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6147A - 이종(異種)의 장식무늬를 가진 논슬립패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종(異種)의 장식무늬를 가진 논슬립패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6147A
KR20140026147A KR1020120093177A KR20120093177A KR20140026147A KR 20140026147 A KR20140026147 A KR 20140026147A KR 1020120093177 A KR1020120093177 A KR 1020120093177A KR 20120093177 A KR20120093177 A KR 20120093177A KR 20140026147 A KR20140026147 A KR 20140026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slip
high frequency
heterogeneous
decorative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3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기
Original Assignee
엔엠텍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엠텍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엠텍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3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6147A/ko
Publication of KR20140026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61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4Keyplates; Ornamen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의 장식무늬를 가진 논슬립패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고주파 융착 가공이 가능한 원단으로 이루어지고, 표면과 바닥면에는 점착층이 형성되어 있는 패드몸체;가 구비되고,상기 패드몸체의 표면에는 고주파 융착 가공이 가능한 이종(異種)의 원단이 고주파 융착 처리되어 장식무늬융착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특징이 있으며, 표면과 바닥면에 논슬립표면층이 형성되어 있는 논슬립 패드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고주파 융착 가공이 가능한 이종의 색상원단에 장식무늬를 재단하는 단계(S1); 상기 이종원단을 고주파 융착 가공이 가능한 원단 형태의 논슬립 패드몸체와 합지하는 단계(S2); 합지된 패드몸체 및 이종원단을 금형 상에 핀 작업하여 장착하는 단계(S3); 고주파 융착 처리하여 장식무늬융착부를 성형하는 단계(S4); 고주파 융착 처리된 패드몸체의 상,하면에 보호지를 합지하는 단계(S5); 소정의 외곽 형상으로 절단하는 단계(S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논슬립 패드몸체의 표면에 패드몸체와 다른 재질 또는 색상을 갖는 이종(異種)의 원단을 고주파 융착 처리함으로써 음각 또는 양각 형태의 입체적인 질감의 표현이 가능하여 미려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다양한 색상으로 장식 무늬 또는 광고용 문자 내용 등을 다양한 형태와 색상으로 디자인하여 표현할 수 있으므로 사무용품 및 차량용품으로서 활용가치가 높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한 논슬립패드 제조방법에 의해 비교적 적은 비용의 초기 금형 제작비와 함께 저렴한 단가로 대량생산은 물론 다품종 소량 생산도 가능하므로 고객의 요구에 맞게 판촉용 또는 홍보용품으로 제조할 수 있는 충분한 활용가치가 있는 논슬립패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있게 된다.

Description

이종(異種)의 장식무늬를 가진 논슬립패드 및 그 제조방법{Two kinds of non-slip pad with decorative patterns and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논슬립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상,하면에 논슬립표면층을 가지며, 소정 두께를 갖는 패드몸체의 표면에 다른 재질 또는 색상을 갖는 이종(異種)의 원단을 고주파 융착 처리함으로써 음각 또는 양각 형태의 입체적인 질감의 표현이 가능하여 미려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고, 다양한 색상으로 장식 무늬 또는 광고용 문자 내용 등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이종의 장식무늬를 가진 논슬립패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논슬립패드(non-slip pad;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몸체(2)의 표면과 바닥면에 점착층(3)이 형성되어 있어서, 사무실 책상 또는 차량의 대쉬보드(도시하지 않음) 위에 휴대폰(H)이나 다양한 소품 등을 올려놓을 때 주로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논슬립패드(1)는 패드몸체(2)가 주로 고무,실리콘 또는 스폰지와 같은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표면과 바닥면에는 반복적으로 때었다가 부착할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층이 형성되어 논슬립 처리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논슬립패드는 재질에 따라 그 종류가 다양하게 제조되겠지만 고무 또는 우레탄,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논슬립패드(10)의 경우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되어 재질 자체의 점성에 의해 반복적으로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원단형태로 이루어진 논슬립패드의 경우에는 표면과 바닥면에는 점착층(3)이 형성되어 있는 원단을 대략 원형 또는 사각형상 등으로 다양한 형상으로 재단하여 제작되어 진다.
