동안 배양액으로 효율적으로 분비가 일어났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실시예 9: 인체유래 랩틴 단백질의 세포외 분비 생산
재조합 플라스미드 pTrcKObD는 인체유래 랩틴 단백질을 대장균의 주변 세포질로 분비 발현시킬 수 있는 재조합벡터이다 ((Jeong, K.J. and Lee, S.Y., Biotechnol. Bioeng., 67:398, 2000). 인체유래 랩틴 단백질을 대장균에서 배양액으로 분비생산하기 위하여 대장균 BL21(DE3)에 재조합 플라스미드 pACYC-OmpF와 pTrcKObD를 동시에 도입하였다. 형질전환 방법으로는 electroporation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형질전환 균주는 항생제 엠피실린(50㎍/L)과 클로람페니콜 (34㎍/L)이 첨가된 LB 평판배지에서 선택되었다. 이렇게 형질전환된 균주를 LB 액체배지(트립톤 10 g/L, yeast extract 5 g/L, NaCl 5 g/L)에 접종하여 30℃로 배양하면서 랩틴 단백질의 세포외 분비정도를 조사하였다. 액체배지에 접종한 후 분광광도계로 600nm 파장에서 측정한 광학밀도(O.D.)가 0.7일 때, 0.1 및 1.0 mM의 IPTG를 첨가하여 유전자 발현을 유도하였다. 유도 발현 12시간 후에 배양액 1 mL를 채취하여 SDS-PAGE 겔 상에서 분석하였다. SDS-PGAE 후 일반적인 염색 방법으로 염색하였다(도 9). 도 9에서, M은 단백질 표준 분자량이고, 1은 1 mM IPTG로 유도발현 12시간 후에 pACYC-OmpF와 pTrcKObD로 형질전환된 대장균 BL21(DE3) 배양액을 SDS-PAGE 겔 상에서 분석한 결과이고, 2는 0.1 mM IPTG로 유도발현 12시간 후에 pACYC-OmpF와 pTrcKObD로 형질전환된 대장균 BL21(DE3)을 배양액을 SDS-PAGE 겔 상에서 분석한 결과이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약 36kDa의 세포외막 단백질 F와 동시에 약 14kDa에 해당하는 랩틴 단백질(화살표)을 SDS-PGAE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유도발현 시킨 IPTG의 농도가 1mM일 때는 약간의 세포가 lysis됨을 확인하였으며, 0.1mM로 유도발현하였을 때는 발현양의 감소없이 세포가 lysis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는 대장균에서 랩틴 단백질이 배양동안 배양액으로 효율적으로 분비가 일어났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입증하였듯이, 본 발명은 목적단백질을 세포배양액으로 분비하는 대장균 및 이를 이용한 목적단백질의 세포외 분비 생산방법을 제 공하는 효과가 있다. 종래의 기술에 의하여 재조합 단백질을 대장균에서 세포 배양액으로 분비 생산하고자 할 때, 원하는 단백질의 분비생산이 가능한 반면 대부분의 방법이 일정부분 대장균의 용해 (lysis)를 수반하기 때문에 세포배양액에 적지 않은 양의 대장균 세포내 단백질이 포함되게 되어 순수도가 감소하고 결국 정제과정이 어렵게 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OmpF 자체 프로모터를 이용한 항시적 발현을 통하여 세포가 성장하면서 목적 단백질을 동시에 발현시킴으로써, 세포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분비·생산되는 양이 함께 꾸준히 증가하는 동시에 순수한 목적 단백질을 매우 효율적으로 생산하는 방식으로 종래의 기술에 비해 훨씬 간단하다. 따라서, 본 발명을 통해 다양한 목적 단백질을 대장균을 이용하여 배양액으로 분비·생산할 수 있다.
서열목록 전자파일 첨부

Claims (16)

