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6225A -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6225A
KR20140026225A KR1020127012245A KR20127012245A KR20140026225A KR 20140026225 A KR20140026225 A KR 20140026225A KR 1020127012245 A KR1020127012245 A KR 1020127012245A KR 20127012245 A KR20127012245 A KR 20127012245A KR 20140026225 A KR20140026225 A KR 201400262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ential
output
light emitting
voltage
potential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2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3701B1 (ko
Inventor
요스케 이자와
도시유키 가토
고우헤이 에비스노
신야 오노
데츠로우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26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6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3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3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23Compensation for problems related to R-C delay and attenuation in electrodes of matrix panels, e.g. in gate electrodes or on-substrate video signal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2Compensation of deficiencies in the appearance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85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using tables for spatial correction of display dat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9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by monitoring one or more pixels in the display panel, e.g. by monitoring a fixed reference pixe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6Calculation or use of calculated indices related to luminance levels in display data

Abstract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고전위측 및 저전위측 중 적어도 한쪽의 전위를 출력하는 전원 공급부(582)와, 복수의 발광 화소가 배치되며, 전원 공급부(582)로부터 전원 공급을 받는 유기 EL 표시부(510)와, 2개 이상의 발광 화소 각각에 인가되는 고전위측의 전위 또는 저전위측의 전위를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검출선과, 복수의 검출선에 전달되는 고전위측의 인가 전위, 또는, 저전위측의 인가 전위를, 복수의 검출선의 수보다 적은 수의 출력선에 출력하는 중계부(690)와, 중계부(690)로부터 출력된 고전위측의 전위와 기준 전위의 전위차, 저전위측의 전위와 기준 전위의 전위차, 또는, 고전위측의 전위와 저전위측의 전위의 전위차 중 어느 하나가 소정의 전위차가 되도록, 전원 공급부(582)로부터 출력되는 고전위측 및 저전위측의 출력 전위 중 적어도 한쪽을 조정하는 조정부(581)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기 EL로 대표되는 전류 구동형 발광 소자를 이용한 액티브 매트릭스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비 전력 저감 효과가 높은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 EL 소자의 휘도는, 소자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에 의존하며, 구동 전류에 비례하여 소자의 발광 휘도가 커진다. 따라서, 유기 EL 소자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의 소비 전력은, 표시 휘도의 평균으로 결정된다. 즉, 액정 디스플레이와 달리,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소비 전력은, 표시 화상에 따라 크게 변동된다.
예를 들면, 유기 EL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는, 전체 백색 화상을 표시한 경우에 가장 큰 소비 전력을 필요로 하지만, 일반적인 자연 화상의 경우는, 전체 백색 시에 대해 20~40% 정도의 소비 전력으로 충분해진다.
그러나, 전원 회로 설계나 배터리 용량은, 디스플레이의 소비 전력이 가장 커지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계되므로, 일반적인 자연 화상에 대해 3~4배의 소비 전력을 고려하지 않으면 안 되어, 기기의 저소비 전력화 및 소형화의 방해가 되고 있다.
그래서 종래에는, 영상 데이터의 피크치를 검출하고, 그 검출 데이터에 의거하여 유기 EL 소자의 캐소드 전압을 조정하며, 전원 전압을 감소시킴으로써 표시 휘도를 거의 저하시키지 않고 소비 전력을 억제한다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일본국 특허공개 2006-065148호 공보
그런데, 유기 EL 소자는 전류 구동 소자이므로, 전원 배선에는 전류가 흐르고, 배선 저항에 비례한 전압 강하가 발생한다. 그 때문에, 디스플레이에 공급되는 전원 전압은, 전압 강하에 따른 전압 상승분의 마진을 더 추가하여 설정되어 있다.
전압 상승분의 마진에 대해서도, 상술한 전원 회로 설계나 배터리 용량과 동일하게, 디스플레이의 소비 전력이 가장 커지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정되므로, 일반적인 자연 화상에 대해 쓸데없는 전력이 소비되게 된다.
모바일 기기 용도를 상정한 소형 디스플레이에서는, 패널 전류가 작으므로, 전압 상승분의 마진은 발광 화소에서 소비되는 전압에 비해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다. 그러나, 패널의 대형화에 따라 전류가 증가하면, 전원 배선에서 발생하는 전압 강하를 무시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1에 있어서의 종래 기술에서는, 각 발광 화소에 있어서의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는 있지만, 전압 강하에 따른 전압 상승분의 마진을 저감할 수는 없다. 요컨대, 가정용의 30형 이상의 대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소비 전력 저감 효과로서는 불충분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지며, 소비 전력 저감 효과가 높은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전위측 및 저전위측 중 적어도 한쪽의 전위를 출력하는 전원 공급부와, 복수의 발광 화소가 배치되며,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 공급을 받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 내에 있어서의 적어도 2개 이상의 발광 화소의 각각에 일단이 접속되고, 상기 2개 이상의 발광 화소 각각에 인가되는 고전위측의 전위 또는 저전위측의 전위를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검출선과, 상기 복수의 검출선의 타단에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검출선의 수보다 적은 수의 출력선의 일단에 접속되며, 상기 복수의 검출선에 전달되는 2개 이상의 상기 고전위측의 전위 중 적어도 1개의 인가 전위, 또는, 전달되는 2개 이상의 상기 저전위측의 전위 중 적어도 1개의 인가 전위를, 상기 출력선에 출력하는 중계부와, 상기 중계부와 출력선을 통해 접속되며, 상기 중계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고전위측의 전위와 기준 전위의 전위차, 상기 저전위측의 전위와 기준 전위의 전위차, 또는, 상기 고전위측의 전위와 상기 저전위측의 전위의 전위차 중, 어느 하나가 소정의 전위차가 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고전위측 및 저전위측의 출력 전위 중 적어도 한쪽을 조정하는 조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와, 상기 중계부는, 동일한 기판 상에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비 전력 저감 효과가 높은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유기 EL 표시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발광 화소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가변 전압원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표시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전압 마진 설정부가 참조하는 필요 전압 환산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전압 마진 설정부가 참조하는 전압 마진 환산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제N 프레임~제N+2 프레임에 있어서의 표시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타이밍 차트이다.
도 9는, 유기 EL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상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 형태 2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실시 형태 2에 따른 가변 전압원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2는, 표시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신호 처리 회로가 갖는 필요 전압 환산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 형태 3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5는, 실시 형태 3에 따른 가변 전압원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6은, 제N 프레임~제N+2 프레임에 있어서의 표시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타이밍 차트이다.
도 17은, 실시 형태 4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8은, 실시 형태 4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9a는, 유기 EL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상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b는, x-x'선에 있어서의 제1 전원 배선의 전압 강하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0a는, 유기 EL 표시부(310)에 표시되는 화상의 다른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b는, x-x'선에 있어서의 제1 전원 배선의 전압 강하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1은, 실시 형태 5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2는, 영상 데이터의 계조에 대응하는, 통상의 발광 화소의 발광 휘도 및 모니터용 배선을 갖는 발광 화소의 발광 휘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3은, 선 결함이 발생하고 있는 화상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구동 트랜지스터의 전류-전압 특성과 유기 EL 소자의 전류-전압 특성을 아울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5는, 실시 형태 1~5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6은, 실시 형태 6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7은, 실시 형태 6에 따른 중계부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28은, 실시 형태 6에 따른 중계부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9a는, 실시 형태 6에 따른 최대치 검출 회로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29b는, 실시 형태 6에 따른 최대치 검출 회로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30은, 실시 형태 6에 따른 최대치 검출 회로가 최대치 검출 회로와 최소치 검출 회로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의 표시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1a는, 실시 형태 6에 따른 최대치 검출 회로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31b는, 실시 형태 6에 따른 최대치 검출 회로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32a는, 실시 형태 6에 따른 최대치 검출 회로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32b는, 실시 형태 6에 따른 최대치 검출 회로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33은, 실시 형태 6에 따른 중계부 내부에 최대치 검출 회로가 설치된 경우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표시 장치를 내장한 박형 플랫 TV의 외관도이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전위측 및 저전위측 중 적어도 한쪽의 전위를 출력하는 전원 공급부와, 복수의 발광 화소가 배치되며,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 공급을 받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 내에 있어서의 적어도 2개 이상의 발광 화소의 각각에 일단이 접속되고, 상기 2개 이상의 발광 화소 각각에 인가되는 고전위측의 전위 또는 저전위측의 전위를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검출선과, 상기 복수의 검출선의 타단에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검출선의 수보다 적은 수의 출력선의 일단에 접속되며, 상기 복수의 검출선에 전달되는 2개 이상의 상기 고전위측의 전위 중 적어도 1개의 인가 전위 또는, 전달되는 2개 이상의 상기 저전위측의 전위 중 적어도 1개의 인가 전위를, 상기 출력선에 출력하는 중계부와, 상기 중계부와 출력선을 통해 접속되며, 상기 중계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고전위측의 전위와 기준 전위의 전위차, 상기 저전위측의 전위와 기준 전위의 전위차, 또는, 상기 고전위측의 전위와 상기 저전위측의 전위의 전위차 중, 어느 하나가 소정의 전위차가 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고전위측 및 저전위측의 출력 전위 중 적어도 한쪽을 조정하는 조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와, 상기 중계부는, 동일한 기판 상에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소비 전력 저감 효과가 높고, 그 효과를 최대화한 표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중계부를 구비하지 않고, 소비 전력을 저감하기 위해 복수의 검출선을 이용하여 발광 화소의 전원 전압을 모니터하는 구성에서는, 검출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검출선의 개수를 증대시키면, 검출선을 패널 외부로 인출하는 인출선(출력선)의 개수도 증대되어 버려, 패널과 패널 외부 기판의 접속부의 구조가 복잡화된다는 문제가 발생하여 버린다.
그에 반해,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는, 표시부가 설치된 패널 상에 중계부를 설치함으로써, 검출선을 패널 외부로 인출하는 인출선(출력선)의 수를 삭감할 수 있으므로, 패널과 패널 외부 기판의 접속부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그에 의해, 소비 전력 저감 효과가 높고, 그 효과를 최대화한 표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여기에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출력선의 타단에 접속되며, 상기 조정부와 접속되는 검출 회로를 더 구비하고, 상기 검출 회로는, 상기 중계부에 의해 출력된 상기 복수의 검출선에 전달되는 상기 2개 이상의 발광 화소에 인가되는 인가 전위 중, 고전위측의 전위에서 최소의 전위, 및, 저전위측의 전위에서 최대의 전위 중 적어도 한쪽의 전위를 검출하여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전위를 상기 조정부에 출력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중계부는, 상기 출력선과 접속되는 검출 회로를 내부에 구비하고, 상기 검출 회로는, 상기 복수의 검출선에 전달되는 상기 2개 이상의 발광 화소에 인가되는 인가 전위 중, 고전위측의 전위에서 최소의 전위, 및, 저전위측의 전위에서 최대의 전위 중 적어도 한쪽의 전위를 검출하여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전위를 상기 출력선에 출력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중계부는, 상기 검출선에 전달되는 상기 2개 이상의 발광 화소에 인가되는 인가 전위를, 시분할하여 상기 출력선에 순차적으로 출력하고, 상기 조정부는, 상기 중계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2개 이상의 발광 화소에 인가되는 인가 전위 중, 상기 고전위측의 전위에서 최소의 전위와 기준 전위의 전위차, 및, 상기 저전위측의 전위에서 최대의 전위와 기준 전위의 전위차 중 적어도 한쪽이 소정의 전위차가 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고전위측 및 저전위측의 출력 전위 중 적어도 한쪽을 조정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중계부는, 아날로그 데이터로서 입력되는 상기 2개 이상의 발광 화소에 인가되는 인가 전위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복수의 발광 화소는, 각각, 구동 소자와 발광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소자는,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구비하며, 상기 발광 소자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전극이 상기 구동 소자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의 한쪽에 접속되며, 상기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의 다른 쪽과 상기 제2 전극 중 한쪽에 고전위측의 전위가 인가되고, 상기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의 다른 쪽과 상기 제2 전극 중 다른 쪽에 저전위측의 전위가 인가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복수의 발광 화소에 공통적으로 설치된 공통 전극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공통 전극은, 그 주연부로부터 전위가 인가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적어도 1개의 발광 화소는, 상기 표시부의 중앙 부근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에 의해, 표시부의 중앙 부근과 같은 통상 가장 전압 강하량이 큰 장소에서의 전위차에 의거하여 조정하므로, 특히 표시부가 대형화된 경우에, 전원 공급부의 고전위측의 출력 전위 및 전원 공급부의 저전위측의 출력 전위를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 상기 제2 전극은,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투명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발광 소자가, 유기 EL 소자인 것으로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소비 전력이 내려감으로써 발열이 억제되므로, 유기 EL 소자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이러한 표시 장치로서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처리부를 단계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으로서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고전위측 및 저전위측 중 적어도 한쪽의 전위를 출력하는 전원 공급부와, 복수의 발광 화소가 배치되며,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 공급을 받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 내에 있어서의 적어도 2개 이상의 발광 화소의 각각에 일단이 접속되고, 상기 2개 이상의 발광 화소 각각에 인가되는 고전위측의 전위 또는 저전위측의 전위를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검출선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검출선에 전달되는 상기 고전위측의 전위 중 적어도 1개의 인가 전위를, 또는, 상기 저전위측의 전위 중 적어도 1개의 인가 전위를, 상기 복수의 검출선의 수보다 적은 수의 출력선에 출력하는 중계 단계와, 상기 중계 단계에서 출력된 상기 고전위측의 전위와 기준 전위의 전위차, 상기 저전위측의 전위와 기준 전위의 전위차, 또는, 상기 고전위측의 전위와 상기 저전위측의 전위의 전위차 중, 어느 하나가 소정의 전위차가 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고전위측 및 저전위측의 출력 전위 중 적어도 한쪽을 조정하는 조정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5에서는, 표시 장치가 소비 전력 저감 효과를 얻기 위한 구성에 대해 설명하고, 실시 형태 6에서는, 표시 장치가 소비 전력 저감 효과를 최대한 얻기 위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청구의 범위에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내용은, 실시 형태 6이다. 또, 이하에서는, 모든 도면을 통해 동일 또는 상당하는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 형태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대해, 표시 장치가 소비 전력 저감 효과를 얻기 위한 최소 구성으로서, 검출점을 일점(M1) 구비하고, 모니터용 배선(검출선이라고도 한다)과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표시 장치(50)는, 유기 EL 표시부(110)와, 데이터선 구동 회로(120)와, 기록 주사 구동 회로(130)와, 제어 회로(140)와, 신호 처리 회로(165)와, 전위차 검출 회로(170A)로 이루어지는 최대치 검출 회로(170)와, 가변 전압원(180)과, 모니터용 배선(190)을 구비한다.
도 2는, 유기 EL 표시부(110)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면 중 위쪽이 표시면측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기 EL 표시부(110)는, 복수의 발광 화소(111)와, 제1 전원 배선(112)과, 제2 전원 배선(113)을 갖는다.