아울러 종래의 논슬립패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심플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사무용품, 판촉용품 또는 차량용품으로 대량으로 판매되기 때문에 그 표면에는 광고용 문자 또는 홍보 내용을 담은 인쇄층(4)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래에는 점착층이 형성되어 있는 패드 표면에 실크 인쇄가 불가능하므로 열전사 방식의 인쇄 또는 은박이나 금박 인쇄 처리하거나, 대량의 논슬립패드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원단 표면에 점착층을 형성하기 전에 인쇄를 할 수 있으나, 이는 대량 생산인 경우에 제한되므로 실제 다품종 소량생산의 경우 적용이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논슬립패드의 표면에 다양한 형태의 광고 내용을 표현하기 위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장식 무늬나 광고 내용의 문자를 열전사 방식으로 인쇄하거나, 금박이나 은박과 같이 음각형태로 가열처리하여 인쇄층을 형성하였다.
하지만, 다양한 광고 내용을 디자인하는데 있어서 상기와 같은 2가지 방법 외에는 대량 생산하기에 적합한 새로운 형태의 논슬립패드가 제공되지 못하는 실정이며, 특히, 특정 도형이나 무늬가 연속적으로 표현되는 형태의 장식 무늬 또한 단색 위주로 표현됨으로써 다양한 색상이나 재질로 이루어진 논슬립패드를 제조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논슬립패드에 전사 방식으로 인쇄된 내용은 점착층 위에 인쇄된 것이므로 사용 과정에서 휴대폰이나 소품 등이 인쇄면에 자주 접촉하게 되므로서 금방 지워지는 문제가 있어서, 광고 판촉용으로 활용가치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이 장식무늬나 광고 내용을 담은 문자를 형성하거나 논슬립패드의 재질이나 색상을 두 가지 이상의 조합으로 구현하는 경우에는 실리콘 또는 고무 금형으로 제조하거나 사출 금형을 이용한 이중사출 방식으로는 가능할 것이다.
하지만 상기한 고무 금형이나 사출금형을 통한 이중사출 방법은 초기 금형 투자비가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제조 원가도 높은 문제가 있어 판촉용이나 사무용품 또는 차량용품 라인으로 판매하기가 어려운 한계가 내재되어 있었다.
그리고, 다양하게 변화되는 광고 문자나 장식무늬에 대응하기에는 이중사출방식의 경우 수시로 바뀌는 광고 내용에 따라 금형의 코어를 교체 또는 수리할 수는 없기 것이기 때문에 판촉용으로서 적용하기에는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논슬립패드를 저렴하고 단순하면서도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다양한 형태의 재질 또는 색상으로서 디자인이 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논슬립패드를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며, 이러한 논슬립패드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 또한 절실히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논슬립 표면층을 갖는 패드 몸체의 표면에 패드몸체와 다른 재질 또는 색상을 갖는 이종(異種)의 원단을 고주파 융착 처리함으로써 음각 또는 양각 형태의 입체적인 질감의 표현이 가능하여 미려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고, 다양한 색상으로 장식 무늬 또는 광고용 문자 내용 등을 수시로 변경하면서 다양한 디자인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논슬립패드와 그에 따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 목적에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주파 융착 가공이 가능한 원단으로 이루어지고, 표면과 바닥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면에 논슬립 표면층을 갖는 패드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패드몸체의 표면에는 고주파 융착 가공이 가능한 이종(異種)의 원단이 고주파 융착 처리되어 장식무늬융착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장식무늬융착부는 음각형태의 소정 패턴의 장식무늬 또는 문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장식무늬융착부는 음각형태로 이루어져서 그 주변으로 장식무늬 또는 문자가 양각 형태로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패드몸체 및 상기 이종원단은 고주파 융착 가공이 가능한 원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종원단은 상기 패드몸체와 서로 다른 재질 또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패드몸체와 이종원단 사이에는 고주파 융착 성형에 의한 일체형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핫멜트층이 더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패드몸체는 고주파 융착 가공이 가능한 적어도 두 장이상의 원단으로 이루어지되, 두께가 얇고 표면과 바닥면에는 상기 논슬립 표면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원단 사이에는 합지 과정에서 에어포켓을 형성하여 완충기능을 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패드몸체는 고주파 융착 가공이 가능한 적어도 두 장 이상의 원단으로 이루어지되, 두께가 얇고 표면과 바닥면에는 상기 논슬립 표면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원단 사이에는 합지 과정에서 종이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보강재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의 장식무늬를 가진 논슬립패드의 제조방법은 표면과 바닥면에 논슬립 표면층이 형성되어 있는 논슬립 패드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고주파 융착 가공이 가능한 이종원단에 장식무늬를 재단하는 단계(S1); 상기 이종원단을 고주파 융착 가공이 가능한 원단 형태의 논슬립 패드몸체에 합지하는 단계(S2); 