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4639A - 철도 콘크리트도상의 침목 철거장치 - Google Patents
철도 콘크리트도상의 침목 철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24639A KR20140024639A KR1020120090877A KR20120090877A KR20140024639A KR 20140024639 A KR20140024639 A KR 20140024639A KR 1020120090877 A KR1020120090877 A KR 1020120090877A KR 20120090877 A KR20120090877 A KR 20120090877A KR 20140024639 A KR20140024639 A KR 2014002463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eeper
- cylinder
- coupled
- support
- railwa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9/00—Laying, rebuilding, or taking-up tracks; Tools or machines therefor
- E01B29/06—Transporting, laying, removing or renewing slee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 콘크리트 도상에 매립된 침목을 교체 시공하거나 해체하기 위해 침목을 철거하는 철도 콘크리트도상의 침목 철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도상의 침목 철거장치는 철도 콘크리트도상에 설치된 침목을 해체하는 철도 콘크리트도상의 침목 철거장치로서, 상기 침목에 지지되는 레일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가로대, 상기 가로대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가로대를 바닥에서 상부로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며 주행하는 바퀴가 구비된 주행지지대, 상기 가로대의 양측에 배치된 상기 주행지지대의 사이에서 상기 가로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한 쌍의 간격조절구, 상기 한 쌍의 간격조절구의 각각에 일단이 결합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를 구동하는 구동유닛, 및 상기 실린더의 타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침목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결합지그를 포함한다. 따라서, 침목을 신속하게 철거할 수 있으며, 철거작업에 필요한 인력을 최소화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철도 콘크리트 도상에 매립된 침목을 교체 시공하거나 해체하기 위해 침목을 철거하는 철도 콘크리트도상의 침목 철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이 주행하는 레일은 도상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복수 개의 침목이 배치되고, 이 침목들에 한 쌍이 레일이 나란하게 배치되어 침목과 레일이 코일스프링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철도차량이 주행하는 레일은 침목이 통상 목재로 제작되어 장시간이 지나면 침목이 부패되어 파손되기 때문에 임의의 시간이 지난 후에는 침목을 교체시공한다.
한편, 침목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도상에 깔린 자갈을 제거하고, 레일과 침목을 결합하는 코일스프링을 제거한 후에 레일을 상부로 들어올린 후, 침목의 측면에서 작업자가 해머(hammer)로 쳐내는 형태로 침목을 제거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은 작업인력이 많이 소요되고, 작업 시 해머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하기 때문에, 한국특허등록특허 제10-0434434호(2001.09.07 공개)의 "철도침목 교환기"가 개시된 바가 있다.
상기한 철도침목 교환기는 레일을 따라 주행하며, 침목을 유압에 의해 레일의 폭 방향으로 미는 형태로 침목을 빼거나 새로운 침목을 다시 설치할 수 있어 작업인력을 최소화하며,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기술이 발전하면서, 침목을 자갈에 의해 지지하는 것이 아니라, 철도 콘크리트도상에 함께 매설하여 지지하기 때문에 상기한 철도침목 교환기로는 철도 콘크리트 도상에 매립된 침목을 제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 철도 콘크리트 도상의 침목을 철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먼저, 레일과 침목을 결합하는 코일스프링을 해체하고, 침목에 설치된 코일스프링을 결합하는 베이스플레이트를 해체한 후, 침목에서 레일이 이격되도록 레일을 부상시킨다.
그리고, 침목과 철도 콘크리트도상을 체결하는 앙카너트를 해체하고, 침목의 주변의 철도 콘크리트도상을 정이나 해머와 같은 기구로 충격을 가하여 철도 콘크리트도상을 파괴하거나, 침목을 직접 파괴하여 해체하는 형태로 모든 침목의 철거작업이 순수 인력에 의해 수행되었다.