발광 화소(111)는, 제1 전원 배선(112) 및 제2 전원 배선(113)에 접속되며, 상기 발광 화소(111)에 흐르는 화소 전류(ipix)에 따른 휘도로 발광한다. 복수의 발광 화소(111) 중, 미리 정해진 적어도 1개의 발광 화소는, 검출점(M1)에서 모니터용 배선(190)에 접속되어 있다. 이후, 모니터용 배선(190)에 직접 접속된 발광 화소(111)를 모니터용 발광 화소(111M)라고 기재한다. 모니터용 발광 화소(111M)는, 유기 EL 표시부(110)의 중앙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중앙 부근이란, 중앙과 그 주변부를 포함한다.
제1 전원 배선(112)은, 그물코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2 전원 배선(113)은, 유기 EL 표시부(110)에 막형상으로 형성되고, 유기 EL 표시부(110)의 주연부로부터 가변 전압원(180)에서 출력된 전위가 인가된다. 도 2에서는, 제1 전원 배선(112) 및 제2 전원 배선(113)의 저항 성분을 나타내기 위해, 제1 전원 배선(112) 및 제2 전원 배선(113)을 모식적으로 메시형상으로 도시하고 있다. 또한, 제2 전원 배선(113)은, 예를 들면 그라운드선이고, 유기 EL 표시부(110)의 주연부에서 표시 장치(50)의 공통 접지 전위에 접지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전원 배선(112)에는, 수평 방향의 제1 전원 배선 저항(R1h)과 수직 방향의 제1 전원 배선 저항(R1v)이 존재한다. 제2 전원 배선(113)에는, 수평 방향의 제2 전원 배선 저항(R2h)과 수직 방향의 제2 전원 배선 저항(R2v)이 존재한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발광 화소(111)는, 기록 주사 구동 회로(130) 및 데이터선 구동 회로(120)에 접속되고, 발광 화소(111)를 발광 및 소광하는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주사선과, 발광 화소(111)의 발광 휘도에 대응하는 신호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선과도 접속되어 있다.
도 3은, 발광 화소(111)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발광 화소(111)는, 구동 소자와 발광 소자를 포함하며, 구동 소자는,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고, 발광 소자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이 상기 구동 소자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의 한쪽에 접속되고,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의 다른 쪽과 제2 전극 중 한쪽에 고전위측의 전위가 인가되며,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의 다른 쪽과 제2 전극 중 다른 쪽에 저전위측의 전위가 인가된다. 구체적으로는, 발광 화소(111)는, 유기 EL 소자(121)와, 데이터선(122)과, 주사선(123)과, 스위치 트랜지스터(124)와, 구동 트랜지스터(125)와, 유지 용량(126)을 갖는다. 이 발광 화소(111)는, 유기 EL 표시부(110)에, 예를 들면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유기 EL 소자(121)는, 본 발명의 발광 소자에 상당하며, 애노드가 구동 트랜지스터(125)의 드레인에 접속되고, 캐소드가 제2 전원 배선(113)에 접속되며, 애노드와 캐소드의 사이에 흐르는 전류치에 따른 휘도로 발광한다. 이 유기 EL 소자(121)의 캐소드측의 전극은, 복수의 발광 화소(111)에 공통적으로 설치된 공통 전극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공통 전극은, 그 주연부로부터 전위가 인가되도록, 가변 전압원(18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요컨대, 공통 전극이 유기 EL 표시부(110)에 있어서의 제2 전원 배선(113)으로서 기능한다. 또, 캐소드측의 전극은,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투명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기 EL 소자(121)의 애노드측의 전극은 본 발명의 제1 전극에 상당하고, 유기 EL 소자(121)의 캐소드측의 전극은 본 발명의 제2 전극에 상당한다.
데이터선(122)은, 데이터선 구동 회로(120)와, 스위치 트랜지스터(124)의 소스 및 드레인의 한쪽에 접속되고, 데이터선 구동 회로(120)에 의해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호 전압이 인가된다.
주사선(123)은, 기록 주사 구동 회로(130)와, 스위치 트랜지스터(124)의 게이트에 접속되고, 기록 주사 구동 회로(130)에 의해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스위치 트랜지스터(124)를 온 및 오프한다.
스위치 트랜지스터(124)는, 소스 및 드레인의 한쪽이 데이터선(122)에 접속되고, 소스 및 드레인의 다른 쪽이 구동 트랜지스터(125)의 게이트 및 유지 용량(126)의 일단에 접속된, 예를 들면, P형 박막 트랜지스터(TFT)이다.
구동 트랜지스터(125)는, 본 발명의 구동 소자에 상당하며, 소스가 제1 전원 배선(112)에 접속되고, 드레인이 유기 EL 소자(121)의 애노드에 접속되며, 게이트가 유지 용량(126)의 일단 및 스위치 트랜지스터(124)의 소스 및 드레인의 다른 쪽에 접속된, 예를 들면, P형 TFT이다. 이에 의해, 구동 트랜지스터(125)는, 유지 용량(126)에 유지된 전압에 따른 전류를 유기 EL 소자(121)에 공급한다. 또, 모니터용 발광 화소(111M)에 있어서, 구동 트랜지스터(125)의 소스는, 모니터용 배선(190)과 접속되어 있다.
유지 용량(126)은, 일단이 스위치 트랜지스터(124)의 소스 및 드레인의 다른 쪽에 접속되고, 타단이 제1 전원 배선(112)에 접속되며, 스위치 트랜지스터(124)가 오프되었을 때의 제1 전원 배선(112)의 전위와 구동 트랜지스터(125)의 게이트의 전위의 전위차를 유지한다. 요컨대, 신호 전압에 대응하는 전압을 유지한다.
데이터선 구동 회로(120)는,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호 전압을, 데이터선(122)을 통해 발광 화소(111)에 출력한다.
기록 주사 구동 회로(130)는, 복수의 주사선(123)에 주사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복수의 발광 화소(111)를 순서대로 주사한다. 구체적으로는, 스위치 트랜지스터(124)를 행 단위로 온 및 오프한다. 이에 의해, 기록 주사 구동 회로(130)에 의해 선택되어 있는 행의 복수의 발광 화소(111)에, 복수의 데이터선(122)에 출력된 신호 전압이 인가된다. 따라서, 발광 화소(111)가 영상 데이터에 따른 휘도로 발광한다.
제어 회로(140)는, 데이터선 구동 회로(120) 및 기록 주사 구동 회로(130)의 각각에, 구동 타이밍을 지시한다.
신호 처리 회로(165)는,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호 전압을 데이터선 구동 회로(120)에 출력한다.
전압 마진 설정부(175)는, 피크 계조에서의 (VEL+VTFT) 전압과, 전위차 검출 회로(170A)에서 검출된 전위차(△V)로부터, 모니터용 발광 화소(111M)의 전위를 소정의 전위로 하도록 가변 전압원(180)을 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신호 처리 회로(165)는, 전위차 검출 회로(170A)에서 검출된 전위차를 기초로, 전압 마진(Vdrop)을 구한다. 그리고, 피크 계조에서의 (VEL+VTFT) 전압과, 전압 마진(Vdrop)을 합계하여, 합계 결과인 VEL+VTFT+Vdrop를 제1 기준 전압(Vref1A)의 전압으로서 가변 전압원(180)에 출력한다.
전위차 검출 회로(170A)는, 모니터용 발광 화소(111M)에 대해, 모니터용 발광 화소(111M)에 인가되는 고전위측의 전위를 측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전위차 검출 회로(170A)는, 모니터용 발광 화소(111M)에 인가되는 고전위측의 전위를, 모니터용 배선(190)을 통해 측정한다. 요컨대, 검출점(M1)의 전위를 측정한다. 또한, 전위차 검출 회로(170A)는, 가변 전압원(180)의 고전위측의 출력 전위를 측정하고, 측정한 모니터용 발광 화소(111M)에 인가되는 고전위측의 전위와 가변 전압원(180)의 고전위측의 출력 전위의 전위차(△V)를 측정한다. 그리고, 측정한 전위차(△V)를 전압 마진 설정부(175)에 출력한다.
가변 전압원(180)은, 본 발명의 전원 공급부에 상당하며, 고전위측의 전위 및 저전위측의 전위를 유기 EL 표시부(110)에 출력한다. 이 가변 전압원(180)은, 전압 마진 설정부(175)로부터 출력되는 제1 기준 전압(Vref1A)에 의해, 모니터용 발광 화소(111M)의 고전위측의 전위가 소정의 전위(VEL+VTFT)가 되는 출력 전압(Vout)을 출력한다.
모니터용 배선(190)은, 일단이 모니터용 발광 화소(111M)에 접속되고, 타단이 전위차 검출 회로(170A)에 접속되며, 모니터용 발광 화소(111M)에 인가되는 고전위측의 전위를 전달한다.
다음에, 이 가변 전압원(18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가변 전압원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또한, 상기 도면에는 가변 전압원에 접속되어 있는 유기 EL 표시부(110) 및 전압 마진 설정부(175)도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가변 전압원(180)은, 비교 회로(181)와, PWM(Pulse Width Modulation) 회로(182)와, 드라이브 회로(183)와, 스위칭 소자(SW)와, 다이오드(D)와, 인덕터(L)와, 콘덴서(C)와, 출력 단자(184)를 가지며, 입력 전압(Vin)을 제1 기준 전압(Vref1)에 따른 출력 전압(Vout)으로 변환하고, 출력 단자(184)로부터 출력 전압(Vout)을 출력한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입력 전압(Vin)이 입력되는 입력 단자의 전단에는, AC-DC 변환기가 삽입되며, 예를 들면, AC100V로부터 DC20V로의 변환이 완료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비교 회로(181)는, 출력 검출부(185) 및 오차 증폭기(186)를 가지며, 출력 전압(Vout)과 제1 기준 전압(Vref1)의 차분에 따른 전압을 PWM 회로(182)에 출력한다.
출력 검출부(185)는, 출력 단자(184)와, 접지 전위의 사이에 삽입된 2개의 저항(R1 및 R2)을 가지며, 출력 전압(Vout)을 저항(R1 및 R2)의 저항비에 따라 분압하고, 분압된 출력 전압(Vout)을 오차 증폭기(186)에 출력한다.
오차 증폭기(186)는, 출력 검출부(185)에서 분압된 Vout와, 전압 마진 설정부(175)로부터 출력된 제1 기준 전압(Vref1A)을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른 전압을 PWM 회로(182)에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오차 증폭기(186)는, 연산 증폭기(187)와, 저항(R3 및 R4)을 갖는다. 연산 증폭기(187)는, 반전 입력 단자가 저항(R3)을 통해 출력 검출부(185)에 접속되고, 비반전 입력 단자가 전압 마진 설정부(175)에 접속되며, 출력 단자가 PWM 회로(182)와 접속되어 있다. 또, 연산 증폭기(187)의 출력 단자는, 저항(R4)을 통해 반전 입력 단자와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오차 증폭기(186)는, 출력 검출부(185)로부터 입력된 전압과 신호 처리 회로(165)로부터 입력된 제1 기준 전압(Vref1A)의 전위차에 따른 전압을 PWM 회로(182)에 출력한다. 환언하면, 출력 전압(Vout)과 제1 기준 전압(Vref1A)의 전위차에 따른 전압을 PWM 회로(182)에 출력한다.
PWM 회로(182)는, 비교 회로(181)로부터 출력된 전압에 따라 듀티가 다른 펄스 파형을 드라이브 회로(183)에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PWM 회로(182)는, 비교 회로(181)로부터 출력된 전압이 큰 경우 온 듀티의 긴 펄스 파형을 출력하고, 출력된 전압이 작은 경우 온 듀티의 짧은 펄스 파형을 출력한다. 환언하면, 출력 전압(Vout)과 제1 기준 전압(Vref1A)의 전위차가 큰 경우 온 듀티의 긴 펄스 파형을 출력하고, 출력 전압(Vout)과 제1 기준 전압(Vref1A)의 전위차가 작은 경우 온 듀티의 짧은 펄스 파형을 출력한다. 또한, 펄스 파형의 온의 기간이란, 펄스 파형이 액티브인 기간이다.
드라이브 회로(183)는, PWM 회로(182)로부터 출력된 펄스 파형이 액티브인 기간에 스위칭 소자(SW)를 온하고, PWM 회로(182)로부터 출력된 펄스 파형이 비액티브인 기간에 스위칭 소자(SW)를 오프한다.
스위칭 소자(SW)는, 드라이브 회로(183)에 의해 온 및 오프한다. 스위칭 소자(SW)가 온인 동안만, 입력 전압(Vin)이 인덕터(L) 및 콘덴서(C)를 통해, 출력 단자(184)에 출력 전압(Vout)으로서 출력된다. 따라서, 출력 전압(Vout)은 0V로부터 서서히 20V(Vin)에 가까워져간다. 이 때, 인덕터(L) 및 콘덴서(C)에 충전이 이루어진다. L의 양단에는 전압이 인가되어 있으므로(충전되어 있으므로), 그 양만큼 출력 전압(Vout)은 입력 전압(Vin)보다 낮은 전위가 된다.
출력 전압(Vout)이 제1 기준 전압(Vref1A)에 가까워짐에 따라, PWM 회로(182)에 입력되는 전압은 작아지며, PWM 회로(182)가 출력하는 펄스 신호의 온 듀티는 짧아진다.
그러면 스위칭 소자(SW)가 온되는 시간도 짧아지며, 출력 전압(Vout)은 천천히 제1 기준 전압(Vref1A)에 수렴되어 간다.
최종적으로, Vout=Vref1A 부근의 전위에서 미소하게 전압 변동하면서 출력 전압(Vout)의 전위가 확정된다.
이와 같이, 가변 전압원(180)은, 신호 처리 회로(165)로부터 출력된 제1 기준 전압(Vref1A)이 되는 출력 전압(Vout)을 생성하여, 유기 EL 표시부(110)에 공급한다.
다음에, 상술한 표시 장치(50)의 동작에 대해 도 5~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표시 장치(50)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우선, 전압 마진 설정부(175)는, 미리 설정된 피크 계조에 대응하는 (VEL+VTFT) 전압을 메모리로부터 독출한다(단계 S10). 구체적으로는, 전압 마진 설정부(175)는, 각 색의 피크 계조에 대응하는 VTFT+VEL의 필요 전압을 나타내는 필요 전압 환산 테이블을 이용하여 각 색의 계조에 대응하는 VTFT+VEL을 결정한다.
도 6은, 전압 마진 설정부(175)가 참조하는 필요 전압 환산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요 전압 환산 테이블에는 피크 계조(255 계조)에 대응하는 VTFT+VEL의 필요 전압이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면, R의 피크 계조에서의 필요 전압은 11.2V, G의 피크 계조에서의 필요 전압은 12.2V, B의 피크 계조에서의 필요 전압은 8.4V가 된다. 각 색의 피크 계조에서의 필요 전압 중, 최대의 전압은 G의 12.2V이다. 따라서, 전압 마진 설정부(175)는, VTFT+VEL을 12.2V로 결정한다.
한편, 전위차 검출 회로(170A)는, 검출점(M1)의 전위를, 모니터용 배선(190)을 통해 검출한다(단계 S14).
다음에, 전위차 검출 회로(170A)는, 가변 전압원(180)의 출력 단자(184)의 전위와, 검출점(M1)의 전위의 전위차(△V)를 검출한다(단계 S15). 그리고, 검출한 전위차(△V)를 전압 마진 설정부(175)에 출력한다.