합지된 논슬립패드 및 이종원단을 금형 상에 핀 작업하여 장착하는 단계(S3); 고주파 융착 처리하여 장식무늬융착부를 성형하는 단계(S4); 고주파 융착 처리된 패드몸체의 상,하면에 보호지를 합지하는 단계(S5); 소정의 외곽 형상으로 절단하는 단계(S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논슬립 패드몸체의 표면에 패드몸체와 다른 재질 또는 색상을 갖는 이종(異種)원단을 고주파 융착 처리함으로써 음각 또는 양각 형태의 입체적인 질감의 표현이 가능하여 미려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다양한 색상과 질감을 이용하여 장식 무늬 또는 광고용 문자 내용 에 대응되는 다양한 형태와 색상으로 디자인하여 표현할 수 있으므로 사무용품 및 차량용품으로서 활용가치가 높아진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논슬립패드 제조방법에 의해 비교적 적은 비용의 초기 금형 제작비와 함께 저렴한 단가로 대량생산은 물론 다품종 소량 생산도 가능하므로 고객의 요구에 맞게 판촉용 또는 홍보용품으로 제조할 수 있는 충분한 활용가치가 있는 논슬립패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 설명된 도면들은 단지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도 1은 종래의 논슬립패드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논슬립패드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인쇄층 단면 구조를 나타낸 요부확대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패드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단층원단을 적용한 논슬립패드의 장식무늬융착부의 구조를 나타낸 요부확대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복층원단을 적용한 논슬립패드의 장식무늬융착부의 구조를 나타낸 요부확대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패드의 고주파 융착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및 분리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패드의 고주파융착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실시예로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 동일 부분의 명칭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적용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 패드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단층원단을 적용한 논슬립패드의 장식무늬융착부의 구조를 나타낸 요부확대단면도이며,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복층원단을 적용한 논슬립패드의 장식무늬융착부의 구조를 나타낸 요부확대단면도이다.
먼저, 도 3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논슬립패드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논슬립패드(100)는 기본 구성으로서, 고주파 융착 가공이 가능한 원단으로 이루어지고, 표면과 바닥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면에 논슬립표면층(11)을 갖는 패드몸체(10)가 구비된다.
상기 패드몸체(10)는 고주파 융착 가공이 가능한 다양한 원단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논슬립패드(100)의 디자인 형태에 따라 열가소성 필름, 텍스타일류 및 플라스틱 발포시트, 합성피혁 등 고주파 접착이 가능한 원단 중에서 선택적으로 사용되거나 고주파에 반응하는 열가소성 접착 필름을 사용하여 고주파에 반응하지 않는 원단들도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패드몸체(10)를 구성하기 위한 패드원단(12)은 도 4(a)와 같이 단층원단(12)과 도 4(b)와 같이 복층원단을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상기한 단층원단 및 복층원단은 원단 소재 특성 자체가 논슬립 기능을 갖는 원단을 적용할 수 있으며, 논슬립 기능이 없는 원단인 경우에는 별도의 점착층(도시하지 않음)을 도포하여 논슬립 표면층을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복층원단의 경우에도 복층원단 소재 자체가 논슬립 기능을 갖거나 점착층이 형성된 원단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며, 내부에는 완충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쿠션층(도시하지 않음)이 더 구비되어 있는 복층원단을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논슬립표면층(11)은 본 발명의 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패드몸체는 고주파 융착 가공이 가능한 원단으로 이루어지면서 표면과 바닥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면에 논슬립 표면층(11)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논슬립 표면층(11)은 표면에만 형성되거나 표면과 바닥면 모두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점착력은 점도가 더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논슬립패드를 평면상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경우에는 표면에만 논슬립 표면층(11)이 형성되어도 무방하겠지만 특히, 차량용으로 사용시에는 대쉬보드(도시하지 않음)의 표면이 라운드 또는 경사면을 이루고 있으므로 패드몸체(10)의 표면과 바닥면의 점착력이 좋아야 차량의 대쉬보드 형상에 대응하여 우수한 점착력으로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그 위에 놓여지는 물품(휴대폰 등)이 차량의 주행 중 흔들림에도 쉽게 떨어지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패드(100)는 상기 패드몸체(10)의 표면에 장식무늬융착부(20)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적인 구성이다.