  1. OmpF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함유하는 재조합벡터와 목적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함유하고 상기 목적단백질을 미생물의 주변세포질로 분비·발현시킬 수 있는 재조합벡터로 동시에 형질전환되고, OmpF를 코딩하는 유전자와 목적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가 동시에 발현되어, 목적단백질을 세포밖(배양액)으로 분비·생산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는 재조합 미생물.
  2. OmpF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발현시킬 수 있도록 OmpF를 코딩하는 유전자와 그 프로모터를 크로모좀에 도입한 재조합 미생물에 목적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함유하고 상기 목적단백질을 미생물의 주변세포질로 분비·발현시킬 수 있는 재조합벡터를 도입하여 수득되고, OmpF를 코딩하는 유전자와 목적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가 동시에 발현되어, 목적단백질을 세포밖(배양액)으로 분비·생산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는 재조합 미생물.
  3. 제1항에 있어서, OmpF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함유하는 재조합벡터와 목적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함유하는 재조합벡터는 실질적으로 같은 조건에서 발현되는 오리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조합 미생물.
  4. 제1항에 있어서, OmpF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함유하는 재조합벡터 및 목적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함유하는 재조합 벡터는 각각 p15A 및 ColE1 오리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조합 미생물.
  5. 제1항에 있어서, OmpF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함유하는 재조합벡터는 OmpF 자체 프로모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조합 미생물.
  6. 제1항에 있어서, OmpF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함유하는 재조합벡터는 pACYC-Omp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조합 미생물.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OmpF를 코딩하는 유전자는 대장균 유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조합 미생물.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대장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조합 미생물.
  9.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목적단백질의 세포외 분비·생산 방법:
    (a)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재조합 미생물을 배양하여 목적단백질을 세포 밖(배양액)으로 분비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배양액으로부터 목적단백질을 회수하는 단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미생물의 용해(lysis)를 수반하지 않는 조건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목적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함유하고 상기 목적단백질을 미생물의 주변 세포질로 분비·발현시킬 수 있는 벡터에 OmpF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도입하여 제작되고, 발현시 OmpF를 코딩하는 유전자와 목적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가 동시에 독립적으로 발현되어 목적단백질을 세포밖(배양액)으로 분비시킬 수 있는 특성을 가지는 재조합벡터.
  12. 제11항에 있어서, OmpF를 코딩하는 유전자는 대장균 유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조합벡터.
  13. 제11항의 재조합벡터로 형질전환된 미생물.
  14. 제13항에 있어서, 대장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15.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목적단백질의 세포외 분비·생산 방법:
    (a) 제13항 또는 제14항의 미생물을 배양하여 목적단백질을 세포 밖(배양액)으로 분비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배양액으로부터 목적단백질을 회수하는 단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미생물의 용해(lysis)를 수반하지 않는 조건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50063957A 2005-07-15 2005-07-15 OmpF와 목적단백질의 동시 발현을 통한 목적 단백질의세포외 분비·생산 방법 KR100677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3957A KR100677828B1 (ko) 2005-07-15 2005-07-15 OmpF와 목적단백질의 동시 발현을 통한 목적 단백질의세포외 분비·생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3957A KR100677828B1 (ko) 2005-07-15 2005-07-15 OmpF와 목적단백질의 동시 발현을 통한 목적 단백질의세포외 분비·생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9029A KR20070009029A (ko) 2007-01-18
KR100677828B1 true KR100677828B1 (ko) 2007-02-02

Family

ID=38010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3957A KR100677828B1 (ko) 2005-07-15 2005-07-15 OmpF와 목적단백질의 동시 발현을 통한 목적 단백질의세포외 분비·생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78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992B1 (ko) * 2007-01-02 2008-07-08 한국과학기술원 OmpF와 인체 유래 상피세포성장인자의 동시 발현을통한 인체 유래 상피세포성장인자의 세포외 분비·생산 방법
KR101145911B1 (ko) * 2008-12-22 2012-05-15 한국화학연구원 대장균의 외막단백질 OmpW를 이용한 목적단백질의 표면발현 방법
KR102142255B1 (ko) * 2019-12-05 2020-08-07 주식회사 제노포커스 Crm197 단백질 발현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8754A (en) 1987-04-23 1999-09-28 Monsanto Company Secretion of insulin-like growth factor-I in E. coli
KR20030014959A (ko) * 2001-08-14 2003-02-20 한국과학기술원 OmpF를 이용하여 목적 단백질을 대장균 세포외로분비생산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8754A (en) 1987-04-23 1999-09-28 Monsanto Company Secretion of insulin-like growth factor-I in E. coli
KR20030014959A (ko) * 2001-08-14 2003-02-20 한국과학기술원 OmpF를 이용하여 목적 단백질을 대장균 세포외로분비생산하는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 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9029A (ko) 200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0245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he production of diphtheria toxin polypeptides
US20230151374A1 (en) Preparation of human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by using bacillus subtilis and endonuclease
NO308543B1 (no) FremgangsmÕte for fremstilling av hirudinderivater, samt rekombinant DNA og rekombinant vektor
WO1991018101A1 (fr) Procede de production d'une proteine
US7951558B2 (en) Method for extracellular production of target proteins by co-expression of OmpF and Target proteins
Filipe et al. Design of bacterial vector systems for the production of recombinant proteins in Escherichia coli
US20160168226A1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insulin and insulin analogues
US7749756B2 (en) Microorganism strain for producing recombinant proteins
EP3330282A1 (en) Cipa, cipb and pixa as scaffolds to organize proteins into crystalline inclusions
KR100677828B1 (ko) OmpF와 목적단백질의 동시 발현을 통한 목적 단백질의세포외 분비·생산 방법
JP3957630B2 (ja) 組換えヒト副甲状腺ホルモンを生産する形質転換酵母及び該ホルモンの生産方法
JP2014512814A (ja) 大腸菌での異種タンパク質生成のための新規発現および分泌ベクター系
KR20090039239A (ko) 대장균에서 활성형 인간 상피세포 성장인자의 대량제조방법
AU777246B2 (en) Microbial protein expression system
US8530217B2 (en) Processing of peptides and proteins
JP4839143B2 (ja) 組換え微生物
KR20160078068A (ko) 목적 단백질의 정제용 폴리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JP4736085B2 (ja) 宿主微生物
KR20160077750A (ko) 재조합 트랜스 글루타미나아제의 대량 생산 방법
KR100844992B1 (ko) OmpF와 인체 유래 상피세포성장인자의 동시 발현을통한 인체 유래 상피세포성장인자의 세포외 분비·생산 방법
KR100381381B1 (ko) 고초균유래엔도자일라나제의신호서열유전자를포함한재조합플라스미드및그를이용한외래단백질의제조방법
KR100283677B1 (ko) 합성 분비 신호서열 및 그를 이용한 외래 단백질의 제조방법
JP2537764B2 (ja) 高発現ベクタ―、バチルス属細菌、およびペプチド又は蛋白質の製造方法
JPS61185197A (ja) ウロガストロンの微生物学的製造法
CN116574157A (zh) 一种α-淀粉酶的嵌合信号肽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