다음에, 전압 마진 설정부(175)는, 전위차 검출 회로(170A)로부터 출력된 전위차 신호로부터, 전위차 검출 회로(170A)가 검출한 전위차(△V)에 대응하는 전압 마진(Vdrop)을 결정한다(단계 S16). 구체적으로는, 전압 마진 설정부(175)는, 전위차(△V)에 대응하는 전압 마진(Vdrop)을 나타내는 전압 마진 환산 테이블을 갖는다.
도 7은, 전압 마진 설정부(175)가 참조하는 전압 마진 환산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압 마진 환산 테이블에는, 전위차(△V)에 대응하는 전압 강하 마진(Vdrop)이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전위차(△V)가 3.4V인 경우, 전압 강하 마진(Vdrop)은 3.4V이다. 따라서, 전압 마진 설정부(175)는, 전압 마진(Vdrop)을 3.4V로 결정한다.
그런데, 전압 마진 환산 테이블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위차(△V)와 전압 강하 마진(Vdrop)은 증가 함수의 관계로 되어 있다. 또, 가변 전압원(180)의 출력 전압(Vout)은 전압 마진(Vdrop)이 클수록 높아진다. 요컨대, 전위차(△V)와 출력 전압(Vout)은 증가 함수의 관계로 되어 있다.
다음에, 전압 마진 설정부(175)는, 다음 프레임 기간에 가변 전압원(180)에 출력시키는 출력 전압(Vout)을 결정한다(단계 S17). 구체적으로는, 다음 프레임 기간에 가변 전압원(180)에 출력시키는 출력 전압(Vout)을, 유기 EL 소자(121)와 구동 트랜지스터(125)에 필요한 전압의 결정(단계 S13)에서 결정된 VTFT+VEL과 전위차(△V)에 대응하는 전압 마진의 결정(단계 S15)에서 결정된 전압 마진(Vdrop)의 합계치인 VTFT+VEL+Vdrop로 한다.
마지막으로, 전압 마진 설정부(175)는, 다음 프레임 기간의 최초에, 제1 기준 전압(Vref1A)을 VTFT+VEL+Vdrop로 함으로써, 가변 전압원(180)을 조정한다(단계 S18). 이에 의해, 다음 프레임 기간에 있어서, 가변 전압원(180)은, Vout=VTFT+VEL+Vdrop로서, 유기 EL 표시부(110)에 공급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50)는, 소비 전력 저감 효과를 얻기 위한 최소 구성으로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이 표시 장치(50)는, 고전위측의 전위 및 저전위측의 전위를 출력하는 가변 전압원(180)과, 유기 EL 표시부(110)에 있어서의, 모니터용 발광 화소(111M)에 대해, 상기 모니터용 발광 화소(111M)에 인가되는 고전위측의 전위, 및, 가변 전압원(180)의 고전위측의 출력 전압(Vout)을 측정하는 전위차 검출 회로(170A)와, 전위차 검출 회로(170A)에서 측정된 모니터용 발광 화소(111M)에 인가되는 고전위측의 전위를 소정의 전위(VTFT+VEL)로 하도록 가변 전압원(180)을 조정하는 전압 마진 설정부(175)를 포함한다. 또, 전위차 검출 회로(170A)는, 또한, 가변 전압원(180)의 고전위측의 출력 전압(Vout)을 측정하고, 측정한 고전위측의 출력 전압(Vout)과, 모니터용 발광 화소(111M)에 인가되는 고전위측의 전위의 전위차를 검출하며, 전압 마진 설정부(175)는, 전위차 검출 회로(170A)에서 검출된 전위차에 따라 가변 전압원을 조정한다.
이에 의해, 표시 장치(50)는, 수평 방향의 제1 전원 배선 저항(R1h) 및 수직 방향의 제1 전원 배선 저항(R1v)에 의한 전압 강하를 검출하고, 그 전압 강하의 정도를 가변 전압원(180)에 피드백함으로써, 여분의 전압을 줄여, 소비 전력을 삭감할 수 있다.
또, 표시 장치(50)는, 모니터용 발광 화소(111M)가 유기 EL 표시부(110)의 중앙 부근에 배치됨으로써, 유기 EL 표시부(110)가 대형화된 경우에도, 가변 전압원(180)의 출력 전압(Vout)을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 소비 전력을 삭감함으로써 유기 EL 소자(121)의 발열이 억제되므로, 유기 EL 소자(121)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표시 장치(50)에 있어서, 제N 프레임 이전과 제N+1 프레임 이후에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가 바뀌는 경우의 표시 패턴의 변천에 대해, 도 8 및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처음에, 제N 프레임 및 제N+1 프레임에 입력되었다고 상정하는 영상 데이터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제N 프레임 이전에 있어서, 유기 EL 표시부(110)의 중심부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는, 유기 EL 표시부(110)의 중심부가 흰색으로 보이는 피크 계조(R:G:B=255:255:255)로 한다. 한편, 유기 EL 표시부(110)의 중심부 이외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는, 유기 EL 표시부(110)의 중심부 이외가 회색으로 보이는 회색 계조(R:G:B=50:50:50)로 한다.
또, 제N+1 프레임 이후에 있어서, 유기 EL 표시부(110)의 중심부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는, 제N 프레임과 동일하게 피크 계조(R:G:B=255:255:255)로 한다. 한편, 유기 EL 표시부(110)의 중심부 이외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는, 제N 프레임보다 밝은 회색으로 보이는 회색 계조(R:G:B=150:150:150)로 한다.
다음에, 제N 프레임 및 제N+1 프레임에 상술한 바와 같은 영상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의, 표시 장치(5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제N 프레임~제N+2 프레임에 있어서의 표시 장치(50)의 동작을 도시한 타이밍 차트이다.
상기 도면에는, 전위차 검출 회로(170A)에서 검출된 전위차(△V)와, 가변 전압원(180)으로부터의 출력 전압(Vout)과, 모니터용 발광 화소(111M)의 화소 휘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 각 프레임 기간의 마지막에는, 블랭킹 기간이 설정되어 있다.
도 9는, 유기 EL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상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시간 t=T10에 있어서, 신호 처리 회로(165)는 제N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를 입력한다. 전압 마진 설정부(175)는, 필요 전압 환산 테이블을 이용하여, G의 피크 계조에서의 필요 전압 12.2V를 (VTFT+VEL) 전압으로 설정한다.
한편, 이 때 전위차 검출 회로(170A)는, 모니터용 배선(190)을 통해 검출점(M1)의 전위를 검출하고, 가변 전압원(180)으로부터 출력되어 있는 출력 전압(Vout)과의 전위차(△V)를 검출한다. 예를 들면, 시간 t=T10에 있어서 △V=1V를 검출한다. 그리고, 전압 마진 환산 테이블을 이용하여, 제N+1 프레임의 전압 마진(Vdrop)을 1V로 결정한다.
시간 t=T10~T11은 제N 프레임의 블랭킹 기간이며, 이 기간에 있어서 유기 EL 표시부(110)에는, 시간 t=T10과 동일한 화상이 표시된다.
도 9(a)는, 시간 t=T10~T11에 있어서, 유기 EL 표시부(110)에 표시되는 화상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 기간에 있어서, 유기 EL 표시부(110)에 표시되는 화상은, 제N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며, 중심부가 흰색이고, 중심부 이외가 회색으로 되어 있다.
시간 t=T11에 있어서, 전압 마진 설정부(175)는, 제1 기준 전압(Vref1A)의 전압을, 상기 (VTFT+VEL) 전압과, 전압 마진(Vdrop)의 합계(VTFT+VEL+Vdrop)(예를 들면, 13.2V)로 한다.
시간 t=T11~T16에 걸쳐, 유기 EL 표시부(110)에는, 제N+1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이 순서대로 표시되어 간다(도 9(b)~도 9(f)). 이 때, 가변 전압원(180)으로부터의 출력 전압(Vout)은, 항상, 시간 t=T11에서 제1 기준 전압(Vref1A)의 전압으로 설정한 VTFT+VEL+Vdrop로 되어 있다. 그러나, 제N+1 프레임에서는, 유기 EL 표시부(110)의 중심부 이외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는, 제N 프레임보다 밝은 회색으로 보이는 회색 계조이다. 따라서, 가변 전압원(180)으로부터 유기 EL 표시부(110)에 공급하는 전류량은, 시간 t=T11~T16에 걸쳐 서서히 증가하며, 이 전류량의 증가에 따라 제1 전원 배선(112)의 전압 강하가 서서히 커진다. 이에 의해, 밝게 표시되어 있는 영역의 발광 화소(111)인, 유기 EL 표시부(110) 중심부의 발광 화소(111)의 전원 전압이 부족하다. 환언하면, 제N+1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 R:G:B=255:255:255에 대응하는 화상보다 휘도가 저하한다. 요컨대, 시간 t=T11~T16에 걸쳐, 유기 EL 표시부(110) 중심부의 발광 화소(111)의 발광 휘도는 서서히 저하한다.
다음에, 시간 t=T16에 있어서, 신호 처리 회로(165)는 제N+1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를 입력한다. 전압 마진 설정부(175)는, 필요 전압 환산 테이블을 이용하여, G의 피크 계조에서의 필요 전압 12.2V를, 계속해서 (VTFT+VEL) 전압으로 설정한다.
한편, 이 때 전위차 검출 회로(170A)는, 모니터용 배선(190)을 통해 검출점(M1)의 전위를 검출하고, 가변 전압원(180)으로부터 출력되어 있는 출력 전압(Vout)과의 전위차(△V)를 검출한다. 예를 들면, 시간 t=T16에 있어서 △V=3V를 검출한다. 그리고, 전압 마진 환산 테이블을 이용하여, 제N+1 프레임의 전압 강하 마진(Vdrop)을 3V로 결정한다.
다음에, 시간 t=T17에 있어서, 전압 마진 설정부(175)는, 제1 기준 전압(Vref1A)의 전압을, 상기 (VTFT+VEL) 전압과, 전압 마진(Vdrop)의 합계(VTFT+VEL+Vdrop)(예를 들면, 15.2V)로 한다. 따라서, 시간 t=T17 이후, 검출점(M1)의 전위는, 소정의 전위인 VTFT+VEL이 된다.
이와 같이, 표시 장치(50)는, 제N+1 프레임에 있어서, 일시적으로 휘도가 저하하지만, 매우 짧은 기간이며, 사용자에게 있어서 거의 영향은 없다.
(실시 형태 2)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표시 장치와 비교하여, 가변 전압원에 입력되는 기준 전압이, 전위차 검출 회로에서 검출된 전위차(△V)의 변화에 의존하여 변화할 뿐만 아니라, 입력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프레임마다 검출된 피크 신호에도 의존하여 변화하는 점이 상이하다. 이하,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점은 설명을 생략하고, 실시 형태 1과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 실시 형태 1과 중복되는 도면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1에 적용된 도면을 이용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대해, 표시 장치가 소비 전력 저감 효과를 얻기 위한 최소 구성으로서, 검출점을 일점(M1) 구비하며, 모니터용 배선(검출선이라고도 한다)과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표시 장치(100)는, 유기 EL 표시부(110)와, 데이터선 구동 회로(120)와, 기록 주사 구동 회로(130)와, 제어 회로(140)와, 피크 신호 검출 회로(150)와, 신호 처리 회로(160)와, 전위차 검출 회로(170A)로 이루어지는 최대치 검출 회로(170)와, 가변 전압원(180)과, 모니터용 배선(190)을 구비한다.
유기 EL 표시부(110)의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1의 도 2 및 도 3에 기재된 구성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피크 신호 검출 회로(150)는, 표시 장치(100)에 입력된 영상 데이터의 피크치를 검출하고, 검출한 피크치를 나타내는 피크 신호를 신호 처리 회로(160)에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피크 신호 검출 회로(150)는, 영상 데이터 중에서 가장 고계조의 데이터를 피크치로서 검출한다. 고계조의 데이터란, 유기 EL 표시부(110)에서 밝게 표시되는 화상에 대응한다.
신호 처리 회로(160)는, 피크 신호 검출 회로(150)로부터 출력된 피크 신호와, 전위차 검출 회로(170A)에서 검출된 전위차(△V)로부터, 모니터용 발광 화소(111M)의 전위를 소정의 전위로 하도록 가변 전압원(180)을 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신호 처리 회로(160)는, 피크 신호 검출 회로(150)로부터 출력된 피크 신호로 발광 화소(111)를 발광시킨 경우에, 유기 EL 소자(121)와 구동 트랜지스터(125)에 필요한 전압을 결정한다. 또, 신호 처리 회로(160)는, 전위차 검출 회로(170A)에서 검출된 전위차를 기초로, 전압 마진을 구한다. 그리고, 결정한, 유기 EL 소자(121)에 필요한 전압(VEL)과, 구동 트랜지스터(125)에 필요한 전압(VTFT)과, 전압 마진(Vdrop)을 합계하여, 합계 결과인 VEL+VTFT+Vdrop를 제1 기준 전압(Vref1)의 전압으로서 가변 전압원(180)에 출력한다.
또, 신호 처리 회로(160)는, 피크 신호 검출 회로(150)를 통해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호 전압을 데이터선 구동 회로(120)에 출력한다.
전위차 검출 회로(170A)는, 모니터용 발광 화소(111M)에 대해, 모니터용 발광 화소(111M)에 인가되는 고전위측의 전위를 측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전위차 검출 회로(170A)는, 모니터용 발광 화소(111M)에 인가되는 고전위측의 전위를, 모니터용 배선(190)을 통해 측정한다. 요컨대, 검출점(M1)의 전위를 측정한다. 또한, 전위차 검출 회로(170A)는, 가변 전압원(180)의 고전위측의 출력 전위를 측정하고, 측정한 모니터용 발광 화소(111M)에 인가되는 고전위측의 전위와 가변 전압원(180)의 고전위측의 출력 전위의 전위차(△V)를 측정한다. 그리고, 측정한 전위차(△V)를 신호 처리 회로(160)에 출력한다.
가변 전압원(180)은, 본 발명의 전원 공급부에 상당하며, 고전위측의 전위 및 저전위측의 전위를 유기 EL 표시부(110)에 출력한다. 이 가변 전압원(180)은, 신호 처리 회로(160)로부터 출력되는 제1 기준 전압(Vref1)에 의해, 모니터용 발광 화소(111M)의 고전위측의 전위가 소정의 전위(VEL+VTFT)가 되는 출력 전압(Vout)을 출력한다.
모니터용 배선(190)은, 일단이 모니터용 발광 화소(111M)에 접속되고, 타단이 전위차 검출 회로(170A)에 접속되며, 모니터용 발광 화소(111M)에 인가되는 고전위측의 전위를 전달한다.
다음에, 이 가변 전압원(18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도 11은, 실시 형태 2에 따른 가변 전압원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또한, 상기 도면에는 가변 전압원에 접속되어 있는 유기 EL 표시부(110) 및 신호 처리 회로(160)도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가변 전압원(180)은,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가변 전압원(180)과 동일하다.