즉, 기존의 논슬립패드(100) 표면에 장식무늬나 광고 내용을 담은 문자를 표현하고자 할 때 전사방식으로 인쇄층을 형성하여 여러 가지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고주파 융착 가공이 가능한 이종(異種)원단(30)을 장식무늬나 문자 형태로 재단하여 상기 패드몸체(10)와 고주파 융착 처리하여 상기 장식무늬융착부(20)를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장식무늬 또는 광고내용을 담은 문자를 형성함에 있어서, 기존의 논슬립패드(100)에 적용된 인쇄 방식보다 더 입체감 있고, 미려하며, 고주파 원단이 갖고 있는 고유 질감이나 여러 가지 색상의 조합으로서, 보다 다양하고 특색있는 형태의 디자인으로 고주파 융착 가공에 의하여 논슬립패드(100)를 제작할 수 있는 구성과 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장식무늬융착부(20)는 음각형태의 소정 패턴의 장식무늬 또는 문자 형태로 이루어진다.
음각 형태의 장식무늬융착부(20)는 고주파 성형 금형(M)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서 이종원단(30)과 패드원단(12)이 고주파 융착되는 과정에서 가압된 형태로 눌려지는 것이므로 융착된 이후 이종원단(30)은 패드원단(12)의 표면보다 음각 형태로 인입되어 형성되어 진다.
따라서, 음각형태로 이루어지는 장식무늬융착부(20)는 패드원단(12)과 함께 다른 색상이나 각각의 원단이 갖고 있는 고유의 질감의 차이에 의해 보다 입체적이고 선명한 형태의 장식무늬 또는 문자에 의한 미려한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패드원단(12)이 블랙 색상으로 이루어지고, 이종의 원단이 그린, 블루, 핑크색의 원단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블랙 색상 바탕으로 표현되는 장식무늬나 문자의 시인성이 극대화되어 탁월한 광고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여러 색상을 갖는 이종원단(30)은 블랙 색상의 패드원단(12) 표면으로부터 인입된 형태로 이루어지므로서 기존의 평면적인 단순한 인쇄 무늬에서 표현되는 디자인보다 더욱 입체적인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장식무늬융착부(20)는 음각형태로 이루어져서 그 주변으로 장식무늬 또는 문자가 양각 형태로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이종의 원단이 선형으로 이루어진 문자 형태로 이루어지지 않고 소정 형상의 패턴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종의 원단을 원형의 엠보싱 또는 허니컴 형태로 연속적으로 디자인하여 구성하는 경우, 고주파 융착되는 면적이 커지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그 외측으로 돌출되는 패드원단(12)이 더욱 입체감을 갖게 되는 패턴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패드원단(12)의 표면에는 논슬립표면층(1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논슬립의 본연의 기능은 원래대로 발휘하면서 보다 더 입체감있는 형태의 논슬립패드(100)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패드몸체(10) 및 상기 이종원단(30)은 고주파 융착 가공이 가능한 원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종원단(30)은 상기 패드몸체(10)와 서로 다른 재질 또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패드 몸체와 이종의 원단이 서로 다른 질감이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그리고, 채도 대비 또는 명도 대비의 색상이나 보색대비로 구성하게 되면, 기존의 단색 위주의 전사 인쇄 방식의 논슬립 패드보다 더욱 고품격의 디자인을 갖는 논슬립패드(100)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패드몸체(10)와 이종원단(30) 사이에는 고주파 융착 성형에 의한 일체형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핫멜트층(미도시)이 더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이종원단(30) 또는 패드원단(12)이 고주파 융착이 불가능한 원단으로 구성되는 예외적인 경우에 이종원단(30)과 패드원단(12)의 접착라인 즉, 장식무늬나 광고 내용을 담은 문자의 형상대로 핫멜트층(미도시)을 형성하여 고주파융착 가공을 함으로써 고주파 융착이 불가능한 일부 원단으로도 논슬립패드(100)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고주파 융착이 불가능한 원단의 표면과 바닥면에는 상기 