하지만, 종래의 철도 콘크리트도상의 침목을 철거하기 위한 방법은, 침목철거에 많은 인력이 소비되어 철거비용이 상승될 뿐만 아니라, 정이나 해머와 같은 기구를 철도 콘크리트도상에 충격을 가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정이나 해머에 부상을 당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고, 침목철거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침목을 제거하기 위해 철도 콘크리트도상을 파괴하기 때문에, 철도 콘크리트도상을 파괴시 발생하는 폐기물의 증대로 인한 폐기물 처리비용이 상승하고, 구조물의 피로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철도 콘크리트도상의 파괴된 부분을 모르타르로 재시공을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철도 콘크리트도상에 설치된 침목을 신속히 철거할 수 있고, 철거작업에 필요한 인력을 최소화함으로써, 철거작업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철도 콘크리트도상의 파손을 방지하여 폐기물 처리비용 및 모르타르의 재시공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구조물의 피로도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철도 콘크리트도상의 침목 철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도상의 침목 철거장치는 철도 콘크리트도상에 설치된 침목을 해체하는 철도 콘크리트도상의 침목 철거장치로서, 상기 침목에 지지되는 레일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가로대, 상기 가로대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가로대를 바닥에서 상부로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며 주행하는 바퀴가 구비된 주행지지대, 상기 가로대의 양측에 배치된 상기 주행지지대의 사이에서 상기 가로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한 쌍의 간격조절구, 상기 한 쌍의 간격조절구의 각각에 일단이 결합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를 구동하는 구동유닛, 및 상기 실린더의 타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침목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결합지그를 포함한다.
상기 주행지지대는 상기 가로대가 관통되는 형태로 삽입되는 가로대삽입부, 상기 바퀴가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결합되는 바퀴지지부, 상기 바퀴지지부에서 상기 가로대삽입부를 상부로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는 상하이격대, 및 상기 바퀴지지부와 상기 상하이격대를 연결하여 상기 상하이격대를 지지하는 버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하이격대는 상기 가로대삽입부가 상단에 결합되고 상,하로 긴 막대형상으로 형성되는 연장부재, 상기 바퀴지지부의 상부에 위치 상기 연장부재가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지지되는 기둥부재, 및 상기 연장부재가 상기 기둥부재에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상하이격대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로대에는 상기 주행지지대의 사이 간격을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주행지지대와 체결부재로 결합되는 길이조절공이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구는 상기 가로대의 상단을 주행하는 롤러, 상기 가로대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실린더가 결합되는 고정고리, 및 상기 고정고리와 상기 롤러를 양측면에서 고정하는 측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의 일단 및 타단에 결합되는 상기 간격조절구 및 상기 결합지그는 상기 실린더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지그는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의 일단이 결합되는 앵글부, 및 상기 앵글부의 밑변에서 이격된 상태로 상기 앵글부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침목에 구비된 스프링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끼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행지지대와 이격 배치된 상태로 상기 주행지지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대로 연결되어 상기 주행지지대를 따라 상기 철도 콘크리트도상을 주행하는 보조대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린더의 힘에 의해 침목을 상부로 들어올리는 형태로 침목을 철거하여 침목을 신속하게 철거할 수 있으며, 철거작업 인력을 감소시켜 철거작업에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철도 콘크리트도상의 파괴로 인한 폐기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물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고, 모르타르의 재시공에 따른 비용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침목의 폭에 따라 폭의 길이 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침목을 제거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형태의 철근 콘크리트도상에 매설된 침목을 철거할 수 있다.
또한, 착탈 가능한 보조대차를 구비하여 작업공구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또한, 실린더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실린더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실린더의 작동 시 실린더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도상의 침목 철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도상의 침목 철거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도상의 침목 철거장치를 구성하는 가로대의 길이를 조절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도상의 침목 철거장치를 구성하는 가로대가 주행지지대에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도상의 침목 철거장치를 구성하는 주행지지대의 높이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도상의 침목 철거장치를 구성하는 주행지지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도상의 침목 철거장치를 구성하는 간격조절구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도상의 침목 철거장치를 구성하는 결합지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도상의 침목 철거장치가 침목을 철거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도상의 침목 철거장치에 보조대차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도상의 침목 철거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도상의 침목 철거장치를 구성하는 가로대의 길이를 조절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도상의 침목 철거장치를 구성하는 가로대가 주행지지대에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도상의 침목 철거장치를 구성하는 주행지지대의 높이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도상의 