오차 증폭기(186)는, 출력 검출부(185)에서 분압된 Vout와, 신호 처리 회로(160)로부터 출력된 제1 기준 전압(Vref1)을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른 전압을 PWM 회로(182)에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오차 증폭기(186)는, 연산 증폭기(187)와, 저항(R3 및 R4)을 갖는다. 연산 증폭기(187)는, 반전 입력 단자가 저항(R3)을 통해 출력 검출부(185)에 접속되고, 비반전 입력 단자가 신호 처리 회로(160)에 접속되며, 출력 단자가 PWM 회로(182)와 접속되어 있다. 또, 연산 증폭기(187)의 출력 단자는, 저항(R4)을 통해 반전 입력 단자와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오차 증폭기(186)는, 출력 검출부(185)로부터 입력된 전압과 신호 처리 회로(160)로부터 입력된 제1 기준 전압(Vref1)의 전위차에 따른 전압을 PWM 회로(182)에 출력한다. 환언하면, 출력 전압(Vout)과 제1 기준 전압(Vref1)의 전위차에 따른 전압을 PWM 회로(182)에 출력한다.
PWM 회로(182)는, 비교 회로(181)로부터 출력된 전압에 따라 듀티가 다른 펄스 파형을 드라이브 회로(183)에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PWM 회로(182)는, 비교 회로(181)로부터 출력된 전압이 큰 경우 온 듀티의 긴 펄스 파형을 출력하고, 출력된 전압이 작은 경우 온 듀티의 짧은 펄스 파형을 출력한다. 환언하면, 출력 전압(Vout)과 제1 기준 전압(Vref1)의 전위차가 큰 경우 온 듀티의 긴 펄스 파형을 출력하고, 출력 전압(Vout)과 제1 기준 전압(Vref1)의 전위차가 작은 경우 온 듀티의 짧은 펄스 파형을 출력한다. 또한, 펄스 파형의 온의 기간이란, 펄스 파형이 액티브인 기간이다.
출력 전압(Vout)이 제1 기준 전압(Vref1)에 가까워짐에 따라, PWM 회로(182)에 입력되는 전압은 작아지며, PWM 회로(182)가 출력하는 펄스 신호의 온 듀티는 짧아진다.
그러면 스위칭 소자(SW)가 온되는 시간도 짧아지며, 출력 전압(Vout)은 천천히 제1 기준 전압(Vref1)에 수렴되어 간다.
최종적으로, Vout=Vref1 부근의 전위에서 미소하게 전압 변동하면서 출력 전압(Vout)의 전위가 확정된다.
이와 같이, 가변 전압원(180)은, 신호 처리 회로(160)로부터 출력된 제1 기준 전압(Vref1)이 되는 출력 전압(Vout)을 생성하여, 유기 EL 표시부(110)에 공급한다.
다음에, 상술한 표시 장치(100)의 동작에 대해 도 12, 도 13 및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표시 장치(100)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우선, 피크 신호 검출 회로(150)는, 표시 장치(100)에 입력된 1 프레임 기간의 영상 데이터를 취득한다(단계 S11). 예를 들면, 피크 신호 검출 회로(150)는, 버퍼를 가지며, 그 버퍼에 1 프레임 기간의 영상 데이터를 축적한다.
다음에, 피크 신호 검출 회로(150)는, 취득한 영상 데이터의 피크치를 검출(단계 S12)하고, 검출한 피크치를 나타내는 피크 신호를 신호 처리 회로(160)에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피크 신호 검출 회로(150)는, 색마다 영상 데이터의 피크치를 검출한다. 예를 들면, 영상 데이터가 적색(R), 녹색(G), 청색(B)의 각각에 대해 0~255(클수록 휘도가 높다)까지의 256계조로 표시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여기에서, 유기 EL 표시부(110)의 일부의 영상 데이터가 R:G:B=177:124:135, 유기 EL 표시부(110)의 다른 일부의 영상 데이터가 R:G:B=24:177:50, 또 다른 일부의 영상 데이터가 R:G:B=10:70:176인 경우, 피크 신호 검출 회로(150)는 R의 피크치로서 177, G의 피크치로서 177, B의 피크치로서 176을 검출하고, 검출한 각 색의 피크치를 나타내는 피크 신호를 신호 처리 회로(160)에 출력한다.
다음에, 신호 처리 회로(160)는, 피크 신호 검출 회로(150)로부터 출력된 피크치로 유기 EL 소자(121)를 발광시킨 경우의 구동 트랜지스터(125)에 필요한 전압(VTFT)과, 유기 EL 소자(121)에 필요한 전압(VEL)을 결정한다(단계 S13). 구체적으로는, 신호 처리 회로(160)는, 각 색의 계조에 대응하는 VTFT+VEL의 필요 전압을 나타내는 필요 전압 환산 테이블을 이용하여 각 색의 계조에 대응하는 VTFT+VEL을 결정한다.
도 13은, 신호 처리 회로(160)가 갖는 필요 전압 환산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요 전압 환산 테이블에는 각 색의 계조에 대응하는 VTFT+VEL의 필요 전압이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면, R의 피크치(177)에 대응하는 필요 전압은 8.5V, G의 피크치(177)에 대응하는 필요 전압은 9.9V, B의 피크치(176)에 대응하는 필요 전압은 9.9V가 된다. 각 색의 피크치에 대응하는 필요 전압 중, 최대의 전압은 B의 피크치에 대응하는 9.9V이다. 따라서, 신호 처리 회로(160)는, VTFT+VEL을 9.9V로 결정한다.
한편, 전위차 검출 회로(170A)는, 검출점(M1)의 전위를 모니터용 배선(190)을 통해 검출한다(단계 S14).
다음에, 전위차 검출 회로(170A)는, 가변 전압원(180)의 출력 단자(184)의 전위와, 검출점(M1)의 전위의 전위차(△V)를 검출한다(단계 S15). 그리고, 검출한 전위차(△V)를 신호 처리 회로(160)에 출력한다.
다음에, 신호 처리 회로(160)는, 전위차 검출 회로(170A)로부터 출력된 전위차 신호로부터, 전위차 검출 회로(170A)가 검출한 전위차(△V)에 대응하는 전압 마진(Vdrop)을 결정한다(단계 S16). 구체적으로는, 신호 처리 회로(160)는, 전위차(△V)에 대응하는 전압 마진(Vdrop)을 나타내는 전압 마진 환산 테이블을 갖는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압 마진 환산 테이블에는, 전위차(△V)에 대응하는 전압 강하 마진(Vdrop)이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전위차(△V)가 3.4V인 경우, 전압 강하 마진(Vdrop)은 3.4V이다. 따라서, 신호 처리 회로(160)는, 전압 강하 마진(Vdrop)을 3.4V로 결정한다.
그런데, 전압 마진 환산 테이블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위차(△V)와 전압 강하 마진(Vdrop)은 증가 함수의 관계로 되어 있다. 또, 가변 전압원(180)의 출력 전압(Vout)은 전압 마진(Vdrop)이 클수록 높아진다. 요컨대, 전위차(△V)와 출력 전압(Vout)은 증가 함수의 관계로 되어 있다.
다음에, 신호 처리 회로(160)는, 다음 프레임 기간에 가변 전압원(180)에 출력시키는 출력 전압(Vout)을 결정한다(단계 S17). 구체적으로는, 다음 프레임 기간에 가변 전압원(180)에 출력시키는 출력 전압(Vout)을, 유기 EL 소자(121)와 구동 트랜지스터(125)에 필요한 전압의 결정(단계 S13)에서 결정된 VTFT+VEL과 전위차(△V)에 대응하는 전압 마진의 결정(단계 S15)에서 결정된 전압 마진(Vdrop)의 합계치인 VTFT+VEL+Vdrop로 한다.
마지막으로, 신호 처리 회로(160)는, 다음 프레임 기간의 최초에, 제1 기준 전압(Vref1)을 VTFT+VEL+Vdrop로 함으로써, 가변 전압원(180)을 조정한다(단계 S18). 이에 의해, 다음 프레임 기간에 있어서, 가변 전압원(180)은, Vout=VTFT+VEL+Vdrop로서, 유기 EL 표시부(110)에 공급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소비 전력 저감 효과를 얻기 위한 최소 구성으로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이 표시 장치(100)는, 고전위측의 전위 및 저전위측의 전위를 출력하는 가변 전압원(180)과, 유기 EL 표시부(110)에 있어서의, 모니터용 발광 화소(111M)에 대해, 상기 모니터용 발광 화소(111M)에 인가되는 고전위측의 전위, 및, 가변 전압원(180)의 고전위측의 출력 전압(Vout)을 측정하는 전위차 검출 회로(170A)와, 전위차 검출 회로(170A)에서 측정된 모니터용 발광 화소(111M)에 인가되는 고전위측의 전위를 소정의 전위(VTFT+VEL)로 하도록 가변 전압원(180)을 조정하는 신호 처리 회로(160)를 포함한다. 또, 전위차 검출 회로(170A)는, 또한, 가변 전압원(180)의 고전위측의 출력 전압(Vout)을 측정하고, 측정한 고전위측의 출력 전압(Vout)과, 모니터용 발광 화소(111M)에 인가되는 고전위측의 전위의 전위차를 검출하며, 신호 처리 회로(160)는, 전위차 검출 회로(170A)에서 검출된 전위차에 따라 가변 전압원을 조정한다.
이에 의해, 표시 장치(100)는, 수평 방향의 제1 전원 배선 저항(R1h) 및 수직 방향의 제1 전원 배선 저항(R1v)에 의한 전압 강하를 검출하고, 그 전압 강하의 정도를 가변 전압원(180)에 피드백함으로써, 여분의 전압을 줄여, 소비 전력을 삭감할 수 있다.
또, 표시 장치(100)는, 모니터용 발광 화소(111M)가 유기 EL 표시부(110)의 중앙 부근에 배치됨으로써, 유기 EL 표시부(110)가 대형화된 경우에도, 가변 전압원(180)의 출력 전압(Vout)을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 소비 전력을 삭감함으로써 유기 EL 소자(121)의 발열이 억제되므로, 유기 EL 소자(121)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표시 장치(100)에 있어서, 제N 프레임 이전과 제N+1 프레임 이후에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가 바뀌는 경우의 표시 패턴의 변천에 대해, 도 8 및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처음에, 제N 프레임 및 제N+1 프레임에 입력되었다고 상정하는 영상 데이터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제N 프레임 이전에 있어서, 유기 EL 표시부(110)의 중심부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는, 유기 EL 표시부(110)의 중심부가 흰색으로 보이는 피크 계조(R:G:B=255:255:255)로 한다. 한편, 유기 EL 표시부(110)의 중심부 이외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는, 유기 EL 표시부(110)의 중심부 이외가 회색으로 보이는 회색 계조(R:G:B=50:50:50)로 한다.
또, 제N+1 프레임 이후에 있어서, 유기 EL 표시부(110)의 중심부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는, 제N 프레임과 동일하게 피크 계조(R:G:B=255:255:255)로 한다. 한편, 유기 EL 표시부(110)의 중심부 이외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는, 제N 프레임보다 밝은 회색으로 보이는 회색 계조(R:G:B=150:150:150)로 한다.
다음에, 제N 프레임 및 제N+1 프레임에 상술한 바와 같은 영상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의, 표시 장치(1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에는, 전위차 검출 회로(170A)에서 검출된 전위차(△V)와, 가변 전압원(180)으로부터의 출력 전압(Vout)과, 모니터용 발광 화소(111M)의 화소 휘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 각 프레임 기간의 마지막에는, 블랭킹 기간이 설정되어 있다.
시간 t=T10에 있어서, 피크 신호 검출 회로(150)는 제N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의 피크치를 검출한다. 신호 처리 회로(160)는, 피크 신호 검출 회로(150)에서 검출된 피크치로부터 VTFT+VEL을 결정한다. 여기에서, 제N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의 피크치는 R:G:B=255:255:255이므로, 신호 처리 회로(160)는, 필요 전압 환산 테이블을 이용하여 제N+1 프레임의 필요 전압(VTFT+VEL)을, 예를 들면 12.2V로 결정한다.
한편, 이 때 전위차 검출 회로(170A)는, 모니터용 배선(190)을 통해 검출점(M1)의 전위를 검출하고, 가변 전압원(180)으로부터 출력되어 있는 출력 전압(Vout)과의 전위차(△V)를 검출한다. 예를 들면, 시간 t=T10에 있어서 △V=1V를 검출한다. 그리고, 전압 마진 환산 테이블을 이용하여, 제N+1 프레임의 전압 강하 마진(Vdrop)을 1V로 결정한다.
시간 t=T10~T11은 제N 프레임의 블랭킹 기간이며, 이 기간에 있어서 유기 EL 표시부(110)에는, 시간 t=T10과 동일한 화상이 표시된다.
도 9(a)는, 시간 t=T10~T11에 있어서, 유기 EL 표시부(110)에 표시되는 화상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 기간에 있어서, 유기 EL 표시부(110)에 표시되는 화상은, 제N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며, 중심부가 흰색이고, 중심부 이외가 회색으로 되어 있다.
시간 t=T11에 있어서, 신호 처리 회로(160)는, 제1 기준 전압(Vref1)의 전압을, 결정한 필요 전압(VTFT+VEL)과, 전압 강하 마진(Vdrop)의 합계(VTFT+VEL+Vdrop)(예를 들면, 13.2V)로 한다.
시간 t=T11~T16에 걸쳐, 유기 EL 표시부(110)에는, 제N+1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이 순서대로 표시되어 간다(도 9(b)~도 9(f)). 이 때, 가변 전압원(180)으로부터의 출력 전압(Vout)은, 항상, 시간 t=T11에서 제1 기준 전압(Vref1)의 전압으로 설정한 VTFT+VEL+Vdrop로 되어 있다. 그러나, 제N+1 프레임에서는, 유기 EL 표시부(110)의 중심부 이외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는, 제N 프레임보다 밝은 회색으로 보이는 회색 계조이다. 따라서, 가변 전압원(180)으로부터 유기 EL 표시부(110)에 공급하는 전류량은, 시간 T11~T16에 걸쳐 서서히 증가하며, 이 전류량의 증가에 따라 제1 전원 배선(112)의 전압 강하가 서서히 커진다. 이에 의해, 밝게 표시되어 있는 영역의 발광 화소(111)인, 유기 EL 표시부(110) 중심부의 발광 화소(111)의 전원 전압이 부족하다. 환언하면, 제N+1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 R:G:B=255:255:255에 대응하는 화상보다 휘도가 저하한다. 요컨대, 시간 t=T11~T16에 걸쳐, 유기 EL 표시부(110) 중심부의 발광 화소(111)의 발광 휘도는 서서히 저하한다.
다음에, 시간 t=T16에 있어서, 피크 신호 검출 회로(150)는 제N+1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의 피크치를 검출한다. 여기에서 검출되는 제N+1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의 피크치는 R:G:B=255:255:255이므로, 신호 처리 회로(160)는 제N+2 프레임의 필요 전압(VTFT+VEL)을, 예를 들면 12.2V로 결정한다.