논슬립표면층(11)이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패드몸체(10)는 고주파 융착 가공이 가능한 한 장의 원단으로 이루어지되, 두께가 두껍고 자체 탄성을 가지며 표면과 바닥면에는 상기 논슬립표면층(11)이 형성되어 있는 완충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완충재는 에바(EVA)또는 스폰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표면과 바닥면에는 논슬립표면층(11)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패드몸체(10)는 고주파 융착 가공이 가능한 적어도 두 장 이상의 원단으로 이루어지되, 두께가 얇고 표면과 바닥면에는 상기 논슬립표면층(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원단 사이에는 합지 과정에서 에어포켓(미도시)을 형성하여 완충기능을 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논슬립패드(100) 위에 얹어 놓는 용품에 따라 예를 들어 휴대폰이나 외부 충격에 의해 깨지기 쉬운 용품의 경우 논슬립패드(100) 바닥으로부터 전해지는 외부 충격에 대해 논슬립패드(100) 상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패드몸체(10)는 고주파 융착이 가능한 두 장의 원단으로 이루어지되, 두께가 얇고 표면과 바닥면에는 상기 논슬립표면층(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원단 사이에는 합지 과정에서 종이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보강재(미도시)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림패드는 원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자유롭게 굴곡되어질 수 있다.
따라서, 주로 평면으로 이루어진 경사진 바닥면에 얹혀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관이 없지만 경사구간의 중간에 요홈 구간이 있는 경우에는 요홈 부위로 논슬립패드(100)가 휘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보강재에 의해 판 형태를 유지하게 함으로써 그 위에 무거운 용품을 올려 놓고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여 사용할 수 또 다른 장점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패드(100)의 패드몸체(10)에는 논슬립표면층(11)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지(40)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보호지(40)는 필름 또는 비닐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투명 또는 불투명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그 표면에는 제조사의 로고나 무늬 상호가 인쇄되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이종의 장식무늬를 가진 논슬립패드(100)의 제조방법의 일례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패드(100)의 고주파 융착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및 분리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패드(100)의 고주파융착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하측면에 논슬립표면층(11)이 형성되어 있는 논슬립 패드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1단계( S1 )
고주파 융착 가공이 가능한 이종의 색상원단에 장식무늬 또는 문자를 재단하는 단계(S1)이다.
즉, 고주파 융착 가공이 가능한 원단에 장식 무늬 또는 광고내용을 담은 문자를 디자인하여 임시 재단하는 단계로서, 이때 재단은 완전 절단되어 분리되지 않도록 재단함으로써 후술된 합지 공정에서 편리성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종원단(30)에 완전 절단된 형태로 장식무늬나 문자를 재단하게 되면 원단으로부터 장식무늬나 문자가 분리됨으로써 패드원단(12)과 합지하거나 금형(M) 상에서 핀홀(51) 작업시에 작업이 불가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임시 재단된 상태는 후술된 고주파 융착 가공이후 장식무늬 또는 문자를 제외한 나머지 이종원단(30)은 분리가 쉽도록 임시 재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2단계( S2 )
상기한 바와 같이 임시 재단된 상기 이종원단(30)을 고주파 융착 가공이 가능한 원단 형태의 논슬립 패드몸체(10)에 합지하는 단계(S2)이다.