침목 철거장치를 구성하는 주행지지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도상의 침목 철거장치를 구성하는 간격조절구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도상의 침목 철거장치를 구성하는 결합지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도상의 침목 철거장치가 침목을 철거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도상의 침목 철거장치에 보조대차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도상의 침목 철거장치(100)는 철도 콘크리트도상(200)에 매설된 목재 또는 콘크리트로 형성된 침목(210)을 교체하거나 해체하기 위해 철도 콘크리트도상(200)에서 침목(210)만을 빼내 철거하는 장치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도상의 침목 철거장치(100)는 가로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가로대(110)는 레일(220)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레일(220)의 폭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가로대(110)는 레일(220)의 폭 방향으로 그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가로대(110)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실시예에서와 같이 가로대(110)는 H빔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가로대(110)는 하기에 설명될 간격조절구(160)가 가로대(110)를 따라 이동하도록 간격조절구(16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가로대(110)에는 가로대(110)의 양측에 위치되는 주행지지대(120)의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공(1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길이조절공(111)은 가로대(11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길이조절공(111)에 대한 설명은 하기의 주행지지대(120)를 설명할 때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도상의 침목 철거장치(100)는 주행지지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주행지지대(120)는 가로대(110)를 지지하여 가로대(110)를 철도 콘크리트도상(200)에서 주행시킬 수 있다. 한편, 주행지지대(120)는 가로대(110)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가로대(11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주행지지대(120)는 바퀴지지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바퀴지지부(150)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되고 레일(220)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바퀴지지부(150)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바퀴(151,192)가 구비되어 철도 콘크리트도상(200)을 주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의 바퀴지지부(150)에는 3개의 바퀴(151,192)를 구비하였다.
주행지지대(120)는 가로대삽입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가로대삽입부(140)는 중앙에 가로대(110)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된 삽입공(143)이 형성되고, 이 삽입공(143)에 레일(220)의 폭 방향으로 배치된 가로대(110)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가로대삽입부(140)에는 삽입공(143)을 관통한 가로대(110)가 고정될 수 있도록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145)가 관통하는 체결공(14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체결부재(145)는 가로대삽입부(140)의 체결공(141)과 가로대(110)의 길이조절공(111)을 함께 관통하는 형태로 가로대삽입부(140)에 가로대(110)를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길이조절공(111)이 복수 개가 형성되기 때문에 주행지지대(120)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여 가로대삽입부(140)에 형성된 체결공(141)과 이와 대응되는 위치의 길이조절공(111)을 체결부재(145)로 체결함으로써, 주행지지대(120)의 사이 간격이 조절된 상태로 가로대(110)에 주행지지대(120)를 고정할 수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주행지지대(120)는 상하이격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상하이격대(130)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되어 바퀴지지부(150)에서 가로대삽입부(140)를 상부로 이격시킬 수 있다.
즉, 상하이격대(130)는 하단이 바퀴지지부(150)에 결합되고, 상단 부분에는 가로대삽입부(140)가 결합되는 형태로 바퀴지지부(150)에서 가로대삽입부(140)를 이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하이격대(130)는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가로대삽입부(1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하이격대(130)는 연장부재(133)와 기둥부재(13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기둥부재(131)는 내부가 빈 통 형상으로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기둥부재(131)는 바퀴지지부(150)의 상단의 중앙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기둥부재(131)는 상하로 그 길이가 긴 막대형상으로 형성되어 기둥부재(131)의 상단으로 기둥부재(131)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삽입될 수 있으며, 기둥부재(131)의 상단에는 가로대(110) 삽입부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하이격대(130)는 높낮이조절부(137)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높낮이조절부(137)는 기둥부재(131)에서 연장부재(133)의 위치를 고정시켜 가로대삽입부(140)의 높이를 고정할 수 있다.
예컨대, 높낮이조절부(137)는 실시예에서와 같이, 높이조절공(137c), 고정핀(137b) 및 안착홈(137a)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높이조절공(137c)은 기둥부재(131)의 측 방향에서 관통 형성되고, 높이조절공(137c)은 기둥부재(131)의 상,하로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핀(137b)은 복수 개의 높이 조절공 중 어느 하나의 높이조절공(137c)에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안착홈(137a)은 고정핀(137b)이 안착되는 홈으로서, 기둥부재(131)의 상단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안착홈(137a)에는 기둥부재(131)에 형성된 높이조절공(137c)을 관통하는 고정핀(137b)이 안착홈(137a)에 안착되어 기둥부재(131)의 상단에 걸쳐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높낮이조절부(137)는 높이조절공(137c)에 끼워진 고정핀(137b)이 기둥부재(131)의 상단에 형성된 안착홈(137a)에 안착되어 기둥부재(131)에 삽입된 연장부재(133)가 기둥부재(131)의 하부로 더 이상 삽입되지 못하도록 고정한다.