한편, 이 때 전위차 검출 회로(170A)는, 모니터용 배선(190)을 통해 검출점(M1)의 전위를 검출하고, 가변 전압원(180)으로부터 출력되어 있는 출력 전압(Vout)과의 전위차(△V)를 검출한다. 예를 들면, 시간 t=T16에 있어서 △V=3V를 검출한다. 그리고, 전압 마진 환산 테이블을 이용하여, 제N+1 프레임의 전압 강하 마진(Vdrop)을 3V로 결정한다.
다음에, 시간 t=T17에 있어서, 신호 처리 회로(160)는, 제1 기준 전압(Vref1)의 전압을, 결정한 필요 전압(VTFT+VEL)과, 전압 강하 마진(Vdrop)의 합계(VTFT+VEL+Vdrop)(예를 들면, 15.2V)로 한다. 따라서, 시간 t=T17 이후, 검출점(M1)의 전위는, 소정의 전위인 VTFT+VEL이 된다.
이와 같이, 표시 장치(100)는, 제N+1 프레임에 있어서, 일시적으로 휘도가 저하하지만, 매우 짧은 기간이며, 사용자에게 있어서 거의 영향은 없다.
(실시 형태 3)
실시 형태 3에서는, 실시 형태 1과는 다른 예, 즉 표시 장치가 소비 전력 저감 효과를 얻기 위한 최소 구성으로서 검출점을 일점(M1) 구비하며, 모니터용 배선(검출선)과 접속되어 있는 경우의 다른 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는, 실시 형태 2에 따른 표시 장치(100)와 거의 동일하지만, 전위차 검출 회로(170A)를 구비하지 않으며, 검출점(M1)의 전위가 가변 전압원에 입력되는 점이 상이하다. 또, 신호 처리 회로는, 가변 전압원에 출력하는 전압을 필요 전압(VTFT+VEL)으로 하는 점이 상이하다. 이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전압 강하량에 따라 실시간으로 가변 전압원의 출력 전압(Vout)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실시 형태 2와 비교하여, 화소 휘도의 일시적인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이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4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200)는, 도 10에 나타낸 실시 형태 2에 따른 표시 장치(100)와 비교하여, 전위차 검출 회로(170A)를 구비하지 않는 점과, 모니터용 배선(190)을 대신하여 모니터용 배선(290)을 구비하는 점과, 신호 처리 회로(160)를 대신하여 신호 처리 회로(260)를 구비하는 점과, 가변 전압원(180)을 대신하여 가변 전압원(280)을 구비하는 점이 상이하다.
신호 처리 회로(260)는, 피크 신호 검출 회로(150)로부터 출력된 피크 신호로부터, 가변 전압원(280)에 출력하는 제2 기준 전압(Vref2)의 전압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신호 처리 회로(260)는, 필요 전압 환산 테이블을 이용하여, 유기 EL 소자(121)에 필요한 전압(VEL)과 구동 트랜지스터(125)에 필요한 전압(VTFT)의 합계(VTFT+VEL)를 결정한다. 그리고, 결정한 VTFT+VEL을 제2 기준 전압(Vref2)의 전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200)의 신호 처리 회로(260)가 가변 전압원(280)에 출력하는 제2 기준 전압(Vref2)은, 실시 형태 2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신호 처리 회로(160)가 가변 전압원(180)에 출력하는 제1 기준 전압(Vref1)과 달리, 영상 데이터에만 대응하여 결정되는 전압이다. 요컨대, 제2 기준 전압(Vref2)은, 가변 전압원(280)의 출력 전압(Vout)과 검출점(M1)의 전위의 전위차(△V)에 의존하지 않는다.
가변 전압원(280)은, 모니터용 발광 화소(111M)에 인가되는 고전위측의 전위를, 모니터용 배선(290)을 통해 측정한다. 요컨대, 검출점(M1)의 전위를 측정한다. 그리고, 측정한 검출점(M1)의 전위와, 신호 처리 회로(260)로부터 출력된 제2 기준 전압(Vref2)에 따라, 출력 전압(Vout)을 조정한다.
모니터용 배선(290)은, 일단이 검출점(M1)에 접속되고, 타단이 가변 전압원(280)에 접속되며, 검출점(M1)의 전위를 가변 전압원(280)에 전달한다.
도 15는, 실시 형태 3에 따른 가변 전압원(280)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또한, 상기 도면에는 가변 전압원에 접속되어 있는 유기 EL 표시부(110) 및 신호 처리 회로(260)도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가변 전압원(280)은, 도 11에 나타낸 가변 전압원(180)의 구성과 거의 동일하지만, 비교 회로(181)를 대신하여, 검출점(M1)의 전위와 제2 기준 전압(Vref2)을 비교하는 비교 회로(281)를 구비하는 점이 상이하다.
여기에서, 가변 전압원(280)의 출력 전위를 Vout로 하고, 가변 전압원(280)의 출력 단자(184)로부터 검출점(M1)까지의 전압 강하량을 △V로 하면, 검출점(M1)의 전위는 Vout-△V가 된다. 요컨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비교 회로(281)는 Vref2와 Vout-△V를 비교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Vref2=VTFT+VEL이므로, 비교 회로(281)는 VTFT+VEL과 Vout-△V를 비교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비교 회로(181)는 Vref1과 Vout를 비교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Vref1=VTFT+VEL+△V이므로,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비교 회로(181)는, VTFT+VEL+△V와 Vout를 비교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비교 회로(281)는, 비교 회로(181)와 비교 대상이 상이하지만, 비교 결과는 동일하다. 요컨대, 실시 형태 2와 실시 형태 3에서, 가변 전압원(280)의 출력 단자(184)로부터 검출점(M1)까지의 전압 강하량이 동일한 경우, 비교 회로(181)가 PWM 회로에 출력하는 전압과, 비교 회로(281)가 PWM 회로에 출력하는 전압은 동일하다. 그 결과, 가변 전압원(180)의 출력 전압(Vout)과 가변 전압원(280)의 출력 전압(Vout)은 동일해진다. 또, 실시 형태 2에 있어서도, 전위차(△V)와 출력 전압(Vout)은 증가 함수의 관계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표시 장치(200)는, 실시 형태 2에 따른 표시 장치(100)와 비교하여, 출력 단자(184)와 검출점(M1)의 전위차(△V)에 따라 출력 전압(Vout)을 실시간으로 조정할 수 있다. 왜냐하면, 실시 형태 2에 따른 표시 장치(100)에 있어서는, 신호 처리 회로(160)로부터 각 프레임 기간의 최초에만, 상기 프레임에 있어서의 제1 기준 전압(Vref1)의 변경이 이루어져 있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200)에 있어서는, 신호 처리 회로(260)를 통하지 않고, 가변 전압원(280)의 비교 회로(181)에 직접 △V에 의존한 전압, 요컨대 Vout-△V가 입력됨으로써, 신호 처리 회로(260)의 제어에 의존하지 않고 Vout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표시 장치(200)에 있어서, 실시 형태 2와 동일하게, 제N 프레임 이전과 제N+1 프레임 이후에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가 바뀌는 경우의, 표시 장치(2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는 실시 형태 2와 동일하게, 제N 프레임 이전의, 유기 EL 표시부(110)의 중심부가 R:G:B=255:255:255, 중심부 이외가 R:G:B=50:50:50이 되고, 제N+1 프레임 이후의, 유기 EL 표시부(110)의 중심부가 R:G:B=255:255:255, 중심부 이외가 R:G:B=150:150:150이 된다.
도 16은, 제N 프레임~제N+2 프레임에 있어서의 표시 장치(200)의 동작을 도시한 타이밍 차트이다.
시간 t=T20에 있어서, 피크 신호 검출 회로(150)는 제N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의 피크치를 검출한다. 신호 처리 회로(260)는, 피크 신호 검출 회로(150)에서 검출된 피크치로부터 VTFT+VEL을 구한다. 여기에서, 제N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의 피크치는 R:G:B=255:255:255이므로, 신호 처리 회로(160)는, 필요 전압 환산 테이블을 이용하여 제N+1 프레임의 필요 전압(VTFT+VEL)을, 예를 들면 12.2V로 결정한다.
한편, 출력 검출부(185)는, 모니터용 배선(290)을 통해 검출점(M1)의 전위를, 항상 검출하고 있다.
다음에, 시간 t=T21에 있어서, 신호 처리 회로(260)는, 제2 기준 전압(Vref2)의 전압을, 결정한 필요 전압(VTFT+TEL)(예를 들면, 12.2V)으로 한다.
시간 t=T21~22에 걸쳐, 유기 EL 표시부(110)에는, 제N+1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이 순서대로 표시되어 간다. 이 때, 가변 전압원(280)으로부터 유기 EL 표시부(110)에 공급하는 전류량은, 실시 형태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서히 증가한다. 따라서, 전류량의 증가에 따라 제1 전원 배선(112)에 있어서의 전압 강하가 서서히 커진다. 요컨대, 검출점(M1)의 전위가 서서히 저하한다. 환언하면, 출력 전압(Vout)과 검출점(M1)의 전위의 전위차(△V)가 서서히 증대한다.
여기에서, 오차 증폭기(186)는, VTFT+VEL과 Vout-△V의 전위차에 따른 전압을 실시간으로 출력하므로, 전위차(△V)의 증대에 따라 Vout를 상승시키는 전압을 출력한다.
따라서, 가변 전압원(280)은, 전위차(△V)의 증대에 따라 Vout를 실시간으로 상승시킨다.
이에 의해, 밝게 표시되어 있는 영역의 발광 화소(111)인, 유기 EL 표시부(110) 중심부의 발광 화소(111)의 전원 전압의 부족은 해소된다. 요컨대, 화소 휘도의 저하를 해소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200)는, 소비 전력 저감 효과를 얻기 위한 최소 구성으로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이 표시 장치(200)는, 신호 처리 회로(160)와, 가변 전압원(280)의 오차 증폭기(186), PWM 회로(182) 및 드라이브 회로(183)는, 출력 검출부(185)에서 측정된 모니터용 발광 화소(111M)의 고전위측의 전위와, 소정의 전위의 전위차를 검출하고, 검출한 전위차에 따라 스위칭 소자(SW)를 조정한다. 이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200)는, 실시 형태 2에 따른 표시 장치(100)와 비교하여, 전압 강하량에 따라 실시간으로 가변 전압원(280)의 출력 전압(Vout)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실시 형태 2와 비교하여, 화소 휘도의 일시적인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유기 EL 표시부(110)는 본 발명의 표시부에 상당하며, 도 15에서 일점 쇄선으로 둘러싸여 있는, 신호 처리 회로(160)와, 가변 전압원(280)의 오차 증폭기(186), PWM 회로(182) 및 드라이브 회로(183)는 본 발명의 전압 조정부에 상당한다. 도 15에서 2점 쇄선으로 둘러싸여 있는, 스위칭 소자(SW), 다이오드(D), 인덕터(L) 및 콘덴서(C)는 본 발명의 전원 공급부에 상당한다.
(실시 형태 4)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대해, 표시 장치가 소비 전력 저감 효과를 얻기 위한 구성으로서, 검출점을 복수점(M1~M5) 구비하며, 그들이 모니터용 배선(검출선)과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는, 실시 형태 2에 따른 표시 장치(100)와 거의 동일하지만, 2 이상의 발광 화소(111)의 각각에 대해 고전위측의 전위를 측정하고, 측정한 복수의 전위의 각각과 가변 전압원(180)의 출력 전압의 전위차를 검출하여, 그 검출 결과 중, 최대의 전위차에 따라, 가변 전압원(180)을 조정하는 점이 상이하다. 이에 의해, 가변 전압원(180)의 출력 전압(Vout)을 보다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유기 EL 표시부를 대형화한 경우에도, 소비 전력을 효과적으로 삭감할 수 있다. 이하, 이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7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300A)는, 도 10에 나타낸 실시 형태 2에 따른 표시 장치(100)와 거의 동일하지만, 표시 장치(100)와 비교하여 전위 비교 회로(370A)를 더 구비하고, 유기 EL 표시부(110)를 대신하여 유기 EL 표시부(310)를 구비하며, 모니터용 배선(190)을 대신하여 모니터용 배선(391~395)을 구비하는 점이 상이하다. 여기에서, 전위 비교 회로(370A)와, 전위차 검출 회로(170A)로 최대치 회로(370)를 구성한다.
유기 EL 표시부(310)는, 유기 EL 표시부(110)와 거의 동일하지만, 유기 EL 표시부(110)와 비교하여, 검출점(M1~M5)과 1대1로 대응하여 설치되며, 대응하는 검출점의 전위를 측정하기 위한 모니터용 배선(391~395)이 배치되어 있는 점이 상이하다.
검출점(M1~M5)은, 유기 EL 표시부(310) 내에 균등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유기 EL 표시부(310)의 중심과, 유기 EL 표시부(310)를 4분할한 각 영역의 중심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면에는, 5개의 검출점(M1~M5)이 도시되어 있지만, 검출점은 복수이면 되고, 2개여도, 3개여도 된다.
모니터용 배선(391~395)은, 각각, 대응하는 검출점(M1~M5)과, 전위 비교 회로(370A)에 접속되어, 대응하는 검출점(M1~M5)의 전위를 전달한다. 이에 의해, 전위 비교 회로(370A)는, 모니터용 배선(391~395)을 통해 검출점(M1~M5)의 전위를 측정할 수 있다.
전위 비교 회로(370A)는, 모니터용 배선(391~395)을 통해 검출점(M1~M5)의 전위를 측정한다. 환언하면, 복수의 모니터용 발광 화소(111M)에 인가되는 고전위측의 전위를 측정한다. 또한, 측정한 검출점(M1~M5)의 전위 중 최소의 전위를 선택하고, 선택한 전위를 전위차 검출 회로(170A)에 출력한다.
전위차 검출 회로(170A)는, 실시 형태 2와 동일하게 입력된 전위와 가변 전압원(180)의 출력 전압(Vout)의 전위차(△V)를 검출하고, 검출한 전위차(△V)를 신호 처리 회로(160)에 출력한다.
따라서, 신호 처리 회로(160)는 전위 비교 회로(370A)에서 선택된 전위에 의거하여 가변 전압원(180)을 조정한다. 그 결과, 가변 전압원(180)은, 복수의 모니터용 발광 화소(111M)의 어디에 있어서나 휘도의 저하가 발생하지 않는 출력 전압(Vout)을, 유기 EL 표시부(310)에 공급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300A)는, 전위 비교 회로(370A)가, 유기 EL 표시부(310) 내에 있어서의 복수의 발광 화소(111)의 각각에 대해, 인가되는 고전위측의 전위를 측정하고, 측정한 복수의 발광 화소(111)의 전위 중 최소의 전위를 선택한다. 그리고, 전위차 검출 회로(170A)가, 전위 비교 회로(370A)에서 선택된 최소의 전위와, 가변 전압원(180)의 출력 전압(Vout)의 전위차(△V)를 검출한다. 그리고, 신호 처리 회로(160)가 검출된 전위차(△V)에 따라 가변 전압원(180)을 조정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300A)에 있어서, 가변 전압원(180)은 본 발명의 전원 공급부에 상당하고, 유기 EL 표시부(310)는 본 발명의 표시부에 상당하며, 전위 비교 회로(370A)의 다른 부분, 전위차 검출 회로(170A) 및 신호 처리 회로(160)는 본 발명의 전압 조정부에 상당한다.