여기서, 패드몸체(1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원단의 종류 즉, 원단 재질이나 색상에 따라 두께가 두꺼운 경우에는 한 장의 패드원단(12)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두께가 얇은 경우에는 두 장 이상 합지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두 장의 원단 사이에는 논슬립패드(100)의 사용 용도에 따라 종이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보강재가 더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아울러, 패드몸체(10)의 표면에 형성되는 논슬립표면층(11)외에 패드원단(12) 자체가 완충의 기능을 갖는 경우에는 에바 또는 스폰지로 제조할 수 있으며, 두 장의 원단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그 사이에 에어포켓층을 형성하여 논슬립패드(100) 위에 얹혀지는 용품에 따라 휴대폰의 경우 완충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3단계( S3 )
상기와 같이 합지된 패드몸체(10) 및 이종원단(30)을 금형(M) 상에 핀(50) 작업하여 장착하는 단계(S3)이다.
즉, 고주파 성형전에 이종원단(30)과 패드몸체(10)를 금형(M)의 하형에 구비된 핀(50)에 끼워 서로 잘 겹쳐진 상태에서 고주파 융착 가공이 가능하도록 준비하는 단계이다.
4단계( S4 )
고주파 융착 처리하여 장식무늬융착부(20)를 성형하는 단계(S4)이다.
여기서, 장식무늬융착부(20)는 고주파 융착 가공에 의하여 이종의 원단과 패드원단(12)이 일체로 접착되는 것이며, 이종원단(30)은 금형(M)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융착이 되므로서 음각 형태로 성형된다.
여기서, 융착된 이종원단(30) 부위 즉, 장식무늬 또는 문자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이종원단(30)은 상기한 1단계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임시 재단된 상태이므로 고주파 융착되지 않은 불필요한 이종원단(30)을 제거한 후 다음 공정으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5단계( S5 )
다음으로 고주파 융착 처리된 패드몸체(10)의 상,하면에 보호지(40)를 합지하는 단계(S5)이다.
이때, 이종원단(30)과 고주파 융착이 완료된 패드몸체(10)의 표면과 바닥면에는 논슬립표면층(1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먼지나 이물질 등이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투명필름 형태의 보호지(40)를 이용하여 합지한 후 다음 공정으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단계에서는 바닥면의 논슬립표면층(11)에는 패드원단(12)의 종류에 따라 논슬립표면층(11)과 함께 보호지(40)가 부착되어 있는 원단도 있으므로 이러한 패드원단(12)의 경우에는 표면에만 보호지(40)를 합지하도록 한다.
5단계( S5 )
마지막 단계로서 보호지(40)가 합지된 패드원단(12)을 소정의 외곽 형상으로 절단하는 단계(S6)이다.
논슬립패드(100)는 주로 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이 가장 많이 선호하는 디자인이며, 필요에 따라 고객이 요청하는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그 외곽 형상으로 절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절단된 논슬립패드(100)는 다수개씩 일정 수량 만큼 포장하여 제품을 출하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논슬립패드 10 : 패드본체
11 : 논슬립표면층 20 : 장식무늬융착부
30 : 이종원단 40 : 보호지
M : 금형

Claims (9)

  1. 고주파 융착 가공이 가능한 원단으로 이루어지고, 표면과 바닥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면에 논슬립 표면층(11)을 갖는 패드몸체(10);가 구비되고,
    상기 패드몸체(10)의 표면에는 고주파 융착 가공이 가능한 이종(異種)의 원단이 고주파 융착 처리되어 장식무늬융착부(20)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슬립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무늬융착부(20)는 음각형태의 소정 패턴의 장식무늬 또는 문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장식무늬를 가진 논슬립패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무늬융착부(20)는 음각형태로 이루어져서 그 주변으로 장식무늬 또는 문자가 양각 형태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장식무늬를 가진 논슬립패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몸체(10) 및 상기 이종원단(30)은 고주파 융착 가공이 가능한 원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종원단(30)은 상기 패드몸체(10)와 서로 다른 재질 또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장식무늬를 가진 논슬립패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몸체(10)와 이종원단(30) 사이에는 고주파 융착 성형에 의한 일체형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핫멜트층(24)이 더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장식무늬를 가진 논슬립패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몸체(10)는 고주파 융착 가공이 가능한 한 장의 원단으로 이루어지되, 두께가 두껍고 자체 탄성을 가지며 표면과 바닥면에는 상기 논슬립표면층(11)이 형성되어 있는 완충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장식무늬를 가진 논슬립패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몸체(10)는 고주파 융착 가공이 가능한 적어도 두 장 이상의 원단으로 이루어지되, 두께가 얇고 표면과 바닥면에는 상기 논슬립표면층(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원단 사이에는 합지 과정에서 에어포켓을 형성하여 완충기능을 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이종의 장식무늬를 가진 논슬립패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몸체(10)는 고주파 융착 가공이 가능한 적어도 두 장 이상의 원단으로 이루어지되, 두께가 얇고 표면과 바닥면에는 상기 논슬립표면층(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원단 사이에는 합지 과정에서 종이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보강재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이종의 장식무늬를 가진 논슬립패드.