이때, 고정핀(137b)이 삽입되는 높이조절공(137c)의 위치에 따라 기둥부재(131)에 삽입되는 연장부재(133)의 길이를 조절하는 형태로 상하이격대(130)에 결합된 가로대삽입부(14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주행지지대(120)는 버팀대(15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버팀대(155)는 상하이격대(130)를 지지하여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한편, 버팀대(155)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하이격대(130)의 상부 양측에서 바퀴지지부(150)와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도상의 침목 철거장치(100)는 간격조절구(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간격조절구(160)는 하기에 설명될 실린더(170)를 가로대(110)의 사이에서 가로대(11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으며, 간격조절구(160)는 가로대(110)의 양측에 위치되는 주행지지대(120) 사이의 가로대(110)의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간격조절구(160)는 가로대(110)에 한 쌍이 설치될 수 있으며, 간격조절구(160)는 롤러(161), 측판(165), 및 고정고리(163)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161)는 간격조절구(160)가 가로대(110)의 상단을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가로대(110)의 상단에 위치될 수 있으며, 하나의 간격조절구(160)에는 복수 개의 롤러(161)가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2개의 롤러(161)를 구비하였다.
그리고, 고정고리(163)는 한 쌍의 롤러(161)가 위치되는 중앙 부분의 가로대(110)의 하단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 고정고리(163)에는 하기에 설명될 실린더(170)의 일단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측판(165)은 가로대(110)의 양측 면에 각각 위치되어 고정고리(163)와 롤러(161)가 측판(165)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고정고리(163,)와 롤러(161)를 볼트와 같은 결합부재(167)로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고정고리(163)는 롤러(161)와 함께 측판(165)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도상의 침목 철거장치(100)는 실린더(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린더(170)는 침목(210)을 상부로 들어올리는 힘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하기에 설명될 침목(210)에 결합되는 결합지그(18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형태로 철도 콘크리트도상(200)에서 침목(210)을 철거할 수 있다.
여기서, 실린더(170)의 구성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실린더(170)의 구성과 작용의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실린더(170)는 공압에 의해 작동하는 공압 실린더(170) 또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 실린더(170)일 수 있다.
그리고, 실린더(170)는 간격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움직이는 실린더(170)의 구동축(173)이 실린더(170)의 몸체(171)에서 하부로 출몰하도록 간격조절구(16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간격조절구(160)에 구비된 고정고리(163)와 실린더(170)의 일단 더 구체적으로는 실린더(170)의 몸체(171) 부분의 끝단이 쇠사슬, 로프 등으로 서로 연결되거나, 실린더(170)의 몸체(171) 부분의 끝단이 고정고리(175)에 직접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도상의 침목 철거장치(100)는 구동유닛(177)을 포함할 수 있다(도 10 참조).
이 구동유닛(177)은 실린더(170)와 연결되어 실린더(170)에 공압 또는 유압을 제공함으로써, 실린더(170)를 작동시키거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구동유닛(177)은 공지된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기구 또는 공압을 제공하는 컴프레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작용과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에서는 구동유닛(177)과 실린더(170)을 연결하여 공압 또는 유압을 제공하는 연결선은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도상의 침목 철거장치(100)는 결합지그(18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지그(180)는 실린더(170)에 결합되고, 이 상태에서 침목(2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침목(210)과 실린더(17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결합지그(180)는 침목(210)에 구비된 스프링결합부(2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스프링결합부(230)는 침목(210)에 구비되어 침목(210)과 레일(22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코일스프링이 결합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그리고, 결합지그(180)는 실린더(170)의 타단, 더 구체적으로는 실린더(170)의 구동축(173)의 끝단에 결합되어 실린더(170)가 작동하여 구동축(173)이 출몰할 때 구동축(173)과 함께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구동축(173)의 타단에는 고정고리(175)가 구비되고, 이 고정고리(163,175)에 결합지그(180)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형태로 결합지그(180)가 실린더(17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결합지그(180)는 앵글부(181)와 끼움부(183)를 포함할 수 있다. 