또, 표시 장치(300A)에서는 전위 비교 회로(370A)와 전위차 검출 회로(170A)를 별도로 설치하고 있었지만, 전위 비교 회로(370A)와 전위차 검출 회로(170A) 대신에, 가변 전압원(180)의 출력 전압(Vout)과 검출점(M1~M5)의 각각의 전위를 비교하는 전위 비교 회로를 구비해도 된다.
도 18은, 실시 형태 4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표시 장치(300B)는, 도 17에 나타낸 표시 장치(300A)와 거의 동일한 구성이지만, 최대치 회로(371)의 구성이 상이하다. 요컨대, 전위 비교 회로(370A)와 전위차 검출 회로(170A) 대신에, 전위 비교 회로(370B)를 구비하는 점이 상이하다.
전위 비교 회로(370B)는, 가변 전압원(180)의 출력 전압(Vout)과 검출점(M1~M5)의 각각의 전위를 비교함으로써, 검출점(M1~M5)에 대응하는 복수의 전위차를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한 전위차 중, 최대의 전위차를 선택하고, 상기 최대의 전위차인 전위차(△V)를 신호 처리 회로(160)에 출력한다.
신호 처리 회로(160)는, 표시 장치(300A)의 신호 처리 회로(160)와 동일하게, 가변 전압원(180)을 조정한다.
또한, 표시 장치(300B)에 있어서, 가변 전압원(180)은 본 발명의 전원 공급부에 상당하며, 유기 EL 표시부(310)는 본 발명의 표시부에 상당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300A 및 300B)는, 복수의 모니터용 발광 화소(111M)의 어디에 있어서나 휘도의 저하가 발생하지 않는 출력 전압(Vout)을 유기 EL 표시부(310)에 공급한다. 요컨대, 출력 전압(Vout)을 보다 적절한 값으로 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보다 저감하고, 또한, 발광 화소(111)의 휘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이하, 이 효과에 대해, 도 19a~도 20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9a는 유기 EL 표시부(310)에 표시되는 화상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9b는 도 19a에 나타낸 화상을 표시하고 있는 경우의 x-x'선에 있어서의 제1 전원 배선(112)의 전압 강하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또, 도 20a는 유기 EL 표시부(310)에 표시되는 화상의 다른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0b는 도 20a에 나타낸 화상을 표시하고 있는 경우의 x-x'선에 있어서의 제1 전원 배선(112)의 전압 강하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기 EL 표시부(310)의 모든 발광 화소(111)가 동일한 휘도로 발광하고 있는 경우, 제1 전원 배선(112)의 전압 강하량은 도 1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따라서, 화면 중심의 검출점(M1)의 전위를 조사하면, 전압 강하의 워스트 케이스를 알 수 있다. 따라서, 검출점(M1)의 전압 강하량(△V)에 대응하는 전압 강하 마진(Vdrop)을 VTFT+VEL에 가산함으로써, 유기 EL 표시부(310) 내의 모든 발광 화소(111)를 정확한 휘도로 발광시킬 수 있다.
한편, 도 2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면을 상하 방향으로 2등분할하고 또한 가로방향으로 2등분할한 영역, 요컨대 화면을 4분할한 영역의 중심부의 발광 화소(111)가 동일한 휘도로 발광하고 또한 다른 발광 화소(111)가 소광하고 있는 경우, 제1 전원 배선(112)의 전압 강하량은 도 2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따라서, 화면 중심의 검출점(M1)의 전위만을 측정하는 경우는, 검출한 전위에, 어떤 오프셋 전위를 가한 전압을, 전압 강하 마진으로서 설정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화면 중심의 전압 강하량(0.2V)에 대해, 항상 1.3V의 오프셋을 추가한 전압을, 전압 강하 마진(Vdrop)으로서 설정하도록 전압 마진 환산 테이블을 설정해 두면, 유기 EL 표시부(310) 내의 모든 발광 화소(111)를, 정확한 휘도로 발광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정확한 휘도로 발광한다는 것은, 발광 화소(111)의 구동 트랜지스터(125)가 포화 영역에서 동작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경우, 전압 강하 마진(Vdrop)으로서 항상 1.3V가 필요해지므로, 소비 전력 저감 효과가 작아져 버린다. 예를 들면, 실제의 전압 강하량이 0.1V인 화상의 경우에도, 전압 강하 마진으로서 0.1+1.3=1.4V 갖게 되므로, 그 값만큼 출력 전압(Vout)이 높아지며, 소비 전력의 저감 효과가 작아진다.
그래서, 화면 중심의 검출점(M1)뿐만 아니라, 도 2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면을 4분할하고, 그 각각의 중심과, 화면 전체의 중심의 5개소의 검출점(M1~M5)의 전위를 측정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전압 강하량을 검출하는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추가의 오프셋량을 적게 하여, 소비 전력 저감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0a 및 도 20b에 있어서, 검출점(M2~M5)의 전위가 1.3V인 경우, 0.2V의 오프셋을 추가한 전압을 전압 강하 마진으로서 설정하도록 하면, 유기 EL 표시부(310) 내의 전체 발광 화소(111)를 정확한 휘도로 발광시킬 수 있다.
이 경우는, 실제의 전압 강하량이 0.1V인 화상의 경우에도, 전압 강하 마진(Vdrop)으로서 설정되는 값은 0.1+0.2=0.3V이므로, 화면 중심의 검출점(M1)의 전위만을 측정한 경우에 비해 1.1V의 전원 전압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표시 장치(300A 및 300B)는, 표시 장치(100 및 200)와 비교하여, 검출점이 많고, 측정한 복수의 전압 강하량의 최대치에 따라 출력 전압(Vout)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유기 EL 표시부(310)를 대형화한 경우여도, 소비 전력을 효과적으로 삭감할 수 있다.
(실시 형태 5)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실시 형태 4와는 다른 예, 즉 표시 장치가 소비 전력 저감 효과를 얻기 위한 구성으로서, 검출점을 복수점(M1~M5) 구비하며, 그들이 모니터용 배선(검출선)과 접속되어 있는 경우의 다른 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는, 실시 형태 4에 따른 표시 장치(300A 및 300B)와 동일하게, 2 이상의 발광 화소(111)의 각각에 대해 고전위측의 전위를 측정하고, 측정한 복수의 전위의 각각과 가변 전압원의 출력 전압의 전위차를 검출한다. 그리고, 그 검출 결과 중, 최대의 전위차에 따라, 가변 전압원의 출력 전압이 변화하도록, 가변 전압원을 조정한다. 단,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장치(300A 및 300B)와 비교하여, 전위 비교 회로에서 선택된 전위가 신호 처리 회로가 아니라, 가변 전압원에 입력되어 있는 점이 상이하다.
이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전압 강하량에 따라 실시간으로 가변 전압원의 출력 전압(Vout)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실시 형태 4에 따른 표시 장치(300A 및 300B)와 비교하여 화소 휘도의 일시적인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이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표시 장치(400)는, 실시 형태 4에 따른 표시 장치(300A)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갖지만, 가변 전압원(180)을 대신하여 가변 전압원(280)을 구비하고, 신호 처리 회로(160)를 대신하여 신호 처리 회로(260)를 구비하고, 전위차 검출 회로(170A)를 구비하지 않으며, 전위 비교 회로(370A)로 이루어지는 최대치 검출 회로(32)를 구비하고, 그 전위 비교 회로(370A)에서 선택된 전위가 가변 전압원(280)에 입력되는 점이 상이하다.
이에 의해, 가변 전압원(280)은, 전위 비교 회로(370A)에서 선택된 가장 낮은 전압에 따라 출력 전압(Vout)을 실시간으로 상승시킨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400)는, 표시 장치(300A 및 300B)와 비교하여, 화소 휘도의 일시적인 저하를 해소할 수 있다.
이상, 실시 형태 1~5의 표시 장치에 의하면, 전원 공급부로부터 적어도 1개의 발광 화소까지 발생하는 전압 강하량에 따라, 전원 공급부의 고전위측의 출력 전위 및 전원 공급부의 저전위측의 출력 전위 중 적어도 한쪽을 조정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삭감할 수 있다. 요컨대, 실시 형태 1~5에 의하면, 소비 전력 저감 효과가 높은 표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소비 전력 저감 효과가 높은 표시 장치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1~5에 대해, 본 발명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당업자가 생각해낸 각종 변형을 실시하여 얻어지는 변형예나,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내장한 각종 기기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유기 EL 표시부 내의 모니터용 배선이 배치되어 있는 발광 화소의 발광 휘도의 저하를 보상해도 된다.
도 22는, 영상 데이터의 계조에 대응하는, 통상의 발광 화소의 발광 휘도 및 모니터용 배선을 갖는 발광 화소의 발광 휘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또한, 통상의 발광 화소란, 유기 EL 표시부의 발광 화소 중 모니터용 배선이 배치되어 있는 발광 화소 이외의 발광 화소를 말한다.
상기 도면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영상 데이터의 계조가 동일한 경우, 모니터용 배선을 갖는 발광 화소의 휘도는, 통상의 발광 화소의 휘도보다 저하한다. 이것은, 모니터용 배선을 설치함으로써, 발광 화소의 유지 용량(126)의 용량치가 감소해 버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기 EL 표시부의 전면을 균일하게 동일한 휘도로 발광시키는 영상 데이터가 입력되어도, 실제로 유기 EL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상은, 모니터용 배선을 갖는 발광 화소의 휘도가 다른 발광 화소의 휘도보다 낮아지는 화상이 된다. 요컨대, 선 결함이 발생한다. 도 23은, 선 결함이 발생하고 있는 화상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는, 예를 들면, 표시 장치(300A)에서 선 결함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의 유기 EL 표시부(310)에 표시되는 화상이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선 결함을 방지하기 위해, 표시 장치는, 데이터선 구동 회로(120)로부터 유기 EL 표시부에 공급하는 신호 전압을 보정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모니터용 배선을 갖는 발광 화소의 위치는 설계 시에 알고 있으므로, 해당하는 장소의 화소에 부여하는 신호 전압을, 미리 휘도가 저하하는 양만큼 높게 설정해 두면 된다. 이에 의해, 모니터용 배선을 설치함에 따른 선 결함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신호 처리 회로(160 및 260)는, 각 색의 계조에 대응하는 VTFT+VEL의 필요 전압을 나타내는 필요 전압 환산 테이블을 갖는 것으로 하였지만, 필요 전압 환산 테이블을 대신하여 구동 트랜지스터(125)의 전류-전압 특성과 유기 EL 소자(121)의 전류-전압 특성을 가지며, 2개의 전류-전압 특성을 이용하여 VTFT+VEL을 결정해도 된다.
도 24는, 구동 트랜지스터의 전류-전압 특성과 유기 EL 소자의 전류-전압 특성을 함께 나타낸 그래프이다. 가로축은, 구동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위에 대해 내려가는 방향을 정방향으로 하고 있다.
상기 도면에는, 2개의 상이한 계조에 대응하는 구동 트랜지스터의 전류-전압 특성 및 유기 EL 소자의 전류-전압 특성이 나타내어지며, 낮은 계조에 대응하는 구동 트랜지스터의 전류-전압 특성이 Vsig1, 높은 계조에 대응하는 구동 트랜지스터의 전류-전압 특성이 Vsig2로 나타내어져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소스 전압의 변동에 기인하는 표시 불량의 영향을 없애기 위해서는, 구동 트랜지스터를 포화 영역에서 동작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유기 EL 소자의 발광 휘도는 구동 전류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영상 데이터의 계조에 대응하여 유기 EL 소자를 정확하게 발광시키기 위해서는, 구동 트랜지스터의 소스와 유기 EL 소자의 캐소드 사이의 전압으로부터 유기 EL 소자의 구동 전류에 대응하는 유기 EL 소자의 구동 전압(VEL)을 빼고, 뺀 나머지의 전압이 구동 트랜지스터를 포화 영역에서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한 전압으로 되어 있으면 된다. 또, 소비 전력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구동 트랜지스터의 구동 전압(VTFT)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24에 있어서, 구동 트랜지스터의 선형 영역과 포화 영역의 경계를 나타내는 선상에서 구동 트랜지스터의 전류-전압 특성과 유기 EL 소자의 전류-전압 특성이 교차하는 점을 통과하는 특성에 의해 구해지는 VTFT+VEL이, 영상 데이터의 계조에 대응하여 유기 EL 소자를 정확하게 발광시키고, 또한, 소비 전력을 가장 저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24에 나타낸 그래프를 이용하여, 각 색의 계조에 대응하는 VTFT+VEL의 필요 전압을 환산해도 된다.
또,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가변 전압원은 제1 전원 배선(112)에 고전위측의 출력 전압(Vout)을 공급하고, 제2 전원 배선(113)은 유기 EL 표시부의 주연부에 있어서, 접지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지만, 가변 전압원은 제2 전원 배선(113)에 저전위측의 출력 전압을 공급해도 된다.
또, 표시 장치는, 일단이 모니터용 발광 화소(111M)에 접속되고, 타단이 각 실시 형태에 따른 전압 측정부에 접속되며, 모니터용 발광 화소(111M)에 인가되는 저전위측의 전위를 전달하기 위한 저전위 모니터선을 구비해도 된다.
또,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압 측정부는, 모니터용 발광 화소(111M)에 인가되는 고전위측의 전위, 및, 모니터용 발광 화소(111M)에 인가되는 저전위측의 전위 중 적어도 한쪽의 전위를 측정하고, 전압 조정부는, 모니터용 발광 화소(111M)의 고전위측의 전위와 모니터용 발광 화소(111M)의 저전위측의 전위의 전위차를 소정의 전위차로 하도록, 측정된 전위에 따라 전원 공급부를 조정해도 된다.
이에 의해, 소비 전력을 한층 삭감할 수 있다. 왜냐하면, 제2 전원 배선(113)이 갖는 공통 전극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유기 EL 소자(121)의 캐소드 전극은, 시트 저항이 높은 투명 전극(예를 들면, ITO)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제1 전원 배선(112)의 전압 강하량보다 제2 전원 배선(113)의 전압 강하량이 크다. 따라서, 모니터용 발광 화소(111M)에 인가되는 저전위측의 전위에 따라 조정함으로써, 전원 공급부의 출력 전위를 보다 적절히 조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실시 형태 3 및 5에 있어서, 전압 조정부는, 전압 측정부에서 측정된 모니터용 발광 화소(111M)의 저전위측의 전위와, 소정의 전위의 전위차를 검출하고, 검출한 전위차에 따라 전원 공급부를 조정해도 된다.
또, 실시 형태 2 및 4에 있어서, 신호 처리 회로(160)는, 프레임마다 제1 기준 전압(Vref1)을 바꾸지 않고, 복수 프레임(예를 들면, 3 프레임)마다 제1 기준 전압(Vref1)을 바꾸어도 된다.
이에 의해, 제1 기준 전압(Vref1)의 전위가 변동됨으로써 가변 전압원(180)에서 발생하는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신호 처리 회로(160)는 복수 프레임에 걸쳐 전위차 검출 회로(170A) 또는 전위 비교 회로(370B)로부터 출력된 전위차를 측정하고, 측정한 전위차를 평균화하여, 평균화한 전위차에 따라 가변 전압원(180)을 조정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2에 나타낸 흐름도에 있어서 검출점의 전위의 검출 처리(단계 S14) 및 전위차의 검출 처리(단계 S15)를 복수 프레임에 걸쳐 실행하고, 전압 마진의 결정 처리(단계 S16)에 있어서, 전위차의 검출 처리(단계 S15)에서 검출된 복수 프레임의 전위차를 평균화하여, 평균화한 전위차에 대응해서 전압 마진을 결정해도 된다.