  9. 표면과 바닥면에 논슬립표면층(11)이 형성되어 있는 논슬립 패드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고주파 융착 가공이 가능한 이종의 색상원단에 장식무늬를 재단하는 단계(S1);
    상기 이종원단(30)을 고주파 융착 가공이 가능한 원단 형태의 논슬립 패드몸체(10)와 합지하는 단계(S2);
    합지된 패드몸체(10) 및 이종원단(30)을 금형(M) 상에 핀(50) 작업하여 장착하는 단계(S3);
    고주파 융착 처리하여 장식무늬융착부(20)를 성형하는 단계(S4);
    고주파 융착 처리된 패드몸체(10)의 상,하면에 보호지(40)를 합지하는 단계(S5);
    소정의 외곽 형상으로 절단하는 단계(S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장식무늬를 갖는 논슬립패드 제조방법.




KR1020120093177A 2012-08-24 2012-08-24 이종(異種)의 장식무늬를 가진 논슬립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261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177A KR20140026147A (ko) 2012-08-24 2012-08-24 이종(異種)의 장식무늬를 가진 논슬립패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177A KR20140026147A (ko) 2012-08-24 2012-08-24 이종(異種)의 장식무늬를 가진 논슬립패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6147A true KR20140026147A (ko) 2014-03-05

Family

ID=50640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3177A KR20140026147A (ko) 2012-08-24 2012-08-24 이종(異種)의 장식무늬를 가진 논슬립패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2614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199B1 (ko) * 2014-04-15 2014-12-09 한상용 입체 라벨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199B1 (ko) * 2014-04-15 2014-12-09 한상용 입체 라벨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71412C (en) In-mold labels and a labeled container
KR101226675B1 (ko) 입체 장식물의 제조방법
EP3305544B1 (en) Cutting plotter film with anti-counterfeit effect
KR20140000145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면 보호용 입체 성형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5660431B2 (ja) ラベル付き容器
KR101192210B1 (ko) 장식용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JP5828386B2 (ja) 加飾合成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KR20140026147A (ko) 이종(異種)의 장식무늬를 가진 논슬립패드 및 그 제조방법
CN103395533B (zh) 半硬质塑料包装盒的制作方法及半硬质塑料包装盒
KR20140136401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면 보호용 입체 성형필름 및 그 제조방법
US20200180286A1 (en) Cutting plotter film with anti-counterfeit effect
WO2022139677A1 (en) Synthetic resin article and method of fabrication thereof
US7641839B2 (en) Method for fabricating a three dimensional emblem
KR102005884B1 (ko) 로고 라벨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로고 라벨
JP4753177B2 (ja) ラベル、およびインモ−ルドラベル付き合成樹脂製容器
KR101705111B1 (ko) 고급질감을 제공하는 화장품 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819329B1 (ko) 케이크 받침판 제조방법
KR20140116124A (ko) 포장 시트, 이 포장 시트를 사용한 시가렛 패키지 및 이 시가렛 패키지를 위한 외측 블랭크
JP6212072B2 (ja) 複合シートおよび複合シートの製造方法、並びに物品収容具
KR20080100646A (ko) 점자용 연포장재로 구성된 용기, 연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CN208802250U (zh) 表面包装易收藏的包装纸盒
JP5872991B2 (ja) 複合シートおよび複合シートの製造方法、並びに物品収容具
KR101223894B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스킨패드 제조방법 및 스킨패드
KR101006533B1 (ko) 기능성 원단
GB2535733A (en) A deca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