앵글부(181)는 상단이 뾰족한 형태의 삼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끼움부(183)는 앵글부(181)의 밑변에서 서로 나란하게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고 끼움부(183)의 양 끝단 중 어느 하나의 끝단만 앵글부(181)에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결합지그(180)는 상단의 뾰족한 부분을 실린더(170)의 구동축(173)에 구비된 고정고리(175)에 결합한 상태에서, 끼움부(183) 더 구체적으로 끼움부(183)에서 앵글부(181)에 결합되는 반대방향의 끝단을 스프링결합부(230)에 형성된 스프링삽입공(231)에 끼우는 형태로 실린더(170)와 침목(210)을 연결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결합지그(180)는 앵글부(181)가 상부로 갈수록 뾰족한 삼각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실린더(170)에서 당기는 힘이 침목(210)에 고르게 작용하여 침목(210)의 전체가 철도 콘크리트도상(200)에서 철거되지 않고, 침목(210)의 일부분만 파손되는 형태로 철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도상의 침목 철거장치(100)는 보조대차(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보조대차(190)는 철도 콘크리트도상(200)에서 침목(210)을 철거 시 필요한 작업공구 또는 실린더(170)를 구동하는 구동유닛(177) 등을 수용하여 작업공구 또는 구동유닛(177) 등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한편, 보조대차(190)는 예컨대, 앵글과 같은 막대형상의 부재를 가로, 세로로 연결하여 임의의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191)을 형성하고, 이 프레임(191)의 하단에 복수 개의 바퀴(192)를 설치하여 보조대차(190)가 철도 콘크리트도상(200)을 주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보조대차(190)에는 작업공구 또는 구동유닛(177) 등이 수납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수납칸(193)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수납칸(193)은 하나만 형성하였다.
보조대차(190)는 연결대(19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연결대(195)는 보조대차(190)와 주행지지대(120)를 서로 연결하여 보조대차(190)가 주행지지대(120)를 따라 철도 콘크리트도상(200)을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연결대(195)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대(195)의 양단은 하향 절곡된 절곡부(195a)가 형성되고, 주행지지대(120) 및 보조대차(190)에는 연결대(195)의 절곡부(195a)가 걸쳐져 주행지지대(120)와 보조대차(190)를 연결되는 걸침부(132,194)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걸침부(132,194)는 가로대(110)의 양측에 구비되는 주행지지대(120)의 각각에서 및 보조대차(190)의 프레임(191)의 양측에서 각각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이 돌출된 부분에 절곡부(195a)가 끼우지는 연결공(132a,194a)이 형성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연결대(195)는 주행지지대(120)와 보조대차(190)의 동일한 측면에 위치된 걸침부(132,194)에 연결대(195)의 양측에 위치되는 절곡부(195a)를 주행지지대(120) 및 보조대차(190)에 각각에 구비된 걸침부(132,194)의 연결공(132a,194a)에 끼우는 형태로 주행지지대(120)와 보조대차(190)를 연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도상의 침목 철거장치(100)는 가로대(110)의 양측에 구비된 주행지지대(120)의 사이로 레일(220)이 위치된 상태에서 철도 콘크리트도상(200)에서 철거할 침목(210)이 위치된 부분까지 바퀴(151,192)를 이용하여 주행지지대(120)를 이동시킨다.
여기서, 침목(210)이 가로대(110)의 양측에 위치된 주행지지대(120)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주행지지대(120)의 사이 간격을 조절한다.
이때, 가로대(110)에서 주행지지대(120)의 사이 간격을 조절한 상태에서 가로대삽입부(140)에 형성된 관통공과 대응되는 가로대(110)의 길이조절공(111)을 체결부재(145)로 관통하여 가로대(110)에 주행지지대(1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실린더(170)가 철도 콘크리트도상(200)에 매설된 침목(210)을 들어올려 철거할 수 있는 위치까지 가로대(11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높낮이조절부(137)를 통해 상하이격대(130)의 높이를 조절한다.
상하이격대(130)의 높이를 조절할 때에는 기둥부재(131)에서 연장부재(133)를 기둥부재(131)의 내부로 삽입하거나, 삽입된 연장부재(133)를 기둥부재(131)의 상부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기둥부재(131)의 상단에 가장 인접한 연장부재(133)에 형성된 높이조절공(137c)에 고정핀(137b)을 삽입한다.