또, 신호 처리 회로(160 및 260)는, 유기 EL 소자(121)의 경년 열화 마진을 고려하여, 제1 기준 전압(Vref1) 및 제2 기준 전압(Vref2)을 결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유기 EL 소자(121)의 경년 열화 마진을 Vad로 하면, 신호 처리 회로(160)는 제1 기준 전압(Vref1)의 전압을 VTFT+VEL+Vdrop+Vad로 해도 되고, 신호 처리 회로(260)는 제2 기준 전압(Vref2)의 전압을 VTFT+VEL+Vad로 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스위치 트랜지스터(124) 및 구동 트랜지스터(125)를 P형 트랜지스터로서 기재하였지만, 이들을 N형 트랜지스터로 구성해도 된다.
또, 스위치 트랜지스터(124) 및 구동 트랜지스터(125)는, TFT인 것으로 하였지만, 그 외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여도 된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50, 100, 200, 300A, 300B 및 400)에 포함되는 처리부는, 전형적으로는 집적 회로인 LSI로서 실현된다. 또한, 표시 장치(50, 100, 200, 300A, 300B 및 400)에 포함되는 처리부의 일부를, 유기 EL 표시부(110 및 310)와 동일한 기판 상에 집적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전용 회로 또는 범용 프로세서로 실현해도 된다. 또, LSI 제조 후에 프로그램하는 것이 가능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LSI 내부의 회로 셀의 접속이나 설정을 재구성 가능한 리컨피규러블·프로세서를 이용해도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50, 100, 200, 300A, 300B 및 400)에 포함되는 데이터선 구동 회로, 기록 주사 구동 회로, 제어 회로, 피크 신호 검출 회로, 신호 처리 회로 및 전위차 검출 회로의 기능의 일부를, CPU 등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해도 된다. 또, 표시 장치(50, 100, 200, 300A, 300B 및 400)가 구비하는 각 처리부에 의해 실현되는 특징적인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으로서 실현해도 된다.
(실시 형태 6)
실시 형태 1~5에서는, 표시 장치가 소비 전력 저감 효과를 얻기 위한 구성, 즉 소비 전력을 저감하기 위해 1개 내지 복수개의 검출선(모니터용 배선)을 이용하여 발광 화소의 전원 전압을 모니터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실시 형태 6에서는, 표시 장치가 소비 전력 저감 효과를 최대한 얻기 위한 구성으로서, 표시부가 설치된 패널 상에 중계부를 설치함으로써, 검출선(모니터용 배선)을 패널 외부로 인출하는 인출선(출력선이라고도 한다)의 수를 삭감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 형태 1~5에 따른 표시 장치는, 환원하면, 소비 전력을 저감하기 위해 검출선을 이용하여 발광 화소의 전원 전압을 모니터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발광 화소의 전원 전압의 검출 정밀도는, 검출점이 많으면 많을수록 높일 수 있다.
도 25는, 실시 형태 1~5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5에 나타낸 표시 장치(500)는, 유기 EL 표시부(510)와, 데이터선 구동 회로(120)와, 기록 주사 구동 회로(130)와, 제어 회로(140)와, 피크 신호 검출 회로(150)와, 신호 처리 회로(260)와, 최대치 검출 회로(570)와, 가변 전압원(580)을 구비한다. 도 1, 도 10, 도 14, 도 17, 도 18 및 도 21과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으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유기 EL 표시부(510)는, 유기 EL 표시부(110)와 거의 동일하지만, 유기 EL 표시부(110)와 비교하여, 검출점이 1점이 아니라, 다수점의 예의 24점(M11~M38)인 점이 상이하다. 또, 검출점(M11~M38)으로부터는 검출선(모니터용 배선)이 최대치 검출 회로(570)에 인출되어 있다.
이들 검출선은, 유기 EL 표시부(510) 내에 있어서의 적어도 2개 이상의 발광 화소 각각에 일단이 접속되고, 2개 이상의 발광 화소 각각에 인가되는 고전위측의 전위 또는 저전위측의 전위를 최대치 검출 회로(570)에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배선이다.
최대치 검출 회로(570)는, 복수의 검출선에 전달되는 2개 이상의 발광 화소에 인가되는 인가 전위 중, 발광 화소에 인가되는 고전위측의 전위에서 최소의 전위, 및, 저전위측의 전위에서 최대의 전위 중 적어도 한쪽의 전위를 검출하여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전위를 가변 전압원(580)에 출력한다.
피크 신호 검출 회로(1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500)에 입력된 영상 데이터의 피크치를 검출하고, 검출한 피크치를 나타내는 피크 신호를 신호 처리 회로(260)에 출력한다.
신호 처리 회로(2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피크 신호 검출 회로(150)로부터 출력된 피크 신호와, 최대치 검출 회로(570)에서 검출된 최대 전위차(△V)로부터, 모니터용 발광 화소(검출점 M11~검출점 M38)의 전위를 소정의 전위로 하도록 가변 전압원(580)을 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신호 처리 회로(260)는, 피크 신호 검출 회로(150)로부터 출력된 피크 신호로 발광 화소(111)를 발광시킨 경우에, 유기 EL 소자(121)와 구동 트랜지스터(125)에 필요한 전압을 결정한다.
가변 전압원(580)은, 조정부(581)와 전원 공급부(582)를 구비하며, 고전위측의 전위 및 저전위측의 전위 중 적어도 한쪽의 전위를 유기 EL 표시부(510)에 출력한다.
전원 공급부(582)는, 고전위측 및 저전위측 중 적어도 한쪽의 전위를 예를 들면 제1 전원 배선(112)을 통해 유기 EL 표시부(510)에 출력한다.
조정부(581)는, 고전위측의 전위와 기준 전위의 전위차, 저전위측의 전위와 기준 전위의 전위차, 또는, 고전위측의 전위와 저전위측의 전위의 전위차 중, 어느 하나가 소정의 전위차가 되도록, 전원 공급부(582)로부터 출력되는 고전위측 및 저전위측의 출력 전위 중 적어도 한쪽을 조정한다.
이상과 같이, 표시 장치(500)는 구성되며, 표시 장치(500)는, 유기 EL 표시부(510) 내부(패널 내부)의 전압을 모니터하여, 전압 강하량을 검출함으로써, 소비 전력 삭감을 위해, 외부 전원 전압을 영상에 따라 변화시킨다.
또, 표시 장치(50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출점(모니터점)을 많이 구비함으로써 검출 정밀도를 올릴 수 있으므로, 소비 전력 삭감 효과도 높아진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그러나, 표시 장치(500)와 같이, 소비 전력을 저감하기 위해 다수의 검출선을 이용하여 발광 화소의 전원 전압을 모니터하는 구성에서는, 검출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검출선의 개수를 증대시키면, 검출선을 패널 외부로 인출하는 인출선(출력선)의 개수도 증대되어 버려, 패널과 패널 외부 기판의 접속부의 구조가 복잡화된다는 문제가 발생해 버린다. 또, 인출하는 인출선(출력선)이 많아지는 것은, 실장 공정, 회로 형성 공정에 드는 비용이 증대한다는 문제도 있다.
그래서, 표시 장치가 소비 전력 저감 효과를 최대한 얻기 위한 구성으로서, 표시부가 설치된 패널 상에 중계부를 설치함으로써, 검출선(모니터선)을 패널 외부로 인출하는 인출선의 수를 삭감(출력선)하는 표시 장치가 바람직하다. 이하, 이 바람직한 예를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로서 도면을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6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또한, 도 25와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으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6에 나타낸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600)는, 도 25에 나타낸 표시 장치(500)와 비교하여, 중계부(690)를 구비하는 점에서 구성이 상이하다.
최대치 검출 회로(570)는, 본 발명의 검출 회로에 상당하며, 중계부(690)에 의해 출력된 복수의 검출선에 전달되는 2개 이상의 발광 화소에 인가되는 인가 전위 중, 발광 화소에 인가되는 고전위측의 전위에서 최소의 전위, 및, 저전위측의 전위에서 최대의 전위 중 적어도 한쪽의 전위를 검출하여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전위를 가변 전압원(580)(구체적으로는, 조정부(581))에 출력한다.
중계부(690)는, 본 발명의 중계부에 상당하며, 복수의 검출선의 타단에 접속되고, 복수의 검출선의 수보다 적은 수의 출력선의 일단에 접속되며, 복수의 검출선에 전달되는 2개 이상의 상기 고전위측의 전위 중 적어도 1개의 인가 전위를, 또는, 전달되는 2개 이상의 상기 저전위측의 전위 중 적어도 1개의 인가 전위를, 출력선에 출력한다. 또, 중계부(690)는, 유기 EL 표시부(610)와 동일한 기판 상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중계부(690)는, 유기 EL 표시부(610)와 동일한 기판 상에 설치되며, 검출점(M11~M38)의 전위가 입력되는 검출선과 접속되고, 최대치 검출 회로(570)에 소정의 전위를 출력하는 출력선으로서 검출선의 수보다 적은 수의 출력선과 접속되어 있다. 중계부(690)는, 검출선으로부터 입력되는 2개 이상의 고전위측의 전위 중 적어도 1개의 인가 전위, 및, 검출선으로부터 입력되는 2개 이상의 저전위측의 전위 중 적어도 1개의 인가 전위를 출력선을 통해 조정부(581)에 출력한다.
조정부(581)는, 중계부(690)와 출력선을 통해 접속되며, 중계부(690)로부터 출력된 고전위측의 전위와 기준 전위의 전위차, 저전위측의 전위와 기준 전위의 전위차, 또는, 고전위측의 전위와 저전위측의 전위의 전위차 중, 어느 하나가 소정의 전위차가 되도록, 전원 공급부(582)로부터 출력되는 고전위측 및 저전위측의 출력 전위 중 적어도 한쪽을 조정한다.
이상과 같이, 표시 장치(600)는 구성된다. 요컨대,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600)에서는, 유기 EL 표시부(610)가 설치된 패널 상에 중계부(690)를 설치함으로써, 검출선에 전달하는 전위를 패널 외부로 인출하는 인출선(출력선)의 수를 삭감하여 최대치 검출 회로(570)에 출력한다. 이 구성에 의해, 패널과 패널 외부 기판의 접속부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그에 의해, 배선에 의한 비용을 저감하고, 소비 전력 저감 효과를 최대화시킨 표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27은, 실시 형태 6에 따른 중계부(690)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28은, 실시 형태 6에 따른 중계부(690)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중계부(690)는, 예를 들면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T6901)~트랜지스터(T6914)와, NOT 회로인 논리 회로(6915)~논리 회로(6917)을 구비하는 멀티플렉서로 구성되어 있다.
논리 회로(6915)는, 예를 들면 트랜지스터(T6901)~트랜지스터(T6904)의 게이트에 인가되는 전압이 입력되며, 입력과 반전된 출력에 대응하는 전압을 트랜지스터(T6905)~트랜지스터(T6908)의 게이트에 인가한다. 동일하게, 논리 회로(6916)는, 트랜지스터(T6909) 및 트랜지스터(T6910)의 게이트에 인가되는 전압이 입력되며, 입력과 반전된 출력에 대응하는 전압을 트랜지스터(T6911)~트랜지스터(T6912)의 게이트에 인가한다. 또, 논리 회로(6917)는, 트랜지스터(T6913)의 게이트에 인가되는 전압이 입력되며, 입력과 반전된 출력에 대응하는 전압을 트랜지스터(T6914)의 게이트에 인가한다.
중계부(690)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멀티플렉서를 이용하여, 예를 들면 검출점(M11)~검출점(M18)의 8개의 검출점에서 검출되며, 대응하는 8개의 검출선에 전달된 전위를 패널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1개의 출력선에 시분할로 중계한다. 요컨대, 중계부(690)는, 3비트의 선택 신호로, 검출선 8개를 전달하는 신호를, 시분할하여 출력선 1개로 전달할 수 있다.
환언하면, 중계부(690)는,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8입력 1출력 시분할 다중 회로(6918)~8입력 1출력 시분할 다중 회로(6920)를 구비함으로써, 중계부(690)는, 3비트의 선택 신호로, 검출점(M11)~검출점(M38)에 대응하는 32개의 검출선에 전달하는 신호를, 시분할하여 3개의 출력선으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에서, 8입력 1출력 시분할 다중 회로(6918)~8입력 1출력 시분할 다중 회로(6920)는 각각, 도 27에 나타낸 회로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중계부(690)는, 동일하게, 4비트의 선택 신호를 이용한 시분할 다중 회로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면, 64개의 검출선에 전달하는 신호를, 시분할하여 4개의 출력선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중계부(690)는, 검출선에 전달되는 상기 2개 이상의 발광 화소에 인가되는 인가 전위를, 시분할하여 상기 출력선에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그리고, 조정부(581)는, 중계부(690)로부터 출력된 2개 이상의 발광 화소에 인가되는 인가 전위 중, 고전위측의 전위에서의 최소의 전위와 기준 전위의 전위차, 및, 저전위측의 전위에서의 최대의 전위와 기준 전위의 전위차 중 적어도 한쪽이 소정의 전위차가 되도록, 전원 공급부(582)로부터 출력되는 고전위측 및 저전위측의 출력 전위 중 적어도 한쪽을 조정한다.
도 29a 및 도 29b는, 최대치 검출 회로(570)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29a 및 도 29b에 나타낸 회로 구성은, 기존의 알려진 것이며, 설명을 요하지 않으므로, 여기에서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최대치 검출 회로를 구성하는 회로는, 도 29a 및 도 29b에 나타낸 회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최대치 검출 회로가 최대치 검출과 최소치 검출 회로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하, 그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0은, 실시 형태 6에 따른 최대치 검출 회로(770)가 최대치 검출 회로(7701)와 최소치 검출 회로(7702)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의 표시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기 EL 표시부(710)는, 중계부(690A) 및 중계부(690B)를 구비하며, 중계부(690A)의 출력선이 최대치 검출 회로(770)를 구성하는 최소치 검출 회로(7701)에 접속되고, 중계부(690B)의 출력선이 최대치 검출 회로(770)를 구성하는 최대치 검출 회로(7702)에 접속되어 있다.
조정부(781)는, 최대치 검출 회로(7702)에서 검출된 고전위측의 전위와 기준 전위의 전위차, 최소치 검출 회로(7701)에서 검출된 저전위측의 전위와 기준 전위의 전위차, 또는, 최대치 검출 회로(7702)에서 검출된 고전위측의 전위와 최소치 검출 회로(7701)에서 검출된 저전위측의 전위의 전위차 중, 어느 하나가 소정의 전위차가 되도록, 전원 공급부(582)로부터 출력되는 고전위측 및 저전위측의 출력 전위 중 적어도 한쪽을 조정한다. 조정부(781)는, 조정한 출력 전위를, 제1 전원 배선(112) 및 제2 전원 배선(113)을 통해, 유기 EL 표시부(710)에 공급한다.