이와 같이 고정핀(137b)이 삽입되면, 기둥부재(131)의 상단, 더 구체적으로는 기둥부재(131)의 상단에 형성된 안착홈(137a)에 고정핀(137b)이 걸쳐져 기둥부재(131)의 내부로 연장부재(133)가 더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형태로 고정핀(137b)이 삽입되는 길이조절공(111)의 위치에 따라 상하이격대(13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철거할 침목(210)에 실린더(170)의 높낮이가 조절된 상태로 위치되면, 레일(220)과 침목(210)을 체결하는 코일스프링을 해체하고, 레일부상기구를 이용하여 침목(210)에 지지된 레일(220)을 침목(210)의 상부로 이격시킨다.
그리고, 침목(210)을 철도 콘크리트도상(200)에 고정하는 앙카너트(240)를 해체한다.
이 상태에서 실린더(170)가 스프링결합부(230)의 수직된 상부에 위치되도록 한 쌍의 간격조절기구를 가로대(110)를 따라 주행시켜 가로대(110)에서 실린더(170)의 좌,우의 위치를 조절한 후, 결합지그(180)가 실린더(170)의 하부로 이동하여 스프링결합부(23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실린더(170)의 구동유닛(177)을 작동시킨다.
그리고, 결합지그(180)가 실린더(170)의 하부 이동하면, 결합지그(180)의 끼움부(183)를 스프링삽입공(231)에 끼워 결합지그(180)를 침목(210)에 결합시킨다. 이 때, 한 쌍의 실린더(170)에 각각 구비된 결합지그(180)를 레일(220)을 중심으로 양측에 구비된 스프링결합부(230)에 각각 결합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이와 같이 결합지그(180)가 스프링결합부(230)에 결합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유닛(177)을 통해 실린더(170)를 구동시켜 결합지그(180)가 상부로 이동하여 철도 콘크리트도상(200)에 매립된 침목(210)을 철도 콘크리트도상(200)의 상부로 당기는 형태로 침목(210)을 철거한다.
이때, 실린더(170)는 결합지그(180) 및 간격조절구(160)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간격조절구(160)에 의해 가로대(110)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실린더(170)가 침목(210)을 당길 때, 실린더(170)가 침목(210)의 수직된 상태로 자동으로 위치되어 침목(210)의 파손없이 침목(210)을 안정적으로 철도 콘크리트도상(200)에서 철거할 수 있다.
한편, 철도 콘크리트도상(200)에서 침목(210)이 제거되면, 침목(210)이 제거된 철도 콘크리트도상(200)의 자리에 모르타르(mortar)를 타설하거나, 새로운 침목(210) 또는 방진체결구를 다시 설치하는 형태로 철도 콘크리트도상(200)에서의 침목(210)의 철거를 완료한다.
이와 같이 반복적인 과정을 거치면서 철도 콘크리트도상(200)에 매설된 복수 개의 침목(210)을 차례로 철거한다.
아울러, 주행지지대(120)를 이동시키면 보조대차(190)가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주행지지대(120)의 걸침부(132,194) 및 보조대차(190)의 걸침부(132,194)를 연결대(195)로 서로 연결하여 보조대차(190)에 침목(210)의 철거를 위한 각종 공구 및 실린더(17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유닛(177)을 수납하여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 콘크리트도상의 침목 철거장치(100)는 철도 콘크리트에서 침목(210)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철거할 수 있으며, 침목(210)의 철거를 위한 인력을 감소시켜 작업공수를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침목(210)의 철거 시 철도 콘크리트도상(200)의 파손을 방지하여 모르타르의 소모를 최소화하고, 철도 콘크리트도상(200)을 충격하지 않고 철도 콘크리트도상에서 침목(210)을 빼내는 형태로 철거하여 구조물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철도 콘크리트도상(200)의 파손으로 인해 발생되는 폐기물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침목(210)에 결합되는 결합지그(180)의 형상이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침목(210)을 들어올리는 힘이 침목(210) 전체에 고르게 작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침목(210)의 철거 시 침목(210)의 일부분만 파손되어 침목(210)의 철거가 난해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실린더(170)가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실린더(170)의 구동 시 실린더(170)의 고정으로 인한 파손 및 침목(210)에 직교된 방향에서 힘이 작용하여 침목(210)을 용이하게 철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철도 콘크리트도상 침목의 철거장치 110: 가로대
111: 길이조절공 120: 주행지지대
130: 상하이격대 131: 기둥부재
132, 194: 걸침부 132a, 194a: 연결공
133: 연장부재 137: 높낮이조절부
137a: 안착홈 137b: 고정핀
137c: 높이조절공 140: 가로대삽입부
141: 체결공 143: 삽입공
145: 체결부재 150: 바퀴지지부
151,192: 바퀴 155: 버팀대
160: 간격조절구 161: 롤러
163,175: 고정고리 165: 측판
167: 결합부재 170: 실린더
171: 몸체 173: 구동축
177: 구동유닛 180: 결합지그
181: 앵글부 183: 끼움부
190: 보조대차 191: 프레임
193: 수납칸 195: 연결대
195a: 절곡부 200: 철도 콘크리트도상
210: 침목 220: 레일
230: 스프링결합부 231: 스프링삽입공
240: 앙카너트
111: 길이조절공 120: 주행지지대
130: 상하이격대 131: 기둥부재
132, 194: 걸침부 132a, 194a: 연결공
133: 연장부재 137: 높낮이조절부
137a: 안착홈 137b: 고정핀
137c: 높이조절공 140: 가로대삽입부
141: 체결공 143: 삽입공
145: 체결부재 150: 바퀴지지부
151,192: 바퀴 155: 버팀대
160: 간격조절구 161: 롤러
163,175: 고정고리 165: 측판
167: 결합부재 170: 실린더
171: 몸체 173: 구동축
177: 구동유닛 180: 결합지그
181: 앵글부 183: 끼움부
190: 보조대차 191: 프레임
193: 수납칸 195: 연결대
195a: 절곡부 200: 철도 콘크리트도상
210: 침목 220: 레일
230: 스프링결합부 231: 스프링삽입공
240: 앙카너트
Claims (8)
- 철도 콘크리트도상에 설치된 침목을 해체하는 철도 콘크리트도상의 침목 철거장치로서,
상기 침목에 지지되는 레일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가로대,
상기 가로대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가로대를 바닥에서 상부로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며 주행하는 바퀴가 구비된 주행지지대,
상기 가로대의 양측에 배치된 상기 주행지지대의 사이에서 상기 가로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한 쌍의 간격조절구,
상기 한 쌍의 간격조절구의 각각에 일단이 결합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를 구동하는 구동유닛, 및
상기 실린더의 타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침목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결합지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콘크리트도상의 침목 철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지지대는
상기 가로대가 관통되는 형태로 삽입되는 가로대삽입부,
상기 바퀴가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결합되는 바퀴지지부,
상기 바퀴지지부에서 상기 가로대삽입부를 상부로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는 상하이격대, 및
상기 바퀴지지부와 상기 상하이격대를 연결하여 상기 상하이격대를 지지하는 버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콘크리트도상의 침목 철거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격대는
상기 가로대삽입부가 상단에 결합되고 상,하로 긴 막대형상으로 형성되는 연장부재,
상기 바퀴지지부의 상부에 위치 상기 연장부재가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지지되는 기둥부재, 및
상기 연장부재가 상기 기둥부재에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상하이격대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콘크리트도상의 침목 철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대에는 상기 주행지지대의 사이 간격을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주행지지대와 체결부재로 결합되는 길이조절공이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콘크리트도상의 침목 철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구는
상기 가로대의 상단을 주행하는 롤러,
상기 가로대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실린더가 결합되는 고정고리, 및
상기 고정고리와 상기 롤러를 양측면에서 고정하는 측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콘크리트도상의 침목 철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일단 및 타단에 결합되는 상기 간격조절구 및 상기 결합지그는 상기 실린더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콘크리트도상의 침목 철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지그는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의 일단이 결합되는 앵글부, 및
상기 앵글부의 밑변에서 이격된 상태로 상기 앵글부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침목에 구비된 스프링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끼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콘크리트도상의 침목 철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지지대와 이격 배치된 상태로 상기 주행지지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대로 연결되어 상기 주행지지대를 따라 상기 철도 콘크리트도상을 주행하는 보조대차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철도 콘크리트도상의 침목 철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0877A KR101458452B1 (ko) | 2012-08-20 | 2012-08-20 | 철도 콘크리트도상의 침목 철거장치 |