또한, 중계부(690)는, 중계부(690A)와 중계부(690B)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지만, 그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중계부(690)는 1개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그 경우에는, 중계부(690)의 출력선이 2개로 분기되어, 최소치 검출 회로(7701)와 최대치 검출 회로(7702)에 입력되는 것으로 하면 된다.
여기에서, 도 31a 및 도 31b, 및, 도 32a 및 도 32b는, 실시 형태 6에 따른 최대치 검출 회로(570)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또한, 도 27A 및 도 28A에 나타낸 최대치 검출 회로(770)를 구성하는 회로예는, 기존의 알려진 것이며, 설명을 요하지 않으므로, 여기에서의 설명을 생략한다. 동일하게, 도 31b 및 도 32b에 나타낸 최소치 검출 회로(7701)를 구성하는 회로예는, 기존의 알려진 것이며, 설명을 요하지 않으므로, 여기에서의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유기 EL 표시부가 설치된 패널 상에 중계부를 설치함으로써, 검출선을 패널 외부로 인출하는 인출선의 수를 삭감한다. 이 구성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는, 패널과 패널 외부 기판의 접속부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그에 의해, 배선에 의한 비용을 저감하여, 소비 전력 삭감 효과를 최대화시킨 표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유기 EL 표시부의 외부(패널 외부)에 최대치 검출 회로를 설치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그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중계부 내부에 최대치 검출 회로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도 33은, 실시 형태 6에 따른 중계부 내부에 최대치 검출 회로가 설치된 경우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는, 중계부(890)는, 출력선과 접속되는 검출 회로를 내부에 구비하며, 검출 회로는, 복수의 검출선에 전달되는 2개 이상의 발광 화소에 인가되는 인가 전위 중, 고전위측의 전위에서 최소의 전위, 및, 저전위측의 전위에서 최대의 전위 중 적어도 한쪽의 전위를 검출하여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전위를 출력선에 출력한다.
이와 같이, 검출선(모니터선)을 전달하는 인가 전압의 최대치 또는 최소치를 구하는 회로를 유기 EL 표시부의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배선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그에 의해, 배선에 의한 비용을 저감하여, 소비 전력 삭감 효과를 최대화시킨 표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상, 본 발명의 표시 장치 및 구동 방법에 대해, 실시 형태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당업자가 생각해낸 각종 변형을 본 실시 형태에 실시한 것이나,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를 조합하여 구축되는 형태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표시 장치(50, 100, 200, 300A, 300B, 400, 500 및 600)가 액티브 매트릭스형의 유기 EL 표시 장치인 경우를 예로 서술하였만, 그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를, 액티브 매트릭스형 이외의 유기 EL 표시 장치에 적용해도 되고, 전류 구동형의 발광 소자를 이용한 유기 EL 표시 장치 이외의 표시 장치, 예를 들면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해도 된다.
또,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도 34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박형 플랫 TV에 내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가 내장됨으로써, 영상 신호를 반영한 고정밀한 화상 표시가 가능한 박형 플랫 TV가 실현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특히 액티브형의 유기 EL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에 유용하다.
50, 100, 200, 300A, 300B, 400, 500, 600: 표시 장치
110, 310, 510, 610, 710: 유기 EL 표시부
111: 발광 화소
111M: 모니터용 발광 화소
112: 제1 전원 배선
113: 제2 전원 배선
120: 데이터선 구동 회로
121: 유기 EL 소자
122: 데이터선
123: 주사선
124: 스위치 트랜지스터
125: 구동 트랜지스터
126: 유지 용량
130: 기록 주사 구동 회로
140: 제어 회로
150: 피크 신호 검출 회로
160, 165, 260: 신호 처리 회로
170, 371, 372: 최대치 검출 회로
170A: 전위차 검출 회로
175: 전압 마진 설정부
180, 280, 580: 가변 전압원
181, 281: 비교 회로
182: PWM 회로
183: 드라이브 회로
184: 출력 단자
185: 출력 검출부
186: 오차 증폭기
190, 290, 391, 392, 393, 394, 395: 모니터용 배선
370A, 370B: 전위 비교 회로
581, 781: 조정부
582: 전원 공급부
690: 중계부
6915, 6916, 6917: 논리 회로
6918, 6919, 6920: 8입력 1출력 시분할 다중 회로
M1, M2, M3, M4, M5, M11, M18, M21, M28, M31, M38: 검출점
T6901, T6902, T6903, T6904, T6905, T6906, T6907, T6908, T6909, T6910, T6911, T6912, T6913, T6914: 트랜지스터

Claims (10)

  1. 고전위측 및 저전위측 중 적어도 한쪽의 전위를 출력하는 전원 공급부와,
    복수의 발광 화소가 배치되며,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 공급을 받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 내에 있어서의 적어도 2개 이상의 발광 화소의 각각에 일단이 접속되고, 상기 2개 이상의 발광 화소 각각에 인가되는 고전위측의 전위 또는 저전위측의 전위를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검출선과,
    상기 복수의 검출선의 타단에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검출선의 수보다 적은 수의 출력선의 일단에 접속되며, 상기 복수의 검출선에 전달되는 2개 이상의 상기 고전위측의 전위 중 적어도 1개의 인가 전위, 또는, 전달되는 2개 이상의 상기 저전위측의 전위 중 적어도 1개의 인가 전위를, 상기 출력선에 출력하는 중계부와,
    상기 중계부와 출력선을 통해 접속되며, 상기 중계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고전위측의 전위와 기준 전위의 전위차, 상기 저전위측의 전위와 기준 전위의 전위차, 또는, 상기 고전위측의 전위와 상기 저전위측의 전위의 전위차 중, 어느 하나가 소정의 전위차가 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고전위측 및 저전위측의 출력 전위 중 적어도 한쪽을 조정하는 조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와, 상기 중계부는, 동일한 기판 상에 설치되어 있는, 표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출력선의 타단에 접속되며, 상기 조정부와 접속되는 검출 회로를 더 구비하고,
    상기 검출 회로는, 상기 중계부에 의해 출력된 상기 복수의 검출선에 전달되는 상기 2개 이상의 발광 화소에 인가되는 인가 전위 중, 고전위측의 전위에서 최소의 전위, 및, 저전위측의 전위에서 최대의 전위 중 적어도 한쪽의 전위를 검출하여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전위를 상기 조정부에 출력하는, 표시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계부는, 상기 출력선과 접속되는 검출 회로를 내부에 구비하고,
    상기 검출 회로는, 상기 복수의 검출선에 전달되는 상기 2개 이상의 발광 화소에 인가되는 인가 전위 중, 고전위측의 전위에서 최소의 전위, 및, 저전위측의 전위에서 최대의 전위 중 적어도 한쪽의 전위를 검출하여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전위를 상기 출력선에 출력하는, 표시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계부는, 상기 검출선에 전달되는 상기 2개 이상의 발광 화소에 인가되는 인가 전위를, 시분할하여 상기 출력선에 순차적으로 출력하고,
    상기 조정부는, 상기 중계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2개 이상의 발광 화소에 인가되는 인가 전위 중, 상기 고전위측의 전위에서 최소의 전위와 기준 전위의 전위차, 및, 상기 저전위측의 전위에서 최대의 전위와 기준 전위의 전위차 중 적어도 한쪽이 소정의 전위차가 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고전위측 및 저전위측의 출력 전위 중 적어도 한쪽을 조정하는, 표시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계부는, 아날로그 데이터로서 입력되는 상기 2개 이상의 발광 화소에 인가되는 인가 전위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표시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 화소는, 각각, 구동 소자와 발광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소자는,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구비하며,
    상기 발광 소자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전극이 상기 구동 소자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의 한쪽에 접속되며, 상기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의 다른 쪽과 상기 제2 전극 중 한쪽에 고전위측의 전위가 인가되고, 상기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의 다른 쪽과 상기 제2 전극 중 다른 쪽에 저전위측의 전위가 인가되는, 표시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복수의 발광 화소에 공통적으로 설치된 공통 전극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공통 전극은, 그 주연부로부터 전위가 인가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적어도 1개의 발광 화소는, 상기 표시부의 중앙 부근에 배치되어 있는, 표시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은,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투명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가, 유기 EL 소자인, 표시 장치.
  10. 고전위측 및 저전위측 중 적어도 한쪽의 전위를 출력하는 전원 공급부와, 복수의 발광 화소가 배치되며,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 공급을 받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 내에 있어서의 적어도 2개 이상의 발광 화소의 각각에 일단이 접속되고, 상기 2개 이상의 발광 화소 각각에 인가되는 고전위측의 전위 또는 저전위측의 전위를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검출선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검출선에 전달되는 상기 고전위측의 전위 중 적어도 1개의 인가 전위, 또는, 상기 저전위측의 전위 중 적어도 1개의 인가 전위를, 상기 복수의 검출선의 수보다 적은 수의 출력선에 출력하는 중계 단계와,
    상기 중계 단계에서 출력된 상기 고전위측의 전위와 기준 전위의 전위차, 상기 저전위측의 전위와 기준 전위의 전위차, 또는, 상기 고전위측의 전위와 상기 저전위측의 전위의 전위차 중, 어느 하나가 소정의 전위차가 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고전위측 및 저전위측의 출력 전위 중 적어도 한쪽을 조정하는 조정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127012245A 2011-06-23 2011-06-23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8237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03609 WO2012176241A1 (ja) 2011-06-23 2011-06-23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6225A true KR20140026225A (ko) 2014-03-05
KR101823701B1 KR101823701B1 (ko) 2018-01-30

Family

ID=47361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2245A KR101823701B1 (ko) 2011-06-23 2011-06-23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275572B2 (ko)
JP (1) JP5752113B2 (ko)
KR (1) KR101823701B1 (ko)
CN (1) CN102959610B (ko)
WO (1) WO201217624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8767A (ko) * 2014-12-24 2016-07-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3708B1 (ko) 2011-06-16 2018-01-30 가부시키가이샤 제이올레드 표시 장치
JP5752113B2 (ja) 2011-06-23 2015-07-22 株式会社Joled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101836543B1 (ko) 2011-07-12 2018-03-08 가부시키가이샤 제이올레드 표시 장치
CN104036721B (zh) * 2014-05-15 2017-01-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管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US10650737B2 (en) 2015-09-25 2020-05-12 Apple Inc. Hybrid micro-driver architectures having time multiplexing for driving displays
JP6894601B2 (ja) * 2017-10-17 2021-06-30 株式会社Joled 表示パネル及び表示装置
CN110517627B (zh) * 2019-08-14 2021-09-24 深圳市奥拓电子股份有限公司 Led显示系统、供电控制方法和存储介质
CN111243540A (zh) * 2020-02-21 2020-06-05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的驱动方法、其驱动电路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825402T2 (de) 1997-03-12 2005-08-04 Seiko Epson Corp. Pixelschaltung, anzeigevorrichtung und elektronische apparatur mit stromgesteuerter lichtemittierender vorrichtung
JP3305283B2 (ja) * 1998-05-01 2002-07-2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前記装置の制御方法
TW554638B (en) 2000-05-12 2003-09-21 Semiconductor Energy Lab Light emitting device
JP3995504B2 (ja) * 2002-03-22 2007-10-24 三洋電機株式会社 有機elディスプレイ装置
JP3687648B2 (ja) 2002-12-05 2005-08-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源供給方法及び電源回路
JP2004246250A (ja) * 2003-02-17 2004-09-02 Toshiba Corp 画像表示装置
KR100832612B1 (ko) * 2003-05-07 2008-05-27 도시바 마쯔시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El 표시 장치
US8194006B2 (en) 2004-08-23 2012-06-0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driving method of the sam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monitoring elements
JP4622389B2 (ja) 2004-08-30 2011-02-02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7570242B2 (en) * 2004-10-08 2009-08-04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Data driving apparatus in a current driving type display device
JP2006220851A (ja) 2005-02-09 2006-08-24 Tohoku Pioneer Corp 発光表示パネルの駆動装置および駆動方法
JP2006251602A (ja) * 2005-03-14 2006-09-21 Seiko Epson Corp 駆動回路、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0937133B1 (ko) 2005-09-27 2010-01-15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JP2007121430A (ja) 2005-10-25 2007-05-17 Hitachi Displays Ltd 平板型画像表示装置
KR100914118B1 (ko) * 2007-04-24 2009-08-2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8421718B2 (en) 2007-05-21 2013-04-16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JP2008299019A (ja) 2007-05-30 2008-12-11 Sony Corp カソード電位制御装置、自発光表示装置、電子機器及びカソード電位制御方法
KR100896046B1 (ko) * 2007-07-24 2009-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GB2453373A (en) 2007-10-05 2009-04-08 Cambridge Display Tech Ltd Voltage controlled display driver for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KR101361981B1 (ko) 2008-02-19 2014-02-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JP2009198691A (ja) 2008-02-20 2009-09-03 Eastman Kodak Co 有機el表示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294376A (ja) 2008-06-04 2009-12-17 Hitachi Displays Ltd 画像表示装置
WO2010001590A1 (ja) 2008-07-04 2010-01-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969801B1 (ko) 2008-10-23 2010-07-1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1517207B1 (ko) 2008-11-06 2015-05-04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led 발광 장치
JP2010199501A (ja) * 2009-02-27 2010-09-09 Mitsubishi Electric Corp Led装置と、そのled装置を用いた映像装置
KR101056281B1 (ko) 2009-08-03 2011-08-1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TWI416467B (zh) 2009-09-08 2013-11-21 Au Optronics Corp 主動式矩陣有機發光二極體顯示器及其像素電路與資料電流寫入方法
JP5146521B2 (ja) * 2009-12-28 2013-02-2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素駆動装置、発光装置及びその駆動制御方法、並びに、電子機器
JP5485155B2 (ja) 2010-01-13 2014-05-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CN102792360B (zh) 2010-03-25 2015-06-24 株式会社日本有机雷特显示器 有机el显示装置、影像显示系统、以及影像显示方法
CN102612710B (zh) 2010-11-10 2015-07-29 株式会社日本有机雷特显示器 有机el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
CN102959611B (zh) 2011-06-16 2015-10-21 株式会社日本有机雷特显示器 显示装置
JP5752113B2 (ja) 2011-06-23 2015-07-22 株式会社Joled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5792711B2 (ja) 2011-07-06 2015-10-14 株式会社Joled 表示装置
WO2013008270A1 (ja) 2011-07-11 2013-01-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表示装置
JP5792156B2 (ja) 2011-07-12 2015-10-07 株式会社Joled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および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の駆動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8767A (ko) * 2014-12-24 2016-07-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52113B2 (ja) 2015-07-22
WO2012176241A1 (ja) 2012-12-27
US9275572B2 (en) 2016-03-01
JPWO2012176241A1 (ja) 2015-02-23
KR101823701B1 (ko) 2018-01-30
CN102959610A (zh) 2013-03-06
US20120327063A1 (en) 2012-12-27
CN102959610B (zh) 2015-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5393B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836543B1 (ko) 표시 장치
KR101836536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20140026225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823708B1 (ko) 표시 장치
KR101836535B1 (ko) 표시 장치
KR101836534B1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