PCT/KR2013/007428 WO2014030892A1 (ko) | 2012-08-20 | 2013-08-19 | 철도 콘크리트도상의 침목 철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0877A KR101458452B1 (ko) | 2012-08-20 | 2012-08-20 | 철도 콘크리트도상의 침목 철거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24639A true KR20140024639A (ko) | 2014-03-03 |
KR101458452B1 KR101458452B1 (ko) | 2014-11-07 |
Family
ID=50150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90877A KR101458452B1 (ko) | 2012-08-20 | 2012-08-20 | 철도 콘크리트도상의 침목 철거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458452B1 (ko) |
WO (1) | WO201403089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294716B (zh) * | 2014-11-10 | 2016-02-03 | 中铁十九局集团第六工程有限公司 | 双层轨枕吊装工具 |
KR20180065435A (ko) | 2016-12-07 | 2018-06-18 | 코넥스이앤씨(주) | 발생품을 이용한 콘크리트 도상의 목단침목 철거 및 교체방법 |
CN114457635B (zh) * | 2022-03-11 | 2023-06-27 | 中铁二十四局集团有限公司 | 高铁无砟轨道自密实混凝土修补工艺及修补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38076U (ja) * | 1993-02-24 | 1995-07-14 | 鈴木工業株式会社 | レール運搬装置 |
US6463858B2 (en) * | 2001-03-16 | 2002-10-15 | Nordco Inc. | Rail tie replacement method and apparatus |
JP4096188B2 (ja) * | 2003-07-01 | 2008-06-04 | 十三 松井 | 軌条保持具及び該保持具を用いた軌条敷設方法 |
CN2756688Y (zh) * | 2004-12-31 | 2006-02-08 | 吴飞轮 | 道岔换铺成套设备 |
JP2012017610A (ja) * | 2010-07-08 | 2012-01-26 | Shikoku Kaihatsu Kensetsu Kk | 枕木交換用軌道作業車 |
-
2012
- 2012-08-20 KR KR1020120090877A patent/KR10145845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
- 2013-08-19 WO PCT/KR2013/007428 patent/WO2014030892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4030892A1 (ko) | 2014-02-27 |
KR101458452B1 (ko) | 2014-11-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136191B2 (en) | Scaffold arrangement and method for repairing the edge structure of a concrete bridge | |
JP4403579B2 (ja) | 跨道橋の既設橋脚撤去方法 | |
CN102002913B (zh) | 预制t梁移梁台车 | |
CZ280342B6 (cs) | Stroj pro přípravu svařování na koleji | |
JP6668476B2 (ja) | 平面交差を設置するための装置 | |
KR101458452B1 (ko) | 철도 콘크리트도상의 침목 철거장치 | |
KR100571770B1 (ko) | 궤도지지 장치 | |
JP4185901B2 (ja) | 軌道スラブ敷設位置調整装置 | |
CN103835195A (zh) | 一种铺轨机低位顶升快速横移变跨装置及方法 | |
KR100454406B1 (ko) | 가벤트를 이용하여 철도교의 강교를 콘크리트교로치환하여 유도상화하는 공법 및 그 장치 | |
KR20160000577U (ko) | 콘크리트 도상용 침목 제거 장치 | |
KR102197762B1 (ko) | 도상 교체용 특수 철도차량 | |
CN110529146B (zh) | 一种用于单线隧道仰拱施工的设备及其施工方法 | |
GB2189281A (en) | A travelling machine for taking up or laying and transporting track panels | |
CN106638300A (zh) | 跨越式桥梁检修系统 | |
CN202117689U (zh) | 一种配合盾构过站用于结构支模的轻型台车 | |
CN110005452B (zh) | 一种导坑支护拱架快速安装系统及安装方法 | |
KR101250486B1 (ko) | 가설벤트를 이용한 철도교의 유도상화 공법 | |
CN102535277B (zh) | 铁路道岔整体移动装置 | |
JP3263033B2 (ja) | 枕木交換用軌道作業車両の橋梁支持装置 | |
RU2377356C2 (ru) | Способ замены шпал | |
CN203729163U (zh) | 一种铺轨机低位顶升快速横移变跨装置 | |
CN205224637U (zh) | 一种能适应地形的建筑用安全防护栏 | |
JP5400829B2 (ja) | 仮設桟橋構築工法および仮設桟橋構築工事用足場装置 | |
CN105951536B (zh) | 一种用于道岔区板式无砟轨道的修复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6 |